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636B1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636B1
KR102246636B1 KR1020190152682A KR20190152682A KR102246636B1 KR 102246636 B1 KR102246636 B1 KR 102246636B1 KR 1020190152682 A KR1020190152682 A KR 1020190152682A KR 20190152682 A KR20190152682 A KR 20190152682A KR 102246636 B1 KR102246636 B1 KR 10224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present
composition
licorice
gree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2019015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및 IL-4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염 기능을 하는 IL-10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내 염증이란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조직손상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응하기 위한 생체조직에서 일어나는 방어 기전으로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신체적 반응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오히려 혈관 활성물질인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라딘, 류코트리엔,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ydroxyeicosatetraenoic acid)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만성염증을 유도하거나 점막 손상을 촉진시켜 통증, 부종, 발열 등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염증성 질환 및 암의 발병을 유발한다 ([BK Kang, et al., Cells in Mice.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12-119, 2015]; [BK Kang, et al.,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36-245, 2016]; 및 [MJ Kim, et 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2, 352-360, 2017]). 체내의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을 통해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세포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 Woo, et al., Cells. Korean J. Plant Res. 31. 466-477, 2018]; [JH Kim, et al.,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24, 1149-1157, 2018]; [TH Lee, et al., Mol. Cells. 23, 398-404, 2007] 및 [D Bishop-Bailey, et al., J. Environ. Pathol. Tox. Oncol. 21, 93-101, 2002]). 대식세포는 그람 음성균의 외막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의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며 감염 초기에는 생체 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LPS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종양괴사인자-α (TNF-α), 인터루킨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전 사이토카인, 염증성 케모카인인 GM-CSF를 과도하게 분비하여 산화질소 (NO),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매개 물질을 다량 분비하게 된다.
염증전 사이토카인 및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은 핵인자-카파 B(nuclear factor-kappa B, NF-κB)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키나제 (p38), c-Jun NH2-말단 키나제 (JNK)와 같은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체내의 염증과정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제나제-2 (COX-2)에 의하여 과량의 산화질소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인자가 생성된다. NO는 반응성이 높은 물질로 NO 합성효소 (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며, NOS는 구성 NOS와 유도 NOS로 나누어진다. 특히 iNOS는 외부자극이나 염증전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다량의 NO를 생산하며 과잉 생산된 NO는 혈관 투과성 및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염증 매개인자인 COX는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유리된 후 프로스타글란딘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이며, COX-2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서 마크로파지나 단핵구(monocyte) 등의 세포에서 다량 발현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종양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생성을 유도하여 종양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대식세포 매개의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하여 NO 생성 효소인 iNOS,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의 단계효소인 COX-2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조절과 이들의 주요 신호전달 분자인 MAPKs와 NF-κB의 활성 조절은 염증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으로, 수분과 전해질의 외부 유출 방지, 체온 조절, 촉각, 압각, 통각 및 온도 자극 등에 대한 감각기능 수행, 면역기능 수행, 비타민 D 합성, 외부 유해한 자극에 대한 장벽역할, 내부 장기의 이상을 표현, 약물 투입 통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피부의 건강에 문제가 생기는 피부 질환 중, 피부염(dermatitis)은 피부에 염증이 생겨 발적, 종창, 열감 및 동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보통 습진(eczema)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유형별로 접촉피부염, 자극 접촉피부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광독성 및 광알레르기 접촉 피부염, 접촉 두드러기 증후군,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물집 습진, 동전모양 습진, 자가감작 피부염, 주부습진, 울체 피부염 등과 같이 분류된다.
피부염을 일으키는 면역반응에는 여러 가지 세포들(T lymphocytes, Lan-gerhans cells, eosinophils 및 keratinocytes)과 인자들(cytokine, chemokine 및 immunoglobulin)이 관여한다.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는 각질층 구성에 필수적인 세포로 피부에서 발생하는 면역반응의 일차적인 유도체(inducer)와 표적(target)으로 작용한다. 각질형성세포는 여러 자극에 의해 IL-4, TNF-α, IFN-γ 등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기도 하고, TGF-β,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의 수용체를 갖고 있어 이러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한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는 여러 사이토카인의 생성, 세포의 성장과 분화, 괴사에 작용하여 피부염에 영향을 미친다. TGF-β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 면역 반응, 상처치유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염 환자의 각질형성세포에는 고농도의 TSLP와 MDC (macrophage-derived chemokine)가 존재한다. TSLP는 CD11c+ 수지상세포를 자극해서 TARC(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와 MDC 생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케모카인의 농도는 피부염의 증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이들의 생성과 생성에 관여되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천연물에 의한 염증성 질환 치료제 및 보조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 안정성이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 NO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활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 안정성이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천연 식물 건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물 또는 물과 알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7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물에 녹는 성분과 알콜에 녹는 성분 분리하여 물 용해성분과 알콜 용해성분을 5: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각 천연 추출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감초는 우랄감초, 굽은감초라고 하며 러시아(시베리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감숙성, 신강성), 몽골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유럽감초는 남유럽, 중앙아시아,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유럽감초의 변종으로 러시아감초, 페르시아감초, 이란감초 등이 있지만 약용하지 않는다. 감초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고,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황금은 각지에 재배하여 널리 약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약효성분은 바이카레인(Baicalein)ㅇ바이카린(Baicalin)ㅇ워고닌(Wogonin)ㅇ워고노사이드(Wogon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은 실화(實火)를 내려주므로 신체에 열이 많고 번조와 갈증을 심하게 나타내면서 심하면 의식이 혼몽한 증상을 개선시킨다. 감기로 인한 고열에서부터 일반적인 전염성질환의 고열에 해열효과가 높다. 폐에 열이 쌓여서 일어나는 해소에 현저한 반응을 보이는데, 이것은 급성폐렴이나 급성기관지염의 고열해소, 천식에 탁월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위장에 열이 있으면서 소화장애가 심하고 더 악화되면 입 안이 헤지고 구내염이 발생하면서 음식물을 먹을 수 없는 증상에도 활용되며 급성황달에도 효력을 보인다. 체내에 열이 과다하게 쌓여서 일어나는 안구충혈과 동통을 제거하고 고혈압, 두통, 코피, 자궁출혈에도 활용되며, 피부발적 종기에도 효력이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은 찬 약성이 열을 내리므로 증상을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부인이 임신중에 복용하면 임신질환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소엽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인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의 잎으로 만든 약재로서, 종자를 소자(蘇子)라고 하는데 이것으로 각지에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약효 성분은 정유가 0.5% 가량 들어 있고, 그 중에 페릴알데히드(perillaldehyde) 55%, 쿠믹산(cumic acid), 페릴알콜(perill alcoh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약성은 따뜻하다. 약효는 감기로 인하여 땀이 나지 않고 오한과 열이 있으면서 때론 기침과 천식을 일으키는 증상에 활용된다. 특히 소화장애가 있으면서 감기를 앓는 증상에 긴요한 약물이다. 또, 음식물 장애로 인하여 헛배가 부르고 소화력이 떨어지면서 갑갑증상을 호소할 때에 가스를 밖으로 배출시키면서 편안해진다. 여름에 많이 발생하는 토사곽란으로 사지가 꼬이고 구토를 연발하는 증상에도 효력이 높고, 찬 음식을 먹거나 위가 차서 일어나는 소화불량증에 활용된다. 또, 임신 중에 배가 불러서 호흡을 몰아쉬고 자리에 잘 눕지 못하는 증상에도 널리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솔잎은 <향약집성방〉에서 "솔잎 적당량을 좁쌀처럼 잘게 썰어 갈아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힘이 솟으며 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솔잎을 오랫동안 생식하면 늙지 않고, 원기가 왕성해지며, 머리가 검어지고, 추위와 배고픔을 모른다"고 했다. 솔잎은 비타민A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액을 깨끗하게 하고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간장질환, 위장질환, 신경계질환, 순환계질환과 피부보호에 효과가 있다. 또한 중풍,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같은 노인성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양제근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약간 독이 있다. 양제근은 혈분에 작용하여 혈열을 끄고 지혈하는 효능이 있어 코피, 토혈, 대변출혈, 각혈, 자궁출혈, 옴, 버짐, 변비 등에 사용된다. 약리작용은 혈액응고시간단축, 피부진균억제, 감기예방, 백혈병억제작용과 가벼운 설사반응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긴 원주형으로 가로주름이 있고 가는 가지뿌리가 달려 있다. 근두(根頭)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으며 바깥 면은 회황색 또는 황갈색이고 꺾은 면은 비교적 평탄하며 황갈색을 띠나 진한 갈색의 선이 동심원 모양으로 나이테 비슷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건강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약성은 맵고 뜨겁다. 가슴과 배부위가 냉기가 돌며 은은하게 통증이 있고 배가 차고 소화가 안되며 구토, 설사를 하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맥이 약하고 팔다리가 차고 저리며 찬바람에 해수가 생기고, 호흡이 가빠질 때, 아랫배가 차고 이질 설사가 생길 때 사용한다. 약리효과는 위액분비촉진, 장관 연동작용 활성화, 소화촉진, 구토를 가라앉히며 심장을 흥분시켜 혈압을 상승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항염, 진통작용, 억균작용이 있다. 고르지 않게 갈라진 뿌리줄기와 그 파편으로 이루어지며 다소 눌려서 편편하게 되었거나 구부러진 난형, 긴 난형으로 양쪽에 싹눈이 혹같이 부풀어 오른 것도 있다. 겉껍질은 회색빛이 도는 황색이며 바깥면은 회백색이 돌며 흰가루가 붙어 있다. 꺾인 면에는 분비물이 어두운 갈색의 작은 점으로 흩어져 있으며 현미경으로 보면 정유성분의 황색의 물질이 가득 들어있다. 건강은 백강(白薑), 균강(均薑)이라고도 한다. 까맣게 태운 것을 건강탄(乾薑炭)이라 하여 지혈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녹차는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茶葉]을 사용해서 만든 차로서, 녹차의 매력인 쌉싸름한 맛은 카테킨(catechin)이라 불리는 탄닌 성분 때문이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의 한 종류인 카테킨은 녹차 한 잔에 대략 100㎎이 들어 있으며, 그중 가장 강력한 성분인 'EGCG'는 비타민 C보다 항산화 효능이 20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테킨 성분은 항암 효과와 혈관 건강을 지키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카테킨은 위암, 폐암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혈압을 낮추어주며 심장으로의 혈류를 늘리는 효과도 있다. 소화기관 내에서의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고 지질의 체내 침착을 억제한다. 이에 혈압을 떨어뜨리고, 심장을 강화하며, 지방간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 감기 바이러스의 활동을 저지시키고 체내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는다. 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은 카페인(3%), 탄닌, 테아닌, 세키세놀, 비타민 C (150∼500㎎), 비타민 B1, B2, 나이아신, 펜토텐산, 이노시톨, 루틴 등이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먹고 차를 마시면 개운하고 강한 알칼리성이므로 위산 과다에도 좋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련초는 한해살이풀로서 온몸에 짧은 털이 나 있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누우며 잎겨드랑이마다 가지를 치는 습성이 있으며,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지역에 분포하며 논두렁이나 도랑 등 습한 자리에 난다. 꽃이 필 때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서 말린다. 병에 따라서는 생풀을 쓰기도 한다. 지혈작용을 비롯하여 보음(補陰), 보신(補腎-정력을 도움)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육과 뼈(筋骨)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한다. 적용질환은 토혈과 코피를 비롯하여 혈변, 혈뇨, 외상출혈, 대장염, 이질, 디프테리아, 대하증, 소변이 희고 걸쭉한 증세, 머리카락이 세는 증세, 정력이 허해서 허리가 아픈 증세, 음부가 습하고 간지러운 증세 등을 다스리기 위해서도 쓰인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치자는 열매로 긴 난형~난형으로 길이 1~3.5cm, 너비 1~1.5cm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적갈색이고, 보통 5~7개의 날개 모양인 세로 능선이 뚜렷하다. 맨 위에는 꽃받침 또는 그 자국이 있으며, 아래쪽은 조금 뾰족하고 열매꼭지가 남아 있기도 한다. 열매껍질은 얇고 부스러지기 쉽다. 잘린 면의 안쪽이 색깔이 비교적 진하지 않으나 광택이 있으며, 2~3줄의 튀어나온 격막이 있고 그 안에는 씨가 들어있다. 씨는 납작하고 난원형이며 여러 개가 모여 덩어리를 이루고 있다. 진한 적색~황적색이고, 바깥 면에는 가늘고 작은 혹 모양의 돌기가 빽빽하게 나 있다. 약간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어성초는 삼백초과에 속한 약모밀의 생약명. 지상부를 약용하며 정유 성분이 풍부하여 생선 비린내가 난다.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을 함유하며 종기, 절상, 피부병 등에 쓰인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애엽은 국화과의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ant.), 쑥(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또는 산쑥(A. montana Pamp.)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한국)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산쑥(A. montana Pamp.) 및 애초(A. princeps Pamp.: 艾草)를 사용하며 중국에서는 황해쑥(A. argyi Lev. et Vant.)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고 약간 독이 있다. 애엽은 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하므로 자궁과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생기는 자궁 출혈, 임신 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하초(下焦)가 허약하고 차며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帶下) 등에 사용하며 습진, 피부가려움증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지혈작용, 억균작용, 기관지 평활근 이완작용, 진해거담작용, 수면작용, 자궁흥분유도작용, 과민성 쇼크 보호작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황백은 각지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봄부터 여름 사이에 껍질을 벗겨 겉껍질을 벗겨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신경(腎經), 방광경(膀胱經), 대장경(大腸經), 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독을 제거한다. 황백 탕약과 베르베린 성분이 혈압강하 작용, 혈액응고 촉진 작용, 이담(利膽) 작용, 자궁수축 작용, 결핵균을 비롯한 일련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작용, 소염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베르베린은 또한 고미건위(苦味健胃) 작용, 해열 작용, 소장에 대한 진경 작용, 백혈구의 탐식 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濕熱泄瀉), 이질, 황달, 오로(惡露), 임증(淋證), 폐결핵, 유정(遺精), 음부 가려움증, 헌데, 습진 등에 쓴다. 세균성 적리(赤痢), 장결핵, 방광 및 요도의 염증, 골관절 결핵 등에도 쓰고 고혈압증과 입맛이 없는데도 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이 각각 1:1:1:1:1:1:1: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및 IL-4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염 기능을 하는 IL-10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천연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천연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항염증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물질로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 이외에 배농축액, 식물혼합 추출물, 예를 들어 황기, 계피, 당귀, 감초, 백출, 둥굴레, 영지버섯 추출물, 폴리덱스트로스, 비타민 C, 니코틴산 아미드, 구염산삼나트륨, 무수구연산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막형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및 IL-4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염 기능을 하는 IL-10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의 인간 피부상피세포주 HaCaT에서 유효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천연 추출물 제조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각 20g 씩을 350ml의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7일 동안 추출하였다.
이어서, 각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80 내지 90℃로 가열하여 농축하여 각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인간 피부상피세포에서 유효농도 설정 및 세포독성 실험
인간 피부상피세포주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 line)를 96웰에 1x104 cells/mL로 접종하여 3일 동안 배양하여 유효농도를 설정하였다.
상기 배양된 인간 피부상피세포주 HaCaT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 후 48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Proliferation assay 결과를 통해 0.5% 희석액으로 결정하였다.
도 1은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의 인간 피부상피세포주 HaCaT에서 유효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천연 추출물 함유 항염증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을 각각 동량으로 혼합하여 항염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2> 천연 추출물의 인간 피부상피세포주 (HaCaT)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측정
HaCaT 피부상피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5cells/1m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CO₂배양하였다. 이후 well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천연 추출물(0.5% 희석액)을 처리 후 48시간 CO₂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수거하였다. 사이토카인 (cytokine)인 IL-4, IN-6, IL-8, COX-2, IL-10을 리얼타임 폴리머중합효소반응 (Real-time Polymerchain reaction : RT-PCR)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는 천연 추출물의 인간 피부상피세포주 (HaCaT)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천연 추출물이 HaCaT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염증 유발과 관련된 IL-4, IL-6, IL-8 및 COX-2는 저해하고, 항염증 기능을 나타내는 IL-10을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Claims (7)

  1.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이 1:1:1:1:1:1:1: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각각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물 또는 물과 알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 내지 10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이 1:1:1:1:1:1:1: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각각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물 또는 물과 알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 내지 10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6. 삭제
  7. 감초, 황금, 소엽, 솔잎, 양제근, 건강, 녹차, 한련초, 치자, 어성초, 애엽 및 황백 추출물이 1:1:1:1:1:1:1: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52682A 2019-11-25 2019-11-25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46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82A KR102246636B1 (ko) 2019-11-25 2019-11-25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82A KR102246636B1 (ko) 2019-11-25 2019-11-25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636B1 true KR102246636B1 (ko) 2021-05-03

Family

ID=7591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82A KR102246636B1 (ko) 2019-11-25 2019-11-25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6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4793A1 (en) * 1999-03-18 2000-09-21 Medvil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aqueous extract of anemarrhena rhizoma and phellodendron bark for analgesic and anti-inflammation
CN105326971A (zh) * 2015-11-26 2016-02-17 济南舜祥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抗菌洗液及制备方法
KR20160067553A (ko) * 2014-12-04 2016-06-14 최철원 한약재를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06177204A (zh) * 2016-08-03 2016-12-07 韦爱小 一种治疗急性盆腔炎的中药组合物
CN106310157A (zh) * 2015-07-01 2017-01-11 马井芳 一种治疗咳喘和肺结核的中成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4793A1 (en) * 1999-03-18 2000-09-21 Medvil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aqueous extract of anemarrhena rhizoma and phellodendron bark for analgesic and anti-inflammation
KR20160067553A (ko) * 2014-12-04 2016-06-14 최철원 한약재를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N106310157A (zh) * 2015-07-01 2017-01-11 马井芳 一种治疗咳喘和肺结核的中成药
CN105326971A (zh) * 2015-11-26 2016-02-17 济南舜祥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抗菌洗液及制备方法
CN106177204A (zh) * 2016-08-03 2016-12-07 韦爱小 一种治疗急性盆腔炎的中药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4252B2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WO2011026267A1 (zh) 用于消炎消肿止痛的中草药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420484A (zh) 一种安肌舒敏精华液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4306659B (zh) 一种治疗2型糖尿病的中药组合物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383288A (zh) 一种用于治疗牛肺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22466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60052824A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20090107146A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419869A (zh) 一种清热排毒下火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813500B (zh) 具有补中益气、养血安神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3099885A (zh) 具有祛痤疮功能软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5876159A (zh) 一种改善刀鱼肉质品质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141191B1 (ko) 알레르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CN105617268A (zh) 一种治疗鳞屑角化型脚气的药物
CN105327147A (zh) 用于治疗猪气喘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06502A (zh) 一种用于治疗鸡伤热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