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747B1 - 웨더스트립 - Google Patents

웨더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747B1
KR100290747B1 KR1019970033588A KR19970033588A KR100290747B1 KR 100290747 B1 KR100290747 B1 KR 100290747B1 KR 1019970033588 A KR1019970033588 A KR 1019970033588A KR 19970033588 A KR19970033588 A KR 19970033588A KR 100290747 B1 KR100290747 B1 KR 10029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strip
mounting
holder
base por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684A (ko
Inventor
하야미 나카가와
코지 타케시타
스스무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히로까즈
미쯔비시지도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히로까즈, 미쯔비시지도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 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98000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1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corner parts or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의 어긋남을 확실히 방지하고, 모서리부에의 장착작업성이 좋은 웨더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되는 부재에 배설된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모서리부(8)에 그 장착베이스부(8c)를 장착하는 웨더스트립(6)에 있어서, 웨더스트립(6)의 모서리부(8)를 형성하는 양변에 각각 대응하는 장착베이스부(8c)에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유지부재(10)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웨더스트립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나 트렁크 등을 장착하는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의 모서리부나, 도어섀시나 트렁크리드 등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의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도어,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이 배설되는 차체의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 또는, 도어,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의 둘레가장자리에는, 차밖으로부터의 비바람, 물,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어,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의 개폐시의 충격완화와 주행중의 진동방지를 위하여 웨더스트립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11도는 종래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6도에 일부를 표시한 도어용 웨더스트립(15)은, 도어(1)의 코너부분에 사용되는 코너형성형부(16)와, 코너부분 이외의 개소에 사용되는 장척의 압출성형부(17)로 이루어진다. 압출성형부(17)는, 스폰지고무로 이루어진 압출성형품이고, 긴쪽방향 각부에 있어서 동일단면을 가지고 있고, 도어(1)의 외주부를 따른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압출성형부(17)의 단면형상은, 제7도에 일례를 표시한 바와 같이 시일용립(20)이나 중공림(21)이 설치되는 주요부(22)와, 도어(1)의 웨더스트립유지부(26)에 고정되는 장착시이트(23) 등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코너형성형부(16)의 단면형상은 기본적으로 압출성형부(17)와 동일하다. 즉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일용 립(30)이나 중공립(31)이 설치되는 주요부(32)와, 장착시이트(33) 등을 일체로 구비하고, 후술하는 코너형(40)을 사용한 인젝션 가황성형에 의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코너형성형부(16)의 장착시이트(33)에 플레이트형상의 비발포솔리드고무가 사용되고 있다. 주요부(32)나 립(30)(31)은, 압출성형부(17)와 마찬가지의 스폰지고무로 이루어진다.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장착시이트(33)는 도어(1)의 웨더스트립유지부(26)에 끼워넣어진다.
장착시이트(33)에 사용되는 플레이트형상의 솔리드고무는, 제1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생고무의 판(35)을 구부린 것이다. 이 고무판(35)을 제1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코너형(40)의 소정위치에 세트한다. 코너형(40)으로 미리 성형해둔 압출성형부(17)의 단부(17a)(17b)를 세트한 상태에서, 발포제포함고무를 인젝션가황성형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스폰지고무로 이루어진 립(30)(31) 및 주요부(32)가, 솔리드고무로 이루어진 장착시이트(33)와 일체로 가황장착되고, 소정형상의 코너형성형부(16)가 성형되는 동시에, 이 코너형성형부(16)가 접합부(41)에 있어서 압출성형부(17)와 일체화한다.
상기 구성의 웨더스트립(15)은, 솔리드고무로 이루어진 장착시이트(33)에 적당한 경도가 있기 때문에, 웨더스트립(15)을 유지부(26)에 끼워맞춤시키는 작업을 행하기 쉽다 또, 웨더스트립(15)이 도어(1)에 장착된 사용상태에 있어서, 도어(1)의 개폐가 반복되는 등 해서, 웨더스트립(15)에 제6도중의 화살표 F방향의 하중이 작용해도, 장착시이트(33)의 강성에 의해서 웨더스트립(15)이 유지부(26)에 확실히 고정되고, 립(30)의 위치어긋남이나 변형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립(20)(30)이나 중공립(21)(31)은 스폰지고무로 이루어지므로 적당한 휘어지기 쉬움과, 양호한 시일성이 발휘된다.
제12도 내지 제15도는 다른 종래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종래예의 경우, 립(50)에 플레이트형상의 솔리드고무가 사용되고 있다. 립(50) 이외의 부위, 즉 장착시이트(51)나 주요부(32) 및 중공립(31)은 스폰지고무로 이루어진다. 이 종래예의 경우, 제1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진 립용 생고무의 판(52)을, 제15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코너형(40)의 소정위치에 세트하고, 발포체포함고무를 인젝션가황성형함으로써, 솔리드고무로 이루어진 립(50)과, 스폰지고무로 이루어진 장착시이트(51)나 주요부(32) 및 중공립(31)을 일체로 성형해서, 코너형정형부(16)를 얻는다. 이 인젝션가황성형시에, 접합부(41)에 있어서 코너형성형부(16)와 압출성형부(17)가 일체로 접합된다. 압출성형부(17)는 스폰지고무에 의한 압출성형품이다.
이러한 웨더스트립은,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장착될 때, 작업자에 의해 잡아당기면서 장착되므로, 모서리부, 특히 도어섀시 등의 모서리부는, 제16(a), (b)도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웨더스트립(50)을 잡아당기는 방향에 따라서, 웨더스트립(50)의 모서리부가, 도어섀시(51)의 뒤쪽으로 어긋나는, 또는 도어섀시(51)의 앞쪽으로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6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한 웨더스트립(50)의 위치가 정규장착위치이다.
그래서, 일본국 실개평 6-39538호 공보에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에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을 매설한 웨더스트립이 제안되고 있다. 이 웨더스트립에서는,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에 클립구멍을 형성하고, 이 클립구멍에 위치고정용 클립을 끼워넣고,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을 도어섀시에 고정함으로써, 웨더스트립을 위치결정하여 웨더스트립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웨더스트립에서는, 웨더스트립은,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을 사용해서, 그 장착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을 직접도어섀시에 고정하고 있지 않고, 웨더스트립의 도어섀시에의 장착부는, 웨더스트립의 고무이므로, 웨더스트립이 안정되지 않고, 웨더스트립의 휘어짐에 의해서, 역시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에 어긋남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한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과 위치고정용 클립을 사용하는 웨더스트립에 있어서는, 웨더스트립을 모서리부에 장착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을 끼워두고, 차체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고정용 구멍에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의 구멍을 맞추어서 위치고정용 클립을 끼워넣지만,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이 작으므로, 이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장착작업성이 낮다.
또, 도어,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의 개폐에 의해, 웨더스트립이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에 대해서 슬라이딩하고, 위치고정용 인서트메탈이 웨더스트립을 돌파해서, 웨더스트립을 파손할 염려가 있다. 웨더스트립이 파손한 경우에는, 웨더스트립을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나, 웨더스트립을 교환하는 경우나, 웨더스트립의 장착위치가 어긋나서 웨더스트립의 장착을 다시 하는 경우에 위치고정용 클립을 벗기지 않으면 안되므로, 수고가 들고, 작업공정수를 많이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의 어긋남을 확실히 방지하고, 모서리부에의 장착작업성이 좋은 웨더스트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자동차의 도어의 사시도.
제2도는 도어섀시의 모서리부의 일부파단확대도.
제3도는 클립과 리테이너의 결합을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 섀시에 웨더스트립이 장착되었을때의 IV-IV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 있어서, 섀시에 웨더스트립이 장착되었을때의 V-V단면도.
제6도는 종래예를 표시한 웨더스트립의 일부정면도.
제7도는 제6도중의 II-II선을 따른 압출성형부의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중의 III-III선을 따른 코너형성형부의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에 표시된 웨더스트립을 도어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에 표시된 웨더스트립에 사용되는 솔리드고무의 사시도.
제11도는 제6도에 표시된 웨더스트립용 코너형을 모식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12도는 다른 종래예를 표시한 웨더스트립의 일부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된 웨더스트립을 도어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표시된 웨더스트립에 사용되는 솔리드고무의 사시도.
제15도는 제12도에 표시된 웨더스트립용 코너형을 모식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16도는 웨더스트립의 어긋남을 설명하기 위한 섀시의 모서리부의 일부파단 확대도.
제16(a)도는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가 도어섀시의 뒤쪽으로 어긋난 상태.
제16(b)도는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가 도어섀시의 앞쪽으로 어긋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 6 : 웨더스트립
7 : 직선형상웨더스트립 8 : L자형상웨더스트립
8a : 중공시일부 8b : 립부
8c : 장착베이스부 9 : 리테이너
10 : 클립 10a : 협지부
10b : 걸어맞춤훅부 10c : 경사면
10d : 핀 10e : 기체부
본 발명의 제 1발명은,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되는 부재에 배설된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의 모서리부에 그 장착베이스부를 장착하는 웨더스트립에 있어서,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변에 각각 대응하는 장착베이스부에,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유지부재를 고정한 구성이다. 홀더는, 대략 C자 형상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홀더를 이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웨더스트립유지부재를 홀더의 대략 C자형상단면의 개구부에 걸어맞춤하는 문형으로 형성하고, 또, 적어도 개구부에 걸어맞춤하는 부분을 개구부의 안쪽으로 가요가능하게 되도록 탄성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웨더스트립유지부재의 홀더에 걸어맞춤하는 부분에, 개구부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각 웨더스트립유지부재를 서로 연결해서 일체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발명은, 대략 수평방향부와 동수평방향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대략 수직방향부의 2변을 가지고,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되는 차체부품에 설치된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에는 상기 홀더의 상기 2변에 대응해서 형성된 상기 웨더스트립의 장착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 유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3발명은, 본 발명의 제 2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 유지부재는, 상기 2변에 대응해서 형성된 연속한 2변의 기체부를 가지고, 동 기체부에는 상기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동 기체부를 유지하는 협지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4발명은, 본 발명의 제 3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와 상기 협지부는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5발명은, 본 발명의 제 3발명에 있어서 , 상기 기체부는 웨더스트립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발명은, 본 발명의 제 4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는, 웨더스트립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7발명은, 본 발명의 제 3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 유지부재는, 경질수지로 성형되는 동시에, 상기 2변에 대응해서 형성된 연속한 2변의 기체부를 가지고, 동 기체의 각 변에는 동 기체부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홀더에 끼워맞춤해서 동 기체부를 유지하는 협지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웨더스트립은, 도어,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이 장착되는 차체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 또는 도어,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의 둘레가장자리에 일반적으로 배설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도어섀시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은 차량의 도어를 표시한다. 도어(1)는, 도어(1)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외부패널(2)과, 도어록이나 윈도레귤레이터 등이 장착되는 도어내부패널(3)과, 윈도우글라스를 안내하는 동시에 유지하는 섀시(4)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내부패널(3) 및 섀시(4)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가 둘레가장자리부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 제4도,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C자형상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어(1)의 바깥쪽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다.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는, 차밖으로부터의 비바람, 물,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어(1)의 개폐시의 충격완화와 주행중의 진동방지를 위한 웨더스트립(6)이 장착되어 있다.
웨더스트립(6)은,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대략 직선부분에 대응하는 대략 직선형상인 직선형상웨더스트립(7)과,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모서리부분에 대응하는 대략 L자형상인 L자형상웨더스트립(8)으로 구성되어 있고, 직선형상웨더스트립(7)과 L자형상웨더스트립(8)을 서로 접속해서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L자형상웨더스트립(8)은, 중공시일부(8a)와, 립부(8b)와,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 장착하는 장착베이스부(8C)로 구성되어 있다. 직선형상웨더스트립(7)도 L자형상웨더스트립(8)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내부에는, L자형상웨더스트림(8)의 형상을 따르도록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 리테이너(9)가 배설되어 있다. L자형상웨더스트립(8)에 관해서 리테이너(9)와 반대쪽, 즉,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장착베이스부(8c)에는,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 걸어맞춤하는 웨더스트립유지부재로서의 클립(10)이 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너(9)와 클립(10)이 후술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장착베이스부(8c)는, 리테이너(9)와 클립(10)에 의해 끼워두고, 리테이너(9) 및 클립(10)과 실질적으로 일체 결합된다.
제2도,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클립(10)은,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연속 2변의 기체부(10e)를 가지고 있고, 탄성을 가진 수지부재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클립(10)의 양단부에는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장착베이스부(8c)를 끼워두는 문형의 협지부(10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10a)는, 장착베이스부(8c)를 끼워두었을때의 폭이,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개구부의 폭보다도 약간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협지부(10a)에는,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개구부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훅부(10b)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훅부(10b)에는,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개구부에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10c)이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10a)의 안쪽의 대략 중앙부에는 리테이너(9)를 향해서 돌출하는 핀(10d)이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9)는, 탄성을 가진 수지부재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리테이너(9)의 양단부에는, 두꺼운 두께부(9a)가 각각 형성되고, 그 대략 중앙부의 핀(10d)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핀(10d)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 구멍(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멍(9b)에는 핀(10d)이 압입된다. 핀(10d)과 구멍(9b)으로 상기한 연결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 장착베이스부(8c)의 구멍(9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핀(10d)을 삽통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의 장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내부에 리테이너(9)를 삽입한다. 다음에, 구멍(9b)의 위치에 핀(10d)을 대응시켜서 장착베이스부(8c)의 바깥쪽으로부터 클립(10)을 장착베이스부(8c)에 장착한다. 핀(10d)을 구멍(9b)에 압입함으로써, 장착베이스부(8c)를 리테이너(9)와 클립(10)에 의해서 끼워두고, 장착베이스부(8c), 리테이너(9) 및 클립(10)을 실질적으로 일체결합한다. 그후,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중공시일부(8a) 또는 립부(8b)를 손으로 잡고, 걸어맞춤훅부(10b)를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개구부에 걸어맞춤시킨다.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개구부의 폭보다도 협지부(10a)의 폭이 약간 크므로, 걸어맞춤할때에는 클립(10)의 협지부(10a)의 부분이 안쪽으로 휘어서, 장착베이스부(8c)를 끼워두게 된다. 이때, 웨더스트립(6)의 탄성력도 가해지게 되어, 장착베이스부(8c)는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 대해서 확실히 장착된다.
따라서, 웨더스트립(6)의 장착시에, 작업자가 웨더스트립(6)을 잡아당겨도, 웨더스트립(6)의 모서리부 즉, L자형상웨더스트립(8)이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 확실히 장착되어 있으므로, 웨더스트립(6)이 휘어도, L자형상 웨더스트립(8)에 있어서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걸어맞춤훅부(10b)가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의 개구부에 걸어맞춤할때에 절도감이 있으므로, 작업자는, 클립(10)이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에 확실히 장착되었는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어,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장착불량을 없앨 수 있다. 또,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장착시, 작업자는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중공시일부(8a) 또는 립부(8b)를 손으로 잡고,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장착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장착작업성이 좋고, 장착작업에 요하는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웨더스트립(6)의 교환시에는,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와 클립(10)의 걸어맞춤을 벗김으로써,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5)로부터 클립(10)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따라서, 웨더스트립(6)을 교환할때의 작업성도 좋고, 작업공정수가 적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L자형상웨더스트립(8)과 클립(10)의 결합을, 리테이너(9)를 사용해서 행하였으나, 클립(10)을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장착베이스부(8c)에 접착제등을 사용해서 직접 접착해도 된다. 또, 리테이너(9)는 L자형상이 아니고, 클립(10)의 핀(10d)부분을 누를 정도의 단독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도어개폐시에 웨더스트립에 긴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부위의 한쪽편(프런트도어에서는 섀시의 위쪽, 리어도어에서는 섀시의 앞쪽)에 단독리테이너를 장착해도, L자형상의 리테이너(9)와 대략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클립(10)은, L자형상웨더스트립(8)의 형상을 따라서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협지부(10a)만의 클립을 형성하고, L자형상 웨더스트립(8)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변에, 협지부(10a)만의 클립을 장착해도 클립(10)과 대략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도어(1)의 섀시(4)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6)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물론, 도어,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이 배설되는 차체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 또는, 프런트후드, 트렁크리드 등의 둘레가장자리에 배설되어 있는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에, 본 발명의 웨더스트립을 사용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변의 장착베이스부에 ,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유지부재를 고정했으므로, 웨더스트립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변이,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 확실히 장착된다. 따라서, 웨더스트립이 휘어도, 웨더스트립에 있어서의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웨더스트립과 웨더스트립유지부재가 실질적으로 일체화되므로, 작업자는, 웨더스트립을 손으로 잡고, 웨더스트립의 장착작업을 행하는 것, 즉, 웨더스트립유지부재를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웨더스트립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작업성이 향상하고, 장착작업에 요하는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웨더스트립의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의 장착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 웨더스트립의 교환시에는,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와 웨더스트립유지부재의 걸어맞춤을 벗김으로써, 웨더스트립유지부재가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웨더스트립의 교환작업성도 좋고, 작업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7)

  1.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되는 부재에 배설된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의 모서리부에 그 장착베이스부를 장착하는 웨더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의 상기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양변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장착베이스부에, 상기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유지부재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2. 대략 수평방향부와 동 수평방향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대략 수직방향부의 2변을 가지고, 차체 또는 차체에 장착되는 차체부품에 설치된 웨더스트립장착용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에는, 상기 홀더의 상기 2변에 대응해서 형성된 상기 웨더스트립의 장착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유지되는 웨더스트립 유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유지부재는, 상기 2변에 대응해서 형성된 연속한 2변의 기체부를 가지고, 동 기체부에는 상기 홀더에 걸어맞춤해서 동 기체부를 유지하는 협지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와 상기 협지부는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는, 웨더스트립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는, 웨더스트립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스트립유지부재는, 경질수지로 성형되는 동시에, 상기 2변에 대응해서 형성된 연속한 2변의 기체부를 가지고, 동 기체부의 각 변에는 동 기체부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홀더에 끼워맞춤해서 동 기체부를 유지하는 협지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스트립.
KR1019970033588A 1996-07-18 1997-07-18 웨더스트립 KR100290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89217A JP3031254B2 (ja) 1996-07-18 1996-07-18 ウェザストリップ
JP96-189217 199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84A KR980008684A (ko) 1998-04-30
KR100290747B1 true KR100290747B1 (ko) 2001-06-01

Family

ID=1623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588A KR100290747B1 (ko) 1996-07-18 1997-07-18 웨더스트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37287B1 (ko)
JP (1) JP3031254B2 (ko)
KR (1) KR100290747B1 (ko)
DE (1) DE1973094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8487B2 (ja) * 1997-03-27 2004-12-08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ストリップ
ES2155359B1 (es) * 1998-11-07 2001-12-16 Ind Ilpea Espana S A Perfil de estanqueidad para puertas de automoviles.
US6502832B2 (en) * 2000-01-27 2003-01-07 Toyoda Gosei Co., Ltd. Automotive seal component for vehicle door
US6598349B1 (en) * 2000-03-02 2003-07-29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Weatherstrip assembly with connecting member
DE10024567A1 (de) * 2000-05-19 2001-11-29 Saar Gummiwerk Gmbh Befestigungssystem für strangförmige elastische Dichtelemente
DE10025326B4 (de) * 2000-05-23 2004-10-14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Dichtung für ein Schließteil eines Kraftfahrzeugs
BE1013600A3 (fr) * 2000-07-19 2002-04-02 Idees & Technologies Cadre de porte et/ou fenetre.
DE10108531B4 (de) * 2001-02-22 2010-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Fahrzeugtür mit einer in einer Führung auf und ab bewegbaren Fensterscheibe
DE10115124C2 (de) * 2001-03-27 2003-02-20 Porsche Ag Sicherungseinrichtung für eine Tü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JP3542785B2 (ja) * 2001-06-28 2004-07-14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と、その成形方法
DE10242237B4 (de) * 2002-09-12 2005-08-11 Daimlerchrysler Ag Eckverbindung eines Fensterrahmens einer Kraftfahrzeugtür
DE10251604B4 (de) * 2002-11-06 2005-08-11 Veritas Ag Einleger für eine Kraftfahrzeug-Fensterdichtung
JP3920230B2 (ja) * 2003-02-20 2007-05-30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ラッチ付き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4254318B2 (ja) * 2003-04-11 2009-04-15 豊田合成株式会社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DE10330206A1 (de) * 2003-07-03 2005-01-20 Veritas Ag Vorrichtung für die Befestigung einer Fensterdichtung an einer Ecke eines Kraftfahrzeugtürrahmens
JP4276032B2 (ja) * 2003-09-08 2009-06-10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シール構造
JP2007276608A (ja) * 2006-04-06 2007-10-25 Nishikawa Rubber Co Ltd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シール構造
FR2916161B1 (fr) * 2007-05-15 2009-07-03 Renault Sas Habillage de cadre de vitre de vehicule automobile.
JP5473300B2 (ja) * 2008-11-21 2014-04-1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押出成形車両ドアサッシュ
EP2454432B1 (en) * 2009-07-17 2020-03-11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Co-extruded u-channel with integrated glassrun
JP5572536B2 (ja) * 2010-12-21 2014-08-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JP6322371B2 (ja) * 2012-08-29 2018-05-09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EP3095630B1 (en) 2015-05-19 2019-01-09 Nishikawa Rubber Co., Ltd. Vehicle sealing member and attachment structure of vehicle sealing member
FR3040334B1 (fr) * 2015-08-26 2018-11-09 Renault S.A.S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ux joints relies entre eux
JP2017077850A (ja) * 2015-10-22 2017-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シール構造
US9849757B2 (en) * 2016-03-03 2017-12-26 Dura Operating Llc Extruded member corner connection
JP6700979B2 (ja) * 2016-05-31 2020-05-27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JP6936559B2 (ja) 2016-06-20 2021-09-1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JP6788803B2 (ja) * 2017-06-09 2020-11-25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7318618B2 (ja) * 2020-09-25 2023-08-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0573A (en) * 1972-02-18 1977-03-08 Draftex Development Ag Sealing or trimming strip structure
GB2106974B (en) * 1981-10-06 1985-08-29 Silicone Altimex Ltd Door seal
JPS608111A (ja) * 1983-06-24 1985-01-1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嵌め殺し窓
GB2152988B (en) * 1983-12-24 1987-08-19 Silicone Altimex Ltd Oven door seal
JPH0624884B2 (ja) * 1985-12-28 1994-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インドモ−ルのコ−ナ−モ−ル取付構造
FR2618480B1 (fr) * 1987-07-23 1991-01-18 Mesnel Sa Ets Piece realisee a partir d'un profile pour encadrement de glace coulissante
US4910918A (en) * 1988-04-19 1990-03-27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Corner structure for glass run channel
JPH0618818Y2 (ja) 1988-05-20 1994-05-18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H04119714A (ja) 1990-09-10 1992-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579646Y2 (ja) * 1991-04-12 1998-08-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用ウェザストリップ
JP2606008Y2 (ja) 1992-10-28 2000-09-11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ドア取付ウエザーストリップ
GB2273951B (en) * 1992-12-29 1996-04-24 Draftex Ind Ltd Sealing or guiding strip,window frame assembly,and method of making window fram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84A (ko) 1998-04-30
DE19730942A1 (de) 1998-01-29
JP3031254B2 (ja) 2000-04-10
JPH1029473A (ja) 1998-02-03
DE19730942C2 (de) 2001-07-05
US6237287B1 (en) 200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747B1 (ko) 웨더스트립
EP1232887B1 (en) Door frame structure of motor vehicle
US6837005B2 (en) Weatherstrip for automobile
US20110030282A1 (en) Window surround for a motor vehicle
EP0395444B1 (en) End member for sealing open end of vehicle weatherstrip
CN108146208B (zh) 车身结构
US20060000148A1 (en) Weather strip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JP2010221870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4762964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CN214928898U (zh) 汽车车门用密封件
JP3054843B2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3879377B2 (ja) インナー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6652473B2 (ja) 自動車用ルーフサイドウエザストリップ
JP4092991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EP3053769B1 (en) Weatherstrip
JP4356888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
CN219446708U (zh) 汽车用门的密封结构
KR200146826Y1 (ko) 헤드라이닝의 처짐 방지장치
JP3714134B2 (ja) ガラスランの組付構造
JP4106600B2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4609716B2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2006175970A (ja) ガラスラン及びドアのシール構造
JP2008110638A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4158157B2 (ja) 自動車ドアのシール構造
JP2842127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