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260B1 - 신축성 걸쇠(래치) 및 연동 롤러의 좌석-차바닥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 Google Patents

신축성 걸쇠(래치) 및 연동 롤러의 좌석-차바닥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260B1
KR100289260B1 KR1019940006914A KR19940006914A KR100289260B1 KR 100289260 B1 KR100289260 B1 KR 100289260B1 KR 1019940006914 A KR1019940006914 A KR 1019940006914A KR 19940006914 A KR19940006914 A KR 19940006914A KR 100289260 B1 KR100289260 B1 KR 10028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elements
fixed support
hook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트. 애니로스 리카도
이. 듀카츠 마튜
씨. 크레스키 프레드
피. 맥컬티 제이
Original Assignee
홀리 엘리자베스 리이즈
다임러크라이슬러 코포레이션
콘 게리 엠
아토마 인터내셔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홀리 엘리자베스 리이즈, 다임러크라이슬러 코포레이션, 콘 게리 엠, 아토마 인터내셔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홀리 엘리자베스 리이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83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locking on transversal elements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e.g. transversal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91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wheels coupled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상향 표면수단을 가지는 바닥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착탈가능한 좌석이 제공된다. 바닥수단은 자동차의 세로 축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향수단의 하부에 뻗어있는 전면 및 후면 공간부와, 상향수단의 상부 또는 하부 중의 어느 한 위치에 있는 공간부들을 가로질러 신장하는 앵커(anchor)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자동차 좌석은 자동차 바닥수단의 앵커 요소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좌석의 반대측 단부들 상에 배열된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다. 쿠션 좌석 구조체는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상에 제공되어 있다. 자동차 자석은 또한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에 탑재되고, (1) 전면 및 후면 공간부에 들어맞게끔 그리고 상기 앵커 요소와 후크 연결관계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앵커 요소와 상기 하향 표면수단을 갖고서 상기 바닥수단상의 소정의 동작 위치에서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 구조체 쌍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유지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상기 바닥수단에 대하여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위치 상부에 위치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착탈가능한 자동차 좌석은 또한 후크 요소를 그의 동작 위치로 이동시키고 휠을 그의 비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며, 후크 요소를 그의 비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며 휠을 그의 동작 위치로 이동하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신축성 걸쇠(래치) 및 연동 롤러의 좌석-차바닥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제1도는 자동차로부터 제거된 이후에 보여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좌석조립체의 투시도.
제1(a)도는 자동차로부터 제거된 이후 저장 장소로 밀고 나가는 것을 보이는 본 발명의 착탈가능한 좌석조립체의 투시도.
제2도는 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함께 보여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정면도.
제3도는 비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자동차 바닥과 결합되어 보여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정면도.
제4도는 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함께 보여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배면도.
제5도는 비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자동차 바닥과 결합되어 보여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배면도.
제6도는 바닥의 일부와 제거된 좌석조립체와 함께 보여지며, 자동차 바닥에 대하여 결합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투시도.
제7도는 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함께 보여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제8도는 비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자동차 바닥과 결합되어 보여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배면도.
제9도는 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함께 보여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배면도.
제10도는 비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과 자동차 바닥과 결합되어 보여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승 지지부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배면도, 및
제11(a)도-제11(b)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스트라이커 조립체의 투시도.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 위치 내에서 자동차 바닥에 고정되게 래치되며, 그 이후 작동 위치로부터 해제 가능하고, 또한 자동차의 개구부로/로부터 회전이동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는 착탈가능한 자동차용 좌석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착탈가능한 자동차용 좌석은 착석자에게 최적의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적절한 좌석 쿠션 높이를 제공하는 상승 조립체 상에 탑재된다. 그러한 좌석을 위한 전형적인 상승 조립체는 걸쇠 또는 잠금 수단에 의해 자동차의 바닥에 좌석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좌석의 제거는 바닥으로부터 좌석을 래치 해제한 후 자동차로부터 좌석을 들어 저장 장소로 이동시키므로서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좌석은 자동차의 화물 공간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며, 착석자의 착석이 필요한 경우 재장착되어야 한다. 자동차의 개구로 자동차 좌석을 들어 올려 자동차로부터 저장 장소로 이동시키는 일은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하다. 때때로, 자동차 좌석이 무거운 경우, 좌석은 자동차 바닥을 가로질러 끌어진 후 자동차 개구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자동차 내부 및 좌석의 걸쇠 요소가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좌석의 제거시 자석을 들어 올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동 위치 내에서 자동차 바닥에 고정되게 래치되며, 걸쇠가 비동작 위치 상에 놓이게 되는 경우 자동차의 개구부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자동차용 좌석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상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 표면수단을 가지는 바닥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착탈가능한 좌석조립체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바닥수단은 자동차의 세로 축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향 표면수단의 하부에 뻗어 있는 전면 및 후면 공간부와, 상향 표면수단의 상부 및 하부 중의 어느 한 위치 내에 있는 공간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는 앵커(anchor)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자동차 좌석조립체는 자동차 바닥수단의 앵커 요소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는 자동차 좌석의 반대측 단부들 상에 배열된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다. 쿠션 좌석 구조체는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상에 제공되어 있다. 자동차 좌석조립체는 또한 고정식 지지구조체쌍의 각각에 탑재되고, (1) 상기 전면 및 후면 공간부에 들어맞게끔 그리고 상기 앵커 요소와 후크 연결관계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앵커 요소와 상기 하향 표면수단을 갖고서 상기 바닥수단상의 소정의 동작 위치에서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 구조체 쌍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유지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표면수단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상기 바닥수단에 대하여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위치 상부에 위치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휠 요소는 고정식 지지구조체 상에 탑재되고, (1)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그 상부의 쿠션 좌석 구조체가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 표면수단에 대하여 휠 요소 지지 관계로써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과 후크 요소 하부로 그의 비동작 위치에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동작 위치 상부에 배열된 비동작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한편, 후크 요소들 중의 일부는 일부 휠 요소가 그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그리고 그의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동시에 이동하는 동안 그의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그리고 그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이동되도록 휠 요소 중의 일부에 대해 배치 및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며 동작이 효과적이고 제조 및 유지가 경제적인 상술한 형태의 자동차 좌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클레임에 의하여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가 보여지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매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착탈가능한 좌석조립체 12가 삽입될 수 있는 차체 11을 가지는 자동차 10이 도시되어 있다. 차체 11은 자석조립체 12를 지지하기 위한 바닥 14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 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좌석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로 또는 더 적은 수의 좌석조립체가 자동차의 형태,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좌석 조립체 12가 자동차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바닥 14는 화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 14는 제1 및 제2 안내 궤도 16, 18을 포함하고 있다. 안내 궤도 16, 18은 자동차 10의 세로 방향으로 신장하며, 좌석조립체 12의 너비와 적응되도록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궤도 16, 18은 측면 에지(edge) 20, 22와 상향하고 있는 표면 24에 의하여 형성된다(제6도 참조). 좌측 에지 20, 22는 바닥 14의 상부로 돌출하고 있으며, 그 기능은 다음에서 설명되어질 것이다.
각 궤도 16, 18은 자석조립체를 바닥 14에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공간부들을 포함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좌석조립체 12는 자동차의 세로축에 대하여 그의 탑재를 위하여 4개의 공간부 즉, 2개의 전면 공간부 26과 2개의 후면 공간부 28을 요구한다. 하나의 전면 공간부 26은 각각의 궤도 16, 18 내에서 하나의 후면 공간부 28의 전면에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궤도는 여러가지 좌석 조합과 적응하기 위하여 6개의 공간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공간부의 여러 조합은 자동차 좌석의 원하는 공간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간부 26, 28은 개구 30을 형성하는 궤도 16, 18의 표면 24 내에 형성된다. 각 공간부은 표면 24의 너비보다 약간 작은 너비를 가진다. 각 공간부 26, 28은 바닥 표면 32 및 측벽 34를 가진다. 공간부 26, 28은 자동차의 바닥 14의 하부에서 신장한다. 또한, 각 전면 공간부 26은 스트라이커 핀(striker pin) 36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후면 공간부 28은 하나의 단부 상에 스트라이커 핀(striker pin) 37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라이커 핀 36, 37은 각 궤도 16, 18의 세로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공간부 26, 28의 너비로 신장한다. 스트라이커 핀 36, 37은 공간부 26, 28의 각 궤도 내벽 34의 표면 24의 약간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탑재된다. 스트라이커 핀 36, 37의 반대편에 각 공간부는 공간부 내로 좌석조립체 12의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0, 42를 안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경사 표면 38을 가지고 있으며, 걸쇠 또는 후크 요소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만일 안내 궤도가 제공되어 있지 않는 경우, 공간부 26, 28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핀이 공간부와 바닥 기준면의 상부에 배열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판금 바닥의 하부에 배열될 것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 44는 그의 너비로 신장하는 각 궤도 16, 18의 표면 24 내에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그루브 44는 전면의 좌석 조립체 12를 위하여 제공되며, 2개의 전면 공간부 26에 근접하는 각각의 궤도 16, 18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각 그루브 44는 전면의 좌석조립체 12의 걸쇠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좌석조립체 상의 전면 휠 46의 쌍과 결합하며, 이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자중 안내부 48은 각 그루브 44 내의 중심에 배치되고 궤도 16, 18의 표면 24의 상부에서 신장한다. 안내부 48은 전면 휠 46을 중심에 놓이게 하고, 좌석조립체 12가 궤도를 따라서 걸쇠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궤도 16, 18 내부에서 좌석조립체와 정렬된다(제2도 참조).
안내 궤도를 제공하는 또다른 방법으로서, 스트라이커 조립체 116이 제공될 수 있다.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트라이커 조립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라이커 핀 136을 포함한다. 탑재 보스(boss) 124는 자동차 10의 바닥에 각 조립체 116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휠 그루브 122는 공간부 130의 상부에 좌석을 위치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자석조립체 112가 도시되어 있다. 좌석조립체 12는 교차 공간을 가지는 한쌍의 고정 상승 지지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다. 좌석 쿠션 52 및 등받이 쿠션 54는 상승 지지구조체 50 상매 탑재되어 있다. 좌석 쿠션 52 및 등받이 쿠션 54는 쿠션 좌석 구조체를 구성한다.
각 상승 지지구조체 50은 그 상부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다. 각 걸쇠/해제 조립체는 전면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0 및 그에 탑재된 한쌍의 전면 휠 요소 또는 휠 46과, 후면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2 및 그에 탑재된 한쌍의 후면 휠 요소 또는 휠 47과, 후크 요소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동시에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 49를 포함하고 있다. 각 걸쇠/해제 조립체 56은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단지 그 중 하나만이 하나의 상승 지지구조체 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걸쇠/해제 조립체 56의 전면 걸쇠 요소 40은 전면의 좌측 걸쇠 플래이트 41과 전면의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을 포함하고 있다. 전면 좌측 및 우측 걸쇠 플레이트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지지구조체 50의 반대 측면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를 보다 명확하게 보이기 위하여 쿠션이 제거된 제2도의 도면에 있어서, 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41은 상승 지지구조체 50에 고정된 브라켓(60)에 연결된 오버헤드 스프링(overhead spring) 58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 58의 또다른 단부는 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4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 62에 연결되어 있다.
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41 및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은 각각 말단부에 배열된 후크 영역 64를 가진다. 후크 영역 64는 서로 정렬되어 있다. 전면 좌측 및 우측 걸쇠 플레이트는 핀 4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되는 경우 선회 요소 48에 대하여 동시에 이동한다. 동작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 영역 64는 상승 지지구조체 5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신장하는 돌출 영역 66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돌출 영역 66은 하향 표면 71을 형성하는 차단부 7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면 휠 46은 전면 좌측 걸쇠 프레이트 41 및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 양쪽 모두에 연결되어 상승 지지구조체 50은 이들 사이에 배열된다 제1휠 46은 축 72에 의하여 전면 좌측 걸쇠 플래이트 41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2휠 46은 축 73에 의하여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림 플레이트(rattle plate) 51은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 및 상승 지지구조체 50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흔들림 플레이트 51은 후크 단부 57의 반대편의 탭 요소 53을 포함하고 있다.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은 돌출부 55를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 59는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에 흔들림 플레이트 51을 연결하기 위하여 탭 요소 53 및 돌출부 5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흔들림 플레이트 51은 선회 요소 75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되는 경우 전면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0과 함께 이동한다. 스프링 59는 탄성을 제공하므로 구동하는 동안 전면 걸쇠 요소 40은 구속되지 않으며 후크 단부 57의 작용으로 적절한 걸쇠 동작을 보장한다.
구동부 49는 전면 걸쇠 요소 40과 후면 걸쇠 요소 4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 74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 로드 74의 단부 76은 돌출부 62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로드의 단부 82는 돌출부 84에서 후면 걸쇠 요소 42에 고정되어 있다.
전면 걸쇠 요소 40과 유사하게 후면 걸쇠 요소 42은 상승 지지구조체 50의 반대 측면상에 배열된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 및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은 핀 87에 의하여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되는 경우 선회축 85에 대하여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53과 함께 동시에 이동한다.
후면 휠 47은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 및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의 양쪽 모두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승 지지구조체 50은 이들 사이에 배열된다. 제1휠 47은 축 91에 의하여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2휠 47은 축 93에 의하여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후크 영역 90은 후면 걸쇠 요소 42의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 및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 양쪽 모두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서로 정렬되어 있다. 동작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 영역 90는 상승 지지구조체 5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신장하는 제2돌출 영역 92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제2돌출 영역 92는 하향 표면 93을 형성하는 돌기부 94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은 스프링 96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프링 96은 상승 지지구조체 50에 고정된 브라켓 93에 고정된다. 스프링 96의 타단부는 후면 좌측 플레이트 81의 돌출부 97에 접속되어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후면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2의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은 탭 요소 100을 포함하고 있다. 후면 흔들림 플레이트 101은 상승 지지구조체 50과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흔들림 프레이트 101은 선회측 85에서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 및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과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구동시 이들과 동시에 동시에 이동한다. 흔들림 플레이트 101은 후크 단부 107 반대편의 브라켓 103을 포함한다. 스프링 105는 브라켓 103과 탭 요소 100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105는 탄성을 제공하므로 구동하는 동안 전면 걸쇠 요소 42는 구속되지 않으며 후크 단부 107의 작용으로 적절한 걸쇠 동작을 보장하며, 이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브라켓 102는 상승 지지구조체 50 및 흔들림 플레이트 101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은 두개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걸쇠/해제 조립체 56의 구동부 49를 고정시키기 위한 뭉툭한 모양의 단부 104(제5도 참조) 및 개구 영역 106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후면 우측 걸쇠 플래이트 83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신장된 신장 영역 108을 포함하고 있다. 신장 영역 108은 상승 지지 구조체 50의 후면 단부를 지나서 신장하고 있다. 구동부 49의 구동기를 형성하는 핸들 109는 신장 영역 108의 말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 109는 상부 영역 110 및 하부 영역 112와 그들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 114를 가진다. 신장 영역 108은 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돌출부 117을 포함하고 있다. 핸들 109의 하부 영역 112는 미끄러짐 요소 118을 포함하고 있다. 미끄러짐 요소 118의 단부는 이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잠금 탭을 가지고 있다. 미끄러짐 요소는 개구 11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내부에 돌출부 117이 배열되어 있다. 핸들 109 내의 스프링을 압축함에 따라, 미끄러짐 요소 118은 신장영역 108의 세로 축을 따라 상향 이동한다. 신장부는 휠을 비동작 위치 또는 동작위치로 두기 위하여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한다. 적절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핸들 109는 해제되며 스프링 114는 개구 106 및 뭉툭한 모양의 단부 104에 의하여 잠금 탭 102과 결합함으로써 원래의 위치에서 신장 영역을 고정하기 위하여 미끄러짐 요소를 하향 이동시키며, 이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동차 내로 좌석조립체 12를 장착시키는 과정이 설명될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조립체 12는 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0, 42 및 비동작 위치 내에 배열된 휠 쌍 46, 47로써 자동차 10의 개구 108 내로 들리워져 이동한다. 걸쇠 요소 40, 42가 비동작 위치 내에 있는 경우, 한쌍의 전면 휠 46과 한쌍의 후면 휠 47은 각각 걸쇠 요소 40, 42의 후크 영역 64, 90의 하부의 동작 위치내에 배열된다. 휠이 동작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구동부 49의 핸들 또는 구동기 109는 뭉툭한 모양의 단부 104와 결합된 잠금 탭 120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에 고정된다.
한쌍의 상승 지지구조체 50의 각각에 배열된 전면 휠 46은 각 궤도 16, 18로 안내된다. 자동차 내로 자동차 좌석을 밀면, 전면 및 후면 휠 쌍 46, 47 모두는 에제 20, 22 내부의 각 궤도 16, 18의 표면 24를 따라서 회전한다.
좌석조립체 12는 궤도 16, 18을 따라 더 밀리게 되며, 자중 안내부 48은 휠을 안내함으로써 좌석조립체 12의 적절한 위치를 보장하게 된다. 전면 휠이 궤도 16, 18 내의 그루브 44와 결합하기 위하여 떨어지게 되면, 좌석조립체 12는 전면 공간부 26 상부에 배열된 전면 걸쇠 요소 40 및 후면 공간부 28 상부에 배열된 후면 걸쇠 요소 42에 의하여 자동차 10 내의 적절한 걸쇠 위치 내에 있게 된다.
구동부 49의 핸들 109는 스프링 114를 압축하고 뭉툭한 모양의 단부 104로부터 잠금 탭 120을 해제하기 위하여 결합된다. 핸들 109는 자동차 10 내의 좌석조립체 12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향 회전한다. 그리하여, 제2도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102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후면 걸쇠 요소 42는 하향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 49의 연결 로드 74는 전면 걸쇠 요소 40을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하향 이동시키기 위하여 후면 걸쇠 요소의 동작을 전면 걸되 요소 40으로 전송한다. 전면 및 후면 걸쇠 요소 40, 42는 각 공간부 28, 26의 경사 표면 38을 따라서 스트라이커 핀 36, 37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때까지 이동한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영역 64 및 후면 지지구조체 50의 하향 표면 71이 스트라이커 핀 36과 실질적으로 둘러싸여진 관계에 있는 경우, 전면 걸쇠 요소 40은 완전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 플레이트 51은 핀 36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흔들림 없이 적합하게 된다. 유사하게, 후크 영역 90 및 하향 표면 93이 스트라이커 핀 37과 실질적으로 둘러싸여진 관계에 있는 경우, 후면 걸쇠 요소 42는 완전하게 결합된다. 후면 흔들림 플레이트 101은 핀 37과 긴밀하게 되어 흔들림이 없이 적합하게 된다. 걸되 요소 40, 42가 결합 관계 또는 동작위치내에 있게 되는 경우, 휠 46, 47은 비동작 위치 내에서 각각 걸쇠 요소 40, 42의 상부에 배열된다. 좌석조립체의 하중은 자동차 바닥 및 스트라이커 핀에 의하여 지지된다. 스프링 58, 96은 걸쇠 요소 40, 42가 스트라이커 핀과 적절하게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을 제공하여, 요소 상호 연결을 래치하기 위하여 핀에서의 잠재적인 흔들림을 제거한다. 구동부 49의 핸들 109는 잠금 탭 120이 개구 106과 결합되는 경우 원래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좌석조립체 12를 제거하기 위하여, 핸들 109는 개구 106으로부터 잠금 탭 120을 해제하기 위하여 결합된 후 하향 이동하여 휠 46, 47이 그의 동작 위치로 동시에 이동하는 동안 각각의 스트라이커 핀 36, 37로부터 전면 및 후면 걸쇠 요소 40, 42를 해제하게 된다. 걸쇠 요소 40, 42는 휠 46, 47 상부의 비동작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스프링 58, 96은 휠이 그의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승 지지구조체 50 및 부착된 쿠션 52, 54를 들어올리는 것을 도와준다. 좌석조립체의 하중은 이제 휠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후, 좌석조립체는 궤도 16, 18을 따라서 자동차 개구 108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물론, 안내 궤도는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선택적으로 좌석조립체 12는 이동될 자동차의 바닥 14를 따라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후, 좌석조립체 12는 자동차 개구 108의 외부로 들어올려지며 저장 장소로 회전이동하게 될 영역에 놓이게 된다.
제7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제공된 상승 지지구조체 50 상에 탑재된 걸쇠/해제 조립체 156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부품에는 제1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되었다.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46은 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41 및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에 연결되어 있고, 상승 지지구조체 50은 그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 같이, 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41은 선회 요소 75에 의하여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43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 149의 연결 로드 74는 전면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0을 후면 걸쇠 또는 후크 요소 42에 연결한다. 접속요소 124는 휠 147을 후면 걸쇠 요소 42의 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81과 선회가능하도록 연결한다. 구동부 149는 그의 일단부에서 요소 130에 있는 휠 147에 연결된 구동 접속부 128을 포함하고 있다. 접속부 128의 타단부는 휠 46의 축 72에서 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41에 연결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요소 132는 휠 134를 후면 걸쇠 요소 42의 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따라서, 휠 134는 선회점 126에 대하여 자유롭게 선회한다. 휠쌍들(총 4개의 휠)은 그 부품 수를 줄이기 위하여 단일 휠(총 2개의 휠)로서 대체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걸쇠/해제 조립체 156의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제7도 및 제9도는 휠이 자동차 좌석조립체 12를 자동차 내부 또는 외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위치 내의 상승 지지구조체 50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러한 위치 내에서 전면 우측 걸쇠 플레이트 83의 일부인 핸들 109는 구동부 149의 연결 로드 74를 후면으로 끌어 당겨 전면 좌측 걸쇠 플레이트 41이 휠 46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끔한다. 전면 걸쇠 플레이트는 그에 직접 부착된 휠 46 및 연결 로드 128을 가지고 있으므로, 접속부 128은 휠 147 및 134가 접속부 124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휠 147 및 134를 동작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걸쇠 요소 40, 42는 그의 비동작 위치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반면에 휠 46, 134 및 137이 그들의 동작 위치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걸쇠 요소 40, 42가 동시에 스트라이커 핀 37과 결합하도록 하면서 휠을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핸들 109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위로 이동하여 후면 걸쇠 요소 42를 스트라이커 핀 37의 하부로 이동시킨다(제10도 참조). 후면 걸쇠 요소 42의 이동은 연결 로드를 전면으로 밀게 되어 전면 걸쇠 요소 40을 스트라이커 핀 36 하부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전면 걸쇠 요소 40은 그에 직접 연결된 전면 휠 46 및 구동 접속부 128을 가지므로, 전면 휠 46의 동작은 접속부 128에 의하여 전면 휠 147 및 후면 휠 134에 전송되며, 이는 휠 147 및 134가 각각 접속부 124, 132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휠 147 및 134를 비동작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휠 46, 147 및 134는 걸쇠 40, 42의 상부의 그들의 비동작 위치로 동시에 이동된다.
좌석조립제의 걸쇠/해제 조립체는 여러 가지 자동차 좌석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에 좌석조립체를 고정되도록 래치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며, 자동차로부터 좌석조립체를 들어 올리지 않고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조 및 기능적 원리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22)

  1. 상향 표면수단을 갖는 바닥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착탈가능 좌석조립제로서, 상기 바닥수단은 자동차의 세로 축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 표면수단의 하부에 뻗어 있는 전면 및 후면 공간부와, 상기 상향 표면수단의 상부 및 하부중의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공간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는 앵커 요소를 갖는 자동차용 좌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바닥수단의 앵커 요소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자동차 좌석의 반대측 단부들 상에 배열된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과,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에 탑재되고, (1) 상기 전면 및 후면 공간부에 들어맞게끔 그리고 상기 앵커 요소와 후크 연결관계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앵커 요소와 상기 하향 표면수단을 갖고서 상기 바닥수단상의 소정의 동작 위치에서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 구조체 쌍 상의 쿠션 좌석구조체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유지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상기 바닥수단에 대하여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위치 상부에 위치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상에 탑재되고, (1)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그 상부의 쿠션 좌석 구조체가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 표면수단에 대하여 휠 요소 지지 관계로써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과 후크 요소 하부로 그의 비동작 위치에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동작 위치 상부에 배열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휠 요소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후크 요소들 증의 일부는 일부 휠 요소가 그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그리고 그와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동시에 이동하는 동안 그의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그리고 그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휠 요소 중의 일부에 대해 배치 및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자동차 좌석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각각과 관련된 후크 요소는 상기 동작 및 비동작 위치내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기 위하여 관련된 지지구조체상에 선회가능하도록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휠 요소는 상기 일부 후크 요소상에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후크 요소는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관련된 전면 후크 요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후크 요소는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각각과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휠 요소는 동시에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된 상기 상승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의 상부 있는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의 상부에 있는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는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동시에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의 상부에 있는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는 반대 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동시에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9. 상향 표면수단을 갖는 바닥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착탈가능 좌석조립체로서, 상기 바닥수단은 자동차의 세로 축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 표면수단의 하부에 뻗어 있는 전면 및 후면 공간부와, 상기 상향 표면수단의 상부 및 하부중의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공간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는 앵커 요소를 갖는 자동차용 좌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바닥수단의 앵커 요소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자동차 좌석의 반대측 단부들 상에 배열된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에 탑재되고, (1) 상기 전면 및 후면 공간부에 들어맞게끔 그리고 상기 앵커 요소와 후크 연결관계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앵커 요소와 상기 하향 표면수단을 갖고서 상기 바닥수단상의 소정의 동작 위치에서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 구조체 쌍 상의 쿠션 좌석구조체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유지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상기 바닥수단에 대하여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위치 상부에 위치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상에 탑재되고, (1)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그 상부의 쿠션 좌석 구조체가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 표면수단에 대하여 휠 요소 지지 관계로써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과 후크 요소 하부로 그의 비동작 위치에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동작 위치 상부에 배열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휠 요소와,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에 대하여 형성되고 배열된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과 결합되며,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후크 요소와 휠 요소와 상호 동작하여 (1) 상기 고정 위치 내에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쿠션 좌석 구조체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될때 상기 후크 요소를 그의 동작 위치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휠 요소를 그의 비동작 위치 내부로 이동하며 (2)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수단에 대하여 지지 관계에 있는 회전이동하는 휠 내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쿠션 좌석 구조체를 이동하는 것이 요구될때 상기 후크 요소를 그의 비동작 위치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휠 요소를 그의 동작 위치 내부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수단은 그 내부에서 돌기부를 가지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요소가 상기 동작 위치 내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앵커 요소와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각각은 (1)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의 중의 적어도 하나와 동작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이들과의 선회 이동을 위한 핸들과, (2)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를 또다른 하나에 연결하여 반대 방향으로 선회 이동을 위한 연결 로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상기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는 각각의 이동을 위하여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각각은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를 동일한 방향으로 같이 이동하기 위하여 다른 하나에 접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휠 요소의 적어도 하나는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
  15.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각각은 비동작 위치로 관련된 후크 요소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한 스프링과,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응하여 동작 위치 내에서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관련된 핸들을 위한 수동 해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석.
  16. 제9항에 있어서, 관련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의 각각은 동작 위치로 이동할 때 앵커 요소와의 흔들림 없는 결합을 위한 스프링 압축 흔들림 방지 요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
  17. 상향 표면수단을 갖는 바닥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착탈가능 좌석조립체로서, 상기 바닥수단은 자동차의 세로 축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 표면수단의 하부에 뻗어 있는 전면 및 후면 공간부와, 상기 상향 표면수단의 상부 및 하부 중의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공간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는 앵커 요소를 갖는 자동차용 좌석조립체를 장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자동차 바닥수단의 앵커 요소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자동차 자석의 반대 측면상에 배열된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에 상부에 탑재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의 상부에 탑재된 휠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일부 휠 요소가 상기 후크 요소에 대하여 형성되고 배열되는 자동차 좌석을 제공하는 과정과, (b) 상기 일부 휠 요소를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 및 상기 일부 후크 요소의 하향수단의 하부에 뻗어있는 동작 위치내로 상기 일부 후크 요소를 비동작 위치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일부 후크 요소를 비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c) 상기 자동차 좌석을 자동차 내의 개구로 그리고 상기 바닥수단의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자동차 좌석이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 표면수단의 상부에서 지지관계에 있는 회전이동하는 휠 요소 내에 배열되는 과정과, (d) 후크 요소가 상기 전면 및 후면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때까지 상기 자동차 좌석을 상향 표면수단의 상부로 회전이동하는 과정과, (e) 상기 일부 휠 요소를 그의 동작 위치 상부의 비동작 위치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일부 휠 요소를 동작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일부 휠 요소는 상향수단의 하부에서 신장하여 공간부내로 들어가며 상기 앵커 요소와 후크 연결 관계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앵커 요소와 상기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는 상기 바닥수단상의 고정 위치 내에서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쿠션 좌석 구조체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18. 상향수단을 가지는 바닥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착탈가능한 자동차 좌석조립체에 있어서, 안내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향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상향수단의 하부에 뻗어있는 자동차의 세로축에 대하여 배열된 한쌍의 전면 및 후면 공간부 및 상기 상향 표면수단의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한 위치 내에서 상기 전면 및 후면 공간부를 가로질러 뻗어있는 앵커 요소를 갖는 앵커 조립체와, 앵커 조립체의 앵커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는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에 탑재되고, (1) 공간부에 들어맞게끔 그리고 상기 앵커 요소와 후크 연결관계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앵커 요소와 상기 하향 표면수단을 갖고서 상기 바닥수단상의 소정의 동작 위치에서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 구조체 쌍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적으로 유지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상기 바닥수단에 대하여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위치 상부에 위치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의 상부에 탑재되고, (1)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고정식 지지구조체를 동작시켜 그 상부의 쿠션 조립 구조체가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 표면수단에 대하여 휠 요소 지지 관계로써 회전가능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 수단과 관련된 후크 요소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동작 위치 상부에 배열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휠 요소와,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에 대하여 형성되고 배열된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과 결합되며,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후크 요소와 휠 요소와 상호 동작하여 (1) 상기 고정 위치 내에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쿠션 좌석 구조체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될때 상기 후크 요소를 그의 동작 위치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휠 요소를 그의 비동작 위치 내부로 이동하며 (2)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수단과 상기 가이드 표면에 대하여 지지 관계에 있는 회전이동하는 휠 내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쿠션 좌석 구조체를 이동하는 것이 요구될 때 상기 후크 요소를 그의 비동작 위치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휠 요소를 그의 동작위치 내부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19. 상향 표면 수단을 갖는 바닥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형 착탈가능 자석조립체로서, 상기 바닥 수단은 자동차의 세로 축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향수단의 하부에 뻗어 있는 전면 및 후면 공간부와, 상기 상향수단의 상부 및 하부 중의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공간부들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앵커 요소를 갖는 자동차용 자동차 자석 구조체의 쿠션 좌석조립체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상승 지지구조체에 있어서, 좌석 구조체의 영역에 탑재되도록 형성되고 배열되며 자동차 바닥수단의 앵커 요소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향 표면수단을 가지는 한쌍의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에 탑재되고, (1) 공간부에 들어맞게끔 그리고 상기 앵커 요소와 후크 연결관계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앵커요소와 상기 하향 표면수단을 갖고서 상기 바닥수단상의 소정의 동작 위치에서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와 상기 고정 구조체 쌍 상의 쿠션 좌석 구조체를 착탈가능 하도록 고정적으로 유지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수단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상기 바닥수단에 대하여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위치 상부에 위치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후크 요소와,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 쌍의 각각의 상부에 탑재되고, (1)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 고정식 지지구조체를 동작시켜 그 상부의 쿠션 조립 구조체가 자동차 바닥수단의 상향 표면수단에 대하여 휠 요소 지지 관계로써 회전가능하게끔 관련된 고정식 지지구조체의 하향 표면 수단과 관련된 후크 요소 하부로 신장하는 동작 위치와, (2) 동작 위치 상부에 배열된 비동작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한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후크 요소는 상기 일부 휠 요소가 그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그리고 그의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동시에 이동하는 동안 그의 동작 위치로부터 비동작 위치로 그리고 그의 비동작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각각 이동되도록 상기 휠 요소 중의 일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지지구조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및 비동작 위치내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 요소는 상기 고정식 지지구조체상에 선회가능하도록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지지구조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선회가능하도록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지지구조체.
  22. 제20항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 휠 요소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선회가능하도록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지지구조체.
KR1019940006914A 1993-04-02 1994-04-01 신축성 걸쇠(래치) 및 연동 롤러의 좌석-차바닥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KR100289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41,459 1993-04-02
US08/041,459 US5372398A (en) 1993-04-02 1993-04-02 Vehicle seat assembly with retracting latch/engaging roller seat-to-floor 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9260B1 true KR100289260B1 (ko) 2001-05-02

Family

ID=2191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914A KR100289260B1 (ko) 1993-04-02 1994-04-01 신축성 걸쇠(래치) 및 연동 롤러의 좌석-차바닥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72398A (ko)
EP (1) EP0618102B1 (ko)
JP (1) JPH07117533A (ko)
KR (1) KR100289260B1 (ko)
CN (1) CN1045563C (ko)
AT (1) ATE162477T1 (ko)
AU (1) AU672667B2 (ko)
CA (1) CA2120394C (ko)
DE (1) DE69408007T2 (ko)
ES (1) ES2111246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807A (ko) * 2020-03-17 2021-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테리어 가변형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42438C1 (de) * 1993-12-13 1995-05-11 Daimler Benz Ag Fahrzeugsitz
US5474311A (en) * 1994-02-25 1995-12-12 Invenio Corporation Vehicle bench seat retractable wheel carriage
DE4408686C1 (de) * 1994-03-15 1995-04-27 Keiper Recaro Gmbh Co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Längsträgers eines Fahrzeugsitzes mit der Fahrzeugstruktur
US5547242A (en) * 1995-02-10 1996-08-20 Atoma International, Inc. Latch/unlatch indicator for vehicle seat-to floor latch mechanism
FR2735729B1 (fr) * 1995-06-22 1997-08-29 Irausa Ingeniera Fixation de securite pour siege amovible de vehicule
US5988973A (en) * 1995-10-03 1999-11-23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eat ramp
DE19544833C2 (de) 1995-12-01 2001-06-2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s Fahrzeugsitzes mit dem Fahrzeugboden
ES2142696B1 (es) * 1995-12-19 2001-03-16 Antolin Grupo Ing Sa Sistema de anclaje para asientos de vehiculos.
CA2198674C (en) * 1996-03-28 2000-12-19 Wojciech Smuk Roll-in/roll-out vehicle seat system with fixed wheel members
US5730414A (en) * 1996-04-26 1998-03-24 The Crown Division Removable storage assembly fastening system
FR2750658B1 (fr) * 1996-07-03 1998-11-06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Siege a configuration variable et a manipulation aisee pour vehicule automobile
JP3651136B2 (ja) * 1996-08-15 2005-05-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US5800015A (en) * 1996-10-16 1998-09-01 Tachi-S Co., Ltd. Long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seat
FR2762811B3 (fr) * 1997-04-30 1999-06-04 Renault Systeme pour le reglage de la position longitudinale et le blocage en position reglee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PT993391E (pt) * 1997-07-07 2002-08-30 Multimatic Inc Conjunto de assento amovivel para automovel
US6039401A (en) * 1997-07-28 2000-03-21 Lear Corporation Self-latching and self-releasing latch mechanism for removable seat
FR2768378B1 (fr) * 1997-09-12 1999-11-12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un siege amovible de vehicule automobile
DE19846031C2 (de) * 1997-10-08 2002-01-17 Mitsubishi Motors Corp Lösbarer Klappsitz
US5839773A (en) * 1997-10-15 1998-11-24 Lear Corporation Rolling stowable seat
US5979964A (en) * 1997-10-15 1999-11-09 Lear Corporation Double pivoting stowable seat
AU1476899A (en) * 1997-12-04 1999-06-28 Magna Interior Systems Inc. Removable seat assembly
US6145912A (en) * 1997-12-15 2000-11-14 Flexsteel Industries, Inc. Recreational vehicle couch mounting assembly
JP4134364B2 (ja) * 1997-12-26 2008-08-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US6036252A (en) * 1998-01-20 2000-03-14 Lear Corporation Automotive bench seat with fixed rollers and linear floor latch
CA2329321C (en) * 1998-05-15 2007-06-26 Magna Interior Systems Inc. Fold and tumble seat support assembly
US6213525B1 (en) 1998-05-15 2001-04-10 Magna Interior Systems Inc. Lever action floor latch actuation mechanism with cinching mechanism
DE29810333U1 (de) * 1998-06-09 1999-10-14 Johnson Controls Gmbh Sitzmodul
JP2000085418A (ja) * 1998-09-16 2000-03-28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
US6227619B1 (en) * 1999-03-16 2001-05-0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with rollers and skid plate
US6196610B1 (en) * 1999-03-17 2001-03-0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with roller
US6361098B1 (en) * 1999-03-17 2002-03-2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FR2791616B1 (fr) * 1999-04-02 2001-06-29 Matra Automobile Siege escamotable par repli pour passager de vehicule
US6161890A (en) * 1999-05-25 2000-12-19 Daimlerchrysler Seat riser cinch mechanism
US6179363B1 (en) 1999-05-27 2001-01-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Transportable vehicle seat
DE29911783U1 (de) * 1999-07-07 2000-11-16 Johnson Controls Gmbh Demontierbarer Fahrzeugsitz
FR2796342B1 (fr) * 1999-07-15 2001-08-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limitation du recul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KR100310014B1 (ko) * 1999-08-31 2001-09-29 류정열 차량용 시트의 탈장착장치
GB9927855D0 (en) 1999-11-26 2000-01-26 Johnson Controls Gmbh Anchor assembly
US6145910A (en) * 1999-12-30 2000-11-14 Lear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vehicle interior
US6254163B1 (en) 2000-05-15 2001-07-0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track attachment assembly
KR100340762B1 (ko) * 2000-06-23 2002-06-20 허재건 자동차용 탈착식 시트
KR100361981B1 (ko) * 2000-10-21 2002-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탈부착 장치
KR100388418B1 (ko) * 2000-12-18 2003-06-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탈부착장치
US6431632B1 (en) * 2001-06-04 2002-08-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bile seat assembly attachment structure
KR100410956B1 (ko) * 2001-06-26 2003-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탈부착 장치
KR100412469B1 (ko) * 2001-07-0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탈부착 장치
FR2829439B1 (fr) * 2001-09-07 2004-01-16 Faurecia Sieges Automobile Pietement de siege de vehicule, siege comportant un tel pietement et ensemble d'assise comportant un tel siege
KR20030038986A (ko) * 2001-11-09 2003-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탈착 장치
US6655702B2 (en) * 2002-01-15 2003-12-02 Patent Holding Company Combination vehicle passenger seat/child stroller
KR100461257B1 (ko) * 2002-04-18 2004-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탈착식 시트
FR2857634B1 (fr) * 2003-07-18 2006-11-10 Gruau Laval Dispositif de reglage longitudinal et de verrouillage en position predeterminee d'un equipement de vehicule
US20060220411A1 (en) * 2003-08-01 2006-10-05 Pathak Shriram S Vehicle seat assembly and floor rail for lateral seat shuttling
US6994391B2 (en) * 2004-05-13 2006-02-07 Bae Industries, Inc. Floor release mechanism for use with a rear row and removable vehicle seat
CZ301639B6 (cs) * 2005-06-17 2010-05-12 Škoda Auto a. s. Prední záves sedadla automobilu
US7434862B2 (en) * 2005-10-11 2008-10-14 Bae Industries, Inc. Combination front and rear floor latch assembly for selective forward tumbling and removal of a rear row vehicle seat
US7500707B2 (en) * 2005-10-11 2009-03-10 Bae Industries, Inc. Removable vehicle seat
US7377571B2 (en) * 2005-10-20 2008-05-27 Chrysler Llc Collapsible seat mechanism with integrated subfloor
US7798550B2 (en) * 2007-07-30 2010-09-21 Toyota Motor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oldable feet supports for removable vehicle seats
JP5600731B2 (ja) 2009-03-20 2014-10-01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シート構造−フロア係止具の面取り式取り付け補償構造
US8905469B2 (en) * 2009-05-12 2014-12-09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US7914077B2 (en) * 2009-06-18 2011-03-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ingle motion load bearing release handle
FR2948632B1 (fr) 2009-07-28 2011-08-26 Attax Systeme d'accrochage d'un siege d'aeronef
WO2012109698A1 (en) * 2011-01-21 2012-08-23 Special Transport Solutions Pty Limited Vehicle seat for a disabled person
CN103802690B (zh) * 2012-11-15 2016-08-10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座椅安装结构
WO2014210318A2 (en) 2013-06-26 2014-12-31 Ricon Corp. Power transfer seat
US9061725B1 (en) 2014-06-02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ike convertible for use as seat assembly of a vehicle
US9694715B1 (en) * 2015-12-17 2017-07-04 Fca Us Llc Re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ngled striker surface
US10344796B2 (en) * 2017-03-17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ention mechanism for a forward folding seat assembly
JP2019202674A (ja) * 2018-05-24 2019-11-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0773608B2 (en) * 2018-12-03 2020-09-15 Jon Koehl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nstalling, and transporting automotive seats
US20220240686A1 (en) * 2019-05-21 2022-08-04 Sleep Smart Solutions GmbH Furniture device for a piece of furniture
CN112061244B (zh) * 2019-09-16 2022-07-0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可重配置的交通工具的可移除的内部部分
CN112572481B (zh) * 2019-09-30 2022-08-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
JP7396248B2 (ja) * 2020-10-28 202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乗降支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4528A (en) * 1926-02-20 1927-10-04 Floyd A Huff Automobile seat
US2101210A (en) * 1936-10-23 1937-12-07 Barclay Wright Combination latch
US3865427A (en) * 1973-05-16 1975-02-11 Harold Edward Delany Invalids aids
US3848924A (en) * 1973-09-20 1974-11-19 La Z Boy Chair Co Mobile chair base having locking means
US4157797A (en) * 1977-11-17 1979-06-12 Anthony Fox Seating assembly for aircraft
US4194782A (en) * 1977-12-13 1980-03-25 Toyo Kogyo Co., Ltd. Foldable seat structures for automobiles
US4495887A (en) * 1978-12-20 1985-01-29 Mondrush Ronald L Seat
JPS55160626A (en) * 1979-05-31 1980-12-13 Nissan Shatai Co Ltd Car seat device
US4395011A (en) * 1980-11-26 1983-07-26 Lifel Di Torta E C. S.A.S. Mounting and guiding device for adjustable motor vehicle seats
US4432524A (en) * 1981-07-29 1984-02-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ree point seat adjuster
US4620711A (en) * 1984-08-01 1986-11-04 Timber Dick Multi-function child carrier
US4723732A (en) * 1985-09-12 1988-02-09 The Boeing Company Movable seating system for aircraft
US4936527A (en) * 1985-09-12 1990-06-26 The Boeing Company Movable seating system for aircraft
JPS63137054A (ja) * 1986-11-28 1988-06-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ト
CA1282681C (en) * 1987-03-13 1991-04-09 Gulam Premji Seat release mechanism
SE464858B (sv) * 1987-07-01 1991-06-24 Saab Scania Ab Arrangemang vid en i laengsled foerskjutbar fordonsstol
US4759580A (en) * 1987-07-06 1988-07-26 Hoover Universal, Inc. Bench seat floor latching mechanism
US4865377A (en) * 1987-12-31 1989-09-12 Knusaga Corporation Seat riser
US5238285A (en) * 1992-07-16 1993-08-24 Douglas & Lomason Company Folding vehicle bedse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807A (ko) * 2020-03-17 2021-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테리어 가변형 차량
KR102336408B1 (ko) 2020-03-17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테리어 가변형 차량
US11383619B2 (en) 2020-03-17 2022-07-12 Hyundai Motor Company Interior variabl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72667B2 (en) 1996-10-10
ES2111246T3 (es) 1998-03-01
CA2120394A1 (en) 1994-10-03
CN1045563C (zh) 1999-10-13
CN1095023A (zh) 1994-11-16
CA2120394C (en) 2003-10-07
EP0618102A1 (en) 1994-10-05
AU5793794A (en) 1994-10-06
DE69408007T2 (de) 1998-05-20
DE69408007D1 (de) 1998-02-26
ATE162477T1 (de) 1998-02-15
EP0618102B1 (en) 1998-01-21
US5372398A (en) 1994-12-13
JPH07117533A (ja) 199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260B1 (ko) 신축성 걸쇠(래치) 및 연동 롤러의 좌석-차바닥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차 좌석조립체
US4978158A (en) Vehicle seat
JPS63137054A (ja) 車両用シ−ト
US20060220411A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floor rail for lateral seat shuttling
EP0925995B1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JP401945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4122295B2 (ja) リフト・ロック機構を備えたランプアセンブリ
JP7419130B2 (ja) 電動作業車
KR100453026B1 (ko) 자동 텀블 및 대좌 조립이 가능한 착탈식 시트
JP3795926B2 (ja) 穀粒貯留装置
JP2966776B2 (ja) 車両用シートのチルト装置
JPH029387Y2 (ko)
JP3757492B2 (ja) 車両用の車椅子積降し装置
KR100410730B1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레버 록킹장치
JPH042581Y2 (ko)
JPS635943Y2 (ko)
JP3425052B2 (ja) 車両用座席
JP2604594Y2 (ja) 運搬車のリフト・ダンプ切換え装置
JPS639448Y2 (ko)
JPH09207589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の支持装置
JPH0511101Y2 (ko)
JPS645624Y2 (ko)
KR200150416Y1 (ko) 시트 슬라이드 로킹장치
JPH0939615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569163Y2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