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131B1 -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 Google Patents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131B1
KR100291131B1 KR1019990000091A KR19990000091A KR100291131B1 KR 100291131 B1 KR100291131 B1 KR 100291131B1 KR 1019990000091 A KR1019990000091 A KR 1019990000091A KR 19990000091 A KR19990000091 A KR 19990000091A KR 100291131 B1 KR100291131 B1 KR 100291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ternal space
state
slider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735A (ko
Inventor
구니모토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케이이치 쿠니모토
웨스턴 암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이치 쿠니모토, 웨스턴 암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이치 쿠니모토
Publication of KR1999006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41B11/55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the projectiles being stored in stacked order in a removable box magazine, rack or tubular magazine
    • F41B11/56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the projectiles being stored in stacked order in a removable box magazine, rack or tubular magazine the magazine also housing a gas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 F41B11/72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41B11/721Valves; Arrangement of valves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both firing the projectile and for loading or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탄환의 발사 및 슬라이더부의 이동에 의한 다음 탄의 장탄실에의 공급을 하도록 구비되는 축압실로부터 도출되는 가스를 제어하는 가스 제어 수단을 비교적 소규모화 하고 그 구성을 간략화 한다.
배럴부(2)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게 된 슬라이더부(60) 내부에 배치되고, 축압실(43)로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4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내부 공간(23) 및 제 2 내부 공간(24)이 설치된 가동 부재(20)와 제 1 내부 공간(23)에 배치되고,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를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장탄실(4)에 공급된 탄환에 작용시키는 제 1 상태로부터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의 제 1 내부 공간(23)내를 통하여 장탄실(4)를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여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를 제 2 내부 공간(24)을 통하여 수압부(61A)를 향하는 제 2 상태로 이행하는 가동 밸브부(4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Model gun with automatic bullet supplying mechanism}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배럴부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장탄실에 대하여 가스압에 의해 발사되는 탄환을 가스압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를 구비한 완구총에 관한 것이다.
유희총(air soft gun)으로 칭하는 완구총에 있어서는 통상 형상, 질감에 가하여 외관상의 동작도 실물과 같은 것이 되도록 작성된다. 이러한 완구총 중, 트리거 조작에 따라서 배럴을 따라 배치된 슬라이더가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총을 모방한 것에 있어서, 배럴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장탄실에 장전된 탄환의 발사를 가스압에 의해 행하는 것에 가하여, 장탄실에 대한 탄환의 공급도 가스압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실개평 3­38593호 공보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기가 충전됨과 동시에, 개폐 밸브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가 설치된 축압 봄베, 탄창, 제 1 및 제 2 밸브, 제 1 및 제 2 가스 통로 및 급탄 레버가 그립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착탄 구멍이 설치된 배럴에 대하여 배치된 슬라이더내에 착탄 구멍을 형성하는 탄창판을 거쳐 배럴에 대향하는 실린더가 배치되고, 또한 탄창판에 걸어 맞추어 선택적으로 탄창판을 승강시키는 회전 캠 및 슬라이더의 이동을 따라 이동되는 스프링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고, 축압 봄베로부터의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착탄 구멍에 장전된 탄환의 발사 및 착탄 구멍에 대한 탄환 공급을 하도록 된 완구총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완구총에 있어서는 트리거가 당겨지면 제 1 밸브가 개폐 밸브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가 열린 상태로 된 축압 봄베로부터의 공기가 제 1 가스 통로를 통하여 실린더내에 공급되는 상태로 놓여지고, 그 실린더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내에 수용된 피스톤 부재가 슬라이더를 초기 위치로부터 후퇴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축압 봄베로부터의 공기가 공급되는 실린더는 슬라이더가 소정량 후퇴되면 배기 상태에 놓여진다. 한편, 슬라이더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후퇴에 따라 스프링 가이드 부재가 스프링 부재를 압축하면서 후퇴되어 회전 캠을 그것에 걸어 맞춘 탄창판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것에 의해 탄창판에서의 착탄 구멍이 총구에 대향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탄창에서 배출된 탄환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동된다. 그리고, 그 탄창으로부터 배출된 탄환이 트리거에 연동하여 요동되는 급탄 레버에 의해 착탄 구멍내에 장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가 배기 상태에 놓여지고 슬라이더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하여 초기 위치에 도달할 때에 스프링 부재가 스프링 가이드 부재를 본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복귀 상태로 되고, 그것에 의해 회전 캠이 탄창판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탄환이 장전된 착탄 구멍이 초기 위치에 놓인다. 이와 같이 탄환이 장전된 착탄 구멍이 초기 위치에 놓일 때, 트리거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해머에 의해 제 2 밸브가 개폐 밸브부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가 열린 상태로 된 축압 봄베로부터의 공기가 제 2 가스 통로를 통하여 착탄 구멍에 공급되는 상태에 놓이고, 그 착탄 구멍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착탄 구멍에 장전된 탄환이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하는 슬라이더의 초기 위치에의 도달에 따라 발사된다.
상술과 같은 배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내에 압력실을 형성하는 실린더가 배치되고, 트리거가 당겨져 행해지는 압력실에 대한 공기의 급배에 의해 착탄 구멍에 대한 탄환 공급이 행해지도록 된 완구총으로서 종래 제안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탄환의 자동 연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축압 봄베에 대하여 개폐 밸브에 가하여 제 1 및 제 2 밸브가 설치됨에 따라 개폐 밸브를 가스 도출 통로부가 열린 상태로 되는 위치에 유지하는 연결부, 제 1 밸브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밸브 제어 기구 및 제 2 밸브의 동작 제어를 하는 해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압 봄베로부터 도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가스 제어 수단의 구성이 전체로서 비교적 대규모로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그것에 의해 완구총 본체에서의 가스 제어 수단의 배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가스 제어 수단을 구성하는 개폐 밸브부, 제 1 및 제 2 밸브의 각각이 실질적으로 축압실로부터 공통 가스 통로내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게 되어 상호 인접 배치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밸브 배치에 관하여 가해지는 제약이 비교적 엄격해져 설계 자유도의 감소가 초래된다는 불적합함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배럴부 후단 부분에 축압실으로터의 가스압이 이용되어 발사되는 탄환이 장전되는 장탄실이 설치됨과 동시에,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압이 이용되어 배럴부를 따라 후퇴되고 탄환이 발사된 후의 장탄실에 다음 탄환을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슬라이더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스 도출 통로부를 갖는 축압실에 관련하여 형성되는 가스 유통 공간에 설치되는 밸브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축압실로부터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하여 도출되는 가스를 제어하는 가스 제어 수단이 비교적 소규모로 그 구성이 매우 간략화됨과 동시에, 가스 유통 공간에 설치되는 밸브 수단의 배치에 관한 제약이 경감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을 제공한다.
도 1은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의 일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
도 2는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관한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의 다른 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트리거 2…배럴부
2I… 내측 배럴2U…외측 배럴
4…장탄실 4A…환 형상 부재
6…제 1 해머7…제 2 해머
8…그립부10…완구총 본체
15…회동 레버16…가동 접촉 부재
17, 22, 50, 52, 80…코일 스프링 20, 70…가동 부재
20A, 70A…격벽 부분23, 73…제 1 내부 공간
24, 74…제 2 내부 공간30, 37…토글 스프링
31…록 부재36…회동 암
40…케이스41…탄창
43…축압실 44…가스 도출 통로부
45…개폐 밸브부46, 76…가동 밸브부
51…로드60…슬라이더부
61…유저 통 형상부 61A…수압부
BB…탄환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은 가스 도출 통로부가 연결되어 배치된 축압실과, 가스 도출 통로부를 개폐 제어하는 개폐 밸브부와, 배럴부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장탄실과 배럴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라이더부와, 슬라이더부에서의 배럴부의 후방이 되는 부분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부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수압부와, 슬라이더부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의 이동이 가능하여 장탄실 후방에 배치되고, 각각이 가스 도출 통로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장탄실을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내부 공간 및 수압부를 향하여 개구하는 제 2 내부 공간이 설치된 가동 부재와,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가동 밸브부를 구비하고, 가동 부재가 가스 도출 통로부가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에 연결됨과 함께 개폐 밸브부가 가스 도출 통로부를 열린 상태로 하는 기간에 있어서,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에서의 가스를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에 작용시키는 제 1 상태로부터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가스의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장탄실을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여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를 제 2 내부 공간을 통하여 수압부를 향하는 제 2 상태에 이행하고, 그 제 2 상태하애서 가스 압력에 의해 수압부를 슬라이더부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하에서 슬라이더부의 후퇴에 따르는 가동 부배의 후퇴를 발새시켜 탄창으로부터 장탄실에의 탄환 공급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원의 청구범위에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의 각각이 가동 부재 위치에 따라서 가스 도출 통로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에 놓인다.
또한, 특히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5애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있어서는 가동 밸브부가 제 1 내부 공간에 있어서 그 제 1 내부 공간을 개통 상태로 하는 방향의 가압이 이루어져 있고, 제 1 내부 공간에 미쳐지는 압력 감소에 따라서 가압에 저항하여 제 1 내부 공간을 차단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있어 서는 축압실에 연결된 가스 도출 통로부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하는 개폐 밸브부 및 가동 부재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가스 도출 통로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 중 제 1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를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에 작용시키는 제 1 상태와,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의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장탄실을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여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를 제 2 내부 공간을 통하여 수압부를 향하는 제 2 상태로 되고, 개폐 밸브부가 가스 도출 통로부를 열린 상태로 하는 기간에 있어서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에 이행하고, 그 제 2 상태하에서 가스압에 의해 수압부를 슬라이더부를 따라 후방에 이동시키는 가동 밸브부를, 주요 구성 요소로서 축압실로부터 도출되는 가스를 제어하는 가스 제어 수단이 구성된다. 이러한 개폐 밸브부 및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 제어 수단은 그 전체가 비교적 소규모로 구성이 간략화된 것으로 되어 완구총 본체에서의 배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더구나,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 및 슬라이더부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수압부에의 작용 상태가 1개의 가동 밸브부에 의해 제어되브로, 가동 밸브부의 배치에 관한 제약이 대폭 경감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의 각각이 가동 부재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가스 도출 통로부에 연결된다.
또한, 특히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가동 밸브부가 그 제 1 내부 공간을 개통 상태로 하는 방향에 가압이 이루어져, 제 1 내부 공간에 미치게 되는 압력 감소에 따라서 가압에게 저항하여 제 1 내부 공간을 차단 상태로 하는 방향에 이동하게 되며, 그것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의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 및 슬라이더부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수압부에의 작용 상태에 관한 제어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실시예
도 2는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는 트리거(1), 외측 배럴(2U) 및 내측 배럴(2I)를 포함한 배럴부(2), 배럴부(2) 후단 부분에 설치된 장탄실(4), 해머부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해머(6, 7) 및 그립부(8)를 갖는 완구총 본체(10)와 그립부(8)내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 케이스(40)가 구비되어 있고, 배럴부(2)에 관련하여 배럴부(2)를 따르는 방향에 이동할 수 있게 된 슬라이더부(60)가 배치되어 있다. 장탄실(4)은 고무재 등의 탄성 마찰재로 이루어지는 환 형상 부재(4A)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환 형상 부재(4A)는 내측 배럴(2I) 후단 부분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립부(8)에는 트리거(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 바(11)가 배치되어 있고, 트리거(1)는 배럴부(2)를 따르는 방향에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트리거(1)는 그것이 당겨질 때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완구총 본체(10)에 설치된 접촉부(12)보다 전방이 되는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또한 그것에따라 가동 바(11)도 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러한 가동 바의 후단부에는 가동 접촉 부재(16)가 맞닿아 있고 가동 접촉 부재(16)는 축(14)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레버(15)에 선택적으로 맞닿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부(60)는 완구총 본체(10)에서의 배럴부(2)가 설치된 부분에 끼워 맞추어져 있고, 그 전방측 부분을 이루는 제 1 부분(60A)과, 제 1 부분(60A)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배럴부(2) 후방에 위치된 후방측 부분을 이루는 제 2 부분(60B)을 갖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부(60)는 트리거(1)가 조작 개시 위치에 있는 하에서는 제 1 부분(60A)이 그 전단부를 완구총 본체(10)의 전단부에 근접시키는 위치에 놓여짐과 동시에 제 2 부분(60B)이 완구총 본체(10)에서의 배럴부(2)와 그립부(8) 사이가 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중간 부분을 덮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기준 위치에 놓여진다.
슬라이더부(60)에서의 제 1 부분(60A)에는 코일 스프링(17)이 걸어 맞추어져 있다. 코일 스프링(17)은 완구총 본체(10)에서의 트리거(1) 전방측에 배치되어 배럴부(2)를 따라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18)에 감겨 끼워진 상태로서 슬라이더부(60)에 서의 제 1 부분(60A)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그것에 의해 슬라이더부(60)는 그 전체가 배럴부(2)를 따르는 방향의 이동을 행할 수 있는 아래에서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완구총 본체(10)의 전방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슬라이더부(60)에서의 제 2 부분(60B)에는 유저 통 형상부(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저 통 형상부(61)의 저면부는 수압부(61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60)에서의 제 2 부분(60B) 안쪽에는 가동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부재(20)는 장탄실(4)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 슬라이더부(60)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부재(20)는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 삽입되는 후방측 부분과, 장탄실(4)을 형성하는 환 형상 부재(4A)에 걸어 맞추는 전방측 부분과, 후방측 부분과 전방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갖고 있고, 후방측 부분에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환 형상 실 부재(21)가 장착되어 있다. 환 형상 실 부재(21)는 가동 부재(20)에서의 후방측 부분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 삽입될 때 통 형상부(61B)의 내벽면에 맞닿아 통 형상부(61B)의 내벽면과 가동 부재(20)에서의 후방측 부분의 외주면 사이를 밀봉한다.
가동 부재(20)와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에는 코일 스프링(22)의 양 끝이 각각 부착되어 있어 가동 부재(20) 전체가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저면부가 형성하는 수압부(61A)측에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 부재(20)는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하에서는 전방측 부분이 장탄실(4)를 형성하는 환 형상 부재(4A)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후방측 부분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 삽입되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러한 가동 부재(20)에는 제 1 내부 공간(23)과 제 2 내부 공간(24)이 가동 부재(2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격벽 부분(20A)에 의해 구획되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부 공간(23)은 굴곡된 가스 통로를 이루게 되어 한 끝이 가동 부재(20)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 장탄실(4)를 향하여 개구함과 동시에 다른 끝이 가동 부재(20) 중간 부분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제 2 내부 공간(24)도 굴곡된 가스 통로를 이루게 되어 한 끝이 가동 부재(20)의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 수압부(61A)를 향하여 개구함과 동시에, 다른 끝이 가동 부재(20) 중간 부분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는 아래에서는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이 장탄실(4)에 연결되고, 또한 제 2 내부 공간(24)의 한 끝이 수압부(61A)에 근접 대향하게 된다.
제 2 해머(7)와 함께 해머부를 형성하는 제 1 해머(6)는 유저 통 형상부(61)가 선택적으로 맞닿는 상방측 부분과, 복수의 결합 계단부가 설치된 하방측 부분을 갖고 제 2 해머(7)로부터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고, 하방측 부분이 축(25)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10)에서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어 축(25)을 지축로 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해머(6) 하방측 부분에는 그립부(8) 하방측 부분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26)에 캡(26A)을 통하여 걸어 맞추는 한 단부를 갖은 해머 스트럿(27)의 다른 단부가 핀(28)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제 1 해머(6)는 코일 스프링(26)에의한 가압력을 캡(26A) 및 해머 스트럿(27)를 통하여 받아 도 2에 있어서 화살표(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방측 부분을 슬라이더부(60)의 후단부를 향하는 방향(a 방향)에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해머(6)는 그립부(8)에 대한 케이스(40)의 장착이 행하여진 초기 상태(도 2에 도시되는 상태)하에서는 하방측 부분에 제 2 해머(7)에 설치된 걸림부(7A) 및 회동 레버(15) 선단부의 각각이 결합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제 2 해머(7)는 상단부에 걸림부(7A)가 설치된 굴곡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단부가 축(29)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10)에 부착되어 있어, 축(29)을 지축으로 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해머(7)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축(29)에 장착된 토글 스프링(30)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됨과 동시에, 상부에 록 부재(31) 및 코일 스프링(32)이 배치되고, 또한 회동 레버(15)를 관통하는 축(14)에 대향하는 부분에 오목부(7B)가 형성되어 있다.
록 부재(31)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해머(7) 상부에 가동 부재로서 걸어 맞추고 제 2 해머(7) 상부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그 전체가 코일 스프링(32)에 의해 슬라이더부(60)의 저면부를 향하는 방향에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록 부재(31)의 일부분은 슬라이더부(60)의 저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31A)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록 부재(31)는 완구총 본체(10)에 설치된 계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어 맞춤부(34)에 선택적으로 맞닿아져 있고, 걸어 맞춤부(34)에 맞닿아져 걸어 맞춤부(34)와의 상호 결합 상태에 놓여진 아래에서는 제 2 해머(7)를 위치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록 부재(31)에서의 돌출부(31A)는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를 갖는 아래에 있어서는 슬라이더부(60) 저면부에 설치된 돌출부(60C)에서 후방에 격리한 위치에 놓여져 있다. 이러한 록 부재(31)에 설치된 돌출부(31A) 및 슬라이더부(60)에 설치된 돌출부(60C)의 각각에는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록 부재(31)가 걸어 맞춤부(34)와의 상호 결합 상태에 놓여져 있는 아래에서 슬라이더부(60)가 배럴부(2)를 따르는 방향에 후퇴할 때, 돌출부(60C)가 그 경사면부를 돌출부(31A)의 경사면부에 맞닿게 하고, 그것에 의해 돌출부(31A)를 밀어 내리는 상태로 돌출부(31A)의 위치를 통과하고, 그 결과 록 부재(31) 전체가 제 2 해머(7)측에 밀어 넣어져 록 부재(31)와 걸어 맞춤부(34)와의 상호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축(29)에 장착된 토글 스프링(30)은 제 2 해머(7)에 그것에 설치된 걸림부(7 A)를 제 1 해머(6)에서의 하방측 부분에 맞닿게 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 2 해머(7)는 그립부(8)에 대한 케이스(40) 장착이 행해진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그 상부에 배치된 록 부재(31)가 완구총 본체(10)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34)와의 상호 결합 상태에 놓여짐으로써 걸림부(7A)가 제 1 해머(6)의 하방측 부분에 접촉 결합한 상태로써 위치 고정된다.
제 2 해머(7)에는 축(35)을 개재하여 회동 암(36)이 부착되어 있다. 회동 암(36)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축(35)에 장착된 토글 스프링(37)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반대 방향이 되는 방향에 가압되어 있다.
완구총 본체(10)에 축(14)을 개재하여 부착된 회동 레버(15)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해머(6)의 하방측 부분에 걸어 맞추는 윗쪽 선단부가 설치된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그 하방측 부분(15A)이 판 스프링 부재(38)의 걸어 맞춤 편부(38A)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판 스프링 부재(38)의 걸어 맞춤 편부(38A)는 회동 레버(15)에 그 위쪽 선단부를 제 1 해머(6) 하방측 부분에 맞닿게 하는 방향의 가압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38)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바(11) 후단부에 맞닿는 가동 접촉 부재(16)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걸어 맞춤 편부(38B)를 갖고 있다.
가동 접촉 부재(16)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아래쪽 경사면부(16A)에 판 스프링 부재(38)에서의 걸어 맞춤 편부(38B)가 결합함과 동시에 아래쪽 경사면부(16A)에서 완구총 본체(10)의 폭 방향에 돌출하는 돌출부(16B)가 회동 레버(15)의 아래쪽 부분(15A)의 주위 공간을 통하여 가동 바(11)의 후단부에 맞닿아져 있다. 또한, 가동 접촉 부재(16)에서의 중간 부분에는 회동 레버(15)를 관통하는 축(14)이 삽입 통과된 투과 구멍(39)이 설치되어 있고, 가동 접촉 부재(16)는 투과 구멍(39)을 삽입 통과하는 축(14)에 의해, 그것에 대한 투과 구멍(39)에 의해 규제되는 범위내에서의 판 스프링 부재(38)에서의 걸어 맞춤 편부(38B)의 가압력에 저항한 하방측 및 후방측에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 상태로써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접촉 부재(16)는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는 아래서는 판 스프링 부재(38)에서의 걸어 맞춤 편부(38B)에 의한 가압력을 받아 상단부(16C)를 슬라이더부(60)의 저면부에 설치된 오목부(60D)에 접촉시키는 윗쪽 위치를 취한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38)는 도시 생략되어 있지만, 회동 레버(15)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걸어 맞춤 편부(38A)와 가동 접촉 부재(16)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걸어 맞춤 편부(38B) 사이에 위치하여 완구총 본체(10)에 접촉하는 걸어 맞춤 편부를 갖고 있고, 걸어 맞춤 편부(38A) 및 (38B)와 그들 사이의 걸어 맞춤 편부와의 각각에 서의 하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완구총 본체(10)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40)는 그립부(8) 아래쪽 단부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그립부(8)내에 삽입되고, 저면부(40A)가 그립부(8)의 아래쪽 단부에 접촉 결합되어 그립부(8)내에서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케이스(40)에는 장전된 복수의 탄환(BB)을 최상단부(41A)측에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42)이 내장된 탄창(41), 예를 들면, 액화 가스가 충전된 축압실(43), 한 끝이 축압실(43)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44) 및 가스 도출 통로부(44)에 배치된 개폐 밸브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밸브부(45)가 배치된 가스 도출 통로부(44)는 케이스(40)에서의 축압실(43)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다른 끝은 비교적 큰 직경을 갖고 있고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어 슬라이더부(60) 안쪽에 배치된 가동 부재(20)가 슬라이더부(60)의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할 때,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 및 제 2 내부 공간(24) 양쪽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 및 제 2 내부 공간(24)은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부재(20)가 취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가스 도출 통로부(44)와의 상호 연결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때는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다른 끝이 가동 부재(20)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 개구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23) 및 (24)의 각각의 아래쪽 개구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가동 부재(20) 중간 부분과 상호 접촉하는 부분은 패킹 부재(44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패킹 부재(44A)내에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다른 끝쪽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킹 부재(44A)가 사용됨으로써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다른 끝의 가동 부재(20) 중간 부분에 있어서 개구하는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23) 및 (24)의 각각의 아래쪽 개구단부와의 연결이 가스 누설이 방지되는 상태로써 적절히 행해진다.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에는 가스 도출 통로부(44)에 배치된 개폐 밸브부(45)와 함께 축압실(43)에 대한 밸브 수단을 형성하는 가동 밸브부(46)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밸브부(46)는 제 1 내부 공간(23)에서의 굴곡부에 배치되고 환 형상 실 부재(46A)가 부착된 대직경부(46B)와 대직경부(46B)에서 연장되는 축부(46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46C)가 가동 부재(2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격벽 부분(20A)에 설치된 유저 안내 구멍(23A)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대직경부(46B)에 걸어 맞춘 코일 스프링(50)에 의해 축부(46C)의 단부를 유저 안내 구멍(23 A)의 저면부에 접촉시키는 방향, 즉, 대직경부(46B)를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으로부터 격리시키는 방향에 가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가동 밸브부(46)는 제 1 내부 공간(23)내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공간(23)을 개통시키는 방향에 가압되어 있고, 정상시에는 제 1 내부 공간(23)을 개통시키는 상태로 위치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가동 부재(20)내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에 수용된 가동 밸브부(46)는 후술되는 소정의 상태하에서 코일 스프링(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코일 스프링(50)을 압축하는 방향에 이동하고, 그 때 대직경부(46B)에 의해 제 1 내부 공간(23)을 차단하는 동작을 행한다. 가동 부재(20)내에 설치된 제 2 내부 공간(24)은 가동 밸브부(46)의 이동 여하에 관계없이 상시 개통 상태에 놓여진다.
가스 도출 통로부(44)에 배치된 개폐 밸브부(45)는 가스 도출 통로부(44)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그 위치에 따라서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개폐 제어한다. 개폐 밸브부(45)에는 환 형상 실 부재(45A)가 끼워 맞추어져 있음과 동시에 로드(5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밸브부(45)는 정상시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스 도출 통로부(44)의 외부에 돌출하는 로드(51)후단 부분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닫힌 상태로 하는 위치를 취한다.
이와 같이, 그립부(8)내에 배치되는 케이스(40)에서의 축압실(43) 윗쪽에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형성되고, 또한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개폐 밸브부(45)가 배치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됨으로써, 축압실(43)로부터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하에서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 및 제 2 내부 공간(24)에 이르는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필요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아래에 있어 그 전체 길이가 비교적 짧아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어 가동 부재(20)가 슬라이더부(60)의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는 아래에 있어서 그립부(8)내에 케이스(40)가 장착되었을 때에는 탄창(41) 최상단부(41A)가 장탄실 근방에 배치되고, 가동 부재(20)의 중간 부분에 의해 폐색된다. 그것에 의해 탄창(41)내에 장전된 복수의 탄환(BB)이 코일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에 압박된다.
또한, 이 때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이 장탄실(4)에 연결되고, 또한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2 내부 공간(24)의 한 끝이 수압부(61A)에 근접대향하개 되어 있다. 이러한 아래에서, 축압실(43)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44)의 다른 끝이 가동 부재(20)내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및 제 2 내부 공간(24)의 각각의 다른 끝에 연결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또한, 제 2 해머(7)에 부착된 회동 암(36)이 토글 스프링(37) (도 3)의 가압력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닫힌 상태로 하는 위치를 취하는 개폐 밸브부(45)에 설치된 로드(51) 후단부에 그 상방측에서 맞닿게 되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의 일례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40)가 그립부(8)내에 장착되어 위치 결정된 후, 기준 위치에 놓여진 슬라이더부(60)가 수동 조작에 의해 가동 부재(20)를 따라 일단 기준 위치에서 후퇴된 후 그 수동 조작으로부터 해방되고 코일 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부재(20)를 따라 전진되어 다시 기준 위치에 되돌려진다.
이러한 때, 슬라이더부(60)의 후퇴에 따라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창(41) 최상단부(4lA)를 그 중간 부분에 의해 폐색하고 있던 가동 부재(20)가 후퇴됨으로써 탄창(41) 최상단부(41A)가 닫힌 상태로 된다. 그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의해 탄창(41)내에 충전된 탄환(BB) 중 최상방 위치에 있던 것이 최상단부(41A)내에 밀어 올려져 최상단부(41A)에서 유지된다.
또한, 제 1 해머(6)가 슬라이더부(60)의 후퇴에 따라 후퇴하는 유저 통 형상부(61)에 의해 압박되고, 그것에 의해 도 2에 도시되는 위치로부터 코일 스프링(2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a 방향과는 반대 방향 (b 방향)에 소정량 회동된다. 그것에따라 회동 레버(15)가 판 스프링 부재(38)에서의 걸어 맞춤 편부(38A)의 가압력에 따른 방향에 회동된다.
또한, 슬라이더부(60)의 후퇴에 의해 제 2 해머(7)에 배치된 록 부재(31)가 걸어 맞춤부(34)와의 상호 결합 상태에서 해방된다. 그것에 의해 제 2 해머(7)도 제 1 해머(6)가 b 방향에 회동될 때 그 회동에 따라 토글 스프링(30)(도 3)의 가압력에 따른 방향에 회동된다. b 방향에 회동된 제 1 해머(6)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하방측 부분에 회동 레버(15)의 선단부가 걸어 맞추어지고 그것에 의해 제 1 해머(6)와 회동 레버(15)가 상호 위치 규제 상태에 놓여진다. 또한, 이러한 제 1 해머(6)의 b 방향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 2 해머(7)는 그것에 설치된 오복부(7B)가 축(14)에 맞닿게 되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해머(7)의 회동에 따라, 제 2 해머(7)에 부착된 회동 암(36)이 토글 스프링(37)(도 3)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되고, 개폐 밸브부(45)에 설치된 로드(51) 후단부에 그 후방측에서 맞닿는 상태로 되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단 후퇴한 슬라이더부(60)가 후퇴 위치에서 전진으로 바뀐다면 그것에 따라 가동 부재(20)도 전진하고, 전진하는 가동 부재(20)가 그 전단부를 탄창(41)의 최상단부(41A)내에 삽입하여 거기에 유지된 탄환(BB)을 완구총 본체(10)에 설치된 테이퍼부(10A)를 따라 장탄실(4)로 반송한다. 그것과 함께, 가동 부재(20)는 다시 그 중간 부분에 의해 탄창(41) 최상단부(41A)를 폐색하고, 그 전방측 부분을 환 형상 부재(4A)에 의해 형성되는 장탄실(4)에 결합시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탄실(4)에 탄환(BB)이 장전된다.
탄환(BB)을 장탄실(4)에 공급하기 위해 전진하는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복귀하였을 때에는 다시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이 장탄실(4)에 연결되고, 또한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2 내부 공간(24)의 한 끝이 수압부(61A)에 근접 대향하는 아래에서 축압실(40)에서 연장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44)의 다른 끝이 제 1 내부 공간(23) 및 제 2 내부 공간(24)의 각각의 다른 끝에 연결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이렇게 하여,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탄실(4)에 탄환(BB)이 장전된 아래에서 트리거(1)가 당겨지면 그것에 따라 가동 바(11)가 후퇴한다. 그 결과, 윗쪽위치를 취해 가동 바(11) 후단부에 맞닿는 가동 접촉 부재(16)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동 레버(15) 아래쪽 부분(15A)을 후방에 압박하는 이동을 하여 회동 레버(15)를 판 스프링 부재(38)에서의 걸어 맞춤 편부(38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 시킨다. 그것에 의해, 회동 레버(15)의 선단부와 제 1 해머(6) 하방측 부분과의 상호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회동 레버(15)에 의해 위치 규제된 상태로부터 해방된 제 1 해머(6)는 그 하방측 부분에 제 2 해머(7)의 걸림부(7A)가 맞닿은 상태로써 코일 스프링(26)의 가압력에 따라서 a 방향에 회동 한다. 그리고, a 방향에 회동하는 제 1 해머(6)는 제 2 해머(7)를 그 걸림부(7A)를 거쳐 a 방향에 회동시킨다. 그 결과, 제 2 해머(7)에 부착된 회동 암(36)이 트리거(1)가 접촉부(12)에 맞닿는 시기와 거의 동시기에 있어서 개폐 밸브부(45)에 설치된 로드(51)를 거기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52)을 압축시키면서 압박한다.
로드(51)가 압박됨으로써, 개폐 밸브부(45)가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닫힌 상태로 하는 위치로부터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열린 상태로 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가스 도출 통로부(44)는 열린 상태로 된다. 이러한 때에 제 2 해머(7)의 회동에 의해 록 부재(31)가 완구총 본체(10)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34)에 결합하는 위치에 놓여진다. 그것에 의해, 제 2 해머(7)가 도 3에 도시되는 토글 스프링(30)의 가압력에 따르는 방향에의 회동이 규제되고, 개폐 밸브부(45)에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열린 상태로 하는 위치를 유지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토글 스프링(30)의 가압력에 따르는 방향에의 회동이 규제된 제 2 해머(7)에 의해 제 1 해머(6)가 회동 레버(15)에 의한 위치 규제가 해제된 아래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열린 상태로 된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축압실(43)로부터의 가스는 즉시 가동 부재(20)내에 유입한다. 이 때,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에 수용된 가동 밸브부(46)는 제 1 내부 공간(23)을 개통 상태로 하는 위치에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가동 부재(20)내에 유입되는 가스는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과 제 2 내부 공간(24)에 충만하고, 또한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장탄실(4)에 장전된 탄환(BB)에 도달함과 동시에 제 2 내부 공간(24)을 통하여 수압부(61A)에 도달한다.
이 때, 장탄실(4)에 장전된 탄환(BB)이 장탄실(4)로부터 내측 배럴(2I)내로 전방에 밀어 내여지는 것에 요구되는 가스압은 수압부(61A)가 유저 통 형상부(61) 및 슬라이더부(60)를 따라 후방에 이동되는 것에 요구되는 가스압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수압부(61A)에 작용하는 가스압에 의해 수압부(61A)가 유저 통 형상부(61) 및 슬라이더부(60)를 따라 후방에 이동하는 상태가 실질적으로 취해지지 않고, 장탄실(4)에 장전된 탄환(BB)에 작용하는 가스압에 의해 장탄실(4)에 장전된 탄환(BB)이 도 6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탄실(4)로부터 내측 배럴(21)내와 전방으로 밀어 내여진다. 그리고, 내측 배럴(21)내로 밀어내여진 탄환(BB)은 가동 부재(20)내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으로부터 내측 배럴(21)내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내측 배럴(21)내에서 가속되어 전진하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측 배럴(2I)의 선단에서 발사된다.
탄환(BB)이 내측 배럴(21)로부터 발사되면 가동 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 공간(23)으로부터 내측 배럴(21)내로 유입된 가스가 내측 배럴(21) 선단에서 대기중에 방출되고, 그것에 의해 내측 배럴(2I)내 및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내의 가스압이 급격히 저하한다. 이러한 제 1 내부 공간(23)내의 가스압의 급격한 저하는 제 1 내부 공간(23)에 배치된 가동 밸브부(46)에 그것을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쪽에 끌어 들이는 부압으로서 작용한다. 그것에 의해, 가동 밸브부(46)가 코일 스프링(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그 대직경부(46B)를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을 향하는 방향에 이동되고, 대직경부(46B)가 가동 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 공간(23)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맞닿아 제 1 내부 공간(23)을 차단 상태로 한다. 그것에 의해, 가동 밸브부(46)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의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장탄실(4)를 향하는 흐름이 저지된다.
이렇게 하여 가동 밸브부(46)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의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장탄실(4)를 향하는 흐름이 저지되면 축압실(43)으로부터 가스 도출 통로부(44)에 유출된 가스는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흐르지 않고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2 내부 공간(24)을 통하여 수압부(61A)를 향하게 되고, 수압부(61A)에 작용하는 가스압이 급격히 증대한다. 그것에 의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대한 가스압에 의해 수압부(61A)가 유저 통 형상부(61)내에서 가동 부재(20)에서의 후방측 부분의 단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변 용적 압력실을 증대시키면서 급속히 후방에 이동되고, 그것에 따라 슬라이더부(60)가 코일 스프링(1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급속히 후퇴된다. 그 때, 후퇴하는 유저 통 형상부(61)의 후단부에 의해 제 1 해머(6)가 코일 스프링(2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b 방향에 회동된다.
그 후, 도 9에 도시되는 와 같이 가스 도출 통로부(44) 및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2 내부 공간(24)을 통하여 유저 통 형상부(61)내에서 수압부(61A)와 가동 부재(20)에서의 후방측 부분의 단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변 용적 압력실에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수압부(61A)의 슬라이더부(60)를 따른 후퇴가 계속된다. 그것에 의해 가동 바(11)의 후단부에 맞닿는 가동 접촉 부재(16)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슬라이더부(60)의 저면부에 설치된 오목부(60D)에 의해 위치 규제된 상태로부터 해방됨과 동시에 후퇴하는 슬라이더부(60)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8)의 걸어 맞춤 편부(38B)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에 압박되어 아래쪽 위치를 취하게 된다. 그 결과, 가동 접촉 부재(16)와 회동 레버(15)의 아래쪽 부분(15A)과의 상호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회동 레버(15)가 판 스프링 부재(38)의 걸어 맞춤 편부(38A)의 가압력에 따르는 방향에 회동된다.
또한, 제 2 해머(7)에 배치된 록 부재(31)가 슬라이더부(60)의 후퇴에 따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슬라이더부(60) 저면부에 설치된 돌출부(60C)에 의해 코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압박되어 완구총 본체(10)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34)와의 상호 결합 상태로부터 해방되고, 그것에 의해 제 2 해머(7)가 위치 규제된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토글 스프링(30) (도 3)의 가압력에 따르는 방향에 회동된다.
판 스프링 부재(38)의 걸어 맞춤 편부(38A)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 레버(15)는 제 1 해머(6)의 하방측 부분에 걸어 맞추고, 그것에 의해 회동 레버(15)및 제 1 해머(6)가 상호 위치 규제 상태에 놓여진다. 또한, 토글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하는 제 2 해머(7)는 그 오목부(7B)가 축(14)에 맞닿아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때의 제 2 해머(7)의 토글 스프링(30)의 가압력에 따르는 회동에 의해 개폐 밸브부(45)가 거기에 설치된 로드(51) 후단부에 맞닿는 회동 암(36)에 의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회동 암(36)에 의한 위치 고정 상태로부터 해방된 개폐 밸브부(45)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것에 작용하는 가스압과 코일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닫힌 상태로 하는 위치를 취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초에서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에 배치된 가동 밸브부(46)는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고, 가동 부재(20)가 슬라이더부(60)의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고, 축압실(43)로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 및 제 2 내부 공간(24)의 각각에 연결되는 아래에서 개폐 밸브부(45)가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열린 상태로 하는 기간에 있어서 제 1 내부 공간(23)을 개통 상태로서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를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장탄실(4)에 공급된 탄환(BB)에 작용시키는 제 1 상태로부터 제 1 내부 공간(23)을 차단 상태로서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의 제 1 내부 공간(23)을 통하여 장탄실(4)를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고,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를 제 2 내부 공간(24)을 통하여 수압부(61A)를 향하는 제 2 상태에 이행하고, 그 제 2 상태를 기초로 가스압에 의해 수압부(61A)를 슬라이더부(60)를 따라 후방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가동 밸브부(46)의 동작 결과, 내측 배럴(21)로부터 탄환(BB)이 발사된 후에 급격히 증대되는 수압부(61A)에 작용하는 가스압에 의해 슬라이더부(60)의 후퇴가 개시되므로, 탄환(BB) 발사에 있어서 슬라이더부(60)가 그 이동에 의한 영향을 배럴부(2)에 미치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내측 배럴(21)로부터 발사되는 탄환(BB)의 방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부(45)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닫힌 상태로 됨으로써 축압실(43)로부터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의 가스의 유출, 또한 가스 도출 통로부(44)로부터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2 내부 공간(24)을 통하여 수압부(61A)를 향하는 가스의 유입이 없어진다. 그것에 의해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의 굴곡부에서의 가스압이 저하하여 도 9에 도시되는 와 같이 제 1 내부 공간(23)의 굴곡부에 배치된 가동 밸브부(46)가 코일 스프링(50)에 의해 대직경부(46B)를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에서 격리시키는 방향에 이동되어 제 1 내부 공간(23)을 개통 상태로 하는 위치에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개폐 밸브부(45)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닫힌 상태로 되어도 그 직후에는 슬라이더부(60)는 그 관성에 의해 후퇴를 계속한다. 그리고 슬라이더부(60)가 최후방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20)에서의 후방측 부분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서 그 외부에 나가는 상태로 되고,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의 가스가 가동 부재(20)측의 개구부에서 방출되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의 가스압이 급속히 제로(대기압)를 향하여 감소된다.
그것에 의해 가동 부재(20)가 코일 스프링(22)의 가압력에 의해 급속히 유저 통 형상부(61)를 향하여 후퇴되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20)에서의 후방측 부분이 재차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 삽입되는 상태로된다. 그 결과, 가동 부재(20) 중간 부분에 의해 폐색되어 있던 탄창(41)의 최상단부(41A)가 열린 상태로 되고 탄창(41)내에 충전된 탄환(BB) 중 최상방 위치에 있던 것이 최상단부(41A)에 밀어 올려져 유지된다.
슬라이더부(60)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최후방 위치에 도달하면 코일 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 즉시 기준 위치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고, 그 슬라이더부(60)의 전진에 따라 전진하는 가동 부재(20)가 그 전단부에 의해 탄창(41) 최상단부(41A)에 유지된 탄환(BB)을 장탄실(4)를 향하여 반송한다. 그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를 취하게 될 때, 장탄실(4)에 탄환(BB)이 확실히 장전된다.
또한, 슬라이더부(60)가 최후방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트리거(1)가 그것이 당겨지는 조작으로부터 해방된다. 그것에 의해 아래쪽 위치를 취하는 가동 접촉 부재(16)에 작용하는 판 스프링 부재(38)에서의 걸어 맞춤 편부(38B)(도 4)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바(11) 및 트리거(1)가 전진하고, 트리거(1)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조작 개시 위치에 복귀된다. 아래쪽 위치를 취하는 가동 접촉 부재(16)는 슬라이더부(60)가 최후방 위치로부터 기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판 스프링 부재(38)에 서의 걸어 맞춤 편부(38B)(도 4)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더부(60) 저면부에 설치된 오목부(60D)(도 4)에 걸어 맞추어 윗쪽 위치에 위치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더부(60)가 최후방 위치에서 기준 위치에 도달하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20)에서의 제 1 내부 공간(23)의 한 끝이 장탄실(4)에 연결되고, 또한 제 2 내부 공간(24)의 한 끝이 수압부(61A)에 근접 대향되는 아래에서 축압실(43)로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가동 부재(2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23) 및 제 2 내부 공간(24)의 각각의 다른 끝에 연결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기초에서 트리거(1)가 다시 당겨짐으로써 상술과 같은 동작이 되풀이되어 장탄실(4)에 장전된 탄환(BB)의 내측 배럴(21)로부터의 발사 및 그것에 계속되는 장탄실(4)에 대한 새로운 탄환(BB)의 장전이 행해진다.
도 11은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1으로부터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의 다른 예의 요부를 도시한다. 이 도 11에 도시되는 예는 상술의 도 2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 구비되어 있는 가동 부재(20)를 대신하여 가동 부재(70)가 사용되었고, 가동 부재(70) 이외의 부분에 관해서는 도 2에 도시되는 예와 같이 구성된다. 도 11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되는 예, 각 부재 등에 대응하는 부분, 부재 등은 도 2와 공통의 부호가 붙여져 도시되어 있고 그들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더부(60)에서의 제 2 부분(60B) 안쪽에 가동 부재(7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부재(70)는 장탄실(4)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 슬라이더부(60)의 이동 방향에 따르는 방향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부재(70)는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 삽입되는 후방측 부분과 장탄실(4)를 형성하는 환 형상 부재(4A)에 걸어 맞추는 전방측 부분과 후방측 부분과 전방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갖고 있고, 후방측 부분에는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환 형상 실 부재(71)가 장착되어 있다. 환 형상 실 부재(71)는 가동 부재(70)에서의 후방측 부분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 삽입될 때, 통 형상부(61B)의 내벽면에 맞닿아 통 형상부(61B)의 내벽면과 가동 부재(70)에서의 후방측 부분의 외주면 사이를 밀봉한다.
가동 부재(70)와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에는 코일 스프링(22)의 양끝이 각각 부착되어 있어 가동 부재(70)의 전체가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저면부가 형성하는 수압부(61A)측에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 부재(70)는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는 아래에서는 전방측 부분이 장탄실(4)를 형성하는 환 형상 부재(4A)에 결합함과 동시에 후방측 부분이 유저 통 형상부(61)에서의 통 형상부(61B)내에 삽입되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러한 가동 부재(70)에는 제 1 내부 공간(73)과 제 2 내부 공간(74)이 가동 부재(70)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격벽 부분(70A)에 의해 구획되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부 공간(73)은 굴곡된 가스 통로를 이루도록 되어 있어 한 끝이 가동 부재(70)의 전방측 부분에 잇어서 장탄실(4)를 향하여 개구함과 동시에 다른 끝이 가동 부재(70) 중간 부분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제 2 내부 공간(74)도 굴곡된 가스 통로를 이루도록 되어 있어 한 끝이 가동 부재(70)의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 수압부(61A)를 향하여 개구함과 동시에, 다른 끝이 가동 부재(70) 중간 부분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고, 가동 부재(70)가 슬라이더부(60)의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는 아래에서는 제 1 내부 공간(73)의 한 끝이 장탄실(4)에 연결되고, 또한 제 2 내부 공간(74)의 한 끝이 수압부(61A)에 근접 대향함과 동시에, 제 1 내부 공간(73) 및 제 2 내부 공간(74)의 각각의 다른 끝이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다른 끝에 연결된다.
또한,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가동 부재(70)의 중간 부분과 상호 접촉하는 부분은 패킹 부재(44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패킹 부재(44A) 내에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다른 끝쪽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킹 부재(44A)가 사용됨으로써 가스 도출 통로부(44)에서의 다른 끝의 가동 부재(7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73) 및 제 2 내부 공간(74)의 각각의 다른 끝과의 연결이 가스 누설이 방지되는 상태로써 확실히 행해진다.
제 1 내부 공간(73)에 배치된 가동 밸브부(76)는 가스 도출 통로부(44)에 배치된 개폐 밸브부(45)와 함께 축압실(43)에 대한 밸브 수단을 형성하고 환 형상 실 부재(76A)가 부착된 대직경부(76B)와 대직경부(76B)로부터 연장되는 축부(76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밸브부(76)는 축부(76C)가 가동 부재(70)에 형성되어 제 1 내부 공간(73)의 다른 끝과 제 2 내부 공간(74)의 다른 끝을 구획하는 격벽 부분(70A)에 설치된 투과 구멍에 의해 지지되어 전체가 이동가능하게 되고 있고, 대직경부(76B)에 걸어 맞춘 코일 스프링(80)에 의해 축부(76C)를 제 2 내부 공간(74)내에 돌출시키는 방향, 즉, 대직경부(76B)를 제 1 내부 공간(73)의 한 끝으로부터 격리시키는 방향에 가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가동 밸브부(76)는 제 1 내부 공간(73)내에 있어서 정상때에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공간(73)을 개통시키는 위치에 위치 규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 11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도 슬라이더부(60)가 수동 조작에 의해 일단 후퇴되어 그 후퇴 조작으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장탄실(4)에 탄환(BB)이 장전됨과 동시에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되돌려져 가동 부재(7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73) 및 제 2 내부 공간(74)의 각각이 가스 도출 통로부(44)에 연결되는 상태가 취해지고, 이러한 기초에서 트리거(1)가 조작되어 도 2에 도시되는 예와 같은 작동 상태에 놓여진다. 즉, 가동 부재(7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73)에 배치된 가동 밸브부(76)도 도 2에 도시되는 가동 밸브부(46)와 같이, 슬라이더부(60)가 기준 위치에 있어 가동 부재(70)가 슬라이더부(60)의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고 축압실(43)로부터 연장되는 가스 도출 통로부(44)가 가동 부재(70)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73) 및 제 2 내부 공간(74)의 각각에 연결된 아래에서 개폐 밸브부(45)가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열린 상태로 하는 기간에 있어서, 제 1 내부 공간(73)을 개통 상태로서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를 제 1 내부 공간(73)을 통하여 장탄실(4)에 공급된 탄환(BB)에 작용시키는 제 1 상태로부터 제 1 내부 공간(73)을 차단 상태로서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의 제 1 내부 공간(73)을 통하여 장탄실(4)를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고, 가스 도출 통로부(44)를 통한 가스를 제 2 내부 공간(74)을 통하여 수압부(61A)를 향하는 제 2 상태에 이행하고, 그 제 2 상태 아래에서 가스압에 의해 수압부(61A)를 슬라이더부(6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술의 도 2에 도시되는 예 및 도 11에 도시되는 예의 각각에서의 가동 밸브부(20) 또는 (70) 등의 구성은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이 구비될 구성의 요부를 예시하는 것으로 그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은 상술의 가동 부재(20) 또는 (70)과는 구체적 구성을 달리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1에서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의하면 축압실에 연결된 가스 도출 통로부를 열린 상태 혹은 닫힌 상태로 하는 개폐 밸브부 및 가동 부재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가스 도출 통로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 중 제 1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를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에 작용시키는 제 1 상태와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의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장탄실을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여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를 제 2 내부 공간을 통하여 수압부를 향하는 제 2 상태를 취하고, 개폐 밸브부가 가스 도출 통로부를 열린 상태로 하는 기간에 있어서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에 이행하고, 그 제 2 상태를 기초로 가스압에 의해 수압부를 슬라이더부를 따라 후방에 이동시키는 가동 밸브부를 주요 구성 요소로서 축압실로부터 도출되는 가스를 제어하는 가스 제어 수단이 구성되므로, 가스 제어 수단이 그 전체가 비교적 소규모로 구성이 간략화되어 완구총 본체에서의 배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더구나,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의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 및 슬라이더부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수압부에의 작용 상태가 1개의 가동 밸브부에 의해 제어되므로, 가동 밸브부의 배치에 관한 제약이 대폭 경감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의하면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의 각각이 가동 부재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가스 도출 통로부에 연결된다.
또한, 특히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서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가동 밸브부가 그 제 1 내부 공간을 개통 상태로 하는 방향에 가압이 이루어지고, 제 1 내부 공간에 미쳐지는 압력 감소에 따라서 가압에 저항하여 제 1 내부 공간을 차단 상태로 하는 방향에 이동되므로,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의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 및 슬라이더부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수압부에의 작용 상태에 관한 제어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써 확실하면서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Claims (7)

  1. 가스 도출 통로부가 연결되어 배치된 축압실과,
    상기 가스 도출 통로부를 개폐 제어하는 개폐 밸브부와,
    배럴부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장탄실과,
    상기 배럴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라이더부와,
    해당 슬라이더부에서의 상기 배럴부의 후방이 되는 부분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수압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장탄실 후방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가스 도출 통로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로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상기 장탄실을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내부 공간 및 상기 수압부를 향하여 개구하는 제 2 내부 공간이 설치된 가동 부재와,
    상기 제 1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도출 통로부가 상기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 밸브부가 상기 가스 도출 통로부에 의해 개방 상태로 되어있는 동안, 상기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상기 축압실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장탄실에 공급된 탄환에 작용시키는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가스의 상기 제 1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장탄실을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여 상기 가스 도출 통로부를 통한 상기 축압실로부터의 가스를 상기 제 2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수압부를 향하는 제 2 상태로 이행하고, 해당 제 2 상태하에서 가스압에 의해 상기 수압부를 상기 슬라이더부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동 밸브부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부의 후퇴에 따르는 상기 가동 부재의 후퇴를 발생시켜 탄창으로부터 상기 장탄실에의 탄환 공급을 위한 준비를 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2. 제 1항에 있어서, 가동 부재에 설치된 제 1 내부 공간 및 제 2 내부 공간의 각각은 상기 가동 부재의 위치에 따라서 가스 도출 통로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3. 제 1항에 있어서, 가동 밸브부는 제 1 상태에 있을 때 제 1 내부 공간을 개통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제 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내부 공간을 차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4. 제 3항에 있어서, 가동 밸브부는 제 1 상태에 있을 때 및 제 2 상태에 있을 때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 2 내부 공간이 개통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5. 제 4항에 있어서, 가동 밸브부는 제 1 내부 공간에 있어서 해당 제 1 내부 공간을 개통 상태로 하는 방향의 가압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내부 공간에 미쳐지는 압력 감소에 따라서 상기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제 1 내부 공간을 차단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가동 밸브부는 제 1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통 상태 및 차단 상태로 하는 대직경부와, 해당 대직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동 부재에서의 상기 제 1 내부 공간과 제 2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축부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7. 제 6항에 있어서, 가동 밸브부는 대직경부에 제 1 내부 공간을 개통 상태로 하는 위치를 갖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KR1019990000091A 1998-01-08 1999-01-06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KR100291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02187A JP2871657B1 (ja) 1998-01-08 1998-01-08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98-2187 199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735A KR19990067735A (ko) 1999-08-25
KR100291131B1 true KR100291131B1 (ko) 2001-05-15

Family

ID=1152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091A KR100291131B1 (ko) 1998-01-08 1999-01-06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12734A (ko)
EP (1) EP0928945B1 (ko)
JP (1) JP2871657B1 (ko)
KR (1) KR100291131B1 (ko)
AT (1) ATE244388T1 (ko)
AU (1) AU718086B2 (ko)
CA (1) CA2257729C (ko)
DE (1) DE69909144T2 (ko)
DK (1) DK0928945T3 (ko)
ES (1) ES2202933T3 (ko)
HK (1) HK1018641A1 (ko)
TW (1) TW37698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17B1 (ko) 2018-08-23 2020-01-20 박찬의 장난감 총용 탄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413B1 (ja) * 1999-06-07 2000-06-19 有限会社マルゼン オ―トマチック式エアスポ―ツガン
DE60130074T2 (de) * 2000-03-09 2007-12-13 Zakrytoe Aktsionernoe Obshchestvo "Group "Anics" Mehrschussige luftdruckpistole
US6470872B1 (en) * 2000-04-03 2002-10-29 Benjamin T. Tiberius Semi-automatic firing compressed-gas gun
US6418920B1 (en) * 2000-07-28 2002-07-16 Michael D. Marr Valves for actuating the flow of pressurized fluids and device containing same
CA2396031A1 (en) 2001-07-26 2003-01-26 Kenneth R. Farrell Pneumatic gun
GB2373311B (en) * 2002-01-15 2003-02-26 Npf Ltd Paintball markers
US8079356B2 (en) * 2002-02-07 2011-12-20 James Patrick Reible Pneumatic projectile launching apparatus with partition-loading apparatus
JP3686402B2 (ja) * 2002-10-30 2005-08-24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玩具銃
ES2233149B1 (es) * 2002-11-25 2006-10-16 Industrias El Gamo, S.A. Pistola de gas comprimido.
US6978776B2 (en) 2003-03-19 2005-12-27 Ancient Innovations Corp. Multiple column helical feeder
JP3711282B2 (ja) * 2003-06-25 2005-11-02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式玩具銃のガス供給機構
JP3708936B2 (ja) * 2003-07-29 2005-10-19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圧を利用する玩具銃
US7237543B2 (en) * 2004-12-01 2007-07-03 Yueh-Mei Chen Gas magazine of a toy gun
US20060207584A1 (en) * 2005-03-16 2006-09-21 Ying-Hui Yeh Gas decompression magazine of a toy gun
TWI261105B (en) * 2005-12-26 2006-09-01 Yih Kai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achine set for toy gas gun
US20070181116A1 (en) * 2006-02-06 2007-08-09 Wilson Wei Air gun
EP1939576B1 (en) 2006-12-29 2010-06-30 Maruzen Company Limited Air gun
US7856969B2 (en) * 2007-01-19 2010-12-28 Maruzen Company Limited Air gun
US7540280B2 (en) * 2007-05-24 2009-06-02 Jhih-Wun Liao Bullet cartridge for toy air gun
JP2009014327A (ja) * 2007-07-09 2009-01-22 Maruzen:Kk エアガン
TW200909766A (en) * 2007-08-28 2009-03-01 Maruzen Co Ltd Magazine ejector structure for air gun
TW200909765A (en) * 2007-08-31 2009-03-01 Maruzen Co Ltd Rotary clip rotation mechanism for air gun
TW200923313A (en) * 2007-11-30 2009-06-01 Maruzen Co Ltd Magazine for air gun having rotary clip
US20090320817A1 (en) * 2008-06-27 2009-12-31 Hai-Lung Huang Bullet-Loading Assembly for a Toy Gun
JP5164892B2 (ja) * 2009-03-09 2013-03-21 株式会社東京マルイ 圧縮ガス式模擬銃における発射威力自律制御装置
TWM389844U (en) * 2009-12-15 2010-10-01 Fire Fox International Trade Co Ltd Gun
US8051847B2 (en) * 2009-12-22 2011-11-08 Shih-Che Hu Gas intake control mechanism for toy gun
TWM396953U (en) * 2010-06-11 2011-01-21 Cybergun Hong Kong Ltd Magazine
TWM440430U (en) * 2012-06-27 2012-11-01 Vega Force Internat Corp Single-shot/repeating air gun and percussion switching mechanism thereof
US9420778B1 (en) 2013-09-30 2016-08-23 Tiberius Technology, Llc Noise-making apparatus and method
US11920887B2 (en) 2016-08-29 2024-03-05 Unit Solutions, Inc. Non-lethal gas operated gun
CN109997009B (zh) 2016-08-29 2022-04-01 单元解决方案公司 非致命性气动枪
US10801804B2 (en) 2016-08-29 2020-10-13 Unit Solutions, Inc. Non-lethal gas operated gun
JP2019184084A (ja) * 2018-04-02 2019-10-24 有限会社マルゼン 玩具銃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6181A (en) * 1944-12-28 1951-08-28 Bendixwestinghouse Automotive Fluid pressure operated gun
US2881752A (en) * 1954-10-11 1959-04-14 Carl E Blahnik Gas actuated guns
DE2730125A1 (de) * 1977-07-04 1979-01-25 Johann Hajek Gasdruckwaffe, insbesondere gasdruckgewehr
DE8517719U1 (de) * 1985-03-12 1986-07-10 Idl, Victor, Lienz Lauf-Wechselsystem für eine Pistole
FR2603374B1 (fr) * 1986-08-28 1989-06-23 Hivert Jean Pierre Dispositif d'alimentation pour armes a gaz comprime a fonctionnement naturel, semi-automatique ou automatique
JPH01285798A (ja) * 1988-05-13 1989-11-16 Kenji Mimura ガス銃の弾丸発射装置
JPH0338593U (ko) 1989-08-22 1991-04-15
JPH0743238B2 (ja) * 1990-01-25 1995-05-15 株式会社東京マルイ オートマチック式エアガン
JPH03236598A (ja) * 1990-02-13 1991-10-22 J A C Planning:Kk 玩具銃におけるブローバック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467089B1 (en) * 1990-06-21 1995-10-04 Thomas G. Kotsiopoulos Semi-automatic firing compressed gas gun
US5063905A (en) * 1990-09-06 1991-11-12 Farrell Kenneth R Pneumatic gun
JP2567758B2 (ja) * 1991-06-29 1996-12-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樹脂ホース
JP2561421B2 (ja) * 1993-05-17 1996-12-11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561429B2 (ja) * 1993-10-08 1996-12-11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US5505188A (en) * 1994-03-17 1996-04-09 Williams; Robert A. Paint ball gun
US5509399A (en) * 1995-01-12 1996-04-23 Poor; Keith A. Semi-automatic fluid powered gun
JP2610610B2 (ja) * 1995-02-01 1997-05-14 有限会社マルゼン オートマチック式エアスポーツガンの発射機構及び発射機構を用いたオートマチック式エアスポーツガン
JP2597829B2 (ja) * 1995-04-05 1997-04-09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蓄圧供給装置
EP0772022A1 (en) * 1995-11-03 1997-05-07 Ching-Yao Liang Air pressure operated toy gun
TW410973U (en) * 1997-10-16 2000-11-01 Western Arms Kk Model gun with automatic bullet supplying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17B1 (ko) 2018-08-23 2020-01-20 박찬의 장난감 총용 탄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12734A (en) 2000-09-05
CA2257729A1 (en) 1999-07-08
JP2871657B1 (ja) 1999-03-17
AU718086B2 (en) 2000-04-06
ATE244388T1 (de) 2003-07-15
EP0928945B1 (en) 2003-07-02
DK0928945T3 (da) 2003-09-22
CA2257729C (en) 2001-10-09
EP0928945A3 (en) 2000-02-23
EP0928945A2 (en) 1999-07-14
HK1018641A1 (en) 1999-12-30
AU9826798A (en) 1999-07-29
DE69909144T2 (de) 2004-05-27
TW376986U (en) 1999-12-11
JPH11201693A (ja) 1999-07-30
DE69909144D1 (de) 2003-08-07
KR19990067735A (ko) 1999-08-25
ES2202933T3 (es)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131B1 (ko)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KR100304180B1 (ko)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KR0146235B1 (ko) 자동 탄환 공급 기구를 갖춘 완구총
CA2133145C (en) Model gun with automatic bullet supplying mechanism
KR100535174B1 (ko) 완구총
USRE39805E1 (en) Air gun
MXPA03010701A (es) Pistola de gas comprimido.
KR100569851B1 (ko) 가스압을 이용한 완구총
US8496479B2 (en) Recoil system for firearms
KR100412741B1 (ko) 리볼버형 완구 총
KR100603143B1 (ko)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JP2871582B2 (ja) 玩具ガス銃
JP3121578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3511367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3502780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H0477240B2 (ko)
JP2871583B2 (ja) ガス圧力式玩具銃
JP2561444B2 (ja) ガス蓄圧供給装置
JP2871581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793984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H06137789A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002267397A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004212024A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561429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