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795B1 -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795B1
KR100283795B1 KR1019980059868A KR19980059868A KR100283795B1 KR 100283795 B1 KR100283795 B1 KR 100283795B1 KR 1019980059868 A KR1019980059868 A KR 1019980059868A KR 19980059868 A KR19980059868 A KR 19980059868A KR 100283795 B1 KR100283795 B1 KR 100283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tea extract
emulsifier
parts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3482A (ko
Inventor
김재훈
김정한
강우석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이상윤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1998005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795B1/ko
Priority to CNB99109543XA priority patent/CN1167769C/zh
Priority to JP20147699A priority patent/JP4165678B2/ja
Publication of KR2000004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6Preservation of finish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L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with singly-bou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 C11B5/0085Substances of natural origin of unknown constitution, f.i.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 폴리 페놀의 함량이 80 wt% 이상인 녹차 추출물 분말을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글리세롤에 용해시키는 단계; (나) 용해된 녹차 추출물에, HLB 값이 각각 3.5 ~ 4.0, 3.0∼3.5, 2 이하인 유화제들을 순차적으로 가하면서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격적으로 토코페롤에 비해서 우수한 경쟁력을 가지면서 항산화력은 월등히 우수한 녹차 추출물을 원료로한 유용성 천연 항산화제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녹차의 생리적 기능성을 포함하는 유용성 천연 항산화제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녹차 추출물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킨 후, HLB 값이 다른 유화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HA(butylated hydroxyanisol), BHT(butylated hydroxytoluene), TBHQ(tertiary butylhydroquinone) 등을 포함하는 합성 항산화제들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지만, 안전성에 대한 시비와 소비자들의 천연물 선호 경향으로 특히 국내에서의 사용이 상당히 미미하다.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토코페롤이나 로즈마리 엑기스 등은 합성 항산화제에 비하여 고가이고 항산화력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원료에 따른 항산화력의 편차가 심한 편이고, 특유의 강한 향 때문에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녹차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카테킨(catechin)류들은 그들의 분자 구조에 페놀기를 여러개 가지고 있는데, 이는 식용유지에서 항산화력을 나타낼 수 있는 기본 구조이다. 녹차는 에피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칼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등의 주요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데(Antony, J.I.X. and Shankaranaryana, M. L. : Polyphenols of Green Tea, IFI No. 5, 47, 1997), 이들은 모두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 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특허로는 주로 고순도의 녹차 추출물의 제조와 추출 용매의 선택성을 이용하여, 폴리페놀 함량은 높이면서 카페인 함량은 줄이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천연 항산화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토코페롤은 식물성 유지에서는 그 첨가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일정 첨가 농도 이상에서는 오히려 산화촉진제로 작용하는 등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녹차 추출물 중에는 상기와 같이 우수한 항산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수용성이므로, 이를 유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혼탁해지고 불균일하게 분포하므로, 일관된 항산화 효과 발현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 추출물에 유용성을 부여하여, 가격적으로도 토코페롤에 비해서 우수한 경쟁력을 가지면서 항산화력은 월등히 우수한 녹차 추출물을 원료로한 유용성 천연 항산화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가) 폴리 페놀의 함량이 80 wt% 이상인 녹차 추출물 분말을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글리세롤에 용해시키는 단계;
(나) 용해된 녹차 추출물에, HLB 값이 각각 3.5 ~ 4.0, 3.0∼3.5, 2 이하인 유화제들을 순차적으로 가하면서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 (원료 준비단계)
녹차잎으로부터 유효 성분의 추출은 물이나 에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차잎에 부피비로 3∼5배의 용매를 가하고, 상온∼50℃정도로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추출액은 여과한 후 원심 분리를 통하여 잔사를 완전히 제거한 후 감압 농축기에서 수분함량 15∼30%까지 농축한 후 진공 건조기 또는 분무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말로 만든다. 녹차 추출물의 순도를 나타내는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분말 중의 80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페놀 함량이 80 wt%보다 낮은 경우에는 폴리페놀 성분 이외의 다른 부성분들의 영향으로 유화과정이 매우 복잡해지며, 유화액의 안정성도 떨어질 뿐아니라, 최종 유화액에 첨가되는 폴리페놀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충분한 항산화효과를 얻을 수 없다.
제 2 단계 (용해단계)
이상과 같이 분말로 제조된 녹차 추출물은 수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이를 유지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유용성 항산화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화과정을 거쳐 상을 변화시켜야 하며, 유화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분말로 제조된 녹차추출물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켜야 한다.
용매로는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가진 용매가 안정된 유화액을 만드는 데 효과적이므로,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글리세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녹차 추출물의 용해 농도는 최종 유화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5 ~ 50%(w/w)까지 용해시킨다. 50% 이상의 농도에서는 점도가 급상승하기 때문에 용해시키기 어려우며, 5% 이하의 농도에서는 항산화력을 발휘하지 않는다. 분말화시킨 녹차 추출물의 가사 비중이 작기 때문에 서서히 용해시켜야 하며 이때 용해 온도는 50 ~ 60℃가 적당하다.
제 3 단계 (유화단계)
유화시 2가지 이상의 유화제를 혼합 사용하면 유화제의 지방산기가 계면에서 분자간 인력에 의해서 회합되기 때문에 안정한 유화액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녹차 추출물의 안정한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HLB 값이 각각 3.5 ~ 4.0, 3.0∼3.5, 2 이하인 유화제들을 순차적으로 가하면서 다단 유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1차 유화
용해가 완료된 액상의 녹차 추출물에 HLB 값이 3.5 ~ 4.0 정도인 유화제, 예를들어, 올레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에스테르와 같은 글리세린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하여 교반한다. 수용성 성분을 유화시키기 위해서는 단계적으로 수용성 성분을 유용화시켜야 하는 데 HLB가가 더 낮은 유화제를 바로 사용할 경우 유화액의 안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HLB가 높은 단계에서 낮은 단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제는 녹차 추출물 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150 중량부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제 양이 녹차 추출물이 녹아있는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글리세롤보다 작을 경우 소정의 유화효과가 달성되지 못하고, 너무 높은 경우에는 유화에는 문제가 없지만 녹차추출물이 희석되어 원하는 항산화력을 얻지 못하게 된다. 교반 유화시 온도는 75℃를 넘지 않도록 하고 20분 이상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2차 유화
2차 유화에는 1차 유화에 사용한 유화제보다 HLB 값이 조금 더 낮은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HLB 값이 3.0∼3.5인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글리세린 모노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HLB가를 상기 범위로 맞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차 유화제는 고체 상태의 유화제이므로, 과량이 첨가될 경우 안정된 유화액에서 서서히 분리되어 결정으로 석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2차 유화제는 녹차 추출물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유화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킨다.
3) 3차 유화
2차 유화가 완료된 유화액에 HLB 값이 2 이하인 3차 유화제를 가하여 서서히 첨가하면서 고속 교반하여 유화과정을 완료한다. 3차 유화의 조건은 1차, 2차 유화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3차 유화제로는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폴리글리세린 축합리시놀레인산 에스테르), HLB가를 상기 범위로 맞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녹차 추출물 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0 ~ 20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는 고 점조성의 액체로 친유성이 강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W/O 유화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유화 단계 진행에 따라 HLB 값이 낮은 유화제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유지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는 안정한 W/O 형태의 에멀전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에멀젼은 당초 녹차 추출물 원료가 가지고 있던 항산화성분을 유효하게 함유하므로, 유지, 정유(essential oil) 등 유성 재료의 항산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녹차 추출물 제조 단계
분쇄한 녹차[주식회사태평양, 설록차(만수)] 100g을 95v/v% 에탄올 400ml에 용해시키고, 50±5℃에서 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진공건조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 9g(폴리페놀함량 88.6%)를 얻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물, 또는 물과 95v/v% 에탄올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하여 녹차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시험)
폴리페놀 함량은 녹차 추출물 시료 분말 0.1g을 증류수에 녹여 100ml로 맞추고, 이 액 1ml를 25ml 부피 플라스크로 옮겨, 여기에 4ml의 증류수와 5ml의 주석산철시액(황산제일철 7수화물 0.1g과 주석산칼륨나트륨 0.5g을 증류수에 녹여 100ml로 만든 용액)을 가하고 인산염 완충용액(pH 7.5)으로 25ml로 맞춘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40nm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결정하였다.
차 폴리페놀 % = ( A × 3.0 × 100 / M × (1-W) × 1000 ) × 100
3.0 : 차 폴리페놀의 흡광계수 (mg/25ml)
A : 흡광도
M : 시료 중량(g)
W : 시료의 수분함량(%)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항산화력 시험)
녹차 추출 분말의 항산화력을 대두유를 기질로 하여 OSI(Oxidative Stability Instrum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두유에 녹차 추출 분말을 200ppm 농도로 첨가하여 시료 유지를 준비하였다. 시료 유지 5g을 시험관에 넣고 100℃로 유지되는 가열 블록에서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5.0±0.5psi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휘발성 산화 생성물들을 50ml의 증류수에 포집하여 추출물 첨가 유무의 증류수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유도기간을 산출한 후 그 비율을 항산화지수(AI:antioxidative Index)로 표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
추출용매 (wt%) 폴리페놀함량 (wt%) AI
물 100% 92.4% 1.66
물 50% + 에탄올 50% 89.7% 1.63
에탄올 100% 88.6% 1.60
*에탄올은 95v/v%
표 1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용매로 물,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5:5 v/v)을 사용한 경우 얻어진 녹차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지수에 큰 차이가 없어, 모두 본 발명의 유용성 항산화제 제조에 사용할 수 있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른 고형분 함량 측정)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고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용매 추출온도 추출시간 고형분 함량(%)
에탄올(95v/v%) 40℃ 2시간 3.84
4시간 3.92
8시간 4.10
50℃ 2시간 3.91
4시간 4.11
8시간 4.14
60℃ 2시간 3.94
4시간 4.12
8시간 4.14
추출 온도와 시간은 50℃ 이상과 4시간 이상의 조건에서 추출한 경우와 40℃에서 2시간 추출한 경우의 추출 수율(추출액의 고형분 함량 비율)이 0.3%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50℃ 이하 4시간 이하면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 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용해 및 유화단계
전 단계에서 얻어진 녹차 추출 분말 40g을 60g의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시켜 용액화하고, 용액 100g 에 대해 107g의 글리세린 모노올레산 에스테르를 가하여 70℃에서 20분간 호모믹서(Polytron PT 3000, Switzerland)을 사용하여 7,000-10,0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충분히 유화시킨 후 다시 이 혼합 유화액에 3g의 글리세린 모노 스테아르산 에스테르를 추가로 첨가하고, 동일 조건하에서 10분간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다시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 115g을 첨가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10분간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에멀젼에서의 녹차 추출물 함량은 12.3 wt%이었다.
이 유화액의 대두유와 팜유에 대한 항산화력을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와 표 4에 나타내었다.
녹차 추출물 유화액의 대두유에 대한 농도별 항산화 효과
농도(ppm) 0 200 400 600 800 1000
녹차추출물 유화액 AI 1.00 1.28 1.60 1.72 1.97 2.02
OSI 시간 (100℃) 16.2 20.75 25.9 27.85 31.9 32.65
토코페롤 AI 1.00 1.10 1.12 1.25 1.24 1.21
OSI 시간 (100℃) 16.2 17.8 18.1 20.3 20.1 19.6
토코페롤 : E-Mix 60(Eisai 社, 일본)
녹차 추출물 유화액의 팜유에 대한 농도별 항산화 효과
농도(ppm) 0 200 400 600 800 1000
녹차추출물 유화액 AI 1.00 1.33 1.42 1.58 1.69 1.81
OSI 시간 (100℃) 12.8 17.0 18.2 20.2 21.6 23.2
토코페롤 AI 1.00 1.15 1.16 1.17 1.18 1.17
OSI 시간 (100℃) 12.8 14.7 14.8 15.0 15.1 15.0
토코페롤 : E-Mix 60(Eisai 社, 일본)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녹차 추출 분말 30g을 60g의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 80g 에 대해 115g의 글리세린 모노 올레산 에스테르를 가하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7,000-9,000rpm으로 65℃에서 20분간 충분히 유화시킨 후, 다시 이 혼합 유화액에 2g의 글리세린 모노 스테아르산 에스테르를 추가로 첨가하고 동일 조건에서 20분간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되면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를 150g을 첨가하고 동일 조건에서 20분간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에멀젼에서의 녹차 추출물 함량은 7.6 wt%이었으며, 이 유화액의 항산화력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녹차 추출물 유화액의 대두유에 대한 농도별 항산화 효과
농도 (ppm) 0 200 400 600 800 1000
녹차 추출물 유화액 AI 1.00 1.20 1.48 1.53 1.65 1.87
OSI 시간 (100℃) 16.2 19.4 24.0 24.8 26.7 30.3
토코페롤 AI 1.00 1.10 1.12 1.25 1.24 1.21
OSI 시간 (100℃) 16.2 17.8 18.1 20.3 20.1 19.6
토코페롤 : E-Mix 60(Eisai 社, 일본)
본 발명에 의하면, 가격적으로 토코페롤에 비해서 우수한 경쟁력을 가지면서 항산화력은 월등히 우수한 녹차 추출물을 원료로한 유용성 천연 항산화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가) 폴리 페놀의 함량이 80 wt% 이상인 녹차 추출물 분말을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글리세롤에 용해시키는 단계;
    (나) 용해된 녹차 추출물에, HLB 값이 각각 3.5 ~ 4.0, 3.0∼3.5, 2 이하인 유화제들을 순차적으로 가하면서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에서, 프로필렌글리콜이나 글리세롤 100중량부에 상기 녹차 분말 30 내지 50 중량부를 가해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사용되는 HLB 값이 3.5 ~ 4.0인 유화제가 글리세린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사용되는 HLB 값이 3.5 ~ 4.0인 유화제가 상기 (나) 단계에서 얻어진 녹차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 150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사용되는 HLB 값이 3.0∼3.5인 유화제가 글리세린 모노 스테아르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사용되는 HLB 값이 3.0∼3.5인 유화제가 상기 (나) 단계에서 얻어진 녹차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 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사용되는 HLB 값이 2 이하인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 사용되는 HLB 값이 2 이하인 유화제가 상기 (나) 단계에서 얻어진 녹차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0 ~ 200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8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용성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유지.
KR1019980059868A 1998-12-29 1998-12-29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KR10028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868A KR100283795B1 (ko) 1998-12-29 1998-12-29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CNB99109543XA CN1167769C (zh) 1998-12-29 1999-07-07 利用绿茶提取物制造油溶性抗氧化剂的方法
JP20147699A JP4165678B2 (ja) 1998-12-29 1999-07-15 緑茶抽出物を用いた油溶性抗酸化剤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868A KR100283795B1 (ko) 1998-12-29 1998-12-29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482A KR20000043482A (ko) 2000-07-15
KR100283795B1 true KR100283795B1 (ko) 2001-03-02

Family

ID=1956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868A KR100283795B1 (ko) 1998-12-29 1998-12-29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65678B2 (ko)
KR (1) KR100283795B1 (ko)
CN (1) CN116776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667A (ko)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다인소재 조미김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혼합제제 및 이를 이용한 조미김용 식용유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387A (ja) * 2000-12-27 2002-07-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油脂の安定化方法
DE60320527T2 (de) 2002-02-05 2009-06-10 Kao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ünteepolyphenol
WO2003084556A1 (fr) 2002-04-04 2003-10-16 Kaneka Corporation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ition lipidique contenant des composants hydrophobes de glycyrrhiza
KR20040040890A (ko) * 2002-11-08 2004-05-13 (주)바이오뉴트리젠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US7232585B2 (en) * 2004-06-24 2007-06-19 Xel Herbaceuticals, Inc. Green tea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JP5086634B2 (ja) * 2006-12-28 2012-11-28 三井農林株式会社 カテキン類が添加された油脂の着色抑制方法
CN102885167A (zh) * 2011-07-21 2013-01-23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油溶性中药大黄抗氧化制品的制备方法
CN103250695B (zh) * 2013-05-24 2014-06-25 广东省农业科学院水稻研究所 天然植物提取物水稻种子胚活力保持剂及制备方法和应用
CN103283346B (zh) * 2013-05-24 2014-10-29 广东省农业科学院水稻研究所 藤茶提取物作为水稻劣变种子引发增强剂的应用
CN104911027A (zh) * 2015-06-19 2015-09-16 江苏复生生物科技有限公司 用天然抗氧剂提高食用植物油或鱼油抗氧化性能的方法
KR101843423B1 (ko) * 2015-07-27 2018-05-14 씨제이제일제당(주) 유지의 항산화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식용유 및 상기 식용유의 제조 방법
CN113574155A (zh) 2019-03-13 2021-10-29 不二制油集团控股株式会社 油脂组合物
KR20220053573A (ko) 2019-09-02 2022-04-29 후지세유 그룹 혼샤 가부시키가이샤 유지 조성물
KR102379302B1 (ko) * 2019-09-18 2022-03-29 주식회사 사조대림 고온 튀김용 유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34093B1 (ko) * 2020-07-20 2023-05-18 한국식품연구원 식품 보존용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식품 보존용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22131653A1 (ko) * 2020-12-15 2022-06-23 윤관식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 함유 수용성 유화 조성물
CN115226781A (zh) * 2022-06-14 2022-10-25 贾啥来 食用调和配方油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667A (ko)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다인소재 조미김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혼합제제 및 이를 이용한 조미김용 식용유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65678B2 (ja) 2008-10-15
CN1167769C (zh) 2004-09-22
JP2000204370A (ja) 2000-07-25
CN1258711A (zh) 2000-07-05
KR20000043482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795B1 (ko)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유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JP3005226B2 (ja) 抗酸化剤混合物の製造法
CN103891922B (zh) 包含水溶性抗氧化剂的食用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5428026A (en) Liposoluble antioxidant mixture
JP5652557B2 (ja) 食用油脂及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2337834B1 (en) Antioxidant composition for marine oils comprising tocopherol, rosemary extract, ascorbic acid and green tea extract
KR20100033332A (ko) 다엽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JPH0349315B2 (ko)
WO2001096506A1 (fr) Procede servant a produire de la graisse
KR20110011365A (ko) 항산화성이 높은 폴리페놀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하여 얻은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항산화 조성물 및 항산화 제품
KR880002639B1 (ko) 지방산화되기 쉬운 식품의 산화방지방법
KR102379302B1 (ko) 고온 튀김용 유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042703A (ja) 非重合体カテキン類含有茶抽出物の製造法
Riemenschneider et al. Fatty acid monoesters of l-ascorbic and d-isoascorbic acids as antioxidants for fats and oils
JP3463308B2 (ja) 抗酸化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Sánchez‐Muniz et al. A non‐extractable condensed‐tannins fiber reduces thermal oxidation in oils at frying temperature
AU704264B2 (en) Incorporation of a water-soluble active principle in a lipid
US6017558A (en) Incorporation of a water-soluble active principle in a lipid
KR0149453B1 (ko) 항산화제제 조성물 및 유지식품의 산화방지방법
RU276203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фритюрной композиции
JPH05252869A (ja) 戻り臭の防止された脱臭ココアバター
JP6304451B2 (ja) コーヒークリーム用油脂組成物
JP5898524B2 (ja) 油脂組成物
KR0137388B1 (ko) 들기름의 산화 안전성 증진방법
KR20230011917A (ko)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포도 과즙 함입 구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