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457B1 - 편직 공구 바아 - Google Patents

편직 공구 바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457B1
KR100685457B1 KR1020050044500A KR20050044500A KR100685457B1 KR 100685457 B1 KR100685457 B1 KR 100685457B1 KR 1020050044500 A KR1020050044500 A KR 1020050044500A KR 20050044500 A KR20050044500 A KR 20050044500A KR 100685457 B1 KR100685457 B1 KR 10068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tures
tool bar
bar
knitting
knit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118A (ko
Inventor
크레지미르 미스타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4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강화 합성물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는 편직 기계의 편직 공구 바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공간을 둘러싸는 벽을 형상하도록 배치된 두 개 이상의 개방 형상부를 가진다. 요약서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상세한 설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Description

편직 공구 바아{Knitting tool bar}
도 1은 날실 편직 기계의 편직부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며;
도 2는 개방 형상부를 만드는 프레스 몰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며;
도 3은 가이드 바아의 형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두개의 형상부로 구성된 가이드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는 니들 바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확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a는 니들 바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니들 바아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가이드 바아 2 : 싱커 바아
3 : 슬라이더 바아 4 : 니들 바아
10 : 형상부 11 : 형상부
12 : 중공의 공간 20 : 보조 고정 요소
63 : 추가적인 형상부 67 : 그루브
본원은 미국 특허법 제119조에 따라 2004년 5월 27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출원 번호 제04 012 519.7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가 본원에 편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섬유-보강된 합성물로 이루어진 본체를 구비한 편직 기계의 편직 공구 바아(bar)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합성물에서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공간을 둘러싸는 벽을 구비한다.
편직 기계는 편직 공구를 운반하는 몇 개의 바아를 구비한다. 분명히 하기 위하여, "편직 공구"는 니들, 가이드 니들, 빗살 플레이트, 파일 싱커(pile sinkers), 넉 오버 싱커(knock-over sinker) 등과 같이 편직 과정에 관련되는 모든 요소들을 포함한다.
바아는 특히 편직기계의 전체 길이를 넘어서는 것과 같은 상당히 길다란 길이로 연장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이것은 거의 6미터의 크기의 길이를 가진다. 보다 짧은 길이에서조차도 바아의 기계의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있다. 특히, 상기 바아는 임의의 강직도(stiffness)를 가져야 하며, 진동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가능한한 바아의 무게는 작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편직 기계의 각 싸이클이 가속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가속을 위해서는 무게가 작을수록 힘이 적게들며, 편직 기계의 작업 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편직 기계의 바아는 일반적으로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료들은 상대적으로 경량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재료로 이루어진 바아는 여전히 상당한 질량을 가진다. 따라서, DE 38 40 531 C1에서는 강화 합성물로 바아를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 단부에서 상기 바아는 폐쇄된 원주상의 벽에 의해 전체적으로 제한된 중공의 공간을 구비한 중공의 형상부를 가진다. 두 개의 부착 형상부는 중공형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그 부착 형상부는 쓰레드된 가이드 홀더 또는 홀딩 아암의 클램핑 부착부에 사용된다.
상기 바아의 실시예에서, 상당히 작은 무게이면서 상당히 높은 기계적 부하 용량이 달성될 수 있지만, 상기 부하 용량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DE 41 11 108 C2에서, 강화 합성물로 바아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며, 상기 중공의 형상부는 강화 섬유로 편직 또는 직조된 각각의 매트에 대하여 서로 상부를 둘러싸도록 편평하게 높인 합성물 밴드로 이루어진다. 주조된 본체는 상기 중공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주조된 본체는 영구적으로 중공의 공간에 놓이게 되며 부착 요소를 위한 암부재인 쓰레드 시편을 탑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주조된 본체에 기인한 질량 증가와 같은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암부재인 쓰레드 시편은 그 이전에 정밀하게 위치된다. 후방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가상적으로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무게는 작으면서 높은 기계적 내구성을 가진 바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본체가 적어도 두 개의 개방된 형태로부터 조립되는 상기에 언급된 타입의 바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방된 형태는 모든 측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는 상기 형상부들을 조립함으로써 우선 제조된다. 상기 중공의 공간은 우선 형성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조립하기 전에, 상기 형상부가 그 측면을 포함하여 모든 측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접근가능하다는 것으로서, 다수의 단계 측정이 상기 형상부가 조립되기 전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차후에 전혀 필요하게 되지 않을 위치에서 예방 조치를 통하여 암부재인 쓰레드부를 배치할 필요성과 같은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본체상의 어떠한 초과 재료 영역도 예를 들어 인발 공정을 통하여 중공의 형상으로 직접 본체가 제공된다면 견뎌내어야할 필요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profile)의 주조품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아의 "강도"는 형상이 성형되는 힘의 임의의 한계내에서 소정의 비율로 증가하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본체가 상기 형상부로부터 조립된다면, 모든 형상은 프레스에서 제조되는 고강도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스에서, 필요한 압력은 필요에 따라 제어되어 가해진다. 본체는 폐쇄된 중공 형상을 가지며, 이것은 코어를 도입함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다시 코어를 제거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그 대안은 본체에 코어를 남기는 것이다 (DE 41 11 108 C2). 그러나, 이 경우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형상부는 그것들이 서로 편평하게 놓이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당히 큰 접촉면은 연결면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연결부는 적당한 신뢰도를 가지는 두 개 이상의 형상부 사이에서 형성된다.
상기 형상부는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당히 높은 지지력으로 인하여 낮은 최종 강도의 접착력을 나타내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접착은 연결면 위로 큰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가 보조 고정 부착부를 구비한 중공의 공간에 제공된다. 보조 고정 부착부는 상기 형상부가 서로 결합되기 전에 상기 형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고정 요소는 상기 형상부의 제조에 있어서 고려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이것이 여전히 자유롭게 접근가능하다면 추후에 중공의 공간을 한정하고 그에 부착된 상기 형상부의 내측에서 그것이 교체될 수 있다.
보조 고정 요소는 두개의 형상부가 서로 포개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몇몇 장점을 가지는데, 그 예로서, 상기 본체의 강도는 두개의 형상부가 다른 것의 상부에 놓이게 되는 영역에서 특히 강하며, 상기 보조 고정 요소는 부착부에 부착하는데 사용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쓰레드 가이드 홀더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바아에 부착하는데 사용할 수 없지만, 두개의 형상부 사이의 연결부를 이루고 보강하는데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보조 고정 요소는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정은 바아를 제조하는 다른 모든 것 보다 편리하다. 만약 보조 고정 요소가 상기 형상부의 내측에 부착되면, 설치시에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보조 고정 요소, 예를 들어 너트는 스크류 볼트가 추후에 스크류 고정되는 쓰레드를 제공한다. 물론, 이 경우 구멍은 형상부나 형상부들을 통하여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형상부는 파형(wave-shape) 플랜지가 배열되는 그 사이에서 길이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그루브를 그 외측에 구비한다. 상기 그루브는 니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편직 니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플랜지들은 서로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니들을 지지하며, 인접 니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강도가 증가되는데, 그 이유는 플랜지는 파형으로 주행(run)하기 때문이다. 상기 형상부는 강화된 합성물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탄소 섬유-강화 합성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힐(hill)"을 가지며, 적어도 섬유의 일부는 그루브가 관통하지 않은 형상부의 일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손상에 저항할 수 있는 정도로 증가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일반적인 길이 방향 그루브는 상기 중공의 공간 외측에 배치된 형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형상부에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방향 그루브는 사용되어, 즉 편직 니들 바아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편직 니들이 고정되는 편직 니들의 돌출부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본체의 연약부는 회피되는데, 그 이유는 길이 방향 그루브는 상기 중공의 공간을 둘러싸는 형상부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상기 바아는 특히 안정적인 상태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직 니들과 같은 니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는 수지 침투 가공재(prepreg)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침투 가공재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와 합성물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반가공 제품이다. 따라서, 섬유는 소정의 방식으로 합성물에 이미 존재한다. 상기 합성물은 섬유에 의해 강화된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수지 침투 가공재는 프레스로 삽입될 수 있는 매트의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프레스 가공시에 합성물을 첨가하는 것보다는 수지 침투 가공재에 의해 합성물 매트릭스의 섬유를 보다 양호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종종 열을 가하는 프레스 가공 후에, 수지 침투 가공재는 경화되고 결국 최종모양을 이루게 된다. 필요없는 수지 침투 가공재의 돌출부는 프레스 가공시나 그 후에 천공될 수 있으며, 별도의 가공 작업에서 잘려지거나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침투 가공재는 일례로서 UD(단일 방향:unidirectional) 수지 침투 가공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UD 수지 침투 가공재에서, 섬유는 한방향으로 완전히 주행하게 된다. 수지 침투 가공재로 이루어진 형상부는 그 방향으로 인장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섬유 방향의 선택을 통하여 바아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상당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상기 형상부는 서로의 상부에 놓인 적어도 두개의 수지 침투 가공재로 이루어지며, 섬유 방향은 소정의 각을 이룬다. 그 각도는 예를 들어 90도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방향으로 인장강도와 누름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가이드를 구비한 바아 전체에 대하여 장점이 있다. 한 사이클에서, 이러한 바아는 길이 방향과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후 움직이게 된다. 수지 침투 가공재의 섬유는 양 방향으로 충분한 강도를 제공한다. 수지침투 가공재의 목적으로 한 정렬을 통하여, 상기 바아의 수치 안정성은 모든 섬유 방향에서 유지되어, 예를 들어 온도에 따른 치수 변화는 길이 방향이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형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상에서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게 주행하는 섬유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것은 특히 편직 니들 바아에 대한 연결부에서 전술한 그루브에서 유용한데, 왜냐하면 그 사이에 놓여진 플랜지는 적어도 그 표면상에 섬유와 섬유가 상기 플랜지의 방향을 따르는 그 아래에 놓인 레이어를 구비하기 때문이다. 상기 플랜지의 강도는 현저하게 증가된다.
상기 본체는 수지 침투 가공재보다는 높은 섬유 성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합성물의 일부가 프레스 외부로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이것이 달성된다. 프레스 가공을 위한 준비된 수지 침투 가공재가 직물 섬유의 조각에 포장됨으로써 이것이 촉진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물은 보다 신속하게 표면으로 안내되며 표면을 넘어서 상기 수지 침투 가공재의 모서리로 안내된다. 만약 높은 가압력을 통하여 상기 수지 침투 가공재가 예를 들어 60%의 섬유 함량을 가진다면, 상기 본체에는 약 70%의 섬유 함량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는 만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부는 편평부보다 큰 강도를 가진다. 만곡부는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가 중공의 공간으로부터 이격된 오프셋 강화 스트립을 구비하는 경우도 유용하다. 이러한 강화 스트립은 공간이 편직 기계에 사용되도록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강화 스트립은 편직 기계에서 바아의 위치 설정을 보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 스트립은 프레스에서 성형시에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부는 단지 하나의 정렬에서 서로 배치될 수 있는 모양을 가지게 된다. 상기 형상부는 그 다음에는 자가-중심(self-centering)이 맞추어져서, 즉 상기 형상부들은 하나의 정렬로 서로 결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모양은 상기 형상부들이 서로 결합된 돌출부나 만곡부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섬유-강화 합성물로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편직 기계의 편직 공구 바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공간을 둘러싸는 벽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두개 이상의 개구 형상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는 주조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형상부는 구조화되고 서로 편평하게 놓이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형상부는 서로 부착될 수 있다.
편직 공구 바아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에 연결된 보조 고정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 고정 요소는 중공의 공간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조 고정 요소는 두개의 형상부가 서로 포개지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 고정 요소는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추가적인 형상부는 파형 플랜지가 배열된 그 사이에서 길이 방향에 교차하게 주행하는 그루브를 그 외측에서 구비한다. 추가적인 형상부는 중공의 공간의 외측의 적어도 두개의 형상부중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적인 형상부는 상기 그루브에 연결되는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공통의 길이 방향 그루브를 구비한다.
또한, 두개 이상의 형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 침투 가공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지 침투 가공재는 단일 방향 수지 침투 가공재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는 서로의 상부에 놓인 적어도 두개의 형상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적어도 두개의 수지 침투 가공재가 소정을 각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가지며 상기 형상부의 적어도 외측면상에 배열된다. 상기 본체는 수지 침투 가공재보다 높은 섬유 비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형상부는 만곡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두개 이상의 형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중공의 공간으로부터 이격된 오프셋 강화 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형상부는 두개 이상의 형상부가 하나의 정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가공된다.
본 발명은 편직 기계의 편직 공구 바아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개방된 형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개방 공간을 한정하고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개의 형상부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섬유 강화 합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프레스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도록 연장된 그루브와 길이 방향 그루브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파형 플랜지로 구성된 추가 적인 형상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중공의 공간의 외측에 적어도 두개의 형상부중 하나의 측면상에 추가적인 형상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파형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 그루브로 편직 니들을 삽입하는 단계와 길이 방향 그루브로 편직 니들의 부분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가이드 바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싱커 바아(sinker bar)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슬라이더 바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니들 바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다수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본원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요 사상과 개념으로 가장 유용하게 이해되는 바를 제공하는 것이 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기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상세한 구조를 보여주는 시도는 없으며, 본 발명의 몇몇 형태가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는 당업자에게 도면과 설명을 통하여 분명하다.
도 1은 소위 가이드 바아(1a-1d), 싱커 바아(2 : sinker bar), 슬라이드 바아(3) 및 니들 바아(4)로 불리는 편직 기계의 몇몇 편직 공구를 도시한다. 상기 가이드 바아(1a-1d)는 쓰레드 가이드 홀더로도 불리는 홀더(6)를 경유하여 가이드 바아(1a-1d)에 부착된 가이드(5)를 지지한다. 상기 싱커 바아(2)는 싱커(7)를 지지한다. 상기 슬라이더 바아(3)는 슬라이더(8)를 지지하며, 상기 니들 바아(4)는 편직 니들(9)을 지지한다.
가이드 바아(1a)는 두개의 형상부(10, 11)로 구성된 본체를 나타낸다. 두개의 형상부(10, 11)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중공의 공간(12)을 둘러싼다.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은 길이 방향으로 하기에서 언급되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편직 기계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기 때문이며, 도 1에는 편직 영역이 도시된다.
도 2는 형상부(11)를 제조하는 프레스 몰드(13)를 도시한다. 상기 프레스는 형상부(11)를 도시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약간 오프셋된 도 2에 도시된 상부(14)와 하부(15)의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형상부(11)는 적어도 두개, 바람직하게는 3개의 UD 수지 침투 가공재로 형성되며, 그 섬유는 길이 방향이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형상부(11)를 만들기 위하여, 서로의 상부에 위치되며 적절한 크기의 UD 수지 침투 가공재가 프레스 몰드(13)에 배치된다. 형상부(11)를 가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힘으로 상부(14)와 하부(15)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필요하다면,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수지 침투 가공재가 경화된 후에, 상기 형상부(11)는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된다. 여분의 모서리 영역(16, 17)은 절단이나 스탬핑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형상부(동일한 사항이 모든 형상부에 적용)는 개방 형상부인데, 즉 형상부(11)의 양면은 전체적으로 접근 가능하다.
도 3은 천공된 구멍(18, 19)을 구비한 형상부(11)와 보조 고정 요소(20)을 도시한다. 상기 보조 고정 요소(20)는 그 외측면상에서 형상부(11)는 접착에 의해 형상부(10)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면(22)을 가지는 플랜지(21)에 접착된다. 가이드 바아(1a)를 가이드 레버(또는 다른 운반자)에 부착하도록 추후에 스크류 볼트가 스크류 고정되는 각각의 구멍(19)과 쓰레드 구멍(23)에 대한 보조 고정 요소(20)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는다.
유사한 방법으로, 가이드 바아(1a)에 가이드(5)의 홀더(6)를 부착하도록 쓰레드가 삽입된 볼트(26)가 고정되는 구멍(18)에 쓰레드 인서트(24)가 삽입된다.
다른 형상부(10)는 원칙적으로 형상부(1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 상단부에서, 그것은 개구(27)를 구비한 플랜지(26)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는 예를 들어 플랜지(26)에 90도의 각을 이루는 오프셋 강화 스트립(28)을 나타낸다. 강화 스트립(28)은 중공의 공간(12)으로부터 이격된 것에 위치된다. 이를 통하여 가이드 바아(1a)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당히 큰 강직도가 주어지지만 간섭하지는 않는데, 그 이유는 장착 단계에서 그것이 쓰레드된 구멍(23)을 통하여 가이드되는 볼트에 인접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 바아(1d)는 두개의 형상부(10', 11')가 동일하게 되더라도, 즉 동일한 형상부(10', 11')가 사용되어 하나는 가이드 바아(1d)를 형성하도록 180도로 접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동일한 가이드 바아는 편직 기계에 사용된다.
상기 형상부(11)는 플랜지(21)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유사하게 연결면(30)을 이루는 연장부(29)를 나타낸다. 장착 상태(도 1 내지 도 4)에서의 상기 연장부(29)는 형상부(11)의 대응 연장부(31)에 놓이게 된다.
가이드 바아(1d)를 완성하도록, 두개의 형상부(10, 11)는 프레스 몰드(13)에서 제조된다. 상기 구멍(18, 19)는 예를 들어 드릴이나 펀칭에 의해 유사하게 제조된다. 그 다음에 두개의 형상부(10, 11)는 조립되고 연결면(22, 30)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는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이루어진다. 접착은 전체 바아 길이를 통하여 광범위하게 발생하므로, 낮은 최종 강도를 가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매우 높은 지지강도도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로의 상부에 놓인 플랜지(21, 26) 또는 연장부(29, 31)는 편직 요소를 스크류 고정하거나 바아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크류 고정에 있어서, 접착제는 중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필요하다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싱커 바아(2)는 중공의 공간(34)을 둘러싸는 두 개의 형상부(32, 33)를 구비한다. 상기 형상부(32, 33)는 구간(35, 36 또는 37, 38)에서 서로 대향하여 놓이게 되며, 서로 연결된다. 볼트(39(는 구간(35, 36)을 통하여 안내되어, 볼트는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구간(35)의 내부에 부착되는 너트(40)에 스크류 고정된다. 상기 볼트(39)는 홀더(41)상에 싱커 바아(2)만을 지지하지는 않으며, 두 개가 형상부(32, 33) 사이의 연결부를 보장한다.
가이드 바아(1a-1d)에 유사한 방식으로, 쓰레드 인서트(42)는 쓰레드 인서트 볼트(43)가 스크류 고정되는 구간(37, 38)을 통하여 가이드된다. 한편으로, 상기 볼트(43)는 싱커(7)를 지지하며, 다른 한편으로 두 개의 형상부(32, 33)를 연결한다.
여기서, 구간(36)은 구간(36)에 거의 수직하게 오프셋된 강화 스트립(44)을 나타내며, 따라서, 중공의 공간(34)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아(3)는 중공의 공간(47)을 둘러싸는 두 개의 형상부(45, 46)로 구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형상부(45, 46)는 각각 강화 스트립(48, 49)을 나타내어, 두 개의 형상부(45, 46)는 강화 스트립(48, 49)에서 서로 편평하게 안착하게 된다. 상기 강화 스트립(48)은 하부 형상부(46)의 구간(50)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만곡된다. 너트(51)는 상기 형상부(46)의 내측에 접착된다.
상기 형상부(45)는 두 개의 반곡부(52, 53)를 나타낸다. 만곡부는 상기 형상부에 길이 방향으로의 증가된 강직도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형상부(46)는 또한 만곡부(54)를 나타내는데, 상기 만곡부(53, 54)는 서로 기대고 있다. 상기 두 개의 형상부(54, 46)는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만곡부(53, 54)상에 구체화된 연결면의 타측에서, 두 개의 형상부(45, 46)는 홀더를 구비한 슬라이더(8)가 클램핑되는 그 사이에 클램핑 아암(55, 56)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슬라이더(8)는 스크류로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은 구체적으로 니들 바아(4)를 도시한다. 니들 바아는 우선 만곡된 강화 스트립(59, 60)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형상부(57, 58)를 나타낸다. 너트(61)는 상기 형상부(57)의 내측에 부착된다. 상기 너트는 개구(62)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어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니들 바아(4)는 운반자(carrier)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형상부(63)가 형상부(58)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형상부(63)는 도 5b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형상부(63)는 길이 방향 그루브(64)를 형성하여, 각 니들(9)의 돌출부(65)는 슬라이더를 경유하여 이동 방향으로 니들(9)을 고정하도록 연결된다.
전부 3개의 형상부(57, 58, 63)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레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어는 "-1", "-2", "-3"로 표시된다. 각각의 레이어는 수지 침투 가공재, 즉 섬유 특히 탄소 섬유가 합성 매트릭스에 매립된 반가공 제품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수지 침투 가공재는 UD 수지 침투 가공재(단일 방향 수지 침투 가공재) 즉 섬유가 모두 한방향으로 정렬된 수지 침투 가공재이다. 제조시에, 몇몇 수지 침투 가공재, 이 경우에는 3개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서로 상부에 놓여져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몰드에서 서로 압축된다. 섬유의 각 방향이 다른 수지 침투 가공재는 사로의 상부에 놓인다. 각각의 외측 레이어(58-1, 58-3, 63-1)는 정렬되어 그 섬유는 도면의 평면에 나란하게 놓이며, 따라서 (수지 침투 가공재의 비-주조 상태에서는) 편직 니들(9)의 방향에 나란하게 놓인다. 반대로, 수지 침투 가공재(58-2, 63-2)는 정렬되어 그 섬유는 길이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이것은 유사한 방식으로 레이어(57-1 내지 57-3)의 수지 침투 가공재에도 적 용된다.
만약 상기 형상부(58, 63)가 대응 프레스에서 가공된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형상부는 레이어(63-3)의 섬유가 편직 니들(9)에 나란한 평면에 놓여서 파형(66)을 형성한다. 형상부(63)를 성형한 후에, 길이 방향 그루브(64)는 가라앉아서 길이 방향 그루브(64)는 두 개의 상부 레이어(63-1, 63-2)를 관통할 뿐만 아니라, 그루브(67)는 추후에 편직 니들(9)이 배치되도록 제조된다. 남은 플랜지(68)는 외측 레이어(63-3)의 섬유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레이어는 "바닥"으로부터 나타나며, "바닥"으로 다시 가라앉아서, 파형(66)의 외측 레이어는 섬유의 단부가 고정되어 자유롭지 않은 연속적인 섬유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파형(66)의 안정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유사한 고려가 플랜지(68)에 적용된다. 상기 섬유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바닥에 지지된다.
편직 니들(9)은 홀더(69)에 의해 그루브(67)에 지지된다. 상기 홀더(69)는 니들 바아(4)상에서 클램핑부(70)의 도움으로 위치에 고정되어서, 상기 클램핑 부(70)는 스크류(71)에 의해 니들 바아(4)에 부착되며, 스크류는 두 개의 형상부(58, 63)를 통하여 안내되는 쓰레드부(72) 내부로 스크류 고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형상부(57, 58, 63)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것에 부착된다.
형상부(10, 11, 32, 33, 45, 46, 57, 58, 63)를 제조함에 있어서, UD 수지 침투 가공재는 각 특별히 성형된 프레스 몰드에 놓이게 되며, 상기 프레스 몰드는 가압 작용을 하여, 필요하다면, 온도를 높이면서 가압 작용을 한다. 상기 가압 작용은 합성 매트릭스의 합성물이 몰드 밖으로 압출되는 정도로 높은 수준에서 선택된다. 형상부는 섬유부가 수지 침투 가공재의 섬유부보다 크게 되어 얻어진다. 이러한 형상부로부터 후에 만들어진 상기 바아의 강도는 증가된다. 그러나, 너무 많은 합성물은 상기 형상부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합성물로 가압하는 공정은 수지 침투 가공재가 합성물을 외측으로 흩어지게 하도록 직물 섬유내에서 포장됨으로서 촉진된다.
개별 형상부는 프레싱 후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부들은 적당한 길이로 절개될 수 있다.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돌출하는 부분은 유사하게 절개되거나 천공될 수 있다. 바아의 형상은 그것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53, 54)와 강화섬유 스트립(48, 49)을 통하여 슬라이더 바아(3)에 기초하여 서로 정렬되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예들은 설명을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여기에 사용된 용어들은 한정을 위해서가 아니라 도시와 설명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수정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의 수단, 물질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균등한 구조체, 방법, 및 사용까지 기능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Claims (29)

  1. 섬유 강화 합성물을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공간을 둘러싸는 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방 형상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편직 기계의 편직 공구 바아.
  2. 제 1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는 주조된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는 서로 편평하게 배치되어 접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는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5. 제 1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에 연결된 보조 고정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 요소는 상기 중공의 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 요소는 두 개의 형상부가 서로 포개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 요소는 접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9. 제 1 항에 있어서,
    파형 플랜지가 배열되는 그 사이에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그루브를 외측에서 구비하는 추가적인 형상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형상부는 상기 중공의 공간의 외측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 중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적인 형상부는 상기 그루브에 연결되는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공통의 길이방향 그루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1. 제 1 항에 있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 중 1개 또는 그 이상은 수지 침투 가공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침투 가공재는 단일 방향 수지 침투 가공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3. 제 12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형상부는 서로의 상부에 놓인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지 침투 가공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4. 제 13 항에 있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지 침투 가공재의 섬유 방향이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5. 제 14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가지며,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6. 제 15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섬유 방향을 가진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지 침투 가공재는 상기 형상부의 적어도 외측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지 침투 가공재보다 높은 섬유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8. 제 1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는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19. 제 1 항에 있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 중 1개 또는 그 이상은 상기 중공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 오프셋 강화 스트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20. 제 1 항에 있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가 한번의 정렬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21.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방 형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 공간을 한정하고 본체를 형성하도록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방 형상부를 배열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섬유 강화 합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기계의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와 길이방향 그루브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파형 플랜지로 이루어진 추가적인 형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공간의 외측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형상부 중 하나의 측면에 추가적인 형상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파형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 그루브로 편직 니들을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그루브로 편직 니들의 부분을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편직 공부 바아 제조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가이드 바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싱커 바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슬라이더 바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니들 바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 공구 바아 제조방법.
KR1020050044500A 2004-05-27 2005-05-26 편직 공구 바아 KR100685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12519.7 2004-05-27
EP04012519A EP1600543B1 (de) 2004-05-27 2004-05-27 Wirkwerkzeug-Bar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18A KR20060048118A (ko) 2006-05-18
KR100685457B1 true KR100685457B1 (ko) 2007-02-26

Family

ID=3492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500A KR100685457B1 (ko) 2004-05-27 2005-05-26 편직 공구 바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10924A1 (ko)
EP (1) EP1600543B1 (ko)
JP (1) JP2005336700A (ko)
KR (1) KR100685457B1 (ko)
CN (1) CN100410437C (ko)
DE (1) DE502004006772D1 (ko)
ES (1) ES2303001T3 (ko)
TW (1) TWI2949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0194A1 (de) * 2005-09-28 2007-04-0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einer Wirkmaschine
DE102006005703A1 (de) * 2006-02-08 2007-08-1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unststoff-Wirkwerkzeugbarre und Kunststoff-Wirkwerkzeugbarre
DE102006014147B4 (de) * 2006-03-28 2008-01-2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unststoff-Wirkwerkzeugbarre und Kunststoff-Wirkwerkzeugbarre
DE102006039375B4 (de) * 2006-08-22 2011-06-1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07038589B4 (de) 2007-08-16 2014-02-2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Barre für eine Kettenwirkmaschine
DE102010044673B4 (de) 2010-09-08 2014-01-09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n-Reparaturset und Wirkwerkzeugbarre
EP2623652A1 (de) * 2012-01-31 2013-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Wirkwerkzeugbarre
CN103266411A (zh) * 2013-05-28 2013-08-28 马骏 一种嵌入型可拆卸活动主针针夹及针块
ITBS20130086A1 (it) * 2013-06-21 2014-12-22 Santoni & C Spa Dispositivo per alimentare filo agli aghi di una macchina tessile
EP2942429B1 (de) * 2014-05-07 2016-12-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nadel und nadelbarre
EP3216903B1 (de) * 2016-03-11 2019-05-08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EP3249087A1 (de) * 2016-05-27 2017-11-29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EP3581691B1 (de) * 2019-06-13 2023-03-08 KARL MAYER STOLL R&D GmbH Wirkwerkzeug und kettenwirkmaschine
EP3757267B1 (de) * 2020-11-06 2022-09-07 KARL MAYER STOLL R&D GmbH Wirkwerkzeugbarre für eine kettenwir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8293A (en) * 1930-01-16 1932-03-08 Wildman Mfg Co Needle bar for full fashioned knitting machines
JPS4980354A (ko) * 1972-11-18 1974-08-02
JPS63112744A (ja) * 1986-10-24 1988-05-1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織機用綜絖枠の外枠ステ−
NZ223675A (en) * 1987-07-09 1991-07-26 John Harry Hall Method of knitting a fabric including laying a drawthread into the fabric
DE3840531C1 (de) * 1988-12-01 1990-05-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Barre
JP3016786B2 (ja) * 1988-12-27 2000-03-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部材の製造方法
DE4111108C2 (de) * 1991-04-05 1993-10-07 Erbsloeh Julius & August Als geschlossenes Hohlprofil aus verstärktem Kunststoff ausgebildeter Träger
DE4237084C2 (de) * 1992-11-03 1995-04-13 Mayer Textilmaschf Wirknadelanordnung und zugehörige Wirknadel
DE19855711C2 (de) * 1998-12-03 2003-08-28 Mayer Textilmaschf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Wirkelementen an der 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DE10066042B4 (de) * 2000-08-23 2004-12-0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ehreren Musterlegebarren
DE20314470U1 (de) * 2003-09-18 2003-11-20 Mayer Malimo Textilmaschf Barre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Hohlprof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0543A1 (de) 2005-11-30
CN1702218A (zh) 2005-11-30
TWI294930B (en) 2008-03-21
TW200606294A (en) 2006-02-16
ES2303001T3 (es) 2008-08-01
KR20060048118A (ko) 2006-05-18
JP2005336700A (ja) 2005-12-08
DE502004006772D1 (de) 2008-05-21
EP1600543B1 (de) 2008-04-09
CN100410437C (zh) 2008-08-13
US20060010924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457B1 (ko) 편직 공구 바아
US20230093318A1 (en) Carrier with localized fibrous insert and methods
US11535020B2 (en) Carrier with localized fibrous insert and methods
JP2553277B2 (ja) 網目状繊維構造体
US9636886B2 (en)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having textile reinforcement and retainers
US20150151793A1 (en) Crossmember for a Vehicle Dashboard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ck Brace Made of a Fibrous Composite
KR20120083865A (ko) 섬유 보강된 라미네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강화 시트, 섬유 보강된 라미네이트 및 풍력 터빈 블레이드, 및 섬유 보강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CN100509385C (zh) 用于复合叠层板z方向加固的方法和设备
JP2004506554A (ja) 正弦波形ウエブ付き複合材支持構造物とその製作法
JP2011205998A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6455594B2 (ja) 複合部材
CA1235154A (en) Plastic leaf spring with at least one spring-eye body or spring-eye section
KR100881441B1 (ko)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JP6562764B2 (ja) 防振部材及び防振部材の製造方法
SK281852B6 (sk) Textilný výrobok a spôsob jeho výroby
JPH02293441A (ja) シャットルレス織機用グリッパロ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81228B1 (ko) 편성기용 편성요소를 운반하는 경량, 강성의 세그먼트
US7866349B2 (en) Heddle frame with reinforcing profile for a weaving machine
EP2028309B1 (en) Stiffening fabric or band in pseudoelastic material to dump vibrations in elements subject to them
JP2002544400A (ja) シンカー・セグメント
KR101848348B1 (ko) 탄소섬유복합바디 및 그 제작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로봇의 엔드이펙터
EP0801162A1 (en) Process for personalising the hardness, resistance and durability of supporting or seating structures, a supporting or seating structure obtained and a machine for obtaining the same
JP5590672B2 (ja)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7087278B2 (ja) プリフォームの成形装置および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
EP3497273B1 (en) Gripper band and gripper unit for a gripper weav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