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065B1 - 현상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065B1
KR100306065B1 KR1019990036196A KR19990036196A KR100306065B1 KR 100306065 B1 KR100306065 B1 KR 100306065B1 KR 1019990036196 A KR1019990036196 A KR 1019990036196A KR 19990036196 A KR19990036196 A KR 19990036196A KR 100306065 B1 KR100306065 B1 KR 10030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sealing member
developer
developing apparatus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631A (ko
Inventor
후지따아끼요시
마쯔다겐지
호리까와다다시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3309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0606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0001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부재가 단부에서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긴 방향으로 밀봉 부재의 자유 단부의 길이가 밀봉 부재가 지지되는 길이보다 더 큰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Develo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식 복사 장치 또는 전자 사진식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는, 전자 사진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는 전자 사진식 광감지체형 회전 드럼, 즉 화상 담지체와 같은 광감지 드럼이 사실상 그 중앙 부분에 제공되고, 또한 그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이 제공된다. 그후, 광감지체의 표면은 노출에 따르고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정전기적 잠재 화상은 그 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기적 잠재 화상은 광감지체의 회전으로 현상 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고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되고 이른 바 토너 화상이 광감지체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토너 화상은 전사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상에 정전기적으로 전사되고, 나아가 정착 장치에서의 열 및 압력에 의해 정착되고, 이로써 영구 화상이 기록 매체에 형성된다. 전사의 종료 후 광감지체상에 잔존하는 임의의 토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장치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현상 장치가 개략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때, 현상제로서 건식 단일 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공되고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식 단일 성분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 입자(이하 간단하게 '토너'라 함)만을 사용하는 현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현상 장치에는 현상제 담지체와 같은 회전 슬리브, 즉 현상 슬리브가 광감지 드럼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토너를 운반하고 광감지 드럼상에 토너를 정전기적 잠재 화상에 정착시키고 그 위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어떤 현상 장치에서는, 단일 성분의 현상제, 즉 토너의 박막층을 현상 슬리브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데, 이것이 화상 현상 장치에서의 주요 논점이다.
최근에,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해상도, 선명도 등의 개선이 보다 요구되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현상 장치에서는, 현상 슬리브상에 토너의 박막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제안이 있고, 현상 장치는 이를 구체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54-43038호에 개시된 현상 장치에서, 현상제 두께 조정 수단으로서의 탄성 블레이드는 현상 슬리브의 표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되어 있다. 즉, 토너는 탄성 블레이드와 현상 슬리브의 사이의 접촉 인접 부분을 통해 통과하게 되어 있고 토너의 층 두께는 현상 슬리브상에 토너의 박막층을 형성하도록 조정되고 이 인접 부분에서 현상에 충분한 마찰 전기(마찰 대전양)이 토너에 분배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탄성 블레이드에 의해 비자성 토너 입자를 조정하기 위해, 현상 슬리브상으로의 토너 공급 수단이 별도로 필요하다. 즉, 공지된 바와 같이, 단일 성분 현상제로서 자성 토너 입자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의 경우, 현상 슬리브에 의해 제공된 마그네트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으로 현상 슬리브상에 토너을 공급할 수 있는 반면에, 이는 비자성 토너 입자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의 경우에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에 토너의 공급을 달성하기 위해, 현상 슬리브의 주위에 폴리우레탄 폼 등의 발포 고무 재료 또는 스폰지 또는 브러시 재료를 사용하여 탄성을 갖는 롤러형 부재를 인접시키는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도9는 단일 성분의 현상제를 사용한 종래 기술의 현상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현상 장치(4)는 현상 용기(41)에 비자성 토너 입자(토너)를 포함하고 현상 장치(4) 및 광감지 드럼(1)이 서로 대향하는 현상 용기(41)의 측부의 부분이 개방되고, 이 개방 부분으로부터 원주 부분을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슬리브(42)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을 위해 현상 용기(41)상에 지지된다. 또한, 갭 조정 부재로서 스페이서(미도시함)가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상에 제공되고, 이들 스페이서는 광감지 드럼(1)의 표면에 대해 인접하여 광감지 드럼(1)의 표면과 현상 슬리브(42)의 표면은 그 사이에 소정의 거리로 서로 대향한다.
현상 슬리브(42)의 표면에 인접된 토너양을 조정하기 위한 현상제 층 두께 조정 수단으로서의 탄성 블레이드(44)는 현상 슬리브(42)에 대해 지지하고,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에 대해 탄성 블레이드(44)의 상류 위치에서, 현상제 공급 및 스크레이핑 수단으로서의 탄성 롤러(43)는 현상 슬리브(42)의 주위에 인접한다.
현상 장치(4)가 현상 작동을 시작할 때, 토너는 화살표 C 방향으로의 교반 부재(45)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고, 탄성 롤러(43)측으로 운반된다. 토너는 현상 슬리브(42)의 표면에 담지되면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된 탄성 롤러(43)와의 마찰에 의해 예비 대전되고, 이후에 토너는 현상 슬리브(42)의 회전으로 탄성 블레이드(44)와 현상 슬리브(42) 사이의 인접 부분으로 운반되고 토너 층 두께는 조정되어 박막층으로 된다. 이때 마찰에 의해, 소망의 대전이 토너에 분배된다.
그 후에, 현상 슬리브(42)의 회전으로 광감지 드럼(1)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담지 및 운반된 토너는 현상 슬리브(42)에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광감지 드럼(1)상에 비산되고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감지 드럼의 표면상의 정전기 잠재 화상에 선택적으로 부착한다. 현상에 기여하지 않고 현상 슬리브(42)의 표면상에 잔존하는 임의의 토너는 현상 슬리브(42)의 회전에 의해 다시 현상 용기로 운반되고, 탄성 롤러(43)에 의해 박리되어 현상 용기(41)의 토너와 혼합된다.
종래 기술의 현상 장치에서, 금속 재료가 현상 슬리브(42)로서 사용될 때, 금속 박판으로 만들어진 블레이드가 탄성 블레이드(44)로서 사용될 경우, 이는 현상 슬리브(42)를 침식시킬 것이고 바람직하지 않다. 토너의 양호한 박막층을 얻기 위해, 우레탄 또는 실리콘 러버 등의 고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략적으로 상술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현상 슬리브(42)상에 토너의 박막층 형성에 만족스러운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자성 토너 입자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와는 다르게, 비-자성 토너 입자(토너)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는 자성 흡인력을 이용할 수 없고, 이로써 현상 슬리브(42)상에 토너를 강력하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상 장치(4)의 외측으로의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
즉, 탄성 블레이드(44)와 현상 슬리브(42)상의 압력 접촉 부분에서 빠져나가고 충분히 대전된 토너의 이외의 토너는 현상 슬리브(42)가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흡인력을 갖고 있지 않고, 이로써 토너는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의 하부 및 부근으로부터 누출되어, 이른 바 토너 누출을 면할 수 없으며, 따라서, 토너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를 오염하는 문제를 발생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저압으로 현상 슬리브(42)에 인접한 가요성 현상제 밀봉 부재(46)가현상 용기(41)의 하부의 개구 부분에 위치된 하부 프레임(48)에 제공되어 현상에 기여하지 않고 현상 용기(41)로 다시 운반된 토너의 경로를 허용하고, 현상 용기(41)의 하부로부터 현상 용기(41)의 토너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현상 장치는 소형 복사 장치 또는 페이지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나, 적어도 현상 장치를 포함하여 현상 장치가 유닛 또는 프로세스 수단으로 제조되는 장치와 화상 담지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교환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 일체로 제조되어 종래에 사용되어 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의하면, 장치의 보수는 수리원에게 의지하지 않고 사용자가 스스로 행해질 수 있어, 장치의 조작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유닛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제조된 현상 장치는 교환 중에 인가되는 광 쇼크 등에 의해 토너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밀봉부가 현상 장치에 제공된다. 특히, 상술한 현상제 밀봉 부재(46)는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도10은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서 본 종래 기술의 현상 장치(4)의 현상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토너의 밀봉부를 도시하려는 편의를 위해, 현상 장치(4)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광감지 드럼(1)상에 토너 화상 형성 영역인 현상 영역(G)가 도시되어 있다.
도9 및 도10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42)의 현상 영역(G)보다 넓은 스트립형 용지의 형태로 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46)는 현상 용기(41)의 개구부의 하부에 제공되고, 현상 용기의 하부 프레임(48)은 광감지 드럼(1)에 인접한 현상제 밀봉 부재(46)의 일단부를 길게 고정한다. 또한, 현상제 밀봉 부재(46)의 자유 단부는 현상 용기(42)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있는 방식으로 자체의 탄성에 의해 현상 슬리브(42)상에 접촉 및 마찰 활주한다.
현상 밀봉 부재(46)의 재료로서는, 얇은 우레탄 고무, 약한 강성의 필름형 폴리카보네이트, PET 등으로 제조되어 사용된다. 현상에 기여하지 않는 토너의 수집 중, 현상 밀봉 부재(46)는 도9의 화살표 E로 표시된 바와 같이 현상 용기의 내측으로 하강하고, 토너의 수집을 방해하지 않는다. 현상 장치(4)의 내부로부터의 토너의 분출에 대해, 현상제 밀봉 부재(46)는 현상 슬리브(42)으로 밀접하여 토너의 누출을 방지한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현상 용기(41)에서는,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로부터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가 현상 영역(G)보다 외향해 있는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상에서 현상 용기(41)의 개방 단부에 대향하는 내측 위치에서 제공되어, 현상 영역(G)의 외측으로 토너의 유출 을 방지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로서, 펠트(felt) 또는 정전 식모 등으로 형성된 표면이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기본 재료를 갖는 것으로 미끄러지게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고,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는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슬리브(42)의 외주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현상 장치(4)에서,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상에, 현상 슬리브(42)는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와 현상 슬리브(42) 사이에 후자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46)에 밀접하여 마찰 활주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으로 당기는 힘은 현상 밀봉 부재(46)에 인가되고. 이 힘에 의해, 현상제 밀봉 부재(46)가 흔들리고, 따라서 현상 작동이 수회 반복될 경우 토너 누출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의 해결안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46)에 인가된 당기는 힘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46)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상에 현상 밀봉 부재(46)가 중첩하는 영역을 감소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현상제 밀봉 부재(46)와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 사이의 중첩 영역이 우연히 감소될 경우, 밀봉 성능의 감소가 현상 용기(41)의 작동 부분의 하부 프레임(41)의 긴 대향 단부에서 일어나 결국 토너의 누출이 이들 부분에서 발생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밀봉 부재(46)와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 사이의 중첩 영역의 설정이 토너의 누출에 예민하고 민감하게 관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밀봉 부재의 밀봉 특성이 개선된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당기는 힘(강도)에 기인하는 현상제 밀봉 부재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현상 용기의 개구 부분의 긴 대향 단부상에밀봉 부재의 밀봉 성능의 감소가 방지되는 단순한 구성을 갖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 부재가 현상 장치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적합한 형상으로 제조되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일실시예와 본 발명에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3은 현상제 담지체를 제외한 화상 담지체의 측부로부터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4는 현상제 담지체를 제외한 화상 담지체의 측부로부터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현상제 담지체를 제외한 화상 담지체의 측부로부터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현상제 담지체를 제외한 화상 담지체의 측부로부터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현상제 담지체를 제외한 화상 담지체의 측부로부터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8은 현상제 담지체를 제외한 화상 담지체의 측부로부터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9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0은 현상제 담지체를 제외한 화상 담지체의 측부로부터 도시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형상 계수 SF-1 및 SF-2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감지 드럼
2: 대전 롤러
4: 현상 장치
20: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현상 용기
42: 현상 슬리브
43: 탄성 롤러
46: 현상제 밀봉 부재
47: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가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레이저 빔 프린터으로 구체화되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살표 A 방향으로의 회전을 위한 화상 담지체로서 드럼형 전자 사진식 광감지체, 즉 광감지 드럼(1)을 지지한다. 다음에, 광감지 드럼(1)의 표면은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학 장치(3)으로부터의 라인 스캐닝 레이저 빔(L)에 노출되고, 이로써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정전기 잠재 화상이 광감지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 정전기 잠재 화상은 광감지 드럼(1)의 회전으로 현상 장치(4)에 대향하는 위치로 오고, 현상제에 의해 가시화되어, 이른 바 토너 화상이 광감지 드럼(1)상에 형성된다. 토너 화상의 다음에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7)와 광감지 드럼(1)가 서로 인접하는 위치로 운반된다.
한편, 카세트(5)에 저장된 기록 매체(P)는 전사 위치로의 광감지 드럼(1)의 토너 화상의 진입과 동기화하기 위해서 용지 공급 롤러(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되고, 이송 수단(14)에 의해 전사 위치로 이송된다.
따라서, 전사 위치로 온 광감지 드럼(1)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롤러(7)에 의해 전사 위치에 도착한 기록 매체(P)상에 정전기적으로 전사된다. 따라서, 그 위에 비정착된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기록 매체(P)는 정착 장치(9)로 이송되어, 비정착 토너 화상이 열 및 압력에 의해 기록 매체(P)상에 정착된다.
이와 같이 영구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P)가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전사 종료 후 광감지 드럼(1)상에 잔존하는 약간의 토너는 세정 블레이드(10)에 의해 스크래이핑되어 세정 장치(8)의 폐기 토너 용기(11)로 포함되고 화상 형성 작동을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 장치(4)는 유닛으로 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광감지 드럼(1)의 표면의, 노광에 의해 대전 전하(부극성)이 감쇠된 부분을 토너에 의해 가시화하는 이른바 반전 현상(reversal developing)을 행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현상 장치(4)는 현상 용기(41)내의 현상제로서 비 자성 단일 성분 현상제,즉 비-자성 토너 입자(토너)만을 포함한다. 현상 용기(41)는 긴 방향으로 연장되고 광감지 드럼(1)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개방된다. 이러한 개구 부분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슬리브(42)는 그 원주 표면의 절반이 현상 용기(4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원주면의 반대측 절반이 현상 용기(41)내로 내밀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현상 용기(41)의 외측으로 노출된 현상 슬리브(42)의 표면과 광감지 드럼(1)의 표면은 갭 조정 수단으로서 스페이서(미도시함)에 의해 그 사이에 미세한 이격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현상 슬리브(42)의 표면은 토너와의 마찰 활주의 가능성을 높이고 토너의 운반을 만족스럽게 하기 위해 소망의 거칠기를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글라스 비드(#600)에 의한 정형 블라스트 처리에 따른 표면과 JIS B 0601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0.8 ㎛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직경 20 mm의 슬리브가 사용된다. 또한, 광감지 드럼(1)과 현상 슬리브(42)는 그 사이에 300 ㎛의 갭으로 서로 대향하고, 광감지 드럼(1)은 원주 속도 50 mm/s로 회전되고, 현상 슬리브(42)는 약간 더 빠른 원주 속도 80 mm/s로 회전된다.
현상 용기(41)상에서, 현상제 층 두께 조정 수단으로서 탄성 블레이드(44)는 블레이드지지 금속판(48)에 의해 현상 슬리브(42)상에 지지되고 탄성 블레이드(44)의 자유 단부 부근이 면접촉 방식으로 현상 슬리브(42)의 외주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제공된다. 탄성 블레이드(44)는 그 팁 단부가 회전 방향에 대해 현상 슬리브(42)의 상류측에서 위치하도록, 즉 이른바 대향 방향으로 인접하게 된다.
탄성 블레이드(44)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러버와 같은 고무 재료나 스프링과같은 탄성을 갖는 SUS나 베이스 본체로서 청동 금속박판과, 현상 슬리브(42) 주위에 지지하는 표면에 부착 고정된 고무 재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블블레이드(44)는 1.0 mm의 두께를 갖는 판형 우레탄 러버가 블레이드 지지 금속판(48)에 부착 고정되는 구성을 갖고 현상 슬리브(42)에 밀착하는 압력은 25 g/cm 내지 35 g/cm이다. 여기에서, 선 압력의 측정은, 이미 알고있는 마찰 계수를 가진 3개의 금속박판을 인접 부분에 삽입하고 스프링 저울로 중앙의 것을 잡아 당겨 얻어진 값으로부터 환산된 것이다.
현상 슬리브(42)의 회전에 대해 현상 슬리브(42) 주위에 탄성 블레이드(44)가 유지하는 위치의 상류에서, 현상제 공급 및 현상제 스크래이핑 수단으로서 탄성 롤러(43)는 현상 슬리브(42) 주위에서 유지되고 현상 슬리브(42)와 동일한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탄성 롤러(43)는 바람직하게는 현상 슬리브(42)로의 토너의 공급과 토너의 스크래이핑의 관점에서 발포 골격상 스폰지 구조나 레이온이나 나일론 등의 섬유가 맨드렐에 식모한 털 브러시 구조를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맨드렐과 그 위에 제공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18 mm의 외경을 갖는 탄성 롤러(43)가 사용된다.
현상 슬리브(42)에 대한 탄성 롤러(43)의 인접 폭으로서 1mm 내지 8mm가 효과적이고, 그 접촉 부분에서 현상 슬리브(42)에 대해 상대 속도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폭은 3 mm로 설정되었고 탄성 롤러(43)의 원주 속도가 현상 작동 중 50 mm/s로 되고, 즉 현상 슬리브(42)의 상대 속도가 130 mm/s로 되도록 탄성 롤러는 미도시한 구동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간으로 회전 구동되었다.
도3은 광감지 드럼(1) 측부에서 바라본, 도2의 현상 장치(4)의 현상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현상 슬리브(42)는 도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류를 향하여 탄성 블레이드(44)와 현상 슬리브(42)간의 닙(N)으로부터 탄성 블레이드(44)의 팁 단부(자유 단부)로의 거리는 탄성 블레이드(또는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를 향해 계속적으로 짧아지고, 탄성 블레이드의 팁 단부의 긴 길이는 닙(N)의 긴 길이보다 짧다. 즉, 탄성 블레이드(44)는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류측을 향해 경사지는 형상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 영역의 토너 층 두께 조정력이 높아진다. 즉, 현상 슬리브(42)상에 형성된 토너 층의 두께는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에 대한 닙(N)의 상류 지점으로부터 탄성 블레이드(44)의 팁 단부로의 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고, 이 거리가 길면 길수록 토너 층 두께는 커지고, 이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토너 층 두께는 작아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롤러(43)가 현상 슬리브(42)(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에 대해 인접하지 않는 부분에서, 탄성 블레이드(44)의 닙(N)으로부터 탄성 블레이드(44)의 팁 단부로의 거리는 짧아지고, 이로써 이 영역의 토너 층 두께 조정력은 현상 영역에 비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토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현상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자성 단일 성분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 입자(토너)만을 포함한다. 또한, 토너로서, 구형이고 표면이 매끄러운 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토너는 전사 특성이 우수하며, 전사되지 않고 광감지 드럼(1)에 남아있는 이른바 비전사 토너가 블레이드(10)(본 실시예)와 같은 세정 수단이나 털 브러시에 의해 제거될 때 윤활 특성이 높기 때문에, 광감지 드럼(1)의 표면의 마모가 작다. 상세하게는, 체적 저항값이 1014Ω 이상이고 1017Ω 이하이며, 형상 계수 SF-1이 100 내지 180이고, 형상 계수 SF-2가 100 내지 140인 토너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토너의 체적 저항값은 다음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측정 전극 판의 면적은 0.283 cm2(직경 6 mm)이고, 압력은 1500 g의 중량을 이용하여 980 g/cm2이고, 측정시 분말 재료 층 두께(토너 층 두께)는 0.5 mm 내지 1.0 mm이고, 400 V의 DC 전압이 인가되고 전류는, 마이크로미터(YHP4140 pA METER/DC VOLTAGE SOURCE)의 사용에 의해 측정되고, 체적 저항값(비-저항)은 얻어진 저항 값으로부터 계산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형상 계수 SF-1 및 SF-2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값이다. 히타치 웍스 엘티디.에 의해 제조된 FE-SEM(S-800)의 사용에 의해, 100개의 토너 화상들의 임의로 채집되고, 그 화상 정보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니콜렛트 재팬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화상 분석 장치(Luzex 3)로 도입 및 분석되고, 이하의 식으로부터 계산된 값이 형상 계수 SF-1 및 SF-2로서 정의된다.
도11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형상 계수 SF-1은 구형 물질의 형상의 곡률(구형 각도)을 표시한 수치이고, 2차원 면상에 투영된 구형 물질로 형성된 타원형의 절대 최대 길이는 MXLNG이고 투영 면적은 AREA이다. 또한, 형상 계수 SF-2는 구형 물질의 요철 각도를 표시한 수치이고, 투영 형상의 둘레 길이는 PERI이다. 구형 형상은 형상 계수 SF-1가 100보다 커지면서 부정형으로 되고, 토너의 표면의 요철은 형상 계수 SF-2가 100보다 커지면서 현저해진다.
또한, 토너 제조 방법으로서, 지금까지 널리 공지된 이른바 분쇄 방법에 의한 토너(분쇄된 토너) 제조 방법 이외에,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36-10231 및 제59-53856호에 기재된 현탁 중합 방법의 사용에 의해 토너를 직접 제조하는 방법과 같은 이른 바 중합 방법에 의한 토너(중합 토너) 제조 방법과, 단량체는 가용이고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는 비가용인 수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토너를 직접 제조하는 분산 중합 방법이나 수용성 극성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 토너를 직접 중합하고 제조하는 소프 프리(soap-free) 중합 방법에 의해 대표되는 유화 중합 방법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형상 계수 SF-1 및 SF-2는 각각 100 내지 180과 100 내지 140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고, 입자 크기 분포가 뚜렷하고 4 ㎛ 내지 8 ㎛의 입자 직경(중량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미립자 토너가 비교적 용이하게 얻어지고,따라서, 정상 압력하에 또는 가압하에서 현수 중합 방법에 의해 토너가 제조되었다. 상세하게는, 단량체로서 스티렌 및 엔-부틸 아크릴레이트, 대전 제어제로서 살리실산 화합물, 극성 합성 수지로서 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착색제를 첨가함으로써, 7 ㎛의 중량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착색 현수 입자가 제조되었다. 1.5 wt %의 소수성 실리카를 별도로 첨가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 능력에서 우수한 부대전성을 갖고 세정시 광감지 드럼(1)의 마모를 매우 작게하는 토너가 제조되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현상 장치가 현상 작동을 개시할 때, 토너는 화살표 C 방향으로 교반 부재(45)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어 탄성 롤러(43) 측으로 운반된다. 더욱이, 토너는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 롤러(43)에 의해 현상 슬리브(42)의 부근으로 운반되고, 현상 슬리브(42)와 탄성 롤러(43)사이의 인접 부분에서 탄성 롤러(43)상에 담지된 토너는 현상 슬리브(42)와의 마찰 접촉에 의한 마찰 대전에 따르고 현상 슬리브(42)상에 부착한다.
그후, 토너는 화살표 B 방향으로의 현상 슬리브(42)의 회전과 함께 탄성 블레이드(44)의 가압 접촉하에 보내어지고, 소망의 마찰 전기(마찰 대전량)을 받고 현상 슬리브(42)상에 박층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너의 대전 전하량은 -60 μC/g 내지 -20 μC/g가 되도록 설정되었고, 토너 도막량은 0.4 mg/cm2내지 1.0 mg/cm2으로 설정되었다.
그후, 토너 층은 광감지 드럼(1)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운반된다. 현상위치에서, 전압원(49)에 의해 중첩된 DC 전압을 갖는 AC 전압이 광감지 드럼(1)과 현상 슬리브(42)의 사이에 인가되고, 이러한 현상 편의 전압에 의해, 현상 슬리브(42)상의 토너는 광감지 드럼(1)상에 쌓이고,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감지 드럼(1)의 표면상의 정전기 잠재 화상에 선택적으로 부착한다.
현상에 기여하지 않고 현상 슬리브(42)의 표면에 남아있는 약간의 토너는 현상 슬리브(42)의 회전으로 현상 슬리브(42)의 하부로부터 채집된다. 현상 용기(41)로 채집된 현상 슬리브(42)상의 토너는 탄성 롤러(43)와 현상 슬리브(42) 사이의 접촉 부분에서 현상 슬리브(42)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이때에 박리된 토너의 대부분은 탄성 롤러(43)의 회전으로 운반되고 현상 용기(41)에 포함된 토너와 혼합하고 토너의 대전 전하가 분산된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토너가 탄성 롤러(43)의 회전에 의해 현상 슬리브(42)상에 공급되고 상술한 작동이 반복된다.
가요성의 용지 형상 현상제 밀봉 부재(46)는 상술한 토너 채집 부분에 제공되고 현상 용기로 현상에 기여하지 않는 토너의 통로를 허용하고 현상 슬리브(42)의 하부로부터 현상 용기(41)내의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현상 용기(41)에서는,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로부터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는 현상 용기(41)의 개구 부분에 대향하는 내측 부분에서 현상 영역(G) 보다 외향한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상에 제공되고, 현상 영역(G)의 외측으로 토너의 유출을 방지한다.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로서, 펠트나 정전 식모를 포함하는 표면을 갖고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 재료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이 펠트 부재이고 베이스 재료가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이들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이 사용된다.
이제 도3을 참조하여 현상제 밀봉 부재(46A)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의를 위하여, 도3에는 현상 슬리브(42)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3에는 현상 슬리브(42)의 긴 길이(S)와 현상 영역(G)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밀봉 부재(47A)로서, 얇은 우레탄 러버를 사용한 용지형상의 밀봉 부재, 낮은 강성을 가지는 필름형 폴리카보네이트, PET 또는 탄성 재료 등, SUS 또는 구리등의 용지 형상의 금속 부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SUS의 용지 형상의 밀봉 부재가 사용된다.
또한, 현상 밀봉 부재(46A)는 현상 영역(G)보다 긴 방향으로 더 길고,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서 밀봉 부재(46A)의 일단부는 현상 용기(41)의 하부 프레임(48)에 긴 방향으로 고정된다. 한편, 현상제 밀봉 부재(46A)의 자유 단부는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으로 따르는 방식으로 그 자신의 탄성에 의해 현상 슬리브(42)상에 접촉하여 마찰 활주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밀봉 부재(46A)의 형상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단부에 인접한 사각 형상의 긴 대향 단부의 모서리를 잘라 냄으로써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현상제 밀봉 부재(46A)의 긴 대향 단부의 모서리(X)는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의 폭의 중심에 사실상 위치하고, 잘라낸 측부의 다른 모서리(Y)는 현상 슬리브의 회전 방향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46A)의 폭의 중심에 사실상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긴 방향으로의 밀봉부재(46A)의 자유 단부의 길이는 하부 프레임(48)에 의해 지지되는 밀봉 부재(46A)의 길이보다 짧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밀봉 부재(46A)는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와 현상 슬리브(42)사이에 개재될 수 있어 현상 슬리브(42)가 현상제 밀봉 부재(46A)의 밀접하게 접촉하고 마찰 활주하는 영역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지지되는 밀봉 부재(46A)의 길이는 크고 따라서 밀봉 부재(46A)는 튼튼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활주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현상제 밀봉 부재(46A)의 흔들림은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형상을 취한 현상제 밀봉 부재(46A)는 하부 프레임(48)에 이러한 밀봉 부재(46A)를 고정하기 위해 긴 방향으로 양면 테이프의 착좌 면을 넓히고 점착력을 강화시켜, 현상 용기의 개구 하부의 하부 프레임(48)의 긴 대향 단부에서 밀봉 특성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현상제 밀봉 용기(4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과 같이, 도4는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서 바라 본, 도2에서 도시된 현상 장치(4)의 현상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현상 슬리브(42)는 도4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1과 같이, 현상제 밀봉 부재(46B)의 형상은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서 바라 본 바와 같은 사실상 사다리꼴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자유 단부에 인접한 밀봉 부재(46)의 모서리(X)는 곡면으로 모떼기 처리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밀봉 부재(46B)를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기재된 유사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3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현상제 밀봉 부재(4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3과 같이,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서 바라 본, 도2에서 도시된 현상 장치(4)의 현상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현상 슬리브(42)는 도5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밀봉 방지 부재(46D)의 형상은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 바라 본 바와 같이 사실상 사각형이고, 자유 단부의 모서리(X)는 모떼기 처리된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유 단부 측부의 모서리(X)가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의 폭의 중심에 사실상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밀봉 부재(46C)를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기재된 유사한 작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4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현상제 밀봉 부재(4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3과 같이,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서 바라 본, 도2에서 도시된 현상 장치(4)의 현상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현상 슬리브(42)는 도6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밀봉 부재(46D)의 형상은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 바라 본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이다. 볼록한 부분의 긴 대향 단부의 모서리(X')는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의 폭의 중심에 사실상 위치하고, 현상제 밀봉 부재(46D)의 자유 단부의 다른 모서리(Y')는 현상 슬리브(42)의 회전 방향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46A)의 폭의 중심에 사실상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밀봉 부재(46D)를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기재된 유사한 작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5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현상제 밀봉 부재(4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도3과 같이,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서 바라 본, 도2에서 도시된 현상 장치(4)의 현상 위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편의상 현상 슬리브(42)는 도7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밀봉 부재(46E)의 형상은 실시예 4에서와 같이,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 바라 본 바와 같은 사실상 볼록한 형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볼록한 부분의 모서리(X')는 곡면 형상으로 모떼기 처리된 것으로 나타난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밀봉 부재(46E)를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기재된 유사한 작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6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현상제 밀봉 부재(4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도3과 같이,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서 바라 본, 도2에서 도시된 현상 장치(4)의 현상 위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편의상 현상 슬리브(42)는 도8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밀봉 부재(46F)의 형상은 광감지 드럼(1)의 측부에 바라 본 바와 같이 사각형이다. 더욱이, 현상제 밀봉 부재(46F)의 자유 단부의 긴 대향 단부와 단부 주위 표면 밀봉 부재(47) 사이의 중첩량(J)은 7 mm이하이다. 중첩량(J)가 너무 작은 양으로 설정되면, 현상 슬리브(42)의 긴 대향 단부의 토너 밀봉 특성은 감소하고, 따라서 중첩량(J)은 0.5 mm이상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밀봉 부재(46F)를 사용함으로써, 밀봉 부재(46F)의 흔들림은 방지될 수 있고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는 작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6에서, 현상 장치(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유닛으로 되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물론 현상 장치(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고정되어 토너만을 보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감지 드럼(1), 대전 롤러, 현상 장치(4) 및 세정 블레이드(10) 및 폐기 토너 용기(11)를 포함하는 세정 장치(8)를 선택적으로 프레임 부재(12)에 의해 유닛으로 하고,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13)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 2개의 위치에서 제공된다.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나, 대전 수단, 현상제 담지체 및 세정 수단, 화상 담지체의 적어도 하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일체로 되고,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에 일체로 되는 현상제 담지체 및 화상 담지체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현상제 담지체에 의해 당기는 힘에 기인한 현상제 밀봉 부재의 파손을 파지하고, 현상 용기의 개구 부분의 긴 대향 단부의 하부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현상 장치와 함께, 이 현상 장치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내의 토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있다.

Claims (27)

  1.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 용기와,
    현상 위치로 현상제를 담지 및 운반하기 위해 상기 현상 용기의 개구 부분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긴 방향으로 단부 부근에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고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현상제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긴 방향으로 현상 영역의 길이보다 큰 길이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 및 밀봉하기 위해 상기 단부에 마련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누출 방지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긴 방향으로 밀봉 부재의 자유 단부의 길이는 상기 밀봉 부재가 지지되는 길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지지되는 부분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상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자유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용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 부재에는 탄성을 갖는 베이스 본체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는 펠트 또는 정전 식모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구 부분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하부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화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화상 담지체의 현상 위치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긴 방향으로 단부들의 상기 자유 단부의모서리들은 모떼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사각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 방향으로 단부들의 상기 자유 단부의 모서리들은 모떼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긴 방향으로 단부들의 상기 자유 단부의 모서리들은 곡면으로 모떼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긴 방향으로 단부들의 상기 자유 단부의 모서리들은 모떼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비-자성 단일 성분 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가 현상 작동을 수행하는 화상 담지체와 함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7.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 용기와,
    현상 위치로 현상제를 담지 및 운반하기 위해 상기 현상 용기의 개구 부분에 마련된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긴 방향으로 단부 부근에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고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현상제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긴 방향으로 현상 영역의 길이보다 큰 길이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 및 밀봉하기 위해 상기 단부에 마련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누출 방지 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되고,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누출 방지 부재가 서로 중첩하는 상기 긴 방향으로의 길이는 0.5 mm 이상이고 7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지지되는 부분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상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자유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용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 부재에는 탄성을 갖는 베이스 본체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는 펠트 또는 정전 식모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구 부분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하부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화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화상 담지체의 현상 위치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비-자성 단일 성분 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7. 제17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가 현상 작동을 수행하는 화상 담지체와 함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KR1019990036196A 1998-08-31 1999-08-30 현상 장치 KR100306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59210 1998-08-31
JP25921098A JP3441980B2 (ja) 1998-08-31 1998-08-31 現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631A KR20000017631A (ko) 2000-03-25
KR100306065B1 true KR100306065B1 (ko) 2001-11-01

Family

ID=1733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196A KR100306065B1 (ko) 1998-08-31 1999-08-30 현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95515B1 (ko)
JP (1) JP3441980B2 (ko)
KR (1) KR100306065B1 (ko)
CN (1) CN11298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9887A3 (en) * 1999-08-23 2014-11-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62180B1 (en) * 1999-09-03 2007-01-09 Bridgestone Corporation Elastic roller
US6901228B2 (en) * 2001-03-27 2005-05-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gent container including a sealing element for preventing developing agent from leaking out
US6487383B2 (en) 2001-04-12 2002-11-26 Lexmark International, Inc.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JP2003066807A (ja) * 2001-08-27 2003-03-05 Fuji Xerox Co Ltd クリーニング部材、帯電装置、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US6553195B2 (en) 2001-09-27 2003-04-22 Kurt Matthew Korfhage Dynamic end seal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3661644B2 (ja) * 2001-12-28 2005-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47135B2 (ja) * 2002-10-31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産方法
JP2005234144A (ja) * 2004-02-18 2005-09-02 Sharp Corp 現像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06184556A (ja) * 2004-12-27 2006-07-13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227626B2 (ja) * 2005-05-09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容器の製造方法
US20070034099A1 (en) * 2005-08-10 2007-02-15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561820B2 (en) * 2005-08-10 2009-07-14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23807B2 (en) * 2005-12-15 2009-11-24 Lexmark International, Inc. Dynamic seal for component surfaces
CN101051203B (zh) * 2006-04-05 2011-07-13 柯尼卡美能达商用科技株式会社 显像装置
JP4816345B2 (ja) * 2006-09-05 2011-1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静電潜像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42368A (ja) 2007-03-29 2008-10-09 Oki Data Corp 画像形成ユニット、シール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US8099012B2 (en) 2007-12-18 2012-01-17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eloper roll lip seal
US8116657B2 (en) * 2007-12-18 2012-0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Upper seal for inhibiting doctor blade toner leakage
JP4683122B2 (ja) * 2008-12-17 2011-05-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582994B2 (ja) * 2010-12-14 2014-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44725B2 (en) 2011-05-18 2014-0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iffness seal for imaging component surfaces
US20130136508A1 (en) * 2011-11-30 2013-05-30 Shuuichi Nakagawa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CN103186088B (zh) * 2011-12-31 2017-07-28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和处理盒的密封方法
JP5955078B2 (ja) * 2012-04-25 2016-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203038004U (zh) * 2012-12-27 2013-07-0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用处理盒
JP6362023B2 (ja) 2014-02-18 2018-07-2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038A (en) 1977-09-10 1979-04-05 Canon Inc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device
JPS5953856A (ja) 1982-09-21 1984-03-28 Canon Inc トナ−の製造方法
US5585895A (en) * 1991-12-19 1996-12-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with it
JP3235938B2 (ja) * 1994-11-18 2001-12-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JPH08292704A (ja) * 1995-04-21 1996-11-0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758230A (en) * 1995-11-10 1998-05-26 Mita Industrial Co., Ltd. Device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JP3272604B2 (ja) * 1996-07-02 2002-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815C (zh) 2003-12-03
CN1247333A (zh) 2000-03-15
JP2000075656A (ja) 2000-03-14
US6195515B1 (en) 2001-02-27
KR20000017631A (ko) 2000-03-25
JP3441980B2 (ja)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065B1 (ko) 현상 장치
JP3079038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594462B2 (en) Developing apparatus using toner with conductive particles
US6144820A (en) Developing apparatus with a sealing member having an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ive portion
US20050152718A1 (en) Developing apparatus
JPH11344859A (ja)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19093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843651B2 (ja) 現像装置
JP2001242709A (ja)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069483B1 (en) Developing apparatus
JP378256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284589A (ja)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11667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8256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194444B2 (ja) 現像装置
JPH0932996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83921B2 (ja) 現像装置
JP200305794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181352A (ja) 現像装置
JP2003255663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0554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861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02748A (ja) 現像装置
JPH08314347A (ja) 画像形成装置
JP3673678B2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