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385B1 - 브레이크배력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385B1
KR100315385B1 KR1019980048694A KR19980048694A KR100315385B1 KR 100315385 B1 KR100315385 B1 KR 100315385B1 KR 1019980048694 A KR1019980048694 A KR 1019980048694A KR 19980048694 A KR19980048694 A KR 19980048694A KR 100315385 B1 KR100315385 B1 KR 10031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seat
cylindrical memb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266A (ko
Inventor
요시야스 다카사키
마모루 사와다
유조 이모토
Original Assignee
보쉬 브레이크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쉬 브레이크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보쉬 브레이크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4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9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piston details, e.g. construction, mounting of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는 밸브보디내에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 솔레노이드가 여자하면, 밸브보디에 설치한 제1 통형상부재가 리어측으로 이동하는 모양으로 되어있다.
비작동상태로부터 입력축이 전진되면, 종래와 동일하게 진공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대기밸브가 개방되므로, 탠덤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한다. 이 작동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달의 밟는힘(입력)이 소정치(X)까지 상승하면, 상기 솔레노이드가 여자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통형상부재가 밸브보디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되어 밸브체보다 리어측으로 이동된다. 그 때문에, 서보밸런스상태에서 폐쇄되어있던 대기밸브가 개방되므로, 변압실(B,D)내에 더욱 대기가 도입되고, 입력은 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출력이 상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보비를 변경할 수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배력장치{BRAKE BOOSTER}
본 발명은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개시후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밟는힘을 변경시키는 일없이 출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동개시후에 서보비를 변경하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알려져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작동개시후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밟는힘(입력)이 작은 상태에서는 서보비를 작게하여 두고, 작동개시후에 있어서의 브레이크페달의 밟는힘이 큰 상황에서는 서보비가 크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이와같이, 작동개시후의 서보비를 변경하므로써 운전자에 양호한 브레이크필링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 브레이크페달을 밟지않고 자동브레이크로서 작동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도 알려져있다(예를들면, 일본 특개평9-2243호 공보). 이와같은 자동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소요시에 브레이크 배력장치내의 구동기구를 작동시켜 밸브기구를 작동시키므로서, 브레이크페달을 밟지않고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공지의 자동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구성을 이용하여, 서보비를 변경가능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작동시킨 때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작동시킨 때의 단면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작동시킨 때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작동된 때의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선도.
즉, 본 발명은 셸내에 미끄럼자유로이 설치된 대략 원통형상의 밸브보디와, 밸브보디에 설치한 파워 피스톤과, 파워 피스톤의 전후에 구획형성한 정압실 및 변압실과, 밸브보디에 미끄럼자유로이 설치한 통형상부재와, 이 통형상부재에 있어서 리어측의 단부에 형성한 환상의 진공밸브시트와, 밸브보디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입력축과 연동하는 밸브플런저와, 이 밸브플런저에 형성한 환상의 대기밸브시트와, 나사에 의해 프론트측으로 향해서 가압되어, 상기 진공밸브시트 및 대기밸브시트와 접촉·이탈하는 밸브체와, 상기 진공밸브시트와 그것에 접촉·이탈하는 밸브체의 제1 시트부로 구성한 진공밸브와, 상기 대기밸브시트와 그것에 접촉·이탈하는 밸브체의 제2 시트부로 구성한 대기밸브와, 상기 진공밸브보다도 바깥쪽으로의 공간과 정압실을 연통시키는 정압통로와, 상기 진공밸브와 대기밸브의 사이의 공간과 변압실을 연통시키는 변압통로와, 상기 대기밸브보다도 안쪽의 공간을 대기와 연통시키는 대기통로와, 상기 통형상부재를 밸브보디에 대하여 프론트측의 비작동위치와 리어측의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밸브보디가 전진될 때의 출력의 반력을 밸브플런저에 전달하는 리액션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로 통형상부재를 리어측으로 향해서 이동시키므로서, 진공밸브시트를 제1 시트부에 앉혀서 진공밸브를 폐쇄시키는 한편, 제2 시트부를 대기밸브시트로부터 이격시켜 대기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재의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를 입력축에 연동하여 밸브플런저가 진퇴이동될 때에 상기 진공밸브 및 대기밸브의 개폐가 가능한 위치로 설정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상기 통형상부재가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에, 입력축 및 밸브플런저가 전진되어 진공밸브가 폐쇄되는 한편, 대기밸브가 개방되면, 변압실내에 대기가 도입되어, 정압실내의 부압과 변압실내의 대기압의 차압에 의해 밸브보디가 전진된다. 즉,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된다. 여기서, 브레이크페달의 밟는 힘이 일정하면, 진공밸브만 아니고 대기밸브도 폐쇄되어 서보밸런스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작동상태에 있어서, 구동기구에 의해 통형상부재가 비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까지 이동되면, 밸브플런저는 현재의 위치를 유지한채로 통형상부재(진공밸브시트) 및 밸브체가 리어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밸브플런저에 설치한 대기밸브시트와 제2 시트부가 이격하여 대기밸브가 개방된다. 그 때문에, 더욱 변압실내로 대기가 도입되어 정압실내의 부압과 변압실내의 대기압과의 차압이 크게 되고, 밸브보디가 더욱 전진된다. 그것에 의해, 브레이크페달의 밟는힘은 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출력이 상승한다. 이와같이, 작동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의 밟는힘을 변화시키지않고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출력을 증대시켜 밸브보디가 전진되므로, 그것과 동시에, 밸브체도 프론트측으로 이동하고, 밸브체의 제2 시트부가, 정지하고 있는 밸브플런저의 대기밸브시트에 앉아서 대기밸브가 폐쇄된다. 즉, 진공밸브 및 대기밸브가 양방으로도 폐쇄되어 서보밸런스상태로 된다. 더욱이, 이상태로부터 브레이크페달의 밟는힘이 증가하면, 대기밸브가 개방되어 출력이 커지게 된다. 이와같이 서보비 그것은 일정하지만,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작동상태로부터 통형상부재를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므로서, 통형상부재가 비작동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밟는 힘(입력)으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부재가 작동위치에 있고, 그리고 서보밸런스상태로부터 밟는 힘이 저하하면, 밸브체와 그것에 설치한 대기밸브시트 및 그것에 접촉한 밸브체와 제2 시트부가, 통형상부재 및 밸브보디에 대하여 후퇴한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재에 설치한 진공밸브시트와 밸브체의 제1 시트부가 이격하여 진공밸브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정압실과 변압실이 연통하여 양실의 차압이 저하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출력도 저하한다.
따라서, 서보비를 변경할 수 있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및 효과는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를 이해하므로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2에 있어서,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셸(2)내에, 그 중앙부에 설치한 센터 플레이트(3)에 의해 전방측의 프론트실(4)과 후방측의 리어실(5)로 구획성형되어있다. 그래서 통형상의 밸브보디(6)를 셸(2)의 리어측(우측)의 내주부와 센터 플레이트(3)의 내주부에 각각 시일수단(7,8)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여 미끄럼자유로이 관통되어있다.
상기 프론트실(4) 및 리어실(5)내에 위치하는 밸브보디(6)의 외주부에는 각각 프론트 파워 피스톤(11)과 리어 파워 피스톤(12)을 연결하고있고, 또한 각 파워 피스톤(11,12)의 배면에 프론트 다이어프램(13)과 리어 다이어프램(14)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다이어프램(13)에 의해 프론트실(4)내를 정압실(A)과 변압실(B)로 구획하여있고, 또한 리어 다이어프램(14)에 의해 리어실(5)내를 정압실(C)과 변압실(D)로 구획하고 있다.
상기 밸브보디(6)내에는 상기 정압실(A,C)과 변압실(B,D)의 연통상태를 전환하는 밸브기구(15)를 설치하고 있다. 이 밸브기구(15)는 밸브보디(6)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환상의 진공밸브시트(16)와, 이 진공밸브시트(16)를 관통시켜 밸브보디(6)내에 미끄럼자유로이 끼워맞춤한 밸브플런저(17)와, 그 우단에 형성한 환상의 대기밸브시트(18)와, 더욱이 양 밸브시트(16,18)에 리어측으로부터 스프링(21)에 의해 자리잡은 밸브체(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진공밸브시트(16)와 그것에 접촉·이탈하는 밸브체(22)의 제1 시트부(23)에 의해 진공밸브(24)를 구성하고있고, 이 진공밸브(24)보다도 외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6)에 형성한 제1 정압통로(25)를 통해서 상기 정압실(A)에 연통하고, 또한 정압실(A)내는 제2 정압통로(26)를 통해서 정압실(C)에 연통되어있다. 상기 정압실(A)내는 부압도입관(도시생략)을 통해서 부압원과 연통되어있고, 그것에 의해 정압실(A,C)내에는 향상 부압이 도입되어있다.
또한 상기 대기밸브시트(18)와 그것에 접촉·이탈하는 밸브체(22)의 제2 시트부(27)에 의해 대기밸브(28)를 구성하고 있다. 그래서, 제2 시트부(27)와 제1 시트부(23)의 사이의 공간은 밸브보디(6)에 형성한 반경방향의 제1 변압통로(31)를 통해서 변압실(D)에 연통되어있고, 이 변압실(D)은 밸브보디(6)에 형성한 제2 변압통로(32)를 통해서 변압실(B)에 연통하고 있다.
더욱이, 대기밸브시트(18)에 접촉·이탈하는 밸브체(22)의 제2 시트부(27)보다도 내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6)에 형성한 대기통로(33) 및 거기에 설치한 필터(34)를 통해서 대기에 연통되어있다.
상기 밸브플런저(17)의 리어측의 단부에는 입력축(35)의 선단부를 피벗지지연결하여 있고, 이 입력축(35)과 밸브보디(6) 사이에, 상기 스프링(21)보다도 큰탄발력을 가진 스프링(36)을 탄력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서는 대기밸브시트(18)에 밸브체(22)의 제2 시트부(27)를 앉혀서 대기밸브시트(28)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밸브체(22)의 제1 시트부(23)를 진공밸브시트(16)로부터 이간시켜 진공밸브(24)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입력축(35)의 말단부는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페달에 연동되고 있다.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상기 각실(A,B,C,D)이 서로 연통하고, 각실(A,B,C,D)내에 부압이 도입된다.
또한, 밸브보디(6)에는 제1 변압통로(31)의 작은 프론트측에 반경방향구멍(6A)을 형성하고있고, 이 반경방향구멍(6A)에 종래공지의 키부재(37)를 끼워통과시킴과 동시에, 이 키부재(37)를 밸브플런저(17)에 있어서 작은 직경의 걸어맞춤부(17a)에 걸어맞춤시킨다. 이것에 의해, 밸브플런저(17)가 밸브보디(6)로부터 리어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키부재(37)는 반경방향구멍(6A)내에 밸브보디(6)의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되어있고, 또한 키부재(37)와 밸브플런저(17)는 상기 걸어맞춤부(17a)의 축방향길이의 범위내에서 밸브보디(6)의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되어있다.
도 1에 도시한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시에, 상기 키부재(37)를 셸(2)의 리어측의 벽면(2a)에 맞닿음시키므로서, 키부재(37) 및 밸브플런저(17)를 밸브보디(6)에 대하여 전진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작동개시시에 있어서 입력축(35)의 로스스트로크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반경방향구멍(6A)보다도 프론트측으로 되는 밸브보디(6)의 내주부에, 솔레노이드(38)의 하우징(41)을 기밀을 유지하여 끼워장착하고 있다. 이 하우징(41)은 개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외주부측에 코일을 감은 스풀(42)을 수납하고 있다.
하우징(41)의 내주부에는 원통형상의 피스톤(39)을 미끄럼자유로이 끼워맞춤하고있고, 밸브플런저(17)에 있어서 프론트측의 소경부(17b)를 상기 피스톤(39)에 관통시키고 있다. 또한, 피스톤(39)보다도 프론트측으로 되는 하우징(41)의 내주부에는 플런저 플레이트(43)를 미끄럼자유로이 끼워맞춤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런저 플레이트(43)의 리어측의 단면과 상기 소경부(17b)의 프론트측의 단면이 근접위치에서 대향하고 있다. 플런저 플레이트(43)와 그것에 대향하는 피스톤(39)의 단면에 걸쳐서 스프링(40)을 탄력설치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플런저 플레이트(43)와 피스톤(39)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38)의 하우징(41)의 프론트측에 출력축(44)을 배치하고, 이 출력축(44)의 기부에 형성한 오목부(44A)내에, 원반형상의 리액션 디스크(45)를 수납하고 있다. 그래서, 그 상태의 축력축(44)의 오목부(44A)를 상기 하우징(41)에 있어서 프론트측의 외주부에 미끄럼자유로이 끼워장착함과 동시에, 리액션 디스크(45)를 하우징(41)의 프론트측의 단면(41a)에 맞닿음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45)와 그 인접 리어측에 위치하는 플런저 플레이트(43)의 프론트측의 단면이 대향하고 있다. 출력축(44)의 기부에는, 프론트측으로부터 캡형상의 리테이너(46)를 씌우고, 이 리테이너(46)에 있어서 플랜지형상의외주부를 하우징(41)의 단부단면에 맞닿음시키고 있다. 그래서, 이 리테이너(46)의 외주부와 셸(2)의 프론트측의 벽부에 걸쳐 리턴스프링(47)을 탄력설치하고있고, 이것에 의해 밸브보디(6)등을 도 1에 도시하는 비작동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출력축(44)의 프론트측의 선단부는 셸(2)의 프론트측의 벽부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또한, 그 선단부를 도시하지않은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에 연동시키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는 상기 진공밸브시트(16)를 밸브보디(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가동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구동기구로서의 솔레노이드(38)를 여자하므로서, 진공밸브시트(16)를 밸브보디(6)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리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밸브보디(6)의 내주부에는, 밸브체(22)보다도 프론트측의 위치에 리어측으로 향한 단부단면(6B)을 구비하고있고, 더욱이 이 단부단면(6B)의 안쪽으로 축방향 프론트측으로 뻗는 실질적으로 환상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이 공간부에 리어측으로부터 제1 통형상부재(48)를 미끄럼자유로이 끼워맞춤하고 있다. 제1 통형상부재(48)의 리어측의 단부에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직경확대된 플랜지부(48a)를 형성하여 두고, 그 플랜지부(48a)의 내주 가장자리를 상기 진공밸브시트(16)로 하고 있다.
제1 통형상부재(48)의 프론트측의 부분은 리어측의 부분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하고있고, 그것에 의해 형성된 제1 통형상부재(48)의 내주부의 단부와, 후방측으로 되는 밸브플런저(17)의 외주부에 걸쳐서 스프링(51)을 탄력설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제1 통형상부재(48)를 항상 프론트측으로 향해 가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형상부재(48)는 비자성체로 형성되어있다.
단부단면(6B)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환상 오목부를 형성하여 두고, 거기에 환상 시일부재(52)를 끼워맞춤하고, 그상태에 있어서, 리어측으로부터 환상의 리테이너(53)를 밸브보디(6)의 내주부에 압입한 후, 상기 단부단면(6B)에 맞닿음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환상 시일부재(52)가 환상 오목부(6C)로부터 리어측으로 탈락하지않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이 환상 시일부재(52)의 내주부는, 상기 제1 통형상부재(48)의 외주부에 밀착시켜서, 이 환상 시일부재(52)에 의해, 제1 통형상부재(48)의 외주부와 밸브보디(6)의 내주부의 사이에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솔레노이드(38)는 온/오프제어를 채용하고있고, 도시하지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이 솔레노이드(38)의 작동을 제어하도록하고 있다.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38)가 여자되면, 피스톤(39)이 하우징(41) 및 밸브보디(6)에 대하여 리어측에 가압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솔레노이드(38)의 피스톤(39)과 제1 통형상부재(48)의 사이에는, 제2 통형상부재(54)를 배치하고, 이 제2 통형상부재(54)의 프론트측의 외주부는 하우징(41)의 내주부에 미끄럼자유로이 걸어맞춤되어있다. 한편, 제2 통형상부재(54)의 리어측의 단부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보디(6)의 내주부에 미끄럼자유로이 걸어맞춤되어있고, 또한 상기 제1 통형상부재(48)의 프론트측의 단부에 대향되어있다. 이 제2 통형상부재(54)는 키부재(37)보다도 프론트측으로 되는 밸브 플런저(17)의 외주부에 미끄럼자유로이 끼워장착되어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1 통형상부재(48)는 스프링(51)에 의해 프론트측으로 향해서 가압되어있고, 다른한편, 피스톤(39)은 플런저 플레이트(43)와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40)에 의해 리어측으로 가압되어있다. 그 때문에, 제2 통형상부재(54)는 축방향의 양단부를 피스톤(39)과 제1 통형상부재(48)에 의해 지지되어있다. 따라서, 피스톤(39)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거기에 연동하여 제2 통형상부재(54) 및 제1 통형상부재(48)도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스프링(40)의 탄발력은 스프링(51)의 탄발력보다 작게 되어있으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솔레노이드(38)가 여자되지않고,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페달이 밞아지지않은 비작동상태에서는, 스프링(51)의 탄발력에 의해, 제1 통형상부재(48)의 플랜지부(48a)가 리테이너(53)에 맞닿는 전진단위치(비작동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미 상술한 바와같이, 제1 통형상부재(48)에 설치한 진공밸브시트(16)는 제1 시트부(23)로부터 이격하여 진공밸브(24)가 개방되어있다. 그래서, 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 플레이트(43)는 리액션 디스크(45)에 가볍게 맞닿아 있다. 또한, 이때에는 밸브 플런저(17)의 프론트측의 단면과 플런저 플레이트(43)와의 사이에는, 근소한 간격이 유지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비작동상태로부터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페달이 밟아져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므로, 도시하지않은 센서에 의해 브레이크페달의 밞는 힘(입력)이 소정의 값(X)까지 상승할 때에는,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38)가 여자되도록 되어있다. 이때에는, 스프링(51)에 저항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되는 피스톤(39)에 연동하여 제1 통형상부재(48)가 도 3에 도시한 작동위치까지 밸브보디(6)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상기 솔레노이드(38)가 여자(작동)될 때에, 상기 제1 통형상부재(48)가 도 1에 도시한 비작동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한 작동위치까지 밸브보디(6)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되는 거리(L1)는, 제2 통형상부재(54)의 리어측의 단부가 거기에 대향하는 밸브보디(6)의 단부단면(6C)에 맞닿음하는 위치에서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밸브 플런저(17)가 밸브보디(6)에 대하여 리어측에 상대이동가능한 거리(L2)는, 도 1에 있어서 키부재(37)의 리어측의 단면과 거기에 대향하는 반경방향구멍(6A)의 리어측의 단면이 벌어진 간격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38)가 작동되지않는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 비작동위치에 있는 제1 통형상부재(48)의 진공밸브시트(16)와 밸브체(22)의 제1 시트부(23)가 벌어진 거리를 L3 라고 할 때, 상기 L1, L2 및 L3가 다음과 같은 관계로 되도록 제1 통형상부재(48), 밸브보디(6), 밸브플런저(17), 제1 통형상부재(48)의 진공밸브시트(16), 밸브체(22)의 제1 시트부(23) 각각의 치수를 조정한다.
L1 < L2 + L3
환언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통형상부재(48)의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를, 입력축(35)에 연동하여 밸브 플런저(17)가 진퇴운동될때에 상기 진공밸브(24) 및 대기밸브(28)의 개폐가 가능한 위치에 설정된다.
(작동설명)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솔레노이드(38)가 여자되자않고, 또한,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페달이 밟아지지않은 비작동상태에서는, 제1 통형상부재(48)의 플랜지부(48a)가 리테이너(53)에 맞닿는 비작동위치에 유지된다. 그 때문에, 진공밸브시트(16)는 밸브체(22)의 제1 시트부(23)로부터 이격하여 진공밸브(24)가 개방되고, 다른한편, 밸브체(22)의 제2 시트부(28)는 대기밸브시트(18)에 앉아서 대기밸브(28)가 폐쇄된다. 또한, 이 비작동상태에서는, 스프링(51)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 플런저(17)의 선단과 플런저 플레이트(43)의 리어측의 단면은 근소한 간격으로되어있다. 또한, 플런저 플레이트(43)의 프론트측의 단면은 리액션 디스크(45)와 가볍게 맞닿아 있다. 더욱이, 각실(A,B,C,D)은 서로 연통하고, 또한, 거기에는 부압이 도입된다.
도 1에 도시한 비작동상태로부터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페달이 밟아지면, 입력축(35) 및 밸브 플런저(17)가 프론트측으로 향해서 전진되므로, 먼저 밸브체(22)의 제1 시트부(23)가 진공밸브시트(16)에 앉아 진공밸브(24)가 폐쇄되므로, 대기밸브시트(18)가 제2 시트부(27)로부터 이격되어 대기밸브(28)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양 정압실(A,C)과 양 변압실(B,D)의 연통이 저지되고, 양 변압실(B,D)내에 대기가 도입된다. 그래서, 양 정압실(A,C)내의 부압과 양 변압실(B,D)의 사이의 대기압과의 차압에 의해, 양 파워 피스톤(11,12) 및 밸브보디(6)등이 프론트측으로 향해서 전진된다(도 2).
이와같이하여,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는데, 출력축(44)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에 의해, 리액션 디스크(45)가 압축되어, 그 축부가 리어측에 팽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40)이 압축되어 플런저 플레이트(43)를 밸브 플런저(17)로 향해 리어측으로 이동되므로, 이 플런저 플레이트(43)와 밸브 플런저(17)의 선단부가 맞닿음한다(도 2). 그래서, 도 5에서 P로 도시된 바와같이, 이시점은 출력이 급격히 상승하므로, 종래부터 점핑이라고 하고, 이 점핑(P)의 시점으로부터 출력축(44)에 작용하는 출력의 반력이 밸브 플런저(17)와 입력축(35) 및 도시하지않은 브레이크페달을 통해서,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이후, 입력이 상승하면 하우징(41)의 단면(41a)의 면적과 플런저 플레이트(43)의 프론트측의 단면의 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서보비에 의해 출력이 상승한다(도 5에 있어서 실선Q). 그래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밸브보디(6)의 전진에 따라 진공밸브(24)만이 아니고 대기밸브(28)가 폐쇄되면, 서보밸런스상태로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므로, 더욱이 입력이 소정치(X)까지 상승하면, 도시하지않은 센서에 의해 그것이 검출되어 도시하지않은 제어장치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장치는 솔레노이드(38)를 여자하므로, 제1 통형상부재(48)는 도 3에 위치한 작동위치까지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거기까지 진공밸브(24) 및 대기밸브(28)가 함께 폐쇄된 서보밸런스상태로부터 제1 통형상부재(48)에 설치한 진공밸브시트(16) 및 거기에 앉은 밸브체(22)가 상기 L1만큼 밸브보디(6) 및 밸브 플런저(17)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밸브 플런저(17)에 설치한 대기밸브시트(18)로부터 밸브체(22)의 제2 시트부(27)가 이격되어 대기밸브(28)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더욱이 변압실(B,D)에 대기가도입되므로, 입력이 변하지않은채 출력이 대폭적으로 상승한다(도 5에서 R로 도시한 시점). 이와같이, 제1 통형상부재(48)를 작동위치에 이동시킬 때의 출력의 상승치(Y)는, X이상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입력이 다른 어느시점에 위치하여도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제1 통형상부재(48)가 작동위치에 위치되어 출력이 상승하면, 밸브보디(6)도 더욱 전진되므로, 여기까지 이격된 밸브 플런저(17)의 대기밸브시트(18)에 밸브체(22)의 제2 시트부(27)가 자리잡아 대기밸브(28)가 폐쇄된다. 즉, 진공밸브(24) 및 대기밸브(28)가 함께 폐쇄되어 서보밸런스상태로된다(도 3).
이 서보밸런스상태로부터 밞는 힘(입력)이 증가하면, 밸브 플런저(17)가 전진되어 대기밸브(28)가 개방되므로, 밞는 힘(입력)에 따른 만큼만 출력이 상승한다. 그래서, 제1 통형상부재(48)가 작동상태에 있고, 또한 밞는 힘(입력)이 X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 출력의 변동은 도 5의 직선(Z)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된다.
또한, 이와같이 제1 통형상부재(48)가 작동위치에 있어서 밸브보디(6)가 전진됨에 따라 출력의 반력도 증가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액션 디스크(45)의 축부가 리어측으로 향해서 팽출하는 양이 증가한다. 그래서, 이것에 따라, 진공밸브(24) 및 대기밸브(28)가 함께 폐쇄되는 서보밸런스상태로부터, 밸브 플런저(17) 및 그 대기밸브시트(18)에 자리잡은 밸브체(22)가 밸브보디(6) 및 작동위치의 제1 통형상부재(48)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눌려 복귀된다.
이 리액션 디스크(45)의 축부가 리어측으로 향해서 팽출하는 양이 증가하는 것은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비작동상태에 있어서, 또한 제1 통형상부재(48)를 작동위치로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이 밟아져서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된 때의 점핑(P')시에 출력치가 상기 Y로 도시한 값만큼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어, 상기 입력이 X로 되어 솔레노이드(38)가 여자되고, 제1 통형상부재(48)가 작동위치에 위치한 상황에 있어서 출력특성(직선 Z)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보비 자체는 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작동개시후의 입력이 X보다도 작은 영역에 비교하여 작동개시후의 입력이 X이상으로 되는 영역에서는 실질적으로 서보비를 크게 한 경우와 동일하게 출력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서보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상기 브레이크 배력장치와 동일하게, 브레이크페달을 통해서 운전자에게 부여되는 브레이크필링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제1 통형상부재(48)가 작동위치에서 진공밸브(24) 및 대기밸브(28)가 함께 폐쇄한 서보밸런스상태로부터 밞는 힘(입력)이 작게 되면, 밸브보디(6) 및 제1 통형상부재(48)에 대하여 밸브 플런저(17) 및 밸브체(22)가 리어측으로 후퇴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L1, L2, L3 의 치수를 상술한 바와같이 설정하므로서, 제1 통형상부재(48)는 밸브보디(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리어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밸브체(22)의 제1 시트부(23)가 진공밸브시트(16)로부터 이격하여 진공밸브(24)가 개방된다(도 4). 이것에 의해 변압실(B,D)내의 대기가 정압실(A,C)측으로 유입하여, 정압실(A,C)과 변압실(B,D)의 차압이 저하되어 출력이 저하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38)가 여자하여 제1 통형상부재(48)를 작동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도,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여 입력축을 진퇴시키므로서,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와같은 검출수단을 밸브보디에 설치한 상기 종래예(일본 특개평 9-2243호 공보)의 것과 비교하면, 밸브보디(6)내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로서의 솔레노이드(38)를 상술한 온/오프타입 대신에,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피스톤(39)의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채용하면, 도 5의 가상선(R')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출력의 상승의 정도를 상술한 실시예에 비교하여 느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탠덤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정압실과 변압실이 한쌍의 싱글타입의 브레이크 배력장치 또는 정압실과 변압실이 3쌍의 트리플타입의 브레이크 배력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력이 소정치(X)로 된 경우에,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38)를 여자시키는데,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38)를 여자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입력축의 전진속도가 소정치보다 크게 되는 패닉 브레이크를 센서로 검지한 때나, 또 장애물센서에 의해급브레이크의 필요성을 검지한 때에,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38)를 여자시켜도 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개량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4)

  1. 셸내에 미끄럼자유로이 설치된 대략 원통형상의 밸브보디와, 밸브보디에 설치한 파워 피스톤과, 파워 피스톤의 전후에 구획형성한 정압실 및 변압실과, 밸브보디에 미끄럼자유로이 설치한 통형상부재와, 이 통형상부재에 있어서 리어측의 단부에 형성한 환상의 진공밸브시트와, 밸브보디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입력축과 연동하는 밸브플런저와, 이 밸브플런저에 형성한 환상의 대기밸브시트와, 나사에 의해 프론트측으로 향해서 가압되어, 상기 진공밸브시트 및 대기밸브시트와 접촉·이탈하는 밸브체와, 상기 진공밸브시트와 그것에 접촉·이탈하는 밸브체의 제1 시트부로 구성한 진공밸브와, 상기 대기밸브시트와 그것에 접촉·이탈하는 밸브체의 제2 시트부로 구성한 대기밸브와, 상기 진공밸브보다도 바깥쪽으로의 공간과 정압실을 연통시키는 정압통로와, 상기 진공밸브와 대기밸브의 사이의 공간과 변압실을 연통시키는 변압통로와, 상기 대기밸브보다도 안쪽의 공간을 대기와 연통시키는 대기통로와, 상기 통형상부재를 밸브보디에 대하여 프론트측의 비작동위치와 리어측의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밸브보디가 전진될 때의 출력의 반력을 밸브플런저에 전달하는 리액션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로 통형상부재를 리어측으로 향해서 이동시키므로서, 진공밸브시트를 제1 시트부에 앉혀서 진공밸브를 폐쇄시키는 한편, 제2 시트부를 대기밸브시트로부터 이격시켜 대기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재의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를 입력축에 연동하여 밸브플런저가 진퇴이동될 때에 상기 진공밸브 및 대기밸브의 개폐가 가능한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작동될 때에, 상기 통형상부재가 비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까지 밸브보디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L1으로 하고, 상기 밸브플런저가 밸브보디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상대이동가능한 거리를 L2로 하고, 또한 상기 구동기구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 비작동위치에 있는 통형상부재의 진공밸브시트와 상기 밸브체의 제1 시트가 벌어진 거리를 L3로 한때에,
    L1 < L2 + L3 로 되도록 통형상부재, 밸브보디, 밸브플런저, 통형상부재의 진공밸브시트, 밸브체의 제1 시트 각각의 치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고, 이 솔레노이드를 여자시키면, 그 피스톤에 연동하여 상기 통형상부재가 비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까지 밸브보디에 대하여 리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재가 비자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19980048694A 1997-11-28 1998-11-13 브레이크배력장치 KR100315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43745 1997-11-28
JP34374597 1997-11-28
JP10290268A JPH11217072A (ja) 1997-11-28 1998-10-13 ブレーキ倍力装置
JP98-290268 1998-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266A KR19990045266A (ko) 1999-06-25
KR100315385B1 true KR100315385B1 (ko) 2002-11-18

Family

ID=2655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694A KR100315385B1 (ko) 1997-11-28 1998-11-13 브레이크배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19577A (ko)
JP (1) JPH11217072A (ko)
KR (1) KR100315385B1 (ko)
FR (1) FR2771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880A (ja) * 1998-09-30 2000-04-18 Aisin Seiki Co Ltd 負圧式倍力装置
JP4529105B2 (ja) * 2000-03-31 2010-08-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2001341631A (ja) * 2000-05-31 2001-12-11 Aisin Seiki Co Ltd 負圧式倍力装置
US6491356B2 (en) * 2000-07-21 2002-12-10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Brake system
JP2002225700A (ja) * 2000-11-29 2002-08-14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自動ブレーキ倍力装置
JP2002173017A (ja) * 2000-12-05 2002-06-18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自動ブレーキ倍力装置
JP3785985B2 (ja) * 2001-10-22 2006-06-14 ボッシュ株式会社 倍力装置の弁機構
JP3741646B2 (ja) * 2001-12-27 2006-02-01 ボッシュ株式会社 負圧倍力装置
JP6297318B2 (ja) * 2013-11-29 2018-03-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気圧式倍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935B2 (ja) * 1995-06-16 2003-10-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負圧式倍力装置
JPH09164939A (ja) * 1995-12-18 1997-06-24 Aisin Seiki Co Ltd 負圧式倍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19577A (en) 2000-09-19
JPH11217072A (ja) 1999-08-10
KR19990045266A (ko) 1999-06-25
FR2771696B1 (fr) 2004-11-26
FR2771696A1 (fr) 199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385B1 (ko) 브레이크배력장치
KR100315386B1 (ko) 브레이크배력장치
US6516704B2 (en) Brake booster
KR100368770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3940872B2 (ja) 自動ブレーキ倍力装置
US6634275B2 (en) Automatic brake booster
KR10041338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0316324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3765476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100337632B1 (ko) 차량용 부스터
JPH11208453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2000127947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20010077767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20020020045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축
JP2902844B2 (ja) 気圧式倍力装置
JP3704597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EP0644094B1 (en) Pneumatic booster
KR10042376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JPH1148947A (ja) 負圧式倍力装置
JP3661714B2 (ja) 自動ブレーキ倍力装置
JP3761695B2 (ja) 気圧式倍力装置
KR20020025418A (ko) 차량용 부스터
JP4228168B2 (ja) 自動ブレーキ倍力装置
JPH11217074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KR20020009923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