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946B1 -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946B1
KR100263946B1 KR1019970016507A KR19970016507A KR100263946B1 KR 100263946 B1 KR100263946 B1 KR 100263946B1 KR 1019970016507 A KR1019970016507 A KR 1019970016507A KR 19970016507 A KR19970016507 A KR 19970016507A KR 100263946 B1 KR100263946 B1 KR 10026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cushion
magnet
vehicl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8876A (ko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1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94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하면 상에 장착되어 트렁크 리드의 폐쇄시에 트렁크 리드와 차체의 접촉면이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충격을 흡수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충돌 방지 및 충격 흡수 기능은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의 하면상에 장착되는 상부 쿠션과; 상부 쿠션에 대응되는 차체에 장착되며, 트렁크 리드의 폐쇄시에 상부 쿠션이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 쿠션과; 상부 쿠션의 몸체부 내에 일체로 장착된 제 1 자석과; 하부 쿠션의 내부에 일체로 장착된 제 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의 대향면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하면 상에 장착되어 트렁크 리드의 폐쇄시에 트렁크 리드와 차체의 접촉면이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충격을 흡수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는 차체의 후방에 트렁크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트렁크 부분은 예비 타이어 및 공구와 그 밖의 여러 가지 짐을 싣기 위한 곳으로,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트렁크 룸내에는 공구나 스페어 타이어 등을 놓을 수 있는 또 다른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어 그 곳에 스페어 타이어와 잭 및 기타 공구를 차체와 결합시킨 후 커버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트렁크부의 상단에는 트렁크 룸을 개폐시키기 위한 트렁크 리드가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플로어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비상시를 대비한 스페어 타이어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스페어 타이어를 비치하여 두었다가 주행중인 타이어에 펑크등과 같은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언제든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트렁크부에는 차체에 힌지 가능하게 부착된 트렁크 리드가 설치되어 트렁크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되며, 이 때 트렁크 리드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트렁크 리드의 힌지부에 밸런스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스테이 댐퍼를 장착시키게 된다.
또한, 트렁크 리드의 하면 상에는 트렁크 리드의 폐쇄시에 리드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며, 차체와 트렁크 리드가 직접적으로 부딪치므로써 차체나 트렁크 리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 쿠션이 설치된다.
제1도에는 이러한 러버 쿠션(1)의 종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버 쿠션(1)은 트렁크 리드(2)의 하면부 상에 장착되며,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두 원뿔체 형상의 몸체부(3)와, 몸체부(3)의 후면부 상에 형성된 그로매트 형상의 장착부(4)로 구성되어, 트렁크 리드(2)의 폐쇄시에 러버 쿠션(1)의 몸체부(3)가 차체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러버 쿠션은, 상술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의 폐쇄시에 트렁크 리드의 하면이 차체와 직접적으로 부딪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차체와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만을 갖기 때문에,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 리드의 개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리턴 스프링을 장착시켜 트렁크 리드의 록킹장치가 해제됨과 동시에 리드부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부품의 수가 증대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기 러버 쿠션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의 충돌 방지 및 충격 흡수 기능은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트렁크 리드 하면 상에 고정되는 러버 쿠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 쿠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상부 쿠션의 측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하부 쿠션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러버 쿠션 2 : 트렁크 리드
3 : 몸체부 4 : 장착부
5 : 상부 쿠션 6 : 하부 쿠션
7 : 플랜지부 8 : 돌기부
9 : 관통구멍 11 :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의 하면상에 장착되는 상부 쿠션과; 상부 쿠션에 대응되는 차체에 장착되며, 트렁크 리드의 폐쇄시에 상부 쿠션이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 쿠션과; 상부 쿠션의 몸체부 내에 일체로 장착된 제 1 자석과; 하부 쿠션의 내부에 일체로 장착된 제 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의 대향면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쿠션의 후면부에는 볼트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러버 쿠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상부 쿠션의 측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하부 쿠션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러버 쿠션을 트렁크 리드의 하면 상에 장착되는 상부 쿠션과 이에 대응하는 차체에 장착되는 하부 쿠션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각각의 쿠션부 내에 서로 같은 극성을 같는 자석을 내장시키므로써 록킹장치의 해제시에 트렁크 리드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하므로써 트렁크 리드의 개방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러버 쿠션은 트렁크 리드(2)의 하면상에 장착되는 상부 쿠션(5)과, 상부 쿠션(5)에 대응되는 차체에 장착되는 하부 쿠션(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쿠션(5)은 트렁크 리드(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이에 대응하는 하부 쿠션(6)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한쪽 단부만이 외부와 개방되고, 이러한 개방 단부의 외주면 상에는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7)가 형성되며, 원통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돌기부(8)가 형성되어 차체에 형성된 관통구멍(9) 내에 삽입 장착된다.
따라서, 트렁크 리드(2)의 폐쇄시에 상부 쿠션(5)의 연장부는 하부 쿠션(6)의 개방 단부를 통해 하부 쿠션(6)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쿠션(5)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로 이루어진 몸체부(10)와, 몸체부(10) 내에 머리부가 삽입된 볼트(11)로 구성되며, 몸체부(10)의 내부에는 제 1 자석(12)이 내장되어, 상기 볼트(11)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2)의 하면상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쿠션(6)의 내부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자석(13)이 장착되어 있으며, 트렁크 리드(2)의 폐쇄시에 상기 제 1 자석(12)과 제 2 자석(13)의 대향면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트렁크의 폐쇄시 상기 상부 쿠션(5)이 하부 쿠션(6)에 결합되면서, 트렁크 리드(2)와 차체가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서로간의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고, 또한, 트렁크 리드(2)의 개방시에는 제 1 및 제 2 자석(12,13)의 반발력에 의하여 트렁크 리드(2)가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에 의하면, 기존의 러버 쿠션을 트렁크 리드에 부착되는 상부 쿠션과 차체에 부착되는 하부 쿠션을 분할하고 각각의 쿠션부 내에는 자석을 장착하여 서로 같은 극성이 대향되도록 하므로써 기존의 직접적인 충돌 방지 및 충격 완화 기능 이외에 트렁크 리드의 개방을 촉진시키는 리턴 스프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써 부품부를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트렁크 리드의 하면상에 장착되는 상부 쿠션과; 상부 쿠션에 대응되는 차체에 장착되며, 트렁크 리드의 폐쇄시에 상부 쿠션이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 쿠션과; 상부 쿠션의 몸체부 내에 일체로 장착된 제 1 자석과; 하부 쿠션의 내부에 일체로 장착된 제 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의 대향면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쿠션의 후면부에는 볼트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KR1019970016507A 1997-04-30 1997-04-30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KR10026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07A KR100263946B1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07A KR100263946B1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876A KR19980078876A (ko) 1998-11-25
KR100263946B1 true KR100263946B1 (ko) 2000-08-16

Family

ID=1950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507A KR100263946B1 (ko) 1997-04-30 1997-04-30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1862A (zh) * 2012-11-15 2014-05-2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橡胶缓冲器
CN106335556B (zh) * 2016-09-27 2018-09-04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缓冲结构及汽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1862A (zh) * 2012-11-15 2014-05-2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橡胶缓冲器
CN106335556B (zh) * 2016-09-27 2018-09-04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缓冲结构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876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946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러버 쿠션 구조
KR0132628Y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20030027913A (ko) 자동차용 충격흡수장치
KR0131770Y1 (ko) 헤치백(Hatchback) 차량의 뒷문 충격 흡수용 범퍼의 체결구조
KR19980066693U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의 완충 장치
KR200153383Y1 (ko) 차량용 후드 오버슬램 범퍼
KR100256540B1 (ko) 리어범퍼의 보강재 결합장치
KR19980038817U (ko) 지프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스톱퍼 구조
KR19990010682U (ko) 자동차의 후드 충격 흡수구조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KR19980021898A (ko) 차체의 측면 충격 흡수용 실 사이드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0158810B1 (ko) 해치 백 도어의 완충구조
KR19980055518A (ko) 짚차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200228019Y1 (ko) 도어의 암 레스트 구조
KR0138068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19980068125U (ko) 충격흡수용 도어 스트라이커
KR0130302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 바
KR0116010Y1 (ko) 충격흡수를 위한 구조의 도어용 아암레스트
KR19980024262U (ko) 충격흡수 및 조립성을 고려한 자동차용 러버댐퍼
KR200344743Y1 (ko) 자동차용 범퍼
KR19980062945A (ko) 짚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