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546B1 -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546B1
KR100597546B1 KR1020000025629A KR20000025629A KR100597546B1 KR 100597546 B1 KR100597546 B1 KR 100597546B1 KR 1020000025629 A KR1020000025629 A KR 1020000025629A KR 20000025629 A KR20000025629 A KR 20000025629A KR 100597546 B1 KR100597546 B1 KR 10059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focus adjustment
cam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073A (ko
Inventor
이와사키히로유키
다케시타유키타카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Lens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줌 렌즈를 구비한 광학 기기에 관한 것으로, 간소한 기구로 확실한 주밍(zooming) 기능 및 핀트 조정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줌 경통이 줌 업 시에 렌즈 후군을 줌 업용으로 안내하는 줌 업 안내로(J→B→C→D→E)와, 줌 다운 시에 렌즈 후군을 줌 다운용으로 안내하는 줌 다운 안내로(G→H→I→J)와,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줌 단계로 조출된 상태에서의 핀트 조정 시에 렌즈 후군을 핀트 조정용으로 안내하고, 줌 업 안내로와 줌 다운 안내로를 연결하며,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B-J, C-I, D-H, E-G)를 구비하였다.
광학 기기,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전자 카메라, OHP, 줌 렌즈

Description

광학 기기{OPTICAL INSTRUMENT}
도 1은 줌 렌즈를 탑재한 카메라로서 그 줌 렌즈를 지지하는 줌 경통이 카메라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로서, 줌 경통이 최대한 조출(繰出)되어 있는 최대 조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카메라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카메라의 줌 경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홈에 의해 이동하는 렌즈 경통의 궤적(이동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에서 카메라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줌 경통의 단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카메라에서 조출 상태의 줌 경통의 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캠홈(114c)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캠홈을 구성하는 줌 업용 캠홈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캠홈을 구성하는 줌 다운용 캠홈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段)을 가지는 캠홈과는 상이한 캠홈과, 그 캠홈에 결합하여 동작하는 캠핀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을 가지는 캠홈과는 상이한 캠 홈과, 그 캠홈에 결합하여 동작하는 캠핀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을 가지는 캠홈과는 상이한 캠홈과, 그 캠홈에 결합하여 동작하는 캠핀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을 가지는 캠홈과는 상이한 캠홈과, 그 캠홈에 결합하여 동작하는 캠핀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회로 블록도.
도 15는 줌 경통 프로그램의 플로차트.
도 16은 줌 경통 프로그램의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카메라, 11:줌 경통, 12:스트로보 발광창, 13:파인더 대물창, 14a:AF 투광창, 14b:AF 수광창, 15:AE 수광창, 16:셔터 버튼, 17:파인더 접안창, 18:줌 조작 레버, 18a, 18b:조작부, 28:촬영 개구판, 28a:촬영 개구 프레임, 111:이동 개구판, 112:구동 기어, 113:고정 헬리코이드 통, 113a:헬리코이드 내측 나사, 113b:직진 키 홈, 114:캠통, 114a:헬리코이드 외측 나사, 114b:결합 리브, 114c:캠홈, 115:직진 안내통, 115a:결합 리브, 115b:직진 키 홈, 120:렌즈 전군, 121:전군 지지 프레임, 123, 124:장착 나사, 130:렌즈 후군, 131:후군 지지 프레임, 131a:캠핀 수용부, 132:캠핀, 133:가압 스프링, 300:내장 전지, 301:드라이버 IC, 302:레귤레이터, 303:CPU, 304:리셋 회로, 305:EEPROM, 306:배터리 체크, 307:파인더내 액정 표시판(LCD), 308:표시용 LED, 309:AF(오토포커스) 투광용 LED, 310 :줌 조작 스위치, 311:스트로보 회로, 312:줌 단계 스위치, 313, 317, 318:전동 모터, 314:셔터 센서, 315:AE 수광 센서, 316:AF 수광 센서, 320:수정 발진자
본 발명은 줌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 전자 스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오버헤드 프로젝터(OHP) 또는 영사기 등의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는 줌 렌즈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러한 광학 기기에 구비된 줌 렌즈는 크게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초점 거리를 변배(變培)함으로써 상(像)의 배율을 변배하는 주밍 기능이고, 또 하나는 핀트가 맞는 상을 형성하기 위한 초점 조절(핀트 조절) 기능이다.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은 모두 줌 렌즈를 구성하는 복수 매의 렌즈 전체 또는 일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종래 상기 두 가지 기능을 작용시키기 위한 렌즈 구동 방식으로는
(a) 주밍 및 핀트 조절의 두 가지 기능을 각각 별도의 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렌즈를 구동함으로써 실현하는 방식,
(b) 전동 모터는 하나이고 그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주밍용과 핀트 조정용으로 전환함으로써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을 실현하는 방식,
(c) 일본국 특공평(特公平) 6(1994)-1007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 이 주밍을 미리 단계적으로 정해진 복수의 줌 단계(단계적인 복수의 줌 배율)만 허용하는 이른 바 스텝 줌(step zoom)이라고 불리는 방식에서, 하나의 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이 하나의 전동 모터의 동일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주밍과 핀트 조절을 번갈아 행하게 하는 방식,
(d) 본 출원인이 "에피온 210 줌", "에피온 270 줌"이라는 제품명으로 상품화한 카메라의 줌 렌즈 구동 방식으로서, 줌 렌즈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군 각각을 지지하는 경통 사이에 유극(遊隙)을 가지게 하고 예를 들어 줌 업 하는 방향으로 구동하였을 때 이들 복수의 렌즈군을 지지하는 복수의 경통이 줌 업 방향으로 함께 구동되고, 그 상태로부터 줌 다운 방향으로 구동하였을 때는 그 유극의 분량만큼 임의의 렌즈군을 지지하여 종동(從動)하는 경통은 구동되지 않고 다른 경통만 구동되고, 그 후 모든 경통이 함께 줌 다운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그 유극 사이에서 핀트 조절을 행하는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각종 구동 방식 중, 상기 (a)와 (b)의 방식은 부품수가 많아 소형화나 저비용화에 불리하고, 상기 (c)의 방식은 줌 단계 수를 다수로 하려고 하면 줌 경통의 회전 각도가 매우 커지는 동시에 줌 경통의 기구 구조가 복잡해져 소형화, 박형화(薄型化)에 불리하다.
또, 상기 (d)의 방식은 간소한 구성이며 또한 부품수도 적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상기 유극 영역에서는 상기 종동하는 쪽의 경통은 정지 위치가 다른 부품 등에 의해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하여 충격이나 기타 원인으 로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켜, 예를 들면 핀트가 맞지 않아 흐려진 상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간소한 기구로 확실한 주밍 기능 및 핀트 조정 기능을 실현하는 줌 경통을 구비한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광학 기기 중 제1 광학 기기는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줌 렌즈로서, 상기 복수의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군이 상기 제1 렌즈군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군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줌 렌즈를 내장한 줌 경통을 구비하고, 상기 줌 경통이 상기 제2 렌즈군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제1 렌즈군을 주밍 동작용으로 안내하는 줌 안내로와, 상기 제2 렌즈군을 상기 일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제1 렌즈군을 핀트 조정용으로 안내하며 상기 줌 안내로에 편측(片側)에서 교차하고 있는 핀트 조정 안내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광학 기기는 상기 줌 안내로와 그 줌 안내로에 편측에서 교차하고 있는 핀트 조정 안내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렌즈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렌즈군을 줌 안내로 또는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는 것이며, 이들 안내로를 예를 들면 캠홈으로 구성하는 등 간단한 기구로 주밍과 핀트 조정 모두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광학 기기 중 제2 광학 기기는
복수의 줌 단계로의 단계적인 조출이 가능한 줌 렌즈로서, 상기 줌 렌즈가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군이 상기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서 상기 제1 렌즈군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군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줌 렌즈를 내장한 줌 경통을 구비하고,
상기 줌 경통이
줌 업 시에 상기 제1 렌즈군을 줌 업 방향으로 안내하는 줌 업 안내로와,
줌 다운 시에 상기 제1 렌즈군을 줌 다운 방향으로 안내하는 줌 다운 안내로와,
상기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줌 단계로 조출된 상태에서의 핀트 조정 시에 제1 렌즈군을 핀트 조정용으로 안내하고, 상기 줌 업 안내로와 상기 줌 다운 안내로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된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광학 기기는 상기 줌 업 안내로와, 줌 다운 안내로와, 이들 2개의 안내로를 연결하는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들 안내로를 예를 들면 캠홈으로 형성하는 등 간소한 기구로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제2 광학 기기에서, 줌 업 안내로, 줌 다운 안내로 및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가 연속된 캠홈으로서, 캠홈에 결합되어 안내되는 캠핀이 캠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고,
상기 줌 업 안내로는 캠핀을 줌 업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복수의 줌 단 계 각각에 캠핀이 줌 업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 조정 시 및 줌 다운 시에는 캠핀을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는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줌 다운 안내로는 캠핀을 줌 다운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 캠핀이 줌 다운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트 조정 시 및 줌 업 시에는 캠핀을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는 단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내로를 캠홈으로 형성하고 그 캠홈에 결합하는 캠핀을 스프링 가압하며, 또 그 안내로의 캠홈을 단차를 가지는 캠홈으로 형성함으로써 캠핀을 필요한 안내로에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광학 기기에서, 줌 업 안내로, 줌 다운 안내로 및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가 캠핀을 안내하는 연속된 캠홈으로서,
줌 업 안내로는 캠핀을 상기 줌 업 안내로를 구성하는 캠홈의 2변 중 핀트 조정 안내로에의 입구가 열린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에 슬라이드시키면서 줌 업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캠핀이 줌 업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트 조정 시 및 줌 다운 시에는 캠핀을 제1 변에 근접시킴으로써 캠핀을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고,
상기 줌 다운 안내로는 캠핀을 상기 줌 다운 안내로를 구성하는 캠홈의 2변 중 핀트 조정 안내로에의 입구가 열린 제3 변에 대향하는 제4 변에 슬라이드시키면서 줌 다운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캠 핀이 줌 다운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트 조정 시 및 줌 업 시에는 캠핀을 상기 제3 변에 근접시킴으로써 캠핀을 상기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줌 업 시 및 줌 다운 시의 캠핀과 캠홈의 결합 방식의 차이를 이용하여 캠핀을 필요한 안내로에 확실하게 안내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2 광학 기기에서 추가로, 줌 경통을 구동하여 주밍 동작 및 핀트 조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 모터와,
줌 업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출하는 동시에 줌 업에 이어지는 핀트 조정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트 조정을 행하고, 줌 다운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입하는 동시에 줌 다운에 이어지는 핀트 조정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트 조정을 행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광학 기기는 줌 경통을 구동하여 주밍 동작 및 핀트 조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 모터와,
줌 업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출하고, 줌 다운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입하고 이어서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줌 단계에 대응하는 핀트 조정 안내로를 경유하여 줌 업 안내로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하며, 핀트 조정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트 조정을 행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학 기기는 전술한 안내로를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 모터를 구비하여 주밍 기능과 핀트 조절 기능 모두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광학 기기의 줌 렌즈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군 각각은 복수의 렌즈의 집합으로 하나의 렌즈군을 구성하는 것이 전형적이지만, 반드시 복수의 렌즈로 하나의 렌즈군을 구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렌즈로 하나의 렌즈군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광학 기기의 일종인 카메라에 조립된 줌 렌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줌 렌즈를 탑재한 카메라로서 그 줌 렌즈를 지지하는 줌 경통이 카메라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로서 줌 경통이 최대한 조출되어 있는 최대 조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카메라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카메라(10)의 정면 중앙부에는 줌 렌즈를 내부에 구비한 줌 경통(11)이 구비되어 있고, 이 카메라(10)의 정면 상부에는 스트로보 발광창(12), 파인더 대물창(13), AF 투광창(14a) 및 AF 수광창(14b) 및 AE 수광창(15)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카메라(10)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16)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카메라(10)의 배면에는 파인더 접안창(17) 및 줌 조작 레버(1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줌 조작 레버(18)의 한쪽 조작부(18a)를 누르면 누르고 있는 동 안 줌 경통(11)이 도 1에 도시한 수납 상태로부터 도 2에 도시한 최대 조출 상태를 향하여 이동하고, 줌 조작 레버(18)의 또 한쪽의 조작부(18b)를 누르면 누르고 있는 동안 줌 경통(11)이 도 2에 도시한 최대 조출 상태로부터 도 1에 도시한 수납 상태를 향하여 이동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카메라의 줌 경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홈에 의해 이동하는 렌즈 경통의 궤적(이하, "이동 궤적"이라고 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횡축은 회전 각도, 종축은 광축 방향의 거리이다. 여기에서, 도 4 (A) 및 도 4 (B)는 각각 렌즈 전군(前群), 렌즈 후군(後群)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줌 경통에는 렌즈 전군과 렌즈 후군이 지지되어 있고, 렌즈 전군은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도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조출, 수납을 행하고 렌즈 후군은 도 4 (B)에 도시한 이동 궤적을 따라 렌즈 전군의 움직임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
이 이동 궤적은 B→C→D→E의 경로로 이루어지는 줌 업 안내로, G→H→I→J의 경로로 이루어지는 줌 다운 안내로, A-B, C-I, D-H, E-G의 4개의 핀트 조정 안내로로 이루어지며 4개의 핀트 조정 안내로(B-J, C-I, D-H, F-G)는 줌 업 안내로(B→E)와 줌 다운 안내로(G→J)를 연결하고 있다. 점(A)은 줌 단계 중 제1 단계 째의 원거리 핀트 설정 위치, 점(F)은 최대 조출 상태가 되는 줌 단계 중 제4 단계 째의 지근(至近) 핀트 설정 위치이다. 여기에서는, 줌 업 경로 도중 어느 위치에서나 정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 포인트(B, C, D, E)를 각각 제1, 제2, 제3, 제4 줌 단계로 했을 때, 이들 4개의 줌 단계 중 임의의 줌 단계에서만 정지가 가능 하다.
즉, 도 3에 도시한 줌 조작 레버(18)의 조작부(18a)를 계속 눌렀을 때는 일단 최대 조출 위치(F)까지 조출된 후 제4 줌 단계(F)로 복귀되어 정지하고, 도중에서 그 조작부(18a)로부터 손가락을 떼었을 때 본 실시예에서는 손가락을 뗀 후 줌 업 방향을 향한 다음 줌 단계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정지한다. 또는, 도중에서 손가락을 떼었을 때는 직전에 통과한 줌 단계까지 복귀되어 정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와 마찬가지로, 줌 다운일 때는 그 줌 다운 경로 도중 어느 위치에서나 정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 포인트(G, H, I, J)를 각각 제4, 제3, 제2, 제1 줌 단계로 했을 때, 이들 4개의 줌 단계 중 임의의 줌 단계에서만 정지가 가능하다.
즉 줌 업일 때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한 줌 조작 레버(18)의 조작부(18b)를 누르고 줌 다운 도중에 손가락을 떼면, 줌 다운 방향을 향한 다음 줌 단계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정지한다. 또는, 도중에 손가락을 뗀 후 직전에 통과한 줌 단계까지 줌 업 방향으로 복귀되어 정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캠홈의 상세한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는, 본 실시예와는 상이하게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줌 업 방향의 렌즈 후군의 작동은 상기한 것과 동일하게 하고, 줌 다운 방향의 렌즈 후군의 작동을, 줌 조작 정지 상태에서는 줌 다운 안내로의 점(G, H, I, J) 중 어느 하나에 위치시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점 중 원하는 줌 단계의 점에 도달한 후, 다시 그 줌 단계에 대응하는 핀트 조정용 안내로를 경유하여 줌 업 안내로의 점(E, D, C, B) 중 어느 하나의 점까지 구동시켜 정지하고, 줌 업 안내로의 각 점을 각 줌 단계에서의 대기 위치로 하는 제어 방식으로 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에서 카메라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태의 줌 경통의 단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카메라에서 최대 조출 상태의 줌 경통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줌 경통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줌 경통 조출, 수납 및 핀트 조절을 실현하기 위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밍 작동 1 (줌 업 방향):
도 3에 도시한 줌 조작 레버(18)의, 줌 업 방향의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부(18a)를 누르면, 전동 모터(318)(도 14 참조)에 의한 구동력이 이동 개구판(111)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기어(112)에 전달되고, 그 구동 기어(112)에 결합되어 있는 캠통(114)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헬리코이드 외측 나사(114a)에 설치한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어 캠홈(114)이 카메라 배면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촬영 개구 프레임(28a)을 가지는 촬영 개구판(28)은 카메라 본체(여기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고, 촬영 개구판(28)에는 고정 헬리코이드 통(113)이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 헬리코이드 통(113)의 내면에는 헬리코이드 내측 나사(11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캠통(114)은 헬리코이드 외측 나사(114a)와 헬리코이드 내측 나사(113a)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하면서 조출되어 간다. 다른 한편으로, 렌즈 전군(120)을 지지하는 전군 지지 프레임(121)이 장착 나사(123)에 의해 셔터 유닛(140)에 장착되어 있고, 또 그 셔터 유닛(140)은 장착 나사(124)에 의해 직진 안내통(115)에 장착되어 있고, 셔터 유닛(140) 및 직진 안내통(115)은 결합 리브(114b)와 결합 리브(115a)에 의해 캠통(11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캠통(114)은 회전하면서 조출되어 가고, 이동 개구판(111)은 그 이동 개구판(111)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키(key)가 고정 헬리코이드 통(113)에 형성되어 있는 직진 키 홈(113b)에 안내되어 직진하여 조출되어 가고, 이동 개구판(111)에 장착되어 있는 직진 안내통(115)도 이동 개구판(111)과 일체가 되어 직진 조출된다.
또 렌즈 후군(130)을 지지하고 있는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직진 안내통(115)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의 외주에 설치한 캠핀 수용부(131a)에 가압 스프링(133)에 의해 캠통(114)을 향하여 가압된 상태로 설정된 캠핀(132)이 캠홈(114c)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캠통(114)의 회전 조출에 따라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캠홈(114c)에 안내되어 조출되어 가지만, 캠핀 수용부(131a)의 외주가 직진 키 홈(115b)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직진 조출된다. 여기에서, 캠홈(114c)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안내로를 형성하고 있는 캠홈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캠홈(114c)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캠홈을 구성하는 줌 업용 캠홈, 줌 다운용 캠홈 각각의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캠홈의 각 주요부(c1, d1, e1, g1, h1, i1, j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줌 업 방향에서 구동원의 구동 방향을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반전시켰을 때, 렌즈 후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줌 업용 캠홈에서 줌 다운 방향으로 복귀되지 않고 초점 조절용 캠홈에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 또 줌 다운 방향에서의 작동에서도 구동원의 구동 방향을 역방향으로부터 정방향으로 반전시켰을 때, 렌즈 후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줌 다운용 캠홈에서 줌 업 방향으로 복귀되지 않고 초점 조절용 캠홈에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 각각의 상세한 작용은 후술한다.
도 7에 그 형상을 도시한 캠홈(114c) 중에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줌 업용 캠홈을 따라 B→C→D→E 방향으로 조출되어 가며 광각으로부터 협각을 향하여 줌 업되어 간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줌 업되어 가는 방향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임의의 초점 거리 위치에서 사용자가 줌 조작을 정지한 경우에는, 스텝 줌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점과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고 있는 제어 방식에 의해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줌 단계의 중간대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방(前方)의 줌 단계에서 정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만일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114c)의 C-D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줌 조작이 정지된다고 해도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제3 단계 째의 줌 단계인 포인트(D)까지 조출되어 정지된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제2 단계 째의 줌 단계인 포인트(C)까지 후퇴되어 정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방 또는 후방 어느 줌 단계에서 정지시킬지는 탑재하는 기기의 특성, 줌 조작을 정지한 시점에서의 렌즈의 위치, 제어 방법 등등을 감안하여 미리 설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의 줌 단계까지 전진하여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포인트(B)를 제1 줌 단계, 포인트(C)를 제2 줌 단계, 포인트(D)를 제3 줌 단계, 포인트(E)를 제4 줌 단계 위치로 하고 있다.
주밍 작동 2 (줌 다운 방향):
줌 렌즈가 최대 조출 상태에 있을 때, 도 3에 도시한 줌 조작 레버(18)의, 줌 다운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부(18b)를 누르면 전동 모터는 줌 업 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력이 이동 개구판(111)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기어(112)에 전달되고, 그 구동 기어(112)에 결합되어 있는 캠통(114)의 외주에 형성되는 헬리코이드 외측 나사(114a)에 전달되어 카메라 배면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는 줌 업 시와 구동 방향을 반대로 한 동일한 구동 전달에 의해 각 기구 부품은 연동되어, 캠통(114)이 회전하면서 카메라 본체로 수납되어 가는 동안 렌즈 후군(130)을 지지하고 있는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캠홈(114c)에 안내되어 조입되어 간다. 이 줌 다운 시에는 도 7에 도시한 캠홈(114c) 중에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줌 다운용 캠홈을 따라 G→H→I→J의 방향으로 조입되어 가며 협각으로부터 광각을 향하여 줌 다운되어 간다.
여기에서, 줌 업 조작 시와 마찬가지로, 줌 다운되어 가는 방향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임의의 초점 거리 위치에서 사용자가 줌 조작을 정지한 경우에는 스텝 줌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점과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고 있는 제어 방식에 의해,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줌 단계의 중간대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방의 줌 단계까지 진행되어 정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만일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114c)의 H-I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줌 조작이 정지된 경우,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제2 단계 째의 줌 단계인 포인트(I)까지 조입되어 정지한다. 또는 제3 단계 째의 줌 단계인 포인트(H)까지 복귀되어 정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줌 단계(상기의 예에서는 포인트(I))까지 조입되어 정지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포인트(G)를 제4 줌 단계, 포인트(H)를 제3 줌 단계, 포인트(I)를 제2 줌 단계, 포인트(J)를 제1 줌 단계 위치로 하고 있다. 또 포인트(A-J) 사이는 줌 렌즈가 광각 위치로부터 홈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왕래하는 구간이다.
핀트 조절 작동:
(i) 줌 업 방향의 줌 조작 후의 핀트 조절 작동:
이 경우의 예로 여기에서는 줌 렌즈가 제3 단계 째의 줌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핀트 조절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도 7에 도시한 캠홈 중 포인트(D)로서, 도 8에 도시한 캠홈의 단면도에서 단차부(d1)를 넘어선 곳에 위치하여 정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촬영을 행하기 위해 셔터 버튼(16)을 누르면 주지된 기술과 같이 제1 릴리스 단계에서 자동 노광 조절 장치 및 오토포커스 장치가 작동하여 측광(測光) 및 측거(測距)가 행해진다.
또 셔터 버튼(16)을 제2 릴리스 단계까지 누르면 줌 경통은 줌 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이 개시된다.
이때, 전군 지지 프레임(121)은 줌 업 시와 반대의 작동이 되어 카메라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동작하지만,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단차부(d1)에 의해 왕로(往路)의 캠홈(C-D)으로 복귀하는 것이 저지되고 캠홈(D-H) 사이에 안내되어 간다.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D-H) 사이에 안내되면, 렌즈 후군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은 주밍 경우의 그것과 상이하게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과의 상관 관계에 의해 핀트 조절 동작이 행해진다.
이때, 셔터 버튼(16)을 제1 릴리스 단계까지 눌렀을 때 행해진 측거에 의해 얻어진 신호가 처리되어 핀트 조절을 위한 펄스가 발신되는 동시에, 그 펄스 발신에 따라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캠홈(D-H) 사이를 조입해 가며, 촬영 거리에 대응한 펄스 수에 도달한 곳에서 전동 모터에 의한 구동이 정지되어 전군 지지 프레임(121) 및 후군 지지 프레임(131)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에 이어서 셔터 버튼(16)을 제1 릴리스 단계까지 눌렀을 때 행해진 측광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대응한 노광 시간에 따라 셔터가 개폐되고 촬영이 완료된다.
촬영이 종료된 후에 본 실시예에서는 즉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을 자동적으로 상기 설정된 줌 단계(여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예에서는 포인트(D))로 복귀시키는 구동 제어가 행해진다. 또는, 다음의 줌 조작 또는 릴리스 조작을 행했을 때 후군 지지 프레임(131)을 상기 설정된 줌 단계로 일단 복귀시킨 후, 그 줌 조작 또는 릴리스 조작에 대응한 작동을 행하는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 등도 가능하며, 이 러한 구동 제어 방식 중 어떤 방식을 채용할 지는 관련된 다른 기능 또는 조작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ii) 줌 다운 방향의 줌 조작 후의 핀트 조절 작동:
이 경우의 예로 여기에서는 줌 렌즈가 제2 단계 째의 줌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핀트 조절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도 7에 도시한 캠홈 중 포인트(I)로서 도 9에 도시한 캠홈의 단면도에서 단차부(i1)를 줌 다운 방향으로 넘어선 곳에 위치하여 정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촬영을 행하기 위해 셔터 버튼(16)을 누르면, 상기와 동일한 주지된 기술과 같이 제1 릴리스 단계에서 자동 노광 조절 장치 및 오토포커스 장치가 작동하여 측광 및 측거가 행해진다. 또 셔터 버튼(16)을 제2 릴리스 단계까지 누르면 줌 경통은 줌 다운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전하여 작동이 개시된다.
이때, 전군 지지 프레임(121)은 줌 다운 시와는 반대 방향의 작동이 되어 조출되어 가지만,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단차부(i1)에 의해 캠홈(H-I)으로 복귀되는 것이 저지되고 캠홈(I-C) 사이에 안내되어 간다.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I-C) 사이에 안내되면 렌즈 후군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은 주밍 경우의 그것과는 상이하게,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과의 상관 관계에 의해 주밍 동작이 아니라 핀트 조절 동작이 행해진다.
이때 셔터 버튼(16)을 제1 릴리스 단계까지 눌렀을 때 행해진 측거에 의해 얻어진 신호가 처리되어 핀트 조절을 위한 펄스가 발신되는 동시에, 그 펄스의 발신에 따라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캠홈(I-C) 사이에서 조출되어 가며, 촬영 거리에 대응한 펄스 수에 도달한 곳에서 전동 모터에 의한 구동이 정지되어 전군 지지 프레임(121) 및 후군 지지 프레임(131)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에 이어서 셔터 버튼(16)을 제1 릴리스 단계까지 눌렀을 때 행해진 측광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대응한 노광 시간에 따라 셔터가 개폐되고 촬영이 완료된다.
촬영 종료 후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의 원래 줌 단계(여기에 도시한 예에서는 포인트(I))로의 복귀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iii) 임의의 줌 단계에서 촬영한 후의 주밍 작동:
상기 (i)의 경우, 즉 포인트(D)까지 줌 업하여 촬영을 행한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종료 시에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캠홈(H-D) 사이에서 포인트(D)에까지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 후 다시 줌 업 조작이 이루어지면 캠핀(132)은 캠홈(D-E-F)으로 안내되어 줌 업되어 간다.
한편, 상기 (i)의 경우에서 촬영 후 줌 다운 하는 경우에는, 촬영 종료 시에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포인트(D)까지 이미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카메라 본체로의 수납 작동과 함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캠홈(H-D) 사이에서 포인트(H)를 향하여 조입되어 캠홈(H-D) 사이를 빠져나온 후, 계속해서 캠홈(G-H-I-J)으로 안내되어 조입되어 줌 다운되어 간다.
또 상기 (ii)의 경우, 즉 포인트(I)까지 줌 다운하여 촬영을 행한 경우에 캠핀(132)은 촬영 종료 시에 포인트(I)로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그 후 줌 업하는 경우에는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조출 작동과 함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캠홈(I-C) 사이에서 포인트(C)를 향하여 조출되어 캠홈(I-C) 사이를 빠져나온 후, 계속해서 캠홈(C-D-E-F)으로 안내되어 조출되어 줌 업되어 간다.
또, 상기 (ii)의 경우에서 촬영 후 줌 다운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종료 시에 캠핀(132)은 포인트(I)로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캠핀(132)은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카메라 본체로의 수납 작동과 함께 캠홈(I-J-A)으로 안내되어 조입되어 줌 다운되어 간다.
상기의 캠홈의 경우, 각 포인트(C, C, E, H, I, J)에 설치된 각 단차부(c1, d1, e1, h1, i1, j1)와 스프링 가압된 캠핀(1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동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만으로 주밍 동작과 핀트 조절 동작 모두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캠홈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을 가지는 캠홈과는 상이한 그와 같은 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캠홈과, 그 캠홈에 결합하여 동작하는 캠핀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캠홈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캠홈과 비교하면 다음이 상이하다.
즉,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을 핀트 조절용 캠홈에 강제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연구로 단을 가지는 방식이 아니라 그 캠홈 주요부의 평면적 형상에 특징이 있는 점과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외측을 향하여 스프링 가압되지 않고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하에 그 형상과 작용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캠홈과는 상이한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줌 렌즈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줌 조작 레버(18)를 줌 업 방향으로 조작하면,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캠핀(132)이 도 10에 도시한 캠홈 중 줌 업용 캠홈에 안내되어 B→C→E 방향으로 조출되어 가며 광각으로부터 협각을 향햐여 줌 업되어 간다.
이때, 캠핀(132)은 줌 업용 캠홈의 홈 폭 중에서 핀트 조절용 캠홈에 이어지는 좌측면이 아니라, 그와 대향된 우측면에 슬라이드하면서 조출된다.
사용자가 줌 업해 가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임의의 초점 거리 위치에서 줌 조작을 정지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전방의 줌 단계에서 정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만일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C-D)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줌 조작이 정지된다고 해도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제3 단계 째의 줌 단계인 포인트(D)까지 조출되어 정지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포인트(B)를 제1 줌 단계, 포인트(C)를 제2 줌 단계, 포 인트(D)를 제3 줌 단계, 포인트(E)를 제4 줌 단계로 하고 있다.
주밍 작동 2 (줌 다운 방향):
줌 렌즈가 협각단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줌 조작 레버를 줌 다운 방향으로 조작하면,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도 11에 도시한 캠홈 중 줌 다운용 캠홈을 따라 G→H→I→J 방향으로 조입되어 가며 협각으로부터 광각을 향하여 줌 다운되어 간다.
이때, 캠핀(132)은 줌 다운용 캠홈의 홈 폭 중에서 핀트 조절용 캠홈에 이어지는 우측면이 아니라, 그와 대향된 좌측면에 슬라이드하면서 조입되어 간다.
여기에서 줌 업 조작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줌 다운해 가는 방향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임의의 초점 거리 위치에서 줌 조작을 정지한 경우에는,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줌 단계의 중간대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방의 줌 단계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만일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의 H-I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줌 조작이 정지되었다고 해도,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제2 단계 째의 줌 단계인 포인트(I)까지 조입되어 정지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포인트(G)를 제4 줌 단계, 포인트(H)를 제3 줌 단계, 포인트(I)를 제2 줌 단계, 포인트(J)를 제1 줌 단계로 하고 있다. 또 포인트(A-J) 사이는 줌 렌즈가 광각 위치로부터 홈 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왕래하는 구간이다.
핀트 조절 작동:
(i) 줌 업 방향의 줌 조작 후의 핀트 조절 작동:
이 경우의 예로 여기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줌 렌즈가 제3 단계 째의 줌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핀트 조절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도 12에 도시한 캠홈 중 포인트(D)로서 R형상부(d2)를 넘어선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촬영을 행하기 위해 셔터 버튼(16)을 누르면 상기의 캠홈(도 7 내지 도 9 참조)의 설명의 경우와 동일한 순서를 거쳐 줌 경통은 줌 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이 개시된다.
이때, 전군 지지 프레임(121)은 줌 업 시와는 반대의 작동이 되어 수납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은 캠홈의 홈 폭 중에서 이번에는 좌측면에 슬라이드하여 안내되므로, R형상부(d2)를 따라 조입되어 왕로의 캠홈(C-D)으로 복귀되지 않고 캠홈(D-H) 사이에 안내되어 간다.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D-H) 사이에 안내되면, 도 7에 도시한 캠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렌즈 후군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은 주밍 경우의 그것과는 상이하게,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과의 상관 관계에 의해 주밍 동작이 아니라 핀트 조절 동작이 행해진다. 그후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한 순서를 거쳐 셔터가 눌러져 촬영을 종료한다. 촬영 종료 후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의 원래 줌 단계로의 복귀를 위한 구동 제어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ii) 줌 다운 방향의 줌 조작 후의 핀트 조절 작동:
이 경우의 예로 여기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줌 렌즈가 제3 단계 째의 줌 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핀트 조절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어 있는 캠핀(132)이 도 13에 도시한 캠홈 중 포인트(H)로서 R형상부(h2)를 넘어선 곳에 위치하여 정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촬영을 행하기 위해 셔터 버튼(16)을 누르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군 지지 프레임(121)은 줌 다운 시와는 반대 방향의 작동이 되어 조출되어 가지만,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캠핀(132)은 캠홈의 홈 폭 중에서 이번에는 우측면에 슬라이드하여 안내되므로, R형상부(h2)를 따라 조출되어 복귀로의 캠홈(H-G)에 복귀되지 않고 캠홈(H-D) 사이에 안내되어 간다.
후군 지지 프레임(131)이 캠홈(H-D) 사이에 안내되면, 렌즈 후군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은 주밍 경우의 그것과는 상이하게,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과의 상관 관계에 의해 주밍 동작이 아니라 핀트 조절 동작이 행해진다.
그후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과 동일한 순서를 거쳐 셔터가 눌러져 촬영이 완료된다.
촬영 종료 후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의 원래 줌 단계로의 복귀를 위한 구동 제어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iii) 임의의 줌 단계에서 촬영한 후의 주밍 작동:
상기 (i)의 경우에서 촬영 후 줌 업하는 경우에,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심어져 있는 캠핀(132)은 촬영 종료 시에 포인트(D)까지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줌 조작 레버(18)가 줌 업 방향으로 조작되면, 캠핀(132)은 캠홈의 우측에 슬라이드하면서 캠홈(D-E)으로 안내되어 조출되어 줌 업되어 간다.
한편, 상기 (i)의 경우에서 촬영 후 줌 다운하는 경우에,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캠핀(132)은 촬영 종료 시에 포인트(D)로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카메라 본체로의 수납 작동과 함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심어져 있는 캠핀(132)이 캠홈(H-D) 사이에서 포인트(H)를 향하여 조입되어 캠홈(H-D) 사이를 빠져나온 후, 계속해서 캠홈(H-I-J)으로 안내되어 캠핀(132)은 캠홈의 좌측면에 슬라이드하면서 조입되어 줌 다운되어 간다.
또 상기 (ii)의 경우에서 촬영 후 줌 업하는 경우에,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심어져 있는 캠핀(132)은 촬영 종료 시에 포인트(H)로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조출 작동과 함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캠핀(132)이 캠홈(H-D) 사이에서 포인트(D)를 향하여 조출되어 캠홈 (H-D) 사이를 빠져나온 후, 계속해서 캠홈(D-E)으로 안내되어 조출되어 캠핀(132)은 캠홈의 우측면에 슬라이드하면서 조출되어 줌 업되어 간다.
또 상기 (ii)의 경우에서 촬영 후 줌 다운하는 경우에, 캠핀(132)은 이미 포인트(H)로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전군 지지 프레임(121)의 카메라 본체로의 수납 작동과 함께 후군 지지 프레임(131)은 그 후군 지지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캠핀(132)이 캠홈(H-I-J)으로 안내되어 조입되어 줌 다운되어 간다. 이 때 캠핀(132)은 캠홈의 좌측면에 슬라이드하면서 조입된다.
이와 같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캠홈은 주요부를 R형상을 가지는 형상으로 하고 캠홈과 캠핀의 종동 관계를 이용하여 캠핀을 캠홈의 한쪽 변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주밍 동작과 핀트 조절 동작 모두가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두 종류의 캠홈은 모두 4단식 스텝 줌에 대한 캠홈이며, 본 발명은 당연하지만 줌 단계 수가 2단 이상인 임의의 복수 단을 가지는 스텝 줌 구동 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회로 블록도이다.
내장 전지(300)로부터의 전력은 직접 드라이버 IC(301)에 공급되는 동시에 레귤레이터(302)에 의해 안정화되어 CPU(303)에 공급된다. 또 레귤레이터(302)의 출력 전압은 리셋 회로(304)에서 모니터된다. 이 리셋 회로(304)는 레귤레이터(302)의 출력 전압이 CPU(303)가 정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최저 전압까지 저하되면, 이 카메라 작동의 폭주를 방지하기 위해 CPU(303)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CPU(303)에는 그 CPU(303)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격납된 EEPROM(305), 내장 전지(300)의 잔존 용량을 모니터하기 위한 배터리 체크 회로(306), 파인더 내에 각종 표시를 행하기 위한 파인더내 액정 표시판(LCD)(307), 표시용 LED(308), AF(오토포커스) 투광용 LED(309), 도 3에 도시한 줌 조작 레버(18)의 조작에 따라 온, 오프되는 줌 조작 스위치(310), 스트로보 회로(311) 및 줌 렌즈가 각 줌 단계에 도달한 것을 검지(檢知)하는 줌 단계 스 위치(312)가 접속되어 있고, CPU(303)는 그 접속 부위에 따라 지시나 정보를 수취하거나 또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 CPU(303)에는 그 CPU(303)가 동작하는 데 필요하게 되는 기본 클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정 발진자(發振子)(320)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303)에는 전술한 드라이버 IC(301)도 접속되어 있고, 드라이버 IC(301)은 CPU(303)의 지시를 받아 전동 모터(313, 317, 318)를 구동한다. 또 드라이버 IC(301)에는 셔터가 개방되기 시작한 타이밍을 포착하는 셔터 센서(314), 피사계(被寫界)의 밝기를 포착하는 AE 수광 센서(315) 및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AF 수광 센서(316)도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한 각종 요소 중 앞에 설명한 각 도면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는 것도 있다.
여기에서, 드라이버 IC(301)는 셔터 개폐 구동용의 전동 모터(313)를 구동하기 위한 셔터 구동 드라이버를 내장하고, 이 셔터 구동 드라이버는 CPU(303)으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셔터 개폐 구동용의 전동 모터(313)를 구동하고, 셔터 센서(314)에 의해 검출된 셔터 개방 타이밍부터 AE 수광 센서(315)에서 검지된 피사계 밝기의 정보에 따른 타이밍까지 셔터를 열고 닫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1 프레임 분량의 촬영이 행해진다.
또 드라이버 IC(301)에는 필름 급송용 전동 모터(317) 및 줌 경통 구동용 전동 모터(318)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필름 급송 드라이버 및 줌 경통 구동 드라이버가 내장되어 있다.
필름 급송 드라이버는 CPU(303)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317)를 구 동하고, 예를 들면 1 프레임의 촬영이 종료하면 사진 필름을 1 프레임 분량 감아 올리거나 최종 프레임까지 촬영이 종료되면 사진 필름을 필름 파트로네(도시하지 않음) 내에 되감거나 한다.
또 줌 경통 구동 드라이버는 도 3에 도시한 줌 조작 레버(18)의 조작에 따른 줌 조작 스위치(310)의 온, 오프가 CPU(303)에서 검출됨에 따른 CPU(303)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동 모터(318)를 구동하고 줌 경통(11)(도 1 및 도 2 참조)을 협각 측 또는 광각 측으로 동작시킨다.
또 이 줌 경통 구동 드라이버는 AF 수광 센서(316)의 측거 결과에 따라 전동 모터(318)를 구동하고 핀트 조절 동작도 행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CPU 내에서 실행되는 줌 경통 구동 프로그램의 플로차트이다. 이 프로그램은 주밍 동작인지 핀트 조절 동작인지를 불문하고 줌 경통을 움직일 필요가 있을 때 기동된다.
이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먼저 줌 업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 줌 업 지시가 있을 때는 스텝 S2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318)를 정방향(줌 업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CPU(303)로부터 드라이버 IC(301)에 지시가 출력되고, 소정의 렌즈 위치까지 줌 업되면(스텝 S3), 모터 정지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4). 여기에서 소정의 렌즈 위치란, 전술한 바와 같이 줌 업 지시가 종료된 후에 줌 업 방향으로 최초에 도달하는 줌 단계에 대응한 렌즈 위치이다. 스텝 S5에서는 줌 업을 행한 것을 표시하는 줌 업 플래그를 온으로 한다.
스텝 S6에서는 줌 다운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줌 다운 지시가 있을 때는 스텝 S7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318)를 역방향(줌 다운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CPU(303)로부터 드라이버 IC(301)에 지시가 출력되고, 소정의 렌즈 위치까지 줌 다운되면(S8), 모터 정지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9). 여기에서 소정의 렌즈 위치란, 줌 다운 지시가 종료된 후에 줌 다운 방향으로 최초에 도달하는 줌 단계에 대응한 렌즈 위치이다. 스텝 S10에서는 줌 다운이 행해진 것을 표시하기 위해 줌 업 플래그를 오프로 한다.
스텝 S11에서는 핀트 조정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핀트 조정 지시가 있을 때는 스텝 S12로 진행하여 줌 업 플래그의 온, 오프가 판정된다. 줌 업 플래그가 온일 때는 직전에 행해진 주밍 동작이 줌 업 동작인 것을 의미하며, 그 때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여 핀트 조절을 위해 전동 모터(31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지시가 출력된다. 그 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핀트 조절이 행해지고 양호한 핀트 위치에 도달하면(스텝 S14), 모터 정지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15).
스텝 S12에서 줌 업 플래그가 오프라고 판정되면, 이때는 직전에 행해진 주밍 동작이 줌 다운 동작인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스텝 S16으로 진행된 핀트 조정을 위해 전동 모터(31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지시가 출력된다. 그후는 스텝 S14, 스텝 S15와 동일하게 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핀트 조절이 행해지고, 양호한 핀트 위치에 도달하면(스텝 S17), 모터 정지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18).
스텝 S19에서는 이번의 1 프레임 분량의 촬영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촬영이 종료되었을 때는 스텝 S20으로 진행하여 줌 업 플래그의 온, 오프가 판정된다. 줌 업 플래그가 온일 때는, 이번의 촬영을 위한 핀트 조절은 전동 모터(318)를 역방향(줌 다운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한 핀트 조절이기 때문에, 스텝 S21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31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번의 촬영을 위한 핀트 조절을 행하기 전의 렌즈 위치로 복귀시킨다(스텝 S22, S23).
한편, 스텝 S20에서 줌 업 플래그가 오프일 때는 이번의 촬영을 위한 핀트 조절은 전동 모터(318)를 정방향(줌 업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한 핀트 조절이기 때문에, 스텝 S24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31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번의 촬영을 위한 핀트 조절을 행하기 전의 렌즈 위치로 복귀시킨다(스텝 S25, S26).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은 순서에 의해 줌 업, 줌 다운 및 촬영 시의 핀트 조절이 행해진다.
다음에, 순서에 관한 또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CPU 내에서 실행되는 줌 경통 구동 프로그램의 플로차트이다. 이 프로그램은 도 15에 도시한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주밍 동작인지 핀트 조절 동작인지를 불문하고 줌 경통을 움직일 필요가 있을 때 기동된다.
이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먼저 줌 업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1). 줌 업 지시가 있을 때는 스텝 S32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318)를 정방향(줌 업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CPU(303)로부터 드라이버 IC(301)에 지시가 출력되고, 소정의 렌즈 위치까지 줌 업되면(스텝 S33), 모터 정지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34). 여기에서 소정의 렌즈 위치란, 줌 업 지시가 종료된 후에 줌 업 방향으로 최초에 도달하는 줌 단계에 대응한 렌즈 위치이다.
스텝 S35에서는 줌 다운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줌 다운 지시가 있을 때는 스텝 S36으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318)를 역방향(줌 다운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CPU(303)로부터 드라이버 IC(301)에 지시가 출력되고, 소정의 렌즈 위치까지 줌 다운되면(스텝 S37), 모터 정회전의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38). 모터 정회전의 지시가 출력되는 소정의 렌즈 위치란, 줌 다운 지시가 종료된 후에 줌 다운 방향으로 최초에 도달하는 줌 단계에 대응한 렌즈 위치이다. 스텝 S38에서 모터 정회전의 지시가 출력되면 렌즈 후군이 그 줌 단계에 대응한 핀트 조정 안내로를 통과하여 줌 업 안내로에 도달할 때까지 줌 업 방향으로 구동되고(스텝 S39), 그 타이밍에서 모터 정지의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40).
스텝 S41에서는 핀트 조정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핀트 조정 지시가 있을 때는 스텝 S42로 진행하여 핀트 조절을 위해 전동 모터(31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지시가 출력된다. 그 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핀트 조절이 행해지고 양호한 핀트 위치에 도달하면(스텝 S43), 모터 정지 지시가 출력된다(스텝 S44).
스텝 S45에서는 이번의 1 프레임 분량의 촬영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촬영이 종료되었을 때는 스텝 S46으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31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번의 촬영을 위한 핀트 조절을 행하기 전의, 렌즈 후군이 줌 업 안내로 상에 있는 렌즈 위치로 복귀시킨다(스텝 S47, S48).
이상의 순서에 의해서도 줌 업, 줌 다운 및 촬영 시의 핀트 조절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광학 기기의 예로 카메라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전자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OHP, 영사기 등 줌 렌즈를 구비하는 광학 기기라면 어떤 광학 기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캠홈의 형상을 연구하는 등 구조적으로는 단순한 연구로 주밍 동작과 핀트 조절 동작 모두를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복수의 줌 단계로의 단계적인 조출(繰出)이 가능한 줌 렌즈로서, 상기 줌 렌즈가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군이 상기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서 상기 제1 렌즈군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군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줌 렌즈를 내장한 줌 경통을 구비하고,
    상기 줌 경통이
    줌 업 시에 상기 제1 렌즈군을 줌 업 방향으로 안내하는 줌 업 안내로와,
    줌 다운 시에 상기 제1 렌즈군을 줌 다운 방향으로 안내하는 줌 다운 안내로와,
    상기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줌 단계로 조출된 상태에서의 핀트 조정 시에 상기 제1 렌즈군을 핀트 조정용으로 안내하고, 상기 줌 업 안내로와 상기 줌 다운 안내로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줌 업 안내로, 상기 줌 다운 안내로 및 상기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가 연속된 캠홈으로서, 상기 캠홈에 결합되어 안내되는 캠핀이 상기 캠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고,
    상기 줌 업 안내로는 상기 캠핀을 줌 업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 상기 캠핀이 상기 줌 업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 조정 시 및 줌 다운 시에는 상기 캠핀을 상기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는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줌 다운 안내로는 상기 캠핀을 줌 다운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줌 단계 각각에 상기 캠핀이 상기 줌 다운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트 조정 시 및 줌 업 시에는 상기 캠핀을 상기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는 단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줌 업 안내로, 상기 줌 다운 안내로 및 상기 복수의 핀트 조정 안내로가 캠핀을 안내하는 연속된 캠홈으로서,
    상기 줌 업 안내로는 상기 캠핀을, 상기 줌 업 안내로를 구성하는 캠홈의 2변 중 상기 핀트 조정 안내로에의 입구가 열린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에 슬라이드시키면서 줌 업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캠핀이 상기 줌 업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트 조정 시 및 줌 다운 시에는 상기 캠핀을 상기 제1 변에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캠핀을 상기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고,
    상기 줌 다운 안내로는 상기 캠핀을, 상기 줌 다운 안내로를 구성하는 캠홈의 2변 중 상기 핀트 조정 안내로에의 입구가 열린 제3 변에 대향하는 제4 변에 슬라이드시키면서 줌 다운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캠핀이 상기 줌 다운 안내로 상에 있을 때의 핀트 조정 시 및 줌 업 시에는 상기 캠핀을 상기 제3 변에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캠핀을 상기 핀트 조정 안내로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줌 경통을 구동하여 주밍 동작 및 핀트 조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 모터와,
    줌 업 지시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출하는 동시에 줌 업에 이어지는 핀트 조정 지시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트 조정을 행하고, 줌 다운 지시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입하는 동시에 줌 다운에 이어지는 핀트 조정 지시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트 조정을 행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기.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줌 경통을 구동하여 주밍 동작 및 핀트 조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전동 모터와,
    줌 업 지시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출하고, 줌 다운 지시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줌 단계 중 어느 하나 원하는 줌 단계까지 조입하고 이어서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하는 줌 단계에 대응하는 핀트 조정 안내로를 경유하여 상기 줌 업 안내로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하며, 핀트 조정 지시에 따라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트 조정을 행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기.
KR1020000025629A 1999-05-13 2000-05-13 광학 기기 KR100597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32409A JP2000321478A (ja) 1999-05-13 1999-05-13 光学機器
JP99-132409 1999-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73A KR20010007073A (ko) 2001-01-26
KR100597546B1 true KR100597546B1 (ko) 2006-07-06

Family

ID=1508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629A KR100597546B1 (ko) 1999-05-13 2000-05-13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78843B1 (ko)
JP (1) JP2000321478A (ko)
KR (1) KR100597546B1 (ko)
CN (1) CN1162726C (ko)
TW (1) TW432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231B1 (en) * 1999-06-23 2002-05-14 Fuji Photo Optical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lens guiding mechanism, and optical instrument
EP1431794A1 (de) * 2002-12-20 2004-06-23 Hensoldt AG Motorfokus für Spektive
TWI234672B (en) * 2003-02-04 2005-06-21 Pentax Corp Cam mechanism of a lens barrel
TWI265310B (en) * 2005-01-31 2006-11-01 Asia Optical Co Inc Digital image collection apparatus
JP5827048B2 (ja) * 2011-07-04 2015-12-02 日東光学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駆動装置、デジタルカメラ
JP7059037B2 (ja) * 2018-02-16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534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화상투사기의 렌즈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534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화상투사기의 렌즈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32253B (en) 2001-05-01
CN1162726C (zh) 2004-08-18
CN1281994A (zh) 2001-01-31
US6278843B1 (en) 2001-08-21
JP2000321478A (ja) 2000-11-24
KR20010007073A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0733A (en) Camera having a pseudo format
US6670989B2 (en) Optical system driving control device and camera using the same
US7302173B2 (en) Optical apparatus
JP2000275723A (ja) カメラ
KR100597546B1 (ko) 광학 기기
JP2002182273A (ja) 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US6546200B2 (en) Lens interlock mechanism and lens interlock method, camera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lens interlock mechanism
KR100334612B1 (ko) 줌 콤팩트 카메라
KR100260245B1 (ko) 광학장치
US7400827B2 (en) Camera provided with optical finder
US5262818A (en) Program zoom camera
JP2988793B2 (ja) 光学機器
JP2007248852A (ja) カメラの焦点調節装置
JP3034892B2 (ja) 電子的撮像装置
US20050286880A1 (en) Camera and modular lens system
US6922525B2 (en) Camera and modular lens system
JP2004212892A (ja) 撮像装置
JPH09166817A (ja) カメラ
JPH09166742A (ja) レンズ鏡胴
JP2001249263A (ja) カメラ
JP3077322B2 (ja) トリミング撮影可能なカメラ
JP6632382B2 (ja) 撮像装置
JP2004012499A (ja) 被写体表示装置
JP2002156681A (ja) カメラシステム
JP4035322B2 (ja) 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