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652B1 -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652B1
KR100317652B1 KR1020000000523A KR20000000523A KR100317652B1 KR 100317652 B1 KR100317652 B1 KR 100317652B1 KR 1020000000523 A KR1020000000523 A KR 1020000000523A KR 20000000523 A KR20000000523 A KR 20000000523A KR 100317652 B1 KR100317652 B1 KR 10031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terminal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riv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560A (ko
Inventor
강성웅
Original Assignee
김수학
주식회사 프로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학, 주식회사 프로멕스 filed Critical 김수학
Priority to KR102000000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6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라인(DATA LINE)과 게이트라인(GATE LINE)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위한 TAP IC의 플랙시블보드와 TAP IC로 검사신호를 보내는 드라이브보드가 패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플랙시블보드의 미세 단자들과 드라이브보드의 미세 단자들이 패드에 불규칙 적으로 심어진 금속선 다발에 의해 연결됨으로 이들 미세 단자들을 연결하기위한 별도의 프로브블록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 단자들과 각각 연결된 TAP IC 쪽으로 구동신호를 보내는 플랙시블보드와 드라이브보드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위한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브보드의 상부에 놓이는 안내판이 구비되고, 안내판에는 드라이브보드의 단자들과 플랙시블보드의 단자들을 수용하는 안내홈이 구비되며, 안내홈에 끼워져 각 보드의 해당 단자들을 연결하는 패드는 절연재로 구성되며 플랙시블보드의 저면과 드라이브보드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이들에 형성된 단자들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금속선이 다발의 형태로 무수히 많이 심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의 플랙시블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액정표시장치 쪽으로 검사 구동신호를 보내는 드라이브보드(Drive PCB)를 패드로 연결함으로써, 플랙시블보드의 미세 단자들과 드라이브보드의 미세 단자들이 패드에 불규칙 적으로 심어진 금속선 다발에 의해 연결됨으로 이들 미세 단자들을 연결하기위한 별도의 프로브블록을 정밀하게 제작할 필요가 없는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는 1990년대 들어 10인치 TFT LCD의 양산화가 실현되면서 노트북PC의 대표적인 디스플레이로 자리잡고 있으며 CRT를 대체하는 디스플레이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LCD는 2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한 것으로, 상하 유리판위의 전극의 전압차에 따라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액정표시장치는 구동방법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 방식으로 분류하는데 수동 매트릭스 방식에는 TN(Twisted Nematic)과 STN(Super Twisted Nematic)이 있으며 능동 매트릭스 방식에는 TFT(Thin Film Transistor) 등이 있다. LCD는 전자시계, 전자계산기, 액정TV, 노트북PC, 모니터 등 전자제품은 물론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평면적인 유효 표시면적을 가능한 크게 하기 위해서나 박형의 모듈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에 구동칩(Drive Chip)을 실장하는 기술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널리 쓰이는 방식이 구동칩을 실장한 탭(TAP : Tape Automated Bonding) 테이프를 액정표시장치에 접속하는 방식이다.
구동칩이 실장된 TAP IC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의 단자부들과 접속되는데 이 TAP IC를 접속시키기 전에 액정표시장치의 불량 여부를 검사 해야된다.
도 1은 종래 검사장치의 단면도 로서, 검사용 TAP IC(3)가 장착된니들블록(Needle block)(2)을 검사하고자 하는 액정표시장치(1)의 데이터라인 또는 게이트라인의 해당 단자(1a)들과 접속시킨다. 그리고 TAP IC(3)로 검사신호를 보내는 드라이브보드(5)를 니들블록(3)의 플랙시블보드(4)와 연결시킨다. 플랙시블보드(4)와 드라이브보드(5)에는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간격을 이루는 단자들이 200 ∼ 400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각 단자들을 일대일로 연결하기위한 프로브블록(6)을 제작해야 된다.
도 2는 종래 프로브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로서, 수십마이크로미터의 간격을 이루는 미세탐침(6a)들이 절연재로 구성된 프로브블록(6)의 내부에 실장된다. 실장된 미세탐침(6a)들은 프로브블록의 상단과 하단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들이 플랙시블보드(5)의 단자(5a) 및 드라이브보드(4)의 단자(4a) 들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브블록은 작은 직경의 미세탐침(6a)을 현미경으로 보면서 프로브블록(6)의 내부에 직접 실장시켜야 됨으로 제작성이 매우 까다롭고 또한 고도의 숙련을 요하기 때문에 인력관리가 어려우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라인(DATA LINE)과 게이트라인(GATE LINE)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위한 TAP IC의 플랙시블보드와 TAP IC로 검사신호를 보내는 드라이브보드가 패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플랙시블보드의 미세 단자들과 드라이브보드의 미세 단자들이 패드에 불규칙 적으로 심어진 금속선 다발에 의해 연결됨으로 이들 미세 단자들을 연결하기위한 별도의 프로브블록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검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프로브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검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패드의 일부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액정표시장치
10a : 틀체
11 : 단자
12 : TAP IC
13 : 니들블록
14 : 미세탐침
15 : 브래킷
20 : 드라이브보드
21 : 단자
30 : 플랙시블보드
31 : 단자
40 : 패드
41 : 금속선
50 : 안내판
51 : 안내홈
60 : 누름판
61 : 누름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 단자들과 각각 연결된 TAP IC 쪽으로 구동신호를 보내는 플랙시블보드와 드라이브보드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위한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브보드의 상부에 놓이는 안내판이 구비되고, 안내판에는 드라이브보드의 단자들과 플랙시블보드의 단자들을 수용하는 안내홈이 구비되며, 안내홈에 끼워져 각 보드의 해당 단자들을 연결하는 패드는 절연재로 구성되며 플랙시블보드의 저면과 드라이브보드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이들에 형성된 단자들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금속선이 다발의 형태로 무수히 많이 심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검사장치의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10)의 외주연을 감싸는 틀체(10a)가 구비되고 틀체(10a)의 양측변에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의 단자(11)들과 접촉되는 니들블록(13)이 구비된다. 각 단자(11)들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200 ∼ 400개 이상 구비되며 니들블록(13)은 이들 단자(11)들과 일대일로 접촉되는 미세탐침(14)이 구비된다.
니들블록(13)은 구동칩이 실장된 TAP IC(12)와 연결되어 있으며 TAP IC는 플랙시블보드(30)를 통하여 드라이브보드(20)와 연결된다. 드라이브보드(20)는 TAP IC로 구동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이며, 이 구동신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10)의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이 각각 동작된다.
플랙시블보드(30)와 드라이브보드(20)는 패드(40)를 통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패드(40)는 안내판(50)과 누름판(60)의 사이에서 고정된다. 안내판(50)은 드라이브보드(20)의 상부에 놓이며 이 안내판에는 패드(40)를 수용하는 안내홈(51)이 구비되고 누름판(60)에는 안내홈(51)으로 끼워져 플랙시블보드(30)와 패드(40)를 드라이브보드(20) 쪽으로 누르는 누름돌기(61)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안내판과 누름판은 드라이브보드(20)의 상부에 놓인 뒤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틀체(10a)의 상부에 각각 체결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 패드의 단면도 로서, 패드(40)는 플랙시블보드(30)의 단자(31)들과 드라이브보드(20)의 단자(21)들을 회로적으로 연결시켜준다. 이들 단자(21)(31)들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200 ∼ 400개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이들 각 단자(21)(31)들은 패드(40)에 심어진 다발 형태의 금속선(41)에 의해 회로적으로 일대일 연결된다.
패드(40)는 실리콘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이들 플랙시블보드(30)와 드라이브보드(20)를 회로적으로 절연시킨다. 그리고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패드(40)의 내부에 상,하측면을 관통하는 금속선(41)이 무수히 많이 심어져 있다. 금속선(41)은 그 선경이 35마이크로미터 내외이며 이들 금속선(41) 사이의 세로방향 간격(A)은 0.07 ∼ 0.15mm 이고 가로방향 간격(B)은 0.36 ∼ 0.44mm 이며, 패드의 두께는 0.5 ∼ 4.0mm 이다.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금속선들은 지그재그의 형태로 배열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패드(40)는 플랙시블보드(30)와 드라이브보드(20)의 사이에 놓이며 이들 보드가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서로 체결되면 그 체결력에 의해 이들 보드의 사이에 눌린 상태로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15는 TAP IC(12)와 니들블록(13)을 누름판(60)의 상부에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을 나타낸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를 구동제어하는 TAP IC와 연결된 플랙시블보드(30)와 TAP IC로 구동 제어신호를 보내는 드라이브보드(20)가 판상의 패드(4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패드(40)는 드라이브보드(20)의 상부에 놓이는 안내판(50)의 안내홈(51)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안내판의 상부에는 패드(40)위에 놓인 플랙시블보드(30)를 가압시키는 누름판(60)이 구비된다.
이 누름판(60)의 저면에는 플랙시블보드(30)를 눌러 이 플랙시블보드(30)의 단자(31)들이 패드(40)에 형성된 금속선(41)을 통하여 드라이브보드(20)의 단자(21)들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하는 누름돌기(61)가 형성된다. 따라서 드라이브보드(20)의 상부에 놓인 누름판(60)과 안내판(50)이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틀체(10a)의 상부에 체결되면 이들 플랙시블보드와 드라이브보드가 패드를 통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패드(40)에 형성된 각 금속선(41)들의 사이 간격은 단자(21)와 단자(31) 사이의 떨어진 간격 보다 더 조밀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금속선(41)이 다발(묶음)의 형태로 이들 단자(21)(31)들을 일대일 연결시켜준다. 한 개의 단자(21)와 단자(31)는 다수개의 금속선(41)에 의해 연결되어 드라이브보드(20)의 전기적 신호가 플랙시블보드(30)를 통하여 TAP IC 쪽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단자(21)와 단자(31) 사이에는 어느 쪽으로도 연결되지 않은 금속선(41)이 있으며 이들 연결되지 않은 금속선(41)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과 연결된 TAP IC 쪽으로 구동신호를 보내는 플랙시블보드와 드라이브보드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위해 금속선이 다발의 형태로 실장된 패드가 사용된다. 이 패드는 플랙시블보드의 단자 들과 드라이브보드의 단자들 사이에 위치되며 그 놓이는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지 않더라도 이들 보드의 단자들이 각각 회로적으로 연결됨으로 프로브블록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들 플랙시블보드와 드라이브보드를 조립하는데 숙련을 요하지 않음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프로브블록을 제작하는데 따르는 기술적 어려움이 극복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액정표시장치(10)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 단자(11)들과 각각 연결된 TAP IC(12) 쪽으로 구동신호를 보내는 플랙시블보드(30)와 드라이브보드(2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위한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브보드(20)의 상부에 놓이는 안내판(50)이 구비되고, 안내판(50)에는 드라이브보드의 단자(21)들과 플랙시블보드(30)의 단자(31)들을 수용하는 안내홈(51)이 구비되며,
    안내홈(51)에 끼워져 보드(20)(30)의 해당 단자(21)(31)들을 연결하는 패드(40)는
    절연재로 구성되며 플랙시블보드(30)의 저면과 드라이브보드(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이들에 형성된 단자(31)(21)들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금속선(41)이 다발의 형태로 무수히 많이 심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판(50)의 상부에 체결되는 누름판(60)이 구비되고,
    누름판(60)에는 안내홈(51)으로 끼워져 이들 플랙시블보드(30)와 패드(40) 및 드라이브보드(20)가 밀착되도록 이들을 눌러주는 누름편(6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패드(40)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구성되며 각 금속선(41)은 직경이 35마이크로 미터 이내 이며 이들 금속선(41) 사이의 세로방향 간격이 0.07 ∼ 0.15mm 이고,
    가로방향 간격이 0.36 ∼ 0.44mm로 구성되어 플랙시블보드(30)와 드라이브보드(20)의 해당 단자(31)(21)들이 금속선 다발의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KR1020000000523A 2000-01-06 2000-01-06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KR10031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523A KR100317652B1 (ko) 2000-01-06 2000-01-06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523A KR100317652B1 (ko) 2000-01-06 2000-01-06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560A KR20010068560A (ko) 2001-07-23
KR100317652B1 true KR100317652B1 (ko) 2001-12-22

Family

ID=1963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523A KR100317652B1 (ko) 2000-01-06 2000-01-06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939B1 (ko) * 2006-09-28 2013-07-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선 필름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검사장치
KR100902600B1 (ko) * 2008-05-06 2009-06-11 (주)유비프리시젼 컨택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816A (ja) * 1994-04-01 1995-10-20 Enplas Corp 液晶パネル検査用コンタクト装置
JPH0915635A (ja) * 1995-07-03 1997-01-17 Shin Etsu Polymer Co Ltd 液晶表示装置の接続構造およびヒートシールコネクタ
JPH09251170A (ja) * 1996-03-15 1997-09-22 Waade:Kk 液晶パネル点灯検査装置
KR19990025687A (ko) * 1997-09-13 1999-04-06 윤종용 엘씨디 구동용 인쇄회로기판의 테스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816A (ja) * 1994-04-01 1995-10-20 Enplas Corp 液晶パネル検査用コンタクト装置
JPH0915635A (ja) * 1995-07-03 1997-01-17 Shin Etsu Polymer Co Ltd 液晶表示装置の接続構造およびヒートシールコネクタ
JPH09251170A (ja) * 1996-03-15 1997-09-22 Waade:Kk 液晶パネル点灯検査装置
KR19990025687A (ko) * 1997-09-13 1999-04-06 윤종용 엘씨디 구동용 인쇄회로기판의 테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560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208B1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범프 구조
KR101281980B1 (ko) 오토 프로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패널 검사방법
KR100724479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구동회로와의 본딩상태 검사방법
US6300998B1 (en) Probe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854757B1 (ko)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블록
US6052170A (en) Inspectable liquid-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inspecting same
KR100314586B1 (ko) 액정디스플레이 검사용 프로브장치
US6147739A (en) Drive IC,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317652B1 (ko)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KR100951717B1 (ko) 프로브 블럭
WO2007069818A1 (en) Detachable integrated probe block
KR20040057692A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패드 구조
KR10075123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블록
KR20080076383A (ko)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KR20100066237A (ko) 액정패널과 드라이버 ic 간의 접속상태를 테스트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737384B1 (ko)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장치 및 방법
KR200352421Y1 (ko) 엘시디 검사용 프로브 블록
KR100657768B1 (ko) 회로기판 연결 유닛 및 그것을 갖는 평판표시패널 검사장치
KR100684869B1 (ko) 액정 표시 패널 검사용 접촉 필름 및 검사 방법
US7068337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panel
KR20050003519A (ko) 액정표시장치 검사용 프루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8886A (ko)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한 접속 구조체 및 그의 접속상태검사방법
KR200372710Y1 (ko) 소형의 평판표시소자 검사용 프로브
KR100600701B1 (ko) 평판표시패널 검사용 프로브 장치
KR20080059871A (ko) 오토 프로브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