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901B1 - 스컴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컴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901B1
KR100253901B1 KR1019940700079A KR19940700079A KR100253901B1 KR 100253901 B1 KR100253901 B1 KR 100253901B1 KR 1019940700079 A KR1019940700079 A KR 1019940700079A KR 19940700079 A KR19940700079 A KR 19940700079A KR 100253901 B1 KR100253901 B1 KR 10025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l
guide
scum
wir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히로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미치히로 후지와라
후지와라 도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2633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33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84155U external-priority patent/JP260763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94053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3105U/ja
Application filed by 미치히로 후지와라, 후지와라 도시미 filed Critical 미치히로 후지와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스컴제거부재를 구비하는 작동부재를, 단궤도식의 가이드로 안내하도록 해서, 가이드밑 작동부재를 가장 간소한 형태로해, 작동성능도 우수하도록 한다.
또, 구조의 간소화에 의해 시공이 쉽고, 운전유지비도 싸게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스컴제거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그 평면도.
제3도는 2개의 날개타입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K-K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L-L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M-M선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N-N선 단면도.
제8도는 2개의 날개타입의 스컴제거장치의 다른 구동방식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다른 구동방식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제10도는 구동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1도는 모터내장형 드럼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드럼을 표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제13도는 구동원을 스컴제거장치의 상방에 동행가능하게 배치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4도는 스크류축식의 구동방식을 채용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제거용부재로부터의 스컴을 스크류방식에 의해 침전지밑을 통해 배제하도록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16도는 침전지 밑 자체가 가이드인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7도는 지하설치형의 스컴제거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8도는 그 측면도.
제19도는 그 요부사시도.
제20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전체 측단면도.
제21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제22도는 좌부분이 제21도의 F-F선 단면도로 우부분이 제21도의 E-E선 단면도.
제23도는 장치요부확대측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평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S-S선 단면도.
제26도는 작동암 작동롤러 및 되돌림롤러의 요부확대측면도.
제27도는 그 평면도.
제28도는 구동원의 종단면도.
제29도는 그 횡단면도.
제30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모식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이 발명은, 최초 또는 최종침전지(沈澱池)등의 처리지내에 침전하는 스컴이나 모래등을 침전지의 한쪽방향으로 긁어모아서 처리하도록 한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예를들면, 하수처리설비의 최초 또는 최종침전지에서는 침전지 밑바닥에 스컴을 침전시켜서 그것을 침전지의 한쪽 방향으로 긁어모으는 동시에 침전지 밖으로 배제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상수처리설비에서도 같다.
스컴을 긁어모으는 한 방식으로서 체인에 의한 플라이트 순환구동방식에 의한 것이 있다.
이 방식은 침전지의 폭방향에 축중심으로 향하게해, 회전가능하게 장치된 복수개의 회전축과, 각 회전축의 주위에 각각 2개씩 띠워서 부착된 스프로킷과 이들 스프로킷을 통해서 걸린 좌우 2줄의 체인을 구비하고 있다. 체인의 외주측에는, 그 순환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플라이트(긁어모으는 플레이트)가 부착되고, 이들 플라이트가 침전조밑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상을 따라 운동함으로써, 플라이트가 침전조 밑의 스컴을 한쪽 방향으로 긁어모아 스컴피트까지 긁어모으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스컴을 피트내로부터 펌핑되어 침전지밖으로 배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체인 구동방식에 의하면, 구조가 대규모가되고 복잡하기때문에 값도 비싸고 시공도 큰일일 뿐 아니라, 순환운동을 시키기 때문에, 유지관리비도 비싸져서 경제성이 떨어진다.
한편, 체인순환방식이 아니고, 침전지밑을 직선적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방식의 것이 있다. 이것은, 침전지밑에 설치된 길이가 긴 가이드(가이드레일)와, 이 가이드에 따라 운동하는 작동부재와, 동작동부재를 왕복운동시키기위한 구동수단(로프등)과, 작동부재에 부착된 제거용부재를 구비하고, 처리지의 저부에 침전하는 스컴을 제거용 부재의 운동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긁어모아서 침전지밖으로 배제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상기 가이드가 침전지 폭 방향으로 떨어진 좌우 2개의 방식이었기때문에, 가이드와 그 부착장치뿐 아니라, 이들 가이드간을 크게 걸쳐지는 것 같은 큰 작동부재를 필요로 하고, 이 경우도 구조가 대규모익 복잡하기 때문에, 값도 비싸고, 시공도 큰일일 뿐 아니라, 순환운동을 시키게 되므로, 유지관리비도 비싸지고, 경제성도 뒤떨어졌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전체구조가 대단히 간단하고, 시공도 쉬워져 전체적으로 값 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은, 처리지의 스컴제거방향으로 길이가 긴 방향을 향해 설치된 가이드와, 동가이드에 따라 운동하는 작동부재와, 동작동부재를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작동부재에 부착된 제거용 부재를 구비하고, 처리지의 밑부분에 침전하는 스컴을 제거용부재의 운동에 의해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긁어모아서 침전지 밖으로 배제하도록 구성한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단궤도형으로, 동가이드에 따라 작동부재가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제1도, 제2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침전지는 하수처리 설비에 있어서 최초 또는 최종침전지로, 동침전지는 한쪽방향(도면의 좌우방향)에 긴 평면구형을 한 침전지이다. 이 침전지에는 좌우의 측벽과, 길이방향의 단부인 단벽을 구비하는 동시에 도시좌방향으로 점차 완만하게 내려가는 경사상의 침전지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침전지저부상에 스컴이 자연히 침전되어 간다. 이 실시예에서 200은 단괴도형(모노레일 형)의 제1가이드로 사각통상의 것이고, 동가이드(200)에는 고정시조작용구멍(201)이 측부의 적당한곳에 설치되어있는 동시에, 그 위에는 가이드(200)보다도 약간 작은 사각통으로 길다란 상태의 제2가이드(202)가 고정되어 있고, 이 제2가이드(202)도 단괴도형이다. 그리고 이들의 한쪽단부에는, 지주(203)가 부착되고 상단이 침전지상에 도달하도록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204는 작동부재로,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캐리어이고, 이 작동부재(204)는 평면이 장방형의 틀꾸밈으로된 주부재와, 동주부재의 4개소로부터 하방향으로 뻗는 각(脚)부를 구비하는 틀체로 되어있다. 작동부재(204)의 피트(205)측인 전부와 그보다 후방에는, 제2가이드부재(202)위를 전동하는 상부롤러(206), (206)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각부에는, 제1가이드(200)의 측면을 전동하는 측부롤러(207)가 모두합쳐 4점에 닿도록 설치되어있다.
208은 작동부재(204)의 전후간에 횡축상으로 설치된 회전축이고, 동회전축(208)의 작동부재(204)중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전후요동가능한 요동암(209)이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축(208)의 작동부재(204)외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좌우한쌍의 하암(210)이 부착되어 있다.
이 하암(210)에는 각각 띠같이 긴 상태의 제거용부재(212)가 부착되어있다. 이 제거용부재(212)는, 요동암(209)가 전후로 요동하게되면 이것과는 항상 역방향이되도록 요동하는 것이다. 제거용부재(212)는 실선으로 표시한 후방경사자세와, 가상선으로 표시한 수직자세와의 양자세를 선택가능하다. 213은 수직자세시의 스톱퍼를 표시하고 있다.
지주(203)의 상단에는, 좌우한쌍의 구동드럼(구동수단의 하나)(215)(2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215), (216)은 각각 구동원(구동수단의 하나)(217), (218)에 의해서 독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드럼(215)에 감겨진 실선의 제1와이어(구동수단의 하나로 선조재)(220)는 지주(203)의 하부뒤쪽에 부착된 제1휠(222)을 통해서 제1가이드(200)속을 파선과 같이 통과해서, 동가이드(200)의 단부에 설치된 제2휠(223)을 경유하도록 되어 있다.
제1와이어(220)는, 동 제2휠(223)으로부터 작동부재(204)후부의 제3휠(224)를 경유해, 요동 암(209)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제2와이어(구동수단의 하나로 선조재)(226), 다른쪽드럼(216)에 감기고, 지주(203)전면에 설치된 제4휠(227)로부터 작동부재(204)상의 제5휠(228) 및 제6휠(229)을 경유해서 요동암(209)에 접속되어 있다.
230은 요동암(209)의 선단에 부착된 밸런서로, 제거용부재(212)의 후방경사 자세에의 변환을 확실화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231, 232는 지주(203)의 표리에 각각 설치된 좌우 독립작동형의 브레이트, 233은 각 와이어(220)(226)에 설치된 스프링이다.
이 제거장치는, 도시 좌방향으로 제거운동을 하고, 우방향으로 되돌려지는 싸이클을 반복한다. 즉 제거운동시 드럼(217)이 구동되고, 브레이크(231)가 해방된 상태이므로, 제1와이어(220)가 끌린다. 이때, 브레이크(232)는 록상태가 되므로, 스프링(233)(233)이 작동해, 제2와이어(226)에 의한 작동부재(204)의 움직임은 완전히 록된다.
그리고, 먼저 요동암(209)이 제17도의 좌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제거부재(212)는 수직자세가 된다. 이로인해, 제거부재(212)의 동작전에 작동부재(204)가 구동되는 일은 없다. 이 상태를 얻게되면 록중의 브레이크(232)가 해방되는 동시에 드럼(218)이 구동되므로, 작동부재(204)가 도시좌방향으로 구동되어, 제거상태가 된다. 작동부재(204)는 상부롤러(206) 및 측부롤러(207)에 의해 안정하게 작동한다. 이 작동은 드럼(215)의 감는 방향의 회전과 드럼(216)의 늦추어지는 방향의 회전운동에 의해 시행된다.
제거부재(212)가 피트(205)까지 오게되면 긁어모여진 스컴을 피트(205)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후, 상기와는 반대로, 브레이크(231)가 록 상태가 되어 브레이크(232)가 해방상태가 되는 동시에, 드럼(218)쪽이 감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인해 스프링(233)이 작동해서 일점쇄선의 제2와이어(206)가 끌리는 동시에 요동암(209)이 도시 좌방향으로 요동해서 제거부재(212)는 수직자세로 후방경사 자세가 된다. 이 결과, 침전한 스컴을 제거용부재(212)가 되끌고가는 일이 없다.
이때, 제1와이어(220)는 록 되어 있으나, 브레이크(231)가 해방되어 드럼(216)이 작동되기 시작하면, 제1와이어(220)가 좌방향을 끌리고 이래서, 작동부재(204)는 좌방향으로 구동되어 되돌려진다. 이때, 드럼(215)은 풀어주는 방향으로 동시회전된다.
제3도로부터 제7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전후 2개 날개타입의 제거용부재(523)(523)을 구비한 스컴제거장치이다. 이 실시예는 I형 채널재를 2개 사용해 이것을 좌우로 병렬로해서 접합판(500)으로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단궤도형 가이드(501)를 만들어 놓았다. 이 가이드(501)는, 하부의 누름판(502)을 통해서 앵커(503)로 침전지저벽(504)의 중앙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501)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침전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양단에는 휠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단의 지주(220)(제1도)는 설치되어있지 않다. 구동방식은, 제1도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되어 있다.
505는 작동부재로, 좌우한쌍의 본체프레임과 이것을 가로지르는 횡가재로 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506은 립이 부착된 상롤러로, 작동부재(505)의 약간 하측위치에 4개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롤러(506)는, 가이드(501)위를 전동하도록 되어있다.
508은 사이드롤러로, 가이드(501)의 횡측면에 대여서 가로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ㅎ 4개의 각부(509)에 부착된 롤러브래킷(510)을 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511은 뜨는 것을 눌르는 롤러로, 가이드(501)의 위이 립의 이면에 닿도록 각부(509)에 부착되어 있다. 또 사이드롤러(508)의 앞에는 롤러커버(512)가 제7도에표시하는 바와같이 설치되어 있다.
514는 베어링으로, 작동부재(505)의 전후 4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베어링(514)은, 각부(509)로부터 좌우로 뻗도록 설치된 앞스톱퍼(515)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베아링(514)을 통해서 상방을 통과하도록 횡동축(517)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횡축(517)은 전후 2개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각축(517)에는, 좌우 3조씩의 암(518)이 부착되고, 이들의 암(517)은, 회동축(517)의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된 연동암(519), (519)와 함께 전후로 요동하게 되어있다. 연동암(519)간은 연동링크(520)로 연결되어 있다.
전후의 암(518)은, 앞스톱퍼(515)에 닿여져 수직자세가 되고, 앞암(518)이 작동부재(501)의 하측을 통과해서 좌우로 뻗는 후스톱퍼(51)에 닿으므로서 후방경사의 회피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523은 스텀용의 제거부재로, 고무판으로 되어 있고, 동제거부재(523)는, 암(518)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배면에 설치된 롤러(524)가 레일(525)위에 걸쳐짐으로써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527은 기대로, 동기대(527)는 작동부재(505)의 상측중앙에 고정되고, 그 위에는 가이드용 휠(528)이 전후 2개 설치되어 있다.
530은 제1와이어, 531은 제2와이어이다. 제1와이어(530)는 구동원으로부터 가이드(501)의 내부공간을 통해서 휠(23)를 경유해서 다시 가이드(501)의 위에서 앞측의 휠(528)을 통해 앞측의 연동암(520)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2와이어(531)는, 구동원으로부터 휠(227)을 통해서 뒤쪽의 휠(528)을 경유해서 뒤쪽의 연동암(519)에 결합되어 있다.
제1와이어(530)와 제2와이어(531)가 제3도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작용하면, 전후의 연동암(519)가 후방으로 요동한다.
이로인해, 스크레이퍼(523)는 수직된 제거자세가 된다. 이 자세로 피트방향으로 긁게된다. 피트쪽으로오면 제3도의 가상선과 같이 제2와이어(531)가 끌어당기는 상태가되고, 제1와이어(530)가 늦추는 상태가 된다. 이래서, 연동암(519)이 앞으로 넘어져서 스크레이퍼(523)가 후방경사 상태로되어 되돌아가는 자세가 된다. 또, 제6도에도 표시하는 바와같이, 앞스톱퍼(515)(515)간에는 보강틀(532)이 장치되어있다. 이것은 강도상 충족되면 생략할 수가 있다.
제8도는, 2개 날개타입의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그 제거용부재를 연동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550은 가이드로, 침전지 밑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550)상에는, 롤러(551)(사이드롤러도 부속한다)에 의해 작동부재(552)가 왕복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작동부재(552)의 전후에는 회전축(553)이 설치되고, 동축(553)에 연동레버(554)및 요동레버(555)가 부착되어 있다.
연동레버(554)의 전후감에는, 작동부재(552)에 지지된 중간레버(556)가 설치되고, 동레버(556)의 상단에 연동레버(554)간의 링크(557)가 연결되어있는 한편, 하단에는 제1와이어(558)과 제2와이어(559)가 연결되어있다.
실선화살표와 같이 제1와이서(558)가 끌리면, 링크(557)가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연동레버(554)가 후방으로 요동해서 제거용부재(560)는 제거상태가 된다. 이로인해 스컴은 실선화살표방향인 제거방향으로 긁어진다. 한편, 피트측에서 제2와이어(559)가 끌리면, 연동레버(554)는 파선화살표 방향으로 요동해서 제거용부재(560)은 파선방향으로 튀어오르는 동시에, 작동부재(552)는 파선방향인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운동된다.
또, 561은 가이드롤러이다. 제거용부재(560)은 한개라도 된다. 이경우, 한쪽의 연동레버(554)는 생략한다.
제9도는, 롤러(581)에 의해 가이드(580)에 따라 운동가능한 작동부재(582)에 회전축(583)을 설치하고, 동죽(583)에 작동레버(584)와 L형의 받는 레버(585)가 동행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동레버(584)에는, 한줄의 와이어(586)이 통과되고, 동와이어(586)에 설치된 스톱퍼(587)에 의해 작동레버(584)가 왕복 요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동와이어(586)는, 가이드롤러(588)에 의해 안내되는 한편, 받는 레버(585)에는, 제거용부재(589)가 부착된 부착판(590)이 한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와이어(586)이 실선방향으로 끌리면 스톱퍼(587)이 작동레버(584)가 앞쪽으로 회전하고, 받는 레버(585)에 의해 제거용부재(589)가 수직의 제거상태가 된다. 한편 피드측에서, 와이어(586)이 파선방향으로 끌리면, 스톱퍼(587)에 의해 작동레버(58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받는레버(585)가 들려올려짐으로써 제거용부재(589)도 올려진다.
제거용부재(589)는 항상 수직자세대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이 기구이면, 장치가 되돌아와 침전지의 단변 한도까지와도 제거찌꺼기가 적게된다.
제10도내지 제12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100은 가이드, 101은 작동부재, 102는 제거용부재, 103은 레버, 104는 연동링크이다. 105는 휠, 106은 와이어이고, 107은 구동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구동장치(107)는, 제11도 및 제12도와 같이 구성된 모터내장형을 채용하고 있다. 즉 동장치(107)는 고정휠(108)과 드럼(109)을 구비하고, 드럼(109)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에는 감속기능부착모터(110)가 고정휠(108)측에 부착되고, 그 끝의 피니온(111)이 드럼(109)내주의 기어(112)을 구동함으로써 드럼(109)이 회전구동되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내장형의 구동장치(107)의 한쌍을 침전지상에 배치하고, 각각에 와이어(106)를 감고있다. 그리고, 한편의 구동장치(101)가 구동되고, 다른쪽이 프리 또는 역회전 함으로써 제10도의 실선화살표와 같이 와이이(106)가 끌리고, 제거용부재(102)가 제거자세로 되는 동시에, 연동링크(104)를 통해서 다른쪽의 제거용부재(102)도 제거상태로 된다. 이로인해, 작동체(101)가 피트방향으로 구동되고, 제거가 행해진다. 역의 구동장치(107)가 구동되면, 파선화살표방향에 작동부재(101)가 되돌려진다. 이때, 제거용부재(102)가 비스듬히 회피한 상태가 된다. 제10도와 같은 개별구동방식은, 제1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에서 채용할때가 있다.
제13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즉, 침전지 밑에는, 단괴도형의 가이드(140)가 길게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작동부재(141)는 ㄷ자형으로 작동부재(140)를 걸치게끔 해서 왕복구동된다. 이 작동부재(141)에는 롤러(142)가 설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좌우에는 제거용부재(143)이 부착되어 있다.
작동부재(141)상에는, 수면보다도 위까지 뻗어서 물을 봉쇄한 상태로하는 중공형의 직립형기둥(144)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수단은, 작동부재(141)중에 설치된 휠(145), (145)와 직립기둥(144)의 상부에 설치된 다른 휠(146)과, 직립형기둥(144)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원(147)과, 일단이 가이드(140)의 일단측 가까이에 고정되고 가이드(140)상을 통해서 상기 작동부재(141)내의 휠(145)로부터 직립형기둥(144)내를 통해서 상방의 휠(146)로부터 다시 직립형 기둥(144)내를 통해서 작동부재(141)내의 휠(145)을 통해서 가이드(140)상을 통해서 가이드(140)상을 거쳐 가이드(140)의 타단가까이를 통해서 침전지상으로 인도된 와이어 또는 체인등의 연동부재(148)를 구비하고, 동연통부재(148)의 연장작용에 의해 상기 직립형기둥(144)이 부착된 작동부재(141)를 침전지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49는 연동부재(148)를 늦추기위해 회전되는 드럼이다.
통상적인 구동시에는 구동원(147)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연동부재(148)에 의해 작동부재(141)가 피트(150)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전후 2단의 제거용부재(143)에 의해 침전물이 긁어모여진다. 구동원(147)이 역으로 히전되면, 연동부재(148)에 의해 작동부재(141)가 되돌려지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통상은 이 동작을 반복한다.
제14도는, 스컴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10은 침전지로, 이 침전지(10)는, 밑부분이 좌우 경사상이 되고, 그 중앙에 돌출상의 가이드(11)가 단괴도식으로 일체(또는 별체의 레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11)에는 ㄷ자상을 한 작동부재(12)가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부재(12)는 롤러(13)를 구비하고, 이로인해서 전후로 왕복자재로 되어 있다.
이 작동부재(12)의 양측에는 제거용부재(14), (14)가 한쪽방향인 제거방향에 수직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도피동작을 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작동부재(12)의 상부내면에는 나사맞춤체(15)가 고정되고, 이에 가이드(11)상의 나수축(16)이 나합하고 있다. 침전지상에는, 구동원이 설치되고, 전동축(커버부착)(17)과 기어복수(1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사축(16)이 정역으로 회전되면, 나사맞춤체(15)에 의해 작동부재(11)가 전후로 왕복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거용부재(14)는 한 방향으로 제거동작을 하고, 역방향으로 복귀동작을 한다.
또, 동작역 위에는 커버(18)가 설치되어도 된다.
제15도도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50은 가이드로, 동가이드(50)에 따라서 비교적 큰 차륜(51)부착기체(작동부재)(52)가 전후 왕복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기체(52)에는 제거용부재(53)가 설치되고, 경사진저벽(54)상의 침전물을 긁어 모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침전물이 폭방향 중앙으로 몰리도록해서 가이드(50)의 하측에 형성한 반송로(55)내에 떨어트리게하는 동시에 동반송로(55)내에 설치된 스크류(반송수단)(56)에 의해 피트까지 보내도록 되어있다.
물론, 제거용부재(53)에 의해서도 스컴이 긁어모아진다. 제거용부재(53)는 양단이 먼저 앞서가고 중앙기부가 후에가도록 평면에서 보아 경사진 날개로 구성해도 된다. 또 제15도에서 반송수단으로는, 진공흡인방식이나 체인에 의한 제거방식등을 채용해도 된다.
제16도는 스컴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1은 침전지이고, 이 침전지 1의 밑바닥에는, 단궤도형으로 일체식의 가이드(2)가 길게 설치되어있다. 이 가이드(2)는 대략 V형으로 되어있다. 동가이드(2)에는, 마찬가지로 V형 작동부재(3)가 가이드(2)의 표면에 설치된 롤러(4)로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부재(3)은, 중량물로, 그 전후에 걸어맞추는 훅(5)을 구비하고, 여기에 와이어(6)인 구동수단을 걸어서 왕복해서 끌기운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 끌기동작은, 스프로킷 및 모터로 침전지상에서 구동된다.
작동부재(3)의 전면은 그 자체가 제거면(3a)이 되어있다. 그리고, 작동부재(3)가 한방향으로 동작하면, 침전물은 피트(도시생략)의 방향으로 긁어모여져 동침전물은 펌프로 계외로 배제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와이어(6)외에, 체인훅은 나사축등으로 구성된다.
제17도 내지 제19도는 이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301은 침사지, 302는 최초침전지, 303은 폭기조, 304는 최종침전지, 305는 연소투여조를 각각 표현하고 있다.
이들의 처리설비는 모두 통상블록(310)의 내부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311은 하천에서 인도되는 루트를 표시하고, 이것이 개폐수단(312)을 구비한 2개의 루트(313)(313)으로 갈라져서 2개의 하수처리시스템 S내로 도입되도록 되어있다. 또, 제18도의 하방에 돌출하는 부분은 침전지에 있어서 피트부분에 상당한다.
우선, 제19도에 표시하는 최초 침전지(302)는 4개의 블록(310)의 조합에 의한 것으로, 그중 전후단의 것은 내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폐지부(31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로인해, 4개의 블록(310)…은 하나의 구간으로 된 공간을 형성한다.
315는 폐지부(314)에 형성된 유입구로, 침사지(301)로 부터 오수가 흘러들도록 되어 있다. 같은 유출구는, 최초 침전지(302)의 타단에 설치되어, 폭기조(303)에 통하도록 되어 있다. 최초 침전지(302)의 내부에는 그 저부에 제거장치(320)가 구성되어 있다. 제거장치(320)는 그 저부에 가이드(321)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321)에는 걸치는 것 같이 해서 작동부재(322)가 롤러(323)…로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작동부재(322)위에 설치된 지지부를 통해서 좌우양측에 뻗도록 제거용부재(3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거용부재(324)는, 유출구(315)로부터 흘러들어 침전한 것을 피트(325)측으로 긁어모으는 것으로, 모노레일형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거용부재(324)를 왕복운동시키는 수단은, 가이드(321)의 전후에 설치된 스프로킷(326)과 체인(327) 및 수중펌프(32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체인(327)이 왕복구동되므로써 제거용부재(324)도 왕복된다.
또, 「단궤도형」(또는 「모노레일형」)라는 것은, 분명하게 단궤도인 경우와 단궤도에 근사하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으나, 「단궤도형」이라는 것은 하나의 레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여러개의 레일로 단궤도형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 여러개의 경우, 서로가 병렬로 인접하는 경우와 병렬에 근접하는 경우와 짧게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 모두를 「단궤도형」은 포함하는 것으로 여기에 정의한다. 단, 종래의 넓게 떨어트린 2개의 레일에 의한 것은 당연히 제외된다.
제20도 내지 제29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동실시예에 표시하는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800은 침전지이고, 제2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구형의 형태를 한 것이다. 801은 유입측에 설치된 정류판으로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다. 802는 침전조밑으로, 피트(803)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되어 있다.
804는 수명을 표시한다.
X는 스컴의 제거방향, Y는 복귀방향을 각각 표시한다. 805는 가이드로 침전지 밑(802)의 폭방향 중앙에 따라 고정되어 있고, 그 횡단면은 구형통상이고, 단궤도식으로 침전지밑(802)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805)는, 각 침전지에 한개씩 배치되고, 각각은 반피트측단에 일단이, 그리고 타단은 피트(803)위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805)의 반 피트측의 일단에는 브래킷(807)에 의해 반전용 휠(808)과 가이드 휠(809)이 설치되고, 또 피트(803)측의 단부에는 브래킷(810)을 통해서 제1, 제2유도휠(811), (812)이 대소의 휠로써 병렬이고 또 독립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815는 작동부재로, 동 작동부재(815)는, ㄷ자형으로 그 홈을 하향을 해 가이드(805)상에 대응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작동부재(815)의 전후에는, 위에서보아 4점이 되도록 갈구리가 달린 주행롤러(816)가 회전축(817)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작동부재(815)의 횡측면에는, 위에서 보아 4점에 브래킷(819)가 배치되고, 각 브래킷(819)에는 가이드(805)의 횡측면에 닿도록 상하 한쌍의 사이드롤러(820)가 부착되어 있다. 821은, 앞쪽의 회전축(817)주위에 독립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휠, 822는 작동부재(815)의 후단상면에서 세워 설치된 브래킷(823)의 상단에 설치된 제2휠이다. 작동부재(815)의 상면으로부터는, 입면상에서 왕복요동가능한 스윙암(825)이 세워설치되는 동시에, 동 암(825)의 상단에는 프리휠(826)이 부착되어 있다. 연동부재인 와이어(827)의 일단은 제거측의 와이어 부분으로서, 스윙암(825)의 프리휠(826)을 경유해서 동암(825)의 전면측에 돌출해서 설치된 L형 브래킷(828)에 길이 조정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동와이어(827)는 제2휠(822)와 제1휠(821)을 경유해서 뻗고, 제1 유도휠(811)을 통해서 구동원(832)으로 구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한편, 다른 L형 브래킷(829)에는, 마찬가지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와이어(827)의 타단이 결합되어있다. 동와이어(827)는, 작동부재(815)에 설치된 제3휠(830) 및 제4휠(831)을 경유해서 후방으로 뻗고, 상기 가이드휠(809) 및 반전용 휠(808)도 경유한후, 가이드(805)의 중공공간속을 통해서 앞쪽으로 뻗고, 제2유도휠(812)를 통해서 구동원(832)의 방향으로 인도된다.
구동원(832)는, 제28도 및 제29도에 상세히 표시한 바와 같이, 침전지의 상면에 고정된 가대(833)에 감속기능부모터(834)를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고, 그 출력축(835)에 상시브(836)를, 그 하방에도 다른 하시브(837)를 배치해서 구성되어있다. 와이어(827)은, 유도휠(811), (812)중의 한쪽에서 온것을 감고, 그후 하시브(837)과 상시브(836)간을 여러번 둘루고, 그 후의 것을 유도휠(811), (812)의 다른쪽의 것을 경유하도록 하향으로 뻗어있다.
또, 하시브(837)는, 제거상태와 복귀상태의 전환시에 와이어(827)가 느슨해지는 것을 흡수하기 위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사이의 흡수를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하기위해, 동시브(837)의 축에는 웨이트(838)이 부가되어서 항상 하향으로 작동되고 있다. 동 작용은 실린더 및 어큠테이터등의 다른 수단에 의해도 된다.
작동부재(815)의 좌우측방에는, 회전축(817)과 동축을 이루고, 상하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제거용암(840)이 후방으로 뻗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암(840)의 후방의 단부는 하향으로 수직되게 뻗고 그 부분을 통해서 좌우한쌍의 제거부재(841), (841)이 부착되어 있다. 동 제거용부재(841)의 후방에는, 하롤러(842)가 설치되고, 동롤러(842)는 침전지밑(802)에 좌우 한쌍을 이루고 고정된 가이드레일(843)상에 전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또, 제거암(840) 및 제거용부재(841)를 내려진 제거상태와, 상승한 복귀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다음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즉, 845는 작동암으로, 후방의 회전축(817)의 좌우단부에 기부가 부착되고, 상기 스윙암(825)과 함께 요동자재롭게 되어 있다. 동암(845)는, 장원형의 플레이트로 그 선단에 작동롤러(846)가 부착되어 있다. 동암(845)는, 장원형의 플레이트로 그 선단에 작동롤러(846)가 부착되어 있다. 동작롤러(846)은, 제거용암(840)의 하면에 항상 접촉해서 스윙암(825)이 수직의 상태로부터 앞쪽으로 넘어지게되면, 제거용암(840)은 들어올리는 역활을 한다. 그리고 스윙암(825)가 수직방향으로 되돌아올때, 제거용암(840)에 항상 접촉하면서 하강하나, 그 하강동작을 확실히 하기 위해, ㄷ자형 제거용암(840)의 공간내로 밀어내 동암(840)을 강제적으로 내리눌르도록 제거용암(840)의 선단에는 수평축상으로 되돌려 롤러(847)가 부착되어있다, 또 되돌림로러(847)을 제거용 암(840)내에 끼워들도록해서 동롤러(847)만으로 암(840)의 상하동작을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848은 제거용암(840)에 설치된 보강스테이이다.
제20도 및 제23도에 실성으로 표시하는 상태가 제거동작상태이고, 가상선으로 표시한 상태가 복귀상태이다. 제거는, 제20의 좌단에서 우단으로 장치가 주행함으로써 되게 되어있다. 즉 좌단에 있을때 제거용부재(841)은 복귀단에 있어 위로 올라가 있고,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827)가 오른쪽방향으로 끌림으로써 제1휠(821), 제2휠(822)을 통해서, 스윙암(825)이 눕고 있는 상태에서 일어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침전지밑(802)과 입벽사이를 접속하는 사벽(806)위의 침전스컴을 제거용부재(841)이 긁어내리게 된다.
그래서, 제거용부재(841)가 침전지밑(802)까지 완전히 내려가면, 침전지밑에 고인스컴을 긁어모은다. 즉 하부롤러(842)가 가이드레일(843)상에 닿아서 전동하면서 진행한다.
작동부재(815)는 주행롤러(816) 및 사이드롤러(820)로 가이드(805)에 따라 안내되면서 안정하게 미속주행하고, 이때 와이어(827)가 우측방향으로 끌리므로서, 스윙암(825)은 수직상태를 보존하고 제거용부재(841)도 수직상태를 보존해 X화살표 방향으로 스컴을 긁어모은다. 그리고, 피트(803)중에 이들의 스컴을 떨어트린다.
또, 제거상태가 될때, 스윙암(825)은 수직이되고, 이때 와이어(827)는 전체로서 길게된다. 이때의 길이부족분은 구동원(832)에 있어서 하부시브(837)가 상승함으로써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제거상태로부터 복귀상태로 전환될때는 그 역의 동작으로 느슨해진 부분이 구동원(832)에서 흡수된다.
장치가 피트(803)상에 있을때, 제거상태로부터 복귀상태로 전환된다. 와이어(827)는 Y화살표방향으로 끌린다. 이로인해, 제4휠(831) 및 제3휠(830)을 통해서 와이어(827)가 끌리고, 제2휠(822)을 통해서 스윙암(825)이 수직상태로부터 누은 상태가 된다. 이 결과, 회전축(817)를 통해서 작동암(845)가 상향으로 요동하고, 작동롤러(846)가 올라가 제거암(840)을 밀어올린다.
제거용부재(841)는 들러올려지고 복귀상태로 된다. 그 후 작동부재(815)가 주행을 개시해서, 도시좌단까지 되돌려진다.
작동부재(815)가 좌단으로와서 와이어(827)가 X화살표방향으로 끌림으로서 스윙암(825)은 수직이되고 작동롤러(846)이 내려가서, 롤러(847)에 의해 제거용암(840)이 내려져서 제거용부재(841)가 하부롤러(842)의 스톱퍼기능에 의해 정위치의 제거자세가 된다.
또, 제3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부재(860)위에 세우는 기둥(861)을 세워서, 제2휠(862)을 설치하고, 동 휠(862)에 주행롤러(863)의 축 주위에 설치된 제1휠(846)로 부터의 와이어(865)를 걸어돌리는 동시에 정활차의 작용으로 제거용암(866)을 들어올려 제거용부재(867)를 들어올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복귀상태는, 제3휠(868)을 제거용부재(867)을 끌어내리도록 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관한 스컴제거장치는, 제거성능을 높은 레벨로 유지하면서, 장치의 구조가 대단히 간단하고 시동도 쉬워 전체로서 싼것으로 유지관리비도 싸게 하고싶은 등의 제 요구가 있을때에 적합하다.

Claims (2)

  1. 처리지의 스컴제거방향에 길이방향을 향해서 설치된 가이드와, 동가이드에 따라 운동하는 작동부재와 동작동부재를 운동시키기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작동부재에 설치된 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처리지의 저부에 침전하는 스컴을 제거수단의 운동에 의해 적어도 한 방향으로 긁어모아서 침전지외로 배제하도록 구성한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단궤도형으로, 동가이드에 따라 작동부재가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2. 처리지의 스컴제거방향으로 길이방향을 향해 설치된 가이드와, 동가이드에 따라 운동하는 작동부재와, 동작동부재를 운동시키기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작동부재에 설치된 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처리지의 저부에 침전하는 스컴을, 제거수단의 운동에 의해 적어도 한쪽방향으로 긁어모아서 침전지외로 배제하도록 구성한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단궤도형으로 침전지 밑의 폭 중앙위치에 따르도록해서 돌출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재는, 이 가이드에 걸치는 상태로 롤러에 의해 전동가능하게 셋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원과 상기 작동부재를 연결하는 선조재를 구비하고, 작동부재를 전후각방향으로 교호로 견인하는 것으로 되고, 또 상기 제거용부재는 선조재의 상기 교호의 견인에 의해 제거태세와 비제거태세가 되도록 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컴제거장치.
KR1019940700079A 1992-05-14 1993-05-10 스컴제거장치 KR100253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97792 1992-05-14
JP92-43977 1992-05-14
JP92-226336 1992-07-09
JP4226336A JPH0623344A (ja) 1992-07-09 1992-07-09 下水等の水処理システム
JP92-84155 1992-10-23
JP1992084155U JP2607639Y2 (ja) 1992-10-23 1992-10-23 汚泥掻寄装置
JP92-94053 1992-12-15
JP9405392U JPH0663105U (ja) 1992-05-14 1992-12-15 汚泥掻寄装置
PCT/JP1993/000613 WO1993023136A1 (en) 1992-05-14 1993-05-10 Sludge scraping-up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901B1 true KR100253901B1 (ko) 2000-04-15

Family

ID=2746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079A KR100253901B1 (ko) 1992-05-14 1993-05-10 스컴제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78471A (ko)
EP (1) EP0607447B1 (ko)
KR (1) KR100253901B1 (ko)
AU (1) AU666201B2 (ko)
CA (1) CA2113422C (ko)
DE (1) DE69313613D1 (ko)
WO (1) WO19930231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87B1 (ko) 2007-02-26 2007-06-13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슬러지 수집기의 자동 장력조절장치
KR101568382B1 (ko) 2015-04-13 2015-11-12 황소용 위치방향 표시장치가 탑재된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N105836844A (zh) * 2016-05-04 2016-08-10 山东鲁抗中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刮油沉淀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704B1 (en) 1998-07-04 2001-03-13 Michihiro Fujiwara Sludge collecting apparatus
TWI278429B (en) * 2002-05-17 2007-04-11 Shinetsu Chemical Co Conductive silicon composite, preparation thereof, an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TW200507917A (en) * 2003-07-02 2005-03-01 Fujiwara Sangyo Kabushiki Kaisha Scraping and collecting device for sludge
US7234600B2 (en) * 2004-12-10 2007-06-26 Fujiwara Sangyo Kabushiki Kaisha Sludge scraping and collecting apparatus
SG165189A1 (en) * 2009-03-16 2010-10-28 Unitech Environment Ind Co Ltd Sludge remover capable of driving scraping blades to change to different angular positions
JP2012110886A (ja) 2011-09-08 2012-06-14 Fujiwara Sangyo Kk 汚泥掻寄装置
CN102974134A (zh) * 2012-12-13 2013-03-20 黄居森 非金属链板刮泥机断链故障保护及快速驳链的方法
CN104326517B (zh) * 2014-11-07 2016-05-11 江苏金梓环境科技有限公司 拼装式污水处理设备用的内骨单元
JP6814297B2 (ja) * 2017-08-23 2021-01-13 水道機工株式会社 汚泥処理装置
CN112239235B (zh) * 2020-10-10 2023-02-28 江苏旭龙水务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刮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1079A (en) * 1934-10-03 1937-12-07 Dorr Co Inc Sedimentation apparatus
US2101081A (en) * 1935-01-04 1937-12-07 Dorr Co Inc Raking mechanism for sedimentation tanks
IT993760B (it) * 1972-09-06 1975-09-30 Prometall Uznach Ag Dispositivo d estrazione per impianti di chiarificazione e di fognatura
GB1504518A (en) * 1975-04-07 1978-03-22 Simon Eng Dudley Lt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settling tanks
US4401576A (en) * 1980-12-29 1983-08-30 Meurer Industries, Inc. Sediment collecting device
JPS57136912A (en) * 1981-02-19 1982-08-24 Chukyo Yuken Kk Granular matter recovering equipment
JPS58124205U (ja) * 1982-02-16 1983-08-24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スクレ−パ付掻寄機
AU538942B2 (en) * 1982-09-16 1984-09-06 Owens-Illinois Glass Container Inc. Protein moulding to make enzyme-type action and immobilization
JPS5955188U (ja) * 1982-10-05 1984-04-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懸濁液タンク
SE436097B (sv) * 1983-05-05 1984-11-12 Zander & Ingestroem Skrapanordning for sedimenteringsbassenger
US4514303A (en) * 1983-06-09 1985-04-30 Moore Richard P Sludge traction and desludging system
JPS60128708A (ja) * 1983-12-15 1985-07-09 Toshiba Corp 発振回路
JPS60128708U (ja) * 1984-02-04 1985-08-29 株式会社 丸島水門製作所 汚泥・ごみ等の掻寄装置
SE451181B (sv) * 1985-01-29 1987-09-14 Zetterlund Engineering Ab Sett och anordning for skrapning i sedimentationsbasseng
JPS631606U (ko) * 1986-06-19 1988-01-07
JPS631606A (ja) * 1986-06-20 1988-01-06 Daifuku Co Ltd 格納物出入れ装置
JPH01228513A (ja) * 1988-03-07 1989-09-12 Seibu Kogyo Kk 方形沈澱池用掻寄せ装置
GB8828262D0 (en) * 1988-12-02 1989-01-05 Interlink Equipment Ltd Scraper apparatus
US4927537A (en) * 1989-03-09 1990-05-22 Envirotech Corporation Tape drive with self-expanding coils for sludge collector
JPH0487604A (ja) * 1990-07-27 1992-03-19 Hitachi Kiden Kogyo Ltd リニアモータ駆動式汚泥掻寄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87B1 (ko) 2007-02-26 2007-06-13 주식회사삼영이앤티 슬러지 수집기의 자동 장력조절장치
KR101568382B1 (ko) 2015-04-13 2015-11-12 황소용 위치방향 표시장치가 탑재된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CN105836844A (zh) * 2016-05-04 2016-08-10 山东鲁抗中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刮油沉淀池
CN105836844B (zh) * 2016-05-04 2018-08-10 山东鲁抗中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刮油沉淀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13422A1 (en) 1993-11-25
US5478471A (en) 1995-12-26
WO1993023136A1 (en) 1993-11-25
AU666201B2 (en) 1996-02-01
DE69313613D1 (de) 1997-10-09
EP0607447A1 (en) 1994-07-27
CA2113422C (en) 1999-09-14
AU4272193A (en) 1993-12-13
EP0607447B1 (en) 1997-09-03
EP0607447A4 (en) 1994-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901B1 (ko) 스컴제거장치
CN211863980U (zh) 矩形沉淀池刮泥及排渣设备
KR100808469B1 (ko)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US6199704B1 (en) Sludge collecting apparatus
CA2155811C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floating sludge in dissolved air floatation basins at water purification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JP3018161U (ja) 汚泥掻寄装置
JP4196311B2 (ja) 汚泥掻寄装置
KR100798300B1 (ko) 스크래퍼의 작동범위조절이 용이한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및 그 구동방식
CN112252275A (zh) 一种浮式拦污清污系统
JP4317426B2 (ja) 堆積物及び浮上物の掻寄装置
KR101803744B1 (ko) 부유물 제거장치
KR200407296Y1 (ko)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JP2601286Y2 (ja) 汚泥掻寄装置
JP3735747B2 (ja) 沈澱物掻寄装置
EP1095687A1 (en) Sludge raker
US4075109A (en) Settling tank sludge collector
JP2587347Y2 (ja) 河川用汚泥掻寄装置
JP2603724Y2 (ja) 汚泥掻寄装置
JPH1170380A (ja) 水処理設備
JPS6212401Y2 (ko)
KR900002984Y1 (ko) 하수처리용 침전지의 오니제거장치
KR930000023Y1 (ko) 수몰식 로우프견인형 오니 제거장치
JP2000354705A (ja) 汚泥掻寄機
JPH0551407U (ja) 沈殿槽における汚泥等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