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508B1 - 재봉실,이에 의해 재봉된 영역구조 및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재봉실,이에 의해 재봉된 영역구조 및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508B1
KR100263508B1 KR1019940703983A KR19940703983A KR100263508B1 KR 100263508 B1 KR100263508 B1 KR 100263508B1 KR 1019940703983 A KR1019940703983 A KR 1019940703983A KR 19940703983 A KR19940703983 A KR 19940703983A KR 100263508 B1 KR100263508 B1 KR 10026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sewing
sewing thread
precursor
specif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195A (ko
Inventor
게르트 에베르트
토마스 자이쯔
베르너 아믈러
Original Assignee
베르너 아믈러
게르트 에베르트
토마스 자이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너 아믈러, 게르트 에베르트, 토마스 자이쯔 filed Critical 베르너 아믈러
Publication of KR95070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6Sewing-cotton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26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fluid-tight sea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1Starch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5Protein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8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4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the form of a fo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6Processes for the non-uniform application of treating agents, e.g. one-sided treatment; Differential treatment
    • D06M23/18Processes for the non-uniform application of treating agents, e.g. one-sided treatment; Differential treatment for the chemical treatment of borders of fabrics or knittings; for the thermal or chemical fixation of cuttings, seams or fibre e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7/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of other substances with subsequent freeing of the treated goods from the treating medium, e.g. swelling, e.g.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22Physico-chemical treat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22Physico-chemical treatments
    • D05D2305/26Heating
    • D05D2305/265Heating with steam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22Physico-chemical treatments
    • D05D2305/28Physico-chemical treatments using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20Protein-derived artificial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10B2321/04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polymers of fluorinated hydrocarbons, e.g. polytetrafluoroethene [PTF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8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no acids or polypept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8Physical properties foam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3Sewing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7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71Impreg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실에 의해 생성된 스티취 연결부에 재봉할 물질에의 증가된 점착성을 부여하는 생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전구물질을 재봉실의 외표면에 포함하는 상기 재봉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용된 전구물질을 변형하여 재봉실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는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재봉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성 스티취 연결부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봉실, 이에 의해 재봉된 영역 구조 및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 및 2항의 전문 (preambles)에 따르는 재봉실, 제14항의 전문에 따르는 상기 재봉실에 의해 재봉된 재봉가능한 영역 구조 및 제18항에 따르는 적어도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 (splash-proof stitched connection)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 스티취 연결부의 중요한 질적 특징중 하나는 재봉실 물질을 스티취 연결부에 의해 접합되게 되는 재봉가능한 영역 구조의 물질에서 록크 (lock)하는 방법에 있다. 록크 스티취에서, 상부 실을 록크하는 작은 용량의 실감개에서 제공되는 하부 실에 의해, 각 스티취에 대해 연속적으로 록크가 이루어진다. 체인 스티취에서는, 단지 큰 용량의 하나 또는 몇 개의 콘(cone)에 의해 제공되는 실이 모든 스티취에서 록크되지 않고 사용된다. 체인 스티취에서 실을 록크하는 것은 스티취 연결의 끝을 가로지는 재봉에 의해서만이 이루어진다. 스티취 연결이 상기 끝 사이의 위치에서 손상을 입는다면, 결과적으로 상기 실에서 하나의 당김이 전체 연결을 풀리게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스티취 연결이 풀리는 것을 대안이 없어서 수용하는 실제조건하에서 체인 스티취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거나 또는 불리하다.
그밖에, 고품질인 록크 스티취 연결은 이들이 자동화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당한 작업량을 요한다. 일단 실감개의 이용가능한 하부 실을 다 소모하였다면, 실감개를 손으로 바꿔주며, 실감개를 바꾸기 위해서 재봉 절차를 반복적으로, 심지어는 주어진 환경하에 수분동안 중단하여야 한다. 체인 스티취 연결부를 사용할 수 있다면, 하루종일 또는 그 이상 중단없이 작업을 계속하여 다양한 자동화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심지어 재봉실을 록크하기 위해 먼저 록크 스티취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체인 스티취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재봉실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의 제1항의 주요 특징에 의해 이루어진다.
재봉실의 외부 표면이 재봉 후 증가된 접착성 또는 접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사실로 인해, 바늘 구멍의 영역에 스티취 연결부 및 재봉되는 직물 또는 물질에 실이 밀착된다. 이에 의해, 록크 스티취실이 하부 실에 의해 고징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 스티취 연결에 실이 유지된다. 체인 스티취 연결이 느슨해지는 것에 대해 나타나는 안정성은 록크 스티취 연결의 경우에서와 같이 필수적이다. 또한 체인 스티취 연결부의 본질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상기 연결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록크 스티취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동시에, 록크 스티취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탄성과 같은 체인 스티취의 다른 잇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는 재봉실은 또한 경우에 따라서, 예를들면 외관, 편안한 착용등의 이유로 록크 스티취에 활용될 수 있다.
대체로, 증가된 접착 효과는 결합 효과에 의해 가장 유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스티취 연결 및 바늘 구멍내에 실을 내구적으로 붙이는 것을 확실하게 하면서, 매우 높은 접착력을 가져다 준다.
또한, 접착성 또는 웰팅 리본으로 스티취 연결을 덮으므로써 직물 스티취 연결부를 봉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상당한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 상기의 추가적인 봉합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 어뗘한 경우에는 실이 바늘 구멍을 통과할 때 홈이 생기게 된다.
또한,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원 제40 25 291호는 직조 합성 또는 고무 물질, 합성 또는 고무로 피복된 직조 물질 또는 다층 합성 또는 고무 물질을 재봉하는데 방수 또는 방습 스티취 연결부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경우에서 재봉시 재봉되는 부분 사이에 합성 또는 고무 호일의 몸체 코아를 삽입시키고, 가교결합하기 위해 꿰뚫린 몸체 코아에서 봉합제를 발산시키므로써, 금속 호일로 재보강된다. 특히, 오가노-폴리실록산괴를 밀봉제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한편으로는 바늘이 경화가능한 봉합제와 일정하게 접촉하여 보다 오랜 재봉 기간동안 스티취 연결부의 정밀도에 영향을 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속튄 재봉시 직물 및/또는 바늘, 또는 심지어 재봉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봉합제물질이 바늘에 존재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원 제40 25 291 호에서는 만약 주어진 환경하에서 스티취 연결부의 길이가 수 미터라면 위치 및 상당한 기술적 비용에 대한 문제를 일으키므로, 봉합제가 충진된 몸체 코아, 구체적으로는 구멍의 보다 정밀한 위치가 필요하다.
상기 선행기술 방법의 다른 단점은 봉합제가 일정하게 바늘구멍에서 누출되며, 또한 재봉되는 제품의 상태에 의해 상기 누출이 심화되며, 일반적으로 노루목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어, 도관 및 봉합제의 함량으로 추가의 압력이 가해지고, 또한 봉합제를 일정하게 발산하거나, 봉합제가 필요없거나 또는 재봉틀 및 재봉되는 제품의 위치에 봉합제가 자주 도달하여 심지어 해롭게 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비용이 드는 추가 방법없이 상응하는 봉합 필요 조건을 또한 충족시키는 직물 스티취 연결부에 의해 방수성 직물사이에 직물 스티취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경우에서, 직물 물질은 융합에 의해 서로 스티취 연결된 합성 시이트를 보통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값비싼 별도의 봉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충분한 방수성의 직물 스티취 연결부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주요 특징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제 체적이 증가되는 경우, 밀도가 떨어지며, 상기와 동일한 물질은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겉보기체적이 증가되는 경우, 물질은 미세 영역에서 그 형태를 바꾸어, 현미경으로 볼 때, 증가된 체적의 흔적을 생성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따라서, 체적 변화의 양이 고안되어, 재봉시 생성되는 실을 의한 바늘 구멍이 채워지고, 다시 말하면 팽창에 의해 중단된다. 여기서는 직경 크기에서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100%의 증가가 충분하다. 대개의 물질에 의해, 최고의 결과는 50% 내지 80%의 직경 증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체적 변화가 이룩되었는지에 대해서, 다양한 측정이 이용된다. 예를들면, 실을 스티취 연결부에 처리한 후, 온도 및/또는 촉매의 영향을 통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형성되는 제4항에 따르는 발포 가능한 합성에 의해 상기 실의 외부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포비율을 낮게, 예를들면 1:2 보다 더 낮게 유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팽윤된 실의 비교적 고형 표면이 수득된다. 실을 처리중 기포로 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실의 발포 과정이나 또는 발포 점조도는 재봉 과정에서 실의 처리를 방해하지 못한다.
또한 제5항에 따르는 기타 팽창가능한 무기 물질, 구체적으로는 팽창가능한 펠라이트, 팽창가능한 운모, 팽창가능한 흑연의 사용이 생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시에 팽창가능한 흑연을 사용하는 것은 실 표면에 대해 바람직한 마찰 감소 영향을 미쳐 재봉 처리시 실의 처리를 촉진시킨다.
구체적으로, 보다 큰 실 직경의 영역에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에 의해 수득된 실의 코팅을 처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팽창가능한 물질(이 물질은 팽창을 야기하는 상응하는 영향에 의해 가공후 팽창된다)과 혼합하여 적용하므로써, 제6항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체적 증가를 위한 표면 코팅의 조건에서 화학적 변화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조적 변화로 인한 체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분자를 천연 또는 합성 이종 중합체, 구체적으로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 및 천연 또는 합성 단독 중합체, 구체적으로는 폴리사카라이드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겉보기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8항에 따르는 코아를, 예를들면 방사에 의해 덮으므로써 적용될 수 있는 직물 섬유 물질에 의해 표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실은 알려진 "메모리"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중에서 선택되어 완화된 "최종" 상태에서 직선으로부터 종축의 섬유축이 상당히 벗어나게 될 것이다. 또한, 예를들면, 주름진 섬유를 외부 섬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티취된 형태에서 느슨하게, 즉 전혀 견인 장력이 없고 느슨하게 적용되며, 이어서 가공 후 "메모리" 효과를 활성화하므로써 주름진 형상 또는 그 유사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는 체적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지만, 현미경적으로 보이는 실제 체적 변화와 유사한 체적의 외관상 변화를 일으킨다. 구체적으로는, 봉합을 하는 조건이 지나치게 높거나 또는 실의 증가된 마찰이 바늘 구멍내에서 이루진다면 상기 사실에 적용할 수 있다.
팽윤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을 가공하고 실을 스티취 연결부에서 처리한 후 이어서 체적 증가를 일으키는 것이 필요하다. 주어진 경우에서, 단지 상응하는 지연 후 활성화가 팽윤을 일으킨다면, 또한 가공하기 전에 체적을 증가시킬 수 도 있다.
제9 및 10항의 방법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각각의 생성물로 변형될 수 있는 여러 전구체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상기 생성물은 이들의 전구물질에 비하여 이들의 체적을 증가시키고 재봉되는 제품에 우수한 접착성을 재봉실에 부여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또한 물리적인 변형은 불용성 물질, 예를들면 전분을 가용성 물질로 변형, 예를들면 열적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물질에는 접착성, 봉합 능력 및/또는 팽윤성의 목적된 특성이 존재하게 된다.
제11항에 따르는 추가의 보조 물질에 의해, 전구물질의 중합과 같은 화학적 활성화 처리, 즉 분자쇄의 성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중합은 본 발명에 따르는 물질에서 -접착 효과 이외에- 체적 증가를 일으킨다.
반면에, 제11항에 따르는 보조 물질은 예를들면 가소성, 평활성, 윤활 능력, 잔류수 함량과 같은 기타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제12항에 따르는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에서, 노출된 실표면에서 접착 효과는 최대 수일 후에 활성을 잃는다. 재봉되는 직물을 목적에 따라 사용할 때, 점착성이 스티취 연결부 영역중의 표면상에서 일어나지 않고, 상응하는 경화가 일어나 더이상의 증가된 접착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조 조건에 따라서, 외측에서 고착하려는 스티취 연결부로 인한 후속 작업 공정의 일련의 방해를 배제하기 위해서 상기 탈활성화에 상당히 짧은 기간, 예를들면 수분 또는 심지어 수초동안 허용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실 표면이 다른 실 표면 또는 재봉되는 직물의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에서 접착 또는 결합 효과가 계속 나타나서 접착 또는 결합 효과가 경화 후 변학하지 않거나 또는 보다 강하게 유지된다.
제13항에 따는 시스템이 유리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아크릴아미드는 전구물질로서 사용되며, 추가로, 첨가제로서 가교 결합제 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및 N,N,N'N'-테트라메틸 에틸렌 디아민 뿐만 아니라 가소화제 글리세롤을 함유한다.
상기 전구물질에 의해 제공되는 재봉실은, 예를들면 자외선 및/또는 과산화물에 의해 아크릴아미드가 쉽게 폴리아크릴아미드로 중합될 수 있다는 잇점을 갖고 있다. 재봉 후, 실은 하루 또는 수일동안에 물을 방출한다. 그러나, 글리세롤은 잔류수 함량을 보유하여 재봉실은, 예를들면 체인 스티취 연결부에서 재봉 후 가소성 점조도를 수득하며, 따라서 재봉되는 제품 및 바늘 구멍에 비교적 접착성이 있고 잘 접착된다. 또한 수득된 스티취 연결부를 포함하는 완성된 직물이 소나기와 같은 증가된 습도에 적용되면,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이 물의 흡수를 통해 다시 팽윤되고 바늘 구멍에 중합체가 충진되고 멈추어 또한 방수가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지능적인 스티취 연결부"가 본 발명에 따라 공급되고, 구체적으로는 봉제품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하면서 가역적으로 습한 환경하에서는 팽윤되고 건조 환경하에서는 수축된다.
만일 냉각수에서 불용성인 전분, 구체적으로는 감자 전분이 재봉 처리 후, 예를들면 수증기에 의해 용액으로 열적 변형되는 전구물질로 사용된다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경우에서, 미생물학적 분해에 대해 보호 처리하기 전에 살균제또는 살진균제와 혼합되어 폴리사카로이드 필름이 재봉실상에서 및 바늘 구멍의 근처에서 형성된다. 상기 필름은 벽지 아교와 유사한 결합 특성을 갖고 있고, 폴리아크릴아미드 시스템과 유사하여 가역적으로 물을 흡수하고 팽윤될 수 있다.
상기 스티취 연결부에 의해 재봉된 직물은 전분/전구물질이 용해되지 않고 대략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또한 세탁될 수 있으며, 전구물질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여전히 불용성인, 냉각수에서 불용성인 전분을 포함한다.
제14 내지 17항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재봉실로 재봉된 재봉 가능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원칙적으로, 이차원적 영역 구조로 연결가능한 물질은 또한 종이, 가죽등과 같은 임의의 직물류 및 호일등이며, 방수되도록 공급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무 문제없이 폐기할 수 있거나 또는 사료등의 용도와 같이 폐기하는데 유용한 천연 물질이다. 상기 면에서 특히 적합한 것은 아마, 린넨 또는 바다 잡초등과 같은 유기적 재생섬유를 기초로 하는 직물류이며, 임의의 바람직한 방식으로 방수 가공할 수 있다. 합성 물질을 사용하지 앞고 방수 봉합하는 한가지 방법은, 예를들면 밀랍에 의한 봉합이다.
보통, 웰팅 리본등을 공급하고, 스티취 연결부에서 상기 리본을 재봉하기 위해 연결되는 직물층 사이에 완전한 밀착성을 갖출 필요가 또한 있을 것이다. 상기 웰팅 리본은 재봉실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또한 예를들면 추가적인 봉합 압력을 유발하기 위하여 가공 후 팽창될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경우에서, 상기 웰팅 리본은 다른 물질, 구체적으로는 재봉 처리시 압축되어 봉합 압력을 유발하는 부드럽고 탄성적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능한 웰팅 리본은 라텍스, 부드러운 고무등으로 구성된다.
제2 내지 13항의 발명은 자기-봉합 스티취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처리 후 재봉실의 팽윤은 바늘 구멍내에 실 마찰의 상당한 증가를 가능하게 하여 중절된 실 라인에서 자기 밀착성 효과를 낸다. 이는 전체의 스티취 연결을 풀리게하는 불완전하게 록크된 체인실 또는 파쇄된 체인 실의 위험도 없이, 체인 스티취 연결부의 상당히 증가된 사용 범위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파쇄된 실의 경우에서, 인접한 바늘 구멍은 실을 잡아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 스티취 연결부가 풀어지지 않도록 한다. 체인 스티취 연결부가 실감개 실없이 통상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매우 제한된 길이로 실감개에 감겨지고 또한 실감개를 바꾸기 위해 재봉 처리의 빈번한 중단을 이끄는 실감개 실의 공급에 대한 필요성이 따라서 배제된다. 또한 체인 스티취 연결부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재봉실의 상기 자기 록크 또는 자기 홀딩 효과는 생산 기술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한, 체인 스티취 연결을 상당히 보다 넓은 범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재봉 후 체적이 증가하는 실, 예를들면 팽윤되는 실은 보다 넓은 적용의 관점에서 잇점을 갖거나 또는 체인 스티취 연결의 단점을 피할 수 있으며, 이점은 증가된 접착 효과를 가진 표면을 갖는 재봉실의 실과 유사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들 효과 모두의 결합된 적용, 즉 표면 증가 및 증가된 접착 효과, 구체적으로는 부착 효과는 스티취 연결에서 또는 바늘 구멍에서 체인 스티취 연결부 실의 클링 (clinging) 효과를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재봉실의 다른 부착이 봉합에 추가적인 공헌을 하게 하는 특별한 잇점을 갖고 있다. 방수 봉합은 부착할 수 있는 실이 소수성이라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다시 말해서 증가된 접착성의 표면을 가진 재봉실 뿐만 아니라 팽윤 가능한 재봉실은 록크 스티취 연결부에 사용될 수 있다. 팽윤 능력은 또한 록크 스티취 연결부에서 상응하는 봉합을 일으키는 한편, 접착 효과는 또한 록크 스티취 연결의 록크를 강하게 하고, 예를들면 상기 스티취 연결부를 갖춘 구조가 스티취 연결부의 단편에 의해 이들 각각이 서로 모이게 되는, 많은 작은 구조로 나된다면, 상기 사실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실감개 실을 포함하는 스티취 연결이 사용된다 하더라도 처리 전 보다 작은 실 두께로 인해, 상당히 보다 긴 실이 실감개에 감겨져 있어서 작업 중단의 수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에 의해 잇점이 생긴다. 처리 후, 예를들면 사용시 실은 보다 큰 두께로 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인열력을 얻기 위해 또는 기타 이유로 바람직하다.
실 코아는 팽윤가능한 표면층의 물질과 양립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비-탄성 물질로 구성된다. 또한 면화, 케블라 (kevlar), 탄소 섬유 또는 유리 필라멘트가 코아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팽윤 효과가 표면층에 명확히 제한되는 한, 코아는 표면층과 다른 물질로 반드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적어도 스플래쉬 방지의 스티취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판되는 재봉실을 전구물질로서 작용하는 실리콘 수지의 수용액을 통해 처리한다. 실리콘 수지로서 와커-케미사(Wacker-Chemie AG)의 "실리콘하르쯔 엠카(Silikonharz MK)"를 사용한다. 실리콘 수지 용액으로 포화된 침지 욕 또는 스폰지를 통과시킨 후, 상기 재봉실을 재봉틀에 공급하고 재봉될 제품으로서의 모더사이클복 일부를 상기 재봉실을 사용하여 재봉한다.
형성된 스티취 연결부를 시판하는 경화제내에서 활성화 처리하고, 전형적인 경우에 있어서 와커-케미사의 "Fl00%"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새롭게 스티취 연결부에 도포한다. 스티취 연결부 위에 경화제를 도포하므로써 실리콘 수지 전구물질을 고분자 중합체 실리콘 수지로 변형시키는 것은, 한편으로는 스티취 연결부의 봉제품으로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티취 연결부의 바늘 구멍에 확장 효과 이외에 본원에서 강조하는 결합된 봉합과 함께 방수성을 필수적으로 제공한다.
방수 특성은 바늘 구멍내의 실을 피복하는 실리콘 수지의 결합 특성로부터 필수적으로 생성되며, 이어서 경화되거나 가교결합되고 봉제품뿐만아니라 재봉실에 접착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면사와 같은 시판되는 재봉실을 비닐 클로라이드와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및, 전형적인 경우에 있어서, 가소제인 디페닐 프탈레이트의 수용액을 통해 처리한다. 이어서, 함침된 실을 재봉틀, 전형적인 경우에 있어서, 시판되는 공업용 재봉틀에 공급한다.
여기서는 전구 물질로서 작용하는, 수성 분산액의 형태를 갖는 비닐 클로라이드와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와 함께 안정화제로서의 셀룰로우즈, 및 전형적인 경우에 있어서, 와커-캐미사에서 공급하는 "비놀-현탁액 50/25C"를 사용한다. 재봉틀에서, 재봉실을 사용하여 체인 스티취 연결부를 통해 합성 물질의 방수복을 재봉한다. 이어서, 활성화 처리를 하기 위해 상기 스티취 연결부를 단기간의 고주파 처리, 특히 마이크로파 처리를 한다. 상기 분산액에 검댕이, 흑연, 또는 전도성 산화 금속등과 같은 마이크로파 흡수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종류의 활성화 처리에 의해, 전구 물질, 전형적인 경우에 있어서, 비닐 아세테이트와 비닐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를 우수한 결합성 및 봉합 특성을 나타내는 생성물로 변형시키고, 이로 인해 스티취 연결부의 바늘 구멍이 적어도 스플래쉬 방지성을 갖도록 하여 예컨대 모터사이클 운전자가 착용하는 방수복의 바늘 구멍에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 3]
시판되는 면사를 스티취 연결부로 처리하는 동안, 이 면사를 아크릴아미드 및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및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첨가제로서 N,N,N',N'-데트라메틸에틸렌 디아민뿐만 아니라 가소제로서 글리세롤의 수용액을 통해 처리한다.
이어서, 처리된 실을 공업용 재봉틀에 공급하고, 재봉 처리해야하는 제품을 상기 실을 사용하여 체인 스티취 연결부에서 재봉한다.
상기 스티취 연결부에 과산화 암모늄 수용액을 분사하여 활성화 처리를 하고 자외선 램프로 추가로 조사한다.
상기 활성과 처리에 의해,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와 N,N,N',N'-테트라메틸에틸렌 디아민을 가교결합하여 아크릴아미드, 또는 존재가능한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를 겔형 중합체 생성물로 변형한다. 상기 중합체 생성물은, 한편으로는, 바늘 구멍 영역에서 재봉실의 봉제품에의 우수한 접착성을 부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시스템에 의해 "지능적인 스티취 연결부"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티취 연결부 물질은 초기에는 주변 온도의 비교적 건조한 환경하에서 물을 방출하나 글리세린의 연화제로서의 그의 특성과는 다르게 추가의 물을 함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이는 단지 어느 징도 이하만 가능할 뿐이며, 이로 인해 재봉실의 가소성 유지성 및 재봉되는 제품에의 우수한 접착 효과가 성취된다. 만일 모더사이클 운전자의 방수복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재봉실로 재봉되는 경우, 상기 재봉실은 건조한 환경하에서 그의 초기 부피의 10배로 팽윤되며, 바늘 구멍 내의 방대한 확장이 일어나 빗물이 바늘 구멍을 통해 침투할 수 없도록 특히 우수한 밀착성이 생성된다.
봉합 연결부는 통상의 주위 습도에 노출되자마자 다시 물을 방출시키고 따라서 접착 효과를 유지하면서 수축되어 실질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한편, 새로이 물에 노출되면 재봉실이 다시 팽윤된다. 이것은 봉합 연결부 구멍 뿐만 아니라 봉제품에 부착되는 재봉실이 밀착되도록 하는 가역적인 물 방출/흡수 사이클이 제공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르는 전구물질 및/또는 첨가제를 첨가면서 본 분야에서 통상적인 함침제의 용액으로 원료 실을 함침시키며 본 발명에 따르는 재봉실을 대량생산하는 데에도 또한 적합하다.
또한 마이크로파 흡수에 의해 전구물질을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생성물로 바람직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마이크로파 흡수제, 예를 들면 흑연, 유연(soot) 또는 전도성 금속 산화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 및 특징은 다른 실시태양 및 도면에 대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일부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일부 장치의 펑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공업용 재봉틀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소위 바늘판은 종방향 단면도 및 평면도에서 각각 (1)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 재봉되는 제품을 화살표 방향으로 옮긴다. 노루발 (2)이 바닥면 (3)을 향해 재봉되는 제품(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누름으로써 재봉되는 제품은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다. 공업용 재봉틀의 바늘 (4)은 바늘 구멍 (5)을 통해 바늘판 (1)을 관통하면서 재봉되는 제품을 통해 재봉실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관통시킨다. 예정된 바늘 이동 및/또는 공급 및/또는 실 공급에 의해 목적하는 봉합 연결부의 종류, 예를들면 체인봉합 연결부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냉수에 불용성인 전분의 분산액이 입혀진 실이 바늘 (4)에 공급되면, 생성되는 봉합 연결부는 출구 (6)를 향한다. 상기 출구에는, 예를들면 도관(7)을 통해 수증기가 제공됨으로써, 냉수에 불용성이고 전구물질을 제공하는 전분을 점착성을 유지하는 생성물로 변형시킨다. 생성물은 따라서 봉합 연결부가 재봉되는 제품에 더욱 잘 접착되도록 하며 동시에 봉합 연결부가 필수적으로 방수성이 되도록 봉합 연결부의 바늘 구멍을 봉합한다. 또한, 생성된 전분 생성물은, 예를들면 오토바이 타는 사람을 위한 방수복에서 건조후 추가로 물을 흡수할 수 있어서, 봉합 연결부의 재봉실이 팽윤되고 팽윤에 의해 봉제품의 바늘구멍이 특히 잘 봉합된다.
전형적인 경우에서, 증기 추출기(8)에 의해 과량의 수증기를 배기시킬 수 있다.
물론, 재봉실에 가해진 단량체의 중합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다른 첨가제용의 추가적인 분무 노즐을 출구(6)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목적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재봉 공정 후 발포 처리를 제외한 활성화에 의해 활성화되어 재봉실에 의해 생성된 스티취 연결부 (stitched connection)에 재봉할 물질에의 증가된 접착성을 부여하는 생성물로 전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구물질이 적어도 외표면에 함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2. 제1항에 있어서, 실제 체적 또는 겉보기 체적을 증가시키는 물성을 발포 처리를 제외한 방법으로 활성화하므로써, 재봉 후 재봉실의 외경을 증가시키는 생성물로 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구물질을 적어도 외표면에 포함하고, 상기 전구물질이, 폴리사카라이드, 냉각수에 불용성인 폴리사카라이드 제품; 폴리사카라이드와 무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사카라이드와 유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사카라이드 에테르; 전분, 감자 전분; 전분과 무기산의 에스테르, 전분과 유기산의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질소를 함유하는 전분 에테르, 양이온성 전분 에테르, 구체적으로는 그의 염; 아크릴아미드, N 및 C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또는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팽창가능찬 물질과 혼합된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구조 변화에 의해 체적 변촤를 가능하게 하는 분자; 팽창가능한 펠라이트, 팽창가능한 운모 또는 팽창가능한 흑연과 같은 팽창가능한 무기 물질;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3. 제2항에 있어서, 직경이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100%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4. 제2 또는 3항에있어서, 상기 분자가 쳔연 또는 합성 이종 중합체, 구체적으로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 및 천연 또는 합성 단독 중합체, 구체적으로는 폴리사카라이드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하는 재봉실.
  5.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비-탄성 물질로 구성되는 코아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생성물이 접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6.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물질이 물리적으로 및/또는 화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7.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물질이, 실리콘 수지; 알킬 실리콘 수지, 메틸 실리콘 수지; 아릴 실리콘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와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사카라이드, 냉각수에 불용성인 폴리사카라이드 제품; 폴리사카라이드와 무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사카라이드와 유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사카라이드 에테르; 전분, 감자 전분; 전분과 무기산의 에스테르, 전분과 유기산의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질소를 함유하는 전분 에테르, 양이온성 전분 에테르, 구체적으로는 그의 염; 아크릴아미드, N 및 C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또는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8.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실을 위한 통상적인 함침제; 전연 및 합성 왁스; 파라핀; 성장중합체 사슬용 가교결합제, 구체적으로는 메틸렌비스아크릴로아미드 또는 N,N,N'N'-테트라메틸 에틸렌 디아민; 가소화제, 구체적으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 글리세롤; 무기 충진제, 유기 충진제; 프라이머; 라디칼 개시제, 과산화물, 유기 금속성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적합한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추가적인 첨가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9.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대개 수일, 구체적으로는 대개 수분의 경과 후, 재봉할 물질과 접촉하지 않는 노출된 실 표면에서 증가된 접착성 마찰이 감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10.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물질이 아크릴아미드이고; 상기 첨가제가 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및 N,N,N',N'-테트라메틸 에틸렌 디아민 및 글리세롤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실.
  11. 제1 또는 제2항에 따르는 재봉실에 의해, 스티취 연결부가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재봉되는 적어도 두 부분을 포함하는 재봉 영역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취 연결부가 체인 스티취 연결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영역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웰팅 밴드 등이 상기 부분 사이의 상기 스티취 연결부 영역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영역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웰팅 밴드가, 상기 재봉실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직물 재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영역 구조.
  15. a) 재봉실의 적어도 외표면에 생성물의 전구물질을 제공하고;
    b) 상기 재봉실을 재봉틀에 공급하고, 재봉할 물질에서 스티취 연결을 수행하며,
    c) 상기 스티취 연결부를 발포 처리를 제외한 방법으로 활성 처리하여, 상기 전구물질을 목적 생성물을 형성하도록 전환시키고 상기 생성물이 재봉할 물질에의 증가된 점착성을 상기 스티취 연결부에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를 생성시키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점착성 및/또는 봉합 생성물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 또는 16항에 있어서, 분사 또는 함침에 의해 상기 표면에 상기 전구물질을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 또는 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a)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 또는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물질이, 실리콘 수지; 알킬 실리콘 수지, 메틸 실리콘 수지; 아릴 실리콘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와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사카라이드, 냉각수에 불용성인 폴리사카라이드 제품; 폴리사카라이드와 무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사카라이드와 유기산의 에스테르; 폴리사카라이드 에테르; 전분, 감자 전분; 전분과 무기산의 에스테르, 전분과 유기산의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질소를 함유하는 전분 에테르, 양이온성 전분 에테르, 구체적으로는 그의 염; 아크릴아미드, N 및 C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또는 아크릴아미드 올리고머; 팽창가능한 펠라이트, 팽창가능한 운모 또는 팽창가능한 흑연과 같은 팽창가능한 무기 물질;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 또는 16항에 있어서, a) 및/또는 c) 단계에서, 실을 위한 통상적인 함침제; 천연 및 합성 왁스; 파라핀; 성장중합체 사슬용 가교결합제, 구체적으로는 메틸렌 비스아크릴로아미드 또는 N,N,N/N'-테트라메틸 에틸렌 디아민; 가소화제, 구체적으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 글리세롤; 무기 충진제, 유기 충진제; 프라이머; 라디칼 개시제, 과산화물, 유기 금속성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적합한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보조 물질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5 또는 16항에 있어서, c) 단계가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활성화, 구체적으로는 열적 활성화, 가열 밀봉, 고주파 활성화, 광 활성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활성화, 화학적 중합, 화학적 경화, 라디칼 개시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5 또는 16항에 있어서, a) 단계에서, 전구물질로서 아크릴아미드; 가교결합 첨가제로서 메틸렌 비스아크릴로아미드 및 N,N,N',N'-테트라메틸 에틸렌 디아민;가소화제로서 글리세롤을 사용하고, c) 단계에서, 과산화물 수용액, 구체적으로는 과산화 암모늄 용액 및/또는 자외선 조사를 적용하므로써 상기 활성화 처리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40703983A 1992-05-08 1993-05-06 재봉실,이에 의해 재봉된 영역구조 및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KR100263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15176.7 1992-05-08
DE4215176A DE4215176C3 (de) 1992-05-08 1992-05-08 Nähfaden, hiermit vernähtes Flächengebil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ritzwasserdichten Naht
PCT/EP1993/001110 WO1993022943A2 (de) 1992-05-08 1993-05-06 Nähfaden, hiermit vernähtes flächengebil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ritzwasserdichten na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195A KR950701195A (ko) 1995-03-23
KR100263508B1 true KR100263508B1 (ko) 2000-08-01

Family

ID=645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983A KR100263508B1 (ko) 1992-05-08 1993-05-06 재봉실,이에 의해 재봉된 영역구조 및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869182A (ko)
EP (1) EP0639057B1 (ko)
JP (1) JPH08505661A (ko)
KR (1) KR100263508B1 (ko)
AT (1) ATE151123T1 (ko)
AU (1) AU4064993A (ko)
BR (1) BR9306332A (ko)
CH (1) CH685566A5 (ko)
CZ (1) CZ285416B6 (ko)
DE (4) DE4215177A1 (ko)
ES (1) ES2093551B1 (ko)
HK (1) HK1006317A1 (ko)
HU (1) HU219066B (ko)
RU (1) RU2120782C1 (ko)
WO (1) WO199302294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0810A1 (de) * 1994-06-30 1996-01-11 Gerd Ebert Verfahren zum verbinden von gebilden sowie nähmaschinennadel und nähfaden zu seiner durchführung
AU3275697A (en) * 1996-06-28 1998-01-21 Teijin Limited Sewing thread for leather products and leather products produced by using the same
DE19717394C2 (de) * 1997-04-24 2001-11-29 Stockhausen Chem Fab Gmbh Druckfähige Einkomponentenquellpaste und deren Verwendung
US6436484B1 (en) 1997-12-09 2002-08-20 Coats American, Inc. Processes for coating sewing thread
EP0949367A1 (fr) * 1998-04-08 1999-10-13 COMPAGNIE ROYALE ASTURIENNE DES MINES, Société Anonyme Fil à base de mica et procédé de filature d'un tel fil
DE19853591A1 (de) * 1998-11-20 2000-05-25 Schmitz Werke Markisentuch
GB9902955D0 (en) * 1999-02-11 1999-03-31 Hyperlast Ltd Waterproofing of stitched articles
WO2001070855A1 (de) * 2000-03-20 2001-09-27 P-D Tec Fil Gmbh Technische Filamente Verfahren zur erzeugung von fadenprepregs
CN1158950C (zh) 2001-10-18 2004-07-28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衬衫缝骨的抗皱整理方法
DE10211667A1 (de) * 2002-03-15 2003-10-02 P D Tec Fil Gmbh Tech Filament Textiles Glas-/PTFE-Gewebe
US20040265585A1 (en) * 2003-06-27 2004-12-30 Moore Steven Clay Adhesive coated sewing thread
US20060063452A1 (en) * 2003-06-27 2006-03-23 Moore Steven C Adhesive coated sewing thread
US8782812B2 (en) * 2006-05-23 2014-07-22 Bha Altair, Llc Waterproof breathable garment with tape-free seams
GB2470967A (en) * 2009-06-12 2010-12-15 Ventura Pacific Corp Pte Ltd System and method to seam seal textile products
US20120121901A1 (en) * 2010-11-16 2012-05-17 Lee Bong-Kyu Water based bond sewing thr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048219A1 (en) * 2011-08-24 2013-02-28 Roxanne Ferreiro Adhesive Thread System
CN102877648B (zh) * 2012-10-12 2014-08-20 长沙圣华科技发展有限公司 现浇混凝土立面防碳化养护膜及养护方法
RU2546512C2 (ru) * 2013-04-24 2015-04-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дизайна и технологий" (ФГБОУ ВПО "МГУД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иточных соединений деталей из войлока
RU2560057C2 (ru) * 2013-09-10 2015-08-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КНИТ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ерметичных швов швейных изделий
JP2015136827A (ja) * 2014-01-21 2015-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装部材とその製造方法
US20170241044A1 (en) * 2016-02-24 2017-08-24 Nanocomp Technologies, Inc. Yarn for reinforcing composite materials
US10934647B2 (en) 2018-02-05 2021-03-02 SECO Systems, LLC Attachment for sealing sea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3418A (en) * 1984-05-29 1986-06-1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seam construction to significantly reduce seam leakag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90989A (fr) * 1961-03-09 1962-04-20 Condemine S A R L Ets Procédé d'assemblage de pièces de tissu imperméabilisées par enduction
JPS546968A (en) * 1977-06-13 1979-01-19 Unitika Ltd Sewing process
JPS5882750A (ja) * 1982-07-21 1983-05-18 アキレス株式会社 凹凸模様布及びその製造方法
IL71041A (en) * 1984-02-23 1986-07-31 Shenkar College Textile Tech Yarns and threads and their use in the fabrication of textile products
JPS61296181A (ja) * 1985-06-22 1986-12-26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防水縫糸
DE3720237A1 (de) * 1987-06-15 1989-01-05 Amann & Soehn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uftblastexturiertem naehgarn
JPH02210071A (ja) * 1989-02-10 1990-08-21 Teijin Ltd 繊維構造物
US5038693A (en) * 1989-09-21 1991-08-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Composite flexible blanket insulation
DE4025291A1 (de) * 1990-08-09 1992-02-13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 oder feuchtigkeitsdichten naehten
DE69114684T2 (de) * 1990-08-29 1996-04-18 Kuraray Co Faserschlichtemittel.
DE4100785C2 (de) * 1990-12-27 1997-11-27 Amann & Soehne Verfahren zur Ausrüstung eines Nähgarnes
FR2691171B1 (fr) * 1992-05-15 1994-12-23 Vetrotex France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fil continu par étirage mécanique et produits en résultant.
US5298028A (en) * 1992-06-17 1994-03-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making a yarn of particulate-impregnated aramid fibers
US5512369A (en) * 1994-03-14 1996-04-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bers containing polymer-coated inorganic p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3418A (en) * 1984-05-29 1986-06-1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seam construction to significantly reduce seam lea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064993A (en) 1993-12-13
DE4215177A1 (de) 1993-11-11
BR9306332A (pt) 1998-06-30
HU219066B (hu) 2001-02-28
ES2093551B1 (es) 1997-12-16
DE4215176C3 (de) 1996-06-20
EP0639057B1 (de) 1997-04-02
ATE151123T1 (de) 1997-04-15
RU2120782C1 (ru) 1998-10-27
DE4215176C2 (de) 1994-05-05
WO1993022943A2 (de) 1993-11-25
ES2093551A1 (es) 1996-12-16
US5869182A (en) 1999-02-09
CZ273394A3 (en) 1996-05-15
KR950701195A (ko) 1995-03-23
JPH08505661A (ja) 1996-06-18
CZ285416B6 (cs) 1999-08-11
CH685566A5 (de) 1995-08-15
DE4215176A1 (de) 1993-11-18
EP0639057A1 (de) 1995-02-22
WO1993022943A3 (de) 1994-01-20
DE4244731A1 (de) 1994-04-21
HUT69441A (en) 1995-09-28
RU94046040A (ru) 1997-02-27
HK1006317A1 (en) 1999-02-19
DE59306045D1 (de) 1997-05-07
HU9403148D0 (en) 199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508B1 (ko) 재봉실,이에 의해 재봉된 영역구조 및 스플래쉬 방지 스티취 연결부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US4265962A (en) Low penetration coating fabric
US53227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breathable coated fabric
US2719795A (en) Absorbent fibrous sheet material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460643A (en) Nonwoven fibrous backing for vinyl wallcover
US3852090A (en) Waterproof, breathable coated textile substrate
JPH05148759A (ja) 液体忌避処理及びバリア塗布を施した不織ウエブ
US4939020A (en) Core member for fabrication of shaped plastic
US4142017A (en) Flexible laminat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US2308593A (en) Knitted fabric and manufactured knitted articles
CN1100168C (zh) 缝纫线, 用其缝制的平幅织物及接缝的制备方法
JPS5898464A (ja) ケミカルレ−ス用基布の製造方法
US3620797A (en) Impregnation of a nonwoven fabric
US3811923A (en) Fiber fleece containing a polymeric reinforcing material
US3214289A (en) Flexible foil-like web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898159A (en) Ravel-free orthopaedic casting tapes
US2368948A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fabrics containing filament yarns
US3889038A (en) Coated filame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97417A (en) Rubber impregnated fibrous material
US3573130A (en) Method of bonding polymer-coated fibers by solvent action
US2172251A (en) Process of coating knit articles and products thereof
RU2118106C1 (ru) Текстильная подложка для термоклеящегося дубли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термоклеящийся дубл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й подложк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WO1994002669A1 (de) Nähfad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ufreissfesten kettenstichnähten sowie kettenstichnaht
US3926717A (en) Process for forming a polymeric film inside a cellulosic matrix and product obtained therefrom
US3445277A (en) Differential treatment for improving the shape holding properties of cellulosic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