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989B1 -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989B1
KR100254989B1 KR1019960080712A KR19960080712A KR100254989B1 KR 100254989 B1 KR100254989 B1 KR 100254989B1 KR 1019960080712 A KR1019960080712 A KR 1019960080712A KR 19960080712 A KR19960080712 A KR 19960080712A KR 100254989 B1 KR100254989 B1 KR 10025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throttle valve
vehicle
low
spee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342A (ko
Inventor
심양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8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98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989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저단 변속상태에서 급가속되어 주행될 때에 트로틀밸브에 설치된 서브트로틀밸브만이 개구되도록 하여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 줌으로써 순간적인 급가속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저단상태에서의 급가속시 안전성의 확보와 더불어 승차감의 저해요인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시 액셀레이터 페달(1)의 가압에 따라 트로틀바디(2)내 장착된 트로틀밸브(3)가 개도되는 것을 단락시키도록 된 가속제지수단과, 이 가속제지수단에 의해 가속이 억제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트로틀바디(2)내의 트로틀밸브(3)에 장착된 서브트로틀밸브(4)만을 개도시켜 급가속이 배제된 상태의 완만한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보조가속수단 및, 상기 가속제지수단의 작동을 위해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변속상태감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본 발명은 저단변속주행시 자동차의 가속을 억제시키기 위한 급가속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단변속주행시 트로틀밸브에 설치된 서브트로틀밸브가 개구되도록 하여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 순간적인 급가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급가속시 안전성과 승차감의 저해요인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된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주행은, 운전자가 액셀레이터 페달을 가압시켜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도록 트로틀바디내 장착된 트로틀밸브를 개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바, 근래에 들어서는 차량의 성능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어 저단에서의 출발시에도 액셀레이터 페달에 대한 가벼운 답력을 가해도 가속력이 뛰어 나도록 되어 차속을 원하고자 하는 범위에까지 상승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저단에서 가속력이 뛰어나도록 하려면 액셀레이터 페달이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되도록 제작되어야 하는 바, 이는 저단에서 운전자가 가벼운 액셀레이터 페달의 조작에서도 차체는 덜컹거리면서 급출발하게 되므로 탑승자는 좋지 못한 승차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덜컹거림과 급출발로 인한 안전성에는 불리한 점으로 작용되었다.
따라서 저단에서 액셀레이터 페달의 민감도를 저하시켜 급출발을 방지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사안이 필수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저단변속상태에서 급가속되어 주행될 때에 트로틀밸브에 설치된 서브트로틀밸브만이 개구되도록 하여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 줌으로써 순간적인 급가속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저단상태에서의 급가속시 안전성의 확보와 더불어 승차감의 저해요인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된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트로틀밸브에 일체로 설치된 서브트로틀밸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셀레이터 페달 2 : 트로틀바디
3 : 트로틀밸브 4 : 서브트로틀밸브
5 : 가속케이블 6,6' : 케이블
7 : 리턴스프링 8 : 솔레노이드밸브
9 : 가동연결부재 10 : 가압로드
11 : 전자석 12 : 상하이동로드
13 : 리턴스프링 14 : 가동접점부재
15 : 고정접점부재 16 : 온/오프스위치
17 : 전자석 18 : 리턴스프링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시 액셀레이터 페달의 가압에 따라 트로틀바디내 장착된 트로틀밸브가 개도되는 것을 단락시키도록 된 가속제지수단과, 이 가속제지수단에 의해 가속이 억제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트로틀바디내의 트로틀밸브에 장착된 서브트로틀밸브만을 개도시켜 급가속이 배제된 상태의 완만한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보조가속수단 및, 상기 가속제지수단의 작동을 위해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변속상태감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로틀밸브에 일체로 설치된 서브트로틀밸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시 액셀레이터 페달(1)의 가압에 따라 트로틀바디(2)내장착된 트로틀밸브(3)가 개도되는 것을 단락시키도록 된 가속제지수단과, 이 가속 제지수단에 의해 가속이 억제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트로틀바디(2)내의 트로틀밸브(3)에 장착된 서브트로틀밸브(4)만을 개도시켜 급가속이 배제된 상태의 완만한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보조가속수단 및, 상기 가속제지수단의 작동을 위해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변속상태감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속제지수단은 액셀레이터 페달(1)과 연결되어 트로틀바디(2)내에 장착된 트로틀밸브(3)를 개도시키도록 된 가속케이블(5)의 연결상태를 중간에서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상기 가속케이블(5)은 중간이 단락된 케이블(6,6')과 이 케이블(6,6')을 평상시에는 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연결시켰다가 전원의 통전시 자화되는 솔레노이드밸브(8)에 의해 하향되게 이동되어 케이블(6,6')의 연결상태를 단락시키도록 된 가동연결부재(9)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가속수단은 케이블(6')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속시 케이블(6')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된 가압로드(10)와, 이 가압로드(10)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도록 저면이 전자석(11)을 매개로 탄발지지된 상하이동로드(12), 이 상하이동로드(1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1)의 가압정도를 전압이 변화로 출력하도록 배면이 리턴스프링(13)을 매개로 탄발지지된 가동접점부재(14)와 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개로 배치된 고정접점부재(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변속상태감지수단은 다수개의 변속단 중 1단변속상태를 감지하도록 1단변속위치에 장착된 온/오프스위치(16)로서, 이 온/오프스위치(16)는 상기 보조가속수단의 상하이동로드(12)의 저면에 위치한 전자석(11)과, 가속제지수단의 솔레노이드밸브(8)와 각기 연결되어 있어 변속레버가 1단변속 위치에 있을 경우에 온되어 전원을 상기 전자석(11)과 솔레노이드밸브(8)에 각기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로틀바디(2)내의 트로틀밸브(3)에 장착된 서브트로틀밸브(4)는 상기 보조가속수단의 고정접점부재(15)와 연결된 전자석(17)과 리턴스프링(18)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 이 전자석(17)은 보조가속수단의 고정접점부재(15)와 연결되어 있어 가동접점부재(14)와 고정접점부재(15)가 접속되는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서브트로틀밸브(4)의 개도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1단에서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1)이 가압되어 차량이 급가속을 하게 되면, 먼저 변속상태감지수단의 온/오프스위치(16)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8)와 전자석(11)에 각기 공급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가속제지수단의 가동연결부재(9)는 하강되어 가속케이블(5)의 케이블(6,6')의 연결을 단락시키면서 또한 상기 보조가속수단의 상하이동로드(12)를 상승시켜 주게 된다.
이후 상기 케이블(6')에 장착된 가압로드(10)는 상승된 상하이동로드(12)를 밀게 되고, 이 상하이동로드(12)에 의해 가동접점부재(14)가 고정접점부재(15)와 접속되어 상기 액셀레이터 페달(1)의 가속 정도를 전압의 크기로 전환시키게 되며, 이때 이 고정접점부재(15)는 크기가 변환된 전압을 상기 트로틀바디(2)내의 트로틀밸브(3)에 장착된 전자석(17)에 인가시켜 트로틀밸브(3)에서 서브트로틀밸브(4)가 개도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1단변속중 가속시에는 트로틀바디(2)에 장착된 트로틀밸브(3)가 개도되는 것이 아니라, 트로틀밸브(3)내에 장착된 서브트로틀밸브(4)가 개도되어 가속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저단에서 운전자가 가벼운 액셀레이터 페달의 조작에서는 차량이 급출발되지 않게 되므로 차량의 덜컹거림과 급출발로 인한 안전성의 불리한 점이 배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에 의하면, 저단에서 차량이 급가속함으로 인해 차체가 받게 되는 덜컹거림과 이에 따른 승차감의 저해요소가 트로틀밸브의 서브트로틀밸브의 개도량으로 인한 급가속의 해지로서 배제될 수 있으므로, 탑승자는 안락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시 액셀레이터 페달(1)의 가압에 따라 트로틀바디(2)내장착된 트로틀밸브(3)가 개되되는 것을 단락시키도록 된 가속제지수단과, 이 가속 제지수단에 의해 가속이 억제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트로틀바디(2)내의 트로틀밸브(3)에 장착된 서브트로틀밸브(4)만을 개도시켜 급가속이 배제된 상태의 완만한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보조가속수단 및, 상기 가속제지수단의 작동을 위해 차량의 저단변속 주행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변속상태감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제지수단은 액셀레이터 페달(1)과 연결되어 트로틀바디(2)내에 장착된 트로틀밸브(3)를 개도시키도록 된 가속케이블(5)의 연결을 중간에서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케이블(5)은 중간이 단락된 케이블(6,6')과 이 케이블(6,6')을 평상시에는 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연결시켰다가 전원의 통전시 자화되는 솔레노이드밸브(8)에 의해 케이블(6,6')의 연결상태를 단락시키도록 된 가동연결부재(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속수단은 케이블(6')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속시 케이블(6')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된 가압로드(10)와, 이 가압로드(10)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도록 저면이 전자석(11)을 매개로 탄발지지된 상하이동로드(12), 이 상하이동로드(12)에 의해 가압되어 가속정도를 전압이 변화로 출력하도록 된 가동접점부재(14)와 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개로 배치된 고정접점부재(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상태감지수단은 1단변속상태를 감지하도록 장착된 온/오프스위치(16)이면서 이 온/오프스위치(16)는 상하이동로드(12)의 저면에 위치한 전자석(11)과, 솔레노이드밸브(8)와 각기 연결되어 있어 1단변속시 온되어 전원을 상기 전자석(11)과 솔레노이드밸브(8)에 각기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틀바디(2)내의 트로틀밸브(3)에 장착된 서브트로틀밸브(4)는 고정접점부재(15)와 연결된 전자석(17)과 리턴스프링(18)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 이 전자석(17)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서브트로틀밸브(4)의 개도량을 조절하도록 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 방지장치.
KR1019960080712A 1996-12-31 1996-12-31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KR10025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712A KR100254989B1 (ko) 1996-12-31 1996-12-31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712A KR100254989B1 (ko) 1996-12-31 1996-12-31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342A KR19980061342A (ko) 1998-10-07
KR100254989B1 true KR100254989B1 (ko) 2000-08-01

Family

ID=1949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712A KR100254989B1 (ko) 1996-12-31 1996-12-31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9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342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989B1 (ko)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JPS61102336A (ja) 車両の制動装置
JPH08253054A (ja) 自動車のアクセル誤操作防止装置
EP0224454B1 (en) A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manual control of a clutch in a motor vehicle
JPH0624302A (ja) 自動予備制動システム
KR100211691B1 (ko) 차량용 가속 페달
CN215436003U (zh) 一种油门控制系统
KR100231566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흡기 조절기구
KR100224344B1 (ko) 타력 주행 해제시 a/t의 쇼크 방지 장치
KR100387785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 변속레버와 일체형 주차 브레이크
KR200181185Y1 (ko) 엔진 부압을 이용한 브레이크 작동성능 향상 장치
JPH0712146Y2 (ja) 自動車の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装置
KR970004009B1 (ko) 제동유지기능을 겸비한 자동차용 피칭저감장치
KR930000536B1 (ko) 자동차 브레이크의 자동제어장치
KR0137499B1 (ko) 자동 클러치 제어장치
KR960000850Y1 (ko) 장애자용 자동차의 케이블레스 가속 장치
KR0139776Y1 (ko) 자동차 선회시의 주행속도 제한장치
KR100243598B1 (ko) 주차 브레이크 안전장치
KR0150617B1 (ko) 차량의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06255B1 (ko) 제동거리 단축을 위한 엔진 브레이크 시스템
KR100452192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9980054041A (ko) 자동차의 과속방지 시스템
KR100398260B1 (ko) 차량용 오토 크루즈 장치를 이용한 제동방법
KR100259904B1 (ko) 차량의 급감속시 트로틀밸브 제어장치
KR20030088805A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