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103B1 - 다중모드압전필터 - Google Patents

다중모드압전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103B1
KR100294103B1 KR1019970702021A KR19970702021A KR100294103B1 KR 100294103 B1 KR100294103 B1 KR 100294103B1 KR 1019970702021 A KR1019970702021 A KR 1019970702021A KR 19970702021 A KR19970702021 A KR 19970702021A KR 100294103 B1 KR100294103 B1 KR 100294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ctrode
input
piezoelectric plat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651A (ko
Inventor
히로유키 아리무라
키미노리 카와노
Original Assignee
타카히라 노리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214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72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547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83290A/ja
Application filed by 타카히라 노리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쿠 filed Critical 타카히라 노리유키
Publication of KR97070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07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 H03H9/1014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07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 H03H9/1014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 H03H9/1021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the BAW device being of the cantilever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압전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열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하는 어스전극이 형성된 다중모드 압전필터 소자의 2조를 하나의 유지기(3) 내에 수용하여 상호종속접속한 다단접속형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있어서, 2조의 소자 사이의 결합의 억제기능을 높게 하고 최종조정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유지기(1) 내에 각각 입출력 진동전극쌍 및 어스전극이 형성된 2개의 압전기판(2),(3)이 수용되고, 그 압전기판(2),(3)의 각 전극 중 적어도 어스전극(23),(24)을 제외한 전극의 모두가 각각 유지기(1)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개별의 접속단자(11)∼(16)에 접속되는 동시에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각각 압전기판의 대각선 상의 코너 부분으로 안내되고 또한 한 쪽 압전기판의 입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와 다른 한 쪽 압전기판의 출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가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는 코너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서로 종속접속된 두 개의 압전필터소자 간의 간섭이 억제되어 소형으로 고성능의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소자가 얻어져서, 특히 휴대형의 통신기기 등의 사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다중모드 압전필터
압전기판의 두께-전단 진동(thickness shear vibration) 등을 이용한 압전필터에서는 일반적으로 압전기판의 한쪽 면에 소정의 갭을 두어 입출력 진동전극쌍(분할전극)을 형성하고, 그 반대쪽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어스전극을 형성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압전필터를 예컨대 통신기기 등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그 실장공정의 간략화 등을 목적으로 하여, 예컨대 압전필터를 세라믹 등으로 만들어진 표면실장형의 유지기(container) 내에 삽입하고, 압전기판은 그 진동이 방해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기 내에 지지되는 구조가 흔히 채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압전필터에서는 통상 높은 감쇠특성을 얻기 위해 복수의 압전필터를 종속접속하는 이른바 다단접속으로 할 필요가 있으나, 복수 개의 압전필터가 각기 1개의 표면실장형 유지기 내에 수용될 경우에는, 이와 같은 다단접속을 행하게 되면 실장면적이 크게 되어 기기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입출력 진동전극쌍 및 어스전극으로 구성되는 2개의 전극군이 1개의 압전기판 위에 형성됨으로써 실질적으로 1개의 압전기판 위에 2개의 압전필터를 형성하여 이것을 단일 유지기 내에 수용한 이른바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에서는 통상 압전기판 상에 형성된 2조의 전극군 중 한쪽 조의 출력진동전극과 다른쪽 조의 입력진동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제품화되나, 이 경우 한쪽의 전극군을 여진하면 각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전자기적 결합에 기인하여 다른 쪽의 전극군도 공진하기 때문에 개개의 필터를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제품의 최종조정이 극히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 압전기판 상의 2조의 전극군 사이를 구획하는 위치에 슬릿을 형성하여 각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결합을 완화함과 함께 그 슬릿 내에 유지기에 고정된 전자기적 차단재료를 관통시킴으로써 전자기적 결합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도(일본 특허 공개공보 소 59-24910호)나, 마찬가지로 압전기판 상의 2조의 전극군사이를 구획하도록 기판의 가장자리변에서 끊어들어간 차단홈을 형성하고, 그 차단홈의 양측에 띠형상의 금속층을 설치한 것(일본 특허공보 소 57-56810호), 혹은 압전기판 상의 2조의 전극군 사이를 구획하는 위치에 어스전극에 접속되는 선형 전극을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은페이스트 등의 감쇄재를 도포한 것(일본 특허공개공보 소 61-17826호)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안에 의한 대책으로는 각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전자기적결합을 억제하는 능력이 충분하다고 할 수 없고, 여전히 최종 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근래 예컨대 통신기기, 특히 휴대형 통신기기 등에서는 삽입되는 각 회로소자의 실장면적을 보다 작게 할 것이 요구되고, 따라서 다단접속형 압전필터에서도 미소한 표면실장형 유지기 내에 작은 면적의 압전기판 상에 2조의 전극군을 형성한 소자를 수용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미소한 유지기 내에 2조의 전극군을 형성한 압전기판을 수용하는 경우, 상기 각 제안의 구조에서는 2조의 전극군 사이의 거리가 접근되기 때문에 2조의 입출력 전극쌍의 각각에 의한 전기장의 전기력선에 의한 상호간섭을 피하는 것이 곤란하여 양호한 보증감쇄 특성을 얻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전기력선에 따르는 전자기적 결합에 의하여 최종 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다단접속형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에서 종래의 각 제안에 비해 전극군 간의 음향적결합의 억제기능 및 전자기적 결합의 억제기능이 높고 따라서 소자의 최종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압전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장면적을 극히 작게 하여 2조의 전극군 사이의 거리를 접근시켜도 이들의 전극군 상호간의 전기력선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따라서 소형이면서 최종조정이 용이하고, 더욱이 양호한 보증감쇄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압전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압전기판을 사용한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단접속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 ∼ 도 3은 제 1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로, 도 1은 유지기(1) 중의 상면부분(뚜껑)을 제거하여 표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b-b단면도,
도 3은 그 유지기(1)의 하면부분(저부)을 투시해서 표시하는 요부확대 저면도이다.
도 4는 제 1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한쪽의 출력진동전극(22)과 다른쪽의 입력진동전극(31)을 유지기(1) 내에서 접속하는 경우의 구성 설명도로, 유지기(1)의 하면부분을 투시해서 표시하는 요부확대 저면도이다.
도 5는 제 1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유지기(1)의 하면부분을 투시해서 표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도 8은 제 2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로, 도 6은 유지기(1)의 상면부분을 제거해서 표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은 그 b-b로 표시하는 면에서 절단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유지기(1)의 하면부분을 투시해서 표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9는 제 2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로, 도 7에 대응하여 이것과 같은 면에서 절단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의 유지기(1)의 하면부분을 투시해서 표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1∼도 13은 제 3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그 b-b로 표시되는 면에서 절단한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3은, 유지기(1)의 하면부분을 투시해서 표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제 3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형태의 요부평면도이고,
도 15는 마찬가지로 제 3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의 요부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마찬가지로 제 3발명의 또 다른 별도의 실시의 형태의 요부평면도이다.
도 18은 마찬가지로 제 3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의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마찬가지로 제3발명의 또 다른 별도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2 및 제 3발명에 있어서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다른 패턴의 예를 표시하는 압전기판(20) 또는 (200)의 이면도이다.
도 21은 제 4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수정편(2000)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형성측 면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5발명의 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3은 그 뚜껑(330)을 제거한 조립상태에 있어서의 A-A단면도이고,
도 24는 그 실시의 형태의 작용설명도이다.
도 25는 이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도이고, 도 25a는 당해 실시예에서 도전성 재료(341),(342),(304)를 제거한 비교예의 필터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5b는 도전성 재료(341),(342),(305)를 부착한 제 5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필터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제 5발명에 있어서의 압전필터소자(301),(302)의 다른 구성예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7은 마찬가지로 제 5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성 재료(305)의 다른 배치의 방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8은 마찬가지로 제5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성 재료(305)의 또 다른 배치의 방법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9는 제 6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30은 마찬가지로 제 6발명에 있어서의 도전성 재료(405)의 다른 배치의 방법을 표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은, 제 1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세라믹제의 유지기(1)에는, 그 주위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주벽(1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저면에는 2개의 핏트(1b),(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기(1)의 내부에 각각 핏트(1b),(1c) 위에 씌워지도록 2개의 압전기판(2) 및 (3)이 수용되어 있다. 각 압전기판(2),(3)에는, 각각 한쪽의 면(저면측)에 서로 소정의 갭을 형성하여 입력진동전극(21),(31)과 출력진동전극(22),(32)의 쌍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른쪽의 면에는 이들에 대향하도록 어스전극(23),(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기(1)에는 이들 각 압전기판(2),(3)을 수용한 상태에서 그 주벽(1a)에 대하여 뚜껑(미도시)이 씌워지고, 전체를 팩키지하도록 되어 있다.
각 압전기판(2),(3)은 각각 그 치수가 2×3mm 정도이고, 각각 3개의 코너부분에서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해서 유지기(1)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이들의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하여 각 압전기판(2),(3)에 형성된 각 전극이 각각 유지기(1)의 내부저면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각 접속단자(패드)(11∼16)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압전전극(2)의 저면측의 입력진동전극(21)과 출력전극(22)은 각각 인출 전극패턴(21a)과 (22a)에 의해서 기판(2)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각 코너부에 안내되어,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해서 유지기(1)의 접속단자(11)와 (12)에, 또 그 압전기판(2)의 표면측의 어스전극(23)은 마찬가지로 인출전극패턴(22a)에 의해서 기판(2)의 다른 코너부에 인도되고, 마찬가지로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해서 유지기(1)의 접속단자(13)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압전기판(3)에 대하여도, 그 이면측의 입력진동전극(31)과 출력진동전극(32)은, 각각 인출전극(31a)와 (32a)에 의하여 기판(3)의 대각선상의 각 코너부에 인도되고,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해서 유지기(1)의 접속단자(14)와 (15)에, 또 표면측의 어스전극(33)은 인출전극패턴(33a)에 의해서 기판(3)의 다른 코너부에 인도되고, 동일하게 하여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하여 유지기(1)의 접속단자(1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속단자(11)∼(16)는 각각 유지기(1)의 이면에 형성된 표면실장용의 외부접속단자(미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한쪽의 압전기판(2)의 출력진동단자(22)가 접속되어있는 접속단자(12)와, 다른 쪽의 압전기판(3)의 입력단자(31)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단자(14)가 서로 접속된 상태, 즉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로서 사용된다. 이접속단자(11)과 (14)의 접속은 유지기(1) 외에 있어서 행하여도 좋고, 유지기(1)내에 이들 접속단자(11)와 (14)를 접속하는 본딩와이어를 설치하던가, 혹은 도 4에 요부확대 저면도를 표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핏트(1a)와 (1b)의 사이의 격벽(1d)의 상면에 따라서 설치한 도전성 접착제(17)에 의해서 접속단자(11)과 (14)를 접속하는 등에 의해 유지기(1) 내에서 접속하여도 좋다. 다만, 그 접속공정은 어느 것의 접속방법을 채용하도록 하여도, 각 압전기판(2),(3)에 대하여 최종조정을 실시한 후에 실행된다.
이상의 제 1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유지기(1) 내에 서로 완전분리상태의 2개의 압전기판(2)와 (3)이 수용되고, 또한, 이들의 압전기판(2)와 (3)의 각각에 형성된 전극군의 모두가 유지기(1) 내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접속단자(11)∼(16)에 개별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각이 다중모드 압전필터를 구성한다. 압전기판(2),(3)과 이에 형성된 전극군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을 한 후에 종속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사용상태에 있어서도 각 다중모드 압전필터는 실질적으로 서로 음향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하나의 유지기(1) 내에 수용된 콤팩트한 표면실장형의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이면서, 조정이 용이하고, 더욱 이 스퓨리어스 감도(spurions response) 적은 보증감쇄량이 큰 고품질의 것으로 된다.
또, 도 4와 같이 각 압전기판(2)와 (3)의 출력∼입력 간을 유지기(1) 내에서 도전성 접착제(17) 등에 의해서 서로 접속하면, 유지기(1) 외에서의 외부회로와의 접속은 종래의 통상의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와 동일하게 되고, 특별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압전기판(2),(3)의 어스전극(23),(23)에 대하여도 독립적으로 유지기(1)의 접속단자(13),(16)에 접속하였으나, 이들의 어스전극(23)과 (33)에 대하여는 유지기(1)의 공통의 접속단자에 접속하여도 좋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어스전극(23)과 (33)을 독립적으로 개별의 접속단자에 인도한 경우에는, 2개의 압전필터 간의 전자기적 결합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도 5에 제 1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저면도를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압전기판(2)와 (3)을 각각의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중심선(C)이 서로 밀린 상태(당연히 이에 대응하여 각 어스전극에 대하여도 그 중심이 서로 밀린상태로)로 유지기(1) 내에 수용하면, 각 전극군 사이에서 전기력선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2개의 다중모드 압전필터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을 보다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제 2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도 8은 제 2발명의 실시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상기예와 같은 유지기(1) 내에 하나의 압전기판(20)이 수용되어 있고, 이 압전기판(20)에,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21)과 (22),(31)과 (33) 및 이들과 각각 대향하는 어스전극(23),(33)이 형성되어 있다.
압전기관(20)은 그 4개의 코너부 및 서로 대향하는 2변 각각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모두 6개소에서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하여 유지기(1)에 접속되어 있다. 또, 그 각 접속개소에서 유지기(1)에는 각각 접속단자(패드)(11)∼(16)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2조의 전극군의 각각이 인출전극패턴에 의해서 개별로 각 접속단자(11)∼(1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의 특징은 2조의 전극군의 사이에 예컨대 접착제 등의 압전기판(20)과 음향임피던스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감쇄재(4)가 배치되고, 이 감쇄재(4)에 의하여 압전기판(20)과 유지기(1)와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한쪽전극쌍의 입력전극과 다른쪽 전극쌍의 출력전극이 각각 압전기판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감쇄재(4)는 유지기(1)의 2개의 핏트(1b),(1c)의 사이의 격벽(1d)의 상면에 압전기판(20)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이면)과의 사이를 잇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압전기판(20) 내를 한쪽의 전극군에서 다른 쪽의 전극군으로 전파하는 진동이 이른바 유지기(1)에 의한 앵커효과에 의해서 진동이 규제된 감쇄재(4)에 의하여, 즉, 유지기(1)와의 접속에 의해서 진동이 규제된 감쇄재(4)에 의하여 극히 유효하게 감쇄되고, 양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결합의 억제기능을 극히 높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극배치에 의해 입력전극과 출력전극간의 전기력선에 의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제 2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설명도이고, 이 도 9는 앞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고, 도 7과 같은 면에서 절단한 확대단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 9에 표시하는 예는 압전기판(20)의 2조의 전극군(21),(22),(23)과, (31),(32),(33) 및 유지기(1)의 부착, 접속구조에 대하여는 도 6∼도 8에 표시한 예와 동일하나, 이 도 9의 예의 특징은 압전기판(20)의 이면측에 표면측의 어스전극(23),(33)과는 별도로,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별도 어스전극(5)를 형성하고, 그 어스전극(5)를 개재하여 도전성 감쇄재(6)에 의해서 압전기판(20)과 유지기(1)를 기계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그 도전성 감좨재(6)에 의하여, 어스전극(5)을 유지기(1)에 형성된 아스접속단자(1e)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점이다. 도전성 감좨재(6)로서는 예컨대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도 9의 구성에 의하면, 도 6∼도 8에 표시한 예와 마찬가지로, 유지기(1)에 의해서 진동이 규제된 도전성 감쇄재(6)에 의하여 2조의 전극군 사이에서 전파되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쇄함과 동시에 이들의 양 전극군의 사이가 어스전위의 도전체로 분리되어 전기력선이 유효하게 차폐되고, 이들의 전극군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이 억제된다.
도 10은, 도 9의 예를 다시 발전시킨 상태의 설명도로서, 유지기(1)의 하면 부분을 투시해서 표시하는 저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이 도 10의 예는 압전기판(20)의 이면측에 설치한 어스전극(5)이 도전성 감쇄재(6)에 의해서 유지기(1)의 아스접속단자(1e)(도 10에서는 미도시, 도 9 참조)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9의 예와 동일하나, 그 어스전극(5)의 패턴에 특징이 있다. 즉, 어스전극(5)는 각 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21)과 (22), 및 (31)과 (32)의 각 중심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패턴을 가지며, 또한, 그 돌출패턴은 각 전극쌍에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이 도 10의 구성에 의하면, 각 전극군으로부터 다른쪽의 전극군으로 향하는 진동이 그 진동의 발생기점인 입출력 진동전극쌍로부터 멀어질수록 질량이 크게 되는 어스전극(5)의 질량부가 효과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흡수되고, 또한, 그 어스전극(5)과 유지기(1)가 도전성 감쇄재(6)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흡수된 진동은 점차 감쇄한다. 더욱이 어스전극(5)의 돌출패턴의 폭은 각 전극쌍에 가까워질수록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조의 입력진동전극에서 출력진동전극에 이르는 방향의 진동이 전파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0에서는 각 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의 중심선이 서로 밀려있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도 10에 표시된 어스전극 패턴의 개념은 그 각 중심선이 서로 서로 밀려있지 않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어스전극(5)의 패턴은 좌우대칭으로 돌출한 패턴으로 된다.
다음에, 제 3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1∼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제 2발명의 각 예와 동일하게 하나의 압전기판(200)에 2조의 전극군, 즉 입출력 진동전극쌍(21),(22)와 이에 대향하는 어스전극(23) 및 이것과는 별도의 입출력 진동전극쌍(31),(32)과 이에 대향하는 어스전극(33)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압전기판(200)은 6개소에서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하여 유지기(1)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각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하여 각 전극이 유지기(1)에 설치된 각 접속단자(11)∼(16)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 11∼도 13에 표시하는 예의 특징은, 2조의 전극군을 구획하는 위치에 압전기판(200)의 일변에서 그것에 대향하는 변 근방까지 이르고, 또한 기판(200)을 관통하는 노치(201)가 형성되고, 더욱이 그 노치(201)의 내부에 접착제 혹은 다른 수지 등의 탄성재료(7)가 충전되어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2조의 전극군 사이에서 전파하는 진동은 노치(201) 및 그 내부의 탄성재료(7)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감쇄하고, 양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결합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여기에서, 이 제 3발명에 있어서는 2조의 전극군 사이를 구획하는 노치(201) 대신 도 14 또는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2조의 전극군 사이를 구획하는 위치에 장공(202) 또는 복수의 관통공(203)을 설치하고, 혹은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된 측의 면 상에 홈(204)을 설치하고, 또한 이와 함께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반대측의 면 상에도 홈(205)을 설치해서 이들의 장공(202), 관통공군(203) 혹은 홈(204),(205) 내에 탄성재료(7)를 충전하여도, 도 11∼도 13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1∼도 13, 혹은 도 14, 도 15 내지 도 16에 표시한 제 3발명의 각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서는, 압전기판(200)은 반드시 표면실장형의 유지기(1) 내에 수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임의의 상태로 사용해서 그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제 3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실장형의 유지기(1) 내에 수용해서 사용할 경우, 상기한 절결(201)이나 장공(202) 등의 내부에 충전한 탄성재료(7)를 도 18에 요부단면도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압전기판(200)의 저면측에서 돌출시켜서 유지기(1)까지 이르게 하고, 실질적으로 압전기판(200)과 유지기(1)를 탄성재료(7)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접속하면, 제2발명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탄성재료(7)의 진동이 유지기(1)와의 접속에 의하여 규제되는 결과, 2조의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결합의 억제기능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 3발명에 있어서는 도 19에 요부단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201)나 장공(202)(도 14참조) 등의 내부에 충전하는 탄성재료(7)를 도전성 접착제 등의 도전성을 갖는 탄성재료로 하고, 그 도전성 탄성재료(7)를 유지기(1)에 형성된 어스접속단자(19)에 접속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 2발명의 구성과 동일하게 양 전극군사이의 음향적 결합을 억제하는 동시에 전자기적 결합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설명한 제 2발명 및 제 3발명의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20에서 입전기판(20) 또는 (200)을 추출하여 그 저면도를 표시한 바와 같이 압전기판(20) 또는 (200) 상에 각 입출력 자동전극쌍(21),(22)과 (31),(32)를 서로 직교시켜 형성하면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 간에서 전기력선의 영향이 경감되고, 각 전극군간의 전자기적 결합의 방지효과가 더욱 향상 한다.
다음에, 제 4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그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압전기판을 형성하는 수정편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된 측의 면을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사각형의 수정편(2000)을 압전기판으로 하여, 그 하나의 수정편(2000)에 2조의 전극군, 즉 입출력 진동전극쌍(21),(22)과 이에 대향하는 어스전극(23) 및 입출력 진동전극쌍(31),(32)과 이에 대향하는 어스전극(33)이 형성되어 있다.
수정편(2000)의 4변은 각각 그 결정의 x축과 z'축에 대하여 평행이 아니고, 이들의 각 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예컨대 45˚의 각도로 경사하고 있다. 한편, 각 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은 각각 한쪽의 결정축, 예컨대 x축에 따른 갭을 형성하여 배치되고, 따라서 전극쌍 전체로서 수정편(2000)의 각 변에 대하여 45˚ 각도로 경사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것에 대응해서 어스전극(23) 및 (33)도 수정편(2000)의 각 변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45˚의 각도로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전극은 각각 인출전극패턴(21a)∼(33a)에 의해서, 수정편(2000)의 가장 자리변부에 형성된 각 접속용 패드(P)에 인출되고, 이 각 패드(P)의 부분에서 예컨대 도전성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유지기의 접속단자(패드)(11)∼(16)에 접속되나, 이중 각 조의 입출력 진동전극(21),(22),(31),(32)의 인출전극패턴(21a),(22a),(31a),(32a)의 길이는 모두 똑같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중심선이 필연적으로 일치하지 않고 서로 밀린 상태로 되고, 이에 의해서 각 전극군 사이의 전자기적 및 음향적 결합이 억제됨과 동시에, 각 입출력 진동전극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진 인출전극패턴을 거쳐서 유지기의 접속단자 등의 외부회로에 인도되므로 각 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생기는 기생용량이 서로 동일하게 되고, 필터특성을 서로 일치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최종조정이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 도 21에 예시한 제 4발명의 구성과 먼저 설명한 제 2 및 제 3발명의 각 구성 중 임의의 것과 병용하면, 각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전자기적 결합의 억제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이 각 전극군 사이에 대한 기생용량을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먼저 설명한 제 1발명의 구성과 이 제 4발명의 구성을 합체시킬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유지기 내에 각각 1조씩의 전극군이 형성된 2개의 압전기판을 배치함과 아울러, 이 각 압전기판을 결정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변을 갖게 하고, 또한 각 전극군 사이에 대하여는 결정축 방향에 따르게 한 구성으로 하여, 도 21의 예와 동일하게 각 인출전극의 길이를 일치시킨다. 이 경우, 제 1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각 압전기판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중심선이 밀리는 것에 의한 전자기적 결합의 억제효과 및 기생용량의 균등화라고 하는 제 4발명의 효과를 거의 그대로 발휘할 수 있다.
다음에, 제 5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그 분해사시도이고, 도 23은 그 실시의 형태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뚜껑(330)을 제거해서 도 22에 표시한 A-A면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두 개의 압전필터소자(301),(302)가 하나의 표면실장형의 유지기(303) 내에 수용되고, 그 유지기(303)의 상단부에 뚜껑(330)이 씌워짐으로써 이들 각 소자(301),(302)가 밀폐된다. 이 예에 있어서, 각 압전필터소자(301),(302)는 각각 압전기판(310),(320)의 일면에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21)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의 면에 이들과 대향하도록 어스전극(312),(322)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유지기(303)는 예컨대 세라믹제이고, 그 저면에는 서로 인접해서 2개의 핏트(331),(3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압전필터(301),(302)는 각각의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21)을 핏트(331),(332)의 저면(331a),(332a)측을 향해 각 핏트(331),(332)의 위에 씌워지는 상태로 각각의 3개소의 코너부분에 있어서 핏트(331),(332)의 주변부분에 고정된다.
즉, 각 압전기판(310),(320)의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21) 및 어스전극(312),(322)은 각각에 대응하는 인출전극에 의해서 압전기판(310),(320)의 3개의 코너부분에 인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유지기(303)에는 각 핏트(331),(332)의 주변부분에 이들의 코너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모두 6개의 접속패드(P)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압전기판(310),(320)은 그 각 3개의 코너부분에서 도전성 접착제(B)에 의하여 진동을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각 접속패드(P) 위에 기계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각각의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21) 및 어스전극(312),(322)이 각각의 접속패드(P)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접속패드(P)는 유지기(303)를 관통해서 그 이면에 형성된 표면실장용의 외부접속패드(미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압전필터소자(301)과 (302)는, 그 외부접속패드를 개재하여 종속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유지기(303) 내에서 종속접속되어도 좋다.
그리고, 각 핏트(331),(332)의 저면(331a),(332a)은 각각 예컨대, W와 Au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재료(341),(342)에 의하여 금속화되어 피복되어 있음과 아울러, 2개의 핏트(331)과 (332)의 사이에 개재하는 격벽(333)의 중앙에 각 핏트(331),(332) 사이를 구획하도록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305)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는 유지기(303)를 관통해서 이면측에 형성된 각각에 전용의 아스패드(361)∼363)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12)의 전기력선이 다른쪽에 대하여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즉, 도 21에 모식적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를 설치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311)과 (312)는 각각의 전극쌍(311),(312)이 만드는 전기장에 따라 이들 전극쌍(311),(312)의 형성면과 인접하는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력선의 영향에 의해서 간섭하게 되나, 그 전기력선이 형성되는 공간에 어스전위의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전극쌍(311),(312)의 다른쪽으로부터의 전기력선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도 22, 도 23에 표시한 구성으로부터 각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를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25a에 표시하는 것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지고 있던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가 이들의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를 설치한 도 22, 도 23의 구성에서는 도 25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극히 양호한 보증감쇄 특성을 표시함에 이른다.
그리고, 이상의 예에서는 각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를 각각에 전용의 어스접속패드(361)∼(363)에 접속하였으나, 이들의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를 유지기(303) 내의 적절한 곳에서 상호접속해서 공통의 어스접속패드에 접속하여도 좋다.
또, 이상의 예에서는 2개의 압전필터소자(301),(302)를 각각 별개의 압전기판(310),(320)이 소정의 전극군을 형성한 구조로 하고 있으나, 이에 대신해서 도 26에 표시하듯이, 하나의 압전기판(300)의 일면에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12)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의 면에 어스전극(312),(322)을 형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 압전기판(300)은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유지기(303)의 모두 6개의 접속패드(P)에 대하여 합계 6개에서 각 핏트(331),(323)의 주변부분에서 고정된다.
또, 이 제 5발명에 있어서, 2개의 핏트(331),(332) 사이의 격벽(333)을 따라 설치되는 도전성 재료(305)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333) 내에 판형상의 것을 삽입하는 외에, 도 27 및 도 28에 각각 유지기(303)만의 분해사시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27에 표시하는 예는 유지기(303)의 2개의 핏트(331),(332)의 내측면(331b),(332b)을 도전성 재료(305)에 의해서 피복한 것으로, 이 경우 핏트(331),(332)는 그 저면(331a),(332a)을 피복하는 도전성 재료(341),(342)와 더불어서, 그 내면 전면이 도전성 재료에 의해서 피복된다. 그리고, 도전성 재료(305)는 핏트(331),(332)의 내측면(331b),(332b) 중 적어도 격벽(333)의 양단 면을 피복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그것에 직교하는 면도 동시에 피복할 경우에는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12)의 전기장이 만드는 전기력선의 외부회로에 대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 격벽(333)의 상면에도 동일한 도전성 재료를 형성해서 이것에 의해서 양 핏트(331),(332) 내의 각 도전성 재료(341),(342) 및 (305)를 상호접속하면 하나의 아스패드에 의해서 모든 도전성 재료(341),(342),(305)를 접지할 수가 있다.
도 28의 예에서는 유지기(303)의 2개의 핏트(331),(332) 사이의 격벽(333)에 양 핏트(331),(332)를 구획하는 면에 따라서 복수의 관통구(333a)‥(333a)을 형성하고, 그 각 관통구(333a)‥(333a) 내의 각각에 도전성재료(305)을 매립하고, 이들을 유지기(303)의 이면에 형성한 공통의 아스접속패드(306)에 접속하고 있다.
이상의 도 27 및 도 28의 구성에 있어서, 압전기판의 고정 방법 등에 대하여 상술한 예와 동일하고, 이들 도 27, 도 28의 구성에 의하여도 도 22, 도 23에 표시한 예와 동등한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다음에, 제 6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 29에 표시하는 종단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유지기 내에서의 압전기판의 고정 방향을 표리역전시킨 구성을 갖는 것이며, 도 29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압전필터소자(301),(302)에 대하여는 도 22, 도 23에 표시한 것과 동일한 것이며, 또, 유지기(403)에 2개의 핏트(431),(432)가 인접형성되어 있는 점은 앞의 각 예와 동등한 것이나, 각 핏트(431),(432)에는 각각 대략 ½의 깊이의 위치에 있어서 내면측에 따라서 일주하는 평탄한 단부(451),(452)가 형성되어 있고, 압전필터소자(301),(302)를 구성하는 각 압전필터(310),(320)는, 도 22, 도 23의 예와는 반대방향, 즉 어스전극(312),(322)을 핏트(431),(432)이 저면측을 향한 상태로 각각의 핏트(431),(432)의 단부(451),(452)에 고정되어 있다.
즉, 이 도 29의 예에 있어서는 도 22, 도 23의 예에서 표시한 것과 동등한 접속패드(P)가 각 핏트(431),(432)의 단부(451),(452)에 형성되어 있고, 각 압전기판(310),(320)은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접착제(B)를 개재하여 각각의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21) 및 어스전극(312),(322)이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패드(P)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유지기(403)에는 그 상면 주면에 따라서 Fe-Ni-Co합금의 링(434)이 고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링(434) 위에 금속제의 뚜껑(430)이 이음매용접(seam weld)적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 2개의 핏트(431),(432) 사이의 격벽(433)의 상면은 뚜껑(430)의 하면의 근방까지 도달하고, 그 격벽(433) 내에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405)가 삽입되고, 이 도전성 재료(405)의 상면은 뚜껑(430)의 하면 근방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뚜껑(430)은 링(434)을 개재하여 유지기(403)의 하면에 형성된 아스접속패드(404)에, 또 도전성 재료(405)도 마찬가지로 유지기(430)의 하면에 형성된 아스접속패드(465)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12)가 만드는 전기장에 따라서, 이들의 전극쌍(311),(312)의 형성면에 인접하는 공간에 형성되는 전기력선은 그 공간에 배치된 아스전위의 금속제의 뚜껑(430) 및 도전성 재료(405)에 의해서 차단되고, 각 압전필터소자(301),(302) 사이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이 각 압전필터소자(301),(302)를 각각의 입출력 진동전극쌍(311),(312)이 위를 향하도록 유지기(403) 내에 수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2개의 핏트(431),(432) 사이의 격벽(433)에 따라 배치되는 도전성 재료(405)의 형태로서는 판형상의 것으로 하는 외에, 도 27, 도 28에 표시한 것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즉,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405)에 대신해서 도 30에 분해단면도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핏트(431),(432)의 단부(451),(452)보다 위쪽에 위치한 내측면(431b),(432b)을 도전성 재료(405)로 피복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핏트(431),(432)의 내측면을 피복하는 도전성 재료(405)의 접지는 예컨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핏트(431),(432)의 내측면의 도전성 재료(405)의 일부를 각각 단부(451),(452)까지 연장하고, 그 부분을 관통공에 의해서 유지기(403) 저면의 아스접속패드에 접속하면 된다.
또, 도시는 생략하나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405)를 대신해서, 도 28에 표시한 예와 마찬가지로, 격벽(403) 내에 2개의 핏트(431),(432)를 구획하도록 복수의 관통공를 열형상으로 설치하고, 그 각 관통공 내에 도전성(405)을 매입해도 좋다.
여기에서, 도 29, 도 30에 표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 핏트(431),(432)의 저면(431a),(432a)와, 단부(451),(452)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 내측면도 도전성 재료로 피복하면 유지기(403) 외부에 대하여 전자기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바람직하다.
또, 격벽(433)에 따라서 배치되는 도전성 재료(405)와, 금속제의 뚜껑(430)사이의 간극에도 도전성 재료를 매입되도록 하기 위해, 격벽(433)과 뚜껑(430)과의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를 개재시켜도 좋고, 또 그와 같은 도전성 접착제에 대신하여 링(434)을 유지기(403)의 상면 주면부 뿐 아니라, 격벽(433)의 위에도 배치하도록 日자형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격벽(433)에 따르는 도전성 재료(405)와 금속제의 뚜껑(43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어스전위로 하기위한 아스접속패드는 도 29에 표시한 (464)와 (465)의 어느 하나에 있으면 족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의 발명은 하나의 유지기(1) 내에 각각 입출력 진동전극쌍 및 어스전극이 형성된 2개의 압전기판이 수용되고, 그 각 압전기판의 각 전극 중 적어도 어스전극을 제외한 모두가 각각 유지기(1)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개별의 접속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각 입출력 전극쌍은 각각 압전기판의 대각선상의 코너부분으로 안내되는 동시에 한쪽 압전기판의 입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와 다른 한 쪽 압전기판의 출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가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는 코너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제 1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유지기 내의 각 압전기판은 완전하게 분리되고, 또한 각 입출력 진동전극은 유지기 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해당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하나의 압전기판과 그 위에 형성된 전극으로 구성되는 2개의 압전필터를 유지기 내에서 조립하고, 그 상태에서 개개의 압전필터를 개별로 최종조정한 후 그들을 종속접속하는 것으로 다단화하는 공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용이하게 소망하는 특성을 가진 고성능의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 필터를 얻을 수 있다. 또, 사용상태에 있어서도 2개의 압전기판이 완전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2개의 압전필터 간에 음향적인 결합이 생기는 일이 없다.
여기에서 2개의 압전필터 중 한쪽의 압전기판의 출력진동전극이 접속된 유지기의 접속단자와, 다른 쪽의 압전기판의 입력진동전극이 접속된 유지기의 접속단자를 도전성 접착제 또는 본딩와이어에 의해 유지기 내에서 상호접속하면, 유지기 외부의 배선이 종래 하나의 압전기판 상에 2조의 전극쌍을 형성하여 그 압전기판 상에서 한쪽의 출력진동전극과 다른쪽의 입력진동전극을 접속한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소자필터와 동일하게 되므로 실장 시에 특별한 공정 또는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각 압전기판의 어스전극에 대하여도 각각 유지기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개별접속단자에 접속하면 각 압전기판 간의 간섭이 보다 완전하게 단절되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압전기판을 각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중심선이 서로 어긋난 상태에로 유지기 내에 수용하면 2개의 압전필터 사이의 전기적인 결합의 차단효과가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2의 발명은 상기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하나의 전극기판에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어스전극을 2조 형성함과 아울러, 그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사이에서 압전전극을 이것과 음향임피던스가 다른 재료(감쇄재)에 의해서 유지기에 접속되고, 압전기판의 각 전극 중 적어도 각 입출력 전극쌍의 각 전극이 각각 유지기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개별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한쪽의 입출력 전극쌍의 입력진동전극 및 다른 쪽의 입출력 진동전극상의 출력진동전극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상기 압전기판의 코너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압전기판의 1개의 대각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한 쪽 압전기판의 입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와 다른 한 쪽 압전기판의 출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가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제2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압전기판 상에 2조의 전극군이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이들의 전극군 사이에 감쇄재를 설치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제안에 의한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와 같은 것이나, 2조의 전극군 사이에 설치된 감쇄재가 압전기판을 수용한 유지기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압전기판의 감쇄재의 배치부위에서는 유지기에 대한 앵커효과에 의하여 진동이 전파하기 어렵게 되어, 감쇄재에 의한 진동감쇄효과가 보다 향상되어 양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결합은 보다 확실하게 억제될 뿐 아니라 입력진동전극과 출력진동전극을 각각 압전기판의 1개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이들 사이의 전기력선에 의한 전자기적 결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제2발명에 있어서의 압전기판에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형성면과 동일측의 면에, 이들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별도의 어스전극을 형성하고, 그 어스전극과 유지기를 압전기판과 음향임피던스가 다르고,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도전성 감쇄재료)에 의해서 상호접속하면,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가 전자기적으로 차단되게 되어, 상기한 음향적 결합 뿐만 아니라 전자기적 결합에 대하여도 높은 억제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사이를 구획하는 어스전극을 각각의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중심을 향해서 돌출하는 패턴으로 하고, 그 돌출부분의 폭을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가까워질수록 좁게 하면 하나의 전극군에서 다른쪽의 전극군으로 향하는 진동의 전파가 그 진동의 발생기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질량이 크게 되는 어스전극의 질량부가 효과(mass addition effect)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흡수된다.
또한, 진동은 도전성 감쇄재 및 유지기에 의해서 감쇄되고, 더욱이 각각의 조의 입력진동전극으로부터 출력진동전극에 이르는 방향의 진동의 전파를 억제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아 보다 바람직하다.
제3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시 별도의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하나의 압전기판에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어스전극쌍이 2조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상기 압전기판 상에 서로 직교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2조의 전극군 사이를 구획하는 위치에 압전기판을 관통하는 노치(notch), 장공(slot) 또는 복수의 관통공, 또는 적어도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된 측의 면상의 홈이 형성되고, 또한, 그 노치, 장공 또는 복수의 관통공, 또는 그 홈 내에 도전성 탄성재료가 매립되고, 또한 상기 도전선 탄성재료가 유지기에 형성된 어스접속단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압전기판이 상기 유지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제3의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압전기판에 2조의 전극군이 형성되고, 이들의 사이가 노치 등으로 구획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 노치 등의 내부에 탄성재료가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양 전극군 사이에 전파하는 진동의 감쇄효과가 보다 향상하여 종래의 제안에 따르는 다단접속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비하여 음향적결합의 억제기능이 보다 향상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제 2발명 및 제 3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을 압전기판 상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면 한쪽의 전극군과 다른쪽의 전극군 사이에서 전기력선의 영향이 적어지고, 전자기적 결합의 억제기능은 더욱 향상하고 동시에 사용 시에 전기력선의 영향에 따르는 보증감쇄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가 있다.
제 4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시 별도의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하나의 압전기판에,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어스전극이 2조 형성됨과 아울러 그 압전기판이 직사각형의 수정편이고, 또한 그 수정편의 가장자리변은 x, z'축에 따르지 않고,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은 각각 x 또는 z' 축방향에 따라 갭이 형성되고, 상기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을 이루는 동시에 그 각 입출력 진동전극은 서로 같은 길이의 인출전극 패턴에 의하여 압전기판의 가장자리변부에 형성된 접속용 패드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제 4발명의 구성에서는 각 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은 필연적으로 그 중심선이 서로 밀린 상태로 각 전극의 인출전극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양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결합 및 전자기적 결합이 억제됨과 동시에 각 인출전극의 기생용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제 4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기 제 2발명 및 제 3발명의 구성을 부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이들 제 2 및 제 3발명의 어느쪽의 구성을 제 4발명의 구성에 부가함으로써 2조의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전자기적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주로 2조의 전극군 사이의 전기력선에 의한 간섭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2개의 압전기판의 일면에 소정의 갭을 구비하여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이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각각 어스전극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의 2조가 서로 종속된 상태로 하나의 유지기 내에 수용됨과 아울러, 그 유지기 내에는 2개의 핏트가 인접형성되고, 상기 압전기판은 각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각각 대응하는 핏트의 저면측을 향한 상태에서 그 핏트의 주변부에서 유지기에 고정되고, 더욱이 각 핏트의 저면은 도전성 재료로 씌워지고, 또한 2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도전성 재료가 설치되고, 이들의 도전성 재료는 유지기에 형성된 아스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또, 제 6발명은 제 5발명과 마찬가지로, 전기력선에 의한 2조의 전극군 사이의 간섭을 억제하므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와 동일한 2조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가 하나의 유지기 내에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유지기 내에는 2개의 핏트가 인접형성되고, 상기 하나 또는 2개의 압전기판은 각각 어스전극이 각각 대응하는 핏트의 저면측을 향한 상태로 그 핏트의 주변부에서 유지기에 고정되고, 그 유지기에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뚜껑이 장착되고, 또 2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상기 도전성 재료의 상변이 상기 뚜껑의 하면 근방까지 이르도록 형성되고, 그 도전성 재료 및 뚜껑이 각각 유지기에 형성된 아스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여기에서 제 5 및 제 6발명에 있어서는 2조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는 각각 2매의 압전기판의 각각에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어스전극을 1조씩 형성하여도 좋고, 혹은 공통의 1매의 압전기판에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 및 어스전극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의 제 5 및 제 6발명은, 하나의 표면실장형의 유지기 내에 수용된 2조의 압전필터의 각각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을 유지기 자체의 구조에 의해서 상호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도록 함으로써 각 전극쌍 사이에서의 전기력선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만드는 전기장에 따라서 형성되는 전기력선은 압전기판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형성면 측에 인접하는 공간을 통해 각 전극쌍간 상호에 영향을 미친다. 제 5발명의 구성에 의하면서, 2조의 압전필터소자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2개의 압전기판을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유지기에 형성된 핏트의 저면을 향하도록 유지기에 고정하고, 상기 각 핏트의 저면과 각 핏트간의 격벽을 따라 도전성 재료를 설치하여, 이들을 어스전위에 접속함으로써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로부터의 전기력선은 이들 도전성 재료에 의해서 트랩(trap)되므로, 각 입출력 진동전극 사이의 전기력선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가 있고, 2개의 전극군간을 유효하게 전자기 차폐할 수 있다.
또, 제 6발명의 구성에 있어서는 2조의 압전필터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2개의 압전기판은 제 5발명의 표리 역방향, 즉 어스전극이 각각 핏트의 저면측을 향하는 자세로 유지기에 고정되고, 이 경우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로부터의 전기력선은 핏트와는 반대측의 공간, 즉 뚜껑측의 공간에 형성되며, 유지기의 뚜껑을 도전성 재료로 하고, 또한 각 핏트간의 격벽에 도전성 재료를 설치하고, 그 도전성 재료 및 뚜껑을 아스전위에 접속함으로써 전기력선은 유효하게 트랩되어 제 5발명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및 제 6발명에 있어서 유지기 내의 2개의 핏트 간의 격벽을 따라 형성되는 도전성 재료의 구체적인 배치의 형태로서는 격벽을 따라 그 내부에 판형상의 것을 삽입하는 것 외에, 각 핏트의 내벽면을 전체적으로 도전성 재료로 씌우는 형태, 흑은 격벽에 복수의 관통구(through-hole)을 형성하고, 그 관통구의 각각에 도전성 재료를 매립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제 5 및 제 6발명은 2조의 압전필터를 하나의 압전기판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 3 및 제 4발명을 병합해서 채용할 수 있고, 2조의 압전필터를 2개의 압전기판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발명을 더불어 채용할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중모드 압전필터는 하나의 작은 유지기 내에 2개의 압전필터를 수용해서, 그 실장면적을 극히 작게 하여도 종래 이 종류의 압전필터에 비하여 전극군 사이의 음향적 결합의 억제기능 및 그것에 더하여 전자기적 결합의 억제기능이 높고, 또 전극군 간의 전기력선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이들에 의해서 소자의 최종조정이 용이하여, 양호한 보증감쇄 특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소형화가 요구되는 통신기기, 예컨대 휴대전화기 등에 조립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22)

  1. (2회 정정)압전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열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어스전극이 형성된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있어서, 하나의 유지기 내에 각각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 및 어스전극쌍이 형성된 두개의 압전기판이 수용되고, 그 압전기판의 각 전극 중 적어도 어스전극을 제외한 전부가 각각 유지기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개별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은 각각 압전기판의 대각선 상의 코너 부분으로 안내되고 있는 동시에 한 쪽 압전기판의 입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와 다른 한 쪽 압전기판의 출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가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로 되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압전기판 중 한쪽의 압전기판의 출력진동전극이 접속된 유지기의 접속단자와 다른쪽의 압전기판의 입력진동전극이 접속된 유지기의 접속단자가 유지기 내에서 도전성 접착제 또는 와이어본딩에 의하여 상호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3. (2회 정정)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압전기판의 어스전극에 대하여도 각각 유지기 내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개별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4.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압전기판은 각각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중심선이 서로 밀린 상태로 유지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5. (2회 정정) 압전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열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하는 어스전극이 형성된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있어서, 하나의 압전기판에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어스전극쌍이 2조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사이에서 압전기판이 그와 음향임피던스를 달리하는 재료에 의해서 유지기에 대하여 접속되고, 그 압전기판의 각 전극중 적어도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각 전극이 각각 유지기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개별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한쪽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입력 진동전극 및 다른 쪽의 입출력진동전극쌍의 출력진동전극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상기 압전기판의 코너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압전기판의 1개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한 쪽 압전기판의 입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와 다른 한 쪽 압전기판의 출력진동전극의 접속단자가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로 되는 코너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6. (정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기판의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형성면과 동일한 쪽 면에 이들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를 구획하도록 별도의 어스전극이 형성되고, 그 어스전극과 유지기가 압전기판과 음향임피던스를 달리하는 도전성 재료에 의하여 상호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를 구획하는 어스전극은 각각의 입출력진동전극쌍의 중심을 향해서 돌출하는 패턴을 가지며, 그 각 돌출패턴의 폭은 각입출력 진동전극쌍에 가까워질수록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압전필터.
  8. (정정)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상기 압전기판 위에 서로 직교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9. (3회 정정) 압전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열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하는 어스전극이 형성된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있어서, 하나의 기판에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어스전극쌍이 2조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입출력전극쌍이 상기 압전기판 상에서 서로 직교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2조의 전극군의 사이를 구획하는 위치에 압전기판을 관통하는 노치, 장공 또는 관통공, 또는 적어도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된 측의 면 위에 홈이 형성되고, 노치, 장공, 관통공, 또는 홈 내에는 도전성 탄성재료가 매입되고 또한 상기 도전성 탄성재료가 유지기에 형성된 어스접속단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압전기판이 상기 유지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0. (2회 정정) 압전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열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하는 어스전극이 형성된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있어서, 하나의 압전기판에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어스전극이 2조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압전기판이 사각형의 수정편이고, 또한 그 가장자리변은 (x),(z')축에 따르지 않고, 상기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은 각각 x 또는 z'축 방향에 따른 갭을 개재하여 형성되고, 상기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을 이루는 동시에, 그 입출력 진동전극은 각각 압전기판의 가장자리변부에 형성된 접속용 패드에 대하여 서로 같은 길이의 인출전극패턴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1. (정정) 압전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열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하는 어스전극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다중 모드 압전필터소자의 2조가 서로 종속접속된 상태로 하나의 표면실장형의 유지기내에 수용된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있어서, 유지기에 두 개의 핏트가 인접형성되고, 상기 압전기판은 각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각각 각 핏트의 저면측을 향한 상태로 이들 각 핏트의 주변부에서 유지기에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각 핏트의 저면은 도전성 재료에 의하여 피복되고, 또한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도전성 재료가 설치되고, 이들의 각 도전성 재료는 유지기에 형성된 아스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2. (정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는 각각 개별 압전기판에 상기 전극군이 1조씩 형성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3. (정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는 하나의 공통의 압전기판에 상기 전극군이 2조 형성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4. (정정)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설치된 도전성 재료가 각 핏트의 내측면을 피복하는 도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5. (정정)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설치된 도전성 재료가 각 핏트 사이의 격벽 내에 삽입된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6. (정정)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설치된 도전성 재료가 각 핏트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 내에 각각 매립된 복수의 도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7. (정정) 압전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열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하는 어스전극이 형성된 다중모드 압전필터 소자의 2조가 서로 종속접속된 상태로 하나의 표면실장형의 유지기 내에 수용된 다중모드 압전필터에 있어서, 유지기에 두 개의 핏트가 인접형성되고, 상기 압전기판은 각 어스전극이 각각 핏트의 저면측을 향한 상태로, 이들 각 핏트의 주변부에 있어서 유지기에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유지기에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뚜껑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상단이 적어도 상기 뚜껑의 하면 근방까지 이르는 도전성 재료가 설치되고, 상기 도전성 재료 및 뚜껑은 유지기에 형성된 아스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8. (정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는 각각 개별의 압전기판에 상기 전극군이 1조씩 형성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19. (정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는 하나의 공통의 압전기판에 상기 전극군이 2조 형성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20. (정정)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설치된 도전성 재료가 각 핏트의 내측면을 피복하는 도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21. (정정)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설치된 도전성 재료가 각 핏트 사이의 격벽 내에 삽입된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22. (2회 정정)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핏트 사이의 격벽을 따라 설치된 도전성 재료가 각 핏트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 내에 각각 매입된 복수의 도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압전필터.
KR1019970702021A 1995-07-27 1996-07-26 다중모드압전필터 KR100294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14295A JP3507206B2 (ja) 1995-07-27 1995-07-27 多重モード圧電フィルタ
JP95-192142 1995-07-27
JP95-235474 1995-09-13
JP23547495A JPH0983290A (ja) 1995-09-13 1995-09-13 表面実装型圧電フィルタ
PCT/JP1996/002125 WO1997005699A1 (fr) 1995-07-27 1996-07-26 Filtre piezo-electrique a mode multi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651A KR970706651A (ko) 1997-11-03
KR100294103B1 true KR100294103B1 (ko) 2001-09-17

Family

ID=2650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021A KR100294103B1 (ko) 1995-07-27 1996-07-26 다중모드압전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39956A (ko)
EP (1) EP0783205B1 (ko)
KR (1) KR100294103B1 (ko)
CN (2) CN1240184C (ko)
DE (1) DE69637883D1 (ko)
TW (1) TW438155U (ko)
WO (1) WO1997005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9332C1 (de) * 1996-11-28 1998-01-22 Tele Quarz Gmbh Resonator mit Kristall
JPH10215143A (ja) * 1997-01-31 1998-08-11 Nec Corp 弾性表面波装置
SE9800189L (sv) * 1998-01-23 1999-07-24 Sense Ab Q Anordning vid en piezoelektrisk kristalloscillator
US6150703A (en) * 1998-06-29 2000-11-21 Trw Inc. Lateral mode suppression in semiconductor bulk acoustic resonator (SBAR) devices using tapered electrodes, and electrodes edge damping materials
GB2352101B (en) * 1999-07-13 2003-02-26 Peter Kenneth Wall Balanced monolithic resonators
JP2001077664A (ja) * 1999-09-06 2001-03-23 Ngk Spark Plug Co Ltd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フィルタ
EP1170862B1 (en) * 2000-06-23 2012-10-1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resonator and piezoelectric filter using the same
EP1202455A3 (en) * 2000-10-31 2004-09-15 Agilent Technologies, Inc. (a Delaware corporation) A packaging methodology for duplexers using fbars
JP3838024B2 (ja) * 2000-11-27 2006-10-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縦結合型マルチモード圧電フィルタ
JP3682224B2 (ja) * 2000-12-19 2005-08-10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4ポール・モノリシック・フィルタ
JP2002368577A (ja) * 2001-04-06 2002-12-20 Murata Mfg Co Ltd 二重モードフィルタ
US6794958B2 (en) * 2002-07-25 2004-09-21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n apparatus embodying the method
JP5848131B2 (ja) * 2008-12-17 2016-01-27 アナログ デバイ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機械共振構造体を備える機器
US8686614B2 (en) * 2008-12-17 2014-04-01 Sand 9, Inc. Multi-port mechanical resonat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8689426B2 (en) 2008-12-17 2014-04-08 Sand 9,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onating structure
US8446227B2 (en) * 2009-02-04 2013-05-21 Sand 9,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uning devices having mechanical resonators
US8395456B2 (en) * 2009-02-04 2013-03-12 Sand 9, Inc. Variable phase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of use
US8456250B2 (en) * 2009-02-04 2013-06-04 Sand 9,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uning devices having resonators
US8736388B2 (en) 2009-12-23 2014-05-27 Sand 9, Inc. Oscillators having arbitrary frequenc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1800524B (zh) * 2010-01-05 2011-12-14 浙江大学 一种非对称结构的剪切模式fbar
WO2011109382A1 (en) 2010-03-01 2011-09-09 Sand9, Inc. Microelectromechanical gyroscopes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CN101800525A (zh) * 2010-03-05 2010-08-1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小型化多级级联单片压电滤波器
WO2011133682A1 (en) 2010-04-20 2011-10-27 Guiti Zolfagharkhani Microelectromechanical gyroscopes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WO2012040043A1 (en) 2010-09-20 2012-03-29 Sand9, Inc. Resonant sensing using extensional modes of a plate
US9383208B2 (en) 2011-10-13 2016-07-05 Analog Devices, Inc. Electromechanical magnetometer and applications thereof
JP5510695B1 (ja) * 2012-09-25 2014-06-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949445B2 (ja) * 2012-10-26 2016-07-06 株式会社大真空 圧電フィルタ
CN103187946B (zh) * 2013-03-23 2015-12-09 湖南嘉业达电子有限公司 一种压电陶瓷滤波器
US10800649B2 (en) 2016-11-28 2020-10-13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Planar processing of suspende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devices
JP7205497B2 (ja) * 2018-02-02 2023-01-17 株式会社大真空 圧電フィルタ
US10843920B2 (en) 2019-03-08 2020-11-24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uspende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577Y2 (ja) * 1976-05-14 1983-10-24 キンセキ株式会社 複合振動子の保持容器
JPS5743383Y2 (ko) * 1976-05-08 1982-09-24
JPS52152636A (en) * 1976-06-15 1977-12-19 Tadashi Hagiwara Rotary refuse removing device
DE2715202A1 (de) * 1977-04-05 1978-10-19 Draloric Electronic Piezoelektrisches fi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S5617710A (en) * 1979-07-17 1981-02-19 Asahi Glass Co Ltd Connection mechanism for forklift towing trailer
US4365181A (en) * 1979-07-18 1982-12-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vibrator with damping electrodes
JPS5617710U (ko) * 1979-07-18 1981-02-16
JPS56137519U (ko) * 1980-03-18 1981-10-17
JPS6032885B2 (ja) * 1980-03-26 1985-07-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膜磁気ヘッド
JPS5743383A (en) * 1980-08-28 1982-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rared radiation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GB2100950A (en) * 1981-06-23 1983-01-06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Crystal filter
JPS5923910A (ja) * 1982-07-30 1984-02-07 Toyo Commun Equip Co Ltd 多段接続モノリシツク・フイルタ
JPH066175A (ja) * 1992-06-19 1994-01-14 Murata Mfg Co Ltd 圧電部品
US5382929A (en) * 1992-07-31 1995-01-17 Ndk, Nihon Dempa Kogyo Company, Ltd. Monolithic crystal filter
EP0620640B1 (en) * 1993-04-15 1998-12-1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filter
JPH07336189A (ja) * 1994-06-09 1995-12-22 Murata Mfg Co Ltd 圧電フィルタ
US5572082A (en) * 1994-11-14 1996-11-05 Sokol; Thomas J. Monolithic crystal strip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940A (zh) 1997-11-12
EP0783205A1 (en) 1997-07-09
CN1080953C (zh) 2002-03-13
CN1240184C (zh) 2006-02-01
US5939956A (en) 1999-08-17
EP0783205A4 (en) 2002-04-17
DE69637883D1 (de) 2009-05-07
CN1404222A (zh) 2003-03-19
EP0783205B1 (en) 2009-03-25
KR970706651A (ko) 1997-11-03
TW438155U (en) 2001-05-28
WO1997005699A1 (fr) 199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103B1 (ko) 다중모드압전필터
US4126840A (en) Filter connector
US5213522A (en) Connector with built-in filter
US6943287B2 (en) Shielding cage with improved EMI shielding gasket construction
KR20150044939A (ko) 탄성파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H08288786A (ja) 弾性表面波装置
JPH05167389A (ja) 分波器
US6750592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nd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pparatus
JP3507206B2 (ja) 多重モード圧電フィルタ
KR100294104B1 (ko) 표면실장형압전필터
KR100371572B1 (ko) 압전 부품
JPH08335847A (ja) 厚みすべり振動型2重モードフィルタ
KR100491018B1 (ko) 탄성표면파 필터장치
JP2748690B2 (ja) 複合トラップ
JPH0983290A (ja) 表面実装型圧電フィルタ
KR100656563B1 (ko) 쉴드 및 이것이 장착된 유전체필터
JP2019179850A (ja)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導電板
JPS63105509A (ja) 電子部品装置
US5594396A (en) Piezoelectric device including substantially parallel propagation paths for secondary oscillations
JP3146695B2 (ja) 厚み滑り振動モードを利用したセラミックフィルタ
JP2853074B2 (ja) 貫通コンデンサの取付け構造
JPH11298281A (ja) 表面実装型圧電デバイス及び圧電ユニット
JPH10200373A (ja) モノリシック水晶フィルタ
JP3480897B2 (ja)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フィルタ
JP2002252549A (ja) 多重モード圧電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