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660B1 -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660B1
KR0178660B1 KR1019960040532A KR19960040532A KR0178660B1 KR 0178660 B1 KR0178660 B1 KR 0178660B1 KR 1019960040532 A KR1019960040532 A KR 1019960040532A KR 19960040532 A KR19960040532 A KR 19960040532A KR 0178660 B1 KR0178660 B1 KR 017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piston
locking plate
electromagnet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604A (ko
Inventor
주용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6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벨트의 웨빙(1)을 탈력적으로 감아주기 위해 스프링이 내장된 릴장치(2)로부터 행거(3)를 통해 착석자의 신체쪽으로 연장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구속해주는 웨빙(1)이 제1 록킹판(9)의 가이드홀(9a)을 통해 연장되면서 이 제1 록킹판(9)에는 상기 웨빙(1)과 수직한 방향으로 록킹돌기(9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록킹판(9)은 피스톤(8)과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면서 이 피스톤(8)은 에어백센서(4)와 급제동센서(5)를 매개로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릴레이(6)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에 전원을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7)의 자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록킹판(9)이 피스톤(8)을 매개로 전자석(7)에 의해 당겨질 때에 그 록킹돌기(9b)가 삽입되어 웨빙(1)을 잡아서 고정시켜주기 위해 록킹홈(10a)이 형성된 제2 록킹판(10)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자석(7)에 공급전원이 단절되어 자력이 소멸될 때에 상기 피스톤(8)과 제1 록킹판(9)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웨빙의 록킹을 해제시켜주기 위해 상기 피스톤(8)과 전자석(7)사이에 설치된 복귀스프링(11)을 갖춘 구조로 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시트벨트의 웨빙을 확실하게 구속해서 착석자 등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가 센타필라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가 작동되기 이전 상태의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가 작동된 상태의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하 부호의 설명
1 : 웨빙 2 : 릴장치
3 : 행거 4 : 에어백센서
5 : 급제동센서 6 : 릴레이
7 : 전자석 8 : 피스톤
9 : 제1 록킹판 9a : 가이드홀
9b : 록킹돌기 10 : 제2 록킹판
10a : 록킹홈 11 : 복귀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충돌시에 시트벨트를 착용한 착석자의 신체가 진행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시트벨트의 웨빙이 당겨져서 풀려질 때에 이를 효과적으로 저지하여 착석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승객이 탑승해서 안락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차실내의 전후방으로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와같이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여 시트에 착석할 경우에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에게 통상적으로 시트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벨트는 차실내의 좌/우측 하단부에 고정되어 웨빙을 탄력적으로 감아 수용하는 리트렉터와, 이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된 웨빙을 좌/우측 트림부에 걸어주는 행거, 이 행거를 통과한 웨빙에 섭동가능하게 끼워진 텅부재, 이 텅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웨빙이 탑승자의 신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버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에 앉은 승객은 상기 리트렉터로부터 신장되어 행거를 거친 웨빙에 끼워진 텅부재를 자신의 가슴부위로 지나도록 한 다음 시트의 측부에 고정된 버클에 체결시키게 되면, 착석자의 신체가 상기 웨빙에 의해 시트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되게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벨트에서 그 리트렉터는 웨빙을 감아주고 있는 릴장치와, 차량의 충돌시에 웨빙이 일정길이 이상으로 풀려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웨빙구속장치 및, 차량의 충돌시에 이를 감지해서 상기 웨빙구속장치를 작동시켜주는 감지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이와 같은 종래의 리트렉터는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차량의 충돌시에 이를 감지해서 웨빙이 풀려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해 줌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벨트의 웨빙을 탄력적으로 감아주기 위해 스프링이 내장된 릴장치로부터 행거를 통해 착석자의 신체쪽으로 연장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구속해주는 웨빙이 제1 록킹판의 가이드홀을 통해 연장되면서 이 제1 록킹판에는 상기 웨빙과 수직한 방향으로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록킹판은 피스톤과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면서 이 피스톤은 에어백센서와 급제동센서를 매개로 차량의 출돌이 감지되면 릴레이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에 전원을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의 자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록킹판이 피스톤을 매개로 전자석에 의해 당겨질 때에 그 록킹돌기가 삽입되어 웨빙을 잡아서 고정시켜주기 위해 록킹홈을 갖춘 제2 록킹판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자석에 공급전원이 단절되어 자력이 소멸될 때에 상기 피스톤과 제1 록킹판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웨빙의 록킹을 해제시켜주기 위해 상기 피스톤과 전자석 사이에 설치된 복귀스프링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전원이 전자석으로 공급되어 상기 피스톤과 제1 록킹판을 당겨서 록킹돌기와 록킹홈사이에 웨빙이 끼여져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도 간단하여 제작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가 센타필라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가 작동되기 이전 상태의 제1도의 A-A선 단면도인 바, 즉 시트벨트의 웨빙(1)을 탄력적으로 감아주기 위해 스프링이 내장된 릴장치(2)와, 이 릴장치(2)로부터 행거(3)를 통해 착석자의 신체쪽으로 연장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구속해주는 웨빙(1)이 차량의 충돌시에 착석자를 보호하기 위해 릴장치로부터 풀려나가지 않도록 구속해주는 구속수단 및, 차량의 충돌시에 이를 감지해서 상기 구속수단을 작동시켜주는 감지수단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은 예컨대 차량의 밧데리 전원에 에어백센서(4)와 차체쏠림감지센서(5)가 병렬로 연결되면서 이들센서(4,5)는 릴레이(6)를 개재하여 상기 구속수단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센서(4,5)들에 의해 신호가 감지되면, 밧데리 전원이 센서(4,5)를 통해서 릴레이(6)에 공급됨과 더불어 이 릴레이(6)를 통해서 전원이 일정시간 동안에 상기 구속수단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릴레이(6)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에 전원을 공급받아 자화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7)과, 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피스톤(8), 이 피스톤(8)과 연동되게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웨빙(1)이 통과하는 가이드홀(9a)과 상기 웨빙(1)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록킹돌기(9b)를 갖춘 ㄱ자형상의 제1 록킹판(9), 이 록킹판(9)이 상기 피스톤(8)과 함께 전자석의 발생자력으로 당겨질 때에 상기 록킹돌기(9b)가 끼워져서 웨빙(1)을 잡아줄 수 있도록 록킹홈(10a)이 형성된 제2 록킹판(10) 및, 상기 전자석(7)에 공급된 전원의 단절로 자력이 소멸되면 상기 제1 록킹판(9)의 가이드홀(9a)을 통과하는 웨빙(1)이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8)을 밀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는 복귀스프링(11)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차량의 주행중에 다른 차량과 충돌되면 상기 센서(4,5)가 이를 감지함과 더불어 이 감지신호로 전원이 릴레이(6)를 통해 상기 전자석(7)에 일정시간 동안 공급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석은 자화되어 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7)의 발생자력으로 상기 피스톤(8)이 복귀스프링(11)을 압축시키면서 전자석쪽으로 당겨지게 되는 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8)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록킹판(9)도 당겨져서 그 록킹돌기(9b)가 제2 록킹판(10)의 록킹홈(10a)속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웨빙(1)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9b)와 록킹홈(10a)사이에 끼여져 잡혀지게 됨으로써, 상기 웨빙(1)에 걸쳐져 있는 착석자의 신체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하여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석(7)에 공급되는 전원은 릴레이(6)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만 공급되게 되는 데,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전자석(7)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릴레이(6)에 의해 차단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석(7)에서 자력이 소멸됨과 더불어 상기 복귀스프링(11)의 탄성복원력으로 피스톤(8)이 원래의 위치로 밀려져 복귀됨과 더불어 이 피스톤(8)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록킹판(9)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록킹돌기(9b)는 록킹홈(10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상기 웨빙(1)이 제2도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제1 록킹판(9)의 가이드홀(9a)을 통해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게 됨으로써, 착석자는 시트벨트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중에 충돌되면 이를 감지해서 착석자의 신체를 지지해주는 웨빙이 풀려나가지 않도록 구속해줌으로써, 착석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도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트벨트의 웨빙(1)을 탄력적으로 감아주기 위해 스프링이 내장된 릴장치(2)로부터 행거(3)를 통해 착석자의 신체쪽으로 연장되어 착석자의 신체를 구속해주는 웨빙(1)이 제1 록킹판(9)의 가이드홀(9a)을 통해 연장되면서 이 제1 록킹판(9)에는 상기 웨빙(1)과 수직한 방향으로 록킹돌기(9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록킹판(9)은 피스톤(8)과 일체로 연동되게 연결되면서 이 피스톤(8)은 에어백센서(4)와 급제동센서(5)를 매개로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릴레이(6)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에 전원을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7)의 자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록킹판(9)이 피스톤(8)을 매개로 전자석(7)에 의해 당겨질 때에 그 록킹돌기(9b)가 삽입되어 웨빙(1)을 잡아서 고정시켜주기 위해 록킹홈(10a)을 갖춘 제2 록킹판(10)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자석(7)에 공급전원이 단절되어 자력이 소멸될 때에 상기 피스톤(8)과 제1 록킹판(9)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웨빙의 록킹을 해제시켜주기 위해 상기 피스톤(8)과 전자석(7)사이에 설치된 복귀스프링(11)을 갖춘 구조로 된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1019960040532A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017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532A KR0178660B1 (ko)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532A KR0178660B1 (ko)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04A KR19980021604A (ko) 1998-06-25
KR0178660B1 true KR0178660B1 (ko) 1999-04-01

Family

ID=1947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532A KR0178660B1 (ko) 1996-09-18 1996-09-18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8591A1 (de) 2015-12-14 2017-06-14 Hyundai Motor Company Benzin-diesel-kombinations-verbrennungs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8591A1 (de) 2015-12-14 2017-06-14 Hyundai Motor Company Benzin-diesel-kombinations-verbrennungs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04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55B1 (ko) 유아용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시스템
US20050006884A1 (en) Occupant safety protection system
US20070096450A1 (en) Restrai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71630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ar facing infant seat
KR0178660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JP389105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0178661B1 (ko) 차량의 시트벨트버클 자동해제장치
JP200514508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835410B1 (ko) 차량용 안전벨트
JP2767626B2 (ja) シートベルトの有効拘束限界警報装置
KR0160252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GB1583443A (en) Vehicle with a seat belt system
KR19980016093A (ko)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100217693B1 (ko) 속도감응형 시트벨트장치
CN112168509B (zh) 轮椅乘坐者用约束装置
JP2001000211A (ja) バックル装置
KR100224218B1 (ko) 차량의 시트 벨트 미착용 경보장치
KR19980024382U (ko) 차량용 시트 벨트 잠금장치
JPH10175506A (ja) 乗員拘束装置
JP2001278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00267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KR20016223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풀림 장치
KR016025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자동높이조절장치
KR100362115B1 (ko)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KR940011846B1 (ko) 자동차좌석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