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995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995B1
KR100287995B1 KR1019997001139A KR19997001139A KR100287995B1 KR 100287995 B1 KR100287995 B1 KR 100287995B1 KR 1019997001139 A KR1019997001139 A KR 1019997001139A KR 19997001139 A KR19997001139 A KR 19997001139A KR 100287995 B1 KR100287995 B1 KR 100287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tape
manual
gea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116A (ko
Inventor
이마이가즈히데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0006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26D1/3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98With simple oscillating motion only
    • Y10T83/8804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05Cam or eccentric revolving about fixed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98With simple oscillating motion only
    • Y10T83/8804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07Gear or ratchet pawl drives toothed tool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44Gear actuated tool support

Abstract

테잎절단메커니즘에서, 테잎을 수동으로 자를 때, 누름버튼(14)을 내려눌러 하향된 랙(58)은 가이드 그루우브(59)의 안내로 기어(48)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가위캠(46)이 캠축(47) 주위로 핀(46b)을 따라 완전한 단일회전을 이루게 한다. 핀(46b)은 반회전하여 회전아암(52b)을 상승시키고, 회전날(52a)은 고정날(55)을 향해 회전하여 프린트테잎부를 절단한다. 나머지 반회전에 의해, 회전아암(52b)은 기준위치로 되돌아온다. 랙(58)이 눌린 상태로부터 누름버튼(14)의 풀림으로 인한 압축스프링(57)의 탄성으로 상승할 때, 랙(58)은 가이드 그루우브(59)의 안내로 기어(48)로부터 풀린다. 테잎이 자동으로 잘릴 때, 모터(37)는 회전하고, 가위캠(46)은 핀(46b)을 따라 워엄(38), 워엄기어(39), 소기어(40), 감속기어(41), 스퍼어기어(43), 베벨기어(42,44), 원-웨이클러치(45), 및 캠축(47)을 거쳐 회전하여, 회전날 및 고정날(52a 및 55)이 협력하여 프린트테잎부를 절단하게 한다.

Description

프린터 {PRINTERS}
종래에 테잎과 같은 프린팅매체에 문자를 쉽게 프린트할 수 있는 통상 테잎프린터 또는 라벨프린터로 불리는 작은 사무용 기기 또는 가내용 기기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런 테잎프린터에서, 테잎과 같은 프린팅매체에 선결된 길이로 문자가 프린트된 후, 프린트된 테잎부는 테잎절단기에 의해 남아 있는 테잎으로부터 절단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가위 또는 절단기날을 작동시키는 절단레버 또는 절단버튼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많은 테잎절단기는 비싸지 않고 배치된다.
이런 프린트매체에 대한 자동절단장치는 원통캠의 외주면에 제공되고 모서리로부터 절단기날의 반대측과 맞물려 이 원통캠이 회전할 때 절단기날이 프린트매체를 절단하도록 작동되는 그루우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한 핀을 구비한다.
가위(또는 절단날)에 연결된 작동부재(절단레버 또는 절단버튼)가 테잎프린터(이후 간단히 '프린터'라 칭함)로부터 공급된 프린트테잎 또는 매체를 절단하도록 눌려지는 전술한 수동절단장치와 같은 절단장치에서, 프린터에 대한 수행원이 프린팅하는데 필요하다. 따라서, 이 수행원은 다른 일이나 업무를 할 수 없다는 불만족한 점이 있다. 수행원은 각 프린팅 작동의 끝에서 프린트테잎을 수동으로 절단하고, 그 결과 수행원이 프린트테잎부를 연속으로 형성할 때 만족스럽지 않은 많은 수고와 시간이 걸린다.
프린트테잎을 절단하기 위해 원통캠에 의해 가위를 작동하는 전술한 자동절단장치와 같은 프린터에서, 프린터를 휴대할 수 있도록 많은 경우 전력공급기로써 재충전가능한 전지가 사용된다. 이 경우 전지가 죽었을 때 전지를 재충전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선택적으로, AC어댑터를 통해 전력을 얻기 위해, 사용자는 가내전원용 콘센트의 위치로 이동하거나 콘센트까지 코드를 연장하여 전력공급할 필요가 있지만, 이는 비상시에 대처할 임시변통의 수단을 고안할 수 없으므로 불편하다.
프린터를 종종 사용할 때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책상에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할 때, 전지출력은 사용가능레벨이하로 떨어져 빈번히 사용할 때와 같이 전지를 다 소모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테잎과 같은 프린트매체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절단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테잎카세트를 따라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테잎카세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프린터의 테잎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4는 누름버튼을 지닌 도 3의 테잎절단메커니즘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테잎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6A는 모터로 구동된 가위캠 및 회전가능한 칼날의 작동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6B는 모터로 구동된 가위캠 및 회전가능한 칼날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6C는 모터로 구동된 가위캠 및 회전가능한 칼날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6D는 모터로 구동된 가위캠 및 회전가능한 칼날의 추가적인 작동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6E는 모터로 구동된 가위캠 및 회전가능한 칼날의 여전히 추가적인 작동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6F는 모터로 구동된 가위캠 및 회전가능한 칼날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A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B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또 다른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C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여전히 다른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D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추가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E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여전히 추가적인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F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여전히 다른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G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추가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H는 누름버튼에 의한 수동의 절단작동의 여전히 추가적인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8A는 도 7A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A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B는 도 7B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B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또 다른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C는 도 7C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C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여전히 또 다른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D는 도 7D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D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추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E는 도 7E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E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추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F는 도 7F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F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여전히 추가적인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G는 도 7G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G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여전히 또 다른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H는 도 7H에 대응하고, 프린트매체가 도 7H의 누름버튼으로 수동으로 잘릴 때 가이드 그루우브와 가이드 그루우브에 안내된 랙 핀간의 추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프린터의 테잎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10은 누름버튼이 부착된 도 9의 테잎절단메커니즘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테잎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의 누름버튼에 의한 프린트매체의 수동절단작동의 단계를 예시하는 도면.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의 누름버튼에 의한 프린트매체의 수동절단작동의 또 다른 단계를 예시하는 도면.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실시예의 누름버튼에 의한 프린트매체의 수동절단작동의 여전히 또 다른 단계를 예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린터 2: 하우징 3: 키인유닛
4: 작동키 5: 표시유닛 6: 테잎카세트수용공간
7: 써멀헤드 8: 플래튼롤러 9: 테잎릴지지핀
10: 카세트케이스 11: 잉크리본감김구동축 12: 테잎절단기
13: 테잎배출구 14: 누름버튼 15: 테잎카세트
16: 테잎 17: 테잎릴구멍 18: 잉크리본감김릴구멍
19: 리세스 21: 테잎릴 22: 잉크리본릴
23: 리본 24: 잉크리본감김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및 수동 절단작동의 어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테잎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테잎과 같은 프린팅매체에 화상 또는 문자를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팅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부재(cutter member);
절단기 구동원(cutter drive source);
절단기부재를 작동하기 위하여 절단기 구동원으로부터 절단기부재에 구동력을 전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동수단; 및
절단기 구동원에 기초하여 절단기부재의 작동에 관계없이 절단기부재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메커니즘(manually operating mechanism)을 포함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린터에 따라, 테잎과 같은 프린트매체를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전지출력이 떨어질 때 생기는 프린트매체를 자동으로 절단할 수 없는 문제조차도 해결한다. 예를 들면, 전지가 죽었으므로 전력공급기의 보호가 필요하지만 종래 장치로는 이런 비상시에 대처하는 임시변통의 수단을 고안할 수 없을 때일지라도, 본 발명에 따라, 비상시에도 대응독립메커니즘에 의해 프린트매체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절단하고, 프린터의 편리함을 확실히 개선시킨다. 동일한 절단기부재가 각각의 독립적인 자동 및 수동 절단작동에 사용되어, 자동절단구성물, 수동절단구성물, 및 자동 및 수동절단구성물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이들 구성물은 사용된 구성물의 설계사양을 변경하지 않고 프린터본체를 용이하게 조립하는데 공통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성형비용과 이로 인한 제조품비용이 감소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프린터의 개략도이다. 도 1에는 프린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테잎카세트도 또한 도시된다. 도 2는 테잎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2에서, 프린터(1)에는 하우징(2)의 탑면의 일단부에 있는 키인유닛 (key-in unit)(3)이 제공된다. 키인유닛(3)은 커서키, 폼세팅키, 프린트키, 삭제키, 기능키, 프린트확대키, 대소문자선택키, 시프트키, 단일한자키, 변환키, 비변환키, 입력키, 및 가나와 영숫자 모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키 등의 복수의 작동키(4)를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표시유닛(5)은 키인유닛(3)에 이웃한 탑면의 중심영역의 좌측부에 배치되고, 테잎카세트수용공간(6)은 중심영역의 표시유닛(5)의 우측에 형성된다. 도 1에서 테잎카세트수용공간(6)은 커버가 제거되어 테잎카세트수용공간의 내부가 잘 보일 수 있게 도시된다. 써멀헤드(thermal haed)(7)는 테잎카세트수용공간(6)내의 수직축주위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플래튼롤러 (platen roller)(8)는 써멀헤드를 향해 약간 비스듬하게 되도록 써멀헤드(7)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테잎릴지지핀(9) 및 잉크리본감김구동축(11)은 카세트수용공간 (6)내에 써멀헤드 (7)와 키인유닛(3)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날(55)과 회전날(52a)을 구비하고 있는 테잎절단기(12)는 써멀헤드(7) 우측의 카세트수용공간(6)의 측면에 배치된다. 테잎배출구(13)는 테잎절단기(12)의 우측에 형성된다. 누름버튼 (14)은 하우징(2)의 탑면의 맞은편 단부상의 테잎배출구(13) 가까이에 배치된다.
테잎카세트(15)가 테잎카세트수용공간(6)내에 설치될 때, 테잎릴지지핀(9)은 한 롤의 테잎(16)을 내포하는 테잎카세트(15)내의 테잎릴구멍(17)에 맞물리고, 잉크리본감김구동축(11)은 테잎카세트(15)내의 잉크리본감김릴구멍(18)에 맞물린다.
테잎카세트(15)에서, 테잎(16)의 롤은 카세트케이스(10)내의 테잎릴(21)상에 형성되고, 한 롤의 리본(23)은 잉크리본릴(22)상에 형성된다. 테잎(16) 및 잉크리본(23)은 테잎카세트(15)에 형성된 (헤드를 받아들이는) 리세스(19)를 가로질러 적재된 관계로 연장한다. 프린터(1)의 써멀헤드(7)는 리세스(19)내에 배치된다. 써멀헤드(7) 및 플래튼롤러(8)는 이들 사이에 테잎(16) 및 잉크리본(23)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된다.
프린팅시에 써멀헤드는 플래튼롤러(8)를 향해 회전하여, 써멀헤드(7)의 일단에 배치된 가열기소는 테잎(16) 및 잉크리본(23)을 통해 플래튼롤러(8)를 눌러 잉크리본(23)내 잉크를 테잎(16)의 프린팅면에 열적으로 전달한다. 잉크리본(23)의 잉크전달부(23-1)는 잉크리본감김릴(24) 주위에 감기어, 잉크리본(23)의 미사용부는 잉크리본릴(22)로부터 프린팅구획으로 공급된다.
플래튼롤러(8)의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테잎(16)의 미사용부는 테잎릴(21)로부터 공급되는 반면, 테잎(16)의 프린트부(16')는 테잎배출부(13)로부터 테잎절단기(12)를 거쳐 배출된다. 공급된 프린트테잎부(16-1)는 테잎절단기(12)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절단된다.
다음에 자동 및 수동 테잎절단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3은 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절단메커니즘에 부착된 누름버튼(14)을 지닌 도 3의 절단메커니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시되지 않은 대소기어(41 및 41-1)를 구비한 도 3의 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의 절단메커니즘은 테잎카세트카세트간(6)의 내부우측에 배치된다. 도 3은 프린터본체의 프레임(72)에 부착된, 도 1의 써멀헤드(7), 플래튼롤러 (8), 테잎릴지지핀(9) 및 잉크리본감김구동축(11)을 도시한다. 도 4도 또한 절단메커니즘에 부착된 누름버튼을 도시한다.
써멀헤드(7)는 L자형 헤드아암(25)의 상단부(上短部)를 지지하는 피벗 (pivot)(26)에 의해 후단(後端)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에 의해 L자형 헤드아암(25)의 장부(長部)를 따라 세로로 연장하고 캠핀(미도시)이 삽입되는 그루우브(groove)(27)를 구비한 헤드아암(25)과 맞물린다. 인장스프링(28)은 L자형 헤드아암(25)의 장부의 자유단과 본체프레임(72) 사이에서 연장하여, 헤드아암 (25)을 반시계방향으로 치우치게 한다. 캠(미도시)이 구동되어 그루우브(27)에 삽입되어 있는 캠에 부착된 캠핀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헤드아암(25) 및 써멀헤드(7)는 프린팅하지 않는 위치에서 인장스프링(28)의 탄성에 대해 피벗(26)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캠핀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헤드아암(25) 및 써멀헤드(7)는 피벗(26)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써멀헤드(7)의 단부에 제공된 프린팅부(발열어레이)는 테잎(16) 및 잉크리본(23)(도 1)을 통해 플래튼롤러(8)에 대해 눌린다.
잉크리본감김구동축(11)은 구동시스템(미도시)에 접속된 잉크리본감김기어 (32)와 맞물리고 잉크리본감김기어(32)를 따라 회전한다.
플래튼롤러(8)에는 변속기어그룹(34)의 소직경기어(34-2)와 맞물리는 플래튼기어(33)가 제공된다. 이 기어그룹(34)의 대기어(34-1)는 스테핑모터(35)의 구동기어(36)와 맞물린다. 따라서 스테핑모터(35)가 전후로 회전할 때, 플래튼롤러(8)도 또한 기어그룹(34)를 거쳐 각각 전후로 회전한다.
절단메커니즘은 하우징(2)의 상면과 본체프레임(72) 사이의 작은 공간에 배치된다. 절단메커니즘에서, (스테핑모터일 수도 있는) DC모터(37)는 자동절단작동을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워엄기어(39)가 맞물리는 워엄(38)은 DC모터(37)의 구동축에 고정된다. 워엄기어(39)와 통합한 소기어(40)는 감속기어그룹(41)의 대기어(41-1)와 맞물리고, 감속기어그룹(41)의 소기어(41-2)는 베벨기어(42)와 통합한 스퍼어기어(43)와 맞물린다. 베벨기어(42)는 또 다른 베벨기어(44)와 교대로 맞물린다. 따라서 DC모터(37)에 의해 구동되는 베벨기어(42)의 수평면회전은 베벨기어(44)의 수직면회전으로 변환된다. 베벨기어(44)의 회전은 원-웨이클러치 (one-way clutch)(45)를 거쳐 가위캠(46)의 캠축(47)에 전달된다. 기어(48)는 원-웨이클러치(45)와 가위캠(46) 사이의 캠축(47)에 고정된다. 기어(48)는 나중에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캠축(47)은 본체프레임(72)의 지지부(7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의 우측 및 좌측이 각각 프린터본체의 상면 및 하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캠(46)은 외주에 형성된 방사상돌출부(46a)를 갖고 있다. 감지스위치(51)는 감지스위치(51)가 돌출부(46a)에 인접하는 위치의 프린터본체프레임(72)에 배치된다. 가위캠(46)이 회전하여 돌출부(46a)가 감지스위치 (51)의 단부를 누를 때, 감지스위치(51)는 회전하여 전환되고 이에 의해 가위캠 (46)의 위치를 감지한다.
돌출부(46a)로부터 캠축(47)의 실질적인 맞은편의 가위캠(46)의 외주상에 핀(46b)이 고정으로 제공되어, 핀(46b) 및 캠축(47)은 나란히 연장한다. 핀(46b)은 슬롯(53) 외측으로 구부러진 삽입된 핀(46b)의 단부를 지닌 가위의 회전날 (52a)과 통합한 회전암(52b)에 있는 가늘고 긴 슬롯(53)에 삽입되어, 핀(46b)은 슬롯(53)으로부터 캠을 오프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가위캠(46)이 DC모터(37)에 의해 워엄(38), 워엄기어(39), 소기어(40), 감속기어그룹(41), 스퍼어기어(43), 베벨기어(42,44), 원-웨이클러치(45), 및 캠축(47)을 거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위의 회전아암(46b)은 핀(46b)에 의해 피벗축(54) 주위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날(52a)은 가위의 고정날(55)에 대해 폐쇄되고 이에 의해 프린트테잎(16-1)을 자동으로 절단한다.
누름버튼(14)은 압축스프링(57)에 의해 위쪽으로(도면에서 좌측으로) 항상 치우친다. 누름버튼(14)은 이에 형성된 랙(58)을 갖고 있다. 랙(58)은 프린터프레임(72)의 그루우브형성영역(72-1)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우브(guide groove)(59)에 맞물리는 수직핀(56)을 후미에 갖고 있다.
가이드 그루우브(59)를 통한 누름버튼(14)은 이후에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프린트테잎에 수행된 자동절단작동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6A-6F는 가위캠(46)과 DC모터(37)에 의해 구동된 회전날(52a)에 의해 프린트테잎에 수행되는 자동절단을 도시하기만 한다. 도 6A는 자동절단작동을 포함하는 프린터의 기계적인 단면을 도시하기만 하는 도 4의 일부이다. 우선, 도 6A는 기준위치 또는 제위치(home position)에 있는 가위캠을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가위캠(46)의 위치는 돌출부(46a)가 감지스위치(51)에 인접할 때 감지되어, 이에 의해 이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핀(46b)은 가늘고 긴 슬롯(53)의 실질적인 중점에서 중지하고, 회전아암(52b)은 수평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전날(52a)은 고정날(55)로부터 최대로 개방된다.
DC모터(37)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 핀(46b)은 도 6A의 화살표(A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위캠(46)의 회전과 결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 6B의 화살표(A2) 및 도 6C의 화살표(A3)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핀(46b)이 추가로 회전하여 가늘고 긴 슬롯(53)의 우측 단부에 도달할 때, 회전날(52a)은 고정날(55)과 협력하여 테잎(16-1)을 절단하기 시작한다.
도 6D의 화살표(A4)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아암(52b)을 위로 올리는 동안 가위캠(46)의 연속회전으로 핀(46b)은 추가로 회전하여 가늘고 긴 슬롯(53)의 좌측 단부에 되돌아오고, 이에 의해 회전날(52a)을 추가적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날 및 고정날(52a 및 55)을 완전히 폐쇄한다. 이로써 가위의 절단작동을 종결한다.
가위캠(46)은 추가로 연속으로 회전하고, 도 6E의 화살표(A5)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핀(46b)은 추가로 회전하여 가늘고 긴 슬롯(53)의 중점을 지나친다. 따라서 회전아암(52b)이 내려눌리기 시작한다. 이는 회전날(52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고, 이에 의해 고정날(55)로부터 개방되기 시작한다. 도 6F의 화살표(A6)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핀(46b)은 연속회전하여 슬롯(53)의 좌측 단부에 도달하고, 회전아암(52b) 및 회전날(52a)은 시계방향으로 연속회전하고, 가위캠(46) 및 다른 연관기소는 이들의 연관작동을 계속하여 도 6A의 상태에 도달하고, 그래서 감지스위치(51)는 돌출부(46a)를 감지하여 가위캠(46) 및 연관기소는 기준위치에서 멈춘다.
이상에서와 같이, 자동절단작동의 경우 가위의 회전날(52a)은 DC모터(37)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어 테잎(16-1)을 절단한다.
프린트용지에 수행된 수동절단작동을 다음으로 설명한다. 도 7A-7H는 절단작동의 연속단계중 각 단계에서 누름버튼(14)에 의해 수행된 수동절단을 각각 도시한다. 도 7A-7H는 수동절단작동에 대한 도 4의 구성물의 기계적인 단면을 도시하기만 한다. 도 8A-8H는 (도 4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7A-7H의 그루우브형성부(72-1)에 원래 지적된 가이드 그루우브(59)를 끄집어 낸 형태로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 4 및 7A-7H에 도시된, 랙(58)의 후미에 고정된 랙핀(56)은 가이드 그루우브(59)에 안내된대로 예시된다. 가이드 그루우브(59)는 우측이 좌측에 비해 약간 아래쪽으로 옮겨진 평행사변형의 형태를 취한다. 밸브(미도시)는 랙핀(56)이 정지중인 평행사변형그루우브(59)의 상부좌측코너 및 평행사변형그루우브의 맞은편 하부우측코너에 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밸브에 의해, 랙핀(56)은 가이드 그루우브(59)에 항상 시계방향으로 안내된다. 밸브는 가이드 그루우브(59)내 랙핀(56)의 반시계방향이동을 막도록 배열된다.
가위캠(46)은 가위캠(46)의 뒤에 숨겨지므로 도 4에 도시될 수 없는 나머지 구성물을 예시하기 위하여 도 7A-7H에 파선으로 도시된다. 우선, 도 7A는 가위캠(46)의 핀(46b)이 회전아암(52b)내의 가늘고 긴 슬롯(53)의 실질적인 중점에 멈추는 기준위치에 있는 가위캠(46)을 도시하고, 가위의 회전날(56)이 고정날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것을 도시한다. 핀(46b)의 이 위치는 상기와 같이, 감지스위치(51)에 의해 감지된 가위캠(46)의 돌출부(46a)의 위치에 대응한다. 이 초기상태에서, 랙(58)은 맞물린 기어(48)로부터 풀리고, 전술한 자동절단작동이 아무런 어려움없이 수행된다.
이 때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핀(56)은 가이드 그루우브(59)의 상부좌측코너에 위치한다.
도 7A 및 7B의 화살표(B1 및 B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14)이 압축스프링(57)의 탄성에 대해 아래쪽으로 눌릴 때, 누름버튼(14)에 고정된 랙(58)은 하향하기 시작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랙핀(56)을 가이드 그루우브(59)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하향시키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58)을 누름버튼(14)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압축스프링(57)을 내포하고 있는 누름버튼(14)의 원통부(14a)는 누름버튼지지부(61)상에 프린터본체프레임상에 느슨하게 고정되고, 랙(58)의 수평이동에 자유롭게 순응한다. 랙(58)은 일단에서 기어(48)와 맞물리도록 하향하는 동안 우측으로 이동한다. 누름버튼(14)은 도 7C 및 7D의 화살표(B3 및 B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로 내려눌리고, 가위캠(46)은 랙(58), 기어(48), 및 캠축(47)을 거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도 8C 및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핀(56)은 가이드 그루우브(59)를 따라 하향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누름버튼(14)을 내려누르는 것을 포함하는 수동절단작동의 경우, 캠축(47)의 회전은 DC모터(37)에 전달된다. 따라서, 베벨기어(44)에 가해진 캠축(47)으로부터의 역구동력이 인터비닝 원-웨이클러치(intervening one-way clutch)(45)에 의해 흡수되어 베벨기어(44)에 전달되지 않을지라도, 캠축(47)의 회전은 베벨기어(44)에 의해 최초에 제동된다. 따라서, 캠축(47)은 어떠한 제동력도 받지 않고 회전하여, 가위캠(46)은 회전한다.
가위캠(46)의 회전으로, 도 6C의 경우처럼, 핀(46b)이 가위의 회전아암(52b)에 있는 슬롯(53)의 우측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날(52a)은 회전하고, 그 결과 회전날 및 고정날(52a 및 55)은 테잎(16)에 절단작동을 협력하여 수행한다.
다음에, 도 7E의 화살표(B5)로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이 내리눌릴 때, 랙(58)은 추가로 하향하여 가위캠(46)을 회전시키고, 그 결과 도 6D에서와 같이 핀(46b)은 회전아암(52b)을 올리는 동안 슬롯(53)의 좌단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되돌아온다. 따라서,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날(52a)의 반시계방향회전은 추가로 진행되고, 회전날 및 고정날(52a 및 55)은 서로에 대해 완전히 폐쇄되고, 이에 의해 가위의 절단작동을 종료한다.
도 7F의 화살표(B6)로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이 추가로 내리눌릴 때, 가위캠(46)은 추가로 연속회전하고, 핀(46b)은 회전하여 슬롯(53)내 중점을 지나 회전아암(52b)을 내리누르기 시작하고, 회전날(52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에 의해 고정날(55)로부터 개방되기 시작한다.
도 7G의 화살표(B7)로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이 추가로 내리눌릴 때, 랙핀(56)은 도 8E-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그루우브(59)를 따라 하향한다. 랙핀(56)이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그루우브(59)의 최하(우측)단에 도달할 때까지, 랙(58)은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하여 가위캠(46)을 추가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가늘고 긴 슬롯(53)의 좌측단에 도달한 다음 슬롯(53)내 중점에 되돌아 온 핀(46b)은, 가위의 회전날(52a)이 고정날(55)로부터 완전히 개방되고, 가위캠(46)의 돌출부(46a)가 감지스위치(51)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인 도 7A에 도시한 초기위치에서 멈춘다.
상기와 같이, 랙(58)과 기어(48) 사이의 기어 비(gear ratio)는 설정되어, 그 결과 누름버튼(14)의 단일누름(행정)작동에 의해 기어(48)와 가위캠(46)은 완전한 단일회전을 이루고, 회전날(52a)은 단일한 절단작동을 수행한다.
이후, 누름버튼(14)의 내리누름작동이 풀리고, 누름버튼(14)은 도 7H의 화살표(B8)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57)의 탄성에 의해 상승된다. 따라서, 랙(58)도 또한 이때 상승된다. 이때, 랙핀(56)은 가이드 그루우브(59)내에 배치된 밸브(미도시)에 의해 안내되어 좌측으로 이동한 후 가이드 그루우브(59)내에서 상승한다. 따라서, 랙(58)과 기어(48)의 맞물림상태는 랙핀(56)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시간과 동시에 풀어지고, 가위의 초기위치는 유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캠축(47)의 기어(48)와 수동장치의 랙(58)의 맞물림 및 캠축(47)의 기어(48)로부터 수동장치의 랙(58)의 풀림이 가이드 그루우브(59)를 통해 수행될지라도, 수동장치와 캠축(47)의 기어(48)의 맞물림은 이 특별한 경우에 제한되지 않지만, 다른 설비에서 실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다음에 설명된다.
[제2실시예]
도 9는 제2실시예의 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절단메커니즘의 측면도. 도 11은 생략된 대소기어(41 및 41-1)를 구비한 도 9의 절단메커니즘의 평면도. 도 12A, 12B 및 12C는 절단메커니즘 작동의 각각의 연속단계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9-11 및 3-5의 동일한 기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주어지고, 이에 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도 9-11에서, 도 3 및 5의 기어(48)와 톱니의 갯수가 다른 기어(70)는 원-웨이클러치(45)와 가위캠(46) 사이의 캠축(47)에 고정된다. 기어(70)는 또 다른 기어(62)와 맞물리고, 기어(62)의 회전축(90)은 프린터본체의 프레임(63)에 의해 지지되고 수동 원-웨이클러치(64)를 거쳐 항상 랙(71)과 맞물리는 기어(65)에 접속된다.
도 12A는 기준위치에서 도 10의 절단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 10을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도 12B의 화살표(D)로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이 압축스프링(57)의 탄성에 대해 내리눌릴 때, 누름버튼(14)에 고정된 랙(71)은 하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기어(65)를 회전시키고, 도 9-11에 도시된 수동 원-웨이클러치(64), 기어(62, 70), 및 캠축(47)을 거쳐 도 12B의 가위캠(4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아암(52b) 및 회전날(52a)은 화살표(E)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날(55)을 향하여 회전하고, 이에 의해 테잎(16-1)을 절단한다.
이후, 도 12C의 화살표(F)로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은 최하단에 대해 내려눌려 가위캠(46)의 일회전을 완료한다. 따라서, 절단작동을 종료한 회전날(52a)은 도 12C의 화살표(G)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되고, 가위 및 가위캠(46)은 각각의 기준위치에 다시 한번 맞춰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랙(71)과 기어(65,62,70) 사이의 기어 비도 맞추어져, 누름버튼(14)의 신호누름(행정)작동에 의해 가위캠(46)은 완전한 단일회전을 이루고, 회전날(52a)은 단일절단작동을 수행한다.
이후, 누름버튼(14)의 누름작동이 풀릴 때, 누름버튼(14)은 도 12C의 화살표(H)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57)의 탄성에 의해 상승한다. 따라서, 랙(71)도 또한 상승하고, 기어(65)는 회전한다. 기어(65)의 이런 회전은 인터비닝 수동 원-웨이클러치(64)에 의해 흡수되어 기어(62)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위캠(46)은 회전하지 않고, 그 결과 누름버튼(14)의 누름작동이 풀린 후일지라도 가위캠(46), 회전아암(52b) 및 회전날(52a)의 각각의 기준위치는 변하지 않은 채 유지된다.
작은 프린터에서, 사용된 전지의 출력은 프린트하는 동안 종종 떨어질 수 있다. 대개 전지출력이 떨어질 때, 대응하는 메세지가 나타나고 프린팅데이터의 작성/기억은 출력이 떨어지고 있는 전지로 인해 가능해진다. 그러나, 테잎절단과 같은 큰 부하의 작동이 수행될 때, 전력소모가 커서, 자동절단시스템이 사용되고 있고 프린팅작동이 낮은 전지출력으로 계속된다면 프린터는 멈추게 된다. 이 경우, 어떠한 콘센트도 이용할 수 없을 때 프린팅작동을 계속 할 수 없다. 이 경우라도 수동절단작동이 가능하다면,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다.
전술한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자동 및 수동 테잎절단작동을 수행하는 프린터가 예시되었지만, 누름버튼(14), 압축스프링(57), 랙(58), 랙핀(56), 가이드 그루우브(59), 및 기어(48)는 DC모터(37)의 도움으로 자동절단작동만을 수행할 수 있는 절단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DC모터(37), 워엄(38), 워엄기어(39), 소기어(40), 감속기어(41), 스퍼어기어 (43), 베벨기어(42,44), 및 원-웨이클러치(45)는 누름버튼(14)의 도움으로 수동절단작동만을 수행할 수 있는 절단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거될 수도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이제 막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및 수동 절단작동, 자동절단작동, 및 수동절단작동만을 위한 설비는 용이하게 제조된다. 다시 말해,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어하기 용이한 저렴한 프린터를 거쳐, 고등급으로 제조된 프린터까지 일원화될 때, 이들 품목을 설계 및 조립하는데 많은 공통적인 부품 또는 부분품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실시예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어, 수동절단작동의 경우 수동의 힘이 기어(48)를 거쳐 캠축(47) 및 가위캠(46)에 이 순서대로 전달되지만, 본 발명은 이 특별한 경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기어(48)는 가위캠(46)에 통합되어 수동의 힘이 가위캠(46)에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일실시예가 실행되어 수동의 힘은 기어(48), 캠축(47) 및 가위캠(46)을 거쳐 전달되지 않고 회전날(52a)에 직접 전달된다.
상기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서 단색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터에 대한 자동 및 수동 절단메커니즘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특별한 경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자동 및 수동 절단메커니즘은 전색(全色)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색 프린팅에서,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의 세가지 주요한 컬러잉크는 감하는 색 혼합을 위해 잉크리본(23)상의 세로의 연속한 영역에 이 순서대로 반복하여 도포된다. 문자가 프린트되는 세가지 주요한 컬러잉크중 옐로우잉크는 잉크리본의 프린팅위치에 우선 맞추어진 다음, 테잎(16)의 일부에 이 컬러로 문자가 프린트된다. 프린트된 테잎부(16-1)는 다음으로 되감긴다. 이 때문에, 테잎릴지지핀(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구동장치 시스템(미도시)과 맞물린다. 비슷하게, 다음 주요한 컬러인 마젠타는 프린팅위치에 맞추어지고, 테잎(16)의 프린트부 (16-1)에 이 컬러로 문자가 프린트된다. 프린트테잎부(16-1)는 다음으로 되감긴다. 마지막으로, 마지막 주요한 컬러인 시안은 프린팅위치에 맞추어지고, 테잎 (16)의 프린트부(16-1)에 이 컬러로 문자가 프린트된다. 주요한 컬러들이 중첩되어 프린트된 테잎부(16-1)는 테잎배출부(13)로부터 테잎절단기(12)를 거쳐 공급되고, 그래서 프린트부는 테잎절단기(12)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절단된다.
제1실시예에서 가이드 그루우브(59)가 프린터본체프레임(72)의 그루우브형성영역(72-1)에 형성되어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 특별한 경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59로 도시한 바와 같은 가이드 그루우브는 프린터본체의 하우징(2)에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자동 및 수동 절단작동의 어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테잎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프린팅매체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부재(cutter member);
    절단기 구동원(cutter drive source);
    상기 절단기부재를 작동하기 위하여 절단기 구동원으로부터 절단기부재에 구동력을 전동하기 위한 구동력전동수단; 및
    상기 절단기 구동원에 기초하여 절단기부재의 작동에 관계없이 절단기부재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메커니즘(manually operating mechanism)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전동수단은 수동작동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되는 절단기부재에 응하여, 절단기부재로부터 절단기 구동원에 역으로 전동된 역구동력을 흡수하기 위한 원-웨이연결수단(one-way connecting mea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같은 프린팅매체에 화상 또는 문자를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작동메커니즘은 수동으로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작동부재로부터 절단기부재에 수동력을 전동하기 위한 작동부재와 맞물려 있는 수동력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수동력전동부재를 거쳐 절단기부재로의 수동력 전동이 완료되었다는 것에 응하여, 수동력전동부재로부터 작동부재를 풀기 위한 연결차단수단(disengaging means)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단수단은 작동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핀 및
    핀이 안내되는 프린터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우브(groo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랙(rack)을 구비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수동력전동부재를 거쳐 절단기부재로 전동되는 수동력에 응하여, 절단기부재가 작동력을 수동력전동부재에 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력전동방출수단(operating-force transmission releasing means)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전동방출수단은 절단기부재로부터 수동력전동부재에 전동된 역구동력을 흡수하기 위한 수동 원-웨이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997001139A 1997-06-11 1998-06-10 프린터 KR100287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322397A JP3658636B2 (ja) 1997-06-11 1997-06-11 印字装置
JP9/153223 1997-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116A KR20000068116A (ko) 2000-11-25
KR100287995B1 true KR100287995B1 (ko) 2001-04-16

Family

ID=1555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139A KR100287995B1 (ko) 1997-06-11 1998-06-10 프린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30135A (ko)
EP (1) EP0929402B1 (ko)
JP (1) JP3658636B2 (ko)
KR (1) KR100287995B1 (ko)
CN (1) CN1088002C (ko)
DE (1) DE69813493T2 (ko)
MY (1) MY114061A (ko)
TW (1) TW364879B (ko)
WO (1) WO1998056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3645B1 (en) * 1998-02-06 2004-06-23 Casio Computer Co., Ltd. Label printing apparatus
JP2002327805A (ja) * 2001-05-01 2002-11-15 Sankyo Seiki Mfg Co Ltd 歯車付モータ
JP4075325B2 (ja) * 2001-05-25 2008-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のテープ切断機構
JP3966193B2 (ja) * 2003-03-10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3843959B2 (ja) * 2003-03-28 2006-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CN100355630C (zh) * 2005-04-19 2007-12-19 上海迈威包装机械有限公司 双剪刀剪切装置
US8932706B2 (en) * 2005-10-27 2015-01-13 Multi-Color Corporation Laminate with a heat-activatable expandable layer
JP4715612B2 (ja) * 2006-04-19 2011-07-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装置
JP4858832B2 (ja) * 2006-08-17 2012-01-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駆動切換え機構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GB0625815D0 (en) 2006-12-22 2007-02-07 Dymo Nv Printing apparatus
JP4924212B2 (ja) * 2007-06-04 2012-04-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処理装置
CN101480801B (zh) * 2008-01-07 2010-08-2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自动模式及手动模式的裁纸装置
US20090214837A1 (en) * 2008-02-21 2009-08-27 Multi-Color Corporation Insulating Label
JP5163405B2 (ja) * 2008-09-30 2013-03-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字装置
KR100912461B1 (ko) * 2009-03-18 2009-08-14 주식회사 빅솔론 미니 프린터용 오토커터
CN102189830B (zh) * 2010-03-19 2013-03-27 深圳市博思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携式打印机及手动切纸刀
US20120024121A1 (en) * 2010-07-30 2012-02-02 Kim Balahan Adjustable print media cutter system and method
JP5669535B2 (ja) * 2010-11-29 2015-02-12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切り抜き加工装置
CN102616013B (zh) * 2011-01-28 2014-12-03 深圳市精英创展投资有限公司 具有切刀的一体式机芯结构
CN102205741B (zh) * 2011-03-21 2012-06-13 新会江裕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微型打印机的切纸结构
US9944037B2 (en) * 2011-05-12 2018-04-17 Pouch Pac Innovations, Llc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separating a plurality of pouches, transferring the pouches and method of same
JP2013158972A (ja) * 2012-02-02 2013-08-19 Seiko Epson Corp テープ印刷装置、及び、テープ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293439B2 (ja) * 2013-08-28 2018-03-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US9566805B2 (en) * 2015-03-31 2017-02-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utting device
US11565539B2 (en) 2018-04-30 2023-01-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printer cutters
DE102020124005A1 (de) 2020-09-15 2022-03-17 Holger Kluge Ablängvorrichtung zur Ablängung eines Streifenmaterials
JP2023108172A (ja) 2022-01-25 2023-08-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0068A (en) * 1973-07-31 1974-11-26 Ncr Co Record material cutting mechanism
US4398441A (en) * 1979-11-01 1983-08-16 Interface Mechanisms Label cutter for impact printers
JPS583890A (ja) * 1981-06-29 1983-01-10 Seiko Epson Corp 印刷機の記録紙切断装置
US4544293A (en) * 1984-06-11 1985-10-01 Eaton Corporation Printer apparatus and cutting mechanism
JPH06155385A (ja) * 1992-11-19 1994-06-03 Casio Comput Co Ltd 切断装置
JP3533779B2 (ja) * 1995-10-04 2004-05-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ラー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036A (ja) 1999-01-06
DE69813493D1 (de) 2003-05-22
EP0929402A1 (en) 1999-07-21
CN1229379A (zh) 1999-09-22
WO1998056547A1 (en) 1998-12-17
JP3658636B2 (ja) 2005-06-08
CN1088002C (zh) 2002-07-24
US6030135A (en) 2000-02-29
KR20000068116A (ko) 2000-11-25
EP0929402B1 (en) 2003-04-16
TW364879B (en) 1999-07-21
MY114061A (en) 2002-07-31
DE69813493T2 (de)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995B1 (ko) 프린터
EP1863648B1 (en) Hand-held thermal transfer printer for labeling
JP3815266B2 (ja) 印字装置
US6007263A (en) Device for parallel justification of print head relative to the platen
US20080085142A1 (en) Hand-held thermal transfer printer for labeling
US20050220522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program
EP2106917A1 (en) Tape printing apparatus
JP3943412B2 (ja) テーププリンタのテープ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プリンタ
JP2001047679A (ja) テープ印刷装置
JPH115338A (ja) 印字装置
KR102049914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시스템
JP3713904B2 (ja) 印字装置
JPH111035A (ja) 印字装置
JP3714203B2 (ja) 印字装置
JP3991636B2 (ja) 印刷システム
JPH1110971A (ja) 印字装置
JP4218228B2 (ja) 手動プリンタ
JPH06122245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ライタ
JPH06155385A (ja) 切断装置
JP3481826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407140B2 (ja) テープ巻取装置
JP2003001886A (ja) 手動プリンタ
JPH079642Y2 (ja) 小型印字装置
JP2018199335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0037938A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