KR100321957B1 -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선택 호출의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선택 호출의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957B1
KR100321957B1 KR1019990006179A KR19990006179A KR100321957B1 KR 100321957 B1 KR100321957 B1 KR 100321957B1 KR 1019990006179 A KR1019990006179 A KR 1019990006179A KR 19990006179 A KR19990006179 A KR 19990006179A KR 100321957 B1 KR100321957 B1 KR 10032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field strength
selective call
cal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913A (ko
Inventor
구도우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7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30), 상기 검출기(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 검출된 전계 강도와 관련된 전압을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로 전송되는 전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가 제공된다.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에 따라, 입력 신호의 하락없이 자동 이득 제어기(AGC)를 정확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선택 호출의 수신 방법{RADIO TYPE SELECTIVE CALLING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SELECTIVE CALLING}
본 발명은 수신된 신호의 전계 강도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 AGC)를 이루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선택 호출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의 발달에 의해 페이저 시스템의 수요가 현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로 전송되는 주파수도 증가하였다. 무선형 선택 호출 무선기는 많은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광대역 특성을 갖고,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순차적 스테이지에서 이를 복조하는 인테나를 포함한다.
주파수가 하나의 파장과 관련되면, 수신기 특성이나 IM 특성은 수신된 신호가 큰 전계 강도를 갖더라도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주파수가 복수의 파장과 관련되면, 회로의 포화로 인해 스퓨리어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수신기 특성이나 IM 특성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스퓨리어스를 피하기 위해,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는 일반적으로 수신된 신호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고, 그 선단부의 이득에 조정하며, 수신기 특성이나 IM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AGC)를 이루도록 일반적으로 설계된다.
수신된 신호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는, FM 신호에서 필수적인 IF 신호를 제한하는 다단 제한 증폭기(multi-stage limiting amplifier) 신호의 각각의 스테이지로부터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의 진폭을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진폭을 정류 회로에 의해 검출된 진폭을 평활하며, 수신된 신호에서 전계 강도와 dc 전압간의 관계에 따라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AGC에서, 이렇게 변환된 dc 전압은 선단부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어, 수신기 특성이나 IM 특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동반한다. 상술된 검출기는 다단 제한 증폭기의 각각의 스테이지로부터 IF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고, 정류 회로에 의해 IF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며, 이렇게 변환된 전류를 총 가산하고, 저항을 통해 전류를 통과시켜 전압을 얻으므로, 검출기는 매우 작은 양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따라서, AGC를 이루는 회로로 검출기가 전류를 제공하면, 선택 호출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이 강하될 우려가 있다.
1992년 11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974631호에 기초하여 1994년 8월 5일자로 공개된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6-213676호에서,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제안했다. 제안된 인디케이터는 복수의 전압 증폭기, 복수의 정류기, 복수의 전압/전류 변환기, 및 전류 가산 회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압 증폭기는, 이득 상수를 유지하도록 온도에 비례하는 제1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차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압/전류 변환기는, 온도에 비례하고 공정 파라미터에 역비례하는 제2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제2 차동 트랜지스터 및 공정 파라미터에 역비례하는 제3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1996년 5월 1일자로 공개된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8-139632호는 오동작하지 않고, 고속 AGC 동작이 가능한 협대역 송수신기를 제안했다. 제안된 송수신기는 수신기,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를 복조하고 변조 가청 입력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장치, 전송기,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출력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인지 전송 모드인지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 및 상기 검출기와 상기 인디케이터로부터 전송된 출력에 따라 송수신기의 소자들에 공급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기를 포함한다.
1996년 11월 22일자로 공개된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8-307172호는 가변 이득을 갖는 증폭기를 제안했다. 제안된 증폭기는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이득을 갖는 차동 증폭 회로, 증폭하기 위한 차동 증폭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 및 트랜지스터 이득의 온도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로 구성된다.
1997년 8월 26일자로 공개된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9-223950호는 링 발진기를 포함하는 VCO 회로를 제안했다. VCO 회로에 인가될 전압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출력 특성의 포화 영역의 효력에 의해 정전류 신호로 반전된다. 이렇게 발생된 정전류 신호는 구동용 링 발진기에 인가된다.
종래 기술의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전압의 하락없이 AGC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 측면에서, (a)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b)검출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자동 이득 제어 회로, (c)상기 검출된 전계 강도와 관련된 전압을, 상기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로 전송되는 전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a) 수신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b) 자동 이득 제어 회로로 전압을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전계 강도와 관련된 전압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c)는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신호의 하락없이 자동 이득 제어(AGC)회로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간헐 전압을 전압/전류 변환기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함으로써, 단일 회로 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를 구성하는 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를 구성하는 전압/전류 변환 회로의 회로도.
도 4는 수신된 신호에서 dc 전압에 대한 전계 강도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를 구성하는 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단부
11 : 안테나
12 : 고주파 증폭기
13 : 제1 대역 통과 필터(BPF1)
14 : 제1 믹서
15 : 제1 국부 발진기
16 : 제2 대역 통과 필터(BPF2)
17 : 제2 믹서
18 : 제2 국부 발진기
19 : 제3 대역 통과 필터(BPF3)
20 :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 AGC) 회로
30 : 신호 처리 장치
31 : 다단 제한 증폭기
32 : 복조기
33 : 저역 통과 필터
34 : 오프-셋 제거기
35 : 비교기
40 : 전계 강도 검출 회로
50 : 전류/전압 변환 회로
60 : 디코더
70 : 중앙 처리 장치(CPU)
80 : DC/DC 변환기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선택 호출 수신기는 주파수 편이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 FSK) 변조 시스템을 사용하는 수퍼 헤테로다인형 수신기이다. 도시된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선단부(10), 선단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처리 장치(30), 신호 처리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디코더(60), 신호 처리 장치(30)에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전류 변환 회로(50),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로부터 전류를 수신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 신호 처리 장치(30)으로 전기 전력을 제공하는 셀 E, 셀 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DC/DC 변환기(80), 및 DC/DC 변환기(80)와 신호 처리 장치(30)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앙 처리 장치(CPU)(70)로 구성된다.
선단부(10)는 안테나(11),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12), 고주파 증폭기로(12)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BPF1)(13), 제2 대역 통과 필터(BPF2)(16), 제3 대역 통과 필터(BPF3)(19), 제1 대역 통과 필터(13)와 제2 대역 통과 필터(16) 사에에 위치한 제1 믹서(14), 제1 믹서(14)에 연결된 제1 국부 발진기(15), 제2 대역 통과 필터(16)와 제3 대역 통과 필터(19) 사이에 위치한 제2 믹서(17), 및 제2 믹서(17)에 연결된 제2 국부 발진기(18)로 구성된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선단부(10)는 안테나(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IF)를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IF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30)로 전송되고, 여기서 IF 신호는 변조되며, 전계 강도는 IF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신호 처리 장치(30)에 의해 복조된 신호는 디코더(60)로 전송되고, 복호화된다.
동작에서, 신호 처리 장치(30)는 안테나(11)에서 수신된 신호의 전계 강도에 따라 진폭이 변화하는 IF 신호의 전압 진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진폭에 기초하여 전계 강도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30)는 상기 계산된 전계 강도를 전계 강도와 수신된 신호의 dc 전압 사이의관계에 따른 전압(VRSO)으로 변환한다.
도 4에서, 직선(41)은 어떠한 부하 전류도 없을 때, 전계 강도와 dc 전압 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일점 쇄선(42)은 작은 부하 전류가 있을 때, 전계 강도와 dc 전압 간의 관계를 도시하며, 점선(43)은 큰 부하 전류가 있을 때, 전계 강도와 dc 전압 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전계 강도 전압(VRSO)은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로 전송되고, 전압/전류 변환 회로(50)에 의해 부하 전류로 전송된다. 상기 변환된 부하 전류는 AGC 회로(20)로 제공된다. 따라서, AGC 회로(20)는 전계 강도 전압(VRSO)의 하락없이 부하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은 CPU(7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 전압에 따라 회로(50)로 제공된다. 따라서,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는 동작하도록 간헐 전압을 수신한다.
안테나(11)가 큰 강도를 갖는 전계를 형성하는 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단부(10)를 구성하는 회로는 수신기 특성 (IM 특성)에서 열화의 결과와 함께 포화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AGC 회로(20)는 수신기 특성을 정의하는 안테나(11)의 이득과 고주파 증폭기(12)를 제어하여, 이들을 신호 처리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전계 강도 전압(VRSO)의 효력에 의해 비포화 상태로 유지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선단부(10)와 신호 처리 장치(30)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처리 시스템,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더(60)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70)으로 배열될 수 있다.
무선 신호 처리 시스템은 최소한 1 볼트에서 동작하므로, 셀 E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동작용으로 최소한 2 볼트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셀 E에 의해 인가된 전압을 DC/DC 변환기(80)에 의해 필요한 전압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셀 E의 전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하한다. 따라서, 안정 동작을 유지하도록, 셀 E의 전압은 이후에 상술될 안정 장치(38)(도 2를 살펴볼 것)로 전송되어 전압을 1.0V로 유지한다. 안정화 전압은 선단부(10)와 신호 처리 장치(30) 모두에 인가된다. 간헐적인 방식으로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를 동작하기 위한 제어기는 안정 장치(38)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간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 BS는, CPU(70)로부터 신호 처리 장치(30)로 전송되고, 전원 전압이 2V와 동일하면, 0V 내지 2V의 범위에 있는 진폭을 갖는다. 전압/전류 변환 회로(50)용 전원 전압은 제어 신호 BS를 통해 인가된다.
CPU(70)로부터 신호 처리 장치(30)로 전송된 제어 신호 BS를 사용함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30)에 2V의 전압 단자를 부가하지 않고, 신호 처리 장치(30)를 동작하도록 1V의 단일 회로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2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를 구성하는 신호 처리 장치(30)의 블록도이다.
신호 처리 장치(30)는 선단부(10)로부터 전송된 I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다단 제한 증폭기(31), 다단 증폭기(31)로부터 전송된 증폭된 IF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32), 상기 복조된 IF 신호 중에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33), 오프-셋 제거기(34), 비교기(35), 및 다단 제한 증폭기(31)의 각각의 스테이지로부터 진폭을 수신하는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압을 발생한다.
선단부(10)로부터 전송된 IF 신호는 다단 제한 증폭기(31)에서 증폭되고, 그 다음 변조기(32)에서 변조된다. 다음, IF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33), 오프-셋 제거기(34), 및 비교기(35)를 통해 디코더(60)로 전송된다.
전계 강도 전압 VRSO는 다단 제한 증폭기(31) 및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에서 검출된다.
도 5는 전계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제한 증폭기(31)는 각각의 단계가 정류 회로(51)에 연결된 (N+1)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정류 회로(51)는 전기적으로 저항 R과 커패시터 C에 연결된다.
전계 강도 전압 VRSO는 다음과 같이 안테나(11)에서 수신된 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얻어진다. 다단 제한 증폭기(31)의 각각의 스테이지는 IF 신호에서 전압의 진폭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전압은 플러스 파장과 마이너스 파장 모두를 정류하는 정류 회로(51)에 의해 정류되고, 커패시터 C에 의해 평활된다. 따라서, 전계 강도에 비례하는 dc 전압이 발생한다.
특히, 다단 제한 증폭기(31)의 각각의 스테이지에 의해 검출된 IF 신호의 전압의 진폭은, 정류 회로(51)에 의해 전류로 변환된다. 상기 정류된 전류는 하나에 하나씩 부가된다. 다음으로, 상기 부가된 전류는 저항 R을 통과함으로써 전압으로 변환된다.
플러스 파장과 마이너스 파장을 모두 정류시키는 정류 회로의 일례는,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8-316736호에 제안되어 있고,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와 같은 전계 강도 검출 회로의 일례는,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10-150330호에 제안되어 있다.
다단 제한 증폭기(31)의 각각의 스테이지에서 정류 회로(51)에 의해 진폭이 전류로 변환되므로, 상기 발생된 전류는 저항 R를 통과함으로써 전압으로 변환되고, 부하 전류가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로부터 추출되면, 전계 강도 전압 VRSO이 강하한다. 따라서,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와 AGC 회로(20) 간에 위치하므로, 전계 강도 전압 VRSO에서 강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AGC 회로(20)로 부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전계 강도 전압 VRSO를 부하 전류로 변환하는 전압/전류 변환 회로(50)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는 제1 NPN 트랜지스터 Q1, 제2 PNP 트랜지스터 Q2, 제3 PNP 트랜지스터 Q3, 제4 트랜지스터 Q4, 제5 트랜지스터 Q5, 제1 저항 RB, 및 제2 저항 RE를 포함한다.
제1 NPN 트랜지스터 Q1는 제2 저항 RE를 통해 접지된 에미터, 전계 강도 전압 VRSO이 제1 저항를 통해 인가된 베이스, 및 제2 PNP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콜렉터를 갖는다.
제2 PNP트랜지스터 Q2는 CPU(70)로부터 제어 신호 BS가 전송된 에미터, 제4 PNP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베이스, 및 제1 NPN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콜렉터를 갖는다. 콜렉터와 베이스는 서로 단락 회로화 되어 있다.
제3 PNP 트랜지스터 Q3는 제4 PNP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에미터, 접지된 콜렉터, 및 제1 저항 RB를 통해 제1 NPN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베이스를 갖는다.
제4 PNP 트랜지스터 Q4는 CPU(70)로부터 제어 신호 BS가 전송되는 에미터, 제3 트랜지스터 Q3의 에미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콜렉터, 및 제2 PNP 트랜지스터 Q3 및 제5 PNP 트랜지스터 Q5의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베이스를 갖는다.
제5 PNP 트랜지스터 Q5는 CPU(70)로부터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에미터, AGC 회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콜렉터, 및 제2 PNP 트랜지스터 Q2 및 제4 PNP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베이스를 갖는다.
제2, 제4, 및 제5 PNP 트랜지스터 Q2, Q4, 및 Q5는 전류 미러 회로를 구성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AGC 회로(20)는 전계 강도 전압 VRSO이 0.7V와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전계 강도 전압 VRSO이 0.7V 이상이면, 베이스 전류 IB1는 제1 NPN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로 흐르고, 제1 NPN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류 IC1는 HEF를 곱한 베이스 전류와 동일한 전류로 증폭된다. 여기서, HEF는 PNP 트랜지스터의 전류 증폭 계수이다.
콜렉터 전류 IC1는 제2 트랜지스터 Q2, 제4 트랜지스터 Q4, 및 제5 PNP 트랜지스터 Q5에 의해 구성된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해 다시 공급된다. 제4 PNP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 전류 IC4는 제3 PNP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 전류에 부가된다. 여기서, 콜렉터 전류 IC4는 콜렉터 전류 IC1와 동일한 양이다.
제3 PNP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가 제1 NPN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NPN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전류 IB1는 제3 PNP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 전류 IB3에 의해 보정된다(IB3 = IC4 / HFE = IB1). 따라서, 부하 전류는 전계 강도 전압 VRSO으로부터 추출되지 않는다.
제5 PNP 트랜지스터 Q5의 콜렉터 전류 IC5는 AGC 회로(20)로 인가되어, AGC 회로(20)를 구동한다. 여기서, 콜렉터 전류 IC5는 콜렉터 전류 IC1의 양과 동일하다. 제1 NPN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전류 IB1는 제1, 및 제2 저항 RB, 및 RE에 의존한다.
베이스 전류 IB1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B1 = (VRSO - VB1) / RB
= (VRSO - (VE1 + VBE1)) / RB
= (VRSO - (IC1 × RE + VBE1)) / RB
= (VRSO - (IB1 × HFE × RE + VBE1)) / RB
이하 간혈적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 BS가 CPU(70)로부터 전원 전압 VBS로서전압/전류 변환 회로(50)로 전송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는 입력 전계 강도에 비례하여 동일하거나 1V 낮은 출력 전압을 전송한다. AGC 회로(20)는 0.7V나 더 큰 전압의 범위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0.7V 내지 1V의 범위에 있는 전압이 제3 PNP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전압/전류 변환 회로(50)에서 필요한 전원 전압은 제3 PNP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와 에미터 간의 전압 VBE3, 및 제4 PNP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와 에미터 간의 전압 VCE4의 합과 동일하다. 즉, 전원 전압 VB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VBS ≥ VRSO + VBE3 + VCE4
이제, 전압 VBE3이 0.7V와 동일하고, 전압 VCE4이 0.2V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라고 가정하자. 전계 강도 전압 VRSO의 최대값은 1V와 동일하고, 이는 제3 PNP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 전압과 동일하다. 따라서, 전원 전압 VBS은 1.9V (VBS ≥ 1.9V)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 셀 E가 1V의 전압을 갖으므로,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를 구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전압/전류 변환 회로(50)용 전원 전압이 간헐 전압이면,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는 셀 E에 의해서도 동작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신호 수신 시스템에서 다르다. 즉, 본 발명의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는 수퍼 헤테로다인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는 직접 변환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도시된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선단부(10), 선단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처리 장치(30), 신호 처리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디코더(60), 신호 처리 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압/전류 변환 회로(50), 전압/전류 변환 회로(50)로부터 부하 전류를 수신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 셀 E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DC/DC 변환기(80), 및 DC/DC 변환기(80)와 신호 처리 장치(30) 모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앙 처리 장치(CPU)(70)를 포함한다.
선단부(10)는 안테나(11),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12), 고주파 증폭기(12)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믹서(61a) 및 제2 믹서(61b), 제1 믹서(61a) 및 제2 믹서(61a)로부터 각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저역 필터(LPF)(62a) 및 제2 저역 필터(62b), 제1 믹서(61a) 및 제2 믹서(6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위상 시프터(63a) 및 제2 위상 시프터(63b), 및 제1 위상 시프터(63a) 및 제2 위상 시프터(6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국부 발진기(64)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장치(30)는 LPFs(62a, 62b)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 다단 제한 증폭기(31a) 및 제2 다단 제한 증폭기(31b), 제1 다단 제한 증폭기(31a) 및 제2 다단 제한 증폭기(31b)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32), 복조된 IF신호 중에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 통과필터(33), 저역 통과 필터(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교기(35), 제1 다단 제한 증폭기(31a) 및 제2 다단 제한 증폭기(31b)의 각각의 스테이지로부터 진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a),및 임의의 전압에서 셀 E의 전압을 안정화하는 안정 장치(38)로 구성된다.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나, 제1 실시예에서의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가 455㎑의 주파수를 갖는 IF 신호를 취급하는 반면, 제2 실시예에서의 전계 강도 검출 회로(40a)는 5㎑의 주파수를 갖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취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에서의 동작은 상술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입력 신호의 하락없이 자동 이득 제어(AGC) 회로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Claims (9)

  1.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를 갖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30),
    상기 검출기(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 및
    상기 검출된 전계 강도와 관련된 전압을, 상기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로 전송되는 전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기(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선단부(10), 및
    상기 검출기(30)에 의해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디코더(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호출 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퍼헤터로다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호출 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직접 변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헐 전압을 상기 변환기(50)에 제공하는 전원(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c 전압원(E), 및
    간헐 제어 신호를 상기 dc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된 dc 전압으로 적용함으로써, 간헐 전압을 상기 변환기(50)에 제공하는 제어기(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c 전압원(E),
    제어기(70), 및
    안정 장치(3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70)는 간헐 제어 신호를 상기 dc 전압원(E)으로부터 공급된 dc 전압으로 적용함으로써, 간헐 전압을 상기 변환기(50)에 제공하고,
    상기 안정 장치(38)는 간헐 전압을 상기 변환기(50) 이외의 소자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8. 선택 호출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전압을 자동 이득 제어 회로(20)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전계 강도와 관련된 전압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c)가 상기 단계 (a)와 동시에 수행되나, 상기 단계 (b)보다는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간헐 전압에 따라 전류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 방법.
KR1019990006179A 1998-02-24 1999-02-24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선택 호출의 수신 방법 KR100321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041701 1998-02-24
JP04170198A JP3185741B2 (ja) 1998-02-24 1998-02-24 無線選択呼出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913A KR19990072913A (ko) 1999-09-27
KR100321957B1 true KR100321957B1 (ko) 2002-02-04

Family

ID=1261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179A KR100321957B1 (ko) 1998-02-24 1999-02-24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선택 호출의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74097B1 (ko)
JP (1) JP3185741B2 (ko)
KR (1) KR100321957B1 (ko)
CN (1) CN1118202C (ko)
GB (1) GB2334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1817B2 (ja) * 1999-03-29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受信機、無線受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077714A (ja) * 1999-09-03 2001-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機、無線受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EP1410590B1 (en) * 2000-10-31 2005-04-13 Acuid Corporation (Guernsey) Limited Low swing communication system
US6801577B2 (en) * 2002-01-24 2004-10-05 Broadcom Corporation Low voltage swing pad driver and receiver
US6845232B2 (en) * 2002-03-25 2005-01-18 Broadcom Corporation Analog peak detection circuitry for radio receivers
US20040043733A1 (en) * 2002-08-27 2004-03-04 Delphi Technologies, Inc. Enhanced automatic gain control
KR20040108215A (ko) * 2003-06-17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의 저잡음 증폭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094502A (ja) * 2003-09-18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回路
US8447260B2 (en) * 2007-12-12 2013-05-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n-demand receiver supply voltage and current
JP5741579B2 (ja) * 2010-06-22 2015-07-0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検出回路
SG11201507270VA (en) 2013-03-15 2015-10-29 William L Hunt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ip replacements
SG11201702153YA (en) 2014-09-17 2017-04-27 Canary Medical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d monitoring medical devices
KR102455911B1 (ko) 2016-03-23 2022-10-19 카나리 메디칼 아이엔씨. 경보 임플란트를 위한 이식 가능한 리포팅 프로세서
US11191479B2 (en) 2016-03-23 2021-12-07 Canary Medical Inc. Implantable reporting processor for an alert implant
CN111264034A (zh) * 2017-10-25 2020-06-09 日本精机株式会社 接收电路和通信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040A (en) * 1984-09-03 1988-10-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Superheterodyne receiver
JPH0575490A (ja) * 1991-09-18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m受信装置
JPH07226970A (ja) * 1994-02-10 1995-08-22 Casio Comput Co Ltd 無線受信機
JPH0884085A (ja) * 1994-09-09 1996-03-26 Fujitsu Ten Ltd 受信機の利得制御装置
JPH08139621A (ja) * 1994-11-08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ジオ受信機
JPH09238088A (ja) * 1996-02-29 1997-09-09 Toshiba Corp 受信装置
US5745847A (en) * 1995-07-27 1998-04-28 Nec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capable of compensating variation of reception level with wide rang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331A (en) * 1979-11-07 1982-04-2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udio amplifier device
JPS60182812A (ja) 1984-02-29 1985-09-18 Rohm Co Ltd 自動利得調整回路
US4661995A (en) * 1985-02-21 1987-04-28 Anritsu Electric Co., Limited Multi-superheterodyne receiver
CA1319956C (en) * 1987-02-21 1993-07-06 Hirosada Atsuta Radio receiver with a received input level monitoring circuit
DE69020538T2 (de) * 1989-07-15 1996-02-22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sche pegelregelung.
JP2587874B2 (ja) 1989-07-21 1997-03-05 北川工業 株式会社 基板用エジェクタ
JPH0354891A (ja) 1989-07-24 1991-03-08 Nec Corp 電磁波シールド構造
US5296761A (en) * 1992-11-23 1994-03-22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Temperature-compensated logarithmic detector having a wide dynamic range
JP3135789B2 (ja) * 1994-05-31 2001-02-19 東芝デジタルメディ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利得制御ループ回路
JPH08139632A (ja) 1994-11-15 1996-05-31 Uniden Corp 狭帯域通信装置
KR0133338B1 (ko) * 1994-12-16 1998-04-21 양승택 위성중계기용 디지털 자동이득제어장치
JP2689932B2 (ja) 1994-12-30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3517760B2 (ja) 1995-04-28 2004-04-1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可変利得増幅器
JP2908282B2 (ja) 1995-05-22 1999-06-21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両波整流回路
US5613230A (en) * 1995-06-09 1997-03-18 Ford Motor Company AM receiver search tuning with adaptive control
JP2809150B2 (ja) * 1995-08-14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利得増幅回路
JP3638696B2 (ja) 1996-02-14 2005-04-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Vco回路の駆動方法及びvco回路
KR0164419B1 (ko) * 1996-04-19 1999-02-01 김광호 무선 수신기의 자동 이득 제어회로
JP3180682B2 (ja) * 1996-09-19 2001-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受信機
JPH10145250A (ja) * 1996-11-12 1998-05-29 Nec Corp 無線受信装置
JP2885281B2 (ja) 1996-11-20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Dcオフセットキャンセル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差動増幅回路
JPH10276125A (ja) * 1997-03-28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無線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040A (en) * 1984-09-03 1988-10-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Superheterodyne receiver
JPH0575490A (ja) * 1991-09-18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m受信装置
JPH07226970A (ja) * 1994-02-10 1995-08-22 Casio Comput Co Ltd 無線受信機
JPH0884085A (ja) * 1994-09-09 1996-03-26 Fujitsu Ten Ltd 受信機の利得制御装置
JPH08139621A (ja) * 1994-11-08 1996-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ジオ受信機
US5745847A (en) * 1995-07-27 1998-04-28 Nec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capable of compensating variation of reception level with wide range
JPH09238088A (ja) * 1996-02-29 1997-09-09 Toshiba Corp 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34607A (en) 1999-08-25
US6374097B1 (en) 2002-04-16
CN1232352A (zh) 1999-10-20
GB9903525D0 (en) 1999-04-07
KR19990072913A (ko) 1999-09-27
GB2334607B (en) 2000-01-12
CN1118202C (zh) 2003-08-13
JPH11239071A (ja) 1999-08-31
JP3185741B2 (ja)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1957B1 (ko) 무선형 선택 호출 수신기 및 선택 호출의 수신 방법
US7271662B2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 and electric component for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US67181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nonlinear distortion in an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US5603113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both receiver and transmitter adjustable amplifiers including a linear signal level detector with DC blocking, DC adding, and AC removing components
US6826418B2 (en) Radio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radio circuit
CN103703683A (zh) 接收装置以及增益控制方法
US6356746B1 (en) Direct converting receiver
KR100193842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전력조절 회로 및 방법
EP0451277A1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H05259775A (ja) 出力制御回路
EP0568939B1 (en) FSK receiver
JPH10243033A (ja) 復調装置
US6553213B1 (en) Transmitter output power detecting circuit
JPH11298348A (ja) 受信装置
US7865157B2 (en) Controllable mixer
US6242981B1 (en) AGC circuit
JP2009177568A (ja)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GB2250402A (en) Power saving arrangement for a radiotelephone
JP2004235966A (ja) 無線通信装置
JP3180750B2 (ja) 携帯無線機
JPH05344016A (ja) Fm無線受信機のパワーセーブ装置
KR100853532B1 (ko) Rssi 출력 전압을 이득 제어 신호로 이용하는 무선수신기
JPH0213020A (ja) 衛星通信受信装置
KR20010057146A (ko) 자동이득제어기능을 구비한 직접 변환 복조장치
JPS58194414A (ja) Agc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