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761B1 - 임팩트바를내장한차량의시트 - Google Patents

임팩트바를내장한차량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761B1
KR100301761B1 KR1019960079609A KR19960079609A KR100301761B1 KR 100301761 B1 KR100301761 B1 KR 100301761B1 KR 1019960079609 A KR1019960079609 A KR 1019960079609A KR 19960079609 A KR19960079609 A KR 19960079609A KR 100301761 B1 KR100301761 B1 KR 10030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impact bar
vehicle
actuato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253A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7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76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electric or electronic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81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mechanical trigg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백에 다수의 임팩트 바를 내장한 다음, 측면 충돌사고시에 임팩트 바를 돌출시켜 차체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임팩트 바가 내장된 시트 쿠션 및 시트 백과, 임팩트 바의 일단에 부착된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하는 작동 실린더와, 일측에는 전자석이 내장되고 타측에는 액화질소가 저장된 저장통이 내장되며 저장통에는 스프링에 의해 마개가 가압된 상태로 삽입되는 액추에이터와, 공급호스를 통해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가스를 분배호스를 통해 작동 실린더로 공급하는 디스트리뷰터와, 충돌감지센서와 차속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전자석으로 보내는 파워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색인어]
차량, 측면충돌, 시트 백, 임팩트 바

Description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
본 발명은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백에 다수의 임팩트 바를 내장한 다음, 측면 충돌사고시에 임팩트 바를 돌출시켜 차체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시트가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머리를 기대거나 후방 추돌사고시에 목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충돌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2차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시트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차량의 프론트 시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으로서, 쿠션 스프링이 내장된 시트 쿠션(2)과, 시트 쿠션(2)에 앉아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 백(4)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6)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충돌사고시에 전방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시트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프론트 시트는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시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차체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시트 백에 다수의 임팩트 바를 내장한 다음, 측면 충돌사고시에 임팩트 바를 돌출시켜 차체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임팩트 바가 내장된 시트 쿠션 및 시트 백과, 임팩트 바의 일단에 부착된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하는 작동 실린더와, 일측에는 전자석이 내장되고 타측에는 액화질소가 저장된 저장통이 내장되며 저장통에는 스프링에 의해 마개가 가압된 상태로 삽입되는 액추에이터와, 공급호스를 통해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가스를 분배호스를 통해 작동 실린더로 공급하는 디스트리뷰터와, 충돌감지센서와 차속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전자석으로 보내는 파워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시에 시트 백에 내장된 다수의 임팩트 바를 돌출시킴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프론트 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프론트 시트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임팩트 바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쿠션 12 : 시트 백
14 : 헤드레스트 16 : 임팩트 바
17 : 작동 실린더 18 : 피스톤
20 : 분배호스 21 : 공급호스
22 : 디스트리뷰터 30 : 액추에이터
32 : 전자석 33 : 스프링
34 : 저장통 36 : 마개
38 : 제어기 40 : 차속센서
42 : 시동 스위치 44 : 충돌감지센서
46 : 배터리 48 : 트랜지스터
이하, 첨부한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시트의 정면도이 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 바의 작동을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먼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10)과 시트 백(12)에는 본 발명의 임팩트 바(16)가 내장되어 있으며, 시트 백(12)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14)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측면 충돌사고시에 시트 백(12)과 시트 쿠션(10)에 내장된 임팩트바(16)가 돌출되면서 사이드 차체의 유입을 막게 되는데, 그에 대한 구성은 다음의 제3도에서 상세히 도시하였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팩트 바(16)의 일단에 부착된 피스톤(18)이 미끄럼 이동하는 작동 실린더(17)와, 일측에는 전자석(32)이 내장되고 타측에는 액화 질소가 저장된 저장통(34)이 내장되는 액추에이터(30)와, 공급호스(21)를 통해 액추에이터(3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분배호스(20)를 통해 작동 실린러(17) 내로 공급하는 디스트리뷰터(22)와, 충돌감지센서(44)와 차속센서(4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46)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전자석(32)으로 보내는 제어기(38)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동 스위치(42)를 온시킨 상태에서 배터리(46)의 전류는 도어에 부착된 차속센서(40)로 통전되어지고, 차속센서(40)는 차량 측면의 사이드 임팩트 요인을 레이저 파에 의해 체크하게 된다
사이드 임팩트 요인 감지시 차속센서(40)는 전류를 제어기(38)로 송출시키게 되고, 제어기(38)는 신호 판독에 의해 충돌감지센서(44)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충돌감지센서(44)에 의해 동작되는 트랜지스터(48)는 배터리(46)의 전류를 증폭하여 액추에이터(30)의 전자석(32)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30) 내에 설치된 저장통(34)에는 액화질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가스의 누출을 막기 위해 마개(36)를 삽입하였다.
마개(36)는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저장통(34)의 입구를 막고 있다.
따라서, 전자석(32)이 통전되어 자화되면 스틸로 제조된 마개(36)는 스프링(33)의 힘을 극복하고 전자석(32)으로 당겨진다.
저장통(34) 내의 액화질소는 공급호스(21)를 통해 디스트리뷰터(22)로 공급되고, 계속해서 각 분배호스(20)를 통해 각각의 작동 실린더(17)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8)이 가압되면서 시트 백(12)과 시트 쿠션(10)의 측면으로 임팩트 바(16)가 돌출되어 측면 차체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측면충돌을 사전에 감지하여 시트 측면으로 임팩트 바를 돌출시킴으로써, 측면 차체의 실내유입을 억제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시트 쿠션(10)과 시트 백(12)의 측면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임팩트 바(16)와, 상기 임팩트 바(16)의 일단에 부착된 피스톤(18)이 미끄럼 이동하는 작동 실린더(17)와, 일측에는 전자석(32)이 내장되고 다측에는 액화질소가 저장된 저장통(34)이 내장되며 저장통(34)에는 스프링(33)에 의해 마개(36)가 가압된 상태로 삽입되는 액추에이터(30)와, 공급호스(21)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분배호스(20)를 통해 상기 작동 실린더(17)로 공급하는 디스트리뷰터(22)와, 차속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충돌감지센서(44)를 출력 제어하여 배터리(46)의 전류를 액추에이터(30)의 전자석(32)으로 공급하는 제어기(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바를 내장한 차량의 시트.
KR1019960079609A 1996-12-31 1996-12-31 임팩트바를내장한차량의시트 KR10030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609A KR100301761B1 (ko) 1996-12-31 1996-12-31 임팩트바를내장한차량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609A KR100301761B1 (ko) 1996-12-31 1996-12-31 임팩트바를내장한차량의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53A KR19980060253A (ko) 1998-10-07
KR100301761B1 true KR100301761B1 (ko) 2001-10-22

Family

ID=3752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609A KR100301761B1 (ko) 1996-12-31 1996-12-31 임팩트바를내장한차량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7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53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986B1 (ko) 목받침대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2010013096A (ja) 自動車のシート用の安全装置
KR100301761B1 (ko) 임팩트바를내장한차량의시트
KR100292864B1 (ko) 자동차용뒷좌석
KR0184138B1 (ko) 리어시트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KR100568147B1 (ko)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된 목 보호 장치
KR100267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KR200240568Y1 (ko) 자동차의측면충격보호장치
KR100251845B1 (ko) 시트벨트장치
KR10021759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처짐장치
KR100341487B1 (ko) 차량충돌시 승객유동방지용 이동가이드 장치
KR0178660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100285052B1 (ko) 프론트 시트의 승객 보호용 시스템
KR100471033B1 (ko) 운전자보호용자동차의시트조절장치
KR100267677B1 (ko) 인체쏠림 방지장치
KR200158506Y1 (ko)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KR0122895Y1 (ko) 자동차용 무릎받침대
KR19990023905U (ko) 시트트랙 록킹 감지부를 갖는 시동장치
KR10023094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9980050976U (ko) 차량의 벤치형 시트
KR19980024382U (ko) 차량용 시트 벨트 잠금장치
KR19980031711U (ko) 시트 이송장치
KR19980013323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9980051165U (ko) 어린이용 보조벨트를 구비한 차량의 리어시트
KR20040045945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