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158B1 - 활성화된T림프구에서리바비린R및리바비린R유사체에의해Th1/Th2시토킨발현을조절하기위한약제조성물 - Google Patents

활성화된T림프구에서리바비린R및리바비린R유사체에의해Th1/Th2시토킨발현을조절하기위한약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158B1
KR100298158B1 KR1019980705645A KR19980705645A KR100298158B1 KR 100298158 B1 KR100298158 B1 KR 100298158B1 KR 1019980705645 A KR1019980705645 A KR 1019980705645A KR 19980705645 A KR19980705645 A KR 19980705645A KR 100298158 B1 KR100298158 B1 KR 10029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avir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centration
cells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930A (ko
Inventor
로버트 탐
칸드사미 라마사미
데브론 애버레트
Original Assignee
와트 씨 데이빗, 해리 에이 루스제
아이씨엔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탐. 로버트
라마사미. 칸드사미
에버레트. 데브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7127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981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8/590,449 external-priority patent/US5767097A/en
Application filed by 와트 씨 데이빗, 해리 에이 루스제, 아이씨엔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탐. 로버트, 라마사미. 칸드사미, 에버레트. 데브론 filed Critical 와트 씨 데이빗, 해리 에이 루스제
Publication of KR1999008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52Imidazo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56Triazole or tetrazo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2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바비린을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림포카인 발현을 변조시키기에 유효한 용량 범위로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리바바린은 Th2 매개성 T 세포 반응을 억제하고 Th1 매개성 T 세포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일면에 있어서, 1가지 이상의 리바비린 유사체는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림포카인 발현을 변조시키기에 유효한 용량 범위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리바비린 유사체는 Th1 또는 Th2 매개성 T 세포 반응을 억제하거나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 리바비린® 및 리바비린® 유사체에 의해 Th1/Th2 시토킨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AND RIBAVIRIN® ANALOGS IN ACTIVATED T-LYMPHOCYTES}
림포킨은 시토킨족에 속하는 폴리펩티드 군으로, 다양한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서로 다른 세포끼리 통할 수 있게 하는 호르몬류 분자이다. 최근의 기술 발달은 면역 반응에서 림포킨의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헬퍼 CD4+(및 CD8+) T 세포에 의한 림포킨 생성은 쥐과 동물 및 사람 계통 모두에서 2가지 표현형(Th1 및 Th2) 중의 하나가 되는 것이 흔하다[참조: Romagnani, 1991,Immunol, Today12:256-257; Mosmann, 1989,Annu Rev Immunol7:145-173]. Th1 세포는 인터류킨 2(IL-2), 종양 괴사 인자(TNFα) 및 인터페론 감마(IFNγ)를 생성하고, 지연형 과민증과 같은 세포 매개성 면역을 주로 담당한다. Th2 세포는 인터류킨 IL-4, IL-5, IL-6, IL-9, IL-10 및 IL-13을 생성하고, 이들 세포는 IgE 및 IgG4 항체 이소형 전환과 같은 체액성 면역 반응에 최적의 도움을 주는 데에 주로관여한다 [참조: Mosmann, 1989,Annu Rev Immunol, 7: 145-173].
강력하게 분극된 Th1 및 Th2 반응은 보호면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이한 면역병리학적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Th1형 반응은 실험적 자가면역 포도막망막염[참조: Dubey 등, 1991,Eur Cytokine Network2:147-152], 실험적 자가면역 뇌염(EAE)[참조: Beraud 등, 1991,Cell Immunol133:379-389] 및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참조: Hahn 등, 1987,Eur J Immunol18:2307-2042]과 같은 기관 특이적 자가면역, 접촉성 피부염[참조: Kapsenberg 등,Immunol Today12:392-395], 및 일부 만성 염증 질환에 관여한다. 대조적으로, Th2형 반응은 알레르기성 천식[참조: Walker 등, 1992,Am Rev Resp Dis148:109-115] 및 아토피성피부염[참조: van der Heijden 등, 1991,J Invest Derm97:389-394]과 같은 알레르기성 아토피성 질환(보편적인 환경 알레르기원에 대한)을 자극시키고, 기생충[참조: Finkelman 등, 1991,Immunoparasitol Today12:A62-66] 및 레슈마니아 메이져[참조: Caceres-Dittmar 등, 1993,Clin Exp Immunol91:500-505]와 같은 조직에 상주하는 원생동물에 의한 감염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간주되고, E-과면역글로불린혈증[참조: Del Prete 등, 1989,J Clin Invest84:1830-1835] 및 오멘외스(OmennOes) 증후군[참조: Schandene 등, 1993,Eur J Immunol23:56-60]과 같은 특정한 1차 면역결핍에서 우선적으로 유도되고, 경감된 E-과면역글로불린혈증[참조: Del Prete 등, 1989,J Clin Invest84:1830-1835] 및 오멘외스 증후군[참조: Schandene 등, 1993,Eur J Immunol23:56-60]과 관련되어 있고, HIV 복제[참조: Barker 등, 1995,Proc Soc Nat Acad Sci USA92:11135-11139] 억제에 대한 저하된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질환의 림포킨 프로파일의 조절은 치료적 이점을 가질 것임이 명백하다. Th1 반응의 촉진은 Th2 표현형의 반전을 거의 확실히 유도할 것이고, 그 역도 또한 같다. 림포킨에 대한 모노클론성 항체(mAb), 림포킨 자체, 및 티올 항산화제[참조: Jeannin 등, 1995,J Exp Med182:1785-1792]와 같은 그 밖의 인자는 질환 촉진 시토킨 유형인 Th1 또는 Th2를 억제함으로써 특정 질환의 병인을 반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세포내 원생동물 감염은 IFNγ에 의해 제약을 받지만 IL-4에 의해 악화되는 반면에, 선충 감염은 IL-4에 의해 조절되고 IFNγ에 의해 악화된다[참조: Heinzel 등, 1989,J Exp Med162:59-72, Else 등, 1994,J Exp Med179:347-351]. NOD 마우스의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및 마우스와 쥐에서의 EAE는 질환이 발병하기 전에 IL-4 또는 안티-IFNγ mAb로 처리함으로써 개선시킬 수 있다[참조: Rapoport 등, 1993,J Exp Med178:87-99, Racke 등, 1994,J Exp Med180:1961-1966, Campbell 등, 1991,J Clin Invest87:739-742]. 또한, 전신성 동상홍반성루푸스류 증후군이 특징인 자가면역 이식편대숙주질환(GVHD)은 Th2 림포킨 생성과 관련이 있고, 안티-IL-4 항체에 의해 억제된다[참조: Umland 등, 1992,Clin Immunol Immunopathol63:66-73]. 또 다른 한편, Th1 시토킨은 급성 GVHD에서 생성되며, 이러한 급성 GVHD의 경우 공여체 CD8+T세포는 CTL로 전개되고 숙주 면역계를 파괴한다. 안티-IFNγ 또는 안티-TNFα mAb에 의한 처리는 질환을 개선시키고, 안티-IL-2 mAb에 의한 처리는 급성 GVHD를자가면역 GVHD로 전환시킨다[참조: Via 및 Finkelman, 1993,Int Immunol5:565-572].
HIV 감염된 환자의 치료에 관한 천연 및 재조합 IL-2의 임상 시험이 1983년 이래로 진행중에 있다[참조: Volberding 등, 1987,AIDS Res Hum Retroviruses, 3:115-124]. 여기에서의 관련성은 AIDS의 발병이 생성된 림포킨의 유형의 시프트(shift)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사실로부터 성립한다[참조: Clerici 및 Shearer, 1994,Immunol Today15:575-581]. 시간이 지날수록, 질환으로 진행하는 감염된 개체에 있어서, IL-2와 같은 Th1 림포킨의 감소된 발현이 일어나고[참조: Maggi 등, 1987,Eur J Immunol17:1685-1690, Gruters 등, 1990,Eur J Immunol20:1039-1044, Clerici 등, 1993,J Clin Invest91:759-765], 동시에 IL-4 및 IL-10과 같은 Th2 림포킨의 생성 증가가 일어난다[참조: Clerici 등, 1994,J Clin Invest93:768-775, Hoffman 등, 1985,Virology147:326-335]. IL-2로 처리한 무증후성 또는 장기 생존자로부터의 T세포는 이들의 안티-HIV 활성을 강화시킨 반면에, IL-4 또는 IL-10에 노출되는 경우 HIV 복제를 억제하고 IL-2를 생성하는 이들 세포의 기능은 저하되었다[참조: Barker 등, 1995,Proc Soc Nat Acad Sci USA92:11135-11139].
그러나, 최근의 이러한 면역조절적 치료법(mAb 및 재조합 시토킨)에는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만성 모노클론성 항체 치료법의 경우, 숙주 동물은 모노클론성 항체에 대한 항체를 전개시킴으로써 이들 항체의 유용성이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mAb에 대한 유도 면역 반응의 위험성을 확실하게 경감시키는"인간화(humanized)" 모노클론성 항체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항체는 여전히 개발중에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신규한 mAb는 거대 단백질로 존재하기 때문에 표적 부위에 도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시토킨 기초 치료법 또한 제약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자가면역 GVHD의 IL-12 치료법은 마우스에서 급성 GVHD의 발병을 유발한다.
리바비린®(Ribavirin®)(1-b-D-리보푸라노실-1,2,4-트리아졸-3-카르복사미드)은 RNA 및 DNA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할 수 있는 합성 누클레오시드이다[참조: Huffman 등, 1973,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235, Sidwell 등, 1972, Science 177:705]. 본 발명자는 리바비린®과 이것의 항바이러스 활성이 특정한 면역 반응에 대해 효과가 있음을 제안했던 다른 연구자의 관찰 결과를 확인하였다[Jolley 및 Suchil에 의해 재조사됨, 1984, Clinical Applications of Ribavirin: p93-96]. 본 발명자는 리바비린®이 미토겐 활성화된 및 항원 활성화된 T 및 B 림프구의 증식에 영향을 주고[참조: Tam 등, 1995(자료는 제시되지 않음), Peavy 등, 1980,Infection and Immunity29:583-589], 시클로스포린과 병용되는 경우 리바비린®이 장기적 이인자형이식(異因子形移植) 생존에서 효능을 나타낸다는[참조: Jolley 등, 1988,Transplantation Proc20:703-706] 다른 연구자의 관찰 결과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리바비린®이 Th1 반응을 촉진시키고 Th2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면역 반응의 시토킨 유형을 조절한다는 것을 증명하여 종래의 연구를 상당히 진보시켰다. 이러한 발견은 종래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이다. 첫 번째로, 리바비린®은 기능성 체액성 면역 반응[참조: Peavy 등, 1981,J Immunol126:861-864, Powers 등, 1982,Antimicrob Agents Chemother22:108-114] 및 비만세포 분비의 IgE 매개성 조절[참조: Marquardt 등, 1987,J Pharmacol Exp Therapeutics240:145-149](두 가지 모두 Th2 림포킨 매개성 경우임)을 억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두 번째로, 리바비린®은 HIV 환자로부터의 말초혈 림프구 내의 아지도티미딘(AZT)의 항바이러스 효과에 길항작용을 한다[참조: Vogt 등, 1987, Science 235:1376-1379]. 이러한 결과는 AZT가 IL-2 발현이 아닌 IL-2 수용체(IL-2R)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참조: Viora 및 Camponeschi, 1995,Cell Immunol163:289-295]. 따라서, 리바비린®은 IL-2 발현을 조절하고 IL-2R의 부진한 수준을 상승시킴으로써 AZT에 길항작용을 한다. 세 번째로, 만성 GVHD(Th2 매개성 질환)을 지닌 면역감약된(immuno-compromised) 환자의 리바비린®치료는 질환의 극적 소산을 일으키며, 이러한 성과는 시클로스포린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면역억제 치료법에 의해서는 나타나지 않는다[참조: Cassano, 1991, Bone Marrow Transplantation 7:247-248]. 마지막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HCV)에 감염된 환자의 리바비린®치료 (1년)는 플라세보 대조구보다 작은 정도의 림프구 응집 및 훨씬 작은 정도의 간 손상을 나타내었다[참조: Dusheiko 등, 1994,Hepatology20:206A]. 이러한 결과는 C형 간염에 대한 우세한 면역 반응이 Th1 림포킨에 의해 매개된다고 하더라도 Th0/Th2 표현형의 T세포는 HCV에 의해 감염될 수 있고[참조: Zignego 등, 1994, 미발표 자료], 이러한 감염으로 간세포의 항체 매개성 파괴가 더 유도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야는 면역학이다.
표 1은 세포외 상청액에서 측정한 림포킨(IL-2, IL-4, TNFα 및 IFNγ(pg/ml)의, 48시간 및 72시간째에서의 휴면 농도 및 PMA/이오노마이신(ionomycin)-활성화된 농도, 및 사람 T 세포로부터의 IL-2(IL-2R) 및 IL-4(IL-4R) 수용체(평균 형광 채널 강도)의 세포 표면 발현을 나타낸다.
도 1은 PMA/이오노마이신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의 IL-2, IL-4, TNFα 및 IFNγ의 세포외 발현에 대한 리바비린®및 인터페론 α의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결과는 PMA/이오노마이신 단독 처리후 증가된 림포킨 발현율로서 표현된다.
도 2는 PMA/이오노마이신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의 IL-2(A 및 C) 및 IL-4(B 및 D)의 세포외 발현에 대한, 2000 U/ml의 인터페론 α의 존재하의 2, 10 또는 50 mM의 리바비린®의 효과(왼쪽 패널) 및 10mM의 리바비린®존재하의 500, 1000 또는 2000 U/ml의 인터페론 α의 효과(오른쪽 패널)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PMA/이오노마이신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의 IL-2, IL-4 및 IFNγ mRNA 발현에 대한 리바비린®및 인터페론 α의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MA/이오노마이신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의 IL-2 및 IL-4 수용체의 세포 표면 발현에 대한 리바비린®및 인터페론 α의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결과는 PMA/이오노마이신 단독 처리후 증가된 림포킨 수용체 발현율로서 표현된다.
도 5는 휴면상태의 CD4+(상부 패널) 또는 CD8+(하부 패널) T 세포(A 및 E), 또는 PMA/이오노마이신으로 단독 처리된(B 및 F) 또는 10mM의 리바비린®(C 및 G) 또는 5000 U/ml의 인터페론 α(D 및 H)의 존재하에서 활성화된 CD4+(상부 패널) 또는 CD8+(하부 패널) T 세포에서의 세포내 IL-2 발현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어느 한 실험으로부터의 자료가 도시된 것이며, IL-2 및 CD4 또는 CD8에 대한 이중 포지티브 염색을 나타내는 세포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도 6은 예상되는 리바비린®유사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IL-2, TNF-α, IFN-γ, IL-4 및 IL-5에 대한 리바비린®유사체의 다양한 농도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의 집합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누클레오시드인 리바비린®은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림포킨 발현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용량 범위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특히, 리바비린®은 Th2 매개성 T세포 반응을 억제하고, Th1 매개성 T세포 반응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리바비린®을 널리 공지된 기능으로 항바이러스제로서 투여하는 대신에 림포킨 발현에서의 불균형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한다. 이러한 불균형은 알레르기성 천식 및 아토피성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성 아토피성 질환, 기생충 감염, 레슈마니아증, 및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여러 1차 및 2차 면역결핍증의 부수적 현상인 것으로 밝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일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리바비린®유사체가 활성화된 T세포에서의 림포킨 발현을 조절하기에 유효한 용량 범위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리바비린®유사체는 Th1 또는 Th2 매개성 T세포 반응을 억제시키거나 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리바비린®은 평균 0.25 내지 12.5 m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5 mg/ml의 혈청 농도를 이루는 용량으로 사람 환자에게 경구 투여된다. 보통 사람의 경우, 이러한 최적 혈청 농도는 체중의 약 4.5mg/kg/day로 산정되고, 이는 200 내지 1200m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용량은 보다 적은 용량으로 여러개로 나누어 하루 동안에 투여된다.
리바비린®은 수 년 동안 시판되어 왔기 때문에, 많은 복용 형태 및 투여 경로가 공지되어 있고, 모든 적합한 복용 형태 및 투여 경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뿐만 아니라, 리바비린®은 정맥내, 근내, 복막내 및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들 투여 경로는 모두 공지되어 있다. 리바비린®을 포함하는 약제 제형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담체는 안정화제(장기간 보존 촉진용), 유화제, 결합제, 증점제, 염, 방부제, 용매, 분산매, 피복물, 항세균제와 항진균제, 및 등장제와 흡수지연제 등과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활성 물질로 이러한 매질 및 제제를 사용하는 것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리바비린®과의 상용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의 통상적인 매질 또는 제제가 치료용 조성물 및 제조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보충적 활성 성분 또한 조성물 및 제조물에 혼입될 수 있다.
본원에 의도된 리바비린®의 치료적 용도 이외에도, 리바비린®은 흡수, 분배, 세포 소비, 및 효능의 연구를 위한 실험실용 수단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소 활성을 가졌기에 초기에 거부되었던 여러 비라졸(Virazole) 유사체(사전 공지 또는 미지)가 상당한 시토킨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자의 연구는 이러한 활성을 지닌 여러 종류의 비라졸 유사체가 존재함을 보여주며, 그 실시예가 "리바비린®유사체"란 표제 하에 첨부된다. 이들 실시예는 비라졸이 활성 조성물을 달성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포지션을 특징화시키고자 하며, 따라서이러한 개시는 기재된 특이적 조절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이러한 조절은 비라졸의 표준 D형 뿐만 아니라 비라졸의 L형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세포주 및 T 세포 정제
말초혈 단핵 세포(PBMC)를 건강한 공여자로부터 채혈한 혈액 60ml를 피콜-하이파크(Ficoll-Hypaque) 밀도 구배 원심분리시킨 후 연막으로부터 분리시켰다. 이후, T 세포를 T 세포에 특이적인 림포퀴크(Lymphokwik) 림프구 분리 시약[LK-25T, One Lambda, Canoga Park CA]을 사용하여 PBMC로부터 정제하였다. 이후, 40 내지 60x106T 세포의 평균 수득량을 20 내지 30ml RPMI-AP5(20mM HEPES 완충액(pH 7.4), 5% 자가이식 혈장, 1% L-글루타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0.05% 2-메르캅토에탄올을 함유하는 RPMI-1640 배지[ICN, Costa Mesa, CA]) 중에서 37℃로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모든 실험에서, T 세포를 RPMI-AP5로 세정한 후, 96-웰 미량역가 플레이트 상에서 1x106세포/ml의 세포 농도로 플레이팅시켰다.
T 세포 활성화 및 리바비린 ® 처리
T 세포를 500ng의 이오노마이신 및 10ng의 포르볼(phorbol)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PMA)[Calbiochem, La Jolla, CA]를 첨가하여 활성화시키고, 37℃로 48 내지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PMA/이오노마이신 활성화된 T 세포를 24시간 후에 활성화 및 재처리시킨 직후 0.5 내지 50mM의 리바비린®또는 250 내지 10000 U/ml의 항바이러스 인터페론 α 대조구[Accurate, Westbury, NY]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플레이트로부터의 T 세포를 면역형광 분석법에 사용하고, 상청액은 세포외 시토킨 측정에 사용하였다. 활성화 후, 각각의 마이크로플레이트로부터의 900ml의 세포 상청액을 세포 유래된 시토킨 생성의 분석을 위해 또 다른 마이크로플레이트로 옮겼다. 이후, 상기 세포를 세포내 시토킨 농도 및 시토킨 수용체 발현에 대한 면역형광 분석법에 사용하였다.
세포외 시토킨 분석법
세포 유래된 사람 시토킨 농도를 각각의 마이크로플레이트로부터의 세포 상청액에서 측정하였다. 인터류킨-2(IL-2) 농도의 활성화 유도된 변화는 시판중인 ELISA 키트[R&D systems Quantikine kit, Minneapolis, MN]를 사용하거나 IL-2 의존성 세포계인 CTLL-2(ATCC, Rockville, MD)를 사용하는 생물학적 검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터류킨-4(IL-4), 종양 괴사 인자(TNFα), 인터류킨-8(IL-8)[R&D systems(Quantikine kit, Minneapolis, MN)] 및 인터페론 감마(IFNγ)[Endogen(Cambridge, MA)] 농도의 활성화 유도된 변화는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ELISA 결과는 pg/ml로 표현되며, 분당 계수로서의 CTLL-2 생물학적 검정은 CTLL-2 세포에 의한3H-티미딘의 IL-2 의존성 세포 혼입을 나타냈다.
직접 면역형광 연구(시토킨 수용체)
세포 표면 항원을 형광 컨쥬게이트된 항체로 직접 염색시키기 위해, 세포를 pH 7.4인 등장성 염류 용액[Becton Dickinson, Mansfield, MA]으로 2회 세정하고, 50ml의 등장성 염류 용액에 재현탁시키고, 2개의 샘플로 나누었다. 한 샘플 분획을 PE-안티 CD25/FITC-안티 CD4 또는 PE-쥐 안티 마우스 IgG+안티-CDw124/FITC-안티 CD4 mAb로 동시염색시키고, 비특이적 형광성을, 제 2 분획을 PE/FITC 표지화된 이소형 매칭된 대조구 모노클론성 항체로 염색시켜 측정하였다. 모든 형광 표지된 모노클론성 항체는 파밍겐[Pharmingen, San Diego, CA]사로부터 입수한 안티-CDw124를 제외하고는 벡튼 딕킨슨[Becton Dickson, San Jose, CA]사로부터 입수하였다. 인큐베이션은 포화 mAb 농도를 이용하여 45분 동안 암실에서 4℃로 수행하였다. 혼입되지 않은 표지는 FAC스캔 유량 세포계산법[Becton Dickinson]으로 분석하기 전에 PBS로 세정하여 분리시켰다.
항원 밀도는 게이팅된(gated) 생존 CD4+T 세포에서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형광의 평균 형광 채널(mean channel of fluorescence: MCF)로서 나타냈다. 특이적 항원(CDw124, CD25)의 표면 발현은, FITC-표지화되거나 PE-표지화된 항원 특이적 mAb 염색된 세포의 MCF에서 FITC-표지화되거나 PE-표지화된 이소형 매칭된(IgG1) 대조구 mAb 염색된 세포의 MCF를 공제시키므로써 얻어진 평균 채널 시프트(mean channel shift: MCS)로서 나타냈다. 다르게는, CD28 mAb로 염색된 세포의 CD4+-서브셋(subset)의 표면 발현은 CD28_CD4_세포의 MCF에서 CD28+CD4+의 MCF를 공제시키므로써 측정하였다.
비처리 대조구 및 리바비린®과 인터페론 α로 처리된 세포의 생존 능력을 생체 염료인 요오드화 프로피듐(5mg/ml 최종 농도)으로 염색하여 다수의 공여자의 모든 올리고누클레오티드의 각각의 배치(batch)에서 측정하였다. 요오드화 프로피듐을 제외시킨 생존 세포의 백분율을 유량 세포계산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모든 사용 농도로 처리한 후의 상기 백분율은 90%를 초과하였다(범위 90 내지 99%).
세포내 시토킨 발현의 면역형광 분석
CD4+및 CD8+T 세포 서브셋에서의 IL-2의 세포내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T 세포를 48 내지 72시간의 활성화중 마지막 4시간 동안 10mg의 브레펠딘 A[Brefeldin A, Gibco BRL, Gaithersburg, MD]으로 처리하여 새로 합성된 IL-2의 세포외 환경으로의 분비를 최소화시켰다. 활성화 후에, 각각의 마이크로플레이트로부터 900ml의 세포 상청액을 세포 유래된 시토킨 생성의 분석을 위해 또 다른 마이크로플레이트로 옮겼다. 세포 표면 항원(CD4 및 CD8)을 FITC-컨쥬게이트된 항체로 직접 염색(30분, 4C, 암실에서)하기 전에, 세포를 pH 7.4인 등장성 염류 용액으로 2회 세정하고, 100 내지 150ml의 염색용 버퍼(Staining Buffer)(1% 우태아 혈청(FCS)[Hyclone, Logen, UT] 및 0.1% 아지드화나트륨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pH 7.4)) 중에서 재현탁시키고, 2개의 샘플로 나누었다. 염색된 세포를 1ml의 염색용 버퍼로 세정하고, 상청액의 흡인후 세포 펠릿을 100ml의 고정용 버퍼(Fixation Buffer)(PBS 중의 4% 파라포름알데히드)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4℃에서 20분 동안 유지시킨 후, 1ml의 염색용 버퍼로 세정시키고, 세포 펠릿을 50ml의 투과용 버퍼(Permeabilization Buffer)(PBS 중의 0.1% 사포닌[ICN, Costa Mesa, CA]) 중에서 혼합하면서 재현탁시켰다. 투과된 세포를 암실에서 4℃로 30분 동안 PE-표지화된 IL-2 항체로 염색시키고, 1ml의 투과용 버퍼로 세정시키고, FACS 분석 전에 250ml 염색용 버퍼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시토킨 mRNA의 분석
전체 RNA를 휴면 T 세포 및 리바비린®과 인터페론 α로 처리 및 비처리된 활성화된 T 세포로부터 구아니듐 티오시아네이트/페놀 추출법(Trizol reagent(GIBCO/BRL))의 통상적인 조절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RNA를 70% 에탄올로 세정하고, 최종적으로 10㎕ DEPC-처리된 물 중에서 재현탁시켰다.
cDNA 합성 반응은 제조업자 지시(Promega, Madion, WI)에 따라 수행하였다. 요약하면, 1㎍의 전체 RNA를 10분 동안 65℃로 가열하고, 얼음 상에서 냉각시킨후, 2㎕의 10X 역전사 버퍼(100mM Tris HCl(pH 8.8), 500mM KCl, 1% Triton X-100), 5mM의 MgCl, 2㎕의 10mM dNTP(각각의 dNTP 당 1mM), 0.5㎕의 RNase 억제제, 1㎕ 올리고(dT)15 프라이머(0.5㎍/㎍RNA) 및 0.65㎕ AMV 역전사효소(H.C.)와 결합시켰다. 반응을 1시간 동안 42℃에서 인큐베이션시킨 후, 10분 동안 95℃에서 인큐베이션시키고, 얼음 상에서 5분 동안 냉각시켰다.
PCR 반응을 진앰프(GeneAmp) PCR 키트(Perkin-Elmer Cetus, Foster City, C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새로운 튜브에서, RT 반응 혼합물(3㎕)을 5㎕ 10XPCR 버퍼(500mM KCl, 100mM Tris-HCl(pH 8.3), 15mM MgCl2및 0.01%(w/v) 젤라틴), 1㎕ 10mM dNTP 및 1U의 Taq DNA 중합효소와 결합시켰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았다: 인터류킨-2, 인터류킨-4, 인터페론-g(사람) 프라이머[Stratagene, La Jolla, CA] 및 pHE7 리보솜 유전자. 증폭 조건은 35 사이클 동안 94℃로 45초, 57℃로 1분 및 72℃로 2분이고, 그후 72℃로 8분이었다. PCR 생성물을 브롬화에티듐을 함유하는 2% 아가로오스 겔 상에서 분석하였다. 전기영동 후에, PCR 생성물은 하룻밤 동안 20 X SSC 중에서 하이본드(Hybond) N+ 막(Amersham, Arlington Heights, IL)으로 옮기고, 0.4M의 NaOH를 사용하여 부동화시켰다. 블롯(blot)을 1시간 동안 42℃에서 라피드(Rapid)-hyb 버퍼(Amersham) 중에서32P-γATP 표지화된 올리고누클레오티드 프로우브와 하이브리드를 형성시켰다. 각각의 시토킨 프라이머 혼합물을 방사성표지된 프로우브로서 사용하였다(지시에 따라). 균등 부하를, pHE7 센스(sense) 프라이머로부터 생성된 프로우브와 하이브리드를 형성한 후 측정하였다. 이후, 세정된 블롯을 포스포이매져(PhosphorImag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세포외 시토킨 농도에 대한 리바비린 ® 의 효과
사람 T 세포의 PMA/이오노마이신 처리(48 내지 72시간)가 분석된 모든 시토킨(즉, IL-2, IL-4, TNFα, IFNγ(표 2))의 농도를 상당히 증가시켰다. 각각의 세포의 첫 번째 숫자는 산술 평균을 나타내고, 괄호 안의 숫자는 관련 범위를 나타낸다. N = 4. 도 1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험에서, 0.5 내지 50mM의 용량 범위로 리바비린®을 첨가한 경우, Th1 시토킨인 IL-2 및 TNFα의 활성화 농도를 각각 5mM(30%) 및 20mM(36%)에서 최대로 증대시켰다. 대조적으로, 인터페론 α는, 비처리된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농도와 비교하여 볼 때, 용량 의존성 방식(범위 250 내지 10000 U/ml, 최대 억제율은 각각 33% 및 38%)으로 IL-2 및 TNFα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리바비린®은 Th2 시토킨인 IL-4의 활성화 농도에서의 부수적인 감소(2mM에서 최고 억제율 74%)를 매개하는 반면에, 인터페론 α는 세포외 IL-4를 최대 26%(10000 U/ml) 만큼 증가시켰다. 리바비린®및 인터페론 α의 조합물을 사용한 경우, 도 2는 일정한 2000 U/ml 인터페론 α는 활성화된 IL-2 농도의 리바비린®용량 의존성 증대를 억제하고(A), 활성화된 IL-4 농도의 억제를 반전시킴(C)을 보여준다. 유사하게, 10 mM의 일정한 리바비린®은 활성화된 IL-2 농도의 인터페론 α 매개성 용량-의존성 억제를 반전시키고(B), 활성화된 IL-4 농도의 증대를 억제시켰다.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시토킨 mRNA 농도에 대한 리바비린 ® 의 효과
활성화된 세포외 시토킨 농도에 대한 리바비린®및 인터페론 α의 이러한 상반되는 효과가 전사 수준에서도 관찰되었다. 도 3은 사람 T 세포의 PMA/이오노마이신 처리가 IL-2, IL-4 및 IFNγ mRNA 농도를 상당히 증대시킴을 보여준다. T 세포 활성화후 리바비린®(2, 5 및 10mM)으로의 처리는 IL-2를 증가시키고, IL-4를 감소시키지만, IFNγ mRNA에 대한 효과는 없다. 대조적으로, 인터페론 α는 1000, 2000 및 5000 U/ml에서 IL-2를 감소시키고, IL-4를 증가시키고, IFNγ mRNA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IL-2, TNFα 및 IL-4 mRNA 발현에 대한 리바비린®및 인터페론의 각각의 용량 의존성 효과는 ELISA 분석과 유사하였다. 이들 자료는 리바비린®이 Th1 시토킨인 IL-2 및 TNFα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활성화된 사람 T 세포에서의 Th2 시토킨인 IL-4의 발현을 억제함을 시사한다.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IL-2 및 IL-4 수용체 농도에 대한 리바비린 ® 의 효과
FACS 분석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자는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IL-2(CD25) 및 IL-4(CDw124) 수용체 발현에 대한 리바비린®및 인터페론 α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PMA/이오노마이신 처리는 CD25 및 CDw124 발현을 각각 50.16±0.45 및 62.31±1.46의 휴면 농도에서 162.48±2.89 및 87.53±3.98의 활성화 농도로 증가시켰다(n = 4). 3가지 실험 중의 대표적인 실험에서, 도 4는 활성화된 T 세포 대조구와 비교해볼 때, 리바비린®(1 내지 50mM)은 IL-2 및 IL-4 수용체의 활성화 농도에 대해 거의 효과가 없는 반면에, 인터페론 α는 250 내지 10000 U/ml의 용량 범위에서 IL-2 수용체 발현을 감소시키고 IL-4 수용체 발현을 용량 의존성 방식으로 증가시킴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 자료는 시토킨 합성에 대한 리바비린®의 효과가 시토킨 수용체 발현과 무관하게 작용함을 보여준다. 대조적으로, IL-2 및 IL-4 수용체에대한 인터페론 α 처리의 효과는 활성화된 IL-2 및 IL-4 발현에 대한 인터페론 α의 효과에 의해 관측된 것과 상호 관련이 있다.
활성화된 T 세포의 CD4 및 CD8+ 서브셋에서의 세포내 IL-2 농도에 대한 리바비린 ® 의 효과
본 발명자는 IL-2 발현에 대한 리바비린®의 효과가 CD4+또는 CD8+T 세포에 특이적인 지를 조사하였다. 고정되고 투과된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세포내 IL-2 발현을 CD4 또는 CD8 및 IL-2에 대해 형광 표지된 항체를 사용하는 2색 유량 세포계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 5는 10mM로 리바비린®으로 처리한 후, IL-2를 발현시키는 CD4_T 세포의 백분율이 82 내지 91%로 증가하고, IL-2를 발현하는 CD8+의 백분율이 81 내지 91%로 증가함을 보여준다. 대조적으로, 인터페론 α 처리(5000 U/ml)후 IL-2를 발현시키는 CD4+및 CD8+의 백분율은 각각 81% 및 71% 였다. 이들 자료는 리바비린®이 CD4+또는 CD8+T 세포 서브셋을 구별하지 못하는 세포내 IL-2 발현에 대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대조적으로, 인터페론 α 처리는 CD4+T 세포에 거의 효과가 없으며, 심지어 CD8+T 세포 서브셋에서의 IL-2 발현을 감소시킨다.
리바비린 ® 유사체
Th1 또는 Th2 매개성 T 세포 반응을 조절하기에 임상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여러가지 종류의 리바비린®이 존재한다. 이것은 L형 및 D형 누클레오시드를 모두 포함하는 도 6의 일반식에 속하는 분자를 포함하며, 여기서 X는 O, S, CH2, CHOH 또는 N-CO-R11이고; A, B 및 C는 독립적으로 N, P, CH, C-OH, C-CH3, C-알킬, C-알케닐, C-CH2, -CN, C-할로겐, C-CN, C-COOCH3, C-NH2, C-SNH2, C-SO2-NH2, C-CONH2, C-CS-NH2, C-C(NH)NH2, CPO2-NH2, 또는 C-헤테로시클릭 고리계이고; D는 S, Se, Te, PH, NH 또는 NR12이고; R1은 H, (CH2)p(OH), 할로겐, CN, (CH2)pONH2, (CH2)pNH2, CH3, CH2SPH 또는 (CH2)-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R2는 H, OH, OCH3, SH, SCH3, 할로겐, CN, NH2, ONH2, NHCH3, (CH2)OH, (CH2)pNH2, CH3, 또는 COOMe이고; R3, R4, R5, R6, R7및 R8은 각각 H, OH, OCH3, SH, SCH3, 할로겐, CN, NH2, ONH2, NHCH3, (CH2)OH, (CH2)pNH2, CH3, COOMe 또는 페닐이고; R9는 H, 할로겐, NH2, CH3, CONH, CSNH2, COOMe, SNH2, SO2NH2, PO2NH2, (CH2)p, (CH2)p-헤테로시클릭 고리계 또는 (CH2)p-글루코오스이고; R10은 H, 할로겐, NH2, CH3, CONH, CSNH2, COOMe, SNH2, SO2NH2, PO2NH2, (CH2)p, (CH2)p-헤테로시클릭 고리계, (CH2)p-글루코오스, O-CH3, O-CH2CH3또는 아미노산이고; Y는 O, S, NH·HCl, NOH, NOCH3또는 NOCH2PH이고; R10및 Y는 함께 티아졸, 이미다졸 등과 같은 헤테로시클릭 고리계이고, R11은CH3(CH2)pNH2, (CH2)p-헤테로사이클, (CH2)p-아미노산 또는 (CH2)p-당(글루코오스 등)이고; p는 0 내지 8의 정수이다.
이러한 분자는 하기의 예시적 도해 중의 1가지 이상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1. ICN 1369(Pyrazomycin)의 합성: 본 화합물에 대한 합성 방법은 다음의 참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a) J. Farkas, Z.Flegelova 및 F.Sorm,Tetrahedron Letts., 22,2279(1972); (b) S.De Bernardo 및 M.Weigele, J.Org. Chem., 41, 287(1976); (c) J.G.Buchanan,A.Stobie 및 R.H.Wightrnan, J.Chem.Soc.Chem.Commun., 916(1980); N.Karagiri,K.Takashirna, T.Haneda 및 T.Kato, J.Chem.Soc.Perkin Trans.!, 553(1984).
2. ICN 3438(1-β-D-크실로푸라노실-1,2,4-트리아졸-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의 합성은 제이.티.위트코우스키 등의 문헌[J.T.Witkowski, M.Fuertes, P.D.Cook 및 R.K.Robins, J.Carbohydr. Nucleosides, Nucleotides 2(1), 1(1975)]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3. ICN 3844 (1(5-O-술파모일-β-D-리보푸라노실)-1,2,4-트리아졸-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은 지.디.키니 등의 문헌[G.D.Kini, B.M.Henry, R.K.Robins, S.B.Larson, J.J.Marr, R.L.Berens, C.J.Bacchi, H.C.Nathan 및 3.S.Keithly, J. Med .Chem., 33,44(1990)]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된다.
4. ICN 4625(1(3-데옥시-β-에리트로펜토푸라노실)-1,2,4-트리아졸-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은 아래의 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5. ICN 5531(5-아미노-1-β-D-리보푸라노실피라졸-4-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은 비.케이.바타카르야 등의 문헌[B.K.Bhattacharya, R.K.Robins 및 G.R.Revankar.J.Heterocyclic Chem., 21,795(1990)]에 기재된 합성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된다.
6. ICN 5676(1-β-D-아라비노푸라노실-1,2,4-트리아졸-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의 합성은 제이.티.위트코우스키 등의 문헌[J.T.Witkowski, M Fuefles, P.D.Cook 및 R.K.Robins, J.Carbohydr. Nucleosides, Nucleotides, 2(1),1(1975)]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7. ICN 5839(1-β-D-에리트로푸라노실-1,2,4,3-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은 하기에 기재된 합성 순서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8. ICN 6242(2-브로모-1-β-D-리보푸라노실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의 합성: ICN6242는 아래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된다.
9. ICN 11808(1-β-D-리보푸라노실-피라졸-3,4-디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의 합성법은 와이.에스.상비 등의 문헌[Y.S.Sanghvi, B.K.Bhattacharya, G.D. Kini, S.S.Matsumoto, S.B.Larson, W.J.Jolley, R.K.Robins 및 G.R.Revankar, J.Med. Chem., 33, 336(1990)]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된다.
10. ICN 12204(2-(β-D-리보푸라노실)이미다졸-5-카르복사미드)의 합성: 본 화합물의 합성은 제이.이골레오 등의 문헌[J.Igoleo, T.H.Dinh, A.Keib 및 C.Perreur,Chimie Therapeutique, 207(1972)]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여 달성된다.
리바비린®유사체의 탄소고리 4´-티오슈가(thiosugar) 및4´-아자슈가(azasugar) 유도체에 대해서는, 하기의 당이 적절한 헤테로고리 화합물과 축합될 수 있고, 상기 도해 및 참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도될 수 있다.
1. 탄소고리 당은 문헌[M.Yoshikawa, Y.Yoshikawa, Y.inoue, S.Yamaguchi 및 N.Murakami, Tetrahedon, 50, 9961(1994); L.Agrofoglio, E. Suhas, A.Parese, R.Condom, S.R.Challand, R.A.Earl 및 R.Guedj, Tetrahedron, 50, 10611(1994)]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2. 4-아자슈가는 문헌[E.J.Reist, D.E.Gueffroy 및 L.Goodman, J.Am.Chem.Soc., 87,677(196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3. 4-티오-D-리보푸라노오스는 문헌[M.Hobek 및 R.L.Whistler in "Methods in Carbohydrate Chemistry," Vol 1,292 (1962)]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Th1 및 Th2 시토킨을 조절함에 있어서 리바비린®유사체의 유효성의 증거는도 7 및 하기의 표에 설명되어 있다. 본원에서 보고한 검정법은 시험된 35개의 리바비린®유사체의 간결한 목록을 포함하며, 모든 검정법은 3회씩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시험된 화합물은 3가지의 주요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IFNγ, IL-2, IL-4, IL-S 및 TNFα를 억제하는 ICN1369 및 ICN3844와 같은 화합물; (2) IL-2 및 TNFα를 강화시키고 ILA 및 IL-5를 억제시키는 리바비린®과 같은 화합물; 및 (3) IL-2 및 IFNγ를 강화시키고 IL-4 및 IL-5를 억제하는 ICN6242, ICN3839 및 ICN3531과 같은 화합물. 상기에 기재된 이러한 활성은 시토킨의 조절이 적합한 면역 반응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암시에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웰 당 세포 농도 = 2 x 106x 24 = 48ml중 48 x 106(각각의 웰의 전체 부피 = 2000㎕)
1 2 3 4 5 6
A 배지 PMAICN PMAICN PMAICN10μM 1369 PMAICN5μM 1369 PMAICN2μM 1369
B PMAICN10μ 3438 PMAICN5μM 3438 PMAICN2μM 3438 PMAICN10μM 3844 PMAICN5μM 3844 PMAICN2μ 3844
C PMAICN10μ 4625 PMAICN5μM 4625 PMAICN2μM 4625 PMAICN10μM 5531 PMAICN5μM 5531 PMAICN2μM 5531
D PMAICN10μM 5676 PMAICN5μM 5676 PMAICN2μM 5676 PMAICN10μM 5839 PMAICN5μM 5839 PMAICN2μM 5839
웰 당 세포 농도 = 2 x 106x 24 = 48ml중 48 x 106(각각의 웰의 전체 부피 = 2000㎕)
1 2 3 4 5 6
A PMAICN10μM 6242 PMAICN5μM 6242 PMAICN2μM 6242 PMAICN10μM 11808 PMAICN5μM 11808 PMAICN2μM 11808
B PMAICN10μM 12204 PMAICN5μM 12204 PMAICN2μM 12204 PMAICN10μM RIB PMAICN5μM RIB PMAICN2μM RIB
따라서, 리바비린®및 리바비린®유사체는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림포킨 발현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정한 구체예 및 적용이 다루어졌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1)

  1. 림포킨 발현을 조절하기에 충분한 용량으로 T 세포에 투여되는 리바비린을 포함하는, 사람 환자의 활성화된 T 세포에서의 림포킨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리바비린이 Th1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Th2의 농도를 감소시키기에 유효한 용량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환자의 Th1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Th2의 농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리바비린이 Th1이 정상 미만으로 감소하고 Th2가 정상을 초과하여 증가하는 시토킨 프로파일에 의해 특징되는 비바이러스성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질환이 알레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질환이 자가면역 질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질환이 기생충 질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7. 환자의 Th1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Th2의 농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프로토콜에 의해 리바비린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바이러스성 요소 및 비바이러스성 요소를 포함하는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로서, 비바이러스성 요소가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의 감소된 Th1 농도 및 증가된 Th2 농도를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질환이 1차 면역결핍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질환이 2차 면역결핍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바이러스성 요소가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를 포함함을 특징을 하는 약제 조성물.
  11. Th1 또는 Th2 발현을 변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L형 및 D형 누클레오시드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상기 식에서,
    X는 O, S, CH2, CHOH 또는 N-CO-R11이고;
    A, B 및 C는 독립적으로 N, P, CH, C-OH, C-CH3, C-알킬, C-알케닐, C-CH2, -CN, C-할로겐, C-CN, C-COOCH3, C-NH2, C-SNH2, C-SO2-NH2, C-CONH2, C-CS-NH2, C-C(NH)NH2, CPO2-NH2, 또는 C-헤테로시클릭 고리계이고;
    D는 S, Se, Te, PH, NH 또는 NR12이고;
    R1은 H, (CH2)p(OH), 할로겐, CN, (CH2)pONH2, (CH2)pNH2, CH3, CH2SPH 또는(CH2)-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R2는 H, OH, OCH3, SH, SCH3, 할로겐, CN, NH2, ONH2, NHCH3, (CH2)OH, (CH2)pNH2, CH3, 또는 COOMe이고;
    R3, R4, R5, R6, R7및 R8은 각각 H, OH, OCH3, SH, SCH3, 할로겐, CN, NH2, ONH2, NHCH3, (CH2)OH, (CH2)pNH2, CH3, COOMe 또는 페닐이고;
    R9는 H, 할로겐, NH2, CH3, CONH, CSNH2, COOMe, SNH2, SO2NH2, PO2NH2, (CH2)p, (CH2)p-헤테로시클릭 고리계 또는 (CH2)p-글루코오스이고;
    R10은 H, 할로겐, NH2, CH3, CONH, CSNH2, COOMe, SNH2, SO2NH2, PO2NH2, (CH2)p, (CH2)p-헤테로시클릭 고리계, (CH2)p-글루코오스, O-CH3, O-CH2CH3또는 아미노산이고;
    Y는 O, S, NH·HCl, NOH, NOCH3또는 NOCH2PH이고;
    R10및 Y는 함께 티아졸 또는 이미다졸과 같은 헤테로시클릭 고리계를 형성하고;
    R11은 CH3(CH2)pNH2, (CH2)p-헤테로고리, (CH2)p-아미노산 또는 (CH2)p-당(글루코오스 등)이고;
    p는 0 내지 8의 정수이다.
KR1019980705645A 1996-01-23 1997-01-21 활성화된T림프구에서리바비린R및리바비린R유사체에의해Th1/Th2시토킨발현을조절하기위한약제조성물 KR100298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90,449 US5767097A (en) 1996-01-23 1996-01-23 Specific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in activated T-lymphocytes
US8/590,449 1996-01-23
US08/590,449 1996-01-23
US60/036,094 1997-01-14
US3609497P 1997-01-17 1997-01-17
PCT/US1997/000600 WO1997026883A1 (en) 1996-01-23 1997-01-21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and ribavirin® analogs in activated t-lymphocy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930A KR19990081930A (ko) 1999-11-15
KR100298158B1 true KR100298158B1 (ko) 2001-09-06

Family

ID=2671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645A KR100298158B1 (ko) 1996-01-23 1997-01-21 활성화된T림프구에서리바비린R및리바비린R유사체에의해Th1/Th2시토킨발현을조절하기위한약제조성물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0879056B1 (ko)
KR (1) KR100298158B1 (ko)
CN (1) CN1190198C (ko)
AT (1) ATE216886T1 (ko)
BR (1) BR9707154A (ko)
CA (1) CA2246162C (ko)
CZ (1) CZ293584B6 (ko)
DE (1) DE69712316T2 (ko)
DK (1) DK0879056T3 (ko)
ES (1) ES2172764T3 (ko)
HU (1) HU220105B (ko)
IL (1) IL125088A0 (ko)
NO (1) NO983372L (ko)
NZ (1) NZ330784A (ko)
PL (1) PL187439B1 (ko)
PT (1) PT879056E (ko)
RU (1) RU2186569C2 (ko)
SI (1) SI9720013A (ko)
SK (1) SK283342B6 (ko)
UA (1) UA46815C2 (ko)
WO (1) WO1997026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2393B1 (en) * 1996-10-16 2003-04-09 ICN Pharmaceuticals, Inc. L-Ribavirin and uses thereof
WO1998017279A1 (en) * 1996-10-25 1998-04-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mmune response modifier compounds for treatment of th2 mediated and related diseases
SI20802A (sl) * 1999-01-29 2002-08-31 Icn Pharmaceuticals, Inc. Modulacija imunskega odgovora z ribavirinom
US6455508B1 (en) * 2000-02-15 2002-09-24 Kanda S. Ramasamy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with tirazole and pyrrolo-pyrimidine ribofuranosyl nucleosides
US7638496B2 (en) 2000-02-15 2009-12-29 Valeant Pharmaceuticals North America Nucleoside analogs with carboxamidine modified monocyclic base
US6680059B2 (en) 2000-08-29 2004-01-20 Tripep Ab Vaccines containing ribavirin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7022830B2 (en) 2000-08-17 2006-04-04 Tripep Ab Hepatitis C virus codon optimized non-structural NS3/4A fusion gene
US6858590B2 (en) 2000-08-17 2005-02-22 Tripep Ab Vaccines containing ribavirin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2013855A2 (en) * 2000-08-17 2002-02-21 Tripep Ab Vaccines containing ribavirin and methods of use thereof
DK1450856T3 (da) 2001-09-14 2010-05-31 Cytos Biotechnology Ag Pakning af immunstimulatorisk CpG i virus-lignende partilker, fremgangsmåde og anvendelse
BRPI0408846A (pt) * 2003-03-28 2006-07-04 Pharmasset Inc compostos para o tratamento de infecções por flaviviridae
US20050182252A1 (en) 2004-02-13 2005-08-18 Reddy K. R. Novel 2'-C-methyl nucleoside derivatives
AU2006325225B2 (en) 2005-12-14 2013-07-04 Cytos Biotechnology Ag Immunostimulatory nucleic acid packaged particles for the treatment of hypersensitivity
ZA200806266B (en) * 2006-03-09 2010-05-26 Om Pharma Immunomodulatory compounds and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to an over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WO2007144150A1 (en) 2006-06-12 2007-12-21 Cytos Biotechnology Ag Processes for packaging oligonucleotides into virus-like particles of rna bacteriophages
EP2185195A2 (en) 2007-08-16 2010-05-19 Tripep Ab Immunogen platform
AP2014007796A0 (en) 2011-12-22 2014-07-31 Alios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analogs thereof
US9441007B2 (en) 2012-03-21 2016-09-13 Alios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analogs thereof
USRE48171E1 (en) 2012-03-21 2020-08-25 Janssen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analogs thereof
EP2861611B1 (en) 2012-05-25 2016-07-13 Janssen Sciences Ireland UC Uracyl spirooxetane nucleosides
RS61767B1 (sr) 2012-12-21 2021-05-31 Janssen Biopharma Inc 4'-fluor-nukleozidi, 4'-fluor-nukleotidi i njihovi analozi za lečenje hcv
WO2015054465A1 (en) 2013-10-11 2015-04-16 Alios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analogs thereof
EP3143404B1 (en) 2014-05-16 2018-08-29 Amgen Inc. Assay for detecting th1 and th2 cell pop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66852B2 (en) * 1991-05-01 1996-02-29 Henry M. Jackso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ilitary Medicine A method for treating infectious respiratory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46815C2 (uk) 2002-06-17
ES2172764T3 (es) 2002-10-01
HUP9900681A2 (hu) 1999-07-28
NO983372L (no) 1998-09-21
NO983372D0 (no) 1998-07-22
KR19990081930A (ko) 1999-11-15
EP0879056B1 (en) 2002-05-02
AU700642B2 (en) 1999-01-14
CN1190198C (zh) 2005-02-23
PL328003A1 (en) 1999-01-04
SK283342B6 (sk) 2003-06-03
HUP9900681A3 (en) 1999-12-28
EP0879056A1 (en) 1998-11-25
CN1209747A (zh) 1999-03-03
IL125088A0 (en) 1999-01-26
DE69712316T2 (de) 2003-01-02
WO1997026883A1 (en) 1997-07-31
CA2246162A1 (en) 1997-07-31
NZ330784A (en) 1999-02-25
CZ293584B6 (cs) 2004-06-16
EP0879056A4 (en) 1999-01-13
ATE216886T1 (de) 2002-05-15
PL187439B1 (pl) 2004-07-30
HU220105B (hu) 2001-10-28
CZ232998A3 (cs) 1999-04-14
DE69712316D1 (en) 2002-06-06
CA2246162C (en) 2000-04-04
DK0879056T3 (da) 2002-08-19
RU2186569C2 (ru) 2002-08-10
SI9720013A (sl) 1999-06-30
BR9707154A (pt) 1999-05-25
AU1747897A (en) 1997-08-20
SK100498A3 (en) 2001-03-12
PT879056E (pt)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158B1 (ko) 활성화된T림프구에서리바비린R및리바비린R유사체에의해Th1/Th2시토킨발현을조절하기위한약제조성물
US5767097A (en) Specific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in activated T-lymphocytes
US6150337A (en) Specific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in activated T-lymphocytes
Sliva et al. Inosine pranobex: a key player in the game against a wide range of viral infections and non-infectious diseases
Panuska et al.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duces interleukin-10 by human alveolar macrophages. Suppression of early cytokine production and implications for incomplete immunity.
Seko et al. Expression of cytokine mRNAs in murine hearts with acute myocarditis caused by coxsackievirus b3
Cunningham et al. gamma Interferon production appears to predict time of recurrence of herpes labialis.
KR20030005190A (ko) 카르복사미딘-개질된 바이시클릭 염기를 지닌뉴클레오시드 유사체
IE920113A1 (en) Use of interleukin-10 in adoptive immunotherapy of cancer
Lalani et al. Biology of IL-5 in health and disease
JP2008133293A (ja) 活性化tリンパ球におけるリバビリン及びリバビリン類似体によるth1型/th2型サイトカインの発現の調節
KR960015199B1 (ko) 인터페론-γ의 억제제로서의 BCRF1 단백질
Sayeh et al. Factors that modify penicillamine-induced autoimmunity in Brown Norway rats: failure of the Th1/Th2 paradigm
Okano et al. 14Interferons and Epstein-Barr Virus Infection
US20030092644A1 (en)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using levovirin
US20030212015A1 (en) Specific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in activated T-lymphocytes
JP2000500503A (ja) 活性化tリンパ球におけるリバビリン及びリバビリン類似体によるth1型/th2型サイトカインの発現の調節
Vieillard et al. Transfer of human CD4+ T lymphocytes producing beta interferon in Hu-PBL-SCID mice control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Kilinc et al. Generation of a multimeric form of CD40L with potent immunostimulatory activity using streptavidin as a chaperon
AU700642C (en)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and ribavirin analogs in activated T-lymphocytes
EP1174141A2 (en)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expression by ribavirin and ribavirin analogs in activated t-lymphocytes
Roberge et al. Epstein–Barr virus induces GM-CSF synthesis by monocytes: effect on EBV-induced IL-1 and IL-1 receptor antagonist production in neutrophils
Ojwang et al. Inhibition of episomal hepatitis B virus DNA in vitro by 2, 4-diamino-7-(2-deoxy-2-fluoro-beta-D-arabinofuranosyl)-pyrrolo [2, 3-d] pyrimidine
Curreli et al. IFN-α 2b increases interleukin-10 expression in primary activated human CD8+ T cells
Imahayashi et al. Establishment of an immortalized T-cell line from lung cancer tissue: phenotypic and functional analy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