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506Y1 -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506Y1
KR200158506Y1 KR2019960066422U KR19960066422U KR200158506Y1 KR 200158506 Y1 KR200158506 Y1 KR 200158506Y1 KR 2019960066422 U KR2019960066422 U KR 2019960066422U KR 19960066422 U KR19960066422 U KR 19960066422U KR 200158506 Y1 KR200158506 Y1 KR 200158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eat
child
gas
airba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235U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6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5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프런트시이트(1)의 한쪽 또는 양쪽 측면에 작동아암이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 작동아암의 축선회측 선단에 케이블을 통해 압축개스의 힘으로 작용하는 작동실린더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작동실린더에는 압축개스를 공급하는 개스리저버(7)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이 개스리저버(7)의 솔레노이드(8)가 충격감지센서(9)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밧데리(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시동스위치(11)와 상기 충격감지센서(9) 사이에 작동실린더(5)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선택스위치(12)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선택스위치(12)를 온시켜둠으로써, 차량이 외부의 물체와 충돌하여 에어백이 팽창될 때 프런트시이트의 측면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도 압축개스가 공급되어, 이 작동실린더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작동아암이 프런트시이트의 위쪽으로 펼쳐지게 하므로써, 에어백이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어린이에게 밀착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따라서,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가 착석하고 있는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하여도 어린이가 에어백(13)에 의해 질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프런트시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이 작동될 때 에어백이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어린이에게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가 착석한 경우에 어린이를 에어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여러 가지의 안전수단 중에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사람의 안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에어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 에어백은 차량의 외부물체 등과 충돌하면 압축개스가 에어백 속으로 유입되어 프런트시이트의 착석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효과적인 에어백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바, 예컨대 프런트시이트에 신체적으로 발육이 완전하지 않아 자기 보호기능이 낮은 유아나 소아가 착석한 상태에서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면, 이 에어백이 유아나 소아의 얼굴을 완전하게 뒤덮어 호흡이 곤란하게 하여 차량이 사고로 인한 충격력 이외에 질식으로 인해 사고를 당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에어백에 대한 다른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를 착석시키지 않으면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주부가 어린이를 데리고 차량이동을 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는 어쩔 수 없이 어린이를 프런트시이트에 착석시켜야 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를 착석시키고 차량에 충돌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에어백이 작동할 때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어린이에게 에어백의 선단이 어린이에게 닿지 않도록 하여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어린이가 에어백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에어백의 작동거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프런트시이트 한쪽 또는 양쪽 측면에 작동아암이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 작동아암의 축선회축 선단에 케이블을 통해 압축개스의 힘으로 작용하는 작동실린더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작동실린더에는 압축개스를 공급하는 개스리저버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이 개스리저버의 솔레노이드가 충격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밧데리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시동스위치와 상기 충격감지센서 사이에 운전자가 작동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스위치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선택스위치를 온시켜둠으로써, 차량이 외부의 물체와 충돌하여 에어백이 팽창될 때 프런트시이트의 측면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도 압축개스가 공급되어, 이 작동실린더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작동아암이 프런트시이트의 위쪽으로 펼쳐지게 하므로써, 자동차의 크러쉬패드 쪽에서부터 펼쳐질 때 상기 작동아암이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어린이의 얼굴쪽으로 에어백의 펼쳐지는 것을 저지하여 줌으로써 에어백이 어린이의 얼굴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따라서,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가 착석하고 있는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하여도 어린이가 에어백에 의해 질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아암의 작동과 에어백이 연동하게 하거나 에어백만이 작동하게 하는 것은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선택스위치에 의해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어린이가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한 경우에만 본 고안의 시스템이 작동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을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런트쿠션부 2 : 작동아암
3 : 선회핀 4 : 케이블
5 : 작동실린더 6 : 개스리저버
7 : 압축개스도관 8 : 솔레노이드
9 : 충격감지센서 10 : 밧데리
11 : 시동스위치 12 : 선택스위치
13 : 에어백 14 : 계기판
15 : 파워트랜스 16 : 개스커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고안에 따른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프런트시이트의 시이트쿠션부(1) 한쪽 측면 또는 양쪽 측면에 작동아암(2)이 핀(3)을 중심으로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 작동아암(2)의 선회측 선단이 케이블(4)을 통해 압축개스에 의해 신축하는 작동실린더(5)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실린더(5)가 압축개스를 저장하고 있는 개스리저버(6)와 압축개스도관(7)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개스리저버(6)의 솔레노이드(8)에 충격감지센서(9)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충격감지센서(9)와 밧데리(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시동스위치(11) 사이에 상기 이동실린더(5)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선택스위치(12)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스리저버(6)는 에어백(13)에 압축개스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개스원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스위치(1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계기판(1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시스템은, 프런트시이트의 시이트쿠션부(1) 측면에 설치된 작동아암(2)의 선회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는 바, 이 작동아암(2)이 제어하는 상기 선택스위치(12)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12)를 오프 상태로 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이 외부물체와 충돌하여 에어백(13)이 팽창되어도 상기 작동실린더(5)에는 압축개스가 공급되지 않게 하므로써, 에어백(13)의 작동과 동시에 프런트시이트(1)가 뒤쪽으로 이동하게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에어백이 팽창될 때 작동아암(2)이 펼쳐지게 하여 어린이를 에어백으로부터 보호해 줄 필요가 있는 바, 이러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미리 상기 선택스위치(12)를 온 상태로 작동시켜 두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외부의 물체와 충돌하게 되면, 이 충돌을 상기 충격감지센서(9)가 감지하여 회로를 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에 의해 에어백(13)이 팽창함과 더불어, 밧데리(10)의 전원이 시동스위치(11)와 선택스위치(12) 및 충격감지센서(9)를 통하여 파워트랜스(15)에 입력되게 되고, 이 파워트랜스(15)에서는 전류가 증폭되어 개스리저버(6)의 솔레노이드(8)에 증폭된 전류를 인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스리저버(6)의 개스커버(16)가 개방되어 압축개스를 작동실린더(5)로 유입시키게 되고, 이 압축개스의 작용에 의해 작동실린더(5)가 신장 작동하면서 실린더(5)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4)을 당김에 따라 이 케이블(4)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아암(2)이 핀(3)을 중심으로하여 회동하면서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아암(2)이 시이트쿠션부(1)에서 위쪽으로 펼쳐지게 되면, 계기판(14)쪽에서 펼쳐지는 에어백(13)이 프런트시이트에 착석하고 있는 어린이에게로 밀착되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 에어백(13)으로 인해 어린이가 질식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작동아암(2)이 팽창되는 에어백(13)을 어린이의 앞쪽에서부터 적당하게 차단해 줌으로써, 어린이에게 에어백(13)이 밀착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이 에어백으로 인하여 어린이가 해를 입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므로써 프런트시이트에 어린이가 착석하고 있는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하여도 에어백이 어린이의 얼굴을 파묻지 않게 되어 질식하는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또한, 시스템의 작동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어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프런트시이트의 시이트쿠션부(1) 한쪽 측면 또는 양쪽 측면에 작동아암(2)이 핀(3)을 중심으로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 작동아암(2)의 선회측 선단이 케이블(4)을 통해 압축개스에 의해 신축하는 작동실린더(5)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실린더(5)가 압축개스를 저장하고 있는 개스리저버(6)와 압축개스도관(7)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개스리저버(6)의 솔레노이드(8)에 충격감지센서(9)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충격감지센서(9)와 밧데리(1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시동스위치(11) 사이에 상기 이동실린더(5)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선택스위치(12)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어린이 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KR2019960066422U 1996-12-31 1996-12-31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KR200158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22U KR200158506Y1 (ko) 1996-12-31 1996-12-31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22U KR200158506Y1 (ko) 1996-12-31 1996-12-31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235U KR19980053235U (ko) 1998-10-07
KR200158506Y1 true KR200158506Y1 (ko) 1999-10-15

Family

ID=1948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422U KR200158506Y1 (ko) 1996-12-31 1996-12-31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5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23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3123A (ko)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GB2267592A (en) Restraining system for occupants of a motor vehicle
JP2007030791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H04262941A (ja) 安全ベルトおよびエアーバッグ装置を持った自動車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4751530B2 (ja) 自動車両の乗員用の膨張可能な頭部保護装置
KR200158506Y1 (ko)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KR20210060236A (ko) 차량의 프런트 에어백장치
KR200158505Y1 (ko) 에어백 연동식 프런트 시이트백 회동시스템
JP2602872Y2 (ja) エアーバッグ装置
JPH03193536A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JPH1120589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162455Y1 (ko) 에어백 연동식 자동차의 루프개방시스템
KR100224252B1 (ko) 자동차용 이중 에어백
KR100197138B1 (ko) 차량 에어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00203422B1 (ko) 차량 에어벡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158504Y1 (ko) 어린이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91188Y1 (ko) 에어백의 전개위치 가변장치
KR100267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KR100205872B1 (ko)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KR19980053236U (ko) 어린이보호용 프런트시이트 시스템
KR19980027125U (ko) 에어백이 내장된 시트벨트
KR100373636B1 (ko) 에어백이구비된차량용안전벨트
KR10023094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292864B1 (ko) 자동차용뒷좌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