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729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729B1
KR101475729B1 KR1020130113373A KR20130113373A KR101475729B1 KR 101475729 B1 KR101475729 B1 KR 101475729B1 KR 1020130113373 A KR1020130113373 A KR 1020130113373A KR 20130113373 A KR20130113373 A KR 20130113373A KR 101475729 B1 KR101475729 B1 KR 10147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cylinder block
valve
inner periphera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354A (ko
Inventor
켄지 니시다
노부토시 반노
준 곤도
토시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40041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1/141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145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압축기에는, 실린더 보어를 구비하는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지지되는 토출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의 단부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실린더 보어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외주벽과 내주벽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주벽은, 상기 저부의 일부와 맞닿는 한 쌍의 격벽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격벽 지지부는, 토출 밸브의 양측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내주벽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 블록과 하우징을 구비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21330호는, 단두(single-headed) 피스톤을 구비한 왕복운동형 압축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압축기는, 6개의 보어를 갖는 실린더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 보어를 규정하는 부분의 각각은 밸브 시트부를 형성하는 저부(bottom portion)를 갖고 있다. 밸브 시트부는 토출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보어는 서로 완전히 독립된 챔버(chamber)를 형성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의 후단부(rear end)에는 리어 하우징이 결합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의 중앙에는, 리어 하우징의 후단부를 향해 개구하는 흡입실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토출실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실에 근접한 토출 포트에는 토출 밸브와 리테이너(retainer)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은 리어 하우징과 결합되어, 토출 밸브와 리테이너를 지지해 준다.
그런데, 피스톤이 보어 내의 냉매를 압축할 경우, 보어 내의 압력이 고압이 되어 밸브 시트부(「격벽」(partition)이라고도 함)를 변형시키며, 그에 따라, 보어 내의 에지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격벽을 파손시킬 수 있다. 상기 공보의 압축기에서는, 토출실의 두꺼운 외주벽이 후방으로부터 격벽을 지지해 준다. 이로 인해 격벽의 변형이 억제된다. 그러나, 리어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주벽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토출실의 용적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냉매의 토출시에, 소음이 소정량 만큼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외주벽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토출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토출 밸브의 길이가 짧아진다. 그 결과, 토출 밸브가 변형되기 어려워져, 토출 밸브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213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 밸브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격벽의 변형을 억제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축기는, 실린더 보어를 구비하는 실린더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블록은 일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 블록의 단부는 실린더 보어의 일단을 폐쇄(closing)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실린더 보어의 저면(bottom surface)을 형성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부는 토출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토출 포트는 상기 저부를 관통 신장하여 실린더 보어와 연통한다. 상기 실린더 블록의 단부에는 하우징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은 환상의(annular) 외주벽과, 상기 외주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환상의 내주벽과,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 및, 상기 내주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흡입실을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토출 밸브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외주벽은, 상기 저부의 일부와 접촉하는 한 쌍의 격벽 지지부를 갖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격벽 지지부는, 상기 토출 밸브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주벽을 향해 돌출된다.
본 발명의 여타의 실시 형태와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축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토출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압축기내의 프론트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있어서의 선 E-E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압축기내의 리어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축기내의 리어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선 F-F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축기의 프론트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선 G-G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리어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 1∼도 9를 참고로, 1 실시 형태의 압축기를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양두(double-headed)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인 압축기(10)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 압축기(10)의 하우징은, 서로 결합된 한 쌍의 실린더 블록(11, 12)과, 실린더 블록(11)에 결합되는 프론트 하우징(13) 및, 실린더 블록(12)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14)을 구비한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13)과, 실린더 블록(11, 12) 및, 리어 하우징(14)은, 볼트(56)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에는 축구멍(shaft hole; 11A)이 관통 신장되어 있고, 실린더 블록(12)에는, 축구멍(12A)이 관통 신장되어 있다. 축구멍(11A, 12A)에는 회전축(15)이 삽입통과됨과 함께, 이 회전축(15)은, 축구멍(11A, 12A)의 벽의 시일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5)은, 회전축(15)과 프론트 하우징(13)의 내주벽의 사이에 립 시일형의 시일 장치(16)가 배치된 전방 돌출단을 갖는다. 상기 시일 장치(16)는, 회전축(15)과 프론트 하우징(13)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구획된(defined) 수용실(13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5)에는, 회전축(15)과 일체로 회전하는 사판(swash plate; 17)이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 12) 내에는 사판실(18)이 형성되어 있다. 사판(17)은 사판실(18)에 수용되어 있다. 사판(17)은 환상의 기부(annular base; 17A)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11)의 일단부와 사판(17)의 기부(17A)와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9)이 배치되어 있다. 리어측 실린더 블록(12)의 타단부와 사판(17)의 기부(17A)와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20)이 배치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19, 20)은, 사판(17)을 사이에 끼워 사판(17)의 회전축(15)의 축선(L)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스러스트 베어링(19, 20)은 실린더 블록(11, 12)에 있어서의 축구멍(11A, 12A)의 개구 단부에 밀어 붙여져 있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11)에는 3개의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가 회전축(15)의 주위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로 하면,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11)과 마찬가지로, 리어측 실린더 블록(12)에는, 3개의 리어측 실린더 보어(22)가 회전축(15)의 주위에 배열되어 있다.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와 리어측 실린더 보어(22)는 축선(L) 방향으로 쌍을 이루며 정렬되어 있다. 정렬된 양 실린더 보어(22)의 각 쌍내에는, 양두 피스톤(23)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의 프론트측 단부는,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의 각각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격벽(11B)을 갖고 있다. 격벽(11B)은 실린더 블록(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11B)은, 각각의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부(11C)를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12)의 리어측 단부는, 리어측 실린더 보어(22)의 각각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격벽(12B)을 갖고 있다. 격벽(12B)은 실린더 블록(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12B)은 각각의 리어측 실린더 보어(22)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부(12C)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양두 피스톤(23)에 있어, 한 쌍의 슈(shoe; 24)가 사판(17)을 사이에 끼워, 회전축(15)과 일체로 회전하는 사판(17)의 회전 운동을 양두 피스톤(23)에 전달하며, 이에 따라, 양두 피스톤(23)이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와 리어측 실린더 보어(22) 내를 왕복 운동한다. 또한, 양두 피스톤(23)과 저부(11C)와의 사이의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 내에는, 프론트측 압축실(25)이 구획된다. 양두 피스톤(23)과 저부(12C)와의 사이의 리어측 실린더 보어(22) 내에는, 리어측 압축실(26)이 구획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실린더 블록(11)에는,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이 축구멍(11A) 주위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은, 축구멍(11A) 주위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축구멍(11A)의 주위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11)에는,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29)이 축구멍(11A) 주위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29)은, 축구멍(11A) 주위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축구멍(11A)의 주위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29)은, 실린더 블록(11)의 반경 방향으로,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3을 참고로 하면, 실린더 블록(11)의 저부(11C)에는,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와 프론트측 토출실(28)을 각각 연통하는 3개의 토출 포트(30)가 관통 신장되어 있다. 토출 포트(30)에 있어서의 프론트측 토출실(28)에 가까운 위치에는, 토출 포트(30)를 덮도록 토출 밸브(31)가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밸브(31)는, 내주벽(34)과 격벽(11B)의 사이에 지지되는 고정부(31A)와, 고정부(31A)로부터 외주벽(33)을 향하여 신장되는 밸브부(31B)를 구비한다. 또한, 개스킷(32)이, 토출 밸브(31)의 개도(opening angle)를 규제하는 리테이너(retainer; 3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5를 참고로 하면, 프론트 하우징(13)은 외주벽(33)과, 외주벽(33)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주벽(34)을 갖고 있다. 외주벽(33)과 내주벽(34)은 각각 환상으로 되어 있다. 외주벽(33)과 내주벽(34)과의 사이에는 프론트측 토출실(28)이 형성되고, 내주벽(34)의 내측에는 프론트측 흡입실(55)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측 흡입실(55)은, 수용실(13A)에 연통하고 있다.
외주벽(33)은, 외주벽(33)의 내측에 형성되는 프론트측 토출실(28)과 외부를 격리하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다. 외주벽(33)은, 내주벽(34)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격벽 지지부(33A)를 구비하고 있다. 격벽 지지부(33A)는 저부(11C)의 일부에 접한다. 한 쌍의 격벽 지지부(33A)의 사이에는, 각 밸브부(31B)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경량화를 위해, 외주벽(33)이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볼트(56)를 수용하는 부분에서 내측으로 돌출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저부(11C)의 강도 향상을 위해, 저부(11C)의 일부와 맞닿는 한 쌍의 격벽 지지부(33A)를 복수 쌍 갖고 있다. 각 쌍의 격벽 지지부(33A)는, 대응하는 밸브부(31B)의 선단부의 양측에 배치됨과 함께 내주벽(34)으로 향하여 돌출된다.
내주벽(34)은, 내주벽(34)의 외측에 형성되는 프론트측 토출실(28)과, 내주벽(34)의 내측에 형성되는 프론트측 흡입실(55)을 격리하여 준다. 내주벽(34)의 일부는 밸브 지지부(34A)를 형성한다. 밸브 지지부(34A)는 저부(11C)의 일부를 덮도록 고정부(31A)가 밸브 지지부(34A)와 저부(11C)의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34)과 외주벽(33)은 리브(35)에 의해 연결되며, 리브(35)는 저부(11C)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리브(35)는, 내주벽(34)의 밸브 지지부(34A)와, 외주벽(33)에 있어서의 한 쌍의 격벽 지지부(33A) 사이의 부위를 연결하고 있다. 리브(35)의 길이 방향은 압축기의 반경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리브(35)의 축선(L) 방향의 높이(T2)는 내주벽(34)과 외주벽(33)의 축선(L) 방향의 높이(T1)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이 실린더 블록(11)과 프론트 하우징(13)의 사이에서 지지될 때, 리브(35)는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1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과 프론트 하우징(13)은, 사이에 배치된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에는, 실린더 블록(11)에 형성된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29)과, 프론트 하우징(13)에 형성된 프론트측 토출실(28)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에는, 프론트 하우징(13)에 형성된 프론트측 흡입실(55)과, 프론트 하우징(13)에 형성된 프론트측 흡입실(55)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과 프론트 하우징(13)이, 사이에 배치된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과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13)에는,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과 연통되고, 외부와 차단된 프론트측 흡입실(55)과,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9)과 연통되어, 외부와 차단된 프론트측 토출실(28)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압축기(10)의 리어측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키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실린더 블록(12)에는,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36)이 축구멍(12A) 주위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36)은, 축구멍(12A) 주위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리어측 실린더 보어(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축구멍(12A) 주위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12)에는,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45)이 축구멍(12A) 주위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45)은, 축구멍(12A) 주위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리어측 실린더 보어(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축구멍(12A) 주위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45)은, 실린더 블록(12)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36)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과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36)은, 축선(L)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쌍을 이루며 정렬되어 있다.
도 1과 도 8을 참고로 하면, 실린더 블록(12)의 저부(12C)에는, 리어측 실린더 보어(22)와 리어측 토출실(38)을 연통하는 3개의 토출 포트(39)가 관통 신장되어 있다. 토출 포트(39)에 있어 리어측 토출실(38)에 가까운 위치에는, 토출 포트(39)를 덮도록 토출 밸브(40)가 배치되어 있다. 토출 밸브(40)는, 내주벽(43)과 격벽(12B)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40A)와, 고정부(40A)로부터 외주벽(42)을 향하여 연장되는 밸브부(40B)를 구비한다. 또한, 개스킷(41)에는, 토출 밸브(40)의 개도를 규제하는 리테이너(4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리어 하우징(14)은 외주벽(42)과, 외주벽(42)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주벽(43)을 구비하고 있다. 외주벽(42)과 내주벽(43)은 각각 환상으로 되어 있다. 외주벽(42)과 내주벽(43)과의 사이에는 리어측 토출실(38)이 형성되고, 내주벽(43)의 내측에는 리어측 흡입실(57)이 형성되어 있다. 리어측 흡입실(57)은, 리어측 흡입실(57)의 내주측에 위치된 흡입실(37)에 연통하고 있다.
외주벽(42)은, 외주벽(42)의 내측에 형성되는 리어측 토출실(38)과 외부를 격리하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다. 프론트측과 동일하게, 외주벽(42)은, 내주벽(43)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격벽 지지부(4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격벽 지지부(42A)는 저부(12C)의 일부에 접한다. 한 쌍의 격벽 지지부(42A)의 사이에는, 밸브부(40B)의 선단부가 배치된다. 각 쌍의 격벽 지지부(42A)는, 밸브부(40B)의 선단부의 양측에 배치됨과 함께 내주벽(43)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내주벽(43)은, 내주벽(43)의 외측에 형성되는 리어측 토출실(38)과, 내주벽(43)의 내측에 형성되는 리어측 흡입실(57)을 격리한다. 내주벽(43)의 일부는 밸브 지지부(43A)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지지부(43A)가 저부(12C)의 일부를 덮도록 밸브 지지부(43A)와 저부(12C)의 사이에는 고정부(40A)가 지지되고 있다. 즉, 밸브 지지부(43A)는, 고정부(40A)에 맞닿아, 고정부(40A)를 저부(12C)의 일부로 밀어 붙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벽(43)과 외주벽(42)은 리브(44)에 의해 연결되며, 리브(44)는 저부(12C)와 대향하고 있다. 리브(44)는, 내주벽(43)의 밸브 지지부(43A)와, 외주벽(42)에 있어서의 한 쌍의 격벽 지지부(42A)의 사이의 부위를 연결하고 있다. 리브(44)의 길이 방향은 압축기의 반경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리브(44)의 축선(L) 방향의 높이는 내주벽(43)과 외주벽(42)의 축선(L) 방향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 밸브(40)와 개스킷(41)이 실린더 블록(12)과 리어 하우징(14)의 사이에 지지될 때, 리브(44)는 토출 밸브(40)와 개스킷(41)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과 리어 하우징(14)은, 사이에 토출 밸브(40)와 개스킷(41)을 개재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토출 밸브(40) 와 개스킷(41)에는, 실린더 블록(12)에 형성된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45)과, 리어 하우징(14)에 형성된 리어측 토출실(38)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 밸브(40)와 개스킷(41)에는, 실린더 블록(12)에 형성된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36)과, 리어 하우징(14)에 형성된 리어측 흡입실(57)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2)과 리어 하우징(14)이, 사이에 토출 밸브(40) 와 개스킷(41)을 개재하여 결합됨으로써, 리어 하우징(14)에는,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36)과 연통되며, 외부와 차단된 리어측 흡입실(57, 37)과,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45)과 연통되며, 외부와 차단된 리어측 토출실(38)이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 12)에는, 흡입 통로(46)가 관통 신장되며, 상기 흡입 통로(46)는, 프론트측 개구가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 중 1개에 연통하고, 리어측 개구가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36) 중 1개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11)에는, 흡입구(47)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47)는, 일단부가 실린더 블록(11)의 외주면으로 개구됨과 함께, 타단부가 흡입 통로(46)의 내주면으로 개구되어 있다. 흡입구(47)에는, 외부 냉매 회로로 배관이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 12)에는, 토출 통로(48)(도 2 참조)가 관통 신장하며, 상기 토출 통로(48)는, 프론트측 개구가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29) 중 1개에 연통하고, 리어측 개구가 3개의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45) 중 1개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11)에는, 토출구(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는, 일단부가 실린더 블록(11)의 외주면으로 개구됨과 함께, 타단부가 토출 통로(48)의 내주면으로 개구되어 있다. 토출구에는, 외부 냉매 회로로 배관이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통로(48)는, 실린더 블록의 원주 방향으로, 흡입 통로(46)와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다음, 프론트측 흡입 구조에 대해서 설명키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에는,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과 축구멍(11A)을 각각 연통시키는 흡입실용 연통로(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11)에는, 축구멍(11A)과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를 연통시키는 보어용 연통로(51)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용 연통로(50)와 보어용 연통로(51)는, 축구멍(11A) 주위의 원주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5)의 프론트측의 원주면에는, 도입 홈(intake groove; 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입 홈(52)은, 축구멍(11A)의 시일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흡입실용 연통로(50)와 보어용 연통로(51)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통되어 있다. 회전축(15)의 회전에 따라 도입 홈(52)이 이동됨으로써, 도입 홈(52)이 연통하는 흡입실용 연통로(50)와 보어용 연통로(51)가 기계적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일면에 의해 포위된 회전축(15)의 부분은, 회전축(15)에 일체로 형성된 프론트측 로터리 밸브로서 기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리어측의 흡입 구조에 대해서 설명키로 한다. 도 1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에는, 리어측 실린더 보어(22)와 축구멍(12A)을 연통시키는 리어측 도입 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5)의 리어측의 부분은 원주면에 형성된 공급 홈(54)을 구비하고 있다. 공급 홈(54)의 일단부는, 리어 하우징(14) 내의 흡입실(37)로 개구되고, 공급 홈(54)의 타단부는, 리어측 도입 통로(53)와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15)의 회전에 따라 공급 홈(54)이 이동됨으로써, 공급 홈(54)이 연통하는 리어측 도입 통로(53)가 기계적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일면에 의해 포위된 회전축(15)의 부분은, 회전축(15)에 일체로 형성된 리어측 로터리 밸브로서 기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압축기(10)의 작용을 설명키로 한다. 흡입구(47)를 통하여 흡입 통로(46)에 냉매가 흡입되고,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 36)의 각각에 냉매가 공급된다.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가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측 로터리 밸브의 도입 홈(52)이, 1개의 흡입실용 연통로(50)와 대응하는 보어용 연통로(51)가 연통한다. 이로 인해, 실린더 블록측 흡입실(27)로부터 프론트측 로터리 밸브를 경유하여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내로 냉매가 흡입된다.
이어, 회전축(15)의 회전에 따라, 도입 홈(52)이 이동하여 흡입실용 연통로(50)와 보어용 연통로(51)를 분리시킨다. 이로 인해,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가 차단되어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는 압축 행정과 토출 행정으로 이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프론트측 압축실(25) 내에 흡입된 냉매는, 양두 피스톤(23)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고압으로 압축되며, 이어서, 냉매가 토출 포트(30)로부터 토출 밸브(31)를 강제로 개방하여 프론트측 토출실(28)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 포트(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의해, 토출 밸브(31)의 밸브부(31B)는, 개스킷(32)의 리테이너(32A)와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토출 밸브(31)는 열리게 된다.
압축 행정시, 프론트측 압축실(25) 내의 냉매의 압력은 고압이 되며, 따라서, 저부(11C)에는 상기 저부(11C)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내압(internal pressure)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여, 저부(11C)는 변형시킨다. 저부(11C)가 변형되면, 저부(11C)와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21)와의 접속점인 에지부(R)에 응력이 집중된다. 그런데, 프론트 하우징(13)은, 프론트측 토출실(28)과 프론트측 흡입실(55)을 구획하는 외주벽(33)과 내주벽(34)을 갖고 있다. 외주벽(33)의 단면과 내주벽(34)의 단면은,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의 적어도 한쪽을 통하여 실린더 블록(11)의 격벽(11B)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격벽 지지부(33A)가 외주벽(33)으로부터 돌출되어, 저부(11C)의 일부를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격벽 지지부(33A)는 개스킷(32)을 통하여 저부(11C)의 일부를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프론트 하우징(13)이 저부(11C)와 맞닿는 면적이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증가되며, 이로 인해, 압축시에 저부(11C)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격벽 지지부(33A)는 밸브부(31B)의 선단부의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 밸브(31)와 격벽 지지부(33A)와의 간섭이 방지되면서, 토출 밸브(31)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고정부(31A)로부터 밸브부(31B)에 이르는 길이)가 소정 길이로 유지된다.
또한, 고정부(31A)가, 내주벽(34)의 일부인 밸브 지지부(34A)와 저부(11C)의 사이에 지지되어, 밸브 지지부(34A)가 저부(11C)의 일부를 덮어 준다. 따라서, 프론트 하우징(13)이 저부(11C)와 맞닿는 면적이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증가되며, 이로 인해, 압축시 저부(11C)의 변형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밸브 지지부(34A)는 토출 밸브(31)의 고정부(31A)를 지지하는 기능과, 저부(11C)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내주벽(34)과 외주벽(33)은 리브(35)에 의해 연결되며, 리브(35)는 저부(11C)와 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내주벽(34)과 외주벽(33)의 강도가 향상되고, 프론트 하우징(13) 전체의 강성(rigidity)이 향상되어, 압축시, 저부(11C)의 변형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리브(35)의 축선(L) 방향의 높이(T2)는 내주벽(34) 과 외주벽(33)의 축선(L) 방향의 높이(T1)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35)가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과 간섭하는 일은 없어, 토출 밸브(31)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런데, 격벽 지지부(33A)와 밸브 지지부(34A)를 형성함으로써, 프론트측 토출실(28)의 용적이 작아지지만, 외주벽(33)이나 내주벽(34)의 전체 두께가 증가될때에 비하여, 프론트측 토출실(28)은 충분한 용적이 확보된다. 따라서, 냉매의 토출시에 있어서의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론트측 토출실(28)로 토출된 냉매는,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29)로부터, 토출 통로(48)와 토출구를 경유하여 외부 냉매 회로로 유출된다.
한편, 압축기의 리어측에 있어서는, 냉매가 흡입실(37)로 흡입될 때, 리어측 실린더 보어(22)가 흡입 행정으로 이행하면, 리어측 로터리 밸브에 있어서의 흡입실(37)과 연통한 공급 홈(54)이, 리어측 도입 통로(53)와 연통한다. 이에 따라, 리어측 도입 통로(53)에는, 흡입실(37)로부터 리어측 로터리 밸브를 경유하여 냉매가 공급되어, 리어측 도입 통로(53)에 연통하는 리어측 실린더 보어(22)로 냉매가 흡입된다.
회전축(15)의 회전에 수반하여, 공급 홈(54)과 리어측 도입 통로(53)가 분리되어, 리어측 실린더 보어(22)가 차단되며, 이어서, 리어측 실린더 보어(22)는 압축 행정과 토출 행정으로 이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리어측 압축실(26) 내에 흡입된 냉매는, 양두 피스톤(23)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고압으로 압축된 후, 토출 포트(39)로부터 토출 밸브(40)를 강제로 개방하여 리어측 토출실(38)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 포트(39)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에 의해, 토출 밸브(40)의 밸브부(40B)는, 개스킷(41)의 리테이너(41A)와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토출 밸브(40)는 열리게 된다.
또한, 압축 행정시, 리어측 압축실(26) 내의 냉매의 압력이 고압이 되고, 저부(12C)에 외력이 작용하여, 저부(12C)를 변형시킨다. 저부(12C)가 변형되면, 저부(12C)와 리어측 실린더 보어(22)와의 접속점인 에지부(R)에 응력이 집중된다. 그런데, 리어 하우징(14)은, 프론트측 하우징(13)과 동일하게, 리어측 토출실(38)과 리어측 흡입실(57)을 구획하는 외주벽(42)과 내주벽(43)을 갖고 있다. 외주벽(42)의 단면과 내주벽(43)의 단면은, 토출 밸브(40) 및 개스킷(41)의 적어도 한쪽을 통하여 실린더 블록(12)의 격벽(12B)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외주벽(42)으로부터는 격벽 지지부(42A)가 돌출되며, 내주벽(43)은 밸브 지지부(43A)를 갖고, 내주벽(43)과 외주벽(42)은 리브(4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은 프론트측과 동일하여, 프론트측과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프론트측에 있어서의 외주벽(33)과, 내주벽(34)과, 격벽 지지부(33A)와, 밸브 지지부(34A)와, 리브(35)와, 프론트측 흡입실(55) 및 프론트측 토출실(28)은, 리어측에 있어서의 외주벽(42)과, 내주벽(43)과, 격벽 지지부(42A)와, 밸브 지지부(43A)와, 리브(44)와, 리어측 흡입실(57) 및 리어측 토출실(38)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리어측 토출실(38)로 토출된 냉매는, 실린더 블록측 토출실(45)로부터 토출 통로(48) 및 토출구를 경유하여 외부 냉매 회로로 유출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압축기(10)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 프론트 하우징(13)의 외주벽(33)으로부터는 격벽 지지부(33A)가 돌출되며, 격벽 지지부(33A)는 저부(11C)의 일부에 접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프론트 하우징(13)이 저부(11C)와 맞닿는 면적이 증가되어, 압축시의 저부(11C)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격벽 지지부(33A)는 대응하는 밸브부(31B)의 선단부의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토출 밸브(31)와 격벽 지지부(33A)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토출 밸브(31)의 길이(고정부(31A)로부터 밸브부(31B)에 이르는 길이)를 소정 길이로 유지할 수 있어, 토출 밸브(31)의 동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2) 프론트 하우징(13)에 있어서의 내주벽(34)의 일부에 의해 밸브 지지부(34A)가 형성되고, 밸브 지지부(34A)가 저부(11C)의 일부를 덮도록 밸브 지지부(34A)와 저부(11C)의 사이에 고정부(31A)가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프론트 하우징(13)이 저부(11C)와 맞닿는 면적이 증가되어, 압축시의 저부(11C)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지지부(34A)가 토출 밸브(31)의 고정부(31A)를 지지하는 기능과, 저부(11C)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다.
(3) 프론트 하우징(13)에 있어서의 내주벽(34)과 외주벽(33)이 리브(35)에 의해 연결되고, 리브(35)는 저부(11C)와 대향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내주벽(34)과 외주벽(33)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압축시의 저부(11C)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35)의 축선(L) 방향의 높이(T2)는 내주벽(34)과 외주벽(33)의 축선(L) 방향의 높이(T1)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35)와, 토출 밸브(31) 및 개스킷(32)이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어, 토출 밸브(31)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프론트 하우징(13)에 있어서의 격벽 지지부(33A)와 밸브 지지부(34A)를 형성함으로써, 프론트측 토출실(28)의 용적이 작아진다. 그러나, 외주벽(33)이나 내주벽(34)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에 비하여, 프론트측 토출실(28)에 대하여 충분한 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냉매의 토출시의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5) 리어 하우징(14)의 외주벽(42)으로부터 격벽 지지부(42A)가 돌출되며, 격벽 지지부(42A)는 저부(12C)의 일부에 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리어 하우징(14)이 저부(12C)와 맞닿는 면적이 증가되어, 압축시의 저부(12C)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격벽 지지부(42A)는 밸브부(40B)의 선단부의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토출 밸브(40)와 격벽 지지부(42A)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토출 밸브(40)의 길이(고정부(40A)로부터 밸브부(40B)에 이르는 길이)를 소정 길이로 유지할 수 있어, 토출 밸브(40)의 동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6) 리어 하우징(14)의 내주벽(43)은 밸브 지지부(43A)를 갖고, 밸브 지지부(43A)가 저부(12C)의 일부를 덮도록 밸브 지지부(43A)와 저부(12C)의 사이에 고정부(40A)가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리어 하우징(14)이 저부(12C)와 맞닿는 면적이 증가되어, 압축시의 저부(12C)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지지부(43A)가 토출 밸브(40)의 고정부(40A)를 지지하는 기능과, 저부(12C)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여, 장치를 간략화 할 수 있다.
(7) 리어 하우징(14)에 있어서의 내주벽(43)과 외주벽(42)은 리브(44)에 의해 연결되고, 리브(44)는 저부(12C)와 대향하고 있다. 이로 인해, 리브(44)가, 내주벽(43)과 외주벽(42)의 강성을 향상시켜, 압축시의 저부(12C)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44)의 축선(L) 방향의 높이는 내주벽(43)과 외주벽(42)의 축선(L) 방향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44)와, 토출 밸브(40) 및 개스킷(41)이 간섭하는 일은 없어, 토출 밸브(40)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8) 리어 하우징(14)에 있어서의 격벽 지지부(42A)와 밸브 지지부(43A)를 형성함으로써, 리어측 토출실(38)의 용적이 작아진다. 그러나, 외주벽(42)이나 내주벽(43)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에 비하여, 리어측 토출실(38)에 대하여 충분한 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냉매의 토출시에 있어서의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0과 도 11을 참고로, 압축기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로 부터 리어 하우징(14)의 형상을 변경한 것으로, 그 외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대응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어 하우징(61)이, 외주벽(42)과 내주벽(43)을 연결하는 리브(44)의 양측부에 배치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62)를 갖는다. 상기 돌기부(62)는 저부(12C)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리브(44)는, 격벽 지지부(42A)와 밸브 지지부(43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돌기부(62)의 축선(L) 방향의 높이는 내주벽(43)과 외주벽(42)의 축선(L) 방향의 높이와 동일하다. 각 돌기부(62)는, 저부(12C)의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62)는, 토출 밸브(40)와 개스킷(41)과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돌기부(62)가 6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62)를 형성함으로써, 리어 하우징(61)이 저부(12C)와 맞닿는 면적이 더욱 증가되며, 이로 인해, 압축시의 저부(12C)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62)는 토출 밸브(40)와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 밸브(40)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점 (1)∼(8)이 얻어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2 ∼도 14를 참고로, 압축기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로 부터 프론트 하우징(13)과 리어 하우징(14)의 형상을 변경한 것으로, 그 외의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대응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프론트 하우징(71)에 있어서는, 외주벽(33)의 한 쌍의 격벽 지지부(33A)와 내주벽(34)의 대응 밸브 지지부(34A)는, 한 쌍의 리브(72)에 의해 연결되며, 리브(72)는 저부(11C)와 대향하고 있다. 각각의 격벽 지지부(33A)는 볼트 구멍(75)으로 부터 보았을 때 밸브 지지부(34A)쪽에 위치되고, 리브(72)중의 일방의 연장선 상에 볼트 구멍(75)이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리브(72)는, 대응하는 한 쌍의 격벽 지지부(33A)로부터 연장되어, 대응하는 밸브 지지부(34A)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리브(72)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밸브 지지부(34A) 근방에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72)의 축선(L) 방향의 높이(T2)는 내주벽(34)과 외주벽(33)의 축선(L) 방향의 높이(T1)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 블록(11)과 프론트 하우징(71)의 사이에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이 지지될 때, 리브(72)는 토출 밸브(31)와 개스킷(32)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12에는, 3 쌍의 리브(72) 또는 모두 6개의 리브(72)가 나타나져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리어 하우징(73)에 있어서는, 외주벽(42)의 한 쌍의 격벽 지지부(42A)와 내주벽(43)의 대응하는 밸브 지지부(43A)는, 한 쌍의 리브(74)에 의해 연결되며, 리브(74)는 저부(12C)와 대향하고 있다. 각각의 격벽 지지부(42A)는 볼트 구멍(76)으로 부터 보았을 때 밸브 지지부(43A)쪽에 위치되고, 리브(74)중의 일방의 연장선 상에 볼트 구멍(76)이 위치하고 있다. 한 쌍의 리브(74)는, 대응하는 한 쌍의 격벽 지지부(42A)로부터 연장되어, 대응하는 밸브 지지부(43A)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리브(74)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밸브 지지부(43A) 근방에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리브(74)의 축선(L) 방향의 높이는 내주벽(43)과 외주벽(42)의 축선(L) 방향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 블록(12)과 리어 하우징(73)의 사이에 토출 밸브(40)와 개스킷(41)이 지지될 때, 리브(74)는 토출 밸브(40)와 개스킷(41)과 접촉하지 않는다. 도 14에는, 3 쌍의 리브(72) 또는 모두 6개의 리브(72)가 나타나져 있다.
프론트 하우징(71)에 있어, 한 쌍의 격벽 지지부(33A)와 밸브 지지부(34A)는 한 쌍의 리브(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격벽 지지부(33A)와 밸브 지지부(34A)의 강성이 향상되어, 압축시의 저부(11C)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72)의 연장선 상에 볼트 구멍(75)이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밸브 지지부(34A)의 강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72)의 축선(L) 방향의 높이(T2)는 내주벽(34)과 외주벽(33)의 축선(L) 방향의 높이(T1)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72)와, 토출 밸브(31) 및 개스킷(32)이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어, 토출 밸브(31)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리어 하우징(73)에 있어서는, 한 쌍의 격벽 지지부(42A)와 밸브 지지부(43A)가 한 쌍의 리브(7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격벽 지지부(42A)와 밸브 지지부(43A)의 강성이 향상되어, 압축시의 저부(12C)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74)의 연장선 상에 볼트 구멍(76)이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밸브 지지부(43A)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74)의 축선(L) 방향의 높이는 내주벽(43)과 외주벽(42)의 축선(L) 방향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74)와, 토출 밸브(40) 및 개스킷(41)이 간섭하는 일은 없어, 토출 밸브(40)의 동작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의 이점 (1), (2), (4)∼(6) 및, (8)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 또는 권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제1∼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이, 외주벽으로부터 격벽 지지부가 돌출되고, 내주벽의 일부로서 밸브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는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하지만,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동일 구조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리어 하우징만이 상기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와는 달리, 단두 피스톤형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로터리 밸브를 대신하여, 실린더 블록의 격벽에 형성한 토출 포트와 흡입 포트와, 리드형 토출 밸브(reed discharge valve)와 리드형 흡입 밸브에 의해, 토출 및 흡입 기구를 형성해도 좋다.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일측에 3개의 실린더와 양측에 6개의 실린더를 갖는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이와는 달리, 일측에 5개의 실린더와 양측에 10개의 실린더를 갖는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제1∼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개스킷(32)(개스킷(41))이 실린더 블록(11)(실린더 블록(12))과 프론트 하우징(리어 하우징)의 사이에 지지되었지만, 이와는 달리, 기밀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면, 개스킷(32)(개스킷(41))을 생략해도 좋다. 이렇게, 개스킷은, 본 발명의 이점에 필수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시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권리범위와 균등물의 범위내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

Claims (4)

  1. 실린더 보어를 구비한 실린더 블록으로서, 상기 실린더 블록의 단부(end)는 상기 실린더 보어의 일단부를 폐쇄하는 격벽(partition)을 갖고 있고, 상기 격벽은 상기 실린더 보어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부(bottom portion)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저부에는 상기 실린더 보어와 연통하는 토출 포트가 관통 신장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 블록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환상의(annular) 외주벽과, 상기 외주벽의 내측에 있는 환상의 내주벽과, 상기 외주벽과 상기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토출실 및, 상기 내주벽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실을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지지되는 토출 밸브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은, 상기 저부의 일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격벽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지지부는, 상기 토출 밸브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주벽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지지되는 고정부와, 상기 토출 포트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주벽은, 상기 격벽과 함께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지지부는 상기 저부의 일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주벽과 상기 외주벽을 연결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내주벽과 상기 외주벽의 축선방향의 높이보다 낮은 축선방향의 높이를 갖고 있으며,
    상기 리브는 상기 저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한 쌍의 리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리브는, 상기 한 쌍의 격벽 지지부로부터 각각 상기 내주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내주벽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130113373A 2012-09-27 2013-09-24 압축기 KR101475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5190 2012-09-27
JP2012215190 2012-09-27
JPJP-P-2013-110570 2013-05-27
JP2013110570A JP2014080965A (ja) 2012-09-27 2013-05-27 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354A KR20140041354A (ko) 2014-04-04
KR101475729B1 true KR101475729B1 (ko) 2014-12-23

Family

ID=5033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373A KR101475729B1 (ko) 2012-09-27 2013-09-24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86760A1 (ko)
JP (1) JP2014080965A (ko)
KR (1) KR101475729B1 (ko)
CN (1) CN103696929A (ko)
BR (1) BR10201302466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923B1 (ko) * 2016-11-02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3094A (ja) * 2015-01-21 2016-07-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DE102017203928A1 (de) * 2017-03-09 2018-09-13 Mahle International Gmbh Axialkolbenmas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66Y1 (ko) * 1986-01-17 1990-03-03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아사꾸쇼 사판식 압축기
KR100189577B1 (ko) * 1995-01-31 1999-06-01 이소가이 지세이 왕복운동형 압축기
KR20110003827A (ko) * 2009-07-06 2011-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12Y2 (ko) * 1987-03-11 1993-03-09
JPH06147116A (ja) * 1992-11-13 1994-05-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型圧縮機
JP3513836B2 (ja) * 1994-02-23 2004-03-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H08121330A (ja) * 1994-10-27 1996-05-1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H08170588A (ja) * 1994-12-16 1996-07-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H109136A (ja) * 1996-06-24 1998-01-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4810701B2 (ja) * 2001-07-24 2011-11-09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往復式冷媒圧縮機
JP4003673B2 (ja) * 2003-03-13 2007-11-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KR101104281B1 (ko) * 2005-09-02 2012-0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CN101769375B (zh) * 2008-12-29 2014-10-01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缸盖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66Y1 (ko) * 1986-01-17 1990-03-03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아사꾸쇼 사판식 압축기
KR100189577B1 (ko) * 1995-01-31 1999-06-01 이소가이 지세이 왕복운동형 압축기
KR20110003827A (ko) * 2009-07-06 2011-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923B1 (ko) * 2016-11-02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
US11073142B2 (en) 2016-11-02 2021-07-27 Hyundai Motor Company Air-conditioner compress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96929A (zh) 2014-04-02
BR102013024665A2 (pt) 2016-04-26
JP2014080965A (ja) 2014-05-08
US20140086760A1 (en) 2014-03-27
KR20140041354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3385B1 (en) Double-headed swash plate compressor
US5603611A (en) Piston type compressor with simple but vibration-reducing suction reed valve mechanism
US8899943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US6231315B1 (en) Compressor having a value plate and a gasket
JP5949386B2 (ja) ベーン型圧縮機
KR101475729B1 (ko) 압축기
US9140249B2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3608299B2 (ja)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KR20090031953A (ko) 압축기
JP6135573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04278360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US5533872A (en) Reciprocating piston compressor
US8303263B2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20140294617A1 (en)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US20090257890A1 (en) Oil separating structur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20130343922A1 (en) Swash-plate-type compressor
KR101580533B1 (ko) 압축기
US20150211505A1 (en) Double-headed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JP2005188328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3855952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101193296B1 (ko) 압축기
JP3111683B2 (ja) 斜板式圧縮機の回転軸シール構造
WO2016104461A1 (ja) ピストン型圧縮機
JPH09273478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20210007702A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