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065B1 -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065B1
KR100255065B1 KR1019970006304A KR19970006304A KR100255065B1 KR 100255065 B1 KR100255065 B1 KR 100255065B1 KR 1019970006304 A KR1019970006304 A KR 1019970006304A KR 19970006304 A KR19970006304 A KR 19970006304A KR 100255065 B1 KR100255065 B1 KR 10025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contact hole
conductive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676A (ko
Inventor
에이이찌로 가께하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7006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85By forming conductive members before deposition of protective insulating material, e.g. pillars, stu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6Aspects relating to the layout of the pattern or to the size of vias or tre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8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by deposition over sacrificial masking layer, e.g. lift-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절연막 (104) 을 반도체 기판 (101) 상에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 (104) 을 커버하도록 제 1 의 재료의 제 1 의 막 (107) 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 (101) 이 상기 콘택 홀 (106) 의 저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의 막 (107) 과 상기 절연막 (104) 을 통하여 콘택 홀 (106) 을 형성하고, 상기 콘택 홀 (106) 을 채우고 상기 제 1 의 막 (107) 을 커버하도록 제 2 의 재료의 제 2 의 막 (110) 을 형성하고, 상기 콘택 홀 (106) 과는 다른 구역에 있는 상기 제 1 의 막 (107) 과 제 2 막 (110) 을 제거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제 1 의 막 (107) 은 상기 제 2 의 막 (110) 의 일부분을 이루는 매립 콘택 플러그 (108) 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의 막 (110) 보다도 더 큰 에칭율로 에칭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얻어진 반도체 장치는 플러그 손실을 갖지 않는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선용 콘택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콘택홀은 고집적화로 인해 소형화되며, 이는 도전성 재료를 콘택홀에 매립함으로써,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한다.
먼저, 도 1a 에 도시된 것처럼, 실리콘 기판 (301) 상에 필드 산화 절연막 (302) 을 형성하고, 선택된 영역의 기판 (301) 상에 비소 등이 도핑된 n+형 확산층 (303)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b 에 도시된 것처럼,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한 기판 상에, 실리콘 산화물의 층간 절연막 (304) 및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막 (305) 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그 후, 포토레지스트막 (305) 을 마스크로 이용하는 에칭 및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절연막 (304) 을 관통하는 콘택홀 (306) 을 형성하여, n+형 확산층 (303) 을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콘택홀 (306) 은 n+형 확산층 (303) 에 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c 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홀 (306) 내부와 절연막 (304) 상에 폴리실리콘막 (307) 을 증착한다.
다음으로, 에칭 공정을 행하여, 절연막 (304) 상의 폴리실리콘막 (307) 을 제거하고, 콘택홀 (306) 에 폴리실리콘막 (307) 을 잔존시킨다. 따라서, 도 1d 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홀 (306) 에 콘택 플러그 (308) 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콘택 플러그 (308) 를, 이온 주입 공정에 의해 인으로 도핑하고, 텅스텐 실리사이드 (WSix) 막 (309) 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콘택 플러그 (308) 와 접촉하는 배선을 형성한다.
상기 종래 방법의 단점은 콘택홀 (306) 이 콘택 플러그 (308) 에 의하여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 "플러그 로스 (plug loss)" 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폴리실리콘막 (307) 의 에칭 공정을 행하여 콘택 플러그 (308) 를 형성할 경우, 절연막 (304) 상에 폴리실리콘막 (307) 이 잔존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오버 에칭이 필요하므로, 콘택홀 (306) 내의 폴리실리콘막 (307) 도 어느 정도 에칭되기 때문이다. 콘택홀 (306) 의 깊이가 얕으면, 기판 (301) 이 에칭될 위험성이 있다.
종래 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상층 배선에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할 위험성을 지닌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플러그 로스가 있을 경우, 콘택 플러그 (308) 와 접촉하는 상층 배선의 단차 피복성 (step coverage) 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로스가 발생되지 않는 콘택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 는 콘택 플러그를 갖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g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기판 102 : 절연막
103 : n+형 확산층 105 : 포토레지스트막
107 : 제 1 막 110 : 제 2 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절연막을 도포하기 위해, 제 1 재료의 제 1 막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이 상기 콘택홀의 저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제 1 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콘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 1 막을 도포하도록, 제 2 재료의 제 2 막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콘택홀 이외 영역의 상기 제 1 막과 상기 제 2 막을 제거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막은 상기 제 2 막보다 높은 에칭율로 에칭되어, 상기 제 2 막의 일부로 이루어진 매립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 콘택홀 내에는, 제 2 막만이 형성되는 반면에, 절연막 상에는, 제 1 및 제 2 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막이 제 1 막보다 낮은 에칭율로 에칭되기 때문에, 절연막 상의 제 1 및 제 2 막이 완전히 제거된 경우, 콘택 플러그 즉, 잔여 제 2 막의 상부 높이는 절연막의 높이 이상으로 될 수 있다.
제 2 재료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 1 재료는 제 2 재료보다 고농도로 인 또는 비소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 5 단계는, 불소와 염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하는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제 1 재료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 2 재료는 WSiX(0
Figure pat00001
x
Figure pat00002
3) 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 5 단계는 불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하는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립 콘택 플러그에 불순물을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매립 콘택 플러그에 접속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절연막에 비해 선택적으로 에칭할 수 있는 제 1 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막 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콘택홀이 형성될 영역에, 상기 제 1 절연막에 도달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개구의 측면 상에 스페이서 (spacer) 를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 1 막에 비해 상기 제 2 절연막과 상기 제 1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콘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 1 막과 상기 스페이서를 도포하기 위해, 제 2 막을 형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절연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막,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 1 막을 에칭하여, 상기 콘택홀을 채우는 매립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개구의 내부 측면 상에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의 상부 높이가 제 1 막의 높이보다 높아진다. 콘택홀 내부와 스페이서 및 제 1 막 상에 제 2 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절연막 상의 제 1 및 제 2 막이 완전히 제거된 경우에, 콘택 플러그 즉, 잔여 제 2 막의 상부 높이는 제 1 절연막의 높이 이상으로 될 수 있다.
스페이서 및 제 2 막은 도핑된 실리콘 또는 WSiy(0
Figure pat00003
y
Figure pat00004
3) 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매립 콘택 플러그에 접속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막, 스페이서 및 제 2 막 각각은 도전성일 수도 있다.
제 1 막, 스페이서 및 제 2 막 각각은 각각 불순물 도핑 또는 열처리에 의해 도전성이 될 수 있으며, 제 1 막, 스페이서와 제 2 막 상에 각각 불순물 도핑 또는 열처리의 추가 단계를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로스가 없는 콘택 플러그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배선의 단선이 없는 반도체 장치가 양호한 수율로 제공되어, 신뢰성이 우수한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 2a 내지 도 2f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 에 도시된 것처럼, 실리콘 기판 (101) 상에 필드 산화 절연막 (102) 을 형성하고, 소정 영역의 기판 (101) 상에 인과 비소 등이 도핑된 n+형 확산층 (103) 을 상기 종래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한다. n+형 확산층 (103) 은 예를 들면, MOS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또는 드레인 영역이 된다.
다음으로, 도 2b 에 도시된 것처럼, 실리콘 산화물의 층간 절연막 (104) 을, 상술한 종래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한다. 그 후, 절연막 (104) 상에 1019-3이상의 농도로 인과 비소가 도핑된 제 1 폴리실리콘막 (107) 을 형성한다. 그 후,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막 (105) 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형성하고, 도 2c 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홀 (106) 내의 n+형 확산층 (103) 을 노출시키기 위해,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막 (105) 을 마스크로 이용함으로써, 제 1 폴리실리콘막 (107) 과 절연막 (104) 에 대해 에칭 공정을 행하여, 예를 들어, 약 1 ㎛의 깊이와 0.3 ㎛의 직경을 갖는 콘택홀 (106) 을 형성한다. 따라서, 콘택홀 (106) 이 n+형 확산층 (103) 에 도달하게 된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막 (105) 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2d 에 도시된 것처럼,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한 기판 상에, 기판 온도가 630 ℃인 저압 CVD 공정에 의해, 도핑되지 않은 제 2 폴리실리콘막 (110) 을 형성하여, 그 제 2 폴리실리콘막 (110) 으로 콘택홀 (106) 을 채우고 제 1 폴리실리콘막 (107) 을 도포한다. 여기서, 제 2 폴리실리콘막 (110) 의 두께는 콘택홀 (106) 의 반경보다 크다.
그 후, 제 1 폴리실리콘막 (107) 및 제 2 폴리실리콘막 (110) 을, SF6등의 불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하는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에 의해 에칭한다. 이러한 에칭 공정에서는, SF6등의 불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할 때, 인과 비소 등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에칭율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에칭율보다 높기 때문에, 제 1 폴리실리콘막 (107) 이 제 2 폴리실리콘막 (110) 보다 빨리 에칭된다. 따라서, 도 2e 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로스를 일으키지 않고 제 2 폴리실리콘막 (110) 의 일부로 이루어진 매립 플러그 (108) 를 형성하게 된다. 그 후, 매립 플러그 (108) 의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 이온의 주입 공정을 행하여, 도전성의 매립 플러그 즉, 콘택 플러그 (108a) 를 얻는다.
다음으로, 도 2f 에 도시된 것처럼, WSiX(x≒2) 막 (109) 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배선을 형성한다. 그 결과, 콘택-배선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1 폴리실리콘막 대신에 CVD 공정에 의해, 불순물이 도핑되거나 또는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제 2 폴리실리콘막 대신에 WSiX(0
Figure pat00005
x
Figure pat00006
3) 를 이용할 수도 있다. SF6등의 불소를 함유한 가스 대신에 Cl2등의 염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하는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에 의해 실리콘의 에칭을 행할 수도 있다. 비정질 실리콘막은 에칭 공정 전 또는 후에 600 - 800 ℃의 열처리에 의해 폴리실리콘막으로 변환된다. 이 열처리는 BPSG막과 같은 층간 절연막의 증착/리플로우 (reflow) 열처리 기능으로서 행할 수도 있다.
이하,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도 3a 내지 도 3g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 에 도시된 것처럼, 실리콘 기판 (201) 상에, 필드 산화 절연막 (202), 인과 비소 등이 도핑된 n+형 확산층 (203), 실리콘 산화물의 층간 절연막 (204) 및 n형 도핑 제 1 실리콘막 (207) 을,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한다. 그 후, 제 1 실리콘막 (207) 상에 실리콘 산화막 (211) 을 형성하고, 실리콘 산화막 (211) 상에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막 (212)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b 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홀이 형성될 영역에, 제 1 실리콘막 (207) 과 실리콘 산화막 (211) 을 관통하는 개구 (213) 를 형성한다. 그 후, n형 도핑 제 2 실리콘막 (214) 을, 개구 (213) 를 완전히 채우지는 않는 두께로 형성한다. 그 후, 도 3c 에 도시된 것처럼, 이방성 에칭 공정을 행하여, 개구 (213) 의 측면 상에 제 2 실리콘막 (214) 의 일부로 이루어진 도전성 스페이서 (215)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실리콘막 (207) 과 스페이서 (215) 를 마스크로 이용함으로써, 절연막 (204) 에 대한 에칭 공정을 행하여, 콘택홀 (206) 을 형성한다. 이러한 에칭은 도핑된 실리콘막에 비해 실리콘 산화물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CF4등의 불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하는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이다.
다음으로, 도 3e 에 도시된 것처럼, n형 도핑 제 2 실리콘막 (216) 을 형성한다. 제 1 실리콘막 (207) 의 높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스페이서 (215) 로 인해, 콘택홀 (206) 과 그 근방의 제 2 실리콘막 (216) 의 표면 높이는 다른 영역의 높이보다 높아진다.
다음으로, 도 3f 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실리콘막 (207) 과 제 2 실리콘막 (216) 을, 전체 영역에서 에칭하여, 콘택 플러그 (208) 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리콘막 (216) 의 표면 높이는 콘택홀 (206) 과 그 근방에서 더욱 높기 때문에, 절연막 (204) 의 표면이 노출될 경우에, 콘택 플러그 (매립 플러그) (208) 의 상부 높이는 절연막 (204) 의 높이 이상으로 된다. 즉, 플러그 로스는 발생하지 않는다. 스페이서 (215) 의 일부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링 (spacer ring) (217) 을 콘택 플러그 (208) 의 상부 주변에 잔존시킬 수 있다.
그 후, 도 3g 에 도시된 것처럼, WSiX막 (209) 으로 이루어진 배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리소그래피 공정상의 제한으로 인해, 개구 (213) 의 최소 직경보다 스페이서 (215) 만큼 작은 직경을 갖는 콘택홀 (206) 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막 (207, 214 및 216) 은 CVD 공정에 의해 형성된 폴리실리콘막 또는 비정질 실리콘막일 수도 있다. 비정질 실리콘막은 상술한 열처리에 의해 폴리실리콘막으로 변환된다. 실리콘막 대신에, WSiy(0
Figure pat00007
y
Figure pat00008
3, 예를 들면, y≒2) 등의 어떠한 도전막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로스가 없는 콘택 플러그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배선의 단선이 없는 반도체 장치가 양호한 수율로 제공되어, 신뢰성이 우수한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절연막을 도포하기 위해, 제1재료의 제1막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이 콘택홀의 저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제1막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콘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1막을 도포하기 위해서, 제2재료의 제2막을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콘택홀 이외 영역의 상기 제1막과 상기 2막을 제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막은 상기 제2막보다 높은 에칭율로 에칭되어, 상기 제2막의 일부로 이루어진 매립 콘택 플러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료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재료는 상기 재2 재료보다 고농도로 인 도는 비소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단계는 불소 또는 염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하는 반응성 이온 에칭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재료는 WSix(0<x<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단계는 불소를 함유한 가스를 이용하는 반응성 이온에칭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매립 콘택 플러그에 불순물을 도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콘택 플러그에 접속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6. 반도체 기판 상에 제1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1절연막에 비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는 제1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막 상에 제2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콘택홀이 형성될 영역에, 상기 제1절연막에 도달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개구의 측면 상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1막에 비해 상기 제2절연막과 상기 제1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상기 반도체 기판에 도달하는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콘택홀을 매립하고 상기 제1막과 상기 스페이서를 도포하기 위해, 제2막을 형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2막,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제1막을 에칭하여 상기 제1절연막을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콘택홀을 채우는 매립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제2막은 도핑된 실리콘 또는 WSiy(0≤y<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콘택 플러그에 접속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은 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을 도전성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제2단계 이후에 행하는 불순물 도핑 또는 열처리의 부가적인 단계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1막은 상기 부가적인 단계 이전에는 도전성이 아니며, 상기 부가적인 단계 이후에 도전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도전성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제4단계 이후에 행하는 불순물 도핑 또는 열처리의 부가적인 단계를 더 구비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부가적인 단계 이전에는 도전성이 아니며, 상기 부가적인 단계 이후 도전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막은 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막을 도전성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제6단계 이후에 행하는 불순물 도핑 또는 열처리의 부가적인 단계를 더 구비하되,
    상기 2막은 상기 부가적인 단계 이전에는 도전성이 아니며, 상기 부가적인 단계 이후에는 도전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70006304A 1996-02-28 1997-02-27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100255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41164A JP2812288B2 (ja) 1996-02-28 1996-02-28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96-041164 1996-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676A KR970063676A (ko) 1997-09-12
KR100255065B1 true KR100255065B1 (ko) 2000-05-01

Family

ID=1260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304A KR100255065B1 (ko) 1996-02-28 1997-02-27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40242A (ko)
JP (1) JP2812288B2 (ko)
KR (1) KR100255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860A (ja) * 1999-04-20 2000-11-02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22536B1 (ko) * 1999-06-29 2002-03-18 윤종용 에치 백을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 컨택 플러그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3943320B2 (ja) * 1999-10-27 2007-07-11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626058B2 (ja) 2000-01-25 2005-03-0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093811A (ja) * 2000-09-11 2002-03-29 Sony Corp 電極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50811B1 (ko) * 2005-05-30 2006-1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102129147B1 (ko) * 2012-06-29 2020-07-01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 소자,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자기기
CN108807264B (zh) * 2017-05-02 2023-09-12 应用材料公司 形成钨支柱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356A (ja) * 1987-01-23 1988-07-26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981550A (en) * 1987-09-25 1991-01-01 At&T Bell Laboratories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ungsten plugs
FR2630588A1 (fr) * 1988-04-22 1989-10-27 Philips Nv Procede pour realiser une configuration d'interconnexion sur un dispositif semiconducteur notamment un circuit a densite d'integration elevee
US5279990A (en) * 1990-03-02 1994-01-18 Motorola, Inc. Method of making a small geometry contact using sidewall spacers
US5587338A (en) * 1995-04-27 1996-12-24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olysilicon contact stud process
JPH08321545A (ja) * 1995-05-24 1996-12-03 Yamaha Corp 配線形成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40242A (en) 2000-03-21
JP2812288B2 (ja) 1998-10-22
KR970063676A (ko) 1997-09-12
JPH09232251A (ja) 199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2259A (en) Method for forming a buried contact in a semiconductor device
US6406956B1 (en) Poly resistor structure for damascene metal gate
US6274419B1 (en) Trench isolation of field effect transistors
US5272099A (en) Fabrication of transistor contacts
US617195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lf-aligned contact
US793941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242311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silicided gates and peripheral region
US5942785A (en) Poly plug to reduce buried contact series resistance
KR100255065B1 (ko)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US7332811B2 (en) Integrated circuit interconnect
JP2007027348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06057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07299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9980081139A (ko) Cmos 회로장치의 형성방법
WO2000011722A1 (en) Field effect transistors, integrated circuitry, methods of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 gates, an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ry
US744261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polar transistor
KR100209280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10061785A (ko) 연결 배선과 금속 전극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00697B1 (ko) 가드링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형성방법
KR10061338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016119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25461B1 (ko) 연결 배선과 금속 전극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9990056756A (ko) 아날로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970005704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50749B1 (ko) 캐패시터의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