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815B1 - 자체스캐닝기능을갖는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및pos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체스캐닝기능을갖는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및pos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815B1
KR100262815B1 KR1019940018707A KR19940018707A KR100262815B1 KR 100262815 B1 KR100262815 B1 KR 100262815B1 KR 1019940018707 A KR1019940018707 A KR 1019940018707A KR 19940018707 A KR19940018707 A KR 19940018707A KR 100262815 B1 KR100262815 B1 KR 10026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product code
stor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877A (ko
Inventor
시미즈찌즈
사까이가즈히또
스즈끼치즈오
기꾸찌가오루
데라다기요우꼬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95001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weight of goods in commercial establishments, e.g. supermarket, P.O.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2Cards defining paid or billed services or qua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3Cards including a coun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07F7/025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by means, e.g. cards, providing billing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e, e.g. identification of seller or purchaser, quantity of goods delivered or to be deliver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54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with control of supplementary check-parameters, e.g. weight or number of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의이든 과실이든간에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상품을 운반하는 부정행위등을 방지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가 판독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수납부에 수납된 상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의 증가/감소를 검지하는 중량 판정부, 및 검지결과에 응하여 상품의 총중량이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변화한 경우에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을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입상품 수납 운반장치와 POS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9도느 제7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의 관리부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제7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제7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표시부의 전형적인 경보 표시를 도시한 개략도.
제13도는 제7도에 관리부의 에러 표시부 및 에러 해제부의 전형적이 표시를 도시한 도.
제14도는 제7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내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20도는 제18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에서 사용된 정산 POS 터미널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21도는 제18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의 동작을 동시한 정체 흐름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5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5도는 제24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에서 사용된 정산 POS 터미널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26도는 제24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의 제어기 또는 상위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27도는 제24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표시부의 전형적인 표시를 도시한 도.
제28도는 제24도에 도시된 POS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6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31도는 제29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32도는 제29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
제33도는 제29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대한 변경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고객이 구입상품을 수납하고 운반할 수 있도록 유통업에서, 특히 양판점, 편의점 혹은 슈퍼마켓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쇼핑카트(shopping cart) (핸드카트 : hand cart)나 쇼핑 바구니 등의 구입 상품 수납 및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객 자신의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등의 상품 코드를 판독하는 동안에 고객이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자체 스캐닝(self-scanning)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이러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를 적용한 POS(point of sales)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S 시스템은 슈퍼마켓과 편의점등 다양한 점포에서 이용된다. POS 시스템에서 고객은 쇼핑카트를 밀거나 쇼핑 바구니를 운반하면서 점포안을 걸어다니며, 구입할 상품을 쇼핑카트나 쇼핑바구니에 넣고 정산 POS 단말(POS 등록기)로 간다.
그다음에 정산 POS 단말에서 조작자가 쇼핑카트나 쇼핑 바구니에서 상품들을 하나씩 꺼내고 등록처리를 행하기 위해 스캐너(scanner)를 사용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상품코드)를 판독한다. 특히, 각각의 바코드에서 판독된 상품코드정보에 따라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상품가격이 가격 검색 파일(PLU(Price Look Up) file)로 부터 검색되고, 정산을 하기 위하여 구입상품의 합계금액이 계산된다.
그러나 이러한 POS 시스템에서 조작자는 상품각각에 대한 상품코드의 판독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그러한 판독동작과 정산 동작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고객은 오랜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고객들이 붐비는 시간대에는 정산 POS 단말앞에 고객들의 행렬이 발생하고 더구나 조작자에게 주어지는 부담은 무거워진다.
따라서, 최근에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상품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스캐너를 갖춘 쇼핑카트 (스캐닝 카트) 또는 쇼핑바구니가 개발되어,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출원번호 소화 63-145591, 평성2-277412 및 평성 5-81559를 포함하는 많은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언급한 유형의 쇼핑 카트나 쇼핑바구니를 사용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자신의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스캐너에 의해 구입할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고 쇼핑카트나 쇼핑바구니의 수납부에 상품을 넣거나 수납하고, 구입할 상품의 선택이 끝나면 상품들을 쇼핑카트나 쇼핑바구니에 넣어 정산 POS 단말로 운반한다.
그다음에 정산 POS 단말에서 고객자신이 등록한 상품코드 정보(혹은 상품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가격정보)를 내려놓고, 정산을 행하기 위해 상품코드 정보(상품 가격 정보)를 근거로 해서 구입한 상품의 합계금액이 계산된다.
POS 시스템에 있어서, 조작자는 더이상 상품들의 상품코드를 하나씩 판독할 필요가 없고 판독처리 및 정산처리에 필요한 시간(기록 작동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더 이상 오랜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또한 조작자가 갖는 부담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조작자가 상품을 등록하기 위해 상품코드에 대한 판독 동작을 실행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쇼핑카트나 쇼핑바구니에 수납된 모든 상품들의 상품등록이 정산시 실행된다. 따라서 의도적으로 부정행위(들치기 등)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정산하지 않고 상품을 가지고 가는 그러한 부정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종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또는 그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POS 시스템에서는 쇼핑바구니에 수납된 모든 상품이 상품 동작에 대해 등록이 되었는지 (상품 코드가 판독됨) 여부를 검지하는 확립된 수단이 포함되어있지 않고, 고객이 스캐넉로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은채 쇼핑카트나 쇼핑바구니에 상품을 넣었을 경우에 대비한 대책이 현상황에서는 충분하지가 않다.
예를 들어, 고객이 스캐너로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품은 그대로 수납될 수 있고, 조작자는 이러한 상품을 알지 못하고 계산을 정산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의적이든 우발적이든 들치등의 부정 행위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코드가 스캐너에 의해 판독될 경우 상품코드의 색이 변하게 하거나 상품코드의 판독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색체 잉크를 상품코드 구역으로 분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으로는 색채 변화상태나 잉크의 적용상태가 모든 상품의 상품코드에 대해 정산시에 점검되어야 하며 조작자의 부담은 감소될 수 없다. 더우기, 상품을 구입할 목적으로 상품코드의 판독이 일단 실행된 상품을 반환하려고 할 경우 상품코드는 그러한 판독이전의 상태로 즉시 복귀될 수 없고, 점원은 상품코드(바코드)를 재 부착하거나 또는 그와 유사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더우기, 상품이 식료품 등일 경우 색체 잉크의 분사를 이용하는 방법은 위생면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술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종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또는 그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최종 정산 작업이 정산 POS 단말에서 실행되어야 하므로 고객은 정산 POS 단말에서 약간의 시간 간격동안에 기다려야 하고 이것은 조작자의 작업에 부담을 준다. 따라서 조작자의 부담을 덜고 조작자의 수를 감소시키고 고객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부정 행위를 방지하는 동안 각 구입상품 수납 및 운반장치로 최종정산까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의 적이든, 우발적이든 상품코드(상품등록)을 판독하지 않고 상품을 적재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자체스캐닝 기능을 갖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조작자의 부담 감소와 조작자들의 수를 축소시키고 대기시간 업이 고객들의 유쾌한 쇼핑을 실현하기 위하여 셀프 서비스에 의해 최종 정산까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하는 POS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양상에 따라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 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계량 판정부, 및 계량 판정부에 의해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되었음이 판정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로 구성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제공된다.
구입상품 수납 운반장치는 상품 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 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변화전의 원래의 중량으로 복귀되었음이 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에 경보 발생부에서 발생된 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경보 해제부로 더 구성된다.
자체 스캔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로 수납부내의 상품의 전체 중량이 상품코드의 스캐닝 없이 변화되었음이 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면 고객에게 경고를 주기위해 경보가 즉시 발생한다. 따라서, 고의적이든 우발적이든 상품 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상품을 적재하는 등의 부정 행위를 고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도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고 각각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 코드 판독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그안에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를 관리하는 관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각각은 수납부내에 수납되는 상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에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판정부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한 상품코드의 판독없이 변화하였음이 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 경보 발생부에 의해 경보 발생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 타이머에 의해 계수된 시간의 소정시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타이머 판정부, 및 타이머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타이머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에러정보로써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고유정보를 관리부로 전송하는 에러 전송부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이 제공된다.
관리부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중의 에러 전송부로 부터 에러정보를 수신하는 에러 수신부, 에러 정보가 에러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에러 정보가 전송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중 하나의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에러 표시부, 및 에러 정보가 전송된 하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대한 대응책이 완료되는 경우 에러 표시부에 하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고유정보 표시를 해제하는 에러 해제부를 포함한다.
POS 시스템에서 고객이 상술된 그러한 정보를 무시하고 스캐닝이 실행되지 않은 상품을 꺼내지 않는다면 부정행위가 이루어진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고유 정보는 에러 정보로서 관리부에 전송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수납부내에 수납된 상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의 중량을 검색하는 상품중량 검색부, 상품 중량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중량과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상품코드 정보 판독이후 수납부내에 상품의 총 중량 증가분을 비교하는 중량비교부, 및 상품 중량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중량과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상품코드 정보 판독이후 수납부에 증가된 상품의 전체 중량 증가분이 서로 상이하다고 중량 비교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로 구성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제공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계량기로 측정한 수납부내의 상품의 전체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중량검지부로 더 구성될 수 있어, 계량기로 측정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한 상품 코드의 판독없이 변화한 것이 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 발생부가 경보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고 각각은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 코드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코드 등록부, 및 상품 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상품정보로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가격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정보파일,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수납부에 수납된 구입상품에 대한 최종 정산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중의 상품코드 등록부에 등록된 상품 코드정보에 따라 상품 정보 파일을 검색하는 정산 POS 단말로 구성되고, 상기 상품정보 파일이 상품정보로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개별 상품의 중량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및 정산 POS 단말에서 정산시에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을 정산 POS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산 POS 단말이 구입상품수납 운반장치중의 데이터 전송부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품코드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모든 상품들의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 정보 파일에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중량을 검색하는 상품중량 검색부, 상품 중량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계산하는 합계 중량 계산부, 합계 중량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총 중량과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을 비교하는 중량비교부, 및 합계 중량 계산부로 계산된 총 중량과 데이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서로 상이 하다고 중량비교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이 제공된다.
각각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전체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 판정부, 및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전체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되었다는 것이 계량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에 있어서, 중량의 실제 증간분과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량이 서로 상이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혹은 상품 코드정보에 따라 계산된 총 중량과 계량기에 의해 셀제로 측정된 상품의 총 중량이 서로 상이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에러가 통지된다. 따라서, 고유 상품을 등록해서 다수의 상품들을 수납부에 동시에 수납하거나 상품을 등록하지 않고 수납부에 수납하는 등의 고의적인 부정 행위 및 스캐닝의 누락이나 스캐닝시의 에러등의 과실의 부정행위가 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 행위들은 확실하게방지될 수 있다. 더우기, 종래의 POS 시스템의 안전장치와 대등하게, 조작자의 스캐닝 동작에 의해 정산이 실행되는 안전장치가 현행 POS 시스템을 채택하는 상점으로 공급될 수 있어, 상점과 고객에게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코드 등록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품코드 판독부는 정산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로 부터 임의로 선택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며,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정보가 상품코드 등록부에 등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상품등록 판정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정산시 상품등록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로 구성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코드 등록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품코드 판독부는 정산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에서 임의로 선택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며,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가 상품 코드 등록부에 등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상품등록판정부로 구성되고, 상품코드 등록부는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는다는 것이 상품 등록 판정부에 의해 판정될때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제공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상품등록 판정부에 의해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판정되는 경우에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로 더 구성된다.
자체 스캐닝기능을 갖는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에서 고의이든 과실이든 고객이 상품코드를 스캐닝하지 않고 수납부에 수납한 상품이 정산시 조작자에 의한 임의의 스캐닝 검사로 검지되는 경우 부정행위는 에러로 통지되고 상품은 자동적으로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에 의한 들치기 등의 부정 행위는 정산 POS 단말의 조작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또한 상품코드의 변색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도 부정행위의 유혹에 대한 제지 효과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자체 스캐닝을 포함하는 POS 시스템의 도입시 부정 행위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차 스캔닝 기능을 가지고, 각각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코드 등록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가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상품코드 등록부에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중의 수납부에 수납된 구입상품에 대한 최종정산을 실행하는 정산 POS 단말로 구성되고 상기 정산 POS 단말은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중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수를 검지하기 위해 각 상품에 이미 부착된 공진태그(tag)를 검지하는 공진태그 검지부, 및 공진태그 검지부로 검지된 상품의 수와 상품코드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른 등록 상품의 수를 비교하는 상품수비교부를 구성하는 POS 시스템이 제공된다.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등록된 상품의 수와 정산 POS 단말의 공진태그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실제 상품의 수가 서로 비교되고 그 결과가 통지되므로 비등록 상품의 존재여부가 정산 POS 단말에서 쉽게 확인되어 고객에게 통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자체 스캐닝을 포함하는 POS 시스템의 도입시 부정 행위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가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선불카드를 수납하여 선불카드의 잔액정보를 판독하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상품코드 판독부가 판독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의 가격을 검색하는 상품 가격 검색부, 및 잔액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로서 선불카드 입력처리부가 판독한 잔액정보로 부터 상품 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가격을 공제하여 얻어진 결과를 등록하는 데이타 갱신부로 구성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제공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잔액에서 상품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가격이 부족한 경우 이러한 부족액을 통지하는 통지부 및/또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잔액에서 상품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가격이 부족한 경우에 두번째 선불카드를 선불카드입력처리부에 삽입하여 구입처리를 계속할지 아니면 구입처리를 종결할지를 선택하는 선택부로 더 구성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구입의 완료시에 영수증을 발행하는 영수증 발행부, 및/또는 영수증 발생부에 의한 영수증 발행이 필요한지 불필요한지를 선택하는 영수증 발생선택부로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가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신용카드나 은행카드를 수납하여 카드의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자기카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의 가격을 검색하는 상품가격 검색부, 및 자기 카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카드의 자기정보에 대응하는 구좌로부터 상품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후일 자동으로 클리어(clear)하는 자동클리어처리부로 구성되는 자체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제공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선불카드를 수납해서 선불카드의 잔액정보를 판독하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및 잔액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로서 선불카드 입력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잔액 정보로 부터 상품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가격을 제공하여 얻어진 결과를 등록하는 데이타 갱신부로 구성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관리부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수신부, 및 데이타 수신부를 거쳐 관리부로 부터 수신된 전원 ON/OFF 지시에 응답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ON/OFF하는 전원 ON/OFF 구동부로 더 구성되고, 또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 판정부, 및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한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로 더 구성된다.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선불카드, 은행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셀프 서비스에 의해 최종 정산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부담을 덜고 조작자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산 POS 단말에서 대기시간이 없는 유쾌한 쇼핑을 즐길 수 있어 쇼핑시간의 현저한 단축과 셀프 쇼핑에서 편의의 향상이 실현될 수 있다.
우선 제1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양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양상은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한개만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음),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을 관리하는 관리부 8을 포함하는 PO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상품50에 부착된 상품코드 50a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2 및 상품코드 판독부2가 상품코드 50a를 판독한 상품50을 수납하는 수납부 3을 포함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계량기 4, 계량판정부5, 경보발생부6, 경보 해제부7, 타이머9, 타이머 판정부10, 및 에러 전송부11을 더 포함한다.
계량기 4는 수납부 3내에 수납된 상품들 50의 총 중량을 측정하고, 계량판정부 5는 계량기 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 3내의 상품 50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경보 발생부6은 계량기4로 측정된 수납부3내의 상품50의 전체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상품코드 50a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했음이 계량판정보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경보해제부 7은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상품코드 50a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한 수납부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이 변화되기 이전의 원래 중량으로 복귀되었음이 계량판정부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에 경보 발생부6에서 발생된 경보를 해제한다.
타이머 9는 경보 발생부6에 의한 경부 발생시간을 계수하고, 타이머 판정부10은 타이머 9에 의해 계산된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에러 전송부11은 타이머 9에 의해 계산된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되었음이 타이머 판정보 10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에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의 고유 정보를 에러 정보로서 관리부 8에 전송한다.
한편, 관리부 8은 에러 수신부12, 에러 표시부 13, 및 에러 해제부 14를 포함한다.
에러 수신부12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중의 에러 전송부 11로부터 에러 정보를 수신한다. 에러 표시부13은 이러한 에러 정보가 에러 수신부 12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에러 정보가 전송되었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중 하나의 고유 정보를 표시하고, 에러 해제부 14는 에러 정보가 전송된 한개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대한 대책이 완료되는 경우 에러 표시부 13의 한개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고유정보 표시를 해제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POS 시스템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을 사용하는 동안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수납부3내에 수납된 상품50의 총 중량이 계량기 4에 의해 측정되고, 계량기 4로 부터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총중량의 변화가 계량판정부5에 의해 검지된다.
그리고나서 계량판정부5에 의해 계량기4로 측정된 수납부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한 상품코드 50a의 판독없이 변화된 사실이 판정되는 경우 고객이 상품코드 50a의 판독(스캐닝)을 수행하지 않고 수납부3에 상품50을 수납했거나 꺼냈음이 판정되어 경보발생부 6에서 경보가 발생된다.
경보 발생후 총 중량이 변화되기 이전의 원래중량으로 복귀되었음이 계량판정부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상품코드 50a를 판독하지 않고 고객이 수납부3에 수납한 상품 50을 수납부에서 꺼내었다고 판정되어 경보 발생부6에 의해 발생된 경보를 경보 해제부7에 의해 즉시 해제된다.
이와 반대로, 경보 발생부6에 의해 발생된 경보가 경보 해제부 7에 의해 해제되지 않는 경우 경보발생부 6에 의한 경보 발생시간이 타이머9에 의해 계수되고 타이머 9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되는지 여부가 타이머 판정보10에 의해 판정된다.
타이머9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되었음이 타이머 판정부10에 의해 판정되면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고유정보는 에러 전송부 11에 의해 에러정보로써 관리부8에 전송된다.
그러면, 에러정보가 전송된 관리부8에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에러 전송부 11로부터의 에러정보가 에러 수신부12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에러정보가 전송되었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고유 정보가 에러 표시부 13에 표시된다.
에러정보가 전송되었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에 대해 어떤 대책이 취해질때까지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고유정보는 에러표시부13에 계속 표시되고 대책이 취해지면 에러 해제부 14에 의해 표시가 해제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자체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1. 수납부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50a를 스캐닝 하지않고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고객에게 경고를 주기 위한 경보가 즉시 발생한다. 따라서, 고의이든 과실이든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상품을 운반하는 등의 구부정 행위는 고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도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2. 고객이 상술된 경보를 무시하고 스캐닝이 실행되지 않은 상품50을 꺼내지 않는 경우에 부정 행위가 이루어 졌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고유정보는 에러정보로써 관리부 8에 전송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그러한 부정 행위를 행한 고객에 대해서 즉시 어떤 대책을 취할 수 있다.
이제 제2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이 도시된다. 도시된 양상은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에 관한 것이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상품코드 판독부 2, 수납부3, 계량기 4 및 경보 발생부 6으로 구성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상품 중량 검색부 15 및 중량 비교부 16으로 더 구성된다.
상품중량 검색부15는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50의 중량을 검색하고, 중량비교부 16은 상품 중량 검색부 15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중량과 상품코드 정보를 판독한후 계량기 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의 증가분을 비교한다.
경보 발생부 6은 상품 중량 검색부15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중량이 상품코드를 판독한 후 계량기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의 증가분과 다르다고 중량 비교부16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계량 판정부 5로 더욱 구성될 수 있어 계량기 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총 중랴잉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한 상품코드 50a의 판독없이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발생부 6이 경보를 발생한다.
제2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상품50의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중량 검색부 15에 의해 검색되고, 상품중량 검색부15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중량과 상품코드의 판독후 계량기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 증가분이 중량 비교부 16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상품 중량검색부 15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중량과 계량기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의 실제 증가분이 서로 상이함이 중량비교부 16에 의해 판정되면 고객이 상품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수납부 3에 상품560을 수납했거나 고객이 실제로 스캐닝된 상품과 다른 상품을 수납부3에 넣었거나 또는 다른 부정 행위가 발생했음이 판정된다. 따라서, 경보발생부 6으로 부터 경보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에서와 유사하게 계량기 4에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한 상품코드 50a의 판독없이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 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 발생부6에 의해 경보가 즉시 발생될 수 있다.
이제 제3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이 도시된다. 도시된 양상은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제3도에는 하개만 도시되었음), 상품 정보 파일18, 및 정산 POS 단말 19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구입상품 수납 운반장치1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상품코드 판독부2, 수납부3, 및 계량기4외에 상품코드 등록부 17, 및 데이타 송신부20을 포함한다. 상품코드 등록부 17은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한다. 데이타 송신부20은 정산 POS 단말에서의 정산시 계량기 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3내의 상품50의 총 중량을 정산 POS 터미널 19로 송신한다.
상품정보 파일18은 상품코드정보에 해당하는 상품50의 가격정보를 상품정보로서 저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품정보파일 18은 상품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개별상품50의 중량정보 또한 상품 정보로써 저장한다.
정산 POS 단말 19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중의 상품코드 등록부 17에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 정보 파일 18을 검색하여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의 수납부 3에 수납된 구입상품에 대한 최종정산을 행한다. 정산 POS 단말19는 데이타 수신부21, 상품 중량검색부 22, 합계중량계산부 23, 중량 비교부 24, 및 경보 발생부 25를 포함한다.
데이타 수신부 21은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중의 데이타 송신부 20으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품 중량 검색부 22는 상품코드 등록부 17에 의해 등록된 모든 상품의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정보 파일 18로 부터 상품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 50의 중량을 검색한다. 합계중량산출부 23은 상품중량검색부 22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중량의 합계중량을 산출한다.
중량비교부 24는 합계 중량 계산부 23에 의해 산출된 합계 중량과 데이타 수신부 21에 의해 수신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합계 중량을 비교하고, 경보 발생부25는 합계중량 계산부 23에 의해 산출된 합계중량과 데이타 수신부 21에 의해 수신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합계 중량이 서로 상이함이 중량비교부 24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한다.
각각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계량판정부5 및 경보 발생부 6을 포함할 수 있어 계량기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한 상품코드 50a의 판독없이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 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발생부 6이 경보를 발생한다.
제3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POS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코드정보에 해당하는 상품50의 상품정보로서 중량정보와 가격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상품정보파일 18이 제공되고, 정산 POS 단말에서의 정산시 계량기4에 의해 측정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수납부 3내의 구입상품의 합계 중량이 데이타 송신부 20으로 부터 정신 POS 단말 19로 송신된다.
한편, 정산 POS 단말 19에서 상품 50의 중량이 상품코드 등록부17에 등록된 모든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정보파일 18로 부터 상품중량 검색부22에 의해 검색되고, 상품중량 검색부 22에 의해 검색된 상품 50의 중량의 합계 중량이 합계 중량 계산부 23에 의해 산출된다.
그다음에, 합계중량 계산부 23에 의해 산출된 합계 중량과 데이타 수신부 21에서 수신된 수납부3내의 상품 50의 합계중량이 중량비교부 24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산출된 합계 중량과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1로 부터 측정된 합계중량이 서로 상이하도록 판정되는 경우 고객이 상품코드 50a를 스캔닝하지 않고 상품 50을 수납부3에 수납했거나 고객이 실제로 스캐닝된 상품과 다른 상품을 수납부3에 넣었거나 혹은 한번의 판독 동작에 대해 다수의 상품을 수납부3내에 넣었거나 그외에 다른 부정 행위가 발생했음이 판정된다. 따라서, 경보발생부 25로 부터 경보가 발생된다.
이러하 경우에, 제1도에 도시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에서와 유사하게 계량기 4로부터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 2에 의한 상품 코드 50a의 판독없이 변화되었음이 판정되는 경우 경보 발생부6으로 부터 경보가 즉시 발생될 수 있다.
제3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자체 스캐닝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시스템에 있어서, 중량의 실제 증가분과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량이 서로 상이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혹은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산출된 합계중량과 계량기 4에 의해 실제로 측정된 상품의 합계중량이 서로 상이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에러가 통지된다. 따라서, 고유 상품을 등록하고 다수의 상품을 수납부3에 동시에 수납하거나 상품50을 등록하지 않고 수납부3에 수납하는 등의 고의적인 부정 행위나 스캐닝의 누락 혹은 스캔닝시의 에러등의 과실의 부정 행위가 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부정 행위는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더우기, 조작자의 스캐닝 동작에 의해 정산이 수행되는 종래의 POS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안전장치가 본 POS 시스템을 채택하는 점포측면에 공급될 수 있어, 점포측면과 고객들에게 보다 더 좋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제 제4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양상이 도시된다. 도시된 양상은 자체 스캐닝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에 관한 것이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상술된 것들과 유사한 상품코드판독부2, 수납부3, 및 상품코드 등록부 17 이외에 상품등록 판정부 26 및 에러 통지부 27로 구성된다.
상품코드 판독부 2는 정산시 수납부3에 수납된 상품들에서 임의로 선택된 상품50의 상품코드 50a를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상품등록 판정부 26은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상품코드 등록부 17에 등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에러 통지부 27은 상품코드 판독부 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정산시 상품등록판정부 26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에러를 통지한다.
상품코드 등록부 17은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정산시 상품등록 판정부 26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상품코드 판정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자동으로 등록한다.
제4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자체스캔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에서 정산POS 단말에서의 정산시 수납부3에 수납된 상품들중 임의로 선택된 상품 50의 상품코드 50a가 조작자에 의한 상품코드판독부2의 사용으로 판독된다.
그다음에,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상품코드 등록부17에 등록되었는지 여부가 상품등록 판정부 26에 의해 판정된다.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상품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상품50을 수납부3에 넣었다고 판정되어 에러 통지부 29에 의해 에러가 통지된다. 동시에, 상품코드 정보는 상품코드 등록부17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자체스캔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고의이든 과실이든 고객이 상품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수납부3에 수납한 상품 50을 정산시 조작자가 임의로 스캐닝을 점검하여 검지하는 경우 부정 행위는 에러로 통지될 수 있고 상품50은 자동적으로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에 의한 들치기등의 부정 행위는 정산 POS 단말19의 조작자에게 부담을 주지않고 또한 상품코드 50a의 변색등에 대한 대책이 없이도 부정 행위에 대한 유혹을 제지하는 효과에 의해 방지될 수 있어, 자체 스캐닝을 포함하는 POS 시스템의 도입시 부정행위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제 제5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이 도시된다. 도시된 양상은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 (한개만이 제5도에 도시됨) 및 정산 POS 단말 19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또한 상술된 것들과 유사한 상품코드 판독부2, 수납부3, 및 상품코드 등록부17을 포함한다.
정산 POS 단말 19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상품코드 등록부 17에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중의 수납부3에 수납된 구입상품에 대한 최종 정산을 행한다.
정산 POS 단말 19는 공진 태그 검지부 29, 및 상품수 비교부 30을 포함한다.
공진 태그 검지부 29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중의 수납부 3에 수납된 상품50의 수를 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품에 이미 부착된 공진 태그 28을 검지하고 상품수비교부 30은 공진 태그 검지부 29에 의해 검지된 상품 50의 수와 상품코드 등록부 17에 의해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얻어진 등록 상품의 수를 비교한다.
제5도와 관련해서 상술된 POS 시스템에 있어서, 공진 태그 28은 각 상품 50에 미리 부착되어, 정산 POS 단말에서 정산시 상품50의 공진 태크 28이 정산 POS 단말 19의 공진 태그 검지부 29에 의해 검지될 수 있고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의 수납부3에 수납된 상품의 수를 검지한다.
그다음에, 공진 태그 검지부 29에 의해 검지된 실제 상품50의 수와 상품코드 등록부17에 등록되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얻어진 등록상품의 수가 정산 POS 단말 19의 상품수비교부 30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비교의 결과에 따라 그 수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면 고객이 상품50의 상품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수납부3에 수납했거나, 고객이 실제로 스캐닝된 상품과 다른 상품을 수납부3에 넣었거나 그밖에 단한번의 판독동작에 대해 다수의 상품이 수납되었거나 다른 부정 행위가 이루어졌음이 판정되고, 그것은 어떤 수단에 의해 통지된다.
따라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등록된 상품의 수와 정산 POS 단말19의 공진 태그 검지부 29에 의해 검지된 실제 상품의 수가 서로 비교되어 그 결과가 통지되므로 등록되지 않은 상푸의 존재 여부가 정산 POS 단말19에서 쉽게 확인되어 고객에게 통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자체 스캐닝을 포함하는 POS 시스템의 도입시 부정 행위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6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이 도시된다. 도시된 양상은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에 관한 것이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상품코드 판독부2 및 수납부 3이외에 31에서 41까지 표시된 여러가지 추가요소들로 구성된다.
특히,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선불카드를 수납해서 선불카드의 잔액정보를 판독하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31,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50의 가격을 검색하는 상품가격 검색부32, 및 잔액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선불카드의 잔액정보로서 선불카드 입력처리부31에 의해 판독된 잔액 정보로 부터 상품가격검색부 32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가격을 공제하여 얻은 결과를 등록하는 데이타 갱신부 33으로 구성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선불카드의 입력처리부 31에 의해 판독된 잔액에서 상품가격 검색부 32에 의해 검색된 상품 50의 가격이 부족하여 데이타 갱신부33에 의한 갱신이 수행될 수 없을때 그러한 부족액을 통지하는 통지부 34, 및 선불카드 입력처리부31에 의해 판독된 잔액에서 상품가격 검색부32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가격이 부족한 경우에 선불카드 입력처리부31에 제2 선불카드를 삽입하는 구입처리가 계속될지 혹은 구입처리가 종료될지를 선택하는 선택부 35로 더 구성될 수 있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구입의 완료시 영수증을 발생하는 영수증 발생부36, 및 영수증 발생부 36에 의한 영수증의 발행이 필요한지 여부를 선택하는 영수증 발행선택부 37로 더 구성될 수 있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31, 데이타 갱신부 33 및 통지부 34 대신 또는 그이외에 신용카드나 은행카드를 수납하고 그 카드의 자기 정보를 판독하는 자기카드 판독부38, 및 자기카드 판독부 38에 의해 판독된 카드의 자기 정보에 해당하는 구좌에서 상품가격 검색부 32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가격에 해당하는 합계금액을 후일 자동으로 클리어하는 자동클리어 처리부 39로 구성될 수 있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은 관리부 8로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수신부 40, 및 데이타 수신부40를 거쳐 관리부 8로 부터 수신된 전원 ON/OFF지시에 응답하여 전원 ON/OFF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ON/OFF 구동부 41로 더욱 구성될 수 있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계량기 4, 계량판정부5, 및 경보 발생부 6으로 더욱 구성될 수 있어, 계량기 4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 3내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한 상품코드 50a의 판독없이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 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발생부6이 경보를 발생한다.
제6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에 있어서, 종래에 정산 pos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최종정산이 선불카드, 신용카드 또는 은행 카드를 사용하는 셀프 서비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선불카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그것은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의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31에 삽입된다. 따라서,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31에 의해 판독되고, 상품50의 가격은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가격검색부32에 의해 검색된다.
그다음에, 데이타 갱신부33은 선불카드의 새로운 잔액정보로써 상품50의 검색된 가격을 선불카드의 잔액정보를 부터 공제하여 얻은 결과를 등록해서 선불카드의 잔액정보를 갱신하고 그것으로 상품50에 대한 정산을 한다.
한편,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31에 의해 판독된 잔액에서 상품가격검색부32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의 가격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선불카드의 데이타가 데이타 갱신부 33에 의해 갱신될 수 없는 경우 이것은 통지부 34로 부터 통지된다.
통지부 34로 부터 나온 통지가 수신되면 고객은 선불카드 입력처리부31에 제2 선불카드를 삽입하여 구입처리를 계속할지 아니면 구입처리를 종결지을지 여부를 선택부 35를 거쳐 선택할 수 있다.
더구나, 구입의 완료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내에 제공된 영수증 발행부 36으로 부터 영수증이 발행된다. 이 경우에, 영수증 발생부 36로 부터 영수증을 발행해야 하는지 여부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영수증 발생 선택부37을 거쳐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신용카드나 은행카드가 사용되면 그것이 자기카드 판독부38에 삽입되어 그것으로 자기정보가 판독되고,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50의 가격이 상품 가격 검색부 32에 의해 검색된다.
그다음에, 자동 클리어 처리부39는 자기 카드 판독부 38에 의해 판독된 자기정보에 해당하는 구좌에서 상품50의 검색된 가격에 해당하는 합계금액을 후일 자동으로 지불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그것으로 상품50에 대한 정산을 완료한다.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은 상위관리부 8로 부터 데이타 수신부40을 거쳐 수신된 전원 ON/OFF지시에 응답하여 전원 ON/OFF구동부 41에 의해 전원 ON/OFF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1의 전원 ON/OFF의 공급은 고객이나 조작자등의 인위적인 작동없이 관리될 수 있다.
더구나, 카드를 이용한 셀프서비스에 의해 정산이 실행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에 있어서, 계량기 4에서 수납부3내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2에 의한 상품코드 50a의 스캐닝없이 변화되었음 계량판정부5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서와 유사하게 경보발생부6에서 즉시 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자체 스캐닝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 장치로, 최종정산이 선불카드, 은행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셀프 서비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에 대한 부담 경감과 조작자 수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정산 POS단말에서의 대기시간이 없이 유쾌한 쇼핑을 달성할 수 있고 쇼핑시간의 현저한 단축 및 셀 종래 자체 쇼핑의 현저한 향상을 실현할 수가 있다.
제7도 내지 제14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1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POS 시스템과 유사하게, 실제로 제1실시예의 POS 시스템은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와 단일 관리부를 포함하며 1개이상의 정산POS단말를 포함할 수가 있다. 그러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다른 하나에 관계없이 동작하고 각각은 정산 POS 단말의 하나와 동시에 상호작용하므로, POS 시스템은 단일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와 단일 정산 POS 단말로 부터 구성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상, 단일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와 단일 정산 POS 단말에 대하여 POS 시스템을 이하 설명한다. 이것은 이후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하 설명된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로서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스캐닝 가트 또는 쇼핑카트 100에 적용된다. 먼저, 제10도와 제11도와 관련하여, 스캐닝 카트 100은 제10도에 도시된 카트부 101과 수납부로서 이용되는 제11도에 도시된 바구니부 102를 포함한다.
카트부 101은 그 위에 바구니부102를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고객등의 이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 103과 카트부 101의 하부에 제공되어 회전되는 4개의 롤러부 104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고객은 손잡이부 103을 파지하여 누르고 롤러부 10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바구니부102를 설치한 카트부 101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구입될 상품을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할 수가 있다.
카트부 101은 제7도와 제8도와 관련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스캐너57외에 데이타를 상위제어부 (제7도에서의 관리부60)와의 사이에 송수신하는 송수신부53,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4,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부 55를 포함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제10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고 제8도에 도시되어 있더라도, 바구니부 102에 수납된 상품의 총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바구니부 102의 하부 (또는 바구니부 102를 수납하는 카트 101의 수납면)에 위치된 계량기 58을 포함한다.
상술된 형태의 스캐닝 카트 100을 사용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고객은 구입될 각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하여 상품코드 정보를 상위제어부 (또는 제7도에 도시된 스캐닝 카트 100내의 기억부 52)내에 판독하고, 이러한 상품을 바구니부 102안에 넣거나 수납하고, 구입될 상품의 선택이 종료된 후에 키보드 55의 종료키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눌러, 그 상품을 스캐닝카트 100에 적재하여 정산 POS 단말(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운반한다.
상품코드 정보의 등록시, 스캐닝 카트 100또는 상위제어부에서 상품가격 파일(PLU file)을 검색하여 등록된 상품의 상품번호, 상품명, 가격(단가)등을 스캐닝카트 100의 표시부 54에 표시한다.
그다음에, 정산 POS 단말에서, 고객자신에 의해 등록된 상품 코드정보를 상위 제어부 (또는 기억부52)에서 로드 다운(load down)하고,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가격(단가)를 상품 가격 파일(PLU file)에서 검색하고나서, 구입상품의 합계금액을 계산하여 정산을 행한다.
상술된 바와같은 구성의 스캐닝카트100을 사용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이 고의이든 과실이든간에 스캐너 57에 의하여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상품을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하는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스캐닝카트 100의 제어시스템과 제어부 60이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먼저, 제8도와 관련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시스템은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중앙처리 장치)51,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타 (스캔된 상품의 상품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등)를 기억하는 기억부 52, 및 관리부 60(또는 스테이션(station)제어기 또는 스토어 (store) 제어기 등의 상위 제어부)와 데이타를 무선(적외선등)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53을 포함한다.
제어시스템은 각종정보 (스캔된 상품50의 상품정보, 이후 설명되는 경보 표시등)를 표시하는 표시부 54,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부 55, 및 전력을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 시스템에 공급하는 밧데리부 56을 더 포함한다.
제어시스템은 상품50에 부착된 바코드 (상품코드) 50a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스캐너 (바코드 판독기, 상품코드 판독부) 57,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된 상품의 총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부 58, 및 CPU 51(이후 설명되는 계량 판정부51a)에서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부저(buzzer; 경보음 발생부, 경보발생부) 59를 더 포함한다.
한편, 관리부 60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특히, 제9도와 관련하여, 관리부 60은 관리부 60전체를 제어하는 CPU61,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부 62, 스캐닝 카트 100과 데이타를 무선(적외선등)에 의해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63,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64,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부 6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POS 시스템은 상술된 스캐닝 카트 100과 관리부 60으로 부터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제7도와 관련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CPU51은 계량 판정부 51a, 경보해제부 51b, 타이머 51c, 타이머 판정부 51d 및 에러 송신부 51e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계량판정부51a는 계량기 58에 의해 계량된 바구니부 102안에 상품 50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출한다. 계량 판정부 51a에 의해, 계량기 58로 계량된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 50의 총 중량이 스캐너 57에 의해 상품코드 50a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하였다는 것이 판정되는 경우에, 부저 59는 계량판정부 51a에서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예를들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구니안에 넣기전에 스캔하여 주십시요"라는 경보 표시를 표시부 54에 표시한다.
경보 해제부 51b는 계량 판정부 51a에 의해 스캐너에 의해 상품코드 50a를 판독하지 않고 변화한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의 총중량이 경보 발생후 이러한 증가분 만큼 감소하였다는 것이 판정된 경우에 부저 59의 소리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표시를 해제한다.
타이머 51c는 부저59의 소리동작의 동작시간과 표시부54의 경보표시의 동작시간을 계수한다. 타이머51c는 경보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가 계량 판정부 51a로 부터 출력될때의 그 계수동작을 개시하도록 작동된다. 타이머 51c는 경보가 경보 해제부 51b에 의해 해제될때 동시에 리셋(reset)된다.
타이머 판정부 51d는 타이머 51c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타이머 판정부 51d에 의해, 타이머 51c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판정되는 경우에, 에러 송신부 51e는 에러 정보로서 경보 발생 상태중에 있는 스캐닝 카트 100의 고유정보 (카트 번호정보)를 관리부 60에 송신한다. 에러 송신부 51e에서의 에러 정보는 송수신부 53을 거쳐 무선에 의해 관리부 60에 송신된다.
한편, 관리부60에 있어서, 송수신부 63은 소수신부 53을 거쳐 스캐닝 카트 100의 에러 송신부 51e에서 송신된 에러정보를 수신하는 에러수신부 63a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표시부 64는 에러 수신부 63에 의해 에러정보가 수신될때 에러정보를 송신한 스캐닝 카트 100의 고유정보인 카트번호를 표시하는 에러표시부 64a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에러 표시부 64a의 표시는 예를 들면,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트번호 (제13도에서 "1"내지 "20"중 하나)에 대응하는 에러 표시부64a의 부분 (램프등)을 조명하여 제공된다. 제13도에 있어서, 에러정보가 카트번호 "1"에서 수신되었을 때의 표시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 부호에 의해 카트번호 "1"을 나타내는 부분이 조명되는 것이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키보드부 65는 에러정보를 송신한 스캐닝 카트 100에 대한 어떠한 처리 (부정행위에 대한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 눌러 스캐닝 카트100의 카트번호의 표시(조명)을 에러 표시부 64a에서 해제하기 위한 에러 해제키(에러 해제부)65a를 갖는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POS 시스템에 있어서, 제14도에 도시된 순서의 처리는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눌러 상품 50의 구입을 종결할때 까지 상품50을 구입하도록 고객이 스캐닝 카트 100의 사용을 개시한 후에 소정 기간동안 실행된다.
제14도와 관련하여, 고객은 상품 50을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하고 (단계 A1), 상품 50을 수납하여 변화된 중량을 계량기 58에 의해 계량한다 (단계 A2).
중량변화(계량기 58의 출력변화)가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102안에 수납된 상품 50의 총중량에서 발생될때, 이것은 계량 판정부 51a에 의해 검출되고나서, 스캐너 57에 의해 상품코드 50a의 판독 (스캐닝)이 중량변화 바로 전에 실행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A3).
스캐닝이 바로전에 실행된 경우에, 제어순서가 복귀되지만, 반대로 스캐닝이 바로전에 실행되지 않았다는 것이 판정된 경우에, 고객이 스캐닝을 행하지 않고 상품 50을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한 것이 판정된다. 그래서, 부저 59가 소리를 내고 이러한 경보표시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부 54에 표시되며 (단계A4), 동시에 타이머 51c가 작동되어 경보 발생후에 시간을 계수한다 (단계 A5).
그후에, 계량판정부 51a는 경보 발생후에 소정의 시간내에 계량기 58에 의해 계량된 바구니부102내의 상품 50의 총중량이 바로전에 증가된 증가분의 양 만큼 감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A6). 총중량이 증가분 만큼 감소하였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고객이 스캐닝을 하지 않고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한 상품50이 바구니 102내에서 인출되었다는 것이 판정되었다. 그 결과, 경보해제부 51b는 부저59의 소리 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표시를 바로 해제하여 타이머 51c를 동시에 리셋시킨다 (단계 A7).
반대로, 타이머 판정부 51d에 의해 타이머 51c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도달한것이 판정될때, 즉 계량기 58에 의해 계량된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의 총중량이 경보 발생후 조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바로 전에 증가된 증가분 만큼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이 판정될때, 스캐닝 카트 100의 카트 번호를 에러 송신부 51e에서의 에러 정보로서 송수신부 53을 거쳐 관리부 60에 송신된다 (단계 A8).
에러정보를 송신한 관리부 60에 있어서, 스캐닝카트 100에서의 에러 정보(카트번호)가 에러 수신부 63a에 의해 수신되며 (단계 A9), 카트번호는 에러 표시부 64a에 의해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된다 (단계 A10).
조작자등은 에러 표시부 64a를 조회하는 것에 의해 고의이든 과실이든지간에 부정행위(스캐닝을 행하지 않고 바구니부 102안에 상품수의 행위)를 행한 스캐닝 카트 100을 파지하다. 그래서, 조작자가 스캐닝 카트 100에 대한 어떠한 대응책을 완료한 후에, 키보드 65의 에러 해제키 65a를 눌러 에러 표시부 64a의 에러 표시 (카트 번호의 조명 표시)를 해제한다 (단계 A11).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계량 판정부 51a에 의해 계량기 58로 부터 바구니부 102안에 상품50의 총중량이 상품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증가하였다는 것이 판정될때, 부저59의 소리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표시가 바로 실행되어 고객에게 경고를 발할수가 있다. 그 결과로, 고객이 스캐닝 동작을 잊어버려 상품을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하거나 고의로 스캐닝을 행하지 않고 상품50을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고객이 실수로 상품코드 50a의 스캐닝 동작을 잊어버려 상품50을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할때, 부저59의 소리동작과 표시부54의 경보표시에 의한 경고를 발하고 바구니부 102에서 상품50을 바로 꺼내는 경우에, 경보 해제부 51b에 의해 경보 상태가 바로 해제된다. 그 결과로, 과실에 의해 스캐닝을 잊어버린것에 대한 경고가 조작자등에 의해 정산 POS 단말에서 그것을 검사하지 않고 발할 수 있고 부정행위가 고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이 상술된 바와같은 경보를 무시하고 스캐닝을 행하지 않은 상품50을 꺼내지 않는 경우, 관리부 60에 대하여 이러한 행위를 행한 스캐닝 카트 100의 카트번호가 에러정보로서 송신되어 표시된다. 그 결과로, 부정행위를 행한 스캐닝 카트 100에 대하여 어떠한 대응책을 바로 취할 수가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 50의 총중량이 스캐닝 동작을 하지 않고 증가하였을때 경보가 발생되지만, 상품50의 총중량이 스캐닝동작을 하지 않고 감소할때에도 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상품코드 50a를 한번 판독한 상품50의 구입을 해제학 ㅣ위하여, 상품50은 바구니부 102로 부터 꺼내지고 그것의 상품코드 50a가 스캔된 후에 해제키등이 수동으로 조작된다. 이러한 해제 처리가 필요시되는경우, 구입을 해제해야 하는 상품 50은 상품을 스캔하는 일 없이 바구니부 102로 부터 꺼내지는경우에, 총중량이 상술된 바와같이 스캐닝 동작을 하지않고, 감소하였기 때문에 정보가 발생된다. 그 결과로, 고객이 해제처리를 잊었다는 것이 고객에게 통지될 수가 있다.
이제, 제15도 내지 제17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입수납 운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스캐닝 카트 100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변경형태이고 상술된 제1실시예에서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대하여 몇가지 공통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러한 공통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것은 이후 설명되는 본 발명의 나머지 실시예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먼저, 제16도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스캐능이 카트 100의 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상품정보 파일 66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 (제8도 참조)와 다르다.
상품정보 파일 66은 통상 PLU파일로서 사용되고 상품코일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번호, 상품명 및 가격 (단가)등의 상품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코드정보에 대응하는 각 상품50의 중량정보는 상품정보로서 상품코드 정보파일 66내에 저장된다. 각 상품 50의 중량정보는 상술된 바와같이 상품 정보파일 66내에 보유될 필요가 없지만, 교대적으로 각 상품50에 바코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캐닝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적으로 구성된다.
이제, 제15도와 관련하여, 스캐닝카트 100의 CPU51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유사한 계량 판정부 51a로서의 기능을 갖고 상품정보 검색부 (상품중량 검색부)51f, 중량증가분 계산부 51g, 중량비교부 51h, 및 상품코드 등록부 51i로서의 기능을 더 갖는다.
상품 정보 검색부 51f는 스캐너 57에 의해 바코드 50a를 판독하여 얻어진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 50의 상품정보 (상품번호, 상품명, 가격(단가), 및 중량)를 검색한다.
중량 증가분 계산부 51g는 바코드 50a를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한 후에, 바코드 50a를 판독한 상품이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됨에 따라 증가된 중량의 증가분을 계산한다. 중량증가분 계산부 51g는 중량 증가이전에 계량기 58에 의한 계량치를 저장하는 버퍼(buffer) 51g-1와 버퍼 51g-1에 저장된 계량치와 중량증가후의 계량기 58에 의한 계량치와의 차이치 즉, 중량의 증가분을 계산하는 미분계산부 51g-2를 포함한다.
중량비교부 51h는 금회 스캐너 57에 의해 바코드 50a를 판독한 상품 50의 상품코드에 근거한 중량(상품정보 검색부 51f에 의해 검색된 중량)과 계량기 58 및 중량 증가분 계산부 51g에서 얻어진 상품코드의 판독후에 수납부 또는 바구니부 102안에 상품 50의 총 중량의 증가분을 비교한다.
중량 비교부 51h에 의해 상품정보 검색부 51f에 의한 검색 중량과 중량 증가분 계산부 51g에 의해 계산된 총중량의 증가분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 판정되는 경우에, 부저 59의 소리동작이 실행된다.
상품코드 등록부 51i는 스캔너 57에 의해 상품 50의 바코드 50a로 부터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 혹은 상품정보 검색부 51f에 의해 검색된 검색결과를 상품코드 등록부 51i에 의해 스캐닝 카트 100내의 기억부 52에 등록된 데이타로서 등록 또는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계량판정부 51a가 제공되어, 계량기 58에 의해 측정된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 50의 합계중량이 스캐너 57에 의한 바코드 50a의 판독없이 증가되었음이 계량판정부 51a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부저 59의 소리동작 및 표시부54에 의한 경보 표시가 수행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스캐닝 카트 100에 있어서, 제17도에 도시된 순서 처리는 고객이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눌러 상품 50의 구입을 종료할때까지 상품 50을 구입하도록 스캐닝카트 100을 사용하기 시작한후에 기간동안 실행된다.
특히, 고객이 구입될 상품 50의 바코드 50a를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하는 경우 단계 B1), 상품 정보 검색부 51f는 상품정보 파일 66에서의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중량을 검색한다.
이 경우에, 본실시예에 있어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명과 가격 (단가)이 상품정보 검색부 51f에 의해 상품정보 파일66으로 부터 동시에 검색되며, 검색된 상품의 상품명과 가격(단가)은 표시부 54에 표시된다 (단계 B2), 이렇게 스캔된 상품코드 정보와 검색에 의해 얻어진 데이타는 상품 코드 등록부 51i에 의해 기억부 52내에 등록데이타로서 등록되거나 저장된다 (단계 B3).
상품 50의 바코드 50a를 스캔한 후에, 고객이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에 상품을 수납할때 (단계 B4), 새로운 상품 50을 수납한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의 합계 중량이 게량기 58에 의해 측정된다 (단계 B5).
그다음에, 버퍼 51g-1에 저장된 계량치와 중량이 증가한후에 계량기 58에 의한 계량치사이의 차이치가 중량의 증가분 즉 중량 증가분 계산부 51g의 미분계산부 51g-2에 의해 고객의 손으로 바구니부 102안에 새롭게 수납된 상품50의 중량으로서 계산된다. 중량 증가분 계산부 51g에서 중량의 증가분과 상품정보검색부 51f에 의해 상품정보 파일 66으로부터 검색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량이 중량 비교부 51h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단계 B6).
중량 비교부 16에 의한 비교결과, 이 중량이 서로 동등하다(실제 소정의 오차범위내에서 동등하다)는 것이 판정되는 경우, 즉 단계 B7에서의 판정이 NO인 경우에, 제어순서는 다음의 바코드 50a의 판독을 대기하도록 복귀한다.
반대로, 단계 B7에서 중량의 실제 증가분과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량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 판정되는 경우에, 부저 59가 소리를 내어 고객에게 에러를 통지한다 (단계 B8). 부저59의 소리동작은 중량의 실제 증가분과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량이 서로 일치할때까지 계속되어, 다음 상품코드의 판독 또는 등록을 금지한다. 고객에게의 에러 통지는 부저 59의 소리 동작뿐만 아니라 표시부 54의 경보표시 동작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가 있다.
더우기, 본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스캐닝 카트 100이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도록 사용되지만,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에 상품50의 총중량이 통상, 계량기 58과 중량판정부51a에 의해 감시되며, 계량기 58에서 바구니부 102내에 상품50의 총중량이 바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증가하였을때, 고객에 대한 경고가 부저 59의 소리 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 표시에 의해 그 장소에서 즉시 행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의 일부를 스캐닝(등록)하는 동안 다수의 상품을 바구니부 102에 동시에 수납하거나 등록된 상품과 상이한 중량을 갖는 상품을 바구니부 102에 수납하거나 상품을 스캐닝(등록)하지 않고 바구니부102에 수납하는 등의 고의적인 부정행위를 하거나 스캐닝 누락 또는 스캐닝 에러등의 부주의한(과실있는) 부정행위가 발생하는 경우에, 바구니부 102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을 점검하므로써 부정행위가 검지될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그러한 부정행위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의 스캐닝 작동으로 정산이 수행되는 종래의 POS 시스템과 유사한 안전장치가 본 POS 시스템을 채택한 점포측면에 제공될 수 있어, 점포측면과 고객에게 보다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품 정보파일 66이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에 제공디는 동안 상품 정보파일이 상위제어부에 대신으로 제공되고 이 경우에 중량정보의 검색이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품 정보 검색부 51f와 상품 정보 파일을 갖는 상위 제어부 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실행된다.
더구나, 상술한 실시예에서 스캐너 57에 의해 상품 50의 바코드 50a로 부터 판독된 상푸코드 정보가 상품코드 등록부 51i에 의해 스캐닝 카트 100의 기억부 52에 등록되거나 저장되는 동안 상품코드 정보가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위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어 상위제어부의 기억부안에 등록되거나 저장된다.
제18도 내지 제21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POS 시스템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POS 시스템을 변경한 것이고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스캐닝 카트100을 사용하는 점에서 유사하다. 본 발명의 POS시스템에서 스캐닝카트 100의 제어시스템 및 정산 POS 터미널이 고의 또는 과실있는 부정행위를 방지하지 위하여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우선 제18도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서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의 하드 웨어 구조는 그것이 광어댑터(데이타 송신부)67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의 구조와 구별된다. (제8도 참조)
광어댑터 67은 정산 POS 단말에서 최종정산시 정산 POS 단말 70측면의 다른 광어댑터 79와 광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제공되고, 계량기 58에 의해 측정된 바구니부 102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을 송신하고, 기억부 52내에 저장된 상품코드 등록 데이타를 더 송신한다.
한편, 정산POS 단말 70은 스캐닝 카트 100의 상품코드 등록부51i에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 정보 파일 81을 검색하는데 제공되어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에 수납된 구입상품에 대한 최종 정산을 행한다. 본실시예에서 정산 POS 단말 70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다.
특히, 제20도와 관련해서 정산 POS 단말70은 정산 POS단말 70 전체를 제어하는 CPU71,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기억부72, 무선(적외선등)에 의한 스태이션(station) 제어기 혹은 소매점제어기등 상위제어부와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73, 다양한 정보 (정산결과의 영수증 화상, 경보표시등)를 표시하는 표시부 74,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75, 및 현금을 수납하는 드로어(drawer)76 (드로어부)을 포함한다.
정산POS 단말 70은 정산결과를 영수증으로 발행하는 프린터(영수증 발행부)77, 필요한 경우 정산 POS 단말70에서 바코드를 판독하는 스캐너 (바코드 판독기)78, 및 상술한 바와같이 스캐닝 카트 100측면의 광 어댑터 67과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광어댑터(데이타 수신부)79를 더 포함한다. 스캐닝 카트 100으로 부터 상품 합계 중량 데이타 또는 상품 등록데이타가 광어댑터 79에 의해 수신된다.
정산POS 단말 70은 CPU71에서 나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생하기 위해 소리를 내는 부저(경보음 발생부, 경보발생부)80, 및 제2 실시예의 상품정보 파일 66과 유사한 상품 정보파일 81을 더 포함한다. 상품 정보파일 81은 보통 PLU 파일로 사용되고 상품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수, 상품명, 가격 (단가), 중량등 상품정보를 갖는다.
제3실시예의 POS 시스템은 상술한 스캐닝 카트 100 및 정산 POS 단말 70으로 부터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18도와 관련해서 스캐닝 카트100의 CPU51은 상술한 계량판정부 51a와 상품코드 등록부 51i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광전송처리부 51j로서의 기능을 더 갖는다.
광정송처리부51j는 정산 POS 단말70에서 정산시 계량기 58에 의해 측정된 바구니부 102의 상품 50의 합계중량과 기억부 52에 저장된 상품코드 등록데이타를 광어댑터 67에 의해 정산 POS 단말 70 측면에 전송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정산 POS 단말70에서 CP71은 상품정보 검색부(상품중량검색부)71a, 합계 중량 산출부 71b 및 중량비교부 71c로써의 기능을 갖는다.
상품정보 검색부 71a는 스캐닝 카트 100측면으로 부터 광어댑터 67 및 79를 거쳐 전송된 전체 상품코드 정보(등록데이타)에 따라 스캐닝 카트 100에 등록된 모든 상품50의 상품정보(상품수, 상품명, 가격(단가), 중량)를 상품정보 파일81로 부터 검색한다. 합계 중량산출부 71b는 스캐닝카드 100에 등록되어 상품정보 검색부 71a에 의해 검색된 모든 상품 50의 중량정보를 수신하여 모든 상품의 중량의 합계 중량을 산출한다.
중량비교부 71c는 합계중량산출부 71b에 의해 산출된 합계중량과 광어댑터 79를 거쳐 스캐닝 카트 100측면으로 부터 수신된 바구니부 102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을 비교한다.
합계중량산출부 71b에 의해 산출된 합계중량과 스캐닝 카트 100 측면으로 부터 수신된 상품의 합계중량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중량 비교부 71c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부저80이 소리를 내고 중량비교부 71c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부저 80이 소리를 내고 중량비교부 71c에서 나온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경보표시가 표시부 74에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한 계량 판정부 51a가 스캐닝 카트 100에 제공되고 계량이 58로 측정된 바구니부 102의 상품50의 합계 중량이 스캐너57에 의한 바코드 50a의 판독없이 증가한 것으로 계량판정부는 51a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부저59의 소리동작 및 표시부 54의 경보표시가 실행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의 POS 시스템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한다. 제21도에 관하여, 고객은 구입할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50a를 직접 판독하여 기억부52에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고 바구니부 102에 상품을 수납한다. (단계 C1) 그다음에, 키보드부55의 종료키를 눌러 구입할 상품의 선택을 마치고 (단계 C2), 상품을 스캐닝카트 100에 넣어 정산 POS 단말 70로 운반한다.
그다음에, 정산 POS 단말 70에서 정산시 고객이 직접 등록한 상품코드 정보가 광전송처리부 51j와 광어댑터 67 및 79를 거쳐 스캐닝 카트 100의 기억부 52로 부터 정산 POS 단말70으로전송되고, 상품정보 검색부 71a가 거기에 전송된 개별상품 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정보 파일81에서 상품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의 가격(단가)을 검색하고, 구입상품의 합계금액을 산출하고, 최종정산을 실행하기 위하여 프린터 77에 의한 영수증 발생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러한 정산 POS 단말 70에 의한 정산처리시,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102의 상품의 합계중량이 계량기 58에 의해 측정되고 (단계(3), 광전송처리부 51j와 광어댑터 67 및 79를 거쳐 상품의 합계중량이 정산 POS 단말 70측면에 전송된다. (단계 C4)
한편, 정산 POS 단말70에서 상품50의 중량이 광정송처리부 51j와 광어댑터 67 및 79를 거쳐 스캐닝카트 100의 기억부 52로 부터정산 POS 단말 70 측면으로 전송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 정보 검색부 71a에 의해 상품 정보 파일81로 부터 검색되고, 상품50의 검색된 중량의 합계중량은 합계중량 계산부 71b에 의해 산출된다. (C5)
그다음에, 합계중량 산출부 71b에 의해 산출된 합계중량과 스캐닝 카트 100으로 부터의 상품의 합계중량데이타가 중량비교부 71c에 의해 서로 비교되고(C6), 비교결과로서 그들 중량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실제로 소정오차 범위내에서 대체로 일치한다), 즉 단계 C7에서 YES 판정시, 정산 POS 단말 70에 의한 정산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반대로, 단계 C7에서 상술한 중량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부저80이 울리고 표시부 74에 경보표시가 표시되어 부정한 행위에 대한 어떤 대응책을 취할 수 있도록 고객과 정산 POS 단말70의 조작자에게 에러를 통지한다 (단계 C8)
더우기, 본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여, 고객이 상품을 구입할 목적으로 스캐닝 카트 100을 사용하는 동안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50의 합계중량이 보통 계량판정부 51a에 의해 감시되고, 계량기 58로 부터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 50의 합계중량이 바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증가한 것으로 판정되면 부저59의 소리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표시로 고객에게 즉시 경고가 가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제2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품정보파일 81이 정산 POS 단말 70에 제공되는 한편 상위제어부에 대신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송수신부 83을 거쳐 상품정보 파일81을 갖는 상위제어부와 상품정보 검색부 71a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중량정보의 검색이 실행된다.
더구나, 상술한 실시예에서 스캐너 57에 의해 상품50의 바코드 50a로 부터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스캐닝카트 100에서 상품코드 등록부 51i에 의해 기억부 52에 등록되거나 저장되는 한편, 상품코드 정보가 상위 제어부의 기억부에 등록되거나 저장될수 있도록 대신에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위제어부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정산 POS 단말 70에서의 정산시 스캐닝 카트 100에 의해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가 송수신부 73을 거쳐 상위제어부로 부터 상품 정보 검색부 71a로 송신된다. 이 경우에 또한 계량기 58로 부터 정산시 상품의 총중량정보가 송수신부 53, 상위제어부 및 송수신부 73을 거쳐 정산 POS 단말 70측면에 추가로 송신될 수 있고, 그러한 데이타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광어댑터 67 및 79가 생략될 수 있다.
이제 제22도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라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그것을 변경한 것이며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스캐닝 카트100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제8도 참조), 본 실시예에서 바구니부 102의 상품 50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58은 생략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캐너 57은 조작자가 정산시 실행하는 랜덤스캔 점검시에 바구니부 102에 수납된 상품들중 임의로 선택된 상품50의 바코드 50a를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본실시예에서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은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적을 구성된다.
특히 제22도와 관련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CPU51은 주 제어부 51k, 상품등록제어부 51m, 랜덤 스캔제어부 (상품등록판정부)51n, 상품코드 판독 제어부 51p, 상품정보 표시제어부 (상품가격 검색부)51g, 상품코드 등록부 51r, 및 에러 통지부 51s로써의 기능을 갖는다.
주제어부 51k는 CPU51을 제어하고 예를 들어 키보드부 55로 부터 각종 데이타의 입력제어 (스캐닝 카트 100의 사용개시시 (개시키의 누름), 구입 종료시(종료키의 누름), 랜덤 스캔점검 종료시등의 입력 제어), 쇼핑시 상품 등록 제어부 51m의 호출, 랜덤 스캔 점검 개시시 랜덤 스캔제어부51n의 호출, 및 기타 필요한 제어를 행한다.
상품 코드 판독제어부 51p는 스캐너 57에 의해 바코드 50a의 판독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고 CPU51에 스캐너 57에 의해 바코드 50a를 판독하여 얻어진 상품코드 정보의 입력을 제어한다.
상품등록 제어부 51m은 고객에 의해 키보드부 55로 부터 사용 개시 입력시 주제어부 51K로 부터 호출되어 작동된다. 상품 등록제어부 51m은 쇼핑중에 상품코드 판독제어부 51p에 의해 스캐너 57로 부터의 상품코드 판독제어부를 판독하여 상품코드등록부 51r을 사용하여 기억부 (상품 코드 등록메모리)52내에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거나 저장한다.
상품 정보 표시제어부 (상품 가격검색부) 51g는 상품 등록제어부 51m과 합계 작동되며, 동시에 스캐너 57과 상품코드 판독제어부 51p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할때, 이렇게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술된 상품 정보파일 (제22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부터의 상품 가격등의 상품 정보의 검색을 행하고 난 후에, 검색결과 (상품명과 가격(단가)), 구입량 및 합계금액을 표시하도록 표시부 54를 제어한다.
상품정보 파일은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거나 교대적으로 스테이션 제어기등의 상위 제어부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품정보 파일이 상위 제어부에 제공되는 경우에, 가격 등의 상품정보의 검색이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품정보파일을 갖는 상위제어부와 상품정보 표시제어부 51g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행해진다.
랜덤 스캔 제어부 (상품 등록 판정부) 51n은 고객이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를 눌러 쇼핑을 종료할때 주제어부 51K로 부터 액세스 되어 작동되며, 정산 POS 단말의 조작자에 의해 랜덤 스캔 검사동작 (바구니부 102로 부터 임의로 선택된 상품 50의 바코드 50a를 스캐너 57에 의해 스캐닝하는 동작)시에 상품코드 판독제어부 51p로 부터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상품코드 등록부 51r에 의해 기억부 52내에 등록되었는지 유무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에러통지부 51s는 랜덤 스캔 제어부 51n에 의해 랜덤 스캔검사동작시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판정될때 작동되어 부저 59에 대해 소리동작을 행하게 하고 표시부 54에 대해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여 고객 또는 조작자에게 에러를 통지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랜덤 스캔제어부 51n에 의해 랜덤 스캔 검사동작시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판정되는 경우에, 등록되지 않은 상품코드 정보는 상품 등록제어부 51m과 상품코드 등록부 51r을 사용하여 기억부 52내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의 스캐닝 카트 100에 있어서, 고객이 스캐닝 카트 100을 사용하여 쇼핑을 시작할때, 키보드부 55의 시작키 (start key)를 먼저 눌러 사용시작의 입력을 행하여 상품 등록제어부 51m을 주제어부 51K에 의해 시동한다.
사용시작후 키보드부 55로 부터 사용종료의 입력을 행할때까지 장기간 동안, 고객은 구입될 상품50의 바코드 50a를 스캐너 57에 의해 스캔하여 상품코드 정보를 스캐너 57로 부터 상품코드 판독제어부 51p에 의해 판독하고 (단계 D1), 그 다음에 상품을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한다.
그다음에, 상품코드 정보를 판독한 후에, 상품코드 정보는 상품등록 제어부 51m에 의해 상품코드 등록부 51r을 사용하여 기억부 52내에 등록되거나 기억된다 (단계 D2).
한편,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가격등의 상품정보가 상품정보 표시제어부 51g에 의해 상품정보 파일로 부터 검색되고 (단계 D3), 검색결과 (상품명, 가격 (단가)), 구입되는 금액과 합계금액이 표시부 54에 표시된다 (단계 D4).
단계 D1 내지 D4에서의 과정은 고객이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를 눌러 사용종료의 입력을 행할때까지 반복된다 (단계 D5).
고객은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를 눌러 쇼핑을 종료할대, 랜덤 스캔 제어부 51n이 주제어부 51K에 의해 작동되어 랜덤 스캔 검사 조건이 입력된다. 랜덤 스캔 제어부 51n의 작동상태는 랜덤 스캔 검사를 종료하는 입력이 키보드부 55로 부터 행해질때까지 계속된다 (단계 D6).
정산 POS 단말에서, 정산시, 랜덤 스캔 검사는 조작자에 의해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에 대해 행해진다. 특히, 정산 POS 단말의 조작자는 바구니부 102안에서 상품 50을 임의로 선택하고 스캐너 57에 의해 상품50의 바코드 50a을 스캔하여 상품코드 판독제어부 51p에 의해 스캐너 57로 부터 상품코드 정보를 판독한다 (단계 D7).
그후에, 팬덤 스캔제어부 51n에 의해 상술된 바와같이 임의로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기억부 52에 등록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 D8).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었음이 판정되는 경우, 제어순서는 단계 D6으로 복귀되지만, 상품코드 정보가 미등록되었음이 판정되는 경우, 에러통지부 51s가 작동되어 부저 59의 소리와 표시부 54의 에러 메세지 표시가 에러 통지부 51s에 의해 행해져, 상품이 등록되지 않았다는 에러가 고객 또는 조작자에게 통지된다 (단계 D9).
그 다음에, 등록되지 않았음이 판정된 상품코드 정보는 상술된 단계 D2 내지 D4에서와 유사하게 상품등록 제어부 51m과 상품코드 등록부 51r을 사용하여 기억부 52내에 자동적으로 등록 또는 저장되고 (단계 D10),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가격등이 상품정보가 상품정보 표시제어부 51g에 의해 상품정보파일로 부터 검색된다 (단계 D11). 그 다음에, 검색결과 (상품명과 가격(단가))등이 표시부54에 표시된다 (단계 D12).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정산 POS 단말등에서 정산시, 랜덤 스캔검사가 스캐너 57을 사용하여 조작자에 의해 행해질 수가 있고, 고의이든 과실이든간에 스캐닝을 행하지 않고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되어진 상품이 있다면, 에러로서 부정행위를 통지할수가 있고 그 상품을 자동적으로 등록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고객에 의한 들치기등의 부정행위는 정산 POS 단말의 조작자에 대한 부담을 부과하지 않고 바코드 50a의 변색등에 대한 대응책을 행함이 없이 방지될 수가 있으며, 자체 스캐닝을 수반하는 POS 시스템의 도입시 부정행위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제, 제24도 내지 제27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POS 시스템은 상술된 제1 실시예의 POS 시스템에 대한 변경형태이고 유사하게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스캐닝 카트 100을 사용한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스캐닝 카트 100을 사용하는 POS 시스템으로 고의 또는 과실의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산 POS 단말 70과 제어기 (상위 제어부) 90이 제24도 내지 제2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시스템이 하드웨어 구성이 제1 실시예의 것과 실제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바구니부 102안의 상품 50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58과 부저 59를 생략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정산 POS 단말 70은 제어기 90의 명세로 그 파일(이후 설명함)로 부터 명세로그 (스캐닝 카트 100에서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작성됨)에 따라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안에 수납된 구입상품의 최종 정산을 행하며, 정산 POS 단말 7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3 실시예의 것과 실제 유사하다 (제20도 참조).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어댑터 79와 부저 80을 생략하는 반면에, 공진태그 검지부 82를 제2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추가로 제공된다.
공진태그 검지부 82는 바코드 50a와 함께 각 상품 50에 미리 부착된 공진 태그 28을 검지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에 수납된 상품 50의 수를 검지하며, 정산 POS 단말 70에서의 정산위치에 스캐닝 카트 100을 통과하는 반대측상에 제공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공진태그 28은 내장공진 회로를 갖는 라벨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공진태그가 이러한 공진태그 28용으로 사용되고, 스캐닝 카트 100이 공진태그 검지부 82의 안테나부를 통과할때, 공진태그 28이 공진하는 주파수의 무선파를 송신하도록 안테나부의 무선파의 주파수가 변화되어, 모든 공진태그 28과의 공진을 확립한다. 이 경우에, 공진태그 28의 수, 즉 바구니부 102내에 상품50의 수는 공진태그 28로 부터 반환된 공지반응의 수에서 검지될 수가 있다.
한편, 여기서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진태그가 모든 상품 50에 대하여 공진 태그 28용으로 사용되고, 스캐닝카트 100이 공진태그 검지부 82의 안테나부를 통과할때, 공진태그 28이 공진하는 주파수의 무선파가 모든 공진태그 28으로 공진할 수 있도록 안테나부로 부터 송신된다. 이 경우에, 공진태그 28의 수, 즉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50의 수는 공진반응의 크기 (총크기)로 부터 검지될 수가 있다.
제어기 90은 스캐닝 카트 100과 정산 POS 단말 70을 제어하는 상위 제어부 (예를 들면, 스테이션 제어기)이다.
특히, 제26도와 관련하여, 제어기 90은 제어기 90 전체를 제어하는 CPU91,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부 92, 무선 (적외선등)에 의해 데이타를 스캐닝 카트 100 또는 정산 POS 단말 70고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93, 및 각종 정보(이후 설명된 바와같이 CPU 91에 의해 편집된 화면등)를 표시하는 표수비 94를 포함한다. 제어기 90은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번호, 상품명, 가격 (단가)등이 저장되는 PLU 파일로서 사용된 상품 정보 파일 95를 더 포함한다. 제어기 90은 스캐닝 카트 100으로 부터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작성된 명세로그를 저장하는 명세로그 파일 96을 더 포함한다.
제5 실시예의 POS 시스템은 상술된 스캐닝 카트 100, 정산 POS 단말 70과 제어기 90로 부터 제2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24도와 관련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CPU 51은 입력 제어부 51t, 조회 처리 제어부 51u, 화면 데이타 수신제어부 51v, 및 표시제어부 51w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입력제어부 51t는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와 키보드부 55에서의 키입력 데이타를 CPU51내에 판독하는 입력 제어를 행한다.
조회처리 제어부 (상품코드 등록부)51u는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된 상품 50의 상품코드 정보를 갖는 조회 텔레그래프를 작성하여 상품코드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 조회 텔레그램을 송수신부 53을 거쳐 제어기 9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후 설명된바와같이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제어기 90측에 작성된 화면 데이타를 요구하는 다른 기능을 가진다.
화면데이타 수신제어부 51v는 조회 처리제어부 51u로 부터 제어기 90에, 송신된 조회 텔레그래프에 응하여 송수신부 53을 거쳐 제어기 90측에서 송신된 화면 데이타를 수신한다. 표시제어부 51w는 화면데이타 수신제어부 51v로 부터의 화면데이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 54를 제어한다.
정산 POS 단말 70의 CPU71은 입력제어부 71d, 송신요구부 71e, 데이타 수신제어부 71f, 상품번호 비교부 71g, 및 POS-I/O 제어부 71h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입력제어부 71d는 키보드부 75에서의 키입력 데이타 (정산 POS 단말 70에서 정산을 위한 스캐닝 카트 100의 카트번호 데이타)를 CPU 71내에 판독하는 입력제어를 행한다. 송신요구부 71e는 제어기 90에 대하여, 정산시 입력제어부 71d로부터 카트번호의 명세로그 (명세 데이타)의 송신을 요구한다.
데이타 수신제어부 71f는 송신요구부 71e로 부터 명세 로그송신에 응하여 제어기 90측에서 송신된 명세로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 53을 제어한다.
상품수 비교부 71g는 공진태그 검지부 82에 의해 검지된 상품 50의 번호와 데이타 수신제어부 71f에 의해 수신된 명세로그를 조회하여 얻어진 등록된 상품의 번호를 비교한다.
POS/I/O제어부 71h는 프린터 77에 의한 저널(journal)/영수증의 인쇄동작, 드로어 76의 개폐동작에 의한 금전의 인도, 스캐너 78에 의한 판독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 90의 CPU91은 송수신 제어부 91a, 상품가격 검색부 91b, 계산처리부 91c, 화면데이타 편집부 91d, 파일 제어부 91e, 및 명세로그파일 송신제어부 91f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송신제어부 91a는 송수신부 93을 거쳐 스캐닝 카트 100과 정산 POS 단말 70와의 데이타 (조회 텔레그램, 표시부 54에 표시되는 화면 데이타등)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상품가격 검색부 91b는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되고 스캐닝카트 100측에서 송신된 상품 50의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정보 파일 95로 부터의 상품명, 가격 (단가)등을 검색한다.
계산처리부 91c는 상품 가격 검색부 91b에 의해 스캐닝 카트 100에서의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정보파일 95를 검색하여 얻어진 가격을 합산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에 수납된 구입상품 50의 합계금액을 계산한다.
화면데이타 편집부 91d는 스캐닝 카트 100에서 조회 텔레그램을 수신할때 마다, 새롭게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얻어진 상품의 가격을 포함하는 새로운 화면 데이타를 작성한다.
화면데이타 편집부 91d에 의해, 화상데이타는 예를 들면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품 가격검색부 91b의 검색에 의해 얻어진 가격, 상품명, 상품번호등의 상품정보와 계산처리부 91c에 의해 계산된 합계금액이 표시되는 영수증 화상(정산 POS 단말 70의 프린터 77에 의해 인쇄된 영수증)으로 작성된다. 이와같이 스캐닝 카트 100으로부터 조회 텔레그램에 응하여 작성된 화면 데이타는 송수신 제어부 91a와 송수신부 93을 거쳐 스캐닝카트 100에 송신된다.
파일제어부 91e는 상품 데이타 정보에 따라 상품가격 검색부 91b에 의한 검색결과로 부터 명세로그를 작성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카트 번호에 응하여 명세로그 파일 96내에 명세로그의 저장을 제어한다. 파일 제어부 91e는 새로운 상품코드 정보 (조회 텔레그램)가 송신될때마다, 스캔된 상품이 수를 계수하도록 이러한 송신의 수를 계수하여 명세로그 내에 정보로서의 상품의 계수된 수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명세로그 파일 송신제어부 91f는 정산 POS 단말 70의 송신요구부 71e로 부터 명세로그 송신요구의 수신시, 명세로그 파일 96로 부터 명세로그 송신요구에 포함된 카트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명세로그를 판독하여 송수신부 93을 거쳐 정산 POS 단말 70에 명세로그의 송신을 제어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POS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은 스캐너 57에 의해 구입될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50a를 판독하여 바코드50a의 상품코드 정보를 입력하고 (단계 E1), 그다음에 바구니부 102내에 상품을 넣고 수납한다.
스캐닝 카트 100의 CPU51에 있어서, 상품코드 정보가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될때마다, 상품코드 정보를 갖는 조회 텔레그램은 조회 처리 제어부 51U에 의해 작성되어 송수신부 53을 거쳐 제어기 90에 송신된다 (단계 E2), 그 결과,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는 제어기 90측에 등록된다.
한편, 송수신부 93을 거쳐 조회 텔레그램을 수신하는 제어기 90의 CPU91에 있어서, 조회 텔레그램은 송수신 제어부 91a에 의해 입력되며, 상품정보 파일 95는 조회 텔레그램에 포함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 가격 검색부 91b에 의해 검색 (PLU)되어,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50의 상품번호, 상품명 가격(단가)등의 상품정보를 얻는다 (단계 E3).
이 경우에, 파일 제어부 91e에 의해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가격 검색부 91b에 의한 검색결과는 명세로그로서 조회 텔레그램을 송신한 스캐닝 카트 100의 카트번호에 따라 명세로그 파일 96내에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제어시, 새로운 상품코드 정보 (조회 텔레그램)가 송신될때 마다 계수된 스캐닝 카트 100에서의 상품의 번호가 파일 제어부 91e에 의해 명세로그내에 기록된다 (단계E4).
그다음에, CPU91에 있어서, 상품 가격 검색부 91b에 의해 검색된 가격은 계산처리부 91c에 의해 합산되어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에 수납된 구입상품 50의 합계금액을 계산한다.
그후에,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영수증화상의 화면 데이타는 화면 데이타 편집부 91d에 의해 조회 텔레그램이 스캐닝 카트 100으로 부터 수신될때 마다 새로운 상품코드 정보에 대해 검색된 가격, 상품명, 상품번호등의 상품정보와 계산처리부 91c에 의해 계산된 합계금액에 따라 작성된다 (단계 E5).
이와같이 작성된 화면데이타는 송수신 제어부 91a와 송수신부 93을 거쳐 스캐닝카트 100에 송신된다 (단계 E6). 스캐닝 카트 100측에서는, 화면데이타가 송수신부 53을 거쳐 화면데이타 수신제어부51v에 의해 수신되어 표시제어부 51w에 의해 표시부 54에 표시된다 (단계 E7).
단계 E1 내지 E7에서의 처리는 고객이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를 눌러 사용종료의 입력을 행할때까지 반복된다 (단계 E8).
고객은 키보드부 55의 종료키 (또는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부 54의 화면에 터치 센서로서 표시된 "종료"키)를 눌러 쇼핑을 종료하고, 상품을 스캐닝 카트 100내에 넣어 정산 POS 단말 70으로 이동한다 (단계 E9).
정산 POS 단말 70에서, 정산 대상의 스캐닝 카트 100의 카트번호 데이타를 조작자에 의해 키보드부 75로 부터 입력한다 (단계 E10). 입력된 카트번호데이타는 입력제어부 71d에서 CPU71에 입력되고, 카트번호는 송신요구부, 71e에 의해 송수신부 73을 거쳐 제어기 90측에 송신된다 (단계 E11). 그 다음에, 송신요구부 71e는 제어기 90에 대하여 카트번호의 명세로그 (명세데이타)의 송신을 요구한다.
한편, 정산 POS 단말 70측에서는, 스캐닝카트 100이 공진태그 검지부 82의 안테나부를 통과하여 정산위치에 도달할때 마다, 공진태그 검지부 82에 의해 스캐닝카트 100에서의 공진태그 28을 검지하고 (단계 E12),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 50의 수가 인지된다 (단계 E13).
한편, 제어기 90측에서는, 정산 POS 단말 70의 송신요구부 71e에서 명세로그 송신요구를 수신할때, 명세로그 송신요구에 포함된 카트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명세로그가 검색되어 명세로그 파일 96에서 판독되고 (단계 E14), 명세로그 파일 송신제어부 91f에 의해 송수신부 93을 거쳐 정산 POS 단말 70에 송신된다 (단계 E15).
그다음에, 정산 POS 단말 70측에서는, 제어기 90측에서 명세로그가 송수신부 53을 거쳐 데이타 수신제어부 71f에 의해 수신될때 (단계 E16), 공진태그 검지부 82에 의해 단계 E13에서 인지된 상품 50의 수와 데이타 수신제어부 71f에 의해 수신된 명세로그에 저장된 등록 상품의 수가 상품수 비교부 71g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단계 E17). 인지된 상품수와 등록된 상품수가 상품수 비교부 71g에 의한 비교결과로서 서로 일치할때, 즉 단계 E17에서의 판정이 예인 경우, 제어기 90으로 부터 명세로그에 따라 프린터 77에서 영수증이 출력되고 (단계 E18), 현금인도가 행해져, 정산을 종료하게 된다 (단계 E21).
반대로, 인지된 상품수와 등록된 상품수가 상품수 비교부 71g에 의한 비교결과로 서로 다를때, 즉 단계 E17에서의 판정이 아니오인경우,이것이 표시부 74에 표시되고 조작자는 고객에게 상품의 등록에 실수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단계 E19), 상품의 등록을 행하고 나서 (단계 E20), 프린터 77에서 영수증이 출력되고 (단계 E18) 현금의 인도가 행해져, 정산처리를 종료하게 된다 (단계 E21).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스캐닝 카트 100에 상품 등록을 하기 위해 등록된 데이타의 수 (등록된 상품의 수)가 제어기 90의 명세로그 파일 96에 부유되고 데이타수와 정산 POS 단말 70의 공진태그 검지부 82에 의해 검지된 인지상품의 수가 서로 비교되고나서 비교결과가 통지되기 때문에, 정산 POS 단말 70의 조작자는 미등록 상품의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이러한 유무를 고객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4실시예와 유사하게, 정산 POS 단말의 조작자에 부담을 부과하지 않고 바코드 50a의 변색에 대한 대응책을 행함이 없이도 고객에 의한 들치기등의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가 있고 이 부정행위의 유혹에 대비한 제지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그 결과로, 자체 스캐닝을 포함하는 POS 시스템의 도입시 부정행위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상품정보 파일 95가 제억 90에 제공되지만, 상품정보 파일은 스캐닝 카트 100 또는 정산 POS 단말 7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품정보 파일이 스캐닝카트 100에 제공되는 경우, 스캐닝 카트 100의 표시부 54에서의 표시화면이 스캐닝 카트 100측에서 작성된다.
더우기,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캐너 57에 의해 상품50의 바코드 50a로 부터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제어기 90측에 송신되고 명세로그로서 명세로그 파일 96내에 등록 또는 저장되지만, 상품코드정보가 교대적으로 스캐닝 카트 100측의 기억부 52내에 등록되거나 저장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정산 POS 단말 70에서 정산시, 스캐닝 카트 100의 기억부 52에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광어댑터 또는 제어기 90을 거쳐 정산 POS 단말 70측에 송신된다.
이제, 제29도 내지 제33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상술된 제1 실시예에 대한 변경 형태이고 유사하게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스캐닝 카트 100을 사용한다.
제6실시예에서 스캐닝 카트 100에 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이 실제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지만 (제8도 참조), 본 실시예의 제어시스템은 제3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송수신부 83, 프린터(영수증 발행부) 84 (제29도), 센서 85, 및 상품 정보 파일 86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선불카드 87이 그안에 삽입되고 선불카드 87의 잔류정보가 판독되고나서 선불카드 87에 근거하여 구입정산가 행해질때, 숭신부 83은 선불카드 87의 잔류정보를 갱신하고 나서 제29도와 관련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선불카드를 배출한다.
프린터 84는 스캐닝 카트 100에 영수증을 발행하도록 인쇄동작을 행한다. 센서 85는 바구니부 102내에 상품 50의 수납 (특히, 스캐닝 없이 수납하는 부정행위)을 광학적으로 검지하기 위하여 제3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구니부 102의 상부개구부근에 제공된다. 상품정보 86은 통상의 PLU파일이고 상품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번호, 상품명, 가격(단가)등의 상품정보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 시스템은 제2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29도와 관련하여, 스캐닝카트 100의 CPU51은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중량 판정부 51a, 제2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상품 정보 검색부 (상품 중량 검색부) 51f과 상품코드 등록부 51i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주제어부 51A와 통지부 51B로서의 기능을 더 갖는다.
주 제어부 51A는 CPU51을 제어하고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위 제어부에서 입력된 데이타, 키보드부 55에서의 키입력데이타 (종료키에서의 입력데이타 구입연속키, 영수증 발행키등), 센서 85에서의 검지신호등을 수신하여 이후 설명하는 바와같이 각종 기능(표시부 54의표시제어기능, 프린터 84의 인쇄 제어기능, 전원 ON/OFF 구동부로서의 기능등)을 행한다.
선불카드 87의 데이타가 송수신부 83의 송수신부 83b에 의해 갱신될 수 없을때, 이것을 주제어부 51A에 통지하여 표시부 54에 이것을 표시하게 한다.
송수신부 83은 송수신부 83a, 송수신부 83b, 및 송수신부 83c로부터 구성된다.
송수신부 83a는 그안에 삽입된 선불카드 87의 잔류 정보를 판독한다. 송수신부 83b는 송수신부 83a에 의해 판독된 잔류정보로 부터 상품정보 검색부 51f에 의해 검지된 상품50의 가격을 공제하고 선불카드 87의 잔류정보로서 공제결과를 등록하여 선불카드 87을 갱신한다.
송수신부 83c는 송수신부 83b에 의해 데이타를 갱신한 선불카드 87를 배출한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31에 의해 판독된 잔액이 상품 정보 검색부 51f에 의해 검색된 상품50이 가격보다 작고, 그 결과 선불카드 87의 데이타가 송수신부 83b에 의해 갱신될 수 없을때, 통지부 51B는 송수신부 83b에서의 신호에 응하여 작동되어 이것을 주제어부 51A에 통지하여 표시부 54에 표시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지부 51B로 부터 잔액이 부족하다는 것이 통지에 근거하여 표시부 54에 표시될때, 표시부 54를 조회하는 고객은 키보드부 55의 구입계속키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누르고 두번째 선불 카드 87을 송수신부 83(송수신부 83a)내에 삽입하여 구입처리르 계속하든지 또는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눌러 구입처리를 종료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선택부로서의 기능).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수증 발행키 (도시되어 있지 않음, 영수증 발행 선택부)가 키보드부 55에 제공되며, 고객은 구입종료시 영수증 발행키의 누름유무에 따라 프린터 (영수증 발행부) 84에 의한 영수증의 발행의 필요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주제어부 51A는 스테이션 제어기등의 상위 관리부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송수신부 (데이타 수신부) 53을 거쳐 명령이 수신될때의 전원 ON/OFF 명령에 응하여 스캐닝 카트 100의 전원 56을 자동적으로 ON 또는 OFF 시키는 전원 ON/OFF 구동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중량 판정부 51a가 스캐닝 카트 100에 제공되고, 중량 판정부 51a에 의해 계량기 58로 측정된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50의 총중량이 스캐너 57에 의해 바코드 50a를 판독하지 않고 즈가하였음이 판정되는 경우, 부저59의 소리 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표시가 행해진다.
이것과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의 주제어부 51A는 센서 85에서의 검지신호가 수신되어 스캐닝 57에 의해 바코드 50a를 판독하지 않고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50의 수납동작을 검지할 때에도 부저59의 소리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 표시를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스캐닝 카트 100은 제3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한다. 제32도와 관련하여, 고객이 선불카드 87을 갖지 않을때 (단계 F1), 선불카드 발행기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선불카드 87를 구입하여 (단계 F2) 선불카드 87을 스캐닝카트 100의 송수신부 83안에 삽입한다 (단계 F3). 선불카드 87이 이와같이 송수신부 83안에 삽입되는 시점에서, 선불카드 87의 잔류정보가 송수신부 83a에 의해 판독되어 표시부 54에 표시된다 (단계 F4).
그다음에, 고객은 구입될 상품 50에 부착된 바코드 50a를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하여 바코드 50a의 상품코드 정보를 기억부 52내에 등록하고 상품을 바구니부 102내에 넣거나 저장한다 (단계 F5).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스캐닝 카트 100을 사용하는 도중에, 스캐닝 카트 100의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 50의 총중량이 계량기 58과 중량 판정부 51a에 의해 정상적으로 감시되고 상품50의 부정수납이 센서 85에 의해 감시되며, 계량기 58에서 바구니부 102내의 상품 50의 총중량이 바코드 50a를 스캐닝없이 증가하였음이 판정되는 경우 또는 바구니부 102내에 상품50의 수납동작이 센서 85에 의해 검지되는 경우, 고객에 대한 경고 (부정행위의검사)를 부저 59의 소리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 표시에 의해 즉시 행한다 (단계 F6).
그다음에, 고객이 구입될 상품50의 바코드 50a를 스캐너 57에 의하여 판독될때,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번호, 상품명, 가격(단가)등의 상품정보가 상품정보 검색부 51f에 의해 상품정보 파일 66으로 부터 검색되고, 이렇게 검색된 상품정보는 표시부 54에 표시된다 (단계 F7).
그 후에, 송수신부 83의 송수신부 83b는 선불카드 87의 새로운 잔류정보로서 선불카드 87의 잔휴 정보로 부터 상품 50의 검색가격의 공제 결과를 등록하여 선불카드 87를 갱신하고 상품 50의 정산을 행한다.
이 경우에, 선불카드 87의 잔류정보가 부족함이 판정되는 경우,즉 단계 F8에서의 판정이 예인경우에, 잔액 부족이 통지부 51B에 의해 통지되어 표시부 54에 표시되며, 고객은 그 표시를 조회하여, 키보드부 55의 구입계속키를 누르고 두번째 선불카드 87을 송수신부 83안에 삽입하여 구입처리를 계속하는지 (단계 F9에서 예의 판정), 또는 키보두브 55의 종료키를 눌러 구입처리를 종료하는지 (단계 F9에서 아니오의 판정)를 선택한다.
계속처리가 선택되는 경우, 첫번째 선불카드 87의 잔류정보가 송수신부 83b에 의해 "0"으로 갱신되고 선불카드 87은 송수신부 83c에서 배출되고 (단계 F10), 그다음에 고객에 의해 삽입된 두번째 선불카드 87의 잔류정보가 송수신부 83a에 의해 판독되어 표시부 54에 표시된다 (단계 F11).
단계 F5내지 F11에서의 처리는 고객이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를 눌러 사용종료의 입력을 행할때 까지 반복된다 (단계 F12).
고객이 키보드부 55의 종료키를 눌러 구입을 종료한후 (단계 F9에서의 판정이 아니오 경우 또는 단계 F12에서의 판정이 예인경우), 키보드부 55의 영수증 발행키으 누름유무를 판정한다 (단계 F13), 그키가 눌러진 경우, 기억부 52내에 등록데이타는 프린터 84에 의해 인쇄되어 영수증을 발행한다 (단계 F14).
영수증 발행 또는 단계 F13에서 아니오의 판정후에, 기억부 52내에 등록데이타는 송수신부 53을 거쳐 주제어부 51A에 의해 상위 제어부에 송신되고 나서, 선불카드 87이 송수신부 83c에 의해 배출된다 (단계 F16). 그 다음에, 고객은 프린터 84로 부터 영수증과 송수신부 83으로 부터 배출된 선불카드 87을 받고, 이것에 의해 정산처리를 완료한다.
본 살시예에서의 스캐닝 카트 100에서는, 소매점의 영업을 개시할때, 전원이 상위제어부로 부터 송신된 전원 ON 명령에 응하여 주제어부 51A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급되고, 소매점의 영업을 종료할때, 전원이 주제어부 51A에 의해 자동적으로 중단된다. 환언하면, 스캐닝 카트 100의 전원 ON/OFF는 고객, 조작자등의 인위적인 조작없이 관리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 정산 POS 단말에 의해 통상적으로 실행되는 최종 정산이 선불카드 87을 사용하여 셀프서비스에 의해 행해지므로, 조작자에 대한 부담의 경감과 조작자수의 감소가 달성될 뿐만아니라, 정산 POS 단말에서의 대기 시간이 해소되고 이러한 대기 시간으로 발생하는 불쾌감이 고객에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셀프 쇼핑 형태로 쇼핑시간의 현저한 단축 및/또는 편리성의 현저한 향상이 실현될 수가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따라, 중량판정부 51a 또는 센서 85에 의해 상품50이 바코드 50a를 스캐닝하지 않고 바구니부 102 내에 수납되었음이 판정되는 경우, 부저 59의 소리동작과 표시부 54의 경보표시가 즉시 행해져 고객에 대한 경고를 행하기 때문에, 고객이 고의이든 과실이든 상품코드의 판독을 행함이 없이 상품을 운반하는 부정행위가 최종 정산까지의 모든 단계를 셀프 서비스에 의해 행하는 POS 시스템에서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타는 상품코드 정보가 스캐너 57에 의해 판독될때 마다 송수신부 83b에 의해 갱신되지만, 쇼핑 완료후에, 현재 쇼핑에서 구입된 상품의 최종정산이 기억부 52에서 등록된 등록데이타에 따라 계산되고 합계금액이 송수신부 83b에서 잔류 정보로 부터 공제되는 다른 구성이 교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우기,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선불카드 87이 사용되지만, 신용카드 또는 은행 카드가 선불카드 87대신에 사용되고 정산이 셀프서비스에 의해 행해지는 동안 지불이 연기되는 다른 구성이 교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9도에 도시된 통지부 51B와 송수신부 83대신에, 자기 카드 판독기 88과 자동 클리어 처리부 51c가 제3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된다.
특히, 자기카드 판독기 88은 자기카드 89의 자기 정보를 판독하도록 은행 카드등의 자기 카드 89를 수납하는 자기 카드 데이타 판독부 88a와 처리완료후에 이러한 자기카드 89를 배출하는 카드 배출부 88b를 포함한다.
자동 클리어 처리부 51c는 쇼핑완료후에, 고객에 의해 키보드부 55에서 입력된 개인 식별번호와 자기카드 데이타 판독부 88a로 부터 자기정보에 포함된 개인 식별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기억부 52에 등록된 등록데이타에 따라 현재 쇼핑에서 구입된 상품의 합계금액(상품 정보 검색부 51f에 의해 검색된 상품 50의 가격)을 계산하여, 자동 클리어 처리 데이타를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위 제어부에 송신하므로 금액이 자기 카드 데이타 판독부 88a로 부터의 자기 정보에 대응하는 구좌로 부터 나중에 자동지불 될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은행카드 또는 신용카드등의 자기카드 89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최종 정산이 셀프 서비스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상술된 자기 카드 판독기 88과 자동클리어 처리부 51c는 송수신부 83과 통지부 51B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 은행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의 선불카드 87과 자기 카드 89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정산이 행해질 수 있는 스캐닝 카트 100이 구성될 수가 있다.
더우기,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상품 정보 파일이 스캐닝 카트 100의 제어 시스템에 제공되지만, 상품 정보 파일은 상위 제어부에 교대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가격정보의 검색은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품 정보 파일을 갖는 상위제어부와 상품 정보 검색부 51f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행해진다.
더우기,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스캐너 57에 의해 상품 50의 바코드 50a로 부터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상품코드 등록부 51i에 의해 스캐닝 카트 100에의 기억부 52내에 등록 또는 저장되지만, 상품코드 정보가 송수신부 53을 거쳐 상위제어부에 송신되어 상위 제어부의 기억부내에 저장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교대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가 카트이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같이 유사하게 쇼핑 바구니등에 적용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된 실시예들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화와 변경을 행할 수가 있다.

Claims (26)

  1.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상품코드 판독부, 상기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판정하는 계량 판정부, 상기 계량판정부에 의해,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증가되었음이 판정된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를 구비하는 자체 스캐닝기능을 갖는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증가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소정시간내에 그 증가분과 동일한 중량만큼 감소하였음이 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 경보 발생부에서 발생된 경보를 해제하기 위한 경보해제부를 더 구비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2.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고 각각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수납부내에 수납되는 상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에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재하는 계량판정부,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한 상품코드의 판독없이 증가되었음이 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를 관리하는 관리부로 구성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각각은, 경보 발생부에 의해 경보 발생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 타이머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타이머 판정부, 및 타이머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였음이 타이머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에러 정보로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고유 정보를 관리부로 전송하는 에러 전송부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관리부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중의 에러 전송부로부터 에러 정보를 수신하는 에러 수신부, 에러 정보가 에러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에러 정보가 전송된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중 하나의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에러 표시부, 및 에러 정보가 전송된 하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대한 대응책이 완료되는 경우 에러 표시부에 하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고유 정보 표시를 해제하는 에러 해제부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
  4.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및 수납부내에 수납된 상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를 포함하는 자체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부에 따라 상품의 중량을 검색하는 상품 중량 검색부, 상품 중량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중량과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상품코드 정보 판독이후 수납부내에 상품의 총 중량 증가분을 비교하는 중량비교부, 및 상품 중량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중량과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상품코드 정보 판독이후 수납부에 증가된 상품의 총 중량 증가분이 서로상이하다고 중량비교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로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계량기로 측정한 수나부내의 상품의 전체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중량 판정부로 구성되어, 계량기로 측정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한 상품코드의 판독없이 변화하였음이 계량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 발생부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6.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고 각각은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코드 등록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및 수납부내에 수납된 상품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상품정보로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가격정보를 저장하는 상품정보파일,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수납부에 수납된 구입상품에 대한 최종 정산을 실행하기 위하여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중의 상품코드 등록부에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정보 파일을 검색하는 정산 POS 단말로 구성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파일이 상품 정보로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개별상품의 중량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각각은, 정산 POS 단말에서 정산시에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 총 중량을 정산 POS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산 POS 단말은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주의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품코드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모든 상품들의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 정보 파일에서 상품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중량을 검색하는 상품 중량 검색부, 상품 중량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들이 총 중량을 계산하는 합계 중량 계산부, 합계 중량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총 중량과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수납부내의 상품이 총 중량을 비교하는 중량비교부, 및 합계 중량 계산부로 계산된 총 중량과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수납부내의 상품이 총 중량이 서로 상이하도고 중량 비교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는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 판정부, 및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이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도부에 의해 상품 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
  8.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코드 등록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폼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품코드 판독부는 정산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상품코드 등록부에 등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상품 등록 판정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정산시 상품 등록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로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9.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코드 등록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품코드 판독부는 정산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에서 임의로 선택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데 사용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 운반장치에 있어서,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가 상품코드 등록부에 등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상품등록 판정부로 구성되고, 상품코드 등록부는 상품코드가 등록되지 않는다는 것이 상품등록 판정부에 의해 판정될때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품등록 판정부에 의해 정산시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음이 판정되는 경우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1.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가지고, 각각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코드 등록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가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의 상품코드 등록부에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중의 수납부에 수납된 구입상품에 대한 최종 정산을 실행하는 정산 POS 단말로 구성되는 POS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산 POS 단말은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중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수를 검지하기 위해 각 상품에 이미 부착된 공진태그(tag)를 검지하는 공진태그 검지부, 및 공진태그 검지부로 검지된 상품의 수와 상품코드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른 등록 상품의 수를 비교하는 상품수비교부를 포함하는 POS 시스템.
  12.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가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선불카드를 수납하여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를 판독하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상품코드 판독부가 판독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의 가격을 검색하는 상품가격 검색부, 및 잔액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로써 선불카드 입력처리부가 판독한 잔액정보로부터 상품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가격을 공제하여 얻어진 결과를 등록하는 데이터 갱신부로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선불카드 입력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잔액이 상품 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가격 보다 부족한 경우 이러한 부족액을 통지하는 통지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선불카드 입력처리부에 의해 판독되는 잔액이 상품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의 가격보다 부족한 경우에 두번째 선불카드를 선불카드 입력처리부에 삽입하여 구입처리를 계속할 것인지, 구입처리를 종결할 것인지 선택하는 선택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구입완료시 영수증을 발행하는 영수증 발행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영수증 발행부에 의한 영수증 발행이 필요한지, 불필요한지를 선택하는 영수증 발행 선택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7.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부, 및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차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신용카드나 은행카드를 수납하여 카드의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자기카드 판독부,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에 따라 상품의 가격을 검색하는 상품가격 검색부, 및 자기카드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카드의 자기정보에 대응하는 구좌로부터 상품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가격에 대응하는 금액을 후일 자동적으로 클리어하는 자동클리어 처리부로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선불카드를 수납하여 선불카드의 잔액 정보를 판독하는 선불카드 입력처리부 및 잔액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선불카드의 잔액정보로서 선불카드 입력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잔액정보로부터 상품 가격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상품 가격을 공제하여 얻어진 결과를 등록하는 데이터 갱신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관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데이터 수신부를 거쳐 관리부로부터 수신된 전원 ON/OFF지시에 응답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ON/OFF하는 전원 ON/OFF 구동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 판정부, 및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수납부내에 수납된 상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 판정부, 및 계량판정부에 의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중량이 변화하였음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22.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상품코드 판독부, 상기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로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의 변화를 판정하는 계량 판정부를 구비하는 자체 스캐닝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에 있어서, 계량판정부에 의해, 상품코드 판독부로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증가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중량이 소정시간내에 그 중가분과 동일한 중량만큼 감소하지 않아다고 판정된 경우에,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를 관리하는 외부의 관리부로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 번호를 통지하는 번호통지부로서 기능을 하는 에러전송부를 구비하는 자체스캐닝기능을 갖는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
  23. 상품에 부착된 상품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상품코드 판독부, 상기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한 상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내에 수납되어있는 상품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되는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중량의 변화를 판정하는 계량판정부를 구비하는 자체 스캐닝기능을 갖는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 및 상기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갖는 POS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량판정부에 의해, 상품코드판독부로 상품코드를 판독함이 없이 증가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중량이 소정시간내에 그 증가분과 동일한 중량만큼 감소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 그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를 관리하는 외부의 관리부로 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 번호를 통지하는 번호통지부로서 기능을 하는 에러전송부를 구비하는 POS시스템.
  24. 제12항에 있어서, 관리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데이터 수신부를 거쳐 관리부로부터 수신된 전원 ON/OFF지시에 응답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ON/OFF 하는 전원 ON/OFF 구동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25. 제12항에 있어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 판정부, 및 계량기에 의해 측정딘 수납부내의 상품이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기,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중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계량 판정부, 및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수납부내의 상품의 총 중량이 상품코드 판독부에 의해 상품코드를 판독하지 않고 변화되었음이 계량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로 더 구성되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KR1019940018707A 1993-11-18 1994-07-29 자체스캐닝기능을갖는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및pos시스템 KR100262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89324 1993-11-18
JP28932493A JP2993830B2 (ja) 1993-11-18 1993-11-18 セルフスキャン機能を有する購入商品収納運搬装置およびpos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77A KR950013877A (ko) 1995-06-15
KR100262815B1 true KR100262815B1 (ko) 2000-08-01

Family

ID=1774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707A KR100262815B1 (ko) 1993-11-18 1994-07-29 자체스캐닝기능을갖는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및pos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898158A (ko)
EP (3) EP1020826A3 (ko)
JP (1) JP2993830B2 (ko)
KR (1) KR100262815B1 (ko)
DE (1) DE6943426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830B2 (ja) * 1993-11-18 1999-12-27 富士通株式会社 セルフスキャン機能を有する購入商品収納運搬装置およびposシステム
JP2993832B2 (ja) 1993-11-26 1999-12-27 富士通株式会社 Posシステム
GB9502236D0 (en) * 1995-02-04 1995-03-22 Buk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handling and identification of items
FR2746529B1 (fr) * 1996-03-20 1998-06-05 Parienti Raoul Dispositif attache a un chariot de supermarche permettant de supprimer l'attente aux caisses
JPH1031696A (ja) * 1996-07-15 1998-02-03 Dainippon Printing Co Ltd 購入品入れ及び商品購入システム
JP3681823B2 (ja) * 1996-07-30 2005-08-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登録用無線タグ及び表示ラベル並びにラベル付き無線タグの製造装置
WO1998042239A2 (en) * 1997-03-25 1998-10-01 Luigi Fiordelisi Computerized shopping cart with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supermarket use
CA2201423C (en) * 1997-04-01 2007-06-26 Michael Coveley Cashierless shopping store and components for use therein
CA2219172C (en) * 1997-10-24 2008-03-18 Trevor Kern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 verification
US5967264A (en) * 1998-05-01 1999-10-19 Ncr Corporation Method of monitoring item shuffling in a post-scan area of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US6560322B2 (en) * 1998-05-15 2003-05-06 Minolta Co., Ltd. Centralized management unit receiving data from management unit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US6189789B1 (en) * 1998-09-09 2001-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merchandise checkout system
US6382357B1 (en) * 1998-12-14 2002-05-07 Ncr Corporation Retail system for allowing a customer to perform a retail transaction and associated method
JP4460084B2 (ja) * 1999-06-04 2010-05-12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計量方法
US6296185B1 (en) 1999-11-02 2001-10-02 Nc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eckout system having a display monitor which displays both transaction information and customer-specific messages during a checkout transaction
US7114656B1 (en) * 2000-01-27 2006-10-03 Ecr Software Corporation Fixed self-checkout station with cradle for communicating with portable self-scanning units
US6928123B2 (en) * 2000-04-17 2005-08-09 Intel Corporation Wireless network with enhanced data rate
IT1314964B1 (it) * 2000-06-23 2003-01-21 Tommaso Innocenti Carrello "intelligente" per servizi commerciali
US6547040B2 (en) * 2001-04-02 2003-04-15 Ncr Corporation Self-service checkout system with RFID capability
US6588549B2 (en) 2001-07-06 2003-07-08 Ncr Corporation Checkout system convertible between assisted and non-assisted configurations
JP3860448B2 (ja) * 2001-09-28 2006-12-20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996461B1 (en) * 2003-01-30 2011-08-09 Ncr Corporation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JP4138566B2 (ja) * 2003-04-22 2008-08-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決済システム
US6854656B2 (en) * 2003-05-08 2005-02-15 Fujitsu Limited Self-scanning system with enhanced features
JP2005056370A (ja) * 2003-08-07 2005-03-03 Katsuhiko Takahashi 万引き防止システム
US8046299B2 (en) * 2003-10-15 2011-10-25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lling transaction accounts
JP4535486B2 (ja) * 2003-10-16 2010-09-01 邦夫 麻生 購入商品収納カート及びレジスタシステム
US7347367B2 (en) 2004-02-13 2008-03-25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verifying item placement on a security scale
JP4109644B2 (ja) * 2004-03-24 2008-07-02 富士通株式会社 金銭登録装置および金銭登録システム並びに金銭登録装置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7279131B2 (en) * 2004-07-01 2007-10-09 Uo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ss analysis of samples
US7337962B2 (en) * 2004-12-30 2008-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detect false purchases with a consumer service device
US20060149621A1 (en) * 2004-12-30 2006-07-06 Do Phuc K Method to provide tactile or audio feedback in a personal shopping device
NL1027947C2 (nl) * 2005-01-04 2006-01-09 Scangineers B V Mobiele boodschappen-verzamelinrichting.
JP2005251209A (ja) * 2005-03-14 2005-09-15 Toshiba Tec Corp 商品登録処理システム
US8152062B2 (en) * 2005-04-29 2012-04-10 Mercatus Technologies Inc.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mountable on shopping cart and removable memory device usable with same
AU2006242976A1 (en) * 2005-04-29 2006-11-09 Mercatus Technologies Inc. Communicating information with a personal shopping device
EP1736944A1 (en) * 2005-06-09 2006-12-27 NCR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verifying item placement on a security scale
US7774236B2 (en) * 2005-07-22 2010-08-10 Restaurant Technology, Inc. Drive-through order management method
JP2007034789A (ja) * 2005-07-28 2007-02-08 Ishida Co Ltd ショッピングカート及び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JP2007148723A (ja) * 2005-11-28 2007-06-14 Toshiba Tec Corp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06064B2 (ja) * 2006-03-24 2012-03-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ョッピングカート及びショッピングカートシステム。
US20070255665A1 (en) * 2006-04-27 2007-11-0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elf-checkout terminal
EP2102878A4 (en) * 2007-01-09 2014-06-25 Power Monitors Inc METHOD AND DEVICE FOR AN INTELLIGENT PROTECTION SWITCH
WO2008109728A2 (en) * 2007-03-06 2008-09-12 Power Moni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rive-thru product delivery verifier
US20090027190A1 (en) * 2007-07-25 2009-01-29 Power Moni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power radio broadcast alert for monitoring systems
US7974889B2 (en) 2007-10-19 2011-07-05 Raimbeault Sean M Social networking interactive shopping system
US8781908B2 (en) * 2007-11-08 2014-07-15 Walmart Stor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hopper checkout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GB0802178D0 (en) * 2008-02-06 2008-03-12 Fadahunsi Steve A Improvement to self service check out machine inaccessible cash register and cash till cash register and item dispensing machine
WO2009111386A2 (en) * 2008-03-04 2009-09-11 Power Moni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voice-prompted electrical hookup
US7895797B2 (en) 2008-04-10 2011-03-01 Restaurant Technology, Inc. Drive-thru system and method
GB0913990D0 (en) * 2009-08-11 2009-09-16 Connelly Sean R Trolley
US8773108B2 (en) 2009-11-10 2014-07-08 Power Monitor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fe powerline communications instrumentation front-end
JP2011203058A (ja) * 2010-03-25 2011-10-13 Toshiba Tec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0640357B2 (en) 2010-04-14 2020-05-05 Restaurant Technology Inc. Structural food prepar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40136366A1 (en) 2012-11-12 2014-05-15 Restauran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managing remotely placed orders
LT5774B (lt) * 2010-04-21 2011-09-26 Edvinas BAUBLYS Pirkimo sistema savitarnos būdu
JP2012008840A (ja) * 2010-06-25 2012-01-12 Toshiba Tec Corp 決済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060957B2 (en) 2010-07-29 2018-08-28 Power Moni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loud-based power quality monitor
EP2413105B1 (en) 2010-07-29 2017-07-05 Power Monito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mand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US8292169B2 (en) * 2010-12-22 2012-10-23 Purolator Courier Ltd. Car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each item carried
JP5409672B2 (ja) * 2011-02-25 2014-02-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運搬器具
JP5351291B2 (ja) * 2011-03-31 2013-11-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ード読取装置、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292853B2 (en) * 2011-10-24 2016-03-22 Miguel A. Ascarrunz Automated market cart
KR20150015439A (ko) 2012-04-13 2015-02-10 프란츠 비이트 셀프 스캐너로서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용 마운트
US9053615B2 (en) 2013-03-14 2015-06-09 Wal-Mart Stores, Inc.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use of both optical and electronic product codes
US20170046774A1 (en) * 2014-04-25 2017-02-16 Yoshihiro Azuma Payment assistance device, payment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US10096011B2 (en) * 2015-01-22 2018-10-09 Ebay Inc. Smart table devices and accessories for determining ordering aspects and bills
JP6648408B2 (ja) * 2015-03-23 2020-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商品登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6519255B2 (ja) * 2015-03-23 2019-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938539A1 (en) * 2015-08-19 2017-02-19 Wal-Mart Stores, Inc. System for reducing waiting time
US10286939B2 (en) * 2017-05-18 2019-05-14 Walmart Apollo, Llc Shopping cart with scanner system
US10308269B2 (en) * 2017-06-08 2019-06-04 Walmart Apollo, Llc Shopping cart with sensor system
JP7106335B2 (ja) 2018-04-18 2022-07-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ログイン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90337549A1 (en) * 2018-05-02 2019-11-07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s at a shopping cart
US10680824B2 (en) 2018-10-02 2020-06-0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ventory management using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JP7221701B2 (ja) * 2019-01-10 2023-02-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252089B2 (ja) * 2019-08-06 2023-04-0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72099B2 (ja) * 2019-09-24 2023-10-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41352B2 (ja) * 2020-01-23 2021-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商品登録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78148B2 (ja) * 2021-02-18 2022-05-31 日本電気株式会社 商品登録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34286A (ja) * 2021-03-03 2022-09-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不正行為認識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不正行為認識方法
JP7155381B1 (ja) * 2021-12-16 2022-10-18 功憲 末次 買物決済システム
JP7175075B1 (ja) * 2021-12-16 2022-11-18 功憲 末次 買物カゴ
JP7199586B1 (ja) * 2022-05-27 2023-01-05 株式会社Retail SHIFT チェック装置及びチェッ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5869A1 (de) * 1971-05-25 1972-12-07 Hehemann 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automatischen Kassenabrechnung in Selbstbedienungsläden
CH548073A (de) * 1972-02-14 1974-04-11 Gretag Ag Ausruestung fuer einen selbstbedienungsladen.
CH543871A (de) * 1972-11-03 1973-11-15 Peyer Siegfrie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Stichkontrollen an der Sammelkasse eines Selbstbedienungsladens
JPS52132651A (en) * 1976-04-28 1977-11-07 Toshiba Corp Goods sales system
US4071740A (en) * 1976-05-26 1978-01-31 Paul Gogulski Mobile automated shopping system
GB2068132B (en) * 1980-01-03 1984-03-14 Wright L H Method for producing a bill during the collection of items in a self-service shop
JPS5896367A (ja) * 1981-12-01 1983-06-0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販売管理装置
FR2602072B1 (fr) * 1986-07-24 1990-08-10 Checkrobot Inc Dispositif d'enregistrement d'articles achetes dans un magasin en libre service sans intervention d'un operateur.
JPS63145591A (ja) * 1986-12-08 1988-06-17 オムロン株式会社 入力部を備えた買物かご
JPH0821130B2 (ja) * 1986-12-15 1996-03-04 株式会社テック 登録機能付き買物籠
JPS63223998A (ja) * 1987-03-13 1988-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osシステム
NL8800907A (nl) * 1988-04-08 1989-11-01 Ahold N V Werkwijze voor het registreren en afrekenen van door een client in een zelfbedieningswinkel geselecteerde artikelen, en winkelinrichting geschikt voor toepassing van de werkwijze.
JPH02277412A (ja) * 1989-04-19 1990-11-14 Nec Corp 買物かご
JP2532663B2 (ja) * 1989-05-24 1996-09-11 株式会社テック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JP2509340B2 (ja) * 1989-08-11 1996-06-19 株式会社テック チェックアウト装置
JPH03232079A (ja) * 1990-02-07 1991-10-16 Nec Corp バーコード認識装置
DE4005105A1 (de) * 1990-02-17 1991-08-22 Werner Potrafke Spezialfabrik Kassenstand mit selbst-scanning
FR2659464B1 (fr) * 1990-03-12 1993-10-01 Jack Hanon Dispositif d'enregistrement automatique des achats et de detection de vol d'articles et de chariots pour les magasins de vente en libre-service.
DE4020752A1 (de) * 1990-03-31 1991-10-02 Schickedanz Willi Einrichtung zum erkennen von kodierungen auf waren und dergleichen
JPH043294A (ja) * 1990-04-20 1992-01-08 Tokyo Electric Co Ltd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US5083638A (en) * 1990-09-18 1992-01-28 Howard Schneider Automated point-of-sale machine
US5115888A (en) * 1991-02-04 1992-05-26 Howard Schneider Self-serve checkout system
JPH04293198A (ja) * 1991-03-20 1992-10-16 Fujitsu Ltd Posシステム
US5239167A (en) * 1991-04-30 1993-08-24 Ludwig Kipp Checkout system
US5361871A (en) * 1991-08-20 1994-11-08 Digicomp Research Corporation Product information system for shoppers
JPH0581559A (ja) 1991-09-25 1993-04-02 Fujitsu Ltd Posシステム
JP3073093B2 (ja) 1992-03-24 2000-08-07 雪印乳業株式会社 ゲル化物のゲル化点温度測定方法
JP2993830B2 (ja) * 1993-11-18 1999-12-27 富士通株式会社 セルフスキャン機能を有する購入商品収納運搬装置およびpos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BM TECHNICAL DISCLOSURE BULLETIN VOL.31 NO.6 NOVEMBER 1988. P 399-4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4265D1 (de) 2005-03-17
EP1020825A2 (en) 2000-07-19
EP1020826A2 (en) 2000-07-19
KR950013877A (ko) 1995-06-15
EP0654477B1 (en) 2005-02-09
JPH07141569A (ja) 1995-06-02
US6105867A (en) 2000-08-22
EP1020825A3 (en) 2003-01-08
DE69434265T2 (de) 2005-07-28
EP1020826A3 (en) 2003-01-02
US5898158A (en) 1999-04-27
EP0654477A3 (en) 1996-11-06
JP2993830B2 (ja) 1999-12-27
EP0654477A2 (en) 199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815B1 (ko) 자체스캐닝기능을갖는구입상품수납운반장치및pos시스템
US6866193B1 (en) Purchased commodity accommoda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having elements for purchasing a commodity fixed to a transportable accommodation section
US6382357B1 (en) Retail system for allowing a customer to perform a retail transa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6725206B1 (en) Cashierless shopping store and components for use therein
US6112857A (en) Hand-held scanner device having a smart card associated therewith and associated method
US6032127A (en) Intelligent shopping cart
EP122017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to access a customer account
EP0997858A2 (en) POS system with purchase estimate
US20120221423A1 (en) Commodity carrier
US6325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out large items with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WO2000073971A1 (en) Shopping system and shopping cart utilizing same
EP3796278A1 (en) Checkout apparatus, checkout method performed with checkout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020036853A (ko) 고객 관리 시스템
JP7376906B2 (ja) 商品登録システム、プログラム、商品登録方法、及び計量装置
US20210326828A1 (en) Weighing and pricing device, sales system, product registr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0590667C (zh) 商品销售数据处理设备
JP7144826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432246A1 (en) Shopping cart
JPH0858931A (ja) 物品管理装置
JP3058113B2 (ja) セルフ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
KR20120010333A (ko) 운반체에 적재되는 물품 목록을 저장한 후 물품 반출시 물품 목록을 일괄 승인하고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4139194A (ja) 自動会計システム
CN113108887A (zh) 产品销售数据处理系统和称重装置
KR20030039001A (ko) 쇼핑몰의 무인화 시스템
JP7419812B2 (ja) 会計機、会計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203

Effective date: 20000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