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322B1 -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322B1
KR100278322B1 KR1019960041223A KR19960041223A KR100278322B1 KR 100278322 B1 KR100278322 B1 KR 100278322B1 KR 1019960041223 A KR1019960041223 A KR 1019960041223A KR 19960041223 A KR19960041223 A KR 19960041223A KR 100278322 B1 KR100278322 B1 KR 10027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hf
double loop
antenna
antenna pattern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839A (ko
Inventor
마사토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하라다 슈이치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슈이치,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슈이치
Publication of KR97001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차량 창유리 안테나는 VHF 주파수대 신호 및 UHF 주파수대 신호의 다이버시티 수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합체된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는 접속 단부를 가진 두개의 도전성 와이어로 구성되며, 접속 단부가 상호 접속되는 상태로 창유리에 부착된 두개의 루프를 구비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며 급전 라인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중간부로터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도전체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도체는 서로에 대향하며 고주파 상태에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내에 단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용량결합부, 및 용량결합부가 VHF 주파수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부도체가 되고 또한 UHF 주파수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도록 각각의 용량결합부의 정전 용량을 셋팅하기 위한 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제1도는 차량의 뒷창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이버시티 창유리 안테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차량용 다이버시티 창유리 안테나에 합체된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의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 샘플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한 스미스 선도(Smith chart).
제4도는 제3도의 실험 샘플의 VSWR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종래의 차량 창유리 안테나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창유리 안테나 요소 11, 21 : 제 1 루프
12, 22 : 제 2 루프 13, 23 : 급전부
14, 15, 24, 25 : 용량 결합부 16, 17 : 전도 부재
18 : 급전 라인 G : 갭
U :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
V :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후부 창에 부착되며 약 30 내지 300 MHz 의 VHF(초단파) 대역 신호 및 약 300 MHz 내지 3 GHz의 UHF(극초단파)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double-loop antenna pattern portion)를 장착한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의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V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 U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 및 각 패턴 유너트에 연결되는 급전 라인(feeder line)을 포함한다. 이 패턴 유니트는 얇은 슬림형 도체 와이어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차량의 후부 창위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5는 종래의 창유리 안테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와이어로 제조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30) 및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40)는 차량의 창유리(2)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30)는 수평 방향으로 대칭 배열된 한쌍의 도체 와이어 루프, 즉 제 1 장방형 루프(31) 및 제 2 장방형 루프(32)를 구비한다. 급전부(33)가 상기 제 1 루프(31)와 제 2 루프(32)간의 연결부에 제공된다.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40)는 수평 방향으로 대칭 배열된 한쌍의 도체 와이어 루프, 즉 제 1 장방형 루프(41) 및 제 2 장방형 루프(42)를 구비한다. 급전부(43)가 제 1 루프(41)와 제 2 루프(42)간의 연결부에 제공된다.
급전 라인(도시 않됨)이 급전부(33, 43)에 각각 연결된다.
전술한 종래의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에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30) 및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40)가 독립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 패턴 유니트는 창유리상에서 비교적 큰 영역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두개의 급전부가 급전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각 연결부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므로, 연결 작업에 보다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VHF 대역 신호 및 U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일체로 구성된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HF 대역 신호 및 U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창유리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여, 다이버시티 신호(diversity signal)를 수신할 수 있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접속 단부를 갖는 두개의 전도 와이어로 구성되며, 그들 접속 단부가 상호 접속되는 상태로 창유리에 부착되는 두개의 루프를 구비하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며 급전 라인에 접속되는 급전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루프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쌍의 도체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한쌍의 도체는 서로 대향되고 그리고 고주파 상태에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내에 단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용량 결합부(capacitive coupling portions); 및
V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는 상기 용량 결합부가 부도체가 되고 그리고 U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는 상기 용량 결합부가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도록 각각의 상기 용량 결합부의 정전 용량(electrostatic capacitance)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용량 결합부의 각각의 도체는 소정의 갭이 개재된 상태로 소정의 길이에 걸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전도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전도 와이어로 형성된 루프는 창 프레임을 따라 창유리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VHF 대역 신호 및 UHF 대역 신호의 다이버시티 수신(diversity receiving)을 수행하도록 협력하는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는,
접속 단부를 갖는 두개의 전도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 단부가 상호 접속되는 상태로 창유리에 부착되는 두개의 루프를 구비하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며 급전 라인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루프의 중간부분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쌍의 도체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한쌍의 도체는 서로 대향되고 그리고 고주파 상태에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내에 단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용량 결합부; 및
V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는 상기 용량 결합부가 부도체가 되고 그리고 U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는 상기 용량 결합부가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도록 각각의 상기 용량 결합부의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는 창유리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고, 수평 방향으로 서로간에 분리되며, 또 제 1 및 제 2 안테나 요소의 루프는 창 프레임을 따라 창유리의 하부 영역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아래의 설명에 개시하며,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확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하여 실현되고 성취될 수도 있다.
[발며의 구성 및 작용]
명세서내에 통합되고 그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그리고 아래에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10)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20)가 차량(예를 들면, 자동차)의 후부 창의 하부에 제공되며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서로간에 대칭상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창유리 안테나 요소(10, 20)는 VHF 대역 신호 및 UHF 대역 신호의 다이버시티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버시티 수신 회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10)는 제 1 루프(loop)(11), 제 2 루프(12), 급전부(feeder portion)(13) 및 용량 결합부(capacitive coupling portion)(14, 15)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20)도 제 1 루프(21), 제 2 루프(22), 급전부(23) 및 용량 결합부(24, 2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10, 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본 명세서에는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10)만을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10)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 및 UHF 이중 안테나 패턴부(U)를 포함한다.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는 제 1 루프(11), 제 2 루프(12) 및 제 1 루프를 제 2 루프와 접속하는 접속 전도 부재(16, 17)로 구성된다. 제 1 루프(11)는 수 밀리미터의 폭을 가지며 얇은 필름으로 제조된 장방형 전도 와이어로 형성된다. 제 2 루프(12)는 제 1 루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제 1 루프(11)에 수평 방향으로 대칭 배열된다. 접속 전도 부재(16, 17)는 제 1 루프 및 제 2 루프(11, 12)보다 큰 폭을 갖는다. 급전부(13)는 접속 전도 부재(16, 17)의 중앙부로 구성된다. 급전 라인(18)은 급전부(13)에 연결된다.
용량 결합부(14)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의 제 1 루프(11)의 임의 부분에 제공된다. 특히, 용량 결합부(14)는 한 쌍의 전도 와이어 부재(14a, 14b)[제 1 루프(11)와 동일 재료로 제조되며 제 1 루프(11)와 동일한 폭 및 두께를 가짐]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전도 와이어 부재는 장방형 제 1 루프(11)의 대향된 긴 측면의 각각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소정의 작은 갭(G)이 개재되어 길이(L)에 걸쳐 상호 대향된다. 용량 결합부(14)가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 1 루프(11)에서 고주파의 단락 회로(short circuiting)가 발생될 수 있다. 안테나가 V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때는 고주파의 단락 회로가 발생되지 않고 그리고 U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때는 고주파의 단락 회로가 발생되도록 결합부(14)의 정전 용량을 설정함으로써,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U)의 회로를 폐쇄한다. 안테나 제조시에 전도 와이어 부재(14a, 14b)의 갭(G) 및 길이(L)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정전 용량은 소망의 값으로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용량 결합부(15)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의 제 2 루프(12)의 일부분에 제공된다. 결합부(14)의 경우와 같이, 결합부(15)는 한 쌍의 전도 와이어 부재(15a, 15b)[제 2 루프(12)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제 2 루프(12)와 동일한 폭 및 두께를 가짐]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전도 와이어 부재는 장방형 제 2 루프(12)의 대향된 긴 측면의 각각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그리고 동일한 갭(G)이 개재된 상태로 동일한 길이(L)에 걸쳐 상호 대향된다. 결합부(15)가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 2 루프(12)내에서 고주파의 단락 회로가 발생될 수 있다. 결합부(15)의 정전 용량은 안테나가 V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때는 고주파의 단락 회로가 발생되지 않고 그리고 U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때는 고주파의 단락 회로가 발생되도록 설정되며, 그에 따라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U)의 회로를 폐쇄한다. 결합부(15)의 용량은 결합부(14)의 경우에서와 같이 소망의 값으로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V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때 전체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는 VHF 안테나 요소로서 사용된다. 반면에, VHF 대역 신호를 수신할 때 용량 결합부(14, 15)는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며,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의 일부로 구성된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U)는 UHF 안테나 요소로서 사용된다.
[변형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다음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
i) 용량 결합부(14, 15) 및 용량 결합부(24, 25)의 일부 또는 전체가 선형 이외의 임의의 형상(예를 들면, T자 형상)의 도체로 형성된다.
ii)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의 제 1 및 제 2 루프(11, 12)는 장방형 이외의 임의의 형상(예를 들면, 타원형)이다.
iii) 안테나는 자동차 이외의 차량의 창유리에 부착된다.
[실험 결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 샘플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하는 스미스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 샘플의 VSWR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험 샘플은 VHF-L(저) 대역, VFH-H(고) 대역 및 UHF 대역에서 샘플을 실용화할 수 있는 임피던스 특성 및 VSWR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및 수정예의 이점]
실시예 및 수정예에 따른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 및 이점을 갖는다.
[1] 접속 단부를 갖는 두개의 전도 와이어로 구성되며, 그들 접속 단부가 상호 접속되는 상태로 창유리(1)에 부착되는 두개의 루프(11, 12)를 구비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며 급전 라인(18)에 연결되는 급전부(13)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의 루프(11, 12)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도체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도체는 서로 대향되고 그리고 고주파 상태에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내에 단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용량 결합부(14, 15)와;
V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는 상기 용량 결합부가 부도체가 되고 그리고 U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는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도록 각각의 용량 결합부(14, 15)의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가 VHF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체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는 VHF 안테나 요소로서 사용되는 반면, 안테나가 UHF 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용량 결합부(14, 15)는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며,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U)는 UHF 안테나 요소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창유리 안테나는 VHF 대역 신호와 UHF 대역 신호 양자를 양호한 상태에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테나는 개별 VHF 및 U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 유니트를 포함하는 종래의 안테나와 비교하여 창유리의 비교적 작은 영역을 차지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급전부(13) 및 단일 급전 라인(18)만이 요구되므로, 안테나는 단순한 연결 구조로 되며, 급전 라인(18)의 연결 동작이 단순해진다.
[2] 상기 [1] 항에 기재된 안테나에 따른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용량 결합부(14, 15)의 각각의 도체가 소정의 갭(G)을 두고 소정의 길이(L)에 걸쳐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전도 와이어(14a, 14b)(15a, 1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테나는 [1] 항에 개시된 바와 동일한 이점을 가지며, 전도 와이어(14a, 14b)(15a, 15b)간의 정전 용량을 안테나 제조시에 전도 와이어 부재(14a, 14b)(15a, 15b)의 갭(G) 및 길이(L)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소망의 값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또다른 이점을 갖는다.
[3] 제 [1] 항에 기재된 안테나에 따른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각각의 전도 와이어로 형성된 루프(11, 12)가 창 프레임(1a)을 따라 창유리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테나는 [1] 항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이점을 가지며, 창유리(1)의 무효 공간(dead space)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 U)가 창유리(1)의 창 프레임(1a)에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급전 라인(18)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또다른 이점을 갖는다.
[4]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VHF 대역 신호 및 UHF 대역 신호의 다이버시티 수신을 수행하도록 협력하는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10)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20)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10, 20)는 상기 [1] 항에 기재된 안테나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테나는 [1] 항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이점을 가지며, 또한 페이딩(fading)으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양호한 신호 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또다른 이점을 갖는다.
[5] 제 [4] 항에 기재된 안테나에 따른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는,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가 창유리(1)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고, 서로간에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며, 제 1 안테나 요소(10)의 루프(11, 12) 및 제 2 안테나 요소(20)의 루프(21, 22)가 창 프레임(1a)을 따라 창유리(1)의 하부 영역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안테나는 [4] 항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이점을 가지며, 또한 창유리(1)의 무효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V. U)가 창유리(1)의 창 프레임(1a)에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급전 라인(18)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이점 및 다이버시티 신호 수신을 위한 회로 연결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접속 단부를 갖는 두개의 전도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 단부가 상호 접속되는 상태로 창유리에 부착되는 두개의 루프를 구비하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며 급전 라인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 루프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도체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도체는 서로간에 대향되고 그리고 고주파 상태에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내에 단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용량 결합부; 및 V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용량 결합부가 부도체가 되고 그리고 U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용량 결합부가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도록, 각각의 상기 용량 결합부의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용량 결합부의 도체는 소정의 갭을 두고 소정 길이에 걸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전도 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도 와이어로 형성된 루프는 창 프레임을 따라 창유리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4. VHF 대역 신호 및 UHF 대역 신호의 다이버시티 수신(diversity receiving)을 수행하도록 협력하는 제 1 창유리 안테나 요소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는, 접속 단부를 갖는 두개의 전도 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 단부가 상호 접속되는 상태로 창유리에 부착되는 두개의 루프를 구비하는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며 급전 라인에 연결되는 급전부와; 상기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 루프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쌍의 도체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도체는 서로간에 대향되고 그리고 고주파 상태에서 VHF 이중 루프 안테나 패턴부내에 단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용량 결합부; 및 V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용량 결합부가 부도체가 되고 그리고 UHF 대역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용량 결합부가 고주파 상태에서 도체가 되도록 각각의 상기 용량 결합부의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창유리 안테나 요소는 창유리의 하부 영ㅋ에 부착되고, 서로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 요소의 루프는 창 프레임을 따라 창유리의 하부 영역에서 연장되는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KR1019960041223A 1995-09-27 1996-09-20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KR100278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49597A JPH0993019A (ja) 1995-09-27 1995-09-27 車両用窓ガラスアンテナ
JP95-249597 1995-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839A KR970018839A (ko) 1997-04-30
KR100278322B1 true KR100278322B1 (ko) 2001-01-15

Family

ID=1719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223A KR100278322B1 (ko) 1995-09-27 1996-09-20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57328A (ko)
EP (1) EP0766337B1 (ko)
JP (1) JPH0993019A (ko)
KR (1) KR100278322B1 (ko)
DE (1) DE69601483T2 (ko)
ES (1) ES212992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124A (ja) * 1995-08-28 1997-05-16 Mazda Motor Corp ガラスアンテナ、アンテナおよびその設定方法
JPH10308620A (ja) * 1997-05-08 1998-11-17 Harada Ind Co Ltd Gps波用フィルムアンテナ装置
US6252550B1 (en) * 1998-06-17 2001-06-26 Peter Joseph Vernon Planar antenna device
US6407706B2 (en) 1998-06-17 2002-06-18 Peter J. Vernon Planar antenna device
JP3613097B2 (ja) * 1999-11-10 2005-01-2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CA2314449A1 (en) * 2000-07-25 2002-01-25 Superpass Company Inc. High gain printed loop antennas
AU783548B2 (en) * 2001-06-25 2005-11-10 Peter Joseph Vernon Planar antenna device
FR2828584A1 (fr) * 2001-08-10 2003-02-14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pour la reception et/ou l'emission de signaux a diversite de rayonnement
JP4854702B2 (ja) * 2003-08-29 2012-01-1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アンテナ
CA2489262A1 (en) * 2003-12-10 2005-06-10 Asahi Glass Company, Limited Planar antenna
JP4634194B2 (ja) * 2004-03-16 2011-02-16 八木アンテナ株式会社 広帯域双ループアンテナ
JP5023960B2 (ja) * 2007-10-23 2012-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載アンテナ装置
JP5510450B2 (ja) * 2009-04-14 2014-06-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JP5640516B2 (ja) * 2010-07-15 2014-12-1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アンテナ
JP6547311B2 (ja) * 2015-01-30 2019-07-24 Agc株式会社 Mimoアンテナ及びmimoアンテナ配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3813A (en) * 1955-02-11 1960-02-02 Ross A Davis Antenna systems
US3007164A (en) * 1955-04-22 1961-10-31 Ross A Davis Slot antenna which is fed at two points
US2972145A (en) * 1959-10-06 1961-02-14 Scanwell Lab Inc Small directional antenna system
US4433336A (en) * 1982-02-05 1984-02-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Three-element antenna formed of orthogonal loops mounted on a monopole
JPH0626283B2 (ja) * 1985-08-09 1994-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アンテナ装置
FR2629644B1 (fr) * 1988-04-01 1991-11-29 Thomson Csf Antenne boucle large bande a alimentation dissymetrique, notamment antenne pour emission, et antenne reseau formee d'une pluralite de telles antennes
JPH0286201A (ja) * 1988-09-21 1990-03-27 Harada Ind Co Ltd 自動車用ループアンテナ
US5285210A (en) * 1990-05-08 1994-02-08 Nippon Sheet Glass Co., Ltd. Double loop antenna with reactance elements
JP3173904B2 (ja) * 1992-11-12 2001-06-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動車電話用ガラスアンテナ
EP0584882A1 (en) * 1992-08-28 1994-03-02 Philips Electronics Uk Limited Loop antenna
US5402134A (en) * 1993-03-01 1995-03-28 R. A. Miller Industries, Inc. Flat plate antenn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1483T2 (de) 1999-07-08
DE69601483D1 (de) 1999-03-18
KR970018839A (ko) 1997-04-30
US5757328A (en) 1998-05-26
EP0766337B1 (en) 1999-02-03
ES2129929T3 (es) 1999-06-16
EP0766337A1 (en) 1997-04-02
JPH0993019A (ja) 199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322B1 (ko) 차량용 창유리 안테나
KR0148588B1 (ko) 자동차용 다이버시티 유리 안테나
EP0661772B1 (en) Glass antenna and method of designing the same
EP0418047B1 (en) Glass window antenna for motor vehicle
US5610619A (en) Backlite antenna for AM/FM automobile radio having broadband FM reception
US5952977A (en) Glass antenna
US7091914B2 (en) Glass antenna for vehicle
US5231410A (en) Window glass antenna for a motor vehicle
KR0145052B1 (ko) 차량용 안테나 및 그 설정방법
KR100349260B1 (ko) 안테나
US5113195A (en) Glass window antenna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2515158B2 (ja) 自動車用窓ガラスアンテナ
JPH03113901A (ja) 2本線ループアンテナ
EP0795209B1 (en) Antenna arrangement for a vehicle window
JPH0437601B2 (ko)
JP4225373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H08107306A (ja) ダイバシティアンテナ
GB2309829A (en) Vehicle on-screen antenna
EP1527498B1 (en) Integrated loop antenna for vehicular applications
JPS61121603A (ja) 自動車用窓ガラスアンテナ
JP2002299932A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3201710B2 (ja) 自動車用窓ガラスアンテナ
JPH08222930A (ja) ガラスアンテナ
JP3363055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JP3526203B2 (ja) 車両用のガラス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