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336A - 복수 출몰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복수 출몰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336A
KR20150072336A KR1020140173114A KR20140173114A KR20150072336A KR 20150072336 A KR20150072336 A KR 20150072336A KR 1020140173114 A KR1020140173114 A KR 1020140173114A KR 20140173114 A KR20140173114 A KR 20140173114A KR 20150072336 A KR20150072336 A KR 20150072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writing
barrel
slide button
relea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654B1 (ko
Inventor
유키히로 쓰키오카
아카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30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5617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6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88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024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2059B2/ja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필기심의 수의 증가에 따라 축직경이 굵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축통(10) 내에, 볼펜용 필기심(21b),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의 후단측에 각각 슬라이드버튼(21a), 슬라이드버튼(22a)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이 복수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압동된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이 그 전단의 필기부를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축통(10) 내에서 전방으로 수축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50)을 마련하고,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을 단수의 압축코일 스프링(50)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함과 함께, 이들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의 각각을, 단수의 압축코일 스프링(50)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맞닿게 했다.

Description

복수 출몰식 필기구{MULTIPLE RETRACTABLE WRITING UTENSIL}
본 발명은, 축통 내에 복수의 필기심을 장착하여, 이들 필기심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도록 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발명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축통(10)과, 전단에 필기부(21)를 가지는 필기심(리필(20, 20'))과, 상기 필기심의 후단측에 접속된 슬라이드버튼(압자(42))과, 복수의 필기심 및 슬라이드버튼을 각각 후방으로 부세하는 복수의 부세부재(압축 스프링(52, 53))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압동된 상기 슬라이드버튼의 전진에 의하여 필기부(21)를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필기구가 있다. 복수의 상기 부세부재(압축 스프링(52, 53))는, 각각, 필기심(리필(20, 20'))에 환형상으로 장착되어, 다른 부세부재와의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적당한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필기심을, 색이 다른 복수의 볼펜용 리필이나, 샤프펜슬용 리필, 전자입력펜용 리필 등으로 함으로써, 다기능의 필기구를 한 개의 축통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필기심(리필(20, 20'))의 수를 늘리려고 한 경우, 필기심의 증가 수만큼 부세부재(압축 스프링(52, 53))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부세부재(압축 스프링(52, 53))가 증가하면, 각 부세부재의 외경이 필기심보다 큰 점이나, 인접하는 부세부재 간에 확보된 상기 간극 등에 의하여, 축통(10)의 내외경이 큰폭으로 증가해 버릴 우려가 있고, 특히 필기심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현저하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9-11988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과제로 하는 바는, 필기심의 수의 증가에 따라 축직경이 굵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수단은, 축통 내에, 필기심의 후단측에 슬라이드버튼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필기심이 복수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압동된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이 그 전단의 필기부를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축통 내에서 전방으로 수축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을 마련하고, 복수의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하나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함과 함께, 이들 슬라이드 필기심의 각각을, 하나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수의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을 부세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필기심의 수의 증가에 따라 압축코일 스프링의 수도 증가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필기심의 수의 증가에 따라 축직경이 굵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동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주요부 분해도이다.
도 3은 동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며, (I)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II)는 일방의 슬라이드버튼의 압동에 의하여 해제부재를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동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며, (III)은 일방의 슬라이드버튼을 건 상태를 나타내고, (IV)는 타방의 슬라이드버튼의 압동에 의하여 전진하는 해제부재를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에 맞닿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동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며, (V)는 일방의 슬라이드버튼의 걸림이 풀린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VI)은 일방의 슬라이드버튼이 후퇴하여 걸어맞춤 돌기를 해제부재에 간섭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동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며, (VII)은 일방의 슬라이드버튼의 걸어맞춤 돌기가 해제부재의 피걸어맞춤 돌기를 타고 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VIII)은 일방의 슬라이드버튼의 걸어맞춤 돌기가 해제부재의 피걸어맞춤 돌기를 타고 넘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내부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의 다른 예를 (a)~(c)에 각각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축통 내에, 필기심의 후단측에 슬라이드버튼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필기심이 복수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압동된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이 그 전단의 필기부를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축통 내에서 전방으로 수축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을 마련하여, 복수의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하나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함과 함께, 이들 슬라이드 필기심의 각각을, 하나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맞닿게 했다.
여기에서, 상기 "필기심"에는, 볼펜용 필기심(리필)이나, 샤프펜슬용 필기심, 출몰식 사인펜이나 출몰식 마커펜의 필기심, 전자펜용 필기심, 수정펜용 필기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는, 슬라이드 필기심을 전진시킨 상태를 손가락 등의 가압력에 의하여 유지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진했을 때의 슬라이드 필기심을 축통 또는 축통 내의 부재에 걸어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 슬라이드 필기심이 손가락 등에 의하여 전방으로 압동되면,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은, 하나의 압축코일 스프링을 수축시키면서 전진하여, 그 전단의 필기부를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또한, 손가락 등에 의한 전방으로의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은, 하나의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후퇴하고, 그 전단의 필기부를 축통 내에 몰입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출몰동작 중, 어떤 슬라이드 필기심이 선택된 경우이더라도 동일한 하나의 압축코일 스프링이 기능한다.
제2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특징에 더하여,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을 축통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함과 함께, 이 압축코일 스프링의 내주를 따라 복수의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배치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을 축통 내주면을 따르게 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데다가, 압축코일 스프링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체를 배치할 수 있다.
제3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또는 2 특징에 더하여,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후단에 수용부재를 맞닿게 하여, 이 수용부재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일부분에,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맞닿게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압축코일 스프링과 슬라이드버튼과의 사이의 맞닿음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4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전진하여 필기부를 돌출시킨 상태의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걸거나, 이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계탈(係脫)수단을 구비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필기부를 돌출상태에서 걸거나 그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계탈수단"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 필기심을 축통 또는 축통 내의 부재에 걸어, 이 슬라이드 필기심에, 나중에 전진하는 슬라이드 필기심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간섭시켜, 상기 걸림을 풀도록 한다.
제5 특징으로서, 상기 제4 특징에 더하여, 상기 계탈수단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을 축통 내측으로 가라앉게 하여 거는 피걸림부와, 복수의 슬라이드버튼의 축통 중심측에 마련된 해제부재를 구비하여,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다른 슬라이드버튼을 전진시킨 경우에, 전진하는 상기 다른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해제부재를 압동하고, 또한 상기 해제부재가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을 압동하여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풀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필기심의 수를 비교적 많게 한 경우에도, 인접하는 슬라이드버튼끼리를 간섭시키도록 한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슬라이드버튼과 해제부재와의 사이의 간섭을 확실히 행하게 하여, 슬라이드 필기심의 계탈동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제6 특징으로서, 상기 제5 특징에 더하여, 상기 해제부재는, 축통 축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부세부재에 의하여 축통 후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필기심의 계탈동작을 순조롭게 하기 위한 구체적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상기 부세부재에는, 압축 스프링에 의한 구성과 인장 스프링에 의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세부재에는, 상기 해제부재의 전부측에 배치된 양태(도 1 참조)와, 상기 해제부재의 후부측에 배치된 양태(도 7 및 도 8 참조)를 포함한다.
제7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6 특징에 더하여, 복수의 슬라이드버튼의 각각에 걸어맞춤 돌기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해제부재에는 상기 걸어맞춤 돌기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타고 넘게 되는 피걸어맞춤 돌기를 마련하여,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에 맞닿아 상기 해제부재를 소정량 전진시킨 후에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해제부재가 상기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하여 후퇴하여 다른 슬라이드버튼의 걸어맞춤 돌기에 맞닿게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필기심의 계탈동작을 보다 순조롭게 하기 위한 구체적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8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7 특징에 더하여, 상기 슬라이드버튼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 돌기보다 후측에, 상기 해제부재의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경사면을 마련하여,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린 상태에서 다른 슬라이드버튼을 전진시킨 경우에, 상기 다른 슬라이드버튼의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 해제부재의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에 맞닿아 상기 해제부재를 전진시켜, 상기 해제부재가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를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의 상기 경사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풀리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필기심의 계탈동작을 보다 순조롭게 하기 위한 구체적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9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8 특징에 더하여,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풀려 후퇴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해제부재의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를 후방으로 타고 넘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후퇴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해제부재의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를 후방으로 타고 넘어,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따라서,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을, 피걸어맞춤 돌기보다 후방측에서 초기 상태로 안정시킬 수 있다.
제10 특징으로서는, 상기 제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축통 내의 후단측에,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버튼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완(緩)끼워맞춤 수단을 마련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슬라이드 필기심의 전진에 의하여 압축코일 스프링이 수축한 상태에서, 다른 슬라이드 필기심이 진동 등에 의하여 전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징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고, 이하의 구성 요건만을 필수로 한 독립된 발명도 개시하고 있다.
즉, 이 독립된 발명 중 하나는, 축통 내에, 필기심의 후단측에 슬라이드버튼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필기심이 복수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압동된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이 그 전단의 필기부를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축통 내의 후단측에,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버튼에 대하여 감탈(嵌脫)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완끼워맞춤 수단을 마련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슬라이드 필기심을 손가락 등에 의하여 전진시켰을 때에, 다른 슬라이드 필기심도 상기 손가락 등에 간섭하여 전진해 버리는 것을 완끼워맞춤 수단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완끼워맞춤 수단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에 대하여 그 축통 중심측으로부터 눌리도록 감탈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완끼워맞춤 수단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적어도 상기 슬라이드버튼에 대하여 축통 중심측으로부터 눌리는 부분을, 탄성재료로 형성한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징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고, 이하의 구성 요건만을 필수로 한 독립된 발명도 개시하고 있다.
즉, 이 독립된 발명은, 축통 내에, 필기심의 후단측에 슬라이드버튼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과, 이들 슬라이드 필기심을 후방으로 부세하는 제1 부세부재가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압동되어 전진하는 슬라이드버튼을 축통 내측으로 가라앉게 하여 피걸림부에 걸리며, 이 걸림상태를 다른 슬라이드버튼의 전진에 의하여 해제하고 후퇴시키도록 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의 축통 중심측에, 슬라이드버튼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해제부재는,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다른 슬라이드버튼을 전진시킨 경우에, 상기 다른 슬라이드버튼에 압동되어,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을 압동하여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실시예 ]
다음으로, 상기 특징을 가지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 중, 축통 축방향이란, 축통의 중심선이 뻗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이란, 축통 축방향의 일방측으로서 필기부의 선단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후"란, 축통 축방향의 상기 일방측에 대한 역방향측을 의미한다. 또한, "축통 직경방향"이란, 축통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축통 직경 외방향"이란, 상기 축통 직경방향을 따라 축통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축통 직경 내방향"이란, 상기 축통 직경방향을 따라 축통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복수 출몰식 필기구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10)과, 그 축통(10) 내에 구비된 복수 종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과, 슬라이드 필기심(21 또는 22)의 후단측의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에 걸어맞추는 가이드체(30)와,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의 축통 둘레방향의 간격을 유지하는 디바이더(40)와,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을 후방으로 부세하는 단수의 압축코일 스프링(50)(제1 부세부재)과, 그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을 환형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재(60)와,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재(70)와, 해제부재(70)를 후방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80)(제2 부세부재)와, 초기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감탈부재(90)(완끼워맞춤 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도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본 구조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슬라이드 필기심(21)과 슬라이드 필기심(22)을 각각 한 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필기심(21)(볼펜용)을 5개, 슬라이드 필기심(22)(샤프펜슬용)을 1개로 하고 있다.
축통(10)은, 도시예에 의하면, 전측 축통(11)에, 후측 축통(12)을 나사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 축통(10)의 다른 예로서는, 1개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양태나, 통체의 선단 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구(先口)를 접속한 양태, 3개 이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양태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측 축통(11)은, 전단측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긴 통 형상의 부재이며, 그 전단에는,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의 필기부를 출몰시키기 위한 개구부(11a)를 가진다.
이 개구부(11a)는, 볼펜용 필기심(21b) 전단의 필기부(볼펜 팁)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또한, 샤프펜슬용 필기심(22b) 전단의 단차 형상의 필기부를 돌출상태로 걸도록, 그 내경이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후측 축통(12)은, 그 전단측을 전측 축통(11)의 후단측에 나사결합 접속하고 있다. 이 후측 축통(12)의 후단측에는, 그 둘레벽을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창부(12a, 12b)와, 후단부를 후방으로 관통하는 후단 개구부(12c)가 마련된다.
복수의 창부(12a, 12b)는, 축통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들 중, 일방(도 1에 의하면 하측)의 창부(12a)는, 슬라이드버튼(21a)(볼펜 중앙심)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면 5개) 마련된다. 각 창부(12a)는, 슬라이드버튼(21a) 후단측으로부터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조작부(21a1)를 진퇴 가능하게 하도록, 축통 축방향으로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른 일방(도 1에 의하면 상측)의 창부(12b)는, 슬라이드버튼(22a)을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단수 마련된다. 이 창부(12b)는, 슬라이드버튼(22a) 후단측으로부터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클립 지지부(22a1)를 진퇴 가능하게 하도록, 축통 축방향에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후단 개구부(12c)는, 가이드체(30)의 후단부를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드 필기심(21)은, 슬라이드버튼(21a)의 전단측에 볼펜용 필기심(21b)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이 슬라이드 필기심(21)은, 도시예에 의하면 복수(예를 들면 5개) 마련되어, 각각 색이 다른 볼펜용 필기심(21b)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필기심(22)은, 슬라이드버튼(22a)의 전단측에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이 슬라이드 필기심(22)은, 도시예에 의하면 단수 마련된다. 다만, 도 1 중, 부호 22c는, 슬라이드버튼(22a)과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을 접속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며, 샤프펜슬용 필기심(22b) 또는 슬라이드버튼(22a) 전단측을 도시보다 길게 함으로써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드버튼(21a)은, 그 후단측에,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조작부(21a1)를 가진다. 또한, 이 슬라이드버튼(21a)에 있어서의 축통 직경 내방향측(도 2에 의하면 상측)의 부분에는, 축통 중심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기(21a2)와, 그 걸어맞춤 돌기(21a2)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21a3)을 가진다.
또한, 이 슬라이드버튼(21a)의 전단측에는, 후술하는 수용부재(60)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맞닿음 돌기(21a4)가 마련된다.
또한, 도 2 중, 부호(21a5)는, 가이드체(30)에 걸어맞춰 슬라이드버튼(21a)의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기이다.
다른 일방의 슬라이드버튼(22a)은, 그 후단측에,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클립 지지부(22a1)를 가지고, 이 클립 지지부(22a1)에는, 부세부재(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를 통하여 개폐조작기능 장착 클립(24)이 장착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이 슬라이드버튼(22a)에 있어서의 축통 직경 내방향측(도 2에 의하면 하측)의 부분에는, 축통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기(22a2)와, 그 걸어맞춤 돌기(22a2)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22a3)을 가진다.
또한, 이 슬라이드버튼(22a)의 전단측에는, 후술하는 수용부재(60)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맞닿음 돌기(22a4)가 마련된다.
또한, 도 2 중, 부호(22a5)는, 가이드체(30)에 걸어맞춰 슬라이드버튼(22a)의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기이다.
걸어맞춤 돌기(21a2, 22a2)의 각각은, 전후에 경사면을 가지는 산형상의 돌기이며, 후술하는 해제부재(70)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맞닿아, 그 해제부재(70)를 압동하거나 후방으로 타고 넘게 한다.
경사면(21a3), 경사면(22a3)의 각각은,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의 축통 직경 내방향측의 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전단면이다. 이 경사면(21a3 또는 22a3)은, 후술하는 해제부재(70)의 피걸어맞춤 돌기(72)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전방 대각선 축통 직경 내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볼펜용 필기심(21b)은, 잉크 수용관의 전단에 볼펜 팁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며, 잉크 수용관 내의 잉크를 볼펜 팁 전단으로부터 토출하는 주지 구조의 것이다.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은, 심지 탱크의 전단측에 척, 클러치 링, 부세부재 등의 연필심 조출기구를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그 전단측의 단부를 축통(10) 전단의 개구부(11a)에 건 상태로 후단측이 진퇴됨으로써, 심 탱크 내의 연필심을 조출하는 주지 구조의 것이다.
또한, 가이드체(30)는, 진퇴 가능한 복수의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퇴 불가능한 부위이며,축통(10) 내의 후단측에, 상기 축통(10)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수납된다. 이 가이드체(30)는, 복수의 슬라이드버튼(21a, 22a)을 각각 전진 위치(상세하게는 필기부를 돌출시킨 위치)에서 계탈 가능하게 거는 대략 통형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2-200899에 개시되는 압자 가이드체(50)의 기본 구조를 이용하면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가이드체(30)는, 복수의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각각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31)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가지고, 각 가이드부(31)의 전단측에, 전진 위치가 된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을 축통 직경 내방향으로 가라앉게 하여 거는 단(段)형상의 피걸어맞춤부(31a)(계탈수단)를 가진다.
그리고, 가이드체(30)의 축통(10) 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는, 지우개나 캡 등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디바이더(40)는,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을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유지하는 필기심 유지부(41)와, 그 필기심 유지부(41)의 축통 중심측에서 해제부재(70)를 진퇴 가능하게 유지하는 해제부재 유지부(42)를 일체로 가진다.
필기심 유지부(41)는, 대략 원통형상을 나타내고, 볼펜용 필기심(21b) 및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을 각각 삽입 관통 가능한 축방향의 구멍 또는 홈을, 둘레벽 또는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있다.
이 필기심 유지부(41)의 후단면은, 후술하는 압축코일 스프링(50)의 전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기능한다.
해제부재 유지부(42)는, 축통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대략 통형상의 부재이며, 후술하는 해제부재(70)를, 여유를 가지는 상태로 후방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있다.
이 해제부재 유지부(42)의 내주면에는, 해제부재(70)의 진퇴량을 규제하는 규제 걸어맞춤부(42a)가 마련된다. 이 규제 걸어맞춤부(42a)는, 도시예에 의하면, 해제부재(70)에 대하여 요철형상으로 끼워맞추는 돌기이지만, 다른 예로서는, 그 요철관계를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코일 스프링(50)은, 축통(10) 내에서 전방으로 수축하도록 그 축통(10)의 내주면을 따라 단수 마련되며, 후술하는 부세부재(80)보다 대경인 코일 스프링이다.
이 압축코일 스프링(50)의 전단좌부는, 축통(10) 내의 진퇴 불가능 부위(도시예에 의하면 디바이더(40)의 후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좌부에는, 그 후방측으로부터, 수용부재(60)를 통하여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의 일부분(상세하게는, 슬라이드버튼(21a, 22a))이 맞닿아 있다.
즉,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은, 하나의 압축코일 스프링(50)의 내주를 따라 ,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나의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좌부에 대하여, 수용부재(60)를 통하여 후방측으로부터 간접적으로 맞닿아 있다.
수용부재(60)는,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좌부를 수용하는 환형상의 부재이며,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측에 삽입되는 삽입부(61)와,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좌부에 맞닿는 수용부(62)가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부(61)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상부재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기둥 형상부재의 사이에, 볼펜용 필기심(21b) 또는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을 삽입 관통시켜, 복수의 상기 기둥 형상부재의 외주부를, 압축코일 스프링(50)의 내주부에 근접시키고 있다.
수용부(62)는, 도시예에 의하면,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은,각 필기심(21b 또는 22b)의 외주면을 덮도록, 예를 들면 복수의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해제부재(70)는, 긴 축 형상의 부재이다.
이 해제부재(70)의 전단측에는, 해제부재 유지부(42)의 규제 걸어맞춤부(42a)에 걸어맞추는 피걸어맞춤부(71)가 마련된다. 이 피걸어맞춤부(71)는, 도시예에 의하면, 볼록형상의 규제 걸어맞춤부(42a)에 끼워맞춰져 상기 규제 걸어맞춤부(42a)를 소정 진퇴시키는 환형상 오목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피걸어맞춤부(71)를 볼록부로 하고, 상기 규제 걸어맞춤부(42a)를 오목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해제부재(70)는, 축통(10)과 일체인 해제부재 유지부(42)에 대하여 소정량 진퇴 가능하다. 또한, 이 해제부재(70)는, 해제부재(70)와 해제부재 유지부(42)와의 직경방향의 여유, 및 해제부재(70) 후부측의 휨 등에 의하여, 후부측을 축통 직경방향으로 미동 가능하다.
또한, 해제부재(70)의 후단측에는,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걸어맞춤 돌기(21a2, 22a2) 및 경사면(21a3, 22a3)에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 돌기(72)가 마련된다. 이 피걸어맞춤 돌기(72)는, 도시예에 의하면, 전방을 향하여 축경(縮徑)하는 환형상 경사면을 가지는 환형상 돌기이다.
또한, 해제부재(7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피걸어맞춤부(71)와 피걸어맞춤 돌기(7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부세부재(80)를 장착하는 원기둥 형상의 부세부재 장착부(74)와, 부세부재(80)의 후단을 수용하도록 환형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수용부(73)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해제부재(70)는, 부세부재(80)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부세부재(80)보다 전측의 부분이, 디바이더(40)의 해제부재 유지부(42) 내로 여유있게 삽입된다.
부세부재(80)는, 압축코일 스프링(50)보다 소경인 압축코일 스프링이며, 해제부재(70)의 부세부재 장착부(74)에 환형상으로 장착되어, 해제부재 유지부(42) 후단과 해제부재(70)의 스프링 수용부(73)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해제부재(70)를 후방으로 탄발하고 있다.
또한, 감탈부재(90)는, 초기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완끼워맞춤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감탈부재(90)는, 축통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합성수지 재료로부터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체(30) 내의 후단측에 동심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탈부재(90)의 외주면은,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대하여 축통 중심측으로부터 눌려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탈부재(90)는, 엘라스토머 수지나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부터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단면 산형상의 환형상 돌기(91)를 가지고, 이 환형상 돌기(91)를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대하여 축통 중심측으로부터 누르도록 하여, 가이드체(30)의 후단측에 끼워맞춰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감탈부재(90)에 의하면, 슬라이드버튼(21a,22a)은, 각각, 돌기(21a5, 22a5)를 가이드체(30)에 맞닿게 하여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축통 중심측으로부터 감탈부재(90)에 의하여 느슨하게 가압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이 압축코일 스프링(50)을 수축시켜 전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다른 슬라이드버튼(22a 또는 21a)이 압축코일 스프링(50)으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른 슬라이드버튼(22a 또는 21a)은, 감탈부재(90)와의 완끼워맞춤에 의하여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지는 않지만, 손가락 등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렸을 때에는, 감탈부재(90)와의 완끼워맞춤상태로부터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대하여, 그 특징적인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 3~6 중에서는, 슬라이드버튼(21a)과 슬라이드버튼(22a)과 해제부재(70)의 세 부재 중, 전 상태로부터 움직인 부재를, 알기 쉽게 해칭하고 있다.
먼저, 도 3의 (I)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모든 슬라이드버튼(21a, 22a)이, 가이드체(30) 내의 최후단측에 위치하여, 이들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걸어맞춤 돌기(21a2, 22a2)에 대하여, 전방측으로부터, 부세부재(80)에 의하여 부세된 해제부재(70)의 피걸어맞춤 돌기(72)가 맞닿아 있다. 또한,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각각은, 그 후단부측이 축통 직경 내방향측으로부터 감탈부재(90)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초기 상태에서는, 복수의 슬라이드버튼(21a, 22a)이,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 초기 상태에서는, 모든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의 필기부가, 축통(10) 내에 몰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조작기능 장착 클립(24)에 손가락 등이 걸려, 개폐조작기능 장착 클립(24)과 일체인 슬라이드버튼(22a)이 전방으로 압동되면, 상기 슬라이드버튼(22a)은, 수용부재(60)와 함께 압축코일 스프링(50)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전진하고, 상기 슬라이드버튼(22a)의 걸어맞춤 돌기(22a2)가 해제부재(70) 후단측의 피걸어맞춤 돌기(72)에 맞닿아, 해제부재(70)를 전진시킨다.
이 전진 시, 타방의 슬라이드버튼(21a)은, 감탈부재(90)에 의하여 직경 외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인 채, 수용부재(60)의 후단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멀어지기 때문에, 전진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슬라이드버튼(22a)이 더욱 전진하면, 상기 슬라이드버튼(22a)과 함께 전진하는 해제부재(70)가 규제 걸어맞춤부(42a)에 걸려 전진 불가능하게 되어, 슬라이드버튼(22a)의 걸어맞춤 돌기(22a2)는, 도 4의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부재(70)의 피걸어맞춤 돌기(72)를 전방으로 타고 넘는다. 그리고, 슬라이드버튼(22a)은, 축통(10) 내로 가라앉도록 하여, 가이드체(30)의 피걸림부(31a)(도 1 참조)에 걸려, 슬라이드 필기심(22)이 필기부를 돌출시킨 필기 가능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타방의 슬라이드버튼(22a)은, 부세부재(80)의 부세력에 의하여 후퇴한 해제부재(70)에 맞닿게 되어, 후퇴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22a)이 피걸림부(31a)에 걸린 상기 상태에서, 도 4의 (IV)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슬라이드버튼(21a)이 손가락 등에 의하여 압동되어 전진한 경우에는, 이 슬라이드버튼(21a)의 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버튼(21a)에 맞닿아 있는 해제부재(70)도 전진한다.
그리고, 전진하는 해제부재(70)는, 그 피걸어맞춤 돌기(72)를,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22a)의 경사면(22a3)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22a)을, 가라앉음 방향에 대한 역방향(도시의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 피걸림부(31a)로부터 푼다. 도 5의 (V)는, 슬라이드버튼(22a)이 피걸림부(31a)로부터 풀린 직후의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걸림상태로부터 해제된 슬라이드버튼(22a)은, 압축코일 스프링(50)의 부세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먼저, 도 5의 (V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22a2)를, 해제부재(70)의 피걸어맞춤 돌기(72)에 맞닿게 한다. 따라서, 해제부재(70)는, 그 후단측이 축통 직경방향에 있어서 일방의 슬라이드버튼(22a)과 반대측으로 요동함과 함께, 타방의 슬라이드버튼(21a)의 걸어맞춤 돌기(21a2)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하여 약간만 전진한다(도 6의 (VII) 참조). 다만, 슬라이드버튼(22a)의 상기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슬라이드 필기심(22)의 필기부는 몰입된다.
다음으로, 도 6의 (VII)(V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슬라이드버튼(22a)은, 상기와 같이 하여 휜 해제부재(70)의 피걸어맞춤 돌기(72)를 타고 넘어 더욱 후퇴한다. 도 6의 (VII)은, 일방의 슬라이드버튼(22a)의 걸어맞춤 돌기(22a2)가 피걸어맞춤 돌기(72)를 타고 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VIII)은, 동 걸어맞춤 돌기(22a2)가 피걸어맞춤 돌기(72)를 타고 넘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VIII)에서는, 해제부재(70)의 후단측의 피걸어맞춤 돌기(72)가 걸어맞춤 돌기(22a2)에 의하여 축통 직경방향으로 밀림으로써, 해제부재(70)의 후단측이 슬라이드버튼(21a)측(도시의 하방)으로 약간 휘어 있다.
이 후, 슬라이드버튼(21a)로부터 손가락 등이 떨어지면, 모든 슬라이드버튼(21a, 22a)은, 압축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후방으로 부세되어, 도 3의 (I)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동작은,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 중, 어느 것이 선택된 경우에도, 대략 동일하게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의하면,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 중, 어느 슬라이드 필기심(21 또는 22)이 전진한 경우에도, 이 슬라이드 필기심(21 또는 22)을, 하나의 압축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후방으로 부세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필기심을 각각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부세하도록 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코일 스프링의 설치 스페이스나 간섭 방지 스페이스 등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축통 직경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효과는 슬라이드 필기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해진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필기심(22)(샤프펜슬용)을 돌출시켜, 그 전단으로부터 연필심을 조출하는 조작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개폐조작기능 장착 클립(24) 또는 가이드체(30)의 후단 노출부(도시예에 의하면 캡부분)에 대한 노크 조작에 의하여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코일 스프링(50)의 내주측에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22)을 배치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압축코일 스프링(50)의 외주측에 복수의 슬라이드 필기심(21,22)을 배치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드 필기심의 구체적 양태로서, 볼펜용 필기심(21b)을 이용한 슬라이드 필기심(21)과,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을 이용한 슬라이드 필기심(22)을 예시했지만, 이 슬라이드 필기심의 다른 예로서는, 전자입력펜을 이용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볼펜과 샤프펜슬의 위치를 바꿔 넣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사인펜이나 마킹펜, 수정펜의 필기심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필기부를 돌출시켰을 때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을 거는 계탈수단(피걸림부(31a) 등)을, 축통(10) 내에서 진퇴 가능한 가이드체(30)에 구비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가이드체(30)를 생략함과 함께 상기 계탈수단(피걸림부(31a) 등)을, 축통(10)의 둘레벽에 마련하거나, 도시예 이외의 계탈구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다른 예의 경우, 감탈부재(90)는, 축통(10) 내의 후단측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필기부를 돌출시켰을 때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을 거는 계탈수단(피걸림부(31a) 등)을 구비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필기부를 돌출시켰을 때의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을 손가락의 가압력에 의하여 유지하고, 손가락을 떼었을 때에는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이 후퇴하여 필기부를 몰입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필기심 유지부(41)와 해제부재 유지부(42)를 디바이더(40)로서 일체로 구성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필기심 유지부(41)와 해제부재 유지부(42)를, 각각, 축통 내의 진퇴 불가능 부위에 고정된 별체의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축통(10)과는 별체의 필기심 유지부(41) 및 해제부재 유지부(42)를 축통(10) 내주면에 끼워맞춰 고정하고 있지만, 다른 예로서는, 이들 필기심 유지부(41)와 해제부재 유지부(42) 중 일방 또는 양방을, 축통(10)에 일체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방방향의 탄발력을, 수용부재(60)를 통하여 슬라이드 필기심(21, 22)에 전달하도록 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수용부재(60)를 생략하여,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방방향의 탄발력을 슬라이드 필기심(21, 22)에 직접 전달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다른 예에서는, 압축코일 스프링(50)에 대하여 그 후방측으로부터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을 직접 맞닿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측을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맞닿게 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측을 볼펜용 필기심(21b) 및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에 맞닿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볼펜용 필기심(21b) 및 샤프펜슬용 필기심(22b)의 외주면에 돌기를 마련하여, 상기 돌기에 대하여, 압축코일 스프링(50)의 후단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닿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부세부재(80)에 압축코일 스프링을 이용했지만, 이 부세부재(80)의 다른 예로서는, 해제부재(70)를 후방측으로부터 끌어당기는 스프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부세부재(80)의 다른 예로서는, 고무나 판 스프링 등, 코일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감탈부재(90)(완끼워맞춤 수단)는, 탄성변형되기 쉬운 바람직한 양태로서, 탄성재료로부터 통형상으로 형성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축형상으로 한 양태나, 탄성변형 가능한 경질 재료로 형성한 양태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완끼워맞춤 수단의 다른 예로서는, 감탈부재(90)를 경질 재료로 형성함과 함께,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감탈부재(90)의 외주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부분(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수지나 고무 등)을 일체 성형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완끼워맞춤 수단의 다른 예로서는, 각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이 적어도 일부분을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탄성변형 가능한 부분을, 가이드체(30) 또는 축통(10)에 대하여 감탈 가능하게 끼워맞추도록 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양태에서는, 상기 구성의 감탈부재(90)를 생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변형 가능한 부분은, 각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 자체를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해도 되고, 각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의 일부에 탄성부분(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수지나 고무 등)을 일체 성형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상기 서술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1)에 대하여 일부를 변경한 것이기 때문에, 주로 그 변경 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복수 출몰식 필기구(1)와 대략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2)는, 상기 서술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1)의 가이드체(30)를 가이드체(30')로 치환하여, 해제부재(70')의 후부측에 부세부재(80')(제2 부세부재)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가이드체(30')는, 슬라이드 필기심(21, 22)의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31)와, 상기 가이드부(31)의 후단측에서 해제부재(70')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해제부재 지지부(32)를 가지고, 가이드부(31)를 후측 축통(12)의 후부측 내주면을 따르게 함과 함께, 해제부재 지지부(32)를 후측 축통(12)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 가이드체(30')는, 캡(33)이 노크 조작되면 축통(10) 내에서 전진하여,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가압되어 후퇴한다.
가이드부(31)는, 슬라이드버튼(21a, 22a)을 각각 전진 위치에서 계탈 가능하게 거는 대략 통형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2-200899에 개시되는 압자 가이드체(50)의 기본 구조를 적용하면 된다.
도시예의 가이드체(30')는, 복수의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각각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31)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가지고, 각 가이드부(31)의 전단측에, 전진했을 때의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을 축통 직경 내방향으로 가라앉게 하여 거는 단형상의 피걸림부(31a)(계탈수단)를 가진다.
해제부재 지지부(32)는, 해제부재(70')를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지지판부(32a)와, 그 지지판부(32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부세부재 수납부(32b)를 일체로 가진다.
지지판부(32a)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후측 축통(12) 내의 단부에 의하여 후퇴 불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지지판부(32a)의 전단면에는,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후단부와 해제부재(70')의 규제돌기(74)의 쌍방이, 전방측으로부터 맞닿는다.
부세부재 수납부(32b)는, 후측 축통(12)의 후단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내주측에 부세부재(80')를 수납하고, 외주측에는 캡(33)을 접속하고 있다.
해제부재(70')는, 긴 축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슬라이드버튼(21a, 22a)의 중심측에 배치되며, 그 전단측에 피걸어맞춤 돌기(72)를 가진다. 이 해제부재(70')의 후단측에는, 부세부재(80')를 환형상으로 장착하는 부세부재 장착부(73)와, 부세부재 장착부(73)보다 전측에서 상기 해제부재(7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돌기(74)가 일체로 마련된다.
이 해제부재(70')의 후단측은, 해제부재 지지부(32)에 삽입 관통되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해제부재(70')의 최후 단부 근처에는, 환형상의 스프링 수용부재(81)가 고정된다.
부세부재(80')는, 압축코일 스프링이며, 전단을 지지판부(32a)에 맞닿게 함과 함께 후단을 스프링 수용부재(81)에 맞닿게 하여, 해제부재(70')를 후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복수 출몰식 필기구(2)에 의하면, 먼저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기심의 수의 증가에 따라 축직경이 굵어지는 것을 하나의 압축코일 스프링(50)에 의하여 억제할 수 있는 데다가, 걸림상태에 있는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의 해제를, 해제부재(70')의 동작에 의하여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에 주요부를 나타내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3)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2)에 대하여, 해제부재(70')를 해제부재(70a)로 치환하여, 스프링 수용부재(81)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해제부재(70a)는, 부세부재 장착부(73)의 후단에 스프링 수용부(75)를 마련하고 있다. 스프링 수용부(75)는, 부세부재(80')의 후단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이 해제부재(70a)에 있어서의 규제돌기(74)는, 지지판부(32a) 중심측의 관통구멍(32a1)에 대하여, 그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전부측에 적절한 외경의 환형상 경사면을 가진다.
따라서, 도 8의 (a)에 나타내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3)에 의하면, 먼저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기심의 수의 증가에 따라 축직경이 굵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데다가, 해제부재(70a) 및 부세부재(80') 등의 구성을 보다 간소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제조 시에는, 해제부재 지지부(32)에 부세부재(80')를 장착한 후, 해제부재 지지부(32)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해제부재(70a)를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양호하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4)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2)에 대하여, 해제부재(70')를 해제부재(70b)로 치환하여, 스프링 수용부재(81)를 생략하고, 감탈부재(90)를 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해제부재(70b)는, 그 후단측에 있어서, 축형상의 부세부재 장착부(73)의 외주면을 따라 부세부재(80')를 환형상으로 장착하여, 그 부세부재(80')를, 부세부재 장착부(73)와 일체인 스프링 수용부(75)에 의하여 수용하고 있다.
또한, 이 해제부재(70b)에 있어서의 규제돌기(74)의 전측에는, 초기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감탈부재(90)(완끼워맞춤 수단)가 마련되어 있다.
감탈부재(90)는, 축통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합성수지 재료(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수지나 고무 등)로부터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해제부재(70b)에 있어서의 규제돌기(74)보다 전측에 동심형상으로 끼워맞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탈부재(90)의 외주면에는, 단면 산형상의 환형상 돌기(91)가 형성되며, 이 환형상 돌기(91)가 슬라이드버튼(21a, 22a)에 대하여 축통 중심측으로부터 눌려 있다.
상기 구성의 감탈부재(90)에 의하면, 슬라이드버튼(21a, 22a)은, 각각, 돌기(21a5, 22a5)(도 2 참조)를 가이드체(30)에 맞닿게 하여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축통 중심측으로부터 감탈부재(90)에 의하여 느슨하게 가압된다.
이로 인하여, 각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은, 진동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지는 않지만, 손가락 등으로 전방으로 밀렸을 때에는, 감탈부재(90)와의 완끼워맞춤상태로부터 벗어나,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4)에 의하면, 먼저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데다가, 각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정지 상태를 감탈부재(90)에 의하여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내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5)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2)에 대하여, 해제부재(70')를 해제부재(70c)로 치환하여, 감탈부재(90)를 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해제부재(70c)는, 규제돌기(74)의 전측에, 감탈부재(90)(완끼워맞춤 수단)를 끼워맞춰 고정하고, 부세부재 장착부(73)의 후단측에, 부세부재(80')를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재(81)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도 8의 (c)에 나타내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5)에 있어서도, 먼저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데다가, 각 슬라이드버튼(21a 또는 22a)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의 정지 상태를 감탈부재(90)에 의하여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10; 축통
21, 22; 슬라이드 필기심
21a, 22a; 슬라이드버튼
21a2, 22a2; 걸어맞춤 돌기
21a3, 22a3; 경사면
21a4, 22a4; 맞닿음 돌기
21b; 볼펜용 필기심
22b; 샤프펜슬용 필기심
30; 가이드체
31; 가이드부
31a; 피걸림부(계탈수단)
32; 해제부재 지지부
40; 디바이더
41; 필기심 유지부
42; 해제부재 유지부
50; 압축코일 스프링(제1 부세부재)
60; 수용부재
70, 70'; 해제부재
72; 피걸어맞춤 돌기
80, 80'; 부세부재(제2 부세부재)
90; 감탈부재(완끼워맞춤 수단)

Claims (10)

  1. 축통 내에, 필기심의 후단측에 슬라이드버튼을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필기심이 복수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압동된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이 그 전단의 필기부를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한 복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축통 내에서 전방으로 수축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을 마련하고,
    복수의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하나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배치함과 함께, 이들 슬라이드 필기심의 각각을, 하나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을 축통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내주를 따라 복수의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후단에 수용부재를 맞닿게 하여, 상기 수용부재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일부분에,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전진하여 필기부를 돌출시킨 상태의 상기 슬라이드 필기심을 걸거나, 이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계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탈수단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을 축통 내측으로 가라앉게 하여 거는 피걸림부와, 복수의 슬라이드버튼의 축통 중심측에 마련된 해제부재를 구비하고,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다른 슬라이드버튼을 전진시킨 경우에, 전진하는 상기 다른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해제부재를 압동하고, 또한 상기 해제부재가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을 압동하여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는, 축통 축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하도록 마련됨과 함께, 부세부재에 의하여 축통 후방으로 부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슬라이드버튼의 각각에 걸어맞춤 돌기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해제부재에는 상기 걸어맞춤 돌기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타고 넘게 되는 피걸어맞춤 돌기를 마련하고,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에 맞닿아 상기 해제부재를 소정량 전진시킨 후에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 해제부재가 상기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하여 후퇴하여 다른 슬라이드버튼의 걸어맞춤 돌기에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버튼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 돌기보다 후측에, 상기 해제부재의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경사면을 마련하고,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피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다른 슬라이드버튼을 전진시킨 경우에, 상기 다른 슬라이드버튼의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 해제부재의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에 맞닿아 상기 해제부재를 전진시켜, 상기 해제부재가 상기 피걸어맞춤 돌기를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의 상기 경사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먼저 전진한 슬라이드버튼이 축통 직경 외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풀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풀려 후퇴한 슬라이드버튼이, 상기 해제부재의 상기 피걸림돌기를 후방으로 타고 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통 내의 후단측에,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버튼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완(緩)끼워맞춤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출몰식 필기구.
KR1020140173114A 2013-12-19 2014-12-04 복수 출몰식 필기구 KR102256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3011A JP5735617B1 (ja) 2013-12-19 2013-12-19 複数出没式筆記具
JPJP-P-2013-263011 2013-12-19
JPJP-P-2014-006109 2014-01-16
JP2014006109A JP6378882B2 (ja) 2014-01-16 2014-01-16 複数出没式筆記具
JPJP-P-2014-202447 2014-09-30
JP2014202447A JP6392059B2 (ja) 2014-09-30 2014-09-30 複数出没式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336A true KR20150072336A (ko) 2015-06-29
KR102256654B1 KR102256654B1 (ko) 2021-05-25

Family

ID=5351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114A KR102256654B1 (ko) 2013-12-19 2014-12-04 복수 출몰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2827A4 (en) * 2019-01-18 2022-09-21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092A (ja) * 1997-12-24 1999-07-06 Kotobuki:Kk 複合繰り出し用具
JPH11208186A (ja) * 1998-01-26 1999-08-03 Kotobuki:Kk 複合筆記具
KR200189803Y1 (ko) * 1997-04-15 2000-08-01 윤휘정 복합필기구
JP2009119880A (ja) 2009-03-09 2009-06-04 Zebra Pen Corp 筆記具
JP2010036535A (ja) * 2008-08-07 2010-02-18 Pilot Ink Co Ltd 多芯筆記具
JP2013095014A (ja) * 2011-10-31 2013-05-20 Pilot Corporation 多芯筆記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03Y1 (ko) * 1997-04-15 2000-08-01 윤휘정 복합필기구
JPH11180092A (ja) * 1997-12-24 1999-07-06 Kotobuki:Kk 複合繰り出し用具
JPH11208186A (ja) * 1998-01-26 1999-08-03 Kotobuki:Kk 複合筆記具
JP2010036535A (ja) * 2008-08-07 2010-02-18 Pilot Ink Co Ltd 多芯筆記具
JP2009119880A (ja) 2009-03-09 2009-06-04 Zebra Pen Corp 筆記具
JP2013095014A (ja) * 2011-10-31 2013-05-20 Pilot Corporation 多芯筆記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2827A4 (en) * 2019-01-18 2022-09-21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TWI809239B (zh) * 2019-01-18 2023-07-21 日商百樂股份有限公司 出沒式筆記具
US11912058B2 (en) 2019-01-18 2024-02-27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654B1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675B2 (ja) 筆記具
TWI492855B (zh) 具有推動機構之多功能書寫器具
JP6304958B2 (ja) 消去部材を備えた筆記具
JP5196481B2 (ja) 複式筆記具
US6749354B2 (en) Composite writing implement
TWI619621B (zh) 書寫工具
JP6236365B2 (ja) 鉛芯繰出し機構及びシャープペンシル
KR102572065B1 (ko) 샤프펜슬 유닛 및 그 샤프펜슬 유닛을 구비한 필기구
CN112172379B (zh) 带橡皮擦的按动式书写工具
JP2007050610A (ja) 筆記具
KR20150072336A (ko) 복수 출몰식 필기구
JP5593646B2 (ja) 筆記具
JP4643426B2 (ja) 伸縮式筆記具
JP5735617B1 (ja) 複数出没式筆記具
JP6236366B2 (ja) 筆記具
JP6392059B2 (ja) 複数出没式筆記具
JP6378882B2 (ja) 複数出没式筆記具
JP5896721B2 (ja) 多機能ペン
JP6356532B2 (ja) 筆記具
JP7209162B2 (ja) 消しゴム付きノック式筆記具
JP5373361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5621630B2 (ja) 複式筆記具
JP2022147917A (ja) 筆記具
JP5495751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JP2011011511A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