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359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359B1
KR100258359B1 KR1019970075696A KR19970075696A KR100258359B1 KR 100258359 B1 KR100258359 B1 KR 100258359B1 KR 1019970075696 A KR1019970075696 A KR 1019970075696A KR 19970075696 A KR19970075696 A KR 19970075696A KR 100258359 B1 KR100258359 B1 KR 10025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urity
region
semiconductor device
drain
semicondu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741A (ko
Inventor
정혁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3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66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될수록 트랜지스터의 폭이 줄어들게 되므로 전류가 흐르는 드레인 에지부분이 더욱 줄어들게 되어 소자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ESD 구조의 필드산화막 제조공정에 있어서 다수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드레인/소오스영역에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데 드레인영역과 소오스영역의 윗부분에는 거리를 멀리하고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거리를 가깝게 하여 즉, 역계단 형태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열확산이 드레인영역 에지부분의 전반에 걸쳐 확산되도록 하여 소자의 ESD 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이하 ESD) 구조의 필드산화막 제조공정에 있어서 다수의 불순물 농도를 조절하여 드레인/소오스 영역에 깊게 형성되는 불순물 영역을 역계단 형태로 형성함으로서 소자의 ESD 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가 정전기 방전에 노출되었을때 내부회로가 손상을 받게되어 소자가 오동작하거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회로 손상은 정전기 방전때 입력단자를 통해 주입된 전하가 내부회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다른 단자로 빠져나가면서 일으키는 주울(joule) 열로 인해 취약한 곳에서 접합 스파이킹(Junction Spiking), 산화막 파열(Rupture) 현상등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전기 방전때 주입된 전하가 내부회로를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입력단에 주입된 전하를 곧바로 전원공급 단자쪽으로 방전시킬수 있는 정전기 방지용 회로를 삽입하여야만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반도체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정전기 방지용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전류가 흐르는 드레인 에지(edge)부분이 작아서 열확산 밀도가 높아져서 ESD의 내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될수록 트랜지스터의 폭이 줄어들게 되므로 전류가 흐르는 드레인 에지부분이 더욱 줄어들게 되어 소자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드레인/소오스영역에 불순물 영역을 깊게 형성하는데 드레인영역과 소오스영역의 윗부분에는 거리를 멀리하고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거리를 가깝게 하여 즉, 역계단 형태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열확산이 드레인영역 에지부분의 전반에 걸쳐 확산되도록 하여 ESD 내성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기판 3 : 패드산화막
5 : 다결정실리콘막 7 : 질화막
9 : 감광막패턴 11 : 제 1불순물영역
13 : 제 2불순물영역 15 : 제 3불순물영역
17 : 필드산화막 19 : 드레인영역
21 : 소오스영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산화막과, 다결정실리콘막, 질화막 및 감광막 패턴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건식식각하여 질화막 패턴과, 다결정실리콘막 패턴 및 패드산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패턴들에 의해 노출된 반도체 기판에 제 1불순물과 제 2불순물 및 제 3불순물을 순차적으로 도핑하여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에 소자분리를 위한 필드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들을 제거하여 드레인/소오스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구조의 전표면에 열처리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드레인/소오스영역에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반도체 기판(1) 상부에 일정 두께의 패드산화막(3)과 다결정실리콘막(5), 질화막(7) 및 감광막 패턴(9)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도 1b 참조)
다음, 상기 감광막 패턴(9)을 마스크로 건식식각하여 질화막(7)패턴과, 다결정실리콘막(5)패턴 및 패드산화막(3)패턴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감광막 패턴(9)을 마스크로 건식식각시 노출되는 반도체 기판(1)에는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다.
그 다음, 상기 패턴(7,5,3)들에 의해 노출된 반도체 기판(1)에 제 1불순물과 제 2불순물 및 제 3불순물을 순차적으로 도핑하여 제 1,2,3불순물영역(11,13,15)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3불순물영역(11,13,15)에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순차적으로 도핑하는데 제 1불순물을 도핑한 다음, 상기 제 1불순물 농도 보다 높은 제 2불순물을 도핑하며, 상기 제 2불순물 보다 농도가 높은 제 3불순물이 도핑되도록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불순물영역의 단계를 감소하거나 상기 제 3불순물(15)상에 다수의 불순물을 추가로 도핑하여도 무방하다.(도 1b 참조)
다음, 상기 반도체 기판(1)에 소자분리를 위한 필드산화막(17)을 형성한 다음, 상기 패턴(7,5,3)들을 제거하여 드레인/소오스영역(19,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필드산화막(17) 대신에 에프.피.디(Field Plated Diode)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도 1c 참조)
그 다음, 상기 구조의 전표면에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열확산에 의해 상기 드레인/소오스영역(19,21)에서의 제 3,2,1불순물영역(15,13,11) 형태를 드레인영역(19)과 소오스영역(21)의 윗부분에는 거리를 멀리하고,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거리를 가깝게 하여 즉, 역계단 형태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3,2,1불순물영역(15,13,11)에서의 불순물 농도를 조절하거나 전표면에 열처리 온도를 조절함으로서 ESD 재핑(zapping)시 드레인 에지(edge) 부분의 표면에서는 먼곳에서 부터 전류를 흐르게 하여 표면에서 우선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 보다 열확산이 잘되도록 조절하여 전류가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열확산은 드레인 에지부분의 전반에 걸쳐 확산되므로서 정전기 방전의 내성을 증가시키게 된다.(도 1d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ESD 구조의 필드산화막 제조공정에 있어서 다수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드레인/소오스영역에 불순물 영역을 깊게 형성하는데 역계단 형태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함으로써 ESD 재핑(zapping)시 드레인의 에지(edge)부분에 열확산이 잘되도록 조절하여 전류가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막아 ESD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켜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패드산화막과, 다결정실리콘막, 질화막 및 감광막 패턴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건식식각하여 질화막 패턴과, 다결정실리콘막 패턴 및 패드산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패턴들에 의해 노출된 반도체 기판에 제 1불순물과 제 2불순물 및 제 3불순물을 순차적으로 도핑하여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 기판에 소자분리를 위한 필드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들을 제거하여 드레인/소오스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구조의 전표면에 열처리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영역에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불순물영역에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도핑하되 제 1불순물 보다 농도가 높은 제 2불순물을 도핑하고, 제 2불순물 보다 농도가 높은 제 3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산화막 대신에 에프.피.디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영역의 단계를 감소하거나 상기 제 3불순물영역 상에 다수의 불순물을 추가로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영역에 불순물영역을 역계단 형태로 형성하되 불순물 농도를 조절하거나 전표면에 열처리 온도를 조절하여 ESD 재핑(zapping)시 드레인의 에지(edge)부분에 열확산이 잘되도록 조절하여 전류가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막아 ESD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70075696A 1997-12-27 1997-12-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5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696A KR100258359B1 (ko) 1997-12-27 1997-12-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696A KR100258359B1 (ko) 1997-12-27 1997-12-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741A KR19990055741A (ko) 1999-07-15
KR100258359B1 true KR100258359B1 (ko) 2000-06-01

Family

ID=1952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696A KR100258359B1 (ko) 1997-12-27 1997-12-27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3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741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3801B1 (en) Non-uniform channel profile via enhanced diffusion
KR10022399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940004457B1 (ko) 자기 정합된 실리사이드 cmos 처리에서의 esd 보호용 n-채널 클램프
US6967363B1 (en) Lateral diode with multiple spacers
US7161198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MOS transistor
KR10025835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4026934B2 (ja) 静電気放電保護用半導体装置用フィールド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0369863B1 (ko) 이에스디 보호 회로의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49166B1 (ko) 이에스디(esd) 보호회로 및 그 제조방법
KR100282987B1 (ko) 반도체 소자의 얕은 접합 형성 방법
US5406112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buried well and a crystal layer with similar impurity concentration
KR100424172B1 (ko) 정전기 보호장치가 구비된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336559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05036B1 (ko) 반도체 장치에서 듀얼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238376B1 (ko) 정전기 방지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960010070B1 (ko) 박막트랜지스터 스태틱 램(tft sram) 제조방법
KR930007757B1 (ko) 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930010671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369864B1 (ko) 이에스디 보호 회로의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0172294B1 (ko) 고집적 소자의 콘택 방법
KR20060078398A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형성 방법
KR19980054477A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20000019081A (ko)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H01125976A (ja) 半導体装置
KR19990070615A (ko) 반도체장치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