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689B1 - 변조방법, 변조장치 및 복조장치 - Google Patents

변조방법, 변조장치 및 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689B1
KR100263689B1 KR1019930023850A KR930023850A KR100263689B1 KR 100263689 B1 KR100263689 B1 KR 100263689B1 KR 1019930023850 A KR1019930023850 A KR 1019930023850A KR 930023850 A KR930023850 A KR 930023850A KR 100263689 B1 KR100263689 B1 KR 10026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it
modulation
code
cod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366A (ko
Inventor
히로유끼 이노
다까시 사또
도시유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1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6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binary codes
    • H04L25/4915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binary codes using pattern inversion or substitu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구성〉 부호화 회로(11)는 입력 데이타 계열을 전송에 적합한 부호계열 A에 변환한다. 패턴 발생 회로(12)는 소정의 길이의 패턴을 변조부호의 저역 컷오프 주파수에 반비례한 소정간격으로 발생한다. 패턴 삽입 회로(13)는 부호계열 A에 패턴을 소정간격으로 삽입한다. 변조 회로(14)는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 B를 NRZI변조해서 출력한다. 타이밍 관리회로(15)는 패턴 삽입 회로(13)등을 제어한다.
〈효과〉 삽이반 패턴에 의해서 변조 부호의 DSV를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리던던시의 증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지하고 전송계가 요구하는 시방에 DSV 제어 특성을 적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변조 방법,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조 장치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상기 변조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
제3도는 (4, 22; 2, 5; 5)부호를 채용했을 때의 변조 부호의 저역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RLL(2, 7) 변조를 채용했을 때의 변조 부호의 저역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복조 장치 주요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상기 변조 장치를 구성하는 패턴 발생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부호화 회로 12 : 패턴 발생 회로
12a : DsV 계산 회로 12b : 직전.직후 비트 처리 회로
12c : 패턴 결정 회로 13 : 패턴 삽입 회로
14 : 변조 회로 15 : 타이밍 관리 회로
21 : 복조 회로 22 : 패턴 제거 회로
23 : 복호화 회로 25 : 타이밍 관리 회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변조 방법, 장치 및 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전송(기록)에 적합한 변조를 실시한 변조 부호의 DSV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예컨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데이타 전송(기록)에 적합한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지는 변조부호를 전송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재생시에서 예컨대, 재생 신호를 이진화(디지틀화)할대의 기준 레벨의 요동에 기인한 에러가 발생치 않게 하기 위해서 또는 예컨대 디스크장치의 소위 서보 제어에서의 트래킹 에러 신호등의 각종의 에러 신호에 변동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선 변조 부호에 직류 성분이 포함되지 않게할 것이 필요하다.
데이타의 심볼 1, 0을 각각 +1, -1로 하고 변조부호 계열의 개서점부터의 심볼의 총합인 소위 DSV(Digital Sum Value)는 상술의 직류 성분 평가의 가늠이며 DSV의 절대값이 작으면 직류 성분 또는 저역 성분이 적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에서 채용되어 있는 8-10 변환, 컴팩트 디스크(CD)플레이어에서 채용되어 있는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자기 디스크 장치에 채용되어 있는 Miller2(Miller square)등의 변조에선 예컨대 소위 마크간(Mark position) 변조인 NRZ(Non Return to Zero)나 마크 길이(Mark length) 변조인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ed)를 실시한 후의 DSV의 절대값을 작게하는 DSV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환언하면 이들 변조에선 DSV 제어 특성이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있으며 DSV 제어 특성을 전송계(또는 기록계와 재생계)가 요구하는 시방에 적합시키는 것이 곤란했었다. 예컨대 전송계의 시방을 만족하지 않거나 역으로 전송계의 시방 이상의 DSV 제어 특성을 갖는 즉, 여분인 용장성을 갖게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부호, 예컨대 0의 최소 런(Run)을 d로 하고 최대 런을 k로 하는 소위(d, k; m, n; r) 부호(r=1인때 고정길이부호, r=1인때 가변길이부호)에선 DSV제어는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상술한 직류 성분에 기인한 에러가 발생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똬, DSV 제어 특성을 고려한 부호 설계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약 항목이 증가하고 용장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DSV 제어가 고려되어 있지 않는 부호에 대해서 용장도의 증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전송계가 요구하는 시방에 적합한 DSV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변조 방법, 변조 장치 및 복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1의 변조 방법은 부호계열에 소정 길이의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2의 변조 방법은 (d, k) 부호 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고 패턴이 삽입된(d, k) 부호 계열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3의 변조 방법은 제1 또는 제2의 변조 방법에서 소정 간격이 변조 부호의 저역 컷오프 주파수에 반비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4의 변조 방법은 제1 또는 제2의 변조 방법에서 패턴이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5의 변조 방법은 제3의 변조 방법에서 패턴이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6의 변조 방법은 제4의 변조 방법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7의 변조 방법은 제5의 변조 방법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1의 변조 장치는 부호계열에 소정의 길이의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는 패턴 삽입 수단과 패턴 삽입 수단으로부터의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을 NRZI 변조하는 변조 수단을 구비하고 변조 수단으로부터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2의 변조 수단은 (d, k) 부호 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는 패턴 삽입 수단과 패턴 삽입 수단으로부터의 패턴이 삽입된 (d, k) 부호 계열을 NRZI 변조하는 변조 수단을 구비하고 변조 수단으로부터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3의 변조 장치는 제1 또는 제2의 변조 장치에서 패턴 삽입수단이 변조 부호의 저역 컷오프 주파수에 반비례한 소정 간격으로 패턴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4의 변조 장치는 제1 또는 제2의 변조 장치에서 패턴 삽입 수단이 1의 수가 0, 1인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6의 변조 장치는 제4의 변조 장치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하고 삽입하게 패턴 삽입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7의 변조 장치는 제5의 변조 장치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의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게 패턴 삽입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복조 장치는 소정의 길이의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한 후에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가 공급되고 이 변조 부호를 NRZI 복조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을 재생하는 복조 수단과 복조 수단으로부터의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로부터 패턴을 제거하고 원 부호계열을 재생하는 패턴 제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8의 변조 방법은 (d, k) 부호 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고 패턴이 삽입된 (d, k) 부호 계열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할 때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1 비트에 의거해서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9의 변조 방법은 제8의 변조 방법에서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으며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될 때는 직후의 d+1 비트를 써서 패턴을 결정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며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직전의 d+1 비트를 써서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10의 변조 방법은 제8 또는 제9의 변조 방법에서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 및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최하위 비트를 제1비트로 했을 때의 제 d+1 비트만을 1로한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1을 2개 포함하는 동시에 (d, k) 복호의 부호측을 만족하는 제1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될 때는 패턴을 상위 d+1 비트가 직후의 d+1 비트이며 하위 d+1 비트가 모두 0인 제2의 반전 패턴, 또는 직후의 d+1 비트가 연속한 제2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상위 d+1 비트가 모두 0이고 하위 d+1 비트가 직전의 d+1 비트인 제3의 반전 패턴, 또는 직전의 d+1 비트가 연속된 제3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 및 직후의 d+1 비트에 각각 1이 포함될 때는 패턴을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직전의 d+1 비트와 직후의 d+1 비트가 연속된 제4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11의 변조 방법은 제10의 변조 방법에서 2d〈k〈2(2d+1)이 성립할 때는 제4의 비반전 패턴을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2 비트(d는 짝수) 또는 (d+1)/2 비트(d는 홀수)에 의거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12의 변조 방법은 제10 또는 제11의 변조 방법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반전 패턴 또는 비반전 패턴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제1의 변조 방법에선 부호 계열에 소정의 길이의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한 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한다.
또, 제2의 변조 방법에선 (d, k) 부호 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한 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한다.
또, 제3의 변조 방법에선 제1 또는 제2의 변조방법에서 소정 간격을 변조 부호의 저역 컷오프 주파수에 반비례한 값으로 한다.
또, 제4의 변조 장치에선 제1 또는 제2의 변조장치에서 패턴을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으로 한다.
또, 제5의 변조 장치에선 제3의 변조 장치에서 패턴을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으로 한다.
또, 제6의 변조 장치에선 제4의 변조 장치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한다.
또, 제7의 변조 장치에선 제5의 변조 장치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한다.
또, 복조 장치에선 변조 부호를 NRZI 복조해서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을 재생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로부터 패턴을 제거하고 원 부호 계열을 재생한다.
또, 제8의 변조 방법에선 (d, k)부호 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한 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할 때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1 비트에 의거해서 패턴을 결정한다.
또, 제9의 변조 방법에선 제8의 변조 방법에서 패턴이 삽입되기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으며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는 때엔 직후의 d+1 비트를 써서 패턴을 결정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직전의 d+1 비트를 써서 패턴을 결정한다.
또, 제10의 변조 방법에선 제8 또는 제9의 변조방법에서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 및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제1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으며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될 때는 패턴을 제2의 반전 패턴 또는 제2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제3의 반전 패턴 또는 제 3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 및 직후의 d+1 비트에 각각 1이 포함될 때는 패턴을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제4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또, 제11의 변조 방법에선 제10의 변조 방법에서 2d〈k〈2(2d+1)가 성립할 때는 제4의 비반전 패턴을 d가 짝수에선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2 비트에 의거해서 결정하고 d가 홀수에선 전후의 (d+1)/2 비트에 의거해서 결정한다.
또, 제12의 변조 방법에선 제10 또는 제11의 변조 방법에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반전 패턴 또는 비반전 패턴을 선택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계하는 변조(방법,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 참조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조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변조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하듯이 입력 데이타 계열을 전송에 적합한 부호 계열로 변환하는 부호화 회로(11)와 소정의 길이의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발생하는 패턴 발생 회로(12)와 상기 부호화 회로(11)로부터의 부호 2계열에 상기 패턴 발생 회로(12)부터의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는 패턴 삽입 회로(13)와 그 패턴 삽입 회로(13)부터으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을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ed)변조해서 출력하는 변조 회로(12)와 상기 패턴 삽입 회로(13)등을 제어하는 타이밍 관리 회로(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변조 장치는 입력 데이타 계열을 전송(기록)에 적합한 부호 계열 A로 변환하고 예컨대 제2도에 도시하듯이 이 부호 계열 A에 소정의 길이인 Tdc비트로 되는 패턴 소정 간격 Tcode비트로 삽입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 B을 NRZI 변조하고 소위 DSV(Digital Sum Value)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호화 회로(11)는 입력 데이타 계열을 전송(또는 기록)에 적합한 부호측에 의거해서 부호 계열 A로 변환한다. 예컨대, 0의 최소 런(Run)을 d로 하고 최대 런을 k로 하는 소위(d, k;m, n; r)부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1, 3; 1, 2; 1) 부호인 소위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 예컨대 하기 표.1에 나타내듯이 (4, 22; 2, 5; 5) 부호등의 DSV 제어가 고려되어 있지 않는 부호측에 의거해서 입력 데이타 계열을 부호화한다. 따라서, 이 부호화 회로(11)부터는 DSV 제어되어 있지 않는 부호 계열 A이 출력된다.
[표 1]
[표2]
[표3]
패턴 발생 회로(12)는 부호화 회로(11)로부터 공급되는 부호계열 A에 의거해서 Tdc비트로 이루는 패턴을 소정 간격 Tcode비트로 발생한다. 그리고, 패턴 삽입회로(12)로부터 공급되는 Tdc비트로 이루는 패턴을 소정 간격 Tcode비트로 삽입하고 부호계열 B을 생성한다. 변조 회로(14)는 패턴 삽입회로(13)로부터 공급되는 부호 계열 B를 NRZI 변조하고 변조 부호를 생성하고 이 변조 부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변조 신호에 동기 신호등이 부가되어서 전송(기록)된다.
그런데, 변조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부호는 삽입된 패턴 이후는 논리가 반전하고 (0이 1, 1이 0으로 되고), 1의 수가 짝수인 때는 논리는 반전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선 이것들의 패턴을 선택하고 부호 계열 A에 삽입함으로서 변조 부호의 DSV를 제어하는 것인데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패턴은 1의 수가 0개 또는 1개의 패턴이다. 따라서 상술한 패턴 발생 회로(12)는 1의 수가 0개 또는 1개의 패턴을 발생한다. 또한, 1의 수가 0개인 패턴은 부호측에 따라선 0의 연속이 최대 런 k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고 그 부호에 대해선 1의 수가 0개의 패턴 대신에 1의 수가 2개의 패턴을 발생한다. 즉, 패턴 발생 회로는 1의 수가 0개, 1개 또는 2개인 3종류의 패턴을 발생한다.
또, 패턴 삽입 회로(13)에서 부호 계열 A의 임의의 장소에 패턴을 삽입했을 때,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 B이 (d, k) 부호측을 만족하게 하기 위해선 상술의 소정의 길이 Tdc비트는 하기식 1에 의해 구해지며, 1의 수가 1개인 패턴에선 소정의 길이 Tdc비트는 하기식 2에 의해서 구해진다.
Tdc=(d-S1)+1+d+1+(d=(d-S1)) ..... 식 1
Tdc=(d-S1)+1+(d-(d-S1)) ..... 식 2
=d+1
또한, 식 1, 2에서 S1은 삽입되는 패턴 이전의 연속하는 0의 수이며 0≤S1≤k의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패턴 발생 회로(12)는 부호화 회로(11)에서 (d, k) 부호가 채용되고 있을 때는 2(d+1) 비트로 이루는 패턴을 발생한다. 또한 k=00 에선 상술의 1의 수가 0개의 패턴을 쓸 수 있고 그대는 d+1 비트로 이루는 패턴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4, 22; 2, 5; 5) 부호에선 패턴 발생 회로(12)는 10(=2×(4+1)) 비트로 이루는 패턴이며 0000000000 인 패턴, 0000100001 인 패턴, 1000010000 인 패턴(이하, 다만 짝수개 군의 패턴)으로부터 1개를 선택해서 발생한다. 그리고, 그 선택은 이하에 설명하는 알고리듬에 의한다.
예컨대, 상술의 제2도에 도시하듯이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b1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b1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 b2간의 부호 계열 a2의 DSV를 가산하고 이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짝수개군의 패턴 또는 홀수개군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한다.
또, 복수의 패턴으로 이루는 짝수개군의 패턴중의 1개의 선택은 삽입하는 패턴 직후에 0이 4개 연속하고 있을 때는 0000100001인 패턴을 선택하고 직전에 0이 4개 연속하고 있을 때는 1000010000인 패턴을 선택하고 그 이외인 때는 0000000000인 패턴을 선택한다.
또, 예컨대 RLL(2, 7) 변조에선 패턴 발생 회로(12)는 6(=2×(2+1))비트로 이루는 패턴이며 001001, 100100 및 010010인 3종류의 패턴을 짝수개군의 패턴으로 하고 100000, 010000, 001000, 000100, 000010 및 000001인 6종류의 패턴을 홀수개군의 패턴으로 하는 동시에 짝수개군의 패턴중의 1개의 선택은 삽입하는 패턴의 직전의 패턴이 1인때는 001001인 패턴을 선택하고 직후의 패턴이 1인때는 100100인 패턴을 선택하고 그 이외인 때는 010010인 패턴을 선택한다. 또한, 홀수개군의 패턴으로부터의 선택에 대해선 아무런 제약이 없다.
한편, 타이밍 관리 회로(15)는 부호 계열 A에 Tdc비트로 되는 패턴이 소정 간격 Tcode비트로 삽입되듯이 패턴 발생 회로(12) 및 패턴 삽입 회로(13)를 제어한다. 예컨대 소정 간격 Tcode 비트가 변조 부호의 저역 컷트 주파수에 반비례한 값이 되게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역 컷오프 주파수를 fo로 하면 이 저역 컷오프 주파수 fc와 소정간격 Tcode 비트는 하기식 3에 나타내는 반비례의 관계를 가지며 타이밍 관리 회로(15)는 이 식3에 의거해서 얻어지는 소정 간격 Tcode비트에 의거해서 패턴 발생 회로(12) 및 패턴 삽입 회로(13)를 제어한다.
fc=K/(Tcode+Tdc) ..... 식 3
또한, 계수 k의 값은 부호측에 의거한 값이며 예컨대, 상술의 (4, 22;2, 5; 5) 부호에선 K=0.08 이며 예컨대 RLL(2, 7) 변조에선 K=0.5이다. 여기에서(Tcode+Tdc) 비트를 파라미터로 한 (4, 22; 2, 5; 5) 부호에서의 저역 특성을 제3도에 도시하고 RLL(2, 7) 변조에서의 저역 특성을 제4도에 도시한다. 즉, 이들 제3, 4도에 도시하듯이 저역 억압 특성을 요구하는 전송계에 대해선 소정간격 Tcode비트를 작게 하고 저역 억압 특성을 그렇게 요구하지 않는 전송계에 대해서는 소정 간격 Tcode 비트를 크게 한다.
환언하면 DSV 제어 특성이 전송계가 요구하는 시방에 적합하게 소정 간격 Tcode비트의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같이 해서 패턴 발생회로(12)에서 발생된 패턴은 상술같이 패턴 삽입회로(13)에 공급되고 패턴 삽입회로(13)에서 부호 계열 A에 삽입된다. 이 결과, 변조 회로(14)부터는 DSV의 절대값을 작게 하는 DSV 제어된 즉, 직류 성분이나 저역성분이 억압(또는 컷)된 변조 부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복조 장치의 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복조 장치는 예컨대 제5도에 도시하듯이 변조신호를 NRZI 복조하고 패턴이 삽입된 상기 부호 계열 B을 재생하는 복조 회로(21)와 그 복조 회로(21)부터의 부호 계열 B부터 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부호 계열 A을 재생하는 패턴 제거회로(22)와 그 패턴 제거 회로(22)로부터의 부호 계열 A을 복호화하고 원 데이타 계열을 재생하는 복호화 회로(23)와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SYNC 검출 회로(24)와 그 SYNC 검출 회로(24)에서 검출된 동기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패턴 제거 회로(22)등을 제어하는 타이밍 관리 회로(25)를 구비한다.
그리고, 복조회로(21)에는 수신 신호 또는 재생 신호에 소위 등화처리, 2값화 처리등을 실시하고 얻어지는 변조 부호가 공급되고 이 복조 회로(21)는 변조 부호를 NRZI 복조하고 상술한 변조장치의 패턴 삽입 회로(13)의 출력에 대응하는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 B를 재생하고 이 부호 계열 B를 패턴 제거회로(22) 및 SYNC 검출회로(24)에 공급한다. 즉, 상술같이 변조장치에서 변조 부호에 직류 성분이나 저역 성분이 포함되지 않게 DSV 제어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말한 직류성분에 기인한 에러등이 없는 변조 부호가 이 복조 회로(21)에 공급되며 에러가 없는 부호 계열 B을 재생할 수 있다.
SYNC 검출 회로(24)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타이밍 관리 회로(25)는 이 검출된 동기 신호에 의거해서 예컨대 재생 클록을 카운트하고 패턴이 삽입되어 있는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패턴 제거 회로(22)를 제어한다.
패턴 제거 회로(22)는 타이밍 관리 회로(25)의 제어하에 Tdc비트로 이루는 패턴의 소정간격 Tcode비트로 삽입된 부호계열 B부터 패턴을 제거하고 부호 계열 A를 재생한다. 그런데, 상술같이 변조 장치에서 패턴은 소정간격 Tcode비트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부호화 회로(23)는 패턴 제거 회로(22)부터 공급되는 부호 계열 A를 송신(또는 기록)시의 부호측에 대응해서 복호화하고 원 데이타를 재생하고 이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러므로 본 실시예에선 부호 계열 A에 소정의 길이인 Tdc비트의 패턴을 소정간격 Tcode비트로 삽입한 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므로서 삽입한 패턴의 1의 수에 의거해서 변조 부호의 DSV를 제어할 수 있다.
또, (d, k) 부호 계열 A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간격 Tcode비트로 삽입한 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므로서 삽입한 패턴의 1의 수에 의거해서 변조 부호의 DSV를 제어할 수 있음과 더불어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 B이 부호측을 만족한 상태에서 패턴의 길이를 회소로 할 수 있고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적게할 수 있다.
또, 소정간격 Tcode비트를 변조 부호의 저감 컷오프 주파수 fc에 반비례한 값으로 함으로서 전송계가 요구하는 시방에 DSV 제어 특성을 적합시킬 수 있다. 즉,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부호 설계상의 DSV에 관한 제약 항목이 없어지고 최적 이하 적용범위가 넓은 부호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 삽입하는 패턴을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이 패턴으로 함으로서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b1이전의 DSV의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b1)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b2)간의 부호계열(a2)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함으로서 짧은 패턴으로 DSV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변조 부호를 NRZI 복조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 B를 재생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 B부터 패턴을 제거하고 원 부호계열 A를 재생함으로서 직류 성분에 기인한 에러등이 없는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같이(d, k) 부호 계열을 NRZI 변조하고 예컨대 광 디스크 등에 기록하는 경우, 이 기록파형 열의 소위 최소 반전 간격을 Tmin로 하고 최대 반전 간격을 Tmax로 하면 기록 밀도의 관점에서는 최소 반전 간격 Tmin이 긴, 즉 최소런 d이 큰 쪽이 좋으며 또, 클럭의 재생이나 소위 짓터의 면에서 최대 반전 간격 Tmax이 짧은 즉, 최대 런(K)이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술한 EFM은 (2, 10; 8, 17; 1) 부호이며 기록 파형열의 비트 간격을(T)로 하면 그 최소 반전 간격 Tmin은 (3T)이며 최대 반전 간격 Tmax은 (11T)이다. 또, 예컨대 상술한 (4, 22; 2, 5; 5) 부호에선 최소 반전 간격 Tmin은 (5T)이며 최대 반전 간격 Tmax는 (23(T)이다. 즉, (4, 22; 2, 5; 5) 부호는 EFM에 대해서 최소 반전 간격 Tmin을 확대하고 고밀도화를 도모하고 있는데 그 최대 반전 간격(Tmax)은 길어지고 있다. 그래서, 예컨대 하기 표 3, 4에 나타내듯이 마찬가지의 최소 반전 간격 Tmin을 가지며, 최대 반전 간격 Tmax를 각각(19, 20)으로 한 (4, 18; 2, 5; 6) 부호, (4, 1a; 2, 5; 5) 부호가 생각되고 있다.
[표 4]
[표 5]
[표 6]
또한, 이것들의 표3, 4에서 *로 나타내는 비트는 그것에 연속하는 0의 수에 의해서 결정되는 불확정 비트를 나타낸다.
이것들의 (4, 18; 2, 5; 6) 부호, (4, 19; 2, 5; 5) 부호에선 (4, 22; 2, 5; 5) 부호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를 그대로 적용하면 패턴을 삽입하는 위치에 따라선 최대 런 k(최대 반전 간격 Tmax)에 대한 부호측을 만족하지 않을 때가 있다. 예컨대 (4, 18; 2, 5; 6) 부호에서 데이타가 0011 00000100 인때는 부호 계열 A은 00010000000000000000010000*00로 되며 이 부호 계열 A의 하위 10비트째와 11비트째의 간에 이후의 논리를 반전하기 위해서 상술한 홀수개군의 패턴인 0000100000을 삽입하면 최대 반전 간격 Tmax(21T)로 되며 부호측을 만족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4, 18; 2, 5; 6) 부호, (4, 19; 2, 5; 5) 부호등에 대해서도 공통으로 쓸 수 있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들의 (4, 18; 2, 5; 6) 부호, (4, 19; 2, 5; 5) 부호등에 대해서도 삽입된 패턴 이후의 논리를 반전시키지 않는 1의 수가 0개 또는 2개의 홀수개군 패턴(이하, 비반전 패턴이라 한다)과의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을 사용하는 것은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인데 그 패턴을 패턴이 삽입되기 전후의 (d+1) 비트에 의거해서 결정토록 하고 있다.
상술한 패턴 발생 회로(12)는 예컨대 제6도에 도시하듯이 DSV의 값을 계산하는 DSV 계산회로(12a)와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1) 비트를 기억하는 직전 진후 비트 처리 회로(12b)와 그 DSV 계산 회로(12a)부터 공급되는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상기 직전 직후 비트 처리 회로(12b)에 기억되어 있는 전후의 (d+1) 비트에 의거해서 패턴을 결정하는 패턴 결정회로(12c)로 구성된다.
그리고, 패턴 결정 회로(12c)는 예컨대 하기 표 5, 6에 나타내듯이 패턴이 삽입되기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으며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될 때는 직후의 (d+1) 비트를 써서 패턴을 결정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며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때는 직전의 (d+1) 비트를 써서 패턴을 결정한다.
[표 7]
[표 8]
구체적으로는 상술의 표 5, 6에 나타내듯이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 및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최하위 비트를 제1비트로 했을때의 제 d+1 비트만을 1로 한 제1의 반전패턴, 또는 1을 2개 포함하는 동시에 (d, k) 부호의 부호측을 만족하는 제1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으며 직후의 (d+1)비트에 1이 포함될때는 패턴을 그 상위 (d+1) 비트가 직후의 (d+1) 비트이며 하위 (d+1) 비트가 모두 0인 제2의 반전 패턴 또는 직후의 (d+1) 비트가 연속한 제2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그 상위 (d+1) 비트가 모두 0이며 하위 (d+1) 비트가 직전의 (d+1) 비트인 제3의 반전 패턴, 또는 직전의 (d+1) 비트가 연속한 제3의 비반전 패턴으로하고 직전 및 직후의 (d+1) 비트에 각각 1이 포함될때는 패턴을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모두가 0인 제4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직전의 5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고 직후의 5비트에 1이 포함될때는 패턴을 그 상위 5비트가 직후의 5비트이며 하위 5비트가 00000인 제2의 반전 패턴, 또는 직후의 5비트가 연속한 제2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직전의 5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5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그 상위 5비트가 00000이며 하위 5비트가 직전의 5비트인 제3의 반전 패턴 또는 직전의 5비트가 연속한 제3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직전 및 직후의 5비트에 각각 1이 포함될때는 패턴을 0000010000인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직전의 5비트와 직후의 5비트는 연속한 제4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또한, 이 제4의 비반전 패턴으로선 하기식 4에 나타내는 조건이 성립할때는 0000000000의 패턴으로 해도 된다.
2(2d+1)≤k ... 식 4
또한, 하기식 5에 나타내는 조건이 성립할 때는 이 제4의 비반전 패턴을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하기식 6, 7에 나타내는 x비트에 의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2d〈k〈2(2d+1) ... 식 5
d가 짝수인 때
x=d/2 ... 식 6
d가 홀수인 때
x=(2d+1)/2 ... 식 7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하기 표7에 나타내듯이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 및 직후의 x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제4의 비반전 패턴을 그 상위(d+1) 비트의 좌(MSB 측)부터 (x+1) 비트째를 1로 하는 동시에 하위(d+1) 비트의 좌로부터 (x+1) 비트째를 1로 한다. 예컨대, 상술의 d=4이며 직전 및 직후의 2(=4/2) 비트가 더불어 00인 때는 제4의 비반전 패턴을 00100000100로 한다.
[표 9]
직전의 x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으며 직후의 x비트중의 좌로부터 y비트째가 1인 때는 제4의 비반전 패턴을 그 상위(d+1) 비트의 좌로부터 y비트째를 1로 하고 하위(d+1) 비트의 좌로부터 y비트째를 1로 한다. 예컨대 직전의 2비트가 00이고 직후의 2비트가 01인 때는 y는 2로 되며, 제4의 비반전 패턴을 0100001000로 한다. 또, 예컨대 직전의 2비트가 00이고 직후의 2비트가 10인때는 y는 1로 되며 제4의 비반전 패턴을 1000010000로 한다.
직전의 x비트중의 우(LSB측)부터 z비트째가 1이고, 직후의 x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때는 제4의 비반전 패턴을 그 상위 d+1비트의 우부터 z째를 1로 하고, 하위 d+1 비트의 우부터 z비트째를 1로 한다. 예컨대, 직전의 2비트가 01이고 직후의 2비트가 00인 때는 z는 1로 되며 제4의 비반전 패턴을 0000100001로 한다. 또, 예컨대 직전의 2비트가 10이고 직후의 2비트가 00인 때는 z는 2로 되고 제4의 비반전 패턴을 0001000010로 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알고리듬 RLL(2, 7) 변조에 적용한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 및 직후의 3(=2+1) 비트가 000인 (1이 포함되지 않는다)때는 패턴을 2 LSB를 제1비트로 했을 때의 제3(=2+1) 비트만을 1로 한 000100인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에컨대 010010, 100100, 001001등의 1을 2개 포함하는 동시에 d=2를 만족하는 제1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직전의 3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고 직후의 3비트에 1이 포함될 때는 패턴을 그 상위 3비트가 직후의 3비트이며 하위 3비트가 000인 제2의 반전 패턴 또는 직후의 3비트가 연속한 제2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직전의 3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3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패턴을 2상위 3비트가 000이고 하위 2비트가 직전의 3비트인 제3의 반전 패턴, 또는 직전의 3비트가 연속한 제3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직전 및 직후의 3비트에 각각 1이 포함될 때는 패턴을 00100인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직전의 3비트와 직후의 3비트는 연속한 제4의 비반전 패턴으로 한다.
또한, 이 RLL(2, 7) 변조에선 상기 식 4에 나타내는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000000의 패턴은 사용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식5에 나타내는 조건부가 성립되는 것에서 제4의 비반전 패턴을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1(=2/2) 비트의 의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즉, 직전 및 직후의 1비트가 더불어 0인 때는 제4의 비반전 패턴을 010010으로 한다.
직전의 1비트가 0이고 직후의 1비트가 1인때는 y는 1로 되면 제4의 비반전 패턴을 100100로 한다.
예컨대, 직전의 1비트가 1이고 직후의 1비트가 0인 때는 z는 1로 되고 제4의 비반전 패턴을 001001로 한다.
그리고, 패턴 결정회로(12c)는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b2)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b1)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b2)간의 부호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상술같이 결정한 반전 패턴과 비반전 패턴으로부터 1개 패턴을 선택하고 패턴 삽입 회로(13)에 공급한다. 패턴 삽입회로(13)는 이 패턴을 부호 계열 A에 소정 간격 Tcode비트로 삽입한다. 그런데, 소정 간격 Tcode비트는 임의의 값이어도 되며 예컨대 320T(또는 채널 비트)이다.
그래서, (d, k) 부호 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 Tcode 비트로 삽입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 B을 NRIZ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할 때, 패턴이 삽입되기 전후의 (d+1) 비트에 의거해서 패턴을 결정하므로서 부호측을 만족한 상태에서 DSV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전후의 d+1 비트를 사용함으로서 최소 반전 간격 Tmin을 길게 할 수 있고, 예컨대, 기록매체의 기록밀도를 높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소위 동기 신호 등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4, 22; 2, 5; 5) 부호에선 상기 표2에 나타내듯이 50비트로 이루며 23T, 21T, 6T의 간격으로 3회의 반전이 생기는 동기 신호(ASYNC)와, 21T, 23T, 6T의 간격으로 3회의 반전이 생기는 동기 신호(BSYNC)와의 2종류의 동기 신호가 쓰인다. 또, 예컨대(4, 18; 2, 5; 6) 부호에선 상기 표3에 나타내듯이 50비트로 이루며 4회의 반전이 생기는 19T, 17T, 14 bit로 이루는 동기 신호(ASYNC)와 18T, 19T, 14bit로 이루는 동기 신호(BSYNC)와의 2종류의 동기신호가 쓰이며 또, 예컨대 (4, 19; 2, 5; 5) 부호에선 상기 표4에 나타내듯이 50비트로 이루며 4회의 반전이 생기는 20T, 19T, 11bit로 되는 동기 신호(ASYNC)와, 19T, 18T, 13bit로 되는 동기 신호(BSYNC)와의 2종류의 동기 신호가 쓰인다. 그리고, 이들 동기 신호에 상술한 알고리즘을 따라서 패턴을 삽입하고 DSV 제어를 행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선 부호 계열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한 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므로서 삽입한 패턴의 1의 수에 의거해서 변조부호의 DSV를 제어할 수 있다.
또, (d, k) 부호 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한 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므로서 삽입한 패턴의 1의 수에 의거해서 변조 부호의 DSV를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이 부호측을 만족한 상태에서 패턴의 깊이를 최소로 할 수 있고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적제할 수 있다.
또, 소정간격을 저역 컷오프 주파수에 반비례한 값으로 함으로서 전송계가 요구하는 시방에 DSV 제어 특성을 적합시킬 수 있다. 즉,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부호 설계상의 DSV에 관한 제약 항목이 없어지고 최적이자 적용 범위가 넓은 부호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 패턴을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으로 함으로서 리이던던시의 증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누를 수 있다.
또,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함으로서 짧은 패턴으로 DSV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변조부호를 NRZI 복조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 계열을 재생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로부터 패턴을 제거하고 원 부호계열을 재생하므로서 직류 성분에 기인한 에러등이 없는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d, k) 부호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간격으로 삽입하고 패턴이 삽입된 (d, k) 부호계열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부호를 출력할 때,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1) 비트에 의거해서 패턴을 결정하므로서 부호측을 만족한 상태에서 DSV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전후의 (d+1) 비트를 사용함으로서 최소 반전 간격 Tmin을 길게 할 수 있고, 예컨대, 기록매체의 기록밀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20)

  1. (정정)부호계열에 소정 길이의 패턴을 소정간격으로 삽입하고, 상기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2. (정정)(d, k) 부호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고, 상기 패턴이 삽입된 (d, k) 부호계열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이 상기 변조 부호의 저역 컷오프 주파수에 반비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4.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1의 수가 0, 1, 2인 3 종류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6. (정정)제4항에 있어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상기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7. (정정)제5항에 있어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상기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8. (정정)부호 계열에 소정길이의 패턴을 소정간격으로 삽입하는 패턴 삽입 수단과, 상기 패턴 삽입 수단부터의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을 NRZI 변조하는 변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조 수단으로부터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9. (d, k) 부호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는 패턴 삽입 수단과, 상기 패턴 삽입 수단부터의 패턴이 삽입된 (d, k) 부호 계열을 NRZI 변조하는 변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조 수단으로부터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10. (정정)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삽입 수단이 상기 변조 부호의 저역 컷오프 주파수에 반비례한 소정간격으로 패턴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삽입 수단이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삽입 수단이 1의 수가 0, 1, 2인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13. (정정)제11항에 있어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상기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게 상기 패턴 삽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14. (정정)제12항에 있어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 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상기 3종류의 패턴중의 1개를 선택해서 삽입하게 상기 패턴 삽입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15. (정정)소정의 길이의 패턴을 소정간격으로 삽입한 후에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가 공급되고, 상기 변조 부호를 NRZI 복조하고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을 재생하는 복조수단과, 그 복조 수단으로부터의 패턴이 삽입된 부호계열로부터 패턴을 제거하고 원부호계열을 재생하는 패턴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6. (정정)(d, k) 부호계열에 2(d+1) 비트의 길이를 갖는 패턴을 소정간격으로 삽입하고 상기 패턴이 삽입된 (d, k) 부호계열을 NRZI 변조하고 DSV 제어된 변조 부호를 출력할 때, 상기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1) 비트에 의거해서 상기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7. (정정)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될 때는 상기 직후의 (d+1) 비트를 써서 상기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상기 직전의 (d+1) 비트를 써서 상기 패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8. (정정)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삽입되는 직전 및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상기 패턴을, 최하위 비트를 제1비트로 했을 때의 제 d+1 비트만을 1로 한 제1의 반전 패턴, 또는 1을 2개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d, k) 부호의 부호측을 만족하는 제1의 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상기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때는, 상기 패턴을, 상위 (d+1) 비트가 상기 직후의 (d+1) 비트이고, 하위 (d+1) 비트가 전부 0인 제2반전 패턴, 또는 상기 직후의 (d+1) 비트가 연속한 제2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상기 직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고 직후의 (d+1) 비트에 1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상기 패턴을 상위 (d+1) 비트가 전부 0이고 하위 (d+1) 비트가 상기 직전의 (d+1) 비트인 제3반전 패턴, 또는 상기 직전 (d+1) 비트가 연속한 제3비반전 패턴으로 하고, 상기 직전 및 지후의 (d+1) 비트에 각각 1이 포함될 때는 상기 패턴을 상기 제1의 반전 패턴, 또느 상기 직전의 (d+1) 비트와 직후의 (d+1) 비트가 연속한 제4의 비반전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2d〈k〈2(2d+1)가 성립할 때는 상기 제4의 비반전 패턴을 상기 패턴이 삽입되는 전후의 d/2 비트(d는 짝수) 또는 (d+1)/2 비트(d는 홀수)에 의거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20. (정정)제18항에 있어서,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 이전의 DSV와 이번에 삽입하는 패턴과 다음에 삽입하는 패턴간의 부호계열의 DSV를 가산하고 상기 가산값의 절대값이 작아지게 상기 반전 패턴 또는 비반전 패턴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KR1019930023850A 1992-11-09 1993-11-09 변조방법, 변조장치 및 복조장치 KR100263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867092 1992-11-09
JP92-298670 1992-11-19
JP93-134287 1993-06-04
JP93-134286 1993-06-04
JP5134287A JPH06197024A (ja) 1992-11-09 1993-06-04 変調方法、変調装置及び復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66A KR940012366A (ko) 1994-06-23
KR100263689B1 true KR100263689B1 (ko) 2000-08-01

Family

ID=2646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850A KR100263689B1 (ko) 1992-11-09 1993-11-09 변조방법, 변조장치 및 복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06581A (ko)
EP (1) EP0597443B1 (ko)
JP (1) JPH06197024A (ko)
KR (1) KR100263689B1 (ko)
DE (1) DE693199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7074B2 (ja) * 1994-06-30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変調装置およびデータ復調装置
JP3541439B2 (ja) * 1994-07-08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変調方法及び装置、並びに信号復調装置及び方法
TW280974B (ko) * 1994-07-08 1996-07-11 Nippon Bickter Kk
BR9606290A (pt) * 1995-04-03 1997-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io de gravação aparelho e método para transmissão de dados e aparelho e método para reprodução de dados
CN1117347C (zh) * 1995-04-04 2003-08-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方法与设备以及复制方法与设备
JP3457093B2 (ja) * 1995-04-14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媒体並びにデジタル変復調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0165441B1 (ko) * 1995-09-18 1999-03-20 김광호 디지털 데이터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과 그 장치
US5699434A (en) * 1995-12-12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copying of digital data
JP3339539B2 (ja) * 1995-12-13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変調装置、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US5931968A (en) 1996-02-09 1999-08-03 Overland Data, Inc. Digital data recording channel
US6167550A (en) * 1996-02-09 2000-12-26 Overland Data, Inc. Write format for digital data storage
US6543024B2 (en) 1996-02-09 2003-04-01 Overland Storage, Inc. Write format for digital data storage
CA2246423C (en) * 1996-02-09 2004-08-03 Overland Data, Inc. Encoder for digital data storage
JPH10334616A (ja) * 1997-05-30 1998-12-18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方法
JP3204217B2 (ja) 1998-06-17 2001-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記録符号変換方法及び復号方法並びに同期信号挿入方法
JP3870573B2 (ja) * 1998-08-24 2007-01-17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復調装置および方法
TR200002412T1 (tr) * 1998-12-21 2001-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Bit kaynak kelimelerini karşılık gelen m-bit kelimelerine şifrelemek için ve m-bit kanal kelimelerini karşılık gelen n-bit kaynak kelimelerine deşifre etmek için araç.
KR100565039B1 (ko) * 1999-07-08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rll 변복조방법
SG87129A1 (en) * 1999-07-12 2002-03-19 Ibm Data encoding systems
JP4161487B2 (ja) * 1999-11-01 2008-10-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復号装置及び方法
JP3712631B2 (ja) 2000-06-19 200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伝送方法および伝送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KR100384886B1 (ko) * 2000-10-10 2003-05-22 주식회사 케이티 니블 반전 부호 활용 방법 및 그 장치
JP3709818B2 (ja) * 2000-10-31 2005-10-2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符号化テ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変調装置、伝送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4265101B2 (ja) * 2000-12-22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変調方法、復調方法及び記録済記録媒体
KR100513328B1 (ko) * 2001-12-21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US6917313B1 (en) 2002-01-16 2005-07-12 Marvell International Ltd. DC-free codes
JP2003208764A (ja) * 2002-01-16 2003-07-25 Sony Corp 変調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178795B2 (ja) * 2002-01-23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dsv制御ビット生成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DE10214113B4 (de) * 2002-03-28 2006-05-18 Siemens Ag Verfahren zum berührungslosen Austausch einer Sequenz von Datenbytes in einem Identifikationssystem
US7212483B2 (en) 2002-09-25 2007-05-01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Modulation device, modul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0440825C (zh) * 2003-01-28 2008-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字传送网上不同的数据帧接入和传送的系统和方法
JP2008537276A (ja) * 2005-04-04 2008-09-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ータ担体にユーザーデータを格納するための出力信号提供方法
JP2007026601A (ja) * 2005-07-21 2007-02-01 Sony Corp 情報記録処理装置、および情報記録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39784B2 (ja) 2005-11-10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変調テーブル、変調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692234B2 (ja) 2005-11-10 2011-06-01 ソニー株式会社 変調テーブル、変調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826888B2 (ja) 2005-11-10 2011-11-30 ソニー株式会社 復調テーブル、復調装置および復調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899616B2 (ja) 2006-04-28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930760B2 (ja) 2006-04-28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662164B2 (ja) * 2006-04-28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変調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1091700A (ja) * 2009-10-23 2011-05-06 Sony Corp データ復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493042B2 (ja) 2015-07-09 2019-04-0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制御方法
CN106445406B (zh) * 2015-08-07 2019-07-26 株式会社东芝 存储控制器、存储装置以及数据写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2461A (en) * 1981-02-09 1982-08-16 Sony Corp Converter for binary data code
JPS5846751A (ja) * 1981-09-11 1983-03-18 Sony Corp Z値符号変調方法及び記録媒体
JP2974678B2 (ja) * 1988-06-23 1999-11-1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誤り検出方式
US5151699A (en) * 1990-09-05 1992-09-2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ata converting apparatus
NL9002070A (nl) * 1990-09-21 1992-04-16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optekenen van een digitaal informatiesignaal in een registratiedrager.
US5365231A (en) * 1991-03-30 1994-11-15 Kabushiki Kaisha Toshiba Encoding apparatus for digital signal with improved block channel coding
US5349349A (en) * 1991-09-30 1994-09-20 Sony Corporation Modulator circuit for a recording for a digital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9997T2 (de) 1999-01-21
JPH06197024A (ja) 1994-07-15
DE69319997D1 (de) 1998-09-03
EP0597443A1 (en) 1994-05-18
EP0597443B1 (en) 1998-07-29
KR940012366A (ko) 1994-06-23
US5506581A (en) 1996-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689B1 (ko) 변조방법, 변조장치 및 복조장치
KR100753966B1 (ko) 연속 최소 런 길이 제한이 있는 변조/복조 장치 및 방법
KR100675029B1 (ko) 변조장치 및 방법, 복조장치 및 방법, 및 제공매체
KR100384312B1 (ko) 기록매체,디지탈변조/복조장치및디지탈변조/복조방법
JPH0544206B2 (ko)
KR100288465B1 (ko) 변조 방법 및 복조 장치
KR100424482B1 (ko) 일련의 데이터 워드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JP3722331B2 (ja) 変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954986B1 (ko) 변조 장치 및 방법
KR20000035065A (ko) 데이터 변/복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변/복조 장치 및 그 기록매체
KR940000946B1 (ko) 디지탈 변조방법
JPH07118657B2 (ja) 2進デ−タ符号化及び復号化方式
JP3717024B2 (ja) 復調装置および方法
KR100518474B1 (ko) 변조디바이스및방법과전송매체
JP3239663B2 (ja) 変調方法、変調装置及び復調装置
JPH11154381A (ja) 変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3147647B2 (ja) ディジタル情報伝送方法
JPS60114053A (ja) 符号変換方式
JP4366662B2 (ja) 変調装置、変調方法、記録媒体
JP2000068849A (ja) 変調装置および方法、復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2009266379A (ja) 変調装置、変調方法、記録媒体
KR20090012422A (ko) 데이터 변조방법, 변조장치,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KR20080023522A (ko) 데이터 변조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MXPA000009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on/demodulation with consecutive minimum runlength limitation
JPH06232756A (ja) コード変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