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759B1 - 모듈러다목적벤딩머신및그것의선형위치결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러다목적벤딩머신및그것의선형위치결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759B1
KR100270759B1 KR1019980018524A KR19980018524A KR100270759B1 KR 100270759 B1 KR100270759 B1 KR 100270759B1 KR 1019980018524 A KR1019980018524 A KR 1019980018524A KR 19980018524 A KR19980018524 A KR 19980018524A KR 100270759 B1 KR100270759 B1 KR 10027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roller
bending machine
rollers
th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301A (ko
Inventor
알레산드로 카포루소
마리오 카포루소
스테파노 라만디
로싸노 라만디
Original Assignee
알레산드로 카포루소
쎄.엠.엘. 코스트루지오니 메카니쉬 리리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레산드로 카포루소, 쎄.엠.엘. 코스트루지오니 메카니쉬 리리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알레산드로 카포루소
Publication of KR1998008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벤딩머신은 2개의 로울러(11, 12)가 고정된 회전축을 갖고, 한 개의 로울러(13)가 선형 위치결정 시스템이 설치된 슬라이더(13') 상에 장착된 것처럼,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회전축을 갖도록 구성된 3개의 벤더 로울러를 포함하는 벤딩헤드가 설치된 주 측면(10')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또한 벤딩머신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벤더 로울러(11, 12, 13)를 구동하는 모터 및 감속 기어 유니트(27)와, 추력 로울과, 상기 슬라이더(13')를 변위시키는 구동 로드(34b)를 가진 복동식 실린더(34)를 구비한다. 실린더(34)는 상기 벤딩헤드 아래의 프레임(10) 내부에 장착된 실린더 몸체(34a)를 갖기 때문에, 상기 주 측면(10') 상에 개방되어 있는 작업표면(C)에는 상기 작업표면 상에서 툴을 지지하도록 개조된 수단이 설치된다.

Description

모듈러 다목적 벤딩머신 및 그것의 선형 위치결정 시스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벤딩머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간 길이를 갖고, 파이프, 로드 및 섹션바와 같은 일정한 단면으로 이루어진 일직선의 반제품을, 주각(round angle)보다 더 큰 평탄하고 공간적인 곡선으로, 예컨대, 나선형으로 및/또는 소용돌이선으로 굴곡하기 위해 개조된 벤딩머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굴곡된 파이프 또는 섹션바는 예컨대 나선식 계단의 난간 및 아케이드(arcade)의 섹션바와 같은 대부분 기능적인 부재와, 몇 개의 산업장치에서 뿐만 아니라 예컨대 빌딩의 전문적인 시스템에서의 회격자, 및 가열용 공장 파이프와 같은 매력적인 소자들에 대해 주로 의미있게 건축분야에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2개의 로울러가 고정된 회전축을 갖고, 세 번째의 로울러가 수직의 직선형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 상에 설치된 것처럼,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회전축을 갖도록 구성된 3개의 벤더 로울러를 포함하는 벤딩헤드가 설치된 주 측면(main side)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1개 또는 그 이상의 벤더 로울러를 구동하는 모터 및 감속 기어 유니트를 구비하며, 추력 로울(thrust roll)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구동 실린더를 구비하는 벤딩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류의 종래기술의 벤딩머신은 첨부도면 중의 도 1에 원근법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의 벤딩머신은 내부에서는 벤딩머신의 모터 유니트를 둘러싸서 지지하고, 외부에서는 작업수단을 갖는 참조번호 1로 표시된 기계몸체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종래기술), 기계몸체(1)의 주 측면(1a)이 설치되는 작업헤드('1) 상에서, 작업수단은 1개의 수평측과 2개의 경사측을 갖는 △(델타)형의 구조로 배치된 3개의 홈이 있는 로울러 또는 풀리(2, 2', 2'')를 구비한다. (벤딩머신은 수직배치로 작업헤드(1')와 일반적인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 필요성에 따라 소망한다면, 작업헤드(1')는 수평배치로 변경되도록 정확한 각도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2개의 로울 또는 추력 소자 또는 스트레이트너(straightener)(3, 3')는 델타형 구조의 홈이 있는 로울러에 대해서 2개의 경사측에 근접하여 각각 장착된다.
상술한 기계몸체 내부에는 작업헤드에 토크를 주는 모터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 유니트는 2개의 제 1 로울러(2, 2')를 차례로 회전시키는 2개의 톱니형 휠을 감속 기어를 통해서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를 구비한다. 전기 모터는 작업헤드, 즉 벤딩머신의 주 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모터의 출력에 연결된 감속 기어는 주 측면과 반대방향의 벤딩머신의 측면, 혹은 후방측에 접근한다. 감속 기어를 통해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3개의 스프로켓은 감속기어와 맞물리고, 일반적인 연결부의 각 쌍을 통해서 3개의 벤더 로울러를 차례로 구동한다. (3개의 로울러 대신에 단지 2개의 로울러만으로 굴곡하기 위해서, 3개의 로울러가 그것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미학의 목적으로 반제품을 굴곡하기 위해서, 2개의 전력 구동 로울러 또는 트레일러 로울러 또는 성형작업용 로울러가 필요한데, 이 경우에, 반제품을 획득하여 그것을 벤딩 위상으로 끌어당기도록 널(knurl)이 설치된다.
동작시, 파이프 또는 섹션바는 3개의 홈이 있는 로울러들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로울러 중 트레일러 로울러가 회전된다. 추력 로울은 3개의 홈이 있는 벤더 로울러의 델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벤딩평면 외부에서, 나선형의 공간적인 벤딩의 축 피치를 작업하고 있는 반제품에 주도록 동작한다. 추력 로울은 파이프 또는 섹션바 또는 로드 상에 벤딩동작 중에 제공되는 추력을 가함으로써 작동한다.
델타형 구조의 수평측과 반대의 정점에 배치된 벤더 로울러, 즉 참조번호 2"로 표시된 제 3 로울러는 - 2개의 로울러, 즉 제 1 로울러와 제 2 로울러와 대향하는 것처럼 - 수직으로 조절가능한 작업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는 새들(saddle) 또는 슬라이더(2"a) 상에 장착된다. 제 3 벤더 로울러는 수직방향을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의 위치는 다른 2개의 벤더 로울러에 대해서 조절될 수 있고, 즉, 벤더 로울러의 축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벤딩동작 중에 곡률(radius of curvature)이 변경될 수 있다.
수압 실린더(4)는 통상 슬라이더(2"a)의 선형 변위를 행하기 위해 설치된다. 실린더(4)는 주 측면(1a)의 수평의 융기된 평면의 선반(4a') 상에 장착된다. 실린더(4)는 통상 자신이 소유한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원조받는다. (또한, 동일한 선반(4a') 상에 장착된 저가격의 나사형 수동 구동장치는 실린더(4) 대신에 설치될 수 있다.)
벤딩머신에는 제어 키보드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설명에서 시작된다.
벤딩머신의 주 측면(1a) 상의 선반(4a')과 그 선반 상에 배치된 수압 또는 기압 또는 올레오다이나믹(oleodynamic) 실린더(4)는 그들의 특정한 기능에 제한되고, 즉, 제 3 로울러(2")를 지탱하는 실린더(2"a)의 선형 변위를 행하는데 제한된다. 사실상, 평탄한 선반은 수압 실린더의 몸체에 의해 점유되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고, 또한, 실린더 로드가 아래쪽에서 작업하여 사용자 장치와 협력할 수 없기 때문에, 실린더 로드의 포지티브 변위는 다른 목적을 위해 별도로 사용될 수 없다.
반대로, 평탄한 선반이 이용될 수 있고, 12톤만큼의 매우 큰 압력을 부가할 수 있는 실린더 로드의 포지티브 변위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이점이다. 이와 같이, 툴은 선반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수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될 수 있어, 벤딩머신에 기능들을 부가한다.
이 관점으로부터, 벤딩머신의 동일한 모터 유니트는 툴의 주된 움직임을 위해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모터 유니트의 배치에서, 벤딩머신 외부의 툴은 모터 유니트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이용할 수 없다.
반대로, 이 토크를 사용하는 것은 벤딩머신과 같이, 그것만으로도 매우 유익하고, 주요 벤딩수단의 동일 모터구동에 대해서도 매우 유익할 것이고, 나아가 그것에 의해 툴을 장착하고 구동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툴은 벤딩머신이 그 위에서 작업하도록 설계된 동일 종류의 반제품(파이프, 섹션바, 로드)에 대하여 동작할 수 있고, 또, 상기 툴은 추력(상기의 수압 실린더에 의해 가해진 추력과 같은)과 토크(모터부로부터 끌어당긴 토크와 같은)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구동 유니트가 동일 벤딩머신 외부에서 툴을 작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상기 형태의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머신의 주 측면에 설치된 선반 위에서 툴을 지탱하고, 수압 또는 기압 또는 올레오다이나믹 실린더의 로드의 포지티브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툴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벤딩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러한 목적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달성된다.
수압 구동 실린더는 선반 위에 설치되지 않고, 오히려 기계 몸체 내에 적절하게 수용된 선반 아래에 설치된다. 그렇게 장애물이 없는 선반에는 툴에 대한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연결선반으로 된다.
그러한 용적을 가진 벤딩머신은 모듈이라고 하는 이점을 갖고, 즉 서로 다른 툴이 때때로 그 위에 설치될 수 있는 기초 유니트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뿔형 구멍, 펀칭 툴, 드로잉(drawing) 다이, 트리밍(trimming)툴 등은 벤딩머신 상에 설치될 수 있고, 그들 모두는 이미 존재하는 수압 실린더의 추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이, 실제의 벤딩머신이라고 것외에 이 벤딩머신은 다목적 벤딩머신이다.
작업하고 있는 파이프 및 섹션바에 엄격히 속하는 기능들이 벤딩머신에 부가될 수 있어, 벤딩머신이 파이프 및 섹션바 상에서 다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이 이점이 중요하다. 우선, 벤딩머신은 추력 파이프 벤더로 될 것이다. 실제로 어떤 것은 수직축에 대하여 일측 위에서, 또 다른 측 위에서 휴지상태의 반작용 로울러를 지지하도록 개조된 구조로 설치된 툴을 연결선반 위에 설치하려고 생각할 것이다. 상기 툴이 연결선반 위에 장칙될 때 상기 구조의 이 수직축은 수압 또는 기압 실린더의 로드의 선형 변위의 축과 일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반달형의 홈이 있는 레스트(rest)와 같은 파이프를 지탱하도록 개조된 추력수단은 상기 반작용 로울러의 접합부에 대향하여 파이프를 굴곡하기 위해 실린더 로드의 개방단부 위에서 연결될 수 있다.
여전히 보다 큰 이점은 벤딩머신이 벤딩동작에 대비하여 유용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벤딩동작 동안의 파이프에 대해서 다음에 고려한다. 예를 들면 파이프가 벤딩동작 중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첨부도면의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 P는 그것의 각 홈 내부의 3개의 로울러 R1, R2, R3들 사이의 공간에 제공된다. 파이프 P의 연장라인에 대하여, 파이프 P는 일측 위에 있는 로울러 R1, R2를 다른 측 위에 있는 제 3 로울러 R3로부터 분리한다. 벤딩동작시에, 파이프 P는 입구 P'의 끝부분의 단면과 출구 P"의 끝부분의 단면을 갖는다. 다음에, 제 2 로울러 R2의 원주와 제 3 로울러 R3의 원주에 접하는 이들 생성라인을 고려하면, 포인트 p'의 제 2 로울러와 포인트 t'의 제 3 로울러와 접하는 생성라인을 각각 볼 수 있다. 다음에, 제 1 로울러 R1의 원주와 제 3 로울러 R3의 원주와 접하는 생성라인을 고려하면, 포인트 p"에서의 제 1 로울러와 포인트 t"에서의 제 3 로울러와 접하는 생성라인을 볼 수 있다. 파이프 P는 포인트 t', t"에 의해 한정된 원주 길이, 즉 원주 t' t"의 호 내에서만 제 3 로울러 위에서 굴곡된다. 이 분석의 결과로부터, 굴곡동작을 시작할 때, 파이프 P가 벤딩헤드에 제공되고 있는 경우에, 그것의 입구 P'의 단부는 정접하는 포인트 p'에 도달하고, 단지 호 t't" 위에 있는 파이프의 길이만 굴곡된다. 이와 같이, P'가 p'와 일치할 때, t'와 일치하는 파이프 단면이 T'로서 표시되면, 결과로서, 선두길이P'T'가 굴곡되는 것이 아니라 직선으로 남아 있다. 비슷하게, 굴곡동작을 종료할 때, 파이프 P가 벤딩헤드로부터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그것의 입구 P'의 단부가 정접하는 포인트 P"에 도달하여, 그 굴곡이 종료된다. 굴곡은 호 t't" 위에 있는 파이프의 길이로 제한되기 때문에, P"가 p"와 일치할 때 t"와 일치하는 파이프 단면은 T"로서 표시되고, 그 결과로서 끝부분의 길이 P"T"는 직선으로 남아 있다. 이 결과로서, 주각에 따라 굴곡된 파이프 P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으로 남아 있는 선두길이 P'T"와 끝분분의 길이 P"T"를 갖는다. 이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재료와 시간의 낭비 때문에, 이들 길이를 절단해야 하고, 그렇게 획득된 새로운 단부를 용접해야 한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굴곡될 파이프의 단부를 준비하여 사전에 굴곡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목적을 위해, 첨부도면의 도 3의 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프레스(press)를 사용할 수 있다. 파이프 프레스는 다이(20a)와 카운터 다이(20b)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새들(saddle)형, 볼록형, 오목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서, 파이프 프레스는 연결선반 위에 장착될 수 있고, 다이(20a)는 수압 실린더의 로드(34b)의 구동력하에서 카운터 다이(20b) 위에서 구동될 수 있는데, 그 다이는 적합한 슬리브(sleeve)(34b')에 의해 로드(34b) 위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파이프의 벤딩에 관한 또 다른 이점은 파이프에 나선형 피치를 줄 때 획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형 피치는 도 1를 참조하여 추력 로울(3, 3')에 의해 벤딩동작중에 파이프 상의 반작용 효과를 통해서 획득된다. 이들 추력 로울은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하여 지탱되고, 지지부재는 동일한 추력 로울의 위치결정시에 가변성에 대한 일정한 간격을 허용한다. 그러나, 일단 추력 로울을 고정하면, 추력 로울의 위치는 벤딩동작중에 변경될 수 없다. 그러나, 그러한 추력 로울이, 벤딩머신의 다른 수단을 제어하는 동일한 전기장치를 통해서 그들을 확장하는 중에 제어했던 수압 실린더의 로드 상에 장착되었다면, 추력 로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반이 비어 있기 때문에, 추력 로울은 동일한 선반 상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압 실린더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벤딩 로울러를 구동하는 전기모터에 의해 전달된 토크가, 동일한 벤딩머신 외부에서 툴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상술한 형태의 벤딩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은 다음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전기모터에 의해 전달된 토크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감속기어는 벤딩머신의 후방측이 아닌 전방측, 즉 주 측면에 접근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감속기어는, 상기 용어에 따른 제 1 및 제 2 벤더 로울러가 그 위에 장착된 주 측면에서 외부에서의 축과 일체를 이룬 -기계 몸체 내부에서-2개의 톱니형 휠과 직접 맞물려 있다. 상기 톱니형 휠 중 하나는 마찰 클러치에 의해 축과 맞물리는 시트(seat)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이 축은 벤딩머신의 후방측 부근에 배치된 한 쌍의 기어를 통해서 2개의 일반적인 연결부를 갖는 또 다른 축에 그것의 회전운동을 전달한다. 2개의 일반적인 연결부를 갖는 축은 제 3 벤더 로울러에 그것의 회전운동을 전달한다.(제 3 로울러는 동력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후방측에 접근하여 회전운동하는 2개의 드라이브가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2개의 축에 대해서 배치된 단부에 의해 제시된 2개의 드라이브, 즉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제공된 드라이브와, 제 3 로울러에 대한 일반적인 2개의 연결부를 갖는 드라이브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이들 토크를 끌어들이고, 그들을 외부로 가져오는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매우 유익하게는, 회전운동의 이들 2개의 드라이브는 원추형으로 파이프를 넓히기 위해 예를 들면 2개의 원추형 구멍, 원뿔형의 암나사 및 수나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2개의 로울러와, 벤딩헤드에 의해 형성된 수직의 직선형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 상에 장착되었을 때,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1개의 로울러로 구성된 3개의 벤더 로울러를 포함하는 벤딩헤드가 설치된 주 측면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1개 또는 그 이상의 벤더 로울러를 구동하는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를 구비하며, 추력 로울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변위시키는 구동로드를 갖는 복동식 실린더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벤딩헤드 아래의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실린더 몸체를 갖고, 상기 작업헤드 상의 상기 주 측면 위에 개방되어 있는 작업 표면에는 상기 작업표면 위에서 툴을 지지하도록 개조된 수단뿐만 아니라 동일한 벤딩머신의 기계적인 부재와 이 작업표면의 인터페이스 연결을 위한 구멍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벤딩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벤딩머신에는 2 또는 그 이상의 속도로 동작하고, 상기 개방된 작업표면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감속기어가 장착되고, 수동 제어에서 수직 안내부재를 따라 그것의 변위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 3 벤더 로울러를 지지하는 상기 슬라이더와의 기계적인 인터페이스 접속을 위한 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는 벤딩헤드 위에 있는 주 측면 상의 상기 표면에서 상기 복동식 실린더의 로드의 추진력/인력(push/pull force)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는 다이 및 카운터 다이를 구비하는 기계적 작업용 툴이 설치되고, 다이 및 카운터 다이 중 하나에는 상기 개방된 작업표면 상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 상기 복동식 실린더의 추진력/인력을 수용하도록 개조된 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서, 상기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는 고정된 벤더 로울러의 축과 차례로 일체를 이룬 2개의 톱니형 휠과 그것의 톱니형 휠 중 하나를 맞물려서 2개의 고정된 벤더 로울러를 구동하고, 상기 휠은 벤딩헤드의 내부측에 접근하여 장착되며, 상기 휠 중 하나에는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한 지지부재에 의해 지탱된 전동축의 다른 단부 부근에서, 또 다른 톱니형 휠과 맞물리는 톱니형 휠을 갖는 전동축의 일단과 연결하기 위한 마찰 클러치 수단이 설치되며, 톱니형 휠의 스핀들은 한편에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에는 보편적인 연결부에 의해 또 다른 전동축과 연결된 이동가능한 지지부재 상에 장착되며, 또 다른 전동축은 보편적인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제 3 벤더 로울러와 회전하게 일체를 이룬 또 다른 스핀들에 차례로 연결되기 때문에, 벤딩머신의 기본 구조 위에 장착된 모듈러 부분에 의해 상기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로부터의 회전운동을 제 3 벤더 로울러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은 서로 대응하게 스루홀을 갖고, 상기 전동축과 상기 톱니형 툴의 스핀들은 회전툴에 대해서 회전운동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루홀 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은 추력 로울의 지지수단을 장착하기 위해, 삼각형 구조의 베이스가 2개의 고정된 벤더 로울러에 의해 제한되고, 삼각형 구조의 축이 제 3 벤더 로울러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 삼각형 구조의 2개의 측면 상에서 각각 3개의 홀 중 2개의 시리즈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은 벤딩헤드 상에 추력 로울에 대한 많은 경사진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스루홀이 추력 로울을 지지하는 단부 핀을 수용하도록 횡단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작은 실린더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스루홀을 그 각각이 길이방향으로 갖는 아이볼트형 지지부재를 갖는 추력 로울의 지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은 상기 일련의 홀 중 하나의 홀에 장착될 나사와 연결수단으로 추력 로울을 장착하도록 추력 로울에 대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헤드 내부에서 제 3 벤딩 로울러의 상기 지지 슬라이더의 위치를 그것의 안내부재를 따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제어 유니트와, 상기 모터 및 감소기어 유니트와, 제어 스위치보드를 구비하며, 축을 따라 위치를 코드화하도록 개조된 수단과, 상기 제어 스위치보드에 의해 설정된 명령의 엔트리 수단과, 벤딩 프로그램의 입력 및 저장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벤딩머신의 사시도,
도 2는 상기와 같은 벤딩머신에 의한 파이프의 굴곡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상기와 같은 벤딩머신에 의한 파이프의 굴곡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벤딩동작에 파이프를 준비하기 위해 개조된 성형툴이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의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센션바의 길이를 굴곡하기 위한 프레스용 벤딩 툴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 상에 장착될 수 있는 펀칭 툴의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추력 파이프 벤더 헤드의 정면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 상에 장착될 수 있는 드로잉 다이 또는 테이퍼된 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성형 툴에 의해 수행되었던 파이프 상의 벤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도 3에서의 성형 툴에 의해 수행된 파이프의 굴곡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통상의 방법으로 장착된 추력 로울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의 정면도,
도 6은 제 3 로울러에 수동으로 접근시키기 위한 감속기어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의 정면도,
도 7은 편심적으로 장착된 추력 로울을 갖고, 추력 로울에 대해서 조절가능한 지지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의 정면도,
도 7a는 도 7에서의 조절가능한 지지부재의 측면도,
도 8은 편심적으로 장착된 추력 로울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길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 대한 제어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의 선형 위치결정 시스템의 회로도,
도 12는 제 3 벤더 로울러의 선형 위치결정장치의 검출 시스템의 정면도,
도 13은 아래에서 본 검출 시스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0' : 주 측면
11,12,13 : 벤더 로울러 13' : 슬라이더
13'a : 안내부재 34 : 기압 실린더
우선, 도 3 및 도 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벤딩머신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벤딩머신의 정면을 나타내고, 도 9는 벤딩머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벤딩머신은 작업용 부재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10)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한 개의 정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 작업헤드의 정면부분에는 주 측면(10')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헤드는 3개의 벤더 로울러(11, 12, 13)를 포함한다. 2개의 로울러(11, 12)의 각각은 그것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3 로울러(13)는 수압 또는 기압 실린더(34)의 로드(34b)에 의해 수직 안내부재(13')를 따라 위치될 수 있는 슬라이더(13') 상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 몸체(34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헤드 아래에 배치되고, 즉 실린더 로드(34b)는 그것의 구동 추력을 위쪽으로 가한다.
이러한 주 측면(10') 상의 배열의 결과로서, 작업헤드 상의 표면 C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어 있다. 또, 이 표면 C는 2배 작용하는 수압 실린더(34)의 이동축에 의해 실린더 위에서 그리고 로드 추력의 방향으로 교차된다. 이 포지티브 추력은 벤딩머신에 장착되어 있는 툴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파이프 P를 사전에 굴곡하기 위한 성형 툴이 벤딩머신 상에 장착되어 있고, 파이프 단부 P', P''은 이미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툴은 여전히 파이프 단부 P'와 맞물려 있다. 일반적으로 참조번호(20)으로 표시되고, 작업표면 C 상에 장착된 툴은 실린더 로드(34b)에 의해 구동되는 다이(20a)와 고정된 카운터 다이(20b)를 구비하고, 이 양쪽 다이(20a, 20b)는 새들(saddle)형, 볼록형 및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이 툴에는 로드에 의해 적당한 인터페이스 연결수단(34b')를 통해서 실린더 로드(34b)의 위쪽으로 향하는 추력을 수용하는 다이가 제시되어 있고, 사전에 굴곡된 부분은 아래쪽으로 오목하다. 그러나, 로드의 끌어당김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아래쪽으로 작용하고, 기계 몸체와의 인터페이스를 방지하기 위해 위쪽으로 사전에 오목형태를 갖는 다이가 반전된 장착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4a를 참조하면, 도면에는 굴곡되어 있는 단부를 가진 파이프 P가 도시되어 있다. 3개의 벤더 로울러가 형성할 수 없는 단부 길이는 이미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가 둥근 형상으로 폐쇄될 때 단부 단면 P'a와 P"a가 결합한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를 참조하면, 도면에는 특히 벤딩 동작에 대하여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많은 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서는 섹션바의 길이를 굴곡하기 위해 개조되고, 인터페이스 연결수단(34b')를 통해서 실린더 로드(34b)에 의해 구동되는 펀치(21a)와, 다양하게 형성된 함몰부를 갖는 반대 다이(21b)를 구비하는 프레스용 벤딩 툴(2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추력을 수신하기 위해 실린더 로드(34b)를 가진 인터페이스 연결수단(34b')를 갖고, 플레이트(22e)를 접경한 스프링(22c)에 의해 스프링 챠치된 블랭크 홀더 플레이트(22d)를 관통하는 펀치(22a)를 구비하는 펀칭 툴(22)이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는 실린더 로드(34b)에 의해 인터페이스 연결수단(34b')을 통해서 구동되는 매트릭스(23a)와 2개의 날개부(23b') 상의 2개의 반작용 로울(23b)을 구비한 파이프 벤딩 추력 헤드(23)가 도시되어 있다. 도 3d에는 실린더 로드(34b)에 의해 인터페이스 연결부(34b')를 통해서 구동되는 다이(24a)와, 반대 다이(24b)를 구비한 드로잉 툴(24)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작업 표면 C상에 장착되고, 제 3 로울러에 근접하도록 개조되며, 톱니형 휠 R', R"와 적절한 기계적인 인터페이스 연결수단을 갖는 수동 감속 기어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 도면에는 작업헤드를 구동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이 부분은 모터와, 회전이동의 구동으로서 톱니형 휠(27')을 갖는 감속 기어장치(27)를 구비한다. 상기 톱니형 휠은 벤딩 로울러의 지지축과(12', 13'로 표시되어 있는 2개가 도시되어 있다)차례로 일체를 이룬 2개의 톱니형 휠(22로 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과 맞물린다.
톱니형 휠(22)을 지지하는 스핀들과 그것과 짝을 이룬 톱니형 휠은 지지부재(20)와 그것과 짝을 이룬 지지부재를 통해서 프레임(10) 상에 장착된다.
낮은 비용의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단지 2개의 전력 구동 벤더 로울러만으로 충분하여, 다른 구동 부재들은 필요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3개의 전력 구동 로울러, 즉 트레일러 로울러, 마디가 많지 않은 로울러가 반제품을 정확하게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흥미있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 3 로울러의 구동 부재가 부가되는 모듈러 구조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톱니형 휠(22)에는 마찰 클러치 수단(21)이 설치되고, 마찰 클러치 수단을 통해서 회전 이동의 전동축(23)의 일단은 톱니형 휠(22)에 연결되며, 또 다른 톱니형 휠(24)은 전동축(23)의 다른 단부 상에 지지되어 있다. 톱니형 휠(24)은 상기 축(23)과 병렬로 스핀들(25') 상에 장착되고, 제 3 로울러(13)가 그 위에 장착된 스핀들(13')과 차례로 일체를 이루어 또 다른 스핀들(13'a)에 일반적인 연결부(26')를 통해서 차례로 접속된 축(26)에 일반적인 연결부(26")을 통해서 접속된 톱니형 휠(25)과 맞물려 있다.
2개의 일반적인 연결부를 가진 구조에 의해, 제 3 로울러의 변위가능한 스핀들에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의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다.
축(23)과 스핀들(25')은 프레임(10) 상에 장착된 지지부재(18)에 의해 지탱된다.
스핀들(13'a)은 지지부재(19)를 통해서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 있어서, 이들 2개의 축에 대한 회전운동은 지지부재(18) 저편에서, 그리고 홀을 통해서 적당한 수단에 의해 프레임(10) 외부에서 끌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어 드라이브(26a, 23a)가 즉, 작업헤드와 반대의 부분에서 획득된다. 이들 드라이브는 회전툴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예를 들면 2개의 피메일/메일(female/male)의 원뿔 모양의 디버링 툴(deburring tool)(26a', 23a')이 도시되어 있다.
이 기계의 모듈러 구조에 의해, 제 3 로울러의 전력부는 특히 지지부재(18, 19, 20)에 차례로 용이하게 장착/분해된다.
수압 실린더(34)의 몸체와 탱크(32)를 가진 수압 제어 유니트(31)는 기계의 내부에 수용된다. 수압 실린더(34)는 와이어(29, 29')에 의해 전환밸브(30)와 차례로 연결된 제어 검사 밸브(28)와 연결된다. 전환밸브(30)와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27)는 와이어(30', 30", 27")에 의해 수압 제어 유니트(31)와 이하 상세히 설명될 제어 배전반 M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와이어(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작업헤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력 로울(14, 15)을 더 구비한다. 추력 로울(14, 15)의 단부는 지지부재(14', 14", 15', 15") 상에 장착되고, 여기서, 지지부재들은 핀(14'a, 14"a, 15'a, 15"a)을 통해서 각각 삽입된다.
그러나, 작업헤드에서, 추력 로울을 중앙에 장착하기 위해, 홀 F1, F2는 지지부재(14', 14", 15', 15")가 내부에 장착된 홀 사이의 중간에서 만들어진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도면에는 추력 로울이 어떻게 장착되는가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다. 추력 로울(15)과 비슷하게, 그들은 작은 휠(16', 17')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는 작업헤드(16, 17)의 정면으로부터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 위에 장착된 지지부재들을 갖는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추력 로울의 변형된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재(14', 14")는 일련의 스루홀이 설치된 작은 실린더(14'b, 14"b) 내부에 삽입되는 아이볼트(eyebolt)로서 형성된다. 추력 로울은 상기 작은 실린더의 홀 내부에 단부의 핀을 삽입함으로써 장착된다. 이와 같이, 단부의 핀이 예를 들면, 다수의 배치를 수행하면서 지지부재 외부에서 삽입될 수 있다. 도 7에서, 예를 들면, 단부 핀은 지지부재(14') 내에 삽입되고, 또 다른 핀은 지지부재(14") 외부에서 작은 실린더(14"b) 내에 삽입된다.
도 8에서, 추력 로울은 따로따로 경사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추력 로울(14)은 지지부재(14', 14")의 외부에서 단부를 각각 갖는 작은 실린더(14'b, 14"b)에 있어서 동일 지지부재의 축에 대해서 반대측에 장착된다. 비슷하게, 추력 로울(15)은 지지부재(15', 15")의 축에 대하여 방위적으로 그것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다.
도 7a에서, 추력 로울에 대한 변형된 지지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장착용 나사(31)와, 추력 로울(33) 및 추력 로울을 관통하는 조절가능한 나사(34') 상에, L자형 바에 대한 추력 로울(33)과 수직하게 장착된 또 다른 추력 로울(34)을 지지하기 위해 개조된 연결소자(32)를 구비한다. 나사(34')는 추력 로울(34)을 전방/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너트(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추력 로울(34)은 그것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를 더 갖는다. 지지부재(30)는 홀 F2 내부에서 선회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상술한 제어 배전반 M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액정표시장치(40)와, 작은 키보드(41)와, 2개의 푸쉬버튼(42, 43)을 구비하는데, 한 개의 버튼은 초기 위치("IN POSITION")용이고, 또 다른 버튼은 벤딩모드("ROLLING MODE")용이다. 작은 키보드(41)는 엔터키("ENTER")(41b)와 메뉴키("MENU")(41c)와 종료키("ESC")(41d)뿐만 아니라, 상방향("UP/-")(41a)와 하방향("DOWN/+")(41e)의 슬라이딩 키를 포함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도면에서는 제어 배전반의 회로 구성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제 3 벤더 로울러가 그 위에 장착된 슬라이더의 선형 변위를 잘 제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면에서는 상기 선형 위치결정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된 검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주 측면(67)을 갖는 벤딩머신 상에 설치된 검출 시스템은 제 3 로울러의 선형 변위에 대한 움직임 센터에 접속된 광전 카운터를 구비한다. 그러한 움직임 센서는 그것의 수직측으로 제 3 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 슬라이더(68)와 일체를 이룬 선반(65)을 구비한다. 이 선반(65)은 지지부재(64) 상에서 선회하는 스프로켓 휠(63)과 맞물린다. 스프로켓 휠(63)은 그 위에 배치된 슬릿 디스크(slit disk)(61)와 일체를 이룬다. 슬릿 디스크(61)에는 주위를 둘러싸게 슬릿이 설치되고, 예를 들면 75개의 슬릿이 설치되고, 선반 스프로켓 휠부에 의해 회전한다. 이 검출 시스템의 광전 카운터는 포크(fork)(62) 내에 배치된 2개의 포토스위치를 구비하고, 슬릿 디스크(61)는 포크(62)의 갭을 통과한다. 선반(65)은 3mm의 피치로 포토에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검출 시스템의 감도는 슬릿 디스크의 슬릿수(예를 들어, 그것을 150개의 슬릿으로 두배 증가시킨다)를 증가시킴으로써 소망한 대로 높게 될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슬라이더는 68로 표시되고, 슬라이더 안내부재는 벤딩 헤드에서 68'로 표시되며, 쉐이빙 플레이트(shaving plate)는 66으로 표시되고, 그것의 고정 나사는 66'으로 표시된다.
상술한 시스템은 선형 변위의 카운터이다.
포크(62)의 갭 내의 빛이 슬릿 디스크(61)의 회전 중에 차단되면, 구적법의 2개의 위상은 예를 들면 10mm의 정밀도로 전방/후방을 카운트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생성된다. 수행될 굴곡이 크면 클수록 필요한 정밀도는 더 크다.
도 11a 내지 도 11d에서의 보드는 전력공급을 위한 입력 EC2 8, 위상 2를 위한 EC2 7, 위상 1에 대한 EC2 6, 접지에 대한 EC2 5를 가진 축 X대한 인코더의 부분(50)과, 리턴 명령에 대한 입력 EC2 1, 곡선 명령에 대한 EC2 2, 접지에 대한 EC2 3을 갖는 마이크로스위치와 풋 제어(foot control)의 부분(51)과, 중앙처리장치(CPU)(52') 예를 들어 ST6265를 구비하는 마이크로프로그램된 부분(52)과, 상기 키를 입력으로서 갖는 오퍼레이터 스위치 보드의 부분(53)과, 곡선출력에 대한 출력 EC1 5, 리턴 출력에 대한 EC1 6, 다운스트로크(downstroke)의 출력에 대한 EC1 8 및 업스트로크의 출력에 대한 EC1 9를 갖는 출력 단면(54)과, 전력공급 및 LED의 부분(55)과, 디스플레이 부분(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분(50)은 출력(50'3)이 CPU(52')의 NMI(Not Maskable Interrupt)의 입력에 접속되는 비교회로(50')를 구비한다. 출력(50'3)은 EC2 6 또는 EC2 7과 대응하여 위상 변동이 있는 경우에 리셋한다. 이것은 CPU의 NMI 핀에서 상태변동에 대한 NMI을 생성한다. 인터럽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새로운 위치가 프로세스되어, 비교회로(50')의 입력에서의 구성이 위상의 새로운 변동을 검출하기 위해 갱신된다.
회로 다이어그램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전자보드는 아래의 기능들, 즉
- 제 3 벤더 로울러, 즉 곡선 로울러의 축의 업/다운 변동,
- 오른쪽으로의 벤딩 동작,
- 왼쪽으로의 벤딩 동작
이러한 기능들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스위치보드와 관련하여, 4개의 키 "UP/-", "ENTER", "DOWN/+" 및 "MENU/ESC"로 관리하는 식으로 프로그램된다.
시스템이 ON이면, 메시지 "ERCOLINA RC-100" 및 "VER [일-월-년]"와 실행 메시지 "RUN"가 표시된다. 그 후, "ENTER" 키를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3)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ESC"키를 눌러 블록으로부터 빠져 나와서 "RUN"으로 되돌아간다. "MENU" 키를 누르면, "EDIT"를 표시하게 되고, 그것으로부터 "ENTER"키를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2)으로 이동하고, 그것으로부터 "ESC"를 통해서 "EDIT"로 빠져나온다. "EDIT"로부터 "MENU"를 누르면, 참조 포인트 "SET REF. POINT"를 설정하는 옵션으로 이동하고, 그것으로부터 "ENTER" 키를 누르면 아래에 기술할 블록(1)으로 이동하며, 그것으로부터 "ESC"를 통해서 빠져나온다. "SET REF. POINT"로부터 "MENU" 키를 누르면 "RUN"으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3)은 "RUN Z"을 표시함으로써 시작하고, 그것으로부터 "ENTER" 키를 누르면, "RUN z Syy"을 표시하게 되며, 그것으로부터 "ENTER" 키를 누르면, "RUN z Syy xxx.x"로 이동한다. 상술한 마지막 3개의 모든 디스플레이로부터 "ESC"을 눌러 "RUN"으로 빠져 나온다. "RUN z"으로부터 "+"키를 누르면, 프로그램 수(z)는 증가한다. 그 대신에 "-"키를 누르면, 프로그램 수(z)는 감소한다. 반대로, "RUN z Syy"로부터 "+"키를 누르면, 스텝 수(yy)는 증가하고, "-"키를 누르면, 스텝수(yy)는 감소한다. "RUN z Syy xxx.x"로부터 "ENTER" 키를 누르면, 아래에 기술될 블록(4)으로 이동하고, "DOWN" 키를 누르면, 제 3 벤더 로울러의 축은 아래쪽으로 설정 높이까지 이동한다(도달될 높이가 현 위치 아래에 있는 경우에만). 그 대신에 "UP" 키를 누르면, 제 3 벤더 로울러의 축을 설정 높이까지 위쪽으로 이동한다(도달될 높이가 현 위치 위에 있는 경우에만). 반대로, 기계의 수압 유니트에 접속된 풋 제어(미도시)를 누르면, 제 3 벤더 로울러의 축은 도달될 높이쪽으로 이동되고, 그 방향이 아래쪽에 있고, 프로그램에서의 제 1 스텝에 있지 않으면(제품에 접근),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교대로 벤딩 또는 롤링 동작을 행하지만, 곡선 로울러의 축의 변위 높이를 설정하기 쉽다. 설정 높이가 도달되었을 때, "ESC"키를 누르지 않고 빠져 나오면, "ENTER" 키를 눌렀을 때 블록(4)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풋 제어를 눌렀을 때 오른쪽, 왼쪽으로의 롤링 혹은 벤딩 동작이 교대로 수행된다. 키 혹은 풋 제어를 해제하면, "RUN z Syy xxx.x"로 되돌아간다.
블록(4)은 디스플레이 "RUN z Syy xxx.x"을 제시한다. "ENTER"키를 누르면, 프로그램 z 스텝 y로 표시된 좌표는 영구적인 메모리 내에 저장되고, "+"키를 누르면 프로그램 수(z)는 감소하고, "-"키를 누르면 스텝수(yy)도 감소한다. 키를 해제하면, 디스플레이 "RUN z Syy xxx.x"로 되돌아간다.
블록(2)은 디스플레이 "EDIT z"로 시작하고, "ENTER"를 누르면, "EDIT.z Syy"로 이동하고, "ENTER"키를 누르면, "EDIT.z Syy xxx.x"로 이동한다. 이들 3개의 모든 디스플레이로부터 "ESC"를 누르면, 종래의 디스플레이로 빠져 나온다. "EDIT z"로부터 "+"키를 누르면, 프로그램 수(z)는 증가하고, "-"키를 누르면, 프로그램수(z)는 감소한다. "EDIT. z Syy"로부터 "+"를 누르면, 스텝수는 증가하고, "-"키를 누르면, 스텝수는 감소한다. "EDIT. z Syy xxx.x"로부터 "ENTER"키를 누르면, 프로그램 z 스텝 yy로 표시된 좌표는 영구적인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EDIT. z Syy로 되돌아간다. "+"키를 누르면, 좌표(xxx.x)는 증가하고, "-"키를 누르면, 좌표(xxx.x)는 감소한다.
블록(1)은 디스플레이 "Ref. mm xxx.x"를 제시하고, 그것으로부터 "ENTER"를 누르면, 표시된 측정값(제 3 벤더 로울러의 축의 참조 포인트)이 리세트되고, 풋 제어를 누르면,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의 롤링 동작은 교대로 수행되며, "DOWN"키를 누르면, 제 3 벤더 로울러의 축은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UP"키를 누르면, 제 3 벤더 로울러의 축은 위쪽으로 이동된다. 키 혹은 풋 제어를 해제하면, 디스플레이로 복귀한다. "ESC"를 누르면 빠져 나온다.
본 발명은 그것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변형, 추가 및/또는 생략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위해 한정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딩머신에 있어서, 구동 유니트는 동일 벤딩머신 외부에서 툴을 작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벤딩머신의 주 측면에 설치된 선반 위에서 툴을 지탱하고, 수압 또는 기압 또는 올레오다이나믹 실린더의 로드의 포지티브 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툴을 작동시킬 수 있다는 데에 그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주 측면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주 측면에서 3개의 벤드로울러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벤더 로울러중 2개는 고정 회전축을 가지고,
    수직의 직선형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 상에 장착되고, 수직으로 변위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다른 1개의 로울러로 구성된 3개의 벤더 로울러를 포함하는 벤딩헤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벤더 로울러를 구동하는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와,
    추력 로울러와,
    상기 벤딩헤드 아래의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된 실린더 몸체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를 변위시키는 구동로드를 갖는 복동식 실린더와,
    상기 작업헤드 위의 상기 복동식 실린더에 동축의 개구부가 설치되는 작업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표면 상에서 상기 복동식 실린더에 의해 구동된 툴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벤딩헤드 위의 상기 주 측면 상의 상기 작업표면에서 상기 복동식 실린더의 로드의 추진력/인력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다이 및 카운트 다이를 포함하는 기계적 작업툴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이와 카운터 다이 중 하나에는 상기 개방된 작업표면 위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 상기 복동식 실린더의 추진력/인력을 받도록 이용된 수단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는 톱니형 휠 중 하나를 고정된 벤더 로울러의 축과 회전하게 일체를 이룬 2개의 톱니형 휠과 맞물려서 2개의 고정된 벤더 로울러를 구동하고,
    상기 톱니형 휠 중 하나는 고정된 벤더 로울러의 축과 회전하게 일체로 되고, 제1 전동축의 일 단에 상기 하나의 톱니형 휠을 접속하기위한 클러치 수단이 설치되며, 제1 전동축은 그 부근 가까이에 상기 프레임에 제거가능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단을 가지고, 톱니형 휠은 또 다른 톱니형 휠과 맞물리며, 그 스핀들은 상기 프레임에 접속되는 제거가능한 지지부재상에 장착되고, 제2 전동축에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제 2 전동축은 상기 모터 및 감속기어 유니트로부터의 회전운동을 제 3 벤딩로울러에 전송하도록 유니버설 조인트를 상기 제 3 벤더 로울러와 회전하게 일체를 이룬 또 다른 스핀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은 대응의 관통공을 갖고, 상기 전동축 및 톱니형 휠의 상기 스핀들은 툴에 대해서 회전운동을 구동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관통공 내부에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6. 제 1 항에 있어서,
    추력 로울의 지지수단을 장착하기 위해, 삼각형 구조의 베이스는 2개의 고정된 벤더 로울러에 의해 규정되고, 삼각형 구조의 장점은 제 3 벤더 로울러에 의해 규정 되도록 구성된 삼각형 구조의 2변 위에 각각 3개의 홀 중 2개의 열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열의 홀중 2홀에 장착되는 아이볼트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추력 로울의 지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8. 제 7 항에 있어서, 벤딩헤드 상의 추력 로울에 대해서 많은 경사진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추력 로울을 지지하는 단부 핀을 수용하도록 횡방향으로 스루홀이 그 내부에 형성되는 작은 실린더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스루홀을 각각이 길이방향으로 갖는 아이볼트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추력 로울의 지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홀 중 하나에 장착될 나사와 연결수단으로 추력 로울을 장착하도록 추력 로울에 대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머신.
KR1019980018524A 1997-05-23 1998-05-22 모듈러다목적벤딩머신및그것의선형위치결정시스템 KR100270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M97A000310 1997-05-23
IT97RM000310A IT1296311B1 (it) 1997-05-23 1997-05-23 Centrinatrice modulare multifunzionale e sistema di posizionamento lineare per ess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301A KR19980087301A (ko) 1998-12-05
KR100270759B1 true KR100270759B1 (ko) 2000-12-01

Family

ID=1140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524A KR100270759B1 (ko) 1997-05-23 1998-05-22 모듈러다목적벤딩머신및그것의선형위치결정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5970770A (ko)
EP (2) EP0879655B1 (ko)
JP (1) JP3177216B2 (ko)
KR (1) KR100270759B1 (ko)
CN (1) CN1131744C (ko)
AR (1) AR012227A1 (ko)
AT (2) ATE324198T1 (ko)
BR (1) BR9803336A (ko)
CA (1) CA2238159C (ko)
DE (2) DE69834356T2 (ko)
ES (2) ES2260712T3 (ko)
IT (1) IT1296311B1 (ko)
TW (1) TW4216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13B1 (ko) * 2010-11-03 2013-10-21 주식회사 우진정공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66723B1 (es) * 2000-07-24 2005-02-16 Joan Roig Habiba Maquina para el curvado de tubos, vigas y perfiles.
ATE308392T1 (de) 2001-07-18 2005-11-15 Cml Int Spa Biegemaschine mit einem steuerungselement zur verhinderung der verdrehung des externen flansches eines profils während des biegens
WO2003008126A1 (en) * 2001-07-18 2003-01-30 Cml International S.P.A A hydraulic circuit for linearly driving a movable roller-holder slider of a pipe bending machine
AU2002341380A1 (en) * 2002-09-13 2004-04-30 Arvind Vasudev Marathe Roll bending machine
KR100668095B1 (ko) * 2003-02-28 2007-01-15 씨엠엘 인터내셔널 에스. 피. 에이. 공작기계 슬라이더를 양방향으로 선형 구동하는 유압회로
KR100755606B1 (ko) * 2004-08-04 2007-09-0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장애물 감지장치
ES2277530B1 (es) * 2005-08-10 2008-06-16 Juan Aragon Real Curvadora de perfiles de un solo motor.
US7213431B1 (en) * 2006-02-01 2007-05-08 Evergreat Intl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uminum alloy wheel
RS964U (sr) * 2007-12-04 2008-08-07 Uroš Turanjanin Mašina za savijanje aluminijumskih i pvc profila
US8006534B1 (en) 2010-08-04 2011-08-30 Du-Bro Products, Inc. Wire or rod bender
CN101934313A (zh) * 2010-09-09 2011-01-05 吉林麦达斯铝业有限公司 轨道列车用大型铝型材数控拉伸弯曲成型机
KR101117113B1 (ko) 2011-09-28 2012-02-23 (주)예기 보일러용 판넬 튜브 벤딩기
ITRM20110557A1 (it) * 2011-10-24 2013-04-25 Cml Int Spa Macchina curvatrice per curvare a elica un elemento allungato
KR101183592B1 (ko) 2012-02-20 2012-09-17 권영인 곡면판 성형 가이드장치
CN102950179A (zh) * 2012-12-03 2013-03-06 中煤第六十八工程有限公司 钢管弯曲机
CN103447361A (zh) * 2013-01-16 2013-12-18 无锡肯克重工设备有限公司 一种简易式折弯管装置
JP5976594B2 (ja) * 2013-04-25 2016-08-23 株式会社サン機工 ベンダー
CN103344903B (zh) * 2013-06-15 2015-10-28 浙江大学 一种高时空分辨率的神经芯片测量装置
CN103658256A (zh) * 2013-11-19 2014-03-26 国网安徽来安县供电有限责任公司 便携式铝排折弯机
CN103920775B (zh) * 2014-04-14 2016-01-27 刘锦刚 一种直线型加热炉炉管的弯曲工艺
CN103920770B (zh) * 2014-04-14 2016-01-27 吴扬华 一种直线型加热炉炉管的弯曲工艺
CN103920776B (zh) * 2014-04-14 2016-02-24 吴刚 一种直线型加热炉炉管的弯曲工艺
CN104624751A (zh) * 2014-12-16 2015-05-20 天津市诚田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环形金属圈生产装置
CN104772409B (zh) * 2015-04-30 2016-06-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可夜间工作的输送电力用电缆的弯曲设备及其弯曲方法
US10512961B2 (en) * 2016-11-11 2019-12-24 Mega Manufacturing, Inc. Plate roll bending machine with distributed hydraulic system
CN106311833A (zh) * 2016-11-17 2017-01-11 湖北鸿路钢结构有限公司 一种型材型弯机
CN106975706A (zh) * 2017-02-28 2017-07-25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一种电动液压冷弯管机
IT201800010409A1 (it) * 2018-11-16 2020-05-16 Cml Int S P A Macchina per curvare un pezzo allungato senza formazione di grinze
CN110773607A (zh) * 2019-09-18 2020-02-11 西安科技成果转化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五金机械加工折弯装置
CN110509036A (zh) * 2019-09-25 2019-11-29 陈新泉 立式悬型水轮发电机推力头快速分解方法
CN112828213B (zh) * 2020-12-31 2022-09-23 刘露 一种手镯加工用智能弯折模具及手镯加工方法
CN113319167B (zh) * 2021-06-07 2023-05-05 河北腾耀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金属建材折弯设备
KR102621746B1 (ko) * 2021-08-11 2024-01-04 권민수 곡면판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498A (en) * 1873-02-04 Improvement in tire-benders
US1319503A (en) * 1919-10-21 Xuniversal w wiring-machine
US1743418A (en) * 1927-10-03 1930-01-14 Buffalo Forge Co Bending machine
US1942992A (en) * 1929-04-10 1934-01-09 Buffalo Forge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bending metal bars
US2335028A (en) * 1942-05-05 1943-11-23 Bardwell & Mcalister Pinch type bending roll
US3540249A (en) * 1967-12-13 1970-11-17 James L Sawyer Apparatus for shaping pliable workpieces
DE1928333C3 (de) * 1969-06-03 1978-06-01 Bochumer Eisenhuette Heintzmann Gmbh & Co, 4630 Bochum Biege- und Richtmaschine für Stangenprofile
US3724256A (en) * 1970-08-20 1973-04-03 A Kroetch Tube bender and cutter
US4030335A (en) * 1975-03-13 1977-06-21 Walter Allenspach Multi-function metal-working machine
US4164133A (en) * 1975-11-21 1979-08-14 Holland Mechanics B.V. Apparatus for forming circularly bent articles from a straight metal profiled strip
US4232540A (en) * 1979-03-19 1980-11-11 Cain Jack C Controlled variable radius roll forming apparatus
IT1135968B (it) * 1980-02-20 1986-08-27 Schmitz Peter Unic Alufer Dispositivo per il taglio,la piegatura a rotazione e la piegatura a pressione di lamiere e simili
DE8430228U1 (ko) * 1984-10-13 1987-11-05 Thoman, Franz, 7814 Breisach, De
DE3505739A1 (de) * 1985-02-20 1986-08-21 Th. Kieserling & Albrecht Gmbh & Co, 5650 Solingen Vorrichtung zum rundbiegen von konischen draehten
US5431035A (en) * 1993-03-10 1995-07-11 Sheen; Reen Y. Hydraulic pipe bender of large dimension
JPH0819831A (ja) * 1994-07-04 1996-01-23 Nikko Youzai Kogyo Kk 突き合わせ溶接用インサートリング製造装置
DE29519048U1 (de) * 1995-03-10 1996-01-25 Rasi Maschinenbau U Handels Gm Universalbiege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13B1 (ko) * 2010-11-03 2013-10-21 주식회사 우진정공 부스바 절곡가공기의 회전운동 변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5212D1 (de) 2004-09-02
DE69834356T2 (de) 2007-04-19
EP0879655A3 (en) 2002-01-16
CA2238159C (en) 2002-12-10
ATE271940T1 (de) 2004-08-15
CN1202399A (zh) 1998-12-23
ES2226089T3 (es) 2005-03-16
JP3177216B2 (ja) 2001-06-18
CA2238159A1 (en) 1998-11-23
CN1131744C (zh) 2003-12-24
BR9803336A (pt) 1999-11-03
ITRM970310A1 (it) 1998-11-23
ES2260712T3 (es) 2006-11-01
AR012227A1 (es) 2000-09-27
EP0879655A2 (en) 1998-11-25
EP1466678B1 (en) 2006-04-26
IT1296311B1 (it) 1999-06-25
US5970770A (en) 1999-10-26
US6173598B1 (en) 2001-01-16
DE69825212T2 (de) 2005-08-11
KR19980087301A (ko) 1998-12-05
JPH1110240A (ja) 1999-01-19
TW421612B (en) 2001-02-11
EP1466678A3 (en) 2004-10-20
DE69834356D1 (de) 2006-06-01
EP1466678A2 (en) 2004-10-13
ITRM970310A0 (ko) 1997-05-23
EP0879655B1 (en) 2004-07-28
ATE324198T1 (de)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759B1 (ko) 모듈러다목적벤딩머신및그것의선형위치결정시스템
KR100304814B1 (ko) 파이프또는섹션바아를일정한곡률과가변곡률로벤딩하는만능벤딩장치
EP0445081A2 (en) Pipe bending machine with cantilevered bending head, with interchangeable multifunction tool, and being programmable by means of a computerized unit
CN105081141A (zh) 一种数控板筋机
JPH06182592A (ja) プレス機械のストロ−ク作動機構及びその作動制御方法
CN204912608U (zh) 一种数控板筋机
CN213591620U (zh) 自动弯折线机
CN216828065U (zh) 一种电机、液压驱动的型材折弯机
CN218693109U (zh) 适用于机箱侧板的冲压整形模具
CN217290268U (zh) 一种精密伺服旋铆设备
JP3807495B2 (ja) 電動サーボプレスのモーション設定方法
CN218080671U (zh) 一种金属制品切边装置
CN214442105U (zh) 一种安全全自动可拆卸弯管机
CN218395702U (zh) 一种钢筋折弯机
MXPA98004067A (en) Modular multiple function flexing machine and its positioning system lin
CN214491712U (zh) 通用型伺服电动压机
CN215092296U (zh) 一种传动模组的螺杆传动装置
CN214133710U (zh) 一种压铸具制造用安全性能好的冲压床
MXPA98006995A (en) Universal machine to fold tubes or sections of bars to fixed curvatures or variab
CN117066317A (zh) 一种自定义长度的金属板材弯折剪切设备
CN2127893Y (zh) 电动多功能铝排机
JPH03182917A (ja) クラ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