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228B1 - 편성기용 편성요소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 Google Patents

편성기용 편성요소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228B1
KR100281228B1 KR1019980052137A KR19980052137A KR100281228B1 KR 100281228 B1 KR100281228 B1 KR 100281228B1 KR 1019980052137 A KR1019980052137 A KR 1019980052137A KR 19980052137 A KR19980052137 A KR 19980052137A KR 100281228 B1 KR100281228 B1 KR 10028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gment
bar
pins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673A (ko
Inventor
미스타 크레지미르
Original Assignee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Publication of KR1999006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04B27/08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경편기용 편성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세그먼트 (14) 는 수개의 동일한 플레이트 (6) 를 포함한다. 구멍 (15, 16, 17, 18) 이 상기 플레이트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1 개의 중공핀 (19, 20, 21, 22) 에 의해 관통되며, 그 외주면에서 플레이트 (6) 와 결합한다. 이것은 경편기의 바에 부착하기 위한 세그먼트의 중량을 낮게 한다.

Description

편성기용 편성 요소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본발명은 편성기 (knitting machine) 용 편성 요소 (knitting element) 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segment) 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편성기용 편성 요소를 운반하는 세그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세그먼트는, 지지되고 결합 배치 (connecting arrangement) 수단에 의하여 미리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는 수개의 동일한 플레이트를 지니며, 부착 배치 (attaching arrangement) 수단에 의해 바에 부착 가능하다. 여기에서 결합 배치는 플레이트 내의 구멍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그 원주 둘레에서 플레이트와 결합한다.
본발명은 특히 녹 - 오버 플레이트 (knock-over plate), 스티치 코움 플레이트 (stitch comb plate), 파일 플레이트 (pile plate), 미끄럼 플레이트 (slider plate) 및 드레드 코움 (thread comb) 등을 포함하는 편성 요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는 금속 또는 합성 물질의 블럭 내에 내장되고, 그 일부는 바에 부착된다. 본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플레이트에 구멍을 뚫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세그먼트 너머로 돌출하는 로드 (rod) 를 통하여 드레딩 (threading) 하는 것은 주조 공정 동안에 플레이트를 고정시킨다. (DE PS 12 074 541 참조)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비교적 큰 중량의 경우 그것은 경편기의 작업 속도를 제한한다는 것이다. 더우기, 주조 공정 후의 냉각은 플레이트들간의 상대 위치를 부정확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경량 금속의 시트 금속 스트립 (sheet metal strip) 을 플랜징 (flanging) 함으로써 세그먼트의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를 결합하고 그 후방 단부를 바 내에 형성된 그루브 내에 장치하며 그것들을 밀착 스크루 (tightening screw) 및 커버 플레이트 (cover plate) 로 바에 대하여 압착하는 것 또한 공지의 사실이다. (DE PS 813 741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세그먼트는, 그것이 바에 고정되게 전에는 다소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그것은 바에 대한 부착을 더욱 어렵게 한다.
상기 DE 72 26 832.7U 로 공지된 세그먼트는, 핀이 실질적인 중량을 지니고 플레이트를 양측면 모두에서 변형시킨다.
본발명의 목적은 편성 요소를 운반하는 세그먼트의 공지 형태에 대하여 보다 저중량 (lower mass) 과 고강성 (high rigidity) 을 지니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본발명이 핀을 중공 (中空), 즉 작은 튜브로 제조함으로써 해결된다. 중공핀 (hollow pin) 은 속이 찬 것보다 훨씬 작은 중량을 지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그먼트에 적절하게 높은 강성을 제공한다. 더우기, 그것은 경편기가 더 빠른 속도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핀의 전체 외주면은 접착 (gluing), 형태 조립 적용 (form fitting adaption) 등의 경우에 사용되기 때문에, 핀과 구멍 사이의 결합은 매우 타이트하다. 몇개의 핀은 그것들은 합하더라도 중량의 증가가 아주 적을 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경우에는 중량 증가가 전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세그먼트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2 또는 그 이상의 핀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그것은 그 고유의 공진 주파수에서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본체 진동 주파수가 외부에 가청 범위가 되게 하는 고강성의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체 제조 공정은 열의 공급없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냉각 수축 때문에 발생하는 플레이트 분리 간격 불일치 (plate separation distance inconsistency) 가 발생할 위험이 없어진다. 2 또는 그 이상의 핀이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본명세서에서는 수개의 핀이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한다. 물론 원칙적으로는 1 개의 핀을 사용한다.
특히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료로 핀을 제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것은 서로 조합된 상이한 작업 재료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활용을 단순화시킨다.
특히 이러한 핀은 가벼운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나아가 중량을 절감한다.
핀을 플레이트보다 작은 벽 두께를 지니도록 제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제로, 플레이트에 구멍을 냄으로써 플레이트에서 제거된 재료의 무게보다 중공핀의 무게를 더 가볍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핀은 또한 중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공핀의 또다른 효과는 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핀이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간단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 방법이 정확하다.
더우기, 3 또는 그 이상의 중공핀이 사용된다는 점이 효과적이다. 이것은 안정화를 위하여 필요한 범위를 초과하는 범위까지, 그것은 중량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플레이트가 핀에 접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전한 접착을 위하여 보다 작은 양의 접착제를 필요로 한다 . 또다른 효과적인 실시예는, 핀을 확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얇은 플레이트와의 접착을 조합하는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는 로킹면 (locking surface) 를 지니고, 바 상의 마주보는 면과 조합하여 적당한 단부 위치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세그먼트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세그먼트를 바에 단단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그것은 청구범위 제 9 항 내지 제 13 항에서 기재하고 있는 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1 은 본발명에 따른 수개의 세그먼트 (segment) 를 지니는 경편기 (warp knitting machine) 의 작업 영역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2 는 인클루젼 녹 오버 플레이트 (inclusion knock over plate) 를 지니는 세그먼트에 대한 수직 횡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세그먼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 는 인클루젼 녹 오버 플레이트를 지니는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실시예이다.
도 5 는 도 4 의 세그먼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 는 인클루젼 녹 오버 플레이트를 지니는 세그먼트에 대한 제 3 실시예이다.
도 7 은 인클루젼 녹 오버 플레이트를 지니는 세그먼트에 대한 제 4 실시예이다.
도 8 은 미끄럼 플레이트 (slider plate) 를 지니는 세그먼트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9 는 미끄럼 플레이트를 지니는 세그먼트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1 은 경편기 (1) 의 작업 영역을 도시한다. 바늘 (2) 은 바늘바 (3) 에 부착된다. 미끄럼 플레이트 (4) 는 미끄럼바 (5) 에 의해 고정되고, 인클루젼 녹 오버 플레이트 (6) 는 녹 오버 플레이트바 (7) 에 의해 운송된다. 가이드 (8, 9, 및 10) 는 각각 가이드바 (11, 12 및 13) 에 부착된다. 이러한 편성 요소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호 작동한다. 세그먼트들은 그 사이의 나비가 12.7 내지 50.8 mm 가 되도록 조합된다. 이러한 세그먼트들은 바 중 어느 하나 상에 체결된다. 플레이트 (4 및 5) 는 본발명에 따라 배치된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3 은 세그먼트 (14) 를 형성하기 위해 조합된 수개의 플레이트 (6) 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플레이트는 구멍 (15, 16, 17 및 18) 을 지니고 그 구멍을 통하여 각각 중공핀 (19, 20, 21 및 22) 이 삽입되며, 그런 다음 상기 핀을 통하여 원뿔형 부분을 지니는 공구 (심봉) 를 압착함으로써 확장된다. 이때 핀과 구멍 사이에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플레이트 (6) 는 지지 수단 (holding means) 상에 배치된다. 세그먼트 (14) 는, 그것이 얇은 벽이 있는 재료 (thin walled material) 로 제조된다 하더라도 놀라운 안정성을 지니는데 구성 부품 모두 (플레이트 및 중공핀) 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중간 플레이트 (6) 의 후방 단부는, 자유 공간 (23 ; free space) 이 존재하여 그곳을 통하여 첨부 스크루 (24 ; affixing screw) 가 배치될 수 있도록 짧아진다. 이러한 스크루는, 플레이트 (25) 의 중간 위치 하부와 길이가 더 긴 플레이트 (6) 의 상부 측면 상을 압착하여, 상기 세그먼트가 바 (7) 의 수용면 (26 ; receiving surface) 상에 압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리브 (27) 가 바 (7) 의 그루브 (28) 내로 돌출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제한적인 단부 위치를 제공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는 구성 요소의 참조 번호보다 100 이 더 높은 번호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완성된 세그먼트 (114) 를 부착하기 위하여, 본발명에서는 중간 부품 (129 ; intermediate piece) 이 있어서 스크루 수단 (124) 에 의해 바 (107) 의 상부면 (126) 상에 압착될 수 있다. 중간 부품 (129) 은 플레이트 (106) 를 고정하기 위한 그루브 (130) 뿐만 아니라 핀 (120) 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 (131) 를 지닌다. 중간 부품 (129) 은 우선, 하부 측면에서 개구 (131) 과 함께 수직으로 지지되는 중공핀 (120) 위로 스냅 오버 (snap over) 되고, 그런 다음 90°회전한다. 그러므로 플레이트 (106) 의 비스듬한 로킹면 (132) 수단에 의해, 전체 세그먼트 (114) 는 로킹면 (133) 이 바 (107) 와 접촉할 때까지 오른쪽으로 당겨진다.
도 6 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는 구성 요소의 참조 번호보다 200 이 더 큰 번호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플레이트 (106) 의 단부에 와이어의 형태로 지지 요소 (234) 를 지니고 있어서 클램핑 스크루 (224) 의 헤드 부분 위로 압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웨지 형상 로킹면 (235, 236 및 237) 은 바 (207) 에 대응하는 대면 (counter-surface) 에 맞대도록 당겨져서 세그먼트 (214) 가 안전한 단부 위치를 확보하게 한다. 따라서 정확한 조립은 바 (207) 의 형상 밀링 (form milling) 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도면 번호에 100 을 더하여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플레이트 (306) 의 후방 단부는 중간 부품 (329) 의 테이크-업 개구 (338 ; take-up opening) 내로 압착되고, 거기에서 중간 부품과 함께 접착된다. 이러한 세그먼트의 강성 때문에 접착 재료는 비교적 작은 양이 필요하다.
도 8 은 미끄럼 플레이트 (4) 를 지니는 미끄럼바 (5) 를 도시하고 그것은 세그먼트 (39) 를 형성한다. 본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구멍 (40 및 41) 이 있어서 그 안으로 중공핀 (42 및 43) 이 삽입되고 그 결과 확장된다. 플레이트 (4) 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루브 (44) 가 바 내에 설치된다. 각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는, 푸트 (45 ; foot) 가 설치되어 스크루 (49) 의 힘 하에, 바 (5) 의 비스듬면 (46) 에 맞대도록 압착되고, 그럼으로써 플레이트의 로킹면 (48) 수단에 의하여, 플레이트 (4) 의 적당한 부분이 바 (5) 내 그루브 (44) 의 베이스에 맞대도록 압착되고, 그루브 (44) 에 의하여 테이크업된 플레이트 (4) 의 부분은 그루브 베이스에 맞대도록 압착된다. 바 (5) 의 비스듬면 (46) 및 플레이트 (4) 의 로킹면 (48) 과 마주보는 바 면은 웨지 형상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 내에서 플레이트 (4) 는 스크루 (49) 에 의해 당겨진다. 따라서, 플레이트 (4) 는 바 (5) 내의 적당한 위치에 자리한다. 스크루 (49) 의 헤드 및 바 (5) 사이에, 세그먼트의 길이를 가로질러 확장하는 작은 플레이트 (54) 를 지닌다. 플레이트 (54) 는 비스듬한 베이스를 지니는 리세스 (55) 를 포함하고, 플레이트 (4) 의 잠금면 (47) 과 상호 협력한다. 플레이트 (4) 는 부가적으로 이러한 로킹면 (47) 수단에 의하여 바에 맞대어 압착된다.
도 9 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8 에 도시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도면 번호에 100 을 더한 번호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표시한다.
부착 스크루 (149) 는 비스듬면 (151) 에 의해서 중간 부품 (150) 상에 작용하고 상기 비스듬면 (151) 은 부착 스크루 (149) 의 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스크루 (149) 는 바 (105) 에 대응하는 대면에 대항하여 그 로킹면 (152, 153) 을 지니는 플레이트 (104) 를 압착하고, 그 결과 싱커 (104 ; sinker) 는 제한적인 단부 위치를 지닌다. 튜브로 형성되고 구멍 (140) 을 통과하는 단일핀 (142) 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개조, 변경 또는 대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경편기용 편성 요소를 운반하는 세그먼트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결합 배치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수개의 동일한 플레이트 (4, 6 ; 104, 106 ; 206, 306) 을 지니고, 부착 배치에 의해 바에 부착 가능하며 여기에서 결합 배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핀 (19 내지 22 ; 42, 43 ; 119, 120 ; 142, 143 ; 219, 220 ; 319, 320) 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핀은 플레이트 (4, 6 ; 104, 106 ; 206 ; 306) 내의 구멍 (15 내지 18 ; 40, 41 ; 115, 116 ; 140, 141 ; 215, 216 ; 315, 316) 을 통하여 위치하고, 플레이트와 그 외주면에서 결합하는 세그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19 내지 22 ; 42, 43 ; 119, 120 ; 142, 143 ; 219, 220 ; 319, 320) 은 플레이트 (4, 6 ; 104, 106 ; 206 ; 306) 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세그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19 내지 22 ; 42, 43 ; 119, 120 ; 142, 143 ; 219, 220 ; 319, 320) 은 가벼운 금속으로 구성되는 세그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핀 (19 내지 22 ; 42, 43 ; 119, 120 ; 142, 143 ; 219, 220 ; 319, 320) 은 플레이트 (4, 6 ; 104, 106 ; 206 ; 306) 보다 더 작은 벽 두께를 지니는 세그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핀 (19 내지 22 ; 42, 43 ; 119, 120 ; 142, 143 ; 219, 220 ; 319, 320) 은 플레이트 (4, 6 ; 104, 106 ; 206 ; 306) 와 그것을 결합하기 위하여 확장되는 세그먼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3 또는 그 이상의 중공핀 (19 내지 22 ; 319, 321) 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306) 는 핀 (319, 320) 과 함께 접착되는 세그먼트.
  8. 제 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4, 6 ; 104, 106 ; 206 ; 306) 는 로킹면 (27 ; 47, 48 ; 132, 133 ; 152, 153 ; 235, 237) 을 포함하고, 상기 바 (5 ; 8) 상의 대면과 조합하여 플레이트에 제한적인 단부 위치를 제공하는 세그먼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 플레이트 (6) 의 단부 부분은 스크루 (24) 용 통로 (23) 를 제공하기 위하여 짧아지는 세그먼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 배치는 플레이트 (106) 의 후방 단부를 테이크업하기 위한 그루브 (130) 를 포함하는 중간 부품 (129) 을 포함하고, 그루브 영역 내에, 핀 (120) 을 스냅하고 부착 스크루에 의해 바 (107) 에 압착되도록 적용되는 리세스 (131) 가 있어서 플레이트 (106) 를 바에 형상 로킹 결합 (form locking connection) 하는 세그먼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배치는 중간 부품 (329) 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품은 플레이트 (306) 의 후방 단부 상에 접착되며, 부착 스크루 수단에 의하여 바에 대해 압착 가능한 세그먼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배치는 중간 부품 (150) 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품은 부착 스크루 (149) 의 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작용하는 면 (151) 을 지니고 플레이트 (104) 를 제한적인 단부 위치로 추동하는 세그먼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206) 의 후방 단부는 핀 (219, 220) 에 평행하게 작동하는 지지 요소 (234) 를 운반하고, 부착 스크루 (224) 는 상시 플레이트를 제한적인 단부 위치로 가져가기 위하여 상기 지지 요소와 맞물리는 세그먼트.
KR1019980052137A 1997-12-03 1998-12-01 편성기용 편성요소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KR100281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3590.9 1997-12-03
DE19753590A DE19753590C1 (de) 1997-12-03 1997-12-03 Wirkelemente tragendes Segment für Kettenwirkmasch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673A KR19990062673A (ko) 1999-07-26
KR100281228B1 true KR100281228B1 (ko) 2001-02-01

Family

ID=785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37A KR100281228B1 (ko) 1997-12-03 1998-12-01 편성기용 편성요소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66969A (ko)
JP (1) JP3016768B2 (ko)
KR (1) KR100281228B1 (ko)
CN (1) CN1086752C (ko)
DE (1) DE19753590C1 (ko)
IT (1) IT1303194B1 (ko)
TW (1) TW5428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4191B4 (de) * 1998-11-24 2008-02-21 Saxonia Textile Parts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von Nadelpaketen
DE19855711C2 (de) * 1998-12-03 2003-08-28 Mayer Textilmaschf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Wirkelementen an der 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DE19920673C2 (de) * 1999-05-05 2003-10-16 Kern & Liebers Platinen-Segment
DE10227532B4 (de) * 2002-06-20 2006-02-23 Groz-Beckert Kg Modul für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Maschen bildende Maschinen
DE10325671B4 (de) * 2003-06-06 2007-03-01 Groz-Beckert Kg Versandeinheit länglicher Systemteile, insbesondere Nadeln, für maschenbildende Maschinen
US6925841B2 (en) * 2003-06-26 2005-08-09 Chima, Inc. Closing element assembly for compound needles used in knitting machines
EP1816247B1 (de) * 2006-02-02 2008-11-26 Groz-Beckert KG Systemteil für ein Stricksystem und Handhabungsverfahren
US20110150283A1 (en) * 2009-12-18 2011-06-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EP2679712B1 (de) * 2012-06-27 2014-04-2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Fallblech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ES2712737T3 (es) * 2016-05-04 2019-05-14 Groz Beckert Kg Módulo de herramienta textil y máquina textil con un módulo de herramienta texti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26832U (de) * 1972-10-26 Torrington Gmbh Maschinenelement mit mehreren in Abständen voneinander angeordneten Werkzeugen
DE681508C (de) * 1936-02-22 1939-09-27 Emil Wirth Wirkmaschinenfabrik Wechselpresse fuer Kettenwirkmaschinen
DE813741C (de) * 1949-09-02 1951-09-17 Arthur G Scholte Hochleistungskettenwirkmaschine
US2682163A (en) * 1949-11-17 1954-06-29 Aaron S Staff Trick plate
DE864602C (de) * 1951-06-08 1953-01-26 Walter H Scheibe Nadelfuehrung an Wirkmaschinen, insbesondere Raschelmaschinen
US2786344A (en) * 1953-02-10 1957-03-26 Robert Reiner Inc Warp knitting machine
US3811298A (en) * 1972-04-10 1974-05-21 K Kohl Mounting support for the knitting needle of a warp knitting machine
DD232938A1 (de) * 1984-12-27 1986-02-12 Textilmaschinenbau Veb Halterung fuer wirkwerkzeugfassungen an kettenwirkmaschinen
DE3840531C1 (de) * 1988-12-01 1990-05-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Barre
DE19618368B4 (de) * 1996-05-08 2005-11-2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Anordnung aus Fadenführungselementen einer Kettenwirk- oder Strickmaschine und einem 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303194B1 (it) 2000-10-30
TW542860B (en) 2003-07-21
CN1086752C (zh) 2002-06-26
JPH11222752A (ja) 1999-08-17
KR19990062673A (ko) 1999-07-26
US5966969A (en) 1999-10-19
JP3016768B2 (ja) 2000-03-06
ITTO981013A1 (it) 2000-06-02
CN1227291A (zh) 1999-09-01
DE19753590C1 (de) 1999-05-12
ITTO981013A0 (it) 199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228B1 (ko) 편성기용 편성요소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KR100685457B1 (ko) 편직 공구 바아
JP2609058B2 (ja) ニードルバーの製造方法
JPH03119234A (ja) 絶縁板を建造部材に固定する固定部材
US4716629A (en) Combining cylinder of a comber in spinning machinery
KR100187562B1 (ko) 정삭용 쓰로어웨이 볼 앤드밀
ITMI970728A1 (it) Collegamento di spigolo per una lama
CN104103260A (zh)
KR20130115136A (ko) 코밍 머신의 원형 콤용 코밍 요소
US4548140A (en) Needle plate finger comb for tufting machines
US5092643A (en) Automobile bumper
KR960004989B1 (ko) 콘크리트 주물 공사용 철근 홀더
JP4257362B2 (ja) 織機用ヘルドシャフト
BR0203173B1 (pt) dispositivo em uma carda para algodão, fibras quìmicas e similares, em que está presente pelo menos uma barra de chapéu com uma guarnição de chapéu.
JP2005113364A (ja) 織機用の綜絖棒
US3685101A (en) Needle strips for combing and like machines
JPH048535B2 (ko)
KR200166231Y1 (ko) 드럼세탁기 톱프레이트의 체결구조
US2181885A (en) Furring attachment
SU634855A1 (ru) Резец
JP2001020419A (ja) スペーサ
SU1634374A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3551097B2 (ja) プレス加工用パンチ
JP4283547B2 (ja) タイル貼付用治具
DE19644342C1 (de) Barre für maschenbildende Teile und Fassung für Maschenbildungselem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