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691B1 - 차량용 가속 페달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속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691B1
KR100211691B1 KR1019950055488A KR19950055488A KR100211691B1 KR 100211691 B1 KR100211691 B1 KR 100211691B1 KR 1019950055488 A KR1019950055488 A KR 1019950055488A KR 19950055488 A KR19950055488 A KR 19950055488A KR 100211691 B1 KR100211691 B1 KR 10021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ccelerator pedal
solenoid valve
seat bel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967A (ko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691B1/ko
Publication of KR97003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트 밸브를 이용하여 밞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속페달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은 제1아암의 하부에 안전벨트의 착탈부에 장착된 감지센서와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안전벨트의 착탈여부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가 제1아암의 저면과 접촉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아암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서 안전벨트 미착용시 차량의 주행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가속페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가속페달의 상세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솔레노이드 밸브 11 : 작동로드
50 : 가속페달 51 및 52 : 아암
53 : 풋 플레이트 54 : 가속 케이블
본 발명은 차량용 가속페달(accelerator ped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회전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속페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행중인 모든 차량에는 안전벨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안전벨트가 교통사고시 운전자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운전자들이 번거롭다는 이유, 특히 운전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운행함으로 인하여 교통사고 발생시 운전자들이 생명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벨트 미착용시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차량 운행 중에 안전벨트를 푸는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은 무의미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후 또는 운행 중에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가속페달의 동작을 제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지정한 속도구간에 맞추어 가속페달의 회전정도를 조절하여 과속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속페달의 제1아암의 하부에 안전벨트의 착탈부에 장착된 감지센서와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안전벨트의 착탈여부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가 제1아암의 저면과 접촉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아암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속페달의 제1아암의 하부에 속도구간 셀렉터와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설정된 속도구간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의 작동높이가 조절되어 제1아암의 회전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로서, 하부에 솔레노이드 밸브(10)가 설치된 가속페달(50)을 도시하고 있다.
차량의 바닥면(1)에 고정된 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일반적인 가속페달(50)은 힌지축(60)을 기준으로 제1아암(51) 및 제2아암(52)으로 구분되며, 제1아암(51)의 선단에는 운전자가 발로 가속페달(50)을 작동시키기 위한 풋 플레이트(53; foot plate)가 일체화되어 있으며, 제2아암(52)의 단부에는 엔진 실린더 내로의 연료(공기)분사량을 조절하는 트로틀 밸브와 연결된 가속 케이블(5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가속페달(50)의 작동을 설명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출발 또는 가속을 위하여 풋 플레이트(53)를 A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아암(51) 역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아암(52)은 힌지축(60)을 중심으로 제1아암(5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아암(52) 선단에 고정된 가속 케이블(54)은 D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실린더 내로 연료 및 공기를 공급하는 트로틀 밸브를 개방하여 차량의 가속을 실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가속페달(50)의 제1아암(51)과 대응하는 차량의 바닥면에 솔레노이드 밸브(10)를 고정설치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 rod)는 가속페달(50)의 제1아암(51)의 저면에 대응되어 제1아암(51)의 회전을 제어할수 있게 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안전벨트의 착탈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어(감지센서는 안전벨트의 착탈부에 설치됨) 이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착용상태)를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전달하게 되며,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착용상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제1도의 Y상태), 결국 운전자가 풋 플레이트(53)의 가압시 B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아암(51)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되어 가속페달(50)은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만일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감지 센서가 안전벨트의 미착용상태를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미착용상태)를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전달하게 되며, 솔레노이드 밸브(10)는 미착용 상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에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는 최대로 상승하게 되어 그 단부가 제1아암(51)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제1도의 N상태). 이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출발 및 가속을 위하여 풋 플레이트(53)를 A방향으로 가압할지라도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의 선단에 접촉되어 있는 제1아암(51)의 B방향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엔진에 연료 및 공기의 공급하는 트로틀(throttle)밸브를 개폐하는 가속 케이블(54)이 D방향으로 당겨지지 않게 되며, 결국 가속페달(50)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된다.
한편,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운행중에 안전벨트를 풀어버릴 경우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며 따라서 상수한 바와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0)가 작동, 작동로드(11)를 상승시켜 제1아암(51)의 저면에 접촉시킴으로서 가속페달(10)은 그 기능을 수행할수 없으며, 따라서 차량은 감속 내지 정지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2도를 통하여 설명하면(편의상 제1도와 동일부호를 부여함), 제2도는 가속페달의 상세 부분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를 여러단계로 구분하여 상승시키는 것이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는 최대 상승위치인 제1위치(a), 제1위치(a)보다 낮게 상승한 제2위치(b), 제2위치(b)보다 낮게 상승한 제3위치(c) 및 노출(상승)되지 않는 제4위치(d)로 선택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속도구간 셀렉터(selecter; 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며, 이 셀렉터의 조작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의 상승위치가 결정된다. 즉, 셀렉터가 정지위치에 있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는 최대로 상승하여 그 단부가 제1위치(a)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0)의 풋 플레이트(53)을 가압하더라도 제1아암(51)의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와 접촉함으로서 가속 케이블(제1도의 54)은 당겨지지 않게되어 차량의 출발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셀렉터가 예를들어 1 내지 30㎞/h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는 상승하여 그 단부가 제2위치(b)에 위치하게 되어 운전자가 가속을 위하여 풋 플레이트(53)을 A방향으로 가압할지라도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에 의하여 제1아암(5)의 B방향회전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엔진에 연료 및 공기의 공급하는 트로틀 밸브를 개폐하는 가속 케이블(제1도의 54) 역시 제한적으로 당겨지게 되어 한정적인 가속만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셀렉터가 예를들어 30 내지 60㎞/h에 위치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는 보다 낮게 상승하여 그 단부가 제3위치(c)에 위치하게 되며, 셀렉터가 예를들어 60㎞/h 이상의 속도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로드(11)는 상승하지 않게되어 그 단부가 제4위치(d)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속페달(50)의 가압시 제1아암(51) 및 제2아암(제1도의 52)의 회전은 제한을 받지 않게되어 무제한적인 가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를 함께 구성함으로서 얻어진다. 셀렉터의 정지 및 저속구간 센서(제2실시예)와 함께 안전벨트 착탈부에 장착된 감지센서(제1실시예)를 작동로드가 단계별로 상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제2실시예)에 병렬로 연결할 경우 어느 한 신호만(안전벨트 미착용 또는 정지구간)이 전달되더라도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는 최대로 상승하여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가압하더라도 차량의 출발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제3도는 상기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도로서, 운전자가 시동을 걸거나 주행중(단계 101)에 안전벨트를 착용여부를 감지하며(단계 102), 착용치 않을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여 작동로드가 최대(제2도의 제1위치)로 작동하여 가속페달의 작동을 억제한다(단계 103). 만일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에는 단계 104로 진행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구간을 설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이 조절되어 작동로드가 제2도의 제2위치(b), 제3위치(c) 및 제4위치(d)로 선택적으로 노출됨으로서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미착용시 그 신호가 가속페달 하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달되어 작동로드가 가속페달의 저면에 접촉함으로서 가속페달의 기능을 제한하여 차량의 출발을 방지하게되며, 이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구간에 맞추어 셀렉터를 위치시키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가 적절한 위치로 상승되어 가속페달의 눌림정도를 조절함으로서 과속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아암 및 제아암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아암의 선단에는 운전자가 발로 누르기 위한 풋 플레이트가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아암의 단부에는 엔진실린더 내로의 연료(공기)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속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가속페달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의 제1아암의 하부에는 안전벨트의 착탈부에 장착된 감지센서와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안전벨트의 착탈여부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가 상기 제1아암의 저면과 접촉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아암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2.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아암의 선단에는 운전자가 발로 누루기 위한 풋 플레이트가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아암의 단부에는 엔진실린더 내로의 연료(공기)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속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가속페달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의 제1아암의 하부에는 속도구간 셀렉터와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설정된 속도구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의 작동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제1아암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3.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아암 및 제2아암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아암의 선단에는 운전자가 발로 누르기 위한 풋 플레이트가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아암의 단부에는 엔진실린더 내로의 연료(공기)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속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가속페달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의 제1아암의 하부에는 안전벨트의 착탈부에 장착된 감지센서 및 속도구간 셀렉터와 접속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안전벨트의 착탈 여부 및 설정된 속도구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로드의 작동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제1아암의 회전정도를 제어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KR1019950055488A 1995-12-23 1995-12-23 차량용 가속 페달 KR100211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488A KR100211691B1 (ko) 1995-12-23 1995-12-23 차량용 가속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488A KR100211691B1 (ko) 1995-12-23 1995-12-23 차량용 가속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967A KR970035967A (ko) 1997-07-22
KR100211691B1 true KR100211691B1 (ko) 1999-08-02

Family

ID=1944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5488A KR100211691B1 (ko) 1995-12-23 1995-12-23 차량용 가속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50A (ko) * 2021-02-15 2022-08-2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이동형 조작 장치 및 이동형 조작 장치의 조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50A (ko) * 2021-02-15 2022-08-2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이동형 조작 장치 및 이동형 조작 장치의 조작 방법
KR102634983B1 (ko) * 2021-02-15 2024-02-07 (주)자이네스 이동형 조작 장치 및 이동형 조작 장치의 조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967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409A (en) Device for speed control of a motor vehicle
US5060744A (en) Device for controlling motor-operated throttle valve for automobiles
KR100211691B1 (ko) 차량용 가속 페달
JPH01249534A (ja) 車両の制御装置
JPH0344584Y2 (ko)
US5558601A (en) Vehicular pedal assembly
US5121728A (en) Load adjustment device
KR100254989B1 (ko) 저단주행시 자동차의 급가속방지장치
KR960003193Y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 동시작동 방지장치
KR19980035541A (ko) 과속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레이터 페달
KR100201065B1 (ko) 자동차의 악셀페달장치
KR100250202B1 (ko) 자동차의 스로틀밸브 개방각 가변장치
JP2604959Y2 (ja) 車両の車速制限装置
KR890003982Y1 (ko) 자동차의 속도 제어장치
KR200407700Y1 (ko) 차량 정속 주행 장치
JPH05592Y2 (ko)
KR100314898B1 (ko) 자동차의 급발진제어장치
CA1088390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economy improvement system
KR200313492Y1 (ko) 자동차의 페달위치 구조
KR19990023872U (ko) 차량의 가속페달 조절장치
KR20000055440A (ko) 차량의 정속 주행장치 및 그 방법
JPH10164907A (ja) トラクタ等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305788B1 (ko) 스로틀레버아이들위치복귀장치
KR100259904B1 (ko) 차량의 급감속시 트로틀밸브 제어장치
KR870002998Y1 (ko) 자동차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의 겸용기능을 가진 페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