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785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785B1
KR100292785B1 KR1019980054062A KR19980054062A KR100292785B1 KR 100292785 B1 KR100292785 B1 KR 100292785B1 KR 1019980054062 A KR1019980054062 A KR 1019980054062A KR 19980054062 A KR19980054062 A KR 19980054062A KR 100292785 B1 KR100292785 B1 KR 10029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mpressor
discharge
retaine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434A (ko
Inventor
도모지 다루타니
사토루 구라모토
노리카즈 데토
구니요시 시라이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1999007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 Y10T137/7892With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 형식의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개방도 규제시에 있어서의 가스켓 일체의 리테이너의 굴곡부의 변형에 의한 밸브부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조립시 등의 탄성층의 눌려 일그러짐(crush)에 기인하는 리테이너의 굴곡부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탄성계수의 변형이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하는 것과 제조가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데 있으며, 구성수단으로서는, 격벽(92c)에 의해 후방 하우징내에 토출실(9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92c)은 가장 많이 돌출된 제 1단면(92i)과,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92j)을 누름부(1)로 하고, 테이퍼면(92j) 및 제 2단면(92k)이 이루어지는 유격을 회피부(2)로 하며, 라운드(bevel;92ℓ)가 형성되고, 제 2단면(92k)과 라운드(92ℓ)와의 경계(92m)를 지지부(3)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기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토출밸브 주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압축기로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양두 사판식 압축기가 알려져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전방 실린더블록(80)과 후방 실린더블록(81)이 대응 설치되며, 전방 및 후방 실린더블록(80, 81)에는, 각각 압축실을 형성하는 보어(80a, 81a)가 복수개씩 같은 축에 관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앙에 사판실(8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실린더블록(80, 81)의 양단에는 각각 흡입밸브(83, 84), 밸브판(85, 86), 토출밸브(87, 88) 및 리테이너(89, 90)를 통해 전방 하우징(91) 및 후방 하우징(92)이 설치되며, 이것들은 복수개의 관통볼트(9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방 실린더블록(80)과 후방 실린더블록(81)의 사이, 전방 실린더 블록(80)과 전방 하우징(91)과의 사이 및 후방 실린더 블록(81)과 후방 하운징(92)과의 사이에는 각각 0링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91), 전방 실린더 블록(80) 및 후방 실린더 블록(81)에는 베어링 등을 통해 구동축(9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구동축(94)에는 베어링을 통해 사판실(82)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한 사판(95)이 고정되어 있다. 사판(95)에는 각각 전후에 슈를 통해 보어(80a, 81a)내에 설치된 복수의 피스톤(96)이 계류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92)에는, 사판실(82)를 통해 외부의 증발기(도시 생략)와 연통하는 흡입실(92a)과, 외부의 응축기(도시 생략)와 연통하는 토출실(92b) 등이 격벽(92c, 92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판(86)에는, 흡입실(92a)과 보어(81a)를 흡입밸브(84)를 통해 연통시킬 수 있는 흡입포트(86a)와, 토출실(92b)과 보어(81a)를 토출밸브(88)를 통해 연통시킬 수 있는 토출포트(86b) 등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밸브(84)는, 후방 실린더 블록(81)과 밸브판(86) 사이에 끼워지는 기부와, 이 기부에서 연장하여 탄성변형에 의해 흡입포트(86a)와 흡입실(92a)을 연통시키는 밸브부를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 토출밸브(88)는, 도 4에 나타내듯이, 밸브판(86)과 후방 하우징(92) 사이에 끼워지는 기부(88a)와, 이 기부(88a)에서 연장하여 탄성변형에 의해 토출포트(86b)와 토출실(92b)을 연통시키는 밸브부(88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리테이너(90)는, 토출밸브(88)의 기부(88a)와 접촉하는 기단부(90a)와, 이 기단부(90a)로부터 밸브부(88b)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굴곡되며, 밸브부(88b)의 개방도를 규제하는 규제부(90b)를 가지고 있다. 이 리테이너(90)는, 가스켓으로서도 기능하며, 겉과 속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층(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에 위치하는 흡입밸브(83), 밸브판(85), 토출밸브(87), 리테이너(89) 및 전방 하우징(91)도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94)이 회전하면, 사판(95)을 통해 각 피스톤(96)이 보어(80a, 81a)내를 왕복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보어(81a)내에 흡입실(92a)에서 흡입포트(86a) 및 흡입밸브(84)의 밸브부를 통해 저압의 냉매가 흡입되며, 압축된 냉매가 보어(81a)에서 토출포트(86b) 및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를 통해 토출실(92b)에 토출된다. 보어(80a)도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토출밸브 및 리테이너를 채용한 압축기에서는,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일반적인 압축기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후방 하우징(92)의 격벽(92c)에 리테이너(90)의 기단부(90a)와 접촉 가능한 누름부(92d)와, 누름부(92d)로부터 밸브부(88b)의 연장방향으로 크게 오목하게 형성된 회피부(9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관통볼트(93)(도 2참조) 등의 체결력에 의해 누름부(92d)에서 리테이터(90)의 기단부(90a)를 밀어누르며, 이것에 의해 토출밸브(88)의 기부(88a) 및 리테이터(90)의 기단부(90a)를 밸브판(86)과 후방 하우징(92)과의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압축기에서는, 회피부(92e)가 누름부(92d)로부터 크게 오목하게 형성되며, 회피부(92e)에서의 밸브부(88b)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92f)가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이면에 대하여 크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개방도를 규제하는 경우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가 토출실(92b)내에서 크게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러한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변형은, 특히 압축기에서 액체 압축을 발생하는 경우에 현저하다. 이 때문에,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가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내에서 비틀려서 거칠어져 피로를 발생하는 것에 의해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은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도 5에 나타내듯이 후방 하우징(92)의 격벽(92c)에 리테이너(90)의 기단부(90a)와 접촉 가능한 누름부(92d)와, 누름부(92d)에서 밸브부(88b)의 연장방향으로 서서히 깊게 굴곡되어 오목한 회피부(92g)를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동일한 토출밸브(88)의 주변의 구성을 갖는 압축기는 일본 실용공개 소 51-146410호 공보, 미국특허 51003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개방도를 규제하는 경우에, 회피부(92g)에 있어서의 밸브부(88b)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92h)가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이면에 대하여 그만큼 떨어지지 않으므로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가 토출실(92b)내에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밸브부(88b)의 개방도 규제시의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내구성 열화(劣化)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압축기에서는, 조립시에 있어서 관통볼트(도 3 참조) 등의 체결력에 의해 누름부(92d)로서 리테이너(90)의 기단부(90a)를 밀어 누르는 경우, 리테이너(90)의 탄성층이 눌려 찌그러지기 쉬우며, 이것에 의해 회피부(92g)에는 눌려 찌그러져 팽출한 탄성층이 개재되어 버린다. 또한, 격벽(92c)의 회피부(92g)가 누름부(92d)에서부터 밸브부(88b)의 연장방향으로 서서히 깊게 굴곡되어서 오목하게 있기 때문에, 회피부(92g)가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에 영향이 미쳐 밀어 눌러 버리기 쉽다. 이것에 의해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지점이 밸브부(88b)의 연장방향으로 벗어나기 쉽다. 이것은, 압축기의 조립시만이 아니라, 장기간 사용후의 탄성층의 열화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가 변형하면, 밸브부(88b)의 휨 응력이 과대하게 되기 때문에, 밸브부(88b)의 탄성계수가 크게 되어 토출포트(86b)를 개방하기 어렵게 하거나, 밸브부(88b)에 피로를 발생하기 쉬워 밸브부(88b)의 내구성이 손실되기 쉽다.
한편, 일본 실용 공개 평6-40389호 공보, 유럽특허 공보0595313B1에 개시되어 있듯이, 후방 하우징에 있어서의 토출실을 형성하는 격벽에 의해 상기와 동일하게 누름부를 구성함과 함께, 토출실을 회피부로 하며, 또한, 후방 하우징에 있어서의 토출실내로 돌출된 지지벽에 의해 리테이너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회피부로서의 토출실이 누름부보다 깊게 오목하게 되어 있어서 누름부로서 리테이너의 기단부를 밀어 누를 때, 회피부에 의한 리테이너 탄성층에 미치는 밀어 누름도 없으며, 이것에 의한 리테이너의 규제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부의 탄성계수의 변화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개방도를 규제할 때, 지지벽이 리테이너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이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규제부가 변형하는 것에 의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압축기에서는, 토출실을 회피부로 하고, 후방 하우징에 있어서의 토출실내로 돌출된 지지벽에 의해 리테이너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그 지지벽이 토출실을 형성하는 격벽과는 별개의 것이기 때문에, 토출실을 형성하는 격벽에 누름부를 형성하는 가공과는 별도로, 지지벽에 규제부를 지지시키기 위한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가공이 단속적으로 되어 제조가격의 높은 상승화를 초래하여 버린다. 또한, 토출실내로 지지벽이 돌출하는 경우에는 토출실내에서 냉매의 흐름이 저해되어 버린다. 또한, 이 지지벽은 토출실의 용적을 필연적으로 작게 만들기 때문에 토출 맥동이 크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불합리함은, 양두 사판식 압축기만이 아니라, 상기 형식의 토출밸브 및 리테이너를 채용하는 압축기 전체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상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과제는, 상기 형식의 토출밸브 및 리테이너를 채용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개방도 규제시의 리테이너의 규제부의 변형에 의한 밸브부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하는 것, 조립시 등의 탄성층의 눌려 일그러짐에 기인하는 리테이너의 규제부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탄성계수의 변화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하는 것, 및 제조가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토출실내에 있어서의 냉매의 원만한 흐름을 실현하는 것과 토출실의 큰 용적의 유지에 의한 토출 맥동의 억제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수단]
본 발명의 압축기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연장되며, 탄성변형에 의해 압축실과 통하는 토출포트와 토출실을 연통시켜 해당 압축실내의 냉매를 상기 토출실로 토출시키는 밸브부를 갖는 토출밸브와, 상기 기부와 접촉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서부터 밸브부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굴곡되며, 상기 밸브부의 개방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겉과 속(表裏)에 탄성층이 형성된 리테이너와, 상기 기부 및 기단부를 고정하도록 기단부를 밀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대하여 밸브부의 연장방향에서 오목하며, 누름부가 기단부를 밀어 누르는 경우에 상기 규제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회피부와, 상기 회피부로서는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이며, 규제부가 밸브부의 개방도를 규제할 때 상기 규제부의 변형을 방지하며 규제부와 접촉 가능한 지지부를 갖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압축기에서는, 회피부가 리테이너의 기단부를 밀어 누르는 누름부에 대하여 밸브부의 연장방향에서 오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 등에 누름부로서 리테이너의 기단부를 밀어 누를 때, 리테이너의 탄성층의 일그러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규제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지지부가 회피부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규제부가 밸브부의 개방도를 규제할 때에, 규제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개방도 규제시의 리테이너의 규제부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립시 등의 탄성층의 일그러짐에 기인하는 리테이너의 규제부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탄성계수의 변화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회피부가 누름부에 대하여 밸브부의 연장 방향으로 오목하며, 지지부가 회피부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부, 회피부 및 지지부가 일체의 고정부재로서 구성되며, 고정부재에 일련의 가공을 시행하는 것만으로 누름부, 회피부 및 지지부가 얻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제조가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우수한 작용효과를 이룬다. 즉,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격벽에 의해 토출실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이 격벽으로서 가장 많이 돌출된 제 1단면과, 이 제 1단면보다 낮게 돌출된 제 2단면을 갖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1단면을 누름부로 하고, 제 2단면을 이루는 유격을 회피부로 하고, 제 2단면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를 지지부로 한다. 이렇게 하여 이 격벽으로 고정부재를 구성한다. 특히, 이 격벽을 대략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며, 제 1단면 및 제 2단면도 이 격벽을 따라서 대략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하우징의 격벽에 일련의 가공을 시행하는 것만으로 누름부, 회피부 및 지지부가 얻어지게 되며, 제조가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토출실은 그 격벽 자체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어떠한 냉매의 흐름이 손실되는 일이 없고 또한 용적도 크게 확보된다. 이 때문에, 토출실내에 있어서의 냉매의 원활한 흐름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출실의 큰 용적의 유지에 의한 토출 맥동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제1도는 실시예의 압축기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2도는 실시예의 압축기에 따른 후방 하우징의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압축기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압축기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a, 81a : 압축실(보어) 86b : 토출포트
92b : 토출실 88 : 토출밸브
88a : 기부 88b : 밸브부
90 : 리테이너 90a : 기단부
90b : 규제부
4 : 고정부재(92c : 후방 하우징(92)의 토출실(92b)을 형성하는 격벽)
1 : 누름부(92i : 제 1단면)
2 : 회피부(유격, 92j : 테이퍼면, 92k : 제 2단면)
3 : 지지부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압축기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종래의 그것과 기본적으로는 변함이 없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서는 동일부호를 병기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압축기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축방향으로 고리 형상으로 돌출하는 격벽(92c)에 의해 후방 하우징(92)(도 3 참조, 이하 동일)내에 종래와 동일한 흡입실 및 토출실(9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92c)은, 가장 많이 돌출된 고리 형상의 제 1단면(92i)과, 이 제 1단면(92i)에서부터 후방(도면중 윗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고리 형상의 테이퍼면(92j)과, 이 테이퍼면(92j)에서부터 제 1단면(92i)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 1단면(92i) 보다 낮게 돌출된 고리 형상의 제 2단면(92k)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단면(92i)을 누름부(1)로 하며, 테이퍼면(92j) 및 제 2단면(92k)을 이루는 유격을 회피부(2)로 하고 있다. 또한, 제 2단면(92k)에서의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연장 방향측에는 고리 형상의 라운드(bevel: 92ℓ)가 형성되며, 제 2단면(92k)과 라운드(92ℓ)와의 경계(92m)를 지지부(3)로 한다. 이렇게 하여 이 격벽(92c)에서 고정부재(4)를 구성하고 있다. 전방에 위치하는 흡입밸브(83), 밸브판(85), 토출밸브(87), 리테이너(89) 및 전방 하우징(91)도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후방 하우징(92)의 격벽(92c)에 일련의 절삭가공을 시행하여 제 1단면(92i), 테이퍼면(92j), 제 2단면(92k) 및 라운드(92ℓ)를 형성하며, 이것에 의해 누름부(1), 회피부(2) 및 지지부(3)가 얻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회피부(2)가 누름부(1)에 대하여 밸브부(88b)의 연장 방향으로 오목하며, 지지부(3)가 회피부(2)에서의 밸브부(88b)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조가격의 저렴화를 실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조립시에 있어서, 관통볼트(93)(도 2 참조)의 체결력에 의해 누름부(92i)로서 리테이너(90)의 기단부(90a)를 밀어 누르며, 이것에 의해 토출밸브(88)의 기부(88a) 및 리테이너(90)의 기단부(90a)를 밸브판(86)과 후방 하우징(92)과의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누름부(92i)에 대하여 밸브부(88b)의 연장 방향에서 테이퍼면(92j) 및 제 2단면(92k)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회피부(2)가 오목하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회피부(2)에 의한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에 미치는 밀어 누름도 없으며, 규제부(90b)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종래의 압축기에 비하여 관통볼트(93)로서 체결할 때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변형량을 수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지지부(92m)가 회피부(2)에서의 밸브부(88b)의 연장방향측의 테두리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가 밸브부(88b)의 개방도를 규제할 때에, 규제부(90b)의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종래의 압축기에 비하여 액체 압축시의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변형량도 수십%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압축기에서는,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개방도 규제시의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시 등의 탄성층의 눌러 일그러짐에 기인하는 리테이너(90)의 규제부(90b)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88)의 밸브부(88b)의 탄성 계수의 변화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도 도 3에 나타내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 경우, 토출실(92b)이 그 격벽(92c) 자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냉매의 흐름이 손실되는 일이 없고, 또한, 용적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토출실(92b)내에서의 냉매의 원활한 흐름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출실(92b)의 커다란 용적의 유지에 의한 토출 맥동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의 양두 사판식 압축기뿐만이 아니라, 상기 형식의 토출밸브(88) 및 리테이터(90)를 채용하는 압축기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1), 회피부(2) 및 지지부(3)를 실시형태와 같이 후방 하우징(92)의 격벽(92c)에 의해 구성하지 않고, 별도 부재로 이것들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회피부(2)를 테이퍼면(92j) 및 제 2단면(92k)으로 구성하지 않고, 단일의 곡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로서는,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개방도 규제시의 리테이너의 규제부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립시 등의 탄성층의 일그러짐에 기인하는 리테이너의 규제부의 변형에 의한 토출밸브의 밸브부의 탄성계수의 변화나 내구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다른 효과로서는, 회피부가 누름부에 대하여 밸브부의 연장 방향으로 오목하며, 지지부가 회피부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부, 회피부 및 지지부가 일체의 고정부재로서 구성되며, 고정부재에 일련의 가공을 시행하는 것만으로 누름부, 회피부 및 지지부가 얻어지게 되어 제조가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격벽을 대략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며, 제 1단면 및 제 2단면도 이 격벽을 따라서 대러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따라서, 하우징의 격벽에 일련의 가공을 시행하는 것만으로 누름부, 회피부 및 지지부가 얻어지게 되며, 제조가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토출실은 그 격벽 자체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어떠한 냉매의 흐름이 손실되는 일이 없고 또한 용적도 크게 확보된다. 이 때문에, 토출실내에서의 냉매의 원활한 흐름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출실의 큰 용적의 유지에 의한 토출 맥동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되며, 탄성변형에 의해 압축실과 통하는 토출포트와 토출실을 연통시켜 상기 압축실내의 냉매를 상기 토출실로 토출시키는 밸브부를 갖는 토출밸브와, 상기 기부와 접촉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서부터 상기 밸브부의 연장방향을 향하여 굴곡되며, 상기 밸브부의 개방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겉과 속(表裏)에 탄성층이 형성된 리테이너와, 상기 기부 및 상기 기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기단부를 밀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대하여 상기 밸브부의 연장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가 상기 기단부를 밀어 누를 때에 상기 규제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회피부와, 상기 회피부에서의 상기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이며, 상기 규제부가 상기 밸브부의 개방도를 규제할 때에 상기 규제부의 변형을 방지하며 규제부와 접촉가능한 지지부를 갖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격벽에 의해 토출실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상기 격벽은 가장 많이 돌출된 제 1단면과, 상기 제 1단면보다 낮게 돌출된 제 2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단면을 누름부로 하고, 상기 제 2단면을 이루는 유격을 회피부로 하고, 상기 제 2단면에서의 밸브부의 연장 방향측의 테두리부를 지지부로 하고, 상기 격벽으로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격벽은 고리 형상에 가깝게 형성되며, 제 1단면 및 제 2단면도 상기 격벽을 따라서 고리 형상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19980054062A 1998-02-20 1998-12-10 압축기 KR100292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900398A JP3915227B2 (ja) 1998-02-20 1998-02-20 圧縮機
JP98-39003 1998-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34A KR19990071434A (ko) 1999-09-27
KR100292785B1 true KR100292785B1 (ko) 2001-06-15

Family

ID=1254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62A KR100292785B1 (ko) 1998-02-20 1998-12-10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74147B1 (ko)
JP (1) JP3915227B2 (ko)
KR (1) KR100292785B1 (ko)
CN (1) CN1125293C (ko)
DE (1) DE1990655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580B2 (ja) * 1996-11-25 2006-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DE10056690A1 (de) * 2000-11-15 2002-05-16 Man Nutzfahrzeuge Ag Rückschlagventil
JP3996827B2 (ja) * 2002-09-20 2007-10-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密閉形圧縮機
KR100516325B1 (ko) * 2003-04-08 2005-09-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왕복동형 압축기의 밸브 조립체
US7191792B2 (en) * 2003-09-19 2007-03-20 Ingersoll-Rand Company Compressor assembly
US20060165537A1 (en) * 2005-01-25 2006-07-27 Hodyon Lp Apparatus providing improvement in the longevity of reed valves
JP2007092539A (ja)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BRPI1105384B1 (pt) * 2011-12-20 2021-08-24 Embraco Indústria De Compressores E Soluções Em Refrigeração Ltda Tampa de cilindro de compressor alternativo
AT15377U1 (de) 2016-07-06 2017-07-15 Secop Gmbh Zylinderkopfdeckel für einen kältemittelk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571A (en) * 1975-04-14 1976-12-21 Sundstrand Corporation Valve retainer
JPS51146410U (ko) 1975-05-19 1976-11-25
JPS5840671B2 (ja) * 1978-02-10 1983-09-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の弁装置
JPS55109782A (en) * 1979-02-16 1980-08-23 Toyoda Autom Loom Works Ltd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059512Y2 (ko) * 1987-03-11 1993-03-09
US4721443A (en) * 1987-03-16 1988-01-26 Tecumseh Products Company Discharge valve retainer for a compressor
US5022833A (en) * 1989-12-06 1991-06-11 Tecumseh Products Company Single piece gasket valve plate assembly
US5100306A (en) 1990-03-16 1992-03-31 Ford Motor Company Noise reducing compressor gasket and head assembly
JP2527097B2 (ja) * 1990-10-29 1996-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ピストン式圧縮機
JP2792277B2 (ja) 1991-08-13 1998-09-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の吐出弁装置
US5286173A (en) * 1991-10-23 1994-02-1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Coolant gas guiding mechanism i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0640389A (ja) 1992-07-21 1994-02-15 Eiwa Sogo Kenkyusho:Kk 船の推進装置
US5417552A (en) * 1992-10-20 1995-05-23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640389U (ja) 1992-10-28 1994-05-27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吐出弁装置
JPH08170588A (ja) 1994-12-16 1996-07-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H08193575A (ja) * 1995-01-13 1996-07-30 Sanden Corp 弁板装置
JP3564929B2 (ja) * 1997-03-31 2004-09-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06550A1 (de) 1999-08-26
CN1125293C (zh) 2003-10-22
KR19990071434A (ko) 1999-09-27
US6174147B1 (en) 2001-01-16
DE19906550C2 (de) 2001-12-13
JPH11236874A (ja) 1999-08-31
JP3915227B2 (ja) 2007-05-16
CN1226667A (zh)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799A (en) Discharge valve apparatus for compressor
KR100292785B1 (ko) 압축기
JP2532406Y2 (ja) 圧縮機のリテーナ一体ガスケット
JPH0351915B2 (ko)
US6454545B1 (en) Compressor
KR100276822B1 (ko) 왕복동형 압축기
JPH10196535A (ja) 圧縮機用ガスケット
CA1304333C (en) Discharge valve retainer for a compressor
KR101475729B1 (ko) 압축기
US4949982A (en) Compressor valve assembly
JP3232839B2 (ja) 圧縮機の弁装置
JPH0791376A (ja) 圧縮機の弁装置
JP2006226113A (ja) 圧縮機に用いられる弁板のポート構造
JPH11230042A (ja) 吐出弁及びそれを備えた弁板装置
EP1586773B1 (en) Gasket for compressor
JP3080263B2 (ja) 斜板式圧縮機の吸入制御機構
US20230057129A1 (en) Alternative compressor head arrangement
EP1898089A3 (en) Piston type compressor
JPH02130279A (ja) 圧縮機の吐出圧力脈動低減構造
JP2797511B2 (ja) 圧縮機の吐出弁機構
JPH11270723A (ja) 弁板装置
JP2001140829A (ja) 空調用圧縮機の軸封部材係止用スナップリング
JP2003172266A (ja) 冷媒圧縮機
JPH0447428Y2 (ko)
JP4224911B2 (ja) 流体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