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803Y1 - 복합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803Y1
KR200189803Y1 KR2019980005427U KR19980005427U KR200189803Y1 KR 200189803 Y1 KR200189803 Y1 KR 200189803Y1 KR 2019980005427 U KR2019980005427 U KR 2019980005427U KR 19980005427 U KR19980005427 U KR 19980005427U KR 200189803 Y1 KR200189803 Y1 KR 200189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am
sliders
slid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067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휘정, 주식회사수한,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윤휘정
Publication of KR19980065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43K24/14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with c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03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only one holder being used either for the pencil or the pen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통내에 수납된 복수의 필심부재를 선택적으로 출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외통(10)내에 복수의 필심부재(14,16)가 수납되고서, 이들 각 필심부재(14,16)의 뒤 끝에 슬라이더(22,24)가 연결되어, 이들 슬라이더(22,24)와 작동캠(26)의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조작에 의해 1개의 슬라이더가 작동캠(26)에 형성된 캠슬라이드면(26a)을 따라 외통(10)내를 전진하여 캠슬라이드면(26a)의 앞 끝에 형성된 걸림부(26b)에 걸려지게 되고, 외통(10)내에는 필심부재(14,16) 모두를 에워싸는 1개의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32)이 가장 전진한 슬라이더(22,24)에 작용하여 슬라이더(22,24)를 캠슬라이드면(26a)에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어서,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필기구{Multifuntional writing utensil}
본 고안은, 예컨대 필심직경을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샤프펜슬용 필심부재나, 샤프펜슬용 필심부재와 볼펜용 필심부재, 또는 샤프펜슬용 필심부재나 볼펜용 필심부재 또는 고무지우개와 같은 봉상물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필심부재를 구비하고서, 이들 필심부재를 선택적으로 출몰시킬 수 있는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복합필기구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공평 6-3099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는 바, 이 복합필기구는 앞쪽외통을 뒤쪽외통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제1필심부재 또는 제2필심부재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 제1필심부재와 제2필심부재가 앞쪽외통에 탈착될 수 있게 연결된 연결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내됨과 더불어, 각각의 뒤끝에는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들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에는 각각 대칭적으로 캠면이 형성되고 각각 개별적으로 갖추고 있는 스프링에 의해 후퇴방향으로 밀려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캠면은 각각의 스프링에 의해 뒤쪽외통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캠걸림돌기에 압접되어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필기구에 있어서, 양쪽 필심부재가 퇴몰되어 수납된 위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뒤쪽외통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걸림돌기가 한쪽 필심부재의 캠면을 밀어 미끄러지도록 해서 그 필심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위치까지 돌출시키게 되는바, 이 상태에서 뒤쪽외통을 원래의 위치까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되어져 있던 필심부재가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캠걸림돌기에 압접되면서 그 필심부재가 원래 퇴몰되어 수납되었던 위치까지 후퇴하게 되는바, 이 상태에서 뒤쪽외통을 반대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다른쪽 필심부재가 마찬가지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복합필기구에는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복합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복합필기구의 볼펜용 필심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슬라이더 및 작동캠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한쪽 필심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작동캠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슬라이더 및 작동캠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을 화살표 Ⅸ선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10, 60 - 외통, 11, 61 - 앞쪽외통,
12, 52, 62, 80 - 뒤쪽외통, 12b - 작은 돌기,
80c - 슬릿, 14, 16 - 필심부재,
22, 24, 44, 46, 48 - 슬라이더, 26, 42, 50 - 작동캠,
26b, 42b - 걸림부, 26c - 경사홈,
42a - 캠홈, 42b - 제2걸림부,
32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통내에 복수의 필심부재가 수납되고서 이들 각 필심부재의 뒤끝에 각기 슬라이더가 연결되어, 이들 슬라이더와 외통내에 설치된 작동캠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1개의 슬라이더가 작동캠에 형성된 캠슬라이드면을 따라 외통내를 전진해서 작동캠의 캠슬라이드면 앞끝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지게 되고, 이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복합필기구에 있어서, 외통내에 필심부재 모두를 에워싸는 1개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이 가장 전진한 슬라이더에 작용하여 당해 슬라이더를 캠슬라이드면에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1개의 슬라이더가 외통내를 전진했을때 나머지 슬라이더가 후퇴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유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는 1개의 슬라이더 단독으로 작동캠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유지지수단은 작동캠의 캠슬라이드면을 따라 설치되어 나머지 슬라이더를 후퇴위치로 유도하게 되는 경사홈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은 서로 탈착될 수 있게 연결된 앞쪽외통과 뒤쪽외통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스프링이 앞쪽외통과 슬라이더 사이에 끼워지고, 뒤쪽외통의 내주면 앞부분에는 조립될때 스프링의 앞끝을 받쳐주게 되는 작은 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외통내에 복수의 필심부재가 수납되고서 이들 각 필심부재의 뒤끝에 슬라이더가 연결되어, 이들 슬라이더와 외통내에 설치된 작동캠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조작에 따라 1개의 슬라이더가 외통내를 전진해서 작동캠의 걸림부에 걸려지고, 이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복합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가 1개의 슬라이더 단독으로 작동캠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작동캠에는 전체 슬라이더를 전진위치와 후퇴위치 사이에서 유도하는 캠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캠홈에는 슬라이더를 전진위치에서 걸려지게 하는 걸림부와, 슬라이더를 후퇴위치에서 걸려지게 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의 뒤끝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할때 작동캠이 이 슬릿을 벌려 외통의 뒤끝에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이 실시예는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와 볼펜용 필심부재(16)로 이루어진 2개의 필심부재를 구비한 구조로 된 것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외통인 바, 이 외통(10)은 앞쪽외통(11)과 이 앞쪽외통(11)의 뒤끝에 탈착될 수 있게 나사결합된 뒤쪽외통(12)으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와 볼펜용 필심부재(16)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20은 뒤쪽외통(12)의 외주에 고정된 클립이다.
상기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와 볼펜용 필심부재(16)의 각 뒤끝에는 각각 슬라이더(22) 및 슬라이더(24)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각 슬라이더(22, 24)의 외주면에는 캠돌기(22a, 24a)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축방향으로 연장된 리브(22b, 24b)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갖고서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리브(22b, 24b)가 그에 대응하여 뒤쪽외통(12)에 형성된 복수의 키이홈(12a)에 각각 끼워맞춰지게 됨으로써, 슬라이더(22, 24)가 뒤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할 수 없고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안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2) 및 슬라이더(24)는 각각 그 횡단면형상이 대략 반원형을 이루어, 2개의 슬라이더(22, 24)가 조합되면 대략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뒷부분이 작동캠(26)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작동캠(26)에는 상기 캠돌기(22a, 24a)와 각각 걸려질 수 있게 상호 대칭을 이루는 2개의 경사면을 이룬 캠슬라이드면(26a)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들 각 경사면의 앞끝에는 상기 캠돌기(22a, 24a)를 걸려지게 하는 걸림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경사면의 뒷부분에는 캠돌기(22a, 24a)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보유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사홈(2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캠(26)의 뒷부분은 뒤쪽외통(12)의 뒤끝으로부터 돌출한 작은직경부(26e)로 되어 있는데, 이 작은직경부(26e)의 뒤끝에는 고무지우개(28)가 끼워지면서 이 고무지우개(28)를 덮는 조작캡(30)이 씌워져 있다. 이 조작캡(30)에는 내부에 키이홈(3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키이홈(30a)에 상기 작은직경부(26e)의 뒤끝에 형성된 리브(26f)가 끼워넣어짐으로써 양자가 상호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앞쪽외통(11)의 뒤끝과 슬라이더(22) 및 슬라이더(24)의 앞끝 사이에는 슬라이더(22, 24) 중 가장 많이 전진한 슬라이더를 캠슬라이드면(26a)으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상태에서는 2개의 슬라이더(22, 24)가 똑같이 후퇴해 있기 때문에 양쪽 슬라이더(22, 24)에 모두 스프링(32)의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복합필기구를 조립할려면, 뒤쪽외통(12)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외통(12)내로 작동캠(26)을 삽입한 다음, 마찬가지로 뒤쪽외통(12)의 앞쪽으로부터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가 연결된 슬라이더(22) 및 볼펜용 필심부재(16)가 연결된 슬라이더(24)를 삽입하고서, 뒤쪽외통(12)의 키이홈(12a)에 리브(24a, 24b)가 끼워맞춰지도록 원주방향 상대위치관계를 조정해서 상기 슬라이더(22) 및 슬라이더(24)의 뒷부분을 작동캠(26)내에 삽입한다. 이어 스프링(32)을 뒤쪽외통(12)의 앞쪽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렇게 스프링(32)을 끼워 설치하고나서 손을 뗄 때 스프링(32)이 뒤쪽외통(12)의 앞쪽에서 튀어나가지 않도록 뒤쪽외통(12)의 내주면 앞부분에 작은 돌기(12b)를 형성시켜 놓으면 좋은데, 그렇게 하면 이 작은 돌기(12b)에 스프링(32)의 앞끝이 걸려져 스프링(32)이 뒤쪽외통(12)내에 임시로 고정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뒤쪽외통(12)내에 부품을 조립한 후, 앞쪽외통(11)을 뒤쪽외통(12)에 나사결합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뒤쪽외통(12)에 조작캡(30)을 씌우게 되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그리고 고무슬리이브(18)와 클립(20) 및 고무지우개(28)를 적절히 설치하면 좋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복합필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와 볼펜용 필심부재(16)가 앞쪽외통(11)의 앞끝에서 퇴몰되어 앞쪽외통(11)내에 수납되어 있을때는 슬라이더(22, 24)의 캠돌기(22a, 24a)가 캠슬라이드면(26a)의 각 경사면 중간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슬라이더(22, 24)는 각각 스프링(32)에 의해 뒤쪽으로 힘이 가해져 캠돌기(22a, 24a)가 캠슬라이드면(26a)에 압접되어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캡(30)을 외통(10)에 대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캠(26)이 뒤쪽외통(12)에 대해 상대회전하게 되는바, 이 경우 슬라이더(22) 및 슬라이더(24)가 뒤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캠(26)의 회전에 수반해서 한쪽 슬라이더(24)의 캠돌기(24a)가 캠슬라이드면(26a)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 캠돌기(24a)가 걸림부(26b)에 도달하면 그곳에 걸려져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슬라이더(24)가 전진하기 때문에 그에 연결된 볼펜용 필심부재(16)가 앞쪽외통(11)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상태로 유지되어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도 3). 한편, 다른쪽 슬라이더(22)는 작동캠(26)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의 캠돌기(22a)가 캠슬라이드면(26a)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해서 작동캠(26)의 경사홈(26c)내를 미끄럼이동하여 이 경사홈(26c)의 끝부근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펜용 필심부재(16)가 돌출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32)이 슬라이더(24)의 전진에 따라 앞쪽외통(11)의 뒤끝과 슬라이더(24)의 앞끝 사이에서 압축되어 슬라이더(24)의 캠돌기(24a)가 걸림부(26b)에 걸려지도록 힘을 가하고 있게 된다. 한편, 다른쪽 슬라이더(22)는 스프링(32)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32)과는 관계가 없고, 캠돌기(22a)가 작동캠(26)의 경사홈(26c)내에 있으면서 자유로이 전후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22)와 슬라이더(24)는 서로 뒤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22) 단독으로는 회전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2)와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는 전후진도 회전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게 뒤쪽외통(12)내에 수납되어져 있게 된다.
도 3의 상태에서 앞에서와는 반대방향으로 조작캡(30)을 회전시켜 캠돌기(24a)와 걸림부(26b)의 걸림을 강제적으로 떼어내면, 캠돌기(24a)가 캠슬라이드면(26a)을 따라 뒤쪽으로 이동하는 한편 다른 캠돌기(22a)가 앞쪽으로 이동해서 도 1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도 1의 상태에서 이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면, 이번에는 다른 캠돌기(22a)가 전진해서 걸리부(26b)와 걸려져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가 앞쪽외통(11)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캠돌기(24a)가 후퇴해서 경사홈(26c)내를 미끄럼이동하여 끝부근에 도달하게 되면 볼펜용 필심부재(16)가 외통(10)내를 후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캡(30)을 누르면 작동캠(26)과 캠돌기(22a) 및 슬라이더(22)가 전진하여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의 필심송출기구의 동작으로 필심이 조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볼펜용 필심부재(16)도 함께 전진하게 되지만 이 볼펜용 필심부재(16)는 외통(10)내에서 충분히 후퇴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조작캡(30)을 누를때 이외에는 슬라이더(24)와 볼펜용 필심부재(16)가 회전도 전후진도 할 수 없게 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는 것은 도 3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종래의 복합필기구에서는 각 슬라이더를 각각 뒤쪽으로 힘을 가해 밀어부치는 스프링이 각기 필심부재 주위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스프링(32)이 외통과 대략 동심적으로 필심부재 모두를 에워싸도록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가 있게 된다.
스프링이 1개로 되어 있어서, 후퇴위치에서 스프링과 떨어져 있는 슬라이더가 스프링의 탄발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 있게 되더라도, 상기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및 이에 연결된 필심부재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는 필심부재의 슬라이더가 후퇴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경사홈이 갖춰지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더(22, 24)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 있을때 서로 걸어맞춰지도록 하는 보유지지수단을 설치하거나, 또는 앞쪽외통의 앞부분에 퇴몰된 필심부재의 앞끝이 가볍게 걸려지도록 하는 보유지지수단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 필심부재의 흔들림이 걱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보유지지수단을 생략하여도 된다.
한편, 필심부재의 교환이나 필심의 보충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앞쪽외통(11)과 뒤쪽외통(12)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작동캠(42)에는 캠돌기(22a, 24a)와 각각 걸어맞춰지는 서로 대침을 이루는 2개의 경사홈으로 된 V자형상 캠홈(4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캠홈(42a)의 각 경사홈 앞끝에는 각각 캠돌기(22a, 24a)를 걸려지게 하는 걸림부(42b)가 형성되어 있고, 또 각 경사홈의 뒤끝에는 각각 캠돌기(22a, 24a)를 걸려지게 하는 제2걸림부(42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V자형상 캠홈(42a)의 첨예부로부터는 폐쇄형 슬릿(42c)이 형성되어, 조립할때 이 폐쇄형 슬릿(42c)으로부터 캠돌기(22a, 24a)를 삽입하여 캠홈(42a)내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되었던 스프링(42c)은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필기구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샤프펜슬용 필심부재(14)와 볼펜용 필심부재(16)가 모두 앞쪽외통(11)의 앞끝에서 퇴몰되어 앞쪽외통(11)내에 수납되어져 있을때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더(22, 24)의 캠돌기(22a, 24a)가 캠홈(42a)의 각 경사홈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이 없기 때문에 각 슬라이더(22, 24)가 작동캠(42)에 대해 압접되지는 않지만, 캠돌기(22a, 24a)가 작동캠(42)의 캠홈(42a)내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상태에서 조작캡(30)을 외통(10)에 대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캠(42)이 뒤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하게 되지만, 슬라이더(22) 및 슬라이더(24)는 뒤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캠(42)의 회전에 수반해서 한쪽 슬라이더(24)의 캠돌기(24a)가 캠홈(42a)을 미끄럼이동하여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캠돌기(24a)가 걸림부(42b)에 도달하면 그곳에 걸려져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해서 슬라이더(24)가 전진하기 때문에 이에 연결된 볼펜용 필심부재(16)가 앞쪽외통(11)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상태로 유지되어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도 6). 다른쪽 슬라이더(22)는 작동캠(42)의 회전에 수반해서 그의 캠돌기(22a)가 캠홈(42a)을 미끄럼이동하여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걸림부(42d)에 도달하면 그곳에 걸려져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캠돌기(22a, 24a)가 걸림부(42b) 또는 제2걸림부(42d)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스프링이 없더라도 확실하게 캠돌기(22a, 24a)의 어느 한쪽이 전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그 어느 한쪽 필심부재가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가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쪽외통(11)의 뒤끝과 슬라이더(22) 및 슬라이더(24)의 앞끝 사이의 스프링이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더더욱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비용이 줄여질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앞쪽외통(11)과 뒤쪽외통(12)을 사용하면서, 내부에 3개의 필심부재가 수납되는 경우의 각 필심부재의 뒤끝에 연결되는 슬라이더(44, 46, 48)와 이들의 뒷부분이 삽입되는 작동캠(50)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44, 46, 48)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각이 120도인 부채꼴형상을 이루어, 3개의 슬라이더(44, 46, 48)가 상호 조합되어져 대체로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슬라이더(44)와 슬라이더(48)의 외표면에는 슬라이더(46)에 근접한 위치에 캠돌기(44a, 48a)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46)에는 원주방향에서 바라보아 중앙위치에 캠돌기(4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뒤쪽외통(12)의 키이홈(12a)에 끼워지는 리브(44b)와 2개의 리브(46b 및 48b)가 각각의 슬라이더(44, 46, 48)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캠(50)에는 캠돌기(44a, 46a, 48a)와 걸어맞춰질 수 있는 캠홈(5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캠홈(50a)은 제2실시예의 V자형상 캠홈(50a)과 같은 V자형상 부분과 다시 V자형상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이루어져 원주방향에서 바라보아 360도 가까이까지 연장되도록 되어 있고, 캠홈(50a)의 앞끝인 V자형상 첨예부에는 캠돌기(44a, 46a, 48a)와 걸어맞춰지는 걸림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캠홈(50a)의 V자형상 첨예부에서 앞쪽을 향해서는 폐쇄형 슬릿(50c)이 형성되어, 조립할때 이 폐쇄형 슬릿(50c)으로 캠돌기(44a, 46a, 48a)가 캠홈(50a)내에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슬라이더(44, 46, 48)는 작동캠(50)의 회전에 따라 이들 캠돌기(44a, 46a, 48a) 중 어느 하나가 걸림부(50b)에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그 슬라이더가 전진한 상태로 유지되어 그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캠홈(50a)을 원주방향에서 바라보아 360도 가까이까지 연장되도록 하면 각 캠돌기(44a, 46a, 48a)가 캠홈(50a)을 180도 가까이 이동할 수가 있게 되어 3개의 필심부재를 교대로 출몰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상이점은, 클립(20)을 뒤쪽외통(12)의 외주에 고정시키는 대신 뒤쪽외통(52)의 뒤끝 내면에 암나사(52a)를 형성시켜 숫나사(54a)가 형성된 뒷마개(54)를 이 암나사(52a)에다 나사결합시키면, 이렇게 나사결합될때 뒤쪽외통(52)의 뒤끝과 뒷마개(54)의 사이에 클립(56)의 원형고리부(56a)가 끼워진 상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클립(56)이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점이다.
또, 캡(30)의 앞끝이 뒷마개(54)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도 다르게 되어 있다.
본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본 실시예의 구조와 제2 또는 제3실시예의 구조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과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제5실시예와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의 주된 상이점은, 뒤쪽외통(62)의 앞부분에 접속원통부(64)가 뒤쪽외통(6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서, 이 접속원통부(64)의 앞 끝에 앞쪽외통(61)이 탈착될 수 있게 나사결합되어, 이들 앞쪽외통(61)과 뒤쪽외통(62) 및 접속원통부(64)로 외통(60)이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슬라이더(72, 74)의 앞부분이 접속원통부(64)까지 연장되고서 그 앞끝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리브(72b, 74b)가 접속원통부(6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개로 형성된 키이홈(64a;도 12)에 끼워넣어지게 됨으로써, 슬라이더(72, 74)가 접속원통부(64)에 대해 회전은 할 수 없고 축방향으로 이동만 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72, 74)의 뒷부분이 작동캠(76)내로 삽입되어, 각 슬라이더(72, 74)가 작동캠(76)의 캠슬라이드면(76a) 및 걸림부(76b)와 걸어맞춰질 수 있는 캠돌기(72a, 74a)를 외주면에 갖추고 있는 점은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다.
그리고, 상기 작동캠(76)에는 뒤쪽외통(62)의 뒷부분에 형성된 키이홈(62b)에 끼워지는 리브(76c)를 갖추어 뒤쪽외통(62)과 상대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뒤쪽외통(62)을 앞쪽외통(61)에 대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뒤쪽외통(62)과 함께 작동캠(76)이 회전하게 되지만, 슬라이더(72, 74)가 접속원통부(64)를 매개로 앞쪽외통(12)에 대해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캠(76)의 회전에 수반해서 한쪽 슬라이더(72 또는 74)가 캠슬라이드면(76a)을 따라 전진해서 걸림부(76a)에 걸려지게 되고, 이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앞끝이 앞쪽외통(6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조와 제2 또는 제3실시예의 구조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제6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제4실시예와 주된 상이점은 뒤쪽외통(80)의 내주면에 스프링(32)의 앞끝을 받쳐주는 단차부(80b)가 갖춰짐과 더불어 뒤쪽외통(80)의 뒤끝에는 슬릿(80c)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기구를 조립할때, 작동캠(26)을 뒤쪽외통(80)의 앞쪽으로부터가 아니라 뒤쪽외통(80)의 뒤쪽으로부터 뒤쪽외통(80)내로 끼워넣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앞의 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이 작동캠(26)을 삽입할때 뒤쪽외통(80)에 형성된 슬릿(80c) 때문에 뒤쪽외통(80)의 뒤끝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작동캠(26)을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 작동캠(26)이 삽입된 후에는 뒤쪽외통(80)의 슬릿(80c) 위에서 클립(20)을 고정시켜주게 됨으로써 슬릿(80c)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작동캠(26)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고, 또 본 실시예의 구조와 제2 또는 제3실시예의 구조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통내에 필심부재 모두를 에워싸는 1개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이 가장 전진한 슬라이더에 작용해서 그 슬라이더를 캠슬라이드면에다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어서, 각 슬라이더마다 각각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진한 슬라이더가 캠슬라이드면의 걸림부에 힘을 가하게 되어, 이 전진한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앞끝이 외통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을 복수의 슬라이더마다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 싼 값으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전진하지 않은 나머지 슬라이더를 후퇴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보유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나머지 슬라이더는 스프링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후퇴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나머지 슬라이더 및 그에 연결된 필심부재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복수의 슬라이더가, 1개의 슬라이더 단독으로는 작동캠에 대해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나머지 슬라이더도 단독으로 캠슬라이드면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경사홈에 의해 후퇴위치에 유지시켜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나머지 슬라이더 및 그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흔들림이 확실하게 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립하기 위해 스프링을 뒤쪽외통에다 조립할때, 스프링의 앞끝을 잡아당겨 뒤쪽외통의 작은돌기에다 걸어 스프링이 뒤쪽외통내에 임시로 걸려져 있도록 할 수가 있어서, 앞쪽외통을 뒤쪽외통에다 연결할 때까지 스프링이 뒤쪽외통의 앞쪽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조립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슬라이더가 1개의 슬라이더 단독으로 작동캠에 대해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작동캠에는 전체 슬라이더를 전진위치와 후퇴위치의 사이에서 유도하는 캠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전혀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줄어들어 싼 값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슬라이더가 전진위치와 후퇴위치에서 확실히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캠을 외통의 뒤끝으로 조립해 넣을 수도 있게 된다.

Claims (8)

  1. (정정) 외통(10)내에 복수의 필심부재(14, 16)가 수납되고서, 이들 각 필심부재(14, 16)의 뒤 끝에 슬라이더(22, 24)가 연결되어, 이들 슬라이더(22, 24)와 상기 외통(10)내에 배치된 작동캠(25) 사이의 상대회전조작으로 1개의 슬라이더가 작동캠(26)에 형성된 캠슬라이드면(26a)을 따라 외통(10)내를 전진해서 작동캠(26)의 캠슬라이드면(26a)의 앞끝에 형성된 걸림부(26b)에 걸려져, 이 슬라이더(22, 24)에 연결된 필심부재(14, 16)의 앞끝이 외통(10)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복합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외통(10)내에 필심부재(14, 16) 모두를 에워싸는 1개의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32)이 가장 전진해 있는 슬라이더(22, 24)에 작용해서 당해 슬라이더(22, 24)를 캠슬라이드면(26a)에 대해 밀어주는 방향으로 밀어부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2, 23)중 1개의 슬라이더가 외통(10)내를 전진했을때 나머지 슬라이더로 후퇴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유지지수단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3. (정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22, 24)가 그 중 1개의 슬라이더 단독으로는 작동캠(26)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유지지수단이, 상기 작동캠(26)의 캠슬라이드면(26a)을 따라 형성되어 나머지 슬라이더를 후퇴위치로 유도하는 경사홈(26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4. (정정)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이 상호 탈착될 수 있게 연결된 앞쪽외통(11)과 뒤쪽외통(12)으로 이루지고서, 상기 스프링(32)이 앞쪽외통(11)과 슬라이더(22, 24)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뒤쪽외통(12)의 내주면 앞부분에는 조립할때 스프링(32)의 앞끝을 받쳐주게 되는 작은 돌기(1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5. (정정)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뒤끝에 슬릿(80c)이 형성되어, 조립할때 작동캠(26)이 이 슬릿(80c)을 벌려 외통(10)의 뒤끝에서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6. (정정) 외통(10)내에 복수의 필심부재(14, 16)가 수납되고, 이들 각 필심부재(14, 16)의 뒤끝에 슬라이더(22, 24)가 연결되어, 이들 슬라이더(22, 24)와 상기 외통(10)내에 배치된 작동캠(42) 사이의 상대회전조작으로 1개의 슬라이더가 외통(10)내를 전진해서 작동캠(42)의 걸림부(42b)에 걸려져, 이 슬라이더(22, 24)에 연결된 필심부재(14, 16)의 앞끝이 외통(10)의 앞끝에서 돌출시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복합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22, 24)가 1개의 슬라이더 단독으로는 작동캠(42)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작동캠(42)에는 전체 슬라이더(22, 24)를 전진위치와 후퇴위치 사이에서 유도하는 캠홈(4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42a)에 슬라이더(22, 24)를 전진위치에서 걸려지게 하는 상기 걸림부(42b)외에 슬라이더(22, 24)를 후퇴위치에서 걸려지게 하는 제2걸림부(42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8. (정정)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뒤끝에 슬릿(80c)이 형성되어, 조립할때 작동캠(42)이 이 슬릿(80c)을 벌려 외통(10)의 뒤끝에서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KR2019980005427U 1997-04-15 1998-04-08 복합필기구 KR20018980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97632A JPH10287085A (ja) 1997-04-15 1997-04-15 複合筆記具
JP97-97632 1997-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67U KR19980065067U (ko) 1998-11-25
KR200189803Y1 true KR200189803Y1 (ko) 2000-08-01

Family

ID=1419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427U KR200189803Y1 (ko) 1997-04-15 1998-04-08 복합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287085A (ko)
KR (1) KR200189803Y1 (ko)
TW (1) TW35403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336A (ko) * 2013-12-19 2015-06-29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복수 출몰식 필기구
KR20180124170A (ko) * 2017-05-10 2018-11-21 주식회사모나미 몸통회전 심돌출형 다색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98B1 (ko) * 2002-08-28 2004-11-18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JP6100125B2 (ja) * 2013-08-12 2017-03-22 株式会社シブタニ アンチパニック式自動施錠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336A (ko) * 2013-12-19 2015-06-29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복수 출몰식 필기구
KR102256654B1 (ko) 2013-12-19 2021-05-25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복수 출몰식 필기구
KR20180124170A (ko) * 2017-05-10 2018-11-21 주식회사모나미 몸통회전 심돌출형 다색 필기구
KR102014135B1 (ko) * 2017-05-10 2019-10-22 주식회사 모나미 몸통회전 심돌출형 다색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67U (ko) 1998-11-25
TW354037U (en) 1999-03-01
JPH10287085A (ja) 199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4836Y2 (ja) 塗布具のキヤツプ構造
KR200189803Y1 (ko) 복합필기구
US6515806B2 (en) Eyepiece attachment structure for observation optical instrument
US8915663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eraser protected by a sleeve
KR100350835B1 (ko) 측방녹크식 볼펜
KR930016251A (ko) 후방끝에 회전가능한 장식을 가진 필기구
JP2004510609A (ja) ペン
US6309129B1 (en) Writing utensils
US5004364A (en) Device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writing element in writing instrument
US5165813A (en) Container with snap-in chuck and chuck ring
US5662424A (en) Mechanical pencil
EP0538503B1 (en) A rotary-cam ball-point pen
JP4549478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JPH10217673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2008155508A (ja) 多芯筆記具
JP3407472B2 (ja) 筆記具
EP0498930A1 (en) Combined writing tool
JP4463367B2 (ja) 複式筆記具
JP3844417B2 (ja) 複合筆記具
KR20020014642A (ko) 필기구의 캡고정구조
KR200331308Y1 (ko) 캡이 내장된 필기구
JP2001121870A (ja) 頭冠または尾冠の装着構造
JPH0563888U (ja) ボールペン
KR930000111Y1 (ko) 회전캠식 보올펜
JPH0615731Y2 (ja) 筆記又は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