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593B1 - 액체분출펌프 - Google Patents

액체분출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593B1
KR100311593B1 KR1019960705313A KR19960705313A KR100311593B1 KR 100311593 B1 KR100311593 B1 KR 100311593B1 KR 1019960705313 A KR1019960705313 A KR 1019960705313A KR 19960705313 A KR19960705313 A KR 19960705313A KR 100311593 B1 KR100311593 B1 KR 10031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valve
stem
liqui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시마다
까쓰히토 꾸와하라
타까오 끼시
타까유끼 아베
슈죠 엔도
유지 꼬하라
타까미쓰 노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3135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983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70313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983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09810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934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05B11/106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in a retracted position, e.g. in an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7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with means for sucking bac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the nozzle after a dispensing strok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체분출펌프는 상하이동부재(4)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9)를 거쳐 실린더(3)내로 흡상함과 동시에,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28)으로부터 토출밸브(31)를 거쳐 노즐(29)의 선단으로부터 분출하도록 구성한 액체분출 펌프에 있어서, 실린더내의 하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립(10)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각 립의 내부 상면에는 맞물림 오목부(11)를 형성한다. 각 맞물림 오목부(11)에는 상하이동부재(4)를 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38)의 하단을 끼워서, 스프링의 하단 양측의 액체가 내부 외방으로 흐르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체분출펌프
액체분출펌프에는 밀어내림 헤드식(push-down head type)의 펌프가 있다. 예를 들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체(100)의 목부분(101)의 외주에 나사 체결한 장착 캡(1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extending downward)한 하단 내부에 흡입밸브(103)를 설치한 실린더(104)와, 이 실린더내에 삽입된 환상 피스톤(105)을 외주 하부로 돌출시켜 실린더내를 상방으로 부세된(biased)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시킨 스템(106)과, 이 스템 상단에 장착시킨 노즐(107) 부착의 밀어내림 헤드(108)과, 상기 스템내 상부에 설치한 토출밸브(109)와, 상기 스템 및 밀어내림 헤드로 된 상하이동부재(110)를 항상 상방으로 부세시키는 코일 스프링(111)을 갖추며,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103)로부터 실린더(104)내로 흡상함과 동시에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으로부터 토출밸브(109)를 거쳐서 노즐(107) 선단으로부터 분출하게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상하이동부재 상부 외면과 실린더 상당에 끼워 고정시킨 맞물림부재(engagement member)(112)를 나사 체결하여 부착할 수 있게 구성하고, 이 때에 실린더 하단에 고정한 원통형부재(113)에 의해 스템내의 하단부를 액밀하게 밀봉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의 하단부의 직경을 축소하고, 이 직경이 축소된 부분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립(rib)(114)을 돌출시켜서, 각 립(114)의 상면에 원통형부재(113)의 플랜지를 통해서 하단을 맞물리게 하고, 또 직경이 축소된 부분의 내면에 외면을 삽입하여 코일 스프링(111)을 장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펌프는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배출한 후에 상하이동부재가 상승할 때에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내로 흡입되는 액체가 지그재그식으로 흡상되어, 수납액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는 단위시간당의 흡상량이 적어지고(특히 4000pcs 이상의 고점도에서 현저함), 그 결과 상하이동부재의 최상위 위치로 복귀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점도의 액체를 수납하여도 상하이동부재의 상승 복귀를 신속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종래 펌프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저가로 얻어지는 우수한 액체분출펌프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외에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액체분출펌프에 요망되는 상술적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종래의 펌프에서는 액체 분출후에 노즐내에 잔존하는 액체가 그 선단으로부터 누출하는 등의 결점이 생길 수 있으며, 또 노즐 선단부에 잔존하는 액체가 건조고화하는 결점도 생길 수 있다. 이 건조 고화는 외관상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액체의 분출조작을 방해하는 경우가 생겨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펌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의 누출이 없고, 또한 액체의 건조 고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액체분출펌프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 종래펌프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이점을 겸비한 펌프를 제안하는 것이다.
펌프식의 액체 토출용기는 수납 액체가 비교적 고점도일 경우에 액체 토출 종료 직후에 노즐구멍내에 남은 액체가 노즐구멍 선단으로부터 누출하는 일이 있으며, 이러한 누출이 토출용기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감을 손상시키는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일본국 실개평 1-17976호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실린더 하부로부터 막대형부를 세우고, 이 막대형부의 상부를 작동부재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템내로 삽입시켜, 작동부재를 밀어내릴 때에 막대형부가 스템내로 길게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부재의 상승시에 막대형부가 스템내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이 스템부내를 부압화시켜서 스템 상단에 끼운 밀어내림 헤드의 노즐내의 액체를 빨아들일 수 있는 액체 토출 용기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상기 액체 토출용기는 작동부재가 상승시에 실린더 하부내로부터 세워진 막대형부가 스템내로부터 빠져나오고, 이렇게 빠져나옴으로써 생기는 스템내의 부압화에 의해 노즐내의 액체가 빨아들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동부재를 밀어내리는 정도가 적어지면 스템내로 삽입되는 막대형부의 삽입 길이도 짧아지고,따라서 작동부재의 상승에 따른 막대형부가 빠져나옴으로써 생기는 스템내의 부압화도 불충분해지고, 따라서 그 부압화에 의한 노즐내의 액체가 빨아들여지는 것도 불충분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9)를 설치한 실린더(3)와, 이 실린더(3)내에 삽입한 환상 피스톤(27)을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28)과, 이 스템 상단에 연속해서 설치하여 장착 캡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29) 부착의 밀어내림 헤드(30)와, 상기 스템(28)내의 상부에 설치한 토출밸브(31)와, 상기 스템 및 밀어내림 헤드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4)를 항상 상방으로 부세시키는 코일 스프링(38)을 갖추며, 상기 상하이동부재(4)를 상하가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9)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시킴과 동시에,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으로부터 토출밸브(31)를 거쳐서 노즐에서 분출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내의 하단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38)의 하단을 맞물리게 하는 립(10)을 실린더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돌출 배치하고, 복수의 립간에 코일 스프링 하단의 내외 양측을 통과하는 액체유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라는 점이다.
여기서 상기 립의 상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받아들여 맞물리게 하는 맞물림 오목부(11)를 설치하면 스프링의 맞물림과 통로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 상기 상하이동부재(4)를 밀어내려 맞물리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11)를 내측면 및 상면 개구의 맞물림 오목부(11)로서 구성하고, 각 맞물림 오목부(11) 하단부에 끼워 고정시킨 플랜지(21)를 정상부가 덮인 주벽(peripheral wall)(20)의 하단 외주로부터 돌출시킴과 동시에, 주벽(20)에 내외를 서로 통하게 하는 창구멍(23)을 뚫고, 또 주벽(20)의 상단 외주를 밀어내려 맞물린 상태의 스템 하단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한 원통형부재(19)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 원통형부재(19)와 흡입밸브(9)의 밸브체(18) 사이에 보조 스프링(26)을 개재시켜서 흡입밸브체(18)를 항상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1의 상태로부터 상하이동부재(19)의 끼운 부분을 해제하고 헤드(30)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헤드(30)를 밀어내리면 실린더(3)내가 가압되어 실린더내의 액체는 스템(28)내를 통과하여 토출밸브(31)를 열어서 헤드의 수직통(32) 부분으로부터 노즐(32)을 거쳐서 외부로 분출된다. 이어서 헤드(30)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4)가 상승하여, 실린더(3)내가 부압화되고, 토출밸브체(35)가 상하이동부재(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밸브 구멍을 막는다. 토출밸브(31)가 닫히면 실린더(3)내의 부압에 의해 흡입밸브(9)가 열리어, 용기체내의 액체가 흡입밸브(9)를 거쳐서 실린더(3)내에 도입된 후에, 흡입밸브체(18)의 자중 및 보조 스프링(26)의 부세에 의해 흡입밸브가 닫힌다.
도입된 액체는 코일 스프링(38)의 내외 양측을 통과해서 상승하여 상하이동부재(4)가 신속히 상승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을 밀어내림 헤드(226)를 밀어내려서 장착한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상하여 헤드(226) 전방으로 돌출하는 노즐(225)로부터 분출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225)을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노즐내 기단부에 설치한 밸브좌(242)를 막는 구슬형 밸브체(243)를 노즐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한 토출밸브(24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 액체분출펌프라는 점이다.
여기서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2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209)를 설치한 실린더(203)과,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222)과, 상기 실린더(20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을 삽입함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스템(222)의 외면 하부에 연결한 환상 피스톤(223)과, 상기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움과 동시에 외주면을 상기 환상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 스템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229)을 개폐가 가능하게설치한 환상의 보조 피스톤(224)과, 상기 스템 상단에 연속해서 설치하여 장착 캡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225)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226)와, 상기 헤드(226)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노즐(225)의 기단부에 설치한 밸브좌(242)를 막는 구슬형 밸브체(243)를 노즐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한 토출밸브(241)를 갖추며, 상기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어진 관통구멍(229)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241)를 거쳐서 노즐(225)로부터 분출시키고, 밀어내림 헤드(226)의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209)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로서, 상기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224)에 의해 관통구멍(229)이 막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액체분출펌프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스템(222)의 최대 상승위치의 상기 관통구멍(229)이 막힌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 피스톤(224)이 실린더(203)에 맞물릴 수 있으며, 헤드(226)를 밀어내려서 관통구멍(229)이 열려진 후에 이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하이동부재(204)가 끼워진 부분을 해제하여 헤드(226)를 상승시키면 최종적으로 보조 피스톤(224)의 상면이 내통(215a)의 하향 단부(stepped part)(233)에 맞물림과 동시에 보조 피스톤(224)의 맞물림 돌기(232)가 내통의 맞물림 돌기(234)를 뛰어넘어 맞물린 다음, 보조 피스톤(224)의 하면이 스템의 상향 단부(230)에 밀착될 때까지 스템만이 상승한다. 이 때에 보조 피스톤(224)은 스템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관통구멍(229)이 막힌 상태에서 스템은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헤드(226)를 밀어내리면 액압으로 보조 피스톤(224)이 스템(2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관통구멍(229)이 열리나, 각 맞물림 돌기(232, 234) 상호간의 맞물림으로 인해 보조 피스톤(224)은 최상부 위치에서 정지하여 관통구멍(229)이 확실히 열리고, 이어서 스템의 하향 단부(233)가 보조 피스톤의 상면을 맞물린 후에 비로서 각 맞물림 돌기가 해제되어 스템(222)과 함께 보조 피스톤(224)은 하강한다. 또 이 때에 실린더(203)내의 액체는 열린 관통구멍(229)을 통과하여 스템(222)으로부터 토출밸브(241)를 열고 노즐(225)을 거쳐서 외부로 분출된다. 한편 토출밸브체(243)는 액압으로 맞물림 돌기(244)의 선단부까지 밀려 나와 있다.
이어서 헤드(226)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204)가 상승함과 동시에 실린더(203)내의 부압화에 의해 토출밸브체(243)가 밸브좌(242)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를 닫는다. 이 토출밸브(227)가 닫히기 까지의 사이에 스템(222)내의 액체가 관통구멍(229)을 거쳐서 실린더(203)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내의 액체가 스템내로 역류한다. 그 동안에 흡입밸브(209)는 열리지 않는다. 토출밸브(241)가 닫히면 흡입밸브(209)가 열리어 용기체내의 액체가 실린더(203)내로 도입되어, 상하이동부재(204)가 최대 상승위치에 달할 때까지 도입된다.
스템(222)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관통구멍(229)이 막힌 상태로 복귀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도1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20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201)는 장착 캡(202)와, 실린더(203)와, 상하이동부재(20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202)은 실린더(203)를 용기체(205)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206)의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207)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top wall)(208)을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실린더(203)는 상기 장착 캡(202)에 의해 용기체(205)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하단부를 용기체내에 수하하고, 또 내부 하단부에 흡입밸브(209)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203)는 원통형 주벽(210)의 외주 상부로부터 외향의 플랜지(211)를 돌출시키고, 저벽(212)의 중앙에 열린 창구멍 주연부(peripheral dege)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213)를 돌출시키고, 또 저벽(212) 하면 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통부(214)를 돌출시키고 있다. 이 삽입통부(214)에는 흡상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을 끼우고, 그 하단을 용기체내의 하단부로 수하한다.
또 주벽(210)의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2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215)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215)는 실린더(20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거쳐서 삽입한 삽입통부를 도넛판형의 정상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 이 정상판 내주연으로부터 실린더(203)의 내주 상단부에 삽입시킨 내통(215a)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내통(215a)과 실린더(203)의 상단 내면과는 수직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등에 의해 돌지 않게 되어 있고, 또 내통(215a)의 내주 상부에는 상하이동부재를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206)의 상면에 패킹(216)을 통해서 상기 외향의 플랜지(211)를 재치함과 동시에 목부분 외주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 장착 캡(202)의 정벽(208)과 용기체 목부분(206)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211)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흡입밸브(209)는 상기 밸브좌(213)상에 하면을 밀접시켜서 밸브좌(213) 내주연부의 밸브구멍을 막는 흡입밸브부재를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면 주연부를 상기 밸브좌(213) 상면에 밀접하게 테이퍼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면을 연 원통형의 흡입밸브부재(217)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부재(217)는 그 외주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구형판형을 이루는 맞물림 돌기(engagement protrusion)(218)를 돌출시키고, 한편 실린더(203)의 주벽(210)의 내주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돌출한 구형판형의 판 립(219) 상면에 상하이동부재(204)를 상방으로 부세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220)의 하단면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 각 맞물림 돌기(218)가 코일 스프링(220)의 하면에 접촉하기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중의 221은 흡입밸브부재(217)의 외주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한 립을 나타낸다.
상하이동부재(204)는 스템(222)과 환상 피스톤(223)과, 보조 피스톤(224)와, 노즐(225)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226)등을 갖추고 있다.
스템(222)은 상기 실린더(203)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면을 막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또 외주 하부로부터는 외방으로 플랜지(227)를 돌출시키고 있다.
환상 피스톤(223)은 상기 실린더(203)의 내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에 삽입함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스템(222)의 외면 하부에 일체로 연결해서 스템과 일체가 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기부(proximal portion)(223a)의 외주 상하로부터 각각 상향의 스커트형의 상부 슬라이드부(223b) 및 하향 스커트형의 하부 슬라이드부(223c)를 돌출시켜서, 각 슬라이드부를 실린더의 내주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압착하여 삽입하고, 또 상기 스템(222)의 플랜지(227)의 상면 외부 주연으로부터 경사지게 외측 상방으로 세운 연결봉(228)을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고, 그 각 선단을 각각 환상 피스톤(223)의 기부(223a)의 내면 하부에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보조 피스톤(224)은 상기 스템(222)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환상 피스톤(22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또 스템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229)을 개폐가 가능하게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기부(224a)의 내주 상단부로부터 돌출한 상향의 스커트형의 내측 슬라이드부(224b)를 스템(222)의 외주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기부(224a)의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한 하향 스커트형의 외측 슬라이드부(224c)를 상기 환상 피스톤(223)의 기부(223a) 내주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있다. 또 기부(224a)의 내주 하부로부터는 하방으로 원통형 밸브편(224d)을 수직설치함과 동시에 기부의 외주 상부로부터는 원통형의 맞물림통부(224e)를 돌출시켜 구성하고 있다.
한편 스템(222)의 외주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향 단부(230)를 설치하며, 이 단부(230)의 상방 소정 위치에 하향 단부(231)를 설치하고, 상기 원통형 밸브편(224d)의 하면이 상기 상향 단부(230)의 상면에 밀접한 상태로부터 상기 내측 슬라이드부(224b)가 상기 하향 단부(231)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태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상향 단부(230) 및 하향 단부(231)간의 스템 주벽부 하방에 관통구멍(229)이 뚫려 있다.
그리고 상승위치로부터 상하이동부재(204)를 밀어내리면 스템(222)에 대해 보조 피스톤(224)이 액압에 의해(실린더내에 액체가 없는 펌프를 처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공기압으로)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관통구멍(229)이 열리고, 한편 상하이동부재(204)가 상승할 때는 상기 내통(215a)의 하단 가장자리가 보조 피스톤(224)의 맞물림통부(224e)의 상면에 접촉하여 맞물림하고, 또한 스템(222)이 상승합으로써 원통형 밸브편(224d)의 하면이 상향 단부(232)에 밀접하여 관통구멍(229)이 막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의 상기 관통구멍(229)이 막히는 상태에서 상기 보조 피스톤(224)이 실린더(203)에 맞물릴 수 있으며, 또 헤드(226)를 밀어내려서 관통구멍(229)이 열어진 후에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맞물림통부(224e)의 외주 상단부에 맞물림 돌기(232)를 설치하고, 한편 상기 맞물림부재(215)의 내통(215a) 내주 하단부의 소정 위치에 하향의 단부(233)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단부(233)의 하방에 상기 맞물림돌기(232)와 맞물리는 맞물림 돌기(234)를 설치하고, 스템(222)이 상승할 때에 상기 단부(233)의 하면에 맞물림 통부(224e)의 상면이 접촉하여 맞물림과 동시에, 각 맞물림 돌기(232, 234) 상호간이 맞물리고, 또한 스템(222)이 상승하여 원통형 밸브편(224d)의 하단이 상기 상향 단부(23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로써 관통구멍(229)이 막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그 상태로부터 헤드를 밀어내리면 각 맞물림 돌기 상호간이 맞물리어 보조 피스톤(224)은 최초로 확실히 내통(215a)에 맞물리고, 따라서 관통구멍(229)이 확실히 열리고, 이어서 스템(222)의 하향 단부(231)에 의해 내측 슬라이드부(224b)의 상면을 맞물리게 하여 각 맞물림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보조 피스톤(224)은 스템(222)와 함께 하강한다.
또 보조 피스톤(224)은 실린더(203)에 설치한 외기 도입용의 관통구멍(235)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관통구멍(235)은 실린더 주벽부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204)가 상승할 때는 스템(222)과 내통(215a) 사이로부터 이 관통구멍(235)을 거쳐서 부압화한 용기체내로 외기를 도입하고, 스템(222)이 최대 상승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보조 피스톤(224)의 맞물림통부(224e)의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내통(215a)의 하단 가장자리에 기밀하게 접촉하여 용기체 내외를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밀어내림 헤드(226)는 장착 캡(202)의 상방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스템(222)의 상단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어내림 헤드(226)는 정벽의 주연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236)을 가지며, 이 케이싱(236)의 정벽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237)의 하단부를 스템(222)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222)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237)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가 열린 수평통(238)을 케이싱 주벽을 관통하여 그 전방에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238)과 이 수평통의 선단에 끼워 고정시킨 만곡 원통형부재(239)로 노즐(225)을 형성하고 있다. 노즐(225)은 선단을 제외한 전체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싱(236)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237)의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204)를 밀어내릴 때에 상기 맞물림부재(215)의 나사홈과 나사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2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에 수직통(237)의 외주 하단부가 맞물림부재(215)의 내통(215a)의 내면에 설치한 하향 스커트형의 환상 돌편(240) 내주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노즐(225)내에는 토출밸브(241)를 설치하고 있다. 이 토출밸브(241)는 노즐(225)내의 기단부에 설치한 밸브좌(242)를 막는 구슬형 밸브체(243)를 노즐(225)내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기단부에 내향 플랜지형의 밸브좌(242)를 형성하고, 또 노즐(225)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만곡 원통형부재(239)의 수평통(238)내 삽입부분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절삭 홈을 파서 밸브체(243)를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돌기(244)를 노즐 내면의 선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시키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의 하면으로부터 복수의 스프링편(245)을 일체로 돌출시켜서, 상하이동부재(204)의 나사홈을 상기 내통(215a)의 나사홈과 나사 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2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실린더에 맞물릴 때에 상기 각 스프링편(245)이 흡입밸브부재(217)의 정벽 상면에 압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입밸브부재(217)를 확실히 밀어내려서, 수송시등에는 흡입밸브가 확실하게 막히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각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특히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 사용하여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는 상기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밀어내림 헤드식 종류의 펌프이면, 그 펌프의 구체적 구조는 여러가지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노즐을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노즐내 기단부에 설치한 밸브좌를 막는 구슬형 밸브체를 노즐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한 토출밸브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액압에 의해 노즐 전방으로 밀려나온 밸브체는 그 자중으로 즉시 밸브좌로 복귀하는 일이 드물며, 대개는 액체의 흐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밸브좌로부터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거리를 크게 취해두면 역류량도 많아져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종래품의 극히 일부만을 구조 변경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는 실린더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을 삽입함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가 유통할 수 있도록 스템의 외면 하부에 연결한 환상 피스톤과,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외주면을 환상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또 스템의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보조 피스톤과, 노즐내의 기단부에 설치한 밸브좌를 막는 구슬형 밸브체를 노즐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한 토출밸브를 갖추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어진 관통구멍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를 거쳐서 노즐로부터 분출시키고, 헤드 상승시에는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하고, 또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에 의한 관통구멍이 막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분출한 후에 헤드가 상승할 때에 토출밸브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에 스템내의 액체가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실린더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내의 액체가 스템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보다 양호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액체의 건조 고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실린더 내주를 슬라이드하는 환상 피스톤과,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보조 피스톤을 설치하였으므로 스템의 상하 이동의 안내도 겸비할 수 있는 환상 피스톤을 두께가 두텁게 할 수가 있어서, 스템의 안정한 상하 이동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 사용시에 잘못해서 용기를 넘어뜨려도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보조피스톤이 관통구멍을 막고 있으므로 노즐 선단으로부터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템(222)의 최대 상승위치의 상기 관통구멍(229)이 막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피스톤(224)이 실린더와 맞물릴 수 있으며, 또 헤드(226)를 밀어내림으로써 관통구멍(229)이 열어진 후에 맞물림이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서는, 최초에 용기체에 장착되어 아직 실린더내에 공기가 존재할 경우에 헤드를 밀어내릴 때에 보조 피스톤이 공기압에 의해 스템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지 않는 결점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체 목부분에 삽입시킨 장착 캡(3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309)를 설치한 실린더(303)와, 이 실린더(303)내에 삽입시킨 환상 피스톤(322)를 외주 하부로부터 상방 부세상태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스템(323)과, 이 스템(32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장착 캡(3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324)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325)와, 상기 스텝(323)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331)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토출밸브(326)를 갖추며, 상기 스템(323) 및 밀어내림 헤드(325)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304)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309)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함과 동시에, 실린더(303)내의 액체를 스템(323)으로부터 토출밸브(326)를 거쳐서 노즐(324)로부터 분출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324)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여기서는 상기 흡입밸브(309)를, 탄성부재(316)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밸브체를 갖는 흡입밸브(309)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흡입밸브(309)를, 상기 실린더(303)내의 하단부에 하단 주위를 끼워 고정시켜서 실린더(303) 하단의 구멍을 막는 슬릿(336) 부착의 돔형 밸브판(337)으로 구성한 흡입밸브(309)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흡입밸브(309)를, 상기 실린더(303)내의 하단부에 하단 주위를 끼워 고정시켜서 실린더(303) 하단의 구멍을 막으며 하단면이 열린 중공 원추사다리형의 기부(339)와, 이 기부(339)의 주벽에 뚫은 창구멍(340)을 액밀하게 막으며 기체 주먹의 외주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밀착해서 끼운 탄성통(341)으로 구성한 흡입밸브(309)이어도 좋다.
점성을 갖는 액체를 수납한 용기체(305)에 장착해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12의 상태로부터 상하이동부재(304)의 나사 체결부분을 해제하여 헤드(325)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헤드(325)를 밀어내리면 실린더(303)내가 가압되어 실린더(303)내의 액체는 스템(323)내를 통과하여 토출밸브(326)를 열어서 헤드의 수직통(328) 부분으로부터 노즐(324)을 거쳐 외부로 분출된다. 이 때에 토출밸브체(331)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304)가 상승하고, 실린더(303)내가 부압화하여 토출밸브체(331)가 상하이동부재(30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밸브구멍을 막는다. 그 사이에 수직통(328)내의 액체가 실린더(303)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324)의 액체가 수직통(328)내로 역류한다. 토출밸브(326)가 막히면 실린더(303)내의 부압에 의해 흡입밸브(309)가 열리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309)를 거쳐서 실린더(303)내로 도입한 후에 흡입밸브가 닫힌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4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409)를 설치한 실린더(403)와,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439)로 막은 토출밸브(427)를 설치한 스템(422)과, 상기 실린더(40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을 끼움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스템(422)의 외면 하부에 연결한 환상 피스톤(423)과, 상기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움과 동시에 외주면을 상기 환상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한 스템의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431)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의 보조 피스톤(424)과, 상기 스템의 상단에 장착 캡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노즐(425)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426)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431)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427)를 거쳐서 노즐(425)로부터 분출시켜서, 밀어내림 헤드(426)의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409)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424)에 의한 관통구멍(431)의 막힘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425)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439)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439)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439)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여도 좋다.
또 상기 흡입밸브(409)를 구성하는 흡입밸브부재(417)를 항상 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부세하여도 좋다.
또 상기 보조 피스톤(424)을 스템(422)에 대해 항상 상방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스템(422)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424)에 의한 관통구멍의 막힘이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스템(422)의 최대 상승위치의 상기 관통구멍(431)이 막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피스톤(424)이 실린더(403)와 맞물릴 수 있으며, 또 헤드(426)를 밀어내려서 관통구멍(431)이 열려진 후에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점성을 갖는 액체를 수납한 용기체(405)에 장착해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20의 상태로부터 상하이동부재(404)의 나사 체결부분을 해제하여 헤드(426)를 상승시키면, 최종적으로는 보조 피스톤(424)의 상면이 내통(415a)의 하면에 맞물리어 스템(422)만이 상승하여, 보조 피스톤(424)의 하면이 스템의 상향 단부(432)의 상면에 밀접할 때까지 상승한다. 이 때에 보조 피스톤(424)은 스템(42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관통구멍(431)이 막힌 상태에서 스템(422)은 정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헤드(426)를 밀어내리면 보조 피스톤(424)은 액압으로 스템(4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관통구멍(431)이 열림과 동시에 실린더(403)내의 액체는 열린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스템(422)으로부터 토출밸브(427)를 열어서 노즐(425)을 거쳐 외부로 분출된다. 이 때에 토출빌브체(439)는 액압에 의해 맞물림판(441)의 하면까지 밀어올려져 있다.
이어서 헤드(426)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404)가 상승함과 동시에 실린더(403)내의 부압화에 의해 토출밸브체 (439)가 상하이동부재(40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밸브가 열린다. 이 토출밸브(427)가 닫힐때 까지의 사이에 스템(422)내의 액체가 관통구멍(431)을 거쳐서 실린더(403)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토출밸브체(439)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토출밸브 상류의 스템(422)내로 역류하고, 또한 노즐(425)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한다. 그 동안에 흡입밸브(409)는 열리지 않는다. 토출밸브(427)가 닫히면 흡입밸브(409)가 열리어 용기체내의 액체가 살린더(403)내로 도입되어 상하이동부재(404)가 최대 상승위치에 달할 때까지 도입된다.
스템(422)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관통구멍(431)이 막히는 상태로 복귀한다.
액체의 누출이 없고, 또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액체분출펌프로서의 본 발명은 용기체 목부분에 삽입한 장착 캡(502)과, 이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한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409)를 설치한 실린더(503)와, 이 실린더내에 삽입한 환상 피스톤(520)을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시키고 장착 캡(5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522)이 부착된 누러내림 헤드(523)와, 상기 스템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좌(529)상에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530)를 갖는 토출밸브(524)를 갖추며, 상기 스템 및 밀어내림 헤드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504)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를 거쳐서 노즐로부터 분출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내의 하단에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스템내에 돌출시킨 막대형부재(505)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504)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토출밸브의 밸브좌(529)의 하방위치에 있으며,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서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밸브좌(529)의 상방으로 주위에 간격을 두어 돌출하고, 상하이동부재(504)의 상승시에 상기 간격을 거쳐서 토출밸브 하류의 액체가 토출밸브의 상류로 역류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로 구성하였다.
또 상기 흡입밸브는 탄성부재(539)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밸브체(519)를 갖는 흡입밸브(510a)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흡입밸브는 토출밸브체(530)의 2배 이상의 중량의 흡입밸브체(519b)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31의 상태로부터 헤드(523)를 밀어내리면 실린더(503)내가 가압되어 실린더(503)내의 액체는 스템(521)내를 통과하여 토출밸브(524)를 열어서 헤드(523)의 수직통(526)의 부분으로부터 노즐(522)을 거쳐서 외부로 분출된다. 이 때에 토출밸브체(530)는 실린더(503)내의 액압 및/또는 막대형부재(505)를 밀어올림으로써 맞물림 막대(531)의 하면까지 밀어올려진다. 이어서 헤드(523)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528)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504)가 상승하여, 실린더(503)내가 부압화하고 토출밸브체(530)가 상하이동부재(50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밸브구멍을 막으나, 막대형부재(505)의 선단이 밸브좌(529)의 하방으로 물러갈 때까지는 밸브체(530)가 닫히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이 동안에 수직통(526)내의 액체가 확실히 실린더(503)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522)내의 액체가 수직통(526)내로 역류한다.
토출밸브(524)가 닫히면 실린더(503)내의 부압에 의해 흡입밸브(510)가 열리어 용기체내의 액체가 흡입밸브(510)를 거쳐서 실린더(503)내로 도입되고, 그 후에 흡입밸브가 닫힌다.
상기와 같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나, 액체를 역류시키는 속도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보다 양호하게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량의 여지가 있다.
양호하게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액체분출펌프를 제공하는 본 발명은 용기체 목부분에 끼운 장착 캡(6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하단부를 용기체내에 수하한 실린더(603)와, 이 실린더내의 하부에 설치한 밸브좌(613)상에 하면을 밀착하여 흡입밸브(617)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상방으로 세운 막대형의 흡입밸브부재(605)와, 이 부재(605)의 외주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 주연을 끼운 환상 밀봉부(627)를 내주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시켜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622)과, 상기 스템의 외부 주연 하단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움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실린더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한 스템의 하단부에 뚫은 관통구멍(631)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 피스톤(623)과, 상기 스템(622)의 상단에 장착 캡(6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노즐(624)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625)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631)을 거쳐서 실린더(603)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노즐로부터 분출시켜서, 밀어내림 헤드(625)의 상승시에는 관통구멍(631)이 막힘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템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637)로 막은 토출밸브(626)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밸브부재(605)의 외주에 액체 역류용의 수직 홈(640)을 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를 제공한다.
또 상기 노즐(624)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637)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637)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637)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여도 좋다.
또 상기 흡입밸브부재(605)를, 탄성부재(641)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흡입밸브부재(605)로 하여도 좋다.
점성을 갖는 액체를 수납한 용기체(606)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35의 상태로부터 상하이동부재(604)의 나사 체결부분을 해제하여 헤드(625)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헤드(625)를 밀어내리면 실린더(603)가 가압되어, 실린더(603)내의 액체는 환상 피스톤(626)을 밀어올려서 열려진 관통구멍(631)을 통과하여, 스템(622)로부터 토출밸브(626)를 열어서 노즐(624)을 거쳐서 외부로 분출된다. 또 실린더(602)내의 액체는 흡입밸브부재(605)의 수직 홈(640)을 거쳐서도 스템(622)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이 때에 토출밸브체(637)는 액압으로 맞물림 막대(639)의 하면까지 밀어올려진다.
이어서 헤드(625)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6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604)가 상승함과 동시에 환상 피스톤(623)이 스템(62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관통구멍(631)을 막고, 실린더(603)내의 부압화에 의해 토출밸브체(637)가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626)가 닫힌다. 이 사이에 토출밸브체(627)가 상하 이동하는 부분의 유로내의 액체가 밸브좌(638) 상류의 스템(622)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624)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한다. 또 스템(622)내의 액체는 흡입밸브부재(605)의 수직 홈(640)을 통과하여 실린더(603)내로 역류한다. 한편 실린더(603)내의 부압화에 의해 흡입밸브(617)가 열리고, 용기체내의 액체가 흡입밸브(617)를 거쳐서 실린더(603)내로 도입된다. 토출밸브(626)가 열린 후의 흡입밸브(617)를 거쳐서 용기체내의 액체가 실린더(603)내로 도입되어 상하이동부재(604)가 최대 상승위치에 달할 때까지 도입된다.
액체의 누출이 없고, 또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액체분출펌프인 본 발명은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7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714)를 설치한 실린터(703)와,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722)로 막은 토출밸브체(721)를 설치한 하단면이 막힌 스템(717)과, 이 스템의 외주 하단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실린더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또한 스템 하단부에 뚫은 관통구멍(728)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 피스톤(718)과, 상기 스템의 상단에 장착 캡의 상방을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노즐(719)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720)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728)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721)를 거쳐서 노즐(719)로부터 분출시켜서, 밀어내림 헤드(720)가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714)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피스톤(718)을 스템에 대해 상시 상방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관통구멍(728)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를 제공한다.
또 상기 노즐(719)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72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722)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722)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여도 좋다.
점성을 갖는 액체를 수납한 용기체(705)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도42의 상태로부터 상하이동부재(704)의 나사 체결부분을 해제하여 헤드(720)를 상승시키고, 상승한 헤드(720)를 밀어내리면 실린더(703)가 가압되어, 실린더(703)내의 액체는 열려진 관통구멍(728)을 통과하여, 스템(717)로부터 토출밸브(721)를 열어서 노즐(719)을 거쳐서 외부로 분출된다. 또 이 때에 토출밸브체(722)는 액압으로 맞물림판(736)의 하면까지 밀어올려진다.
이어서 헤드(720)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727)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704)가 상승함과 동시에 실린더(703)내의 부압화에 의해 토출밸브체(722)가 상하이동부재(70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721)가 닫힌다. 이 사이에 토출밸브체(722)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밸브좌 상류의 스템(717)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624)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한다. 또 스템(719)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한다. 또 스템(717)내의 액체는 관통구멍(728)을 통과하여 실린더(703)내로 역류한다. 한편 실린더(702)내의 부압화에 의해 흡입밸브(714)가 열리어 용기체내의 액체가 흡입밸브(714)를 거쳐서 실린더(703)내로 도입된다.
토출밸브(721)가 닫힌 후에도 흡입밸브(714)를 거쳐서 용기체내의 액체가 실린더(703)내로 도입되어, 스템(717)이 최상위치에 달할 때까지 도입된다. 스템(717)의 최대 상승 위치에서는 환상 피스톤(718)이 맞물림부재(712)의 내통(712a)의 하면에 맞물리어, 환상 피스톤(718)은 코일 스프링(730)의 부세에 대향해서 상대적으로 하강하고, 관통구멍(728)이 막힌다.
본 발명은 액체의 누출이 없고, 또한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액체분출펌프로서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8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814)를 설치한 실린터(803)와,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826)로 막은 토출밸브체(824)를 설치한 스템(820)과, 이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실린더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또한 스템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836)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 피스톤(821)과, 상기 스템의 상단에 장착 캡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822)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823)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836)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824)를 거쳐서 노즐(822)로부터 분출시켜서, 밀어내림 헤드(823)의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814)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템내로부터 실린더내로 일방적으로 통하게 하는 체크밸브(825)를 스템의 하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로서 구성하였다.
또 상기 노즐(822)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826)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826)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826)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여도 좋다.
또 상기 체크밸브(825)는 스템의 저벽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하면을 막는체크밸브판(832)을 스템의 하단에 삽입하여 고정한 원통형 기부(83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시킨 복수의 막대형 탄성부(833)에 의해 일체로, 그리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한 체크밸브(825)이며, 상기 흡입밸브(814)가 실린더내의 하단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의 상면을 막는 흡입밸브판(815)을 실린더내의 하단부에 삽입하여 고정한 원통형 기부(816)의 내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시킨 복수의 막대형 탄성부(817)에 의해 일체로, 그리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한 흡입밸브(814)이며, 또한 체크밸브(825)의 밸브를 여는 데 필요한 압력이 흡입밸브(814)의 밸브를 여는 데 필요한 압력보다 적은 액체분출펌프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체크밸브판(832)의 하방 소정 위치 및 상기 흡입밸브판(815)의 상방 소정 위치에 각 밸브판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는 맞물림 돌기(845, 846)를 각각 돌출시킨 청구항 27 기재의 액체분출펌프로 구성하여도 좋다.
점성을 갖는 액체를 수납한 용기체(805)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47의 상태로부터 상하이동부재(804)의 나사 체결부분을 해제하여 헤드(823)를 상승시키면, 환상 피스톤(821)이 스템(8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관통구멍(836)이 막힌 상태에서 최대 상승위치까지 상승한다. 또 스템(820)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환상 피스톤(821)이 맞물림부재(812)의 내통(812a) 하면에 맞물린다.
이 상태로부터 상승한 헤드(823)를 밀어내리면 환상피스톤(821)은 스템(8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관통구멍(836)이 열림과 동시에 실린더(803)내에 가압되어 실린더(803)내의 열린 관통구멍(836)을 통과하여, 스템(820)으로부터 토출밸브(824)를 열고 노즐(822)을 거쳐서 외부로 분출된다. 또 이 때에 토출밸브체(826)는 액압으로 맞물림판(844)의 하면까지 밀어올려진다.
이어서 헤드(823)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8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이동부재(804)가 상승함과 동시에 다시 관통구멍(836)이 막히고, 실린더(603)내의 부압화에 의해 체크밸브(825)가 열리어 스템(820)내의 액체가 실린더내로 역류함과 동시에, 토출밸브체(826)가 상하이동부재(80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한다. 또한 토출밸브가 닫히기까지의 사이에 스템(820)내의 액체가 체크밸브(825)를 거쳐서 실린더(803)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토출밸브체(826)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토출밸브 상류의 스템(820)내로 역류하며, 또한 노즐(822)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한다.
토출밸브체(826)가 밸브좌(843)에 도달하여 토출밸브(824)가 닫히면 체크밸브(825)도 닫히며, 흡입밸브(814)를 열어서 용기체내의 액체가 실린더(803)내로 도입되고(체크밸브(825) 및 흡입밸브(814)의 밸브를 여는 데 필요한 압력에 따라 약간 달라서, 체크밸브(825)와 흡입밸브(824)가 동시에 열릴 가능성이 있다), 상하이동부재(804)가 최대 상승 위치에 달할 때까지 도입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용기체 목부분의 외면에 끼운 장착통(902)으로부터 저부의 내면에 흡입밸브(907)를 갖는 실린더(903)을 용기체내에 수하하고, 이 실린더(903)내로부터 상방으로 부세하여 토출밸브가 부착된 작동부재(930)를 세우고, 이 작동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실린더내로 흡입하고, 또 이 실린더내의 액체를 작동부재 상단의 밀어내림 헤드(931)가 갖는 노즐(934)로부터토출하게 설치한 펌프식 액체 토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내 저부의 흡입밸브(907)를 밸브체(911)가 밸브구멍(910)을 탄성으로 막는 자폐밸브로 형성함과 동시에, 작동부재(930)를 상기 밀어내림 헤드(930)와, 이 밀어내림 헤드에 상단부를 고착시켜서 수하하는 원통형부(936)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플랜지(937)를 거쳐서 소정 실린더(938)를 수하하는 스템(935)과, 상기 원통형부(936)내로 상부를 고착시켜서 수하하는, 외면에 유로형성 홈(941)을 수직으로 설치한 막대형부(942)의 하단에 대경의 사다리판형부(943)를 부설한 하부재(940)와, 상기 막대형부의 외면에 스템의 외향 플랜지(937)와 사다리판형부(943) 사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내통부(951)를 끼운 원통형 피스톤(950)으로 형성하고, 이 원통형 피스톤은 플랜지로 연결한 3중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외통부(953)를 실린더내의 벽면에, 중통부(952)의 상부를 소경 실린더(938)내의 벽면에 각각 수밀하게 끼워고, 또한 중통부의 상부내의 유로형성 홈(941)을 서로 통하게 하며, 또 중통부(952)의 하단부와 사다리판형부(943)의 외주부로 토출밸브(944)를 형성하고, 또한 실린더(903)내의 벽면에 대한 원통형 피스톤(950)의 마찰저항을 막대형부(942)와 소경 실린더(938)에 대한 마찰저항보다 크게 한 점이다.
작동부재(930)의 상승상태에서 원통형 피스톤(950)은 하부재(940)에 대해 하강위치에 있으며, 토출밸브(944)는 막힌 상태로부터 밀어내림 헤드(931)를 밀어내리면, 우선 실린더(930)내의 벽면에 외통부(953)를 압접하는 원통형 피스톤(950)에 대해 스템(935) 및 하부재(940)가 하강하고, 이 하강에 의해 토출밸브(944)가 열리어, 스템(935)의 소경 실린더(938)의 하단이 원통형 피스톤(950)에 접함으로써 원통형 피스톤(950)과 함께 하강하고, 실린더내의 액체는 스템내를 통과하여 노즐(934)로부터 토출한다.
작동부재의 하강상태로부터 밀어내림 헤드(931)를 해방하면 코일 스프링(925)이 밀어올려져 원통형 피스톤(950)은 정지한 채로, 스템(935)과 하부재(940)이 우성 상승하여, 토출밸브(944)가 막힌 후에, 원통형 피스톤(950)과 함께 상승하고, 이 상승시에 흡입밸브(907)가 열리어 실린더내로 액체가 흡입된다.
그런데 작동부재(930)의 하강상태로부터 작동부재의 상승에 의해 도59와 같이 토출밸브(944)가 막힐 때까지의 사이에는 정지한 채로의 원통형 피스톤(950)에 대해 스템(935) 및 하부재(940)가 상승하기 때문에, 그리고 원통형 피스톤(950)의 중통부(952)의 상부는 소정 실린더(938)내의 벽면으로 수밀하게 눌리어 접하고 있기 때문에, 원통형 피스톤(950)의 하단으로부터 스템(935)의 상단까지의 액체 유출부분내의 용량이 증대하게 된다. 흡입밸브(907)는 토출밸브(944)가 막힐 때까지는 막힌 채로 있기 때문에, 상기 용량증대분 만큼 노즐구멍(933)내의 액체는 스템내로 재흡입된다.
본 발명은 액체분출펌프의 각종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점도의 액체의 분출에 적절한 펌프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
도2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부재 밀어내림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도3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부재 상승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도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부재 최대 상승위치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5는 상기 실시예의 도1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
도7은 종래의 펌프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 최대 상승위치에서의 설명 단면도.
도10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를 밀어내릴 때의 설명 단면도.
도11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가 상승할 때의 설명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3은 상기 실시예의 밀어내림 헤드부분의 설명도.
도14는 상기 실시예의 액체의 분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17은 상기 실시예의 흡입밸브부재 및 고정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19는 상기 실시예의 흡입밸브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20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1은 상기 실시예의 밀어내림 헤드부분의 설명도.
도22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 최대 상승위치에서의 설명 단면도.
도23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를 밀어내릴 때의 설명 단면도.
도24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가 상승할 때의 설명 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6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 최대 상승위치에서의 설명 단면도.
도27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를 밀어내릴 때의 설명 단면도.
도28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가 상승할 때의 설명 단면도.
도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0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 최대 상승위치에서의 설명 단면도.
도3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2는 상기 실시예의 액체의 분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35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6은 상기 실시예의 밀어내림 헤드부분의 설명도.
도37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를 밀어내릴 때의 설명 단면도.
도38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가 상승할 때의 설명 단면도.
도39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 최대 상승위치의 설명 단면도.
도40은 상기 실시예의 흡입밸브부재의 횡단면도.
도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2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3은 상기 실시예의 밀어내림 헤드부분의 설명도.
도44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를 밀어내릴 때의 설명 단면도.
도45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가 상승할 때의 설명 단면도.
도46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 최대 상승위치의 설명 단면도.
도47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8은 상기 실시예의 흡입밸브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49는 상기 실시예의 체크밸브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50은 상기 실시예의 밀어내림 헤드부분의 설명도.
도51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 최대 상승위치에서의 설명 단면도.
도52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를 밀어내릴 때의 설명 단면도.
도53은 상기 실시예의 헤드가 상승할 때의 설명 단면도.
도54는 상기 실시예의 헤드가 더욱 상승할 때의 설명 단면도.
도5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6은 상기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57은 본 발명 용기의 반단면도.
도58은 작동부재 밀어내림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
도59는 도58의 상태로부터 작동부재가 약간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
도60은 본 발명 용기에 사용하는 흡입용 밸브부재의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1)는 장착캡(2)과, 실린더(3)와, 상하이동부재(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2)은 실린더(3)를 용기체(5)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6)의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7)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8)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3)는 상기 장착 캡(2)에 의해 용기체(5)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9)를 설치하고 있다.
또 실린더(3)내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립(10)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각 립의 상면 내측에 내측면 및 상면이 열린 계단형의 맞물림 오목부(11)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3)는 외주의 상부로부터 외향으로 플랜지(12)를 돌출시키고, 또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통부(1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삽입통부(13)에는 흡상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을 끼워 고정시키고, 그 하부를 용기체내의 하단부에 수하한다.
또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14)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14)는 실린더(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통해서 삽입시킨 내통(15)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또 정벽 내주연으로부터 실린더(3)내의 상부에 끼운 내통(15)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내통(15)과 실린더(3)의 상단 내면과는 수직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등에 의해 돌지 않게 되어 있고, 또 내통(15)의 내주에 상하이동부재를 나사 체결시키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6)의 상면에 패킹(16)을 통해서 상기 외향 플랜지(12)를 재치함과 동시에 목부분의 외주에 나사 체결한 장착 캡(2)의 정벽(8)과 용기체 목부분(6)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흡입밸브(9)는 실린더(3)내의 하단부에 돌출시킨 밸브좌(17)상에 구슬형 밸브체(18)를 재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3)내의 하부에는 원통형부재(19)를 장치하고 있다. 이 원통형부재(19)는 원통형의 주벽(20) 외주 하단 가장자리에 플랜지(21)를 설치하고, 또 주벽(20)내의 상부에는 정벽(22)을 설치해서, 정벽 하방의 주벽(20)에 창구멍(23)을 뚫은다. 또 정벽(22) 하방의 주벽(2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중심에 이르는 3개의 방사벽(24)을 설치해서, 각 방사벽(24)의 하면에 각각 절삭부(25)를 판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1)를 실린더(3)에 설치한 각 립(10)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11)의 하단부에 삽입하여 원통형부재(19)를 고정하고 있다.
또 원통형부재(19)의 상기 각 절삭부(25)내에 상단을 삽입한 코일형의 보조 스프링(26)의 하단을 흡입밸브(9)의 밸브체(18)의 상면에 접촉시켜 맞물리게 하고, 이 밸브체(18)를 항상 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 보조 스프링(26)은 후술하는 상하이동부재를 상방으로 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에 비해서 그 탄성력은 적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이동부재의 상승에 따른 실린더내의 부압에 의해 밸브가 열릴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하고 있다. 이 보조 스프링(26)의 존재에 의해 외기온도의 상승등에 따라 생기는 용기체내 공기의 팽창에 의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하이동부재(4)는 상기 실린더내에 삽입한 환상 피스톤(27)을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실린더(3)내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28)과, 이 스템(28)의 상단에 끼운 노즐(29)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30)를 갖추고 있으며, 스템(28)내의 상부에 토출밸브(31)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어내림 헤드(30)는 정벽 주연으로부터 주벽을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을 가지며, 이 케이싱의 정벽 하면의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32)의 하단을 스템(28)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28)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32)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를 열은 수평통(33)을 케이싱 주벽을 관통하여 그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33)을 노즐(29)로서 구성하고 있다. 노즐(29)은 기단부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또 케이싱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32)의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고, 상하이동부재(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그 때에 스템(28)의 내주 하단부가 상기 원통형부재 주벽(20)의 외주 상부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수직통(32)의 외주 하단부에 맞물림부재(14)의 내통(15) 하부에 설치한 축경부(reducible diameter portion)(34)의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토출밸브(31)는 스템(28)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35)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28)내의 상부에 밸브좌(36)를 돌출시킴으로써 그 중심에 밸브구멍을 형성하고, 밸브좌(36)상에 구슬형의 밸브체(35)를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31)를 구성하고 있다. 또 밸브체(35)는 상기 케이싱의 정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맞물림판(37)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4)는 코일 스프링(38)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28)의 하단면에 상단을 삽입하여 맞물리게 함과 동시에 하단을 상기 맞물림 오목부(11)상에 삽입 고정시킨 플랜지(21)의 상면에 맞물리게 하여 코일 스프링(38)을 장착하고 있으며, 도3과 같이 이 스프링(38)의 하단 내의 양측을 액체가 유통할 수 있게 하는 액체유통로(50)가 형성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부재(19)가 없으며, 코일 스프링(38)의 하단은 직접 립(10)의 맞물림 오목부(11)의 하단에 삽입하여 맞물려 있다. 또 각 립(10)의 내면에는 흡입밸브체(18)의 상승을 규제하는 돌기부(39)를 돌출시켜 구성하고 있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같은 부호를 붙여둔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 각 립(10)에 설치한 맞물림 오목부(11)는 내측면 및 상면이 열린 맞물림 오목부(11)로서 구성하고 있으나, 원통형부재(19)가 없는 경우에는 상면만이 열린 절삭 홈형 오목부이어도 좋으며, 요는 코일 스프링(38) 하단의 내외 양측을 액체가 유통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면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각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특히 탄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하여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상하이동부재를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 내외 양측을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흡입밸브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액체가, 특히 스프링의 외측을 곧바로 상승하여 실린더 상부로 액체가 신속히 상승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하이동부재의 상승이 더디게 되는 등의 결점이 없어서, 신속한 상하이동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하이동부재의 작동저해가 현저한 4000cps 이상의 고점도의 액체를 수납하여 분출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상하이동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종래 펌프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얻어지는 이점도 겸비하고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4)를 밀어내려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11)를 내측면 및 상면이 열린 맞물림 오목부(11)로서 구성하고, 각 맞물림 오목부(11)의 하단부에 끼워 고정한 플랜지(21)를 정상부가 덮힌 주벽(20)의 하단 외주로부터 돌출시킴과 동시에 주벽(20)에 내외를 서로 통하게 하는 창구멍(23)을 뚫고, 또한 주벽(20)의 상단 외주를 밀어내려서 맞물림상태의 스템의 하단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 가능하게 구성한 원통형부재(19)를 설치한 액체분출펌프에서는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스템의 하단부가 액밀하게 막히기 때문에 용기를 잘못해서 넘어뜨려도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상하이동부재의 신속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원통형부재(19)와 흡입밸브(9)의 밸브체(18) 사이에 보조 스프링(26)을 개재시켜서 흡입밸브체(18)를 항상 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시킨액체분출펌프에서는 상기 효과에 부가해서 펌프를 장착한 용기체내의 공기가 외기온도의 상승등으로 팽창하는 일이 있어도 흡입밸브가 열리지 않으며, 따라서 액체의 누출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30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301)는 장착 캡(302)와, 실린더(303)와, 상하이동부재(30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302)은 실린더(303)를 용기체(305)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306)의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307)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308)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303)는 상기 장착 캡(302)에 의해 용기체(305)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 밸브(309)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303)는 원통형 주벽(310)의 외주 상부로부터 외향의 플랜지(311)를 돌출시키고, 저벽(312)의 중앙에 열린 창구멍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통부(313)를 돌출시키고 있다. 이 삽입통부(313)에는 흡상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을 끼우고, 그 하부를 용기체내의 하단부에 수하한다. 또 주벽(310)의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3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314)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314)는 실린더(30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거쳐서 삽입시킨 삽입통부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내방으로 플랜지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내의 주연부로부터 실린더(303)내의 상부에 삽입시킨내통(314a)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내통(314a)과 실린더(303)의 상단 내면과는 수직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등에 의해 돌지 않게 되어 있고, 또 내통(314a)의 내주에 상하이동부재를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306)의 상면에 패킹(315)을 통해서 상기 외향의 플랜지(311)를 재치함과 동시에 목부분 외주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 장착 캡(302)의 정벽(308)과 용기체 목부분(306)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311)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흡입밸브(309)는 탄성부재(316)에 의해 항상 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밸브체(317)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을 이루는 고정통(318)의 주벽 하단 외주로부터 플랜지를 돌출시키고, 이 플랜지를 상기 실린더의 저벽(312) 및 주벽(310)의 하단부에 끼워 고정시켜서, 이 고정통(318)의 정벽 이면 중앙으로부터 탄성부재(316)인 파상판형의 스프링(316a)를 일체로 돌출시키고, 이 판 스프링(316a)의 하단부에 포탄형의 밸브체(317a)를 하향으로 일체가 되게 수직으로 설치해서, 이 밸브체(317a)를 실린더 저벽(312) 중앙의 창구멍 주연으로부터 돌출한 밸브좌(319)에 접촉시켜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통(318)의 주벽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수직 절삭홈(320)을 파서 통 내외의 액체의 유통을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흡입밸브를 거쳐서 흡상된 액체를 이 절삭 홈(320)을 거쳐서 실린더(303)내로 도입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 고정통(318)의 상면 주연부로부터상하이동부재(304)를 밀어내려서 맞물린 상태에서 그 스템의 하단 내면이 액밀하게 삽입하는 밀봉통(321)을 설치하고 있다.
상하이동부재(304)는 상기 실린더내에 삽입한 환상 피스톤(322)을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실린더(303)내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323)과, 이 스템(323)의 상단에 끼운 노즐(324)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325)를 갖추며, 스템(323)내의 상부에는 토출밸브(326)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어내림 헤드(325)는 정벽의 주연으로부터 주벽을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327)을 가지며, 이 케이싱(327)의 정벽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328)의 하단을 스템(323)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323)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328)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가 열린 수평통(329)를 케이싱의 주벽을 관통하여 그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329)을 노즐(324)로서 구성하고 있다. 노즐(324)은 기단부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싱(327)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328)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고, 상하이동부재(304)를 밀어내릴 때에 상기 맞물림부재(314)의 나사홈과 나사 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3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그 때에 스템(323)의 내주 하단부가 상기 밀봉통(321)의 외주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수직 원통(328)의 외주 하단부가 맞물림부재(314)의 내통(314a) 하부에 설치한 직경 축소부의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환상 피스톤(322)의 부착 기부 하면과 상기 고정통(318)의 플랜지 상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330)을 개재시키고, 상하이동부재를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토출밸브(326)는 스템(323)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331)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323)내의 상부에 내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332)를 돌출시킴으로써 그 중심에 밸브구멍을 형성하고, 밸브좌(332)상에 구슬형 밸브체로 된 밸브체(331)를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326)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331)는 상기 케이싱(327)의 정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맞물림 막대(333)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노즐의 길이, 내경, 스템 및 헤드 수직통의 내경 및 토출밸브체의 체적등이 종래품과 마찬가지일 경우에는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 폭을 종래품보다 소정 양만큼 대폭적으로 넓게 구성하여 노즐로부터의 액체 누출등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노즐(324)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고 있다. 이 규제에 의한 토출밸브체(331)의 실제의 상하 이동 폭은 노즐의 길이및 내경, 스템(323)의 내경등에 따라 다르나, 5mm∼30mm 정도이며, 종래의 이와 같은 펌프에 비해 커진다. 특히 10mm 이상의 폭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펌프는 점성이 높은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것들은 예를 들어 500cps∼8000cps 정도의 점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점성이 높은 액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액압으로 밀어올려진 토출밸브체(331)는 그 자중으로 즉각적으로 밸브좌(332)상에 낙하하는 일은 드물고, 액체의 점도, 밸브체 중량등에 따라 약간 다르나, 대략 액체의 흐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체의 유속과 밸브체의 이동 속도간에는 그다지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또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 폭을 상기한 조건으로 설정함으로써 상하이동부재(304)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배출한 후에 상하이동부재(304)가 상승할 때에는 부압화하는 실린더(303)내에 수직통(328)내의 액체가 역류하고, 나아가서는 노즐(324)내의 액체가 수직통(328)내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크기 때문에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수직통내로 역류하여,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 누출, 혹은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서 흡입밸브의 구조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포탄형의 밸브체 대신에 구슬형의 흡입밸브체(317b)를 사용하고, 또 상기 고정통(318)의 정벽 이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막대형 돌기(334)의 외주에 상단부를 삽입한 탄성부재(316)인 코일 스프링(316b)의 하단을 상기 밸브체(317b)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있다. 또 상기 밀봉통(321) 대신에 막대형 돌기(335)를 고정통의 정벽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상하이동부재(304)를 부세에 대항해서 밀어내릴 때에 이 돌기(335)의 외주에 스탬내의 원주면이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타의 구성은 살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16 및 도1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밸브(309)가 상기 실린더(303)내의 하단부에 하단 주위를 끼워 고정시켜서 실린더(303)의 하단 구멍을 막는 슬릿(336)이 있는 돔형 밸브판(337)으로 된 흡입밸브(309)로서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6 및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돔형 밸브판(337)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플랜지를 설치하고, 돔형 밸브판(337)의 중앙부를 횡단하는 슬릿(336)이 있는 밸브재(338)를 갖추고, 한편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고정통(318)을 갖추어, 고정통(318)의 플랜지 하면과 실린더 저벽(312) 사이에 플랜지를 끼워서 밸브재(338)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303)내가 부압화할 때에는 액압으로 슬릿(336)이 열리어 용기체내의 액체가 실린더(303)내로 도입되고, 한편 실린더(303)내가 가압될 때에는 슬릿(336)은 열리지 않고 실린더(303)내와 용기체내가 차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타의 구조는 상기 도12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18 및 도19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303)내의 하단부에 하단 주위를 끼워 고정시켜서 실린더(303)의 하단 구멍을 막는 하단면이 열린 중공 원추 사다리꼴 기부(339)와, 이 기부(339)의 주벽에뚫은 창구멍(340)을 액밀하게 막아서 기부의 주벽외주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밀착해서 삽입한 탄성통(341)으로 된 흡입밸브(309)로서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면이 열린 중공 원추 사다리꼴을 이룸과 동시에 외주 하단부 및 상단부로부터 각각 플랜지(342, 343)를 돌출시킨 기부(339)와, 상하 단면이 열린 중공 원추 사다리꼴로 되며, 탄성통(341)과 더불어 흡입밸브(309)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하이동부재(304)를 부세에 대항해서 밀어내려서 맞물리게 했을때에 스템(323)의 하단 가장자리가 탄성통(341)의 외면에 밀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타의 구조는 상기 도12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각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특히 탄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12 및 도15에 나타낸 실시예의 흡입밸브(309)에서는 밸브체(317)가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항상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토출밸브체(331)가 닫히기까지의 사이에 흡입밸브(309)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또 도1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밸브판(337)은 돔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하이동부재(304)를 밀어내릴 때에는 그 내부의 중심방향으로 압력이 걸려서 슬릿(336)은 막힌 상태가 되고, 한편 상하이동부재(304)가 상승할 때에는 실린더(303)내가 부압화하기 때문에 밸브판(337)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힘이 가해져서 밸브판(33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슬릿(336)이 열린다.
또 도1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실린더(303)내가 가압상태에서는탄성통(341)의 외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창구멍(340)은 탄성통(341)에 의해 막히고, 실린더(303)내가 부압상태에서는 각 창구멍(340)으로부터의 액체가 탄성통(341)을 밀어 넓혀서 기부(339)의 주벽과의 간격으로부터 실린더(303)내로 도입된다.
상기 도16 및 도18의 각 실시예의 어느 경우에도 도1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밸브좌상에 구슬형 밸브체를 재치한 것뿐인 흡입밸브보다 구멍을 여는 압력이 큼을 필요로 하며, 토출밸브체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에 흡입밸브(809)가 닫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노즐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였으므로, 점성을 갖는 액체의 토출용으로서 본 발명 펌프를 사용하면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분출한 후에 상하이동부재가 상승할 때에 토출밸브가 닫히기까지의 사이에 거의 노즐내에 존재하는 양의 헤드 수직통내의 액체가 실린더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내의 액체가 헤드의 수직통내로 역류하여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배제되기 때문에,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 누출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노즐내의 액체가 거의 헤드의 수직통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액체의 건조 고화가 생기는 결점도 없다.
또 청구항 9∼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토출밸브의 밸브구멍으로부터 소정량의 액체가 실린더로 역류하여 토출 밸브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에 흡입밸브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내 액체의 헤드 수직통내로의 역류를보다 확실히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의 누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더욱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품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겸비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0∼도24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40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401)는 장착 캡(402)과, 실린더(403)와, 상하이동부재 (40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402)은 실린더(403)를 용기체(405)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406)의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407)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408)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403)는 상기 장착 캡(402)에 의해 용기체(405)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하단부를 용기체내에 수하하고, 또한 내부의 하단부에 흡입밸브(409)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403)는 원통형 주벽(410)의 외주 상부로부터 외향의 플랜지(411)를 돌출시키고, 저벽(412)의 중앙에 뚫은 창구멍의 주연부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413)를 돌출시키고, 또 저벽(412)의 하면 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통부(414)를 돌출시키고 있다. 이 삽입통부(414)에는 흡상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을 끼우고, 그 하부를 용기체내의 하단부에 수하한다.
또 주벽(410)의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4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415)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415)는 실린더(40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통해서 삽입한 삽입통부를 도넛판형의 정상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정상판내 주연으로부터 실린더(403)의 내주 상단부에 삽입시킨 내통(415a)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내통(415a)과 실린더(403)의 상단 내면과는 수직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등에 의해 돌지 않게 되어 있으며, 또한 내통(415a)의 내주 상부에 상하이동부재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406)의 상면에 패킹(416)을 통해서 상기 외향의 플랜지(411)를 재치함과 동시에 목부분 외주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 장착 캡(402)의 정벽(408)과 용기체 목부분(406)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411)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흡입밸브(409)는 상기 밸브좌(413)상에 하면을 밀접시켜서 밸브좌(413)내 주연부의 밸브구멍을 막는 흡입밸브부재를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면 주연부를 상기 밸브좌(413) 상면에 밀접하게 테이퍼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흡입밸브부재(417)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부재(417)는 그 외주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구형 판형을 이루는 맞물림 돌기(418)를 돌출시키고, 한편 실린더(403)의 주벽(410)의 내주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돌출한 구형판형의 판 립(419) 상면에 상하이동부재(404)를 상방으로 부세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420)의 하단면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각 맞물림 돌기(418)가 코일 스프링(420)의 하면에 접촉하기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중의 421은 흡입밸브부재(417)의 외주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한 립을 나타낸다.
상하이동부재(404)는 스템(422)과 환상 피스톤(423)과, 보조 피스톤(424)와, 노즐(425)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426)등을 갖추고 있다.
스템(422)은 상기 실린더(403)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이동하는 밸브체로 막은 토출밸브(427)을 설치한 하단면이 막힌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면을 막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또 외주 하단부로부터는 외방으로 플랜지(428)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플랜지(428)의 외부 주연으로부터 실린더의 내면과 간격을 두어 수하벽(429)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다.
환상 피스톤(423)은 상기 실린더(403)의 내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에 삽입함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스템(422)의 외면 하부에 일체로 연결해서 스템과 일체가 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기부(423a)의 외주 상하로부터 각각 상향의 스커트형의 상부 슬라이드부(423b) 및 하향 스커트형의 하부 슬라이드부(423c)를 돌출시켜서, 각 슬라이드부를 실린더의 내주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압착하여 삽입하고, 또 상기 스템(422)의 플랜지(428)의 상면 외부 주연으로부터 경사지게 외측 상방으로 세운 연결봉(430)을 원주방햐으로 복수개 설치하고, 그 각 선단을 각각 환상 피스톤(423)의 기부(423a)의 내면 하부에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보조 피스톤(424)은 상기 스템(422)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환상 피스톤(42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또 스템 주연부에 뚫은 관통구멍(431)을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기부(424a)의 내주 상단부로부터 돌출한 상향의 스커트형의 내측 슬라이드부(424b)를 스템(422)의 외주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기부(424a)의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한 하향 스커트형의 외측 슬라이드부(424c)를 상기한 환상 피스톤(423)의 기부(423a) 내주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있다. 또 기부(424a)의 내주 하부로부터는 하방으로 원통형 밸브편(424d)을 수하함과 동시에, 기부의 외주 상부로부터는 단면 역 L자형의 맞물림통부(424e)를 돌출시켜 구성하고 있다.
한편 스템(422)의 외주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향 단부(432)를 설치하며, 이 단부(432)의 상방 소정 위치에 하향 단부(433)를 설치하고, 상기 원통형 밸브편(424d)의 하면이 상기 상향 단부(432)의 상면에 밀접한 상태로부터 상기 내측 슬라이드부(424b)가 상기 하향 단부(433)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태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상향 단부(432) 및 하향 단부(433)간의 스템 주벽부 하방에 관통구멍(431)이 뚫려 있다.
그리고 상승위치로부터 상하이동부재(40)를 밀어내리면 스템(422)에 대해 보조 피스톤(424)이 액압에 의해(실린더내에 액체가 없는 펌프를 처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공기압으로)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관통구멍(431)이 열리고, 한편 상하이동부재(404)가 상승할 때는 상기 내통(415a)의 하단 가장자리가 보조 피스톤(424)의 맞물림통부(424e)의 상면에 접촉하여 맞물림하고, 또한 스템(422)이 상승함으로써 원통형 밸브체의 하면이 상향 단부(432)에 밀접하여 관통구멍(431)이 막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이 때에 보조 피스톤(424)는 실린더(403)에 설치한 외기 도입용의 관통구멍(434)를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관통구멍(434)은 실린더의 주벽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이동부재(404)가 상승할 때에는 스템(422)과 내통(415a)사이로부터 이 관통구멍(434)을 거쳐서 부압화한 용기체내로 외기를 도입하고, 스템(422)이 최대 상승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보조 피스톤(424)의 맞물림통부(424e)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내통(415a)의 하단 가장자리에 기밀하게 접촉하여 용기체 내외를 차단하게 구성하고 있다.
밀어내림 헤드(426)는 스템(422)의 상단에 장착 캡(4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밀어내림 헤드(426)는 정벽 주연으로부터 주벽을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435)을 가지며, 이 케이싱(435)의 정벽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436)의 하단부를 스템(422)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422)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436)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가 열린 수평통(437)을 케이싱 주벽을 관통하여그 전방에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437)을 노즐(425)로서 구성하고 있다. 노즐(425)은 기단부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며,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싱(435)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436)의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404)를 밀어내릴 때에 상기 맞물림부재(415)의 나사홈과 나사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4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에 스템(422)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수하벽(429)의 외면이 실린더의 주벽 하부에 설치한 직경 축소부의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되고, 또 수직통(436)의 외주 하단부가 맞물림부재(415)의 내통(415a)의 내면에 설치한 하향 스커트형의 환상 돌편(438) 내주에 액밀하게 삽입되고, 또한 스템(422)의 하단부가 상기 흡입밸브부재(417)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토출밸브(427)는 스템(422)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439)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422)내의 상부에 내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440)를 돌출시킴으로써 그 중심에 밸브구멍을 형성하고, 밸브좌(440)상에 구슬형의 밸브체(439)를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427)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439)는 상기 케이싱(435)의 정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맞물림판(441)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 펌프는 점성이 높은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것들은 예를들어 500cps∼15000cps 정도의 점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점성이 높은 액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액압으로 밀어올려진 토출밸브체(439)는 그 자중으로 즉각적으로 밸브좌(440)상에 낙하하는 일은 드물고, 액체의 점도, 밸브체 중량등에 따라 약간 다르나, 대략 액체의 흐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체의 유속과 밸브체의 이동 속도간에는 그다지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425)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439)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439)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고 있다. 이 규제에 의한 토출밸브체(439)의 실제의 상하 이동 폭은 노즐의 길이 및 내경, 스템(422)의 내경등에 따라 다르나, 5mm∼30mm 정도이며, 구슬형 밸브를 밸브좌상에 재치하여 구성한 종래의 밸브에 비해 커진다. 특히 10mm 이상의 폭이 바람직하다.
상하이동부재(404)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배출한 후에 상하이동부재(404)가 상승할 때에는 부압화하는 실린더(403)내에 관통구멍(431)을 거쳐서 스템(422)내의 액체가 역류하고, 또한 토출밸브체(439)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토출밸브(427) 상류의 스템(422)내로, 그리고 노즐(425)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크기 때문에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수직통내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25∼도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밸브부재(417)를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부세하고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각 판 립(419)의 상면과 코일 스프링(420)의 하면 사이에 상단한 수평 소용돌이형부를 끼워 고정함과 동시에, 수평 소용돌이형부의 주연으로부터 연장해서 설치한 원통형부를 상기 각 판 립(419)의 내면을 따라 하방으로 수하시키고, 또 그 하면을 흡입밸브부재(417)의 각 맞물림 돌기(418)의 상면에 맞물린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442)을 설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피스톤(424)를 스템(422)에 대해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보조 피스톤(424)의 상기 기부(424a)의 하면에 상단부를, 또 상기 연결봉(430)과 스템의 외면 사이에 하단부를 각각 맞물리게 하여 코일 스프링(443)을 설치하고 있다. 이 스프링(443)은 상기 스템(422)을 상방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420)에 비해 그 탄성력이 약하고, 스템(422)이 상승하여 상기 내통(415a)의 하면에 보조 피스톤(424)의 맞물림통부(424e)의 상면이 맞물렸을 때에, 더욱 스템(422)이 상승하여 보조 피스톤(424)의 원통형 밸브편(424d)의 하면이 상향 단부(432)의 상면에 밀접할 때까지 상승하고, 따라서 스템(422)의 최대 상승위치까지만 관통구멍(431)이 막히게 구성하고 있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 도20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 최대 상승위치의 상기 관통구멍(431)이 막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피스톤(424)이 실린더(403)에 맞물릴 수 있고, 또한 헤드(426)을 밀어내려서 관통구멍(431)이 열린 후에 맞물림이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20의 실시예에서 맞물림통부를 역 L자형이 아닌 원통형으로 형성해서, 그 외주 상단부에 맞물림 돌기(444)를 설치하고, 한편 상기 맞물림부재(415)의 내통(415a)의 내주 하단 소정 위치에 하향의 단부(445)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단부(445)의 하방에 상기 맞물림 돌기(444)와 맞물리는 맞물림 돌기(446)를 설치하고, 스템(422)이 상승할 때에 상기 단부(445)의 하면에 맞물림통부(424e)의 상면이 접촉하여 맞물림과 동시에, 각 맞물림 돌기(444, 446) 상호간이 맞물려서, 더욱 스템(422)이 상승하여 원통형 밸브편(424d)의 하단이 상기 상향 단부(432)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관통구멍(431)이 막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그 상태로부터 헤드를 밀어내리면 각 맞물림 돌기 상호간이 맞물리게 되어 보조 피스톤(424)은 최초로 확실히 내통(415a)에 맞물리고, 따라서 관통구멍(431)이 확실히 열리고, 이어서 스템(422)의 하향 단부(433)에 의해 내측 슬라이드부(424b)의 상면과 맞물리어 각 맞물림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보조 피스톤(424)은 스템(422)과 함께 하강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의 하면으로부터 복수의 스프링편(447)을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하이동부재(404)의 나사홈을 상기 내통(415a)의 나사홈과 나사 체결시켜서 상하이동부재(4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실린더에 맞물리게 했을 때에 상기 스프링편(447)이 흡입밸브부재(417)의 정벽 상면에 접촉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입밸브부재(417)를 확실히 밀어내려서 수송시등에 흡입 밸브가 확실히 막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특히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실린더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을 삽입함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가 유통할 수 있도록 스템의 외면 하부에 연결한 환상 피스톤과,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외주면을 환상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또 스템의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보조 피스톤을 갖추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어진 관통구멍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를 거쳐서 노즐로부터 분출시키고, 헤드 상승시에는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 밸브롤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하고, 또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에 의한 관통구멍이 막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점성을 갖는 액체의 토출용으로서 본 발명 폄프를 사용하면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분출한 후에 헤드가 상승할 때에 토출밸브가 닫힐때까지의 사이에 스템내의 액체가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실린더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토출밸브체가 상하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스템내로 역류하고, 또한 노즐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액체의 건조 고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실린더 내주를 슬라이드하는 환상 피스톤과,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보조 피스톤을 설치하였으므로 스템의 상하 이동의 안내도 겸비할 수 있는 환상 피스톤을 두께가 두껍게 할 수가 있어서, 스템의 안정한 상하 이동이 가능해짐과 동시에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종래품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도 겸비하고 있다.
또 사용시에 잘못해서 용기를 넘어뜨려도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보조 피스톤이 관통구멍을 막고 있으므로 노즐 선단으로부터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노즐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의 상하이동 폭을 규제하였으므로 노즐내의 거의 전량의 액체가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로 역류하여, 보다 확실한 액체 누출의 방지,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토출밸브가 닫힐 때까지 흡입밸브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스템내의 소정량의 액체의 역류를 보다 확실히 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액체 누출의 방지,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최초로 용기체에 장착되어 아직 실린더내에 공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헤드를 밀어내릴 때에 보조 피스톤이 공기압으로 스템에 대해 총체적으로 상승하지 않는 결점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1 및 도3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50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501)는 장착 캡(502)과, 실린더(503)와, 상하이동부재(50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502)은 실린더(503)를 용기체(506)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507)이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508)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509)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503)는 상기 장착 캡(502)에 의해 용기체(506)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 밸브(510)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503)는 원통형 주벽(511)의 외주 상부로부터 외향의 플랜지(512)를 돌출시키고, 저벽(513)의 중앙에 열린 창구멍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통부(514)를 돌출시키고 있다. 이 삽입통부(514)에는 흡상 파이프(515)의 상단을 끼우고, 그 하부를 용기체내의 하단부에 수하한다. 또 주벽(511)의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5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516)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516)는 실린더(50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거쳐서 삽입시킨 삽입통부를 도넛판형의 정상판 이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 이 정상판내 주연으로부터 실린더(503) 내의 상부에 삽입시킨 내통(516a)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또 내통(516a)의 내주에 상하이동부재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407)의 상면에 패킹(517)을 통해서 상기 외향의 플랜지(512)를 재치함과 동시에 장착 캡(502)의 정벽(509)과 용기체 목부분(206)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512)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흡입밸브(510)는 상기 삽입통부(514)내의 상당부에 돌출한 내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518)상에 구슬형의 밸브체(519)를 재치시켜 구성하고 있다.
상하이동부재(504)는 상기 실린더내에 삽입시킨 환상 피스톤(520)을 외주의 하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실린더(508)내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521)과, 이 스템(521)의 상단에 끼운 노즐(522)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523)를 갖추고 있으며, 스템(521)내의 상부에는 토출밸브(524)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에에서 밀어내림 헤드(523)는 정벽 주연으로부터 주벽을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525)을 가지며, 이 케이싱(525)의 정벽 하면의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562)의 하단을 스템(521)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521)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526)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가 열린 수평통(527)을 케이싱 주벽을 관통하여 그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527)을 노즐(522)로서 구성하고 있다. 노즐(522)은 기단부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싱(525)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526)의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고, 상하이동부재(504)를 밀어내릴 때에 상기 맞물림부재(516)의 나사홈과 나사 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5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환상 피스톤(520)의 부착 기부 하면과 막대형부재(505)의 후술하는 플랜지의 상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528)을 개재시켜서 상하이동부재를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토출밸브(524)는 스템(521)내의 상부에 내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529)를 돌출시킴으로써 그 중심에 밸브구멍을 형성하고, 밸브좌(529)상에 구슬형의 밸브체(530)를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케이싱(525)의 정벽으로 수직설치한 맞물림 막대(531)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막대형부재(505)는 실린더(503)내의 하단부에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스템(521)내에 돌출시켜서 실린더(503) 및 스템(521)내의 유로를 좁게하여 액체의 원활한 분출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하이동부재(504)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막대형부재(505)의 선단이 토출밸브의 밸브좌(529)의 상방으로 주위에 간격을 두어 돌출하고, 상하이동부재(504)의 상승시에 상기 간격을 거쳐서 토출밸브(524) 하류의 액체가 토출밸브의 상류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막대형부재(505)는 실린더(503)내의 하부에 수납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부착 기부(532)를 가지며, 이 기부(532)의 외주 하연부로부터 돌출한 플랜지(533)를 실린더 주벽의 내면 하단부에 끼워 고정하고, 또 기부(532)의 정상판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스템(521)내에 이르는 막대형부(534)를 세우고 있다. 막대형부재(534)의 선단부를 직경 축소부(534a)로 형성함으로써 주위에 액체의 유통이 가능한 간격을 두어서 밸브구멍내에 삽입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이동부재(504)가 코일 스프링(528)의 상방의 부세력에 의해 최대 상승위치에있을 경우에는, 그 선단이 밸브좌(529)의 하방에 위치하여 토출밸브(52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하이동부재(504)를 밀어내릴 때에는, 그 직경 축소부(534a)가 주위에 간격을 두어 밸브좌(529)의 상방으로 돌출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 그 때에 밸브체(530)는 막대형부재(505)의 돌출부분이 존재하는 한 밸브가 열리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상하이동부재(504)가 상승하여 실린더(503)내가 부압화하여도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밸브좌(529)의 하방으로 이동하기 까지에는 밸브가 닫히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사이에 수직통(526)내의 액체가 스템(521)내로 역류하고, 나아가서는 노즐(522)내의 액체가 수직통(526)내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다.
직경 축소부(534a)의 밸브좌(529)의 상방으로의 돌출폭은 적당히 선정하면 되나, 노즐의 길이, 내경, 스템 및 헤드 수직통의 내경 및 토출밸브체의 체적등이
종래품과 같을 경우에는 토출밸브체(530)의 상하 이동 폭이 종래품보다 대폭적으로 넓어지도록 선정하면 좋다. 특히 토출밸브체(530)가 상하 이동하는 토출밸브 하류의 유로내의 용적으로부터 밸브체(530)의 체적 및 밸브좌(529)의 상방으로 돌출한 직경 축소부(534a)의 체적을 뺀 양이 노즐(522)내의 용적과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이 되는 돌출 폭을 갖추면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수직통내로 역류하여, 양호하게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구체적인 돌출 폭으로서는 노즐의 길이, 스템의 내경등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5mm∼30mm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한다.
또한 스템(521)의 하단부에 설치한 환상 돌기부(535)의 내주면을막대형부(534)의 외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하이동부재(504)가 수평으로 편향(lateral deflection)하는 일이 없는 안정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한편 직경 축소부(534a) 이외의 막대형부재(534) 외주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수직 오목홈(536)을 파서 실린더(503)내와 스템(521)내를 상기 각 오목홈(536)을 거쳐서 통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부착 기부(532)의 주벽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창구멍(537)을 뚫어서 기부(532)의 내외를 통하게 하고, 기부(532)의 정상판 하면 중앙으로부터는 흡입밸브(510)의 밸브체(519)의 상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맞물림 막대(538)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다.
도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밸브체(519)를 갖는 흡입밸브(510a)를 갖춘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맞물림 막대(538)의 외주에 상단부를 삽입한 탄성부재인 탄성력이 약한 코일 스프링(539)의 하단을 밸브체(519)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있다. 기타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토출밸브체(530)의 2배 이상의 중량의 흡입밸브체(519a)를 갖는 흡입밸브(510b)를 갖춘 것이다. 기타의 구조는 상기 도3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각 부재는 주로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금속, 특히 탄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 사용하여 형성한다.
도33에 나타낸 실시예의 흡입밸브(510a)에서는 밸브체(519)가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항상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토출밸브체(524)가 닫히기까지의 사이에 흡입밸브(510)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토출밸브(524)가 닫히기 까지의 사이에는 흡입밸브(510)은 열리지 않고, 헤드 수직통(526)내의 액체가 확실히 토출밸브(524)의 상류로 역류하고, 나아가서는 노즐(522)내의 액체가 수직통(526)내로 역류한다.
또 도34에 나타낸 실시예의 흡입밸브(510b)에서는 그 밸브체(519b)를 토출밸브(524)의 밸브체(530)보다 2배 이상 무겁게 구성하여, 마찬가지로 토출밸브(524)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에 흡입밸브(510)이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실린더내의 하단에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스템내에 돌출시킨 막대형부재를 설치하고, 상하이동부재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토출밸브의 밸브좌의 하방위치에 있으며,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서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밸브좌의 상방으로 주위에 간격을 두고 돌출하고, 상하이동부재의 상승시에 상기 간격을 거쳐서 토출밸브 하류의 액체가 토출밸브의 상류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분출할 때에는 막대형부재의 선단으로부터 확실히 토출밸브체를 소정 위치까지 밀어올릴 수가 있으며, 또 밀어내린 상하이동부재가 상승하여 실린더내가 부압화할 때에는 토출밸브체가 즉각적으로 밸브구멍을 막는 일은 없고, 적어도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밸브좌의 하방으로 물러설 때까지 밸브를 닫지 않기 때문에 토출밸브 하류의 액체는 확실히 토출밸브 상류의 스템내로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노즐내의 액체가 헤드의 수직통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노즐내의 액체가 헤드 수직통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점성이 높은 액체의 분출에 사용하여도 액체의 건조 고화가 생기는 결점도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밸브체를 막대형부재의 선단에 의해 그 상하 이동시간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의 점성 유무에 불구하고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품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토출밸브의 밸브구멍으로부터 소정량의 액체가 토출밸브 상류의 스템내로 역류한 후에 토출밸브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에 흡입밸브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내의 액체가 헤드 수직통내로 역류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의 누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더욱 양호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5∼도40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60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601)는 장착 캡(602)와, 실린더(603)와, 상하이동부재(60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602)은 실린더(603)를 용기체(606)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607)의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608)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609)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603)는 상기 장착 캡(602)에 의해 용기체(606)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하단부를 용기체내에 수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603)는 원통형 주벽(610)의 외주 상부로부터 외향의 플랜지(611)를 돌출시키고, 저벽(612)의 중앙에 열린 창구멍 주연부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613)를 돌출시키고, 또 저벽(612) 하면 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통부(614)를 돌출시키고 있다. 이 삽입통부(614)에는 흡상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을 끼우고, 그 하단을 용기체내의 하단부로 수하한다.
또 주벽(610)의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6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615)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615)는 실린더(60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거쳐서 삽입한 삽입통부를 도넛판형의 정상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 이 정상판 내주연으로부터 실린더(603)의 내주 상단부에 삽입시킨 내통(615a)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내통(615a)과 실린더(603)의 상단 내면과는 수직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등에 의해 돌지 않게 되어 있고, 또 내통(615a)의 내주 상부에는 상하이동부재를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607)의 상면에 패킹(616)을 통해서 상기 외향의 플랜지(611)를 재치함과 동시에 목부분 외주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한 장착 캡(602)의 정벽(609)과 용기체 목부분(607)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611)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흡입밸브(605)는 실린더(603)내 하부의 상기 밸브좌(613)상에 하면을 밀접시켜서 흡입밸브(617)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상방으로 세운 막대형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면 주연부를 상기 밸브좌(613) 상면에 밀접하게 테이퍼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반부를 중공으로 형성한 흡입밸브부재(605)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부재(605)는 그 외주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구형판형을 이루는 맞물림 돌기(618)를 돌출시키고, 한편 실린더(603)의 주벽(610)의 내주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돌출한 구형판형의 판 립(619) 상면에 후술하는 상하이동부재(604)를 상방으로 부세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620)의 하단면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 각 맞물림 돌기(618)가 코일 스프링(620)에 접촉하기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중의 621은 흡입밸브부재(605)의 외주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한 립을 나타낸다.
상하이동부재(604)는 스템(622), 환상 피스톤(623), 노즐(624)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625), 토출밸브(626)등을 갖추고 있다.
스템(622)은 상기 흡입밸브부재(605)의 외주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주연을 삽입한 환상 밀봉부(627)를 내주의 하단부로부터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단면이 열린 원통형을 이루며, 내주 하단의 가장자리로부터 내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는 상향 스커트형의 환상 밀봉부(627)를 돌출시키고, 그 내주연부를 상기 흡입밸브부재(605)의 외주에 삽입시키고 있다. 또 외주의하단부로부터는 외방으로 플랜지(628)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플랜지(628)의 외주연으로부터 실린더의 내면과 간격을 두어 수하벽(629)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하벽(629)의 외면 상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돌기(630)를 돌출시키고 있다. 각 돌기(630)의 외주면은 실린더의 내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스켐(622)의 상하 이동시에 수평으로 편향할 경우에는 그 궤도를 보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622)을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플랜지(628)의 하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620)의 상면을 접촉시켜 맞물리게 하고, 상하이동부재(604)를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환상 피스톤(623)은 상기 스템(622)의 외주 하단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외주연을 실린더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또한 스템(622)의 하단부에 뚫은 관통구멍(631)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기부(623a)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이 외방으로 돌출하는 단면이 원호판형의 외측 슬라이드부(623b)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기부(623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는 상향 스커트형의 내측 슬라이드부(623c)를 돌출시켜서 환상 피스톤(623)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스템(622) 외주의 상기 외향 플랜지(628)의 상방 소정 위치에 하향의 단부(632)를 형성하고, 이 단부(632)와 외향 플랜지(628) 사이의 스템에 관통구멍(631)을 뚫는다.
또한 외측 슬라이드부(623b)를 실린더(603)의 내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내측 슬라이드부를 스템(622)의 외주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또 기부(623a)의 상면이 상기 단부(632)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기부(623a)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628)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소정의 폭을 스템(622)에 대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있다. 또 상하이동부재(604)가 상승할 때에는 기부(623a)의 하단이 플랜지(628)의 상면에 액밀하게 접촉하여 관통구멍(631)을 막고, 상하이동부재(604)를 밀어내릴 때에는 액압으로 환상 피스톤(623)이 스템(622)에 대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관통구멍(631)이 열리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하이동부재(604)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그 기부(623a)의 상단이 상기 맞물림부재(615)의 내통(615a)의 하면에 접촉하여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밀어내림 헤드(625)는 스템(622)의 상단에 장착 캡(6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밀어내림 헤드(625)는 정벽의 주연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633)을 가지며, 이 케이싱(633)의 정벽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634)의 하부를 스템(622)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622)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634)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가 열린 수평통(635)을 케이싱 주벽을 관통하여 그 전방에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635)을 노즐(624)로서 구성하고 있다. 노즐(624)은 기단부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싱(633)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634)의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604)를 밀어내릴 때에 상기 맞물림부재(615)의 나사홈과 나사 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6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그 때에 스템(622)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수하벽(629)의 외면이 실린더의 주벽(610)의 하부에 설치한 직경 축소부의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수직통(634)의 외주 하단부가 맞물림부재(615)의 내통(615a)의 내면에 설치한 하향 스커트형의 환상 돌편(636) 내주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토출밸브(626)는 스템(622)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637)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622)내의 상부에 내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638)를 돌출시킴으로써 그 중심에 밸브구멍을 형성하고, 밸브좌(638)상에 구슬형의 밸브체(637)를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626)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637)는 상기 케이싱(633)의 정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맞물림 막대(639)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 펌프는 점성이 높은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것들은 예를 들어 500cps∼15000cps 정도의 점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점성이 높은 액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액압으로 밀어올려진 토출밸브체(637)는 그 자중으로 즉각적으로 밸브좌(638)상에 낙하하는 일은 드물고, 액체의 점도, 밸브체 중량등에 따라 약간 다르나, 대략 액체의 흐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체의 유속과밸브체의 이동 속도간에는 그다지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624)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637)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637)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637)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고 있다. 이 규제에 의한 토출밸브체(637)의 실제의 상하 이동 폭을 노즐의 길이 및 내경, 스템(622)의 내경등에 따라 다르나, 5mm∼30mm 정도이며, 구슬형 밸브를 밸브좌상에 재치하여 구성한 종래의 밸브에 비해 커진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밸브는 1∼4mm 정도로서, 밸브가 열릴 때에 밸브구멍을 액체가 통과하는 데 충분한 최소한도의 허용차로 하고 있다. 특히 10mm 이상의 폭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밸브부재(605)의 외주에 액체 역류용의 수직 홈(640)을 판다. 이 수직 홈(640)은 상하이동부재(604)가 상승할 때에 스템(622)내의 액체를 실린더(603)내로 역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이 구형의 수직 홈(640)을 전후에 한쌍 판다. 또 이 수직 홈(640)은 도35에 나탄낸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재(604)를 밀어내려서 맞물린 상태에서는 그 환상 밀봉부(627)의 하방에 위치하고, 도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재(604)가 최대 상승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그 환상 밀봉부(627)가 수직 홈(64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판다. 또한 수직 홈(640)의 횡단면 구조는 상기의 것에 한하지 않으며, 그 수도 2개에 한정하지 않고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또 상하이동부재(604)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배출한 후에 상하이동부재(604)가 상승할 때에는 부압화하는 실린더(603)내에 수직통(640)을 거쳐서 스템(622)내의 액체가 역류하고, 또 토출밸브체(637)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토출밸브(626) 상류의 스템(622)내로, 또한 노즐(624)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크기 때문에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상류의 유로내로 역류한다.
도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밸브부재(605)를 항상 밸브가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각 판 립(619)의 상면과 코일 스프링(620)의 하면 사이에 상단의 소용돌이형부를 끼워 고정함과 동시에, 소용돌이형부의 주연으로부터 연장해서 설치한 원통형부를 상기 각 판 립(619)의 내면을 따라 하방으로 수하시키고, 또 그 하면을 흡입밸브부재(605)의 각 맞물림 돌기(618)의 상면에 맞물린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641)을 설치하고 있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41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밸브체(605)가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항상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이동부재(604)가 상승할 때에 그 초기의 토출밸브(626)가 닫히기까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641)의 부세에 의해 흡입밸브(617)는 닫혀 있으며, 토출밸브(626)가 닫힌 후에는 실린더(603)내의 부압이 흡입밸브부재(615)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크게 작용하며, 따라서 토출밸브(626)가 닫힌 후에 흡입밸브(617)가 열린다.
상기 각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특히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스템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로 막은 토출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흡입밸브부재의 외주에 액체 역류용의 수직 홈을 팠으므로, 점성을 갖는 액체의 토출용으로서 본 발명 펌프를 사용하면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분출한 후에 헤드가 상승할 때에 토출밸브가 닫힐때까지의 사이에 스템내의 액체가 상기 수직홈을 거쳐서 실린더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토출밸브체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스템내로 역류하고, 또한 노즐 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액체의 건조 고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노즐내의 액체의 토출밸브체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로 흐르는 역류는 직접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기인하는 것이며, 종래의 막대형 흡입밸브부재의 상대적 하강에 의한 스템내 용적의 증가에 기인하는 역류에 비해서 단위시간당의 역류량이 많아서(막대형 흡입밸브부재의 직경보다 당연히 실린더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펌프에 비해서 충분한 양의 노즐내 액체를 신속히 역류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품의 극히 일부만을 구조 변경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노즐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면,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전량이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로 역류하여, 보다 확실한 액체의 누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토출밸브의 밸브구멍으로부터 소정량의 액체가 토출밸브 상류의 스템내로 역류하여 토출밸브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에 흡입밸브를 확실히 닫아 둘 수 있기 때문에 노즐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액체의 누출,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2∼도46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70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701)는 장착 캡(702)와, 실린더(703)와, 상하이동부재(70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702)은 실린더(703)를 용기체(705)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706)의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707)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708)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703)는 상기 장착 캡(702)에 의해 용기체(705)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하단부를 용기체내에 수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703)는 상하 단면이 열린 원통형을 이룸과 동시에 하부를 3단계로 직경을 축소하고, 또 외주 상부로부터 외향의 플랜지(709)를 돌출시키고, 내부 하단부에 내측 하방으로 경사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713)를 돌출시키고 있다. 또 밸브좌(710)의 하방을 흡상 파이프 삽입용의 삽입통부(711)로 구성하고, 이 삽입통부(711)에는 흡입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을 끼우고, 그 하부를 용기체내의 하단부로 수하한다.
또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7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712)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712)는 실린더(70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거쳐서 삽입한 삽입통부를 도넛판형의 정상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 이 정상판내 주연으로부터 실린더(703)의 내주 상단부에 삽입시킨 내통(712a)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내통(712a)과 실린더(703)의 상단 내면과는 수직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등에 의해 돌지 않게 되어 있고, 또 내통(712a)의 내주 상부에는 상하 이동부재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706)의 상면에 패킹(713)을 통해서 상기 외향의 플랜지(709)를 재치함과 동시에 목부분 외주에 나사 체결한 장착 캡(702)의 정벽(708)과 용기체 목부분(706)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709)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각 실린더(703)내의 하부에는 흡입밸브(714)를 갖추고 있다. 이 흡입밸브(714)는 상기 밸브좌(710)와, 이 밸브좌(710)상에 재치한 구슬형의 밸브체(715)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 밸브좌(710) 주위의 주벽부분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맞물림 립(716)을 돌출시키고, 각 맞물림 립(716) 상단부 내측면의 돌기에 의해 밸브체(715)를 그 이상 상방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맞물려서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고 있다.
상하이동부재(704)는 스템(717), 환상 피스톤(718), 노즐(719)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720), 토출밸브(721)를 갖추고 있다.
스템(717)은 상기 실린더(703)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하단면이 막힌 것으로서, 내부의 상부에 토출밸브(721)를 갖추고 있다. 이 토출밸브(721)는 스템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722)에 의해 막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템(717)은 하단면을 막은 원통형을 이루며, 외주 하단부로부터 외방으로 플랜지(723)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플랜지(723)의 외주연으로부터 실린더의 내면과 간격을 두어 수하벽(724)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하벽(424)의 외면 상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돌기(725)를 돌출시키고 있다. 각 돌기(725)의 외주면은 실린더의 내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스템(717)의 상하 이동시에 수평으로 편향할 경우에는 그 궤도를 보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스템의 저벽 이면 중앙으로부터 막대형 돌기(726)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하단을 실린더(703)의 상기 맞물림 립(716)의 상단부 위치까지 수하하고 있으며, 흡입밸브(715)가 각 맞물림 립(716)의 상단 돌기부간에 걸린 경우에는 밀어내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717)을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플랜지(723)의 하면과 상기 맞물림 립(716) 상단면 부분의 실린더(703) 내면에 형성한 상향 단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727)을 개재시켜서 스템(717)을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환상 피스톤(718)은 상기 스템(717)의 외주 하단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외주연을 실린더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또한 스템(717)의 하단부에 뚫은 관통구멍(728)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기부(718a)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이 외방으로 돌출하는 단면이 원호판형의 외측 슬라이드부(718b)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기부(718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는 상향 스커트형의 내측 슬라이드부(718c)를 돌출시켜서 환상 피스톤(718)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스템(717) 외주의 상기 외향 플랜지(723)의 상방 소정 위치에 하향의 단부(729)를 형성하고, 이 단부(729)와 외향 플랜지(723) 사이의 스템 주벽부분에 관통구멍(728)을 뚫는다.
또한 외측 슬라이드부(718b)를 실린더(703)의 내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내측 슬라이드부(718c)를 스템(717)의 외주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또 기부(718a)의 상면이 상기 단부(729)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기부(718a)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723)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소정의 폭을 스템(717)에 대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환상 피스톤(718)을 스템(717)에 대해 항상 상방으로 부세시킴과 동시에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관통구멍(728)을 막을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717)의 상기 각 돌기(725) 상면과, 환상 피스톤(718)에서의 외측 슬라이드부(718b)와 기부(718a)의 하부 접합면(joint surface) 사이에코일 스프링(730)을 개재시켜서, 상기 기부(718a)의 상면이 항상 상기 단부(729)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따라서 항상 관통구멍(728)을 거쳐서 실린더내와 스템내가 서로 통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 이코일 스프링(730)은 스템(717)을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727)에 비해 그 탄성력이 적은 것을 선택하여, 스템(717)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질 때에 환상 피스톤(718)의 기부(718a) 상단이 상기 맞물림부재(712)의 내통(712a)의 하면에 접촉되어 맞물리고, 한편 스템(717)은 기부(718a)의 하면이 플랜지(723)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더욱 상승하여 맞물리며, 따라서 스템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관통구멍(728)이 막힌 상태가 된다.
또한 도면중 737은 실린더에 설치한 외기 도입용의 관통구멍이며, 상하이동부재의 상승시에는 스템(717)과 내통(712a) 사이로부터 이 관통구멍(737)을 거쳐서 부압화된 용기체내로 외기를 도입하여, 스템이 최대 상승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환상 피스톤에 의해 차단된다.
밀어내림 헤드(720)는 스템(717)의 상단에 장착 캡(7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밀어내림 헤드(720)는 정벽 주연으로부터 주벽을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731)을 가지며, 이 케이싱(731)의 정벽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732)의 하부를 스템(717)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717)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732)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가 열린 수평통(733)을 케이싱 주벽을 관통하여 그 전방에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733)을 노즐(719)로서 구성하고 있다. 노즐(719)은 기단부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며,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싱(73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732)의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704)를 밀어내릴 때에 상기 맞물림부재(712)의 나사홈과 나사 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7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그 때에 스템(717)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수하벽(724)의 외면이 실린더의 주벽 하부에 설치한 직경 축소부의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수직통(732)의 외주 하단부가 맞물림부재(712)의 내통(712a)의 내면에 설치한 하향 스커트형의 환상돌편(734) 내주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토출밸브(721)는 스템(717)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722)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717)내의 상부에 내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735)를 돌출시킴으로써 그 중심에 밸브구멍을 형성하고, 밸브좌(735)상에 구슬형의 밸브체(722)를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72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722)는 상기 케이싱(731)의 정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맞물림판(736)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 펌프는 점성이 높은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것들은 예를 들어 500cps∼15000cps 정도의 점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점성이 높은액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액압으로 밀어올려진 토출밸브체(722)는 그 자중으로 즉각적으로 밸브좌(735)상에 낙하하는 일은 드물고, 액체의 점도, 밸브체 중량등에 따라 약간 다르나, 대략 액체의 흐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체의 유속과 밸브체의 이동 속도간에는 그다지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719)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72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722)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722)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고 있다. 이 규제에 의한 토출밸브체(722)의 실체의 상하 이동 폭은 노즐의 길이 및 내경, 스템(717)의 내경등에 따라 다르나, 5mm∼30mm 정도이며, 구슬형 밸브체를 밸브좌상에 재치하여 구성한 종래의 밸브에 비해 커진다. 특히 10mm 이상의 폭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하이동부재(704)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배출한 후에 상하이동부재(704)가 상승할 때에는 부압화하는 실린더(703)내에 관통구멍(728)을 거쳐서 스템(717)내의 액체가 역류하고, 또한 토출밸브체(722)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토출밸브(721) 상류의 스템(717)내로, 또한 노즐(719)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크면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상기 유로내로 역류한다.
상기 각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특히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환상 피스톤을 스템에 대해 항상 상방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관통구멍을 막을 수 있게 구성하였으므로 점성을 갖는 액체의 토출용으로서 본 발명 펌프를 사용하면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분출한 후에 헤드가 상승할 때에 토출밸브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에 스템내의 액체가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실린더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토출밸브체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스템내로 역류하고, 또한 노즐 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액체의 건조 고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시에 잘못해서 용기를 넘어뜨려도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는 환상 피스톤이 관통구멍을 막고 있으므로 노즐 선단으로부터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겸비하고 있다.
또 종래품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이점을 겸비하고 있다.
또 노즐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면,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전량이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액체 누출의 방지,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7∼도54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801은 액체분출펌프를 나타낸다. 이 펌프(801)는 장착 캡(802)와, 실린더(803)와, 상하이동부재 (804)를 갖추고 있다.
장착 캡(802)은 실린더(803)를 용기체(805)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용기체 목부분(806)의 외주에 나사 체결하는 주벽(807)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내향 플랜지형의 정벽(808)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803)는 상기 장착 캡(802)에 의해 용기체(805)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하단부를 용기체내에 수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803)는 상하 단면이 열린 원통형을 이룸과 동시에 하부를 2단계로 직경을 축소하고, 또 외주 상부로부터 외향의 플랜지(809)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내부 하단부에 내향 플랜지형의 저부(810)를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밸브구멍을 뚫는다. 또 저부(810)의 하방을 흡상 파이프 삽입용의 삽입통부(811)로 구성하고, 이 삽입통부(811)에는 흡입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을 끼우고, 그 하부를 용기체내의 하단부로 수하한다.
또 상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8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맞물림부재(812)를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이 맞물림부재(812)는 실린더(803)의 상단 외주에 요철 맞물림수단을 거쳐서 삽입한 삽입통부를 도넛판형의 정상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 이 정상판 내주연으로부터 실린더(803)의 내주 상단부에 삽입시킨 내통(812a)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 하고 있다. 내통(812a)과 실린더(803)의 상단 내면과는 수직 돌기 상호간의 맞물림등에 의해 돌지 않게 되어 있고, 또 내통(812a)의 내주 상부에는 상하 이동부재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홈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체 목부분(806)의 상면에 패킹(813)을 통해서 상기 외향의 플랜지(809)를 재치함과 동시에 목부분 외주에 장착 캡(802)을 끼우고, 그 정벽(808)과 용기체 목부분(806)의 상면에 의해 플랜지(809)를 끼워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실린더(803)내의 하부에는 흡입밸브(814)를 갖추고 있다. 이 흡입밸브(814)는 상기 저부(810)에 뚫은 밸브구멍의 상면을 막는 밸브판(815)를, 실린더(803)내의 하단에 끼워 고정한 원통형 기부(816)의 내면으로부터 돌출시킨 복수의 막대형 탄성부(817)에 의해 일체로, 그리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짧은 원통형 기부(816)의 내부 하부로부터 중심으로 향한 후에 기부 내면을 따라 워호형으로 뻗으며, 또한 중심으로 향하여 그 선단을 기부 중앙의 원판형을 이루는 밸브판(815)의 외면과 일체로 연결하는 막대형 탄성부(817)를 등간격으로 3개소 설치한 흡입밸브부재(818)를 갖추고, 이 밸브부재(815)의 원통형 기부(816)를 실린더의 주벽 하단부에 끼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밸브판(815)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의 상면을 액밀하게 막아서 흡입밸브(814)를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판(815)의 상면으로부터 원주형의 막대부(819)를 일체로 돌출시켜서 후술하는 체크밸브의 밸브판 하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하이동부재(804)는 스템(820), 환상 피스톤(821), 노즐(822)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823), 토출밸브(824)를 갖추고 있다.
스템(820)은 상기 실린더(803)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서, 내부의 상부에 토출밸브(824)를 또 하단부에 체크밸브(824)를 각각 갖추고 있다. 이 토출밸브(824)는 스템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826)에 의해 막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템(820)은 하단면을 체크밸브(825)로 막은 원통형을 이루며, 외주 하단부로부터 외방으로 플랜지(827)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플랜지(827)의 외주연으로부터 실린더의 내면과 간격을 두어 수하벽(828)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하벽(828)의 외면 상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판형 돌기(829)를 돌출시키고 있다. 각 돌기(829)의 외주면은 실린더의 내면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있으며, 스템(820)의 상하 이동시에 수평으로 편향할 경우에는 그 궤도를 보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820)을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플랜지(827)의 하면과 상기 원통형 기부(816) 상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830)을 개재시켜서 스템(820)을 항상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상기 체크밸브(825)는 스템(820)내로부터 실린더(803)내로 일방적으로 통하게 하는 것으로서, 스템(820)의 하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짧은 원통형 기부(831) 내면의 상하방향 중앙부로부터 중심으로 향한 후에 기부(831)의 내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뻗으며, 또한 중심으로 향하여 그 선단을 기부 중앙의 원판형을 이루는 밸브판(832)의 외면과 일체로 연결하는 막대형 탄성부(833)를 등간격으로 3개소 설치한 체크밸브부재(834)를 갖추고, 한편 스템(820)의 하단부에 저벽(835)을 설치하여, 그 중앙부에 하방으로 수하하는 짧은 원통형의 밸브구멍을 뚫고, 또 저벽(834) 하방의 주벽을 삽입통부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834)의 원통형 기부(831)를 삽입통부의 내면에 끼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밸브판(832)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의 하면을 액밀하게 막아서 체크밸브(825)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체크밸브(825)는 예를 들어 각 막대형 탄성부(833)를 가늘게 형성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흡입밸브(814)보다 약한 힘으로 밸브를 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환상 피스톤(821)은 상기 스템(820)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외주연을 실린더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또한 스템의 주벽부 하부에 뚫은 관통구멍(836)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기부(821a)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하가 외방으로 돌출하는 단면이 원호판형의 외측 슬라이드부(821b)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기부(821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는 상향 스커트형의 내측 슬라이드부(821c)를 돌출시켜서 환상 피스톤(821)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스템(820) 외주의 상기 외향 플랜지(827)의 상방 소정 위치에 하향의 단부(837)를 형성하고, 이 단부(837)와 외향 플랜지(827) 사이의 스템 주벽부분에 관통구멍(836)을 뚫는다.
외측 슬라이드부(821b)를 실린더(803)의 내면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내측 슬라이드부(821c)를 스템(820)의 외주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또 기부(821a)의 상면이 상기 단부(837)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기부(821a)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723)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소정의 폭을 스템(820)에 대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하이동부재(804)를 밀어내리면 스템(820)에 대해 환상 피스톤(821)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관통구멍(836)이 열리고, 실린더(803)내와 스템(820)내가 서로 통하고, 한편 상하이동부재(804)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관통구멍(836)이 닫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이 환상 피스톤(821)은 실린더(803)에 설치한 외기 도입용의 관통구멍(838)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관통구멍(838)은 실린더 주벽부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804)가 상승할 때는 스템(820)과 내통(812a) 사이로부터 이 관통구멍(838)을 거쳐서 부압화한 용기체내로 외기가 도입되고, 스템(820)이 최대 상승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환상 피스톤(821)의 기부(821a)의 상단부가 상기 내통(812a)의 하단 가장자리에 기밀하게 접촉하여 용기체 내외를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밀어내림 헤드(823)는 스템(820)의 상단에 장착 캡(8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밀어내림 헤드(823)는 정벽 주연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하단면이 열린 원통형의 케이싱(839)을 가지며, 이 케이싱(839)의 정벽 하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통(840)의 하단부를 스템(820)의 외주 상단에 끼워서 스템(820)에 고정하고 있다. 또 수직통(840)의 상부 전면에 기단부가 열린 수평통(841)을 케이싱 주벽을 관통하여 그 전방에 돌출시키고, 이 수평통(841)을 노즐(822)로서 구성하고 있다. 노즐(822)은 기단부를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하고,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싱(839)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수직통(840)의 외주에는 나사홈을 설치하여, 상하이동부재(804)를 밀어내릴 때에 상기 맞물림부재(812)의 나사홈과 나사 체결하여 상하이동부재(804)를 밀어내린 상태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그 때에 스템(820)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수직통(828)의 외면이 실린더의 주벽 하부에 설치한 직경 축소부의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되고, 또 수직통(840)의 외주 하단부가 맞물림부재(812)의 내통(812a)에 설치한 하향 스커트형의 환상 돌편(842)에 액밀하게 삽입되며, 또한 흡입밸브(819)의 상기 막대부(819)의 상면이 체크밸브(825)의 밸브판(832)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토출밸브(824)는 스템(820)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826)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820)내의 상부에 내방으로 경사져서 하강하는 플랜지형의 밸브좌(843)를 돌출시킴으로써 그 중심에 밸브구멍을 형성하고, 밸브좌(843)상에 구슬형 밸브체(826)를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아서 토출밸브(84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826)는 상기 케이싱(839)의 정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맞물림판(844)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사이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있다.
본 발명 펌프는 점성이 높은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것들은 예를 들어 500cps∼15000cps 정도의 점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점성이 높은 액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액압으로 밀어올려진 토출밸브체(826)는 그 자중으로 즉각적으로 밸브좌(843)상에 낙하하는 일은 드물고, 액체의 점도, 밸브체 중량등에 따라 약간 다르나, 대략 액체의 흐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체의 유속과 밸브체의 이동 속도간에는 그다지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822)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826)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826)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826)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고 있다. 이 규제에 의한 토출밸브체(826)의 실제의 상하 이동 폭은 노즐의 길이 및 내경, 스템(820)의 내경등에 따라 다르나, 5mm∼30mm 정도이며, 구슬형 밸브를 밸브좌상에 재치하여 구성한 종래의 밸브에 비해 커진다. 특히 10mm 이상의 폭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하이동부재(804)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배출한 후에 상하이동부재(804)가 상승할 때에는 부압화한 실린더(803)내로 체크밸브(825)를 열어 스템(820)내의 액체가 역류하고, 또한 토출밸브체(826)가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토출밸브(820) 상류의 스템(820)내로, 그리고 노즐(822)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크기 때문에 노즐내의 액체는 거의 수직통내로 역류한다.
도55 및 도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체크밸브판(833)의 하방 소정 위치 및 흡입밸브관(815)의 상방 소정 위치에 각 밸브판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는 맞물림 돌기(845, 846)을 각각 돌출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820)과 흡입밸브부재(818)의 원통형 기부(816) 사이에 개재시킨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도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소용돌이형으로, 그리고 체크밸브(832)와 소정의 간격을 둔 하방 위치에 돌출시켜서, 이 부분을 맞물림 돌기(845)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마찬가지로 수평 소용돌이형으로, 그리고 흡입밸브판(815)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방위치에 돌출시켜서, 이 부분을 맞물림 돌기(846)로서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밸브판(815) 상면의 상기 막대부가 없으며, 체크밸브체(834)와 마찬가지 형의 흡입밸브체(818)를 사용하고 있다. 또 체크밸브(825)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입밸브(814)보다 약한 힘으로 밸브가 열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부재는 합성수지, 금속, 특히 탄력성을 갖는 것으로는 엘라스토머등을 적당히 선택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펌프는 스템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로 막은 토출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스템내로부터 실린더내로 일방적으로 통하게 하는 체크밸브를 스템의 하단부에 설치하였으므로, 점성을 갖는 액체의 토출용으로서 본 발명 펌프를 사용하면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액체를 분출한 후에 헤드가 상승할 때에 토출밸브가 닫히기까지의 사이에스템내의 액체가 체크밸브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역류하고, 이에 수반해서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의 액체가 스템내로 역류하며, 또한 노즐내의 액체가 상기 유로내로 역류하기 때문에 노즐내의 선단으로부터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액체의 건조 고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사용시에 잘못해서 용기를 넘어뜨려도 환상 피스톤이 관통구멍을 막고 있기 때문에 노즐 선단으로부터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겸비하고 있다.
또 종래품의 극히 일부를 구조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도 겸비하고 있다.
또 노즐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액체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였으므로 노즐내의 액체의 거의 전량이 토출밸브체의 상하 이동하는 유로내로 역류하여, 보다 확실한 액체 누출의 방지,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토출밸브가 닫힐 때까지 흡입밸브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스템내의 소정량의 액체의 역류를 보다 확실히 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액체 누출의 방지, 액체의 건조 고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체크밸브 및 흡입밸브의 각 밸브판이 필요 이상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체크밸브 및 흡입밸브 부재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901은 목부분이 서 있는 용기체이다.
상기 목부분의 외면에는 장착통(902)를 나사 체결하고 있으며, 장착통의 상단에는 내향 플랜지(902a)를 부설하고 있다.
903은 용기체내에 수직으로 설치한 실린더로서, 실린더의 상단에 부설한 외향 플랜지(904)를 상기 내향 플랜지(902a)의 하면에 맞물리게 하여 장착통의 상단부 내면에 삽입하고, 패킹(905)을 통해서 용기체 입구의 정상면상에 재치하여, 그 입구 정상면과 장착통의 내향 플랜지에 의해 끼워 받치고 있다. 외향 플랜지(904)의 내주부로부터는 나사관 삽입통(906)을 세우고, 또 실린더의 저부 내면에 흡입밸브(907)를 갖추며, 실린더의 하단을 파이프 삽입통(908)로서 이 삽입통내로부터 흡상 파이프(909)를 수하하고 있다.
상기 흡입밸브(907)는 밸브구멍(910)을 밸브체(911)로 막는 자동으로 닫히는 밸브로 형성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실린더의 저부 내면에 내향 플랜지(912)를 부설하고, 이 플랜지의 외주부와 내주부 사이의 중간부 상면에 오목 홈(912)을 설치하여, 이 오목 홈내에 밸브부재(914)의 외주로부터 수하한 짧은 원통을 탄성에 대항해서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밸브부재는 짧은 원통의 상면을 막는 상부벽의 중앙부를 밸브체(911)와, 이 밸브체의 외주부를 상기 내향 플랜지(912)의 내주부 항면에 재치하여 그 플랜지의 구멍이 형성하는 밸브구멍(910)을 막고, 또 밸브체의 외주부와 상기 짧은 원통의 상단 내면 사이의 상부벽부분에 도60과 같이 복수의 구멍(915)을 뚫어서, 그들 구멍간의 상부벽부분을 복수의 탄성 각편(legpiece)(916…)으로 하고 있다. 이 흡입밸브는 후술하는 토출밸브가 막힌 채로 작동부재가 상승하여 실린더내가 부압화하였을 때에만 열리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설치한 것이면 다른 구조이어도 좋다.
920은 상술한 나사관 삽입통(906)내에 삽입한 나사관 부재이며 상기 삽입통(906)의 내면측에 회동 불능하게 삽입한 암나사통(921)을 갖추며, 이 통과 정상판으로부터 수하한 맞물림통(922)에 의해 상기 나사관 삽입통(906)을 끼워 받친다.
상술한 실린더(903)내로부터 코일 스프링(925)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되어 작동부재(930)를 세운다. 이 작동부재는 밀어내림 헤드와, 스템과, 원통형 피스톤으로 형성한다.
밀어내림 헤드(931)는 정벽으로부터 스템 삽입통(932)를 수하하고, 또 이 스템 삽입통의 중간부 내면에 노즐구멍(933)의 기단을 열어서, 노즐(934)을 약간 경사진 상부 외방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이 노즐의 선단부를 하부 외방으로 만곡시키고 있으며, 스템 삽입통의 하부는 숫나사통(932a)으로서 상술한 암나사통(921)의 내면에 나사 체결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스템(935)은 원통부(936)의 상부를 상기 스템 삽입통(932)의 하부내에 삽입 고착시키고,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플랜지(937)를 거쳐서 소경 실린더(938)를 수하한다. 원통부는 상술한 나사관의 암나사통(921)에 삽입하여, 실린더(903)내로부터 상방으로 세운다.
하부재(940)는 상기 스템의 원통부(936)의 하부내에 상부를 삽입 고착시켜서외면에 유로형성 홈(941)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막대형부(942)의 하단에 대경의 사다리판형부(943)을 부설한 것으로서, 막대부는 횡단면을 십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사다리판형부(943)의 상단부 외주를 상향 단부를 거쳐서 소(小)외경부(943a)로 하고, 이 소외경부와 후술하는 원통형 피스톤의 중통부 하단으로 토출밸브(944)를 형성하고 있다. 사다리판형부의 외주로부터 외통(945)를, 중앙부로부터는 눌음막대(946)를, 중간부로부터 중통(947)을 각각 수직으로 설치하고, 작동부재(930)를 밀어내려서 상술한 숫나사통을 암나사통(921)에 나사 체결하여 조였을 때에 눌음막대가 밸브체(911)의 상면에 접하여 흡입밸브(907)를 강제로 막으며, 또 중통(947)의 하단이 밸브부재의 상단 외주부를 가압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외주의 외면에는 복수의 맞물림부(948)를 부설하고, 그 선단을 실린더의 내벽면에 근접시켜서 하부재(940) 하부가 수평으로 편향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외통(945)와 중통(947)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925)의 상부를 삽입하고, 또 이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내향 플랜지(912)의 외주부상에 압착시켜서 작동부재(930)를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원통형 피스톤(950)은 플랜지로 연결한 3중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통부(951)을 하부재의 막대형부(942)의 외면으로, 중통부(952)의 상부 외면을 소경 실린더(938)의 내면으로, 외통부(953)의 외면을 실린더(903)내의 벽면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있다. 또 중통부(952)의 하단은 막대형부(942)가 원통형 피스톤(950)에 대해 상승하였을 때에 상술한 사다리판형부(943)의 소외경부(943a)의 외면에 수밀하게 삽입되어 그것들이 형성하는 토출밸브(944)를 닫고,작동부재(930)의 상승으로 그 사다리판형부(943) 하방의 실린더실내를 부압화하게 설치하고 있다. 중통부(952)의 상부 절반과 외통부(953)의 상부절반 사이에는 적당한 수의 맞물림편(954)을 부설하고, 이 맞물림편의 상단면에 소경 실린더(938)의 하단이 접하여 소경 실린더(938)에 대한 원통형 피스톤(950)의 상한이 정해진다. 중통부(952)의 상부내와 유로형성 홈(941)은 서로 통하게 한다.
스템(935) 및 하부재(940)에 대한 원통형 피스톤(950)의 스트로크 및 소경 실린더(938)의 내경등은 액체의 토출이 종료한 직후의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즐구멍내로부터의 복귀를 필요로 하는 액체량에 따라 정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스템(935)의 원통부내에 하단에 대경의 사다리판형부(943)를 갖추며, 또 외면에 유로형성 홈(941)을 수직으로 설치한 하부재(940)의 막대형부(942) 상부를 고착시켜서, 그 막대형부의 외면에 원통형 피스톤(950)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키고, 이 원통형 피스톤의 중통부(952)의 상부를 상기 스템의 원통부 하단으로부터 외향 플랜지(907)를 거쳐서 수하하는 소경 실린더(938)내에 수밀하게 삽입시키고, 그 중통부의 상부내와 상기 유로형성 홈(941)을 서로 통하게 하였고, 상기 사다리판형부(943)의 외주부와 상기 중통부(952)의 하단부로 토출밸브(944)를 형성하였으므로 작동부재를 밀어내릴 때의 원통형 피스톤(950)의 하단으로부터 스템(935)의 상단까지의 액체 유출로부분내의 용량보다도 작동부재 상승시에 원통형 피스톤의 종통부(952) 하단부가 하부재(940)의 사다리판형부(943)의 외주부에 접하여 그것들이 형성하는토출밸브(944)가 막혀 있을 때의 상기 액체 유출로부분내의 용량이 증대하게 되어, 상기 용량 증대에 따른 부압화로 노출구멍내의 액체는 스템내로 복귀하게 되며, 따라서 노즐 선단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액체 유출로부내의 용량 증감을 스템의 소경 실린더(938)내의 벽면에 중통부(952)의 상부를 삽입시킨 원통형 피스톤(950)의 상하방향 슬라이드로 수행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상술한 제2의 종래 예와 같이 작동부재를 깊게 하방까지 밀어내리지 않아도 스템등에 대한 원통형 피스톤의 스트로크분만큼 밀어내리기만 하면 노즐구멍내 액체의 복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액체분출펌프는 상기와 같이 개량하였으므로 액체 화장품등을 위시한 여러가지 액체의 분출에 가장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가치가 높은 것이다.

Claims (29)

  1.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 내에 드리워내린 하단부내에 흡입밸브를 설치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삽입한 환상 피스톤을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시켜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과, 이 스템 상단에 연속해서 설치하여 장착 캡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 부착의 눌러내림 헤드와,
    상기 스템내의 상부에 설치한 토출밸브와,
    상기 스템 및 밀어내림 헤드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를 항상 상방으로 부세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갖춘 액체분출펌프로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시킴과 동시에,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으로부터 토출밸브를 거쳐서 노즐에서 분출하고, 복수의 리브가 상기 실린더내의 하단부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맞물리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며, 복수의 리브 간에 코일 스프링 하단의 내외 양측을 통과하는 액체유통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받아들여서 맞물리게 하는 맞물림 오목부를 갖는 액체분출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 맞물리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를 내측면 및 상면 개구의 맞물림 오목부로서 구성하고, 각 맞물림 오목부 하단부에 끼워 고정시킨 플랜지를 정상부가 덮인 주벽의 하단 외주로부터 돌출시킴과 동시에, 주벽에 내외를 서로 통하게 하는 창구멍을 뚫고, 또 주벽 상단 외주를 밀어내려 맞물린 상태의 스템 하단 내면에 액밀하게 삽입하도록 구성한 원통형부재를 더 설치한 액체분출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부재와 흡입밸브의 밸브체 사이에 보조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흡입밸브체를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액체분출펌프.
  5. 밀어내림 헤드(226)를 밀어내려서 장착한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상하여 헤드(226) 전방으로 돌출하는 노즐(225)로부터 분출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225)을 전방으로 경사져서 상승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노즐내 기단부에 설치한 밸브좌(242)를 막는 구슬형 밸브체(243)를 노즐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한 토출밸브(24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 액체분출펌프.
  6.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2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209)를 설치한 실린더(203)과,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스템(222)과, 상기 실린더(20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을 삽입함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스템(222)의 외면 하부에 연결한 환상 피스톤(223)과, 상기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움과 동시에 외주면을 상기 환상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 스템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229)을 개폐가 가능하게설치한 환상의 보조 피스톤(224)과, 상기 스템 상단에 연속해서 설치하여 장착 캡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 (225)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226)와, 상기 헤드(226)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노즐(225)의 기단부에 설치한 밸브좌(242)를 막는 구슬형 밸브체(243)를 노즐내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한 토출밸브(241)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229)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241)를 거쳐서 노즐(225)로부터 분출시키고, 밀어내림 헤드(226)의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209)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로서, 상기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224)에 의해 관통구멍(229)이 막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액체분출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222)의 최대 상승위치의 상기 관통구멍(22)이 막힌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 피스톤(224)이 실린더(203)에 맞물릴 수 있으며, 또한 헤드(226)를 밀어내리면 관통구멍(229)이 열려진 후에 이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액체분출펌프.
  8. 용기체 목부분에 삽입시킨 장착 캡(3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309)를 설치한 실린더(303)과, 이 실린더(303)내에 삽입시킨 환상 피스톤(322)를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시켜 상방 부세상태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스템(323)과, 이 스템(32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장착 캡(3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324)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325)와, 상기 스템(323)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331)를 액압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토출밸브(326)를 갖추며, 상기 스템(323) 및 밀어내림 헤드(325)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304)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309)를 거쳐서 실린더(303)내로 흡상함과 동시에, 실린더(303)내의 액체를 스템(323)으로부터 토출밸브(326)를 거쳐서 노즐(324)로부터 분출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324)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331)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331)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309)가 탄성부재(316)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밸브체를 갖는 흡입밸브(309)인 액체분출펌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309)가 상기 실린더(303)내의 하단부에 하단 주위를 끼워 고정시켜서 실린더(303) 하단의 구멍을 막는 슬릿(336) 부착의 돔형 밸브판(337)으로 구성한 흡입밸브(309)인 액체분출펌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309)가 상기 실린더(303)내의 하단부에 하단 주위를 끼워 고정시켜서 실린더(303) 하단의 구멍을 막으며 하단면이 열린 중공 원추사다리형의 기체(339)와, 이 기체(339)의 주벽에 뚫은 창구멍(340)을 액밀하게 막으며 기체 주벽의 외주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밀착해서 끼운 탄성통(341)으로 구성한 흡입밸브(309)인 액체분출펌프.
  12.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4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409)를 설치한 실린더(403)와,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439)로 막은 토출밸브(427)를 설치한 스템(422)과, 상기 실린더(403)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주면을 끼움과 동시에 내주면의 하부를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스템(422)의 외면 하부에 연결한 환상 피스톤(423)과, 상기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움과 동시에 외주면을 상기 환상 피스톤의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한 스템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431)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의 보조 피스톤(424)과, 상기 스템의 상단에 장착 캡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노즐(425)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426)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431)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427)를 거쳐서 노즐(425)로부터 분출시켜서, 밀어내림 헤드(426)의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409)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424)에 의한 관통구멍(431)의 막힘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25)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439)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439)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439)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한 액체분출펌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409)를 구성하는 흡입밸브부재(417)를 항상 밸브가 열리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액체분출펌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피스톤(424)을 스템(422)에 대해 항상 상방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스템(422)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보조 피스톤(424)에 의한 관통구멍의 막힘이 가능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422)의 최대 상승위치의 상기 관통구멍(431)이 막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피스톤(424)이 실린더(403)와 맞물릴 수 있으며, 또 헤드(426)를 밀어내려서 관통구멍(431)이 열려진 후에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액체분출펌프.
  17. 용기체 목부분에 삽입한 장착 캡(502)과, 이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409)를 설치한 실린더(503)와, 이 실린더내에 삽입한 환상 피스톤(520)을 외주 하부로부터 돌출시키고 장착 캡(5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522)이 부착된 눌러내림 헤드(523)와, 상기 스템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좌(529)상에 재치하여 밸브구멍을 막는 밸브체(530)를 갖는 토출밸브(524)를 갖추며, 상기 스템 및 밀어내림 헤드로 구성되는 상하이동부재(504)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를 거쳐서 노즐로부터 분출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내의 하단에 액체의 유통이 가능하게 하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스템내에 돌출시킨 막대형부재(505)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504)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는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토출밸브의 밸브좌(529)의 하방위치에 있으며, 상하이동부재를 밀어내려서 막대형부재의 선단이 밸브좌(529)의 상방으로 주위에 간격을 두어 돌출하고, 상하이동부재(504)의 상승시에 상기 간격을 거쳐서 토출밸브 하류의 액체가 토출밸브의 상류로 역류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가 탄성부재(539)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밸브체(519)를 갖는 흡입밸브(510a)인 액체분출펌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가 토출밸브체(530)의 2배 이상의 중량의 흡입밸브체(519b)를 갖는 흡입밸브(510b)인 액체분출펌프.
  20. 용기체 목부분에 끼운 장착 캡(6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하단부를 용기체내에 수하한 실린더(603)와, 이 실린더내의 하부에 설치한 밸브좌(613)상에 하면을 밀착하여 흡입밸브(617)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상방으로 세운 막대형의 흡입밸부부재(605)와, 이 부재(605)의 외주에 액밀하게,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 주연을 끼운 환상밀봉부(627)를 내주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시켜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스템(622)과, 상기 스템의 외부 주연 하단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움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실린더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한 스템의 하단부에 뚫은 관통구멍(631)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 피스톤(623)과, 상기 스템(622)의 상단에 장착 캡(602)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노즐(624)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625)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631)을 거쳐서 실린더(603)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템내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상하 이동하는 밸브체(637)로 막은 토출밸브(626)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밸브부재(605)의 외주에 액체 역류용의 수직 홈(640)을 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624)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637)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637)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637)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한 액체분출펌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부재(605)가 탄성부재(641)에 의해 항상 밸브구멍이 막히는 방향으로 부세한 흡입밸브부재(605)인 액체분출펌프.
  23.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7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714)를 설치한 실린더(703)와,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722)로 막은 토출밸브체(721)를 설치한 하단면이 막힌 스템(717)과, 이 스템의 외주 하단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실린더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고, 또한 스템 하단부에 뚫은 관통구멍(728)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 피스톤(718)과, 상기 스템의 상단에 장착 캡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연속해서 설치한 노즐(719)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720)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728)을 거쳐서 실린더 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721)를 거쳐서 노즐(719)로부터 분출시켜서, 밀어내림 헤드(720)가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714)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피스톤(718)을 스템에 대해 상시 상방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스템의 최대 상승위치에서만 관통구멍(728)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719)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72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722)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722)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한 액체분출펌프.
  25. 용기체 목부분에 끼우는 장착 캡(802)과, 이 캡에 의해 용기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용기체내에 수하한 하단부내에 흡입밸브(814)를 설치한 실린더(803)와, 이 실린더내의 중앙부를 상방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내부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을 액압으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체(826)로 막은 토출밸브(824)를 설치한 스템(820)과, 이 스템의 외주 하부에 소정 폭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외부 주연을 실린더 내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삽입하고, 또한 스템 주벽부에 뚫은 관통구멍(836)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환상 피스톤(821)과, 상기 스템의 상단에 장착 캡의 상방을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노즐(822)이 부착된 밀어내림 헤드(823)를 갖추며, 상기 밀어내림 헤드를 밀어내려서 열려진 관통구멍(836)을 거쳐서 실린더내의 액체를 스템내로 도입시킴과 동시에 토출밸브(824)를 거쳐서 노즐(822)로부터 분출시켜서, 밀어내림 헤드(823)의 상승시에는 상기 실린더내의 부압화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흡입밸브(814)를 거쳐서 실린더내로 흡상하게 구성한 액체분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템내로부터 실린더내로 일방적으로 통하게 하는 테크밸브(825)를 스템의 하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출펌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822)내의 용적을 Va로 하고, 토출밸브체(826)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부분의 유로내의 용적을 Vb로 하고, 토출밸브체(826)의 체적을 Vc로 할 때에, Vb-Vc가 Va와 같거나 Va보다 커지도록 토출밸브체(826)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한 액체분출펌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825)가 스템의 저벽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의 하면을 막는 체크밸브판(832)을 스템의 하단에 삽입하여 고정한 원통형기부(83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시킨 복수의 막대형 탄성부(833)에 의해 일체로, 그리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한 체크밸브(825)이며, 상기 흡입밸브(814)가 실린더내의 하단부에 설치한 밸브구멍의 상면을 막는 흡입밸브판(815)을 실린더내의 하단부에 삽입하여 고정한 원통형 기부(816)의 내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시킨 복수의 막대형 탄성부(817)에 의해 일체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한 흡입밸브(814)이며, 또한 체크밸브(825)의 밸브를 여는 데 필요한 압력이 흡입밸브(814)의 밸브를 여는 데 필요한 압력보다 적은 액체분출펌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판(832)의 하방 소정 위치 및 상기 흡입밸브판(815)의 상방 소정 위치에 각 밸브판의 상하 이동 폭을 규제하는 맞물림 돌기(845, 846)를 각각 돌출시킨 액체분출펌프.
  29. 용기체 목부분의 외면에 끼운 장착통(902)으로부터 저부의 내면에 흡입밸브(907)를 갖는 실린더(903)을 용기체내에 수하하고, 이 실린더(903)내로부터 상방으로 부세하여 토출밸브가 부착된 작동부재(930)를 세우고, 이 작동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용기체내의 액체를 실린더내로 흡입하고, 또 이 실린더내의 액체를 작동부재 상단의 밀어내림 헤드(931)가 갖는 노즐(934)로부터 토출하게 설치한 펌프식 액체 토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내 저부의 흡입밸브(907)를 밸브체(911)가 밸브구멍(910)을 탄성으로 막는 자폐밸브로 형성함과 동시에, 작동부재(930)를 상기 밀어내림 헤드(931)와, 이 밀어내림 헤드에 상단부를 고착시켜서 실린더(903)내로 수하하는 원통형부(936)의 하단으로부터 외향 플랜지(937)를 거쳐서 소경 실린더(938)를 수하하는 스템(935)과, 상기 원통형부(936)내로 상부를 고착시켜서 수하하는, 외면에 유로형성 홈(941)을 수직으로 설치한 막대형부(942)의하단에 대경의 사다리판형부(943)를 부설한 하부재(940)와, 상기 막대형부의 외면에 스템의 외향 플랜지(937)와 사다리판형부(943) 사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내통부(951)를 끼운 원통형 피스톤(950)로 형성하고, 이 원통형 피스톤은 플랜지로 연결한 3중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외통부(953)를 실린더내의 벽면에, 중통부(952)의 상부를 소경 실린더(938)내의 벽면에 각각 수밀하게 끼우고, 또한 중통부의 상부내의 유로형성 홈(941)과를 서로 통하게 하며, 또 중통부(952)의 하단부와 사다리판형부(943)의 외주부로 토출밸브(944)를 형성하고, 또한 실린더(903)내의 벽면에 대한 원통형 피스톤(950)의 마찰저항을 막대형부(942)와 소경 실린더(938)에 대한 마찰 저항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액체토출용기.
KR1019960705313A 1995-01-27 1996-01-26 액체분출펌프 KR100311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31359 1995-01-27
JP7031359A JPH08198302A (ja) 1995-01-27 1995-01-27 液体噴出ポンプ
JP7031358A JPH08198303A (ja) 1995-01-27 1995-01-27 液体噴出ポンプ
JP95-031358 1995-01-27
JP95-098109 1995-03-29
JP09810995A JP3569343B2 (ja) 1995-03-29 1995-03-29 液体噴出ポンプ
PCT/JP1996/000156 WO1996022924A1 (fr) 1995-01-27 1996-01-26 Pompe a jet pour liq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1593B1 true KR100311593B1 (ko) 2002-12-05

Family

ID=2728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313A KR100311593B1 (ko) 1995-01-27 1996-01-26 액체분출펌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5924604A (ko)
EP (4) EP0757004B1 (ko)
KR (1) KR100311593B1 (ko)
CN (4) CN100375657C (ko)
AU (1) AU717120B2 (ko)
CA (5) CA2665953C (ko)
DE (4) DE69635938T2 (ko)
WO (1) WO1996022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759B1 (en) 1997-07-04 2001-04-03 Valois S.A. Hand-operated pump with a free floating sleeve piston
FR2765638B1 (fr) * 1997-07-04 2004-11-26 Valois Sa Pompe manuelle a piston libre a manchette
CN2314128Y (zh) * 1997-12-25 1999-04-14 丁要武 乳液泵防进水机构
FR2773355B1 (fr) 1998-01-08 2000-03-17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comportant un reservoir rempli sous v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ES2152814B1 (es) * 1998-04-30 2001-08-16 Saint Gobain Calmar Sa Dispensador de fluidos.
US6045008A (en) * 1998-04-30 2000-04-04 Calmar-Monturas, S.A. Fluid pump dispenser
DE69812621T2 (de) * 1998-09-30 2004-02-05 Novares S.P.A. In Öffnungs- sowie Schliessstellung abgedichter, handbetätigter Spender
FR2791400B1 (fr) * 1999-03-22 2002-04-26 Sofab Pompe a reaspiration
BR0101069A (pt) * 2000-03-15 2001-11-06 Saint Gobain Calmar Sa Distribuidor de bomba de fluìdo
ID29685A (id) * 2000-03-15 2001-09-20 Saint Gobain Calmar Sa Dispenser pompa fluida yang mempunyai ciri penarikan produk
US6516976B2 (en) 2000-12-19 2003-02-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osing pump for liquid dispensers
US6543651B2 (en) 2000-12-19 2003-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US6601735B2 (en) 2001-01-19 2003-08-05 Valois S.A. Fluid dispenser device
US7055721B2 (en) 2001-03-23 2006-06-06 Chong Woo Co., Ltd. Finger-operated spray pump ejaculating fluid in fixed quantity
EP1249278A1 (en) * 2001-04-10 2002-10-16 Taplast S.p.A. Dispensing pump
CN1385247A (zh) * 2001-05-11 2002-12-18 增田胜利 流动体喷出泵
US20040045985A1 (en) * 2001-05-30 2004-03-11 Lee Chung Kee Hand-operated spray pump
DE10151781A1 (de) * 2001-10-19 2003-05-08 Steven Padar Abgabevorrichtung für Fluide
US20040050875A1 (en) * 2002-02-12 2004-03-18 Yasushi Kobayashi Liquid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US6695171B2 (en) 2002-02-12 2004-02-24 Seaquistperfect Dispensing Foreign, Inc. Pump dispenser
DE10231751B4 (de) * 2002-07-13 2004-07-29 Aero Pump GmbH, Zerstäuberpumpen Saug-Druck-Pumpe zum Ausspritzen eines Produkts aus einem Behältnis
KR100995652B1 (ko) 2003-08-28 2010-11-22 주식회사 종우실업 예압식 저형상 미세 수동 분사펌프
JP2006027654A (ja) * 2004-07-15 2006-02-02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US7654418B2 (en) 2004-08-30 2010-02-02 Rieke Corporation Airless dispensing pump
US20060113329A1 (en) * 2004-11-29 2006-06-01 Seaquisperfect Dispensing Foreign, Inc. Dispenser with lock
US7249692B2 (en) 2004-11-29 2007-07-31 Seaquistperfect Dispensing Foreign, Inc. Dispenser with lock
US7901191B1 (en) 2005-04-07 2011-03-08 Parker Hannifan Corporation Enclosure with fluid inducement chamber
US7341056B1 (en) * 2005-05-25 2008-03-11 The Big Ox, L.L.C. Portable oxygen supply unit
CN101224810B (zh) * 2007-01-19 2010-04-14 屠旭峰 盒式容器
JP2009022935A (ja) * 2007-07-23 2009-02-05 Canyon Corp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CN102105366B (zh) * 2008-09-30 2012-11-28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喷出容器用的喷出泵的头部侧模块以及喷出泵
JP2011055711A (ja) * 2009-09-07 2011-03-24 Takashi Hida 動物用自動給水ノズル及び動物用自動給水キャップ体
CN201579158U (zh) * 2009-12-21 2010-09-15 陈秋火 背吸式防滴漏喷头
US20110303702A1 (en) * 2010-06-11 2011-12-15 Derxin (Shanghai) Cosmetics Co., Ltd. Liquid spray head assembly
KR101022056B1 (ko) 2010-07-12 2011-03-16 양비오 개폐 조절이 용이한 펌프식 유체 용기
US20120085789A1 (en) * 2010-10-07 2012-04-12 Fres-Co System Usa, Inc. Package system including a fitment with anti-flow blocking and shut-off valve for use with dispensing devices
US8960507B2 (en) * 2011-10-25 2015-02-24 Rieke Corporation Pump dispenser with an inclined nozzle
US9039385B2 (en) 2011-11-28 2015-05-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Jet pump assembly
JP5936991B2 (ja) 2012-10-31 2016-06-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噴出ヘッド及び、それを備える容器
US9205440B2 (en) * 2013-10-22 2015-12-08 Yonwoo Co., Ltd. Dispenser for sucking back contents
ITRM20130591A1 (it) * 2013-10-25 2015-04-26 Emsar Spa Dispenser a tenuta ermetica
WO2015164633A1 (en) * 2014-04-23 2015-10-29 Israel Olegnowicz Integrated lock for atomizer
CN104590710B (zh) * 2015-01-26 2017-04-12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轻量化的乳液泵
CN104969754A (zh) * 2015-06-30 2015-10-14 巨野县天胜科技兴农种植专业合作社 一种富硒玉米种植器及种植方法
CN106628571B (zh) * 2015-07-17 2018-08-17 丁要武 乳液泵
US10753485B2 (en) * 2015-12-24 2020-08-25 Seong Il Kang Content exhaust pump
US9687866B1 (en) * 2016-02-19 2017-06-27 Living Fountain Plastic Industrial Co., Ltd. Liquid soap dispenser
JP6930873B2 (ja) 2017-07-31 2021-09-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ポンプ
CN107352153B (zh) * 2017-08-17 2023-10-31 重庆尚洁日化用品有限公司 一种洗发水瓶
CN107267389B (zh) * 2017-08-23 2020-06-19 湖南开启时代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细胞扩增装置
CN108528975A (zh) * 2017-10-10 2018-09-14 金华知产婺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化妆品按压包装瓶
JP7021913B2 (ja) * 2017-11-16 2022-02-17 株式会社ディスコ 液体供給ユニット
CN108945783B (zh) * 2018-08-01 2020-07-28 安徽洁诺德塑胶包装有限公司 含单向阀的泵头
CR20210506A (es) * 2019-03-05 2022-04-04 Joseph Company Int Inc Sistema de recipiente de bebida presurizada
CN112320061B (zh) * 2020-09-24 2022-04-08 广州市俊杰日化包装容器有限公司 一种防滴液按压瓶
CN113117359B (zh) * 2021-03-05 2022-08-26 湘雅生物医药(湖州)有限公司 一种用于胶原蛋白提取用的无菌式蒸馏瓶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8022A (en) * 1963-06-21 1966-04-26 Valve Corp Of America Atomizer pump
FR1399208A (fr) * 1963-06-21 1965-05-14 Lanvin Parfums Pulvérisateur
US3237571A (en) * 1963-12-16 1966-03-01 Calmar Inc Dispenser
US3228571A (en) 1964-06-12 1966-01-11 Valve Corp Of America Discharge valve construction for dispenser pump
DE1254970B (de) * 1965-07-03 1967-11-23 Erich Pfeiffer K G Metallwaren Abdichtung einer in einem Fluessigkeitsgefaess angeordneten Membranpumpe
US3583605A (en) * 1969-01-17 1971-06-08 Diamond Int Corp Liquid dispensing pump
FR2054453A1 (ko) * 1969-07-07 1971-04-23 Step Soc Tech Pulverisation
BE752932A (fr) 1969-07-07 1970-12-16 Pulverisation Par Abreviation Vaporisateur a tube plongeur
FR2149669A5 (ko) * 1971-08-19 1973-03-30 Step
ES409434A1 (es) * 1971-12-16 1976-01-01 Pfeiffer Kunststofftech Gmbh Perfeccionamientos en los dispositivos para emitir liquidoso productos pastosos o cremosos.
JPS5186341U (ko) * 1974-10-23 1976-07-10
NL173807C (nl) * 1974-12-18 1983-10-03 Philips Nv Niet-recursief, digitaal filter met verlaagde uitgangsbemonsterfrequentie.
US4057176A (en) * 1975-07-18 1977-11-08 Plastic Research Products, Inc. Manually operated spray pump
JPS56943Y2 (ko) * 1976-01-14 1981-01-10
JPS5295755A (en) * 1976-02-07 1977-08-11 Yasuo Hirai Electrostatic painting device
US4133457A (en) * 1976-03-08 1979-01-09 Klassen Edward J Squeeze bottle with valve septum
US4065038A (en) * 1976-04-07 1977-12-27 Realex Corporation Pump sprayer
US4071172A (en) * 1976-04-07 1978-01-31 Balogh Stephen M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
US4201317A (en) * 1977-07-28 1980-05-06 Aleff Hans P Finger actuated pump assembly
JPS6040900B2 (ja) * 1982-01-18 1985-09-13 キヤニヨン株式会社 デイスペンサ−
JPS60140273A (ja) 1983-12-27 1985-07-25 Sharp Corp 複写装置における部分消去装置
JPS60140273U (ja) 1984-02-23 1985-09-17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JPS61140273A (ja) * 1984-12-12 1986-06-27 Ricoh Co Ltd 画像拡大・縮小装置
US4624413A (en) * 1985-01-23 1986-11-25 Corsette Douglas Frank Trigger type sprayer
JPS61140273U (ko) * 1985-02-20 1986-08-30
ES288332Y (es) * 1985-07-24 1986-08-01 Monturas Y Fornituras,S.A. Bomba surtidora de fluido contenido en un recipiente.
JPH0423815Y2 (ko) * 1986-02-04 1992-06-03
JPH0547099Y2 (ko) * 1987-06-26 1993-12-10
JPS6479760A (en) * 1987-09-21 1989-03-24 Canon Kk Image recorder
JPH0444791Y2 (ko) 1987-11-19 1992-10-21
JPH0698987B2 (ja) * 1988-02-02 1994-12-07 株式会社多田技術研究所 ディスペンサ
JPH076110Y2 (ja) * 1988-06-03 1995-02-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吐出容器
JP2638110B2 (ja) * 1988-08-26 1997-08-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ダイカスト鋳造における金型温度制御方法
US4991747A (en) * 1988-10-11 1991-02-12 Risdon Corporation Sealing pump
JPH0259164U (ko) * 1988-10-25 1990-04-27
US4930670A (en) * 1989-03-17 1990-06-05 Smiley Chien Pumping mechanism for dispensing lotion in bottle/container
IT1228787B (it) * 1989-03-31 1991-07-03 Lumson Srl Pompetta manuale per l'erogazione di liquidi o paste da flaconi.
JPH0329466A (ja) * 1989-06-26 1991-02-07 Nec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US4991746A (en) * 1989-07-07 1991-02-12 Emson Research Inc. Modular pump having a locking rotatable sleeve
JPH0329466U (ko) * 1989-07-31 1991-03-25
FR2656900B1 (fr) * 1990-01-10 1994-01-28 Oreal Pompe manuelle a precompression pour la pulverisation d'un liquide, notamment d'un parfum.
US5346103A (en) * 1990-10-05 1994-09-13 Yoshino Kogyosho Co, Ltd. Compression sprayer for liquids
FR2668958B1 (fr) * 1990-11-13 1994-05-20 Valois Dispositif de pulverisation ou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a aspiration du produit contenu dans le canal de sortie en fin d'actionnement.
FR2669379A1 (fr) * 1990-11-21 1992-05-22 Promotion Rech Innovation Tec Pompe doseuse pour produits liquides.
US5192006A (en) * 1991-05-01 1993-03-09 Risdon Corporation Low profile pump
US5152435A (en) * 1991-06-13 1992-10-06 Ben Zane Cohen Ophthalmic dispensing pump
WO1993025319A1 (en) * 1992-06-17 1993-12-23 Yoshino Kogyosho Co., Ltd. Spout hole for pump
JP3163776B2 (ja) * 1992-08-25 2001-05-08 東洋製罐株式会社 ポンプ
MXPA94002797A (es) * 1993-06-24 2002-06-18 Procter & Gamble Dispositivo de bombeo de dispensacion manualmente operado con camara de bombeo aplastable.
US5988443A (en) * 1994-04-15 1999-11-23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Flexible tube with pump dispenser and method of making
US5549223A (en) * 1994-08-03 1996-08-27 Toyo Seikan Kaisha, Ltd. Pump with back suction phase
US5673824A (en) * 1995-05-31 1997-10-07 Taplast Srl Plastic dosing pump for dispensing liquids from containers
JP3595016B2 (ja) * 1995-04-04 2004-12-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容器
US6053371A (en) * 1998-05-15 2000-04-25 Owens-Illinois Closure Inc. Pump dispens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186368B1 (en) * 1999-05-26 2001-02-13 Michael Gene Knickerbocker Manually actuated pum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2157C (zh) 2008-07-16
CA2426367C (en) 2005-01-25
DE69631269D1 (de) 2004-02-12
AU717120B2 (en) 2000-03-16
EP1210983B1 (en) 2006-03-22
CN1666823A (zh) 2005-09-14
DE69638012D1 (de) 2009-10-08
US5924604A (en) 1999-07-20
US20050167451A1 (en) 2005-08-04
WO1996022924A1 (fr) 1996-08-01
DE69635938D1 (de) 2006-05-11
EP0757004A4 (en) 1999-08-11
EP1210983A3 (en) 2002-09-04
CN1098200C (zh) 2003-01-08
US20040144806A1 (en) 2004-07-29
EP1543886A3 (en) 2007-03-14
EP0757004A1 (en) 1997-02-05
CA2665953C (en) 2012-05-01
CA2440737C (en) 2010-08-24
DE69631269T2 (de) 2004-12-09
CN100375657C (zh) 2008-03-19
US6702156B2 (en) 2004-03-09
CN1232356C (zh) 2005-12-21
AU4496596A (en) 1996-08-14
CA2426367A1 (en) 1996-08-01
EP1579923A2 (en) 2005-09-28
CN1378882A (zh) 2002-11-13
CA2665953A1 (en) 1996-08-01
EP1210983A2 (en) 2002-06-05
DE69637311D1 (de) 2007-12-13
CA2440737A1 (en) 1996-08-01
CN1378883A (zh) 2002-11-13
EP1543886A2 (en) 2005-06-22
US7472809B2 (en) 2009-01-06
EP0757004B1 (en) 2004-01-07
CA2186614A1 (en) 1996-08-01
CA2485237A1 (en) 1996-08-01
US6938803B2 (en) 2005-09-06
DE69635938T2 (de) 2006-08-24
DE69637311T2 (de) 2008-08-07
CN1145609A (zh) 1997-03-19
EP1579923A3 (en) 2005-10-12
US6119902A (en) 2000-09-19
CA2186614C (en) 2003-12-30
EP1579923B1 (en) 2007-10-31
CA2485237C (en) 2011-03-15
US20020056731A1 (en) 2002-05-16
EP1543886B1 (en)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593B1 (ko) 액체분출펌프
US4735347A (en) Single puff atomizing pump dispenser
US406124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travel of the plunger in a dispensing pump chamber
CA1246504A (en) Pump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container
US4389003A (en) Sliding inlet seal for an atomizing pump dispenser
JPS6032505B2 (ja) 液体噴霧器
US6471097B2 (en) Hand-operated pump with a free floating sleeve piston
KR101975847B1 (ko) 스프레이 펌프
KR101963619B1 (ko) 스프레이 펌프
KR20040075887A (ko) 에어로졸 분말 밸브
KR100334050B1 (ko) 분무 유닛
KR101951627B1 (ko) 스프레이 펌프
IE56977B1 (en) Manually operated dispensing pump
EP0430431A2 (en) Atomizing fluid dispenser
FI76712C (fi) Handmanoevrerad sprayanordning.
JPS6040900B2 (ja) デイスペンサ−
JP4680500B2 (ja) 二部材式噴射ノズル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529510B2 (ko)
JP3836312B2 (ja) 液体噴出ポンプ
US8763864B2 (en) Fluid product distributor
JPH0769361A (ja) 液体ディスペンサ容器
AU738185B2 (en) Liquid jet pump
CA1323618C (en) Atomizing pump
JP3687816B2 (ja) 液体噴出ポンプ
JP7438081B2 (ja) 吐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