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143B1 -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 Google Patents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143B1
KR100603143B1 KR20040037112A KR20040037112A KR100603143B1 KR 100603143 B1 KR100603143 B1 KR 100603143B1 KR 20040037112 A KR20040037112 A KR 20040037112A KR 20040037112 A KR20040037112 A KR 20040037112A KR 100603143 B1 KR100603143 B1 KR 10060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gas
state
movable
holid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309A (ko
Inventor
쿠니모토케이이치
Original Assignee
웨스턴 암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턴 암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웨스턴 암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41B11/62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with pressure supplied by a gas cartrid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74Hammer safeties, i.e. means for preventing the hammer from hitting the cartridge or the firin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콕(cock) 상태로부터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한 가스 공급을 하지 않고 디콕 상태로 이행한 해머부가, 디콕(decock)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고, 원하지 않는 압압력에 의해 가스 공급을 하게 되어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해머부(24)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부터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의 고속 회동에 따른 이동을 함으로써, 개폐 밸브부(50)에 가스 도출 통로(58)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는 상태를 취하게 하고, 또한, 해머부(24)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부터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의 저속 회동에 따른 이동을 함으로써, 개폐 밸브부(50)에 가스 도출 통로(58)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취하게 하는 가동 연휴부재(4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GAS SUPPLYING MECHANISM IN A GAS POWERED TOY GUN}
도 1은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를, 그것이 적용된 가스식 완구총의 예와 함께 도시한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를, 그것이 적용된 가스식 완구총의 예와 함께 도시한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 73  ; 장탄실 24, 74 ; 해머부
30, 80 ; 완구총 본체 32, 82 ; 슬라이더부
32A, 82A ; 슬라이더부의 후단 부분 43, 90 ; 가동 연휴부재
47 ; 스프링 부재 48, 88 ; 코일 스프링
50, 99 ; 개폐 밸브부 57, 97 ; 축압실
58, 98 ; 가스 도출 통로 59, 100 ; 연결 통로
89  ; 압압 핀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장탄실에 장전된 탄환의 발사에 이용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통로의 개폐를 하는 개폐 밸브부를, 해머부의 회동에 의하여 작동시켜서, 가스 통로를 통해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에 관한 것이다.
유희총(Air Soft Gun)이라고 일컬어지는 완구총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형상, 질감에 더하여, 외관상의 동작도 실물과 같은 것이 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완구총 중, 예를 들면, 그립(grip) 내에 가스가 충전되는 축압실이 설치되고, 방아쇠의 조작에 연동한 해머의 회동에 의해, 축압실에 연결된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고, 그 개방 상태로 된 가스 통로를 통해서 장탄실에 공급되는 가스압에 의해, 장탄실에 장전되어 있는 탄환의 발사를 하도록 한 것, 그리고, 해머의 회동(回動)에 의해 개방 상태로 된 가스 통로를 통한 가스압이, 배럴(barrel)을 따라 배치된 슬라이더의 이동에도 이용되고, 그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빈 상태로 된 장탄실로의 다음 탄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완구총은, 해머, 축압실 및 슬라이더부에 더하여, 방아쇠를 당기는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해머에 의해 구타(毆打)되는 발사용 가동 핀과, 피스톤 부재 및 밸브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해머에 의해 구타된 발사용 가동 핀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축압실에 연결된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하는 밸브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수단에 의해 개방 상태로 된 가스 통로를 통한 축압실로부터의 가스압은, 장탄실에 장전되어 있는 탄환의 발사에 이용됨과 동시에 슬라이더부의 후퇴에도 이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부의 후퇴에 의해 발사용 가동 핀으로 압압력(押壓力)을 작용시키는 회동 위치를 취하는 해머가, 발사용 가동 핀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 밸브 수단이 가스 통로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하게 된다. 가스 통로가 폐쇄 상태로 된 후에 있어서는, 슬라이더부가, 그 관성에 의해 한층 더 후퇴를 계속하고, 마지막 후퇴 위치에 도달하면, 그것에 작용하는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전진한다. 이 슬라이더부의 전진에 의해, 탄창의 최상단부에 보관 유지된 탄환이 장탄실을 향해 반송되고, 그것에 따라, 빈 상태로 된 장탄실에 대한 다음 탄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예를 들면, 축압실 등으로 되는 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가스 통로가, 해머, 회동하는 해머에 의해 구타되는 발사용 가동 핀, 및 밸브 수단이 이용되어, 개폐되도록 된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는, 통상,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가스 통로(11)에 대해서 밸브 수단(12)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그 밸브 수단(12)의 후방에 발사용 가동 핀(13)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15에 있어서, 일점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 발사 준비를 위해 일어선 상태(콕(cock) 상태라 함)에 놓여진 해머(14)와 상호 계합 상태에 놓여져, 해머 스트럿(hammer strut)(15)을 통해서 해머 스프링(16)의 부세력이 작용하게 되는 해머(14)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레버(17)가, 도시가 생략된 방아쇠가 당겨지면 해머(14)와의 상호 계합 상태를 해제하고, 그것에 의해, 콕(cock) 상태에 놓여진 해머(14)가, 그것에 작용하는 해머 스프링(16)의 부세력에 따라서, 전방으로 고속 회동하게 된다. 고속 회동하는 해머(14)는, 그 구타부(14A)를, 도 15에서 실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통로(11)를 폐쇄 상태로 하는 밸브 수단(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취하는 발사용 가동 핀(13)의 후부에 접촉하는 상태를 거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18)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오목부(18A)에 비집고 들어가고, 그것에 의해 발사용 가동 핀(13)을 구타한다.
해머(14)에 의해 구타된 발사용 가동 핀(13)은, 그것에 권장(卷裝)된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 수단(12)에 당접하고, 그것에 의해, 밸브 수단(12)이, 가스 통로(11)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는 이동을 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특개평8-233492호 공보(페이지 5 내지 7, 도 4 내지 도 10)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도, 실제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사용 상태로 소정 장소에 보관되는 경우나 불사용 상태로 지니고 다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일단 콕 상태로 된 해머가, 수동 조작에 의해 비교적 천천히 전방으로 쓰러져 가서, 탄환의 발사에 필요한, 예를 들면, 탄환 발사용 핀(파이어링 핀(firing pin))에 타격을 줌이 없이 쓰러진 상태(디콕(decock) 상태라 함)로 된다. 즉, 해머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부터 저속 회동을 하여 쓰러져 가고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기초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통로(11), 밸브 수단(12), 발사용 가동 핀(13), 및 해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스 공급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불사용 상태로 소정 장소에 보관되는 경우 또는 불사용 상태로 지니고 다니는 경우, 도시가 생략된 방아쇠가 일단 당겨지면, 그것에 의해 회동 레버(17)와의 상호 계합이 해제된 해머(14)가, 그것에 작용하는 해머 스프링(16)의 부세력을 억제하도록 해서, 도 15에서 일점쇄선에 의해 도시된 콕 상태로부터, 수동 조작에 의해 천천히, 도 15에서 실선에 의해 도시된 디콕 상태로 이행하게 되어, 그 디콕 상태로 유지된다. 디콕 상태를 취하는 해머(14)는, 구타부(14A)를 발사용 가동 핀(13)의 후부에 근접 혹은 접촉시 키지만, 발사용 가동 핀(13)을 압압(押壓) 이동시키지 않고, 따라서, 밸브 수단(12)이 가스 통로(11)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위치를 취하고, 회동 레버(17)의 일단에 당접하여, 그 위치에 계지(係止)된다. 해머(14)가 디콕 상태에 있을 때에는, 해머 스프링(15)은 압축도 신장도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놓여져, 해머(14)에 대해서 부세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종래의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도, 불사용 상태로 되는 때에는, 해머(14)가 디콕 상태로 유지되지만, 이러한 디콕 상태에 놓여진 해머(14)는, 그 기구상의 상황으로 보아서,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보기 어렵다. 예를 들면, 디콕 상태에 있는 해머(14)에, 그 후방으로부터 비교적 큰 압압력이 가해지면, 해머(14)가 회동 레버(17)와의 계합(係合) 상태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해머(14)에 계합한 회동 레버(17)에 변형 혹은 파손 등이 발생되어서, 해머(14)가 발사용 가동 핀(13)을 원하지 않게 압압 이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밸브 수단(12)에 가스 통로(11)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하는 작동을 원하지 않게 이루어지게 해버리는 우려가 있다.
그리고, 해머(14)에 의한 발사용 가동 핀(13)의 압압 이동 및 그것에 수반하는 밸브 수단(12)의 가스 통로(11)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하는 작동이 원하지 않게 이루어지는 사태가 일어나면, 가스 통로(11)를 통한 가스 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이 원하지 않게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그 가스에 의해 탄환이 발사되는 폭발이 초래되어 버리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탄환의 발사 에 이용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통로의 개폐를 하는 개폐 밸브부를,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연동한 해머부의 회동에 의해 작동시키고, 가스 통로를 통한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콕 상태로부터, 탄환을 발사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의하지 아니하고, 디콕 상태로 이행한 해머부가, 디콕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여, 원하지 않게 가해지는 압압력에 의해 개폐 밸브부를 원하지 않게 작동시켜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게 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를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는, 장탄실에 장전된 탄환의 발사에 이용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통로와, 가스 통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개방 상태와 가스를 공급하지 않는 폐쇄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게 하는 개폐 밸브부와,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연동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고속 회동과,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의하지 않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저속 회동을 하는 해머부와, 제 2 위치를 취하는 해머부에 당접하여 그 해머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부재와, 개폐 밸브부와 해머부 사이에 회동 및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해머부가 고속 회동을 할 때, 그 고속 회동에 따른 제 1 이동, 즉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 1 부분에 계합되어 해머부와 함께 이동을 함으로써,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켜서, 그 개폐 밸브부에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는 상태를 취하게 하고, 해머부가 저속 회동을 할 때, 그 저속 회동에 따른 제 2 이동, 즉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 2부분에 계합함으로써,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지 않고, 그 개폐 밸브부에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취하게 하는 가동(可動) 연휴부재(連携部材)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에 있어서는, 해머부가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연동하는 고속 회동과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의하지 않는 저속 회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해머부의 고속 회동 및 저속 회동은, 모두 콕 상태로부터 디콕 상태로 이행하는 이동으로 되고, 디콕 상태로 이행한 해머부가 위치 결정부재에 의한 위치 결정을 받는다.
그리고, 해머부가 고속 회동을 할 때에는, 가동 연휴부재가, 해머부의 고속 회동에 따라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켜서, 그 개폐 밸브부에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는 상태를 취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 가스 통로를 통해서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하여, 예를 들면, 탄환이 발사된다. 또, 해머부가 저속 회동을 할 때는, 가동 연휴부재가, 해머부의 저속 회동에 따라,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지 않고, 그 개폐 밸브부에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취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 가스 통로를 통한 가스 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로 한다.
가동 연휴부재가, 예를 들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경우와 같이, 해머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해머부 및 개폐 밸브부와의 계합이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해머부가 고속 회동을 할 때, 그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 1 부분, 예를 들면, 당접면부에 계합하여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고, 해머부가 저속 회동을 할 때, 그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 2 부분, 예를 들면, 오목부에 계합하여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지 않는 것, 혹은, 예를 들면,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경우와 같이, 해머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해머부에 구비된 부세 수단에 의해 소정의 회동 방향으로 부세되어, 개폐 밸브부와의 계합이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해머부가 고속 회동을 할 때, 부세 수단에 의해 초래되는 회동량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고, 해머부가 저속 회동을 할 때, 부세 수단에 의해 초래되는 회동량이 비교적 큰 것으로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에 의하면, 해머부의 고속 회동 및 저속 회동의 각각에 따른 가동 연휴부재의 작동에 의해, 해머부가 고속 회동을 할 때에는, 개폐 밸브부가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게 되어, 가스 통로를 통해서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그것에 의해, 예를 들면, 탄환이 발사되는 상태가 확실히 얻어지게 되고, 또한, 해머부가 저속 회동을 할 때에는, 개폐 밸브부가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가스 통로를 통해서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해머부가, 고속 회동 혹은 저속 회동을 하여 콕 상태로부터 디콕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는, 그것에 당접하는 위치 결정부재에 의해 기구적으로 위치 결정되고, 디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저속 회동을 하여, 개폐 밸브부에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취하게 한 채로 디콕 상태로 이행한 해머부가, 위치 결정부재에 의한 위치 결정을 받아서 디콕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게 되고, 디콕 상태를 취하는 해머부가 원하지 않게 가해진 압압력에 의해 개폐 밸브부를 원하지 않게 작동시켜 버리는 사태가 회피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예를, 그것이 적용된 가스식 완구총과 함께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는, 방아쇠(21), 배럴부(22), 배럴부(22)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장탄실(23), 해머부(24) 및 그립부(25)를 구비한 완구총 본체(30)와, 그립부(25)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케이스(31)가 구비되어 있고, 배럴부(22)와 관련하여, 배럴부(22)를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슬라이더부(32)가 배치되어 있다. 장탄실(23)은, 고무재 등의 탄성 마찰재로 이루어지는 환상부재(23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환상부재(23A)는 배럴부(22)의 후단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립부(25)에는, 방아쇠(21)로부터 후방을 향해 신장하는 가동 바(33)가 배치되어 있고, 가동 바(33)는, 배럴부(22)를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방아쇠(21)는, 그것이 당겨질 때, 완구총 본체(30)에 설치된 당접부(34)보다 전방이 되는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가동 바(33)도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가동 바(33)의 후단부에는, 리프 스프링(35)이 당접하고 있고, 리프 스프링(35)은, 가동 바(33)에 그것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슬라이더부(32)는, 완구총 본체(30)에 있어서의 배럴부(22)가 설치된 부분에 감합(嵌合)되어 있고, 방아쇠(21)가 조작 개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그 전단부를 완구총 본체(30)에 있어서의 배럴부(22)가 설치된 부분의 전단부에 근접시키는 위치인 기준 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슬라이더부(32)는, 그 전체가 배럴부(22)를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는, 완구총 본체(30)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완구총 본체(30)의 전방측을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해머부(24)는,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이 선택적으로 당접하는 상방측 부분과 복수의 계합 단부가 설치된 하방측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하방측 부분이 축(37)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30)에 있어서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어, 축(37)을 지축(支軸)으로 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는, 그립부(25)의 하방측 부분 내에 배치된 해머 스프링(38)에 캡(39)을 개재하여 계합하는 일단부를 구비한 해머 스트럿(hammer strut)(40)의 타단부가, 핀(41)을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해머부(24)는, 해머 스프링(38)에 의한 부세력을 캡(39) 및 해머 스트럿(40)을 통해 받아서, 도 1의 화살표 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측 부분을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a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러한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는, 그 전방측에 오목부(24A)가 설치되어 있고, 해머부(24)는, 그립부(25)에 대한 케이스(31)의 장착이 되는 초기 상태(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방측 부분에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이 당접함과 동시에, 하방측 부분에 설치된 오목부(24A)에 가동 연휴부재(43)의 후단부(43A)가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해머부(24)는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있다.
가동 연휴부재(43)의 하방이 되는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 근접한 위치에는 회동 레버(44)가 축(45)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30)에 부착되어 있다. 축(45)에는 가동 당접부재(46)도 계합되어 있다.
가동 연휴부재(4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43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장공(43B)을 관통하는 축(42)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30)에 부착되어 있다. 또, 장공(43B) 내에는, 가동 연휴부재(43) 전체를 축(42)에 대해서 후방측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4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연휴부재(43)와 완구총 본체(30)와의 사이에 가동 연휴부재(43)를 하방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48)이 배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가동 연휴부재(43)는, 코일 스프링(47)에 의해 축(46)에 대해서 후방측으로 부세되고, 또한, 코일 스프링(48)에 의해 하방으로 부세되는 상태에서, 장공(43B)에 계합한 축(46)에 의한 안내를 받아서 전후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축(46)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 연휴부재(43)는, 그 후단부(43A)를 해머부(24)에 계합시키는 상태, 및 그 전단부(43C)를 후술되는 개폐 밸브부(50)에 설치된 로드(rod part)(51)의 후단부에 당접시키는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동 레버(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45)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고,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상방 선단부(44A)가 설치되어, 전체로서 만곡 형상을 이루게 되어 있고, 그 하방 부분(44B)에 리프 스프링(leaf spring)(53)이 계합되어 있다. 리프 스프링(53)은, 회동 레버(44)에, 그 상방 선단부(44A)를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 당접시키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53)은, 그 하단부가, 리프 스프링(35)의 하단부와 함께, 완구총 본체(30)에 있어서의 그립부(25) 내로 되는 부분에 부착되게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25)의 하방 단부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그립부(25) 내에 삽입되고, 그 저부가 그립부(25)의 하방 단부에 당접 계합하게 되어, 그립부(25) 내에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케이스(31)에는, 장전된 복수의 탄환(BB)을 상방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55)이 내장된 탄창(56), 예를 들면, 액화 가스가 충전된 축압실(57), 일단이 축압실(57)에 연결되어 신장하는 가스 도출 통로(58), 가스 도출 통로(58)에 대한 개폐 밸브부(50), 및 가스 도출 통로(58)에 이어지는 연결 통로(59)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통로(59)는, 가스 도출 통로(58)를, 슬라이더부(32) 내에 배치된 가동부재(60)에 설치되어 장탄실(23)에 이어지는,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61)에 연결되는 상태가 취해지도록 하게 되어 있다.
가스 도출 통로(58)에 대한 개폐 밸브부(50)는, 가스 도출 통로(58)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위치에 따라 가스 도출 통로(58)를 개폐 제어한다. 개폐 밸브부(5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 실부재(seal member)(62)가 감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로드(5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밸브부(50)는, 정상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1)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63)의 부세력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58)를 폐쇄 상태로 하는 위치를 취한다. 가스 도출 통로(58) 및 연결 통로(59)는, 그립부(25) 내에 배치된 케이스(31)에 있어서의 축압실(57)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고, 그에 수반하여, 가스 도출 통로(58)에 대한 개폐 밸브부(50)는, 그립부(25) 내에 배치되는 케이스(31)의 축압실(57) 상방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32)가 기준 위치에 있고, 그립부(25) 내에 케이스(31)가 위치 결정 장착되고, 장탄실(23)에 탄환(BB)이 장전되어 있고, 케이스(31)에 있어서의 축압실(57)의 상방에 형성된 가스 도출 통로(58)가, 개폐 밸브부(50)에 의해 폐쇄 상태로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케이스(31)의 축압실(57) 상방에 형성된 연결 통로(59)를 개재하여, 장탄실(23)로 이어지는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61)에 연결된다. 또한, 이 때 해머부(24)는,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에 도시된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 해머부(24),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 가동 연휴부재(43), 가스 도출 통로(58), 연결 통로(59), 및 개폐 밸브부(50)를 포함한 부분에 의해,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 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31)가 그립부(25) 내에 장착되어 위치 결정된 후, 아직 장탄실(23)에 탄환(BB)이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 위치에 놓여진 슬라이더부(32)가, 수동 조작에 의해, 가동부재(60)를 수반하여 일단 기준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 그 수동조작으로부터 해방되고, 도시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가동부재(60)와 함께 전진하게 되어 다시 기준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 때, 슬라이더부(32)의 후퇴에 수반하여, 탄창(56)의 최상단부를 폐색하고 있던 가동부재(60)가 후퇴됨으로써, 탄창(56)의 최상단부가 개방 상태로 된다. 그에 따라, 코일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의해, 탄창(56) 내에 충전된 탄환(BB) 중 최상방 위치에 놓여진 것이 최상단부로 밀려 올려지게 되고, 최상단부에서 보관 유지된다.
또한, 해머부(24)가, 슬라이더부(32)의 후퇴에 수반하여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에 의해 압압되고, 그것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되시된 위치로부터, 해머 스트럿(40)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해머 스프링(3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a방향과는 역의 방향(b방향)으로 회동한다. 그에 수반하여, 회동 레버(44)가 리프 스프링(53)의 부세력에 따르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b방향으로 회동하는 해머부(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방측 부분에 설치된 오목부(24A)에 대한 가동 연휴부재(43)의 후단부(43A)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 회동 레버(44)의 상방 선단부(44A)가 계합하여, 해머부(24)와 회동 레버(44)가 상호 위치 규제 상태로 되고, 해머부(24)는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또, 이 때,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이, 가동 연휴부재(43)를 밀어 올려 축(42)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시켜, 가동 연휴부재(43)에, 코일 스프링(48)을 압축하는 상방 위치를 취하게 한다. 그것에 의해, 가동 연휴부재(43)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48)에 의한 하방으로의 부세력을 받지만,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 의해, 축(42)을 회동 중심으로 한 하방으로의 회동이 저지된 상태에 놓여진다.
그리고, 일단 후퇴한 슬라이더부(32)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으로 전환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가동부재(60)도 전진하고, 전진하는 가동부재(60)가, 그 전단부를 탄창(56)의 최상단부 내에 삽입하여, 그곳에 보관 유지된 탄환(BB)을 장탄실(23)로 반송한다. 그와 동시에, 가동부재(60)는, 다시 탄창(56)의 최상단부를 폐색하고, 그 전방측 부분을 환상부재(23A)에 의해 형성되는 장탄실(23)에 계합시키게 되어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탄실(23)에 탄환(BB)이 장전된다.
탄환(BB)을 장탄실(23)에 공급하기 위해 전진하는 슬라이더부(32)가 기준 위치에 복귀한 때에는, 가스 도출 통로(58)가, 개폐 밸브부(50)에 의해 폐쇄 상태로 되어있고, 다시 연결 통로(59)를 개재하여 장탄실(23)에 이어지는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61)에 연결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탄실(23)에 탄환(BB)이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21)가 당겨지면, 그것에 수반하여 가동 바(33)가 리프 스프링(35)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후퇴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바(33)의 후단부가, 가동 당접부재(46)의 하방 부분을 개재하여 회동 레버(44)의 하방 부분(44B)을 후방으로 압압하는 이동을 하고, 회동 레버(44)를 리프 스프링(53)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회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회동 레버(44)의 상방 선단부(44A)와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과의 상호 계합 상태가 해제된다.
회동 레버(44)에 의해 위치 규제된 상태로부터 해방된 해머부(24)는, 해머 스트럿(40)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해머 스프링(38)의 부세력을 받아서, 축(37)을 회동 중심으로 한 a방향의 고속 회동을 한다. 그것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과 가동 연휴부재(43)와의 계합 상태가 해제되어, 가동 연휴부재(43)가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 의해 밀려 올려지는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그 결과, 가동 연휴부재(43)가, 코일 스프링(48)의 부세력에 의해 축(42)을 회동 중심으로 한 하방으로의 회동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되지만, 하방으로의 회동을 거의 하지 않고, 따라서, 그 상하 방향의 위치가 거의 바뀌지 않는 동안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회동을 하여 전방으로 넘어진 해머부(24)에 있어서의 당접면부(24B)가, 가동 연휴부재(43)의 후단부(43A)에 힘차게 당접한다. 그에 따라서, 가동 연휴부재(43)가, 해머부(24)의 당접면부(24B)에 의해 압압되어, 축(42)과 장공(43B)에 의한 안내를 받는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연휴부재(43)의 전단부(43C)가, 개폐 밸브부(50)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로드(51)의 후단부에 당접하여 로드(51)를 압압하고, 가동 연휴부재(43)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이, 코일 스프링(63)의 부세력에 대항한 개폐 밸브부(50)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을 일으키게 한다. 개폐 밸브부(50)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은, 그것에 감합된 환상 실부재(62)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을 수반하고, 그것에 의해, 개폐 밸브부(50)는, 가스 도출 통로(58)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킨다.
그것에 의해, 축압실(57)로부터의 가스가, 개방 상태로 된 가스 도출 통로(58)를 통해, 그리고, 연결 통로(59)를 통해서, 장탄실(23)에 통한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61)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폐 밸브부(50)에 의해 개방 상태로 된 가스 도출 통로(58)를 통해서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61)로 공급되는 가스가, 장탄실(23)에 장전된 탄환(BB)에 미치는 가스압에 의해, 탄환(BB)이 장탄실(23)로부터 배럴부(22) 내로 이동하게 되고, 탄환(BB)의 장탄실(23)로부터의 발사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당접면부(24B)를 가동 연휴부재(43)의 후단부(43A)에 당접시켜, 가동 연휴부재(43)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해머부(24)는, 당접면부(24B)보다 상방 부분에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이 당접함으로써 위치 고정되고,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밸브부(50)의 로드(51)의 하방에 배치된 잠금부재(65)가, 코일 스프링(66)에 의한 부세력을 받아 상방으로 이동하고, 로드(51)의 후방 부분에 계합하여, 개폐 밸브부(50)를 가스 도출 통로(58)에 개방 상태를 취하도록 하는 위치 로 규제한다.
그 후, 예를 들면, 가스 블로우 백(blow back) 동작이 이루어지고, 가스압에 의해 슬라이더부(32)가 후퇴한다. 이 후퇴하는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에 의해, 해머부(24)가, 해머 스트럿(40)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해머 스프링(3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b방향으로 회동된다. 그것에 수반하여, 가동 연휴부재(43)가, 코일 스프링(47)의 부세력에 의해, 축(42)과 장공(43B)에 의한 안내를 받는 상태에서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그 전단부(43C)가 개폐 밸브부(50)의 로드(51) 후단부를 압압하는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이 때, 슬라이더부(32)의 후퇴 거리가 미리 정해져 있는 거리로 될 때까지는, 개폐 밸브부(50)는, 그 로드(51)의 후방 부분에 계합하는 잠금부재(65)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58)를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로 규제된다. 그리고, 슬라이더부(32)의 후퇴 거리가 미리 정해져 있는 거리로 되면, 도시가 생략된 부재를 개재하여, 잠금부재(65)가 코일 스프링(6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눌러 내려지고, 개폐 밸브부(50)의 로드(51) 후방 부분과의 계합을 해제한다. 그것에 의해, 개폐 밸브부(50)가, 코일 스프링(63)의 부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가스 도출 통로(58)를 폐쇄 상태로 하는 위치로 되돌아온다.
가스압에 의한 슬라이더부(32)의 후퇴에 수반하여 가동부재(60)도 후퇴한다. 그리고, 슬라이더부(32)는, 최후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가스압을 받지 않는 상태로 되고 그 후 관성에 의해 최후방 위치에 도달한다. 최후방 위치에 도달한 슬라이더부(32)는, 도시가 생략된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을 받아서, 후퇴한 가동부재(60) 와 함께 전진하여, 기준 위치로 되돌아온다. 슬라이더부(32)가 최후방 위치로부터 기준 위치로 되돌아올 때, 슬라이더부(32)와 함께 전진하는 가동부재(60)가 장탄실(23)에 다음 탄환(BB)의 장전을 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스압에 의해 후퇴하여 최후방 위치에 도달한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에 의해, 해머부(24)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까지 b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취해져서 다음 탄환의 발사가 준비된다.
한편, 해머부(24)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있을 때, 해머부(24)에, 탄환 발사를 일으키지 않고, 디콕 상태를 취하게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24)가, 수동 조작에 의해, 회동 레버(44)의 상방 선단부(44A)와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과의 상호 계합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축(37)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a방향으로 저속 회동하게 된다. 이 때, a방향으로 저속 회동하는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과 가동 연휴부재(43)와의 계합 상태가 해제되어, 가동 연휴부재(43)가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 의해 밀려 올려지는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그 결과, 가동 연휴부재(43)가, 코일 스프링(48)의 부세력에 따라서 축(42)을 회동 중심으로 한 하방으로의 회동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저속 회동하는 해머부(24)에 의해 방해받음 없이, 축(42)을 회동 중심으로 한 하방으로의 회동을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방 위치를 취한다. 그 후, a방향으로 저속 회동하는 해머부(24)는,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를 향하지만, 그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위치를 취하는 가동 연휴부재(43)의 후단부(43A)가, 해머부(24)의 하방측 부분에서의 당접면부(24B)의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24A)에 비집고 들어가 계합한다.
그러므로, 해머부(24)가, 도 7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한층 더 a방향으로 회동하여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도달하여도, 가동 연휴부재(43)가 해머부(24)에 의해 전방측으로 압압되는 사태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 연휴부재(43)는, 전방측으로 이동함이 없이 하방 위치를 유지하고, 가동 연휴부재(43)의 전단부(43C)가, 개폐 밸브부(50)에 그것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로드(51)의 후단부를 압압하는 상태는 취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머부(24)가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지는 상태가 취해지고, 개폐 밸브부(50)가 가스 도출 통로(58)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축압실(57)로부터 가스 도출 통로(58) 및 연결 통로(59)를 통해서의 가스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아 장탄실(23)에 장전된 탄환(BB)의 발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즉,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24)가 탄환 발사를 일으키지 않고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 이행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24)는, 그 오목부(24A)에 가동 연휴부재(43)의 선단부(43A)가 계합함과 동시에, 그 상방측 부분에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이 당접하여, 그것에 의해 위치 결정이 된다. 따라서,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24)는,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에 의해 기구적으로 위치 결정이 된 지극히 안정인 상태에 있게 되 어, 예를 들면, 그 후방으로부터 비교적 큰 외력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그것에 의해, 원하지 않게 가동 연휴부재(43)를 전방측으로 압압하여, 개폐 밸브부(50)를 가스 도출 통로(58)에 개방 상태를 취하게 하는 사태를 초래하는 일은 없다.
도 8은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7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예를, 그것이 적용된 가스식 완구총과 함께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는, 방아쇠(71), 배럴부(72), 배럴부(72)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장탄실(73), 해머부(74) 및 그립부(75)를 구비한 완구총 본체(80)와, 그립부(75)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 케이스(81)가 구비되어 있고, 배럴부(72)와 관련하여, 배럴부(72)를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슬라이더부(82)가 배치되어 있다. 장탄실(73)은, 고무재 등의 탄성 마찰재로 이루어진 환상부재(73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환상부재(73A)는 배럴부(72)의 후단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립부(75)에는, 방아쇠(71)로부터 후방을 향해 신장하는 가동 바(83)가 배치되어 있고, 가동 바(bar)(83)는, 배럴부(72)를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방아쇠(71)는, 축(84)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80)에 부착되어 있고, 그것이 당겨질 때, 도 8에 도시된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축(84)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가동 바(83)도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슬라이더부(82)는, 완구총 본체(80)에 있어서의 배럴부(72)가 설치된 부분에 감합되어 있고, 방아쇠(71)가 조작 개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그 전단부를 완 구총 본체(80)에 있어서의 배럴부(72)가 설치된 부분의 전단부에 근접시키는 위치인 기준 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슬라이더부(82)는, 그 전체가 배럴부(72)를 따른 방향의 이동을 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 완구총 본체(80)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완구총 본체(80)의 전방측을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해머부(74)는,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이 선택적으로 당접하는 상방측 부분과 복수의 계합 단부가 설치된 하방측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하방측 부분이 축(85)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80)에 있어서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축(85)을 회동 중심으로 한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해머부(74)의 하방측 부분에는, 그립부(75)의 하방측 부분 내에 배치된 해머 스프링(86)에 의해 부세된 해머 스트럿(87)의 상단부가 계합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해머부(74)는, 해머 스프링(86)에 의한 부세력을 해머 스트럿(87)을 통해 받아서,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 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상방측 부분을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을 향하게 하는 방향(a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러한 해머부(74)의 중간 부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측을 향해 개방된 유저공(有底孔, 바닥에 있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유저공에 코일 스프링(88)에 의해 부세된 압압 핀(89)이, 유저공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동 연휴부재(90)가 축(91)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가동 연휴부재(90)의 후단부(90A)에 압압 핀(89)이 당접되어 있다. 그리고, 해머부(74)는, 그립부(75)에 대한 케이스(81)의 장착이 된 초기 상태(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방측 부분에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이 당접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이 때, 해머부(74)는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있다.
가동 연휴부재(90)의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는, 회동 레버(92)가, 그 하방 부분이 축(93)을 개재하여 완구총 본체(80)에 부착되고, 완구총 본체(8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동 레버(92)는, 전체가 축(93)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신장되어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방 선단부(92A)가 해머부(74)의 하방측 부분의 근방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상방 선단부(92A)는, 해머부(74)의 하방측 부분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할 수가 있다. 그리고, 회동 레버(92)는, 그 하방 부분에 해머 스프링(86)의 하단부가 계합하고 있고, 해머 스프링(86)에 의해, 축(9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연휴부재(90)의 근방에는, 완구총 본체(80)로부터 돌출하는 축(94)이 배치되어 있고, 가동 연휴부재(90)는, 그 후단부(90A)에 해머부(74)에 배치된 압압 핀(89)이 당접하는 상태에서, 그 상면측 부분을 축(94)에 당접시키는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81)는, 그립부(75)의 하방 단부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75) 내에 삽입되고, 그 저부가 그립부(75)의 하방 단부에 당접 계합되어, 그립부(75) 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케이스(81)에는, 장전된 복수의 탄환(BB)을 상방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95)이 내장된 탄창(96), 예를 들면 액화 가스가 충전된 축압실(97), 일단이 축압실(97)에 연결되어 신장하는 가스 도출 통로(98), 가스 도출 통로(98)에 대한 개폐 밸브부(99), 및 가스 도출 통로(98)에 이어지는 연결 통로(100)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통로(100)는, 가스 도출 통로(98)를, 슬라이더부(82) 내에 배치된 가동부재(101)에 설치되어 장탄실(73)에 연결되고,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102)에 연결되는 상태가 취해지도록 하게 되어 있다.
가스 도출 통로(98)에 대한 개폐 밸브부(99)는, 가스 도출 통로(98)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위치에 따라 가스 도출 통로(98)를 개폐 제어한다. 개폐 밸브부(99)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 실부재(105)가 감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로드(106)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밸브부(99)는 항상 코일 스프링(107)의 부세력을 받고 있고, 정상시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07)의 부세력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98)를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를 취한다. 가스 도출 통로(98) 및 연결 통로(100)는, 그립부(75) 내에 배치되는 케이스(81)에서의 축압실(97)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따라, 가스 도출 통로(98)에 대한 개폐 밸브부(99)는, 그립부(75) 내에 배치되는 케이스(81)에서의 축압실(9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82)가 기준 위치에 있고, 그립부(75) 내에 케이스(81)가 위치 결정되어 장착되어 있고, 장탄실(73)에 탄환(BB)이 장전되어 있고, 케이스(81)에서의 축압실(97)의 상방에 형성된 가스 도출 통로(98)가, 개폐 밸브부(99)에 의해 폐쇄 상태로 되어있고, 마찬가지로 케이스(81)에 있어서의 축압실(97)의 상방에 형성된 연결 통로(100)를 개재하여, 장탄실(73)에 이어지는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102)에 연결된다. 또, 이 때 해머부(74)는,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8에 도시된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 해머부(74),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 가동 연휴부재(90), 가스 도출 통로(98), 개폐 밸브부(99) 및 연결 통로(100)를 포함하는 부분에 의해,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의 일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가스식 완구총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81)가 그립부(75) 내에 장착되어 위치 결정된 후, 아직 장탄실(73)에 탄환(BB)이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고, 기준 위치에 놓여진 슬라이더부(82)가, 수동 조작에 의해, 가동부재(101)를 수반하여 일단 기준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 그 수동 조작으로부터 해방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가동부재(101)와 함께 전진되어, 다시 기준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 때, 슬라이더부(82)의 후퇴에 수반하여, 탄창(96)의 최상단부를 폐색하고 있던 가동부재(101)가 후퇴됨으로써, 탄창(96)의 최상단부가 개방 상태로 된다. 그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95)의 부세력에 의해, 탄창(96) 내에 충전된 탄환(BB) 중 최상 방 위치에 있던 것이 최상단부로 밀려 올려지고, 최상단부에서 보관 유지된다.
또, 해머부(74)가, 슬라이더부(82)의 후퇴에 수반하여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에 의해 압압되고, 그것에 의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해머 스트럿(87)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해머 스프링(8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a방향과는 역의 방향(b방향)으로 회동한다. 그것에 수반하여, 회동 레버(92)가, 해머 스프링(86)의 부세력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조금 회동한다. 그리고, b방향으로 회동하는 해머부(7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 부분에 배치된 압압 핀(89)이 가동 연휴부재(90)의 후단부(90A)에 당접한 상태에서,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해머부(74)의 하방측 부분에 회동 레버(92)의 상방 선단부(92A)가 계합하고, 그것에 의해, 해머부(74)와 회동 레버(92)가 상호 위치 규제 상태로 되어, 해머부(74)는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또, 이 때, 축(91)을 개재하여 해머부(74)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연휴부재(90)는, 그 후단부(90A)가 압압 핀(89)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축(91)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그 전단부(90B)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부세력이 주어지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측 부분이 축(94)에 당접하고, 그것에 의해 회동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그리고, 일단 후퇴한 슬라이더부(82)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으로 변하면, 그에 수반하여 가동부재(101)도 전진하고, 전진하는 가동부재(101)가, 그 전단부를 탄창(96)의 최상단부 내에 삽입하여, 그곳에 보관 유지된 탄환(BB)을 장탄실(73)로 반송한다. 그와 동시에, 가동부재(101)는, 다시 탄창(96)의 최상단부를 폐색하고, 그 전방측 부분을 환상부재(73A)에 의해 형성되는 장탄실(73)에 계합시키게 되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탄실(73)에 탄환(BB)이 장전된다.
탄환(BB)을 장탄실(73)로 공급하기 위해 전진하게 된 슬라이더부(82)가 기준 위치에 복귀했을 때에는, 가스 도출 통로(98)가, 개폐 밸브부(99)에 의해 폐쇄 상태로 되고, 다시 연결 통로(100)를 개재하여 장탄실(73)에 이어지는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102)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탄실(73)로 탄환(BB)이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71)가 당겨지면, 그것에 수반하여 가동 바(83)가 이동하고, 회동 레버(92)에, 해머 스프링(86)의 부세력에 대항한 축(93)을 가동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방향 회전의 회동을 조금 일으키게 된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레버(92)의 상방 선단부(92A)와 해머부(74)의 하방측 부분과의 상호 계합 상태가 해제된다.
회동 레버(92)에 의해 위치 규제된 상태로부터 해방된 해머부(74)는, 해머 스트럿(87)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해머 스프링(86)의 부세력을 받아서, 축(85)을 회동 중심으로 한 a방향의 고속 회동을 한다. 이 때, 축(91)을 개재하여 해머부(74)에 부착된 가동 연휴부재(90)도, 해머부(74)에 수반하여 반시계방향 회전의 고속 회동을 한다. 그것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연휴부재(90)는, 그 자체의 관성 작용에 의해, 상면측 부분을 축(94)으로부터 그 하방측으로 이격시키는 하방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그 전단부(90B)를 개폐 밸브부(99)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로드(106)의 후단부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축(85)을 회동 중심으로 한 a방향의 고속 회동을 하는 해머부(7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방측 부분에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이 당접하는 디콕 위치에 도달하지만, 그 때, 후단부(90A)에 압압 핀(89)이 당접하고, 전단부(90B)가 개폐 밸브부(99)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로드(106)의 후단부에 당접하게 된 가동 연휴부재(90)가, 로드(106)를 압압하여 개폐 밸브부(99)의 전방측으로 이동을 일으키게 한다. 개폐 밸브부(99)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은, 그것에 감합된 환상 실부재(105)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을 수반하고, 그것에 의해, 개폐 밸브부(99)는, 가스 도출 통로(98)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킨다.
그것에 의해, 축압실(97)로부터의 가스가, 개방 상태로 된 가스 도출 통로(98)를 통해, 또한, 연결 통로(100)를 통해서, 장탄실(73)에 통한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102)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폐 밸브부(99)에 의해 개방 상태로 된 가스 도출 통로(98)를 통해서 탄환 발사용 가스 통로(102)로 공급되는 가스가, 장탄실(73)에 장전된 탄환(BB)에 미치는 가스압에 의해, 탄환(BB)이 장탄실(73)로부터 배럴부(72) 내로 이동하게 되어, 탄환(BB)의 장탄실(73)로부터의 발사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머부(74)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부터 a방향으로 고속 회동하여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 이행하고, 축(91)을 개재하여 해머부(74)에 부착된 가동 연휴부재(90)에 의해 개폐 밸브부(99)가 압압되고, 그것에 의해 개폐 밸브부(99)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스 도출 통로(98)를 개방 상태로 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밸브부(99)의 로드(106)의 하방에 배치된 잠금부재(110)가, 코일 스프링(111)에 의한 부세력을 받아 상방으로 이동하고, 로드(106) 의 후단부에 계합하여, 개폐 밸브부(99)를 가스 도출 통로(98)에 개방 상태를 취하도록 하는 위치로 규제한다.
그 후, 예를 들면, 가스 블로우 백 동작이 이루어지고, 가스압에 의해 슬라이더부(82)가 후퇴한다. 이 후퇴하는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에 의해, 해머부(74)가, 해머 스트럿(87)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해머 스프링(8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b방향으로 회동된다. 그것에 수반하여, 축(91)을 개재하여 해머부(74)에 부착된 가동 연휴부재(90)가, 해머부(74)의 b방향의 회동에 수반하여 시계방향 회전으로 회동하여, 그 전단부(90B)가 개폐 밸브부(99)의 로드(106)의 후단부를 압압하는 상태로부터 해방된다.
이 때, 슬라이더부(82)의 후퇴 거리가 미리 정해져 있는 거리가 될 때까지는, 개폐 밸브부(99)는, 그 로드(106)의 후단부에 계합하는 잠금부재(110)에 의해, 가스 도출 통로(98)를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로 규제된다. 그리고, 슬라이더부(82)의 후퇴 거리가 미리 정해져 있는 거리로 되면, 도시가 생략된 부재를 개재하여, 잠금부재(110)가 코일 스프링(111)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눌러 내려지고, 개폐 밸브부(99)의 로드(106)의 후단부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그것에 의해, 개폐 밸브부(99)가, 코일 스프링(107)의 부세력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가스 도출 통로(98)를 개방 상태로 하는 위치로 되돌아온다
가스압에 의한 슬라이더부(82)의 후퇴에 수반하여 가동부재(101)도 후퇴한다. 그리고, 슬라이더부(82)는, 최후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가스압을 받지 않는 상태로 되고, 그 후 관성에 의해 최후방 위치에 도달한다. 최후방 위치에 도달한 슬라이더부(82)는, 도시가 생략된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을 받아서, 후퇴한 가동부재(101)와 함께 전진하고, 기준 위치로 되돌아온다. 슬라이더부(82)가 최후방 위치로부터 기준 위치로 되돌아올 때, 슬라이더부(82)와 함께 전진하는 가동부재(101)가 장탄실(73)에 다음의 탄환(BB)의 장전을 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스압에 의해 후퇴하여 최후방 위치에 이르는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에 의해, 해머부(74)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까지 b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취해져서, 다음 탄환의 발사가 준비된다.
한편, 해머부(74)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져 있을 때, 해머부(74)에, 탄환 발사를 일으키지 않고, 디콕 상태를 취하게 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74)가, 수동 조작에 의해, 회동 레버(92)의 상방 선단부(92A)와 해머부(74)의 하방측 부분과의 상호 계합 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축(85)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a방향으로 저속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축(91)을 개재하여 해머부(74)에 부착된 가동 연휴부재(90)도, a방향으로 저속 회동하는 해머부(74)에 수반하여 반시계방향 회전의 저속 회동을 한다. 이 때, 가동 연휴부재(90)의 관성 작용은 지극히 작고, 가동 연휴부재(9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부(90A)에 당접하는 압압 핀(89)에 의한 압압에 의해 일어나는 부세력을 받아서, 해머부(7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축(91)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회전의 회전으로 회동하고, 그 상면측 부분을 축(94)에 당접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그것에 의해, 가동 연휴부재(90) 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단부(90B)를 개폐 밸브부(99)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로드(106)의 후단부에 당접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축(85)을 회동 중심으로 한 a방향의 저속 회동을 하는 해머부(7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방측 부분에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이 당접하는 디콕 위치에 도달하지만, 그 때, 후단부(90A)에 압압 핀(89)이 당접하고, 상면측 부분을 축(94)에 당접시킨 가동 연휴부재(90)는, 상방 위치를 취하고, 그 전단부(90B)를 개폐 밸브부(99)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로드(106)의 후단부에 당접시키지 않는 상태에 놓여진다. 그러므로, 해머부(74)가 도 9에 도시된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도달하여도, 가동 연휴부재(90)가 개폐 밸브부(99)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사태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머부(74)가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지는 상태가 취해지고, 개폐 밸브부(99)가 가스 도출 통로(98)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축압실(97)에서 가스 도출 통로(98) 및 연결 통로(100)를 통해서의 가스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고, 장탄실(73)에 장전된 탄환(BB)의 발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즉, 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74)가, 탄환 발사를 일으키지 않고,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로 이행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74)는, 그 상방측 부분에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이 당접하고, 그것에 의해 위치 결정이 되게 된다. 따라서, 디콕 상태를 취하는 위치에 놓여진 해머부(74)는,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에 의해 기구적으로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지극히 안 정된 상태에 놓여지게 되고, 예를 들면, 그 후방으로부터 비교적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것에 의해, 원하지 않게 가동 연휴부재(90)에 의해 개폐 밸브부(99)가 전방측으로 압압되어, 개폐 밸브부(99)가 가스 도출 통로(98)를 개방 상태로 하는 사태를 초래하는 일은 없다.
상술의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의 해머부(24), 슬라이더부(32)의 후단 부분(32A), 가동 연휴부재(43), 가스 도출 통로(58), 연결 통로(59), 및 개폐 밸브부(50)를 포함하는 부분의 구성, 및 도 8에 도시된 예에서의 해머부(74), 슬라이더부(82)의 후단 부분(82A), 가동 연휴부재(90), 가스 도출 통로(98), 연결 통로(100), 및 개폐 밸브부(99)를 포함하는 부분의 구성은,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 및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가 구비해야 할 구성의 주요부를, 예시하는 것이고, 그것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 바와 같이,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되는 가스식 완구소총의 가스 공급 기구에 의하면, 해머부의 고속 회동 및 저속 회동의 각각에 따른 가동 연휴부재의 작동에 의해, 해머부가 고속 회동을 할 때에는, 개폐 밸브부가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게 되고, 가스 통로를 통한 가스의 공급이 되어, 그것에 의해, 예를 들면, 탄환이 발사되는 상태가 확실히 얻어지 게 되고, 또한, 해머부가 저속 회동을 할 때에는, 개폐 밸브부가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가스 통로를 통한 가스의 공급이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해머부가, 고속 회동 혹은 저속 회동을 하여 콕 상태로부터 디콕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는, 그것에 당접하는 위치 결정부재에 의해 기구적으로 위치 결정이 되고, 디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저속 회동을 하여, 개폐 밸브부에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취한 채로 디콕 상태로 이행한 해머부가, 위치 결정부재에 의한 위치 결정을 받아 디콕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게 되어, 디콕 상태를 취하는 해머부가 원하지 않게 가해진 압압력에 의해 개폐 밸브부를 원하지 않게 작동시켜 버리는 사태를 일으키지 않게 된다.

Claims (10)

  1. 장탄실에 장전된 탄환의 발사에 이용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통로와,
    상기 가스 통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개방 상태와 가스를 공급하지 않는 폐쇄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게 하는 개폐 밸브부와,
    상기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연동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고속 회동과, 상기 방아쇠 조작에 의하지 않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저속 회동을 하는 해머부와,
    상기 제 2 위치를 취하는 상기 해머부에 당접하여 상기 해머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부재와,
    상기 개폐 밸브부와 상기 해머부의 사이에 회동 가능 및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머부가 상기 고속 회동을 할 때, 상기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 1부분에 계합되어 상기 해머부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켜서, 상기 개폐 밸브부에 상기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시키는 상태를 취하게 하고, 상기 해머부가 상기 저속 회동을 할 때, 상기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 2부분에 계합되어 상기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지 않는 위치를 취하고, 상기 개폐 밸브부에 상기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취하게 하는 가동 연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가, 상기 저속 회동을 상기 해머부에 대한 수동 조작에 의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가, 상기 장탄실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된 슬라이더부의 후단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1 부분이, 상기 해머부에 설치된 상기 가동 연휴부재의 단부에 당접하는 당접면부로 되고, 상기 해머부에 있어서의 제2 부분이, 상기 해머부에 설치된 상기 가동 연휴부재의 단부가 비집고 들어가는 오목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연휴부재가, 상기 해머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축지(軸支)되고, 축 주위의 회동과 상기 축에 대한 왕복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6. 장탄실에 장전된 탄환의 발사에 이용되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통로와,
    상기 가스 통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개방 상태와 가스를 공급하지 않는 폐쇄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게 하는 개폐 밸브부와,
    상기 탄환을 발사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방아쇠 조작에 연동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고속 회동과, 상기 방아쇠 조작에 의하지 않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저속 회동을 하는 해머부와,
    상기 제 2 위치를 취하는 상기 해머부에 당접하여 상기 해머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부재와,
    상기 해머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해머부에 구비된 부세 수단에 의해 소정의 회동 방향으로 부세되어, 상기 해머부가 상기 고속 회동을 할 때,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초래되는 회동량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상기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고, 상기 개폐 밸브부에 상기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취하게 하고, 상기 해머부가 상기 저속 회동을 할 때,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초래되는 회동량이 비교적 큰 것으로 상기 개폐 밸브부를 압압 이동시키지 않는 위치를 취하고, 상기 개폐 밸브부에 상기 가스 통로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취하게 하는 가동 연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가, 상기 저속 회동을 상기 해머부에 대한 수동 조작에 의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가, 상기 장탄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 슬라이더부의 후단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해머부에 구비된 부세 수단에 의해 부세된 상기 가동 연휴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당접하여 회동 규제를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로부터 구비된 부세 수단이, 상기 가동 연휴부재에 당접하는 압압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해머부에 규제됨과 동시에 타단부를 상기 압압 부재에 당접시킨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KR20040037112A 2003-06-25 2004-05-25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KR100603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0511 2003-06-25
JP2003180511A JP3711282B2 (ja) 2003-06-25 2003-06-25 ガス式玩具銃のガス供給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309A KR20050001309A (ko) 2005-01-06
KR100603143B1 true KR100603143B1 (ko) 2006-07-24

Family

ID=3341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7112A KR100603143B1 (ko) 2003-06-25 2004-05-25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11508A1 (ko)
EP (1) EP1491846A1 (ko)
JP (1) JP3711282B2 (ko)
KR (1) KR100603143B1 (ko)
CN (1) CN100380089C (ko)
MX (1) MXPA04005841A (ko)
TW (1) TWI244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2679A0 (en) * 2002-11-06 2004-02-08 Alexander Chomski Firearm simulation device
JP3708936B2 (ja) * 2003-07-29 2005-10-19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圧を利用する玩具銃
DE102004032309B4 (de) * 2004-07-03 2010-04-08 Carl Walther Gmbh Schusswaffe
US20060207584A1 (en) * 2005-03-16 2006-09-21 Ying-Hui Yeh Gas decompression magazine of a toy gun
TWI261105B (en) * 2005-12-26 2006-09-01 Yih Kai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achine set for toy gas gun
US20070181116A1 (en) * 2006-02-06 2007-08-09 Wilson Wei Air gun
US8082913B2 (en) * 2008-06-13 2011-12-27 Yao-Gwo Gan Striker for paint ball gun
US8286622B2 (en) * 2009-03-31 2012-10-16 Kingman International Corporation Valve with blow back reservoir
TWM389247U (en) * 2009-10-30 2010-09-21 Yih Kai Enterprise Co Ltd Air-intake control device of toy gun
FR2975919A1 (fr) * 2011-05-31 2012-12-07 Poh Kae Co Ltd Appareil de deplacement en va-et-vient de la culasse d'un pistolet-jouet
US9068792B2 (en) * 2012-08-29 2015-06-30 Real Action Paintball (Rap4) Projectile launcher able to launch an object using a hammer
CN103486903B (zh) * 2013-09-18 2016-05-11 上海奥特玛特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风暴气枪
WO2020242398A1 (en) * 2019-05-30 2020-12-03 Bahtiyar Tasyagan Firing system in a precharged pneumatic (pcp) rif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993A (ja) 1997-01-31 1998-08-21 K S C:Kk 玩具空気銃の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83C (de) * 1935-08-06 1940-03-27 Mauser Werke Akt Ges Schusswaffensicherung gegen das Auftreffen des Schlagmittels auf das Zuendmittel
US3624947A (en) * 1969-06-25 1971-12-07 Salford Imports Inc Hammer safety for firearms
US3626623A (en) * 1969-06-25 1971-12-14 Aldo Uberti Hammer mounted safety device for revolvers
US4143636A (en) * 1977-07-12 1979-03-13 The Coleman Company, Inc. Gun with safety link for firing mechanism thereof
US4316340A (en) * 1979-12-26 1982-02-23 Alan I. Gerald Corporation Safety mechanism for firearms
US4555861A (en) * 1983-12-16 1985-12-03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Firing pin locking device
US4615133A (en) * 1984-09-21 1986-10-07 K. W. Thompson Tool Company, Inc. Firing pin selector for gun
US5160795A (en) * 1991-07-29 1992-11-03 Crosman Corporation Gun with pivoting barrel, rotary ammunition cylinder, and double action firing mechanism
US5160796A (en) * 1991-10-07 1992-11-03 Martin Tuma Automatic small arm
US5285766A (en) * 1992-07-30 1994-02-15 Crosman Corporation Gun with removable rotary ammunition clip
US5335437A (en) * 1993-03-22 1994-08-09 Andersen Frank B Gun hammer
US5509399A (en) * 1995-01-12 1996-04-23 Poor; Keith A. Semi-automatic fluid powered gun
JP2871583B2 (ja) * 1996-04-04 1999-03-17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ガス圧力式玩具銃
TW410973U (en) * 1997-10-16 2000-11-01 Western Arms Kk Model gun with automatic bullet supplying mechanism
JP2871657B1 (ja) * 1998-01-08 1999-03-17 株式会社ウエスタン・アームス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905478B1 (ja) * 1998-05-29 1999-06-14 有限会社マルゼン エアガン
JP2000234896A (ja) * 1999-02-12 2000-08-29 Tokyo Marui:Kk ブローバック式ガスガンにおける弁装置
JP3054413B1 (ja) * 1999-06-07 2000-06-19 有限会社マルゼン オ―トマチック式エアスポ―ツガン
DE19959964C5 (de) * 1999-12-13 2009-01-08 Heckler & Koch Gmbh Sicherung
ES2183684B1 (es) * 2000-07-06 2004-06-16 Industrias El Gamo, Sa Pistola de aire o gas comprimido.
TWM249004U (en) * 2003-10-29 2004-11-01 Yih Kai Entpr Co Ltd Structure improvement of toy gas gu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993A (ja) 1997-01-31 1998-08-21 K S C:Kk 玩具空気銃の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0948A (zh) 2005-03-09
EP1491846A1 (en) 2004-12-29
US20050011508A1 (en) 2005-01-20
CN100380089C (zh) 2008-04-09
KR20050001309A (ko) 2005-01-06
TWI244542B (en) 2005-12-01
JP2005016804A (ja) 2005-01-20
JP3711282B2 (ja) 2005-11-02
TW200500587A (en) 2005-01-01
MXPA04005841A (es)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131B1 (ko) 자동 탄환 공급 기구 부착 완구총
KR100603143B1 (ko) 가스식 완구총의 가스 공급 기구
JP2561429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KR0146235B1 (ko) 자동 탄환 공급 기구를 갖춘 완구총
JP2989162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CN104457406B (zh) 可重构的玩具枪
JP2004150690A (ja) 玩具銃
JP3655888B2 (ja) 玩具銃
JP2960023B2 (ja) 自動連射型玩具銃
JP2871582B2 (ja) 玩具ガス銃
JP2871583B2 (ja) ガス圧力式玩具銃
JP3711279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3711278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H0477240B2 (ko)
JP3121578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3502780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3016189U (ja) 玩具空気銃
JP3089645U (ja) 玩具銃
JP3511367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3655887B2 (ja) 玩具銃
JP3427037B2 (ja) リボルバー型玩具銃
JP2793984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010266130A (ja) 手動式玩具銃
JPH08233490A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JP2561429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