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945A -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945A
KR20040045945A KR1020020073703A KR20020073703A KR20040045945A KR 20040045945 A KR20040045945 A KR 20040045945A KR 1020020073703 A KR1020020073703 A KR 1020020073703A KR 20020073703 A KR20020073703 A KR 20020073703A KR 20040045945 A KR20040045945 A KR 2004004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ollision
esps
pist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5945A/ko
Publication of KR2004004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 내부에 보조 헤드레스트를 구비하여, 편심 충돌시 편심충돌 감지센서에 의해 충돌신호를 감지하여 에어백 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ESPS(Electronic Single Point Sensor)에 전달하면, ESPS는 그 충돌신호를 판별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에 의하여 가스 제너레이터가 폭발하여, 실린더의 피스톤이 헤드레스트 내부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밀어내어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심 충돌시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에 부딪친후 리바운드(rebound)되어 센터필라에 부딪히는 것과 같은 2차 충돌에 의한 신체상해를 방지하고,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Headrest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 내부에 보조 헤드레스트를 구비하여, 편심 충돌시 편심충돌 감지센서에 의해 충돌신호를 감지하여 에어백 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ESPS(Electronic Single Point Sensor)에 전달하면, ESPS는 그 충돌신호를 판별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에 의하여 가스 제너레이터가 폭발하여, 실린더의 피스톤이 헤드레스트 내부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밀어내어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심 충돌시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에 부딪친후 리바운드(rebound)되어 센터필라에 부딪히는 것과 같은 2차 충돌에 의한 신체상해를 방지하고,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백은 시트 부품 중 등받이를 말하며, 평상시 착좌자의 등과 허리부위에서 반력을 제공하여 착좌자가 안락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이다.
또한, 상기 시트백은 시트쿠션과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조립되어지며, 통상 지지대 역할의 시트백 프레임과, 충격흡수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폼(foam)과, 미관이나 형태의 유지를 위한 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바, 이 헤드레스트는 주행 중 착좌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하고, 추돌시에는 착좌자의 머리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첨부한 도 4는 종래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100)는 시트백(20) 상단에 부착되어 주행 중 착좌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하고, 추돌시에는 착좌자의 머리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100)는 경우에 따라 특이한 형상을 가진것도 있으나, 대부분의 헤드레스트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헤드레스트(100)는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편심충돌시 탑승자의 신체가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에 부딪친후 뒤로 리바운드(rebound)되면, 헤드레스트에 받쳐지지 못하고 헤드레스트 측면을 통과하여 센터필라 부딪히는 것과 같은 2차 충돌에 의해 신체상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 내부에 보조 헤드레스트를 구비하여, 편심 충돌시 편심충돌 감지센서에 의해 충돌신호를 감지하여 에어백 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ESPS(Electronic Single Point Sensor)에 전달하면, ESPS는 그 충돌신호를 판별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에 의하여 가스 제너레이터가 폭발하여, 실린더의 피스톤이 헤드레스트 내부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밀어내어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심 충돌시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에 부딪친후 리바운드(rebound)되어 센터필라에 부딪히는 것과 같은 2차 충돌에 의한 신체상해를 방지하고,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편심충돌 감지센서4 : ESPS
10 : 헤드레스트10a : 보조 헤드레스트
11 : 안내홈12 : 실린더
13 : 피스톤14 : 가스제너레이터
20 : 시트백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편심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ESPS(4)로 충돌신호를 전달하는 편심충돌 감지센서(2)와, 상기 전달된 충돌신호를 판별하여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ESPS(4)와, 상기 ESPS(4)의 신호를 받아 폭발하며 실린더(12)의 피스톤(13)을 밀어내는 가스 제너레이터(14)와,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함에 따라 밀리면서 보조 헤드레스트(10a)를 밀어내어 헤드레스트(10) 측면으로 돌출시키는 실린더(12)의 피스톤(13)과, 헤드레스트(10) 내부의 안내홈(11)에 삽입되어,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의 폭발에 따라 피스톤(13)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며 헤드레스트(10) 측면으로 돌출되는 보조 헤드레스트(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a)는 각 센터 필라트림 방향쪽으로 헤드레스트(10) 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통상, 차량의 편심충돌시 탑승자의 신체는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에 부딪친후 리바운드 되면, 헤드레스트에 받쳐지지 못하고 헤드레스트 측면을 통과하여 센터필라 부딪히는 것과 같은 2차 충돌에 의해 신체상해가 발생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헤드레스트(10) 내부에 보조 헤드레스트(10a)를 구비하여, 편심충돌시 2차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10) 측면으로 보조 헤드레스트(10a)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헤드레스트(10) 내부에는 편심충돌시 보조 헤드레스트(10a)를 측면으로 돌출시키는 가스 제너레이터(14) 및 실린더(12)가 내설된다.
상기 헤드레스트(10) 내부에는 피스톤(13)을 포함하는 실린더(12)가 가스 제너레이터(14)와 장착되어 있는 바, 상기 피스톤(13)의 일단(13a)은 보조 헤드레스트(10a)와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13)의 타단(13b)은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와 연결되어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하는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차량 일측에는 편심충돌 감지센서(2)가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편심충돌 감지센서(2)는 이를 감지하여 ESPS(Electronic Single Point Sensor)(4)에 전달한다.
상기 ESPS(4)는 충돌 신호에 따라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제어용 센서로 내부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차량 충돌 신호를 감지하면 스퀴브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ESPS(4)를 이용한 것으로서, ESPS(4)는 전달된 충돌신호를 판별하여 일정 세기 이상이면 보조 헤드레스트(10a)가 작동 될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는 ESPS(4)에서 전달된 신호를 받아서 폭발하게 된다.
결국,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함에 따라 그 압력에 의해실린더(12)의 피스톤(13)을 밀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13)과 고정 체결되어 있는 보조 헤드레스트(10a)는 헤드레스트(10) 내부의 안내홈(11)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헤드레스트(10) 측면으로 돌출 되어진다.
한편, 상기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a)는 각 센터 필라트림 방향쪽으로 헤드레스트(10) 측면에서 돌출된다. 즉, 왼쪽시트(운전석)의 보조 헤드레스트는 왼쪽 센터 필라트림이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오른쪽 시트의 보조 헤드레스트는 오른쪽 센터 필라트림이 있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차량의 편심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편심충돌 감지센서(2)가 감지한다.
상기 편심충돌 감지센서(2)에서 감지된 신호는 ESPS(4)로 전달되고, 상기 ESPS(4)는 그 신호를 판별하여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할 수 있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되고, 실린더(12)의 피스톤(13)이 밀리면서 보조 헤드레스트(10a)를 밀어내 헤드레스트(10) 측면으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편심충돌시 탑승자의 신체가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에 부딪친후 뒤로 리바운드되어도 보조 헤드레스트에 받쳐지기 때문에 2차 충돌에 의한 신체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하면, 헤드레스트 내부에 보조 헤드레스트를 구비하여, 편심 충돌시 편심충돌 감지센서에 의해 충돌신호를 감지하여 에어백 장치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ESPS에 전달하면, ESPS는 그 충돌신호를 판별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에 의하여 가스 제너레이터가 폭발하여, 피스톤이 헤드레스트 내부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밀어내어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심 충돌시 에어백 또는 스티어링 휠에 부딪친후 리바운드(rebound)되어 센터필라에 부딪히는 것과 같은 2차 충돌에 의한 신체상해를 방지하고, 안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편심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ESPS(4)로 충돌신호를 전달하는 편심충돌 감지센서(2)와,
    상기 전달된 충돌신호를 판별하여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ESPS(4)와,
    상기 ESPS(4)의 신호를 받아 폭발하며 실린더(12)의 피스톤(13)을 밀어내는 가스 제너레이터(14)와,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가 폭발함에 따라 밀리면서 보조 헤드레스트(10a)를 밀어내어 헤드레스트(10) 측면으로 돌출시키는 실린더(12)의 피스톤(13)과,
    헤드레스트(10) 내부의 안내홈(11)에 삽입되어,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4)의 폭발에 따라 피스톤(13)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며 헤드레스트(10) 측면으로 돌출되는 보조 헤드레스트(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a)는 각 센터 필라트림 방향쪽으로 헤드레스트(10) 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20020073703A 2002-11-26 2002-11-26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20040045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703A KR20040045945A (ko) 2002-11-26 2002-11-26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703A KR20040045945A (ko) 2002-11-26 2002-11-26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945A true KR20040045945A (ko) 2004-06-05

Family

ID=3734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703A KR20040045945A (ko) 2002-11-26 2002-11-26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59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99B1 (ko) * 2004-06-17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WO2023281253A1 (en) * 2021-07-09 2023-01-12 Bentley Motors Limited Head res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56U (ko) * 1980-06-20 1982-01-21
KR960007572U (ko) * 1994-08-25 1996-03-13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안전장치
JPH09240414A (ja) * 1996-02-02 1997-09-16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折り畳まれたガスバッグを備えた車両座席
JPH10157570A (ja) * 1996-11-26 1998-06-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9980046830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 보호장치
KR0136143Y1 (ko) * 1996-11-28 1999-03-20 양재신 충돌시 돌출되는 자동차 센터 헤드 레스트
KR19990023580U (ko) * 1997-12-08 1999-07-05 윤종용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56U (ko) * 1980-06-20 1982-01-21
KR960007572U (ko) * 1994-08-25 1996-03-13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안전장치
JPH09240414A (ja) * 1996-02-02 1997-09-16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折り畳まれたガスバッグを備えた車両座席
JPH10157570A (ja) * 1996-11-26 1998-06-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0136143Y1 (ko) * 1996-11-28 1999-03-20 양재신 충돌시 돌출되는 자동차 센터 헤드 레스트
KR19980046830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 보호장치
KR19990023580U (ko) * 1997-12-08 1999-07-05 윤종용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에어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99B1 (ko) * 2004-06-17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WO2023281253A1 (en) * 2021-07-09 2023-01-12 Bentley Motors Limited Head r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888B1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JPH07267037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KR20040045945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2361013B1 (ko) 자동차 후방 추돌시 탑승자 목 보호 시스템
JP2005022596A (ja) 乗員保護機能付シート
JPH07267038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JPH11342822A (ja) 自動車の乗員保持装置
KR10050151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완충장치
CN211995276U (zh) 一种儿童安全座椅
KR100461146B1 (ko) 목 부상 방지를 위한 자동차 헤드레스트 장치
CN110843714B (zh) 一种延时引爆汽车安全气囊及其控制方法
JP7165085B2 (ja) 乗員保護装置
KR100783910B1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0512445B1 (ko) 차량의 시트안전장치
KR19990033812A (ko) 차량의 헤드레스트 돌출장치
KR20040072920A (ko) 자동차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960012267B1 (ko) 자동차 시트의 안전장치
KR0184138B1 (ko) 리어시트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KR100512856B1 (ko) 자동차용 2단 운전석 에어백
KR960004067A (ko)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 장치
KR19980081925A (ko) 센서작동에 의하여 순차 작동되는 에어벡 및 가스발생시스템.
KR19980085620A (ko) 차량 충돌시 목부상 방지장치
KR20100001492A (ko) 자동차 후석 에어백 시스템
KR20040072932A (ko) 자동차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19980048794U (ko) 어린이 보호용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