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826B1 -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826B1
KR100220826B1 KR1019960031425A KR19960031425A KR100220826B1 KR 100220826 B1 KR100220826 B1 KR 100220826B1 KR 1019960031425 A KR1019960031425 A KR 1019960031425A KR 19960031425 A KR19960031425 A KR 19960031425A KR 100220826 B1 KR100220826 B1 KR 10022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tube
cylindrical body
concave portion
restrain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728A (ko
Inventor
켄이치로 도히
아키히코 자코
다데또 스기모또
나오키 스에쓰구
마사히코 아사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457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54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217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56649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70009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장관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용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용 연장관의 신축조작에 있어서 연장관을 신축하는 경우에 누름단추를 관의 축방향으로 엄지로 누르고 있지 않으면 안되며 확실한 고정성이 부족하고 또한 이와 같은 조작은 한손으로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조작성이 나쁘며 또한 누름단추는 외관 및 원통체에 대해서 미끄럼하는 구성이므로 누름단추와 외관의 틈새 및 누름단추와의 원통체의 사이에 먼지침입이 쉽고 따라서 누름단추의 조작성이 더욱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외관과 그 외관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외부 둘레면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소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한 끝단부에 설치된 원통체와 그 원통체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의 내관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끼워맞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를 상기 구속요소가 오목한 곳에 끼워 맞추어서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유지부를 구속요소가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이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항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단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제2도는 제1(a)도의 A-A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나타내는 유지부의 설명도로 (a)는 그 상면도, (b)는 (a)의 C-C화살 표시도, (c)는 (a)의 (d)화살표시도, (d)는 (a)의 E화살 표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조작체의 설명도로서, (a)는 그 상면도, (b)는 (a)의 F화살표시도, (c)는 (a)의 G화살표시도.
제6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연장관의 신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내관의 움직임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접속부분의 단면도.(b)는 조작체를 밀고 내관을 외관내로 미끄럼이 자유롭게 할 때의 접속 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항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을 나타내는 중요부확대 단면도.
제8도는 상기 내관의 미끄럼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부 확대단면도.
제9도는 상기 작용을 설명하는 중요부 확대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이 청구항 4~8항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중요부 확대단면도.
제11도는 상기 내관의 미끄럼상태를 나타내는 중요부 확대단면도.
제12도는 상기 작용을 설명하는 중요부 확대단면도.
제13도는 상기 주요부 단면도.
제14도는 종래의 신축식연장관의 신축이 가능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종래의 신축식 연장관의 신축이 금지될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관 2 : 내관
2a : 오목한 곳 2d : 오목한 홈
3 : 접속부 4 : 관
5 : 접속부 6 : 원통체
6f : 기둥부재 7 : 구속요소
8 : 유지부 8a : 경사면
9 : 스프링 10 : 조작체
11 : 원통커버 12 : 고리부재
13 : 시일(seal)부재 14 : 누름부재
16 : 기둥부재 20 : 오목부[유지부(8)의]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연장관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기구(시스템)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으로서 외관(外管)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내관(內管)을 설치하고, 외관으로부터의 내관의 돌출량을 조정하여 연장관의 길이를 조정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연장관이 알려져 있다.
외관에 대한 내관의 고정기구로서, 예를들면 외관 끝단부에 회전고리를 설치하여 이 회전고리를 회전시키므로서 외관 끝단부를 내관측으로 변형시켜서 외관을 내관에 눌러 접하게 하여 내관의 미끄럼을 저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서는 회전고리를 회전시켜서 외관을 변형시키는 구성인바, 회전고리의 회전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외관의 내관측으로의 변형량이 작고, 외관을 내관으로 충분히 눌러 접하게 할 수 없게 되어 청소작업 중에 내관이 미끄러져 움직여서 연장관이 수축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내관을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184510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관에 새김 눈금줄을 가진 내관을 끼워서 그 새김눈금을 외관의 외부둘레면에 설치하는 기구로 적절히 고정시키므로서 외관에서 돌출하는 내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즉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신장식연장관은 외관(112)와 그 내측에서 미끄럼하는 새김눈금(115)의 줄을 갖는 내관(111)과 외관(112)에 결합된 원통(118)에 지지된 구속요소(112)와, 그 구속요소(112)를 내관(111)의 새김눈금(115)의 하나에 밀어 넣어서 내관(111)의 외관(112)에 대해서 고정하도록 코일스프링(128)의 작용에 따라서 압압요소(130)를 구속요소(112)에 걸어 맞게 하는 한편, 코일스프링(128)의 작용에 저항하여 압압요소(130)를 구속요소(112)에서 이탈시켜 내관(111)을 외관(112)내에서 미끄럼 자유롭게 하는 상태로 할 수 있는 누름단추(125)를 구비하고 있다.
구속요소(122)는 압압요소(130)이 이탈하고 있는 상태로서 요동축(124)을 축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편, 압압요소(130)이 걸어맞고 있는 상태에서는 압압면(131)에서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단추(125)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화살표시 A방향으로 미끄럼 시키면 누름단추(12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압압요소(13)이 코일스프링(128)에 저항해서 화살표시 A방향으로 이동하여 구속요소(128)의 상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구속요소(122)는 상향으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어 내관(111)을 미끄럼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누름단추(125)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으로 놓으면 압압요소(130)은 코일스프링(128)의 힘으로 제15도에 바와 같이 구속요소(122)의 상면에 위치하여 압압면(131)로 구속요소(122)를 눌러주는 결과, 내관(111)은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연장관의 길이가 임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연장관을 신축하는 경우에는 누름단추(125)를 관의 축방향으로 손가락으로 눌러 주고 있지 않으면 안되므로 조작성이 나쁘다.
즉, 이 조작은 한손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고 누름단추(125)를 엄지손가락으로 관의 축방향에 미끄럼시켜서 스프링(128)의 힘을 이기면서 눌러주고 있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어렵다.
또한 누름단추(125)는 외관(112) 및 원통체(118)에 대하여 미끄럼하는 구성이므로 누름단추(125)와 외관(112)와의 사이, 또는 누름단추(125)와 원통체(118)와의 사이에 먼지가 침입하기 쉽고, 먼지침입에 의해서 누름단추(125)의 움직임이 나빠져서 조작성이 한층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먼지등이 부착하기 어렵고, 조작성이 좋은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을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청구항 1에 있어서의 발명은 외관과 그 외관내의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외부둘레면 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한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와 그 원통체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간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상기 오목한 곳에 끼워맞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상기구속요소가 상기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추어서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의 유지부를 상기의 구속요소가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하여, 상기 유지부의 한 끝단부에는 상기의 스프링이 걸어맞고 다른 끝단측이 상기 유지부의 경사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있어서의 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원통체의 외부둘레면이 상기 조작체만을 노출시킨 원통커버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있어서의 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한 오목한 곳이 외부 둘레면에 관의 축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홈이며 상기의 구속요소가 오목한 홈에 일부분을 노출시켜서 끼워맞게 하는 기둥형부재이며, 상기의 유지부가 상기 기둥형부재를 오목한 홈에 밀어붙이는 평면부와 기둥형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있어서의 발명은 외관과 그 외관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외부둘레면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있는 내관과 상기 외관의 한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와 그 원통체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의 오목한 곳에 끼워 맞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상기 오목한 곳에 끼워 맞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하여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상기의 구속 요소가 오목한 곳에 끼워 맞게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세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체의 개구부 테두리와 그 개구부 테두리에 대향하는 유지부의 측면을 내관측을 향해서 넓혀지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있어서의 발명은 외관과, 그 외관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외부 둘레면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한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와, 그 원통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의 오목한 곳에 끼워 맞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상기의 오목한 곳에 끼워 맞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상기의 구속요소가 오목한 곳에 끼워맞어서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체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지부의 이면에 기둥부재를 수납하는 동시에 유지부를 내관이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속요소가 수납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기둥부재와 오목부가 서로 대향하는 면을 내관측을 향해서 넓어지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있어서의 발명은 외관과, 그 외관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외부둘레면 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에 형성된 내관과, 상기 이 관의 한 끝단부에 설치된 원통체와, 그 원통체를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상기 오목한 곳에 끼워 맞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하여 내관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상기의 구속요소가 오목한 곳에 끼워 맞추어서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체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를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유지부 이면에 기둥부재를 수용함과 동시에 유지부를 내관이 이동가능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기둥부재와의 사이에 구속요소가 수납되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의 기둥부재와 오목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편을 다른 편과의 간격이 내관에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 넓게 되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있어서의 발명은 외관과 그 외관내에 설치되어 외부 둘레면 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한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와, 그 원통체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상기 오목한 곳에 끼워 맞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의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출입을 자유롭게하여 내관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상기의 구속요소가 상기 오목한 곳에 끼워 맞게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체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지부 이면에 기동부재를 수납함과 동시에 유지부를 내관이 이동가능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기둥부재와의 사이에 구속요소가 수납되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의 기둥부재와 오목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내관에 대하여 경사시켜 기둥부재의 경사각도 a를 오목부의 경사각도 b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에 있어서의 발명은 외관과 그 외관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외부 둘레면 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한 끝단부에 설치된 원통체와 그 원통체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상기 오목한 곳에 끼워 맞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를 오목한 곳에 출입을 자유롭게하여 내관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상기의 구속요소가 오목한 곳에 끼워 맞추어서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의 원통체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지부 기둥부재를 수납함과 동시에 유지부를 내관이 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기둥부재와의 사이에 구속요소가 수납되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기둥부재와 오목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내관에 대하여 경사시켜서 기둥부재의 경사각도a를 70~80도, 오목부의 경사각도 b를 45~60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 제1도 내지 제6도를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1내지 3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항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의 1실시예의 상면도로서, (A)는 연장관을 신장시킨 상태, (B)는 연장관을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외관(1)에는 내관(2)의 한 끝단측을 외관(1)내부에 끼워 넣어서 그 끼워 넣는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접속부(3)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내관(2)의 다른 끝단측에는 관(4)가 접속부(5)로 고정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3)에서 내관(2)를 외관(1)로부터 인출한 상태로 고정면 제1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관은 신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내관을 외관(1)에 밀어 넣은 상태로하여 접속부(3)으로 고정하면 제1(b)도와 같이 연장관을 단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도는 연장관의 접속부(3)근방의 단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연장관은 외관(1)과, 이 외관(1)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외부 둘레면위에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2a)가 형성된 내관(2)와 외관(1)의 한편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6)과, 내관(1)의 오목한 곳(2a)에 기워맞는 구속요소(7)과, 이 구속요소(7)을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하여 상기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구속요소(7)을 오목한 곳(2a)에 출입을 자유롭게하여 내관(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8)과, 이 유지부(8)을 구속요소(7)이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하여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9)와, 유지부(8)을 구속요소(7)이 오목한 곳(2a)에 출입을 자유롭게되어 내관(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체(10)과, 조작체(10)만을 노출시키고 원통체(6)의 외부 둘레면을 피복하는 원통커버(11)로 구성되어 있다.
즉, 외관(1)은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는 수지제의 원통체(6)이 고정되어 있다.
그 원통체(6)과 외관(1)에 한편 끝단측을 끼워넣고 다른 끝단측에 수지제의 관(4)를 접속한 금속제의 파이프로 형성된 내관(2)가 접속되어 있다.
내관(2)는 상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오목한 곳(2a)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곳(2a)는 내관(2)의 외부 둘레면을 수직방향으로 활형태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이다.
또, 내관(2)의 선단부(2b)에는 외관(1)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리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고리부재(12)는 그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12a)를 내관(2)에 뚫려있는 구멍부(2c)에 걸어 맞게하여 내관(2)의 선단부(2b)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2도의 B-B단면도인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관(2)의 하부에는 관의 축방향을 따라서 오목한 홈부(2d)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관(2)를 외관(1)내에 들고 나게 할 때에는 이 오목한 홈부(2d)가 원통체(6)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6b)에 걸어맞게 하므로서 내관(2)는 회전하지 않고 언제나 오목한곳(2a)가 제2도의 상부의 도시위치에 유지되어 원활하게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원통체(6)의 상면에는 오목한 곳(2a)보다 약간 넓은 개구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6a) 부분을 덮도록 하여 스프링(9)를 끼운 유지부(8)이 관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유지부(8)은 제4(a)도의 상면도, 그 C-C 단면도인(B), D화살표시인(C), E화살표시인(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의 한 끝단부에는 경사면(8a), 그 하면에는 구속요소(7)을 융통성있게 하는 공간부(8b), 계속해서 구속요소(7)을 압압하는 압압면(8c), 하면의 다른 끝단부에는 스프링(9)를 안내하고 유지하기 위한 2매의 안내판(8d)를 구비하는 공간부(8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유지부(8)자체가 원통체(6)의 개구부(6a)위를 관의 축방향으로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체(6)의 외부둘레면에는 안내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돌출설치되어 그 안내부재에 걸여 맞도록 팔(암)부재(arm部材)가 유지부(8)에 부착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8)의 경사면(8a)에 선단부가 접합하도록 하여 조작체(1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체(10)은 제5(a)도의 상면도, 그 F화살표시도인(B), G화살표시도인(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10a)는 유지부(8)의 경사면(8a)를 이동하기 쉽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체(10)은 수지제로서 하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도에 나타내는 조작체(10)의 단면은 제5(b)도의 선단부(10a)에서 상면(10b), 다시 후면(10c)에 걸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두꺼운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조작체(10)의 하면에는 양측면에 걸쳐서 축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부(10d)는 제3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통체(6)에 형성된 하부축받이부(6c)와 원통커버(11)에 형성된 상부축받이부(11a)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지부(8)은 스프링(9)의 힘으로 조작체(10)의 방향으로 밀어붙여지고, 이에 의해서 조작체(10)은 회전하여 선단부(10a)가 유지부(8)의 경사면(8a)를 따라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상면(10b)가 원통커버(11)에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된다.
조작체(10)을 밀어내리면 조작체(10)의 선단부(10a)는 유지부(8)의 경사면(8a)를 따라서 내려가고 유지부(8)을 스프링(9)의 힘에 저항해서 후퇴시킨다.
이와 같이 조작체(10)은 누름단추꼭지에 동작하여 조작체(10)에서 손가락을 뗀 상태에서는 스프링(9)의 힘으로, 유지부(8)은 조작체(10)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압면(8c)가 원통체(6)의 개구부(6a)를 폐쇄하고, 구속요소(7)을 내관(2)의 오목한곳(2a)의 바닥부를 밀어붙인다.
한편, 조작체(10)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유지부(8)을 후퇴시키면 유지부(8)의 하면에 형성된 공간부(8b)가 원통체(6)의 개구부(6a)상에 위치하여 구속요소(7)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구속요소(7)는 금속제로서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오목한 곳(2a)의 상부에서 노출하여있고, 유지부(8)이 압압면(8c)에서 압압된 상태에서는 구속요소(7)이 압압면(8c)에 의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서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내관(2)과 외관(1)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 외관(1)과 내관(2)을 신축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접속부(3)을 형성하는데는 우선 내관(2)의 선단부에 원통제(6)을 끼워맞추고, 그 끼워맞춘 원통체(6)의 선단부에 고리형의 시일부재(13), 누름부재(14)를 설치하고 다시 그 후에 내관(2)의 선단부에 고리부재(12)를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한다.
외관(1)의 선단부는 계단부(1a)를 설치하여 구경(지름)이 확대되어 있고 그확대구경부(1b)의 외부둘레면과 소매부(6e)의 내부 둘레면에는 걸어맞춤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이 확대구경부(1b)의 원통체(6)의 소매부(6e) 내측에 삽입하므로서 양자는 시일부재(13), 누름부재(14)를 끼고 기밀하게 접속 고정된다.
물론 이 시일부재(13)에 의해서 내관(2)와의 사이에는 시일도 확실히 접속고정된다.
그 다음 원통체(6)의 개구부(6a)부분에서 내관(2)의 오목한 곳(2a)에 구속요소(7)를 넣고 그 위에서 유지부(8)을 세트한다.
다시 원통체(6)의 하부 축받이부(6c)에 축부(10d)를 넣어서 조작체(10)를 세트한 상태로 원통커버(11)을 외관(1)측으로부터 원통체(6)위에 끼워맞추어 원통커버(11)의 상부축받이부(11a)를 조작체(10)의 축부(10d)위에 배치하고 돌출부(12a)를 원통체(6)의 받이부(6d)에 걸어맞게하여 고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접속부(3)은 제1도와 같이 원통커버(11)에 조작체(10)만이 노출되는 심플한 구성이 된다.
사용자는 한쪽손으로 원통커버(11) 부분을 쥐고 엄지로 조작체(10)를 조작하고 다른쪽 손으로 내관(2)를 밀고 당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연장관을 쉽게 신축 조작할 수 있다.
즉, 조작체(10)에서 손가락을 뗀 상태에서는 제6(a)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지부(8)은 스프링(9)의 스프링력으로 조작체(10)방향으로 눌려서 원통체(6)의 개구부(6a)상에 위치하고 유지부(8)의 압압면(8c)로 구속요소(7)을 눌러서 내관(2)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한편 조작체(10)를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6(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8)는 스프링(9)의 힘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유지부(8)의 하면에 형성된 공간부(8b)가 원통체(6)의 개구부(6a)상에 위치하여 구속요소(7)이 공간부(8b)에 출입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내관(2)를 미끄럼시키면 구속요소(7)은 오목한 곳(2a)에서 공간부(8b)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내관(2)을 외관(1)내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본실예의 연장관은 조작체(10)를 눌러주는 것만으로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또, 원통체(6) 및 유지부(8)은 원통커버(11)에 의해서 덮혀있고 또한 원통커버(11)에 형성된 조작체(10)가 면하는 개구부는 보통때에 조작체(10)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원통커버(11)내로의 먼저침입이 저지되고 유지부(8)의 이동성이 언제나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속요소(7)를 기둥형체로 하였으나 구형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내관(2)의 외부 둘레면에 형성하는 오목한 곳(2a)도 반구형체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제7도~13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4~8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은 부품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에 있어서는 원통체(6)의 기둥부재 6f 개구부(6a)측 측면(6a) 및 그 측면(6a)에 대향하는 유지부(8)의 오목부(8b)의 측면(8f)는 서로 거의 평행이 되도록 내관(2)에 대하여 거의 수직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체(10)의 조작부를 압압하여 구속요소(7)를 유지부(8)의 오목부(8b)에 이동시켜 그 상태로 조작체(10)의 압압을 완화하면 제9도와 같이 스프링(9)의 가세력에 의하여 구속부재(7)이 기둥부재(6f)의 측면(6g)와 오목부(8b)의 측면(8f)와의 사이에서 끼워지게 되어서, 구속요소(7)이 오목부(8b)에 끼워맞지 않게 되어 내관(2)을 외관(1)에 대하여 고정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제7도는 구속요소(7)가 오목한 곳(2a)내에 위치하고 내관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8도는 내관이 미끄럼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청구항 4항 내지 8항에 있어서의 발명은 내관의 고정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0도 내지 제13도에 있어서 16은 원통체(6)의 개구부(6a)의 한측면에 형성된 기둥부재로서 개구부(6a)측의 측면(16a)을 내관(2)에 대하여 각도a를 경사시키고 있으며 상부를 후에 설명하는 유지부(8)의 오목부(20)의 측면(20a)의 경사각도 b와 거의 같은 각도를 경사시키고 있다.
상기의 측면(16a)의 각도 a의 경사부분은 구속요소(7)과의 접점보다 상방에까지 형성되었다. 20은 유지부(8)의 오목부로서 상기의 기둥부재(16)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기둥부재(16)의 측면(16a)과 대향하는 측면(20a)를 기둥부재(16)의 측면(16a)의 각도 b의 경사부분에 맞접하게 하여 유지부(8)를 위치결정함과 동시에 유지부(8)이 구속요소(7)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기둥부재(16)의 측면(16a)와 측면(20a)사이에 구속요소(7)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측면(20a)은 기둥부재(16)의 측면(16a)의 경사각도 a보다 작은 각도 b로 경사되어 있으며 기둥부재(16)의 측면(16a)와 유지부(8)의 측면(20a)와의 사이에 하방으로 향해서 넓어지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여러 가지 실험을 행한 결과, 기둥부재(16)의 측면(16a)의 경사각도 a를 70~80도, 오목부(20)의 측면(20a)의 경사각도 b를 45~60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정하였다.
즉, 오목부(20)의 측면(20a)의 경사각도 b만을 작게하면 기둥부재(16)의 측면(16a)와 오목부(20)의 측면(20a)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되므로 내관(2)을 외관(1)에서 끌어내는 방향으로 강하게 당기면 구속요소(7)이 기둥부재(16)의 측면(16a)과 오목부(20)의 측면(20a)의 사이에 들어가서 내관(2)와 끌려나오는 문제가 있다.
또, 기둥부재(16)의 측면(16a)의 경사각도 a와 오목부(20)의 측면(20a)의 경사각도 b를 상기의 범위보다 작게 하는 경우, 또는 크게 하는 경우에는 구속요소(7)이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구속요소(7)가 자체 중량에 의하여 기둥부재(16)의 측면(16a)와 오목부(20)의 측면(20a)의 사이에서 끼워지는 상태를 유지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조작체(10)의 조작부를 압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0도와 같이 유지부(8)는 스프링(9)의 가세력으로, 오목한 곳(2a)에 끼워맞는 구속요소(7)를 누르는 위치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 상태로 내관(2)를 미끄럼시키려고 해도 유지부(8)에 의해서 구속요소(7)가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 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관(2)가 외관(1)에 대하여 고정된다.
조작체(10)의 조작부를 압압하면 조작체(10)의 다른 끝단측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그에 따라서 조작체(10)의 다른 끝단측이 경사면 8a를 압압하게 되므로 유지부(8)이 스프링(9)의 가세력에 저항하게 제11도와 같이 도면중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내관(2)을 외관(1)에 대하여 미끄럼시키면 구속요소(7)는 오목한곳(2a)에서 풀려서 유지부(8)의 오목부(20)내로 이동하여 내관(2)을 외관(1)에 대하여 자유롭게 미끄럼하여 연장관의 길이 조정이 행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10)의 압압을 완화하면 제12도와 같이 유지부(8)이 스프링(9)의 가세력에 의해서 도며중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기둥부재(16)의 측면(16a)와 유지부(8)의 측면(20a)의 사이에 하방으로 향해서 넓어지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구속요소(7)는 유지부(8)의 오목부(20)에서 하방을 향해서 밀려나오게 되어 기둥부재(16)과 유지부(8)사이에서 끼워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유지부(8)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체(10)를 설치하였으나, 유지부(8)에 조작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그 조작부를 조작하여 유지부(8)를 미끄럼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체는 밀기만해도 되기 때문에 연장관의 신축조작이 간단하고 미끄럼하는 면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먼지등의 부착이 방지된다.
청구항 2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에 추가하여 내관과 외관 접속부 전체가 미는 동작을 하는 조작체를 남기고 커버로 덮이기 때문에 깨끗하고, 먼지 등이 내부로 침입하기 어렵고 따라서 조작체를 언제나 조작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에 추가하여 구속요소가 기둥형부재로 형성된 결과, 마모를 견디고 장기간 동안 안정된 작용이 가능하다.
청구항 4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구속요소가 유지부와 원통체의 사이에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관을 더욱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구속요소가 원통체의 기둥부재와 유지부의 오목부와의 사이에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관을 더욱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6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구속요소가 원통체의 기둥부재와 유지부의 오목부와의 사이에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관을 더욱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7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구속요소가 원통체의 기둥부재와 유지부의 오목부와의 사이에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관을 더욱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8에 있어서의 발명에 의하면, 구속요소나 유지부가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조작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구속요소가 원통체의 기둥부재와 유지부의 오목부재와의 사이에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관을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외관과, 그 외관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외부 둘레면위에 관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에 오목한 곳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한편 끝단부에 설치된 원통체와, 그 원통체에 형성한 개구를 통해서 상기 내관의 오목한 곳에 끼워맞게 되는 구속요소와, 그 구속요소를 상기 오목한곳에 끼워서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를 오목한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하여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상기 구속요소가 상기 오목한 곳에 끼워맞추어 내관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구속요소가 상기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내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이동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유지부의 한편 끝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걸리며 다른 끝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작체의 한 끝단부가 기둥으로 지지되고 다른 끝단부가 상기 유지부의 경사면에 접촉하며, 상기 조작체가 기둥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유지부의 경사면을 압압하며, 유지부를 구속요소가 오목한 곳에 출입이 자유롭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6)의 외부둘레면에는 상기의 조작체(10)만을 노출시킨 원통커버(11)로 덮혀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오목한 곳(2a)는 외부둘레의 관의 축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한 홈(2d)이며 상기의 구속요소(7)는 그 오목한 곳(2d)에 일부분을 노출시켜서 끼워맞게 되는 기둥형부재이며, 상기의 유지부(8)는 상기 기둥형부재를 오목한홈(2d)에 밀어 붙이는 평면부와 상기 기둥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4. 외관(1)과 그 외관(1)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외부 둘레면위에 관(4)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의 오목한 곳(2a)가 형성된 내관(2)와, 상기의 외관(1)의 한편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6)과, 그 원통체(6)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2)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 하는 구속요소(7)과, 그 구속요소(7)이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져서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7)을 오목한 곳(2a)에 출입을 자유롭게하여 내관(2)의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8)과, 그 유지부(8)을 상기의 구속요소(7)이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하여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9)를 구비하여 상기 원통체(6)의 개구부 테두리와 그 개구부 테두리에 대향하는 유지부(8)의 측면을 내관(2)측으로 향해서 넓어지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5. 외관(1)과, 그 외관(1)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외부둘레면 위에 관(4)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의 오목한 곳(2a)이 형성된 내관(2)과, 상기 외관(1)의 한편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6)과, 그 원통체(6)에 형성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2)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하는 구속요소(7)과, 그 구속요소(7)가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져서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 구속요소(7)을 오목한곳(2a)에 출입이 자유롭게 하여 내관(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8)과, 그 유지부(8)을 상기의 구속요소(7)이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 하여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9)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체(6)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6f)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의 유지부(8)의 이면에 기둥부재(6f)를 수납하고 유지부(8)를 내관(2)가 이동가능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속요소(7)이 수납되는 오목부(20)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부재(6f)와 오목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내관(2)측을 향해서 넓어지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6. 외관(1)과, 그 외관(1)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외부둘레면위에 관(4)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의 오목한 곳(2a)이 형성된 내관(2)와, 상기 외관(1)의 한편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6)과, 그 원통체(6)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2)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하는 구속요소(7)과, 그 구속요소(7)가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져서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의 구속요소(7)을 오목한 곳(2a)에 출입을 자유롭게하여 내관(2)의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8)과, 그 유지부(8)를 상기의 구속요소(7)가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 하여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9)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체(6)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6f)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지부(8)의 이면에 기둥부재를 수납하고 유지부(8)을 내관(2)가 이동가능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기둥부재(6f)와의 사이에 구속요소(7)이 수납되는 오목부(20)를 형성하고, 상기의 기둥부재(6f)와 오목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어느 한편을 다른편과의 간격이 내관(2)에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로 넓어지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7. 외관(1)과, 그 외관(1)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외부둘레면위에 관(4)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의 오목한 곳(2a)이 형성된 내관(2)과, 상기 외관(1)의 한편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6)와, 그 원통체(6)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2)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하는 구속요소(7)과, 그 구속요소(7)가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져서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의 구속요소(7)을 오목한 곳(2a)에 출입을 자유롭게하여 내관(2)의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8)과, 그 유지부(8)를 상기의 구속요소(7)가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 하여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9)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체(6)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지부(8)의 이면에 기둥부재를 수납하고 유지부(8)를 내관(2)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기둥부재와의 사이에 구속요소(7)가 수납되는 오목부(20)를 형성하고, 상기의 기둥부재와 오목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내관(2)에 대하여 경사시키고 기둥부재(16)의 경사각도 a를 오목부(20)의 경사각도 b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8. 외관(1)과, 그 외관(1)내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외부둘레면위에 관(4)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소의 오목한 곳(2a)이 형성된 내관(2)과, 상기 외관(1)의 한편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체(6)와, 그 원통체(6)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내관(2)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하는 구속요소(7)과, 그 구속요소(7)가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져서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상기의 구속요소(7)을 오목한 곳(2a)에 출입을 자유롭게하여 내관(2)의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유지부(8)과, 그 유지부(8)를 상기의 구속요소(7)가 상기의 오목한 곳(2a)에 끼워맞게 하여 내관(2)의 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에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9)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체(6)의 개구부 테두리에 기둥부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지부(8)의 이면에 기둥부재를 수납하고 유지부(8)를 내관(2)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기둥부재와의 사이에 구속요소(7)가 수납되는 오목부(20)를 형성하고, 상기의 기둥부재와 오목부(2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을 내관(2)에 대하여 경사시키고 기둥부재(16)의 경사각도 a를 70~80도, 오목부(20)의 경사각도 b를 45~60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KR1019960031425A 1995-08-10 1996-07-30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KR100220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24572 1995-08-10
JP22457295A JP3495469B2 (ja) 1995-08-10 1995-08-10 電気掃除機用延長管
JP95-217787 1995-08-25
JP7217787A JPH0956649A (ja) 1995-08-25 1995-08-25 電気掃除機用延長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28A KR970009728A (ko) 1997-03-27
KR100220826B1 true KR100220826B1 (ko) 1999-10-01

Family

ID=2652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425A KR100220826B1 (ko) 1995-08-10 1996-07-30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20826B1 (ko)
CN (1) CN10956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0860C (zh) * 2006-08-15 2008-09-24 陈建忠 无级调节膨胀块自锁式伸缩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204751D1 (de) * 1991-10-14 1996-02-01 Aeg Hausgeraete Gmbh Längenveränderbares Saugrohr
DE4200526C1 (ko) * 1992-01-11 1993-02-18 Carl Froh Roehrenwerk Gmbh & Co, 5768 Sundern, De
DE4200527C2 (de) * 1992-01-11 1995-11-09 Froh Roehren Teleskopierbares Staubsauger-Saugroh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39C (zh) 2002-12-11
KR970009728A (ko) 1997-03-27
CN1145771A (zh) 199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741B1 (ko) 신축가능한 분진흡인기-흡인관
JP2713526B2 (ja) 真空掃除機用伸縮式延長管
US4272160A (en) Shock absorbent shifting device
FI64081C (fi) Kombinerat skrivdon
KR100629539B1 (ko) 관조인트
DK0894471T3 (da) Blopprøveapparat med vridningssikret lancetholder
KR100197108B1 (ko) 캡(cap) 본체
US4558966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ealing cap
KR100220826B1 (ko) 전기청소기용 연장관
KR870008332A (ko) 딤블 안내 확장장치
WO2009038483A1 (en) Joystick for a mobility device
US4482791A (en) Push button switch
KR870006588A (ko) 연료집합체의 상부노즐에 대해 긴 부재를 방출성 있게 부착하기 위한 래칭장치
KR860007674A (ko)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용 체결관계류형 안내딤블
JP3668512B2 (ja) キャップレス式の液体筆記具
JP3495469B2 (ja) 電気掃除機用延長管
KR200189803Y1 (ko) 복합필기구
JP3315577B2 (ja) 掃除機の伸縮延長管
JPH0956649A (ja) 電気掃除機用延長管
JP2675107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用カバー
JPH074527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体を含むノック式筆記具
KR940007202Y1 (ko) 펜의 캡구조
JP3464046B2 (ja) 伸縮可能な測量用脚
KR100218574B1 (ko) 압력 매체 파이프의 결합 장치
JPH02156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