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872B1 -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872B1
KR100205872B1 KR1019960069682A KR19960069682A KR100205872B1 KR 100205872 B1 KR100205872 B1 KR 100205872B1 KR 1019960069682 A KR1019960069682 A KR 1019960069682A KR 19960069682 A KR19960069682 A KR 19960069682A KR 100205872 B1 KR100205872 B1 KR 10020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rod
locking
sea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837A (ko
Inventor
문태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8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3Safety locks for back-rests, e.g. with locking bars activated by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에 관한 것이고, 시트에 포함되는 시트백(1)의 상부를 절개하고 그 절개부(2)에 양쪽을 연결시킨 주름형상의 벨로우즈형 신축재(3)와, 시트백(1)의 상부면를 밀도록 된 액추에이터(6)와, 차량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액추에이터(6)를 작동시키도록 한 감지부(12)와, 시트백(1)의 상부가 상승시 이를 고정시키도록 한 록킹부(17)로 이루어져, 차량의 후방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리어시트의 시트백 상부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파손된 패널 및 글래스의 파편이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고, 또한 시트에 탑승한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본 발명은 승객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충돌시 승객의 머리를 보호하고 또한 글래스 파손시 발생되는 파편으로 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시트백 업 장치(Seat-Back up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승용차량은 차실내의 전후방에 각각 운전자 및 승객이 탑승하도록 프런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시트는 탑승자가 앉도록 된 시트쿠션과, 탑승자의 허리를 보호하도록 된 시트백, 및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된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된 종래의 승용차량은, 차량주행시 타차량과 충돌하게 되면 전후방에 마련된 글래스가 파손되지 않는 경미한 사고일 경우에는 탑승객을 헤드 레스트 및 시트백으로 보호할 수 있었지만, 패널 및 글래스가 파손되는 비교적 큰 충돌일 경우에는 파손된 글래스가 탑승자의 몸에 부딪혀 커다란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후방충돌시 파손된 패널 및 글래스의 파편이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시트백의 구조를 개선하여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백 2 : 절개부
3 : 신축재 4 : 실
5 : 주룸부 6 : 액추에이터
7 : 케이스 8 : 복원스프링
9 : 피스톤 10,21 : 쐐기홈
11 : 로드 12 : 감지부
13,24 : 힌지 14 : 잠금레버
15 : 실린더 16 : 센서
17 : 록킹부 18,25 : 로드홀
19 : 록킹 케이스 20 : 지지부재
22 : 지지판 23 : 리어 글래스
26 : 가이드 홀 27 : 로드 잠금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에 포함되는 시트백의 상부를 절개하고 그 절개부에 연결시킨 벨로우즈형 신축재와, 상기 시트백에 내장되며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시트백의 상부면를 밀도록 된 액추에이터와, 차량충돌을 감지하여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도록 한 감지부와, 상기 시트백의 상부가 상승시 이를 고정시키도록 한 록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차량충돌시 감지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게 되고, 작동되는 액추에이터는 시트백의 상부를 밀어올린다. 이때, 시트백의 신축재가 펴지면서 상기 시트백의 상부는 리어 글래스에 밀착되며 이동된 상기 시트백의 상부는 록킹부에 의해 하강이 제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에 따른 승객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상부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중 부호 1은 리어시트의 시트백으로서, 상기 시트백(1)은 상부가 절개된 절개부(2)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2)에는 상하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가능한 벨로우즈형 신축재(3)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신축재(3)는, 축소시킨후 실(4)등으로 쉽게 펴지지 않도록 박음질된 주룸부(5)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재(3)에 에어의 공급시 박음질된 실(4)이 떨어지면서 상기 시트백(1)의 상부가 상향 이동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6는 상기 시트백(1)의 상부를 밀도록 된 엑추에이터로서 상기 엑추에이터(6)는, 상기 시트백(1)의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7)와, 상기 케이스(7)에 내장되며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복원스프링(8)과, 상기 복원스프링(8)의 상부에 올려진 피스톤(9)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9)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백(1)의 상부를 밀도록 상기 시트백(1)의 상부에 지지되며 하부에 원주둘레로 쐐기홈(10)이 계단식으로 형성된 로드(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드(11)의 상단에는 지지판(22)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판(22)은 중간부분이 힌지(24)되어 양단이 회동가능하고, 상기 시트백(1) 상부를 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감지부(12)는 차량충돌을 감지하여 액추에이터(6)를 작동시키도록 된 것으로, 상기 엑추에이터(6)의 케이스(7)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7)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피스톤(9)을 고정시키도록 중간부가 힌지(13)연결된 잠금레버(14)와, 상기 잠금레버(14)의 일단을 전후진 시키도록 된 실린더(15)와, 차량충돌시 그 충격량을 감지하여 일정이상이 되면 상기 실린더(15)를 작동시키도록 된 센서(16)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록킹부(17)는, 상기 엑추에이터(6)의 케이스(7) 상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면에 로드홀(25)이 형성된 록킹케이스(19)와, 상기 록킹케이스(19)의 공간에 고정 삽입되며 중앙에 하부보다 상부의 직경이 큰 가이드 홀(26)이 형성된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의 가이드 홀(26)에 삽입되며 중앙에 상기 로드(11)가 연통되도록 로드홀(18)이 경사지게 형성된 로드 잠금부재(2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홀(18)은 내주면에 상기 로드의 쐐기홈(10)이 걸리도록 쐐기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먼저, 차량에 구비된 감지부(12)에서 이를 감지하여 시트백(1)에 내장된 실린더(15)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기 실린더(15)가 작동되어 잠금레버(14)를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잠금레버(14)에 의해 고정되었던 액추에이터(6)의 피스톤(9)이 해제되면서 상기 피스톤(9)은 복원스프링(8)의 탄성력으로 피스톤(9) 및 로드(11)를 밀게된다. 동시에 상기 로드(11)는 시트백(1)의 상부 내측에 지지된 지지판(22)을 밀어올린다.
이때, 시트백(1)의 신축재(3)가 펴지면서 상기 시트백(1)의 상부는 리어 글래스(23)에 밀착되며 동시에 이동된 상기 시트백(1)의 상부는 록킹부(17)의 쐐기홈(21)은 상향 이동된 로드(11)의 쐐기홈(10)과 맞물려 시트백(1) 상부를 밀고있는 지지판(22)의 하강을 막아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는, 차량의 후방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리어시트의 시트백 상부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파손된 패널 및 글래스의 파편이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고, 또한 시트에 탑승한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트에 포함되는 시트백의 상부를 절개하고 그 절개부에 양쪽을 연결시킨 주름형상의 벨로우즈형 신축재와 상기 시트백에 내장되며, 내부에 복원스프링, 그리고 상기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승되는 피스톤 로드가 구비된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시트백의 상부면를 밀도록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시트백의 하부에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피스톤의 상승을 제어하도록 된 잠금레버와, 차량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잠금레버의 실린더를 작동시키도록 한 감지부와 상기 시트백의 상부가 상승시 이를 고정시키도록 한 록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엑추에이터의 케이스 상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면에 로드홀이 형성된 록킹케이스와, 상기 록킹케이스의 공간에 고정 삽입되며 중앙에 하부보다 상부의 직경이 큰 가이드 홀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며 중앙에 상기 로드가 연통되도록 로드홀이 경사지게 형성된 로드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 상승시 상기 록킹부의 잠금부재에 슬라이드 걸리도록 상기 잠금부재의 로드홀 내주면과 이에 고정되는 로드의 외주면에 요철형상의 쐐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KR1019960069682A 1996-12-21 1996-12-21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KR100205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682A KR100205872B1 (ko) 1996-12-21 1996-12-21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682A KR100205872B1 (ko) 1996-12-21 1996-12-21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837A KR19980050837A (ko) 1998-09-15
KR100205872B1 true KR100205872B1 (ko) 1999-07-01

Family

ID=1949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682A KR100205872B1 (ko) 1996-12-21 1996-12-21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939B (zh) * 2022-02-23 2024-01-26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具有落水自救功能的汽车座椅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83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9165A (en) Structures for lifting outboard side of seat of motor vehicle during side impact collision
EP0941178B1 (en)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in a vehicle
US8820830B2 (en) Vehicle seat
US5277441A (en) Airbag-equipped side restraint for a motor vehicle passenger
US5507519A (en) Motor vehicle having a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H0450052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H05208647A (ja) 自動車の前席乗員用保護装置
EP0915782B1 (en) A safety arrangement
KR100205872B1 (ko)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JPH04166452A (ja) 乗員保護装置
KR20210060236A (ko) 차량의 프런트 에어백장치
KR200151151Y1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00313321B1 (ko) 차량의탑승자보호장치
US11760292B2 (en) Sleeping bedsheet crash protection system for lie-flat sleeping passenger
KR20080015218A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254551B1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용 안전장치
JPH0220127Y2 (ko)
JPH0585290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KR0185337B1 (ko)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KR0138483Y1 (ko) 자동차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제어구조
KR200191188Y1 (ko) 에어백의 전개위치 가변장치
JPH05229395A (ja) 乗員保護装置
KR960010524B1 (ko) 운전자 무릎 보호장치
KR20000013506U (ko) 프론트시트 시트백 리클라이닝장치
KR19980051038U (ko) 사이드 에어 백을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