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642B1 - 광디스크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642B1
KR100252642B1 KR1019960023847A KR19960023847A KR100252642B1 KR 100252642 B1 KR100252642 B1 KR 100252642B1 KR 1019960023847 A KR1019960023847 A KR 1019960023847A KR 19960023847 A KR19960023847 A KR 19960023847A KR 100252642 B1 KR100252642 B1 KR 100252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tray
main
drive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065A (ko
Inventor
기요시 우메사키
도루 다나카
기요나리 사루와타리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158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30981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193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449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52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918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92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39004A/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7000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vertical ax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Abstract

메인트레이에 서브트레이를 적재하여 세트한 복수매의 서브트레이중, 임의의 1개의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디스크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 (1)에 얹어놓여있는 복수매의 서브트레이 (61내지 65) 중의 아래로 부터 n 번째의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교환하는 경우에 아래로 부터 n 번째의 서브트레이를 메인트레이 (1)와 함께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 끌어내므로 광디스크를 교환하려고 하는 서브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나타낸다. 이에 의하여 디스크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디스크 구동장치
제 1a 도 내지 제 1i 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교환방법의 설명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 구동장치 하우징과 광디스크의 세트에 사용되는 메인트레이와 서브트레이(subtray)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실시예의 서브트레이의 이면의 사시도.
제 4 도는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구동장치 하우징의 내부의 평면도.
제 5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구동기구의 확대평면도.
제 6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구동기구의 끌어넣기 완료상태의 확대 평면도.
제 7 도는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구동장치 하우징의 삽입위치에 메인트레이를 끌어넣은 상태의 평면도.
제 8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loading) 장치의 구동계의 평면도.
제 9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의 구동계의 로딩 종료상태의 평면도.
제 10 도는 본 실시예의 대기위치의 서브트레이중의 1매를 로딩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 11 도는 본 실시예의 모터의 동력전달계를 메인트레이의 구동계로 부터 로딩장치를 승강시키는 구동계로 전환하는 요부의 확대평면도.
제 12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를 승강시키는 구동계의 확대평면도.
제 13a 도 내지 제 13e 도는 본 실시예의 장치 하우징의 우측면도.
제 14a 도 내지 제 14e 도는 본 실시예의 장치 하우징의 좌측면도.
제 15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가 삽입위치에 있고, 로딩장치가 최상단(5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사시도.
제 16a 도 내지 제 16d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5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도.
제 17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에의 서브트레이의 걸림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18a 도 내지 제 18d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4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도.
제 19 도는 본 실시예의 4 매째의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디스크의 교환을 명령하여 5 매째의 디스크가 대기위치에 보류된 채로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한 경우의 사시도.
제 20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3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사시도.
제 21a 도 내지 제 21d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3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도.
제 22a 도 내지 제 22d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2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도.
제 23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차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사시도.
제 24a 도 내지 제 24d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분해도.
제 25 도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 클램프장치의 구동계의 클램프전의 측면도.
제 26 도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 클램프장치의 구동계의 클램프중의 측면도.
제 27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lock) 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28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29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30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31 도는 메인트레이의 긴급배출기구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 32 도는 본 실시예의 긴급배출과정의 설명도.
제 33 도는 본 실시예의 긴급배출과정의 설명도.
제 34 도는 본 실시예의 긴급배출과정의 설명도.
제 35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36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37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38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39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40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의 스토퍼기구 및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41 도는 본 실시예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구동계의 로크기구의 상세도.
제 42 도는 메인트레이의 긴급배출기구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공정도.
제 43 도는 본 실시예의 긴급배출을 설명하는 공정도.
제 44 도는 본 실시예의 긴급배출을 설명하는 공정도.
제 45 도는 본 실시예의 긴급배출을 설명하는 공정도.
제 46 도는 본 실시예의 긴급배출을 설명하는 공정도.
제 47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1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상세도.
제 48 도는 본 실시예의 로딩장치가 1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로딩 가능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보류기구의 상세도.
제 4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브트레이의 윗면쪽의 사시도.
제 50 도는 본 실시예의 서브트레이의 아래면쪽의 사시도.
제 51 도는 본 실시예의 5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에 끌어낸 상태의 설명도.
제 52a 도 내지 제 52b 도는 본 실시예의 메인트레이가 외부위치와 삽입위치에 있는 상태의 서브트레이의 적층상태의 설명도.
제 53 도는 본 실시예의 서브트레이의 로크기구의 분해사시도.
제 54 도는 본 실시예의 서브트레이의 윗면의 요부평면도.
제 55a 도와 제 55b 도는 본 실시예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안내과정의 설명도.
제 56 도는 본 실시예의 4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위치로 끌어낸 경우의 메인트레이의 부분의 단면도.
제 57 도는 본 실시예의 4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위치로 끌어낸 경우의 메인트레이 부분의 사시도.
제 58a 도와 제 58b 도는 본 실시예의 4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 위치로 끌러냄으로써 밀어올려지는 5 매째의 서브트레이와 고정가이드의 설명도.
제 59a 도 내지 제 59d 도는 본 실시예와 5 매째 서브트레이를 로딩한 경우의 로크기구의 설명도.
제 60a 도 내지 제 60d 도는 본 실시예의 4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한 경우의 로크기구의 설명도.
제 61a 도 내지 제 61d 도는 본 실시예의 3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한 경우의 로크기구의 설명도.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ROM을 복수매 수납하여 임의의 1 매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가능하고 데스크톱형의 퍼스털 컴퓨터에 내장하기에 가장 적합한 디스크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그 주변기기로서의 CD-ROM 재생장치로 급속히 보급되어 왔다. 최근에는 CD-ROM 재생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내에 표준적으로 장비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1인의 사용자가 복수의 CD-ROM 디스크를 보유하게 되어 상기 디스크를 복수매 수납하면서 임의의 1 매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가능한 장치, 이른 바 디스크 체인저(changer)에 대한 요망이 강해지고 있다.
한편, 많은 데스크톱형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CD-ROM 재생장치를 비롯하여 각종의 디스크 구동장치는 5 인치 베이(5" Bay)라고 불리는 수납부분에 수납, 부착된다. 이 수납부분의 개구부는 5 인치 하프 하이트 (5" Half-height)라고 불리는 표준적인 치수로 되어있고, 여기에 수납되는 장치류는 폭 146mm, 높이 41.3m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 체인저도 외형치수를 그 제약속에 넣어야하나, 장치내에 수납가능한 디스크의 매수를 많게 하려고 하면 필연적으로 장치의 외형치수, 특히 높이치수가 증가하여 5 인치 베이내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디스크 체인저에 있어서, 한정된 치수내에서 수납할 수 있는 디스크의 매수를 많게함과 동시에 장치의 동작을 확실하게 하며 그 신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디스크 체인저의 디스크의 교환방법 및, 한정된 높이치수내에서 디스크의 수납매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종래에 다음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3-216857 호 공보에는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세트된 메인(main)트레이를 광디스크 구동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에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 있는 복수매의 서브트레이중의 임의의 한 서브트레이를 로딩 위치로 끌어내어 로딩 위치에 끌려나온 서브트레이에 세트된 광 디스크를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메인트레이에는 서브트레이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대기위치에 메인트레이를 끌어넣은 상태로 임의의 한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이하, 디스크라고 한다)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그 임의의 한 서브트레이와 메인트레이를 광디스크 구동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어 내어 광디스크 구동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디스크를 꺼내고 새로운 디스크를 세트하여 메인트레이를 삽입위치에 복귀시키는 수순으로 디스크의 교환이 실시되고 있다.
또, 세트된 복수매의 콤팩트 디스크중의 1 매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일본국 특개평 6-259865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는 이젝트(eject)위치의 트레이에 얹어놓여진 콤팩트 디스크를 장치내부의 재생위치에 끌어넣고, 트레이에 얹어놓여진 콤팩트 디스크를 재생하거나 재생위치를 통과하여 더 안쪽의 스톡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커에 적층하여 콤팩트 디스크를 스톡하거나 스토커에 스톡되어 있는 콤펙트 디스크중의 1 매를 재생위치로 끌어내어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는 상기 트레이의 출퇴구동과 상기 스토커의 승강구동은 별도의 모터로 구동되며, 스토커를 승강구동하기 위한 이동부재로 항상 지지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 6-259865 호 공보의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는 스토커를 항상 이동부재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송중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이동부재에 부하가 가해져서 승강핀과의 걸어맞춤이 벗겨지거나 이동부재가 손상되거나 할 염려가 있었다. 특개평 6-14423 호 공보에는 디스크상 기록매체를 장치 하우징의 내부의 회전구동부에 장전하는 장전위치에 이동시키는 자기 디스크 구동장치와 장전위치의 디스크상 기록매체를 수동으로 꺼낼 수 있게 하는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한 특개평 3-216857 호 공보의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정전발생시에는 로딩위치의 광디스크를 꺼낼 수 없게 되므로 로딩위치의 광디스크를 수동으로 꺼낼 수 있도록 이 특공평 6-14423 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조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위치의 광디스크를 로딩위치로 구동하는 동력원의 모터의 출력축을 수동조작으로 회전시켜서 광디스크의 꺼내고, 메인트레이를 대기위치로 구동하는 동력원의 모터의 출력축을 수동조작으로 회전시켜서 메인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특히 모터의 회전을 웜기어를 사용하여 직교평면으로 변향시키고 있는 경우에 수동조작에는 큰 조작력이 필요하여 조작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실개평 5-96936 호 공보에는 메인트레이에 적층된 대기위치의 서브트레이의 상호간격을 좁게하여 메인트레이에의 박형화를 꾀함과 동시에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에 끌어냈을 때에 윗쪽의 서브트레이와의 간격을 확장시켜 안정된 재생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 교환방법에서는 서브트레이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는 홈을 메인트레이에 형성하여 각 서브트레이가 단독으로 메인트레이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메인트레이에 서브트레이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는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메인트레이의 상기의 홈에 서브트레이를 1 매씩 장착하는 것이 필요하여 조작성이 나쁘다.
또, 서브트레이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므로 한정된 높이의 메인트레이에 세트할 수 있는 서브트레이의 매수가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개평 3-216857 호 공보의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정전발생시에는 로딩위치의 광디스크를 꺼낼 수 없게 되므로 로딩위치의 광디스크를 수동으로 꺼낼 수 있도록 특개평 6-14423 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조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위치의 광디스크를 로딩위치로 구동하는 동력원의 모터의 출력축을 수동조작으로 회전시켜 광디스크의 꺼내고, 메인트레이를 대기위치로 구동하는 동력원의 모터의 출력축을 수동조작으로 회전시켜 메인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특히 모터의 회전을 웜기어를 사용하여 직교평면으로 변향시키고 있는 경우에 수동조작에는 큰 조작력이 필요하여 조작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메인트레이에 서브트레이를 적재세트하여 임의의 한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디스크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는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메인트레이에 서브트레이를 적재세트한 경우에 디스크를 조작성이 좋게 교환할 수 있는 디스크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딩위치의 광디스크를 종래 보다 작은 수동조작력으로 꺼낼 수 있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긴급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일한 모터로 운전할 수 있는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일한 모터로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구성하려면 복수의 기어에 의하여 메카니즘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기어의 백러시(backrush)나 이완에 의하여 구동의 전환을 할때에 위상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과부하가 가해진 경우라도 위상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이송중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손상되는 일이 없는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딩위치의 광디스크를 종래 보다는 작은 수동조작력으로 꺼낼 수 있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긴급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냈을 때에 윗쪽의 서브트레이와의 간격을 확장시키는 경우에는 윗쪽의 서브트레이를 원상태로 복귀시킨 경우에 이 윗쪽의 서브트레이가 좌우로 위치가 어긋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서브트레이의 좌우로 위치어긋남이 없는 확실한 동작과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는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의하면, 서브트레이의 양쪽면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지지단부를 형성하고, 적재된 서브트레이의 상기 지지단부에 걸어맞추는 지지가이드를 장치 하우징의 샤시의 양측벽의 안쪽에 형성하여, 메인트레이에 세트되어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의 후단의 적어도 일부와 대기위치에 보류되어 있는 서브트레이의 전단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대기위치에 보류된 서브트레이를 제외한 하단의 서브트레이를 메인트레이와 함께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어내어도 보류된 서브트레이는 후단이 장치 하우징에 설치한 지지가이드에 지지되고, 전단은 메인트레이와 함께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의 후단에 기지되어, 대기위치의 서브트레이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를 장치 하우징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디스크 교환시에 장치 하우징의 대기위치에 보류된 서브트레이의 자세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디스크의 교환이 완료된 때에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보류위치에 원활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디스크 교환방법에 의하면,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져 있는 복수매의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번째의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교환하는 경우에 아래로 부터 N 번째의 서브트레이를 메인트레이와 함게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어내므로 광디스크를 교환하려고 하는 서브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나타나서 디스크를 신속히 바꾸어 넣을 수 있다. 또, 디스크 교환의 서브트레이와 이 서브트레이의 아래에 서브트레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서브트레이도 동시에 메인트레이와 함께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어내므로 디스크 교환의 서브트레이만을 메인트레이와 함께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어내는 경우에 메인트레이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한 서브트레이의 간격유지용의 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한정된 높이의 메인트레이에 많은 서브트레이를 세트할 수 있다.
또, 메인트레이에 간격유지용의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서브트레이를 이 홈에 1 매씩 삽입하여 세트하는 조작이 불필요하여 조작성의 개선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디스크 교환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교환할때에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낸 서브트레이가 있는 경우에는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킨후에 디스크 교환을 실시하므로 로딩위치로 끌려나와 있는 서브트레이가 있는 경우라도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 보다도 위에 적재되어 있는 서브트레이의 디스크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동력원이 단일한 모터의 회전을 끌어넣기 구동계와 로딩 구동계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제 1 의 구동전환수단과, 상기 모터의 출력과 제 1의 구동전환수단의 입력사이에 개장(介裝) 되어 제 1의 구동전환수단과 승강구동계로 전환하여 회전을 전달하는 제 2의 구동전환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제 2의 구동전환수단을 제 1의 구동전환수단 쪽으로 전환하여 제 1 의 구동전환수단을 끌어넣기 구동계 쪽으로 전환함으로써 단일한 모터로 메인트레이를 삽입위치로 끌어넣을 수 있다. 다음에 제 2의 구동전환수단을 승강구동계 쪽으로 전환함으로써 승강구동계만을 구동하여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에 적층하여 스톡되어 있는 복수매의 광디스크중의 목적으로 하는 광디스크가 스톡되어 있는 높이에 로딩 구동계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의 구동전환수단을 로딩 구동계의 쪽으로 전환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광디스크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클램프할 수 있어서, 이렇게 단일한 모터만으로 일련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동력원이 단일한 모터의 회전을 끌어넣기 구동계와 로딩 구동계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제 1 의 구동전환수단을 설치하여 제 1 의 구동전환수단을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향하여 기어를 회전시킨 상태로 끌어넣기 구동계에 동력을 전달하고, 끌어넣기 구동완료후에 로딩 구동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제 1의 구동전환 수단이 상기 기어의 장치 하우징의 앞면으로 부터 조작가능하게 배설하였으므로 로딩 완료상태에서의 정전발생시 등에 긴급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치하우징의 앞면에서 제 1의 구동전환수단의 기어를 수동조작하면 로딩 구동계가 역전하여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와 광디스크가 대기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시 상기 기어를 계속 수동조작하면 끌어넣기 구동계가 역전하여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여 모든 광디스크를 장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제 1, 제 2 의 구동전환수단의 전환에 의하여 삽입위치로의 메인트레이의 끌어넣기, 로딩 구동계의 승강, 목적의 광디스크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클램프하는 일련의 동작을 단일한 모터만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로딩 완료상태에서의 정전발생시 등에 긴급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치 하우징의 앞면에서 제 1의 구동전환수단의 기어를 수동조작하면 로딩 구동계가 역전하여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와 광디스크가 대기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시 상기 기어를 계속 수동조작하면 끌어넣기 구동계가 역전하여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여 모든 광디스크를 장치외부로 꺼낼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의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로딩 완료상태에서의 정전발생시 등에 긴급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치 하우징의 앞면에서 긴급배출레버를 앞으로 당기면 로딩 구동계가 역전하여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와 광디스크가 대기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시 끌어넣기 구동계가 역전하여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여 모든 광디스크를 장치외부로 꺼낼 수 있다.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모터로부터 제 1 의 구동전환수단은 사이에 프릭션(friction)기어를 개장하였으므로 긴급배출시에는 프릭션기어에 의하여 모터와의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약간의 힘으로 긴급배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9 항과 제 10 항 및 제 1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메인트레이의 끌어넣기 동작을 하고 있을때에는 끌어내기 걸림수단에 의하여 구동기어를 걸리게 함으로써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를 로크하기 때문에 동작중에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의 위상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부터 메인트레이로 되돌리는 동작을 하고 있을때에는 이 동작종료직전에 구동전환수단과 구동기어와의 구동전달이 분리된 상태라도 구동전환수단에 의하여 끌어내기 걸림수단을 구동하여 끌어내기 걸림수단의 훅부에 의하여 구동기어의 테이퍼부(tapered part)를 구동하여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므로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의 백러시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구동기어를 걸리게 할 수 있어 과부하가 가해진 경우라도 위상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아 서브트레이를 확실히 메인트레이에 복귀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12 항에 기재된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로딩 완료상태에서의 정전발생시 등에 긴급배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장치 하우징의 앞면에서 보조구동 부재를 삽입하여 구동전환수단의 걸어맞춤부를 차례로 구동함으로써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가 역전하여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와 광디스크가 대기위치로 복귀하고, 다시 메인트레이 끌어넣기 구동계가 역전하여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여 광디스크를 장치외부로 꺼낼 수 있다.
청구항 제 13 항 및 제 14 항에 기재된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승강대가 최하단의 서브트레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이동하였을 때에는 승강대를 승강구동수단이 아니라 주기판에 의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이송중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승강구동 수단이 손상됨으로써 승강대가 벗겨져 정보판독수단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청구항 제 15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메인트레이에서는 서브트레이의 전단부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고, 각 서브트레이의 후단부에는 인접한 서브트레이에 맞닿은 간격유지 돌기를 설치하며, 장치 하우징에는 대기위치의 각 서브트레이에 걸어맞추어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가이드를 설치하여,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트레이에 세트된 각 서브트레이의 전단부가 메인트레이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서 서브트레이의 상호간격을 확보하고, 후단부는 각 서브트레이에 설치한 간격유지 돌기를 인접한 서브트레이에 맞닿게 하여 서로 간격을 확보하여, 메인트레이가 삽입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트레이에 세트된 각 서브트레이의 전단부가 메인트레이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서 서브트레이의 상호간격을 확보하고, 각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는 상기 고정가이드에 걸어맞추어져서 상호간격을 확보하기 때문에, 각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간격유지 가이드를 메인트레이에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장치 하우징에 대한 서브트레이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간격유지 가이드를 메인트레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 하우징의 상기 메인트레이의 이동경로의 옆쪽에서 고정가이드로부터 앞쪽의 공간에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에 걸리게 하는 로크기구를 배설할 수 있어서 장치 하우징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6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각 서브트레이에는 윗면에 제 1 의 돌기, 아래면에 제 2의 돌기를 형성하고,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부터 n매째의 목적의 광디스크가 세트되어 있는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 위치로 끌어내는 경우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제 1 의 돌기가 (n + 1)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제 2의 돌기에 맞닿아서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 올려 n 매째와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간격을 확장함과 동시, 고정가이드에는 서브트레이의 아래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걸어맞추는 안내돌기와, 이 안내돌기의 윗쪽위치에 배설되고, 아래쪽의 서브트레이에 의하여 밀어올려져서 고정가이드의 안내돌기가 가이드홈으로부터 벗겨진 상태에서 서브트레이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좌우어긋남 규제돌기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로딩에 따라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와의 간격을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고정가이드의 안내돌기로 부터 벗겨질 정도로 크게 한 경우라도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좌우어긋남 규제돌기에 걸어맞추어져서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 좌우의 어긋남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트레이에서의 서브트레이의 적층간격을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로딩시에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크게 밀어올릴 필요가 있더라도 작게 할 수 있어서, 장치 하우징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7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부터 n 매째의 목적은 광디스크가 세트되어 있는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 위치에 끌어내는 경우에, (n + 1) 매째 이상의 서브트레이가 로딩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대기위치에 걸리게 하는 서브트레이 걸림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로딩시에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리는 경우에, (n + 1) 매째 이상의 서브트레이가 서브트레이 걸림수단에 의하여 로크되어 (n + 1) 매째 이상의 서브트레이를 확실히 대기위치에 머무르게 할 수 있어서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8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부터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에 설치한 고정가이드를 따라 대기위치로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도록 구성하고, 각 서브트레이의 아래면에는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미끄럼 움직임면의 종단부분에 고정가이드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며, 장치 하우징에는 로딩 종료직전의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후단부에 맞닿아서 이 n 번째의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를 밀어내리는 압압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n 매째의 디스크의 로딩에 의하여 이 n 매째의 디스크를 하강시킬 수 있어서, n 매째의 디스크를 클램프장치가 클램프할때의 가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n 매째의 디스크를 하강시킴으로써 대기위치에 있는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와의 간격을 확장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9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제 15 항 및 제 16 항에 있어서,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하는 경우에,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전단부와 메인트레이와의 걸어맞춤개소를 지지점으로하여 후단부가 윗쪽으로 회전하므로 서브트레이 전체를 윗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서브트레이 앞면부의 위의 틈새를 좁게 할 수 있어서, 서브트레이에 2매의 디스크가 동시에 장착되는 등의 잘못장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0 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는 경우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려서 n 매째와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간격을 확장하므로,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리는 것만의 구성에 비하여 상기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서, 장치 하우징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하강시킨 다음에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 올리므로 안정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린 다음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하강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n + 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상승량을 극력작게 할 수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기본구조를 제 1 도 내지 제 34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메인트레이 (1)는 제 1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형상의 장치 하우징(a drive housing of a generally rectangular box-like configuration)(2)의 앞면 개구부 (3)로 부터 외부로 밀려나온 외부위치와, 제 1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 (2)의 내부로 끌려들어간 삽입위치와의 사이를 구동수단에 의하여 이동시키도록 되어있다. 앞면 개구부 (3)는 제 4 도에 도시한 도어 (4)로 개폐되나, 이 도어 (4)는 스프링과 같은 가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앞면 개구부 (3)를 폐색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메인트레이 (1)가 외부위치에 있으면, 각각에 광디스크 (5)를 세트한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적층체( 제 2 도)가 메인트레이 (1)에 얹어놓여지도록 되어 있고, 어느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서브트레이 적층체가 얹어 놓여져 있는 메인트레이 (1)는 제 1b 도 내지 제 1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위치로 이동시켜 둔다. 그리고, 메인트레이 (1) 에 얹어놓을 수 있는 서브트레이의 수는 메인트레이 (1)의 최대수용매수를 초과하지 않는한 사용자가 얹어놓고 싶은 수대로 된다. 단,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메인트레이 (1)의 최대 수용수는 광디스크 5매로 하고, 이 5매의 광디스크 (61내지 65)가 얹어놓여져 있는 것으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어느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경우, 제 1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에, 그 메인트레이 (1)에 얹어 놓여져서 대기위치에 있는 임의의 1 매의 서브트레이 (여기서는 최상단의 서브트레이(65))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이 로딩위치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 (65)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를 회전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클램프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양측면에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대략 L 자형 단면의 지지단부 (7)가 형성되어 있고, 서브트레이(61내지 65)를 메인트레이 (1) 위에 적재하면 인접한 서브트레이 (61내지 65) 의 사이에 제 1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홈 (8)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트레이 (1)의 받이면(受面) 내지 바닥면(9)과, 그 받이면 (9)에 접하는 최하의 서브트레이(61)의 사이에는 메인트레이 (1)의 양쪽에 안내홈 (8)을 형성하도록 할 필요는 없고, 왼쪽에만 안내홈 (8)이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제 4 도, 제 15 도, 제 19 도에 있어서, 장치 하우징 (2)의 내부에 설치된 샤시 (13)의 측벽 (13R, 13L)의 안쪽에는 삽입위치에 도착한 메인트레이 (1)에 세트되어 있는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상기의 각 안내홈 (8)에 걸어맞추어지는 리브 (10)를 가진 고정가이드 (11a, 11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1~65)가 얹어놓여진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있는 상태, 또는, 제 1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서브트레이가 로딩위치에 끌려나와 있는 상태에서,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어디엔가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를 다른 광디스크로 바꾸어 넣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행하여진다.
제 1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서브트레이가 로딩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를 제 1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위치로 복귀시킨 다음에 광디스크를 교환한다. 예컨대, 적재되어 있는 최상단의 서브트레이 (65)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의 교환은 그 최상단 서브트레이 (65)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후에 제 1e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1내지 65)를 실은채로 메인트레이 (1)를 외부위치로 끌어낸다. 이에 의하여, 광디스크 (5)를 교환하는 서브트레이 (65)가 메인트레이 (1)의 위에 노출되고 있으므로 그 최상단 서브트레이 (65) 위의 광디스크를 꺼내고 다른 광디스크를 세트하면 된다.
한편, 최상단의 서브트레이 (65)와 최하단의 서브트레이 (61)와의 사이에 있는 어느 서브트레이, 예컨대, 서브트레이 (64)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제 1f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 서브트레이(65)를 대기위치에 보류하고, 나머지 서브트레이 (61내지 64)를 실은채로 메인트레이(1)를 외부위치로 끌어낸다. 이에 의하여, 광디스크(5)를 교환하는 서브트레이(64)가 메인트레이 (1)의 위에 노출되고 있으므로 서브트레이 (64) 위의 광디스크를 다른 디스크와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 서브트레이 (64)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의 교환시에 대기위치에 보류된 서브트레이 (65)는 그 후단이 고정가이드 (11a, 11b)로 지지되어 있고, 또 그 전단은 외부로 끌려나온 메인트레이 (1)에 얹혀있는 서브트레이 (61내지 64) 의 후단으로 지지되어 수평자세로 유지되고 있다.
서브트레이 (63, 62, 61)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의 교환의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고, 각각 제 1g 도, 제 1h 도, 제 1i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5)와 (64), (65)와 (64) 및 (63), (65) 와 (64) 와 (63) 및 (62) 를 대기위치로 보류하여 서브트레이 (61내지 63, 61내지 62, 61)를 실은채로 메인트레이 (1)를 외부로 끌어내어 전술한 바와 똑같이 광디스크를 교환한다.
이와 같이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를 적재하여 장치하우징 (2)에 끌어넣도록 구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서브트레이 (61내지 65) 중의 교환하는 광디스크 (5)가 세트되어 있는 서브트레이를 노출시킨 상태로 메인트레이 (1)를 끌어낼 수가 있어서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를 합리적으로 적재시키고 있으므로, 높이가 한정된 장치 하우징 (2)의 내부에 많은 매수의 서브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다.
이상의 광디스크 교환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기구마다 항을 설치하여 설명한다.
(메인트레인의 구동계)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의 이면의 적어도 한쪽의 측부, 예컨대, 좌측부에는 메인트레이 (1)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 (12)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트레이 (1)를 장치 하우징(2)에 세트한 상태에서는 이 랙(12) 이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 (2)의 샤시 (13)에 축 (14)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메인기어 어셈블리(17)와 연휴하는 기어 (15)와 맞물려 있다.
메인기어 어셈블리 (17) 도 샤시 (13)에 설치된 축 (16)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이 자유롭고, 상단기어와 하단기어가 동심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단기어는 그 원주의 일부만이 톱니 (17D)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톱니가 없는 기어이며, 하단기어는 그 원주에 걸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평기어(17U)이다. 상기 랙 (12)과 맞물려 있는 상기 기어 (15)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상단기어의 톱니 (17D)와 걸어맞춤이 자유롭고, 그 톱니(17D)와 걸어 맞추어져 있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 (19)의 구동력이 메인기어 어셈블리(17)의 평기어 (17U)와 맞물려 있는 기어 (32)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제 4 도 참조).
샤시 (13)에 설치된 축 (20)에는 입력기어 (21a)와 출력기어 (21b)를 가진 프릭션기어 어셈블리 (21)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프릭션 기어 어셈블리 (21)는 입력기어 (21a) 와 출력기어 (21b)의 사이에는 펠트(felt)를 개재시켜 스프링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양기어 (21a, 21b)가 서로 압접되어 있는 일반공지의 프릭션기구를 사용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19)의 출력축에 끼워 넣어진 웜(22)은 기어 (23)를 통하여 프릭션기어 어셈블리 (21)의 입력기어 (21a)에 맞물려 있다. 샤시(13)에 설치된 축 (24)에는 아래쪽기어 (25)와 윗쪽기어 (26)가 동심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아래쪽기어 (25)는 입력기어 (21)에 맞물리고, 윗쪽기어 (26)는 출력기어 (21b)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프릭션기어 어셈블리 (21)의 기어 (21a, 21b)의 사이에서 슬립(slip)이 발생할 때까지는 기어(25, 26)가 일체로 회전한다.
모터 (19)를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프릭션기어 어셈블리 (2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 (26, 27, 28, 29)와 아이들러(idler) 기어 (30), 기어(31)를 통하여 기어 (32)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 (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평기어 (17U)와 맞물려 있으므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도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렇게 하여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상단기어의 톱니 (17D)가 기어 (15)와 걸어맞추어지며, 그 후 기어(15)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된다.
기어 (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의 랙 (12)과 맞물려 있으므로, 이 기어 (15)의 화살표 (D)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화살표 (E) 방향으로 끌려 들어간다.
메인트레이 (1)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위치까지 끌려들어가면 샤시(13)에 부착된 마이크로 스위치 (33a) (제 6 도)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이면에 형성된 돌출부 (17a)를 검출하여 제 6 도에 도시한 상태로 모터(19)의 제 1 방향으로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트레이 (1)를 외부로 부터 삽입위치로 끌어넣을 때에는 로딩 구동계의 승강구동장치는 미리 서브트레이 (65)를 로딩하는 최상단에 대기하고 있다.
(서브트레이의 로딩위치로의 구동계)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도착하여 최상단의 서브트레이 (65)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를 로딩하는 경우에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도착한 상태에서는 기어 (15)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상단기어의 톱니 (17D)와의 걸어맞춤으로 부터 벗겨져서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가 없는 부분에 이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서브트레이 (65)의 로딩을 제어부에 명령지시하면, 모터 (19)가 제 1 방향으로 구동하여 기어 (32)를 기어군을 통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 결과, 메인기어 어셈블리 (17)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8 도와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평톱니 (17D)가 기어 (38)에 맞물려서 이 기어 (38)를 화살표 (F) 방향으로 구동한다. 기어 (38)의 회전은 샤시 (13)의 이면에 부착된 기어 (39a, 39b)를 통하여 기어 (39c)에 전달되어 샤시 (13)의 윗면에 부착된 기어 (39d, 39e, 39f, 39g, 39h)를 통하여 기어(39i)를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 (39i)는 로딩 구동계의 승강계 (40)에 핀 (41)으로 피벗(pivot)된 부채꼴 기어 (42)에 맞물려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 (39i)를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부채꼴기어 (42)가 화살표 (H) 방향으로 제 1 위치로 부터 제 2 위치로 회전한다. 부채꼴 기어 (42)의 일단에 설치한 핀 (43)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대 (40)에 핀 (44)으로 기단부가 피벗된 병진레버(motion translating lever) (45)에 형성되어 있는 절삭홈 (46)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부채꼴기어 (42)가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병진레버(45)는 기단부의 핀 (44)를 중심으로 하여 제 8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 9 도에 도시한 상태로 화살표 (I) 방향으로 회전한다.
병진레버 (45)의 일단에 형성된 절삭홈 (47)은 승강대 (40)에 형성된 긴 구멍(48)에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진 로딩훅(49)의 핀 (50)이 걸어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병진레버 (45)가 화살표 (I) 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딩훅 (49)이 긴구멍 (48)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굽은 곳으로 안내되어 로딩훅 (49)이 핀 (50)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J)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후 로딩훅 (49)이 제 9 도에 도시한 상태가 되도록 긴구멍 (48)을 따라 이동된다.
제 7 도와 제 8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 9 도에 도시한 상태로 로딩훅 (49)이 이동함에 따라 서브트레이 (65)의 걸어맞춤부 (51)에 로딩훅 (49)이 걸어맞추어져서 서브트레이 (65) 만을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낸다.
부채꼴기어 (42)가 제 9 도에 도시한 제 2 위치로 회전하여 서브트레이를 로딩 위치로 메인트레이 (1)로부터 끌어내면,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에 부착된 리이프(reef) 스위치 (52)에 핀 (43)이 설치되어 있는 일단과는 반대쪽의 부채꼴 기어 (42)의 타단이 맞닿는다. 제어부는 부채꼴기어 (42)의 상기 타단의 리이프 스위치 (52)에의 맞닿음을 검출하여 모터 (19)의 제 1 방향으로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부채꼴기어 (42)를 구동하는 기어 (39i)에는 제 2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구동용 랙 (76)이 맞물려 있고, 기어 (39i)와는 간격을 둔 랙(76)의 일단에 설치한 핀 (77)은 일단부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대 (40)에 요동이 자유롭게 핀 (78a, 78b)으로 피벗된 클램프 지지대(79)의 타단에 형성된 캠구멍(80)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기어 (39i)가 회전하여 랙 (76)이 승강대 (40)를 따라 화살표 (S)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제 2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지지대 (79)는 캠구멍 (80)을 따라 승강대 (40)에 근접하도록 핀 (78a, 78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 클램프 지지대 (79)에 부착된 공지의 클램프장치 (도시하지 않음)로 로딩위치에 도착한 서브트레이 (65)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를 클램프하여 회전구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도착후에 서브트레이 (64, 63, 62, 61)어느 것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 (5)를 로딩하는 경우에는 승강대 (40)를 로딩하려고 하는 광디스크 (5)가 세트되어 있는 어느 서브트레이 (64내지 61)의 해당 되는 높이레벨까지 승강대 (40)를 하강시켜 서브트레이 (65)의 경우와 똑같이하여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한다.
(로딩 구동계의 승강 구동계)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있을때에 승강대 (40)를 승강하는 구동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4 도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들러기어 (30)는 샤시(13)에 설치된 축 (5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T 자형 레버(54)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스프링 (55)에 의하여 기어 (31)에 맞물리도록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T 자형 레버 (54)의 아래쪽에 있는 상기 기어 (29)는 축 (53)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T 자형 레버 (54)의 자세는 간헐기어 (56)의 윗면에 형성된 캠 (56a)의 형상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T 자형 레버 (54)에는 캠 (56a)에 맞닿는 핀 (54a)이 설치되어 있다. 간헐기어 (56)에는 기어 (25)와 맞물리는 기어 (57)에 맞물리지 않도록 톱니가 없는 제 1 및 제 2의 절삭부 (56a, 56b)가 180°의 위상 차로 형성되어 있다 (제 11 도 참조).
그리고 로딩 구동계가 승강구동의 운전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기어 (57)에 맞물리는 위치에 간헐기어 (56)의 제 1 의 절삭부 (56a)가 이르게 되므로 간헐기어 (56)가 회전되는 일은 없다.
간헐기어 (56)의 이면에는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용 캠 (56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샤시 (13)에 설치된 핀 (58)에는 트리거용 레버(60)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트리거용 레버 (60)는 돌기 (60a)가 설치된 일단과 전자 솔레노이드 (61)의 가동편 (61a)에 걸어 맞추어져 있는 타단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돌기 (60a)가 트리거용 캠(56c)으로 부터 떨어지도록 인장스프링 (59)에 의하여 핀 (58)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를 하강시키려면, 전자 솔레노이드 (61)에 일시적으로 여자하여 트리거용 레버 (60)를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 (59)의 가압에 대항하여 화살표 (K)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트리거용 레버 (60)가 인장스프링(59)에 이렇게 회전하면 트리거용 레버 (60)의 일단에 있는 돌기 (60a)가 간헐기어 (56)를 약간만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그것에 의하여 간헐기어 (56)가 기어 (57)와 맞물린다. 동시에, 모터(19)를 제 1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기어 (57)에 맞물린 간헐기어 (56)가 화살표 (L) 방향으로 구동되어 트리거용 캠 (56a)에 의하여 T자형 레버 (54)가 축 (53)을 중심으로 화살표 (M)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렇게 하여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들러 기어 (30가 샤시 (13)에 설치된 축 (6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큰 직경기어 (63)에 맞물려서 이 큰 직경 기어 (63)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회전된 큰 직경기어 (63)는 간헐기어 (56)의 제 2 절삭부 (56b)가 기어 (57)에 임하는 위치에 도착하여 간헐기어 (56)와 기어 (57)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 (19)를 제 1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 프릭션기어 어셈블리 (21)를 화살표 (A)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26, 27, 28, 29)와 아이들러기어 (30)를 통하여 큰 직경 기어 (63)가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2 도에 있어서, 큰 직경 기어 (63)의 이면에는 대략 소용돌이 모양의 캠홈(62a)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샤시 (13)에 축 (64)으로 피벗된 승강구동 레버 (65)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 (65a)이 이 캠홈(62a)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래서, 큰 직경 기어 (63)가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하면 축 (64)과는 떨어진 승강구동레버 (65)의 타단은 그 축 (64)을 중심으로 화살표(O) 방향으로 회전하여 샤시 (13)의 우측판 (13R)의 바깥쪽에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부착한 우승강 가이드판 (66R)의 하단에 걸어맞추어져서, 이 우승강 가이드판 (66R)을 우측판 (13R)을 따라 샤시 (13)의 앞면쪽 (화살표 (P)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승강 가이드판 (66R)과 샤시 (13)의 좌측판 (13L)의 바깥쪽에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부착한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각각의 상부에는 핀 (66a, 66b)이 장착되어 있고, 이들 핀 (66a, 66b)은 대략 중앙부가 샤시 (13)의 상부 판으로 부터 수직으로 내린 핀 (13a)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연결레버 (67)의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노치 (67a, 67b)에 걸려 들어가 있다. 따라서, 우승강 가이드판 (66R) 이 샤시 (13)의 앞면쪽 (화살표 (P) 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승강 가이드판 (66L)은 샤시 (13)의 후단쪽으로 이동한다. 즉, 좌승강 가이드 (66L)와 우승강 가이드판 (66R)는 연결레버 (67)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우승강 가이드판 (66R)에는 제 13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경사승강 가이드구멍(68Ra, 68Rb)과 슬라이드 가이드구멍 (68Rc)이 뚫려있고, 좌승강가이드판 (66L) 에도 제 14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경사승강 가이드구멍(68La, 68La)과 슬라이드 가이드구멍 (68Lc)이 뚫려있다. 경사승강 가이드구멍 (68Ra, 68Rb, 68La, 68Lb)은 모두 동일형상이지만, 우승강 가이드판 (66R)의 경사승강 가이드 구멍 (68Ra)과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경상승강 가이드구멍(68La, 68Lb)은 경사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의 양쪽에는 핀 (40Ra, 40Rb, 40La, 40Lb)이 설치되어 있고, 승강대 (40)의 우측면의 핀 (40Ra, 40Rb)은 각각 샤시(13)의 우측단 (13L)에 뚫어 설치된 구멍 (69Ra, 69Rb)을 관통하여 우승강 가이드판 (66R)의 승강 가이드구멍 (68Ra, 68Rb)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똑같이, 승강대 (40)의 좌측면의 핀 (40La, 40Lb)은 각각 샤시 (13)의 좌측판(13L)에 뚫어진 구멍 (69La, 69Lb)을 관통하여 좌승강가이드판 (66L)의 승강가이드구멍 (68La, 68Lb)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 우승강 가이드판 (66R)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가이드구멍 (68Rc)에는 샤시 (13)의 우측판 (13R)에 설치된 핀 (40Rc) 이, 또 좌승강 가이드판 (66L)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가이드구멍 (68Lc)에는 샤시 (13)의 좌측판(13L)에 설치된 핀 (40Lc)이 각각 삽입되어 걸려있다.
이와 같이 우승강 가이드판 (66R)과 좌승강 가이드판 (66L)을 연동하여 미끄럼 움직이게 함으로써, 승강대 (40)는 최상단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5) 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a 도와 제 14a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와, 서브트레이 (64)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b 도와 제 14b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와, 서브트레이 (63)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c 도와 제 14c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와, 서브트레이 (62)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d 도와 제 14d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와, 서브트레이 (61)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e 도와 제 14e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의 어느 정지위치에 승강시킬 수 있다.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slit)판 (70)이 부착되어 있고, 이 슬릿판 (70)에는 검출구멍 (701내지 705)이 뚫려있다. 샤시 (13)에는 검출구멍 (701내지 705)을 검출할 수 있는 1개의 포토인터럽터 (71)가 고정되어 있다.
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소정시간만큼 모터 (19)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어, 포토인터럽터 (71)가 검출구멍 (705)을 검출하는 초기상태에 세트된다. 억세스할 서브트레이의 번호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예컨대, 서브트레이 (63)를 억세스할 그 서브트레이 (63)의 번호를 제어부에 입력하면, 포토인터럽터 (71)가 2개째의 검출구멍 (703)을 검출할때까지 모터 (19)를 제 1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대 (40)를 제 13b 도와 제 14b 도에 도시한 상태를 거쳐 제 13c 도와 제 14 c 도에 도시한 상태로 강하시켜 정지한다. 기타의 서브트레이를 억세스하는 경우도 똑같다.
(광디스크 교환시의 대기위치에의 서브트레이 보류 기구)
샤시 (13)의 좌측판 (13L)에는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 (72) 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창 (72)에 임하여 샤시 (13)의 좌측판의 안쪽에는 제 4 도와 제 15 도에 도시한 합성수지제의 보류지지블록 (7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가이드 (11b)가 일체로 성형된 이 보류지지블록 (73)에 심어 설치된 축 (73a)에는 제 1 내지 제 4의 보류레버 (741내지 744)가 피벗되어 있다. 각 보류레버 (741내지 744)의 일단에는 접촉부 (75a)와 이보다 긴 다리부 (75b)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훅 (75)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좌승강 가이드판 (66L)에는 샤시 (13)의 창 (7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1 내지 제 4의 캠돌기(661내지 664)가 상기 보류레버 (741내지 744)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트레이 (65)의 광디스크 교환)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가 서브트레이 (65)에 억세스 가능한 제 15 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4의 보류레버 (741내지 744)는 각각의 다리부 (75b)의 탄성력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제 1 내지 제 4의 캠돌기 (661내지 664) 에 의하여 접촉부 (75a)가 화살표 (Q) 방향으로 밀려들어가서, 제 1 내지 제 4의 보류레버 (741내지 744)의 각 훅 (75c)은 제 16a 도 내지 제 16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되어 있는 서브트레이 (65내지 6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6a)로 부터 벗겨져 있다.
그리고, 적재된 서브트레이 (61내지 65)를 메인트레이 (1)에 걸리게 하기 위하여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오목부 (6b)에 걸어맞추어지는 판스프링(1a)이 제 2 도와 제 1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에 설치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 (1a)은 일단이 서브트레이의 수와 같은 개수의 대략 V자형의 탄성설(舌)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 타단에는 보조스프링 (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1b)는 축 (1c)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메인트레이 (1)에 부착된 스토퍼를 표시하고 있다. 이 스토퍼 (1b)는 상기 보조스프링 (1d)에 의하여 일단이 메인트레이 (1)의 안쪽에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스프링 (1d)에 의하여 가압되어 스토퍼 (1b)의 상기 일단이 메인트레이 (1)의 안쪽에 임하고 있으면 이 스토퍼 (1b)의 상기 일단은 메인트레이 (1)에 세트된 서브트레이 (61내지 66)의 각 오목부 (6c)에 걸어맞추어져서 세트된 서브트레이 (61내지 65)가 탈락하지 않도록 작용하고 있다. 이 스토퍼 (1b)는 메인트레이 (1)를 삽입위치로 끌어넣은 상태에서는 스토퍼 (1b)에 상기 일단과는 반대쪽에는 일체로 성형되어 메인트레이 (1)의 측판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레버부 (1e)가 샤시 (13)의 좌측판 (13L)의 안쪽에 맞닿고 있으므로, 스토퍼 (1b)의 각 상기 일단은 보조스프링 (1d)의 가압에 대항하여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각 오목부 (6c)로 부터 벗겨져 있다.
이와 같이 메인트레이 (1)를 삽입위치에 끌어넣는 상태에서는 서브트레이 (61내지 65)는 판스프링 (1a)에만 걸어맞추어져서 적당한 걸림력으로 메인트레이 (1)에 로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가 서브트레이 (65)에 억세스 가능한 제 15 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4의 보류레버 (741내지 744)의 각 훅 (75c)은 제 16a 도 내지 제 16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되어 있는 서브트레이 (65내지 62)의 오목부 (6a)로 부터 벗겨져 있다. 이 상태에서 서브트레이 (65)의 광디스크 교환을 제어부에 지시하면, 제어부는 즉시 모터 (19)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를 화살표 (C)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e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1내지 65)를 실은 상태로 메인트레이 (1)를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 끌어낸다. 이와 같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모터 (19)로의 전력공급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 (17c)를 마이크로 스위치 (33b)가 검출하면 차단된다.
(서브트레이 (64)의 광디스크 교환)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가 서브트레이 (65)에 억세스 가능한 상태에 있고, 또한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브트레이 (64)의 광디스크 교환을 제어부에 명령지시하면, 제어부는 먼저 우승강 가이드판 (66R)과 좌승강 가이드판 (66L)을 연동하여 미끄럼 움직이게 하여 메인트레이 (1)에 적재되어 대기상태에 있는 위로 부터 2 매째의 서브트레이 (64)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b 도와 제 14b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에 승강대 (4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제 18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보류레버 (741)의 접촉부(75a)와 좌승강 가이드판 (66L) 의 제 1 의 캠돌기 (661)와의 맞닿음이 해제되며, 그에 따라 제 1 보류레버 (741)가 다리부 (75b)의 탄성력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그것에 의하여 훅 (75c)이 서브트레이 (65)의 오목부(6a)에 걸어맞추어진다. 제 2 내지 제 4 보류레버 (742내지 744)는 각각의 다리부 (75b)의 탄성력으로 발생하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제 2 내지 제 4 캠돌기 (662내지 664)에 의하여 접촉부 (75a)가 화살표 (Q)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서 제 18b 도 내지 제 18 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4, 63, 62)의 오목부 (6a)로 부터 벗겨져 있다.
승강대 (4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모터 (19)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트레이 (1)를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 끌어내나, 그때의 모터 (10)에의 전력공급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 (17c)를 마이크로 스위치 (33b)가 검출함으로써 차단된다.
이와 같이 메인트레이 (1)를 끌러내면 제 1f 도와 제 1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보류레버 (741) 의 훅 (75c)이 오목부 (6a)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서브트레이 (65)를 대기위치로 보류하여 서브트레이 (61내지 64)가 메인트레이(1)와 함께 외부로 이동하여 서브트레이 (64)가 노출되므로 서브트레이 (64)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만을 신속히 바꾸어 넣을 수 있다.
(서브트레이 (63)의 광디스크 교환)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가 서브트레이 (65)에 억세스 가능한 상태에 있고,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브트레이 (63)의 광디스크 교환을 제어부에 명령지시하면, 제어부는 먼저 우승강 가이드판 (66R)과 좌승강 가이드판 (66L)을 연동하여 미끄럼 움직이게 하여 메인트레이 (1)에 적재되어 대기상태에 있는 위로부터 3 매째의 서브트레이 (63)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c 도와 제 14c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에 승강대 (4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제 20 도, 제 21a 도 및 제 21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보류레버 (741, 742)의 접촉부 (75a)와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제 1 및 제 2 캠돌기 (661, 662)와의 맞닿음이 해제되어, 훅 (75c)이 이 서브트레이 (65, 64)의 오목부 (6a)에 걸어맞추어진다. 제 3 및 제 4 보류레버 (743, 744)는 제 3 및 제 4 캠돌기 (663, 664)에 의하여 접촉부 (75a)가 밀려들어가서 서브트레이 (63, 62)의 오목부 (6a)로 부터 벗겨져 있다.
승강대 (4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 모터 (19)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트레이 (1)를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 끌어내나, 그때의 모터 (19)로의 전력공급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 (17c)를 마이크로 스위치 (33b)가 검출함으로써 차단된다.
이와 같이 메인트레이 (1)를 끌어내면, 제 1g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65, 64)를 대기위치에 보류하여 서브트레이 (63, 62)가 메인트레이 (1)와 함께 외부로 이동하여 서브트레이 (63)가 노출되므로 서브트레이(63)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만을 신속히 바꾸어 넣을 수 있다.
(서브트레이 (62)의 광디스크 교환)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가 서브트레이 (65)에 억세스 가능한 상태에 있고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브트레이 (62)의 광디스크 교환을 제어부에 명령지시하면, 제어부는 먼저 우승강 가이드판 (66R)과 좌승강 가이드판 (66L)을 연동하여 미끄럼 움직이게 하여 메인트레이 (1)에 적재되어 대기위치에 있는 위로부터 4 매째의 서브트레이 (62)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d 도와 제 14d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에 승강대 (4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보류레버 (741, 742,743)의 접촉부 (75a)와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제 1, 제 2, 제 3의 캠돌기 (661, 662, 663)의 맞닿음이 해제되어 훅(75c)이 서브트레이 (65, 64, 63)의 오목부 (6a)에 걸어맞추어진다. 제 4 보류레버 (744)는 제 4의 캠돌기 (664)에 의하여 접촉부(75a)가 밀려들어가서 서브트레이 (62)의 오목부 (6a)로 부터 벗겨져 있다.
승강대 (4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모터 (19)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트레이 (1)를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 끌어내나, 그때의 모터 (19)로의 전력공급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 (17c)를 마이크로 스위치 (33b)가 검출함으로써 차단된다.
이와 같이 메인트레이 (1)를 끌어내면, 제 1h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5, 64, 63)를 대기위치에 보류하여 서브트레이 (62)가 메인트레이 (1)와 함께 외부로 이동하여 서브트레이 (62)가 노출되므로 서브트레이 (62)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만을 신속히 바꾸어 넣을 수 있다.
(서브트레이 (61)의 광디스크 교환)
로딩 구동계의 승강대 (40)가 서브트레이 (65)에 억세스 가능한 상태에 있고,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브트레이 (61)의 광디스크 교환을 제어부에 명령지시하면 제어부는 먼저 우승강 가이드판 (66R)과 좌승강 가이드판 (66L)을 연동하여 미끄럼 움직이게 하여 메인트레이 (1)에 적재되어 대기위치에 있는 위로부터 4 매째의 서브트레이 (62)에 로딩 구동계가 억세스 가능한 제 13e 도와 제 14e 도에 도시한 정지위치에 승강대 (4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제 23 도와 제 24a 도 내지 제 24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보류레버 (741내지 744)의 모든 접촉부 (75a)와 좌승강 가이드판 (66L)의 제 1 내지 제 4 캠돌기 (661내지 664)와의 맞닿음이 해제되어, 훅 (75c)이 서브트레이 (65내지 62)의 오목부 (6a)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승강대 (4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모터 (19)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트레이 (1)를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 끌어내나, 그때의 모터(19)로의 전력공급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 (17c)를 마이크로 스위치 (33b)가 검출함으로써 차단된다.
이와 같이 메인트레이 (2)를 끌어내면, 제 1i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5내지 62)를 대기위치에 보류하여 서브트레이 (61) 만이 메인트레이 (1)와 함께 외부로 이동하여 서브트레이 (61)가 노출되므로 서브트레이 (61)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만을 신속히 바꾸어 넣을 수 있다.
(메인트레이의 삽입위치에서의 로크기구)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의 바닥면에는 돌기 (81)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윗면에는 제 2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16)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의 돌출부 (8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82a)의 한쪽의 단부에는 테이퍼부(82b, 82c)가 형성되어 있다.
제 27 도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 (15)를 통하여 메인트레이 (1)가 끌려들어가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메인트레이 (1)가 제 27 도 내지 제 31 도에 도시한 상태를 거쳐 제 32 도에 도시한 상태까지 끌여들어간다. 이하, 상세한 끌어넣기 동작설명을 한다.
메인기어 어셈블리 (17)가 회전하여 메인트레이 (1)의 돌기 (81)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테이퍼부(82c)의 옆을 통과하여, 제 3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부(82b)가 돌기 (81)를 끌어안듯이 진입하면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와 기어 (15)와의 맞물림이 벗겨져서, 메인트레이 (1)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테이퍼부 (82c)에 의하여 구동되어 삽입위치까지 끌려들어간다 (제 31 도). 또, 서브트레이 (도시하지 않음)가 메인트레이 (1)로 부터 끌려나와서 디스클램프가 행하여지는 상태까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가 회전하여도, 제 3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의 돌기 (81)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돌출부 (82a)에 맞닿아서 메인트레이 (1)가 수동으로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서브트레이 끌어넣기 구동계의 로크기구)
제 4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38)에는 서로 같은 각도로 5개의 오목부(38a)가 형성되고, 오목부 (38a)를 형성하는 측벽면에는 대략 회전축 중심을 향하는 직선부 (38b, 38c)와, 이들 직선부 (38b, 38c)를 연결하는 테이퍼부(38d)가 형성되어 있다. 모든 로크 레버 (끌어내기 걸림수단)(101)는 샤시 (13)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이 모드 로크 레버 (101)의 한쪽의 단부에는 기어 (38)의 오목부 (38a)와 같은 형상의 훅부 (101a)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원호홈(100a, 100b) 및 테이퍼홈 (100c)과 걸어맞추어지는 핀 (10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모드 로크 레버 (101)는 비틀림 스프링 (102)에 의하여 훅부 (101a)가 기어 (38)의 오목부 (38a)와 걸어 맞추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이면에는 반경이 다른 원호홈 (100a, 100b)과 양원호홈을 연결하는 테이퍼홈 (100c)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기어 회전에 따라 모드 로크 레버 (101)를 회전구동시켜, 기어 (38)의 회전의 걸림/해제를 하고 있다.
제 39 도는 승강대 (40)의 승강이 가능한 대기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원호홈 (101a)과 모드 로크 레버 (101)의 핀 (101b)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기어 (28)는 소정위상에서 회전불능상태로 로크되어 있다.
제 39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가 회전되면,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테이퍼홈 (100c)에 의하여 모드 로크 레버 (101)가 비틀림 스프링(102)의 탄성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되며, 이렇게 하여 훅부 (101a)가 기어(39)의 오목부 (38a)의 직선부(38c)와의 걸어맞춤이 벗겨져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에 의한 기어 (38)가 맞물려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이 개시된다 (제 40 도). 이 상태에서는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 훅 (45)이 구동되어 서브트레이 (도시하지 않음)의 로딩위치로의 끌어내기가 행하여진다.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가 완료될때까지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원호홈 (101b)과 모드 로크 레버 (101)의 핀 (101b)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기어 (38)의 로크 상태는 해제되고 있다.
또, 본 장치의 조립을 할 때에는 제 8 도에 도시한 로딩 훅(49)을 화살표 (I)와 반대방향으로 기어감속계열의 백러시나 휨에 의한 덜그럭거림을 없애기 위하여 기어 (30a)를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모드 로크 레버 (101)의 훅부 (101a)와 기어 (38)의 오목부(38a)가 일치하는 위상에서 기어 (38)를 샤시 (13)에 조립한다.
이에 의하여,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와 기어 (38)와의 맞물림이 벗겨진 상태에서는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회전에 의하여 모드 로크 레버 (101)의 훅부 (101a)가 기어 (38)의 오목부 (38a)의 테이퍼부(38d)를 눌러서 기어 (38)를 백러시가 흡수된 소정위상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와 기어 (38)와의 맞물림이 벗겨지는 순간에도 훅부 (101a)가 오목부(38a)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기어 (38)에 과부하가 가해져도 직선부 (38b)와 훅부 (101a)로 팽팽해져 기어 (38)가 역전하기 않고 위상어긋남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긴급배출기구, 그 제 1 실시예)
제 3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기구를 덮듯이 샤시 (13)에 레버지지대 (84)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레버지지대 (84)에는 이 레버지지대 (84)에 일체로 형성된 걸어맞춤편(84a, 84b, 84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어 맞춤편 (84a, 84b, 84c)에 의하여 긴급배출레버 (85)가 레버지지대 (84)에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제 30 도 및 제 31 도에 있어서의 긴급배출레버 (85)의 정지위치는 긴급배출레버 (85)에 형성된 랙 (85a)이 돌출부 (82a)의 톱니 (86)와는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위치 (기어기구와는 연결이 해제된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위치)이다. 제 32 도는 긴급배출레버 (85)가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위치에 있고,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클램프장치가 광디스크 (5)를 클램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장치 하우징 (2)의 앞면 개구부 (3)를 폐색하는 도어 (4)를 열어 긴급배출레버 (85)를 수동으로 앞으로 당기면, 긴급배출레버 (85)의 돌출부 (85b)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돌출부 (82b)에 걸어맞추어져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를 화살표 (C)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기어기구에 연결되는 긴급배출위치). 이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회전이 기어기구를 통하여 기구 (39i)에 전달되어 클램프장치에 의한 클램프의 해제와,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언로딩 동작이 시작된다. 그리고, 긴급배출레버 (85) 로 기어기구를 수동으로 강제구동시킨 경우에는 프릭션기어 (21)의 출력측기어(21b)와 입력측기어(21a)와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입력측기어(21a)로 부터 모터 (19)까지가 기어기구로 부터 분리되므로, 수동조작에 필요한 힘을 가볍게 할 수 있어서 긴급배출레버 (85) 를 쉽게 끌어낼 수 있다.
긴급배출레버 (85)를 수동으로 앞으로 당김으로써, 긴급배출레버 (85)의 톱니(85a)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돌출부 (82a)의 톱니 (86)가 제 33 도, 제 3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려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를 화살표 (C)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언로딩이 완료되며, 이어서 메인트레이(1)가 삽입위치로 부터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 향하여 구동되어 강제배출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정전중이라도 긴급배출레버 (85)를 수동조작함으로써 언로딩 및 메인트레이 (1)의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의 구동이 가능하다. 또, 기어기구의 입력과 동력원의 모터 사이에 프릭션기어 (21)를 개장하였으므로 약간의 힘으로 긴급배출레버 (85)를 끌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메인트레이를 삽입위치에 끌어넣은 메인트레이의 끌어넣기 구동계를 랙 (12), 기어 (15) 등으로 구성한다. 또, 대기위치로 부터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는 로딩구동계를 기어 (38, 39a 내지 39i), 부채꼴기어 (42), 로딩훅 (49), 클램프 구동용 랙 (76), 클램프 지지대 (79) 등으로 구성한다. 또한,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로 부터 적당한 1 매의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도록 상기 로딩 구동계를 서브트레이의 적층 방향으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계를 큰 직경기어 (63), 승강구동레버 (65), 우승강 가이드판 (66R), 좌승강 가이드판 (66L) 등으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끌어넣기 구동계와 상기 로딩 구동계의 어느 것에 모터 (19)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 1 구동전환수단을 메인기어 어셈블리 (17) 등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모터 (19)의 출력과 제 1 구동전환 수단의 입력의 사이에 개장되어 제 1의 구동전환수단과 승강구동계의 어느 것에 모터 (19)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 2 구동전환수단을 간헐기어(56), 아이들러기어 (30), 전자 솔레노이드 (61)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단일한 모터 (19) 만으로도 제 1, 제 2 의 구동전환수단의 전환에 의하여 메인트레이의 끌어넣기와 로딩과 로딩장치의 승강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로딩 완료상태에서 긴급배출레버 (85)를 수동조작하면, 로딩 구동계가 역전하여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와 광디스크가 대기위치로 복귀되며, 다시 상기 기어를 계속 수동조작하며, 끌어넣기 구동계가 역전하여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여 모터 (19)가 정지하고 있어도 모든 광디스크를 장치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긴급배출레버 (85)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를 수동조작하도록 구성하였으나, 긴급배출레버 (85)를 설치하지 않고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4)를 연 상태에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를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켜, 언로딩 및 메인트레이 (1)의 장치 하우징 (2)의 외부로의 구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긴급배출기구, 그 제 2 실시예)
다음에 배출기구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4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외부로 부터 삽입되는 긴급배출로드 (보조구동부재)(103)의 선단에 걸어맞추도록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표면에 복수의 키이형상돌기 (걸어맞춤부) (99a 내지 99d)가 형성되어 있다.
제 42 도의 상태에서, 어떤사고로 인하여 장치의 기능이 정지된 경우에는 도어 (4)를 수동으로 열어 긴급배출로드 (103)를 장치내의 메인트레이 (1)와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와의 틈새에 삽입하여 긴급배출로드 (103)의 선단을 키이형상의 돌기 (99a)에 건다. 이 상태에서 긴급배출로드 (103)를 화살표(W)의 방향으로 밀어넣어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를 2점쇄선의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광디스크의 클램프상태가 해제된다. 여기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회전중에는 키이형상돌기 (99a 내지 99d)가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긴급배출로드 (103)는 키이형상돌기 (99a 내지 99d)로 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다.
긴급배출로드 (103)를 화살표 (W)의 방향으로 밀어넣어가면, 제 4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이형상돌기 (99b)에 의하여 이 이상의 밀어넣기가 저지된다. 여기서 부터는 긴급배출로드 (103)를 화살표 (W)와 반대방향으로 한번 빼고, 키이형상돌기 (99b)에 걸어맞추게 하고, 다시 화살표 (W)의 방향으로 밀어넣어간다. 이러한 작업을 4번 반복하여 제 44 도, 제 45 도의 공정을 거쳐 메인트레이 (1)가 장치 하우징으로 부터 배출된 제 46 도의 상태까지 행하면, 조작자가 메인트레이 (1)를 잡고 완전히 꺼낼 수 있게 된다.
또, 이때 로딩위치까지 끌려나온 서브트레이 보다 윗쪽에 적재된 서브트레이는 장치내에 남아있다. 그래서, 남아있는 서브트레이에 대해서도 장치 하우징으로 부터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든 서브트레이 (61내지 65)를 얇은 수지부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치 하우징내에 남아있는 서브트레이를 꺼내기 위해서는 이것을 탄성변형시켜 보류레버 (741내지 744)와의 걸어맞춤상태를 벗긴다. 이렇게하여 강제적으로 장치 하우징으로부터 모두를 꺼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메인트레이 (1)를 삽입위치에 끌어넣는 메인트레이 끌어넣기 구동계를 랙 (12), 기어 (15) 등으로 구성하고, 대기위치로 부터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는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를 기어 (38, 39a 내지 39i), 부채꼴기어 (42), 로딩훅 (49), 클램프 구동용 랙 (76), 클램프 지지대 (79) 등으로 구성하고, 구동전환수단을 간헐기어로 형성된 메인기어 어셈블리 (17)로 구성하여, 끌어넣기 걸림수단을 모드 로크 레버 (101)로 구성하여 모드 로크 레버 (101) 의 훅부 (101a)로 기어 (38)를 회전구동하여 백러시를 감소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단일한 모터 (19) 만으로도 위상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동작과 메인트레이의 끌어넣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장치밖에서 긴급배출로드 (103)에 의하여 메인기어 어셈블리 (17)의 키이형상돌기 (99a 내지 99d)를 차례로 밀어넣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를 메인트레이와 함께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이송상태에서는 승강대 (40)를 최하단까지 이동시켜, 승강대 (40)의 핀 (40Ra, 40Rb, 40Lb, 40La)을 샤시 (13)의 구멍 (69Ra, 69Rb, 69La, 69Lb)으로 각각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외부로 부터 충격에 강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서브트레이의 (n+1) 매째의 규제 방법)
제 49 도 내지 제 52 도는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전단부에는 제 5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트레이 (1)의 구멍 (87)에 걸어맞추는 돌출부 (8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후단부의 윗면과 아래면에는 격리용 리브 (89a, 8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51 도에 도시한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5)에는 작은 직경 디스크 (D8)를 세트하기 위하여 어댑터 (99)가 세트되어 있다.
메인트레이 (1)가 외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는 제 52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의 돌출부 (88)가 메인트레이 (1)의 구멍 (87)에 걸어맞추어져서 인접한 서브트레이와의 간격이 확보되며, 후단부는 아래쪽의 서브트레이의 격리용 리브 (89a)에 윗쪽의 서브트레이의 격리용 리브 (89b)가 맞닿아서 인접한 서브트레이와의 간격이 확보되고 있다.
메인트레이 (1)가 삽입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는 제 52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후단부는 고정가이드 (11a, 11b)에 지지되어 인접한 서브트레이와의 간격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장치 하우징쪽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가이드 (11a, 11b)로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후단부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후단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로딩 기구에 대하여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위치를 정확히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메인트레이 (1)에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후단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메인트레이 (1)의 이동경로의 옆쪽에서 고정가이드 (11a)의 앞쪽의 공간 (90)에 상기 제 1 내지 제 4 보류레버 (741 내지 744) 등으로 구성되는 서브트레이의 로크기구를 배설하여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 15 도에서는 서브트레이의 로크기구의 일부와 고정가이드 (11a)가 보류지지블록 (7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서브트레이의 로크기구와 고정가이드 (11a)는 따로따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고정가이드 (11a)는 제 5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를 지지하는 지지통로 (911 내지 915)에 각각 안내돌기 (91a)와, 이 안내돌기 (91a)의 윗쪽에는 앞쪽으로 좌우어긋남 규제돌기 (91b)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돌기 (91a)는 서브트레이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단부 (7)의 홈 (제 50 도 및 제 54 도 참조)에 걸어맞추어져서, 서브트레이가 메인트레이 (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위치결정을 하고 있다. 이 어긋남 규제를 하는 돌기 (91b)의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단부 (7)의 홈의 전단부에는 제 50 도 및 제 5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 (92)가 형성되어 있다. 제 55a 도는 서브트레이의 로딩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 55b 도는 서브트레이가 로딩 종료직전의 위치로 끌려 나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오목부 (92)의 서브트레이에 있어서의 위치는 서브트레이가 로딩 종료직전의 위치로 끌려나온 상태에서 안내돌기 (91a)가 들어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55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위치로 끌려나올때에 서브트레이의 전단부는 오목부 (92)의 깊이만큼 하강한다.
또, 승강대 (40)에는 제 51 도와 제 5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의 종료 직전부터 로딩의 종료위치에 끌려나온 서브트레이에 걸어맞추어지는 압압수단으로서의 누름부재 (93)가 고정되어 있고, 로딩의 종료직전에는 제 55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의 격리용 리브 (89b)가 누름부재 (93)의 가이드면의 아래면에 형성된 오목부 (93a)에 들어가고, 또한 서브트레이의 후단부의 윗면이 누름부재 (93)의 가이드면의 윗면에 형성된 凸부(93b)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가며,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도 하강한다.
이와 같이 로딩위치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는 광디스크를 끼워 지지하여 회전 구동하는 클램프장치의 사이를 통과하여 하강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프장치가 광디스크를 클램프하는 경우의 가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로딩위치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가 상기와 같이 하강한 후에 다시 로딩종료위치로 향하여 서브트레이가 끌려나옴으로써, 끌려나온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의 돌기 (94a)가 대기위치에 있는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아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의 돌기 (94b)에 맞닿아서, n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서브트레이 (64)인 경우에는 제 55 도와 제 5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1) 매째의 서브트레이 (65)는 메인트레이 (1)의 구멍 (87)과 서브트레이 (65)의 돌출부 (88)와의 걸어맞춤개소를 지지점으로 하여 서브트레이 (65)의 후단부가 윗쪽으로 회전하여 로딩위치의 n 매째의 서브트레이 (64)와의 간격이 확장된다. 그리고, 제 1 의 돌기 (94a)가 메인트레이의 박형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아래면에는 적층상태로 아래쪽의 서브트레이의 제 1 의 돌기 (94a)를 수용하는 오목부 (9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트레이 (1)에서의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적층의 간격을 좁게하여 장치의 박형화를 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생상태에서는 n 매째의 서브트레이 (64)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 (65)와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n 매째의 서브트레이에 세트된 광디스크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에 접촉하지 않아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또, n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릴뿐만 아니라 n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대기위치로 부터 하강한후에 (n+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리고 있으므로, 로딩위치에 있어서의 n 매째의 서브트레이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간격을 종래 보다도 넓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메인트레이 (1)에서의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적층의 간격을 더욱 좁게 하여도 종래와 같은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하강과 n 매째의 서브트레이에 의한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밀어올리기의 타이밍은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하강이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밀어올리기보다도 선행하여 행하여 지고 있으므로,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하강과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윗쪽으로의 회전이 동시에 실시되거나, n 매째의 서브트레이에 의한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밀어올리기가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하강보다도 선행하여 실시된 경우와 같이, n 매째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동시에 상하 이동하는 일이 없어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고정가이드 (11a)에 형성된 상기 어긋남 규제용 돌기 (91b)의 작용을 설명한다.
대기위치의 (n+1) 매째의 서브트레이 (65)와 어긋남 규제돌기 (91b)와의 위치관계는 제 58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에 뚫려있는 구멍 (96)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안내돌기 (91a)는 서브트레이 (65)의 지지단부 (7)의 홈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n 매째의 서브트레이 (64)에 의하여 (n+1) 매째의 서브트레이 (65)가 밀어 올라감으로써, 안내돌기 (91a)가 서브트레이 (65)의 지지단부 (7)의 홈으로부터 벗겨지더라도, 이 경우에는 제 58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 (65)의 구멍 (96)에 돌기 (91b)가 걸어맞추어져서, 안내돌기 (91a)가 서브트레이 (65)의 지지단부 (7)의 홈으로 부터 벗겨진 상태라도 서브트레이 (65)가 좌우로 어긋나는 일이 없고, n 매째의 서브트레이 (64)를 대기위치로 복귀시켰을 때에는 (n+1) 매째의 서브트레이 (65)의 지지단부 (7)의 홈에 안내돌기 (91a)가 확실히 걸어맞추어져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안내돌기(91a)과, (n+1) 매째의 서브트레이 (65)의 지지단부 (7)의 홈으로 부터 벗겨질 정도로 크게 밀어올릴 수 있어서, 메인트레이 (1)에서의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적층의 간격을 더욱 작게 하여도 종래와 같은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n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서브트레이 (64)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서브트레이 (61내지 63)의 경우도 똑같다.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에 상기와 같이 제 1의 돌기 (94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낼때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제 1 돌기 (94a)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에 접촉하여 후단쪽으로 움직일 위험이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할때에는 제 1 내지 제 4 보류레버 (741내지 744)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에 걸어맞추어져서 대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5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다리부 (75b)의 탄성력만으로 훅(75c)을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오목부 (6a)에 가압하고 있으므로, 다리부 (75b)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n+1)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이동하는 수가 있다. 이점을 개선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 53 도 및 제 59 도 내지 제 61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제 15 도에 도시한 각 보류레버 (741내지 744)의 형상 및 제 1 내지 제 4의 캠돌기 (661내지 664)에 상당하는 형상이 변경되어 있다.
제 5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판 (13L)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로운 좌승강 가이드판 (66L)에는 캠판 (97)이 부착되고, 좌측판 (13L)에는 보류레버 지지블록 (98)이 부착되어 있다. 보류레버 지지블록 (98)의 축 (98a)에는 캠판 (97)의 캠형상을 검출하는 보류레버 (7410,7420, 7430, 7440)가 회전이 자유롭게 세트되어 있다.
캠판 (97)에는 일정피치로 제 1 내지 제 8 캠 (971내지 988)이 형성되어 있다. 보류레버 (7410)에는 일단에 제 1의 캠 (971)을 검출하는 접촉부(74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서브트레이 (65)의 오목부 (6a)에 걸어맞추어지는 훅(74c)과 제 2 의 캠(972)을 검출하는 접촉부 (7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류레버 (7410)의 일단의 윗면에는 걸어맞춤편 (74d)이 형성되고, 보류레버 (7410)의 일단의 아래면에는 걸어맞춤편 (74d)이 걸어맞춤 가능한 오목부 (74e)가 형성되어 있다.
보류레버 (7420, 7430, 7440)에 대하여도 보류레버 (7410)와 똑같고, 이러한 보류레버(7410내지 7440)를 겹쳐 쌓아올려서 보류레버 지지블록(98)의 축(98a)에 세트되어 있다.
제 59a 도 내지 제 59d 도는 승강대 (40)가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5)를 로딩위치로 끌어내는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류레버 (7410내지 7440)의 각 접촉부 (74a)가 제 1, 제 3, 제 5, 제 7 캠 (971, 973, 975, 977)을 검출하여, 보류레버 (7410내지 7440)의 훅 (74c)이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오목부(6a)로 부터 벗겨진 상태로 되어있다.
제 60a 도 내지 제 60d 도는 승강대 (40)가 4 매째의 서브트레이 (64)를 로딩위치로 끌어내는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류레버(7410)가 제 2의 캠 (972)을 검출하여 보류레버 (7410)의 훅 (74c)이 서브트레이 (65)에 걸어맞추어진다. 이와 같이, 4 매째의 서브트레이 (64)를 로딩위치로 끌어낼때에는 접촉부 (74d)가 제 2의 캠 (972)에 맞닿고 있어서 훅 (74c)이 서브트레이 (65)로 부터 벗겨지는 방향으로 보류레버 (7410)가 회전할 수 없도록 로크되기 때문에, 4 매째의 서브트레이 (64)의 끌어내기에 의하여 서도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5)는 이동하지 않는다.
제 61a 도 내지 제 61d 도는 승강대 (40)가 3 매째의 서브트레이 (63)를 로딩위치로 끌어내는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류레버(7420)의 접촉부 (74b)가 제 4의 캠 (744)을 검출하여 보류레버 (7420)의 훅 (74c)의 서브트레이 (64)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보류레버 (7410)는 보류레버 (7410)의 접촉부 (74a, 74b)가 제 1, 제 2의 캠 (971, 972)을 검출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보류레버 (7420)의 걸어맞춤편 (74d)이 보류레버 (7410)의 오목부 (74e)에 걸어 맞추어져서, 보류레버 (7410)는 훅 (74c)이 서브트레이 (65)에 걸어맞추어지는 방향으로 보류레버 (7420)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와 같이, 3 매째의 서브트레이 (63)를 로딩위치로 끌어낼때에는 제 4의 캠 (974)에 맞닿고 있어서 훅 (74c)이 서브트레이 (64)로 부터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보류레버 (7420) 및 보류 레버 (7410)가 로크되어, 3 매째의 서브트레이 (63)의 끌어내기에 의해서도 4 매째와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4, 65)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똑같이하여 2 매째의 서브트레이 (62)를 로딩위치로 끌어낼때에는 보류레버 (7430)의 훅 (74c)이 3 매째의 서브트레이 (63)에 걸어맞추어져서, 보류레버 (7420)가 보류레버 (7430)에 의하여 보류레버 (7420)의 훅 (74c)이 4 매째의 서브트레이 (64)에 걸어맞추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보류레버 (7410)가 보류레버 (7420)에 의하여 보류레버 (7410)의 훅 (74c)이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5)에 걸어맞추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2 매째의 서브트레이 (62)의 끌어내기에 의해서도 3 매째와 4 매째 및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3, 64, 65)는 이동하지 않는다.
1 매째의 서브트레이 (61)를 로딩위치로 끌어낼때에는 보류레버 (7440)의 훅 (74c)이 2 매째의 서브트레이 (62)에 걸어맞추어져서, 보류레버 (7430)가 보류레버 (7440)에 의하여 보류레버 (7430)의 훅 (74c)이 3 매째의 서브트레이 (63)에 걸어맞추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보류레버 (7420)가 보류레버 (7430)에 의하여 보류레버 (7420)의 훅 (74c)이 4 매째의 서브트레이 (64)에 걸어맞추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보류레버 (7410)가 보류레버 (7420)에 의하여 보류레버 (7410)의 훅 (74c)이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5)에 걸어맞추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1 매째의 서브트레이 (61)의 끌어내기에 의해서도 2 매째와 3 매째와 4 매째 및 5 매째의 서브트레이 (62, 63, 64, 65)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각 보류레버 (741내지 744) 및 제 1 내지 제 8 캠 (971내지 988)을 구성함으로써, 각 서브트레이 (61내지 65)의 윗면에 제 1의 돌기(94a)를 설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낼때에, (n+1) 매째 이상의 서브트레이가 잘못되어 후단쪽으로 움직이는 사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각 보류레버 (741내지 744)에 걸어맞춤편 (74d)과 오목부 (74e)를 설치하여, 윗쪽의 보류레버를 아래쪽의 보류레버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어서, 캠판 (97)의 제 1 내지 제 8 캠 (971내지 988)의 형상을 간결히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제 4, 제 6 캠 (972, 984, 98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캠판 (97)이 돌출하도록 좌측판 (13L)에 뚫려있는 창 (72) (제 14 도 참조)의 길이방향의 개구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창 (72)을 뚫어 설치함에 의한 좌측판 (13L)의 강도의 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세트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대기위치로 끌어넣고, 대기위치의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복수매의 서브트레이중의 임의의 한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 끌려 나온 서브트레이에 세트된 광디스크를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서브트레이의 양쪽면에는 전단으로 부터 후단에 걸쳐 지지단부를 형성하고, 적재된 서브트레이의 상기 지지단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지지가이드를 샤시의 양쪽벽의 안쪽에 형성하여, 메인트레이에 세트되어 장차 하우징의 외부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의 후단의 적어도 일부와, 대기위치에 보류되어 있는 서브트레이의 전단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2.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세트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복수매의 서브트레이중의 임의의 한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 끌려나온 서브트레이에 세트된 광디스크를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의 디스크 교환 방법에 있어서,
    메인트레이에 복수매의 서브트레이를 적재함과 동시에,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복수매의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 번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교환하는 경우에, 메인트레이에 세트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1) 번째 이상의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에 보류한 상태로 메인트레이와 아래로 부터 N 번째까지의 서브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끌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의 디스크 교환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로딩위치로 끌어낸 서브트레이가 있는 경우에는 광디스크의 교환시에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서의 디스크 교환방법.
  4.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는 메인트레인의 끌어넣기 구동계,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로 부터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는 로딩 구동계,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로 부터 적당한 1 매의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도록 상기 로딩 구동계를 서브트레이의 적층방향으로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계,
    동력원으로서의 1개의 모터의 회전을 끌어넣기 구동계와 로딩 구동계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제 1 구동전환수단과,
    상기 모터의 출력과 제 1 구동전환수단의 입력 사이에 개장되어 제 1 구동전환수단과 승강구동계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회전을 전달하는 제 2 구동전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5. 서브트레이가 세트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 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 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는 메인트레이의 끌어넣기 구동계,
    대기위치의 메인트레이로 부터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는 로딩 구동계와,
    동력원으로서의 1개의 모터의 회전을 끌어넣기 구동계와 로딩 구동계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제 1 구동전환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제 1 구동전환수단을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향하여 기어를 회전시킨 상태로 끌어넣기 구동계의 동력을 전달하고, 끌어넣기 구동완료후에 로딩구동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제 1 구동전환수단의 상기 기어를 장치 하우징의 앞면으로 부터 조작가능하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
  6.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는 메인트레이의 끌어넣기 구동계,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로 부터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는 로딩 구동계.
    삽입위치의 메인트레이로 부터 적당한 1매의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 내도록 상기 로딩 구동계를 서브트레이의 적층방향으로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계,
    동력원으로서의 1개의 모터의 회전을 끌어넣기 구동계와 로딩 구동계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제 1의 구동전환수단과,
    상기 모터의 출력과 제 1 구동전환수단의 입력사이에 개장되어 제 1 구동전환수단과 승강구동계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회전을 전달하는 제 2의 구동전환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제 1 구동전환수단을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향하여 기어를 회전시킨 상태로 끌어넣기 구동계에 동력을 전달하여, 끌어넣기 구동완료후에 로딩구동계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제 1 구동전환수단의 상기 기어를 장치 하우징의 앞면에서 조작가능하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구동전환수단을 구성하는 일부의 기어와 연결이 해제된 걸어맞춤 위치가 아닌 위치와 상기 기어에 연결되는 긴급배출 위치에 걸쳐 미끄럼 움직임 조작이 가능한 긴급배출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모터로 부터 제 1 구동전환 수단 사이에 프릭션기어 어셈블리를 개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배출장치 부착 광디스크 구동 장치.
  9.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에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 구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상기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는 메인트레이 끌어넣기 구동계,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수납된 대기위치로 부터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가 완료된 로딩위치로 상기 서브트레이를 끌어내는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수단,
    동력원으로서의 한 회전을 상기 메인트레이 끌어넣기 구동계와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구동전환수단,
    상기 구동전환수단으로 부터 상기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수단으로 구동전달을 하여 상기 구동전환수단과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이탈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한 기어전달계로 구성된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와,
    상기 구동전환수단과 상기 구동기어가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걸리도록 구동되는 끌어내기 걸림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구동기어의 외주부에 적어도 한개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기어의 상기 오목부와 걸어맞추어지는 훅부를 끌어내기 걸림수단에 설치하며,
    구동전환수단과, 상기 구동기어가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끌어내기 걸림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훅부와 오목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의 백러시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구동기어의 오목부의 내주부에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중심으로 향하는 제 1 직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상기 오목부의 외주부에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중심으로 향하는 제 2 직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2 직선부를 연결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끌어내기 걸림수단과 구동기어가 걸어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직선부와 대략 같은 형상인 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2.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상기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는 메인트레이 끌어넣기 구동계,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수납된 대기위치로 부터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가 완료된 로딩위치로 상기 서브트레이를 끌어내는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구동계,
    동력원으로서의 1개의 모터의 회전을 상기 메인트레이 끌어넣기 구동계와.
    서브트레이 끌어내기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복수의 걸어 맞춤부를 형성한 구동전환수단과,
    상기 장치밖에서 상기 구동전환수단의 복수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차례로 구동하여, 상기 구동전환수단을 구동시키는 보조구동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3.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 구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트레이의 적층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승강대,
    상기 승강대를 복수의 상기 서브트레이의 안에서 선택한 서브트레이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과,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적층된 상기 서브트레이의 안에서 최하단의 서브트레이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승강대의 높이를 유지하는 주기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이송하는 상태에서, 적층된 상기 서브트레이의 안에서 최하단의 서브트레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승강대를 주기판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5. 서브트레이가 세트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 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메인트레이에는 서브트레이의 전단부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고,
    각 서브트레이의 후단부에는 인접한 서브 트레이에 맞닿는 간격유지 돌기를 설치하며,
    장치 하우징에는 대기위치의 각 서브트레이에 걸어맞추어져서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가이드를 설치하고,
    메인트레이가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트레이에 세트된 각 서브트레이의 전단부가 메인트레이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서 서브트레이의 상호간격을 확보하여, 후단부는 각 서브트레이에 설치한 간격유지 돌기를 인접한 서브트레이에 맞닿게 하여 서로 간격을 확보하며,
    메인트레이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트레이에 세트된 각 서브트레이의 전단부가 메인트레이의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서 서브트레이의 상호 간격을 확보하여, 각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는 상기 고정가이드에 걸어 맞추어져서 서로 간격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6. 서브트레이가 세트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 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에 설치한 고정가이드를 따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각 서브트레이에는 윗면에 제 1 돌기, 아래면에 제 2 돌기를 형성하고,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 매째의 목적의 광디스크가 세트되어 있는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는 경우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제 1 돌기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제 2 돌기에 맞닿아서 (n+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려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간격을 확장함과 동시에,
    고정가이드에는 서브트레이의 아래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걸어맞추어지는 안내돌기와, 이 안내돌기의 윗쪽위치에 배설되고, 아래쪽의 서브트레이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서 고정가이드의 안내돌기가 가이드홈으로 부터 벗겨진 상태로 서브트레이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좌우어긋남 규제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7.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 매째의 목적의 광디스크가 세트되어 있는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 위치로 끌어내는 경우에, (n+1) 매째 이상의 서브트레이가 로딩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대기위치에 걸리게 하는 서브트레이 걸림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8. 복수매의 서브트레이가 적층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에 설치한 고정가이드를 따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도록 구성하고,
    각 서브트레이의 아래면에는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미끄럼 움직임면의 종단부분에 고정가이드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며,
    장치에는 로딩 종료직전의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후단부에 맞닿아서 이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를 밀어내리는 압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어 n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림으로써, (n+1) 매째의 서브트레이가 메인트레이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와의 걸어맞춤개소를 지지점으로 하여 후단부가 윗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20. 서브트레이가 세트된 메인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의 외부로 부터 내부의 삽입 위치로 끌어넣고, 삽입위치의 상기 메인트레이에 얹어놓여있는 서브트레이를 장치 하우징에 설치한 고정가이드를 따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매어내어, 로딩위치로의 서브트레이의 끌어내기 완료에 연동하여 그 서브트레이에 세트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클램프장치로 끼워 지지하면서 회전구동하여 재생에 제공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각 서브트레이의 윗면에 제 1 돌기를 형성하고, 각 서브트레이의 아래면에는 제 2 돌기와,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미끄럼 움직임면의 종단부분에 고정가이드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장치에는 로딩 종료직전의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후단부에 맞닿아서 이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후단부를 밀어내리는 압압수단을 설치하며,
    적층된 서브트레이중의 아래로 부터 n 매째의 목적은 광디스크가 세트되어 있는 서브트레이를 대기위치로 부터 로딩위치로 끌어내는 경우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제 1 돌기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제 2 돌기에 맞닿아서 (n+1) 매째의 서브트레이를 밀어올려 n 매째와 (n+1)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간격을 확장함에 앞서, 고정가이드가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상기 오목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장치 하우징의 압압수단에 n 매째의 서브트레이의 후단부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KR1019960023847A 1995-06-26 1996-06-26 광디스크구동장치 KR100252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58245 1995-06-26
JP07158245A JP3098176B2 (ja) 1995-06-26 1995-06-26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ディスク交換方法
JP7193962A JPH0944962A (ja) 1995-07-31 1995-07-31 光ディスク装置と緊急排出装置付き光ディスク装置
JP95-193962 1995-07-31
JP7252129A JPH0991834A (ja) 1995-09-29 1995-09-29 光ディスク装置
JP95-252129 1995-09-29
JP95-292391 1995-11-10
JP7292391A JPH09139004A (ja) 1995-11-10 1995-11-10 光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065A KR970003065A (ko) 1997-01-28
KR100252642B1 true KR100252642B1 (ko) 2000-04-15

Family

ID=2747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847A KR100252642B1 (ko) 1995-06-26 1996-06-26 광디스크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031811A (ko)
KR (1) KR100252642B1 (ko)
CN (1) CN1127072C (ko)
MY (1) MY123759A (ko)
TW (1) TW298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706B2 (ja) * 1997-03-31 2006-03-0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90660B2 (ja) * 1997-04-08 2007-03-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1110894A (ja) * 1997-10-02 1999-04-23 Alps Electric Co Ltd 記録媒体の識別装置
JPH11203756A (ja) * 1998-01-16 1999-07-30 Sony Corp 記憶媒体ローディング装置
US6469971B1 (en) * 1998-12-28 2002-10-22 Pioneer Corporation Device for reproducing optical discs
KR100745523B1 (ko) 2000-02-08 2007-08-03 톰슨 라이센싱 광 디스크용 용기와, 이 용기를 위한 트레이, 이 트레이용 어댑터 및 매거진 타입의 플레이어
JP4292695B2 (ja) * 2000-07-31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受板と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866981B2 (ja) * 2001-04-25 2007-01-10 日本電産ピジョン株式会社 キャリッジイジェクト機構及びキャリッジ係止機構
JP3753649B2 (ja) * 2001-11-06 2006-03-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チェンジャ型ディスク装置
US7296278B2 (en) * 2003-05-15 2007-11-13 Lg Electronics Inc. Disk drive
EP1482496B1 (en) * 2003-05-30 2006-03-08 ORION ELECTRIC CO., Ltd. Disc device with disc changer
EP1482497A3 (en) * 2003-05-30 2007-10-31 ORION ELECTRIC CO., Ltd. Disc changer, method of detecting the operating mode thereof, and method of selecting disc ejection
KR101229132B1 (ko) * 2003-07-11 2013-02-01 테크-셈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전자부품들을 제조하는 동안 판형상의 기질들을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한 장치
KR100524782B1 (ko) * 2003-12-31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층형 디스크 체인저
SG131794A1 (en) * 2005-10-18 2007-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 changer
SG131806A1 (en) * 2005-10-18 2007-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c changer
JP2009205746A (ja) * 2008-02-28 2009-09-10 Panasonic Corp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DE112009001916B4 (de) * 2008-09-02 2014-1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keinrichtung
US20100172221A1 (en) * 2009-01-07 2010-07-08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and disc changer
WO2014185059A1 (ja) 2013-05-15 2014-1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ク搬送装置およびディスク搬送方法
JP7012499B2 (ja) * 2017-10-18 2022-01-28 日本通信電材株式会社 トレイユニ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941A (ko) * 1993-03-09 1994-10-22 한승준 고온 반응형 전지의 가열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5700A (en) * 1987-05-27 1989-07-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Front loading disc player
DE3718568C1 (de) * 1987-06-03 1988-06-30 Steinmueller Gmbh L & 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hle-Wasser-Mischung fuer die Verbrennung in einer Wirbelschichtfeuer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H0668877B2 (ja) * 1988-10-29 1994-08-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JPH03216857A (ja) * 1990-01-22 1991-09-24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3017266B2 (ja) * 1990-10-08 2000-03-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KR920009778B1 (ko) * 1990-11-12 1992-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연속 플레이장치
JP2995951B2 (ja) * 1991-10-09 1999-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容量型圧縮機のトルク算出装置
CA2073400A1 (en) * 1991-11-08 1993-05-09 Masayuki Hoshi Disk player
DE4317546A1 (de) * 1992-05-27 1994-01-20 Funai Electric Co Plattenspieler mit automatischem Plattenwechsler
EP0614178A3 (en) * 1993-03-05 1994-10-12 Nakamichi Corp Disc player with compact disc transport device.
JPH06259865A (ja) * 1993-03-05 1994-09-16 Nakamichi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3183744B2 (ja) * 1993-03-05 2001-07-09 ナカミチ株式会社 チェンジャ機能を備えたディスク再生装置
JP2939092B2 (ja) * 1993-06-10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2902297B2 (ja) * 1994-04-15 1999-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5638347A (en) * 1995-06-06 1997-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cartridge storag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941A (ko) * 1993-03-09 1994-10-22 한승준 고온 반응형 전지의 가열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31811A (en) 2000-02-29
MY123759A (en) 2006-06-30
CN1155737A (zh) 1997-07-30
KR970003065A (ko) 1997-01-28
CN1127072C (zh) 2003-11-05
TW298646B (en) 1997-02-21
US6141314A (en) 2000-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642B1 (ko) 광디스크구동장치
CA2312819A1 (en) Horizontally oriented autoloader for data storage cartridges
TW201140569A (en) Disc cartridge
JP3470438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US6005744A (en) Storage device for storing magazines of recordable media
US20060143625A1 (en) Optical disc device and tray lock mechanism thereof
CA2233237C (en) Disk recording-playback device, disk tray for use in the device, and method of ejecting the tray
KR100354062B1 (ko) 광디스크구동장치및그방법
JP3470439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EP0575665B1 (en) Disk player
JP3098176B2 (ja)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ディスク交換方法
JPH0991834A (ja) 光ディスク装置
EP0855708B1 (en) Disc device
JP3404963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JP3385777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JP3404964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KR20010023589A (ko) 디스크 장치
JP3475550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JP3418545B2 (ja) ディスク演奏装置
JP3449916B2 (ja) ディスク演奏装置
JPH08212646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JP3449914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H09139004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8212643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オートローダー
JPH08212645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マガ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