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595B1 - 분립체 공급기 - Google Patents

분립체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595B1
KR101409595B1 KR1020080118860A KR20080118860A KR101409595B1 KR 101409595 B1 KR101409595 B1 KR 101409595B1 KR 1020080118860 A KR1020080118860 A KR 1020080118860A KR 20080118860 A KR20080118860 A KR 20080118860A KR 101409595 B1 KR101409595 B1 KR 101409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inner cylinder
rotation preventing
bottom plat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462A (ko
Inventor
오사무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Publication of KR2009010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09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65G65/483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and moving material over a stationary surface, e.g. sweep arm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2Chutes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09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65G65/481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and having the form of rotating tables or pans
    • B65G65/4827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and having the form of rotating tables or pans with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ribs, rough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의 동시 회전을 방지하여, 재료의 편석(偏析)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정량 배출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바닥판에 외통을 세워 설치하여 분립체 공급 케이스로 하며,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분립체 배출 간극을 두고 내통을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의 회전축에 상기 바닥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설치하여 회전체를 형성하고, 이 회전체의 통형 외측 가장자리를 외통의 내측 둘레에 근접시켜 환형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형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통로 방향의 이송용 스크레이퍼를 복수 설치하며, 상기 분립체 배출 간극으로부터 상기 환형 통로로 확산시킨 분립체를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립체 배출구로 이송하는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내면에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2면을 갖는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상기 2면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며,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최대 높이가 내통의 반경에 대하여 2%∼3%가 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분립체 공급기{POWDER AND GRANULE SUPPLYING MACHINE}
본 발명은 원료의 동시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분립체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립체가 공급되는 내통과 외통을 가지며, 내통과 외통 간에 재료의 환형 통로를 마련하고, 외통 바닥면 상에서 회전하는 교반 날개에 의해 재료를 교반하면서, 재료 통로 상에 설치된 배출구로부터 분립체를 배출하는 분립체 공급기가 존재한다.
이러한 공급기에서는, 상기 외통 바닥면 상에서 회전하는 교반 날개에 의해, 내통 밖의 재료 통로에 소정의 안식각으로 퍼진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까지 운반하여 정량 배출을 가능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공개 평성 제6-35235호
그런데, 상기 종래의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는, 호퍼(내통) 내의 분립체 원료가 줄어든 경우, 분립체의 물성에 따라서는 분립체와 분립체가 접촉하고 있는 벽면(바닥면, 내통 내면 등)의 마찰 저항이,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력보다 작아져, 내통 내에서 분립체 전체가 교반 날개와 함께 회전하는 현상, 소위 동시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동시 회전 현상이 발생하면, 내통 내의 분립체를 재료 통로로 유도하는 힘이 없어져, 재료를 배출구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할 수 없게 된다.
이 분립체의 동시 회전 방지 대책으로서, 종래에는, 내통의 내면의 대향 위치에 돌기(방해판)(30)를 2부분에 설치하며(도 11 참조), 이 방해판에 의해 동시 회전하는 분립체에 저항을 부여하여, 동시 회전을 저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도 11, 특허문헌 1, 도 5 참조).
그런데 상기 방해판(30)은 내통 내면(2a)보다 방해판의 좌우판면이 크며 내부로 돌출하는 형상이기 때문에(도 11 참조), 동시 회전을 저지하여 분립체를 재료 통로로 유도하는 효과는 크지만, 교반 날개의 회전 방향(A)에 대하여 대향면(30a)이 큰 경사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기 때문에, 동시 회전하는 분립체가 대향면(30a)에 충돌함으로써 분립체에 큰 압력이 작용하여, 방해판(30) 근방에서 분립체가 소밀(疏密)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이는, 내통(2) 내의 대향 2부분에서만 생기기 때문에, 분립체 재료가 물성이 다른 혼합 재료인 경우는, 편석(재료의 물리 적 성질의 차이에 의한 성분의 편재)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호퍼 내의 재료의 동시 회전을 방지하며, 재료의 편석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정량 배출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발명은, 바닥판에 외통을 세워 설치하여 분립체 공급 케이스로 하며,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분립체 배출 간극을 두고 내통을 동심으로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직립 회전축을 설치하며, 이 회전축에 상기 바닥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설치하여 회전체를 형성하고, 이 회전체의 통형 외측 가장자리를 외통의 내측 둘레에 근접시켜 내외통 간의 환형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형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통로 방향의 재료 이송용 스크레이퍼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분립체 배출 간극으로부터 소정의 안식각으로 상기 환형 통로로 확산시킨 분립체를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립체 배출구로 이송하는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내면에, 그 내측 둘레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2면을 갖는 종방향의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설치하며,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상기 2면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고,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최대 높이가 내통의 반경에 대하여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2면은 예컨대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돌출 면(10a, 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방향이란 교반 날개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2면의 경사가 교반 날개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로 교차하는 완만한 경사면이 되며, 또한 그 최대 높이도 낮기 때문에,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에 의해 분립체에 부여되는 압력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내통의 내측 둘레를 따라 분립체에 부여하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분립체의 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료의 편석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바닥판에 외통을 세워 설치하여 분립체 공급 케이스로 하며,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분립체 배출 간극을 두고 내통을 동심으로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직립 회전축을 설치하며, 이 회전축에 상기 바닥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설치하여 회전체를 형성하고, 이 회전체의 통형 외측 가장자리를 외통의 내측 둘레에 근접시켜 내외통 간의 환형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형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통로 방향의 재료 이송용 스크레이퍼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분립체 배출 간극으로부터 소정의 안식각으로 상기 환형 통로로 확산시킨 분립체를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립체 배출구로 이송하는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내면에, 그 내측 둘레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호면을 갖는 종방향의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설치하며,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최대 높이가 내통의 반경에 대하여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원호면이 교반 날개의 회전 방 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로 교차하는 완만한 경사면(곡면)이 되며, 또한 그 최대 높이도 낮기 때문에,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에 의해 분립체에 부여되는 압력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내통의 내측 둘레를 따라 분립체에 부여되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분립체의 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료의 편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호면이기 때문에 분립체의 급격한 혼란을 억제하여 재료의 편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기재된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원호면 대신에,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곡면이란, 통형상의 면이 원호면 이외인 종방향 곡면을 말하며, 만곡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4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가, 상기 내통의 하단으로부터 내통 상단 방향의 소정 범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시 회전이 생기기 쉬운 분립체의 감소 시에, 이 분립체에 효과적으로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가, 내통의 내측 둘레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6개 또는 8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시 회전 방지를 위해 분립체에 부여되는 압력을 내통 의 내측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동시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편석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동시 회전 방지 돌기에 의한 분립체의 동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이 내통 내측 둘레 전체에 대략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분립체의 동시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재료의 혼란이 적기 때문에 재료의 편석도 방지할 수 있어, 재료의 안정된 정량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립체 공급기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분립체 공급기의 기본적 구성에 대해서 도 1,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1')을 갖는 외통(1)(바닥이 있는 외통)의 내부에 동심원의 내통(2)을 배치하며, 내통(2)의 하단(2')과 바닥판(1') 사이에 분립체의 배출 간격(t)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내통(2)의 외측 둘레에 설치한 환형 덮개(3)를 외통(1)의 상단에 지지함으로써 외통(1)의 환형 상단 개구부(1")를 폐쇄하고, 또한 상기 간격(t)을 유지하며, 내외통(1, 2) 간에 배출 분립체의 환형 통로(4)를 형성하고, 이 통로(4)에 배출구(5)를 뚫는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의 중심에 돌출 설치된 직립 회전축(6)의 상단부에 바닥판 상면(1a)을 따라 배치된 회전 날개(교반 날개)(7)의 기초부(7b)를 고정하여 분립체 피더(F)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이 있는 외통(1)을 분립체 공급 케이스로 하고 있다.
상기 회전 날개(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초부(7b)로부터 외통(1) 내측 둘레를 향하여 90도 간격으로 4개의 스포크(7a)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외통(1)의 내측 둘레를 따르는 회전링(통형 외측 가장자리)(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링(8)에는 상기 스포크(7a)와 동일 높이에서 내통(2) 방향을 향하여 12개의 재료 이송용 스크레이퍼(내향 회전 날개)(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립체(P)는 상기 내통(2)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t)으로부터 환형 통로(4)를 향하여 소정의 안식각(q)을 가지고 환형 통로(4)측으로 퍼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직립 회전축(6)을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분립체(P) 내에서 상기 스포크(7a) 및 스크레이퍼(9)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내통(2) 내의 분립체(P)가 환형 통로(4)측으로 긁어내어지고, 긁어내어진 분립체는 상기 스크레이퍼(9)에 의해 환형 통로(4) 내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5)로부터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된다.
상기 회전 날개(7)의 각 스포크(7a)는, 그 회전에 의해 분립체를 외측 둘레부[환형 통로(4)]측으로 반강제적으로 송출하는 작용을 행한다. 도면 부호 7a'는 상기 각 스포크(7a)의 회전 방향(A)측(진행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엣지)이며, 그 회전 방향(진행 방향)(A)을 따라 가장자리부(7a') 방향으로 그 두께를 감소시킨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면 부호 10은 상기 내통(2)의 내면에 설치된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이며, 이 들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는, 상기 내통(2)의 내면(2a)에서, 그 내측 둘레를 따르는 균등 간격으로(도 1에서는 60도마다) 6부분에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이들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는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그 중 1개에 착안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는, 내통(2)의 내면(2a)에서 내통 반경 상의 가상선(R)에 직교하는 연직 중심선(S)의 방향으로, 좌우 방향으로부터 완만한 동일 경사 각도로 상승하는 2개의 돌출면(10a, 10b)을 갖고 있다.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상면(10c)과 바닥면(10c')은 모두 폐쇄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중심선(S)이 내통(2)의 중심을 향하는 종방향[회전 날개(7)의 회전 방향(A)에 직교하는 종방향]인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면(10a, 10b)은, 상기 내통의 상단(2")으로부터 하단(2')에 이르는 길이를 갖고 있으며, 그 횡단면 형상은 정점이 이루는 각도(θ1)가 약 140도(둔각)인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9의 (a) 참조].
즉, 상기 내통(2)의 내측 둘레에는, 그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종방향의 돌출면(2면)(10a, 10b)을 갖는 종방향으로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상기 돌출면(10a, 10b)이 이루는 각도(θ1)는 둔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돌출면(10a, 10b)은,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날개(7)의 회전 방향[A 방향, 회전 방향의 접선(m)]에 대하여 작은 각도(도면의 θ2=약 20도)로 교차하는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 으며, 이에 따라 분립체(P)에 가하는 돌기(10) 1개당의 압력이 종래의 돌기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내통(2)을 도 2에 도시하는 상단부(2")의 상측으로 더 연장시켜, 내통(2)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분립체(P)의 양이 적어졌을 때에 동시 회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를, 상기 내통(2)의 하단(2')으로부터 내통 상단 방향의 소정 범위[도 2의 하단부(2')로부터 상단부(2")에 이르는 범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상기 내통(2)의 내면(2a)으로부터의 최대 높이(T), 즉 상기 내통(2)의 내면(2a)으로부터 상기 중심선(S)(횡단면의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까지의 높이(T)는, 이 내통(2)의 반경(r)에 대하여 2%∼3%[=T/r(%)]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높이를 종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에 비교하여 낮게 형성하고, 내통(2)의 내면에 60도마다 6부분에 형성함으로써,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가 동시 회전하려는 분립체에 끼치는 압력은 작아지지만,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6부분에 설치함으로써, 내통(2)의 내측 둘레의 6부분에서 분립체에 균등하게 분산하여 상기 압력이 미치게 할 수 있으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분립체의 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를 내통(2)의 내면(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등 간격으로 6부분에 설치함으로써, 1부분의 돌기(10)당 분립체(P)에 부여하는 압력은 작으며, 이 압력이 내통(2)의 내면 전체 둘레에 걸쳐 균등하게 분 산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 근방의 분립체(P)의 혼란(K)(분립체의 소밀 부분)을 적게 할 수 있다(도 3, 도 7 참조). 즉 분립체(P)의 혼란(K)이 적으며, 아울러 혼란(K)이 내통(2)의 내측 둘레면에 있어서 균등 간격으로 분산하여 생기기 때문에, 혼합 재료의 경우에도 편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경사면(10a)은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가상선(R)에 직교하는 방향[또는 길이 방향이 교반 날개(7)의 회전 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인 종방향의 완만한 경사면이면 좋으며, 돌기(10)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이등변 삼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횡단면 삼각형상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10)의 경사면은, 상기 가상선(R)에 직교하는 방향(수직 방향)으로는 경사가 없는 면을 이루며,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는 사면(10a, 10b)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의 (a) 참조].
도 6에 도시하는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이며, 횡단면 형상이 원호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는, 내통(2)의 내면(2a)에서, 이 내면(2a)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길이의 원호면(11a)에 의해 종방향[회전 날개(7)의 회전 방향(A)에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기둥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내통(2)의 내면(2a)에, 그 내측 둘레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내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호면(11a)을 갖는 종방향으로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11)의 상면(11c), 바닥면(11c')은 폐쇄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종방향으로 원호 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10)와 마찬가지로 내통(2)의 내면(2a)의 내측 둘레를 따라 60도마다 6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원호면(11a)의 원호는, 내통(2)의 반경(r) 상의 가상선(R)의 연장선 상에 있는 1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최대 높이(T), 즉 내면(2a)으로부터 원호의 최대 높이까지의 거리(T)는,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와 마찬가지로, 내통(2)의 반경의 2%∼3%[=T/r(%)]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원호면(11a)은,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원호면 상의 접선(n)이 회전 날개(7)의 회전 방향[화살표 A 방향, 회전 방향의 접선(m)]에 대하여 작은 각도[도 9의 (b)의 θ3=약 20도]로 교차하는 완만한 경사(곡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분립체에 끼치는 돌기(11) 1개당의 압력이 종래의 돌기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원호면이기 때문에 분립체(P)의 급격한 혼란(K)을 억제하여 재료의 편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작용한다.
또한, 상기 내통(2)을 도 2에 도시하는 상단부(2")의 상측으로 더 연장시켜, 내통(2)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를, 상기 내통(2)의 하단부(2')로부터 내통 상단 방향의 소정 범위[도 2의 하단부(2')로부터 상단부(2")에 이르는 범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높이를 종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에 비교하여 낮게 형성하고, 내통(2)의 내면에 60도마다 6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기(10)와 마찬가지로,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가 동시 회전하려는 분립체(P)에 끼치는 압력이 작아지지만,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를 6부분에 설치함으로써, 내통(2)의 내측 둘레(2a)의 6부분에서 분립체에 균등하게 상기 압력을 가함으로써, 종래와 마찬가지로 분립체의 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를 내통(2)의 내면(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등 간격으로 6부분에 설치함으로써, 1부분의 돌기(11)당 분립체에 부여하는 압력은 작으며, 이 압력이 내통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등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 근방의 분립체의 혼란(K)(분립체의 소밀 부분)을 적게 할 수 있다(도 5 참조). 즉, 분립체(P)의 혼란(K)이 적으며, 아울러 혼란(K)이 내통(2)의 내측 둘레면에 있어서 균등 간격으로 분산하여 생기기 때문에, 혼합 재료의 경우에도 편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호면(11a)은 원호면을 원호 이외의 만곡면으로 한 종방향의 곡면으로 하여도 좋다. 즉,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돌출면의 길이 방향이 상기 가상선(R)에 직교하는 방향[또는 길이 방향이 교반 날개(7)의 회전 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인 종방향의 완만한 원호면 또는 곡면이면 좋으며, 상기 원호면 또는 곡면이란, 돌기(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원호, 곡선을 포함하는 면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11)의 원호면 또는 곡면은, 상기 가상선(R)에 직교하는 방향(수직 방향)으로는 직선 형상을 이루며,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는 어떤 곡률을 갖는 곡면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 11)를 60도 간격으로 6개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돌기(10, 11)를 45도 간격으로 8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2 중 도면 부호 12는 감속기이며, 13은 교반 날개 구동용의 전동기이고, 14는 분립체의 유량 조절링이다.
본 발명의 분립체 공급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내통(2) 내에 수납된 분립체(P)는 상기 배출 간격(t)으로부터 재료 통로(4) 내에 안식각(q)을 가지고 확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기(13)를 회전시키면, 스포크(7a)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재료 이송용 스크레이퍼(9)가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스포크(7a)의 회전에 따라 내통(2) 내의 분립체가 재료 통로(4)로 이행되어 가며, 동시에 상기 재료 통로(4) 내의 분립체는 스크레이퍼(9)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운반되고, 배출구(5)까지 운반되어, 이 배출구(5)로부터 일정량씩 배출된다.
이때, 내통(2) 내의 재료가 적어지는 등으로 인하여, 분립체(P)와 바닥판(1')의 마찰 저항, 혹은, 분립체와 내통(2) 내면(2a)의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아졌다고 해도, 분립체(P)는, 내통(2)의 내면(2a)의 내측 둘레에 균등 간격으로 6부분에 설치된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6부분의 돌출면(10a, 10b)으로부터 균등하 게 저항(압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내통(2)의 내측 둘레의 균등한 6부분에서, 분립체(P)와 상기 돌기(10)(6부분)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지며, 이 마찰 저항이 스포크(7a)의 교반력보다 작아지는 일이 없고, 그 결과 분립체(P)의 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통(2)에 균등하게 배치된 6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에 의해, 분립체에 균등하게 저항을 분산하여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의 동시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최대 높이(T)는 내통(2)의 반경(r)의 2%∼3%로 매우 낮으며, 또한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돌출면(10a)이 교반 날개(7)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완만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도 9의 (a) 참조],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의 근방에서 분립체(P)에 부여되는 압력이 작고, 이 돌기(10) 근방에서의 분립체(P)의 혼란(K)이 매우 적기 때문에, 분립체(P)의 편석도 방지할 수 있다.
즉,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 근방에서의 분립체(P)의 혼란(K)을 적게 하며,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를 내통(2)의 내측 둘레면에 균등 간격으로 6개로 분산하여 설치함으로써, 분립체(P)에 부여하는 저항을 분산하면서, 분립체(P)의 혼란(K)을 적게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분립체(P)의 편석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를 이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분립체(P)와 바닥판(1')의 마찰 저항, 혹은, 분립체와 내통(2)의 내면(2a)의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아졌다고 해도, 분립체(P)는 내통(2)의 내면(2a)의 내측 둘레에 균등 간격 으로 6부분에 설치된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6부분의 원호면(11a)으로부터 균등하게 저항(압력)을 받기 때문에, 분립체(P)와 상기 돌기(10)(6부분)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져, 이 마찰 저항이 스포크(7a)의 교반력보다 작아지는 일 없이 분립체(P)의 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통(2)에 균등하게 배치된 6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에 의해, 분립체에 균등하게 저항을 분산하여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의 동시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높이(T)는 내통(2)의 반경(r)의 2%∼3%로 매우 낮으며, 또한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원호면(11a)(회전 방향의 대향면)이 교반 날개(7)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완만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도 9의 (b) 참조),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의 근방에서 분립체(P)에 부여되는 압력이 작고, 이 돌기(11) 근방에서의 분립체의 혼란(K)이 매우 적기 때문에, 분립체(P)의 편석도 방지할 수 있다.
즉, 1개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 근방에서의 분립체(P)의 혼란(K)을 적게 하며, 이 동시 회전 방지 돌기(11)를 내통(2)의 내측 둘레면에 균등 간격으로 6개로 분산하여 설치함으로써, 분립체(P)에 부여하는 저항을 분산하면서, 분립체(P)의 혼란(K)을 적게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분립체(P)의 편석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시 회전 방지 돌기(10, 11)에 의한 분립체(P)의 동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이 내통(2)의 내측 둘레(2a) 전체에 대략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분립체(P)의 동시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립체 재료의 혼란이 적기 때문에, 물리적 성질이 다른 복수의 재료가 혼재하는 것과 같 은 혼합 재료를 이용한 경우에도, 재료의 편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재료의 정량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립체 재료의 동시 회전 및 편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의 물리적 성질의 분립체 재료를 정량 공급하기 위한 분립체 공급기로서 각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립체 공급기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 근방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갖는 내통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갖는 내통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의 (a), (b) 모두는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와 교반 날개의 회전 방향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장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갖는 내통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분립체 공급기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통
1': 바닥판
2: 내통
2a: 내면
4: 환형 통로
5: 배출구
6: 직립 회전축
7: 교반 날개(회전체)
7a: 스포크
8: 회전링(통형 외측 가장자리)
9: 재료 이송용 스크레이퍼
10: 동시 회전 방지 돌기
10a: 돌출면
10b: 돌출면
11: 동시 회전 방지 돌기
11a: 원호면
P: 분립체
T: 최대 높이
r: 반경
t: 분립체 배출 간격
q: 안식각

Claims (5)

  1. 바닥판에 외통을 세워 설치하여 분립체 공급 케이스로 하며,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분립체 배출 간극을 두고 내통을 동심으로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직립 회전축을 설치하며, 이 회전축에 상기 바닥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설치하여 회전체를 형성하고, 이 회전체의 통형 외측 가장자리를 외통의 내측 둘레에 근접시켜 내외통 간의 환형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형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통로의 방향의 재료 이송용 스크레이퍼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분립체 배출 간극으로부터 정해진 안식각으로 상기 환형 통로로 확산시킨 분립체를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립체 배출구로 이송하는 분립체 공급기로서,
    상기 내통의 내면에, 그 내측 둘레를 따르는 균등 간격으로,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2면을 갖는 종방향의 삼각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상기 2면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며,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최대 높이가 내통의 반경에 대하여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
  2. 바닥판에 외통을 세워 설치하여 분립체 공급 케이스로 하며,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분립체 배출 간극을 두고 내통을 동심으로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직립 회전축을 설치하며, 이 회전축에 상기 바닥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설치하여 회전체를 형성하고, 이 회전체의 통형 외측 가장자리를 외통의 내측 둘레에 근접시켜 내외통 간의 환형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형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환형 통로의 방향의 재료 이송용 스크레이퍼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분립체 배출 간극으로부터 정해진 안식각으로 상기 환형 통로로 확산시킨 분립체를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립체 배출구로 이송하는 분립체 공급기로서,
    상기 내통의 내면에, 그 내측 둘레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호면을 갖는 종방향의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동시 회전 방지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최대 높이가 내통의 반경에 대하여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의 원호면 대신에, 내통 중심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시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내통의 하단으로부터 내통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회전 방지 돌기는 내통의 내측 둘레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6개 또는 8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
KR1020080118860A 2008-04-15 2008-11-27 분립체 공급기 KR101409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5641A JP4447643B2 (ja) 2008-04-15 2008-04-15 粉粒体供給機
JPJP-P-2008-105641 2008-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62A KR20090109462A (ko) 2009-10-20
KR101409595B1 true KR101409595B1 (ko) 2014-06-20

Family

ID=4138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60A KR101409595B1 (ko) 2008-04-15 2008-11-27 분립체 공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47643B2 (ko)
KR (1) KR101409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769B1 (ko) 2010-04-17 2016-11-18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분립체 공급기의 하강 유도 장치
JP5774362B2 (ja) * 2011-04-28 2015-09-09 株式会社ヨシカワ 水平回転テーブルによる粉粒体供給装置
JP5856037B2 (ja) * 2012-10-25 2016-02-09 株式会社ヨシカワ 定量フィーダー
LU92107B1 (en) * 2012-11-29 2014-05-30 Wurth Paul Sa Spreading device for bulk material on a circular su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743355B1 (en) 2012-12-13 2016-08-10 F. Hoffmann-La Roche AG HAV detection
CN113893726B (zh) * 2021-09-22 2024-03-29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地下工程泥浆精准控制自动搅拌装置
CN115402691B (zh) * 2022-08-30 2024-03-08 河北邯峰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y形落煤管及其设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643U (ja) * 1993-12-28 1995-07-21 修 吉川 粉粒体フィーダにおける粉粒体の残留防止装置
JP2007050960A (ja) 2005-08-17 2007-03-01 Yoshikawa:Kk 材料供給装置における粉粒体供給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643U (ja) * 1993-12-28 1995-07-21 修 吉川 粉粒体フィーダにおける粉粒体の残留防止装置
JP2007050960A (ja) 2005-08-17 2007-03-01 Yoshikawa:Kk 材料供給装置における粉粒体供給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62A (ko) 2009-10-20
JP4447643B2 (ja) 2010-04-07
JP2009256026A (ja)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595B1 (ko) 분립체 공급기
US10589444B2 (en) Mixer and mixing method for gypsum slurry
KR102501892B1 (ko) 교반기 볼 밀
CN104220153B (zh) 流体分配器
EP2151401A1 (en)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upply device
HU207633B (en) Roller delivery device
US7455252B2 (en) Powder particle disintegrating and sizing apparatus
JP2013049478A (ja) 粉体ブリッジ防止装置および粉体供給装置
KR101455869B1 (ko) 분립체 공급기
JP2003527961A (ja) 粒状物質を処理する装置のための底部要素
US6443193B1 (en) Device for dispensing a divided solid material inside a receptacle
KR101394758B1 (ko) 분체 소량 단위 공급 장치
KR20110116083A (ko) 분립체 공급기의 하강 유도 장치
CN107826715B (zh) 供给装置和供给方法
JP5774362B2 (ja) 水平回転テーブルによる粉粒体供給装置
JP5852369B2 (ja) 粉体供給装置
JP5964166B2 (ja) 粉体ブリッジ防止装置および粉体供給装置
JP5584528B2 (ja) 粉粒体定量排出機
CN220033171U (zh) 一种配有自适应角度匀料件的颗粒输送泵下料斗
NL2025396B1 (en)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one or more flowable materials
JP2024010376A (ja) ロータリ式混合機
JP2016514660A (ja) フィーダーチューブおよびフィーダーチューブに関係する方法
JPH0740644U (ja) 粉粒体フィーダにおける粉粒体の共回り防止用抵抗板
JPH0441333A (ja) サークルフイーダー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