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104B1 - 표면실장형압전필터 - Google Patents

표면실장형압전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104B1
KR100294104B1 KR1019980703202A KR19980703202A KR100294104B1 KR 100294104 B1 KR100294104 B1 KR 100294104B1 KR 1019980703202 A KR1019980703202 A KR 1019980703202A KR 19980703202 A KR19980703202 A KR 19980703202A KR 100294104 B1 KR100294104 B1 KR 10029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nput
shield
gap
outpu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243A (ko
Inventor
호주미 나카타
히로유키 아리무라
Original Assignee
타카히라 노리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히라 노리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신쿠 filed Critical 타카히라 노리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6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6Monolithic crystal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07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 H03H9/1014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압전필터 소자(1)를 그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이 표면실장형 패키지 본체(21)측을 향하도록, 그 패키지 본체(21)에서 주변 가장자리부로 지지하고, 패키지 본체(21)에는,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의 갭(G)에 따라서 연장되는 접지전 위의 실드전극(30)을, 압전성 기판(10)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형성한다. 실드전극(30)은 갭(G)에 따라 형성되어,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에 대하여는 넓은 면적에서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과의 사이에서 플로팅 커패시턴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압전성 기판(10)에 대하여 극히 근접시켜도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압전성 기판의 두께미끄럼 진동 등을 이용하는 압전필터는, 일반적으로, 일면에 소정의 갭을 가지는 입출력 진동전극쌍(분할전극)이 제공되고, 반대측 면에 입출력진동전극쌍에 대향하는 공통전극이 제공되는 수정 등의 압전성 기판을 구비하는 소자가 용기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최근에 이러한 압전필터는 특히 휴대용 통신기기 등의 용도로서 소형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장공정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소자를 소형화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소자를 표면실장형 패키지내로 수용하는 것도 요구된다. 하지만, 소형의 소자를 표면실장형 패키지내에 수용하는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입출력 진동전극 사이의 전자기 결합에 의한 누출전류가 쉽게 생성된다. 이것은 보증감쇄량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현저한 문제점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표면실장형 절연체로 제작된 패키지본체의 평탄부에 접지전위가 일정한 막(膜)형상의 실드전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입출력전극쌍이 평탄한 막형상의 실드전극을 향한 상대로 압전필터 소자를 패키지 본체로 지지한 구성으로 하고, 그 입출력 진동전극쌍과 실드전극을 서로 미세한 간격을 둔 상태로 대향 배치시키는 대책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개평 6-29776호, 특개평6-85599호, 미국특허 제005382929호).
그런데, 이상과 같은 대책에서는, 상기한 각 제안공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패키지 본체에 설치된 실드전극과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하여 보증감쇄량이 증대하지만, 그 간격을 어떤 일정량까지 근접시키면 보증감쇄량이 피크에 도달하고, 그보다도 근접시킨 경우에는,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진동전극쌍(71),(72)과 실드전극(73) 사이에 플로팅 커패시턴스(C)가 생성되어, 그것에 의해 입출력 진동전극쌍(71),(72) 사이에 누설 전류(iL)가 발생하여, 보증감쇄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평탄한 실드전극을 대향시키는 대책에 의해서는, 보증감쇄량을 실드전극과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 간격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피크값보다도 증대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대책에 비하여 보증감쇄량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실장형 압전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그 조립 상태에서 덮개(22)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실드전극 (30)을 제거한 상태의 필터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실드전극(30)을 설치한 상대의 필터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드전극(30)의 폭(W)만을 변경할 때의 보증감쇄량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패키지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설명도이며,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에 따라 절단한 패키지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압전필터에 있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향하는 면에 전면적으로 실드전극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간격을 근접시킬 때에 생성되는 플르팅 커패시턴스(C)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투시도이고, 도 2는 그 조립상태에 있어서 덮개(22)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A-A선의 단면도이다.
압전필터 소자(1)는, 압전성 기판(10)의 일면에, 다른 소정의 갭(G)을 가지는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공통전극(13)을 형성하고 있다. 이 압전필터 소자(1)는 표면실장형 패키지(2) 내에 밀폐수용되어 있다.
패키지(2)는, 예를 들어, 세라믹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패키지 본체(21)와, 그 패키지 본체(21)의 상면개구부에 Fe-Ni-Co합금으로 만들어진 링(도시되지 않음)을 개입시켜 덮어씌우는 금속제 덮개(22)로 구성되어 있다. 패키지 본체에는 2개의 피트 (4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피트(41),(42)는 조립상태에 있어서 압전필터 소자(1)의 입력 진동전극(11)과 출력 진동전극(12)에 각각 대향하고, 또한, 각 피트(41),(42) 사이의 칸막이벽(43)은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 사이의 갭(G)에 부합되는 상태로 된다.
압전필터 소자(1)는 그 입력 진동전극(11) 및 출력 진동전극(12)을 각각 피트(41),(42)의 주면 가장자리부 근방에 있어서 패키지 본체(21)로 지지된다.
압전성 기판(10)의 입출력 진동전극(11),(12) 및 공통전극(13)은 각각에 대응하는 인출전극에 의하여 압전성 기판(10)의 3개의 코너부분에 인출되어진다. 또한, 패키지 본체(21)에는, 피트(41),(42)의 주변 가장자리부 근방에서 상기한 코너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3개의 접속패드(P)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전성 기판(10)은 그 3개의 코너부분에 있어서 전도성 접착제(B)에 의하여 진동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각 접속패드(P)상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 및 공통전극(13)이, 각각의 접속패드(P)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접속패드(P)는 패키지 본체(21)를 관통하여 그 내면에 형성된 표면실장용 외부 접속패드(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그리고, 피트(41),(42) 사이 칸막이벽(43)의 상면에는 실드전극(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실드전극(30)은 압전필터 소자(1)의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 사이의 갭(G)에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각 피트(41),(42)의 저면에도 각각 실드전극(31),(3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실드전극(30),(31),(32)은 각각, 예를 들어, 패키지 본체(21)를 형성하는 세라믹의 해당 부위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W(텅스텐) 금속화를 실시하고, 거기에 Au를 전해 도금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각 실드전극(30),(31),(32)은 패키지 본체(21)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통해 패키지 본체(21)의 내면측에 형성된 접지접속패드(30a),(31a),(32a)에 접속되어, 각각 접지전위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드전극(30),(31),(32)의 압전성 기판(10)과의 간격(T 또는 T')은 칸막이벽(43)상의 실드전극(30)에 대해서는 T≒10㎛로 하고, 피트(41),(42) 저면의 실드전극(31),(32)에 대해서는 약 그 20배인 T'≒0.2㎛로 한다. 또한, 피트(41),(43) 사이의 칸막이벽(43)의 폭은 0.1mm로 하여, 실드전극(30)이 칸막이벽(43)의 폭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드전극의 폭(W)은 0.1mm이고, 압전필터 소자(1)의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 사이 갭(G)의 폭(Wg)은 O.11mm이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 사이의 갭(G)에 따라 연장되며, 또한, 압전성 기판(10)에 대해 10㎛정도로 극히 근접되어 배치된 실드전극(30)의 존재에 의하여, 소자의 구동시에 있어서 이들 전극쌍(11),(12)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이 저지되기 때문에, 이들 전극쌍(11),(12) 사이에서의 누설전류가 생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압전필터의 보증감쇄량이 대폭 개선된다.
다시 말해서,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실드전극(30)만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 특성을 나타내지만, 실드전극(30)을 설치한 것에 의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극히 양호한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중심주파수(Fo)를 90MHz로 하고, Fo - 1MHz에서의 감쇄량을 보증감쇄량으로 한 경우에, 실드전극(30)을 설치한 상태에서 약 55dB이지만, 상기한 간격(T) 및 폭(W)의 실드전극을 설치한 것에 의하여, 약 90dB까지 증대된다.
또한, 실드전극(30)과 압전성 기판(10)의 간격(T)을 약 10㎛에 고정하고, 또한, 입출력 진동전극(11),(12) 사이 갭(G)의 폭(Wg)이 0.1mm로 일정한 상태에서, 실드전극(30)의 폭(W)만을 여러 가지로 번경한 경우의 보증감쇄량의 변화를 도 5의 그래프로 나타낸다. 그리고, 이 그래프에 있어서도, 필터의 중심주파수가 90MHz이고, 보증감쇄량은 Fo - 1MHz 주파수에서의 감쇄량으로 한다.
이 그래프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드전극(30)의 폭(W)을 넓게 하면 하는 만큼 보증감쇄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그것은, 실드전극(30)의 폭(W)을 넓게 하는 것에 의하여, 이 실드전극(30)과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의 사이에 좋지 않은 플로팅 커패시턴스가 생성되어, 이 플로팅 커패시턴스가 커지는 만큼 입출력 진동전극쌍(11),(12) 사이에 누설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것과는 다르다. 실험에 의하면, 실드전극(30)과 압전성 기판(10) 사이의 간격(T)은, 실드전극(30)의 폭(W)을 40㎛정도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입출력진동전극(11),(12)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을 저지하여 양호한 보증감쇄량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명백하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트(41),(42)의 저면에 설치된 실드전극(31),(32)은, 주로 압전필터 소자(1)와 외부와의 전자기적 결합의 저지에는 그다지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실드전극(31),(32)에 관하여, 입출력 진동전극(11),(12) 사이의 좋지 않은 플로팅 커패시턴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전성 기판(10)과의 사이의 간격(T')을 실드전극(30)과 압전성 기판(10)사이의 간격(T)에 비하여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간격(T)와 간격(T')의 차이를 0.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 본체(21)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해서 기재하면, 패키지 본체(21)는, 피트(41),(42)의 저면보다 아래 부분과, 피트(41),(42)의 주위부분 및 피트(41),(42)보다 윗 부분의 3층 구조로 하여, 세라믹 그린시트를 각각의 층에 대해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절삭하고, 적층한 후에 소결하는 제조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드전극(30),(31),(32)의 형성에 관하여는, 동일한 그린시트에서 해당하는 부위를 금속화한 후에 전해 도금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키지 구조 및 제조방법을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피트(41),(42)의 저면에 형성되는 실드전극(31),(32)에 관하여는, 압전성 기판과의 간격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칸막이벽(43) 상의 실드전극에 관하여, 압전성 기판(10)에 대하여 용이하게 10㎛ 정도까지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부와의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을 저지하기 위한 실드전극에 관하여는, 특별히 패키지 본체(21)의 내면측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의 사이의 전자기적 졀합을 저지하기 위한 실드전극(91)을, 예를 들어, 패키지 본체(21)의 저부를 형성하는 벽체 내부에 적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 패키지 본체(21)는, 피트(45)의 저면보다 아래의 2층(21b),(21a)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피트(45) 주위부분(21c)의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위한 실드전극(91)은, 입력 진동전극(11) 및 출력 진동전극(12)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층(21b)과 층(21a)사이에서 좁은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 입력 진동전극(11) 및 출력 진동전극(12) 사이에서의 전자기 차폐를 위한 실드전극(90)은, 피트(45) 상에 입출력 진동전극(11),(12) 사이의 갭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실드전극(90)은 층(21b)을 관통하는 관통구멍(92)을 통하여 실드전극(91)에 접속되는 동시에, 실드전극(91)은 층(21a)을 관통하는 관통구멍(93)을 통하여 패키지 본체(21) 내면측에 형성된 접지접속패드(90a)에 접속되어, 실드전극(90),(91)은 접지전위로 된다.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서, 세라믹 그린시트를 각각의 층에 대해 필요한 형상으로 절삭하고, 적층한 후에 소결하는 제조방법을 채용하는 것은 상기한 제조방법과 동일하지만, 실드전극(90),(91)은 모두 인쇄기술을 이용하여, 평면에 인쇄하는 공정을 채용할 수 있어서, 높은 정밀도의 패턴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실드전극(30),(90)의 형태에 관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여, 이하의 이 변형 실시예에 관하여 기재된다.
우선, 도 6의 주요부 단면도로 도시된 예에 있어서, 패키지 본체(21)에, 입출력 진동전극(11),(12)의 갭(G)에 따른 단면이 삼각형상인 돌출부(44)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돌출부(44)를 포함하고, 입출력 진동전극(11),(12)에 대향하는 면에 일정한 접지전위의 전도성 재료막(34)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전도성 재료막(34)은 돌출부(44)의 선단부분, 즉, 갭(G)에 따른 부분만 압전성기판(10)에 극히 근접시키고, 입력진동전극(11) 및 출력 진동전극(12)에 각각 대향하는 부분은 압전성 기판(10)에 대하여 층분한 거리를 두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구조에서는, 전도성 재료막(34)의 내부, 돌출부(44)의 선단부분이 실질적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실드전극을 구성하는 동시에, 이 전도성 재료막(34)의 잔여 부분이 함께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실드전극(31),(32)를 구성하는 것이 되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의 패키지 본체(21)의 투시도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실드전극(30)을 와이어 결합에 의해 형성한 실시예이다. 즉, 패키지본체(21)의 구조 및 실드전극(31,32)에 관하여는 상기한 실시예와 전부 동일하고, 2개의 피트(41)(42) 사이의 칸막이벽(43)의 상면에 따라 와이어(35)를 배치하고, 이 와이어(35)의 양단을 땜납등의 전도성 재료(36)에 의해 패키지 본체(21)에 결합시켜, 이 와이어(35)를 예를 들어, 결합부분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통하여 패키지 본체(21)의 내면측에 형성한 접지접속패드(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와이어(35)가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에 부합되어, 또한 와이어(35)를 압전성기판에 대하여 극히 근접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한 실시예와 완전히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G)에 따른 실드전극으로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도 7과 같이 2개의 피트(41,42) 사이의 칸막이벽(43)을 따르게 하는 이외에 아치 형상의 와이어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8에서의 패키지본체(21)를 상기 갭(G)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키지본체(21)에 1개의 피트(45)를 형성하여 그 주면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압전필터소자(도시 생략)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피트(45)의 저면에는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향하여 전면적으로 실드전극(37)을 형성하고, 피트(45) 저면으로부터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에 따르는 위치에 아치 형상으로 와이어(38)를 돌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38)의 아치 정점 부분을 압전성 기판(10)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그 양단을 전도성 재료(39)를 통하여 실드전극(37)에 접속시켜, 그 실드전극(37)을 관통구멍을 통하여 패키지 본체(21) 내면 측의 접지접속패드(도시 생략)에 접속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압전성 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갖는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다중모드 압전필터가 절연재료로 제작된 표면실장형 패키지 본체에 상기 압전성 기판의 주변부의 소정 위치에서 지지된 압전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소자는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을 패캐지본체 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패키지본체의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을 따라 연장된 어스 전위의 실드전극이 상기 패키지 본체와 일체화한 격벽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압전성 기판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갭을 따라 연장된 실드전극과는 별도로 그 양측에 입력진동전극 및 출력진동전극에 각각 대향하는 2개의 실드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실드전극은 상기 갭을 따라 신장된 실드전극보다 압전성 기판과의 사이의 간격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드전극의 폭을 갭 폭의 4배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드전극은 단면이 삼각형상인 돌출부의 선단부분에 형성된 전도성재료막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와이어로 형성된 구성도 좋다.
이러한 2개의 실드전극을 가지는 구성의 구체적인 형대로서, 본 발명에서는, 패키지 본체에 2개의 피트를 형성하고, 각 피트에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각 전극을 각각 대향시기는 상태에서, 압전필터 소자의 주변 가장자리부 소정부위를 이들 피트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놓아서 패키지 본체로 지지하는 동시에, 각 피트 사이의 칸막이벽의 상면에서 갭에 따라 연장되는 실드전극을 헝성하고, 다시, 각 피트의 저면에서 입력 진동전극 및 출력 진동전극에 각각 대향하는 실드전극을 각각 형성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패키지 본체에 피트를 형성하여, 압전필터소자를 그 피트에 입출력 진동전극쌍을 대향시킨 상태로 주변 가장자리부의 소정부위를 피트의 주면 가장자리부에 놓아서 패키지 본체로 지지하는 동시에, 입출력진동전극쌍의 간격에 대향하는 피트의 상면에 그 갭에 따라 연장되는 실드전극을 형성하고, 다시, 패키지 본체의 저부를 형성하는 벽체 내부에 이들 입력 진동전극 및 출력 진동전극에 대향하는 실드전극을 형성한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에 따라 설치된 접지전위의 실드전극쌍에 의하여, 이들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력선이 차단되어,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이 저지되기 때문에, 보증감쇄량을 감소시키는 저지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이 실드전극을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하여 전면적으로 대향시키지 않고,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전성 기판에 대하여 최대한 근접시켜도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사이에서 플로팅 커패시턴스를 생성시키지 않고, 상기한 전자기적 결합의 저지 능력을 약화시기지 않는다. 또한, 이 실드전극을 단면이 삼각형상인 돌출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전도성 재료막으로 형성한 구성, 또는 와이어로 형성한 구성으로서도 상기와 같이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갭에 따라 형성된 실드전극의 폭을 갭 폭의 4배 이내로 하는 것에 의하여,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플로팅 커패시턴스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보증감쇄량 특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갭에 따라 형성된 실드전극은 입출력 진동전극상에 대한 외부의 전자기차폐에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위해서는 입력 및 출력 진동전극의 각각에 대향하고, 상기의 실드전극과는 별개의 실드전극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외부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위한 실드전극은 입출력진동전극쌍 사이의 전자기 차폐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그 외부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위한 실드전극과 입출력 진동전극쌍과의 간격을 어느정도 이상으로 크게 하여, 그 간격에 있어서 플로팅 커패시턴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외부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위한 실드전극을 패키지 본체의 저부를 형성하는 벽체 내부에, 입력 진동전극 및 출력 진동전극에 대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외부에 대한 전자기 차폐 효과 또한 가지게 된다.
더욱이, 패키지 본체의 입출력 진동전극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이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에 따라 연장되는 접지전위의 실드전극이, 단면이 삼각형상인 돌출부의 선단부분에 전도성 재로막을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 돌출부를 포함하여, 패키지 본체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향하는 면에 일정한 접지전위의 전도성 재료막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면, 전도성 재료막은 돌출부의 선단부분, 즉, 갭에 부합되는 부분만 압전성 기판에 극히 근접하여, 입력 진동전극 및 출력 진동전극에 각각 대향하는 부분은 압전성 기판에 대하여 충분한 거리를 두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도성 재료막의 내부와 돌출부의 선단부분이 실질적으로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을 저지하는 실드전극을 구성하는 동시에, 이 전도성 재료막의 잔여부분이 외부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위한 실드전극을 구성하는 것이 되어, 상기의 구성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표면실장형 압전필터는 압전필터 소자의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을 따라 연장되는 접지전위의 실드전극에 의하여 입출력 진동전극쌍사이의 전자기적 결합의 저지능력을 높일 수 있고, 양호한 보증감쇄량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소형화가 요구되는 통신기기,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 등에 조립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Claims (7)

  1. (정정) 압전성 기판의 일면에 서로 소정의 갭을 갖는 입출력 진동전극쌍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 면에는 이들과 대향하도록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다중모드 압전필터소자가 절연재료로 제작된 표면실장형 패키지 본체에 상기 압전성 기판의 주변부의 소정 위치에서 지지된 압전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소자는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을 패키지 본체 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입출력 진동전극쌍 사이의 갭을 따라 연장된 어스 전위의 실드전극이 상기 패키지 본체와 일체화한 격벽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압전성 기판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갭을 따라 연장된 실드전극과는 별도로 그 양측에 입력진동전극 및 출력진동전극에 각각 대향하는 2개의 실드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실드전극은 상기 갭을 따라 연장된 실드전극보다 압전성 기판과의 사이의 간격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드전극의 폭이 상기한 갭 폭의 4배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드전극이 단면이 삼각형상인 돌출부의 선단부분에 형성된 전도성 재료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드전극이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패키지 본체에 2개의 피트가 형성되어, 상기한 압전필터 소자는 그 각 피트에 상기한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각 전극을 각각 대향시킨 상태에서, 그 주변 가장자리부 소정 부위가 이들 피트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패키지 본체로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각 피트 사이의 칸막이벽의 상면에 상기한 갭에 따라서 연장되는 실드전극이 형성되며, 또한 각 피트의 저면에 상기한 입력 진동전극 및 출력 진동전극에 따라 각각 대향하는 실드전극이 형성되며, 이 2개의 실드전극은 상기한 갭에 따라서 연장되는 실드전극보다도 압전성 기판과의 간격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증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패키지 본체에 피트가 형성되어, 상기한 압전필터 소자는 그 피트에 상기한 입출력 진동전극쌍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그 주변 가장자리부 소정 부위가 피트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패키지 본체로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한 입출력 진동전극쌍의 간격에 대향하는 피트의 상면에 상기한 갭에 따라서 연장되는 실드전극이 형성되며, 또한 패키지 본체의 저부를 형성하는 벽체 내부에 상기한 입력 진동전극 및 출력 진동전극에 대향하는 실드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면이 삼각헝상인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 패키지 본체의 입출력 진동전극쌍에 대향하는 면에 일정한 접지전위의 전도성 재료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압전필터.
KR1019980703202A 1996-08-30 1997-08-25 표면실장형압전필터 KR100294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30581 1996-08-30
JP23058196A JP3239769B2 (ja) 1996-08-30 1996-08-30 表面実装型圧電フィルタ
PCT/JP1997/002977 WO1998009377A1 (fr) 1996-08-30 1997-08-25 Filtre piezo-electrique monte en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243A KR19990067243A (ko) 1999-08-16
KR100294104B1 true KR100294104B1 (ko) 2001-09-17

Family

ID=1690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202A KR100294104B1 (ko) 1996-08-30 1997-08-25 표면실장형압전필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52898A (ko)
EP (1) EP0859465B1 (ko)
JP (1) JP3239769B2 (ko)
KR (1) KR100294104B1 (ko)
CN (1) CN1151603C (ko)
DE (1) DE69725552T2 (ko)
ID (1) ID18132A (ko)
TW (1) TW445708B (ko)
WO (1) WO19980093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237A (ko) 2019-08-19 2021-03-03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9048B1 (en) * 1999-06-25 2002-10-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urface-mount electronic component
JP2001177044A (ja) * 1999-12-15 2001-06-29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モジュール及び圧電発振器
US6759688B2 (en) * 2001-11-21 2004-07-06 Microsemi Microwave Products, Inc. Monolithic surface mount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evice
US7385463B2 (en) * 2003-12-24 2008-06-10 Kyocera Corporatio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and electronic circuit device
US8125788B2 (en) * 2006-03-29 2012-02-28 Kyocera Corporation Circuit module and radio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it module
JP5727124B2 (ja) * 2008-08-28 2015-06-03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振動子
CN101800525A (zh) * 2010-03-05 2010-08-1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小型化多级级联单片压电滤波器
JP7205497B2 (ja) * 2018-02-02 2023-01-17 株式会社大真空 圧電フィルタ
KR102217603B1 (ko) * 2018-11-30 2021-02-19 한국재료연구원 단속 미세조직 층이 형성된 전자부품 임베디드 금속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910A (ja) * 1982-07-30 1984-02-07 Toyo Commun Equip Co Ltd 多段接続モノリシツク・フイルタ
JPS6365707A (ja) * 1986-09-05 1988-03-24 Toyo Commun Equip Co Ltd 圧電フイルタの封止
JP2718706B2 (ja) * 1988-08-20 1998-02-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279574A (ja) * 1988-09-16 1990-03-20 Atein Kaihatsu Kk 映像信号伝送方式
JPH0298207A (ja) * 1988-10-05 1990-04-10 Nippon Dempa Kogyo Co Ltd 多重モード型圧電振動子
JPH0256361U (ko) * 1988-10-19 1990-04-24
JPH02119406A (ja) * 1988-10-28 1990-05-07 Nippon Dempa Kogyo Co Ltd 多重モード型圧電振動子
JPH0279574U (ko) * 1988-12-09 1990-06-19
JPH02261211A (ja) * 1989-03-31 1990-10-24 Nippon Dempa Kogyo Co Ltd 多重モード型水晶振動子
JPH0386623A (ja) * 1989-08-31 1991-04-11 Tekunoba:Kk スライドルーフ装置
JP2539725Y2 (ja) * 1989-12-25 1997-06-2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弾性表面波装置
JPH0779127A (ja) * 1991-06-27 1995-03-20 Nippon Dempa Kogyo Co Ltd 多重モード型圧電振動子
JPH066164A (ja) * 1992-06-18 1994-01-14 Murata Mfg Co Ltd チップ形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82929A (en) * 1992-07-31 1995-01-17 Ndk, Nihon Dempa Kogyo Company, Ltd. Monolithic crystal filter
JPH0685599A (ja) * 1992-08-31 1994-03-25 Nippon Dempa Kogyo Co Ltd 多重モード水晶振動子
JPH0897668A (ja) * 1994-09-22 1996-04-12 Murata Mfg Co Ltd 負荷容量内蔵型圧電共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237A (ko) 2019-08-19 2021-03-03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206A (zh) 1998-11-25
JP3239769B2 (ja) 2001-12-17
US5952898A (en) 1999-09-14
WO1998009377A1 (fr) 1998-03-05
ID18132A (id) 1998-03-05
JPH1075150A (ja) 1998-03-17
CN1151603C (zh) 2004-05-26
EP0859465A4 (en) 2002-05-02
KR19990067243A (ko) 1999-08-16
DE69725552D1 (de) 2003-11-20
EP0859465B1 (en) 2003-10-15
DE69725552T2 (de) 2004-08-05
EP0859465A1 (en) 1998-08-19
TW445708B (en)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9473A (en) Duplexer package
KR100294103B1 (ko) 다중모드압전필터
EP1553700A2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KR100294104B1 (ko) 표면실장형압전필터
JP5150177B2 (ja) 水晶振動子
US6369487B1 (en) Piezoelectric resonance component
JPH04352305A (ja) 三層構造スパイラルインダクタのインダクタンスの調整方法
KR100443172B1 (ko) 이중모드필터
US6011451A (en) Chip type piezoelectric filter having internal common electrodes or a shield electrode
KR100383025B1 (ko) 칩형 압전 필터
US6563400B2 (en) Piezoelectric resonator utilizing bending vibrations and ladder-type filter including the same
JP2006080921A (ja) 表面弾性波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7237609B2 (ja) 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および電子装置
KR100239993B1 (ko) 탄성 표면파 장치
JPH1168503A (ja) 多重モード水晶振動子
TWI817286B (zh) 壓電振動裝置
KR102256022B1 (ko) 모노블록 유전체 필터
JP2001036343A (ja) 表面実装型の温度補償水晶発振器
JPH11284482A (ja) 多重モード水晶振動子
JPH08288701A (ja) マイクロ波集積回路装置
JP2853074B2 (ja) 貫通コンデンサの取付け構造
JPS63105509A (ja) 電子部品装置
JPH11136087A (ja) モノリシック水晶フィルタ
JP2002252549A (ja) 多重モード圧電フィルタ
KR100363716B1 (ko) 전자 부품,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전자 부품의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