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245B1 -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245B1
KR100260245B1 KR1019970000252A KR19970000252A KR100260245B1 KR 100260245 B1 KR100260245 B1 KR 100260245B1 KR 1019970000252 A KR1019970000252 A KR 1019970000252A KR 19970000252 A KR19970000252 A KR 19970000252A KR 100260245 B1 KR100260245 B1 KR 10026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finder
imaging optical
guide
op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814A (ko
Inventor
미치오 히로하타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7005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2213/02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iewfinder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장치는 결상광학계의 이동과 연계해서 파인더를 동작시키는 연계수단을 가지고, 이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계의 상기 이동후, 또한 상기 이동과는 다른 방향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파인더의 연계를 단절하는 광학장치.

Description

광학장치
본 발명은 카메라 등의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율변경동작 및 초점조절동작가능한 결상광학계와, 이 결상광학계의 배율변경상태에 따라서 배율변경상표시를 행하는 파인더를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 등의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인더광학계와 촬영광학계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는 렌즈셔터카메라의 분야에 있어서, 최근에는 줌렌즈경통을 장비하고 있는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 형식의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줌카메라로 호칭되고 있으며, 촬영광학계의 배열변경동작에 연동해서 파인더광학계도 배율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렌즈셔터카메라는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제조코스트가 염기인 것이 설계목표로서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 설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제안이 행해지고 있다.
(a) 일본국 특개평 5-173223호 공보.
촬영광학계의 경통의 배율변경동작에 추종하는 레버에 의해 파인더광학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b) 일본국 특개평 2-24613호 공보.
1개의 모터로 포커싱과 줌잉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 일본국 특개소 64-84233호 공보.
1개의 모터로 헬리컬바를 개재해서 포커싱과 줌잉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 일본국 특개소 61-259237호 공보.
서로 방향이 다른 복수개의 포커싱용 캠홈과 줌잉용 캠홈을 각각의 일단에서 연결함으로써 지그재그형상의 1본의 캠홈을 형성한 1매의 캠판을 사용하고, 이 캠판에 의해서 촬영광학계에 포커싱과 줌잉을 교호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이상의 제안외에 상기 일본국 특개소 61-259237호 공보에 기재된 캠판과 유사한 캠판에 의해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교호로 행하는 촬영광학계에 파인더 광학계를 캠으로 연동시키고, 이 캠의 작용에 의해 촬영광학계가 포커싱동작할 때에는 파인더광학계를 정지시키고, 이 촬영광학계가 배율변경동작할 때에는 파인더 광학계도 이 촬영광학계에 연동해서 배율변경동작한다고 하는 구성을 가진 카메라가 상품화되어 있다.
상술한 (e)의 카메라에서는, 예를들면 촬영광학계를 텔레포토끝위치로부터 와이드앵글끝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촬영광학계의 캠종동자가 캠의 배율변경영역과 초점조절영역을 교호로 이동해 가기 때문에 캠의 배율변경영역에서는 파인더상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변화하지만, 캠의 초점조절영역에서는 파인더상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파인더상이 간헐적으로 배율변경하고, 그 결과 파인더를 들여다 보고 있는 카메라사용자에게 부자연스러움이나 위화감을 준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은 결상광학계의 이동과 연계해서 파인더를 동작시키는 연계장치를 가지며, 이 연계장치는 상기 결상광학계의 상기 이동 후, 또 상기 이동과는 다른 방향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파인더의 연계를 단절함으로써 결상광학계의 동작에 대해서 파인더를 들여다 보고 있는 사용자에게 부자연스러움이나 위화감을 주지 않는 광학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이하에 표시하는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광학장치의 일부의 기계적 구조부분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광학장치의 결상광학계(촬영광학계)와 연동하는 레버(5)의 핀(5b)과 제2레버(7)의 슬롯(7a)과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이 결상광학계가 와이드앵글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b)는 중앙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c)는 텔레포토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광학장치의 저기적 제어계의 일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4도는 제3도에 표시된 마이콤(100)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광학장치의 일부의 기계적 구조부분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결상광학계 5~7, 25~34 : 연계장치(작동장치)
4 : 작동장치 9, 11~13 : 파인더
8, 35 : 유지장치(마찰장치) 7a, 26a : 계탈장치
101 : 전동모터 100 : 제어장치
100~102 : 구동장치 104 : 위치판정장치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광학장치는 줌카메라이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광학장치는 줌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표시한다. 제1도에 있어서, (2)는 이 카메라의 촬영광학계의 제1 렌즈군을 유지하고 광축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제1 렌즈군유지통, (3)은 이 카메라의 촬영광학계의 제2 렌즈군을 유지하고 광축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제2 렌즈군 유지통, (4)는 제2 렌즈군 유지통(3)과 일체로 이동하는 경통, (1)은 캠홈(1A) 및 (1B)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화살표 “f” 또는 “g”방향으로 이동되는 캠판, (2a)는 1군렌즈유지통(2)에 고정되는 동시에 이 캠홈(1B)에 상대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종동자핀, (3a)는 2군렌즈유지통(3)에 고정되는 동시에 이 캠홈(1A)에 상대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종동자핀, (4a)는 경통(4)에 돌출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연계수단의 레버(5)에 걸어 맞춤되어 있는 연동핀, (5)는 일단부의 구멍(5a)에서 고정핀(6)(카메라의 도시하지 않은 구조부재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핀)에 끼워져 있고 이 핀(6)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한 제1 레버, (7)은 이 핀(6)에 구성(7b)에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이 핀(6)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한 제2레버, (8)은 이 제2레버(7)의 상하면을 가볍게 끼워조임으로써 이 레버(7)에 제동력을 가해서 불필요한 움직임을 억제하는 스프링가압부재, (9)는 파인더광학계의 배율변경용 렌즈유지프레임, (9a)는 이 배율변경용 렌즈유지프레임(9)에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제2레버(7)의 제3캠홈(7c)에 삽입되는 종동자핀, (10)은 제1레버(5)의 선단부를 경통(4)의 핀(4a)에 밀어부치는 스프링이다. 파인더광학계는 배율변경용 렌즈유지프레임(9)외에 대물렌즈(11), 상반전용의 ㅍ즘(12), 접안렌즈(13)를 구비하고 있다. 캠판(1)에 형성된 캠홈(1A)은 2군렌즈유지통(3)의 광축방향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판(1)의 이동방향(이 카메라의 광축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뻗는 직선홈으로 되어 있다. 한편, 1군렌즈유지통(2)의 광축방향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캠홈(1B)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의 방향(캠홈(1A)에 평행한 방향)을 향한 짧은 직선홈부(1b)와 제2의 방향(광축에 대한 직각방향)을 향한 짧은 직선홈부(1c)가 교호로 직렬배치된 「지그재그형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홈부(1b)는 이 촬영광학계를 초점조절동작시키기 위한 포커스용 제어캠이며, 이 홈부(1c)는 이 촬영광학계를 배율변경동작시키기 위한 줌용제어캠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홈부(1b)의 일단의 위치(1d)는 각 홈부(1b)에 있어서의 1군렌즈유지통(2)의 종동자핀(2a)의 초점조절대기위치(초점조절동작개시위치)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1군렌즈유지통(2)의 종동자핀(2a)이 홈부(1b)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캠판(1)이 화살표f방향으로 이동되면 1군렌즈유지통(2)과 2군렌즈유지통(3)이 동일한 양만큼 광축방향전방으로 인출되고, 소위 전군인출방식의 포커싱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이 종동자핀(2a)이 캠판(1)의 홈부(1c)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캠판(1)이 화살표f방향으로 이동되면 1군렌즈유지통(2)의 광축방향이동은 일어나지 않고 2군렌즈유지통만이 광축방향위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1군렌즈와 2군렌즈와의 간격이 변화해서 이 촬영광학계의 줌잉이 행해진다.
제1레버(5)와 제2레버(7)는 촬영광학계의 배율변경동작에 따라서 파인더광학계를 배율변경동작시키기 위한 연계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 연계수단은 제1레버(5)와 제2레버(7)을 연동시키지 않기 위한 이하와 같은 비연계수단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비연계수단은 제1레버(5)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핀(5b)과, 제2레버(7)에 형성된 장방향의 슬롯(또는 장방형의 오목부)(7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슬롯(7a)의 긴변의 길이는 제1레버(5)와 제2레버(7)와의 사이에 이하와 같은 움직임을 발생시키도록 결정되어 있다.
제2도는 촬영광학계가 배율변경동작 및 초점조절동작할때의 제1레버(5)의 핀(5b)과 제2레버(7)의 슬롯(7a)과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촬영광학계에 포커싱동작을 시킬 때에는 항상 촬영광학계가 각배율에 따른 초점조절대기위치(1d)로부터 인입방향(제2도에 있어서 아래쪽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제2도의 왼쪽에 표시되어 있는 (a)의 부분에 있어서, 두꺼운 화살표는 촬영광학계의 포커싱동작을 표시하고, 얇은 화살표는 촬영광학계를 단초점거리쪽(와이드앵글쪽)으로 배율변경이동시킬 때의 핀(5b)의 움직임을 표시한 것이다.
촬영광학계를 와이드앵글족으로 배율변경이동시킬 경우, 제1도의 캠판(1)은 화살표 “g”방향(즉 촬영광학계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1군렌즈유지통(2)은 종동자핀(2a)이 캠홈부(1b)의 구간에 있을때에는 광축을 따라서 후방쪽으로 이동하고, 종동자핀(2a)이 광축과 직각인 캠홈부(1c)의 구간에 있을 때에는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2군렌즈유지통(3)의 종동자핀(3a)은 캠홈(1A)에 들어있기 때문에 항상 렌즈인입방향(즉 후방, 제1도에 있어서 오른족)으로 이동하고, 2군렌즈유지통(3)과 일체의 경통(4)도 렌즈인입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경통(4)의 핀(4a)과 레버(5)의 핀(5b)도 연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2도의 (a)에 있어서, 와이드앵글위치를 향해서 촬영광학계의 배율변경동작이 개시되면, 제 1레버(5)의 핀(5b)은 슬롯(7a)의 선단위치로부터 후단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핀(5b)이 슬롯(7a)의 후단모서리에 접촉하기 까지의 극히 짧은 기간은 제 2레버(7)가 이 핀(5b)에 의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파인더광학계의 배율변경렌즈유지프레임(9)은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파인더광학계의 배율변경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핀(5b)이 슬롯(7a)의 후단모서리에 접촉한 후, 또 슬롯(7a)의 후단모서리를 눌러서 와이드앵글위치 상당위치까지 후방쪽으로 이동해가는 사이, 핀(5b)이 슬롯(7a)의 후단모서리를 후방쪽으로 계속누르고, 그 사이에 누른 양에 상당하는 각도만큼 제 2레버(7)가 구멍(7b)을 중심으로 해서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결과, 파인더광학계의 배율변경렌즈유지프레임(9)이 광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인더광학계의 배율이 촬영광학계의 배율변화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와이드앵글쪽으로 변화한다. 그 후, 1군렌즈유지통(2)의 종동자핀(2a)이 캠홈(1B)의 와이드앵글위치에 도달하고, 또 초점조절량만큼 캠홈(1B)의 종단위치가까이까지 이동하면, 캠판(1)의 이동방향이 역전되어서 2군렌즈유지통(3)과 경통(4)이 텔레포토쪽으로 인출된다. 그 때 제 2레버(7)는 스프링가압부재(8)에 의해 끼워조여져 있어 가벼운 제동력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으므로 제 1레버(5)의 핀(5b)은 직사각형 슬롯(7a)의 후단모서리로부터 떨어져서 이 슬롯(7a)의 전단모서리부근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핀(5b)이 슬롯(7a)의 전단모서리 가까이까지 이동했을때에 종동자핀(2a)이 캠판(1)의 홈부(1b)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도달하고, 동시에 캠판(1)의 이동이 정지하고, 이에 의해 와이드앵글위치로의 배율설정동작이 완료한다.
또한, 그후, 이 와이드앵글위치에서의 포커싱동작에 있어서는 캠판(1)이 제2도의 두꺼운 화살표의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지만, 이 경우에는 제 1레버(5)의 핀(5b)이 제 2레버(7)의 슬롯(7a)의 안쪽의 범위내에서 후방쪽으로 이동할 뿐으로 핀(5b)이 슬롯(7a)의 후단모서리를 누르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제 1레버(5)가 회동해도 제 2레버(7)가 회동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촬영광학계의 포커싱동작시에는 파인더광학계의 배율변경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제 2도의 중앙의 (b)는 촬영광학계를 중앙위치(중초점거리위치)(1) 및 (2)로 배율변경동시킬때의 제1레버(5)의 핀(5b)의 움직일을 표시한 것이다.
촬영광학계를 와이드앵글쪽으로부터 중앙위치(중초점거리위치)로 이동시킬경우에는 얇은 직선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레버(5)의 핀(5b)이 제2레버(7)의 직사각형슬롯(7a)의 전단모서리를 눌러서 제2레버(7)를 회동시킴으로써 파인더광학계의 상배율은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1군렌즈유지통(2)의 종동자핀(2a)이 캠판(1)의 홈부(1b)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까지 이동해서 거기서 정지한다.
그 후, 이 중앙위치에서의 포커싱동작시에는 상기한 와이드앵글위치에서의 포커싱 동작과 마찬가지로 핀(5b)이 슬롯(7a)의 안쪽의 범위내에서 후방으로 움직일 뿐으로 제2레버(7)는 움직이지 않으며, 따라서 파인더광학계의 배율변경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촬영광학계의 초점거리위치를 텔레포토쪽으로부터 중앙위치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이한 와이드앵글위치로의 이동과 마찬가지로, 핀(5b)이 슬롯(7a)의 후단모서리를 물러서 레버(7)를 회동시킴으로써 파인더과학계의 상배율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 후, 포커스 조절양만큼 텔레포토쪽으로 돌아와서 중앙위치의 초점조절 대기위치에 온다.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핀(5b)의 이동방향이 반전했을 뿐에는 이 레버(7)가 스프링가압부재(8)에 의해 가벼운 제동력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레버(7)는 핀(5b)의 전진운동에는 추종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후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포커싱동작이 행해지지만, 그 때에는 파인더광학계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제2도의 오른쪽의 도(c)는 촬영광학계를 텔레포토위치(장초점거리)로 배율변경이동시킬때의 핀(5b)의 움직임을 표시한 것이다.
촬영광학계를 텔레포토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반드시 와이드앵글쪽으로부터 촬영광학계가 이동되기 때문에 핀(5b)은 도시의 위치로부터 슬롯(7a)의 전단모서리를 눌러서 전방쪽으로 이동해며, 따라서 파인더광학계의 상배율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촬영 광학계가 텔레포토위치가 되었을 때에는 종당자핀(2a)이 캠판(1)의 홈부(1b)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와서 정지된다. 그 후, 이 텔레포토위치에서의 포커싱동작시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핀(5b)이 레버(7)의 슬롯(7a)의 안쪽의 범위내에 후방으로 움직일뿐아니라 레버(7)는 움직이지 않으며, 따라서 파인더광학계는 정지한 채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촬영광학계를 배율변경동작 시켰을 때에 파인더광학계가 연속적으로 배율변경동작하고, 촬영광학계가 초점조절 동작했을 때에는 파인더광학계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파인더를 주시하고 있는 카메라사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부자연스러움을 염려할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싱동작은 경통의 인입병향으로서 설명했지만, 포커싱동작은 경통의 인출방향이어도 되는 것은 당연하며, 그 경우에는 상기 설명에 있어서 작방향은 전부 역으로 된다.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의 제어계의 구성의 일부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100)은 이 카메라의 제어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마이콤), (101)은 캠판(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102)는 이 모터(101)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회로, (103)은 이 카메라에 탑재된 공지의 거리측정회로(거리측정센서등을 포함), (104)는 캠판(1)의 이동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기, (105)는 이 카메라에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줌스위치, (106)은 이 카메라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릴리스부재에 의해 온하는 공지의 릴리스스위치, (107)은 촬영동작을 행하기 위한 공지의 촬영회로(측광센서, 셔터 등을 포함)이다.
제4도는 마이콤(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제어동작의 플로우차트이며, 이하에는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서 이 카메라의 기능 및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줌스위치(105)가 온인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온이면 스텝 S2로 나아가고, 온이 아니면 스텝 S1을 반복한다.
스텝 S2에서, 줌스위치(105)가 텔레포토쪽을 조작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텔레포토쪽으로 조작되어 있으면 스텝 S3로 나아가고, 텔레포토쪽으로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즉 와이드앵글쪽으로 조작되어 있으면 스텝 S18로 나아간다.
스텝 S3에서, 위치검출기(104)에 의해 캠판(1)이 이미 텔레포트위치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텔레포토위치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있으면 스텝 S9로 나아가고, 그렇지 않으며 스텝 S4로 나아간다.
스텝 S4에서, 모터구동회로(102)를 개재해서 모터(101)를 정전(正轉)시킴(캠판(1)을 제1도에서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영광학계를 인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텝 S5에서, 줌스위치(105)가 오프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오프로 되어 있으면 스텝 S6로 나아가고, 오프가 아미면 스텝 S7로 나아간다.
스텝 S6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에 의해 캠판(1)의 캠홈(1b)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1군렌즈유지통(2)의 종동자핀(2a)이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8로 나아간다.
스텝 S78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에 의해 캠판(1)이 텔레포토위치의 초점조절대기위치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텔레포토위치의 초점조절대기위치에 도달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8로 나아가고, 이 위치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 스텝 S5로 돌아간다.
스텝 S8에 있어서, 모터(101)를 정지시키고, 스텝 S9로 나아간다.
스텝 S9에 있어서, 릴리스스위치(106)가 온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온으로 되어 있으면 스텝 S10으로 나아간다.
스텝 S10에 있어서, 거리측정회로(103)로 거리측정을 행하게 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모터구동회로(102)에 의해 모터(101)를 역전(逆轉)하고, 캠판(1)을 화살표“g”방향(촬영광학계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텝 S12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의 출력에 의해 캠판(1)이 거리측정회로(103)의 출력에 따른 위치에 도달한 것이 판정되면 스텝 S13으로 나아간다.
스텝 S13에 있어서, 모터(101)를 정지시키고, 스텝 S14로 나아간다.
스텝 S14에 있어서, 촬영회로(107)에 의해 촬영동작을 행하고, 촬영동작이 종료하면, 스텝 S15로 나아간다.
스텝 S15에 있어서, 모터구동회로(102)를 개재해서 모터(101)를 정전시키고, 캠판(1)을 화살표“f”방향으로 되돌린다.
스텝 S16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에 의해 캠판(1)이 스텝 S11에서 이동하기 전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17로 나아간다.
스텝 S17에 있어서, 모터(101)를 정지시키고, 스텝 S11로 돌아간다.
스텝 S18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에 의해 캠판(1)이 이미 와이드앵글위치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와이드앵글위치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있으면 스텝 S9로 나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S19로 나아간다.
스텝 S19에 있어서, 모터구동회로(102)를 개재해서 모터(101)를 역전시킴(캠판(1)을 제1도에서 화살표“g”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영광학계를 인입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텝 S20에 있어서, 줌스위치(105)가 오프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오프로 되어 있으면 스텝 S21로 나아가고, 오프가 아니면 스텝 S22로 나아간다.
스텝 S21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의 출력에 의해 캠판(1)의 캠홈부(1B)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1군렌즈유지통(2)의 종동자핀(2a)이 도달한 후, 초점조절량만큼 이동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23으로 나아간다.
스텝 S22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에 의해 캠판(1)이 와이드앵글위치의 초점조절대기위치에 도달한 후, 초점조절량만큼 이동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초점 조절량만큼 이동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나아가고, 이동하지 않았으면 스텝 S20으로 돌아간다.
스텝 S23에 있어서, 모터(101)를 정전하고, 캠판(1)을 화살표“f”방향(촬영광학계를 인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텝 S24에 있어서, 위치검출기(104)의 출력에 의해 캠판(1)의 캠홈부(1b)의 초점조절대기위치(1d)에 1군렌즈유지통(2)의 종동자핀(2)이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25로 나아간다.
스텝 S25에 있어서, 모터(101)를 정지시키고, 스텝 S9로 나아간다.
이 후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텝 S9 내지 스텝 S17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1레버(5)의 핀(5b)이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한다.
제5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성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광학계와 파인더광학계의 연계수단으로서 레버대신에 치차기구를 사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이 실시예 1와 다르다. 이하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실시예 1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1군렌즈유지통(2)과 일체로 되어 움직이는 경통(24)에는 광축과 평행하게 뻗는 랙(24a)이 고정되어 있으며, 랙(24a)과 맞물리는 치차(25)가 도시하지 않은 구조부재에 고정위치에서 회전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치차(25)의 한쪽면의 외주모서리근방에는 이 치차의 축과 평행한 핀(25a)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치차(25)에 인접하는 동시에 치차(25)와 동축선상에 분리배치되어 있는 치차(26)에는 이 핀(25a)이 삽입되는 원호형상의 슬롯(26a)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26a)의 원주 방향길이는 실시예 1의 레버(7)의 직사각형슬롯(7a)의 긴변의 길이와 마찬가지로 촬영광학계의 광축방향이동이 파인더에 전달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되어 있다.
치차(26)와 맞물리는 치차(27)는 방향변환기구(28)의 한편의 우산치차(29)와 같은 축(30)에 고정되고, 이 방향변환기구(28)의 다른쪽의 우산치차(31)는 캠판(34)의 구동치차(33)와 같은 축(32)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치차(33)는 캠판(34)에 형성되어 있는 랙(34b)과 맞물려 있으며, 이 치차(33)가 회전됨으로써 캠판(34)은 광축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캠판(34)에는 파인더의 배율변경렌즈유지프레임(9)의 위치제어용 캠홈(34a)이 형성되고, 이 캠홈(34a)에는 배율변경렌즈유지프레임(9)의 종동자핀(9a)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캠판(34)은 이 치차(33)에 의해 구동될 때만 이동되도록 판스프링형상의 마찰부재(35)가 압접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촬영광학계와 파인더광학계와의 연계수다의 기능은 실시예 1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1군렌즈유지통(2)과 2군렌즈유지통(3)이 캠판(1)의 캠홈(1A) 및 (1B)에 의해 포커싱이동될 때에는 치차(25)의 회전은 치차(26)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1군렌즈유지통(2)과 2군렌즈유지통(3)이, 예를 들면 와이드앵글위치에 이동할 때에는 제2도에서 설명한 동작이 파인더광학계에 일어나고, 따라서 파인더표시상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핀(25a)과 홈(26a)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을 가진 연계수단을 독립한 부재에 구성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파인더를 들여다보는 사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부자연스러움을 주지 않는 광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대상물에 대한 거리에 따라 결상광학계의 초점조절동작이 행해지면, 파인더가 배율변경동작을 행하지 않고, 그 배율변경동작중에 상기 결상광학계의 초점조절동작이 행해지면 파인더가 배율변경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파인더를 들여다보는 사용자에게 부자연스러움이나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대상물에 대한 거리에 따라 결상광학계의 초점조절동작이 행해지면 파인더가 배율변경동작을 행하지 않고, 그 배율변경동작중에 결상광학계의 초점조절동작이 행해지면 파인더가 결상광학계의 배율변경동작 및 초점조절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율변경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파인더를 들여다보는 사용자에게 부자연스러움이나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배율변경용 안내영역과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교호로 구비하고, 이 배율변경용 안내영역과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결상광학유닛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결상광학유닛에 배율변경동작과 초점조절동작을 행하게 하는 광학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안내되어 대상물에 대한 거리에 따라 초점조절동작을 행하면, 파인더는 배율변경동작을 행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초점조절용안내용역을 따라 안내되어 배율변경동작을 행하면, 파인더는 배율변경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이 광학장치는 파인더를 들여다보는 사용자에게 부자연스러움이나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인 광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 개략적인 형태 또는 블록형태로 표시된 개개의 요소는 모두 카메라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며, 그들의 특정한 구성과 작동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거나 가장 좋은 모드는 아니다.
본 발명을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해왔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각종 변형예 및 동등한 구성을 커버하려고 한다.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초점조절동작이 항상 초점조절용 대기위치로 부터 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중의 위치로부터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촬영광학계의 배율변경 및 초점조절동작은 이상의 실시예에 표시한 바와 같은 캠구성에 의해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의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가 하나의 장치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더라도, 또한 다른 장치와 결합하도록 한 것이더라도, 또는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와 같은 것이더라도 된다.
본 발명은 1안 리플렉스카메라, 렌즈셔터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카메라, 또는 카메라이외에 광학기기나 기타의 장치, 또는 그들 카메라나 광학기기나 기타의 장치에 적용되는 장치, 또는 이들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촬영광학계의 이동에 연동하는 파인더의 동작은 연속적인 배율변경동작이지만, 이것은 단계적인 배율변경이나 시야프레임의 변경 등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파인더의 동작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의 소프트구성과 하드구성은 적절히 치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각 실시예 또는 그들 기술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42)

  1. 결상광학계(1~4)의 이동과 연계해서 파인더(9, 11~13)를 동작시키는 연계수단(5~7, 25~34)을 구비하고,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후, 상기 이동과는 다른 방향의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파인더의 연계를 단절하는 공간형성부(7a, 26a)를 가지는 광학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가 단절된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 초점조절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 결상광학계의 이동과 연계해서 파인더(9, 11~13)를 동작시키는 연계수단(5~7, 25~34)과,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후, 상기 이동과는 다른 방향의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파인더의 연계를 단절하는 공간 형성부(7a, 26a)를 가지고; 상기 파인더가 상기 결상광학계와의 연계를 단절하고 있는 사이에 동작하지 않도록 상기 파인더를 유지하는 유지수단(8,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촬영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장치는 상기 결상광학계(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1~4)는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가 행해지는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 배율변경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1~4)는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가 행해지는 상태에서 이동할 때에 초점조절동작 및 배율변경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가 행해지는 상태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의 배율변경동작, 초점조절동작, 제2의 배율변경동작을 순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장치는 상기 파인더(9,1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더(9, 11~13)는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과 연계해서 동작할때에 연속적으로 배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더(9,11~13)는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과 연계해서 동작할때에 배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파인더가 움직이지 않도록 마찰을 주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계가 상기 파인더와 연계를 단절하는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한 후에 다시 상기 결상광학계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에 의해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1의 방향으로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키서 이동시킨 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2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하는 구동수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위치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위치판정수단이 판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1의 방향으로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켜서 이동시킨 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2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하고, 다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1의 방향으로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켜서 이동시킨 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2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하는 동시에 초점조절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1의 방향으로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켜서 이동시킨 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2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하는 동시에 초점조절동작을 행하게 하고, 다시 촬영동작종료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방향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1의 방향으로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켜서 이동시킨 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2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하고, 다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조절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1의 방향으로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켜서 이동시킨 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제2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하고, 다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조절동작을 행하게 하고, 그리고 다시 촬영동작종료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제2의 방향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2. (A) 교호로 사용된 초점조절용 안내영역과 배율변경용 안내영역을 가지고, 이 초점조절용 안내영역과 배율변경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결상광학유닛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결상광학유닛에 초점조절동작과 배율변경동작을 행하게 하는 광학유닛안내수단과; (B)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일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연계해서 파인더를 동작시키는 연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계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대해서 상기 파인더의 연계를 단절하는 공간형성부(7a, 26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연계해서 상기 파인더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합광학유닛이 상기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연계해서 상기 파인더를 배율변경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합광학유닛이 상기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연계해서 상기 파인더를 연속적으로 배율변경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대해서 상기 파인더를 배율변경동작시키지 않는 부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부작동수단은, 상기 파인더가 동작하지 않도록 이 파인더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파인더가 움직이지 않도록 마찰을 주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될때에 대상물에 대한 초점조절동작을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과 배율변경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될 때에 소망의 배율변경동작을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하기 위한 공간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수단은,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연계해서 파인더를 동작시킨 후,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소정구간 안내되는 것에 대해서 상기 파인더의 연계를 단절하고, 그리고 그 후에 다시 상기 결상광학유닛이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소정구간안내됨으로써 상기 결상광학계의 이동에 의해 상기 파인더를 연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의 상기 광학안내수단에 의한 안내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위치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위치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결상광학계의 안내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구동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이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구동해서 대상물에 대한 초점조절동작을 행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구동해서 대상물에 대한 초점조절동작을 행하고, 또한 촬영동작종료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광학유닛 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안내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구동하고, 또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해서 대상물에 대한 초점조절동작을 행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배율변경용 안내영역 및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한 후, 다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상기 방향으로 안내구동하고,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의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으로 안내구동해서 대상물에 대한 초점조절동작을 행하고, 또한 촬영동작종료후,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파인더와 연계를 단절한 상태에서 상기 결상광학계를 상기 광학유닛안내수단의 초점조절용 안내영역을 따라서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안내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유닛은 촬영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KR1019970000252A 1996-01-08 1997-01-08 광학장치 KR100260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904 1996-01-08
JP90496 1996-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814A KR970059814A (ko) 1997-08-12
KR100260245B1 true KR100260245B1 (ko) 2000-07-01

Family

ID=1148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252A KR100260245B1 (ko) 1996-01-08 1997-01-08 광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4719A (ko)
EP (1) EP0783129B1 (ko)
KR (1) KR100260245B1 (ko)
CN (2) CN100410801C (ko)
DE (1) DE69731781T2 (ko)
TW (1) TW3362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082A (ja) * 1998-08-21 2000-03-03 Minolta Co Ltd ズームレンズ鏡胴
KR100296791B1 (ko) * 1998-08-26 2001-08-07 방경숙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 하는 방법
JP2002182273A (ja) 2000-12-11 2002-06-2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AUPS158302A0 (en) * 2002-04-09 2002-05-16 Scan Optics Pty Ltd Improved fundus camera
US20040056970A1 (en) * 2002-09-23 2004-03-25 Lothar Westerweck Image capture device
US6879446B1 (en) * 2003-11-07 2005-04-12 Concord Camera Corp. Viewfinder mechanism
US7356252B2 (en) * 2005-11-19 2008-04-08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Auto-focusing zoom lens mechanism
JP5590903B2 (ja) * 2010-02-05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9237A (ja) 1985-05-14 1986-11-17 Canon Inc カメラの撮影レンズ移動装置
US5223873A (en) * 1985-05-14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Magnification change-over device for a camera
JPS6484233A (en) 1987-09-28 1989-03-29 Canon Kk Optical system moving device for camera or the like
JPH0224613A (ja) * 1988-07-13 1990-01-26 Canon Inc Afズーム機構を備えたカメラ
US5036346A (en) * 1989-01-17 1991-07-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Zooming apparatus for a viewfinder optical system
JP2508115Y2 (ja) * 1990-06-13 1996-08-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ムカメラ
EP0671643B1 (en) * 1991-07-08 2001-10-04 Chi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viewfind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36287B (en) 1998-07-11
CN1178912A (zh) 1998-04-15
KR970059814A (ko) 1997-08-12
CN100410801C (zh) 2008-08-13
EP0783129A2 (en) 1997-07-09
DE69731781T2 (de) 2005-12-01
EP0783129B1 (en) 2004-12-01
CN1133089C (zh) 2003-12-31
US5864719A (en) 1999-01-26
CN1495504A (zh) 2004-05-12
EP0783129A3 (en) 1997-07-16
DE69731781D1 (de)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5287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parallax and/or diopter of camera
KR100260245B1 (ko) 광학장치
US6670989B2 (en) Optical system driving control device and camera using the same
US6498903B2 (en) Zoom finder device
JP2607006Y2 (ja) カメラの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US6483994B2 (en) Lens device
US5115348A (en) Lens barrel
KR100597546B1 (ko) 광학 기기
US20020071669A1 (en) Interconnection device of zoom camera
JP2003098418A (ja) レンズ移動装置
US5170201A (en) Close-up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focal length camera
US6408139B1 (en) Zoom finder
JP2001066673A (ja) カメラ
JPH0651189A (ja) オートフォーカス一眼レフカメラの近接撮影機構
JP2984613B2 (ja) 光学装置
JP3962941B2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H0622831Y2 (ja) パララックス切換えファインダ
JP2001033685A (ja) トリミング撮影可能なカメラ
JP2965172B2 (ja) ズームレンズのフォーカス装置
JP3969841B2 (ja) 光学系駆動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H0622830Y2 (ja) パララックス切換えファインダ
JP2568458Y2 (ja) カメラの視差補正装置
JP3083411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一眼レフカメラのaf解除装置
JP2001281528A (ja) マクロ撮影可能なズームレンズ装置
JPH07306355A (ja) 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