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115B1 -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115B1
KR100362115B1 KR1020000068158A KR20000068158A KR100362115B1 KR 100362115 B1 KR100362115 B1 KR 100362115B1 KR 1020000068158 A KR1020000068158 A KR 1020000068158A KR 20000068158 A KR20000068158 A KR 20000068158A KR 100362115 B1 KR100362115 B1 KR 10036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acting cylinder
solenoid valve
sea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105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1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빙(1)과, 리트랙터(2), 미니앵커(3), 텅 플레이트(4) 및 버클(5)로 이루어지는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클(5)의 저단부에 피스톤(61) 로드(62)가 축지되도록 하여 에어식 단동실린더(6)를 설치하되, 상기 단동실린더(6)의 저단부는 좌석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하고, 내측부에서 피스톤(61)의 저부에 리턴스프링(64)이 구비된 상기 단동실린더(6)의 상부에 연결되는 에어파이프(63)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7)를 설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는 제어부(10)의 출력신호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10)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9)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감지한 후 그 결과에 부응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브레이크 작동시 탑승자가 앞으로 쏠리므로 인해 운전대나 앞 좌석의 등받이 또는 프론트 판넬이나 유리창 등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PNEUMATIC SEAT BUCKLE AUTOMATIC REWINDING DEVICE IN VEHICLE BRAKE}
본 발명은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텅 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버클의 저부에 에어식 단동실린더를 설치하되, 이 단동실린더의 타단부는 기존의 버클과 같이 좌석의 일측면부에 고정 설치해 주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이 감지되면 단동실린더를 통해 버클과 웨빙을 일측으로 잡아당겨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이 해제되면 버클과 웨빙이 원위치되도록 단동실린더의 작동을 정지시켜 자동차의 급제동시 탑승자가 앞으로 쏠리면서 시트벨트 자체가 신장되므로 인한 탑승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자동차의 시트에는 충돌이나 전복 등과 같은 긴급사고의 발생시 승객의 신체를 승객을 시트에 고정시켜 주어 사고로부터 승객의 부상을 어느정도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시트벨트의 착용은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 의무화되어 있다.
한편, 이와같은 시트벨트는 도 1과 같이 통상 3점식과 2점식이 있는데, 이는 리트랙터(2)내에 일부가 인출 가능하게 권회된 상태로 설치되어 승객을 직접적으로 감쌓는 상태로 잡아주는 웨빙(1)과; 상기 웨빙(1)이 풀렸을때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기능과 충돌시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토록 하여 승객이 시트 전방의 물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차체내에 고정 설치되는 리트랙터(2)와; 일단부가 상기 리트랙터(2)내로 권취된 상태에서 일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 있는 웨빙(1)의 타단부를 좌석의 일측면부에 고정 설치해 주는 미니앵커(3)와; 상기 웨빙(1)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웨빙(1)이 승객의 신체를 감싸안은 상태로 유지토록 버클(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텅 플레이트(4)와; 록킹구를 구비하고 좌석의 타측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텅 플레이트(4)가 끼워지면 이를 구금하여 웨빙(1)이 승객의 신체를 감쌓은 상태로 유지토록 하는 버클(5)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시트벨트는, 웨빙상에 당김압력이 가해졌을시 웨빙 자체가 초기에는 그 압력에 부응하여 리트랙터로부터 약간 인출되고 버클 자체는 전혀 인장되지 않은체 그 상태를 유지하므로 시트벨트를 착용하고 자동차를 주행하던 중 급제동 또는 정면충돌 등으로 인해 탑승자가 앞으로 쏠릴시 그 중량에 의해 웨빙 자체가 리트렉터로 부터 약간 인출된 후 리렉터의 작용에 의해 록킹되므로 완벽하게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즉,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운전대나 앞 시트의 등받이 또는 프론트 판넬이나 유리창 등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에어백 장착 차량에서도 시트벨트에서 1차측 프리텐셔너거 있는 경우, 좀더 효과적인 방어수단으로는 부족한 수준으로 에어백에 의존하는 경향이고, 또 상용차에는 에어탱크가 있어 에어를 이용한 프리텐셔너가 있지만 승용차용의 버클용 에어식 프리텐셔너는 구성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트벨트의 버클 저단부에 에어식 단동실린더를 설치하여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웨빙 자체를 소정길이 만큼 잡아 당겨지도록 하고 브레이크의 작동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여 자동차의 주행 중 급제동 또는 정면충돌 등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었을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들이 앞으로 쏠리므로 인한 부상(즉, 자동차의 급제동시 탑승자가 앞으로 쏠리면서 시트벨트 자체가 신장되므로 인한 탑승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웨빙과, 리트랙터, 미니앵커, 텅 플레이트 및 버클로 이루어지는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저단부와 좌석의 일측면 사이에 에어식 단동실린더를 설치하되, 상기 단동실린더의 상부에 위치된 에어파이프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여부에 부응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구동되어 브레이크 작동시에만 상기 버클과 위빙이 당겨지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행시키던 중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질때마다 단동실린더가 버클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웨빙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웨빙 자체가 탑승자를 더욱 강하게 구속시켜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급제동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운전대나 앞 좌석의 등받이 또는 프론트 판넬이나 유리창 등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 및 시트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된 시트벨트의 버클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웨빙 2 : 리트랙터
3 : 미니앵커 4 : 텅 플레이트
5 : 버클 6 : 에어식 단동실린더
7 : 솔레노이드밸브 9 :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
10 : 제어부 61 : 피스톤
62 : 피스톤 로드 63 : 에어파이프
64 : 리턴스프링 65 : 에어출입 공간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 및 시트벨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된 시트벨트의 버클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웨빙(1)과, 리트랙터(2), 미니앵커(3), 텅 플레이트(4) 및 버클(5)로 이루어지는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클(5)의 저단부에 피스톤(61) 로드(62)가 축지되도록 하여 에어식 단동실린더(6)를 설치하되, 상기 단동실린더(6)의 저단부는 좌석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하고, 내측부에서 피스톤(61)의 저부에 리턴스프링(64)이 구비된 상기 단동실린더(6)의 상부에 연결되는 에어파이프(63)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7)를 설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는 제어부(10)의 출력신호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10)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9)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감지한 후 그 결과에 부응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록킹구를 구비하고 텅 플레이트(4)가 끼워지면 이를 구금하여 웨빙(1)이 승객의 신체를 감쌓은 상태로 유지토록 하는 버클(5)을 종래와 같이 좌의 일측면 등에 직접 고정 설치하지 않고 그 위치에 에어식 단동실린더(6)를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단동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62) 단부에 상기 버클(5)의 저단부를 축지시키는 방식을 통해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에어식 단동실린더(6)는 피스톤(61)을 중심으로 그 저부에는 리턴스프링(6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방부에는 에어가 출입될 수 있는 공간부(65)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단동실린더(6)의 상부 공간에는 에어를 그 내부로 공급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파이프(63)상에 에어단속용 솔레노이드밸브(7)를 설치한다.
물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10)의 출력단자를 연결시켜 주되, 상기 제어부(10)에서는 도 3과 같은 프로그램을 입력시켜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9)로 부터 입력되는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브레이크가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음 그 결과에 부응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에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에서는 통상시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9)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브레이크페달이 밟혀졌는지를 계속 감지하게 되는데,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통상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에 "오프"신호를 출력시켜 단동실린더(6)의 피스톤(61)이 리턴스프링(64)의 탄발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므로써 상기 단동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62)에 결합되어 있는 버클(5)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한편, 시트벨트를 착용하고 자동차를 주행시키던 중 전방에 급작스런 상황이발생된 경우 등에 의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게되므로 인해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9)로부터 브레이크페달의 변위량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에서 이를 인식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에 각각 "온"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단동실린더(6)의 상방향으로 에어가 유입되어 피스톤(61)이 린턴스프링(64)을 압축하며 하강하게 되어 피스톤 로드(62) 자체가 하강하게 되므로 이에 축지된 버클(5)도 하강하게 되어 시트벨트의 웨빙(1) 자체가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시트벨트의 웨빙(1) 자체가 탑승자를 더욱 강하게 구속하게 되므로 급작스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반발력으로 탑승자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급제동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앞으로 쏠려 운전대나 앞 좌석의 등받이 또는 프론트 판넬이나 유리창 등에 부딪히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제동이 완료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로부터 발을 떼므로 인해 상기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9)에서 브레이크페달의 해제에 따른 변위량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에서 이를 인식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에 "오프"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단동실린더(6)의 피스톤(61)이 다시 리턴스프링(64)의 복원력에 부응하여 승강하게 되어 피스톤 로드(62)상에 축지된 버클(5)도 승강하게 되므로 시트벨트의 웨빙(1)이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는데, 이와같은 동작은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될 때 또는 해제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웨빙상의 텅 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버클의 저부에 에어식 단동실린더를 설치하고, 이 단동실린더의 타단부는 기존의 버클과 같이 좌석의 일측면부에 고정 설치해 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질시 마다 단동실린더가 버클을 잡아 당기는 동작을 통해 웨빙을 잡아당기도록 하므로써, 브레이크 작동시 마다 웨빙 자체가 탑승자를 더욱 강하게 구속시켜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급제동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운전대나 앞 좌석의 등받이 또는 프론트 판넬이나 유리창 등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완벽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웨빙(1)과, 리트랙터(2), 미니앵커(3), 텅 플레이트(4) 및 버클(5)로 이루어지는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버클(5)의 저단부에 피스톤(61) 로드(62)가 축지되도록 하여 에어식 단동실린더(6)를 설치하되, 상기 단동실린더(6)의 저단부는 좌석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하고, 내측부에서 피스톤(61)의 저부에 리턴스프링(64)이 구비된 상기 단동실린더(6)의 상부에 연결되는 에어파이프(63)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7)를 설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는 제어부(10)의 출력신호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10)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상태 검출센서(9)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감지한 후 그 결과에 부응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KR1020000068158A 2000-11-16 2000-11-16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KR10036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58A KR100362115B1 (ko) 2000-11-16 2000-11-16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58A KR100362115B1 (ko) 2000-11-16 2000-11-16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05A KR20020038105A (ko) 2002-05-23
KR100362115B1 true KR100362115B1 (ko) 2002-11-22

Family

ID=1969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158A KR100362115B1 (ko) 2000-11-16 2000-11-16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1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507A (ja) * 1994-02-14 1995-08-22 Toyota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引き込み装置
KR960010787U (ko) * 1994-09-09 1996-04-12 유압식 시이트벨트 조임장치
KR19980012959U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JPH10167001A (ja) * 1996-12-13 1998-06-23 Hino Motors Ltd シートベルトのブレーキ連動式プリテンショナ
KR19980045725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시트 벨트의 길이 조절장치
KR100210932B1 (ko) * 1995-12-28 1999-07-15 정몽규 자동차용 안전벨트 장력 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507A (ja) * 1994-02-14 1995-08-22 Toyota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引き込み装置
KR960010787U (ko) * 1994-09-09 1996-04-12 유압식 시이트벨트 조임장치
KR100210932B1 (ko) * 1995-12-28 1999-07-15 정몽규 자동차용 안전벨트 장력 조절 시스템
KR19980012959U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JPH10167001A (ja) * 1996-12-13 1998-06-23 Hino Motors Ltd シートベルトのブレーキ連動式プリテンショナ
KR19980045725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시트 벨트의 길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05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6015B1 (en) Vehicle restraint system
EP1279568B1 (en) A frontal air-bag separated from its recess upon inflation
US7237800B2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H1086786A (ja) 車両搭乗者抑制装置
EP0655371A1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
GB2345669A (en) Roof mounted air-bag
US6719325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JP2001253317A (ja) 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
US6241280B1 (en) Motor vehicle passenger safety arrangement
JP4088240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62115B1 (ko)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US5314206A (en) Sliding seat safety device in a vehicle
KR100353942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탑승자 안전성 확보장치
JP4501658B2 (ja) 車両の乗員膝部拘束装置および乗員膝部拘束方法
JPH10167001A (ja) シートベルトのブレーキ連動式プリテンショナ
JP3473301B2 (ja) 車両乗員の保護装置
JP2001278003A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00235661B1 (ko) 시트벨트 권치방법 및 그 장치
KR100527127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자동조정장치
JP3166641B2 (ja) 乗員拘束装置
KR19990017447A (ko) 시트벨트 홀딩장치
KR100217693B1 (ko) 속도감응형 시트벨트장치
KR200165679Y1 (ko) 안전벨트용 웨빙의 작동장치
KR100529166B1 (ko) 차량의 시트 벨트
JP451244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張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