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383A -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383A
KR20080076383A KR1020070016222A KR20070016222A KR20080076383A KR 20080076383 A KR20080076383 A KR 20080076383A KR 1020070016222 A KR1020070016222 A KR 1020070016222A KR 20070016222 A KR20070016222 A KR 20070016222A KR 20080076383 A KR20080076383 A KR 20080076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rame
signal
printed circu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홍
이원희
성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383A/ko
Publication of KR2008007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2Arrangements for providing conduction through an insulating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을 검사하는 검사장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는, 구동칩과; 구동칩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복수의 신호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복수의 신호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칩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이 삽입되어 복수의 신호선과 신호패드 사이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립성이 개선되며, 접촉불량이 최소화된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TEST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도1은 종래의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2는 종래의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3은 종래의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4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6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연성회로기판 사이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액정패널용 검사장치 110 : 아크릴판
120 : 인쇄회로기판 121 : 신호패드
130 : 커넥터 131 : 커넥터본체
131a : 제1프레임 131b : 제2프레임
131c : 제3프레임 132 : 제1결합부
135 : 커넥터커버 135a : 본체부
135b : 가이드부 136 : 제2결합부
137 : 돌기부 140 : 연성회로기판
141 : 신호선 142 : 절연층
150 : 구동칩 160 : 지지판
170 : 니들블럭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조립성이 개선되며, 접촉불량이 최소화된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CRT를 대신하여 박형 및 경량의 장점을 가진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며, 액정표시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 복수의 배선(lines) 및 전극(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향 부착되는 컬러필터 기판 및 양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액정표시패널이 제조되면, 액정표시패널에 구동칩(게이트 구동칩 및 데이터 구동칩)을 부착하기 전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에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어 액정표시패널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거친다. 상기 검사단계에서 사용되는 검사장치를 오토 프로브 유닛(Auto Probe Unit, 1)이라고 한다.
오토 프로브 유닛(1)은, 도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상으로 마련된 지지프레임(2)과, 상기 지지프레임(2)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3)과, 일단이 구동칩(5)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인쇄회로기판(3)에 연결되어 있는 연성회로기판(4) 및 연성회로기판(4)을 인쇄회로기판(3)에 연결시키는 포고블럭(6)을 포함한다. 그리고, 액정표시패널(10)과 구동칩(5) 사이를 연결하는 니들블럭(7)과, 구동칩(5)이 실장되어 있는 지지판(8) 및 지지프레임(2)과 인쇄회로기판(3)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아크릴판(9)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3)은 액정표시패널(10)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용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검사용 구동신호를 연성회로기판(4), 구동칩(5)을 통하여 액정표시패널(10)에 전달 한다.
한편, 플렉서블(flexible)한 연성회로기판(4)이 인쇄회로기판(3)에 마련된 신호패드(3a)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고블럭(Pogo Block, 6)이라는 구성이 사용된다. 포고블럭(6)은 포고본체부(6a)와, 포고핀(6b) 및 포고연결부(6c)를 포함한다. 포고본체부(6a)의 내부에는 포고핀(6b)이 마련되어 있는데, 포고본체부(6a)는 각각의 포고핀(6b)이 신호패드(3a)와 접촉되도록 아크릴판(9)에 결합된다. 그리고, 포고연결부(6c)는 연성회로기판(4)과 결합되어 있으며, 포고본체부(6a)와 결합되어 연성회로기판(4)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선을 각각의 포고핀(6b)에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포고블럭(6)을 이용하여 연성회로기판(4)과 인쇄회로기판(3) 사이를 연결하는 방법은 연성회로기판(4)에 형성된 신호선과 포고핀(6b) 사이 및 포고핀(6b)과 신호패드(3a) 사이를 정렬하여 결합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정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을 스크류(11)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켜야 함으로 조립성이 좋지 않으며, 외부충격에 의하여 결합력이 저하되어 오토 프로브 유닛(1)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이 개선되며, 접촉불량이 최소화된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칩과; 구동칩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복수의 신호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복수의 신호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칩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이 삽입되어 복수의 신호선과 신호패드 사이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커넥터는, 신호패드를 노출시키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본체와; 커넥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넥터본체로 삽입된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을 신호패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커넥터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본체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프레임과 함께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본체는 인쇄회로기판의 신호패드가 삽입공간에 위치하도록 인쇄호로기판 상에 실장되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단은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 사이의 삽입공간으로 제1프레임에 근접하도록 커넥터본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연성회로기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커버의 양측에는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의 신호패드와 마주하는 커넥터커버의 내측면에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을 신호패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액정표시패널에 마련된 전극패드와 구동칩 사이를 연결하는 니들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은 상호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이 절연층에 의하여 감싸져 있으며, 절연층은 신호패드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제거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100)에 대하여 도4 내지도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종래의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와 구별되는 특징 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액정표시패널(10)은 제조과정에서 불량검사를 거치게 된다. 불량검사는 구동부(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가 액정표시패널(1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표시패널(10)에 형성된 각종 배선(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전극(화소전극, 공통전극)에 구동신호(게이트 신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선, 박막트랜지스터 및 전극이 구동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불량검사에 사용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100)를 통상 오토 프로브 유닛(Auto Probe Unit)이라고 한다.
이러한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중앙에 액정표시패널(1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영역이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의 지지프레임(2, 도1참조)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착된 액정표시패널(10)의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에 대응하는 지지프레임(110) 상에는 액정표시패널(10)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유닛이 실장되어 있다. 검사유닛의 구성은 게이트 패드에 대응하는 것과 데이터 패드에 대응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생성되는 검사용 구동신호 등 일부가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검사유닛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칩(150), 구동칩(150)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인쇄회로기판(120), 구동칩(150)과 인쇄회로기판(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140), 연성회로기판(1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20)과 지지프레임(110) 사이에 위치하는 아크릴판(115)과, 구동칩(150)이 실장되는 지지판(160) 및 액정표시패널(10)의 게이트 패드(미도시) 또는 데이터 패드(미도시)와 구동칩(150) 사이를 연결하는 니들블럭(17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0) 상에는 아크릴판(115)이 부착되어 있다. 아크릴판(115)은 인쇄회로기판(120)과 지지프레임(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아크릴판(115) 상에는 인쇄회로기판(120)이 체결된다.
인쇄회로기판(120)은 액정표시패널(10)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용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검사용 구동신호를 연성회로기판(140), 구동칩(150) 및 니들블럭(170)을 통하여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된다. 인쇄회로기판(120) 상에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부품(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을 일정한 규칙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미도시) 및 생성된 구동신호를 연성회로기판(140)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패드(121) 등이 마련되어 있다. 신호패드(121)는 생성된 검사용 구동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단자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신호패드(121)는 상호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후술할 연성회로기판(140)의 신호선(141)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20) 상에는 커넥터(130)가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130)는 연성회로기판(140)의 신호선(141)과 인쇄회로기판(120)의 신호패드(121) 사이를 상호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1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패 드(121)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인쇄회로기판(120) 상에 실장되어 있는 커넥터본체(131)와, 커넥터본체(131)에 형성된 제1결합부(132)와, 커넥터본체(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커버(135)와, 커넥터커버(135)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결합부(132)와 결착되는 제2결합부(136) 및 커넥터커버(135)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37)를 포함한다.
커넥터본체(131)는 연성회로기판(14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S)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본체(131)는 제1프레임(131a)과, 제1프레임(131a)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프레임(131a)과 함께 삽입공간(S)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131b) 및 제3프레임(131c)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31a), 제2프레임(131b) 및 제3프레임(131c)는 실질적으로 'ㄷ'자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제1프레임(131a), 제2프레임(131b) 및 제3프레임(131c)의 안쪽(삽입공간, S)에 인쇄회로기판(120)의 신호패드(121)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프레임(131b)과 제2프레임(131c) 사이의 거리(d1)는 후술할 연성회로기판(140)의 폭(d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본체(131)를 제작하는 이유에 대하여는 연성회로기판(140)을 설명하는 단락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프레임(131a)의 상단과 커넥터커버(135)는 회전축(139)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제2프레임(131b)과 제3프레임(131c)의 내부면에는 후술할 커넥터커버(135)의 제2결합부(136)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13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깊이로 함몰된 홈일 수 있고, 제2결합부(136)는 상기 홈에 결착되는 돌기일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결합부(132)가 돌기이고, 제2결합부(136)가 홈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6)이 상호 결합하기 위한 다른 공지의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커넥터커버(135)는 회전축(139)에 의하여 제1프레임(131a)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넥터커버(135)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본체부(135a)와, 본체부(135a)의 양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있는 가이드부(135b)를 포함한다. 본체부(135a)는 제1 내지 제3프레임(131a, 131b, 131c)에 의하여 형성된 성형공간(S)을 모두 가릴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어 있으며, 제1프레임(131a)에 회전축(139)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부(135b)는 제2프레임(131b)과 제3프레임(131c)에 대응하도록 본체부(135a)로부터 하향절곡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135b)는 커넥터커버(135)가 커넥터본체(131)에 닫힌상태(close state, 도6참조)로 위치하는 경우 제2프레임(131b) 및 제3프레임(131c)과 마주하며, 제2프레임(131b)과 제3프레임(131c)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부(135b)에는 상술한 제2결합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30)가 닫힌상태(closed state, 도6참조)에 있는 경우,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6)은 상호 결착되어 커넥터커버(135)가 커넥터본체(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된다.
삽입공간(S)을 향하는 본체부(135a)의 일면에는 돌기부(137)가 마련되어 있다. 즉, 닫힌상태(closed state, 도6참조)에서 신호패드(141)와 마주하는 본체 부(135)의 내측면에 돌기부(137)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137)는 삽입된 연성인쇄회로기판(140)을 신호패드(121)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회로기판(140)의 신호선(141)과 인쇄회로기판(120)의 신호패드(121) 사이의 접촉을 견고히 한다. 돌기부(137)는 반구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40)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구성으로, 일단은 커넥터(130)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구동칩(150)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연성회로기판(14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141)이 절연층(143)에 감싸져 있다. 여기서, 신호패드(121)와 접촉하는 부분의 절연층(143)은 제거되어 신호선(141)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신호선(141)은 신호패드(121)과 일대일 대응하며, 신호패드(121)로부터 인가 받은 구동신호를 구동칩(150)으로 전달한다. 연성회로기판(140)의 폭(d2)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131)의 제2프레임(131b)과 제3프레임(131c) 사이의 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신호선(141) 사이의 거리는 신호패드(121)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140)의 일단이 제2프레임(131b)과 제2프레임(131c) 사이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신호선(141)과 신호패드(121)가 일대일 대응하도록 자동으로 정렬된다. 즉, 연성회로기판(140)의 양측이 제2 및 제3프레임(131b, 131c)의 측면과 밀착될 때 신호선(141)과 신호패드(121)가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신호선(141)과 신호패드(121)를 상호 접촉시키기 위한 오정렬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정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성능이 향상된다.
구동칩(150)은 인쇄회로기판(120)으로부터 인가 받은 구동신호를 외부로부터 인가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게이트 패드 또는 데이터 패드로 절절히 분배한다. 구동칩(150)은 지지판(160)에 실장되어, 구동칩(150)의 일측은 연성회로기판(140)의 신호선(141)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칩(150)의 일측은 검사용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으로, 복수의 신호선(141)에 대응하는 숫자의 범프(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칩(150)의 타측은 검사용 구동신호가 제어신호에 따라 재정렬 및 분배되어 액정표시패널(10)로 출력되는 출력단으로, 후술할 니들블럭(needle block, 170)의 복수의 니들(needle)에 대응하는 숫자의 범프(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니들블럭(needle block, 170)은 구동칩(150)과 액정표시패널(10)의 게이트 패드(미도시) 또는 데이터 패드(미도시) 사이를 연결한다. 니들블럭(170)은 각각의 게이트 패드(미도시) 또는 데이터 패드(미도시)와 점접촉을 위한 복수의 니들(needle, 171)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100)는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성회로기판(140)과 인쇄회로기판(120) 사이의 결합이 간단해져 조립성이 개선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100)는 연성회로기판(140)의 일단을 제2프레임(131b)과 제3프레임(131c) 사이의 삽입공간(S)으로 제1프레임(131a)에 근접하도록 커넥터본체(131)에 삽입된다. 연성회로기판(140)의 삽입과 동시에 상술한 원리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140)의 신호선(141)과 인쇄회로기판(120)의 신호패드(121)는 일대일 대응하도록 정렬되게 된다.
이어, 커넥터커버(135)를 연성회로기판(1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6)을 상호 결착 시킨다. 이에 의하여, 커넥터커버(135)의 돌기부(137)는 연성회로기판(140)을 신호패드(12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신호선(141)과 신호패드(121) 사이의 접촉이 견고해 진다.
이와 같이, 단순히 연성회로기판(140)을 삽입하고, 커넥터커버(135)를 닫힌상태(closed state, 도6참조)로 회동시킴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140)과 인쇄회로기판(120)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조립성이 개선된다. 또한, 돌기부(137)에 의하여 신호선(141)과 신호패드(121) 사이의 접촉이 견고해지기 때문에, 접촉불량이 최소화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성이 개선되며, 접촉불량이 최소화된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9)

  1. 구동칩과;
    상기 구동칩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며, 복수의 신호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복수의 신호선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칩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신호패드 사이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신호패드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커넥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본체로 삽입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을 상기 신호패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커넥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프레임과 함께 상기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본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신호패드가 상기 삽입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호로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사이의 삽입공간으로 상기 제1프레임에 근접하도록 상기 커넥터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신호패드와 마주하는 상기 커넥터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단을 상기 신호패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표시패널에 마련된 전극패드와 상기 구동칩 사이를 연결하는 니들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호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이 절연층에 의하여 감싸져 있으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신호패드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KR1020070016222A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KR20080076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222A KR20080076383A (ko)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222A KR20080076383A (ko)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83A true KR20080076383A (ko) 2008-08-20

Family

ID=3987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222A KR20080076383A (ko)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63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9397A (zh) * 2014-06-13 2014-09-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面板及显示装置
KR101654307B1 (ko) * 2015-10-20 2016-09-09 하태성 화질 검사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자동접촉장치
US9653011B2 (en) 2013-08-23 2017-05-16 Samsung Display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107630A (ko) * 2016-03-15 2017-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검사장치 및 검사장치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검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3011B2 (en) 2013-08-23 2017-05-16 Samsung Display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4049397A (zh) * 2014-06-13 2014-09-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面板及显示装置
KR101654307B1 (ko) * 2015-10-20 2016-09-09 하태성 화질 검사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자동접촉장치
KR20170107630A (ko) * 2016-03-15 2017-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검사장치 및 검사장치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208B1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범프 구조
CN1818747B (zh) 显示设备
US7495927B2 (en) Mount structur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7011374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3785821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US6052170A (en) Inspectable liquid-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inspecting same
KR20050044183A (ko) 액정표시소자 및 구동회로와의 본딩상태 검사방법
KR20080076383A (ko) 액정표시패널용 검사장치
KR102241720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07069818A1 (en) Detachable integrated probe block
KR200410664Y1 (ko) 탈부착을 겸용하는 일체형 프로브 블록
KR20040057692A (ko)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용 패드 구조
JP2002217237A (ja) 平面表示装置
KR20110071271A (ko) 구동아이씨칩 테스트장비
KR101084877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6061B1 (ko) 액정표시장치 어레이 기판
KR10075123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블록
KR20090046406A (ko) 씨오지 타입 액정표시장치
KR100968604B1 (ko) 필름집적 접촉형 프로브
KR101289939B1 (ko) 배선 필름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검사장치
KR20050003255A (ko) 액정 표시패널의 검사방법
KR100317652B1 (ko) 액정표시장치용 검사장치
KR100634826B1 (ko) 액정표시장치의자동검사용패드
KR20080058840A (ko) 액정표시장치
KR100697376B1 (ko) 액정표시패널의 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