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112B1 -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112B1
KR100317112B1 KR1019990009079A KR19990009079A KR100317112B1 KR 100317112 B1 KR100317112 B1 KR 100317112B1 KR 1019990009079 A KR1019990009079 A KR 1019990009079A KR 19990009079 A KR19990009079 A KR 19990009079A KR 100317112 B1 KR100317112 B1 KR 10031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hwangbaekpi
hair
extract
wat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612A (ko
Inventor
신영록
김성진
홍은경
정영신
이경영
한영복
Original Assignee
한영복
(주) 메드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복, (주) 메드빌 filed Critical 한영복
Priority to KR101999000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112B1/ko
Priority to US09/524,880 priority patent/US6193977B1/en
Priority to AT00913116T priority patent/ATE410176T1/de
Priority to PCT/KR2000/000236 priority patent/WO2000054793A1/en
Priority to EP00913116A priority patent/EP1158994B1/en
Priority to DE60040458T priority patent/DE60040458D1/de
Priority to JP2000075969A priority patent/JP2000264842A/ja
Publication of KR2000006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리(Liliaceae)과의 아네마레나 리조마(Anemarrhena Rhizoma; 知母)와 백합과의 펠로덴드론 발크(Phellodendrone Bark;黃栢) 등의 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소염·진통효과를 나타내는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통증 및 염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만성 위염, 관절통, 전립선 비대증,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통,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등에 사용되어 통증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치료한다.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로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소염 및 진통효과를 나타내어, 장기 복용 및 투여가 가능다. 또한 의존성 및 내성을 초래하지 않고, 말초 조직에 특이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XED-EXTRACT OF PHELLODENDRON CORTEX AND ANEMARRHENA RHIZOMA FOR ALALGESIC AND ANTI-INFLAMMATION}
본 발명은 나리(Liliaceae)과의 아네마레나 리조마(Anemarrhena Rhizoma; 知母)와 백합과의 펠로덴드론 발크(Phellodendrone Bark;黃栢) 등의 수추출물로 이루어진 소염·진통효과를 나타내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로 구성되고, 만성 위염, 관절통, 전립선 비대증,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통,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 등에 사용되어 통증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증에는 자극에 대하여 즉각적인 통각을 느끼게 되는 빠른 통증(fast pain)과 서서히 느낌이 오는 느린 통증(slow pain)이 있다. 빠른 통증은 몸속의 조직보다는 피부의 상처로 인하여 오는 것인 반면, 느린 통증은 피부뿐만 아니라 조직의 상처로 인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상당시간 지속된다. 이러한 통증은 피부나 조직에 분포되어 있는 수용체를 통하여 감지되는데 주로 물리적인 자극, 열에 의한 자극 및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을 담당하는 수용체가 분포되어 있어 이러한 수용체가 자극을 받아들이면 중추신경계로 전달되어 통증을 느끼게 된다. 수용체를 자극하는 대표적인 화학물질로는 브래디키닌(bradykinin), 칼륨이온(potassium ions), 산성물질(acids) 및 단백질 분해효소(proteolytic enzyme) 등이 있다. 통증은 다른 감각과는 달리 지속될수록 더 민감하여지며 약한 통증에도 견디는 힘이 약해진다.
체내에는 몰핀과 같은 효과를 지닌 물질이 뇌와 척추의 신경세포에서 분비되어 통증을 조절한다. 뇌에서 분비되는 엔돌핀(endorphin), 엔케팔린(enkephalin), 디노핀(dynorphin) 등과 척추에서 분비되는 세로토닌(serotonin)과 엔케팔린이 이러한 역할을 한다.
통증을 치료하는 기존의 진통제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몰핀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narcotic analgesics)로서 코데인(codeine)과 디히드로코데인(dihydrocodeine)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로서 아스피린(aspirin), 이브프로펜(ibuprofen), 및 인도메타친(indomethacin) 등이 대표적이다.
마약성 진통제는 중추 신경계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경미한 통증 및 심한 통증을 완화시킨다. 심한 정도에 따라서 용량을 증가시키며 사용하게 되는데, 진통효과는 탁월하나 대체적으로 의존성이 되고 내성이 생기게 된다. 때로는 호흡기와 순환기를 위축(depression)시키는 심한 부작용까지도 초래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암제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 글란딘(prostaglandin)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관절염이나 관절의 퇴행성 질환에 수반되는 통증 및 혈소판 응집을 방지하는데 사용되고, 염증을 치료하는 작용도 있어서 진통 및 소염제로 사용되고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약물들의 치료 효과는 다소 좋으나 부작용 즉, 위궤양과 소화기관의 출혈이 자주 야기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단일물질로 된 진통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그 부작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마약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의 병용투여 요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한편, 염증이란 병원성 미생물, 외상, 화학물질, 열 등에 의해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일어나는 변화 즉, 손상된 조직에서 몇몇 매개물질을 분비시켜 면역 세포들을 유도하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기까지의 일체의 조직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그 과정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세포가 손상되거나 파괴되었을 때, 화학물질인 중간 매개물질이나 산성 물질들이 분비된다. 이러한 매개 물질들은 근처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벽의 투과성을 증가시킨다. 매스트(Mast)세포나 호염기구(basophils)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histamine)은 혈관반응을 빠르게 유도하고, 혈청의 알파-2-글로블린(alpha-2-globulin)으로부터 생성되는 혈청의 키닌(kinins)은 혈액응고 기작을 통해 계속적인 혈관반응을 일으킨다. 모세혈관의 확장은 혈액의 흐름을 증가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홍반을 일으킨다. 모세혈관의 증가된 투과성으로 인하여 혈액, 단백질, 혈구세포들이 주변조직으로 빠져나가(삼출 : exudate) 붓게된다. 삼출은 세포를 더욱 파괴하고, 증가된 용액의 압력은 근처의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는데, 키닌과 산성물질들의 분비는 이러한 통증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외에도 조직에서 분비되는 매개물질에는 세로토닌(serotonin),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면역보조체계(complement system)의 반응물질, T-세포에서 분비되는림포카인(lymphokines)들이 있다.
모세혈관으로부터 혈액이 삼출될 때, 혈액의 흐름이 늦어지면서 백혈구 (호중구 및 단핵세포)가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손상 부위의 회복을 위해 염증 원인물질을 공격하여 삼키거나 녹이며 죽은 세포들을 제거한다.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또 다른 세포로 단핵세포에서 유래된 거식세포가 있는데, 이 세포 역시 식균작용(phagocytosis)을 하고,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빠르게 증식한다. 거식세포의 융합(fusion)이나 큰 조각들을 삼킴으로 초래되는 무사분열(amitotic division)에 의해 거대세포 (giant cells)가 출현한다.
염증반응은 국소적으로 야기되기도 하고, 전신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병원성 물질(pyrogens)이 뇌의 체온조절중추를 자극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열이 발생되면 대사율이 빨라지고, 식욕이 떨어지며, 체조직이 손실(depletion)되며, 근육 및 체지방이 손실된다. 체액의 손실은 탈수를 일으킬 수 있다. 모세혈관으로부터 삼출된 혈액과 단백질이 림프액에 흡수되어 림프절(node)로 운반되면 림프절이 확장되고,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림프절염(lymphadenitis)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염증이란 조직손상을 치료하거나 감염에 대항하기 위한 신체의 일차적인 대처 기작이다. 그러나, 때론 염증 반응이 적절히 일어나지 못하거나 만성적으로 계속되면 통증을 유발하거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염증에 사용될 수 있는 약물로는 염증세포들의 생성과 삼출을 억제할 수 있는 약제와 중간 염증매개물질의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이다. 현재, 염증에사용되는 약물은 위에서 언급한 진통효과를 함께 나타내는 비스테로이드성 약물과 스테로이드성 약물로 나눌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은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진통·소염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로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다. 염증에 사용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는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백혈구의 베타 아드레너직 수용체(b-adrenergic receptors)에 작용하여 인터루킨(IL) 등의 분비를 억제하고, 혈관의 투과성을 감소시켜 혈액 및 염증세포들의 삼출을 억제한다. 그러나 적혈구의 크기가 증가하고, 몸무게가 증가하며, 골다공증 및 모세혈관의 약화가 촉진되며, 혈압이 높아지고 위궤양 등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매스트(mast) 세포의 세포막을 안정화시키고, 대식세포의 활성을 막아주는 크로몰린염(cromolyn sodium)도 염증치료제로 사용되나 역시 부작용이 많다.
전립선 비대와 방광염의 경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전립선 비대는 50세 이상의 남자 50 %이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이가 들면서 계속적인 안드로젠(androgen) 공급에 의하여 전립선이 확장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추정되고 있다. 40대 초반에 결절(nodules)이 지질(支質: stromal)조직으로 되어 있는 전이영역(transition zone)과 요도 주변(periurethral zone)에 생기기 시작할 수 있다. 전이영역에 형성된 결절은 계속적으로 자라서 전립선 비대조직에 주요부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부(central zone)와 주변영역(peripheral zone)이 습포(濕布)되며 섬유성 근육조직(fibromusculartissue)이 전립선 비대조직 사이에서 생긴다. 이러한 과정은 수년에 걸쳐 진행되는데 증상은 확장되는 전립선이 요로를 방해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전립선 비대 증상으로는 전립선 비대 조직의 확장으로 인한 폐색(obstructive)증상과 요로에 염증이나 감염에 의한 자극증상(irritative)을 들 수 있다. 폐색 증상이란 가는 요선(weak stream), 긴장(straining), 배뇨지연(prolonged micturition), 배뇨후 요실금(postmicturitional dribbling), 폐뇨(urinary retention), 일류성 요실금(paradox incontinence) 등을 말하며, 자극 증상은 요의 절박(빈삭: urgency), 빈뇨(frequency), 야뇨증(nocturia), 절박성 요실금(urge incontinence), 치골상부의 통증(suprapubic pain) 등을 들 수 있다. 자극증상은 감염을 동반하는 증상으로 이러한 증상을 주로 갖는 환자는 전립선 절제수술 후에도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치료가 어렵다.
최근 전립선비대의 치료를 위하여 전립선 절제 수술을 하거나, 레이저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나, 일시적인 치료 방법일 뿐 계속되는 비대를 막을 수는 없다.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알파-아드레너직 길항물질(alpha-adrenergic antagonist)로서 전립선의 긴장(tone)을 억제하는 약물과 안드로젠(androgen)호르몬을 감소시켜 전립선의 확장을 차단하는 약물들이 있으나, 부작용이 많아 계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은 폐경기 및 갱년기 여성들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 및 스트레스가 주원인이 된다. 쉽게 만성화되고 치료가 되더라도 일시적이고,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치료에 한계가 있다. 남자의전립선 비대와 유사한 증상, 즉 빈뇨, 야뇨, 절박성 요실금 등의 염증 증상을 보인다. 합병증이 없는 급성방광염의 치료에는 E. coli의 감염에 의하며 대부분의 경우에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4 single-strength tablets), 플루오로퀴놀린 (norflxacin, ciprofloxacin, ofloxacin) 등이 사용되나, 만성방광염이나 재발 방광염, 또는 합병증을 동반한 요로 감염(방광염 포함)의 경우에는E. coli, Klebsiella, Proteus, Pseudomonas등의 감염에 의하며 대부분의 감염균은 항생제에 내성이 있으므로(antibiotic-resistant strains) 이미페넴(imipenem), 세팔로스포린과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또는 세프트락손(ceftraxone) 등의 항생제나 항균제로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다. 장기간의 치료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많아 완전 치료가 어렵고,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은 광범위한 항균제로서 피부발진, 중추신경장애가 나타나며, 혈액상 및 위장계, 간장, 콩팥등에 독성을 증가시킨다. 플루오로퀴놀린은 퀴놀린계 불소화합물로서 오심, 복부불편, 두통, 어지러움 등이 흔하고, 피부발진, 광과민성도 나타난다. 아목시실린은 반합성된 경구용 페니실린 항생제로 발열, 기관지 수축경련, 혈청질환(serum sickness), 박리성 피부염(exfoliative dermiatitis),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의 순으로 부작용이 나타난다. 세팔로스포린은Cephalosporium acremonium이라는 곰팡이에서 산출된 항생물질로서 비교적 독성이 적으나, 주사용 제제를 주사하였을 때 그 국소에 통증을 일으키기도 하고 혈전성 정맥염(thrombophlebitis) 및 콩팥독성이 보고되어 있다. 이미페넴은 β-락탐 제제의 일종으로 오심 및 구토가 흔하게 나타나며, 근육경련(seizures) 및CNS 병변이 나타난다. 아미노클리코사이드는 여러Streptomyces속에서 분리된 여러종류의 항생물질로 이루어져 있다(단 젠타마이신은Micromonospora purpurea에서 생산됨). 모든 아미노클리코사이드 항생물질은 세균 세포의 단백질 합성의 장애를 초래하여 살균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전한계(safety margin)가 좁은 약물로 콩팥독성과 내이신경독성(ototoxicity) 즉, 이명(tinnitus), 난청(deafness), 어지러움(vertigo) 및 보행 곤란 등이 흔하게 나타난다.
진통 및 소염제는 한 질병에 국한되지 않고 널리 사용될 수 있으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진통 소염제의 약효 및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비마약성 진통제와 부작용이 적으면서 조직 특이성을 갖는 약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지모와 황백피 식물의 혼합 수추출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적으면서 소염 및 진통효과를 나타내어 장기 복용 및 투여가 가능한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한 소염 및 진통효과를 나타내면서 비마약성으로 의존성 및 내성을 초래하지 않는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전립선 비대,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관절통, 만성 위염,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에 소염 및 진통효과가 뛰어난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 및 각각의 단일 식물의 수추출물의 소염 효과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 및 각각의 단일 수추출물이 초산에 의한 뒤틀림 실험에서 나타내는 진통 효과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 및 각각 단일 수추출물이 tail-flick 실험에서 나타내는 진통효과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이 마우스의 간장 및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사진이다(도 4a: 간장 X400, 도 4b: 신장 X200).
도 5는 지모 추출물의 UV 검색도이다.
도 6은 황백피 추출물의 UV 검색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의 UV 검색도이다.
도 8은 지모 추출물의 HPLC 분석도이다.
도 9는 황백피 추출물의 HPLC 분석도이다.
도 10은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의 HPLC 분석도이다.
본 발명은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은 말초 조직에 특이적으로 항염증 효과를 가지거나, 비마약성 진통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염증 및 통증에 적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만성 위염, 관절통, 전립선 비대증,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통,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 등이 있다. 상기 증상 중 전립선 비대증과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등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지모와 황백피를 1:0.2 내지 1:5의 건조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하여 혼합 수추물을 얻는데,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의 건조 중량비로 혼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의 건조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치료상 유효량 포함하는 소염 및 진통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 수추출물을 유효량 포함하는 것에 추가하여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사용하여 약제학적 단위투여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음료, 및 주사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제제들은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1 일에 성인 체중 1 ㎏당 10 내지 5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제에 포함된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모와 황백피를 1:0.2 내지 1:5의 건조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의 건조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1의 건조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은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물을 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액을 고압하에서 포화시켜 생성된 응고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여액에 유기 용매를 가하여 유기용매에 가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수층을 분리하여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추출된다. 여기서 추출용 물은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물과 1:10-45 중량비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1:25-35 중량비로 사용되며, 유기 용매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인 지모는 중국이 원산지이고, 한국에서는 중부지방에서 재배되는 다년초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모의 근경을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그의 대표적인 것은 아네마레나 아스포데로리디스 본지 (Anemarrhena asphodelorides BUNGE)로 이의 근경은 약전(KP, JP)에서 소염, 해열, 지사, 이뇨, 요통, 진정에 사용되고 있다. 이 약용식물에는 아스포닌(Asphonin) 6% 이외에도, 살사사포닌(Sarsasaponin), 말코게닌(Markogenin; 2-hydroxy sarsasapogenin) 등의 스테로이드 사포게닌,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 등에서는 지모를 골증노열(骨蒸勞熱)에 사용하였는데, 골증노열(骨蒸勞熱)이란 용어를 해석하면 골중(骨中)에서 골소송증(Osteoporosis)이 발증되어 만성적인 동통을 호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또 다른 식물인 황백피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자생하는 황벽나무 혹은 황백나무 줄기의 껍질이며, 황백나무의 대표적인 예로는 펠로덴드론 아무렌스 루프레트(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가 있다. 그의 변종으로 라티폴리오라텀 나가이 가와모도(var. latifoliolatum NAKAI), 짜포니컴 오이 (var. Japonicum OHWI), 펠로덴드론 인귤레르 나가이(P. insulare NAKAI), 펠로덴드론 물레 나가이(P. molle NAKAI), 펠로덴드론 쌀젠트(P. sachalinense Sarg.) 등이 있다. 황백피에는 황색 또는 황갈색 색소 물질과 수종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1.5 - 4.5% 정도로 포함되어 있다. 알칼로이드의 주성분은 베르베린(berberine)이다. 이외에 황백피에는 팔마틴(palmatine), 마그노후로린(magnoflorine), 구아니딘(guanidine), 자테오리진(jateorrizine), 펠로덴드린(phellodendrine), 칸디신(candicine), 메니스페린 (menisperine) 등이 있고, 고미질로는 오바쿠논(obakunone) 및 오바쿠락톤(obakulactone), 및 ??-시토스테롤(??-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성분은 강한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아세틸콜린 증강작용 및 항염작용을 가지고 있어 본초강목이나 약학에서 골 질환 및 황달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장티푸스, 콜레라, 건위, 및 정장에도 효과적이며, 이들의 수피는 고미건위제, 정장제, 소염성 수렴 약으로서 위장염, 복통, 황달 등에도 사용되어 왔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각각의 식물에 대하여 소염 및 진통효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두 식물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소염 및 진통효과가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뛰어나고, 부작용도 적으며, 그 적응증으로 전립선 비대나 방광염, 관절통, 요추 및 경추 수핵 탈출증,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통,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 등에 사용된 예는 없었다.
구체적인 혼합 수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단계에서는 건조시킨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상수 또는 증류수와 같은 물을 용매로 하여 포화증기압 (121℃, 15pound/in a2)하에서 가열 추출한다. 사용되는 물은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0-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35 중량부를 사용한다.
제 2단계에서는 추출물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추출물은 다시 고압 하에서 포화시켜, 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내에서 증기압(121℃, 15 lb/in2)하에서 비등시켜 잔존하는 단백질을 응고시키고, 원심 분리 등에 의해 여과하여 제거한다.
제 3단계에서는 분리된 여액을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사이클로헥산 등의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을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지, 섬유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수층을 다시 탈크 등을 이용하여 정제한 후에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목적하는 혼합 수추출물을 수득한다.
먼저 급성독성 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이 매우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추출물이 소염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진통효과를 수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지모와 황백피를 혼합하여 물로 추출하여 취득한 혼합 수추출물이 각각의 식물에 대한 수추출물에 비하여 진통 및 소염 효과가 월등히 증가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적용 범위도 광범위한데 특히, 전립선 비대증,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골다공증에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에 대한 임상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립선 질환에 대해서는 전립선의 확장을 억제할 뿐 아니라 요로의 염증과 배뇨 곤란을 회복시키기 때문에 자극증상이 먼저 사라지고 점차적으로 폐색증상도 가벼워서 전립선 비대 치료 약제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그 작용 기전은 요도 및 전립성에 특이적으로 분포하는 알파-아드레너직 수용체(alpha-adrenergic receptor)의 활성 및 항암작용, 진통작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예측된다.
지모와 황백피를 포함하는 제제의 투여는 치료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약리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함유한 형태로 정맥내, 복막내, 동맥내, 피하내, 경구, 근육내 투여 또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기타 다른 적절한 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경구투여용 제제에는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음료의 형태가 있다. 경구외 투여를 위한 지모와 황백피를 포함하는 제제는 멸균되고 주사가능한 액체 또는 유질 서스펜션과 같은 멸균 주사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은 적당한 분산제 또는 현탁제(suspending agent)를 사용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상기 멸균 주사제는 또한 1,3-부탄디올과 같이 경구외로 받아들일 수 있는 희석제 또는 용매를 포함한 멸균 주사액 또는 서스펜션이 될 수 있다. 적당한 희석제는 예를 들어, 물, 링거용액, 및 등장 식염수를 포함한다. 추가로 멸균된 고정유(fixed oils)가 용이하게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어떠한 무자극 고정유도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항산화제 및 무통화제를 주사제 제제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 추출물의 투여용량은 질환의 중증도, 투여대상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및 목적하는 효과가 어떤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성인에게 경구 투여하는 경우, 체중 1 kg당 1 일 5-50 mg, 바람직하게는 10-40 mg의 용량을 투여할 수 있고, 경구 외로 주사제로 투여하는 경우는 체중 60 kg인 사람을 기준으로 20-100 mg의 용량을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혼합 수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황백피(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와 지모(Anemarrhena Rhizoma) 동비례로 혼합한 것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 중 100 g을 분취하고, 여기에 증류수 또는 상수 3000 ml을 가하여 증기압 121℃, 15 lb/in2하에서 40 ~ 60 분간 포화 추출한 후, 추출액을 분취하고 잔사를 제거한다.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나온 침전물을 제거한 후 수액을 여과하고, 그 전량이 1500 ml가 되도록 농축및 여과를 한다. 다시 증기압 121℃, 15 lb/in2하에서 15분간 포화시켜 생성된 응고 물질, 특히 단백질을 포함한 침전물을 원심분리를 통해 제거한 후에 수액을 여과한다. 여액을 분획 깔대기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 ml을 가하여 수지 및 섬유질 등을 용출시키고 클로로포름 층을 분리 제거한다. 이 같은 방법을 2회 되풀이한 후, 수층에 다시 n-헥산 200 ml을 가하여 잔존하는 단백질, 수지, 섬유질, 및 n-헥산 가용물질 등을 용출시킨다. 여기서 수층을 회수하여 60 내지 80 ℃로 가온시키고, 탈크 500 g을 가하여 교반한 후에 감압여과하여 탈크를 제거한다. 탈크가 제거된 여액을 다시 서서히 여과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여 황백피와 지모의 혼합물에서 약 15 %의 수율(건조 중량 기준)로 총 추출물 약 1500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제
1. 정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 추출물 250 mg을 부형제 직타용 락토즈 260 mg 과 아비셀(미결정 셀룰로오스) 35 mg, 붕해 보조제인 나트륨 전분 글리코네이트 15 mg, 결합제인 직타용 L-HPC(Low-hydroxyprophylcell ulose) 80 mg을 섞어 U형 혼합기에 넣고 20 분간 혼합하였다. 혼합완료 후 활탁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mg를 추가로 넣고 3분간 혼합하였다. 정량시험과 항습도 시험을 거쳐 타정하고 필름 코팅하여, 1 정당 혼합 수추출물 225 mg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2. 시럽제
일정량의 물에 적당량의 백당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보존제로서 파라옥시메틸벤조에이트 80 ㎎ 및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16 ㎎ 을 가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추출물 4.5 g 을 넣고, 60 ℃로 유지시키면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냉각시키고 증류수를 가해 150 ㎖로 만들어 3 %의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3. 캅셀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추출물 450 ㎎ 을 담체로서 락토즈 50 ㎎ 과 혼합시켜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4. 음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동결건조된 분말상의 혼합추출물 450 ㎎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에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C, 교미제로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고과당을 적당량 가하고, 보존제로서 적당량의 나트륨벤조에이트를 가한 후에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0 ㎖로 만들어 0.45 %의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5. 주사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 추출물을 주사용 증류수, 링거 용액, 및 생리 식염수를 가하여 용해시켜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시킨 후 멸균하여 혼합 추출물을 3 % 농도로 함유하는 주사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수추출물의 소염효과(carrageenin paw-edema 법) 측정
200 g정도의 웅성 백서에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실험군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 수추출물과 각각의 단일 식물 수추출물을 투여(100 mg/kg, i.p.)하고 발목까지의 용량을 용량측정기(plethysm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웅성 백서는 생리식염수와 수추출물 각각에 7 마리씩 사용하였다. 곧바로 1% 카리지닌(carrageenin)의 식염수 용액 0.1 ml을 발바닥 피부 내에 주사하고, 1시간 후에 부종이 생긴 발목까지의 용량을 측정하여 발 부종의 부피를 계산하고, 아래 식을 이용하여 퍼센트 억제효과(% inhibition)를 구하였다.
퍼센트 억제효과(% inhibition) =
100 - (volume difference)drug / (volume difference)control x 100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 및 각각의 단일 식물 수추출물의 소염효과
실험군 용량(mg/kg) 주사경로 % 억제효과
대조군 0.9% 식염수 i.p. 3 ± 1
지모 수추출물 100 i.p. 44 ± 11.3 ***
황백피 수추출물 100 i.p. 43.5 ± 8.5 ***
혼합 수추출물 100 i.p. 65 ± 9.2 ***,‡
***: p <0.001 (대조군과 비교시)
‡: p <0.05 (단일 식물 추출물과 비교시)
i.p.: 복강투여 (intraperitoneal)
도 1에서 AD는 지모 수추출물, P는 황백피 수추출물, ADP는 혼합 수추출물의 효과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혼합 수추출물의 부종 억제효과는 대조군(3%)에 비하여 65 %로서 치료 효과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차(p <0.001)가 인정되었고, 단일 수추출물에 대해서도 통계적인 유의차(p <0.05)가 인정되었다.
<실시예 4>
혼합 수추출물의 초산 뒤틀림(acetic acid writhing)법을 이용한 진통효과 측정
체중 20-25 g의 웅성 마우스에 대조군에는 식염수를, 실험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수추출물과 각각의 단일 식물 수추출물을 투여(100 mg/kg, i.p.)하고, 30분 후에 0.7 % 초산용액을 0.1 ml/10g 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한 다음 10 분 후부터 10 분간 총 뒤틀림(writhing) 발생 횟수를 측정한 후 아래 식을 이용하여 퍼센트 억제효과(% inhibition)를 계산하였다. 웅성 마우스는 생리식염수와 수추출물 각각에 7 마리씩 사용하였다.
퍼센트 억제효과(% inhibition) =
100 x [(writhing counts)control - (writhing counts)drug] / (writhing counts)control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2 와 도 2에 나타냈다.
혼합 수추출물의 초산 뒤틀림법(acetic acid writhing)을 이용한 진통효과
실험군 용량(mg/kg) 투여 경로 뒤틀림 수(Writhing counts) % 억제효과
대조군 0.9 % 식염수 i.p. 27 ± 6
지모 수추출물 100 i.p. 22.5 ± 3.5 16.7
황백피 수추출물 100 i.p. 20 ± 12.5 25.9
혼합 수추출물 100 i.p. 16 ± 3 * 40.7
*: p < 0.05
i.p.: 복강 투여 (intraperitoneal)
도 2에서 AD, P, ADP는 도 1과 같다. 상기 표 2와 도 2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혼합 수추출물의 통증 억제효과는 40.7 %로 통계적인 유의차(p <0.05)가 관찰되었으며, 각각의 식물 수추출물의 통증 억제효과는 16.7 %와 25.9 %로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각각의 식물 추출물에 비하여 두식물을 혼합 추출물에 의해서 상승작용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혼합 수추출물의 테일 플릭법(tail-flick method)을 이용한 진통효과 측정
200 g정도의 웅성 백서에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실험군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 수추출물과 각각의 단일 식물 수추출물을 투여(100 mg/kg, i.p.)하고30 분 후에 백서 꼬리끝 2-5 cm 부위에 고밀도 빔(beam)을 비췄을 때, 꼬리를 옆으로 피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latency)을 역치로 측정하였다. 꼬리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cutoff는 랫드에서 10초로 하였으며,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퍼센트 억제효과(% inhibition)를 계산하였다.
퍼센트 억제효과(% inhibition) =
100 x [(latency)drug - (latency)control] / [10 - (latency)control]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도 3에 나타내었다.
혼합 수추출물의 tail-flick 법을 이용한 진통효과
실험군 용량(mg/kg) 투여 경로 Latency(초) % 억제효과
대조군 0.9% 식염수 i.p. 2 ± 0.2
지모 수추출물 100 i.p. 2.9 ± 0.9 11.3
황백피의 수추출물 100 i.p. 2.6 ± 1.0 7.5
혼합물의 수추출물 100 i.p. 8 ± 3.8 * 75
*; p < 0.05
i.p.; 복강 투여(intraperitoneal)
도 3에서 AD, A, ADP는 도 1과 같다. 표 3과 도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통증 억제 효과는 75 %로 통계적인 유의차(p <0.05)가 관찰되었으며, 각각의 식물 수추출물의 통증 억제효과는 11.3 %와 7.5 %로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단일 식물 수추출물의 미약한 진통효과가 식물의 혼합추출물에서는 상승되어 강한 진통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6>
혼합 수추출물의 염증 및 통증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 실험
만성 위염, 전립선 비대, 관절통,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 방광염,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통,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장부통 환자 115 명 (남자 40 명, 여자 75 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혼합 수추출물을 투여한 후 항염증 및 진통효과를 관찰하였다. 각 환자들에게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제제 중 어느 하나를 다음과 같은 양으로 10일 내지 14일 동안 투여하였다. 정제는 매회 2 정씩 1 일 2 회, 시럽제는 매회 10 ml씩 1 일 3 회, 캅셀제는 매회 1 캅셀씩 1 일 2 회, 그리고 주사제는 1 일 1 회 3 ml를 주사한다. 본 발명의 혼합 수추출물을 10 일 내지 14 일 복용한 후, 환자들의 호전증상에 따라 악화(aggrevation), 효과없음(no change), 다소 효과적(slightly effective), 효과 있음(moderately effective), 매우 효과적(significantly effective)으로 나누어 약에 대한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30세에서 70세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기재하였다.
혼합 수추출물의 염증 및 통증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 적용 결과
환자의 반응(Response)xx x △ ○ ○○ Total
만성 위염(Chronic gastritis) 3(37.5) 1(12.5) 3(37.5) 1(12.5) 8
관절통(Arthralgia) 5(35.7) 2(14.3) 7(50) 14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e Hyperplasia) 1(11) 2(22) 6(67) 9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Chronic cystitis) 1(5) 1(5) 7(35) 11(55) 20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Cervical disc.) 4(23.5) 8(47) 5(29.4) 17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joint arthritis) 3(33.3) 5(55.6) 1(11.1) 9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1(25) 1(25) 2(50) 4
팔꿈치통(Tennis elbow) 1(16.7) 3(50) 2(33.3) 6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Osteoporotic pain) 6(75) 2(25) 8
편두통(Migraine) 2(28.6) 5(71.4) 7
당뇨성 통증(Diabetic neuropathy pain) 7(100) 7
장부통(Rt flank pain) 1(16.7) 5(83.3) 6
(단위: 명(%))
반응 xx : 악화(aggrevation)
x : 효과없음(no change)
△ : 다소효과적(slightly effective)
○ : 효과 있음(moderately effective)
○○: 매우 효과적(significantly effective)
상기 표 4에 기재된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만성 위염 환자의 62.5 %와 관절통 환자의 64.3 %,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100 %,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환자의 99 %,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 환자의 76.4 %,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66.7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75 %, 팔꿈치통 환자의 66.7 %,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환자의 100 %, 편두통 환자의 100 %, 당뇨성 통증 환자의 100 %, 및 장부통 환자의 100 %가 치료효과를 보였다. 특히, 전립선 비대증 환자,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환자,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환자, 편두통 환자, 당뇨성 통증 환자, 및 장부통 환자는 100 % 또는 이에 가까운 염증 및 통증 치료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7>
독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르는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의 급성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수치로서 LD50(실험동물의 50 %를 치사시킬 수 있는 양)치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하였다.
정상 ICR 마우스(male, 22±1 g) 36 마리를 1 개 군에 6 마리씩 A 내지 F의 6개 군으로 나누어, A 군에게는 체중 1 ㎏당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 5 g을 투여하는 것으로부터 등차적으로, B 군에는 7.5 g, C 군에는 10 g, D 군에는 12.5 g 및 E 군에는 15 g을 각각 경구 투여하고 베렌스-칼버(Behrens-Karber)법(참고문헌: 高木敬次郞 外: 藥物實驗, 南山堂, Japan, p131, 1960)으로 본 발명의 혼합 수추출물을 경구(p.o.)투여하여 LD50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혼합 수추출물의 경구 투여에 의한 치사량(LD50)
실험군 용 량(g/㎏) 경구투여 군(p.o.) *Z **d
사망동물 수/사용동물 수
A 5 0 / 6 - -
B 7.5 0 / 6 0 2.5
C 10 0 / 6 0 2.5
D 12.5 0 / 6 0 2.5
E 15 0 / 6 0 2.5
* Z: 2 개의 연속되는 용량으로 사망동물수의 ½ 값
** d : 2 개의 연속되는 용량의 차이
상기 표 5에 기재된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체중 1 kg당 15 g의 고용량으로 혼합 수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LD50값은 15 g/㎏ 이상이며, 따라서 생체에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은 독성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는 것임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또한, LD50값의 측정시 사용한 시험동물에 대해 부검 및 병리조직학적 시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시험 종료시 전 생존동물에 대하여 에테르 마취 후 방혈 치사시킨 다음 장기를 적출하여 육안적으로 모든 장기의 이상을 검사하였다. 병리조직 검사를 위하여 부검한 전 장기들을 10 % 중성포르말린 용액에 10 일 이상 고정시킨 다음 탈수 과정을 거쳐 파라핀 포매기(Fisher, Histomatic Tissue Processor, 166A)에 포매한 후 로터리 마이크로톱 (AO Rotary Microtome)으로 5 μm 절편을 만들어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을 하여 관찰하였다.
각 군의 모든 동물을 해부하고 H&E 염색을 한 후 현미경으로 조사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마우스 체중 1 kg당 15 g까지 투여시 간 조직(도 4a)과 신장(도 4b)에 있어서 약물 투여에 의한 이상적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심장의 심근세포, 위·장관, 췌장, 폐장, 비장, 부신, 뇌, 고환, 난소, 골수 등에 있어서 약물투여에 의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미도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은 마우스에 투여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인 체중 1 kg당 15 g 투여 시에도 전 장기에 대하여 급성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없었으며, 또한 어떠한 장기손상 등의 독성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약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7>
UV 흡광도에 따른 본 발명의 추출물의 특성
본 발명의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추출물을 자외선 분광 광도계 (Spectrophotometer; Pharmacia, Ultrospec 2000)와 HPLC(HP1090)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지모 추출물(0.5 mg/ml)의 UV 흡광도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데, 258, 316, 365 nm에서 흡광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인다. 도 6은 황백피 추출물(0.25 mg/ml)의 UV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인데, 황백피 추출물은 278, 325 nm에서 흡광도가 증가한다. 도 7은 본 발명 지모와 황백피 혼합 추출물(0.5 mg/ml)의 UV 스펙트럼으로 258, 317 nm에서 흡광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HPLC(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따른 본 발명의 추출물의 특성
본 발명인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추출물 및 지모와 황백피 각각의 추출물을HPLC로 분리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을 10 mg/ml의 농도로 물에 녹였다. 용해된 추출물용액 10 μL를 취하여 HPLC(HP109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조건)
칼럼 : C18 ODS; 4.6 mm i.d. x 100 mm L
이동상 : 1% 아세트산과 메탄올의 구배 시스템
유속 : 1 ml/min
검출 : photodioid array detector로 254 nm에서 측정
반복 실험에서 각 추출물에서 특징적인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도 8은 지모 추출물의 HPLC 프로필로서 지모 추출물은 위의 분석 조건하에서 1.097 분, 8.705 분, 10.221 분에서 특징적인 피크가 관찰되었다. 1.097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2840.6 ± 115.5(평균 ± 표준 편차), 높이가 508.7 ± 15.5였고, 8.705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10357.2 ± 328.7, 높이가 980.7 ± 11.9였으며, 10.221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30397.6 ± 563.4, 높이가 2181.4 ± 17.5였다.
도 9는 황백피의 HPLC 결과로서 7.817 분, 8.588 분, 10.126 분, 10.381 분에서 특징적인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7.817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7600.9 ± 115.5, 높이가 511.1 ± 15.5였고 8.588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4939.4 ± 245.5, 높이가 427.9 ± 45.5였으며, 10.126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5115.8 ± 325.5, 높이가 458.2 ± 35.5 였고, 10.381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8524.8 ± 529.5, 높이가 702.2 ± 35.5 였다.
도 10은 본 발명인 황백피와 지모의 혼합 추출물의 HPLC 결과로서 1.055분, 7.825 분, 8.600 분, 10.146 분에서 특징적인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이것들 중 1.055 분에 나타난 피크는 지모로부터 온 것으로 생각되며, 7.825 분에 나타난 피크는 황백피에서 온 것으로 생각된다. 1.055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1382.4± 115.5, 높이가 385.5 ± 15.5였고, 7.825 분에 나타난 피크는 면적이 2362.9 ± 128.7, 높이가 163.4 ± 11.9였다.
<실시예 9>
지모와 황백피의 단독 추출물과 본 발명의 TLC(박층크로마토그라피)의 결과
본 발명품의 구성성분인 지모와 황백피의 단독추출물과 본 발명품 및 표준물질인 베르베린과 팔마틴을 TLC(박층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비교한 결과 황백피추출물에서 베르베린과 팔마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모에는 알카로이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사포닌계통의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품에도 베르베린과 팔마틴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아래 분석 조건에서 알카로이드가 존재하면 오렌지색으로 변한다
(분석조건)
TLC 알루미늄 시트 (20 x 20 cm): 실리카겔 60 F254
이동상: 에틸아세테이트 : 포름산 : 물 = 90 : 5 : 5
Spray: BiONO3 + KI + 아세트산 + 물
본 발명은 지모와 황백피 식물의 혼합 수추출물을 이용한 소염 및 진통용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이므로 부작용이 적고, 장기 복용 및 투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의존성 및 내성을 초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염증 및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만성 위염, 관절통, 전립선 비대증,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통,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 등을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증상 중 특히, 전립선 비대증,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 치료의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은 비마약성 진통제이고, 부작용 없으며, 말초 조직에 특이성을 갖는다.
상기 효과는 지모와 황백피 각각의 추출물이 가지는 효과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Claims (12)

  1.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이 말초 조직에 항염증 효과를 가지거나, 비마약성 진통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및 통증이 만성 위염, 관절통, 전립선 비대증, 만성 및 재발성 방광염, 요추 및 경추 수핵탈출증,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팔꿈치통, 골다공증에 의한 통증, 편두통, 당뇨성 통증, 및 장부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와 황백피를 1:0.2 내지 1:5의 건조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와 황백피를 1:0.5 내지 1:2의 건조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 기재의 치료용 조성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투여형으로 제형화된 소염 및 진통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1 일에 성인 체중 1 ㎏당 10 내지 5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제형화된 경구 투여용 소염 및 진통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1 일에 체중 60 kg인 사람을 기준으로 20 내지 1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제형화된 주사제용 소염 및 진통제.
  9. a)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물을 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b) 여액을 7.5 lb/in2내지 22.5 lb/in2에서 포화시켜 생성된 응고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여액에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유기용매에 가용성인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수층을 분리하여 동결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추출용 물을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물에 대해 1:10-45 중량비로 사용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추출용 물을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물에 대해 1:25-35 중량비로 사용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유기용매로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을 사용하는 방법.
KR1019990009079A 1999-03-18 1999-03-18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31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79A KR100317112B1 (ko) 1999-03-18 1999-03-18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09/524,880 US6193977B1 (en) 1999-03-18 2000-03-14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a mixture of anemarrhena rhizoma and phellodedron bark for analgesic and anti-inflammation
AT00913116T ATE410176T1 (de) 1999-03-18 2000-03-17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bestehend aus gemischten wässrigen extrakten aus anemarrhena rhizoma und phellodendron rinde als analgetikum und anti-entzuendliches mittel
PCT/KR2000/000236 WO2000054793A1 (en) 1999-03-18 2000-03-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aqueous extract of anemarrhena rhizoma and phellodendron bark for analgesic and anti-inflammation
EP00913116A EP1158994B1 (en) 1999-03-18 2000-03-17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sisting of mixed aqueous extract of anemarrhena rhizoma and phellodendron bark for analgesic and anti-inflammation
DE60040458T DE60040458D1 (de) 1999-03-18 2000-03-17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bestehend aus gemischten wässrigen extrakten aus anemarrhena rhizoma und phellodendron rinde als analgetikum und anti-entzuendliches mittel
JP2000075969A JP2000264842A (ja) 1999-03-18 2000-03-17 知母と黄蘖の混合水性抽出物を包含する、抗炎症及び鎮痛用薬剤組成物並びにその製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79A KR100317112B1 (ko) 1999-03-18 1999-03-18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12A KR20000060612A (ko) 2000-10-16
KR100317112B1 true KR100317112B1 (ko) 2001-12-22

Family

ID=1957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079A KR100317112B1 (ko) 1999-03-18 1999-03-18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93977B1 (ko)
EP (1) EP1158994B1 (ko)
JP (1) JP2000264842A (ko)
KR (1) KR100317112B1 (ko)
AT (1) ATE410176T1 (ko)
DE (1) DE60040458D1 (ko)
WO (1) WO20000547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540B1 (ko) * 2009-09-23 2012-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57A (ko) * 2000-03-31 2001-11-01 이진용 마황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야뇨증 치료제
US20020061339A1 (en) * 2000-09-28 2002-05-23 Martin Stogniew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of extracts of rutaceae plants
US6582735B2 (en) * 2000-12-15 2003-06-24 Npi,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extracts of magnoliaceae plants
KR20030030558A (ko) * 2001-10-11 2003-04-18 성일창 전립선질환 치료용 조성물
US7108868B2 (en) 2002-03-22 2006-09-19 Unigen Pharmaceuticals, Inc. Isolation of a dual cox-2 and 5-lipoxygenase inhibitor from acacia
US7972632B2 (en) 2003-02-28 2011-07-05 Unigen Pharmaceuticals, Inc. Identification of Free-B-Ring flavonoids as potent COX-2 inhibitors
US8034387B2 (en) 2002-04-30 2011-10-11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ecline and age-related memory impairments
JP4723239B2 (ja) 2002-04-30 2011-07-13 ユニジ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治療剤としての遊離−b−環フラボノイド類とフラバン類との混合物の製剤
US7250422B2 (en) * 2002-10-29 2007-07-31 Sungkyunkwan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erberine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ddiction or tolerance to morphine
AU2004228021B2 (en) 2003-04-04 2010-09-02 Unigen,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WO2005094861A1 (en) * 2004-04-02 2005-10-13 Sung-Bae Park Composition for treating psoriasis-associated diseases
KR100583792B1 (ko) * 2004-10-18 2006-05-26 주식회사 황토생활건강 황토수 및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항염증 및항비듬 화장료 조성물
KR100604219B1 (ko) * 2004-10-19 2006-07-28 (주) 메드빌 지모와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78078B1 (ko) * 2006-02-03 2007-1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DK1983989T3 (da) * 2006-02-09 2013-10-14 Ca Nat Research Council Kombinationer af botaniske ekstrakter til fremme af kardiovaskulær sundhed
KR100700480B1 (ko) * 2006-02-24 2007-03-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절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2264B1 (ko) * 2008-02-19 2011-10-11 환인제약 주식회사 금은화 및 지모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89672A (ko) * 2008-02-19 2009-08-24 환인제약 주식회사 지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US20100009017A1 (en) * 2008-04-11 2010-01-14 Bionovo, Inc. Anticancer Methods Using Extra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WO2009126923A2 (en) * 2008-04-11 2009-10-15 Bionovo, Inc. Estrogenic extra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ge from the liliaceae family and uses thereof
WO2012081776A1 (en) * 2010-12-16 2012-06-21 Yd Life Science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hellodendri cortex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ancreatitis.
US20120273161A1 (en) * 2011-04-29 2012-1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 Exchanger
CN103169795A (zh) * 2011-12-25 2013-06-26 段为钢 清开灵注射剂安全性提高方法
CN103908545B (zh) * 2014-01-15 2017-02-08 陈军 一种治疗颈腰椎膝骨质增生、腰椎间盘突出病的药物
CN107281440B (zh) * 2017-05-22 2021-04-27 刘冉 一种可用于治疗颈腰间盘突出症和/或风湿骨病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7184839A (zh) * 2017-06-08 2017-09-22 湖南云从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慢性胃炎的中药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118540B1 (ko) * 2017-12-28 2020-06-03 우용규 항염증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a.c.c.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08434415A (zh) * 2018-04-13 2018-08-24 刘绍山 一种健胃丸及其制备方法
CN109157625A (zh) * 2018-09-25 2019-01-08 安徽兆龙食品有限公司 一种高澄清度的生物制剂及其应用
CN109464545A (zh) * 2018-11-29 2019-03-15 王智森 一种治疗慢性胃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46636B1 (ko) * 2019-11-25 2021-05-03 김현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32455B1 (ko) * 2021-04-26 2022-08-16 김정건 발효 찹쌀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환의 제조방법
CN115429736A (zh) * 2022-10-23 2022-12-06 爱生泽(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知母总皂苷提取物的制备方法及在化妆品中的应用
KR102638536B1 (ko) * 2023-06-20 2024-02-2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8403A (en) * 1979-02-13 1980-08-20 Mitsubishi Chem Ind Ltd Hypoglycemic
JPS5640609A (en) 1979-09-08 1981-04-16 Taisho Pharmaceut Co Ltd Cataplasm containing phellodendri cortex
US5244622A (en) * 1983-08-09 1993-09-14 The Boeing Company Cone control method for fabricating composite shafts
JPS6354324A (ja) 1986-08-25 1988-03-08 Koukandou:Kk オウバクの分画精製法
JPH01128933A (ja) 1987-11-12 1989-05-22 Shiseido Co Ltd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JP2901629B2 (ja) 1989-01-06 1999-06-07 エーザイ株式会社 生薬エキスからなる経皮吸収促進剤
JPH02311420A (ja) 1989-05-26 1990-12-27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オウバクの薬理活性向上法
JPH07242534A (ja) 1994-03-02 1995-09-19 Yoshiki Akusawa 浴用剤
JPH07267864A (ja) * 1994-03-28 1995-10-17 Tsumura & Co 体温降下剤
CN1113791A (zh) * 1994-05-27 1995-12-27 王雅芳 清热解毒剂
JP3575853B2 (ja) * 1995-01-24 2004-10-1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内視鏡下手術用排気チューブ
CN1052902C (zh) * 1996-01-15 2000-05-31 贺力坤 一种治疗急性温热病药物的制备方法
JPH107559A (ja) * 1996-06-18 1998-01-13 Kureha Chem Ind Co Ltd Hsp27ファミリーに属するタンパク質のベルベリン誘導体含有合成抑制剤
JPH107569A (ja) * 1996-06-18 1998-01-13 Kureha Chem Ind Co Ltd ベルベリン誘導体含有hsp47合成抑制剤
CN1181250A (zh) * 1996-10-29 1998-05-13 涂兴顺 一种治疗风湿病的滴脐灵剂及配制工艺
KR19980039802U (ko) *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자동차 카울 크로스멤버의 정면충격흡수장치
JPH10236944A (ja) 1997-02-24 1998-09-08 Chizuko Hioki 生薬軟膏
JPH1149686A (ja) 1997-08-01 1999-02-23 Lion Corp 青あざ用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540B1 (ko) * 2009-09-23 2012-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40458D1 (de) 2008-11-20
EP1158994A4 (en) 2004-04-21
EP1158994A1 (en) 2001-12-05
KR20000060612A (ko) 2000-10-16
US6193977B1 (en) 2001-02-27
ATE410176T1 (de) 2008-10-15
EP1158994B1 (en) 2008-10-08
WO2000054793A1 (en) 2000-09-21
JP2000264842A (ja) 2000-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112B1 (ko) 지모와 황백피의 혼합 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통증 치료용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illiamson et al. Selection, Preparation and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Plant Material, Volume 1
KR101271054B1 (ko) 단삼, 백출, 저령, 백복령, 반하, 황련 및 대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ase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diarrhoeal effects of Hange‐Shashin‐To and its active components
RU2736357C2 (ru) Композиция традиционной китайской медицины для лечения гипертонии, вызванной атеросклерозом,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WO2009097512A1 (en) Herb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o treat inflammation and inflammation associated conditions and diseases
KR101373245B1 (ko)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062289A (zh) 治疗痛风的外用药物组合物
RU256541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ОЧИЩЕННОЙ АЗИАТИКОЗ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И ИЗ Centella asiatica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62867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n extract of euphorbia prostrata
KR0181751B1 (ko)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KR10212770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Urabee et al. Extraction methods of Alhagi Maurorum (camel thorn) and its therapeutic applications
MXPA05002081A (es) Extractos mejorados de psidium huajava, metodos para su obtencion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padecimientos gastrointestinales.
US737141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n extract of Euphorbia prostrata
KR20140137796A (ko)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20060072642A (ko) 뇌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
KR100496146B1 (ko) 감초, 강황 및 소엽의 추출물을 함유한 위염 및 위궤양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79291B1 (ko) Hgd­sj­1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18592B1 (ko) 감초, 강황 및 소엽의 추출물을 함유한 위염 및 위궤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
Mahmood et al. Cytoprotective effects of honey and methanol extracts from P. granatum L. fruit peel and N. sativa L seeds on ethanol-induced gastric damage in rats
KR10212772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Lu et al. The 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 of Tao-Shang-Tsao on α-naphthylisothiocyanate and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liver damage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