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538B1 - 밀봉막 파손 방지용 토너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밀봉막 파손 방지용 토너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538B1
KR100302538B1 KR1019990006448A KR19990006448A KR100302538B1 KR 100302538 B1 KR100302538 B1 KR 100302538B1 KR 1019990006448 A KR1019990006448 A KR 1019990006448A KR 19990006448 A KR19990006448 A KR 19990006448A KR 100302538 B1 KR100302538 B1 KR 10030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chamber
sealing film
chamber
mai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963A (ko
Inventor
후지오카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주) filed Critical 가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7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토너 카트리지는 격벽으로 나누어진 현상실과 토너실을 가진다. 상기 격벽은 현상실과 대면한 주면에서 스텝을 가지고, 또 토너실에서 현상실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구를 가진다. 측벽이 격벽에 부착되어서 현상실을 부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측벽은 토너 공급구를 밀봉하는 밀봉막을 끌어당기는 드로잉 구멍을 가진다. 상기 스텝은 토너 공급구와 드로잉 구멍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막이 현상실에서부터 드로잉 구멍을 통해 끌려나오면, 밀봉막의 토너가 밀봉막의 굴곡부에 의해 모이게 된다. 상기 스텝은 모인 토너가 굴곡부에서 탈출하도록 하는 탈출 공간을 형성한다. 밀봉막은 모인 토너가 굴곡부에서 탈출 공간을 통해 탈출하도록현상실에서 밖으로 부드럽게 끌려나온다.

Description

밀봉막 파손 방지용 토너 카트리지{Toner cartridge capable of preventing sealing film from breaking}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복사기, 모사전송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프린터는 종이 등에 문자, 그림 등을 인쇄하기 위해 토너를 사용한다. 토너는 소모품이므로 전자사진 프린터의 인쇄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토너를 재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토너의 재공급은 어떤 문제점을 가져온다. 따라서,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 카트리지는 재공급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한 토너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미심사된 일본 공개특허 평6-130814호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 토너 카트리지는 현상기계를 내장하는 현상실과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실을 구비하는 본체를 가진다. 본체는 부분적으로 현상실을 제공하는 측벽을 포함한다. 측벽은 현상실로 이어지는 드로잉 구멍(drawing opening)을 가진다. 현상실 및 토너실은 부분적으로 드로일 구멍을 제공하는 평평한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격벽은 토너를 토너실에서 현상실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구를 가진다.토너 공급구는 토너 카트리지가 미사용상태에 있을 때 현상실의 측면에 있는 밀봉막으로 밀봉 또는 폐쇄된다. 밀봉막은 서로 연속하는 제1 및 제2 부분을 구비하는 리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부분이 밀봉막의 한 단부에서 제1 단부를 가지고, 제2 부분은 밀봉막의 다른 단부에서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부분은 토너 공급구를 막기 위해 격벽에 부착된다. 제1 부분은 격벽에서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단부는 드로잉 구멍 부근에 배치된다. 밀봉막은 제2 부분을 제1 부분 위에 놓기 위하여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경계지역에서 구부러진다. 제2 단부는 드로잉 구멍을 통해 본체 밖으로 나와 있다. 밀봉막은 토너 카트리지를 전자사진 프린터에서 사용하였으면 격벽에서 떼어내어 현상실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이 일은 제2 단부를 끌어당김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 단부를 끌어당기면, 제1 부분은 격벽에서 점차로 떨어지고, 토너 공급구가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개방된다. 이런 경우에, 토너실에서 보유되어 있던 토너가 부분적으로 현상실로 주입되고 밀봉막으로 떨어진다. 이 때, 밀봉막의 굴곡부가 제1 부분의 제1 단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굴곡부가 제1 단부를 향해 제1 부분에서 떨어진 토너를 모은다. 모인 토너는 갈 곳이 없고, 밀봉막이 드로잉 구멍을 통해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게 막는다. 그 결과, 밀봉막이 두개로 파손되는 경우에 파손된 하나의 밀봉막이 현상실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막이 현상실에서 쉽게 제거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막이 현상실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밀봉막이 두개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아래 설명에서 명백히 나타난다.
도 1은 종래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종래 토너 카트리지의 실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측면도.
도 5는 도 3의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횡단면도.
도 6은 도 3의 토너 카트리지의 현상실에서 밀봉막을 끌어당기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횡단면도.
도 7은 도 3의 토너 카트리지의 현상실에서 밀봉막을 끌어당기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토너 카트리지 11,32:현상실
12,33:토너실 14,47:측벽
15,34:격벽 17,45:밀봉막
18,48:드로잉 구멍 40:광 도체드럼
51:스텝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가 전지사진 프린터에 사용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현상실과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실을 가진다.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는 현상실과 토너실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한다. 격벽은 현상실과 대면하는 주면과, 토너실로부터 현상실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해 주면을 통과하는 토너 공급구를 가진다. 밀봉막은 주면에 부착되어서 토너 공급구를 폐쇄하고 미사용 상태에서는 토너가 토너실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 밀봉막은 상기 주면에서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측벽은 부분적으로 현상실을 제공하기 위해 격벽에 실제로 수직으로 부착되고, 밀봉막을 현상실에서 끌어당기기 위한 드로잉 구멍을 가진다. 탈출부재가 토너 공급구와 드로잉 구멍 사이에서 격벽에 형성되어서 밀봉막이 드로잉 구멍에서 끌려나올 때 토너를 밀봉막에서 탈출하도록 한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이해를 위해 종래 토너 카트리지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에서, 종래 토너 카트리지(10)는 현상실(11) 및 토너실(12)을 가진다. 현상실(11)이 전자사진 공정을 위해 현상기계를 내장하고 있는 동안, 토너실(12)은 현상실에서 현상을 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토너(T)를 보유하고 있다. 현상기계는 한 쌍의 격벽(14: 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한다. 현상실(11) 및 토너실912)은 평평한 격벽(15)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평평한 격벽(15)은 토너실(12)로부터 현상롤러(13)로 토너(T)를 공급하기 위해 현상롤러(13)와 대면하는 토너 공급구(16)를 가진다.
토너 카트리지(10)가 미사용 상태에 있으면, 밀봉막(17)이 토너 공급구(16)를 밀봉 또는 폐쇄한다. 밀봉막(17)이 격벽(15)에 부착되어 있지만 이 격벽(15)에서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다. 현상실(11)에서 밀봉막(17)을 끌어당기기 위해 드로잉 구멍(18)이 하나의 측벽(14)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막(17)은 서로 연속하는 제1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된 리본 형상을 가진다. 제1 부분이 밀봉막(17)의 한 단부에서 제1 단부를 가지는 반면에, 제2 부분은 밀봉막(17)의 다른 단부에서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부분은 토너 공급구(16)를 밀봉하기 위해 현상실(11)의 한 측면에서 격벽(15)에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모서리가 현상실(11)에서 드로잉 구멍(18)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밀봉막(17)은 제2 부분을 제1 부분 위에 놓기 위해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경계영역에서 구부러져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모서리가 드로잉 구멍(18)을 통해 현상실(11) 밖으로 나와 있다.
핸들부재(19)가 제2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만일 핸들부재(19)가 도 1의 좌측을 향해 끌려간다면, 제2 부분이 현상실(11)에서 드로잉 구멍(18)을 통해 끌려간게 된다. 이 경우에, 제2 분을 당기면 제1 부분이 격벽(15)에서 점차로 떨어지게 된다. 도 1의 우측에서부터 떨어지기 시작한다. 다음에, 제1 부분이 제2 부분 다음에 드로잉 구멍(18)을 통해 현상실(11)에서 끌려나간다.
그런데, 제1 부분이 격벽(15)에서 떨어지면, 토너 공급구(16)가 개방되고, 토너(T)가 일부 현상실(11)로 주입된다. 현상실(11)로 주입되는 토너는 제1 부분에 떨어진다. 더구나, 현상기계의 시험용으로 사용되는 다른 토너가 제1 부분에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제1 부분상의 토너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막(17)의 굴곡부에 의해 제1 단부를 향해 모이게 된다. 모인 토너(C)는 갈 곳이 없어서 밀봉막이 드로잉 구멍(18)을 통해 완전히 통과하는 것을 방해한다. 최악의 경우에, 밀봉막(17)이 2개로 파손되고, 그중 하나가 현상실(11)에 남아있게 된다. 이것은 평평한 격벽(15)이 부분적으로 드로잉 구멍(18)을 제공하는 평면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제 도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토너 카트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서, 토너 카트리지(30)는 전자사진 공정을 위한 프로세싱 기계를 내장하는 본체(31)를 구비한다. 프로세싱 기계는 현상기계를 구비한다. 본체(31)는 현상기계를 내장하는 현상실(32)과,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실(33)을 포함한다. 현상실(32) 및 토너실(33)은 토너공급구(35)를 갖는 격벽(34)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현상기계는 토너 공급롤러(36), 토너 운반롤러(37), 및 박층 형성부재(38)를 포함한다. 토너실(33)은 토너(T)를 교반하기 위해 교반기(39)를 내장하고 있다. 프로세싱 기계는 광 도체드럼(40), 브러시 챠저(41), 세척부재(42) 및 소모 토너실(43)을 추가로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30)를 전자사진 프린터에서 사용할 때에는, 토너 카트리지(30)의 각 부분은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브러시 챠저(41)는 반도체 섬유로 제조된 원통형 브러시를 가진다. 상기 원통형 브러시는 광 도체드럼(40)의 주변 표면과 부분적으로 접촉을 유지한다. 주변 표면은 OPC(광학 도체 재료) 또는 셀레늄(Se) 시스템 재료로 제조되는 광 도체로 만들어진다. 브러시 챠저(41)가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동안에, 광 도체드럼(40)은 다른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브러시 챠저(41)는 원통형 브러시로써 광 도체드럼(40)의 주변 표면을 닦는다. 이 경우에, 브러시 챠저(41)에는 정전기 전하를 광 도체드럼(40)에 주기 위하여 AC 전압이 DC 전압에 중첩되는 중첩 전압(superimposed voltage)이 공급된다. 그 결과, 원통형 브러시가 광 도체드럼(40)의 주변 표면에 정전기 전하를 균일하게 준다.
다음에, 광 도체드럼(40)이 정전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자사진 프린터내에 배치되어 있는 광원(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선에 의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광원은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LED이고, 정전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에 따라 구동된다. 광원은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에 따라 구동되는 대신에 부분적으로 광선을 차단하도록 액정 마스크(도시 안됨)와 조합되어도 좋다.
다른 한편, 교반기(39)는 토너(T)를 조금씩 토너 공급롤러(36)에 공급한다. 토너 공급롤러(36)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니티릴부타디엔 고무, 천연고무 또는 스폰지와 같은 유연성 재료로 제조된 주변을 가진다. 토너 공급롤러(36)의 스폰지 부재는 부분적으로 토너 운반롤러(37)의 주변과 접촉을 유지한다. 토너 공급롤러(36)는 회전하면서 스폰지 부재에 놓인 토너(T)를 토너 운반롤러(37)로 공급한다. 박층 형성부재(38)는 토너 운반롤러(37)가 회전할 때 주변에 놓인 토너(T)를 토너 박층으로 만든다. 이 경우에, 박층 형성부재(38)는 마찰로써 토너 박층의 토너(T)에 정전기 전하를 부여한다. 박층 형성부재(38)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인 청동, 또는 니켈 은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다.
토너 운반롤러(37)는 광 도체드럼(40)에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토너 운반롤러(37)가 회전하면, 하전된 토너(T)는 광 도체드럼(40)과 대면한다. 광 도체드럼(40)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은 하전된 토너(T)를 그들간의 전기력으로써 끌어당긴다. 하전된 토너(T)는 정전기 잠상에 따라 광 도체드럼(40)에 달라 붙는다. 소위, 토너(T)는 정전기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 상(toner image)을 형성한다. 토너 상은 전자사진 프린터의 전사유닛(도시 안됨)에 의해 기록매체로 전사된다. 기록매체는 예로서 종이, OHP(오버헤드 프로젝터)용 필름, 우편엽서 등이다.
전사후에, 광 도체드럼(40)에 남아있는 소모 토너는 세척부재(42)에 의해 광 도체드럼(40)에서 쓸려나가며 소모 토너실(43)로 배출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프린터에서 작동한다.
아래에서 본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는 현상실(32) 및 토너실(33)을 가지며, 또 상기 션상실(32)과 토너실(33)을 분할하는 격벽(34)을 가진다. 상기 격벽(34)은 현상실(32)과 대면하는 주면과, 이 주면으로 둘러싸인 토너 공급구(35)를 가진다. 토너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프린터에 장착되면, 격벽(34)이 도 3의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다. 즉, 주면이 수직방향에 대해 평행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는 현상실(32)과 토너실(33)을 부분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주면에 실제로 수직하는 측벽(47)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은 현상실(32)로 이어지는 드로잉 구멍(48)을 가진다. 상기 드로잉 구멍(48)은 예를 들어 주면에 평행한 슬릿이다.
도 5에서, 스텝(51)이 드로잉 구멍(48)과 토너 공급구(35) 사이에서 격벽(34)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텝은 현상실(32) 안으로 돌출한다. 스텝(51)은 약 3mm의 높이를 가진다. 스텝(51)은 드로잉 구멍(48)에 연속한다.
도 3으로 돌아가면, 토너 공급구(35)는 직사각형 또는 경주장 모양을 가진다. 즉, 토너 공급구(35)는 도 3의 전후방향에 평행한 폭과, 이 폭보다 작으면서 도 3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길이를 가진다. 상기 토너 공급구(35)는 토너 카느리지(30)가 미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는 토너(T)가 토너실(33)로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막(45)에 의해 막혀 있다.
상기 밀봉막(45)은 리본 형상을 가지며, 또 토너 공급구(35)의 이중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밀봉막(45)은 서로 연속하는 제1 부분(45a) 및 제2 부분(45b)을 구비한다. 제1 부분이 밀봉막(45)의 한 단부에서 제1 단부를 가지는 반면에, 제2 부분은 밀봉막(45)의 다른 단부에서 제2 단부를 가진다. 제1 부분(45a)은 토너 공급구(35)를 막기 위하여 격벽(34)의 주면에 붙어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단부는 드로잉 구멍(48) 부근에 위치한다. 정확히 말하면, 제1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51) 부근에 위치한다. 제1 부분(45a)은 주면에서 용이하게 떨어진다. 밀봉막은 제1 부분(45a)과 제2 부분(45b) 사이의 경계영역에서 구부러지므로 제2 부분(45b)이 제1 부분(45a) 위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단부는 드로잉 구멍(48)을 통해 현상실(32) 밖으로 나와 있다.
토너 카트리지를 전자사진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밀봉막은 토너 공급구(35)를 개방하기 위해서 현상실(32)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밀봉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2 부분을 도 5의 좌측으로 끌어당긴다. 제2 부분이 드로잉 구멍(48)을 통해 현상실(32)에서 끌려 나오게 되면, 제1 부분이 주면에서 점차로 벗겨진다. 즉, 토너 공급구(35)가 도 5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점차로 개방된다. 그 결과, 토너(T)는 토너실(33)에서 현상실(32)로 부분적으로 부어지고 제1 부분(45a)으로 떨어진다. 동시에 밀봉막(45)의 굴곡부가 제1 부분에서 제1 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굴곡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떨어진 토너를 모은다. 이 경우에 시험 인쇄를 하여 제1 부분에 떨어진 토너가 남아 있으면, 이들 토너는 떨어진 토너와 함께 모인다.
도 6에서, 스텝(51)은 모인 토너가 굴곡부에서 탈출하도록 격벽(34)의 주면에 걸쳐 탈출공간을 형성한다. 모인 토너는 상기 탈출공간을 통해 현상실(32)의바닥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밀봉막(4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인 토너의 방해를 받지 않고 드로잉 구멍을 통해 현상실(32)에서 부드럽게 끌려나온다. 즉, 밀봉막(45)은 파손되지 않고 현상실(32)에서 완전히 끌려나온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술에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을 여러가지 다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막(45)의 제2 부분(45b)이 제1 부분(45a)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제2 부분(45b)은 폭이 제1 부분(45a) 보다 작을 것이다.
또한, 격벽(34)은 스텝(51) 대신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47)에 평행한 홈(81)을 가질 수 있다. 덧붙여, 격벽(3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51) 대신에 돌출부(9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91)는 측벽(47)에 평행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진다. 이런 경우에, 돌출부(7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일부가 될 수 있다. 게다가, 돌출부(91)는 경사진 상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 구멍(48)을 격벽(34)의 주면에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1에서, 드로잉 구멍(48)은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진다. 상기 상단부는 주면에서 거리 α로 떨어져 있고, 하단부는 주면에서 α 보다 긴 거리 β로 떨어져 있다. 밀봉막(48)이 현상실(32)에서 끌려나올 때 제1 부분에 떨어진 토너는 굴곡부에 의해 모이고 점차 현상실의 바닥에 떨어진다. 따라서, 모인 토너는 돌출부(91)에 의해 형성된 탈출공간을 통해 굴곡부에서 탈출한다. 그러므로, 밀봉막(45)은 파손되지 않고 드로잉 구멍(48)을 통해 현상실(32)에서 부드럽게 끌려 나온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밀봉막이 현상실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뿐만아니라, 완정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밀봉막을 파손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는 토너 카느리지를 제공한다.

Claims (8)

  1. 현상실 및 토너를 보유하는 토너실을 가지며 전자사진 프린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실과 토너실을 분할하기 위해 현상실과 토너실 사이에 배치되며, 또 상기 현상실과 대면하는 주면과, 토너를 상기 토너실에서 현상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주면을 통과하는 토너 공급구를 갖는 격벽과;
    미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토너를 토너실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토너 공급구를 폐쇄하도록 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봉막과;
    상기 현상실을 부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격벽에 실제로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고 또 상기 밀봉막을 상기 현상실에서 끌어당기기 위한 드로잉 구멍을 갖는 측벽과;
    상기 밀봉막을 상기 드로잉 구멍을 통해 끌어당길 때 토너를 밀봉막에서 탈출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공급구와 상기 드로잉 구멍 사이에서 격벽에 형성된 탈출수단을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은 서로 연속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구비하는 리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이 토너 공급구를 막도록 상기 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 위에 놓여 있도록 구부러져 있고, 또 상기 드로잉 구멍을 통해 현상실에서 밖으로 나와있는 단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수단은 주면에서 현상실 안으로 돌출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수단은 주면에서 현상실 안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수단은 상기 주면에서 상기 격벽에 형성된 홈인 토너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구멍은 상기 주면에 평행한 슬릿이고, 상기 드로잉 구멍은 측벽이 탈출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주면에서 떨어져 있는 토너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구멍은 슬릿이고, 상기 드로잉 구멍은 측벽이 탈출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주면에 경사져 있는 토너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하단부 보다 주면에 더 가까이 있는 토너 카트리지.
KR1019990006448A 1998-02-27 1999-02-26 밀봉막 파손 방지용 토너 카트리지 KR100302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047381 1998-02-27
JP10047381A JP2954140B2 (ja) 1998-02-27 1998-02-27 トナー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963A KR19990072963A (ko) 1999-09-27
KR100302538B1 true KR100302538B1 (ko) 2001-09-26

Family

ID=1277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448A KR100302538B1 (ko) 1998-02-27 1999-02-26 밀봉막 파손 방지용 토너 카트리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88855B1 (ko)
JP (1) JP2954140B2 (ko)
KR (1) KR100302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97B1 (ko) 2003-11-25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946157B2 (ja) * 2006-05-02 2012-06-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
JP2009145674A (ja) * 2007-12-14 2009-07-0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9651B2 (ja) 2008-03-21 2010-10-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JP4609548B2 (ja) * 2008-08-20 2011-0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JP5473548B2 (ja) * 2009-03-03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392024B2 (ja) * 2009-11-20 2014-01-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2103346A (zh) * 2011-01-24 2011-06-2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盒、密封膜及其密封碳粉盒出粉口的方法
JP5460812B2 (ja) * 2011-11-15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の組み立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469A (ja) 1984-10-12 1986-05-12 Canon Inc 現像装置
JPS6095561A (ja) 1983-10-31 1985-05-28 Canon Inc 現像装置
JPH0725323B2 (ja) 1987-12-25 1995-03-22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に使用される前後輪操舵系統
JP2629945B2 (ja)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641133B2 (ja) 1988-08-26 1997-08-13 コニカ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2150872A (ja) 1988-12-01 1990-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US5134441A (en) 1989-05-30 1992-07-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including the device
JP2968804B2 (ja) 1989-06-02 1999-11-0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DE3930873C1 (ko) 1989-09-15 1991-01-24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De
JPH03168671A (ja) 1989-11-29 1991-07-22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35158A (ja) 1990-05-25 1992-02-05 Fujitsu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242567A (ja) 1990-12-20 1992-08-31 Canon Inc 積層体、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            トリッジ
JPH04278971A (ja) 1991-03-07 1992-10-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現像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及びそれらが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5142942A (ja) 1991-11-22 1993-06-11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装置
JP3165729B2 (ja) * 1992-03-23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118078B2 (ja) 1992-04-14 2000-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41826B2 (ja) 1992-10-15 2001-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36124B2 (ja) 1993-04-28 2001-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テープ取り付け方法
JPH07146608A (ja) 1993-11-25 1995-06-06 Canon Inc 現像装置
JPH07168444A (ja) 1993-12-16 1995-07-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816066A (ja) 1994-06-29 1996-01-19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8292634A (ja) 1995-04-25 1996-11-05 Nec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922240A (ja) 1995-07-04 1997-01-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補給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66970B2 (ja) 1996-01-16 2005-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445069B2 (ja) 1996-07-24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21940A (ja) 1997-02-10 1998-08-21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49399A (ja) 1999-09-17
KR19990072963A (ko) 1999-09-27
JP2954140B2 (ja) 1999-09-27
US6188855B1 (en) 2001-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0607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seal members
EP118474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container removably mountab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36529B2 (en) Package, packing assembly, and packing method for used process cartridge
US20050158070A1 (en)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sliding sealing element
EP0825497B1 (en)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48287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626314B1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agitation member
JP4586620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35701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302538B1 (ko) 밀봉막 파손 방지용 토너 카트리지
JP4356674B2 (ja) 現像剤収容ケースとそれ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JP4314529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50084299A1 (en) Toner cartridge used with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543903A (en) Heat roller type toner image fixing device having cleaning roller
JP3767843B2 (ja)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2006337839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253043B1 (en) Developer sealing member and develop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478827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476477B2 (ko)
US8213843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toner recovery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17623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12797B2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200105149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972598B2 (ja) 現像装置
JP200516472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