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928B1 -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928B1
KR100244928B1 KR1019930012700A KR930012700A KR100244928B1 KR 100244928 B1 KR100244928 B1 KR 100244928B1 KR 1019930012700 A KR1019930012700 A KR 1019930012700A KR 930012700 A KR930012700 A KR 930012700A KR 100244928 B1 KR100244928 B1 KR 10024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hannel
conveying
bulk material
continuous threa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150A (ko
Inventor
펠릭스발너
레오폴트베르너케플링어
크리스챤뵘
Original Assignee
퀴르비쉬 프리츠.토이플 아르민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퀴르비쉬 프리츠.토이플 아르민,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퀴르비쉬 프리츠.토이플 아르민
Publication of KR94000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8Screw feeders; Screw dischar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35Devices for monitoring the weight of quantities added to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crew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하나의 금속 베셀(vessel)로 부터 다른 금속 베셀로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4)에 있어서, 운반 채널(6)은 입구(17)와 배출구(12)를 갖는다. 운반채널(6)내에 제공된 컨베이어 워엄(11)은 적어도 입구(17)로부터 배출구(12)로 연장되며, 패들(19)에 의해 형성된 날개(16)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워엄(11)을 특히 짧게 구성하고 향상된 내 저항성 가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자체의 단부를 통해서 배출구(12)에 연관된 컨베이어 워엄(11)은 적어도 ½회선(convolution)에 걸쳐서 연장되는 연속적인 나사선(18)에 의해 형성된 날개(16')를 갖는다.

Description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운반장치 5 : 내부 라이닝
7 : 회전축 11 : 컨베이어 워엄
12 : 배출구 15 : 워엄축
16, 16' : 날개 17 : 입구
18 : 나사선 19 : 패들
21 : 환형 간격 22 : 직선
24, 25 : 구간
본 발명은 벌크재료, 특히 광석 및 석탄 등을 하나의 금속야금로(metallurgical vessel)로부터 다른 금속야금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운반장치는 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운반채널, 및 상기 운반채널내에 제공되고 상기 운반채널의 입구쪽으로부터 배출구로 연장되며 패들에 의해 형성되는 날개와 상기 패들에 의해 형성된 날개의 하류인 상기 운반채널의 배출구쪽 단부상에 배열되고 연속 나사선에 의해 형성되는 날개를 갖춘 컨베이어 워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식의 장치가 유럽 특히 제 048 008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기재된 운반장치는 고온의 해면철 입자들을 직접 환원 장입 장치로부터 용광로내로 운반시킨다. 공지된 운반장치의 날개는 전체적으로, 연속하여 배열된 각각의 패들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웃한 패들 사이에는 자유공간이 제공되고, 이 공간을 통해서 벌크 재료가 통과될 수 있다.
소위 "패들 워엄(paddle worms)"이라 불리는 형식의 워엄은 벌크재료가 패들에 의해 뒤섞이게 되어 운반 채널내에서 괴상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일부품의 컨베이어 워엄, 즉 연속 나사선을 사용하는 경우, 벌크재료가 운반 채널 내에서 튜브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운반될 재료가 워엄 주위 및 워엄에 충돌하여 무부하 상태로 겉돌게 된다. 패들 워엄의 또다른 필수적인 장점은 연속적인 나사선에 의해 형성된 날개로 이루어지는 워엄보다 제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이다. 특히, 직경이 1m인 큰 컨베이어 워엄에 있어서 그러하다.
그러나, 패들워엄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운반 채널이 짧으면, 벌크재료가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채널의 배출구로 유동하게 된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벌크재료는 패들사이에 제공된 자유공간을 벌크 각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운반채널은 길게 연장되어야 한다. 운반 채널을 연장하게 되면 제작 비용이 증가되며, 캔틸레버(cantilever) 식으로 장착된 컨베이어 워엄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패들 워엄의 경우에 있어서, 벌크 재료가 거의 완전하게 채워지는 채널의 내부 라이닝(lining) 및 패들의 주변부 사이에 벌크 재료가 꽉 들어차는 것을 방지하고 벌크재료 입자들에 충분한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패들의 외곽 주변부와 운반채널의 내부 라이닝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 간격은 운반될 벌크재료의 최대 입자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이에 따라, 가스의 높은 투과율이 제공된다.
만일, 운반채널을 구조적인 이유로하여 특별히 짧게 형성해야 하는 경우에 패들워엄을 사용하려 한다면, 비작동시 벌크재료가 컨베이어 워엄과 함께 자동적으로 밖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차단수단을 갖춘 배출구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 및 난점들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같이 제조비용이 패들워엄과 같고, 운반 채널내에서 튜브형태로 괴상화되거나 워엄의 공회전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배출구에 분리 차단수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매우 짧은 컨베이어 워엄을 사용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장치는 운반채널을 통과하는 가스 흐름에 대한 향상된 유동저항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운반채널의 배출구쪽에 있는 단부 상에서 적어도 절반의 회선(convolution)에 걸쳐서 뻗어있는 연속 나사선으로 형성된 날개, 및 상기 날개에 이어 패들에 의해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워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흐름에 대한 높은 유동 저항성은 연속적인 나사선으로 형성된 날개가 패들에 의해 형성되고 패들의 연장부에 제공된 날개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날개의 형상에 의해서, 컨베이어 워엄과 운반채널의 내벽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간격에 벌크재료가 꽉 들어차는 위험이 방지되어, 연속적인 나사선으로 형성된 날개에 더 이상 벌크 재료가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연속적인 날개는 벌크재료가 쉽게 유동할 수 있는 중간 공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적인 나사선의 외곽 주변부와 운반채널의 내벽사이에 환형 간격이 제공되며, 이 간격은 운반될 벌크재료의 최대 입자 크기에 대략적으로 일치된다.
만일, 연속적인 나사선이 운반 채널 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 운반채널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면, 매우 짧은 운반 채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가스 흐름에 대한 큰 저항성을 보장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워엄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벌크재료가 배출구로 자동적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도, 연속적인 나사선은 적어도 ¾ 회선, 보다 바람직하게는 1과 ½ 내지 2 회선에 걸쳐서 연장된다.
운반되는 벌크 재료의 입자들이 꽉 막히어 큰 마모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패들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형성된 날개는 운반 채널의 내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½회선 내지 1과 ¼회선까지 연장된다. 패들, 즉 이들의 공간은 유입된 벌크재료가 날개에 완전히 채워지는 입구 근처로 벌크재료의 입자들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운반채널내에 제공된다. 이것에 의하여, 입자들이 컨베이어 워엄의 외곽 주변부와 운반채널의 내벽 사이에 꽉 들어차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특히 짧은 운반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입구 부터 배출구까지의 운반채널 길이는 a) 컨베이어 워엄의 회전축상에서의 연속적인 나사선 구간과 b) 컨베이어 워엄의 회전축상에서의 운반채널 입구에 가깝게 위치된 나사선의 단부를 벌크재료의 벌크 각도로 통과하고 운반채널의 최상부점과 교차되는 지점까지 윗쪽으로 뻗은 직선 구간을 더한 값과 같거나 크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화성 재료(2)와 강재질의 외피(3)에 의해 형성된 금속야금로의 수직측벽(1)에 있어서, 운반장치(4)은 측벽(1)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열된다. 운반장치(4)은 운반채널(6)을 포함하는데, 운반채널(6)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강재질의 내부라이닝(5)(또는 벽돌재질의 라이닝)으로 안을 대고 있다. 운반장치는 또한 측벽(1)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뻗어있는 회전축(7)을 포함한다. 내부 라이닝(5)은 내화성 재료(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고, 내화성 재료(2)는 강재질의 외피(8)에 둘러싸여 있다.
운반 채널(6)의 외곽 자유 단부에는 베어링 수단(9)과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플랜지 연결되어 있는데, 구동수단은 캔틸레버식으로 장착된 컨베이어 워엄(11)을 운반채널(6)을 통해서 금속야금로의 내부(10)에 도달시킨다. 운반 채널(6)의 바닥에는 운반될 벌크재료에 대한 배출구(12)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개구부는 수직으로 아랫쪽을 향하고 있는 소켓(8)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소켓에는 하류관(14)이 플랜지 연결되어 있다. 컨베이어 워엄(11)은 자체의 워엄축(15)에 의해서 금속야금로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며, 금속야금로의 단면적에 걸쳐서 벌크 재료를 균등하게 확실히 배출하기 위해서, 입구(17), 즉 금속야금로의 내부(10)로 개방되어 있는 운반 채널의 입구로부터 워엄축의 자유단부를 향하여 가늘어 지도록 고안된 날개(16, 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워엄의 날개(16, 16')는 컨베이어 워엄(11)의 길이에 걸쳐서 변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운반채널(6)의 배출구(12)와 연관된 컨베이어 워엄(11)의 일단부의 날개(16')는 연속적인 나사선(18)으로 형성된다. 즉, 제 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1 ¾회선(convolutions)으로 입구(17)쪽으로 연장되는 나선형으로 형상화된 일체의 강판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선을 따라서, 날개(16)는 패들(19)로서 형성되는데, 패들(19)은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날개는 중간 공간(20)을 둘러싸는 패들들에 이웃하고 있다. 패들(19)은 약 ¼회선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으나, 패들은 예를들어 단지 1/6회선에 걸쳐서 연장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표면들을 갖춘 패들(19)은 이상적인 나선형 표면상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고 약간 벗어나서 위치되므로, 금속야금로의 내부(10)에 존재하는 벌크재료를 분산시키며, 벌크 재료가 패들(19)에서 덩어리지거나 또는 날개(16)내에서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벌크 재료는 입구에서 연속적인 나사선(18)에 의해 형성된 날개(16')로 들어간다. 그리하여 날개(16')는 자체의 최초위치, 즉 입구(17)의 바로 근처에서 완전하게 채워진다. 컨베이어 워엄(11)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연속적인 나사선(18)은 벌크재료가 입구(17)로 부터 배출구(12)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속적인 나사선(18)은 내벽, 즉 운반채널(6)의 내부 라이닝(5)에 대한 자체의 외곽 주변부에 의해서 환형 간격(21)을 형성한다. 이 환형 간격의 폭(21')은 운반될 벌크재료의 가장 큰 입도크기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이렇게 비교적 좁은 환형 간격(21)에 의해서, 이 간격을 통과하는 비교적 큰 내 저항성 가스 흐름이 만들어진다.
제 2도에 따르면, 연속적인 나사선(18)은 입구(17)까지 완전하게 연장되지 않고 1 ½ 회선만큼 연장된 곳에서 끝난다. 그리하여, 패들(19)에 의해 형성된 날개(16)는 약 ¾회선만큼 운반채널(6)의 내부에 도달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날개(16')는 직선(22)에 대한 벌크 각도 알파(α)로 표시되는 나선형 더미 때문에 더 이상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벌크재료가 컨베이어 워엄(11)의 외곽 주변부와 운반채널(6)의 내부 라이닝(5) 사이에 꽉 채워지게 될 위험성이 그에 따른 컨베이어 워엄(11)의 마모는 실질적으로 줄어든다. 왜냐하면, 날개가 단지 입구(17) 가까이에서만 완전하게 채워지고 패들(19) 사이에 제공된 중간 공간(20)을 통해서 입자들이 빠져나갈 수 있다. 패들(19)에 의해서 형성된 날개(16)의 외경은 연속적인 나사선에 의해서 형성된 날개(16')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그러므로, 패들(19)의 마모가 또한 줄어든다.
제 2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운반 채널(6)은 입구(17)와 배출구(12) 사이에 길이(23)를 갖는데, 이 길이(23)는 회전축(7)상의 연속적인 나사선(18)의 구간(24)과, 운반채널(6)의 입구(17)의 최상부점(26)으로부터 입구(17)에 가까이 위치된 나사선(18)의 단부로 벌크재료의 벌크 각도 알파(α)로서 연장되는 직선(22)의 구간(25)을 더한 것에 상응한다. 이것은 운반장치가 완전하게 기능하도록 하기에 적당한 최소길이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 길이는 또한 초과될 수 있지만, 합당한 비용을 위해서는 길이의 연장이 억제된다.
제 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적인 나사선(18)은 간단한 제조의 잇점을 갖는 제 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나사선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것은 컨베이어 워엄이 큰 치수(즉, 약 0.5m의 축 직경, 1m의 운반채널 직경, 약 8m의 컨베이어 워엄길이, 연속적인 나사선을 형성하는 약 4cm의 강판두께)를 갖게 되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제 4도에 연속적인 나사선(18)이 단지 ½회선에 걸쳐서 연장되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나사선(18)이 제 4도에 도시된 위치, 즉 최하부 위치에 놓이는 경우, 벌크 재료가 입구(17)로부터 배출구(12)로 유동하는 것이 자동적으로 방지된다. 만약, 이 위치로부터의 회전이 일어나면, 벌크재료는 컨베이어 워엄(11)의 자체 회전없이 입구(17)로부터 하류관(14)으로 자동적으로 유동할 것이다. 왜냐하면, 입구(17)에 형성되는 직선(22)로 표시된 원추형 더미가 배출구(12)를 지나서 연장되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 나사선(18)은 차단 구조물로서 기능한다.

Claims (9)

  1. 입구(17)와 배출구(12)를 포함하는 운반채널(6), 및 상기 운반채널(6)내에 제공되고 상기 운반채널(6)의 입구(17)쪽으로부터 배출구(12)로 연장되며 패들(19)에 의해 형성되는 날개(16)와 상기 패들(19)에 의해 형성된 날개(16)의 하류인 상기 운반채널(6)의 배출구(12)쪽 단부상에 배열되고 연속 나사선(18)에 의해 형성되는 날개(16')를 갖춘 컨베이어 워엄(11)으로 구성되는 벌크 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4)에 있어서, 제 1 금속야금로로부터 제 2 금속야금로로 광석, 석탄, 해면철 등의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패들(19)에 의해 형성된 날개(16)가 제 1 금속야금로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컨베이어 워엄(11)의 단부영역내에 배열되며, 상기 연속 나사선(18)이 ½회선 내지 2회선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속 나사선(18)의 단부는 하향의 소켓(14)에 연결되는 운반될 벌크재료용 배출구(12)의 영역에 배열되며, 상기 소켓(14)은 제 2 금속야금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선(18)이 제공되어 있는 컨베이어 워엄(11)의 단부영역은 운반채널의 단부에 제공된 베어링을 경유하여 운반채널(6)의 단부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나사선(18)에 의해 형성된 날개(16')가 상기 패들(19)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날개(16')의 연장부에 제공되어 있는 날개(16)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나사선(18)의 외곽 주변부와 운반채널(6)의 내벽(5) 사이에 환형 간격(21)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간격의 폭(21')은 운반될 벌크재료의 최대 입자 직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나사선(18)이 상기 운반채널(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입구(17)로부터 배출구(12)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나사선(18)이 ¾회선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19)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날개(16)가 상기 운반채널(6)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7)로부터 배출구(12)까지의 상기 운반채널(6)의 길이가 ①상기 워엄 컨베이어의 회전축(7)상에서의 연속 나사선(18)의 구간(24)과, ②상기 컨베이어 워엄(11)의 회전축(7)상에서의 상기 입구(17)에 가깝게 위치된 상기 나사선(18)의 단부를 벌크재료의 벌크각도 알파(α)로 통과하고 상기 운반채널(6)의 최상부점과 교차되는 지점까지 윗쪽으로 연장하는 직선(22)의 구간(25)을 더한 값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나사선(18)이 1과 ½ 내지 2회선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16)가 운반채널(6)의 내측으로 ½ 내지 1과 ¼회선만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KR1019930012700A 1992-07-07 1993-07-07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KR10024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388/92 1992-07-07
AT0138892A AT397378B (de) 1992-07-07 1992-07-07 Fördereinrichtung zum dosierten fördern von schüttg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150A KR940002150A (ko) 1994-02-16
KR100244928B1 true KR100244928B1 (ko) 2000-03-02

Family

ID=351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700A KR100244928B1 (ko) 1992-07-07 1993-07-07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480070A (ko)
EP (1) EP0578628B1 (ko)
JP (1) JPH06166415A (ko)
KR (1) KR100244928B1 (ko)
CN (1) CN1031288C (ko)
AT (1) AT397378B (ko)
AU (1) AU664748B2 (ko)
BR (1) BR9302769A (ko)
CA (1) CA2098055C (ko)
CZ (1) CZ287912B6 (ko)
DE (2) DE4318515C2 (ko)
ES (1) ES2110592T3 (ko)
RU (1) RU2068535C1 (ko)
SK (1) SK279494B6 (ko)
UA (1) UA27245C2 (ko)
ZA (1) ZA9342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7180A1 (de) * 1994-08-01 1996-02-08 Siemens Ag Verfahren zur Förderung von Pyrolyse-Reststoff und danach arbeitende Einrichtung
US5848728A (en) * 1996-11-07 1998-12-15 Acrison, Inc. Multi-flighted notched metering auger
DE19707438A1 (de) * 1997-02-25 1998-08-27 Sandler Helmut Helsa Werke Vorrichtung zur thermischen Behandlung fließ- oder rieselfähiger Feststoffe
DE19719597C1 (de) * 1997-05-09 1998-06-25 Rovema Gmbh Vorrichtung zum volumetrischen Dosieren eines fließfähigen Produkts
AT405455B (de) 1997-11-07 1999-08-25 Voest Alpine Ind Anlagen Schachtofen
WO2000061314A1 (en) * 1999-04-07 2000-10-19 Steel Foundations Technology Pty. Ltd. A helical flyte for screw pile anchors
AU753957B2 (en) * 1999-04-07 2002-10-31 Steel Foundations Pty. Ltd. A helical flyte for screw pile anchors
KR20010011281A (ko) * 1999-07-27 2001-02-15 서평원 음성 제공 장치에서의 안내방송 저장 방법
KR100430305B1 (ko) * 2001-07-21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서비스 보드의 음성 메시지 변경 장치 및 방법
AUPS160702A0 (en) * 2002-04-08 2002-05-16 Fibrecycle Pty Ltd Particulate matter conveyor
JP2005066946A (ja) * 2003-08-21 2005-03-17 Ngk Insulators Ltd 押出機用スクリュー、スクリュー式押出機、及びこれを用いた混練押出装置
DE102009007302C5 (de) * 2009-02-03 2019-04-25 Grebo Licens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ydrothermalen Karbonisierung von Biomasse
US20110018179A1 (en) 2009-06-29 2011-01-27 Bairong Li Metal reduction processes, metallurgical processes and products and apparatus
US20140021224A1 (en) * 2010-11-18 2014-01-23 Cavadistrib. Inc. Dosing apparatus
RU2456521C2 (ru) * 2011-02-21 2012-07-20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Голодяев Устройство уплотнения вала шнека печи с сыпучими материалами
CN102849197B (zh) * 2011-03-03 2017-04-12 刘滨军 泵喷推进器及包括其的船舶
CN103482316B (zh) * 2013-08-28 2016-01-13 苏州国衡机电有限公司 一种螺旋推送器
CN108545417B (zh) * 2018-05-23 2024-02-23 佛山市南海天富科技有限公司 一种下料口组件
CN109250404A (zh) * 2018-10-29 2019-01-22 天津大学 一种安装在余热锅炉下方的耐高温螺旋输送机
CN113526170B (zh) * 2021-07-30 2023-04-14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定量称重矸石快速装车装置及方法
WO2024030050A1 (ru) * 2022-08-04 2024-02-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АВОР-АВТ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еличения силы сцепления колес с поверхностью дороги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676A (en) * 1906-04-27 1907-02-12 Joseph A Jeffrey Conveyer.
DE411175C (de) * 1922-02-14 1925-03-24 Filip Tharaldsen Beschickungsvorrichtung und Entleerungsvorrichtung fuer metallurgische und aehnlicheOEfen
US2262580A (en) * 1939-11-06 1941-11-11 Carpenter Heating & Stoker Com Feed screw
US2507245A (en) * 1944-07-12 1950-05-09 Sears Roebuck & Co Stoker apparatus, including a uniformly increasing pitch feed screw
US2738065A (en) * 1951-01-04 1956-03-13 Mahlkuch Ev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terials
NL223944A (ko) * 1957-01-15 1900-01-01
US3184112A (en) * 1961-12-07 1965-05-18 Union Carbide Corp System for admixing and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US3303917A (en) * 1965-10-11 1967-02-14 Deere & Co Material conveying and distributing device
US3725022A (en) * 1971-02-12 1973-04-03 Owens Illinois Inc Method of feeding glass batch
US3891192A (en) * 1974-04-24 1975-06-24 Francisci Machine Corp De Pre-mixer for alimentary paste
GB1563477A (en) * 1978-04-14 1980-03-26 Lamdec Consultants Ltd Conveyors
US4304054A (en) * 1980-04-21 1981-12-08 The B. F. Goodrich Company Screw press for drying elastomeric polymers
DE3034539C2 (de) * 1980-09-12 1982-07-22 Korf-Stahl Ag, 7570 Baden-Ba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rekten Erzeugung von flüssigem Roheisen aus stückigem Eisenerz
DE8024491U1 (de) * 1980-09-12 1983-08-11 Korf-Stahl Ag, 7570 Baden-Baden Austragsvorrichtung fuer heissen eisenschwamm aus einem direktreduktionsschachtoffen
AT372109B (de) * 1982-01-11 1983-09-12 Voest Alpine Ag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heissem gut, insbesondere von eisenschwamm aus einem schachtofen
US5304054A (en) * 1991-04-19 1994-04-19 Frenkel C-D Aktiengesellschaft Plasticizing sections of cold feed rubber extruders
DE9211567U1 (ko) * 1992-08-27 1992-10-29 Bug Betriebsanlagen- Und Grundbesitz Gmbh, 8046 Garching,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18515C2 (de) 1994-12-22
CA2098055A1 (en) 1994-01-08
CA2098055C (en) 1996-11-26
JPH06166415A (ja) 1994-06-14
AU664748B2 (en) 1995-11-30
AU3999093A (en) 1994-01-13
BR9302769A (pt) 1994-02-08
CN1087125A (zh) 1994-05-25
SK279494B6 (sk) 1998-12-02
CZ134793A3 (en) 1994-02-16
UA27245C2 (uk) 2000-08-15
DE4318515A1 (de) 1994-01-13
KR940002150A (ko) 1994-02-16
CZ287912B6 (cs) 2001-03-14
EP0578628B1 (de) 1997-11-26
ATA138892A (de) 1993-08-15
ZA934230B (en) 1994-01-17
ES2110592T3 (es) 1998-02-16
RU2068535C1 (ru) 1996-10-27
EP0578628A1 (de) 1994-01-12
SK71393A3 (en) 1994-05-11
AT397378B (de) 1994-03-25
CN1031288C (zh) 1996-03-13
US5480070A (en) 1996-01-02
DE59307728D1 (de) 199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928B1 (ko) 벌크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DK1429982T3 (en) Pneumatic transport device
EP1060786B1 (en) Charging assembly for mixing vessel
TWI410281B (zh) 攪拌式球磨機
TWI665144B (zh) 進料槽裝置之結構
CN104220153B (zh) 流体分配器
FI94230C (fi) Menetelmä ja laite nestepaineen avulla tapahtuvaa materiaalien massasiirtoa varten
IL25793A (en) Flexible conveyor device
KR940002046B1 (ko) 분말 이송용 곡관
CN107438477B (zh) 具有集成输送泵的混合装置
KR101409595B1 (ko) 분립체 공급기
CA2527960C (en) Axial input flow development chamber
US20110142553A1 (en) Conveyor device for pneumatically conveying bulk material
US3261514A (en) Feed hopper for table feeder
EP3519330B1 (en) Screw conveyor to convey powdery material, in particular cement or the like
EP0524912A1 (en) Rotary pipe and fixed channel auger with intermediate outer supporting elements
US4228822A (en) Stream throttle
CA2330156C (en) Rotary valve for particulate materials
CN113526169A (zh) 一种具有曲折通道的转子壳体结构及卸料器、布料器
RU2094120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питатель
CN116573345A (zh) 具有进料密封性的螺旋进料装置及螺旋进料密封方法
JP6597388B2 (ja) 粉体搬送装置及び粉体定量供給装置
CN220563783U (zh) 一种水泥粉料输送装置
CN109956255B (zh) 溜料管
SU1097538A1 (ru) Винтовой конвейер дл материалов с твердыми кусковыми включени 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