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890A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 Google Patents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890A
KR20040040890A KR1020020069234A KR20020069234A KR20040040890A KR 20040040890 A KR20040040890 A KR 20040040890A KR 1020020069234 A KR1020020069234 A KR 1020020069234A KR 20020069234 A KR20020069234 A KR 20020069234A KR 20040040890 A KR20040040890 A KR 2004004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lavonoid
leaf
powder
polypheno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성해
김은애
김명희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뉴트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뉴트리젠 filed Critical (주)바이오뉴트리젠
Priority to KR102002006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890A/ko
Priority to AU2003256104A priority patent/AU2003256104A1/en
Priority to EP03788155A priority patent/EP1534082A4/en
Priority to US10/640,650 priority patent/US7867525B2/en
Priority to PCT/KR2003/001638 priority patent/WO2004016092A1/en
Publication of KR2004004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23V2200/3324Low fat - reduced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제조한 뒤 젤라틴, 아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산탄껌, 카라기난, 글루코 만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물에 녹인 후 상기에서 얻은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점착성을 주는 현탁액을 만든후 곡물의 표면에 상기 현탁액을 분사시켜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이 피막된 곡물을 제조한 뒤 이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지질대사 개선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뛰어난 곡물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Cereals filmed with powders or extracts of plants comprising polyphenol or bioflavonoid for improving the metabolism of the lipid and suppressing the fatness}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감과 감잎, 메밀 잎, 메밀 꽃 , 구기자잎 등의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곡물에 피막시킴으로써 섭취시 지질대사 개선 및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는 곡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항상 바쁜 일상생활에 쫓기고 있으며 식생활 변화로 인하여 과다하게 영양분을 섭취하고 과다한 업무에 쫓기면서 스트레스가 쌓이고 자동차 문명에 익숙해져서 충분한 운동을 하지 못한채 과로, 과음, 과식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생활습관은 지방, 지질대사작용의 평형을 잃게 하고 비만증을 유발하기 쉽다. 비만증을 예방하려면 충분한 운동과 음식 섭취량을 적정량 수준에 맞추어 생활할 필요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비만증과 연계된 성인병, 예컨대 심장순환기계질환(동맥경화, 고혈압, 고지혈증, 중풍), 지방간, 암, 당뇨병 등에 시달리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비만증과 심장병 예방을 위해 콜레스테롤 및 지방섭취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등은 대부분 간 속에서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지방합성은 간 속에서 이루어지고 음식물 섭취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 지방의 양은 약 35%로 추정된다. 따라서 간 속에서 지방을 합성하는 속도를 줄여준다면 혈중지질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연구팀은 오래 전부터 식물유래 폴리페놀과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물질들이 간 속에서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HMG CoA 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지방흡수 및 이전에 관련하는 ACAT, CETP 효소 등의 활성을 억제하여 혈중지질농도를 낮추어주고(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 또한 고밀도 지단백질(HDL)을 증가시킴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들 물질들은 간기능 보호작용, 항 당뇨작용, 항 산화작용이 있다.
몇가지 물질들의 예를 든다면, 탄닌, 클로로게닉산, gallic acid, 엘라그라산, 신남산계열물질, 카페익산, 헤스페리딘, 나린진, 켐퍼롤, 루틴, 케세르틴, 카테킨류, 안토시안노이드 등을 들수 있다.
이들은 각종 야채, 허브, 차, 산나물, 약초, 어린 보리잎 등에 들어있다. 예컨대 양파, 마늘, 고추, 가지, 양배추, 배추, 치커리, 무, 당근, 녹차잎, 감, 감잎, 메밀잎, 메밀꽃, 대추 및 구기자잎, 구기자, 감귤류 과피, 솔잎, 쑥, 약쑥, 둥글레 어린 잎과 뿌리에 다량 들어있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비만증에 원인을 제공하는 물질이 전분, 포도당, 과당, 설탕 등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에 의한 것으로 믿고 있다. 이런 것을 이해하는 많은 사람들이 육식과 탄수화물 음식을 절제하고 생선, 과일, 야채 등을 많이 섭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확산은 앞으로 탄수화물제품 혹은 기름이 주성분인 유제품의 소비에 제동을 걸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만약 탄수화물 제품이나 유제품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식품성 식물유래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혹은 이들 성분이 다량 함유된 식물체추출물이나 분말을 첨가하여 이들의 기능성을 개선한다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식품을 즐기면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산물의 수급조절이 안되어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시금치, 마늘, 고추, 양파, 배추, 양배추, 무 등의 채소류와 감귤, 사과, 배, 포도 등 과일류가 어떤 때는 너무 부족하여 수입하느라 고생하고, 어떤 때는 풍작이 되어 생산가도 안되어 농민들이 밭을 갈아엎는 사례가 발생하여 안타까울 때가 있다.
곡물은 식용으로 하는 농작물의 입상(粒狀) 열매의 총칭으로 농작물의 용도를 중심으로 하는 농업상의 분류에 따르면, 보통작물, 즉 식용작물은 곡숙류(穀叔類:grain crops)와 서류(薯類)로 분류되고, 화곡류(禾穀類:cereal crops)와 숙곡 또는 두류(豆類:pulses crops)로 나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곡류는 화곡류를 말하는 것으로 그 열매를 식용 또는 사료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재배한다. 곡물 중에서쌀은 미곡으로, 보리·밀·호밀·귀리 등은 맥류로, 그리고 조·옥수수·기장·피·메밀·율무 등은 잡곡으로 구분된다.
곡물은 주로 녹말(당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맛이 담백하여 상식(常食)으로 하기에 알맞다. 또한 재배시기가 한정되어 있으나 널리 재배될 수 있고 수량이 많으며 수분함량이 적고 외부가 단단한 껍질로 덮여 있어 손쉽게 취급 및 장기저장이 가능하고, 유통이 간편하여 모든 식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식량으로서 예로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리하여 서양의 여러 나라와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는 밀이, 동남아시아 및 극동지역에서는 쌀이,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옥수수가 주로 주식량으로 이용된다.
상기 곡물을 항 비만성, 지질대사개선 성질을 갖는 폴리페놀계,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물질이 다량 포함된 식물성분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면 현대인의 건강유지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점 때문에 소비자의 관심도 고조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제조한 뒤 젤라틴, 아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산탄껌, 카라기난, 글루코 만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물에 녹인 후 상기에서 얻은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점착성을 주는 현탁액을 만든후 곡물의 표면에 상기 현탁액을 분사시켜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이 피막된 곡물을 제조한 뒤 이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제조한 뒤 젤라틴, 아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산탄껌, 카라기난, 글루코 만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물에 녹인 후 상기에서 얻은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점착성을 주는 현탁액을 만든후 곡물의 표면에 상기 현탁액을 분사시켜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이 피막된 곡물을 제조한 뒤 이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젤라틴, 아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산탄껌, 카라기난, 글루코 만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물에 녹인 후 상기에서 얻은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점착성을 주는 현탁액을 만든후 곡물의 표면에 상기 현탁액을 분사시켜 식물 분말이나 추출물이 피막된 곡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곡류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식용 식물체의 잎, 줄기, 꽃, 열매 등의 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식용 식물체로는 감잎, 감, 구기자잎, 구기자 열매, 메밀잎, 메밀꽃, 솔잎, 마늘, 양파, 고추, 무잎, 배추잎, 치커리, 시금치잎, 감귤류 과피, 샐러리, 브로컬리, 콜리훌라워, 토마토, 당근, 호박, 참깨, 들깨, 가지, 양배추, 녹차잎, 대추, 쑥, 약쑥, 둥굴레 어린 잎과 뿌리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들은 수세건조후 분말화하여 사용하거나,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을 하여 그 추출액을 사용하는데, 추출의 방법은 통상적인 열수추출방법 및 에탄올추출방법에 의해 수행한 것이다.
상기 식물체의 분말이나 이들 식물체 추출물의 분말을 곡류에 피막시켜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곡류로는 쌀(백미와 현미를 포함), 보리, 조, 콩, 기장, 밀, 호밀, 귀리, 메밀, 율무 등이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것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및 추출물의 제조
특별히 폴리페놀과 바이오플라보노이드물질이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히 들어있는 감잎, 감, 메밀잎과 꽃, 솔잎, 구기자잎, 치커리, 감귤류 과피를 소재로 하여 이들의 분말,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분말의 제조
감잎을 물로 깨끗이 씻은 후 그늘 상태의 상온에서 건조한 후, 100 내지 300 메쉬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다른 식물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을 제조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감잎 400g에 2000cc의 물을 가하고 100 에서 3시간 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추출액 및 고상 잔류물을 얻었다. 고상 잔류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수득된 추출액을 합하고 감압농축하여 180g의 감잎추출물을 얻었다. 다른 식물체들의 추출물도 동일한 방법을 준용하여 획득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감잎 1kg에 3,000cc의 95% 에탄올을 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끓인 후 여과하여 추출액 및 고상 잔류물을 얻었다. 고상 잔류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수득된 추출액을 합하고 감앞농축하여 150g의 감잎추출물을 얻었다. 다른 식물체들의 에탄올 추출물도 동일한 방법을 준용하여 획득하였다.
실시예 1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효과를 갖는 쌀 제조
젤라틴이나 아가, 알긴산소다, 알긴산프로필렌나트륨, 글루코 만난 등을 0.2~0.5% 농도로 물에 녹인 후 여기에 상기의 각종 식물체 분말이나 추출물을 5~10% 정도로 현탁시켰다.
유동층건조기나 팬코터 속에 쌀을 넣은 후 상기 현탁액을 분무하여 쌀의 표면을 피막시켰다.
실시예 2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효과를 갖는 보리 제조
젤라틴이나 아가, 알긴산소다, 알긴산프로필렌나트륨, 글루코 만난 등을 0.2~0.5% 농도로 물에 녹인 후 여기에 상기의 각종 식물체 분말이나 추출물을 5~10% 정도로 현탁시켰다.
유동층건조기나 팬코터 속에 보리를 넣은 후 상기 현탁액을 분무하여 보리의 표면을 피막시켰다.
실시예 3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효과를 갖는 조 제조
젤라틴이나 아가, 알긴산소다, 알긴산프로필렌나트륨, 글루코 만난 등을 0.2~0.5% 농도로 물에 녹인 후 여기에 상기의 각종 식물체 분말이나 추출물을5~10% 정도로 현탁시켰다.
유동층건조기나 팬코터 속에 조를 넣은 후 상기 현탁액을 분무하여 조의 표면을 피막시켰다.
실험예 1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효과를 갖는 쌀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 조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쌀 100g을 매일 섭취하였다. 식사는 별도로 평상시와 같이 하였다.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30일 후 혈액분석을 하였다. 한달후 체중 1% 감소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측정하여 본 결과 각각 5%, 8% 감소효과를 보았으며 HDL은 5% 증가하였다.
실험예 2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함유된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효과를 갖는 보리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 조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보리 100g을 매일 섭취하였다. 식사는 별도로 평상시와 같이 하였다.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30일 후 혈액분석을 하였다. 한달후 체중이 1.5% 감소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측정하여 본 결과 각각 6%, 10% 감소효과를 보았으며 HDL은 7% 증가하였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은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가 매우 뛰어나므로 식품산업 및 건강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분말,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열수추출물 또는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에탄올추출물이 피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2. 젤라틴, 아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산탄껌, 카라기난 및 글루코 만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0.2~0.5중량%를 물에 녹인 후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분말,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 5~10 중량%를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여 제조한 현탁액을 곡물의 표면에 분무하여 피막시켜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은 감잎, 감, 구기자잎, 구기자 열매, 메밀잎, 메밀꽃, 솔잎, 마늘, 양파, 고추, 무잎, 배추잎, 치커리, 시금치잎, 감귤류 과피, 셀러리, 브로컬리, 콜리훌라워, 토마토, 당근, 호박, 참깨, 들깨, 가지, 양배추, 녹차잎, 대추, 쑥, 약쑥, 둥굴레 어린 잎, 둥굴레 어린 뿌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KR1020020069234A 2002-08-14 2002-11-08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KR20040040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34A KR20040040890A (ko) 2002-11-08 2002-11-08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AU2003256104A AU2003256104A1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EP03788155A EP1534082A4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FROM PLANT BLOOMS WITH EFFECTS OF GRAVITY AND COMPREHENSIVE GRAVITY OF ELASTIC FOOD
US10/640,650 US7867525B2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PCT/KR2003/001638 WO2004016092A1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34A KR20040040890A (ko) 2002-11-08 2002-11-08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890A true KR20040040890A (ko) 2004-05-13

Family

ID=3733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234A KR20040040890A (ko) 2002-08-14 2002-11-08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8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353B1 (ko) * 2007-02-06 2008-08-18 이민호 기능성쌀의 제조방법
WO2009015475A1 (en) * 2007-07-30 2009-02-05 Natural Factors Nutritional Products, Inc. Dietary fiber composition comprising glucomannan, xanthan gum, alginate and lipi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158A (ja) * 1997-06-05 1998-12-22 Sanei Gen F F I Inc ポリフェノール含有ゲル状食品
JP2000204370A (ja) * 1998-12-29 2000-07-25 Nong Sim Co Ltd 緑茶抽出物を用いた油溶性抗酸化剤の製造方法
KR20010069367A (ko) * 2001-03-14 2001-07-25 유연실 녹차로 지은 밥
KR20010085059A (ko) * 2001-07-27 2001-09-07 전형탁 기능성 쌀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75764A (ko) * 2002-03-20 2003-09-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기능성 향반의 제조방법
KR20040036111A (ko) * 2002-10-23 2004-04-30 (주)바이오뉴트리젠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식품
KR20040036854A (ko) * 2002-10-25 2004-05-03 정규진 천연 폴리페놀을 함유한 굴비의 가공방법 및 가공굴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158A (ja) * 1997-06-05 1998-12-22 Sanei Gen F F I Inc ポリフェノール含有ゲル状食品
JP2000204370A (ja) * 1998-12-29 2000-07-25 Nong Sim Co Ltd 緑茶抽出物を用いた油溶性抗酸化剤の製造方法
KR20010069367A (ko) * 2001-03-14 2001-07-25 유연실 녹차로 지은 밥
KR20010085059A (ko) * 2001-07-27 2001-09-07 전형탁 기능성 쌀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75764A (ko) * 2002-03-20 2003-09-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기능성 향반의 제조방법
KR20040036111A (ko) * 2002-10-23 2004-04-30 (주)바이오뉴트리젠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식품
KR20040036854A (ko) * 2002-10-25 2004-05-03 정규진 천연 폴리페놀을 함유한 굴비의 가공방법 및 가공굴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0102B2 (en) 2005-04-12 2018-07-03 Inovobiologic Inc.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s of use
KR100852353B1 (ko) * 2007-02-06 2008-08-18 이민호 기능성쌀의 제조방법
WO2009015475A1 (en) * 2007-07-30 2009-02-05 Natural Factors Nutritional Products, Inc. Dietary fiber composition comprising glucomannan, xanthan gum, alginate and lip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éder Sorghum and millets
Dey et al. Understanding the antinutritional factors and bioactive compounds of kodo millet (Paspalum scrobiculatum) and little millet (Panicum sumatrense)
Sharma et al. Taro (Colocasia esculenta)
Masih et al. Moringa: A multipurpose potential crop-A review
Aasim et al. Aquatic plants as human food
Karanja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mboo shoots of selected species grown in Kenya and utilization as human food
KR100567389B1 (ko)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탄수화물 식품
Mohapatra et al. Plantains and their postharvest uses: An overview
Singh Nutritional benefits of pigeonpea
KR20040040890A (ko)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이 피막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용 곡물
Ansari et al. Nutritional Content and Bioactive Compounds of Banana Peel and Its Potential Utilization: A Review
Aslam et al. Nutritional and medical benefits of Moringa oleifera, the miracle tree
KR101702744B1 (ko) 영양성분이 향상된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치
Sharma et al. Organic Production, Postharvest Processing, and Value-Added Intervention of Fox Nuts (Euryale Ferox) for Export
KR101825606B1 (ko) 기능성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917722B1 (ko) 콩과 팥을 이용한 산미장의 제조방법
CN104886675A (zh) 一种中药杂粮滋补汤及其制备方法
Bvenura et al. Back to the Future–The Prospects of African Indigenous Crops as Future Foods
Arora et al. Reinventing plantain as a functional food: A processing based approach
Firdusi et al. Value addition traits of novel minor fruits of Assam-nagatenga (Rhus semialata) and leteku (Baccaurea sapida).
Chopade et al. Cereals and their nutritional value for health benefits
Prasad et al. Banana Waste as a Nutraceuticals Product
Obioma et al. Potentials Of Yams’ Utilizations In Food, Medicine And Allied Fields
Scaria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Moyo et al. African nightshade (Solanum nigrum complex spe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