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741B1 -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 Google Patents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741B1
KR100249741B1 KR1019980002754A KR19980002754A KR100249741B1 KR 100249741 B1 KR100249741 B1 KR 100249741B1 KR 1019980002754 A KR1019980002754 A KR 1019980002754A KR 19980002754 A KR19980002754 A KR 19980002754A KR 100249741 B1 KR100249741 B1 KR 10024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ush
suction tube
ring cap
operating c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985A (ko
Inventor
헤어프스트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칼 프로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0339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97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프로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8007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 축방향으로 뻗은 고정부재를 지지하고있는 내관, 및 고정부재의 맞물림절결부와 협동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지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지체는 외관에 배치되고 내관을 부분적으로 복개결합하는 안내부시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안내부시는 작동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있고, 작동케이스는 저지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피공간을 갖고있으며, 안내부시와 작동케이스 사이에는 저지상태를 확실히 하기 위한 스프링기소가 배치되어있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비용이 낮은, 분진흡인기-흡인관용 신규 신축관-이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으로부터 먼 쪽의 작동케이스의 단부에는 작동케이스와 이동 결합된 링캡이 배치되어있고, 그 링캡은 안내부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작동케이스와 링캡 사이에는 홈이 안내부시의 외주면상에 배치된 스프링기소를 수납하기 위해 배치되어있고, 그 스프링기소는 적어도 한 축방향으로는 여유 힘을 이용할수있게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본 발명은, 외관, 축방향으로 뻗은 고정부재를 지지하고있는 내관, 및 고정부재의 맞물림절결부와 협동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지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지체는 외관에 배치되고 내관을 부분적으로 복개결합하는 안내부시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안내부시는 작동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있고, 작동케이스는 저지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피공간을 갖고있으며, 안내부시와 작동케이스 사이에는 저지상태를 확실히 하기 위한 스프링기소가 배치되어있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에 관한 것이다.
그런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은 이미 미국 특허 제 3, 351, 363호로 부터 알려져 있다. 이 문헌에는, 내측의 환형 합성수지체 외에도 작동장치를 가진 외측의 환형 합성수지체를 구비하고있는 분진흡인기-흡인관이 기재되어있다.
그 위에 내측과 외측 합성수지체의 사이에는 두 개의 압축스프링이 배치되어있다. 그러나 이 공지의 해결법은 설치하기가 비교적 어렵다는 본질적 결점을 갖고 있다.
상기 문제점의 해결은 청구항 1의 특징, 특히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달성될수 있는데, 그것에 의하면, 외관으로부터 먼 쪽의 작동케이스의 단부에는 작동케이스와 이동 결합된 링캡이 배치되어있고, 그 링캡은 안내부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작동케이스와 링캡 사이에는 홈이 안내부시의 외주면상에 배치된 스프링기소를 수납하기 위해 배치되어있고, 그 스프링기소는 적어도 한 축방향으로는 여유 힘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특히 설치하기가 간단하다는 본질적인 이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원래 단지 세 가지 주성분, 즉 모두가 대단히 간단한 방법으로 신축관위에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시, 작동케이스 및 링캡을 갖고 있다. 그래서 우선 안내부시는 외관상에 결합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저지체의 삽입 후에 작동케이스가 안내부시상에 끼워지게 한다. 후속하여 스프링기소를 고정한 후에 끝으로 바로 링캡을 작동케이스와 이동결합되게 할 수 있고, 그리하여 장치는 기능이 완비된다.
그 위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작동케이스의 전체외면이 손잡이면으로 이용될수 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유리한 방식으로 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독일 특허 공보 제 39 16 531호로부터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과 관련하여 링스프링 또는 봉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기초적으로 알려져있으나, 그것은 이질적인 내용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의 대개념에 부합하는 신 기술에 관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은, 스프링기소를 환형으로 만곡된 봉스프링으로 형성하여 그것을 안내부시의 외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또한 특징이다.
한 유리한 실시형에 있어서는, 작동케이스와 링캡이 분리불가하게 서로 맞물려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그 톱니가 이동방향으로 배향된 톱니형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작동케이스와 링캡을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나사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에 있어서는, 안내부시에 배치된 저지체용 절결부는 저지체를 지지하고 또한 적어도 방사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이동조정장치는 완벽하게 예비조립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저지체가 확실하게 예비조립시 이동조정장치로부터 빠져 탈락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저지체를 지지할 그런 장치는, 안내부시의 절결부 영역에 서로 마주보는 안내를 배치하고 그 안내 안에 양단에 한 개씩의 안내핀을 가진 저지체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다음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을 위한 이동조정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이동조정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절취 확대도.
도 4는 개방상태에 있는 도 1에 상당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절취 확대도.
도 7은 안내부시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안내부시의 투시도.
도 9은 도 7에 따른 안내부시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절취부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절취부 확대도.
도 12는 저지체의 투시도.
도 13은 작동케이스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작동케이스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작동케이스의 투시도.
도 16은 링캡의 측면도.
도 17은 도 16의 절단선 ⅩⅦ-ⅩⅦ에 따른 링캡의 횡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따른 링캡의 횡단면도.
도 19은 도 16의 관찰화살표 ⅩⅨ에 따른 링캡의 정면도.
도 20은 링스프링의 투시도.
도 21은 이동조정장치의 부분분해도.
도 22는 도 21에 따른 이동조정장치의 투시도.
도 23은 신축가능한 추가의 분진흡인기-흡인관용 이동조정장치의 측면도.
도 24는 개방상태의 도 23에 상당하는 측면도.
도 25는 도 24에 따른 종단면도.
도 26은 도 23에 따른 안내부시의 측면도.
도 27은 도 26에 따른 안내부시의 종단면도.
도 28은 도 23에 따른 작동케이스의 측면도.
도 29는 도 28에 따른 작동케이스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외관 12 : 안내부시
13 : 작동케이스 14 : 링캡
20 : 스프링기소 21 : 절결부
22 : 저지체 24 : 안내핀
37 : 홈 43 : 충돌수단
도면에서는 신축관-이동조정장치가 전체로서 번호 10으로 표시되어있다.
그런 이동조정장치(10)는 외관(11)상에 고정된 안내부시(12), 안내부시(12)위에서 종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작동케이스(13) 및 작동케이스(13)와 이동 결합된 링캡(14)을 갖고있으며 끝으로 안내부시(12) 내에는 내관(15)이 안내이동된다.
도 1 내지 3에서는 이동조정장치(10)가 폐쇄된 상태로 표시되어있는 한편, 도 4내지 6에서는 개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7에는(이하 페이지 동일) 안내부시(12)가 표시되어있다. 안내부시(12)는 외관(11)상에 고정된 영역(16) 및 실질적으로 작동케이스(13)에 대향하는 영역(17)을 갖고 있다. 안내부시(12)의 영역(17)에는 안내리브(18)가 있고, 그들 리브는 측방향 하부영역에 구획적으로 링스프링(20)(도 20을 보라)의 고정을 위한 환상홈(19)을 형성한다. 안내부시(12)의 상부영역에서는 환상홈(19)이 안내리브(18)의 영역에서 링스프링(20)을 위한 운동영역(A)으로 확장되어있는데, 이 링스프링은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8의 투시도에는 내주면에 종방향 리브형의 회전방지부(V)를 볼 수 있는데, 이 회전방지부는 표시되지는 않은 방식으로 내관(15)의 종방향 홈내에 맞물린다.
그 위에 안내부시(12)에는, 그 종방향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 뻗은, 도 12에 표시된 저지체(22)를 수납하기 위한 절결부(21)가 있다. 특히 도 9 내지 11에 도시되어있는 것 처럼, 절결부(21)는 양측에 각각 하나의 주머니모양의 안내(23)를 갖고있고, 이 안내에 의해 장착시에 정면측에 핀(축)(24)을 가진 저지체(22)는 상측으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절결부(21)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내지 15에는 작동케이스(13)가 표시되어있다. 여기에서는 장착된 상태에서는 다소 안내부시(12)의 영역(16)위로 이동하는 중복영역(25), 링캡(14)을 고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영역(26) 및 저지체(22)를 위한 내측의 두 요부(28, 29)를 가진 중간영역(27)을 볼 수 있다. 작동케이스(13)의 외주면(F)은 끝으로 손잡이를 위한 작동면 역할을 하는데, 그 작동면(표시안됨)은 인체공학적으로 유리한, 손잡이에 적합한 형을 가질 수 있다.
도 16 내지 19에는 링캡(14)이 도시되어있다. 링캡(14)은 맞물림돌출부(31)를 가진 고정영역(30)을 구비하고있고 맞물림돌출부는 작동케이스(13)의 영역(26)의 톱니상 내부맞물림부(32)에 상응한다. 그 위에 특히 도 17에서는, 링캡(14)이 관 내측에 두 개의 격리된 지지돌기(33)를 갖고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의 기능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20에는, 링스프링(20)이 표시되어있는데, 이것은 이동조정장치(10)를 안내부시(12)의 외면상에 장착할 때 링홈(19)내에 고정될 수 있다. 링스프링(20)의 기능도 역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제 이동조정장치(10)의 조립은, 먼저 외관(11)과 내관(15)이 분리된 채(완성된 예비조립) 또는 외관(11)과 내관(15)이 결합된 상태로 행해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우선 저지체(22)가 안내부시(12)의 절결부(21)내에 삽입되게 하는데, 이 저지체는 주머니상의 안내(23)로 인해 그 안에 유지되어있을 수 있다. 그런 뒤 작동케이스(13)가 x 방향으로 안내부시(12) 위로, 접촉숄더(34)가 안내부시(12)의 대응 숄더(35)에 충돌하기까지, 이동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도 21을 보라) 링스프링(20)의 배치를 위해 설치되어있는 환상홈(19)은 비어있어, 링스프링(20)이 안내부시(20)위에 위치될 수 있다. 링스프링(20)이 삽입되고 작동케이스(13)는 숄더면(36)이 링스프링(20)에 접촉하기까지 후퇴이동(y 방향으로)한 후에는, 링캡(14)은 x 방향으로, 고정영역 (26)과 (30)이, 즉 내부톱니(32)와 맞물림돌기(31)가 서로 후퇴불가하게 고정될 때 까지, 안내부시(12)위로 끼워져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이 이런식으로 이동결합함으로써 링스프링(20)은 상기한 숄더(36)와 링캡(14)의 지지돌기(33)사이에서 환상홈(37)내에 단단히 꼭 끼이게 된다. 이 상황은 특히 도 3 및 6에서 잘 볼 수 있다. 링스프링(20)이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 사이의 환상홈(37)내에 끼어있음으로써,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으로된 운동단위는 동작 후에 다시 영상태(링스프링(20)이 긴장해제된 상태)로 복귀된다. 링스프링(20)의 이 영상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이동조정장치(10)의 저지위치에 해당한다. 거기에서는 절결부(21)가 작동케이스(13)의 저지면(38)에 의해 덮여있고 그에 의해 저지체(22)는 내관(15)의 맞물림홈(R)내에 조정유지된다.
이제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이 함께 y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4 내지 6에 표시된 이동조정장치(10)의 개방위치가 된다. 이 위치에서는 절결부(21)와 그 안에 수용된 저지체(22)의 상부에 홈(28)이 위치하게되고, 그리하여 내관(15)이 외관(11)에 대해 이동조정될 때에 저지체(22)는 상향으로 밖으로 빠져나올수 있다.
도 23 내지 29에는 이동조정장치(10)의 추가 실시형이 도시되어있다, 특히 도 23, 24 및 25를 도 1, 4 및 5와 비교하면, 양 실시형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즉 도 23 내지 29에 의한 실시형은 안내부시(12')를 갖고있고 이 안내부시는 직경이 축소된 영역(16')을 갖고있기 때문에 영역(16')은 외관(11)내에 삽입이동되어 고정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외관(11)에 있는 홈(39) 및 안내부시(12')의 영역(16')에 형성된 맞물림돌기(40)의 도움으로 이루이질 수 있다.
그 위에, 작동케이스(13')는 외관(11) 쪽에, 폐쇄상태 그리고 개방상태에서도 외관(11)의 단부(42)를 덮는, 원추상의 일체로 주행하는 부가체(41)를 갖고 있다.
끝으로, 작동케이스(13')는 그 내주면상에 추가적으로 정지수단으로 작용하는 돌출물(43)을 갖고 있다. 즉, 돌출물(43)은 작동케이스(13')가 y 방향으로 허용불가의 추가이동을 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실시형에서는 다시 추가적으로 조립이 간단화된다. 즉, 안내부시(12')와 작동케이스(13')의 구조변경에 의해 이동조정장치(10)의 장착 전에 저지체(22) 뿐만 아니라 링스프링(20)도 안내부시(12')내에 먼저 설치될 수 있다. 그런 후 작동케이스(13')는, 첫째 실시형에 비해 안내부시(12')의 영역(16')의 직경이 작은 까닭으로, 극히 작은 영역(16')의 탄성변형하에 y 방향으로 작동케이스(13')의 숄더(36)가 링스프링(20)에 충돌할 때 까지, 이동되게 한다. 이어서는 단순히 첫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링캡(14)을 작동케이스(13')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특히 설치하기가 간단하다는 본질적인 이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원래 단지 세 가지 주성분, 즉 모두가 대단히 간단한 방법으로 신축관위에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시, 작동케이스 및 링캡을 갖고 있다. 그래서 우선 안내부시는 외관상에 결합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저지체의 삽입 후에 작동케이스가 안내부시상에 끼워지게 한다. 후속하여 스프링기소를 고정한 후에 끝으로 바로 링캡을 작동케이스와 이동결합되게 할 수 있고, 그리하여 장치는 기능이 완비된다.
그 위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작동케이스의 전체외면이 손잡이면으로 이용될수 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유리한 방식으로 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0)

  1. 외관, 축방향으로 뻗은 고정부재를 지지하고있는 내관, 및 고정부재의 맞물림절결부와 협동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지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지체는 외관에 배치되고 내관을 부분적으로 복개결합하는 안내부시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안내부시는 작동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있고, 작동케이스는 저지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피공간을 갖고있으며, 안내부시와 작동케이스 사이에는 저지상태를 확실히 하기 위한 스프링기소가 배치되어있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에 있어서,
    외관(11)으로부터 먼 쪽의 작동케이스(13)의 단부에는 작동케이스와 이동 결합된 링캡(14)이 배치되어있고, 상기 링캡은 안내부시(12)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 사이에는 홈(37)이 안내부시(12)의 외주면상에 배치된 스프링기소를 수납하기 위해 배치되어있고, 상기 스프링기소는 적어도 한 축방향으로는 여유 힘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기소(20)는 환형으로 만곡된 봉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은 분리불가능하게 서로 맞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4. 제 3항에 있어서,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 사이의 맞물림은 톱니상으로 형성되어있으며 톱니는 링캡(14)이 밀리어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작동케이스(13)와 링캡(14)은 분리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6. 제 1항에 있어서, 안내부시(12)는 저지체(22)를 위한 절결부(21)를 갖고있고, 상기 절결부는 저지체(22)를 지지하고 적어도 방사방향 가동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를 갖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7. 제 6항에 있어서, 안내부시(12)는 안내부(21)의 영역에 서로 마주보는 안내들(21)을 갖고있고, 상기 안내 내에는 양단에 한 개씩의 안내핀(24)이 있는 저지체(22)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8. 제 1항에 있어서, 작동케이스(13)는, 작동케이스(13)가 y 방향으로 비허용적으로 과도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충돌수단(43)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9. 제 1항에 있어서, 안내 부시(12)는 안내 부시(12)의 영역(16)으로 외관(11) 위에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10. 제 1항에 있어서, 안내 부시(12)는 안내 부시의 영역(16')으로 외관(11)내에 배치되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KR1019980002754A 1997-02-14 1998-02-02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KR100249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5545 1997-02-14
DE19705545.1 1997-02-14
DE19722195.5 1997-05-27
DE19722195 1997-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985A KR19980070985A (ko) 1998-10-26
KR100249741B1 true KR100249741B1 (ko) 2000-05-01

Family

ID=2603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754A KR100249741B1 (ko) 1997-02-14 1998-02-02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941575A (ko)
EP (1) EP0858762B1 (ko)
JP (1) JP3254577B2 (ko)
KR (1) KR100249741B1 (ko)
CN (1) CN1105544C (ko)
AT (1) ATE199305T1 (ko)
CA (1) CA2226373C (ko)
CZ (1) CZ291003B6 (ko)
DE (2) DE19738194C1 (ko)
DK (1) DK0858762T3 (ko)
EE (1) EE03626B1 (ko)
ES (1) ES2155650T3 (ko)
HK (1) HK1014853A1 (ko)
HU (1) HU220546B1 (ko)
NO (1) NO313905B1 (ko)
PL (1) PL185660B1 (ko)
RU (1) RU2140762C1 (ko)
SK (1) SK284221B6 (ko)
UA (1) UA3990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4749B1 (en) 1992-11-09 2006-06-20 Adc Technology Inc. Portable communicator
US6148474A (en) * 1998-04-22 2000-11-21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Vacuum cleaner and wand assembly
JP2003534024A (ja) * 1998-06-30 2003-11-18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真空掃除機の折綴式吸入管の組立体
DE19980003T1 (de) 1999-02-09 2001-07-26 Eunsung Electronics Co Ansaugrohr eines Staubsaugers
CN2401136Y (zh) 2000-01-12 2000-10-18 徐为尔 吸尘器用的吸尘伸缩管
DE10030304A1 (de) * 2000-06-27 2002-02-14 Froh House Tech Gmbh & Co Kg Steckverbindbare Staubsaugerrohr-Anordnung
CN2449639Y (zh) * 2000-09-30 2001-09-26 徐为尔 吸尘器用的伸缩吸尘管
IT249874Y1 (it) * 2000-11-07 2003-06-05 Omec Spa Prolunga telescopica per un elettrodomestico
DE10059052A1 (de) 2000-11-28 2002-06-06 Froh House Tech Gmbh & Co Kg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US6766559B2 (en) * 2001-03-12 2004-07-27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Telescoping handle for upright vacuum cleaner
DE10150462A1 (de) * 2001-10-16 2003-05-08 Froh House Tech Gmbh & Co Kg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AU2006206657A1 (en) * 2005-01-18 2006-07-27 Electrolux Home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with collapsible handle
CN1307931C (zh) * 2005-02-05 2007-04-04 马卫宏 伸缩式吸尘器吸管
GB0512161D0 (en) 2005-06-14 2005-07-20 Hoover Ltd Vacuum cleaner
US20070180651A1 (en) * 2006-02-06 2007-08-09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Telescoping wand assembly with a flexible seal
DE102006006189B3 (de) * 2006-02-09 2007-06-06 Wolfgang Hermes Futter- und Tränkvorrichtung für Haustiere
US7386917B2 (en) 2006-07-28 2008-06-17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acuum cleaner with quick release wand
US20090000054A1 (en) * 2007-06-29 2009-01-01 Leonard Hampton Vacuum Cleaner Cleanout System
KR101304606B1 (ko) * 2011-11-02 2013-09-05 강소국신금속제품유한회사 진공청소기의 텔레스코픽 연장관
US10645903B2 (en) * 2017-01-13 2020-05-12 Zhuhai Hengqin Super Technology Ltd. Bowl with freely adjustable heigh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4437A (en) * 1964-01-28 1966-04-05 Electrolux Corp Adjustable length vacuum cleaner wand
US3351363A (en) * 1964-12-23 1967-11-07 Electrolux Corp Adjustable length wand
US4641859A (en) * 1986-03-13 1987-02-10 Tom Walters Coupling having spring biased locking means
DE8906288U1 (ko) * 1989-05-20 1989-09-07 Carl Froh Roehrenwerk Gmbh & Co, 5768 Sundern, De
ATE86836T1 (de) * 1989-05-20 1993-04-15 Froh Roehren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DE3929399A1 (de) * 1989-09-05 1991-03-21 Heidemann Werke Teleskopierbare rohrverbindung
EP0520534B1 (en) * 1991-06-28 1994-05-18 OMEC S.p.A. Telescopic extension for a vacuum cleaner
US5305984A (en) * 1992-01-10 1994-04-26 Chen Kun Yang Faucet assembly
DE4200527C2 (de) * 1992-01-11 1995-11-09 Froh Roehren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DE4200526C1 (ko) * 1992-01-11 1993-02-18 Carl Froh Roehrenwerk Gmbh & Co, 5768 Sundern, De
JPH0712054U (ja) * 1993-08-10 1995-02-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024547B2 (ja) * 1995-04-21 2000-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024546B2 (ja) * 1995-04-21 2000-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9528814C1 (de) * 1995-08-05 1996-10-10 Fischer Rohrtechnik Gmbh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mit doppelter Verriegelung
JPH0956649A (ja) * 1995-08-25 1997-03-0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延長管
JPH0956648A (ja) * 1995-08-24 1997-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延長管
CN2245953Y (zh) * 1995-09-07 1997-01-29 苏州工业园区娄葑帕雷米电器厂 吸尘器伸缩长接管
JPH0984728A (ja) * 1995-09-20 1997-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H09140642A (ja) * 1995-11-28 1997-06-03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延長管
US5836620A (en) * 1996-09-10 1998-11-17 Kinergy Industrial Co., Ltd. Telescopic extension wand for vacuum cleaner
JPH1085161A (ja) * 1996-09-13 1998-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3129309B2 (ja) * 1999-08-05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3502A (zh) 1998-09-23
EE03626B1 (et) 2002-02-15
PL324372A1 (en) 1998-08-17
ATE199305T1 (de) 2001-03-15
US5941575A (en) 1999-08-24
UA39905C2 (uk) 2001-07-16
HK1014853A1 (en) 1999-10-08
DE59703053D1 (de) 2001-04-05
ES2155650T3 (es) 2001-05-16
DK0858762T3 (da) 2001-03-26
KR19980070985A (ko) 1998-10-26
DE19738194C1 (de) 1998-06-10
JP3254577B2 (ja) 2002-02-12
CN1105544C (zh) 2003-04-16
CA2226373A1 (en) 1998-08-14
JPH10225405A (ja) 1998-08-25
HUP9800312A2 (hu) 1998-08-28
PL185660B1 (pl) 2003-06-30
SK1998A3 (en) 1999-01-11
EE9800005A (et) 1998-08-17
CA2226373C (en) 2000-07-18
NO313905B1 (no) 2002-12-23
CZ291003B6 (cs) 2002-11-13
HUP9800312A3 (en) 2000-03-28
EP0858762B1 (de) 2001-02-28
RU2140762C1 (ru) 1999-11-10
SK284221B6 (en) 2004-11-03
NO980037L (no) 1998-08-17
CZ3098A3 (cs) 1999-11-17
NO980037D0 (no) 1998-01-05
EP0858762A1 (de) 1998-08-19
HU9800312D0 (en) 1998-04-28
HU220546B1 (hu)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741B1 (ko)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KR870006588A (ko) 연료집합체의 상부노즐에 대해 긴 부재를 방출성 있게 부착하기 위한 래칭장치
KR860007674A (ko)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용 체결관계류형 안내딤블
KR0120923B1 (ko) 필기장치
KR870003512A (ko) 핵 연료 집합체
KR101232844B1 (ko) 에어 댐퍼
US4513680A (en) Boat steering mechanism
JPH0349440B2 (ko)
KR102411495B1 (ko) 양변기의 자동과 수동 겸용 물내림 장치
US6293720B1 (en) Pencil having an axially-moveable core, particularly a soft-core pencil
KR200189803Y1 (ko) 복합필기구
KR100220826B1 (ko)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WO2018154854A1 (ja) 保護構造
US3799180A (en) Umbrella handle
JP2005215416A (ja) レンズ鏡筒
JPS6222684Y2 (ko)
KR0132134Y1 (ko) 가도식 변속레버의 부트 연결구조
KR0139725Y1 (ko) 클러치 릴리이스 포크의 힌지구조
KR20070037976A (ko) 에어 댐퍼
KR200348270Y1 (ko) 샤프펜슬의 구조
JP2003323826A (ja) 非常停止スイッチ
KR200146974Y1 (ko) 트렌스밋션의 시프트 케이블 구조
KR0132136Y1 (ko) 가도식 변속레버의 록크장치
JPS5914827Y2 (ja) 押釦の防塵構造
JPH0947410A (ja) 電気掃除機用延長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