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476B1 - 고주파기기의시일드케이스 - Google Patents

고주파기기의시일드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476B1
KR100286476B1 KR1019970037457A KR19970037457A KR100286476B1 KR 100286476 B1 KR100286476 B1 KR 100286476B1 KR 1019970037457 A KR1019970037457 A KR 1019970037457A KR 19970037457 A KR19970037457 A KR 19970037457A KR 100286476 B1 KR100286476 B1 KR 10028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ol
partition plate
cover
frame
p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409A (ko
Inventor
히로토 기누야마
다다아키 오니시
나오토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1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6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applications, e.g. CATV, tuner, antennas amplifi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막이판을 프린트 기판에 접속하는 땜납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커버와 간막이판을 안정되게 접촉시킬 수 있는 시일드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커버(10)에 복수의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형성하고, 각각의 하부포올(12)을 각각의 상부포올(11)보다 아래쪽위치에서 원추면(13)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돌출시킴으로써, 각각의 하부포올(12)의 가장자리부를 인접하는 상부포올(11)의 가장자리부와 오버랩시킨다. 그리고, 미리 프린트 기판(1)과 프레임체(2) 및 간막이판(3)을 일체화한 후, 상기 상부커버(10)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우고, 간막이판(3)의 상단의 돌출부(3a)를 각각의 하부포올(12)의 자유끝단에 맞닿게 접촉시킨다. 그 결과, 각각의 하부포올(12)이 돌출부(3a)에 의해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서, 인접하는 상부포올(11)의 가장자리부 아랫면에 맞닿기 때문에, 간막이판(3)이 각각의 하부포올(12)을 개재하여 상부커버(10)에 어스 접속된다.

Description

고주파 기기의 시일드 케이스{SHIELD CASE FOR HIGH FREQUENCY DEVICE}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용 튜너 등과 같이 고주파 회로를 이용하는 고주파 기기의 시일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체쪽에 설치된 간막이판과 프레임체의 개구면에 피착되는 커버와의 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부발진 회로를 사용하는 고주파 기기의 시일드 케이스에서는, 회로특성을 얻는 것과 동시에 타회로에의 국부발신 신호(OSC 신호)의 누출 등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체의 내부를 복수의 간막이판으로 분할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개구면을 커버로 덮음으로써 전기적으로 차폐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시일드 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 중 1은 도시하지 않은 국부발진 회로나 다른 회로부품이 실장된 프린트 기판, 2는 상기 프린트 기판(1)을 수납하는 프레임체, 3은 프레임체(2)의 내부를 복수의 룸으로 간막이하는 간막이판, 4는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을 덮는 상부커버, 5는 프레임체(2)의 하부개구면을 덮는 하부커버, 6은 프린트 기판(1)과 간막이판(3)을 접속하는 땜납이다. 상기 상부커버(4)에는 4개의 포올부재(7)가 형성되어 있고, 각 포올부재(7)는 중앙의 구멍(8)과 십자형의 슬릿(9)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시일드 케이스에서는, 상부커버(4)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우고, 간막이판(3)의 상단의 돌출부(3a)를 구멍(8)내에 끼우면, 각 포올부재(7)가 돌출부(3a)에 압접하여 위쪽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간막이판(3)이 각 포올부재(7)를 개재하여 상부커버(4)에 어스접속되고, 국부발진 회로로부터 발해지는 국부발신 신호가 간막이판(3) 및 상부커버(4)를 개재하여 프레임체(2)로 흐르므로 다른 회로에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일드 케이스는, 상부커버(4)의 구멍(8)내에 간막이판(3)의 돌출부(3a)를 끼움으로써, 구멍(8)의 주위에 형성한 복수의 포올부재(7)를 간막이판(3)의 둘레면에 압접시키는 어스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국 실개 소 59-81088호 공보 등에 개시된 시일드 케이스와 같이, 상부커버에 잘라 세워 형성된 캔티레버상의 포올부재를 간막이판의 상단에 탄성접촉시키는 어스 구조에 비하면, 포올부재의 주위에 절결되는 간극이 적어지고, 그 만큼 차폐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상부커버(4)의 구멍(8)내에 간막이판(3)의 돌출부(3a)를 끼울 때에, 간막이판(3)의 표면에 부착된 프랙스가 각 포올부재(7)에 의해 깎여 떨어지기 때문에, 간막이판(3)과 상부커버(4)와의 도통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상부커버(4)에 형성된 각 포올부재(7)의 중앙에 간막이판(3)의 돌출부(3a)를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구멍(8)과 돌출부(3a)의 상대위치가 약간만 어긋나더라도, 구멍(8)내에 돌출부(3a)를 끼우는 작업이 곤란해질 뿐 아니라, 상부커버(4)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운 후에, 무리하게 변형된 포올부재(7)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간막이판(3)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고, 이 굽힘 응력에 기인하여 땜납(6)에 크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은 문제는 비교적 변형되기 어려운 포올부재(7)를 사용한 경우에 발생하기 때문에, 각 포올부재 (7)의 폭치수를 좁게 하거나, 상부커버(4)의 판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각 포올부재 (7)를 변형하기 쉽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경우 상부커버(4)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운 후에, 상부커버(4)나 프레임체(2)에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지면 각 포올부재(7)가 변형하여 간막이판(3)으로부터 이반되어, 간막이판(3)과 상부커버(4)와의 도통이 확보되지 않게 된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고주파 기기의 시일드 케이스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시일드 케이스에 구비되는 커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상기 커버의 가공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종래예에 관한 시일드 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린트 기판 2: 프레임체
3: 간막이판 3a: 돌출부
6: 땜납 10: 상부커버
11: 상부포올 12: 하부포올
13: 원추면 14: 오목부
15: 구멍
본 발명은, 프레임체의 개구면에 피착되는 커버에, 서로 면내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하부포올과 상부포올을 형성하고, 프레임체의 내부를 복수로 분할하는 간막이판의 끝단부를 상기 하부포올의 선단에 끼움으로써, 상기 하부포올을 상기 상부포올의 아랫면에 맞닿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포올과 상부포올을 가지는 2단 구조를 채용하면, 커버를 프레임체에 피착할 때에 양자의 상대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이 어긋남은 변형되기 쉬운 하부포올이 간막이판의 끝단부에 추종함으로써 흡수되기 때문에, 간막이판을 프린트 기판에 접속하는 땜납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버를 프레임체에 피착한 후에는, 하부포올의 변형이 상부포올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커버와 간막이판과의 접촉상태를 현저히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기기의 시일드 케이스에서는, 국부발진 회로나 다른 회로부품이 실장된 프린트 기판과, 이 프린트 기판을 수납하고 내부가 간막이판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프레임체와, 이 프레임체의 개구면을 덮음으로써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서로 면내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하부포올과 상부포올을 형성하고, 상기 간막이판의 끝단부를 상기 하부포올의 선단에 끼움으로써 상기 하부포올을 상기 상부포올의 아랫면에 맞닿게 하였다.
상기 하부포올과 상기 상부포올은 면내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은데, 이들 하부포올과 상부포올을 각각 부채형상으로 형성하면 상부포올을 지름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 만으로 양자를 간단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어, 커버를 가공하기 위한 금형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포올과 상기 상부포올은 동일형상이어도 좋은데, 상부포올을 하부포올보다 폭이 넓게 형성하면, 그 만큼 상부포올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부포올에 의한 하부포올의 변형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고주파 기기의 시일드 케이스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시일드 케이스에 구비되는 커버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상기 커버의 가공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이들 도면 중 상술한 도 6과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동등한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시일드 케이스가 상술한 도 6, 7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상위한 점은, 상부커버(10)에 서로 면내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복수의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형성하고, 상부커버(10)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웠을 때에, 간막이판(3)의 상단의 돌출부(3a)를 각각의 하부포올(12)의 선단에 끼워 돌출시킴으로써, 하부포올(12)을 상부포올(11)의 아랫면에 맞닿게 하는 데에 있고, 그 나머지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등하다.
상기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은 부채형상을 이루고, 이들은 상기 상부커버(10)에 형성된 원추면(13)내에 둘레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부포올(11)은 각각의 하부포올(12)보다 훨씬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10)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우기 전의 상태에서, 하부포올(12)은 상부포올(11)보다 아래쪽위치에서 원추면(13)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하부포올(12)의 측면부는 인접하는 상부포올(11)의 측면부와 오버랩하고 있다. 이러한 오버랩 형상을 가공할 때에는, 먼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10)의 판면에 역원추대 형상의 오목부(14)를 드로틀 가공하는 동시에, 오목부(14)의 바닥중앙에 구멍(15)(직경 d1)을 형성한다.이어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여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분리하기 위한 슬릿을 오목부(14)의 경사면으로부터 바닥면에 걸쳐 형성하는 동시에, 각 상부포올(11)을 상부커버(10)의 판면방향을 향해 되돌려 푸시한다. 그 결과, 각 상부포올(11)이 구멍(15)의 중심을 향해 직경방향으로 약간량 변위하기 때문에 대향하는 하부포올(12)의 선단거리는 d1인데, 대향하는 상부포올(11)의 선단거리는 d2로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하부포올(12)의 측면부가 인접하는 상부포올(11)의 측면부와 오버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주파 기기의 시일드 케이스를 조립할 때에는, 미리 프린트 기판(1)과 프레임체(2) 및 간막이판(3)을 일체화한 후, 상부커버(10)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우고,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막이판(3)의 상단의 돌출부(3a)를 각 하부포올(12)의 선단사이에 끼운다. 그러면, 각 하부포올 (12)이 돌출부(3a)에 의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고, 인접하는 상부포올(11)의 아랫면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간막이판(3)이 각 하부포올(12)을 개재하여 상부커버(10)에 어스 접속되고, 국부발진 회로로부터 발해지는 국부발신 신호가 간막이판(3) 및 상부커버(10)를 개재하여 프레임체(2)를 흐르므로 다른 회로에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상부커버(10)와 프레임체(2)의 상대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간막이판(3)의 돌출부(3a)는 각 상부포올(11)과 비접촉으로 변형되기 쉬운 각 하부포올(12)에만 접촉하기 때문에, 이러한 어긋남은 각 하부포올(12)이 간막이판(3)에 추종하여 변형함으로써 흡수된다. 따라서, 각 하부포올(12)로부터 간막이판(3)에 무리한 굽힘 응력은 작용하지 않아, 땜납(6)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부커버(10)를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씌운 후에, 상부커버(10)나 프레임체(2)에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져도, 각 하부포올(12)은 인접하는 상부포올(11)의 아랫면에 맞닿아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 하부포올(12)은 간막이판(3)의 돌출부(3a)로부터 이반하지 않고, 간막이판(3)과 상부커버 (10)와의 도통은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체(2)의 상부 개구면에 피착되는 상부커버(10)에 복수의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형성하고, 이들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서로 면내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2단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상부커버(10)를 프레임체(2)에 피착할 때에 양자의 상대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이 어긋남은 변형되기 쉬운 하부포올(12)이 간막이판(3)의 끝단부(3a)에 추종함으로써 흡수되고, 간막이판(3)에 무리한 굽힘응력이 작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땜납(6)의 크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부커버(10)를 프레임체(2)에 피착한 후에는, 하부포올(12)의 변형이 상부포올(11)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상부커버(10)와 간막이판(3)과의 접촉상태를 현저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각각 부채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원추면(13)을 베이스부로 하여 구멍(15)의 직경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하였기 때문에, 상부커버(10)에 상부포올(11)과 하부포올(12)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양자를 오버랩시킬 수 있고, 상부커버(10)를 가공하기 위한 금형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포올(11)을 하부포올(12)보다 폭이 넓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 만큼 하부포올(12)이 변형되기 쉬워질 뿐 아니라, 상부포올(11)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고, 상부포올(11)에 의한 하부포올(12)의 변형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회로 부품이 실장된 프린트 기판과, 이 프린트 기판을 수납하고, 내부가 간막이판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프레임체와, 이 프레임체의 개구면을 덮음으로써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서로 면내 방향으로 오버랩하는 하부포올과 상부포올을 형성하고, 상기 간막이판의 끝단부를 상기 하부포올의 선단에 끼움으로써, 상기 하부포올을 상기 상부포올의 아랫면에 맞닿게 하면 커버를 프레임체에 피착할 때에 양자의 상대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간막이판을 프린트 기판에 접속하는 땜납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를 프레임체에 피착한 후에는 하부포올의 변형이 상부포올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커버와 간막이판과의 접촉상태를 현저히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하부포올과 상기 상부포올을 각각 부채 형상으로 형성하면, 하부포올과 상부포올 중 어느 한쪽을 직경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 만으로, 양자를 간단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어, 커버를 가공하기 위한 금형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포올을 상기 하부포올보다 폭이 넓게 형성하면, 그 만큼 상부포올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부포올에 의한 하부포올의 변형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회로부품이 실장된 프린트기판(1)을 수납하며 그 내부가 상단부에 돌출부 (3a)를 설치한 간막이판(3)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되는 프레임체(2)와, 상기 프레임체(2)의 개구면을 덮어 프레임체의 내부를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금속제의 커버 (10)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10)에는 복수개의 하부포올(12)과 상부포올(11)이 형성되고, 하부포올(12)과 상부포올(11)은 각각의 자유끝단이 한 점을 향하여 원형상으로 번갈아 배치되고, 인접한 하부포올(12)과 상부포올(11)의 가장자리부끼리가 상하방향으로 겹쳐져 있고, 각각의 하부포올(12)의 자유끝단이 상기 간막이판(3)의 상단부에 설치한 돌출부(3a)와 압접하고 또한 밀어올려져서, 하부포올(12)의 가장자리부 윗면이 그 하부포올(12)에 인접한 상부포올(11)의 가장자리부 아랫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기기의 시일드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포올과 상기 상부포올은 각각 베이스부의 폭이 자유끝단의 폭보다 넓은 부채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기기의 시일드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포올의 베이스부의 폭이 상기 하부포올의 베이스부의 폭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기기의 시일드 케이스.
KR1019970037457A 1996-08-07 1997-08-06 고주파기기의시일드케이스 KR100286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40596A JP3264835B2 (ja) 1996-08-07 1996-08-07 高周波機器のシールドケース
JP8-208405 1996-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409A KR19980018409A (ko) 1998-06-05
KR100286476B1 true KR100286476B1 (ko) 2001-05-02

Family

ID=1655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457A KR100286476B1 (ko) 1996-08-07 1997-08-06 고주파기기의시일드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264835B2 (ko)
KR (1) KR100286476B1 (ko)
CN (1) CN1085932C (ko)
GB (1) GB2316236B (ko)
MY (1) MY1233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25C (zh) 1999-04-02 2004-09-22 基础株式会社 造水装置
KR100457456B1 (ko) * 2000-10-13 2004-11-17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이엠아이 차폐 구조체
JP2002368360A (ja) * 2001-06-12 2002-12-20 Nec Corp 保護カバーを設けた回路基板
JP4882839B2 (ja) * 2007-04-05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ケース体及びケース体を備えた受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2198A (ja) * 1991-03-28 1992-10-26 Kyocera Corp シールド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2000B (en) * 1987-10-31 1992-02-12 Marconi Instruments Ltd Screening assembly
ATE97293T1 (de) * 1990-05-16 1993-11-15 Siemens Ag Verfahren zur kontaktierung von schirmblech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2198A (ja) * 1991-03-28 1992-10-26 Kyocera Corp シールド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15729D0 (en) 1997-10-01
KR19980018409A (ko) 1998-06-05
JP3264835B2 (ja) 2002-03-11
JPH1056282A (ja) 1998-02-24
MY123350A (en) 2006-05-31
CN1085932C (zh) 2002-05-29
GB2316236A (en) 1998-02-18
CN1173109A (zh) 1998-02-11
GB2316236B (en) 200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7044A (en) Casing for electronic devices
JPH0818265A (ja) プリント回路基板上での電磁波等のシ−ルド方法 及びその為のシ−ルドカバ−
US4833276A (en) Shield structure of electronic equipment
KR100286476B1 (ko) 고주파기기의시일드케이스
US20050237727A1 (en) Radio frequency shield covers
KR100777573B1 (ko) 실드 케이스
KR100586902B1 (ko) 전자회로 유닛
KR100329992B1 (ko) 절연용 리브가 구비된 음극선관 수용 소켓 및 이를 구비한모니터
JPH11307978A (ja) 電子機器
JPH05275868A (ja) 電気装置用筐体
JPH0423357Y2 (ko)
US7940339B2 (en) Television and structure for fixing earphone plug socket
JPH0711520Y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固定構造
JPH09307258A (ja) 高周波機器のシールドケース
KR19980065062U (ko) 고주파기기의 시일드케이스 및 그 설치구조
JP2000244169A (ja) 電子機器用筐体
JPS5950599A (ja) シ−ルドケ−ス
JPH018015Y2 (ko)
JPH0555596U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シールドケースのリード形状
JP4337697B2 (ja) 端子板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026545A (ja) ガイドレール構造
JPH1126973A (ja) 電子機器
JPH1117376A (ja) シールドケース
JPH11298181A (ja) 電子機器
KR20050006448A (ko) 튜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